[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023003B1 -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003B1
KR102023003B1 KR1020170133954A KR20170133954A KR102023003B1 KR 102023003 B1 KR102023003 B1 KR 102023003B1 KR 1020170133954 A KR1020170133954 A KR 1020170133954A KR 20170133954 A KR20170133954 A KR 20170133954A KR 102023003 B1 KR102023003 B1 KR 102023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facility
working fluid
natural gas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2246A (ko
Inventor
김상현
성화창
차송훈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003B1/ko
Priority to CN201810922040.XA priority patent/CN109667667A/zh
Priority to US16/112,043 priority patent/US10968826B2/en
Publication of KR2019004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00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18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using the waste heat of gas-turbine plants outside the plants themselves, e.g. gas-turbine power heat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01K13/003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te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5/0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5/08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5/0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5/08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 F01K25/1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the vapours being cold, e.g. ammonia, carbon dioxide, 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16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32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using steam of critical or overcritical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0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having a turbine driving a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2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using a special fuel, oxidant, or dilution fluid to generate the combustion products
    • F02C3/22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using a special fuel, oxidant, or dilution fluid to generate the combustion products the fuel or oxidant being gaseous at standard temperature a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02C7/16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 F02C7/18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the medium being gaseous, e.g. air
    • F02C7/185Cooling means for reduc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air o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2Fuel supply systems
    • F02C7/224Heating fuel before feeding to the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16Control of working fluid flow
    • F02C9/18Control of working fluid flow by bleeding, bypassing or acting on variable working fluid interconnections between turbines or compressors or their s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4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pressure differences or thermal differences occurring in n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5/0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5/08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 F01K25/1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the vapours being cold, e.g. ammonia, carbon dioxide, ether
    • F01K25/103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60Application making use of surplus or waste energy
    • F05D2220/62Application making use of surplus or waste energy with energy recovery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D2220/7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20Heat transfer, e.g.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6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은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한 천연 가스를 가열하여 가스 터빈 발전 설비로 유입시킨다. 천연 가스의 가열은 해수 열교환기 또는 공기 히터와 같은 가열부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pressure difference power generation}
본 발명은 가스 터빈 발전 설비에 유입되는 천연 가스를 이용해서 압력차 발전을 하며,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한 천연 가스를 가열하여 가스 터빈 발전 설비로 유입시킴으로써 발전 효율을 높이는 복합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Natural Gas, NG)란 지하에서 천연적으로 산출되어 지표 조건에서 기체상을 이루는 탄화수소물 및 비탄화수소 물질을 모두 일컫는다. 천연가스는 산지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메탄(CH4)이 80~90%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에탄(C2H6), 프로판(C3H8)등의 가연성 기체를 포함하고 있다. 액화 천연 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는 천연가스를 저온(약 -160도)에서 인공으로 액화한 것을 말한다.
천연 가스나 원유는 유전에서 채굴되는데, 원활한 채굴을 위해 유전에 증기, 지하수, 해수,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충진제를 주입한다. 채굴된 천연 가스는 액화 천연 가스와 같은 액화 상태로 소비지로 운송된다. 소비지로 운송된 액화 천연 가스는 사용 또는 분배를 위해서 재기화(regasification)될 필요가 있다.
액화 천연 가스의 재기화를 위해서 해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수의 사용은 해양 생태계에 예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른 시스템에서는 천연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켜 액화 천연 가스를 재기화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기화 방식은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발전 설비는 일반적으로 천연 가스(NG)를 연료로 사용하는데, 발전 설비로 유입되는 천연 가스는 적정 온도 및 압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기존에는 감압 밸브 등을 이용해서 발전 설비로 유입되는 천연 가스의 압력을 조절했다. 이런 천연 가스의 감압 과정에서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4719호 (명칭: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과 연료전지가 결합된 복합발전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하여 가스 터빈 발전 설비로 유입되는 천연 가스를 가열하여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효율을 높이며, 액화 천연 가스의 냉열을 이용하여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복합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은 압력차 발전 설비, 가스 터빈 발전 설비, 가열부를 포함한다. 압력차 발전 설비는 천연 가스의 압력 변화를 이용해서 발전을 한다. 가스 터빈 발전 설비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와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한 천연 가스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와, 연소기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플루 가스에 의해 터빈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터빈과, 터빈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발전기를 구비한다. 가열부는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한 천연 가스를 가열한다. 가열부를 통과한 천연 가스는 온도가 상승하여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연소기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에는 천연 가스가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하지 않고 지나가도록 하는 제1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의 가열부에는 천연 가스가 가열부를 통과하지 않고 지나가도록 하는 제2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에서 가열부는 해수를 이용해서 천연 가스를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에서 가열부는 공기 히터를 이용해서 천연 가스를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은 압력차 발전 설비, 가열부, 가스 터빈 발전 설비,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 LNG 열교환 설비를 포함한다. 압력차 발전 설비는 천연 가스의 압력 변화를 이용해서 발전을 한다. 가열부는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한 천연 가스를 가열한다. 가스 터빈 발전 설비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와 가열부를 통과한 천연 가스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와, 연소기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플루 가스에 의해 터빈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터빈과, 터빈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발전기를 구비한다.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는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플루 가스로 가열된 초임계 작동 유체를 이용하여 발전한다.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에서는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플루 가스와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의 작동 유체가 열교환한다. LNG 열교환 설비에서는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에서 배출되는 작동 유체와 액화 천연 가스의 열교환을 통해, 액화 천연 가스의 온도가 상승하여 천연 가스로 재기화되며 작동 유체는 냉각된다. LNG 열교환 설비에서 냉각된 작동 유체는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로 유입되어 온도가 상승된 후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은 압력차 발전 설비, 가열부, 가스 터빈 발전 설비,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 LNG 열교환 설비,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 제2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를 포함한다. 압력차 발전 설비는 천연 가스의 압력 변화를 이용해서 발전을 한다. 가열부는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한 천연 가스를 가열한다. 가스 터빈 발전 설비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와 가열부를 통과한 천연 가스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와, 연소기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플루 가스에 의해 터빈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터빈과, 터빈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발전기를 구비한다.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는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플루 가스로 가열된 초임계 작동 유체를 이용하여 발전한다. LNG 열교환 설비에서는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를 통과한 작동 유체와 액화 천연 가스의 열교환을 통해, 액화 천연 가스의 온도가 상승하여 천연 가스로 재기화되며 작동 유체는 냉각된다.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에서는 LNG 열교환 설비를 통과하여 제1 유로로 이동한 작동 유체와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플루 가스가 열교환한다. 제2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에서는 LNG 열교환 설비를 통과하여 제2 유로로 이동한 작동 유체와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를 통과한 작동 유체가 합쳐져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플루 가스와 열교환한다. 제2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를 통과한 작동 유체는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은 LNG 열교환 설비를 통과한 작동 유체와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에서 배출되는 작동 유체가 열교환하는 작동 유체 열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은 제2 유로로 이동하는 작동 유체와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에서 배출되는 작동 유체의 일부가 열교환하는 작동 유체 열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은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를 통과한 플루 가스 온도를 특정하는 플루 가스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루 가스 온도 측정부의 온도에 따라 제1 유로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은 제1 온도 측정부와 제2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온도 측정부는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를 통과한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2 온도 측정부는 작동 유체 열교환기를 통과한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1 온도 측정부와 제2 온도 측정부의 온도 차이에 따라 제2 유로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에서 LNG 열교환 설비는 액화 천연 가스와 작동 유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매개 유체가 순환하는 매개 유체 순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에서 LNG 열교환 설비는 매개 유체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은 LNG 열교환 설비로 유입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저장하는 LNG 저장 설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의 LNG 저장 설비는 저장된 액화 천연 가스를 가열하여 재기화하기 위한 LNG 가열 설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은 공기 유동로와 연료 가스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동로는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를 일부 유출시켜 터빈으로 유입시킨다. 연료 가스 히터는 공기 유동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차 발전 설비로 유입되는 천연 가스와 열교환하여, 천연 가스를 가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의 공기 유동로에는 유동하는 공기가 연료 가스 히터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분기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료 가스 히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공기 유량 조절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의 공기 유동로에는 연료 가스 히터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은 LNG 열교환 설비를 통과한 작동 유체와 공기 유동로에서 연료 가스 히터를 통과한 공기가 열교환하는 공기 열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하여 가스 터빈 발전 설비로 유입되는 천연 가스를 가열하여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효율을 높인다. 또한 본 발명은 액화 천연 가스의 냉열을 이용하여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의 효율을 증가시키며, 액화 천연 가스를 재기화시키기 위한 별도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한 천연 가스를 가열하는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제1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된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를 포함하는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작동 유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매개 유체 순환부를 구비하는 LNG 열교환 설비를 포함하는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를 포함하는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가열 설비를 구비하며, NG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된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냉각 공기를 이용하여 천연 가스를 가열하는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한 천연 가스를 가열하는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제1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된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1000)은 압력차 발전 설비(1100), 가스 터빈 발전 설비(1200), 가열부(1300)를 포함한다.
압력차 발전 설비(1100)는 천연 가스 압력 변화를 이용해서 발전한다. 압력차 발전 설비(1100)는 천연 가스의 압력 감소에 따라 회전하는 터빈과, 터빈에 연결되어 터빈의 회전에 따라 발전을 하는 발전기를 구비할 수 있다.
가스 터빈 발전 설비(1200)는 연료를 연소시켜 발전한다. 가스 터빈 발전 설비(1200)는 압축기(1210), 연소기(1220), 터빈(1230) 및 발전기(1240)를 포함한다. 압축기(121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연소기(1220)로 전달한다. 압축기(1210)에서 압축된 공기는 고압 및 고온의 상태가 된다. 연소기(1220)는 압축기(1210)로부터 유입된 압축 공기와 연료를 혼합해서 연소시킨다. 연료는 압력차 발전 설비(1100)를 통과한 천연 가스가 될 수 있다. 연소로 인해 발생된 플루 가스는 터빈(1230)으로 배출된다. 연소 가스에 의해 터빈(1230) 내부의 터빈 블레이드가 회전하게 되며, 이를 통해 발전기(1240)를 회전시켜 발전을 한다.
가열부(1300)는 압력차 발전 설비(1100)를 통과한 천연 가스를 가열한다. 압력차 발전 설비(1100)를 통과하면서 천연 가스는 온도가 낮아진다. 일 실시예에서 압력차 발전 설비(1100)를 통과한 천연 가스의 온도는 약 -30 ~ -70도일 수 있다. 가열부(1300)를 통과하면서 천연 가스는 온도가 올라가고, 따라서 가스 터빈 발전 설비(1200)의 연소기(1220)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천연 가스가 연료로 공급된다. 이를 통해 가스 터빈 발전 설비(1200)의 효율이 개선된다.
가열부(1300)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가열부(1300)가 해수를 이용해서 천연 가스를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열부(1300)는 해수와 천연 가스가 열교환하는 설비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을 위한 별도의 에너지원이 필요하지 않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열부(1300)가 공기 히터를 이용해서 천연 가스를 가열할 수 있다. 공기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천연 가스 가열 온도를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연 가스가 압력차 발전 설비(1100)를 통과하지 않고 지나가도록 하는 제1 바이패스 유로(Pb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 유로(Pb1)에는 유입되는 천연 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조절 밸브(V1)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차 발전 설비(1100)로 천연 가스를 유입시키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조절 밸브(V1)를 조절하여, 천연 가스가 제1 바이패스 유로(Pb1)로 흘러가도록 한다. 가스 터빈 발전 설비(1200)의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천연 가스가 압력차 발전 설비(110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가스 터빈 발전 설비(1200)로 유입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천연 가스가 가열부(1300)를 통과하지 않고 지나가도록 하는 제2 바이패스 유로(Pb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이패스 유로(Pb2)에는 유입되는 천연 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제2 조절 밸브(V2)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를 포함하는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작동 유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c는 매개 유체 순환부를 구비하는 LNG 열교환 설비를 포함하는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2000)은 압력차 발전 설비(2100), 가스 터빈 발전 설비(2200), 가열부(2300),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2400),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2500), LNG 열교환 설비(2600)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2400)는 가스 터빈 발전 설비(2200)의 플루 가스로 가열된 초임계 작동 유체를 이용하여 발전한다.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2400)는 발전에 사용된 작동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는 폐사이클(close cycle)을 이룬다. 작동 유체로는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 초임계 상태의 질소, 초임계 상태의 아르곤, 초임계 상태의 헬륨 등이 사용된다. 작동 유체는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250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고온고압의 초임계 상태가 되며, 초임계 작동 유체가 터빈을 구동시킨다. 터빈에는 발전기가 연결되며, 터빈에 의해 구동되어 발전을 한다.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2500)에는 가스 터빈 발전 설비(2200)에서 배출되는 플루 가스가 통과한다. 플루 가스는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2400)의 작동 유체와 열교환하며, 이에 따라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2400)의 작동 유체는 고온으로 가열된다.
LNG 열교환 설비(2600)에서는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2400)에서 배출된 작동 유체와 액화 천연 가스가 열교환한다. 천연 가스는 유전에서 채굴되어, 이송을 위해 액화 천연 가스로 액화시킨다. 액화 천연 가스는 LNG 선박과 같은 운송 수단에 의해 운송되어 LNG 저장 설비(2600-1)에 저장된다. LNG 저장 설비(2600-1)에 저장된 액화 천연 가스는 LNG 열교환 설비(2600)로 유입되어, 작동 유체와 열교환을 통해 천연 가스로 재기화(regasification)된다. 재기화는 액화 천연 가스가 기체 상태로 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본 명세서에 재기화는 액화 천연 가스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화 천연 가스를 천연 가스로 재기화하면, 재기화를 위한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다.
LNG 저장 설비(2600-1)는 액화 천연 가스를 저장한다. LNG 저장 설비(2600-1)는 육상에 설치되는 저장 탱크 또는 해상에 설치되는 부유식 저장 설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LNG 저장 설비(2600-1)는 LNG 선박이 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LNG 저장 설비(2600-1)는 FSRU(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일 수 있다.
재기화된 천연 가스는 소비자에게 공급되어 다양한 장치의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재기화된 천연 가스의 일부가 압력차 발전 설비(2100)로 유입된다.
압력차 발전 설비(2100)는 천연 가스의 압력과 온도를 하강시키면서 발전을 한다. 압력차 발전 설비(2100)를 통과한 천연 가스는 가열부(230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가열된 천연 가스는 가스 터빈 발전 설비(2200)의 연소기에 연료로 공급된다. 천연 가스를 연소시켜 발전한 가스 터빈 발전 설비(2200)는 플루 가스를 배출한다. 배출된 플루 가스는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2500)를 통과하면서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2400)의 작동 유체와 열교환을 한다.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2500)에서 가열된 작동 유체는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2400)로 유입되며, 이를 이용해서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2400)는 발전을 한다.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2400)는 작동 유체를 LNG 열교환 설비(2600)로 배출한다.
LNG 열교환 설비(2600)에서 작동 유체는 액화 천연 가스와 열교환하여, 액화 천연 가스는 온도가 올라가고 작동 유체는 온도가 내려간다. 따라서 액화 천연 가스는 천연 가스로 재기화되며 작동 유체는 냉각된다. 냉각된 작동 유체는 펌프(P)를 통해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2500)로 보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발전 시스템(2000)이 작동 유체 열교환기(2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유체 열교환기(2700)에서는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2400)에서 배출되는 작동 유체와 LNG 열교환 설비(2600)를 통과한 작동 유체가 열교환을 한다. 이러한 열교환을 통해 LNG 열교환 설비(2600)를 통과한 작동 유체가 가열된다. 가열된 작동 유체는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2500)로 유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 유체 열교환기(2700)는 복열기(recuperator)일 수 있다.
작동 유체 열교환기(2700)에서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2500)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가 가열되므로,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2500)에서 열교환 효율이 개선된다. 따라서 가스 터빈 발전 설비(2200)의 폐열의 활용 효율이 개선되며,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2400)의 효율이 좋아지는 등 전체적인 발전 효율이 좋아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발전 시스템(2000)의 LNG 열교환 설비(2600)가 매개 유체 순환부(2610)를 구비할 수 있다.
매개 유체 순환부(2610)는 액화 천연 가스와 작동 유체의 열교환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매개 유체 순환부(2610)에는 매개 유체가 순환하며, 두개의 열교환기(2600a, 2600b)가 설치된다. 매개 유체는 질소, 아르곤 등과 같이 안정성 높은 유체가 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2600a)에서는 작동 유체와 매개 유체가 열교환을 하며, 제2 열교환기(2600b)에서는 작동 유체와 액화 천연 가스가 열교환을 한다. 매개 유체는 작동 유체로부터 고온의 열을 전달받아 액화 천연 가스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액화 천연 가스는 천연 가스로 재기화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LNG 열교환 설비(2600)는 완충부(2620)를 구비할 수 있다. 완충부(2620)는 매개 유체의 팽창으로 인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부(2620)는 밸브를 구비해서 매개 유체 순환부(2610)로부터 완충부(2620)로 유입되는 매개 유체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를 포함하는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가열 설비를 구비하며, NG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된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3000)은 압력차 발전 설비(3100), 가스 터빈 발전 설비(3200), 가열부(3300),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3400),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3500-1), 제2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3500-2), LNG 열교환 설비(3600), 작동 유체 열교환기(3700)를 포함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3500-1)와 제2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3500-2)는 가스 터빈 발전 설비(3200)의 플루 가스가 배출되는 유로에 위치한다. 가스 터빈 발전 설비(3200)의 플루 가스는 제2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3500-2)를 통과한 후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3500-1)를 통과하여 스택으로 배출된다.
LNG 열교환 설비(3600)에서 열교환된 작동 유체의 일부는 제1 유로(P1)를 따라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3500-1)로 유입되어, 가스 터빈 발전 설비(3200)의 플루 가스와 열교환을 한다. LNG 열교환 설비(3600)에서 열교환된 작동 유체의 다른 일부는 제2 유로(P2)를 따라 이동한다.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3500-1)를 통과한 작동 유체는 제2 유로(P2)를 따라 이동한 작동 유체와 서로 혼합되어 제2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3500-2)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LNG 열교환 설비(3600)에서 열교환된 작동 유체가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로 나누어져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3500-1)와 제2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3500-2)에서 플루 가스와 열교환하면, 열교환 효율이 개선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따른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3000)은 플루 가스 온도 측정부(Tf), 제1 온도 측정부(T1), 제2 온도 측정부(T2), 작동 유체 조절 밸브(Vw)를 포함한다.
플루 가스 온도 측정부(Tf)는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3500-1)를 통과한 플루 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1 온도 측정부(T1)는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3500-1)를 통과한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2 온도 측정부(T2)는 작동 유체 열교환기(3700)를 통과한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작동 유체 조절 밸브(Vw)는 제1 유로(P1) 및 제2 유로(P2)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밸브(Vw)는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의 분기점에 하나로 설치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 유체 조절 밸브(Vw)는 제1 유로(P1) 및 제2 유로(P2)에 각각 별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작동 유체 조절 밸브(Vw)는 플루 가스 온도 측정부(Tf)의 온도에 따라 제1 유로(P1)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 유체 조절 밸브(Vw)는 플루 가스 온도 측정부(Tf)의 온도가 높아지면 제1 유로(P1)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3500-1)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이 증가하고, 플루 가스의 열이 작동 유체로 더 많이 전달된다. 이러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면 플루 가스 온도 측정부(Tf)의 온도는 내려가게 된다.
작동 유체 조절 밸브(Vw)는 제1 온도 측정부(T1)와 제2 온도 측정부(T2)의 온도 차이에 따라 제2 유로(P2)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 유체 조절 밸브(Vw)는 제1 온도 측정부(T1)와 제2 온도 측정부(T2)의 온도 차이가 커지면, 제2 유로(P2)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작동 유체 열교환기(3700)로 유입되는 LNG 열교환 설비(3600)에서 열교환된 작동 유체의 유량은 감소하고,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3400)에서 배출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은 동일하다. 따라서 작동 유체 열교환기(3700)에서 열교환 효율이 좋아지며, 제2 유로(P2)로 유동하는 작동 유체가 더 많은 열을 전달받은 상태로 제2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3500-2)로 유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작동 유체 조절 밸브(Vw)가 제1 온도 측정부(T1)와 제2 온도 측정부(T2)의 온도 차이가 미리 정해진 온도 이하가 되도록 제2 유로(P2)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작동 유체 조절 밸브(Vw)는 제1 온도 측정부(T1)와 제2 온도 측정부(T2)의 온도 차이가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커지면, 제2 유로(P2)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발전 시스템(3000)의 LNG 저장 설비(3600-1)는 LNG 가열 설비(3600-2)를 구비할 수 있다.
LNG 가열 설비(3600-2)는 LNG 저장 설비(3600-1)에 저장된 액화 천연 가스를 가열하여 재기화한다. 이를 위해 LNG 가열 설비(3600-2)는 내부로 액화 천연 가스보다 고온의 유체를 유입시키고, 이 유체가 액화 천연 가스와 열교환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온의 유체는 해수가 될 수 있다.
가스 터빈 발전 설비(320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3400)의 작동 유체는 가열되지 않는다. 따라서 LNG 열교환 설비(3600)에는 액화 천연 가스를 재기화할 열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가스 터빈 발전 설비(320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소비자들이 천연 가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액화 천연 가스를 재기화할 수 있는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다. LNG 가열 설비(3700-2)는 이러한 경우에 활용이 가능하다. 또는 천연 가스의 사용량이 늘어 많은 양의 천연 가스를 공급해야 하는 경우에도 LNG 가열 설비(3600-2)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유로(P2)에 LNG 열교환 설비(3600)에서 열교환된 작동 유체가 작동 유체 열교환기(3700)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제3 바이패스 유로(Pb3)가 형성된다. LNG 열교환 설비(3600)에서 열교환된 작동 유체가 제3 바이패스 유로(Pb3)로 이동하면 초임계 발전 설비(3400)에서 배출되는 작동 유체와 열교환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LNG 열교환 설비(3500)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는 고온을 유지하게 된다.
재기화할 액화 천연 가스의 양이 많은 경우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3400)의 발전 효율이 다소 저하되더라도, LNG 열교환 설비(3600)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는 고온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작동 유체 열교환기(3700) 대신 제3 바이패스 유로(Pb3)로 작동 유체가 이동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냉각 공기를 이용하여 천연 가스를 가열하는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4000)은 압력차 발전 설비(4100), 가스 터빈 발전 설비(4200), 가열부(4300),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4400),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4500-1), 제2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4500-2), LNG 열교환 설비(4600), 작동 유체 열교환기(4700), 공기 유동로(4800), 연료 가스 히터(4900)를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공기 유동로(4800)를 따라서 가스 터빈 발전 설비(4200)의 압축기(4210)에서 압축된 공기의 일부가 유출되어 가스 터빈 발전 설비(4200)의 터빈(4230)으로 유입된다. 압축기(4210)에서 압축된 공기는 압축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된다.
연료 가스 히터(4900)에서는 공기 유동로(4800)를 따라 이동한 공기와 압력차 발전 설비(4100)로 유입되는 천연 가스가 열교환을 한다. 이에 따라 연료 가스 히터(4900)를 통과하는 천연 가스가 고온으로 가열되어 압력차 발전 설비(4100)로 유입된다. 열교환한 공기는 온도가 낮아진다. 연료 가스 히터(4900)를 통과하면서 천연 가스의 온도가 상승되므로 압력차 발전 설비(4100)의 출력이 증가하게 된다.
연료 가스 히터(4900)를 통과한 공기는 가스 터빈 발전 설비(4200)의 터빈(4230)으로 이동한다. 연료 가스 히터(4900)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진 공기는 가스 터빈 발전 설비(4200)의 터빈(4230)으로 유입되어 터빈(4230)의 냉각 공기로 사용된다. 가스 터빈 발전 설비(4200)의 압축기(4210)에서 유출된 공기가 바로 터빈(4230)으로 유입되는 경우보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료 가스 히터(4900)를 통과하면서 천연 가스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터빈(4230)에 유입되면 터빈(4230)의 냉각 효과가 더욱 커진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유동로(4800)에는 분기로(4800-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스 터빈 발전 설비(4200)의 압축기(4210)에서 유출된 공기가 분기로(4800-1)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연료 가스 히터(4900)를 통과하지 않고 가스 터빈 발전 설비(4200)의 터빈(42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유동로(4800)에는 연료 가스 히터(49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공기 유량 조절 밸브(V3)가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공기 유량 조절 밸브(V3)는 분기로(4800-1)가 형성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공기 유량 조절 밸브(V3)를 조정하여 연료 가스 히터(49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적게 하면, 분기로(4800-1)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공기 유량 조절 밸브(V3)를 조정하여 연료 가스 히터(4900)로 유입되는 공기가 전혀 없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유동로(4800)에는 냉각팬(4810)이 설치될 수 있다. 냉각팬(4810)의 위치는 연료 가스 히터(4900)를 통과한 공기가 분기로(4800-1)와 만나는 지점보다 가스 터빈 발전 설비(4200)의 터빈(4230)에 가까운 곳이다. 압축기(4210)에서 압축된 공기의 온도가 높아 연료 가스 히터(4900)에서 충분히 냉각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냉각팬(4810)을 통해 가스 터빈 발전 설비(4200)의 터빈(423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더 낮춰주면, 터빈(4230)의 냉각 효과가 더욱 커진다.
본 실시예에서 복합 발전 시스템(4000)은 NG 온도 측정부(T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NG 온도 측정부(Tn)는 연료 가스 히터(4900)를 통과하여 압력차 발전 설비(4100)로 유입되는 천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공기 유량 조절 밸브(V3)는 NG 온도 측정부(Tn)에서 측정한 천연 가스의 온도에 따라 연료 가스 히터(49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NG 온도 측정부(Tn)의 온도가 낮으면 공기 유량 조절 밸브(V3)는 연료 가스 히터(49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늘린다. 따라서 압력차 발전 설비(4100)로 유입되는 천연 가스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합 발전 시스템(4000)은 공기 열교환기(4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열교환기(4820)에서는 LNG 열교환 설비(4600)를 통과한 작동 유체와 공기 유동로(480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열교환한다. 이를 위해 공기 열교환기(4820)는 공기 유동로(480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열교환기(4820)가 냉각팬(4810)보다 가스 터빈 발전 설비(4200)의 터빈(4230)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LNG 열교환 설비(4600)를 통과한 작동 유체가 제1 유로(P1), 제2 유로(P2), 제3 유로(P3)로 나누어져서 이동한다. 제1 유로(P1)로 이동하는 작동 유체는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4500-1)로 유입된다. 제2 유로(P2)로 이동하는 작동 유체는 작동 유체 열교환기(4700)에서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4400)에서 배출되는 작동 유체와 열교환을 하여 가열된 후에, 제2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4500-2)로 유입된다. 제3 유로(P3)로 이동하는 작동 유체는 공기 열교환기(4820)를 통과하여 가열 된 후에, 제2 유로(P2)로 유입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3 유로(P3)로 이동하는 작동 유체가 공기 열교환기(4820)를 통과한 후에 제1 유로(P1)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열교환기(4820)에서 공기와 작동 유체가 열교환을 함으로써, 공기에 남아 있는 열량을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4400)로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4400)의 발전 효율이 좋아진다. 또한 가스 터빈 발전 설비(4200)의 터빈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져 터빈의 냉각 효과가 개선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2000, 3000, 4000 : 복합 발전 시스템
1100, 2100, 3100, 4100 : 압력차 발전 설비
1200, 2200, 3200, 4200 : 가스 터빈 발전 설비
1300, 2300, 3300. 4300 : 가열부
2400, 3400, 4400 :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
2500 :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
2600, 3600, 4600 : LNG 열교환 설비
2700, 3700, 4700 : 작동 유체 열교환기
3500-1, 4500-1 :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
3500-2, 4500-2 : 제2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
4800 : 공기 유동로
4900 : 연료 가스 히터

Claims (19)

  1. 천연 가스의 압력 변화를 이용해서 발전을 하는 압력차 발전 설비;
    상기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한 천연 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와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천연 가스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플루 가스에 의해 터빈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터빈과, 상기 터빈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발전기를 구비하는 가스 터빈 발전 설비;
    상기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플루 가스로 가열된 초임계 작동 유체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
    상기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플루 가스와 상기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의 작동 유체가 열교환하는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
    상기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에서 배출되는 작동 유체와 액화 천연 가스의 열교환을 통해, 액화 천연 가스의 온도가 상승하여 천연 가스로 재기화되며 상기 작동 유체는 냉각되는 LNG 열교환 설비;
    상기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를 일부 유출시켜 상기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동로; 및
    상기 공기 유동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압력차 발전 설비로 유입되는 상기 천연 가스와 열교환하여, 상기 천연 가스를 가열하는 연료 가스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LNG 열교환 설비에서 냉각된 작동 유체는 상기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로 유입되어 온도가 상승된 후 상기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 유동로에는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연료 가스 히터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분기로가 형성되며,
    상기 연료 가스 히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공기 유량 조절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LNG 열교환 설비를 통과한 작동 유체와, 상기 공기 유동로에서 상기 연료 가스 히터를 통과하거나 상기 분기로를 통과한 공기가 열교환하는 공기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기로는 상기 압축기에서 상기 가열부로 연결되는 상기 공기 유동로의 일부와, 상기 가열부에서 상기 공기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터빈으로 연결되는 상기 공기 유동로의 나머지 일부를 연결하며,
    상기 공기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압축기에서 상기 가열부로 연결되는 상기 공기 유동로에서, 상기 가열부에서 상기 공기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터빈으로 연결되는 공기 유동로로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복합 발전 시스템.
  2. 천연 가스의 압력 변화를 이용해서 발전을 하는 압력차 발전 설비;
    상기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한 천연 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와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천연 가스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플루 가스에 의해 터빈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터빈과, 상기 터빈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발전기를 구비하는 가스 터빈 발전 설비;
    상기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플루 가스로 가열된 초임계 작동 유체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
    상기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를 통과한 작동 유체와 액화 천연 가스의 열교환을 통해, 액화 천연 가스의 온도가 상승하여 천연 가스로 재기화되며 상기 작동 유체는 냉각되는 LNG 열교환 설비;
    상기 LNG 열교환 설비를 통과하여 제1 유로로 이동한 작동 유체와 상기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플루 가스가 열교환하는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
    상기 LNG 열교환 설비를 통과하여 제2 유로로 이동한 작동 유체와 상기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를 통과한 작동 유체가 합쳐져 상기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플루 가스와 열교환하는 제2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
    상기 가스 터빈 발전 설비의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를 일부 유출시켜 상기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동로; 및
    상기 공기 유동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압력차 발전 설비로 유입되는 상기 천연 가스와 열교환하여, 상기 천연 가스를 가열하는 연료 가스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를 통과한 작동 유체는 상기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 유동로에는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연료 가스 히터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분기로가 형성되며,
    상기 연료 가스 히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공기 유량 조절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LNG 열교환 설비를 통과한 작동 유체와, 상기 공기 유동로에서 상기 연료 가스 히터를 통과하거나 상기 분기로를 통과한 공기가 열교환하는 공기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기로는 상기 압축기에서 상기 가열부로 연결되는 상기 공기 유동로의 일부와, 상기 가열부에서 상기 공기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터빈으로 연결되는 상기 공기 유동로의 나머지 일부를 연결하며,
    상기 공기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압축기에서 상기 가열부로 연결되는 상기 공기 유동로에서, 상기 가열부에서 상기 공기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터빈으로 연결되는 공기 유동로로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복합 발전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가스가 상기 압력차 발전 설비를 통과하지 않고 지나가도록 하는 제1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는 상기 천연 가스가 상기 가열부를 통과하지 않고 지나가도록 하는 제2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해수를 이용해서 상기 천연 가스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공기 히터를 이용해서 상기 천연 가스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NG 열교환 설비를 통과한 작동 유체와 상기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에서 배출되는 작동 유체가 열교환하는 작동 유체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로 이동하는 작동 유체와 상기 초임계 유체 발전 설비에서 배출되는 작동 유체의 일부가 열교환하는 작동 유체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10. 제2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를 통과한 플루 가스 온도를 특정하는 플루 가스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루 가스 온도 측정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유로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열 회수 열교환 설비를 통과한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측정부; 및
    상기 작동 유체 열교환기를 통과한 작동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온도 측정부와 상기 제2 온도 측정부의 온도 차이에 따라 상기 제2 유로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NG 열교환 설비는 상기 액화 천연 가스와 상기 작동 유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매개 유체가 순환하는 매개 유체 순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LNG 열교환 설비는 상기 매개 유체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NG 열교환 설비로 유입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저장하는 LNG 저장 설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LNG 저장 설비는 저장된 액화 천연 가스를 가열하여 재기화하기 위한 LNG 가열 설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로에는 상기 연료 가스 히터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19. 삭제
KR1020170133954A 2017-10-16 2017-10-16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Active KR102023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954A KR102023003B1 (ko) 2017-10-16 2017-10-16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CN201810922040.XA CN109667667A (zh) 2017-10-16 2018-08-14 利用压差发电的复合发电系统
US16/112,043 US10968826B2 (en) 2017-10-16 2018-08-24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pressure differ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954A KR102023003B1 (ko) 2017-10-16 2017-10-16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246A KR20190042246A (ko) 2019-04-24
KR102023003B1 true KR102023003B1 (ko) 2019-11-04

Family

ID=6609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954A Active KR102023003B1 (ko) 2017-10-16 2017-10-16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68826B2 (ko)
KR (1) KR102023003B1 (ko)
CN (1) CN1096676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4027A1 (de) * 2019-05-02 2020-11-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Lng-wiedervergasung
WO2020251978A1 (en) * 2019-06-10 2020-12-17 U.S. Well Services, LLC Integrated fuel gas heater for mobile fuel conditioning equipment
US11867043B1 (en) * 2019-12-13 2024-01-09 Klx Energy Services Llc Remotely-controlled pressure bleed-off system
JP7474660B2 (ja) * 2020-08-28 2024-04-25 三菱重工マリンマシナリ株式会社 動力回収システムおよび水上浮遊構造体
US20230090415A1 (en) * 2021-09-23 2023-03-2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n airflow fault condition
US11862781B1 (en) * 2022-08-15 2024-01-02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Auxiliary power generation and cooling systems on liquid hydrogen fueled aircraf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484A (ja) * 1999-09-14 2001-03-27 Osaka Gas Co Ltd 冷熱発生機能付き液化ガス気化設備
WO2007011921A2 (en) * 2005-07-18 2007-01-25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power generation in lng regasification terminals
JP2011032954A (ja) * 2009-08-04 2011-02-17 Chiyoda Kako Kensetsu Kk 液化ガスの冷熱を利用した複合発電システム
JP2012255407A (ja) * 2011-06-10 2012-12-27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ビン冷却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それを用いた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
JP2013194598A (ja) * 2012-03-19 2013-09-30 Mitsubishi Heavy Ind Ltd 過給機付エンジン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化ガス運搬船等の機関
JP2016061199A (ja) * 2014-09-17 2016-04-2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エネルギー回収装置及び圧縮装置並びにエネルギー回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600308A (nl) * 1975-02-07 1976-08-10 Sulzer Ag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dampen en verwarmen van vloeibaar natuurlijk gas.
DE2523672C3 (de) * 1975-05-28 1980-03-20 Gutehoffnungshuette Sterkrade Ag, 4200 Oberhausen Einrichtung zur Verdampfung von verflüssigtem Erdgas mit Hilfe einer Gasturbinenanlage mit geschlossenem Kreislauf
JPS5930887B2 (ja) * 1979-10-11 1984-07-30 大阪瓦斯株式会社 中間熱媒体式液化天然ガス冷熱発電システム
US4444015A (en) * 1981-01-27 1984-04-24 Chiyoda Chemical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Method for recovering power according to a cascaded Rankine cycle by gasify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utilizing the cold potential
JPS597552A (ja) 1982-06-30 1984-01-14 Toshiba Corp バリ取り装置
US4693072A (en) * 1986-08-25 1987-09-15 Acec Power Systems Limited Method of operating a combined cycle electric power plant
US4995234A (en) * 1989-10-02 1991-02-26 Chicago Bridge & Iron Technical Services Company Power generation from LNG
US5255505A (en) * 1992-02-21 1993-10-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System for capturing heat transferred from compressed cooling air in a gas turbine
CN1112505C (zh) * 1995-06-01 2003-06-25 特雷克特贝尔Lng北美公司 液化天然气作燃料的混合循环发电装置及液化天然气作燃料的燃气轮机
JPH09138063A (ja) * 1995-11-14 1997-05-27 Osaka Gas Co Ltd 液化天然ガス冷熱利用の空気分離方法および設備
JPH10288047A (ja) * 1997-04-16 1998-10-27 Osaka Gas Co Ltd 液化天然ガス気化発電装置
US20030213245A1 (en) * 2002-05-15 2003-11-20 Yates Jan B. Organic rankine cycle micro combined heat and power system
US6644041B1 (en) * 2002-06-03 2003-11-11 Volker Eyermann System in process for the vaporiz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WO2008150450A1 (en) 2007-05-30 2008-12-11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Lng regasification and power generation
US7900451B2 (en) * 2007-10-22 2011-03-08 Ormat Technologies, Inc. Power and regasification system for LNG
US8973398B2 (en) * 2008-02-27 2015-03-10 Kellogg Brown & Root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regasific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KR20110047905A (ko) 2009-10-31 2011-05-09 유한회사 이지엠에너지홀딩스 연료전지―터보팽창기 통합에너지 회수시스템을 통한 천연가스 정압시설의 에너지 회수 장치 및 에너지 회수 방법
US9003807B2 (en) * 2011-11-08 2015-04-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Gas turbine engine with structure for directing compressed air on a blade ring
BR112015021396A2 (pt) * 2013-03-04 2017-08-22 Echogen Power Systems Llc Sistemas de motor de calor com circuitos de dióxido de carbono supercrítico de alto potência útil
US9926811B2 (en) * 2013-09-05 2018-03-27 Echogen Power Systems, Llc Control methods for heat engine systems having a selectively configurable working fluid circuit
JP6368611B2 (ja) * 2014-10-03 2018-08-01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ガスタービンの起動方法
WO2016182958A1 (en) * 2015-05-08 2016-11-17 Rizopoulos John Vaporiza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70034719A (ko) 2015-09-21 2017-03-29 한국전력공사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과 연료전지가 결합된 복합발전 시스템
WO2017138677A1 (ko) * 2016-02-11 2017-08-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폐열 회수 발전 시스템 및 발전 시스템의 유량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484A (ja) * 1999-09-14 2001-03-27 Osaka Gas Co Ltd 冷熱発生機能付き液化ガス気化設備
WO2007011921A2 (en) * 2005-07-18 2007-01-25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power generation in lng regasification terminals
JP2011032954A (ja) * 2009-08-04 2011-02-17 Chiyoda Kako Kensetsu Kk 液化ガスの冷熱を利用した複合発電システム
JP2012255407A (ja) * 2011-06-10 2012-12-27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ビン冷却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それを用いた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
JP2013194598A (ja) * 2012-03-19 2013-09-30 Mitsubishi Heavy Ind Ltd 過給機付エンジン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化ガス運搬船等の機関
JP2016061199A (ja) * 2014-09-17 2016-04-2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エネルギー回収装置及び圧縮装置並びにエネルギー回収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68826B2 (en) 2021-04-06
KR20190042246A (ko) 2019-04-24
CN109667667A (zh) 2019-04-23
US20190112977A1 (en)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003B1 (ko)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KR101994535B1 (ko) 액화 천연 가스의 냉열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CN109723555B (zh) 利用压差发电的复合发电系统
US20190151789A1 (en) Carbon dioxide capturing apparatus using cold heat of liquefied natural gas a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same
KR102287832B1 (ko)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38684B1 (ko) 액화 천연 가스의 냉열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 및 발전 시스템
KR102029193B1 (ko) 액화 천연 가스의 냉열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 및 발전 시스템
JP6409036B2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用の液化石油ガス燃料調整システム
US11137203B2 (en) System for utilizing carbon dioxide of flue gas captured by cold heat of liquefied natural gas
KR102032480B1 (ko)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KR102236132B1 (ko)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KR102178917B1 (ko)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EP3184876A1 (en) Liquid natural gas cogeneration regasification terminal
JP2018505987A (ja) 船舶用エンジンの燃料供給制御システム及び燃料供給制御方法
KR102162156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951568B1 (ko) 액화 천연 가스의 냉열을 이용한 부유식 복합 발전 시스템
KR102239300B1 (ko)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
JPWO2019003317A1 (ja) 発電設備
KR101525728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WO2019003316A1 (ja) 発電設備
KR102276358B1 (ko) 증기 열교환기 운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573545B1 (ko) 가스공급 및 발전 시스템
KR102286692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물
KR101938075B1 (ko) 발전 시스템
KR20240010235A (ko) 암모니아 연소 발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