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012436B1 -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436B1
KR102012436B1 KR1020120102953A KR20120102953A KR102012436B1 KR 102012436 B1 KR102012436 B1 KR 102012436B1 KR 1020120102953 A KR1020120102953 A KR 1020120102953A KR 20120102953 A KR20120102953 A KR 20120102953A KR 102012436 B1 KR102012436 B1 KR 102012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job execution
execution command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628A (ko
Inventor
이종승
김정민
전진휘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102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436B1/ko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IN2858DEN2015 priority patent/IN2015DN02858A/en
Priority to PCT/KR2013/003803 priority patent/WO2014042332A1/en
Priority to BR112015005877A priority patent/BR112015005877A2/pt
Priority to AU2013316378A priority patent/AU2013316378A1/en
Priority to RU2015114237A priority patent/RU2618369C2/ru
Priority to EP13170807.5A priority patent/EP2709032B1/en
Priority to CN201310293578.6A priority patent/CN103685805A/zh
Priority to US13/940,495 priority patent/US9357092B2/en
Publication of KR20140036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06F21/608Secure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 G06F21/74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operating in dual or compartmented mode, i.e. at least one secure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by operating on the power supply, e.g. enabling or disabling power-on, sleep or resume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1Auditing as a secondary asp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5Dual mode as a secondary asp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3Clearing memory, e.g. to prevent the data from being stol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7Job repository, e.g. non-scheduled jobs, delay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1Pool of printer devices: self-managing printing devices in a network, e.g. without a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54Scheduling operations or managing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절전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인증 처리 결과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고,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데이터의 생성, 인쇄, 수신, 전송 등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서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 구현한 복합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최근 사회적으로 보안이 중요해짐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도 보완 관련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로부터 인쇄 명령이 수신되면, 화상형성장치는 인증된 기기 또는 인증된 사용자의 인쇄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인증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이와 같은 인증 작업을 절전 모드에서 수행하지 못하였다. 구체적으로, 최근의 화상형성장치는 절전 모드시에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별도의 보조 CPU를 구비하고 있은 데, 종래의 보조 CPU는 외부 기기로부터의 상태 요청에 대한 응답, 인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메인 CPU를 웨이크-업(wake-up) 등의 간단한 기능만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절전 모드시에 인쇄 명령이 수신되면 보조 CPU는 메인 CPU를 웨이크-업 하고, 메인 CPU에서 인증 동작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절전 모드에서 인증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인증되지 않은 기기로부터의 인쇄 명령에 대해서 인쇄 작업이 수행되지 않음에도 웨이크-업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의 화상형성장치는 고성능화되어 복수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일괄적으로 복수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전원 상태를 관리하였다. 이에 따라, 간단한 인쇄 작업(구체적으로, 복수의 비휘발성 메모리가 모두 구동하지 않아도 수행될 수 있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모든 비휘발성 메모리가 구동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전 모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인증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동작 상태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절전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증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노멀 모드시에 상기 기능부를 제어하는 메인 CPU, 및, 절전 모드시에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보조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 CPU는, 절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인증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CPU는,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의 주소 정보와 기저장된 기기의 주소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소 정보는, 기기의 IP 주소 및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CPU는,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에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CPU는,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의 주소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CPU는, 상기 인증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잡 수행 명령에 대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 CPU는, 상기 인증 처리 결과 및 판단 결과를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에 통지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전자 장치는, 노멀 모드시에 동작하고, 절전 모드시에 셀프 리프레쉬 모드 또는 전원 차단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메모리, 및, 절전 모드시에 상기 잡 수행 요청에 대응되는 잡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CPU는, 상기 인증 처리 결과 인증되지 않은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인 경우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잡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전자 장치는, 복수의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는 제1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CPU는, 상기 잡 수행 요청에 따라 복수의 메모리 모듈 중 일부 메모리 모듈만을 이용하여 상기 기능부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 CPU는, 제어 동작시 이용하지 않은 메모리 모듈에 대해서 셀프 리프레쉬 모드 또는 전원 차단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 메모리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전자 장치는, 노멀 모드시에 상기 기능부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상기 기능부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 파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파악부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의 전환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절전 모드시에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절전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처리의 수행 결과, 인증되지 않은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구동 제어 방법은, 상기 인증 처리의 수행 결과, 인증된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의 주소 정보와 기저장된 기기의 주소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소 정보는, 기기의 IP 주소 및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에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의 주소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방법은, 절전 모드시에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절전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처리의 수행 결과, 인증되지 않은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간략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간략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제2 CPU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인증이 실패한 경우의 구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9는 호스트 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인증이 실패한 경우의 구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11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12는 호스트 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14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15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1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7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18은 호스트 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제7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20은 제8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21 내지 2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에 기저장된 주소 정보의 일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25 내지 2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에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의 일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메모리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9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30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시스템은 화상형성장치(100), 인쇄 제어 단말장치(10), 관리 서버(20)를 포함한다.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는 PC,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PMP, MP3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인쇄 명령을 입력받으며, 인쇄 수행을 위한 인쇄 잡을 생성하고, 잡 수행 명령으로서 생성된 인쇄 잡을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는 사용자가 작성한 문서 파일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인쇄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환 과정은 인쇄 제어 단말장치(10) 내의 프린터 드라이버가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가 팩스 전송이 가능한 경우,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는 팩스 전송을 위한 팩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잡 수행 명령으로서 팩스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가 스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잡 수행을 요청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사용자 이름, 사원번호, ID, 패스워드(password), 사용자 휴대폰 번호 등일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으면,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는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대해서는 도 9, 12,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의 프린터 드라이버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일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일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이후에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사용자 정보는 선행적으로 미리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의 부팅 과정에서의 로그-온 단계에서 입력받거나,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로그-온 단계에서 미리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는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 서버(2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되고, 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능, 과금 및 보안 설정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 서버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능, 과금, 보안을 관리하는 것만을 기재하였으나, 구현시에 관리 서버(20)는 통상적인 솔루션 서버가 제공하는 상술한 관리 기능 외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20)는 사용자의 권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기능에 대한 권한 유무, 및/또는 권한별 할당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인증 요청을 받으면, 인증된 사용자인지에 대한 인증 작업과 동시에, 인증된 사용자의 작업 요청이 권한 있는 작업 요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와 연결되면,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의 요청에 따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는 절전 모드인 경우에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로부터 작업 수행 명령을 수신하면, 작업 수행 명령을 전송한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에 대한 인증 처리 및/또는 작업 수행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처리 결과 인증된 사용자 또는 인증된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의 요청인 것으로 판단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말 모드로 전환하고, 요청받은 작업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인증되지 않은 인쇄 제어 단말장치(10) 또는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의 작업 요청인 것으로 판단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요청된 작업에 대해서 수행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동작 모드의 전환도 수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1000)은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의 잡 수행 명령에 대응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100)를 포함하는바, 보안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절전 모드시에 잡 수행 명령이 있더라도 바로 웨이크-업을 수행하지 않고 인증 처리를 선행적으로 수행하는바,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인증되지 않은 기기로부터의 작업 요청에 대해서 불필요한 웨이크-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상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4대의 인쇄 제어 단말장치(10-1, 10-2, 10-3, 10-4), 1대의 관리 서버 및 1대의 화상형성장치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4대 이상의 인쇄 제어 단말장치가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화상형성장치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는 시스템 환경에 따라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구현시에는 각 장치들이 직접 연결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라우터 및 다른 관리 서버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각 장치들 간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구현시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10)가 문서 파일을 인쇄 데이터로 변환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화상형성장치(100)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하는 경우, 변환 동작 없이 문서 파일 자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하는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간략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기능부(120) 및 제어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00)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100)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는다. 여기서 동작 모드는 모든 전원이 공급되어 정상 동작하는 노멀 모드 및 대기 상태의 절전 모드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및 무선 모듈을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대표적으로 PC(Personal Computer) 등의 상술한 바와 같은 인쇄 제어 단말장치(10)가 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기기로부터 상태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이와 같은 상태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태 요청 신호를 전송한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의 프린터 드라이버는 스마트(SMART)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패널이란 인쇄 제어 단말장치(또는 호스트 장치)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패널로 USB 통신 방식 또는 LAN 통신 방식을 통해 주기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를 파악하고, 그 상태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 패널을 통해 인쇄 제어 단말장치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프린팅 상태, 용지 상태, 토너 상태, 전원 ON/OFF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잡 수행과 관련된 데이터(예를 들어,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잡 수행 명령의 수신과 인쇄데이터의 수신이 별도의 동작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함과 동시에 인쇄 데이터가 함께 수신될 수 있으며, 인쇄 데이터의 수신을 잡 수행 명령으로 취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쇄 데이터는 PS(Postscript), PCL(Printer Control Language) 등과 같은 프린터 언어의 데이터일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하는 경우, PDF, XPS, BMP, JPG 등의 파일 자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잡 수행 결과를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가 요청한 잡 수행이 스캔 작업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스캔 작업에 의한 스캔 결과물을 잡 수행을 요청한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기기가 요청한 잡 수행이 인쇄 작업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 작업이 완료되면 인쇄가 완료되었음을 해당 외부 기기에 알릴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기기의 주소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의 IP 주소 및/또는 MAC 주소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기기에서 전송되는 패킷(잡 수행 명령 또는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는 패킷) 내의 발신지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의 IP 주소 및/또는 MAC 주소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기기에 사용자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기기에 사용자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잡 수행을 요청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사용자 이름, 사원번호, ID, 패스워드(password) 등일 수 있다. 한편, 잡 수행 명령과 함께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기기에 사용자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청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고,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인쇄 제어 단말장치(10) 내의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외부 기기에 프린터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외부 기기가 프린터 드라이버가 설치될 수 없는 스마트폰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 이미지 또는 웹 페이지를 외부 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웹 페이지를 외부 기기에 제공할 수 있는 웹서버(web server,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관리 서버(20)에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계정 정보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20)에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청에 대응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관리 서버(20)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 계정 정보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 관리 서버(20)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 계정 정보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관리서버(20)에 인증을 요청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관리 서버(20)에 저장되는 사용자 계정 정보가 상이할 수 있는바, 추가적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0)는 관리 서버에 사용자 정보에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할 수도 있다.
기능부(120)는 기설정된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기능부(120)는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형성부일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가 팩스 전송 및 팩스 수신 등의 팩스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팩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팩스 처리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가 스캔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 스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캔 처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노멀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 동안 명령이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모드 전환 이벤트에는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기능부(120)의 동작 유무를 후술할 상태 파악부(190)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프린터의 경우 패널 키 입력, 인증된 잡 수행 요청, 팩스 링(Fax Ring) 등의 이벤트가 있는 경우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노멀 모드란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하며, 절전 모드란 시스템이 아무런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부분 모듈의 전력 공급을 차단 또는 최소화하는 동작 모드를 말한다. 절전 모드에서는, 더욱 낮은 대기 전력을 구현하기 위해 메인 메모리(통상 외부 DRAM)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메인 메모리를 셀프 리프레쉬(self refresh) 상태로 한 후 SoC(System on Chip) 내의 사용하지 않는 내부 메모리(통상 내부 SRAM)에서 프로그램 구동을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RAM은 보통 128KB 가량의 소용량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SDRAM이 사용될 수 있으며, SRAM 또는 SDRAM과 더불어 ROM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동작 모드에 노멀 모드 및 절전 모드만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 절전 모드는 복수의 절전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는 아래와 같은 4단계의 절전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제1 절전 모드]
노멀 모드에서 기설정된 제1 시간 동안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작업 수행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노멀 모드에서 제1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절전 모드는, 제1 메모리(130) 내의 휘발성 메모리의 동작 주파수를 최소 동작 주파수로 낮추고, 제어부(200) 내의 CPU의 동작 주파수를 제1 동작 주파수로 낮추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일 예로서, 휘발성 메모리의 동작 주파수가 300MHz인 경우, 휘발성 메모리의 최소 동작 주파수는 133MHz일 수 있다. 그리고, 일 예로서, CPU의 최대 동작 주파수가 600MHz인 경우, CPU의 제1 동작 주파수는 133MHz일 수 있다.
[제2 절전 모드]
제1 절전 모드에서, 기설정된 제2 시간 동안 노멀 모드로 전환을 지시하는 외부 신호(예를 들어,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잡 커맨드 및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으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제1 절전 모드에서 제2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절전 모드는, CPU가 내부 메모리에 복사된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프로그램 점프를 수행하고, 휘발성 메모리를 정상 동작 모드에서 셀프 리프레쉬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이다.
이 경우, 휘발성 메모리는, 제2 절전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라는 외부 신호가 인터페이스부(110)에 수신되지 않으면, 다른 외부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셀프 리프레쉬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제3 절전 모드]
제2 절전 모드에서, 기설정된 제3 시간 동안 노멀 모드로 전환을 지시하는 외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제2 절전 모드에서 제3 절전 모드로 전환한다.
제3 절전 모드는, CPU의 동작 주파수를 최소 동작 주파수로 낮추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부 및 동작 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 차단하는 모드이다. 일 예로서, CPU의 제1 동작 주파수가 133 MHz인 경우, CPU의 최소 동작 주파수는 33 MHz일 수 있다.
제2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기능부 및 동작 모듈의 전원이 턴 오프(turn-off)되고, CPU의 동작 주파수가 최소 동작 주파수로 낮아지기 때문에, 제2 절전 모드보다 소비 전력을 더 줄일 수 있다.
한편, 기능부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은 제2 절전 모드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절전 모드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의 동작 주파수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의 동작 주파수를 133 MHz에서 33 MHz로 변경할 수도 있다.
[제4 절전 모드]
제3 절전 모드에서, 기설정된 제4 시간 동안 노멀 모드로 전환을 지시하는 외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제3 절전 모드에서 제4 절전 모드로 전환한다.
제4 절전 모드는, 제1 메모리(1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모드이다. 휘발성 메모리가 턴 오프되기 때문에, 제3 절전 모드보다 소비 전력을 더 줄 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동작 주파수 및 전력 예시 값들은 단순한 예에 불과하며, 각 구성요소의 특성이나 개수, 화상형성장치(100)의 자체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화상형성장치가 상술한 바와 같이 4단계의 절전 모드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4단계 이외의 복수의 절전 모드를 가지는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절전 모드에 동작하는 구성요소의 특성이나 개수, 동작 주파수 및 전력 값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게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가 복수의 CPU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메인 CPU에 전원이 차단되고, 보조 CPU만 동작하는 절전모드가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전원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정된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인 경우, 제어부(200)는 기능부(120)에 전원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결정된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는 기능부(12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멀 모드시에 잡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200)는 노멀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노멀 모드시의 인증 처리는 절전 모드시의 인증 처리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는바, 인증 처리 동작에 대해서는 절전 모드시의 인증 처리 동작을 설명하는 도 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절전 모드시에 잡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2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 선행적으로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인증 처리 방법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어부(200)는 잡 수행 명령에 대응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기능부(1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잡 수행 요청에 대응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기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 제어부(2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 즉, 기능부(120)에 전원을 공급 및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잡 수행 요청에 대응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기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어부(200)가 기능부(120)를 웨이크-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기능부(120)의 웨이크-업은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구체적으로, 상태 파악부(190))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요청한 기능에 대응되는 기능부(120)의 구성만을 웨이크-업하거나 우선적으로 웨이크-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부(120)에 화상형성부, 스캔부, 팩스 처리부가 포함되어 있으며, 잡 수행 명령은 이들 중 하나의 구성만을 이용하는 명령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빠른 웨이크 업을 위하여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부(120)의 구성만을 웨이크-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잡 수행 명령이 인쇄 명령이면, 제어부(200)는 화상형성부에만 전원 공급 및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고, 다른 스캔부 및 팩스 처리부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노멀 모드시의 불필요한 전원 소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 빠르게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기능부(120)의 각 구성 모드를 초기화하는 시간보다는 사용자가 요청한 잡에 대응되는 기능만을 초기화하는 것이 보다 빠르기 때문이다.
또는 기능부(120)에 화상형성부, 스캔부, 팩스 처리부가 포함되어 있으며, 잡 수행 명령이 인쇄 명령이면, 제어부(200)는 화상형성부, 스캔부 및 팩스 처리부 모드에 전원을 공급하되, 초기화 동작은 화상형성부를 먼저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더욱 빠르게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절전 모드시에 잡 수행 요청을 받으면, 웨이크-업을 수행하기 전에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바,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인증되지 않은 기기로부터의 작업 요청에 대해서 불필요한 웨이크-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외부 장치로부터 파일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은 인증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화상형성장치(100)에 기저장된 파일에 대한 인쇄 작업 또는 복사 작업 등을 사용자가 수행하려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은 인증 동작은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부의 조작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제어부(200)가 하나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제어부(200)는 노멀 모드를 지원하는 제1 CPU(210) 및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제2 CPU(26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간략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기능부(120), 제1 메모리(130), 제2 메모리(140), 제1 CPU(210) 및 제2 CPU(260)로 구성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및 기능부(120)는 도 2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메모리(130(또는 주메모리, 메인 메모리)은 노멀 모드의 동작에 사용되는 메인 메모리로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RAM(Dynamic RAM: 다이내믹 램)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노멀 모드에서 LAN 통신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USB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구체적으로, USB 드라이버), 애플리케이션, 외부 기기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 정보는 해당 화상형성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는 외부 기기의 IP 주소 또는 MAC 주소 정보이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는 해당 화상형성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정보이다. 외부 기기 정보 및 사용자 정보의 예에 대해서는 도 2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제1 메모리(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수행 중에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 화상형성장치(100')의 상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메모리(130)는 동작 모드시에 정상 동작하고, 절전 모드시에는 전원이 차단되거나 정상 동작시의 동작 주파수보다 낮은 동작 주파수로 동작하거나 셀프-리프레쉬(self-refresh) 상태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메모리(130)가 동작 모드시에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제1 메모리(130)가 복수의 메모리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일부 메모리 모듈은 동작 모드시에 절전 모드와 같은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2 메모리(140)(또는 부메모리, 보조 메모리)는 노멀 모드보다 저전력으로 구동되는 절전 모드의 동작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은, LAN 인터페이스로의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루틴, USB 인터페이스로의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루틴, USB 제어 신호 또는 LAN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루틴,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루틴 및 노멀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웨이크-업(wake-up)시 필요한 루틴,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루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모리(140)는 절전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주소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하며, SRAM(Static RAM: 스태틱 램),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도 RAMBus, DRAM, DDR-SDRAM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ROM(Read Only Memory) 및 Flash memory 중 적어도 하나가 노멀 모드 구현시 필요한 코드를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모리(140)는 SRAM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SRAM은 DRAM 또는 ROM, Flash memory 등에 저장된 노멀 모드 구현시 필요한 코드를 복사하여 실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제2 메모리(140)는 SRAM으로 구현되고, ROM, Flash memory 등에 저장된 절전 모드 구현시 필요한 코드를 실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메모리(140)는 노멀 모드의 동작에서 제1 메모리(130)와 함께 사용가능할 수 있다. 즉, 노멀 모드에서 이미지 처리시 버퍼로 이용되는 SRAM이 절전 모드에서 제2 메모리(140)로 재활용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메모리(150)는 동작 모드시에 전원이 차단되거나 정상 동작 주파수보다 낮은 동작 주파수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 메모리의 특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SRAM은 메모리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그 데이터는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SRAM은 주기적으로 re-written 작업은 필요치 않기 때문에 한 번의 쓰기로 그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SRAM은 소용량 메모리로 동작속도는 매우 빠르지만, DRAM에 비해서 값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서 캐시 메모리와 같은 속도는 빠르나 용량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 곳에 쓰인다.
DRAM은 SRAM과는 다르게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다시 쓰기(re-written) 작업을 해주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DRAM은 대용량 메모리로 상대적으로 SRAM보다 느리며, DRAM은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주메모리로 사용된다.
SDRAM은 동기적, 즉 시스템 클록에 보조를 맞추어서 작동하는 특징이 있다. 이론적으로는 200MHz까지의 시스템 버스 속도에 맞출 수 있으며, 시스템 클록에 의존적으로 작동하기에 높은 시스템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1 CPU(210)(또는 메인 CPU, 주CPU)는 노멀 모드에서 제1 메모리(130)를 이용하여 동작을 수행하고,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비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CPU(210)는 노멀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의 전환인 필요한 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CPU(210)는 현재 기능부(120)가 동작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CPU(210)는 후술할 상태 파악부(190)에 저장된 기능부(120)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기능부(120)가 현재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CPU(210)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노멀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CPU(210)는 기능부(120)의 현재 상태 정보 등을 제2 메모리(140) 등에 백업하고, 제2 CPU(260)에 절전 모드로의 전환을 통지함으로써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CPU(210)가 절전 모드의 전환시 기능부(120)의 상태 정보를 백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이러한 동작은 별도의 구성(구체적으로, 도 5의 상태 파악부)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CPU(210)는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외부 기기에 대한 기기 인증 또는 잡 수행을 명령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멀 모드시에 잡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제1 CPU(210)는 노멀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CPU(210)가 노멀 모드시에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2 CPU(260)가 노멀 모드 시에도 동작하면, 노멀 모드시에도 인증 처리는 제2 CPU(26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노멀 모드시의 인증 처리 방법은 절전 모드시에 수행되는 인증 처리 방법과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1 CPU(210)는 잡 수행 명령에 대응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기능부(1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CPU(210)는 인증 처리 결과 인증된 외부 기기의 잡 수행 요청에 대응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기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팩스 송수신부(114)를 통해 링 신호가 수신되어 제2 CPU(260)의 제어에 의해 노멀 모드로 전환되면, 제1 CPU(210)는 팩스 송수신부(114) 및 제2 CPU(260)를 통해 전달되는 팩스 데이터가 인쇄 되도록 기능부(120)를 제어한다.
제2 CPU(260)(또는 부CPU, 보조CPU)는 절전 모드 상태에서 제2 메모리(140)를 이용한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 CPU(260)는 절전 모드 상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상태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절전 모드를 유지하면서 제2 메모리(140)를 이용하여 상태 요청에 대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CPU(260)는 제1 CPU(210)보다 낮은 리소스를 가지며, 낮은 소비 전력을 갖는다.
그리고 제2 CPU(260)는 절전 모드 상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잡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잡 수행 명령을 송신한 외부 기기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제1 CPU(210)를 활성화시켜 노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인증 처리 결과 인증되지 않은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인 경우 제1 CPU(210)를 활성화하지 않고 절전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CPU(260)는 절전 모드 상태에서 제1 CPU(210)로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제1 메모리(130)의 동작 주파수를 낮추거나 제1 메모리(130)를 셀프 리프레쉬(self-refresh) 모드를 유지하거나, 제1 메모리(13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CPU(260)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프린터의 경우 패널 키 입력, 인증된 잡 수행 요청, 팩스 링(Fax Ring) 등의 이벤트가 있는 경우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멀 모드 및 절전 모드의 제어를 하나의 구성에서 수행하는 경우, 즉, 노멀 모드 제어에 관여하는 메인 펌웨어와 절전 모드 제어에 관여하는 마이크로 펌웨어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의 주파수를 낮추어 주거나 메인 컨트롤러 설계시 gated clock 을 구성하여 절전 모드 시 동작하지 않는 블록들은 클록 입력을 차단해 주는 방법으로 절전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 펌웨어는 메인 컨트롤러의 내부 메모리(SRAM)에 탑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RAM은 리프레쉬(reflash-이를 테면 재충전) 없이도 그 내용이 유지가 되기 때문에 SRAM이 DRAM(Dynamic RAM: 다이내믹 램)보다 반응 속도가 더 빠르므로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빠른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멀 모드를 지원하는 메인 컨트롤러 및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서브 컨트롤러를 별개로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즉, 노멀 모드 제어에 관여하는 메인 펌웨어와 절전 모드 제어에 관여하는 마이크로 펌웨어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절전 모드 시에 서브 컨트롤러 이외의 전원을 차단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컨트롤러는, 절전 모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에 인터럽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인터럽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인터럽트에 대한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인증 결과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를 활성화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간략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화상형성장치(100')는 상술한 구성 이외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보다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80), 동작 패널부(150), 화상 처리부(160), 화상 형성부(170), 제1 메모리(130), 제1 CPU(210), 네트워크 IF부(111), USB IF부(112), 웨이크-업 수신부(113), 팩스 송수신부(114), 제2 메모리(140) 및 제1 CPU(26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메모리(130), 제2 메모리(140), 제1 CPU(210) 및 제2 CPU(260)의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각 구성 요소와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네트워크 IF부(111)는 통신 IF로서,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커넥터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IF부(111)에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가 연결되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인터넷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IF(111)는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즉,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네트워크 IF부(111)를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USB IF부(112)는 USB 디바이스 또는 USB 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USB 메모리, 개인 컴퓨터, 랩탑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연결될 수 있다. USB IF부(112)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는 USB 디바이스 모듈(264)에게 출력된다. 이와 같은 USB IF부(112)는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즉,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USB IF부(112)를 포함하며, USB IF부(112)를 이용하여 USB 방식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웨이크-업 수신부(113)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노멀 모드로의 진입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요청된 신호를 제2 CPU(260)에게 출력한다. 웨이크-업 수신부(113)는 화상형성장치(100')에 구비되는 물리적인 버튼으로 구현되거나, 원격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팩스 송수신부(114)는 팩스 송수신을 수행하는 회로로서, 외부 팩시밀리(미도시)로부터 링(ring) 신호가 수신되면, 링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제2 CPU(260)에게 통지할 수 있다.
동작 패널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다수의 기능키,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하며, 화상형성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화상 처리부(160)는 인쇄 데이터 또는 스캐닝 데이터 또는 팩스 데이터를 각 기능에 적합한 포맷으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인쇄 데이터인 경우, 화상 처리부(160)는 인쇄 데이터를 해당 에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한다. 인쇄 데이터는 예를 들어, USB IF부(112)를 통해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입력되고, 팩스 데이터는 팩스 송수신부(114)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상 처리부(160)는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기능부(12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즉, 기능부(120)는 화상 처리부(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화상 처리부(160)를 이용하여 데이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70)는 화상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화상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부(170)는 스캐닝부(미도시)에서 스캔된 이미지 또는 팩스 송수신부(114)를 통하여 수신된 이미지를 용지에 인쇄하거나, 화상 처리부(160)에서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된 인쇄 데이터를 용지에 인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부(170)는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기능부(12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즉, 기능부(120)는 화상 형성부(1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화상 형성부(170)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노멀 모드인 경우, 기능부(120, 150, 160, 170), 제1 CPU(210), 제2 CPU(260), 제1 메모리(130) 및 다수의 통신 IF부(111, 112, 113, 114)에게 전력을 공급하며, 절전 모드인 경우 기능부(120), 제1 CPU(210), 제1 메모리(130)에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절전 모드시에 제1 CPU(210)로의 전력 공급을 완전히 차단하고, 저전력의 제2 CPU(260)로의 전력 공급을 유지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2 CPU(260)와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절전 모드인 경우에도 입력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입력된 데이터가 제2 CPU에 의해 처리가능한 경우 절전 모드를 유지하면서 제2 CPU가 자체적으로 처리하며, 제1 CPU의 동작이 꼭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노말 모드로 전환하고 이로써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두 개의 메모리 소자만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화상형성장치(100)의 노멀 모드 및 절전 모드시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ROM 또는 HDD 등의 추가적인 저장 소자들이 화상형성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2 CPU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SoC(200'), 네트워크 IF부(111), USB IF부(112), PHY 칩(115), 기능부(120), 제1 메모리(130), 제2 메모리(140), 상태 파악부(19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각 구성요소들은 버스(bus)에 의해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전원 공급부(180)는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될 수 있으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는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웨이크-업 수신부(113), 팩스 송수신부(114), 동작 패널부(150), 화상 처리부(160), 화상형성부(170)의 도시는 생략한다.
네트워크 IF부(111), USB IF부(112), 기능부(120), 제1 메모리(130), 제2 메모리(140)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PHY 칩(115)은 네트워크 IF부(111)를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의 물리계층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SoC(200')에 출력한다.
상태 파악부(190)는 노멀 모드시에 기능부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기능부(120)의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태 파악부(190)는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의 전환시 기능부(120)의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 파악부(19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태 파악부(190)가 SoC(200') 외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상태 파악부(190)는 SoC(200') 내부에 구비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SoC(200')는 제1 CPU(210) 및 제2 CPU(260)를 포함한다. 제1 CPU(210) 및 제2 CPU(260)의 동작에 대해서 앞서 자세히 상술하였는바, 제2 CPU(26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제2 CPU(260)는 제2 프로세서(261), FIFO(First In First Out)부(262), MAC(263), USB 디바이스 모듈(264) 및 제2 메모리 제어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61)는 MAC(263)에서 출력되어 제2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1 CPU(210)에 제공한다. 한편, 제2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의 독출은 별도의 MAC 구성을 통하여 제1 CPU(21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네트워크 IF부(111), USB IF부(112), 웨이크-업 수신부(354) 및 팩스 송수신부(355)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1 CPU(210)로 전달해주는 기능을 릴레이라 한다. 버스는 입력되는 MII, GMII 또는 RGMII 형태의 데이터를 제1 CPU(210)로 릴레이할 수 있다.
노멀 모드에서, 제2 프로세서(261)는 MAC(263), USB 디바이스 모듈(264) 등을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CPU(210)의 제어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데이터는 제1 CPU(210)로 전달하며, 제2 CPU(260)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는 자체적으로 처리한다. 제2 프로세서(261)는 일 예로 ARM(Advanced RISC Machine) 코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로세서(261)는 제1 CPU(210)의 제어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데이터로 결정한 경우, 즉, 잡 수행 명령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2 메모리(38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또는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2 프로세서(261)는 잡 수행 명령을 요청한 기기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인증 처리를 요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프로세서(261)는 제1 CPU(210)로부터 절전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전원 공급부(180)에 차단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차단제어신호는 전원 공급부(180)가 제1 CPU(210) 및 기능부(12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하는 신호이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부(180)는 제2 CPU(260) 및 제2 CPU(260)에 연결된 구성요소들(111~115, 140)에 최소 전력을 공급하며, 제1 CPU(210)와 제1 CPU(210)에 연결된 구성요소들(120, 130, 190)에게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오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는 노멀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절전 모드에서, 제2 프로세서(261)는 MAC(263), USB 디바이스 모듈(264) 등을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CPU(210)의 제어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인증된 작업 요청에 대해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1 CPU(210)로 릴레이할 수 있다.
FIFO부(262) 또는 제2 메모리(140)는 네트워크 IF부(111), USB IF부(112), 웨이크-업 수신부(354) 또는 팩스 송수신부(355)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MAC(263)은 네트워크 IF부(111)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PHY칩(115)을 경유하여 수신하며, 통상적인 이더넷 MAC 기능을 수행한다. MAC(263)과 PHY칩(115)은 100Mbps 전송을 위한 MII(Media Independent Interface), 1Gbps 전송을 위한 GMII(Gigabit MII), 또는 RGMII(Reduced GMII)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MAC(263)은 MII, GMII 또는 RGMII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MAC(263)은 DMA(Direct Memory Access) 기능을 지원하며, 이에 의해, MII, GMII 또는 RGMII에 의한 데이터를 제2 CPU(260)의 제어에 따라 FIFO부(262) 또는 제2 메모리(140)에 출력할 수 있다.
USB 디바이스 모듈(264)은 USB IF부(112)가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를 위하여 USB 디바이스 모듈(264)은 USB PHY칩(미도시), USB 디바이스(미도시) 및 DMA(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기능은 주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USB IF부(112)가 수신한 데이터는 USB PHY칩(미도시)을 통해 수신되며, USB 디바이스(미도시) 및 DMA(미도시)를 통해 FIFO부(262) 또는 제2 메모리(140)에 임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1 CPU(210)는 제1 CPU(210)와 통신하는 제1 메모리(130)를 셀프 리프레쉬(Self-refresh) 모드로 변경하고,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2 CPU(260)에게 통지하여 절전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2 프로세서(261)는 상기 신호가 수신되면, 상술한 차단제어신호를 전원 공급부(180)에게 출력하여 절전 모드로 진입하게 한다. 여기서 셀프 리프레쉬는 저전력 소모 등의 목적을 위해 외부로부터 제어신호 없이 내부적으로 리프레쉬 요구신호 및 제어신호들을 발생하고, 내부에서 생성된 어드레스에 의해 리프레쉬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다.
제2 메모리 제어부(265)는 구성요소(111, 112, 114)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2 메모리(140)에 임시 저장하도록 설정된 경우, 수신된 데이터를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하며, 데이터 릴레이 시, 제2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버스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메모리 제어부(265)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온되어 부팅 되면, 상술한 ROM(미도시)에 저장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상태정보, 절전 모드 구동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 웨이크-업 조건 등을 로딩하여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상태정보는 예를 들어, 토너 잔량, 잡의 진행 정도 등 화상형성장치(300)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될 수 있다. 제2 CPU(260) 또는 제2 프로세서(261)는 저장된 시스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노멀 모드 및 절전 모드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일부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기초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별 제1 CPU(210) 및 제2 CPU(260)의 구성 각각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노멀 모드]
제1 CPU(210)는 전력을 공급하는 노멀 모드에서 기능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고, 노멀 모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1 CPU(210)는 제2 CPU(260)를 통하여 네트워크 IF부(111), USB IF부(112)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메모리(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이 온 되어 부팅 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들과 화상형성장치(100')의 상태정보를 ROM(read-only memory)(미도시)으로부터 로딩하여 저장한다. 제1 메모리(130)는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서 예를 들어, DDR 메모리를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CPU(2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적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외부 기기로부터 제1 CPU(210)에서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제1 CPU(210)로 릴레이 한다.
[노멀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
제1 CPU(210)는 상태 파악부(190)를 통하여 기능부(120)의 동작 유무를 파악하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 화상형성장치(10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절전 모드로 진입하여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제2 CPU(260)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지를 받은 제2 CPU(260)는 제1 CPU(210)로부터 절전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되면, 전원 공급부(180)로부터 제1 CPU(210) 및 기능부(120)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제1 CPU(21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절전 모드]
화상형성장치(300)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면, 제2 CPU(260)는 전원 공급부(180) 또는 전원 공급부(180)로부터 공급되는 최소한의 전력으로 구동을 유지한다.
절전 모드로 진입 후, 구성요소(111~114)를 통해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2 프로세서(261)는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신된 데이터가 웨이크-업 조건에 해당하는지 또는 자체적으로 처리가능한지 판단한다.
그리고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구성요소(111~114)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가 제1 CPU(210)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는 웨이크-업 조건에 해당한다. 웨이크-업 조건의 예로는 수신된 데이터가 팩스 링 신호이거나 웨이크-업 수신부(354)의 선택신호이거나 인쇄요청신호이거나 커버 오픈 검출 신호, 트레이 오픈 검출 신호. 마우스 클릭 신호 등 다양하다.
한편, 제2 CPU(260)는 네트워크 IF(111), USB IF(112)를 통하여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하면,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또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CPU(260)는 인증된 잡 수행 명령에 대해서는 노멀 모드로의 전환을 개시할 수 있다. 한편,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제2 CPU(260)는 노멀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고, 입력받은 데이터를 폐기할 수 있다.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 과정]
수신된 데이터가 웨이크-업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제2 프로세서(261)는 노멀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원 공급부(180)에게 공급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공급제어신호는 전원 공급부(180)가 기능부(120), 제1 CPU(210) 및 제1 메모리(130)에게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신호이다. 이로써, 화상형성장치(100')는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
이하에서는 데이터의 전달 관점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1 CPU(210)에 릴레이 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첫째, 절전 모드 상태에서, 네트워크 IF부(111)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이하, '네트워크 데이터'라 함)는 네트워크 IF부(111) 및 PHY칩(115)을 경유하여 MAC(263)으로 입력된다.
제2 프로세서(261)는 MAC(263)으로 입력된 네트워크 데이터를 FIFO부(262) 또는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데이터를 분석하여 웨이크-업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즉, 제2 프로세서(261)는 노멀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인증된 기기에서의 네트워크 데이터인 경우에 노멀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프로세서(261)는 전원 공급부(180)를 제어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노멀 모드에 대응되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노멀 모드로 전환되면, 제2 프로세서(261)는 FIFO부(262) 또는 제2 메모리(140)에 저장된 네트워크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네트워크 데이터를 제1 CPU(210)의 데이터 동기에 맞추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CPU(210)에서 네트워크 IF부(111)로의 데이터 전송 경로는 상술한 과정의 역과정에 해당한다.
둘째, 절전 모드 상태에서, USB IF부(11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이하, 'USB 데이터'라 함)를 릴레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USB 데이터는 USB IF부(112)에 연결된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어 제2 프로세서(261)의 제어에 의해 FIFO부(262) 또는 제2 메모리(140)에 저장된다.
제2 프로세서(261)는 USB 데이터를 분석하여 노멀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노멀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즉, 인증된 기기로부터의 USB 데이터인 경우에, 제2 프로세서(261)는 전원 공급부(180)를 제어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에 노멀 모드에 대응되는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노멀 모드로 전환되면, 제2 프로세서(261)는 FIFO부(262) 또는 제2 메모리(140)에 저장된 USB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1 CPU(21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CPU(210)에서 USB IF부(112)로의 데이터 전송 경로는 상술한 과정의 역과정에 해당한다.
셋째, 절전 모드 상태에서, 웨이크-업 수신부(113)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이하, '웨이크-업 데이터'라 함)를 릴레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웨이크-업 데이터는 노멀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직접적인 신호이므로, 제2 프로세서(261)는 웨이크-업 데이터를 FIFO부(262) 또는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전원 공급부(180)를 제어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에 노멀 모드에 대응되는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는 노멀 모드로 전환된다. 노멀 모드로 전환되면, 제2 프로세서(261)는 저장된 웨이크-업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1 CPU(21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넷째, 절전 모드 상태에서, 팩스 송수신부(114)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이하, '팩스 데이터'라 함)를 릴레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팩스 송수신부(114)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외부 팩시밀리는 전송할 팩스 데이터를 팩스 송수신부(114)에게 전송한다. 팩스 데이터는 링 신호와 스캔 되어 인쇄되는 실제 데이터를 포함한다. 팩스 송수신부(114)는 전송된 링 신호를 제2 CPU(260)에게 제공한다.
링 신호는 웨이크-업 조건에 부합되는 신호이므로, 제2 프로세서(261)는 팩스 송수신부(114)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FIFO부(262) 또는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전원 공급부(180)를 제어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에 노멀 모드에 대응되는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로 전환되면, 제2 프로세서(261)는 FIFO부(262) 또는 제2 메모리(140)에 저장된 USB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1 CPU(21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CPU(210)는 전달된 데이터를 스캔 및 인쇄하도록 해당 기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인 경우에도 제2 CPU(210)가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노멀 모드시에 제2 CPU(210)가 동작하지 않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절전 모드시에는 제2 CPU(260) 및 제2 메모리(140)가 동작하고, 제1 CPU(210) 및 제1 메모리(130)가 동작하지 않고, 노멀 모드시에 제1 CPU(210) 및 제1 메모리(130)가 동작하고 제2 CPU(260) 및 제2 메모리(140)가 동작하지 않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절전 모드시에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한다(S610). 구체적으로, 절전 모드시에 외부 기기로부터 USB 통신 방식 또는 네트워크 통신 방식으로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절전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S620). 구체적으로, 절전 모드 상태에서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기 전에 선행적으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인증 처리 동작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은 인증 처리 동작은 제어부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제어부가 복수의 CPU로 구현되는 경우, 절전 모드시에 동작하는 제2 CPU(26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처리의 수행 결과, 인증되지 않은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이면,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유지한다. 반면에 인증 처리의 수행 결과 인증된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이면,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 요청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630).
이상과 같이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은, 절전 모드시에 잡 수행 요청을 받으면, 웨이크-업을 수행하기 전에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바,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인증되지 않은 기기로부터의 작업 요청에 대해서 불필요한 웨이크-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과 같은 구동 제어 방법은 도 2 내지 도 5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동작 초기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는 절전 모드인 것으로 전재로 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호스트 장치(10)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 자체적으로 인증 처리하는 실시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 또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 또는 외부 기기)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다(710).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호스트 장치(10)가 잡 수행 명령만을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인쇄 데이터 등의 데이터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 데이터는 인증 처리가 수행된 이후에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구현시에 잡 수행 명령의 요청 없이 바로 인쇄 데이터가 호스트 장치(10)에서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쇄 데이터의 전송을 잡 수행 명령인 것으로 취급할 수 있다.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720). 구체적으로, 호스트 장치(10)의 주소 정보(구체적으로, IP 주소, MAC 주소)와 기저장된 기기 정보를 비교하여 기저장된 기기 정보에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호스트 장치(10)의 주소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장된 복수의 IP 주소에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호스트 장치(10)의 IP 주소가 있으면 인증된 기기의 잡 수행 명령으로 판단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의 주소 정보를 OSI의 MAC 레이어에서 추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현시에는 MAC 레이어에서 기저장된 주소 정보로부터의 잡 수행 요청만을 프로세서에 전송할 수 있으며, 기저장된 주소 정보가 아닌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요청은 MAC 레이어에서 차단할 수도 있다.
인증 처리 결과, 인증된 외부 기기의 작업 수행 명령이면,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S740). 동작 모드의 전환 동작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로 전환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요청된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S740).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작업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잡 수행 명령을 요청한 호스트 장치(10)에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잡 수행 명령이 스캔 수행 명령인 경우에는 이 단계에서 스캔 데이터가 호스트 장치(1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비교적 적은 용량을 갖는 IP 주소 또는 MAC 주소로 인증을 수행하는바,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있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크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MAC 레이어 단계에서의 수정만을 통하여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작업 요청의 특성을 분석하지 않고,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만을 수행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외부 기기에서 요청한 작업이 예약 작업인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증된 외부 기기의 작업 요청에 대하여 바로 동작 모드를 전환하지 않고, 절전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수신된 작업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예약 시간이 도달되면,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 예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인증 처리가 성공한 경우를 전제로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인증 처리가 실패한 경우의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인증이 실패한 경우의 구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 또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 또는 외부 기기)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다(810, 1010).
그 다음,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820, 1020). 이때,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호스트 장치(10)의 IP 주소 및/또는 MAC 주소가 화상형성장치(100)에 기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도 11 내지 20과 관련하여 후술한 과정에서 인증 처리가 실패한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동작 모드를 전환하지 않고, 현재의 절전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증이 성공하지 않음을 호스트 장치(10)에 통지할 수 있다(830, 1030). 이와 같은 통지시에 호스트 장치(10)는 도 9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90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900)은 호스트 장치(10)의 프린터 드라이버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일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가 호스트 장치(10)에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일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호스트 장치(1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잡 수행 명령만을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잡 수행 명령으로써 인쇄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으며, 잡 수행 명령과 함께 인쇄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버퍼(FIFO)에 저장하거나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한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다른 데이터의 수신을 위하여 인증되지 않은 호스트 장치(10)에서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폐기(즉, 삭제)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바로 삭제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거나, 다른 인쇄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즉, 저장 용량이 부족해지는 시점)에 삭제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잡 수행을 요청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 자체에서 인증 처리하는 실시 예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다(1010).
그 다음,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호스트 장치(10)에 사용자 정보를 요청한다(1120).
사용자 정보를 요청받은 호스트 장치(10)는 도 12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구체적으로, ID와 Password)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호스트 장치(10)의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제공할 수 있으며, 호스트 장치(10)가 스마트 폰과 같은 기기인 경우, 화상형성장치(100)가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함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호스트 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1130).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1140). 구체적으로, 호스트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예를 들면, ID, 패스워드)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호스트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가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 ID 및 그에 대응되는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인증된 기기의 잡 수행 명령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 정보의 예로 ID, 패스워드만을 설명하였지만, 특정의 하나의 항목의 키(key)값일 수 있으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원번호, 핸드폰 번호 등이 구현시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인증 처리 결과 인증된 외부 기기의 작업 수행 명령이면,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1150). 동작 모드의 전환 동작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로 전환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요청된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1160).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작업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잡 수행 명령을 요청한 호스트 장치(10)에 통지할 수 있다(1170). 한편, 잡 수행 명령이 스캔 수행 명령인 경우에는 이 단계에서 스캔 데이터가 호스트 장치(1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기저장된 간단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바,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있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크지 않은 장점이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가 전송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사용자 정보는 잡 수행 명령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2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200)은 로그온이 필요함을 알리는 제1 영역(1210),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제2 영역(1220), 확인 영역(1230), 취소 영역(1240)을 포함한다.
제1 영역(1210)은 요청된 잡 수행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다는 알림 메세지를 제공하는 영역이다.
제2 영역(1220)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영역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사용자 정보로 ID와 Password를 입력받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른 종류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확인 영역(1230)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은 이후의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 영역(1230)을 선택하면,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는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하게 된다.
취소 영역(1240)은 요청된 잡 수행 명령을 취소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도 13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구체적으로, 제3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잡 수행의 요청 단계에서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받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 자체에서 인증 처리하는 실시 예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잡 수행 명령 및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1310). 구체적으로, 호스트 장치(10)는 인쇄 명령을 입력받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기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호스트 장치(10)의 부팅 과정에서의 로그온 동작이거나, 특성 네트워크의 접속을 위한 로그온 동작일 수 있다.
그리고 호스트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잡 수행 명령(구체적으로, 인쇄 명령)을 입력받으면, 화상형성장치(100)에 잡 수행 명령 및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호스트 장치(10)가 잡 수행 명령만을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인쇄 데이터 등의 데이터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1320). 구체적인 인증 처리 동작은 도 11의 1140단계와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외부 기기의 작업 수행 명령이 인증된 작업 수행 명령이면,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1330), 화상형성장치(100)는 요청된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1340).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작업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잡 수행 명령을 요청한 호스트 장치(10)에 통지할 수 있다(1350).
이상과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간단한 사용자 정보만으로 인증을 수행하는바,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있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크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가 인쇄 명령과 함께 화상형성장치에 제공되는바, 더욱 빠르게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가 특정의 정보를 저장하고 자체적으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예만을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이와 같은 인증 처리는 외부 관리 서버를 이용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4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사용자 정보를 호스트 장치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의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하는 실시 예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다(1410).
그 다음,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호스트 장치(10)에 사용자 정보를 요청한다(1420).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11 및 도 12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하였는바,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호스트 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1430).
화상형성장치(10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20)에 전송한다(1440).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호스트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관리 서버(20)는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1450).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는 호스트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예를 들면, ID, 패스워드)와 기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를 비교하여 기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에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호스트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ID 등을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사용자 ID 이외에 다양한 인증 처리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도 있다.
관리 서버(20)는 인증 처리 결과를 화상형성장치(100)에 통지하고(1460), 인증 처리 결과 인증된 외부 기기의 작업 수행 명령이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1470).
그리고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로 전환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요청된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1480).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작업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잡 수행 명령을 요청한 호스트 장치(10)에 통지할 수 있다(1490).
이상과 같이 제4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대용량의 정보 저장이 가능한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바, 다양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정보만을 관리 서버(20)에 전송하는 예만을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사용자 정보와 함께 잡 수행 명령을 관리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 서버(10)는 사용자 인증 처리뿐만 아니라, 요청된 작업에 대한 권한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의 사용자 A가 인쇄 작업에 대해서만 권한이 있고, 팩스 작업에 대해서 권한이 없는 경우, 사용자 A가 팩스 작업에 대해서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인증된 사용자라도 해당 작업에 대해서 인증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특정의 사용자 B가 1달에 100페이지에 대한 인쇄 권한이 있으나, 이미 100페이지 인쇄를 이미 수행한바 있으며, 이후의 인쇄 명령에 대해서 인증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가 전송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사용자 정보는 잡 수행 명령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5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제5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잡 수행의 요청 단계에서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받고, 제공받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의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하는 실시 예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잡 수행 명령 및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1510). 구체적으로, 호스트 장치(10)는 인쇄 명령을 입력받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기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호스트 장치(10)의 부팅 과정에서의 로그온 동작이거나, 특성 네트워크의 접속을 위한 로그온 동작일 수 있다.
그리고 호스트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잡 수행 명령(구체적으로, 인쇄 명령)을 입력받으면, 화상형성장치(100)에 잡 수행 명령 및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호스트 장치(10)가 잡 수행 명령만을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인쇄 데이터 등의 데이터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20)에 전송한다(1520).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호스트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100)는 요청받은 잡 수행 명령을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관리 서버(20)는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1530). 구체적인 인증 처리 동작은 도 14의 1450단계와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관리 서버(20)는 인증 처리 결과를 화상형성장치(100)에 통지하고(1540), 인증 처리 결과 인증된 외부 기기의 작업 수행 명령이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1550).
그리고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로 전환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요청된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1560).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작업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잡 수행 명령을 요청한 호스트 장치(100)에 통지할 수 있다(1570).
이상과 같이 제5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대용량의 정보 저장이 가능한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바, 다양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가능하다. 또한, 인쇄 제어 단말장치(10)가 잡 수행 요청과 함께 사용자 정보를 같이 전송하는바, 더욱 빠르게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정보만을 관리 서버(20)에 전송하는 예만을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사용자 정보와 함께 잡 수행 명령을 관리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하나의 인증 처리 방법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인증 처리 단계는 복수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인증 처리를 통하여 인증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 다른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인증 처리가 된 경우에 최종 인증을 수행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한다(S1610). 구체적으로, 외부 기기로부터 USB 통신 방식 또는 네트워크 통신 방식으로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의 동작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화상형성장치(100) 자체에서 수행한다(S1620). 구체적으로, 외부 기기의 주소 정보 및/또는 사용자 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 자체에 기저장된 주소 정보 및/또는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처리의 수행 결과, 인증된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이면(S1630-Y), 현재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한다(S1640).
현재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이면(S1640-Y),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S1650).
그리고 요청된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1660). 한편, 현재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상태가 노멀 모드이면(S1640-N), 별도의 동작 모드 전환 없이 요청된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인증 처리의 수행 결과, 인증되지 않은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이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유지하고, 이전 첫 번째 인증 처리와 다른 방식으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1670). 구체적으로, 첫 번째 인증 처리가 외부 기기의 주소 정보를 이용한 경우, 두 번째 인증 처리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첫 번째 인증 처리가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 주소 정보를 이요한 경우, 두 번째 인증 처리는 관리 서버(20)를 이용한 인증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방식에 대해서는 도 17 내지 도 20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2차 인증 처리의 수행 결과, 인증되지 않은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이면, 요청된 잡 수행 명령을 수행하지 않는다(S1680-N).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 별도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다.
반면에 2차 인증 처리의 수행 결과 인증된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이면(S1680-Y),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S1650), 요청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1660).
이상과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은 우선적으로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인증된 작업에 대해서 웨이크-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바,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인증되지 않은 기기로부터의 작업 요청에 대해서 불필요한 웨이크-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인증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도 다른 방식으로 2차 인증을 수행하는바, 사용자가 다른 기기를 이용하여 작업을 요청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요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6과 같은 구동 제어 방법은 도 2 내지 도 4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7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구체적으로, 제6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하는 실시 예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다(1720).
그 다음,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820, 1020). 이때,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호스트 장치(10)의 IP 주소 및/또는 MAC 주소가 화상형성장치(100)에 기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증된 경우에는 바로 동작 모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주소 정보를 이용한 인증이 실패한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호스트 장치(10)에 사용자 정보를 요청한다(1730).
사용자 정보를 요청받은 호스트 장치(10)는 도 18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구체적으로, ID와 Password)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호스트 장치(10)의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제공할 수 있으며, 호스트 장치(10)가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인 경우, 화상형성장치(100)가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함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호스트 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1740).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한 화상형성장치(100)는 2차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1750). 구체적으로, 호스트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예를 들면, ID, 패스워드)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호스트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2차 인증 처리 결과 인증된 외부 기기의 작업 수행 명령이면,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1760). 동작 모드의 전환 동작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로 전환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요청된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1770).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작업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잡 수행 명령을 요청한 호스트 장치(100)에 통지할 수 있다(1780).
이상과 같이 제6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비교적 적은 용량을 갖는 IP 주소 또는 MAC 주소로 1차 인증을 수행하는바,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있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크지 않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1차 인증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도 다른 방식으로 2차 인증을 수행하는바, 사용자가 다른 기기를 이용하여 작업을 요청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요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2차 인증 역시 화상형성장치(100) 자체적으로 수행하는바, 신속하게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첫 번째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2중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첫 번째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 잡 수행 명령을 무시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가 전송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사용자 정보는 잡 수행 명령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된 주소 정보 및 사용자 정보만으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1차 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하고, 2차적으로 관리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8은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800)은 로그온이 필요함을 알리는 제1 영역(1810),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제2 영역(1820), 확인 영역(1830), 취소 영역(1840)을 포함한다.
제1 영역(1810)은 현재 작업을 요청한 장치는 기 인증된 기기가 아닌바,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다는 알림 메세지를 제공하는 영역이다.
제2 영역(1820)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영역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사용자 정보로 ID와 Password를 입력받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른 종류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확인 영역(1830)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은 이후의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 영역(1830)을 선택하면,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는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하게 된다.
취소 영역(1840)은 요청된 잡 수행 명령을 취소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도 19는 제7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구체적으로, 제7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의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하는 실시 예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다(1905).
그 다음,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1910). 이때,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호스트 장치(10)의 IP 주소 및/또는 MAC 주소가 화상형성장치(100)에 기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증된 경우에는 바로 동작 모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주소 정보를 이용한 인증이 실패한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호스트 장치(10)에 사용자 정보를 요청한다(1915).
사용자 정보를 요청받은 호스트 장치(10)는 도 18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구체적으로, ID와 Password)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호스트 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1920).
화상형성장치(10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20)에 전송한다(1925).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호스트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관리 서버(20)는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1930).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는 호스트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예를 들면, ID, 패스워드)와 기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를 비교하여 기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에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호스트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인증 처리 결과를 화상형성장치(100)에 통지하고(1935), 인증 처리 결과가 인증된 외부 기기의 작업 수행 명령이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1940).
그리고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로 전환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요청된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1945).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작업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잡 수행 명령을 요청한 호스트 장치(10)에 통지할 수 있다(1950).
이상과 같이 제7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화상형성장치(100) 내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1차 인증을 수행하는바 신속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인증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도 다른 방식으로 2차 인증을 수행하는바, 사용자가 다른 기기를 이용하여 작업을 요청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요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2차 인증을 관리 서버에서 수행하는바, 다양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첫 번째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2중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첫 번째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 잡 수행 명령을 무시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가 전송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사용자 정보는 잡 수행 명령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2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0은 제8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구체적으로, 제8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잡 수행의 요청 단계에서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받고, 주소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 자체적으로 1차 인증을 수행하고, 외부의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하는 실시 예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잡 수행 명령 및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2010). 구체적으로, 호스트 장치(10)는 인쇄 명령을 입력받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기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호스트 장치(10)의 부팅 과정에서의 로그온 동작이거나, 특성 네트워크의 접속을 위한 로그온 동작일 수 있다. 그리고 호스트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잡 수행 명령(구체적으로, 인쇄 명령)을 입력받으면, 화상형성장치(100)에 잡 수행 명령 및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1910). 이때,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호스트 장치(10)의 IP 주소 및/또는 MAC 주소가 화상형성장치(100)에 기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있는지 여부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증된 경우에는 바로 동작 모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에 기저장된 주소 정보 또는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증이 실패한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20)에 전송한다(2030).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관리 서버(20)는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2040).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는 호스트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예를 들면, ID, 패스워드)와 기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를 비교하여 기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에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호스트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인증 처리 결과를 화상형성장치(100)에 통지하고(2050), 인증 처리 결과가 인증된 외부 기기의 작업 수행 명령이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2060).
그리고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로 전환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요청된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2070).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작업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잡 수행 명령을 요청한 호스트 장치(10)에 통지할 수 있다(2080).
이상과 같이 제8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처리 방법은 화상형성장치(100) 내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1차 인증을 수행하는바 신속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인증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도 다른 방식으로 2차 인증을 수행하는바, 사용자가 다른 기기를 이용하여 작업을 요청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요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2차 인증을 관리 서버에서 수행하는바, 다양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정보가 인쇄 명령과 함께 화상형성장치에 제공되는바, 더욱 빠르게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첫 번째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2차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첫 번째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 잡 수행 명령을 무시하고, 첫 번째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관리 서버를 이용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도 21 내지 2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에 기저장된 주소 정보의 일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기저장된 주소는 IP 주소이다. 여기서 IP 주소는 장치에 대해서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 주소로 32비트(4byte)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IP 주소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이용이 허락된 호스트 장치의 IP 주소이다.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되는 이와 같은 IP 주소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편집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1과 같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현재 작업 수행을 요청한 외부 기기의 IP 주소가 저장된 IP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IP 주소는 일정한 규칙을 통하여 부여되며, 동일한 네트워크상의 각각의 호스트 장치는 공통적인 IP 주소 영역을 갖는다. 이러한 점에서, 화상형성장치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2비트(4byte)의 IP 주소 중 일부 비트 영역에 대한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2과 같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현재 작업 수행을 요청한 외부 기기의 IP 주소가 저장된 IP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작업을 수행을 요청한 외부 기기의 IP 주소가 192.163.1.255인 경우에 인증된 기기로 판단하고, IP 주소가 192.163.2.255인 경우 인증되지 않은 기기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으로는 IPv4에 기초한 32비트의 IP 주소를 이용하는 예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IPv6에 따른 128비트의 IP 주소를 이용하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IP 주소만을 주소 정보로 이용하는 것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주소 정보로 MAC 주소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기저장된 주소는 MAC 주소이다. 여기서 MAC 주소는 이더넷의 물리적인 주소로 48비트(6byte)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MAC 주소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이용이 허락된 호스트 장치(또는 외부 기기)의 MAC 주소이다.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되는 이와 같은 MAC 주소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편집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3과 같은 MAC 주소를 이용하여 현재 작업 수행을 요청한 외부 기기의 MAC 주소가 저장된 MAC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IP 주소 또는 MAC 주소 하나만을 주소 정보로 이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주소 정보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 주소 및 MAC 주소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룩업 테이블이 저장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MAC 주소 또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MAC 주소 및 IP 주소를 함께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5 및 도 2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에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의 일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ID 및 패스워드이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는 복수의 ID 및 복수의 ID에 대응되는 패스워드를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ID 및 패스워드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이용이 허락된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이다.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되는 이와 같은 ID 및 패스워드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편집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가 룩업 테이블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룩업 테이블에 ID 및 패스워드 항목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사용자 정보별로 권한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2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룩업 테이블은 복수의 ID, 복수의 ID 각각에 대응되는 패스워드, 복수의 ID에 대응되는 인쇄 권한 유무, 및 복수의 ID에 대응되는 팩스 전송 권한 유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6과 같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잡 수행 요청을 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잡 수행 요청을 한 사용자가 요청한 잡에 대해서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권한의 정보로 인쇄 권한 및 팩스 전송 권한에 대한 것만이 저장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다른 기능에 대한 권한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권한의 유무에 대한 정보만을 저장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존재 유무와 함께 작업 가능한 양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1달 동안 인쇄 가능한 작업량(예를 들어, 100페이지)을 룩업 테이블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메모리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1 메모리(130)는 복수의 메모리 모듈(131, 132, 133, 134)을 포함한다.
복수의 메모리 모듈(131, 132, 133, 134) 각각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CPU(210)는 요청된 작업의 용량 또는 종류에 기초하여 사용할 메모리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CPU는 요청된 작업의 용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메모리 모듈 중 사용할 메모리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요청된 작업의 헤더 영역에 기재된 이미지 크기 정보를 기초하여 사용할 메모리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메모리 용량이 256KB이고, 기본으로 적재되어야하는 프로그램의 용량이 128KB이고, 외부에서 요청된 작업의 용량이 52KB여서 하나의 메모리 모듈만을 이용하여 작업 가능한 경우, 제1 메모리 모듈만을 사용할 메모리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CPU(210)는 요청된 작업의 종류에 기초하여 사용할 메모리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메모리 모듈 각각이 공용으로 사용되는 제1 메모리 모듈(131), 인쇄시 이용되는 제2 메모리 모듈(132), 스캔시 이용되는 제3메모리 모듈(133), 팩스시 이용되는 제4메모리 모듈(134)로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기기로부터 요청된 잡이 인쇄 작업인 경우, 제1 메모리 모듈, 제2 메모리 모듈을 사용할 메모리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CPU(210)는 결정된 메모리 모듈에 기초하여 복수의 메모리 모듈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CPU(210)는 사용하기로 결정된 메모리 모듈에 대해서는 정상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사용하기로 결정되지 않은 메모리 모듈은 셀프 리프레쉬 모드 또는 전원 차단 동작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CPU(210)는 결정된 메모리 모듈(즉, 일부 메모리 모듈만)을 이용하여 기능부(12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구동 과정 중에 추가적인 작업이 요청되거나, 추가적인 메모리 공간이 필요한 경우, 제1 CPU(210)는 사용할 메모리 모듈을 가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CPU는 잡 수행 요청에 따라 가변적으로 동작하는 메모리 모듈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바, 노멀 모드시에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4개의 메모리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메모리를 구현한 에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제1 메모리는 2개 또는 3개의 메모리 모듈을 가질 수 있으며, 5개 이상의 메모리 모듈을 갖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28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절전 모드시에 제1 메모리의 복수의 메모리 모듈 모두가 셀프 리프레쉬 모드 또는 전원 차단 모드로 동작한다.
이후에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하게 되면(S2810-Y), 복수의 메모리 모듈 중에 사용할 메모리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S2820). 구체적으로, 요청된 작업의 용량에 기초하여 사용할 메모리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메모리 용량이 256KB이고, 기본으로 적재되어야하는 프로그램의 용량이 128KB이고, 외부에서 요청된 작업의 용량이 52KB여서 하나의 메모리 모듈만을 이용하여 작업 가능한 경우, 제1 메모리 모듈만을 사용할 메모리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요청된 작업의 종류에 기초하여 사용할 메모리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메모리 모듈 각각이 공용으로 사용되는 제1 메모리 모듈(131), 인쇄시 이용되는 제2 메모리 모듈(132), 스캔시 이용되는 제3메모리 모듈(133), 팩스시 이용되는 제4메모리 모듈(134)로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기기로부터 요청된 잡이 인쇄 작업인 경우, 제1 메모리 모듈, 제2 메모리 모듈을 사용할 메모리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할 메모리 모듈이 결정되면, 결정된 메모리 모듈을 초기화하여 동작하도록 하고, 선택되지 않은 메모리 모듈은 셀프 리프레쉬 모드로 동작하거나 전원 차단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8과 같은 구동 제어 방법은 도 3 내지 도 5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29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선행적으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100)의 작업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종래에는 S/W로 일전 시간 간격으로 기능부의 각 상태를 표시하는 메모리를 읽어서, 각 기능부의 상태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절전 모드로 전환 전에 각 기능부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제2 메모리에 저장하였다.
그러나 S/W 적으로 기능부의 상태를 읽어서 판단하면, 처리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전환 과정 중에 인쇄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제2 메모리 저장된 정보를 다시 제1 메모리에 복원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H/W 적으로 기능부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요청된다. 이에 따른 동작을 도 2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먼저,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노멀 모드이다(S2910). 이러한 노멀 모드시에 기능부(120)의 동작 상태에 대해서는 상태 파악부(190)에 플래그 비트(flag bit) 단위로 저장된다.
이 경우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작업이 수행되지 않았으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절전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S2920).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는 상태 파악부(190)에 저장된 플래그 비트를 인터럽트로 사용하여 절전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절전 모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S2920-Y), 기능부의 상태 파악과 동시에 기능부의 상태 정보의 저장이 수행될 수 있다(S2930). 구체적으로, 상태 파악부(190)는 플래그 비트를 제1 CPU(210)에 제공함과 동시에 기능부(120)의 상태 정보를 제2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이후에 추가적인 작업의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고(S2950), 즉, 전환 과정 중에 잡 수행 명령이 있었는지를 판단하고, 추가적인 요청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2960)
이상과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은, 절전 모드로의 전환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제1 CPU가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을 이용하여 기능부의 상태를 관리하는바, 신속하게 절전 모드를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도 29와 같은 구동 제어 방법은 도 2 내지 도 5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30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먼저,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절전 모드이다(S3010).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시에 작업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S302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인증 처리가 수행된다.
그리고 복원할 레지스터 값을 로드한다(S3030). 구체적으로, 인증 처리 과정에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바, 빠른 복원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증에 의한 동작 모드의 전환 이전에 복원할 레지스터 값을 로드할 수 있다. 즉, 제1 CPU(260)에서 기능부의 초기화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상태 파악부(190)가 각 기능부(120)에 대한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에 인증된 사용자 또는 기기로의 작업 요청인 것으로 판단되면(S3040-Y), 실질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S3050).
이상과 같이 제4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은,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인 상태 파악부를 이용하여 절전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의 전환시 기능부를 초기화 등의 웨이크-업 동작을 수행하는바, 빠른 전환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30과 같은 구동 제어 방법은 도 2 내지 도 5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화상형성시스템 100: 화상형성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기능부
130: 제1 메모리 140: 제2 메모리
200: 제어부 210: 제1 CPU
260: 제2 CPU

Claims (20)

  1.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절전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인증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
    노멀 모드시에 동작하고, 상기 절전 모드시에 셀프 리프레쉬 모드 또는 전원 차단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메모리; 및
    상기 절전 모드시에 상기 잡 수행 요청에 대응되는 잡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멀 모드시에 상기 기능부를 제어하는 메인 CPU; 및
    상기 절전 모드시에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보조 CPU;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CPU는,
    상기 인증 처리 결과 인증되지 않은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인 경우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잡 데이터를 삭제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CPU는,
    상기 절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인증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CPU는,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의 주소 정보와 기저장된 기기의 주소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는,
    기기의 IP 주소 및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CPU는,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에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CPU는,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의 주소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CPU는,
    상기 인증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잡 수행 명령에 대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CPU는,
    상기 인증 처리 결과 및 판단 결과를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에 통지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복수의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CPU는,
    상기 잡 수행 요청에 따라 복수의 메모리 모듈 중 일부 메모리 모듈만을 이용하여 상기 기능부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CPU는,
    제어 동작시 이용하지 않은 메모리 모듈에 대해서 셀프 리프레쉬 모드 또는 전원 차단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 메모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멀 모드시에 상기 기능부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상기 기능부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 파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파악부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의 전환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노멀 모드시 제1 메모리 및 메인 CPU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절전 모드시에 상기 제1 메모리를 셀프 리프레쉬 모드 또는 전원 차단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
    절전 모드시에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잡 데이터를 제2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절전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보조 CPU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처리의 수행 결과, 인증되지 않은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처리의 수행 결과, 인증되지 않은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이면, 상기 보조 CPU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잡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의 수행 결과, 인증된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의 주소 정보와 기저장된 기기의 주소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는,
    기기의 IP 주소 및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에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외부 기기의 주소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20.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방법은,
    노멀 모드시 제1 메모리 및 메인 CPU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절전 모드시에 상기 제1 메모리를 셀프 리프레쉬 모드 또는 전원 차단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
    절전 모드시에 외부 기기로부터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잡 수행 명령에 대응되는 잡 데이터를 제2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절전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보조 CPU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처리의 수행 결과, 인증되지 않은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절전 모드로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처리의 수행 결과, 인증되지 않은 외부 기기의 잡 수행 명령이면, 상기 보조 CPU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잡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20102953A 2012-09-17 2012-09-17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2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953A KR102012436B1 (ko) 2012-09-17 2012-09-17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CT/KR2013/003803 WO2014042332A1 (en) 2012-09-17 2013-05-02 Image forming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BR112015005877A BR112015005877A2 (pt) 2012-09-17 2013-05-02 aparelho formador de imagens tendo uma pluralidade de modos de operação, e método para controle de ativação de um aparelho formador de imagens tendo uma pluralidade de modos de operação.
AU2013316378A AU2013316378A1 (en) 2012-09-17 2013-05-02 Image forming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2858DEN2015 IN2015DN02858A (ko) 2012-09-17 2013-05-02
RU2015114237A RU2618369C2 (ru) 2012-09-17 2013-05-02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способ его запуска и компьютер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EP13170807.5A EP2709032B1 (en) 2012-09-17 2013-06-06 Image forming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201310293578.6A CN103685805A (zh) 2012-09-17 2013-07-12 图像形成装置及其驱动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13/940,495 US9357092B2 (en) 2012-09-17 2013-07-12 Image forming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953A KR102012436B1 (ko) 2012-09-17 2012-09-17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628A KR20140036628A (ko) 2014-03-26
KR102012436B1 true KR102012436B1 (ko) 2019-08-20

Family

ID=4860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953A KR102012436B1 (ko) 2012-09-17 2012-09-17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357092B2 (ko)
EP (1) EP2709032B1 (ko)
KR (1) KR102012436B1 (ko)
CN (1) CN103685805A (ko)
AU (1) AU2013316378A1 (ko)
BR (1) BR112015005877A2 (ko)
IN (1) IN2015DN02858A (ko)
RU (1) RU2618369C2 (ko)
WO (1) WO20140423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4234B2 (en) * 2014-09-02 2017-11-21 Lg Cns Co., Ltd. Method of protecting care information in a care provider terminal
JP2016134798A (ja) * 2015-01-20 2016-07-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240636B2 (ja) * 2015-05-12 2017-11-2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認証方法および認証装置
KR102319392B1 (ko) * 2015-06-09 2021-11-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JP6711576B2 (ja) 2015-09-02 2020-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052845A1 (en) 2016-09-13 2018-03-22 Link Ii Charles M Method and system for low power internetwork communication with machine devices
JP6808414B2 (ja) * 2016-09-21 2021-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22108B2 (ja) * 2016-12-06 2021-01-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9030082A (ja) * 2017-07-27 2019-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463856B (zh) * 2017-08-01 2020-06-16 杭州中天微系统有限公司 一种基于可信内核的防攻击数据处理器
JP7011451B2 (ja) * 2017-12-07 2022-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JP7003679B2 (ja) * 2018-01-17 2022-01-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9129397A (ja) * 2018-01-24 2019-08-01 シャープ株式会社 ジョブ完了通知装置、複合機及びジョブ完了通知方法
CN109313608B (zh) * 2018-09-19 2023-05-02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校验系数的读取方法、闪存控制器、系统及存储介质
CN109213005A (zh) * 2018-11-21 2019-01-15 成都四方伟业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仿真控制方法及装置
JP7242351B2 (ja) * 2019-03-11 2023-03-20 キヤノン株式会社 起動時にソフトウェアの改ざん検知処理を省略することが可能な電子機器
US20230030427A1 (en) * 2020-04-03 2023-0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erating master processors in power saving mo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3422A (ja) * 2005-01-19 2006-08-03 Canon Inc アドレス情報に基づいてアクセス制限を行なう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装置と通信する情報処理装置、アドレス情報の設定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04150A (ja) * 2008-06-18 2010-01-0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11000852A (ja) * 2009-06-22 2011-01-06 Oki Data Corp 電子装置
JP2011185974A (ja) * 2010-03-04 2011-09-2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6272B2 (ja) * 2004-08-05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539358B2 (ja) * 2005-02-14 2010-09-0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809386B2 (en) * 2005-06-29 2010-10-05 Nokia Corporation Local network proxy for a remotely connected mobile device operating in reduced power mode
US8001404B2 (en) * 2008-03-04 2011-08-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Remote wakeup web service for imaging device
KR101158715B1 (ko) * 2009-07-24 201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저전력 제어방법
PL2302521T3 (pl) * 2009-09-09 2012-07-31 Hp Printing Korea Co Ltd Urządzenie tworzące obraz i sposób jego zasilania oszczędzający energię
JP2011126132A (ja) * 2009-12-17 2011-06-30 Murata Machinery Ltd 画像形成装置
JP4820911B1 (ja) * 2010-06-10 2011-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20013929A1 (en) * 2010-07-13 2012-01-1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8850535B2 (en) * 2011-08-05 2014-09-30 Safefa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ty verification in a social network using ratings
JP5838862B2 (ja) * 2012-03-01 2016-01-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起動制御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3422A (ja) * 2005-01-19 2006-08-03 Canon Inc アドレス情報に基づいてアクセス制限を行なう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装置と通信する情報処理装置、アドレス情報の設定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04150A (ja) * 2008-06-18 2010-01-0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11000852A (ja) * 2009-06-22 2011-01-06 Oki Data Corp 電子装置
JP2011185974A (ja) * 2010-03-04 2011-09-2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9032A2 (en) 2014-03-19
BR112015005877A2 (pt) 2017-08-08
IN2015DN02858A (ko) 2015-09-11
CN103685805A (zh) 2014-03-26
EP2709032B1 (en) 2018-10-03
US20140078530A1 (en) 2014-03-20
RU2618369C2 (ru) 2017-05-03
EP2709032A3 (en) 2014-11-26
RU2015114237A (ru) 2016-11-10
WO2014042332A1 (en) 2014-03-20
KR20140036628A (ko) 2014-03-26
US9357092B2 (en) 2016-05-31
AU2013316378A1 (en) 201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436B1 (ko)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7474431B2 (en) Network printer having plural sleep modes
US796641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2014011876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process print job data in deep sleep mode and method thereof
US819092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serial b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4300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switching patterns to be compared with data received by network interface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53926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US962597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connecting to network in power saving stat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95755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lectively enabling or disabling packets discarding feature by its network interface card
US10257377B2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409356B2 (en) Printing device handling wake up event received immediately before shifted to a low power mode
JP2016015694A (ja) 処理装置、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6126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response to a transition
US1006999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for selectively processing packets using a processor or a sub processor
US11039030B2 (en) Image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inting apparatus
JP6702790B2 (ja) 代理応答機能を有する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る情報処理装置
US893410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switching control modes
KR20140093061A (ko) 화상형성장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16034488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3032925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US86438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erforming network communication
EP371274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US929207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2004153742A (ja) 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393651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