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018647B1 - 오수 처리차 - Google Patents

오수 처리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647B1
KR102018647B1 KR1020180050640A KR20180050640A KR102018647B1 KR 102018647 B1 KR102018647 B1 KR 102018647B1 KR 1020180050640 A KR1020180050640 A KR 1020180050640A KR 20180050640 A KR20180050640 A KR 20180050640A KR 102018647 B1 KR102018647 B1 KR 102018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wastewater
waste water
stirr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복
이창무
Original Assignee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주)위캔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주)위캔두 filed Critical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2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from a mass of loose granular or fibrous material
    • B01D29/0027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구조물 내에 쌓인 침전물과 오폐수를 진공 흡입한 후 물을 분리 및 여과처리하는 오수 처리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진공펌프의 부압을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 내의 오폐수를 흡입호스로 흡입하는 오폐수 탱크, 상기 오폐수 탱크의 오폐수를 이송펌프의 펌핑 작용으로 공급받고 수질정화제를 공급받아 혼합하여 플록(floc)을 형성하는 교반조, 상기 교반조에 수질정화제를 일정량씩 투입하는 약품투입기, 상기 교반조에서 오폐수를 공급받아 오폐수 속에 들어 있는 침전물이나 부유 물질을 걸려 제거하는 탈수조, 상기 탈수조의 오폐수를 이송펌프의 펌핑 작용으로 공급받아 여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섬유사 여과기, 상기 섬유사 여과기에서 침전물이 여과된 물을 이송펌프의 펌핑 작용으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척수 탱크 및 상기 세척수 탱크의 세척수를 수압펌프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토출하는 고압세척기를 포함하는 오수 처리차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오수 처리차{SEWAGE TREATMENT VEHICLE}
본 발명은 하수관로와 같은 지하 구조물 내에 쌓인 슬러지나 오물 및 이물질 등의 고착형 침전물에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그 힘으로 침전물을 부수고 희석하거나 씻어 내린 후 진공 흡입하여 제거하는 오수 처리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 구조물 내에 쌓인 침전물과 오폐수를 진공 흡입한 후 물을 분리 및 여과처리하여 지하 구조물의 막힌 부분을 뚫거나 침전물을 빨아내기 위한 희석 및 씻어 내리는 용도의 세척수로 재사용하는 오수 처리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로, 지중선 관로, 지하 공동구, 지하 배수로, 지중 탱크, 하수처리 설비, 지하 발전소 따위의 지표면 아래에 구축되는 지하 구조물은 청소나 점검, 수리, 보수 등을 위해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맨홀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맨홀을 통해 지하 구조물 내로 슬러지, 오물 등의 침전물이나 쓰레기, 나뭇잎, 흙 등의 이물질이 호우 시 등에 흘러들어가 쌓이면 배수 불량으로 침수, 역류 피해는 물론이고, 악취 발생 및 해충 서식 환경을 제공하는 등의 우려가 크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지하 구조물 내의 침전물을 제거하는 준설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지하 구조물 내의 슬러지와 오물 등의 침전물에 고압수를 뿜어서 그 힘으로 부순 다음 씻어 내리고 희석한 후 진공펌프(blower)로 탱크 내부에 진공을 발생시켜 침전물을 빨아내는 이른바 준설차를 이용한 준설 작업이 보편화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준설차(1)는 침전물을 흡입 및 제거하기 위한 슬러지탱크(5) 및 진공펌프(6)가 탑재되어 있고, 막힌 부분을 뚫거나 침전물을 부수고 희석하여 빨아내기 위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고압살수펌프가 탑재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슬러지탱크(5)에 침전물 및 오수가 가득 차면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는 데다 물탱크에 수시로 물을 채워 넣어야만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어 작업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1093207 B1(2011.12.06) KR 10-0421443 B1(2004.02.23) KR 10-1839817 B1(2018.03.13)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준설차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지하 구조물 내에 쌓인 침전물과 오폐수를 진공 흡입한 후 물을 효과적으로 분리 및 여과처리하여 지하 구조물의 막힌 부분을 뚫거나 침전물을 빨아내기 위한 희석 및 씻어 내리는 용도의 고압 세척수로 재사용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오수 처리차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지하 구조물 내에 쌓인 침전물과 오폐수를 진공 흡입하여 침전물을 분리 및 제거하고 오폐수를 여과처리할 수 있고, 아울러 정화된 물은 지하 구조물 내에 쌓인 침전물을 부수고 희석하거나 씻어 내리는 용도의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수 처리차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진공펌프의 부압을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 내의 오폐수를 흡입호스로 흡입하는 오폐수 탱크, 상기 오폐수 탱크의 오폐수를 이송펌프의 펌핑 작용으로 공급받고 수질정화제를 공급받아 혼합하여 플록(floc)을 형성하는 교반조, 상기 교반조에 수질정화제를 일정량씩 투입하는 약품투입기, 상기 교반조에서 오폐수를 공급받아 오폐수 속에 들어 있는 침전물이나 부유 물질을 걸려 제거하는 탈수조, 상기 탈수조의 오폐수를 이송펌프의 펌핑 작용으로 공급받아 여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섬유사 여과기, 상기 섬유사 여과기에서 침전물이 여과된 물을 이송펌프의 펌핑 작용으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척수 탱크 및 상기 세척수 탱크의 세척수를 수압펌프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토출하는 고압세척기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차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지하 구조물 내에 쌓인 침전물과 오폐수를 함께 진공 흡입하여 응집 및 탈수하고, 슬러지 케이크를 분리 및 제거한 후 여과처리하여 지하 구조물 내에 쌓인 침전물을 부수고 희석하거나 씻어 내리는 용도의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교반조는, 상기 오폐수 탱크로부터 오폐수와 상기 약품투입기로부터 수질정화제를 공급받고 급속임펠러가 제1전동기의 구동력으로 고속 회전하여 믹싱하는 급속교반조 및 상기 급속교반조에서 침강 현상으로 옮겨지는 오폐수와 수질정화제 혼합물에 플록을 형성하기 위해 완속임펠러가 제2전동기의 구동력으로 저속 회전하여 믹싱하는 완속교반조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조는, 안쪽 둘레에 장착된 받침앵글, 상기 완속교반조와 사이 벽에 설치되고 상기 완속교반조 상부의 오폐수와 플록을 월류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 가이드, 상기 받침앵글에 상부가 얹힌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오버플로우 가이드를 통해 옮겨지는 오폐수를 여과하고 플록을 흡착하여 슬러지 케이크를 분리 제거하는 슬러지 블랭킷 및 상기 슬러지 블랭킷을 통해서 여과된 정화수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오폐수와 수질정화제는 급속교반조에서 플래시 믹싱을 받아 완속교반조에 옮겨지고 플록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침전물이나 이물질 등을 한층 더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분리 및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섬유사 여과기는, 양쪽 둘레에 오폐수 유입구와 역세수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오폐수 배출 및 역세수 유입을 위한 연결관이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의 중앙부에 상기 연결관과 통하도록 설치되고 둘레에 다수 개의 공극이 배열 형성된 스트레이너,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스트레이너를 둘러싸듯이 배치된 다수 개의 미세 섬유사 다발, 상기 케이싱 내의 상기 미세 섬유사 다발의 하부에 위치된 부유구, 상기 미세 섬유사 다발을 이완시켜 공극을 크게 하기 위해 상기 부유구 아래에서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상기 부유구를 부력으로 상승시키는 공기공급관 및 상기 공기공급관을 통해 상기 부유구 내부에 압축공기를 높은 공압으로 공급하는 공기압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섬유사 다발에 붙어 있는 미세한 침전물을 역세로 신속하게 제거하여 눈막힘(clogg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고압세척기는, 상기 세척수 탱크와 수압펌프를 통해 연결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건 및 상기 노즐건과 나란하면서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오폐수 탱크와 상기 진공펌프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노즐건의 고압 분사 작용에 의해 비산되는 세척수 및 오폐수를 빨아들이는 흡입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교반조 내의 오폐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폭기 현상을 일으키기 위한 에어 노즐이 더 구비됨으로써 공기 분사로 인해 수중에 산소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수질정화제가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되면서 슬러지 고형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아울러 오폐수에서 분리되기 어려운 과잉의 유해한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은, 차체의 한쪽에 접거나 펼 수 있는 지지대가 장치되고, 상기 지지대에 맨홀 뚜껑을 작은 힘으로 당겨서 들어올리고 내리기 위한 체인 블록이 장착됨으로써 작업 시 지하 구조물의 출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맨홀 뚜껑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열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지하 구조물 내에 쌓인 침전물과 오폐수를 진공 흡입한 후 물리, 화학적으로 응집하여 슬러지 케이크 등의 각종 오염물질을 분리 및 제거하고, 2차로 가압형 섬유사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처리함으로써 깨끗하게 정화된 상태로 하천으로 흘려보내거나 일부는 지하 구조물 내에 쌓인 침전물을 부수고 희석하거나 씻어 내리는 용도의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세척수 탱크에 수시로 깨끗한 물을 채워 넣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없어 작업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오수 처리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수 처리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수 처리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수 처리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수 처리차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고압세척기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수 처리차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교반조 및 탈수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수 처리차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교반조 및 탈수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수 처리차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섬유사 여과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수 처리차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섬유사 여과기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수 처리차의 국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수 처리차의 구성요소 중 지지대를 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수 처리차의 구성요소 중 지지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처리차는 크게 오폐수 탱크(10), 교반조(20), 약품투입기(30), 탈수조(40), 섬유사 여과기(50), 세척수 탱크(60) 및 고압세척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오폐수 탱크(10)는 진공펌프(11)의 부압을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 내의 침전물과 오폐수를 흡입호스(12)로 흡입 및 임시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오폐수 탱크(10)는 진공펌프(11)의 작동으로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부압이 발생하면서 흡입호스(12)를 통해 지하 구조물 내의 침전물과 오폐수 및 각종 이물질을 동시에 빨아들이도록 구비되어 있다.
교반조(20)는 오폐수 탱크(10)의 오폐수를 이송펌프(P1)의 펌핑 작용으로 공급받고, 약품투입기(30)에서 일정량의 수질정화제를 공급받아 혼합하여 플록(floc)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다.
즉, 교반조(2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폐수 탱크(10)로부터 오폐수와 약품투입기(30)로부터 수질정화제를 일정량씩 공급받는 급속교반조(21)가 구비되어 있고, 이 급속교반조(21) 내에는 제1전동기(23)의 구동력으로 고속 회전하여 오폐수와 수질정화제를 믹싱하는 급속임펠러(22)가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속교반조(21)와 격벽을 사이에 두고 급속교반조(21)에서 침강 현상으로 옮겨지는 오폐수와 수질정화제 혼합물을 임시 저장하는 완속교반조(24)가 구비되어 있고, 이 완속교반조(24) 내에는 제2전동기(26)의 구동력으로 저속 회전하여 플록을 형성하는 완속임펠러(25)가 장치되어 있다.
아울러 교반조(20) 내에는 오폐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폭기 현상을 일으키기 위한 에어 노즐(2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에어 노즐(28)은 압축공기를 높은 공압으로 공급하는 공기압축기(59) 등으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거나 또는 에어펌프를 사용해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받아 교반조(20) 내의 오폐수에 분사함으로써 수중에 산소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수질정화제가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되면서 슬러지 고형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오폐수에서 분리되기 어려운 과잉의 유해한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전동기로(23)(26)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전동력을 얻으며, 컨트롤러 등으로부터 신호 전류에 의해 시동(구동) 및 운전이 용이하고, 부하에 적합한 기종을 선택하기 쉽고, 소음 및 진동이 작고, 배기공해가 없는 통상의 전동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따른 전압 입력을 회전각으로 바꾸어 정지 및 반전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서보 모터나 펄스에 따라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스텝 모터를 채용할 수 있고, 그밖에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구동에 필요한 힘으로 출력하도록 조절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기어드 모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약품투입기(30)는 교반조(20) 위에서 수질정화제를 일정량씩 투입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다.
즉, 약품투입기(30)는 수질정화제를 임시 저장하고 전동식 스크루 컨베이어 또는 전동식 벨트 컨베이어 등의 이송 수단을 통해 교반조(20)로 정량 공급하는 장치로, 형강, 봉재, 각재 등의 각종 프레임을 일정한 형태로 연결 고정한 골격에 의해 설치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약품투입기(30)로는 원통상의 도랑 속에서 회전하는 스크루에 의해 호퍼에서 들어온 분립체를 수송하는 스크루 피더(screw feeder)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아울러 약품투입기(30)에는 수질정화제의 배출량을 무게 측정 등의 센싱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밸브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수질정화제로는 유기계와 무기계 응집제 특성을 겸비하여 플럭의 형성이 빠르고 침강 시간이 짧은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글루타민산에 칼슘 등의 미네랄을 첨가하여 가교 밀도가 높고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한 PGα21Ca을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탈수조(40)는 교반조(20)에서 중력이나 원심력의 작용을 받아 그 작용방향으로 이동하는 오폐수 속에 들어 있는 침전물이나 부유 물질과 플록을 걸려 제거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다.
즉, 탈수조(40)의 안쪽 둘레에는 받침앵글(41)이 고정되어 있고, 완속교반조(24)와의 사이 벽에는 완속교반조(24) 상부의 오폐수와 플록을 월류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 가이드(4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탈수조(40) 내부에는 오버플로우 가이드(42)를 통해 옮겨지는 오폐수를 여과하고 플록을 흡착 및 탈수하여 슬러지 케이크를 분리 제거하기 위한 슬러지 블랭킷(43)이 받침앵글(41)에 그 상부가 얹힌 상태로 내장되어 있다.
또한, 탈수조(40)의 하부에는 슬러지 블랭킷(43)을 통해서 여과된 정화수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밸브(44)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탈수조(40)는 오폐수와 플록을 월류가 원활할 수 있도록 교반조(20)와 격벽을 두고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서로 조합 및 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즉, 교반조(20)와 탈수조(40)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급속임펠러(22)와 완속임펠러(25) 및 슬러지 블랭킷(43) 등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장치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기술 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오버플로우 가이드(42)는 탈수조(40) 내에서 슬러지 블랭킷(43)을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들어내어 하역할 때 접촉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그 하부 양쪽이 완속교반조(24)와의 격벽에 힌지 이음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받침앵글(41)에 얹히는 슬러지 블랭킷(43)의 상부, 즉 아가리 부분의 테두리는 금속 프레임으로 견고하게 고정하고, 그 사방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한 하역 작업이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아이볼트 및 샤클 등의 체인 및 걸쇠를 연결하거나 밧줄을 매는 데 사용하는 장치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사 여과기(50)는 탈수조(40)의 오폐수를 이송펌프(P2)의 펌핑 작용으로 공급받아 여과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다.
즉, 섬유사 여과기(5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둘레에 오폐수 유입구(52)와 역세수 배출구(53)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오폐수 배출 및 역세수 유입을 위한 연결관(54)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5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51) 내의 중앙부에는 연결관(54)과 통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둘레에 다수 개의 공극이 배열 형성되어 있어 각종 이물질의 침입은 막고 물만 받아들이는 스트레이너(5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51) 내에 스트레이너(55)의 바깥쪽 둘레에는 다수 개의 미세 섬유사 다발(56)이 둘러싸듯이 배치되어 있다.
즉, 섬유사 다발(56)은 비직조형 섬유사들 간의 간격이 좁은 다발 형태로 만들어 다공성 스트레이너(55)의 표면에 6~10cm 정도의 두께로 압착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51) 내의 섬유사 다발(56)의 하부에는 부유구(57)가 장착되어 있고, 섬유사 다발(56)을 이완시켜 공극을 크게 하기 위해 부유구(57) 아래에서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부력으로 상승시키는 공기공급관(58)이 장착되어 있으며, 공기공급관(58)을 통해 부유구(57)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높은 공압으로 공급하는 공기압축기(59)가 구비되어 있다.
즉, 섬유사 다발(56)에 눈막힘 현상이 발생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관(58)을 통해 부유구(57)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부력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섬유사 다발(56)의 간격을 넓혀 공극을 크게 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연결관(54)을 통해 역세수를 고압으로 유입시켜 미세한 슬러지 등을 떨어냄으로써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세척수 탱크(60)는 섬유사 여과기(50)에서 침전물이 여과된 물을 세척수로 재활용하기 위해 이송펌프(P2)의 펌핑 작용으로 일부 또는 전체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세척수 탱크(60)는 오폐수 탱크(10)의 양쪽에 나란하게 설치할 수 있다.
고압세척기(70)는 세척수 탱크(60)의 세척수를 수압펌프(71)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고압세척기(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 탱크(60)와 수압펌프(71)를 통해 호스로 연결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건(72)이 구비되어 있고, 이 노즐건(72)과 나란하면서 길이가 길게 흡입관(73)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흡입관(73)은 오폐수 탱크(10)와 진공펌프(11)를 통해 호스로 연결되어 노즐건(72)의 고압 분사 작용에 의해 비산되는 세척수 및 오폐수를 빨아들일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처리차는 지하 구조물 내에 쌓인 침전물과 오폐수를 함께 진공 흡입하여 응집 및 탈수하고, 슬러지 케이크를 분리 및 제거한 후 여과처리함으로써 깨끗하게 정화된 상태로 하천으로 흘려보내거나 일부는 지하 구조물 내에 쌓인 침전물을 부수고 희석하거나 씻어 내리는 용도의 세척수를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처리차는 차체(차대)의 한쪽에 접거나 펼 수 있는 지지대(80)가 장치되어 있고, 그 지지대(80)에는 맨홀 뚜껑을 작은 힘으로 당겨서 들어올리고 내리기 위한 체인 블록(81)이 장착되어 있다.
특히 지지대(80)는 단면의 형상이 'ㄷ'자형으로 이루어진 제1형강(82)과, 그 제1형강(82)과 포개지듯이 접거나 펼 수 있는 제2형강(84)과, 체인 블록(81)이 제1형강(8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제1형강(82)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레일(86) 및 체인 블록(81)을 탑재한 채 레일(86)을 따라 위치 이동하는 슬라이더(8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형강(82)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은 차체의 한쪽에 힌지(H) 이음으로 부착되어 있고, 또 길이 방향을 따라 양쪽으로는 장공(slot hole)(8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형강(84)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에는 장공(83)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형강(84)을 제1형강(82)의 내부 공간 속으로 포개어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안내 및 유도하는 가이드 핀(85)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체인 블록(81)은 제1형강(82)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지지대(80)는 레일(86)과 슬라이더(87)의 미끄럼 운동에 의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체인 블록(81)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이송에 따른 관성력 및 편하중 등의 힘을 분산시켜 한층 원활하고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체인 블록(81)은 기어감속장치, 감기통(드럼) 등으로 구성되어 감속기어로 감기통을 회전시켜 권상용 로프나 체인을 감아 올리고, 그 끝에 장착되어 있는 훅(hook) 또는 자석으로 맨홀 뚜껑을 걸거나 자기력으로 부착하여 들어올리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1형강(82)과 제2형강(84)의 길이는 자유롭게 접거나 펴서 체인 블록(8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아울러 체인 블록(81)을 맨홀 뚜껑의 위쪽까지 넉넉히 이동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처리차는 지지대(80)와 체인 블록(81)을 이용하여 청소작업 시 지하 구조물의 출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맨홀 뚜껑을 작은 힘으로 당겨서 들어올리고 내릴 수 있어 작업능률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오수 처리차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 1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상술한 실시 예 1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오폐수 탱크 11: 진공펌프
20: 교반조 21: 급속교반조
22: 급속임펠러 23: 제1전동기
24: 완속교반조 25: 완속임펠러
26: 제2전동기 30: 약품투입기
40: 탈수조 41: 받침앵글
42: 오버플로우 가이드 43: 슬러지 블랭킷
44: 드레인 밸브 50: 섬유사 여과기
51: 케이싱 52: 오폐수 유입구
53: 역세수 배출구 54: 연결관
55: 스트레이너 56: 섬유사 다발
57: 부유구 58: 공기공급관
59: 공기압축기 60: 세척수 탱크
70: 고압세척기 71: 수압펌프
72: 노즐건 73: 흡입관

Claims (7)

  1. 진공펌프(11)의 부압을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 내의 침전물과 오폐수를 흡입호스(12)로 흡입하는 오폐수 탱크(10); 상기 오폐수 탱크(10)의 침전물과 오폐수를 이송펌프의 펌핑 작용으로 공급받고 수질정화제를 공급받아 혼합하여 플록(floc)을 형성하는 교반조(20); 상기 교반조(20)에 수질정화제를 일정량씩 투입하는 약품투입기(30); 상기 교반조(20)에서 이동하는 오폐수 속에 들어 있는 부유 물질 및 플록을 걸려 제거하는 탈수조(40); 상기 탈수조(40)의 오폐수를 이송펌프의 펌핑 작용으로 공급받아 여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섬유사 여과기(50); 상기 섬유사 여과기(50)에서 침전물이 여과된 물을 이송펌프의 펌핑 작용으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척수 탱크(60); 및 상기 세척수 탱크(60)의 세척수를 수압펌프(71)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토출하는 고압세척기(70)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조(20)는, 상기 오폐수 탱크(10)로부터 오폐수와 상기 약품투입기(30)로부터 수질정화제를 공급받고 급속임펠러(22)가 제1전동기(23)의 구동력으로 고속 회전하여 믹싱하는 급속교반조(21); 및 상기 급속교반조(21)에서 침강 현상으로 옮겨지는 오폐수와 수질정화제 혼합물에 플록을 형성하기 위해 완속임펠러(25)가 제2전동기(26)의 구동력으로 저속 회전하여 믹싱하는 완속교반조(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수조(40)는, 안쪽 둘레에 장착된 받침앵글(41); 상기 완속교반조(24)와 사이 벽에 설치되고 상기 완속교반조(24) 상부의 오폐수와 플록을 월류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 가이드(42); 상기 받침앵글(41)에 상부가 얹힌 상태로 내장되고 상기 오버플로우 가이드(42)를 통해 옮겨지는 오폐수를 여과하고 플록을 흡착 및 탈수하여 슬러지 케이크를 분리 제거하는 슬러지 블랭킷(43); 및 상기 슬러지 블랭킷(43)을 통해서 여과된 정화수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밸브(44)를 더 포함하는 오수 처리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처리차의 차체 한쪽에 접거나 펼 수 있는 지지대(80)가 장치되고, 상기 지지대(80)에 맨홀 뚜껑을 작은 힘으로 당겨서 들어올리고 내리기 위한 체인 블록(81)이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80)는, 단면의 형상이 'ㄷ'자형으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의 한쪽 끝부분이 차체의 한쪽에 힌지(H) 이음으로 부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양쪽으로 장공(slot hole)(83)이 형성된 제1형강(82); 상기 제1형강(82)과 포개지듯이 접거나 펼 수 있고, 길이 방향의 한쪽 끝부분에 상기 장공(8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핀(85)이 장착된 제2형강(84); 상기 체인 블록(81)이 상기 제1형강(8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도록 상기 제1형강(82)의 상면에 고정된 레일(86); 및 상기 체인 블록(81)을 탑재한 채 상기 레일(86)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87)를 포함하는 오수 처리차.
  7. 삭제
KR1020180050640A 2018-05-02 2018-05-02 오수 처리차 KR102018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40A KR102018647B1 (ko) 2018-05-02 2018-05-02 오수 처리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40A KR102018647B1 (ko) 2018-05-02 2018-05-02 오수 처리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647B1 true KR102018647B1 (ko) 2019-09-04

Family

ID=6795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640A KR102018647B1 (ko) 2018-05-02 2018-05-02 오수 처리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64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711B1 (ko) * 2020-12-21 2021-03-08 인영건설 주식회사 친환경 배수구 흡입청소장치
CN112850956A (zh) * 2021-01-07 2021-05-28 安庆市绿巨人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小型化污水处理一体机
CN112960822A (zh) * 2021-03-09 2021-06-15 康大创新(广东)科技有限公司 废水排水机构及净水设备
CN113235686A (zh) * 2021-05-21 2021-08-10 广西乾坤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避免堵塞的河涌污泥治理用移动式抽取装置
CN114455682A (zh) * 2022-02-11 2022-05-10 江苏信泰化工装备有限公司 一种化工污水处理设备
CN116874097A (zh) * 2023-09-08 2023-10-13 山东格路宝环境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多级处理功能的污水处理车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412Y2 (ja) * 1979-08-24 1985-06-11 神田通信工業株式会社 停電時着信表示回路
KR100421443B1 (ko) 2003-04-14 2004-03-18 이텍산업 주식회사 준설차의 오수 리싸이클링장치
KR100458272B1 (ko) * 2001-10-31 2004-12-03 대보공업 주식회사 오니(汚泥)탈수차
KR101093207B1 (ko) 2011-03-30 2011-12-12 주식회사 아이캔두 지하 구조물 폐수 처리장치
KR101211369B1 (ko) * 2012-04-02 2012-12-13 김군수 부상식 섬유여과장치
KR101276405B1 (ko) * 2012-02-19 2013-06-19 김동욱 탈수성능이 향상된 진공 드럼 농축기
KR101839817B1 (ko) 2016-05-04 2018-03-19 디와이산업개발 주식회사 건식 필터 분리 방식의 건습식 겸용 준설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412Y2 (ja) * 1979-08-24 1985-06-11 神田通信工業株式会社 停電時着信表示回路
KR100458272B1 (ko) * 2001-10-31 2004-12-03 대보공업 주식회사 오니(汚泥)탈수차
KR100421443B1 (ko) 2003-04-14 2004-03-18 이텍산업 주식회사 준설차의 오수 리싸이클링장치
KR101093207B1 (ko) 2011-03-30 2011-12-12 주식회사 아이캔두 지하 구조물 폐수 처리장치
KR101276405B1 (ko) * 2012-02-19 2013-06-19 김동욱 탈수성능이 향상된 진공 드럼 농축기
KR101211369B1 (ko) * 2012-04-02 2012-12-13 김군수 부상식 섬유여과장치
KR101839817B1 (ko) 2016-05-04 2018-03-19 디와이산업개발 주식회사 건식 필터 분리 방식의 건습식 겸용 준설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711B1 (ko) * 2020-12-21 2021-03-08 인영건설 주식회사 친환경 배수구 흡입청소장치
CN112850956A (zh) * 2021-01-07 2021-05-28 安庆市绿巨人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小型化污水处理一体机
CN112960822A (zh) * 2021-03-09 2021-06-15 康大创新(广东)科技有限公司 废水排水机构及净水设备
CN113235686A (zh) * 2021-05-21 2021-08-10 广西乾坤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避免堵塞的河涌污泥治理用移动式抽取装置
CN114455682A (zh) * 2022-02-11 2022-05-10 江苏信泰化工装备有限公司 一种化工污水处理设备
CN116874097A (zh) * 2023-09-08 2023-10-13 山东格路宝环境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多级处理功能的污水处理车
CN116874097B (zh) * 2023-09-08 2023-11-21 山东格路宝环境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多级处理功能的污水处理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647B1 (ko) 오수 처리차
KR100674138B1 (ko) 맨홀 청소차의 물재사용 오수 처리 장치
KR101498072B1 (ko) 빗물 처리 장치
KR200483813Y1 (ko) 침사 인양 및 처리장치
KR101156125B1 (ko) 용존공기 부상형 전처리장치
KR101636033B1 (ko) 이물질제거가 용이한 친환경 상하수도 관거
KR102061099B1 (ko) 이동식 지중시설물 인입오수 정화장치
DK172496B1 (da) En metode til fjernelse og rensning af slam og spildevand samt apparat dertil
CN111514649A (zh) 一种河道淤泥处理用泥水分离装置
KR100334742B1 (ko)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51568B1 (ko) 환경친화적인 준설슬러지 탈수처리공법 및 그 장치
KR100470138B1 (ko) 이동식 오니(汚泥)처리시스템
KR101995494B1 (ko) 여재층을 구비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우수처리장치
EP2048293A2 (en) Apparatus for servicing a drain and a corresponding method
JP4382397B2 (ja) 土砂洗浄装置及び土砂洗浄方法
JPH11300400A (ja) 移動型汚泥脱水車
CN220633403U (zh) 一种新型移动式泥浆发生及处理装置
KR200155668Y1 (ko) 침전물 제거장치
KR101336554B1 (ko) 세륜기용 청정수 공급장치
CN113003787B (zh) 一种高效环保污水处理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845997B1 (ko)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KR20090072028A (ko) 침사 종합처리장치
KR20050034668A (ko) 토사슬라임과 슬러지의 연속 진공흡입 이수이토 탈수재처리공법 및 그 장치
KR0167415B1 (ko) 고심도 퇴적물의 준설공법 및 그 장치
CN217198084U (zh) 一种具有污水处理装置的龙门式洗车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