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89561B1 -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561B1
KR101989561B1 KR1020190008687A KR20190008687A KR101989561B1 KR 101989561 B1 KR101989561 B1 KR 101989561B1 KR 1020190008687 A KR1020190008687 A KR 1020190008687A KR 20190008687 A KR20190008687 A KR 20190008687A KR 101989561 B1 KR101989561 B1 KR 101989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information data
terminal device
broadcast providing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담소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담소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담소리
Priority to KR1020190008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08B13/165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663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seismic sens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3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IP 방송 또는 전관방송 서비스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당 IP 방송 또는 전관방송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음성 또는 영상 신호처리를 수행하며,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사용자가 해당 IP 방송 또는 전관방송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영상 신호처리 된 영상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와, 사용자가 해당 IP 방송 또는 전관방송을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음성 신호처리 된 음성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출력장치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에 IP 방송 또는 전관방송 서비스를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각각 제공하는 방송제공서버를 포함함으로써, 통신망을 이용하여 중앙, 개별 운영 및 방송 송출이 가능하며, 저비용으로 방송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구내 방송 시스템에 비해 다양한 활용성 및 실효성 등을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SMART PUBLIC ADDRESS SYSTEM}
본 발명은 중앙, 개별 운영 및 방송 송출이 가능한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w전관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 있어서 대량으로 쏟아지는 정보를 원활하게 전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영상과 문자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 문화사업의 일환으로 프리젠테이션 텔레비전, 멀티미디어 컴퓨터 및 실물 화상기 등의 장비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구내 방송 시스템은 CATV 방송을 위한 케이블과 안내 방송을 위한 스피커 케이블, 인터넷을 위한 초고속 전용 회선 및 전화 케이블 등이 모두 따로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구내 방송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컴퓨터, 전화기 및 텔레비전 등과 같은 외부의 통신 매체와는 별개로 운영되었다.
이로 인해, 전체 구내 방송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초기 설치시의 막대한 비용 및 각각의 장비와 선로 등을 위한 유지/보수하기 위한 비용으로 인해 그 효율성이 떨어졌다.
아울러, 음성 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전달하고, 영상 신호는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통신 장치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스피커용 전송 선로와 동축 케이블 등이 별도로 배선되었다. 이로 인해, 선로 관리시의 어려움, 즉, 선로의 단선, 합선 등과 같은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학교 및 해당 건물 운영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였다.
또한, 기존 구내 방송 시스템은 방송실에 수많은 스피커에 맞는 앰프와 많은 수의 방송장비를 구성하여 단방향 방송을 구현하여 일반 안내방송, BGM방송, 화재방송 외 활용도가 없어 실효성의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많은 수의 케이블 포설로 인한 비용 발생, 선로 이상 등으로 인한 방송 불가 지역 발생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별도의 방송이 필요한 공간에는 별도의 방송 시스템을 구성하여 효율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 구내 방송 시스템은 앰프를 포함한 많은 수의 방송장비를 구성하여 방송실에서 각 회로별로 1:1 스피커 케이블을 포설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많은 예산의 케이블 포설비용이 발생하고, 각 회로별 구성이 변경 불가능하고 실제 운영 시 각 회로별로 목적에 맞는 방송이 불가하여 단순 화재방송을 위한 기능만을 사용하고 있어 방송 시스템의 활용도가 높지 않아 실효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3-007499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중앙, 개별 운영 및 방송 송출이 가능하며, 저비용으로 방송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구내 방송 시스템에 비해 다양한 활용성 및 실효성 등을 효과적으로 보완한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에 연결되어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특정 장소 주변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등의 환경정보 데이터들을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환경측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특정 장소 주변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등의 환경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에 연결되어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특정 장소의 주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CCTV 시스템을 대신하여 범죄 예방을 위한 감시카메라로의 기능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에 연결되어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특정 장소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하여 큰 화재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에 연결되어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특정 장소의 주변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진감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지진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하여 큰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IP 방송 또는 전관방송(Public Address) 서비스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당 IP 방송 또는 전관방송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음성 또는 영상 신호처리를 수행하며,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IP 방송 또는 전관방송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영상 신호처리 된 영상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IP 방송 또는 전관방송을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음성 신호처리 된 음성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출력장치; 및 통신망을 통해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동작을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제어하며,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에 IP 방송 또는 전관방송 서비스를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각각 제공하는 방송제공서버를 포함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자체의 내장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정보 또는 음성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영상출력장치 또는 각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별도의 터치패널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복수의 특정 기능들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별도의 무선망 통신모듈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선 전송된 음성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미리 설치된 웹브라우저(Web browser)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웹사이트의 음성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Download)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자체의 내장메모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 시간에 예약방송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경측정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환경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환경정보 데이터가 기 설정된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경고 메시지를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영상출력장치 또는 각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환경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수집 및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환경정보 데이터들을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수집 및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관리자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환경정보 데이터들을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실시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환경측정장치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환경측정장치의 환경정보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환경측정장치는,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센서모듈,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습도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센서모듈,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기압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기압 측정센서모듈,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자외선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자외선 측정센서모듈,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유해가스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유해가스 측정센서모듈,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미세먼지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초미세먼지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 또는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라돈농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센서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환경측정장치에 구비된 각 환경정보 측정센서모듈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가 기 설정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경고 메시지를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영상출력장치 또는 각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해가스 측정센서모듈은, O3 가스, LPG/LNG 가스, NOx 가스, 알코올(alcohol) 가스, 연기(smoke) 가스, VOC 가스, CO 가스 또는 NH3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해가스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가스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은, 입경 10㎛ 이하의 미세한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또는 일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의 대기오염 물질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먼지 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은, 입경 2.5㎛ 이하의 초미세한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초미세먼지에 포함되어 있는 총탄소, 유기탄소 및 원소탄소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미세먼지 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환경측정장치는,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를 측정하는 위치 및 고도 측정센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환경측정장치에 구비된 각 환경정보 측정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비롯하여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비롯하여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위치 및 해발고도에 따른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관리자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위치 및 해발고도에 따른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실시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및 고도 측정센서모듈은, 복수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이용하여 위도, 경도 및 고도 정보를 수신 받아 현재의 위치와 해발고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외부의 기상청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 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비롯하여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기상청 관리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환경측정장치에 구비된 각 환경정보 측정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가 기 설정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경고 메시지를 관리자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 설정된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은, 미리 설치된 방송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방송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방송제공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제공서버에 저장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방송제공서버에서 다운로드 된 방송 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방송제공서버에 저장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를 관리하는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방송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제공서버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의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결합 및 압축하고, 상기 결합 및 압축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상기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영상획득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또는 줌(Zoom)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상기 방송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팬(Pan) 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변경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방송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카메라부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의 주변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된 화재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감지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과 함께 각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합성한 후 상기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결합 및 압축하여 이를 상기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된 화재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감지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영상출력장치 또는 각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의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 및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에 따라 각 영상획득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각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결합 및 압축하고, 상기 결합 및 압축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상기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결합 및 압축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압축 해제하고 압축 해제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영상획득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의 주변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지진 발생에 대한 지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진감지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지진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된 지진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지진감지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지진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지진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지진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영상출력장치 또는 각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상기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과 함께 각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합성한 후 상기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결합 및 압축하여 이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비상 발생 시 비상호출 기능을 비롯하여 상기 방송제공서버와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비상인터폰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 또는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기 설정된 방송 우선순위에 따라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되, 일반 또는 자체 방송 시에 외부로부터 화재감지신호 또는 지진감지신호가 입력될 경우 자동으로 1순위의 화재 또는 지진 방송이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기 설정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접속된 외부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자체 내장된 볼륨 조절 기능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처리 된 음성정보 데이터의 볼륨이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에 따르면, 통신망을 이용하여 중앙, 개별 운영 및 방송 송출이 가능하며, 저비용으로 방송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구내 방송 시스템에 비해 다양한 활용성 및 실효성 등을 효과적으로 보완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에 연결되어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특정 장소 주변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등의 환경정보 데이터들을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환경측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특정 장소 주변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등의 환경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에 연결되어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특정 장소의 주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CCTV 시스템을 대신하여 범죄 예방을 위한 감시카메라로의 기능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에 연결되어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특정 장소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하여 큰 화재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에 연결되어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특정 장소의 주변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진감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지진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하여 큰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각 환경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리자 단말,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각 환경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리자 단말,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은, 크게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200-1 내지 200-N), 적어도 하나의 음성출력장치(300-1 내지 300-N), 및 방송제공서버(4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방송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환경측정장치(500-1 내지 500-N),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600-1 내지 600-N),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구동장치(700-1 내지 700-N),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장치(800-1 내지 800-N), 적어도 하나의 지진감지장치(900-1 내지 900-N), 적어도 하나의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930-1 내지 930-N), 적어도 하나의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예컨대, 방송제공서버(400),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클라이언트 단말(40) 등)로부터 IP 방송 및/또는 전관방송(Public Address)(예컨대, 학교, 기업체, 빌딩, 아파트 등 공중 설비에 대한 안내방송, 음악방송 등) 등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당 IP 방송 및/또는 전관방송 등 다양한 방송을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음성 및/또는 영상 신호처리를 수행하며, 기 설정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갖는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자체 내장된 볼륨 조절 기능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처리 된 음성정보 데이터의 볼륨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자체의 내장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정보 및/또는 음성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영상출력장치(200-1 내지 200-N) 및/또는 각 음성출력장치(300-1 내지 300-N)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별도의 터치패널(Touch Panel)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복수의 특정 기능들(예컨대,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네트워크 연결, 인터넷 라디오, 강의자료 송출, 예약 방송, 자체 방송, 음원 선택, 어플리케이션 설치 등)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별도의 무선망 통신모듈 및/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외부의 단말(예컨대,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클라이언트 단말(40) 등)로부터 무선 전송된 음성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음성출력장치(300-1 내지 300-N)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미리 설치된 웹브라우저(Web browser)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웹사이트(Web site)(예컨대, 인터넷 라디오, 유튜브(YouTube) 등)의 음성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음성출력장치(300-1 내지 300-N)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사용자가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예컨대, 인공지능 음성 어플 등)을 제약 없이 다운로드(Download)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자체의 내장메모리(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또는 시간에 예약방송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환경측정장치(500-1 내지 500-N)로부터 측정된 환경정보 데이터가 기 설정된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경고 메시지를 사용자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영상출력장치(200-1 내지 200-N) 및/또는 각 음성출력장치(300-1 내지 300-N)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환경측정장치(500-1 내지 500-N)로부터 측정된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방송제공서버(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환경측정장치(500-1 내지 500-N)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환경측정장치(500-1 내지 500-N)의 환경정보 데이터로 변환하여 방송제공서버(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환경측정장치(500-1 내지 500-N)에 구비된 각 환경정보 측정센서모듈(510 내지 580)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가 기 설정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경고 메시지를 사용자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영상출력장치(200-1 내지 200-N) 및/또는 각 음성출력장치(300-1 내지 300-N)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환경측정장치(500-1 내지 500-N)에 구비된 각 환경정보 측정센서모듈(510 내지 580)로부터 측정된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방송제공서버(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환경측정장치(500-1 내지 500-N)에 구비된 각 환경정보 측정센서모듈(510 내지 590)로부터 측정된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비롯하여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방송제공서버(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영상획득장치(600-1 내지 600-N)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결합 및 압축하고, 상기 결합 및 압축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방송제공서버(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된 방송제공서버(40)로부터 전송된 카메라부(미도시)의 위치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팬(Pan) 및/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변경되도록 각 카메라 구동장치(700-1 내지 700-N)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된 방송제공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메라부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확대 및/또는 축소되도록 각 카메라 구동장치(700-1 내지 700-N)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화재감지장치(800-1 내지 800-N)로부터 출력된 화재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감지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또는 경고음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또는 경고음과 함께 각 영상획득장치(600-1 내지 600-N)로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합성한 후 상기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결합 및 압축하여 이를 방송제공서버(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화재감지장치(800-1 내지 800-N)로부터 출력된 화재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감지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또는 경고음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또는 경고음을 사용자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영상출력장치(200-1 내지 200-N) 및/또는 각 음성출력장치(300-1 내지 300-N)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지진감지장치(900-1 내지 900-N)로부터 출력된 지진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지진감지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지진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지진 경고영상 및/또는 경고음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지진 경고영상 및/또는 경고음을 사용자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영상출력장치(200-1 내지 200-N) 및/또는 각 음성출력장치(300-1 내지 300-N)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930-1 내지 930-N)로부터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에 따라 각 영상획득장치(600-1 내지 600-N)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각 영상획득장치(600-1 내지 600-N)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결합 및 압축하고, 상기 결합 및 압축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방송제공서버(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기 설정된 방송 우선순위(예컨대, 1순위-화재 또는 지진 방송, 2순위- 일반 방송(또는 중앙 제어 방송), 3순위-자체 방송 등)에 따라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되, 일반 또는 자체 방송 시에 외부로부터 화재감지신호 및/또는 지진감지신호가 입력될 경우 자동으로 1순위의 화재 또는 지진 방송이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기 설정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으로 접속된 외부의 단말(예컨대,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클라이언트 단말(40) 등)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에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는, 예컨대, 장치의 이름, 장치의 비밀번호, 장치의 일련번호, 장치의 종류, 장치의 제조회사, 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장치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장치의 모델 및 장치의 버전, 장치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장치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각 스미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장치 식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에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통해 방송제공서버(400)의 소프트웨어 접속 시 연결된 모든 장비가 자동으로 셋팅되어 별도의 장비 셋팅이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에는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표시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모듈은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L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표면 전도형 전자방출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시각적 정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는 모듈이라면, 어떠한 모듈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에는 각 환경측정장치(500-1 내지 500-N)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 데이터들을 비롯하여 다양한 정보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모듈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영상출력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IP 방송 및/또는 전관방송 등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영상 신호처리 된 영상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각 영상출력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의 제어에 따라 방송제공서버(400) 및/또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글자, 숫자, 문자, 및/또는 이미지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L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표면 전도형 전자방출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각 음성출력장치(300-1 내지 300-N)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IP 방송 및/또는 전관방송 등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음성 신호처리 된 음성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각 음성출력장치(300-1 내지 300-N)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의 제어에 따라 방송제공서버(400) 및/또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기본적으로 스피커부, 오디오 앰프부, 전원공급부 등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방송제공서버(400)는 통신망(10)을 통해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통신망(10)은 예컨대, 이더넷(Ethernet) 또는 이동 통신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일 수도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도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가 방송제공서버(4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와 방송제공서버(400)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방송제공서버(400)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의 동작을 개별적 및/또는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서버로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에 IP 방송 및/또는 전관방송 등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개별적 및/또는 통합적으로 각각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방송제공서버(400)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수집 및 전송된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환경정보 데이터들을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송제공서버(400)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수집 및 전송된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관리자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환경정보 데이터들을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실시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송제공서버(400)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주기적 및/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송제공서버(400)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비롯하여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위치 및 해발고도에 따른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송제공서버(400)는 관리자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위치 및 해발고도에 따른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실시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송제공서버(400)는 외부의 기상청 관리서버(50)와 연동하여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 된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비롯하여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통신망(10)을 통해 주기적 및/또는 실시간으로 기상청 관리서버(5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송제공서버(400)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가 기 설정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경고 메시지를 관리자가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송제공서버(400)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주기적 및/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 설정된 관리자(20) 및/또는 사용자 단말(3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송제공서버(400)는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4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송제공서버(400)는 네트워크상에서 관리자가 소지한 복수의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과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어 복수의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에게 시스템 자원(이는 OS, CPU, 메모리, 저장장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을 제공하는 물리적 장비로,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에서는 복수의 서버가 네트워크상에서 복수의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과 연결되며, 이때 방송제공서버(400)는 다수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도시된 것이며, 예컨대,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가상 공간상의 게스트 머신을 통해 복수의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이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분배하게 된다. 이러한 사항들은 공지의 일반적인 개념들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Cloud) 서비스 환경이란, 인터넷 기반(클라우드)의 컴퓨팅(Computing)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컴퓨터 네트워크 구성도에서 인터넷을 구름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Infra) 구조를 가지며 IT 관련된 기능들이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컴퓨팅 스타일을 갖는다.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가상화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주문형 서비스(on-demand) 컴퓨팅 등과 같이 다양한 컴퓨팅 개념과 통신 기술이 혼합되어 적용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다수의 컴퓨터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데이터센터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하나의 가상 컴퓨터 또는 서비스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이에 접속하여 각종 소프트웨어, 보안 솔루션 및 컴퓨팅 능력 등을 주문형 서비스(on-demand) 방식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한 IT자원의 온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로서, 개인용 컴퓨터나 기업의 서버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던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인터넷 기반의 가상 서버(Server) 또는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한 다양한 단말을 이용하여 웹브라우저 등의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스토리지, OS 및 보안 등의 컴퓨팅 자원을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만 골라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량에 기반하여 대가를 지불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송제공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Cloud Computing Service)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방송제공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이 요청하는 컴퓨팅 자원을 통신망(10)을 통해 제공해준다. 방송제공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이 요청하는 디바이스(Device)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송제공서버(400)에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파일, 게임 프로그램 파일, 텍스트 데이터 파일, 문서 파일, 그림 파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및 바코드 파일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업자(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파일들을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장치 즉, 스토리지(Storage)를 구비한다.
또한, 방송제공서버(400)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를 관리하는 기 설정된 단말(예컨대,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클라이언트 단말(40) 등)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송제공서버(400)는 기 설정된 단말(예컨대,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클라이언트 단말(40) 등)을 통해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송제공서버(400)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결합 및 압축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압축 해제하고 압축 해제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의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관리자 단말(2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영상획득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송제공서버(400)는 기 설정된 방송 우선순위에 따라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되, 일반 또는 자체 방송 시에 외부로부터 화재감지신호 또는 지진감지신호가 입력될 경우 자동으로 1순위의 화재 또는 지진 방송이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예컨대, 가정, 학교, 건물, 빌딩 등)에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대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경측정장치(500-1 내지 500-N)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각 환경측정장치(500-1 내지 500-N)는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센서모듈(510),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습도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센서모듈(520),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기압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기압 측정센서모듈(530),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자외선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자외선 측정센서모듈(540),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유해가스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유해가스 측정센서모듈(550),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미세먼지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센서부(560),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초미세먼지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부(570), 및/또는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라돈농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센서부(580)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모듈(510 내지 580)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온도 측정센서모듈(510)은 공기 중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주위 온도 변화에 따라 내부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써미스터 소자는 부특성 써미스터(NTC thermister), 정특성 써미스터(PTC thermistor) 또는 임계특성 써미스터(CRT)일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측정센서모듈(510)은 써미스터 소자를 이용한 접촉식 온도센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열전대 센서, 바이메탈, IC 온도센서 및 비접촉식 센서인 적외선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습도 측정센서모듈(520)은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보통 수분에 의한 감습 물질의 전기적 성질의 변화를 이용하여 습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습도 측정센서모듈(520)은 크게 저항형 습도센서와 정전용량형 습도센서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가전제품 및 모바일 뿐만 아니라 자동차 및 의료기기, 공기 정화 시스템 및 자동 냉난방 시스템을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주기 위해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상기 저항형 습도센서는 습도에 의해 변화되는 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습도를 측정한다. 이 저항형 습도센서는 정전용량형 습도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있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전용량형 습도센서도 반도체 기판에 원칩(one chip) 형태로 제조가 가능해짐에 따라 상기 저항형 습도센서 대비 가격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수 있어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정전용량형 습도센서는 저항형 습도센서에 비하여 신뢰성이 우수하면서도 센서 특성이 선형적이고 온도의 영향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정전용량형 습도센서는 감습막에 흡착되는 물 분자량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센서로서, 수분이 흡수되면 유전율이 변하는 폴리이미드(polyimide)나 세라믹(ceramic) 등의 감습 물질을 유전체로 하는 캐패시터(Capacitor) 형태로 동작하게 된다. 즉, 습도를 감지하는 감습층이 존재하고 이러한 감습층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면서 유전율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을 감지하는 원리이다.
기압 측정센서모듈(530)은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기압의 변화(또는 기압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통상적으로 압전 소자(Piezo) 등 대기압에 따라 저항, 전류 또는 전압이 변화하는 소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기압 측정값을 적절한 전압값으로 출력한다.
자외선 측정센서모듈(540)은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자외선 조도값(또는 자외선지수)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광전 효과를 이용한 방전관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약 185~260um 파장대에 해당하는 자외선에 반응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측정센서모듈(540)은 광량에 따라서 전하값이 가변되어 발생하는 전기량을 감지하여 광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태양 복사(Solar Radiation) 센서 형식으로 약 0~1800W/m2의 범위로 측정되어 약 5%의 정밀도를 가진다.
유해가스 측정센서모듈(550)은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유해가스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모듈로서, 예컨대, O3 가스, LPG/LNG 가스, NOx 가스, 알코올(alcohol) 가스, 연기(smoke) 가스, VOC 가스, CO 가스 및/또는 NH3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해가스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가스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560)은 입경 약 10㎛ 이하의 미세한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예컨대,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또는 일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의 대기오염 물질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먼지 센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570)은 입경 약 2.5㎛ 이하의 초미세한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예컨대, 초미세먼지에 포함되어 있는 총탄소, 유기탄소 및 원소탄소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미세먼지 센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라돈 측정센서모듈(580)은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라돈농도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예컨대, 이온화 챔버 방식의 라돈 측정센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알파입자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 표면 장벽형(Surface barrier type), 고순도형 반도체 검출기(pure Ge), 신틸레이션(scintillation, 섬광)검출기, 고체접합계수기(solid state junction counter)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온화 챔버(pulsed ionization chamber) 방식의 라돈 측정센서는 금속으로 된 원통형 상자 내부 중앙에 탐침 형태의 전극을 설치하고 금속 원통과 내부 탐침 사이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장을 형성한 구조이다.
상기 이온화 챔버의 내부에서 알파 붕괴가 발생하여 알파입자가 방출되면 공기와의 충돌로 알파입자는 소멸되지만 이온 전하가 발생하므로 이를 중앙 탐침을 통하여 흡수하여 신호를 증폭하면 알파입자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자체가 금속 원통과 탐침으로 구성되어 매우 저렴하며 내구성이 좋고 빛과 무관하므로 통기성을 좋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표면 장벽형 검출기에 대하여 살펴보면, 반도체의 표면은 표면준위나 산화피막 등 때문에 p-n 접합과 같은 공핍층이 형성되어 있어 표면 부근이 전하이동의 장애물로 되어있다. 실용적인 것으로는 n형 si의 표면에 금을 100㎛/㎠정도로 증착시켜 이것을 한쪽 전극으로 하고 이면에 방사선을 입사시킨다. 여기서, 공핍층의 두께는 약 50~500㎛로 여러 가지가 있고 표면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작기 때문에 주로 알파 방사선으로 발생하는 하전 입자의 검출에 사용되며 에너지 분해능이 좋다.
상기 고순도 반도체 검출기는 일반적으로 pure Ge검출기라고도 부른다. 불순물 농도나 결함이 매우 작은 고순도의 Ge결정체이며 저온에서 전기저항이 매우 높고, 높은 바이어스 전압도 걸 수 있다. Ge(Li)와 다른 점은 상온에서 보존할 수 있고 측정할 때만 액체질소로 냉각시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하기에 편하고 에너지 분해능도 Ge(Li)에 비하여 손색이 없으므로 실용화되고 있다.
상기 신틸레이션 검출기에 대하여 살펴보면, 하전 입자가 어떤 물질에 부딪히면 발광하는 현상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지만 유화아연(ZnS) 또는 NaI 도막의 알파 방사선에 의한 발광은 특히 강하고 암실에서는 확대경으로 검출 및 계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발광을 신텔레이션(scintillation, 섬광)이라 하고, 이러한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을 신틸레이터라 한다. 그리고, 신틸레이터에 광전자 증배관을 결합한 것을 신틸레이션 검출기라 부르지만 특히 펄스출력으로서 계수에 사용하는 방법을 신틸레이션 계수관이라 한다.
한편, 출력을 직류적으로 읽는 방법을 취한 것은 주로 선량측정에 사용되고 있으며 신틸레이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신틸레이션 선량계라 하고, 신틸레이터에는 고체, 액체, 기체 어느 것이나 쓰이고 있으며 액체를 사용하고 있으면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 장치라 한다.
상기 고체 접합계수기는 고체 역바이어스 p-n 접합반도체로서 공핍층(depletion layer)을 통과하는 알파입자로부터 이온 전하를 수집하도록 된 계수기로 소형, 이동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전술한 각 환경측정장치(500-1 내지 500-N)는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를 측정하는 위치 및 고도 측정센서모듈(59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위치 및 고도 측정센서모듈(590)은 복수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미도시)을 이용하여 위도, 경도 및 고도 정보를 수신 받아 현재의 위치와 해발고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위치 및 고도 측정모듈(590)의 GPS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GPS 위성에서 발사하는 신호를 전달받아 기준 시각과 신호전달 시간의 차이로 위성과의 거리를 계산하여 현재 위치의 해발고도 정보를 획득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현재의 기압을 표준 대기압과 비교하여 산출한 해발고도를 표시하는 기압식 고도계, 소리를 땅 위에서 발사하여 반사음이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 그 소리의 속도로 고도를 알아내는 음향 고도계, 전자 펄스를 이용하는 대지 고도계 등을 이용하여 현재의 해발고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각 환경측정장치(500-1 내지 500-N)의 온도 측정센서모듈(510), 습도 측정센서모듈(520), 기압 측정센서모듈(530), 자외선 측정센서모듈(540), 유해가스 측정센서모듈(550), 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560),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570), 라돈 측정센서모듈(580), 위치 및 고도 측정센서모듈(590) 등으로부터 각각 측정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위치 및 고도 등의 환경정보 데이터들을 획득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다수의 측정센서들을 통해 강수량, 풍속, 풍향, 일사량, 안개 등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의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600-1 내지 600-N)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각 영상획득장치(600-1 내지 600-N)는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한 적외선(IR) 카메라 또는 CCD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특정 장소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예컨대, CCTV 등)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각 영상획득장치(600-1 내지 600-N)에는 통상적으로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와, 이미지 신호처리기(Image Signal Processor, ISP)와, 백 엔드 칩(Back_End Chip)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를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로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상기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백 엔드 칩은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로부터 출력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이러한 백 엔드 칩으로는 모바일 스위칭 모뎀(Mobile Switching Modem, MSM)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 및/또는 백 엔드 칩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각 영상획득장치(600-1 내지 600-N)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면,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가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이를 실제의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RGB 포맷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즉, 이미지 처리를 위한 백 엔드 칩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백 엔드 칩은 수신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한다.
또한, 각 영상획득장치(600-1 내지 600-N)에는 통상의 인터폰 등과 같이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홈-패드(Home-Pad)와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도록 음성의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Mic) 및/또는 스피커(Speaker) 등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영상획득장치(600-1 내지 600-N)에 구비된 카메라부(미도시)의 위치 변경 및/또는 줌(Zoom)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장치(700-1 내지 700-N)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의 주변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장치(800-1 내지 800-N)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해당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의 주변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감지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지진 발생에 대한 지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진감지장치(900-1 내지 900-N)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930-1 내지 930-N)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각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930-1 내지 930-N)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객체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감지 센서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 센서모듈은 예컨대, 초음파 센서부(미도시)를 통해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초음파 센서부는 초음파의 송수신을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초음파 센서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머물고 있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이다.
즉, 상기 초음파 센서부는 송신부에서 초음파를 발생한 후, 객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돌아온 시간을 가지고 거리를 측정한다. 대략적인 전파 속도는 대략 공기 중에서 약 340m/s 이기 때문에 이 성질을 가지고 객체의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초음파 센서부 이외에 예컨대, 열화상 센서, 적외선 센서 등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적외선 패시브 방식(Passive Infrared Ray)의 인체 감지 센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인체가 센서의 감지 영역에 들어왔을 때 센서에 입사하는 적외선 양은 인체 표면과 배경과의 온도차에 상당한 양만큼 변화하고 적외선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실내 및/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비상 발생 시 비상호출 기능을 비롯하여 방송제공서버(400)와 음성 및/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각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비상 발생 시 비상호출 기능을 비롯하여 방송제공서버(400)와 음성 및/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방송제공서버(400)의 매개를 통해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에 수신된 통화용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이를 위해 스피커(Speak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는 음성신호 수신부(예컨대, 마이크(microphone) 등)(미도시)를 구비하여 이러한 상기 음성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통화용 음성신호를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 및 방송제공서버(400)의 순차적인 매개 동작을 통해 예컨대, 방송 에이전트(Agent)나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즉, 각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기본적으로 비상호출버튼, 단말기 연결단자, 버튼 표시등, 내부 전원 연결단자, 전압측정회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호출버튼은 비상호출신호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즉, 상기 비상호출버튼의 조작을 통해 각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에 비상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단말기 연결단자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와 각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간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접속 해제하는 구성으로써, 이러한 상기 단말기 연결단자의 접점신호가 폐쇄(close) 상태일 때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의 정상적인 대기 상태로 판단한다.
즉, 각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연결단자의 접점신호가 폐쇄(close) 접점신호이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는 이렇게 상기 단말기 연결단자의 접점신호가 폐쇄(close) 접점신호일 때 각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가 정상적인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버튼 표시등은 상기 비상호출버튼의 식별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상기 버튼 표시등은 야간이나 지하 주차장 등 외부의 조도가 낮은 상황에서 상기 비상호출버튼을 보다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이다.
상기 내부 전원 연결단자는 각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즉, 상기 내부 전원 연결단자가 온(ON) 상태에서 각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의 스피커, 마이크, 버튼 표시등 등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전원 연결단자가 오프(OFF) 상태가 되면서 각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의 스피커, 마이크, 버튼 표시등 등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상기 전압측정회로는 상기 버튼 표시등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버튼 표시등의 이상 상태 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은 미리 설치된 방송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방송제공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은 방송제공서버(400)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방송제공서버(400)에 저장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은 방송제공서버(400)에서 다운로드 된 방송 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제공서버(400)에 저장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방송제공서버(4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방송제공서버(40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100-1 내지 100-N)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PC,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방송제공서버(4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21), A/V(Audio/Video) 입력모듈(22), 사용자 입력모듈(23), 센싱모듈(24), 출력모듈(25), 저장모듈(26), 인터페이스 모듈(27), 단말 제어모듈(28) 및 전원모듈(2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21)은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과 방송제공서버(4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21)은 방송 수신 모듈(21a), 이동 통신 모듈(21b), 무선 인터넷 모듈(21c), 근거리 통신 모듈(21d) 및 위치 정보 모듈(21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a)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서버 또는 방송제공서버(400)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21b)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c)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d)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21e)은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모듈(28)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무선 통신모듈(21) 및/또는 유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저장모듈(26)에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방송제공서버(4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22)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22a)와 마이크부(22b)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22a)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22b)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모듈(23)은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특히 출력모듈(25)의 디스플레이부(25a)를 통해 표시되는 환경관리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센싱모듈(24)은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의 개폐 상태,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의 방위,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28)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28)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모듈(25)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a), 음향출력부(25b), 알람부(25c) 및 햅틱부(25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a)는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출력부(25b)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21)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26)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람부(25c)는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부(25d)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25d)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25d)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저장모듈(26)은 단말 제어모듈(28)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26)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방송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26)은 방송 관리관련 정보의 형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바, 방송 관리관련 데이터가 영상 및 소리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송에 대한 관련데이터 생성의 진행 과정 및 결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26)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7)은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27)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 제어모듈(28)은 통상적으로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단말 제어모듈(28)은 저장모듈(26)에 저장된 방송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송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방송 관리관련 데이터의 생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방송 관리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28)은 상기 방송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관리관련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서 영상,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요소들을 디스플레이부(25a) 및 다른 출력장치(예컨대, 음향출력부(25b), 알람부(25c), 햅틱부(25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28)은 배터리부(29a)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26)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26)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29)은 단말 제어모듈(28)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29)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29a)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28)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26)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2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만약, 관리자 단말(20), 사용자 단말(3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제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스마트폰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1 내지 100-N :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
200-1 내지 200-N : 영상출력장치
300-1 내지 300-N : 음성출력장치,
400 : 방송제공서버,
500-1 내지 500-N : 환경측정장치,
600-1 내지 600-N : 영상획득장치,
700-1 내지 700-N : 카메라 구동장치,
800-1 내지 800-N : 화재감지장치,
900-1 내지 900-N : 지진감지장치,
930-1 내지 930-N :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
950-1 내지 950-N : 비상인터폰 장치

Claims (35)

  1.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관방송(Public Address) 서비스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당 전관방송을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음성 및 영상 신호처리를 수행하며,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전관방송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영상 신호처리된 영상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전관방송을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음성 신호처리된 음성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출력장치; 및
    통신망을 통해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동작을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제어하며,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에 전관방송 서비스를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각각 제공하는 방송제공서버를 포함하되,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자체 내장된 볼륨 조절 기능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처리된 음성정보 데이터의 볼륨이 조절되도록 제어하고, 기 설정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접속된 외부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자체의 내장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영상출력장치 및 각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별도의 터치패널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복수의 특정 기능들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별도의 무선망 통신모듈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선 전송된 음성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미리 설치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웹사이트의 음성정보 데이터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자체의 내장메모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 시간에 예약방송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경측정장치가 더 포함되되,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환경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환경정보 데이터가 기 설정된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경고 메시지를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영상출력장치 또는 각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경측정장치가 더 포함되되,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환경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수집 및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환경정보 데이터들을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수집 및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관리자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환경정보 데이터들을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실시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11. 제9 항에 있어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환경측정장치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환경측정장치의 환경정보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12.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각 환경측정장치는,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센서모듈,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습도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센서모듈,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기압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기압 측정센서모듈,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자외선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자외선 측정센서모듈,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유해가스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유해가스 측정센서모듈,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미세먼지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초미세먼지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 또는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라돈농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센서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모듈을 포함하며,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환경측정장치에 구비된 각 환경정보 측정센서모듈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가 기 설정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경고 메시지를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영상출력장치 또는 각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가스 측정센서모듈은, O3 가스, LPG/LNG 가스, NOx 가스, 알코올(alcohol) 가스, 연기(smoke) 가스, VOC 가스, CO 가스 또는 NH3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해가스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가스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은, 입경 10㎛ 이하의 미세한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또는 일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의 대기오염 물질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먼지 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은, 입경 2.5㎛ 이하의 초미세한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초미세먼지에 포함되어 있는 총탄소, 유기탄소 및 원소탄소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미세먼지 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14. 제12 항에 있어서,
    각 환경측정장치는,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를 측정하는 위치 및 고도 측정센서모듈을 더 포함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환경측정장치에 구비된 각 환경정보 측정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비롯하여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비롯하여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위치 및 해발고도에 따른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관리자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위치 및 해발고도에 따른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실시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및 고도 측정센서모듈은, 복수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이용하여 위도, 경도 및 고도 정보를 수신 받아 현재의 위치와 해발고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외부의 기상청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 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비롯하여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기상청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17. 제12 항에 있어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환경측정장치에 구비된 각 환경정보 측정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가 기 설정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경고 메시지를 관리자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 설정된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기 설정된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은, 미리 설치된 방송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방송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방송제공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제공서버에 저장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방송제공서버에서 다운로드 된 방송 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방송제공서버에 저장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22.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되,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별로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를 관리하는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방송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제공서버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유해가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24. 제1 항에 있어서,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의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가 더 포함되되,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결합 및 압축하고, 상기 결합 및 압축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상기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25. 제24 항에 있어서,
    각 영상획득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또는 줌(Zoom)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장치가 더 구비되되,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상기 방송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팬(Pan) 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변경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방송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카메라부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26. 제24 항에 있어서,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의 주변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장치가 더 포함되되,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된 화재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감지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과 함께 각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합성한 후 상기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결합 및 압축하여 이를 상기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27. 제1 항에 있어서,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의 주변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장치가 더 포함되되,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된 화재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감지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영상출력장치 또는 각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28. 제1 항에 있어서,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의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 및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가 더 포함되되,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에 따라 각 영상획득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각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결합 및 압축하고, 상기 결합 및 압축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상기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로부터 결합 및 압축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압축 해제하고 압축 해제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의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영상획득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30. 제1 항에 있어서,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의 주변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지진 발생에 대한 지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진감지장치가 더 포함되되,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각 지진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된 지진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지진감지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지진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지진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지진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영상출력장치 또는 각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31. 제30 항에 있어서,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해당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의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가 더 포함되되,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는, 상기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과 함께 각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합성한 후 상기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결합 및 압축하여 이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방송제공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32. 제1 항에 있어서,
    실내 또는 실외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와 연결되며, 비상 발생 시 비상호출 기능을 비롯하여 상기 방송제공서버와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비상인터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33. 제1 항에 있어서,
    각 스마트 방송제공 단말장치 또는 상기 방송제공서버는,
    기 설정된 방송 우선순위에 따라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되, 일반 또는 자체 방송 시에 외부로부터 화재감지신호 또는 지진감지신호가 입력될 경우 자동으로 1순위의 화재 또는 지진 방송이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34. 삭제
  35. 삭제
KR1020190008687A 2019-01-23 2019-01-23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KR101989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87A KR101989561B1 (ko) 2019-01-23 2019-01-23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87A KR101989561B1 (ko) 2019-01-23 2019-01-23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561B1 true KR101989561B1 (ko) 2019-06-14

Family

ID=6684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687A KR101989561B1 (ko) 2019-01-23 2019-01-23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56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843B1 (ko) 2019-07-18 2020-02-10 주식회사 이너트론 전관 방송 시스템 및 전관 방송 운용방법
KR102115292B1 (ko) * 2019-12-10 2020-05-26 상원엔지니어링(주) 배전반 화재 관리 시스템
KR20210035990A (ko) * 2019-09-25 2021-04-02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빌딩 관리 시스템
KR20210040525A (ko) * 2019-10-04 2021-04-14 권우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20210061182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디티앤바이오 아이피 카메라를 기반으로 환경센서와 연동 동작하는 보안 경보시스템
KR20210112423A (ko) * 2020-03-04 2021-09-15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교육 관리 시스템
KR102316290B1 (ko) * 2020-11-23 2021-10-25 뉴코리아전자통신(주) 암호화 ip 방송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992A (ko) 2002-03-15 2003-09-22 주식회사 바이콤 통합형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64378A (ko) * 2011-12-08 2013-06-18 에스텍 주식회사 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731995B1 (ko) * 2016-01-06 2017-05-04 주식회사 대명코퍼레이션 화재 감시용 카메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992A (ko) 2002-03-15 2003-09-22 주식회사 바이콤 통합형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64378A (ko) * 2011-12-08 2013-06-18 에스텍 주식회사 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731995B1 (ko) * 2016-01-06 2017-05-04 주식회사 대명코퍼레이션 화재 감시용 카메라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843B1 (ko) 2019-07-18 2020-02-10 주식회사 이너트론 전관 방송 시스템 및 전관 방송 운용방법
KR20210035990A (ko) * 2019-09-25 2021-04-02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빌딩 관리 시스템
KR102302939B1 (ko) * 2019-09-25 2021-09-16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5g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빌딩 관리 시스템
KR20210040525A (ko) * 2019-10-04 2021-04-14 권우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2307739B1 (ko) * 2019-10-04 2021-10-01 아트에이브이(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20210061182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디티앤바이오 아이피 카메라를 기반으로 환경센서와 연동 동작하는 보안 경보시스템
KR102397131B1 (ko) * 2019-11-19 2022-05-13 주식회사 디티앤바이오 아이피 카메라를 기반으로 환경센서와 연동 동작하는 보안 경보시스템
KR102115292B1 (ko) * 2019-12-10 2020-05-26 상원엔지니어링(주) 배전반 화재 관리 시스템
KR20210112423A (ko) * 2020-03-04 2021-09-15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교육 관리 시스템
KR102419591B1 (ko) * 2020-03-04 2022-07-12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5g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교육 관리 시스템
KR102316290B1 (ko) * 2020-11-23 2021-10-25 뉴코리아전자통신(주) 암호화 ip 방송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561B1 (ko)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KR101998863B1 (ko) 네트워크 장비의 통신장애관리와 유지관리를 위한 시스템
US10540878B2 (en) Remote sensors for detecting alert conditions and notifying a central station
KR101922211B1 (ko) 라돈 저감을 위한 실내라돈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9524B1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19367B1 (ko) 방송단말장치를 이용한 환경측정 관리 시스템
KR102182207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조명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1957673B1 (ko)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64268B1 (ko) 네트워크 기반 시설의 보안 및 유지관리 시스템
KR101993096B1 (ko)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
US12104807B2 (en) Radon management system using radon detector
KR102160418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영상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218258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환경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168920B1 (ko) Led 조명이 결합된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
KR102419591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5g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교육 관리 시스템
KR102199090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KR102302939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5g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빌딩 관리 시스템
KR102318990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5g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관리 시스템
KR20210095765A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을 위한 커버형 통합 패키징 시스템
KR102348326B1 (ko)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의료 관리 시스템
KR102129753B1 (ko) 환경 데이터 측정이 가능한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
KR102129750B1 (ko) 영상 획득이 가능한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
KR20230161182A (ko) 차압 센서를 이용한 라돈 저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