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673B1 -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7673B1 KR101957673B1 KR1020180094205A KR20180094205A KR101957673B1 KR 101957673 B1 KR101957673 B1 KR 101957673B1 KR 1020180094205 A KR1020180094205 A KR 1020180094205A KR 20180094205 A KR20180094205 A KR 20180094205A KR 101957673 B1 KR101957673 B1 KR 1019576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work
- information
- communication
- management server
- dat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5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4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29910052704 rad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8
- SYUHGPGVQRZVTB-UHFFFAOYSA-N radon atom Chemical compound [Rn] SYUHGPGVQRZVT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AHZWNYVWXNFOC-UHFFFAOYSA-N Sulphur dioxide Chemical compound O=S=O RAHZWNYVWXNFO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83 Zinc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47 surface barri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84 zinc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30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60 com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0 luminiscence typ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46 outsourc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RDVZXDWVBGGMH-UHFFFAOYSA-N zinc;sulfide Chemical compound [S-2].[Zn+2] DRDVZXDWVBGG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04L43/045—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for graphical visualisation of monitoring dat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3—Patch panels for monitoring, interconnecting or testing circuits, e.g. patch bay, patch field or jack field; Patching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장치 및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산실 내에 구비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유지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의 통신 커넥터 삽입 여부를 감지하여 통신 커넥터 삽입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b)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출력된 통신 커넥터 삽입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의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추출된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b)에서 추출된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와, (d)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이용하여 해당 관리자가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통합적으로 유지관리함과 아울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전산실 내에 구비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효율적으로 유지 및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 시설의 전산실 내에 구비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효율적으로 유지 및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 또는 데이터 센터(data center) 내의 네트워크 장비들 간의 케이블 연결 관계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패치 패널(patch panel)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상기 데이터 센터는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 네트워크 장비, 저장장치인 스토리지(storage) 등이 설치된 시설을 말한다. 이러한 데이터 센터는 인터넷 검색과 이메일, 온라인 쇼핑 등의 작업을 처리하는 공간이다. 잠시라도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이러한 기능이 마비되기 때문에 예비 전력공급장치와 예비 데이터 통신 및 네트워크 장비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컴퓨터 장비에서는 열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냉방 시설이 중요하며 소방 시설과 보안 장치 등을 갖추고 있다.
컴퓨터가 처음 도입되었을 때에도 컴퓨터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했다. 초창기 컴퓨터는 장비 자체도 매우 컸고 이를 운영하기 위한 특별한 환경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장비를 연결하는 복잡한 케이블과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설비, 큰 용량의 전력 설비와 고가의 장비 보호를 위한 보안 설비가 필수였다.
상기 데이터 센터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인터넷이 활성화되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기업이 빠르고 편리하게 인터넷을 이용하려면 전용 시설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대기업의 경우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라는 명칭의 대규모 시설을 보유하기 시작했으며 규모가 작은 기업은 비용 절감을 위해 자사의 장비 보관과 관리를 전문 시설을 갖춘 업체에 위탁하게 되었다. 인터넷 데이터센터는 기업의 인터넷 장비(서버)를 맡아 대신 관리하기 때문에 서버 호텔, 혹은 임대 서버 아파트라고 불린다.
이러한 데이터 센터는 서버가 설치된 장소와 네트워크를 24시간 관리하는 운영센터(NOC, Network Operating Center), 냉각 시설과 전력공급 시설 등으로 구성된다.
서버 장비는 온도와 습도에 민감하므로 일정 기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설비가 기본이다. 적정 온도는 약 16∼24도이며 습도는 약 40∼55%를 유지해야 한다. 또 지진과 홍수와 같은 재해에 대비한 안전장치와 보안 시설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 센터(전산센터, 전산실 등 포함)는 신규장비 도입, 기존 장비의 재배치, 노후 장비의 폐기에 따른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나, 각각의 장비를 담당하는 부서가 다수이고, 복잡한 장비간의 연결 관계 및 일관적이지 못한 데이터 센터의 정보로 인해, 전산실 UPS, 분전반, 항온/항습기 등의 상면 사용에 대한 현황 및 사용률, 랙 사용률, 장비 현황, 장비 전원, 장비 간 통신 및 데이터 회선의 연결 상태 등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데이터 센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센터의 노후화로 인해 대량의 자원 교체 작업이 발생될 경우, 수작업으로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여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배치 작업을 수행하는데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매해 반복적 현행화 작업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패치 패널 시스템은 특수한 패치 코드, 패치 코드 플러그 및 패치 패널을 이용하기 때문에 확장성 및 호환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기술은 기존에 네트워크 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에 적용하기에 불합리한 점들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타 기종간의 호환이 불가능하고, 일체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품의 문제 발생으로 인한 제품 교환 시 네트워크의 단절 또는 장애를 유발시키며, 교체 시 전체의 제품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네트워크 케이블 관리를 위한 시스템이 더미 타입(Dummy Type)으로써 수동적으로만 케이블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기술은 케이블 관리 시스템과 전산실의 기반 시설 관리 시스템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패치 패널의 관리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네트워크 자원 관리가 지능적으로 수행되기 어려운 점이 있고, 관리자 또는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모든 현황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산실 내에 구비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효율적으로 유지 및 통합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기반 시설의 안전한 보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장치 및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산실 내에 구비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유지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의 통신 커넥터 삽입 여부를 감지하여 통신 커넥터 삽입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출력된 통신 커넥터 삽입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의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추출된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b)에서 추출된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이용하여 해당 관리자가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통합적으로 유지관리함과 아울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계(b)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추출된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의 작업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정보를 전송하는 제1-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1-1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의 작업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정보를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작업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2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를 통해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2-1 단계에서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추출하는 제2-2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2-2 단계에서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2-3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2-3 단계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상기 전산실을 비롯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통합적으로 보안 및 유지관리함과 아울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2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2-2 단계에서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2 단계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를 통해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2-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2-2 단계에서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에 따라 각 영상획득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2-2-1 단계에서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제2-2-2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2-2-2 단계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영상획득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2-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2-1 단계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파장센서를 통해 상기 전산실 내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2-1-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2-2-1-1 단계에서 출력된 화재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감지레벨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화재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는 제2-2-1-2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2-2-1-2 단계에서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과 함께 상기 제2-2-1 단계에서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제2-2-1-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2-1-3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각 영상획득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팬(Pan) 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변경되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메라부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2-1-3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2-2-1-3 단계에서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순차적으로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에 동시에 별도의 통신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락 개폐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전산실에 구비된 도어락의 개폐유무를 감지하여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3-1 단계에서 출력된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도어락 개폐정보를 추출하는 제3-2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3-2 단계에서 추출된 도어락 개폐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3-3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3-3 단계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도어락 개폐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상기 전산실을 비롯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통합적으로 보안 및 유지관리함과 아울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2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3-2 단계에서 추출된 도어락 개폐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2 단계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를 통해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2-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3-2 단계에서 추출된 도어락 개폐정보에 따라 각 영상획득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3-2-1 단계에서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제3-2-2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3-2-2 단계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영상획득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2-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2-1 단계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파장센서를 통해 상기 전산실 내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2-1-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3-2-1-1 단계에서 출력된 화재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감지레벨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화재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는 제3-2-1-2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3-2-1-2 단계에서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과 함께 상기 제3-2-1 단계에서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제3-2-1-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2-1-3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각 영상획득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팬(Pan) 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변경되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메라부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2-1-3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3-2-1-3 단계에서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순차적으로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에 동시에 별도의 통신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장애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의 통신장애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통신장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4-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4-1 단계에서 출력된 통신장애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추출하는 제4-2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4-2 단계에서 추출된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4-3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4-3 단계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상기 전산실을 비롯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통합적으로 보안 및 유지관리함과 아울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4-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4-2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4-2 단계에서 추출된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4-2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4-2 단계에서 추출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된 음성출력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통신장애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환경측정장치를 통해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제5-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5-1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제5-2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5-1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이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5-3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5-3 단계에서 전송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상기 전산실 내부의 환경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5-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5-3 단계에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는 각 환경측정장치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환경측정장치의 환경정보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5-3 단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5-3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바탕으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5-3 단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5-3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가 기 설정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경고 메시지를 해당 관리자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와 연결된 별도의 음성출력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5-3 단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5-3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에 기 설치된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5-3 단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관리하는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서 다운로드된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5-3 단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5-3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전산실 도면과 매핑하여 해당 관리자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들을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부 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비상인터폰 장치를 통해 비상 발생 시 비상호출 기능을 비롯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와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를 통해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출력한 후,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락 개폐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전산실에 구비된 도어락의 개폐유무를 감지하여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출력한 후,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출력된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도어락 개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장애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의 통신장애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통신 장애 감지신호를 출력한 후,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출력된 통신장애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로부터 추출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관리하는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서 다운로드된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라직하게,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추출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된 음성출력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통신장애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은 적어도 하나의 랙(Rack)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에서,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는 각각의 패치코드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에 장착될 수 있고, 초음파 센서 또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의 통신 커넥터 삽입 여부를 감지하여 통신 커넥터 삽입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에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는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스캔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를 스캔하여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정보를 수집함과 아울러 상기 수집된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의 케이블 연결 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외부로부터 특정 포트의 연결 변경에 대한 작업지시를 수신 받을 경우, 해당 특정 포트가 속한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에 구비된 특정 표시부를 깜빡거리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검색된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해당 작업 지시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특정 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작업 지시 내용을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술한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따르면, 전산실 내에 구비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효율적으로 유지 및 통합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기반 시설의 안전한 보안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환경측정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리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네트워크 관리서버의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환경측정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리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네트워크 관리서버의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환경측정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리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크게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 및 네트워크 관리서버(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400-1 내지 400-N), 적어도 하나의 도어락 개폐 감지장치(500-1 내지 500-N), 적어도 하나의 통신장애 감지장치(600-1 내지 600-N),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장치(800-1 내지 800-N), 적어도 하나의 환경측정장치(900-1 내지 900-N), 적어도 하나의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Communication Port, CP)에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통신 포트들(CP) 각각의 통신 커넥터(Connector) 삽입 여부를 감지하여 통신 커넥터 삽입 감지신호를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는 각각의 패치코드(patch cord)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에 장착되어 있으며, 예컨대, 포토 센서(photo sensor), 초음파 센서 또는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통신 포트들(CP) 각각의 통신 커넥터 삽입 여부를 감지하여 통신 커넥터 삽입 감지신호를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 출력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에 대해 일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네트워크 장비(10-1 내지 10-N)에 부착되는 타입(type)일 수 있다.
따라서,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는 기 설치된 네트워크 장비(10-1 내지 10-N)의 구조를 변경하는 작업 없이, 네트워크 장비(10-1 내지 10-N)에 부착될 수 있다.
즉,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의 지지 플레이트(몸체)(미도시)는 각 네트워크 장비(10-1 내지 10-N)의 케이블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도 각 네트워크 장비(10-1 내지 10-N)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의 지지 플레이트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된 체결부재(미도시)(예컨대, 경첩, 후크, 나사 등)는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 모델에 장착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설계됨으로써, 높은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은 적어도 하나의 랙(Rack)(20-1 내지 20-N)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 각각은 복수의 통신 포트들(CP)을 구비한다. 예컨대, 각 네트워크 장비(10-1 내지 10-N)는 6port x 4set = 24개의 통신 포트들(CP)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통신 커넥터는 예를 들어 배선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표준 커넥터인 RJ 커넥터 또는 광(Fiber Optic)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RJ 커넥터로는 RJ-11, RJ-12, RJ-45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광 커넥터로는 LC, SC, MTRJ, S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특히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의 작업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정보를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작업정보에 따라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출력된 통신 커넥터 삽입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기 설정된 스캔 스케줄에 기초하여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를 스캔하여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정보를 수집함과 아울러 상기 수집된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특정 포트의 연결 변경에 대한 작업지시를 수신하면, 특정 포트가 속한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를 검색하고, 검색된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에 구비된 특정 표시부(미도시)를 깜빡거리도록 제어하거나,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해당 작업 지시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특정 키(예컨대, 작업 지시의 확인)의 입력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작업 지시 내용을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400-1 내지 400-N)로부터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도어락 개폐 감지장치(500-1 내지 500-N)로부터 출력된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도어락 개폐정보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도어락 개폐정보를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통신장애 감지장치(600-1 내지 600-N)로부터 출력된 통신장애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10-1 내지 10-N)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추출된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10-1 내지 10-N)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상기 추출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된 음성출력모듈(미도시)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에 통신장애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상기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및 상기 추출된 도어락 개폐정보에 따라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로부터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화재감지장치(800-1 내지 800-N)로부터 출력된 화재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감지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재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상기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과 함께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로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 실시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카메라부(미도시)의 위치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팬(Pan) 및/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변경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모듈(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메라부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확대 및/또는 축소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환경측정장치(900-1 내지 900-N)로부터 측정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환경측정장치(900-1 내지 900-N)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모듈(901 내지 908)로부터 측정된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이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는 예컨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이름,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비밀번호,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일련번호,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종류,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제조회사,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모델 및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버전,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 식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환경측정장치(900-1 내지 900-N)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환경측정장치(900-1 내지 900-N)의 환경정보 데이터로 변환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와 통신망(30)을 통해 연결되며, 이때, 통신망(30)은 예컨대, 이더넷(Ethernet) 또는 이동 통신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일 수도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도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3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30)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저장 및 관리되는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또는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4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상기 전산실을 비롯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을 통합적으로 보안 및 유지관리함과 아울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Monitoring)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도 5 내지 도 13 참조).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저장 및 관리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4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영상획득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도 5 내지 도 13 참조).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순차적으로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에 동시에 별도의 통신장치(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4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저장 및 관리되는 환경정보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4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상기 전산실으 내부 및/또는 외부의 환경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도 5 내지 도 13 참조).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환경정보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4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환경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도 5 내지 도 13 참조).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가 기 설정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경고 메시지를 해당 관리자가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와 연결된 별도의 음성출력장치(미도시)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관리하는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50)을 통해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전산실 도면과 매핑하여 해당 관리자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들을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도 5 내지 도 13 참조).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저장 및 관리되는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또는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또는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또는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또는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또는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관리하는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을 통해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또는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다운로드(Download)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복수의 통신 포트들(CP) 각각의 케이블 연결 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외부의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네트워크상에서 관리자가 소지한 복수의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과 통신망(30)을 통해 연결되어 복수의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에게 시스템 자원(이는 OS, CPU, 메모리, 저장장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을 제공하는 물리적 장비로,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에서는 복수의 서버가 네트워크상에서 복수의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다수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도시된 것이며, 예컨대,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가상 공간상의 게스트 머신을 통해 복수의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이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분배하게 된다. 이러한 사항들은 공지의 일반적인 개념들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Cloud) 서비스 환경이란, 인터넷 기반(클라우드)의 컴퓨팅(Computing)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컴퓨터 네트워크 구성도에서 인터넷을 구름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Infra) 구조를 가지며 IT 관련된 기능들이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컴퓨팅 스타일을 갖는다.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가상화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주문형 서비스(on-demand) 컴퓨팅 등과 같이 다양한 컴퓨팅 개념과 통신 기술이 혼합되어 적용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다수의 컴퓨터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데이터센터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하나의 가상 컴퓨터 또는 서비스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이에 접속하여 각종 소프트웨어, 보안 솔루션 및 컴퓨팅 능력 등을 주문형 서비스(on-demand) 방식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한 IT자원의 온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로서, 개인용 컴퓨터나 기업의 서버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던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인터넷 기반의 가상 서버(Server) 또는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한 다양한 단말을 이용하여 웹브라우저 등의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스토리지, OS 및 보안 등의 컴퓨팅 자원을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만 골라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량에 기반하여 대가를 지불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Cloud Computing Service)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이 요청하는 컴퓨팅 자원을 통신망(30)을 통해 제공해준다.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이 요청하는 디바이스(Device)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파일, 게임 프로그램 파일, 텍스트 데이터 파일, 문서 파일, 그림 파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및 바코드 파일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업자(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파일들을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장치 즉, 스토리지(Storage)를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각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400-1 내지 400-N)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예컨대, 패치 패널(Patch Panel), RPCS(Remote Power Control System), 허브(Hub), 라우터(Router), 게이트웨이(Gateway) 등)이 구비된 전산실(또는 서버실, 데이터 센터 등)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객체(예컨대, 사람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각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400-1 내지 400-N)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객체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감지 센서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 센서모듈은 예컨대, 초음파 센서부(미도시)를 통해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초음파 센서부는 초음파의 송수신을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초음파 센서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머물고 있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이다.
즉, 상기 초음파 센서부는 송신부에서 초음파를 발생한 후, 객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돌아온 시간을 가지고 거리를 측정한다. 대략적인 전파 속도는 대략 공기 중에서 약 340m/s 이기 때문에 이 성질을 가지고 객체의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초음파 센서부 이외에 예컨대, 열화상 센서, 적외선 센서 등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적외선 패시브 방식(Passive Infrared Ray)의 인체 감지 센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인체가 센서의 감지 영역에 들어왔을 때 센서에 입사하는 적외선 양은 인체 표면과 배경과의 온도차에 상당한 양만큼 변화하고 적외선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도어락 개폐 감지장치(500-1 내지 500-N)는 상기 전산실에 구비된 도어락(Door Lock)(미도시)의 개폐유무를 감지하여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각 도어락 개폐 감지장치(500-1 내지 500-N)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도어락의 개폐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 센서모듈(미도시)을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상기 도어락의 개폐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모듈(예컨대, 광 센서모듈, 압력 센서모듈 등)이라면 어느 것이든 상관없다.
그리고, 각 통신장애 감지장치(600-1 내지 600-N)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의 통신장애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통신장애 감지신호를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각 통신장애 감지장치(600-1 내지 600-N)는 예컨대, 광섬유(Fiber Optic) 포트의 레벨(예컨대, dB 값)을 감지하고, 상기 광섬유 포트의 전력 레벨 측정을 통해 통신 장애(예컨대, 회선의 정상 유무, 단선 여부 등)를 체크하여 통신 장애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는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는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한 적외선(IR) 카메라 또는 CCD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특정 장소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예컨대, CCTV 등)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에는 통상적으로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와, 이미지 신호처리기(Image Signal Processor, ISP)와, 백 엔드 칩(Back_End Chip)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를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로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상기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백 엔드 칩은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로부터 출력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이러한 백 엔드 칩으로는 모바일 스위칭 모뎀(Mobile Switching Modem, MSM)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 및/또는 백 엔드 칩은 후술하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면,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가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이를 실제의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RGB 포맷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즉, 이미지 처리를 위한 백 엔드 칩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백 엔드 칩은 수신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한다.
또한,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에는 통상의 인터폰 등과 같이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홈-패드(Home-Pad)와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도록 음성의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Mic) 및/또는 스피커(Speaker) 등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에 구비된 카메라부(미도시)의 위치 변경 및/또는 줌(Zoom)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모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화재감지장치(800-1 내지 800-N)는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각 환경측정장치(900-1 내지 900-N)는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각 환경측정장치(900-1 내지 900-N)는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이 구비된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센서모듈(901)과,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습도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센서모듈(902)과,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비의 일측면 및/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이 설치된 랙(Rack)(20-1 내지 20-N)의 일측면에 외부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모여지도록 공간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에 모여진 이물질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이물질 상태에 따라 특정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이물질 감지모듈(903)과,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미세먼지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904)과,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초미세먼지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905)과,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라돈농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센서모듈(906)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측정센서모듈(901 내지 90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측정센서모듈(901)은 공기 중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주위 온도 변화에 따라 내부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써미스터 소자는 부특성 써미스터(NTC thermister), 정특성 써미스터(PTC thermistor) 또는 임계특성 써미스터(CRT)일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측정센서모듈(901)은 써미스터 소자를 이용한 접촉식 온도센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열전대 센서, 바이메탈, IC 온도센서 및 비접촉식 센서인 적외선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습도 측정센서모듈(902)은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보통 수분에 의한 감습 물질의 전기적 성질의 변화를 이용하여 습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습도 측정센서모듈(902)은 크게 저항형 습도센서와 정전용량형 습도센서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가전제품 및 모바일 뿐만 아니라 자동차 및 의료기기, 공기 정화 시스템 및 자동 냉난방 시스템을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주기 위해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상기 저항형 습도센서는 습도에 의해 변화되는 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습도를 측정한다. 이 저항형 습도센서는 정전용량형 습도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있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전용량형 습도센서도 반도체 기판에 원칩(one chip) 형태로 제조가 가능해짐에 따라 상기 저항형 습도센서 대비 가격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수 있어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정전용량형 습도센서는 저항형 습도센서에 비하여 신뢰성이 우수하면서도 센서 특성이 선형적이고 온도의 영향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정전용량형 습도센서는 감습막에 흡착되는 물 분자량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센서로서, 수분이 흡수되면 유전율이 변하는 폴리이미드(polyimide)나 세라믹(ceramic) 등의 감습 물질을 유전체로 하는 캐패시터(Capacitor) 형태로 동작하게 된다. 즉, 습도를 감지하는 감습층이 존재하고 이러한 감습층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면서 유전율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을 감지하는 원리이다.
이물질 감지모듈(903)은 외부 환경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예컨대, 먼지, 분진 또는 철가루 등)이 모여지도록 소정의 공간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공간부에 모여진 이물질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이물질 상태에 따라 특정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물질 감지모듈(903)은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비의 상면 및/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이 설치된 랙(Rack)(20-1 내지 20-N)의 상면에 이물질이 모여지도록 상기 공간부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간부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비의 상면 및/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이 설치된 랙(Rack)(20-1 내지 20-N)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소정 깊이의 홈이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물질 감지모듈(903)에 구비된 공간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간부는 소정의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물질 감지모듈(903)에는 상기 공간부에 모여진 이물질을 감지하여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발광부, 수광부, 제어부, 및/또는 경고부 등의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일정량의 빛을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광부는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 상기 발광부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된 빛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로부터 수신되는 빛의 광량을 제공받아 기설정된 기준 광량 값과 비교한 후, 상기 수광부로부터 수신되는 빛의 광량이 상기 기준 광량 값보다 작을 경우, 이물질 경고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경고부로 전달하거나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경고부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비의 일측면 및/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이 설치된 랙(Rack)(20-1 내지 20-N)의 일측면에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 및/또는 스피커(speak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공간부를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비의 상면 및/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이 설치된 랙(Rack)(20-1 내지 20-N)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소정 깊이의 홈이 파여진 형태로 구현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상기 공간부를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비의 상면 및/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이 설치된 랙(Rack)(20-1 내지 20-N)의 상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돌출되는 기둥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904)은 입경 약 10㎛ 이하의 미세한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예컨대,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또는 일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의 대기오염 물질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먼지 센서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905)은 입경 약 2.5㎛ 이하의 초미세한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예컨대, 초미세먼지에 포함되어 있는 총탄소, 유기탄소 및 원소탄소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미세먼지 센서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라돈 측정센서모듈(906)은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라돈농도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모듈로서, 예컨대, 이온화 챔버 방식의 라돈 측정센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알파입자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 표면 장벽형(Surface barrier type), 고순도형 반도체 검출기(pure Ge), 신틸레이션(scintillation, 섬광)검출기, 고체접합계수기(solid state junction counter)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온화 챔버(pulsed ionization chamber) 방식의 라돈 측정센서는 금속으로 된 원통형 상자 내부 중앙에 탐침 형태의 전극을 설치하고 금속 원통과 내부 탐침 사이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장을 형성한 구조이다.
상기 이온화 챔버의 내부에서 알파 붕괴가 발생하여 알파입자가 방출되면 공기와의 충돌로 알파입자는 소멸되지만 이온 전하가 발생하므로 이를 중앙 탐침을 통하여 흡수하여 신호를 증폭하면 알파입자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자체가 금속 원통과 탐침으로 구성되어 매우 저렴하며 내구성이 좋고 빛과 무관하므로 통기성을 좋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표면 장벽형 검출기에 대하여 살펴보면, 반도체의 표면은 표면준위나 산화피막 등 때문에 p-n 접합과 같은 공핍층이 형성되어 있어 표면 부근이 전하이동의 장애물로 되어있다. 실용적인 것으로는 n형 si의 표면에 금을 100㎛/㎠정도로 증착시켜 이것을 한쪽 전극으로 하고 이면에 방사선을 입사시킨다. 여기서, 공핍층의 두께는 약 50~500㎛로 여러 가지가 있고 표면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작기 때문에 주로 알파 방사선으로 발생하는 하전 입자의 검출에 사용되며 에너지 분해능이 좋다.
상기 고순도 반도체 검출기는 일반적으로 pure Ge검출기라고도 부른다. 불순물 농도나 결함이 매우 작은 고순도의 Ge결정체이며 저온에서 전기저항이 매우 높고, 높은 바이어스 전압도 걸 수 있다. Ge(Li)와 다른 점은 상온에서 보존할 수 있고 측정할 때만 액체질소로 냉각시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하기에 편하고 에너지 분해능도 Ge(Li)에 비하여 손색이 없으므로 실용화되고 있다.
상기 신틸레이션 검출기에 대하여 살펴보면, 하전 입자가 어떤 물질에 부딪히면 발광하는 현상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지만 유화아연(ZnS) 또는 NaI 도막의 알파 방사선에 의한 발광은 특히 강하고 암실에서는 확대경으로 검출 및 계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발광을 신텔레이션(scintillation, 섬광)이라 하고, 이러한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을 신틸레이터라 한다. 그리고, 신틸레이터에 광전자 증배관을 결합한 것을 신틸레이션 검출기라 부르지만 특히 펄스출력으로서 계수에 사용하는 방법을 신틸레이션 계수관이라 한다.
한편, 출력을 직류적으로 읽는 방법을 취한 것은 주로 선량측정에 사용되고 있으며 신틸레이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신틸레이션 선량계라 하고, 신틸레이터에는 고체, 액체, 기체 어느 것이나 쓰이고 있으며 액체를 사용하고 있으면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 장치라 한다.
상기 고체 접합계수기는 고체 역바이어스 p-n 접합반도체로서 공핍층(depletion layer)을 통과하는 알파입자로부터 이온 전하를 수집하도록 된 계수기로 소형, 이동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각 환경측정장치(900-1 내지 900-N)의 온도 측정센서모듈(901), 습도 측정센서모듈(902), 이물질 감지모듈(903), 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904), 초미세먼지 측정센서모듈(905), 및/또는 라돈 측정센서모듈(906) 등으로부터 각각 측정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또는 라돈농도 등의 환경정보 데이터들을 획득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기압의 변화(또는 기압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압 측정센서모듈(907),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현재 위치 및 해발고도를 측정하는 위치 및 고도 측정센서모듈(908) 등을 통해 기압, 위치 및 고도 등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는 상기 전산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됨과 아울러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비상 발생 시 비상호출 기능을 비롯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와 음성 및/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비롯하여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 각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400-1 내지 400-N), 각 도어락 개폐 감지장치(500-1 내지 500-N), 각 통신장애 감지장치(600-1 내지 600-N),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 각 화재감지장치(800-1 내지 800-N), 각 환경측정장치(900-1 내지 900-N), 및 각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에 필요한 공급 전원을 각각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계속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상용 AC 전원(예컨대, AC 220V)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별도의 배터리(Battery)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에는 외부의 전원 충격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고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관리부는 ESD(Electro Static Damage) 보호기, 전원 감지기, 정류기 및 전원 차단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SD 보호기는 정전기 또는 급격한 전원 충격으로부터 전장 부품을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감지기는 허용 전압 범위 외의 전압이 유입될 경우 상기 전원 차단기에 차단신호를 보내고, 허용 전압 범위 내에서 전압 변화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 신호를 상기 정류기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류기는 입력 전압의 변동을 최소하여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감지기의 신호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의 정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차단기는 상기 전원 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차단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은 기 설치된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의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서 다운로드 된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또는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서 다운로드 된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또는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PC,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네트워크 관리서버(6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41), A/V(Audio/Video) 입력모듈(42), 사용자 입력모듈(43), 센싱모듈(44), 출력모듈(45), 저장모듈(46), 인터페이스 모듈(47), 단말 제어모듈(48) 및 전원모듈(4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41)은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과 네트워크 관리서버(6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41)은 방송 수신 모듈(41a), 이동 통신 모듈(41b), 무선 인터넷 모듈(41c), 근거리 통신 모듈(41d) 및 위치 정보 모듈(41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a)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서버 또는 네트워크 관리서버(600)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41b)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41c)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d)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41e)은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모듈(48)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무선 통신모듈(41) 및/또는 유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저장모듈(46)에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42)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42a)와 마이크부(42b)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42a)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42b)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모듈(43)은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특히 출력모듈(45)의 디스플레이부(45a)를 통해 표시되는 네트워크 유지관리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센싱모듈(44)은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의 개폐 상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의 방위,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48)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48)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모듈(45)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45a), 음향출력부(45b), 알람부(45c) 및 햅틱부(45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a)는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출력부(45b)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41)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46)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람부(45c)는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부(45d)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45d)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45d)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저장모듈(46)은 단말 제어모듈(48)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46)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46)은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정보의 형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바,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데이터가 영상 및 소리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네트워크 유지관리에 대한 관련데이터 생성의 진행 과정 및 결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46)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47)은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47)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 제어모듈(48)은 통상적으로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단말 제어모듈(48)은 저장모듈(46)에 저장된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데이터의 생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48)은 상기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서 영상,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요소들을 디스플레이부(45a) 및 다른 출력장치(예컨대, 음향출력부(45b), 알람부(45c), 햅틱부(45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48)은 배터리부(49a)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46)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46)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49)은 단말 제어모듈(48)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49)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49a)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48)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46)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4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만약, 관리자 단말(4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50)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제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스마트폰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며, 도 5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네트워크 관리서버의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은, 먼저,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를 통해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CP) 각각의 통신 커넥터 삽입 여부를 감지하여 통신 커넥터 삽입 감지신호를 출력한다(S100).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단계S100에서 출력된 통신 커넥터 삽입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CP) 각각의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를 추출한다(S200).
그런 다음,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단계S200에서 추출된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S200에서 추출된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S300).
다음으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단계S300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이용하여 해당 관리자가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을 통합적으로 유지관리함과 아울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S400).
추가적으로, 상기 단계S200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추출된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계S100 이전 또는 상기 단계S400 이후에,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의 작업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정보를 전송하는 제1-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1-1 단계에서 전송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의 작업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정보를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작업정보에 따라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2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S100 이전, 상기 단계S400 이후, 또는 상기 제1-2 단계 이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각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400-1 내지 400-N)를 통해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2-1 단계에서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추출하는 제2-2 단계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제2-2 단계에서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2-3 단계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제2-3 단계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4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상기 전산실을 비롯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을 통합적으로 보안 및 유지관리함과 아울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4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2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2-2 단계에서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2 단계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를 통해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2-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2-2 단계에서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에 따라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2-2-1 단계에서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제2-2-2 단계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제2-2-2 단계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4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영상획득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2-3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2-1 단계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각 화재감지장치(800-1 내지 800-N)의 적어도 하나의 파장센서를 통해 상기 전산실 내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2-1-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2-2-1-1 단계에서 출력된 화재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감지레벨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화재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는 제2-2-1-2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2-2-1-2 단계에서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과 함께 상기 제2-2-1 단계에서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 실시간 전송하는 제2-2-1-3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2-1-3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에 구비된 카메라부(미도시)의 위치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팬(Pan) 및/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변경되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모듈(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메라부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확대 및/또는 축소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2-1-3 단계 이후에,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제2-2-1-3 단계에서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순차적으로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에 동시에 별도의 통신장치(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4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S100 이전, 상기 단계S400 이후, 상기 제1-2 단계 이후, 또는 상기 제2-4 단계 이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각 도어락 개폐 감지장치(500-1 내지 500-N)를 통해 상기 전산실에 구비된 도어락의 개폐유무를 감지하여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3-1 단계에서 출력된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도어락 개폐정보를 추출하는 제3-2 단계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제3-2 단계에서 추출된 도어락 개폐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3-3 단계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제3-3 단계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도어락 개폐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상기 전산실을 비롯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통합적으로 보안 및 유지관리함과 아울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4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2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3-2 단계에서 추출된 도어락 개폐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2 단계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를 통해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2-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3-2 단계에서 추출된 도어락 개폐정보에 따라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3-2-1 단계에서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제3-2-2 단계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제3-2-2 단계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4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영상획득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2-3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2-1 단계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각 화재감지장치(800-1 내지 800-N)의 적어도 하나의 파장센서를 통해 상기 전산실 내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2-1-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3-2-1-1 단계에서 출력된 화재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감지레벨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화재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는 제3-2-1-2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3-2-1-2 단계에서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과 함께 상기 제3-2-1 단계에서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 실시간 전송하는 제3-2-1-3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2-1-3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각 영상획득장치(700-1 내지 700-N)에 구비된 카메라부(미도시)의 위치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팬(Pan) 및/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변경되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모듈(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메라부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확대 및/또는 축소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2-1-3 단계 이후에,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제3-2-1-3 단계에서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순차적으로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에 동시에 별도의 통신장치(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4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S100 이전, 상기 단계S400 이후, 상기 제1-2 단계 이후, 상기 제2-4 단계 이후, 또는 상기 제3-4 단계 이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각 통신장애 감지장치(600-1 내지 600-N)를 통해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의 통신장애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통신 장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4-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4-1 단계에서 출력된 통신장애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10-1 내지 10-N)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추출하는 제4-2 단계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제4-2 단계에서 추출된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10-1 내지 10-N)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4-3 단계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제4-3 단계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10-1 내지 10-N)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4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상기 전산실을 비롯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을 통합적으로 보안 및 유지관리함과 아울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4-4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4-2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4-2 단계에서 추출된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10-1 내지 10-N)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4-2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4-2 단계에서 추출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된 음성출력모듈(미도시)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에 통신장애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S100 이전, 상기 단계S400 이후, 상기 제1-2 단계 이후, 상기 제2-4 단계 이후, 상기 제3-4 단계 이후, 또는 상기 제4-4 단계 이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각 환경측정장치(900-1 내지 900-N)를 통해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제5-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5-1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제5-2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5-1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이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제5-3 단계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제5-3 단계에서 전송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40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상기 전산실 내부의 환경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5-4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5-3 단계에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환경측정장치(900-1 내지 900-N)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환경측정장치(900-1 내지 900-N)의 환경정보 데이터로 변환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5-3 단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에,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제5-3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바탕으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5-3 단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에,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제5-3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가 기 설정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경고 메시지를 해당 관리자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와 연결된 별도의 음성출력장치(미도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5-3 단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에,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제5-3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40)에 전송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40)에 기 설치된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5-3 단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에,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5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클라이언트 단말(50)을 통해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의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관리하는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5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50)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50)을 통해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50)을 통해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서 다운로드된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5-3 단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에,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제5-3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전산실 도면과 매핑하여 해당 관리자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농도, 기압, 위치 및/또는 고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들을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S100 이전, 상기 단계S400 이후, 상기 제1-2 단계 이후, 상기 제2-4 단계 이후, 상기 제3-4 단계 이후, 상기 제4-4 단계 이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에, 상기 전산실 내부 및/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된 각 비상인터폰 장치(950-1 내지 950-N)를 통해 비상 발생 시 비상호출 기능을 비롯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와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S100 이전 또는 상기 단계S400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각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400-1 내지 400-N)를 통해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출력한 후,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각 도어락 개폐 감지장치(500-1 내지 500-N)를 통해 상기 전산실에 구비된 도어락의 개폐유무를 감지하여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출력한 후,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출력된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도어락 개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각 통신장애 감지장치(600-1 내지 600-N)를 통해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의 통신장애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통신 장애 감지신호를 출력한 후,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출력된 통신장애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10-1 내지 10-N)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추출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관리하는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5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50)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를 통해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50)에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50)을 통해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서 다운로드된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300)에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추출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된 음성출력모듈(미도시)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에 통신장애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은 적어도 하나의 랙(Rack)(20-1 내지 20-N)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S100에서,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는 각각의 패치코드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1 내지 10-N)에 장착될 수 있고, 포토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통신 포트들(CP) 각각의 통신 커넥터 삽입 여부를 감지하여 통신 커넥터 삽입 감지신호를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S200에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스캔 스케줄에 기초하여 복수의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를 스캔하여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정보를 수집함과 아울러 상기 수집된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300에서,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복수의 통신 포트들(CP) 각각의 케이블 연결 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S100 이전 및/또는 상기 단계S400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외부(예컨대, 네트워크 관리서버(300), 관리자 단말(2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 등)로부터 특정 포트의 연결 변경에 대한 작업지시를 수신 받을 경우, 해당 특정 포트가 속한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에 구비된 특정 표시부(예컨대, LED 등)(미도시)를 깜빡거리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검색된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100-1 내지 100-N)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해당 작업 지시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특정 키(미도시)의 입력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작업 지시 내용을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1 내지 100-N :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
200-1 내지 200-N : 네트워크 제어장치,
300 : 네트워크 관리서버,
400-1 내지 400-N :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
500-1 내지 500-N : 도어락 개폐 감지장치,
600-1 내지 600-N : 통신장애 감지장치,
700-1 내지 700-N : 영상획득장치,
800-1 내지 800-N : 화재감지장치,
900-1 내지 900-N : 환경측정장치,
950-1 내지 950-N : 비상인터폰 장치
200-1 내지 200-N : 네트워크 제어장치,
300 : 네트워크 관리서버,
400-1 내지 400-N :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
500-1 내지 500-N : 도어락 개폐 감지장치,
600-1 내지 600-N : 통신장애 감지장치,
700-1 내지 700-N : 영상획득장치,
800-1 내지 800-N : 화재감지장치,
900-1 내지 900-N : 환경측정장치,
950-1 내지 950-N : 비상인터폰 장치
Claims (35)
-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장치 및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산실 내에 구비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유지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의 통신 커넥터 삽입 여부를 감지하여 통신 커넥터 삽입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출력된 통신 커넥터 삽입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의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추출된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b)에서 추출된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이용하여 해당 관리자가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통합적으로 유지관리함과 아울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환경측정장치를 통해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측정하는 제5-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5-1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제5-2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5-1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이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5-3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5-3 단계에서 전송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상기 전산실 내부의 환경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5-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추출된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의 작업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정보를 전송하는 제1-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1-1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의 작업정보 및 네트워크 자원정보를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작업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를 통해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2-1 단계에서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추출하는 제2-2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2-2 단계에서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2-3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2-3 단계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상기 전산실을 비롯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통합적으로 보안 및 유지관리함과 아울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2-2 단계에서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단계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를 통해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2-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2-2 단계에서 추출된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에 따라 각 영상획득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2-2-1 단계에서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제2-2-2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2-2-2 단계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영상획득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2-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2-1 단계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파장센서를 통해 상기 전산실 내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2-1-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2-2-1-1 단계에서 출력된 화재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감지레벨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화재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는 제2-2-1-2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2-2-1-2 단계에서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과 함께 상기 제2-2-1 단계에서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제2-2-1-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2-1-3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각 영상획득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팬(Pan) 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변경되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메라부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2-1-3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2-2-1-3 단계에서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순차적으로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에 동시에 별도의 통신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락 개폐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전산실에 구비된 도어락의 개폐유무를 감지하여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3-1 단계에서 출력된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도어락 개폐정보를 추출하는 제3-2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3-2 단계에서 추출된 도어락 개폐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3-3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3-3 단계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도어락 개폐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상기 전산실을 비롯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통합적으로 보안 및 유지관리함과 아울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2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3-2 단계에서 추출된 도어락 개폐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2 단계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를 통해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2-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3-2 단계에서 추출된 도어락 개폐정보에 따라 각 영상획득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3-2-1 단계에서 출력된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제3-2-2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3-2-2 단계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영상획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영상획득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2-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2-1 단계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파장센서를 통해 상기 전산실 내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2-1-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3-2-1-1 단계에서 출력된 화재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화재감지레벨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화재감지레벨에 해당되는 기 설정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을 생성하는 제3-2-1-2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3-2-1-2 단계에서 생성된 화재 경고영상 및 경고음과 함께 상기 제3-2-1 단계에서 획득된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제3-2-1-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2-1-3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각 영상획득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팬(Pan) 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변경되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 변경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메라부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이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2-1-3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3-2-1-3 단계에서 합성된 영상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순차적으로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에 동시에 별도의 통신장치를 통해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장애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의 통신장애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통신장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4-1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4-1 단계에서 출력된 통신장애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추출하는 제4-2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4-2 단계에서 추출된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4-3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4-3 단계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관리자가 상기 전산실을 비롯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통합적으로 보안 및 유지관리함과 아울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4-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2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4-2 단계에서 추출된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2 단계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4-2 단계에서 추출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된 음성출력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통신장애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3 단계에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는 각 환경측정장치를 통해 수집된 환경정보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환경측정장치의 환경정보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3 단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5-3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미리 저장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바탕으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3 단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5-3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가 기 설정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환경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환경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환경경고 메시지를 해당 관리자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와 연결된 별도의 음성출력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3 단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5-3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에 기 설치된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3 단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관리하는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서 다운로드된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3 단계 또는 상기 제5-4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5-3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전산실 내부의 지정된 장소에 대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전산실 도면과 매핑하여 해당 관리자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온도, 습도, 이물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라돈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 데이터들을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부 또는 외부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비상인터폰 장치를 통해 비상 발생 시 비상호출 기능을 비롯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와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움직임 감지장치를 통해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출력한 후,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출력된 객체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락 개폐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전산실에 구비된 도어락의 개폐유무를 감지하여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출력한 후,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출력된 도어락 개폐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도어락 개폐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산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장애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의 통신장애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통신장애 감지신호를 출력한 후,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출력된 통신장애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로부터 추출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기반으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로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관리하는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서 다운로드된 네트워크 유지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별 객체의 움직임 패턴정보, 도어락 개폐정보, 통신 커넥터 삽입정보와 대응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정보, 및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통신장애 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은 적어도 하나의 랙(Rack)에 설치되고,
상기 단계(a)에서,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는 각각의 패치코드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에 장착되고, 초음파 센서 또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의 통신 커넥터 삽입 여부를 감지하여 통신 커넥터 삽입 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단계(b)에서,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는 각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기 설정된 스캔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를 스캔하여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정보를 수집함과 아울러 상기 수집된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단계(c)에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의 케이블 연결 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외부로부터 특정 포트의 연결 변경에 대한 작업지시를 수신 받을 경우, 해당 특정 포트가 속한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에 구비된 특정 표시부를 깜빡거리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검색된 통신 커넥터 감지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해당 작업 지시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각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통해 특정 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작업 지시 내용을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
- 제1 항 내지 제18 항, 제20 항 내지 제3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205A KR101957673B1 (ko) | 2018-08-13 | 2018-08-13 |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205A KR101957673B1 (ko) | 2018-08-13 | 2018-08-13 |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7673B1 true KR101957673B1 (ko) | 2019-03-14 |
Family
ID=6575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4205A KR101957673B1 (ko) | 2018-08-13 | 2018-08-13 |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767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33590A1 (ko) * | 2021-09-03 | 2023-03-09 | 김경선 | 커넥터와 연결하는 분배 장치와, 그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 및 그 방법들 |
CN116739568A (zh) * | 2023-08-14 | 2023-09-12 | 北京绿色苹果技术有限公司 | 基于大数据的网络运维服务智能检测方法、系统及介质 |
KR102667219B1 (ko) * | 2024-02-23 | 2024-05-21 | 주식회사 에이디엠 | 통합배선반 네트워크 유지관리 시스템 |
KR102667218B1 (ko) * | 2024-02-23 | 2024-05-21 | 주식회사 에이디엠 | 통합배선반 네트워크 유지관리 시스템 및 방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7864B1 (ko) * | 2008-07-09 | 2008-11-07 | 인터컴 소프트웨어(주)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통합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JP2009037573A (ja) * | 2007-08-04 | 2009-02-19 | Multi Solution:Kk | データセンター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
KR101357900B1 (ko) * | 2012-10-15 | 2014-02-12 | (주) 티씨아이네트 | 네트워크 케이블 및 기반 시설의 지능형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KR101631455B1 (ko) | 2008-11-12 | 2016-06-17 | 팬듀트 코포레이션 | 인텔리전트 패칭 시스템 |
KR101637458B1 (ko) * | 2015-03-19 | 2016-07-08 | 주식회사 위엠비 | 데이터센터 통합 관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
KR101762534B1 (ko) * | 2016-02-23 | 2017-07-28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전기설비 원격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 |
KR20180033903A (ko) * | 2016-09-26 | 2018-04-04 | 주식회사 이노아이엔씨 | 데이터 센터 관리 시스템 |
-
2018
- 2018-08-13 KR KR1020180094205A patent/KR1019576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37573A (ja) * | 2007-08-04 | 2009-02-19 | Multi Solution:Kk | データセンター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
KR100867864B1 (ko) * | 2008-07-09 | 2008-11-07 | 인터컴 소프트웨어(주)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통합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631455B1 (ko) | 2008-11-12 | 2016-06-17 | 팬듀트 코포레이션 | 인텔리전트 패칭 시스템 |
KR101357900B1 (ko) * | 2012-10-15 | 2014-02-12 | (주) 티씨아이네트 | 네트워크 케이블 및 기반 시설의 지능형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KR101637458B1 (ko) * | 2015-03-19 | 2016-07-08 | 주식회사 위엠비 | 데이터센터 통합 관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
KR101762534B1 (ko) * | 2016-02-23 | 2017-07-28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전기설비 원격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 |
KR20180033903A (ko) * | 2016-09-26 | 2018-04-04 | 주식회사 이노아이엔씨 | 데이터 센터 관리 시스템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33590A1 (ko) * | 2021-09-03 | 2023-03-09 | 김경선 | 커넥터와 연결하는 분배 장치와, 그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 및 그 방법들 |
KR20230034797A (ko) * | 2021-09-03 | 2023-03-10 | 김경선 | 커넥터와 연결하는 분배 장치와, 그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 및 그 방법들 |
KR102587756B1 (ko) | 2021-09-03 | 2023-10-11 | 김경선 | 커넥터와 연결하는 분배 장치와, 그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 및 그 방법들 |
CN116739568A (zh) * | 2023-08-14 | 2023-09-12 | 北京绿色苹果技术有限公司 | 基于大数据的网络运维服务智能检测方法、系统及介质 |
CN116739568B (zh) * | 2023-08-14 | 2023-10-10 | 北京绿色苹果技术有限公司 | 基于大数据的网络运维服务智能检测方法、系统及介质 |
KR102667219B1 (ko) * | 2024-02-23 | 2024-05-21 | 주식회사 에이디엠 | 통합배선반 네트워크 유지관리 시스템 |
KR102667218B1 (ko) * | 2024-02-23 | 2024-05-21 | 주식회사 에이디엠 | 통합배선반 네트워크 유지관리 시스템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8863B1 (ko) | 네트워크 장비의 통신장애관리와 유지관리를 위한 시스템 | |
KR101957673B1 (ko) |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
KR101989561B1 (ko) |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 |
KR101964268B1 (ko) | 네트워크 기반 시설의 보안 및 유지관리 시스템 | |
US10977919B2 (en) | Security system coupled to a door lock system | |
US10055869B2 (en) | Enhanced reality system for visualizing, evaluating, diagnosing, optimizing and servicing smart grids and incorporated components | |
KR101975681B1 (ko)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IoT 디바이스의 환경측정 모니터링 시스템 | |
US10304273B2 (en) |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with third party secured access to a dwelling | |
US10993111B2 (en) |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in communication with mobile device that stores associated user data | |
US9647996B2 (en) | Low power device with encryption | |
KR102239524B1 (ko)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 |
US10176380B1 (en) | Trainable versatile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of devices | |
US20170243455A1 (en) | Door lock system with one or more virtual fences | |
US10650247B2 (en) | Sharing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 |
US10733456B2 (en) | Sharing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 |
KR101919367B1 (ko) | 방송단말장치를 이용한 환경측정 관리 시스템 | |
KR101878708B1 (ko) |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가전기기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 |
US20180035085A1 (en) | Incentivizing activation of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 |
US9693181B1 (en) | Surveillance detection based on an identification of a carried mobile device | |
KR101993096B1 (ko) |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의 데이터 관리 장치 | |
US20100315507A1 (en) | Surveillance system including a large number of cameras | |
Zhou et al. | Towards internet of things (iot) forensics analysis on intelligent robot vacuum systems | |
KR102216920B1 (ko) | 라돈 측정기를 이용한 라돈 관리 시스템 | |
Chang et al. | Smart Hom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Ethical Issues. | |
CN113962577A (zh) | 一种多体系智慧园区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