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68538B1 - 잼 제거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잼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잼 제거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잼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538B1
KR101968538B1 KR1020120144674A KR20120144674A KR101968538B1 KR 101968538 B1 KR101968538 B1 KR 101968538B1 KR 1020120144674 A KR1020120144674 A KR 1020120144674A KR 20120144674 A KR20120144674 A KR 20120144674A KR 101968538 B1 KR101968538 B1 KR 101968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oor member
unit
open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297A (ko
Inventor
박정연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538B1/ko
Priority to EP13178426.6A priority patent/EP2743780B1/en
Priority to US13/953,154 priority patent/US9152123B2/en
Priority to CN201310598093.8A priority patent/CN103869656A/zh
Publication of KR2014007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0136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transfer member separable from recording member or vice versa, mode swit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잼 제거장치는, 현상유닛을 탑재하는 트레이의 인출입 경로에 설치되며, 장치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제1 도어부재; 상기 장치 본체에서 상기 제1 도어부재와 반대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제2 도어부재;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한 상기 트레이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와, 상기 현상유닛이 전사유닛에 접근/이격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를 구비한 가이드유닛; 상기 제1 도어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를 연결하는 제1 링크유닛; 및 상기 제2 도어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을 연결하는 제2 링크유닛;을 포함하는 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잼 제거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잼 제거방법{DEVICE For JAM REMOVING, IMAGE FORMING APPARAUS HAVING THE SAME and mehtod for jam removing}
본 발명은 잼 제거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잼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형성과정에서 잼 발생시 잼 제거가 용이한 잼 제거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잼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정보에 대응하여 변조된 광을 감광체에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러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한 후 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정착을 하는 방식으로 인쇄를 수행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록매체의 상태, 내부 구성부품의 마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기록매체가 장치 내부에서 걸리는 현상, 이른바 잼(jam)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잼 발생시, 걸린 기록매체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기록매체가 현상유닛과 전사유닛 사이에 걸려 있는 경우, 현상유닛과 전사유닛이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매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기록매체가 찢겨져 기록매체의 확실한 제거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전사유닛 또는 현상유닛이 기록매체와의 마찰에 의해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인쇄작업이 부정확해지거나, 불가능해질 수 있다.
전사유닛과 현상유닛 사이에 걸린 기록매체를 장치 본체의 양 방향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잼 제거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잼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잼 제거장치는 현상유닛을 탑재하는 트레이의 인출입 경로에 설치되며, 장치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제1 도어부재; 상기 장치 본체에서 상기 제1 도어부재와 반대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제2 도어부재;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한 상기 트레이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와, 상기 현상유닛이 전사유닛에 접근/이격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를 구비한 가이드유닛; 상기 제1 도어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를 연결하는 제1 링크유닛; 및 상기 제2 도어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을 연결하는 제2 링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부재의 개폐 동작시,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제2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현상유닛을 상기 전사유닛에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어부재의 개폐 동작시,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제2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현상유닛을 상기 전사유닛에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유닛 및 상기 제2 링크유닛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인장/수축이 가능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재 중 어느 하나의 도어부재가 개방되는 경우, 개방되지않은 다른 도어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를 연결하는 상기 링크유닛이 인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재 중 어느 하나의 도어부재가 개방되는 경우, 개방된 도어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를 연결하는 상기 링크유닛이 인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중 어느 하나는, 돌출 형성된 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보스가 삽입되어 상기 보스를 가이드하기 위한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공은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전사유닛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전사유닛에 이격되기 위한 제1 이격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 이격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전사유닛에 이격되기 위한 제2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부재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보스는 상기 제1 이격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어부재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보스는 상기 제2 이격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부재 또는 상기 제2 도어부재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보스는 상기 접촉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가시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유닛이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현상유닛을 탑재하며, 상기 장치 본체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 상기 현상유닛에 의해 형성된 가시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유닛; 및 상술한 잼 제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잼 제거방법은, 장치 본체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 도어부재와, 현상유닛을 탑재한 트레이의 인출입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와, 상기 제1 가이드를 전사유닛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와,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링크유닛을 구비한 잼 제거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어부재를 개방하여, 상기 제2 가이드를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가이드에 의해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전사유닛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현상유닛을 상기 전사유닛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어부재를 개방하여, 상기 제2 가이드를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가이드에 의해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전사유닛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와, 상기 현상유닛을 상기 전사유닛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부재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를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잼 제거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잼 제거방법은 장치 본체의 양 방향에 설치된 제1 및 제2 도어부재와 현상유닛을 연동시킴으로써, 제1 또는 제2 도어부재의 개방 동작시, 현상유닛이 전사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현상유닛과 전사유닛 사이에 걸린 기록매체를 장치 본체의 양 방향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잼이 발생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잼 제거장치를 중심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가이드 유닛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링크유닛 및 제2 링크유닛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잼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장치 본체(10), 급지유닛(20), 광주사유닛(30), 현상유닛(40C, 40M, 40Y, 40K, 이하 '40'으로 표시), 전사유닛(50), 정착유닛(60), 및 배출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장치 본체(10)의 양 측면에는, 장치 본체(1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제1 도어부재(110) 및 제2 도어부재(120)가 설치될 수 있다.
급지유닛(20)은 기록매체(P)를 현상유닛(40)으로 공급한다. 급지유닛(20)은 장치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세트(21)를 포함한다. 기록매체(P)는 카세트(21)에 적재되고, 인쇄 동작 시에 카세트(21)에 적재된 기록매체(P)는 픽업롤러(23)에 의해 한 장씩 픽업된다. 픽업롤러(23)에 의해 픽업된 기록매체(P)는 전사유닛(50), 현상유닛(40) 방향으로 이송된다.
광주사유닛(3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감광부재(41)에 조사하여 감광부재(4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도 1과 같은 컬러 화상형성장치(1)의 경우, 광주사유닛(30)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에 대응하는 광을 감광부재(41)에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현상유닛(40)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유닛(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현상유닛(40)은 감광부재(41), 감광부재(41)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43), 각 감광부재(4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롤러(42) 및 전사 후 감광부재(41)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현상유닛(40)은 수용된 토너의 색상이 서로 다르지만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현상유닛(40)은 도면상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감광부재(41), 대전롤러(43), 현상롤러(42), 및 클리닝 부재(44) 각각에 전압을 인가받기 위한 복수의 전기 접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유닛(40)은 내부에 포함된 현상제가 모두 소모되었을 경우, 새로운 현상유닛(40)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상유닛(40)은 장치 본체(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200)에 탑재되어, 장치 본체(10)에 인입될 수 있다. 트레이(200)를 통해 현상유닛(40)을 장치 본체(10)에 인입함으로써, 복수 개의 현상유닛(40)을 한 번에 삽입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200)는 트레이(200)의 인출입 경로에 설치된 제1 도어부재(110)를 개방한 후, 장치 본체(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전사유닛(50)은 감광부재(41)의 표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기록매체(P)에 전사한다. 전사유닛(50)은 기록매체(P)를 반송하는 반송벨트(51)와, 반송벨트(51)로 반송되는 기록매체(P)에 각 감광부재(41)의 표면에 형성된 가시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4개의 전사롤러(52)를 포함할 수 있다. 반송벨트(51)는 구동롤러(53), 텐션롤러(55), 종동롤러(54)를 이용하여 소정의 텐션을 가진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반송벨트(51)은 예로서, 감광부재(41)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기록매체(P)에 직접 전사하기 위한 페이퍼 전사벨트(PTB: Paper Transfer Belt)일 수 있다. 전사롤러(52)에는 각 감광부재(41)에 부착된 현상제의 극성과 반대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그에 따라 감광부재(41)의 표면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반송벨트(51)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정착유닛(60)은 가열부(61)와 가압롤러(62)를 포함한다. 가열부(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기록매체(P)에 열과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기록매체(P) 상의 미정착 화상을 기록매체(P)에 고정시킨다.
배출유닛(70)은 정착유닛(60)을 통과한 기록매체(P)를 화상형성장치(1)의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유닛(70)은 배출롤러(71)와 배출롤러(7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배출백업롤러(7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잼이 발생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화상형성장치(1)는 기록매체(P)에 화상이 형성되는 인쇄과정에서, 기록매체(P)의 상태, 장치 본체(10)에 설치된 부품의 마모 등에 의해 기록매체(P)가 걸리는 현상, 이른바 잼(JAM)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의 전사방식으로 감광부재(41)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에 직접 전사하는 직접 전사방식을 채택할 경우, 기록매체(J1)가 감광부재(41)와 반송벨트(51) 사이를 진입 또는 통과하는 과정에서, 도면과 같이 기록매체(J1)가 걸릴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J2)가 반송벨트(51)를 지나 정착유닛(60)으로 진입 또는 통과하는 과정에서, 도면과 같이 기록매체(J2)가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잼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1 도어부재(110)를 열어 기록매체(J1)를 제거하거나, 제2 도어부재(120)를 열어 기록매체(J2)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감광부재(41)와 반송벨트(51)의 접촉이 해제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제1 도어부재(110) 또는 제2 도어부재(120)만을 열고 감광부재(41)와 반송벨트(51)가 접촉한 상태에서 기록매체(J1, J2)를 제거할 경우, 기록매체(J1, J2)가 찢어지거나, 감광부재(41) 또는 반송벨트(51)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기록매체(J1, J2), 감광부재(41) 및 반송벨트(51)가 파손되지 않도록 기록매체(J1, J2)를 제거하기 위해서, 잼 제거시 반송벨트(51)와 감광부재(41)는 서로 이격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잼 제거장치(100)의 제1 링크유닛(111: 도 3 참조) 및 제2 링크유닛(121: 도 3 참조)은 제1 도어부재(110) 및 제2 도어부재(120)의 개방시, 반송벨트(51)와 감광부재(41)를 이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잼 제거장치를 중심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가이드 유닛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잼 제거장치(100)는 현상유닛(40)을 탑재한 트레이(2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80)과, 장치 본체(1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 도어부재(110, 120)와,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재(110, 120)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링크유닛(111, 12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유닛(80)은 제1 가이드(81)와 제2 가이드(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81)는 트레이(200)의 인입 또는 인출을 가이드하며, 제2 가이드(82)는 현상유닛(40)을 탑재한 트레이(200)가 전사유닛(50)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것을 가이드한다.
제1 가이드(81)는 트레이(200)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면과 같이 제1 가이드(81)의 오목부(811)가 트레이(200)의 돌출부(201)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가이드(81)와 트레이(200)의 결합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가이드(81)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트레이(200)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가이드(82)는 고정부(B)에 의해 장치 본체(10)에 고정되며, 제1 가이드(81)는 제2 가이드(82)에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제1 가이드(81)가 제2 가이드(82)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해서, 제1 가이드(81)와 제2 가이드(82) 중 어느 하나는 돌출 형성된 보스(810, boss)를 포함하며, 다른 하나는 보스(810)가 삽입되어 보스(810)를 가이드하기 위한 장공(8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면과 같이 제1 가이드(81)는 제2 가이드(8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보스(810)를 포함하며, 제2 가이드(82)는 보스(810)가 삽입되어 보스(810)를 가이드하기 위한 장공(8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보스(810)와 장공(820)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제1 가이드(81)에 장공(820)이 배치되고, 제2 가이드(82)에 보스(81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보스(810)가 장공(82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1 가이드(81)는 제2 가이드(82)에 의해 가이드된다. 장공(820)은 감광부재(41)가 반송벨트(51)에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장공(820)은 감광부재(41)가 반송벨트(51)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823)와, 접촉부(823)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감광부재(41)를 반송벨트(51)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제1 이격부(821)와, 접촉부(823)로부터 제1 이격부(821)와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감광부재(41)를 반송벨트(51)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제2 이격부(82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823)는 제1 이격부(821)와 제2 이격부(822) 사이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이격부(821, 822)에 비해 반송벨트(51)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보스(810)가 이러한 장공(820)에 삽입되어 제1 이격부(821), 접촉부(823), 제2 이격부(822)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제1 가이드(81)는 제2 가이드(82)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제1 도어부재(110)는 트레이(200)의 인출입 경로에 설치되며, 장치 본체(10)의 일 측면을 개폐할 수 있다. 제1 도어부재(110)는 힌지축(h1)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장치 본체(10)의 일 측면에 형성된 개구(10a)를 개폐할 수 있다. 제1 도어부재(110)를 개방하여, 트레이(200)를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으며, 장치 본체(10) 내부에 걸린 기록매체(J1)를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링크유닛(111)은 제1 도어부재(110)와 제1 가이드(81)를 연결한다. 제1 도어부재(110)의 개폐 동작시, 제1 링크유닛(111)에 의해 제1 가이드(81)가 연동된다. 예를 들어, 제1 도어부재(110)의 개방시, 제1 가이드(81)의 보스(810)는 제2 가이드(82)의 접촉부(823)에서 제1 이격부(821)로 이동된다. 제1 가이드(81)의 이동에 따라, 제1 가이드(81)에 슬라이딩 결합한 트레이(200)가 함께 이동함으로써, 현상유닛(40)의 감광부재(41)와 반송벨트(51)는 서로 이격된다. 제1 도어부재(110)의 개방시, 감광부재(41)와 반송벨트(51)가 이격될 수 있어, 제1 도어부재(110)에 인접한 기록매체(J1)의 제거가 용이해진다. 이 때, 제1 가이드(81)는 제1 도어부재(110)의 힌지축(h1)에 대향하는 영역에 경사면(81a)을 가질 수 있다. 경사면(81a)을 통해, 제1 가이드(81)가 이동과정에서 힌지축(h1)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도어부재(120)는 장치 본체(10)에서 상기 제1 도어부재(110)와 반대 방향에 설치되며, 장치 본체(10)의 타 측면을 개폐할 수 있다. 제2 도어부재(120)는 힌지축(h2)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장치 본체(10)의 타 측면에 형성된 개구(10b)를 개폐할 수 있다. 제2 도어부재(120)를 개방하여, 제1 도어부재(110)로부터 멀리 떨어진 기록매체(J2), 예를 들어 정착유닛(60: 도 2 참조) 근처에서 걸린 기록매체(J2)를 노출시킬 수 있다.
제2 링크유닛(121)은 제2 도어부재(120)와 제1 가이드(81)를 연결한다. 제2 도어부재(120)의 개폐 동작시, 제2 링크유닛(121)에 의해 제1 가이드(81)가 연동된다. 예를 들어, 제2 도어부재(120)의 개방시, 제1 가이드(81)의 보스(810)는 제2 가이드(82)의 접촉부(823)에서 제2 이격부(822)로 이동된다. 제1 가이드(81)의 이동에 따라, 제1 가이드(81)에 슬라이딩 결합한 트레이(200)가 함께 이동함으로써, 트레이(200)에 탑재된 감광부재(41)와 반송벨트(51)는 서로 이격된다. 제2 도어부재(120)의 개방시 감광부재(41)와 반송벨트(51)가 이격될 수 있어, 제2 도어부재(120)에 인접한 기록매체(J2)의 제거가 용이해진다. 이 때, 제1 가이드(81)는 제2 도어부재(120)의 힌지축(h2)에 대향하는 영역에 경사면(81b)을 가질 수 있다. 경사면(81b)을 통해, 제1 가이드(81)가 이동과정에서 힌지축(h2)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제1 링크유닛 및 제2 링크유닛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 링크유닛(111) 및 제2 링크유닛(121)은 길이방향으로 인장/수축이 가능한 탄성체(111a, 12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유닛(111)은 제1 탄성체(111a)의 인장/수축을 이용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링크유닛(111)을 통해 제1 가이드(81)와 제1 도어부재(110) 사이의 이동거리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제2 링크유닛(121)은 제2 탄성체(121a)의 인장/수축을 이용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링크유닛(121)을 통해, 제1 가이드(81)와 제2 도어부재(120) 사이의 이동거리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제1 탄성체(111a) 및 제2 탄성체(111b)는 탄성을 가진 물체로서, 용수철(spring), 고무(rubber) 등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잼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제1 도어부재(110)의 폐쇄시 잼 제거장치(100)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b)는 제1 도어부재(110)의 개방시 잼 제거장치(100)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제2 도어부재(120)의 폐쇄시 잼 제거장치(100)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7(b)는 제2 도어부재(120)의 개방시 잼 제거장치(100)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도어부재(110)를 개방할 경우, 제1 도어부재(110)와 연동된 제1 가이드(81)는 제1 도어부재(110)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제1 방향으로 힘을 받는 제1 가이드(81)는 장공(820)의 패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장공(820)은 현상유닛(40)의 감광부재(41)가 반송벨트(51)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823)와, 접촉부(823)로부터 연장된 제1 이격부(8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81)의 보스(810)는 접촉부(823)에서 제1 이격부(821)로 이동함으로써, 도 6(b)와 같이 감광부재(41)와 반송벨트(51)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이격시킬 수 있다. d1은 장공(820)의 접촉부(823)와 제1 이격부(821) 사이의 높이 차이로서, 제1 도어부재(110)가 개방되면서 제1 가이드(81)가 이동한 수직 거리, 감광부재(41)가 반송벨트(51)로부터 이격된 거리와 동일하다. d2는 제1 도어부재(110)가 개방되면서 제1 가이드(81)가 이동한 수평 거리이다.
한편, 제1 도어부재(110)의 개방시, 제2 링크유닛(121)은 인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제2 탄성체(121a)를 이용하여, 인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어부재(110, 1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 도어부재(110)를 개방하는 경우, 제2 도어부재(120)는 장치 본체(10)에서 회동되지 않는 상태, 즉 정지 상태이기 때문에, 제1 가이드(81)의 이동거리(d1, d2)를 추종하지 못한다. 이 때, 제2 도어부재(120)와 제1 가이드(81)를 연결하는 제2 링크유닛(121)이 인장 또는 수축함으로써, 제2 도어부재(120)가 추종하지 못한 거리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도어부재(110)의 회동거리와 제1 가이드(81)의 이동거리가 달라질 경우, 제1 링크유닛(111)은 인장될 수 있다.
제1 도어부재(110)가 폐쇄될 경우, 제1 가이드(81)는 제2 도어부재(120)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감광부재(41)와 반송벨트(51)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도어부재(120)를 개방할 경우, 제2 도어부재(120)와 연동된 제1 가이드(81)는 제2 도어부재(120)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제2 방향으로 힘을 받는 제1 가이드(81)는 장공(820)의 패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장공(820)은 현상유닛(40)의 감광부재(41)가 반송벨트(51)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823)와, 접촉부(823)로부터 연장된 제2 이격부(8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81)의 보스(810)는 접촉부(823)에서 제2 이격부(822)로 이동함으로써, 감광부재(41)와 반송벨트(51)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이격시킬 수 있다. t1은 장공(820)의 접촉부(823)와 제2 이격부(822) 사이의 높이 차이로서, 제2 도어부재(120)가 개방되면서 제1 가이드(81)가 이동한 수직 거리, 감광부재(41)가 반송벨트(51)로부터 이격된 거리와 동일하다. t2는 제2 도어부재(120)가 개방되면서 제1 가이드(81)가 이동한 수평 거리이다.
한편, 제2 도어부재(120)의 개방시, 제1 링크유닛(111)은 인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제1 탄성체(111a)를 이용하여, 인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어부재(1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 도어부재(120)를 개방하는 경우, 제1 도어부재(110)는 장치 본체(10)에서 회동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제1 가이드(81)의 이동거리(t1, t2)를 추종하지 못한다. 이 때, 제1 도어부재(110)와 제1 가이드(81)를 연결하는 제1 링크유닛(111)이 인장 또는 수축함으로써, 제1 도어부재(110)가 추종하지 못한 거리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제2 도어부재(120)의 회동거리와 제1 가이드(81)의 이동거리가 달라질 경우, 제2 링크유닛(121)은 인장될 수 있다.
제2 도어부재(120)가 폐쇄될 경우, 제1 가이드(81)는 제1 도어부재(110)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감광부재(41)와 반송벨트(51)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시안(C: cyan), 마젠타(M: magenta), 옐로우(Y: yellow), 블랙(K: black) 색상의 토너를 사용하여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단색의 토너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1)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직접 전사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간 전사벨트(ITB, Intermidiate Transfer Belt)를 이용한 중간 전사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불어,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화상형성장치 10 : 장치 본체
10a, 10b : 개구 20 : 급지유닛
21 : 카세트 23 : 픽업롤러
30 : 광주사유닛 40 : 현상유닛
41 : 감광부재 42 : 현상롤러
43 : 대전롤러 44 : 클리닝 부재
50 : 전사유닛 51 : 반송벨트
52 : 전사롤러 53 : 구동롤러
54 : 종동롤러 55 : 텐션롤러
60 : 정착유닛 61 : 가열롤러
62 : 가압롤러 70 : 배출유닛
71 : 배출롤러 72 : 배출백업롤러
80 : 가이드 유닛 81 : 제1 가이드
810 : 보스 82 : 제2 가이드
820 : 장공 821 : 제1 이격부
822 : 제2 이격부 823 : 접촉부
100 : 잼 제거장치 110 : 제1 도어부재
111 : 제1 링크유닛 111a : 제1 탄성체
120 : 제2 도어부재 121 : 제2 링크유닛
121a : 제2 탄성체 200 : 트레이

Claims (15)

  1. 현상유닛을 탑재하는 트레이의 인출입 경로에 설치되며, 장치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제1 도어부재;
    상기 장치 본체에서 상기 제1 도어부재와 반대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제2 도어부재;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한 상기 트레이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와, 상기 현상유닛이 전사유닛에 접근/이격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를 구비한 가이드유닛;
    상기 제1 도어부재의 개폐 동작시,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제2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현상유닛을 상기 전사유닛에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도어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를 연결하는 제1 링크유닛; 및
    상기 제2 도어부재의 개폐 동작시,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제2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현상유닛을 상기 전사유닛에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 도어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를 연결하는 제2 링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유닛 및 상기 제2 링크유닛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인장/수축이 가능한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재 중 어느 하나의 도어부재가 개방되는 경우, 개방되지않은 다른 도어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를 연결하는 상기 링크유닛이 인장 또는 수축되는 잼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재 중 어느 하나의 도어부재가 개방되는 경우, 개방된 도어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를 연결하는 상기 링크유닛이 인장되는 잼 제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중 어느 하나는, 돌출 형성된 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보스가 삽입되어 상기 보스를 가이드하기 위한 장공을 포함하는 잼 제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은,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전사유닛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전사유닛에 이격되기 위한 제1 이격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 이격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전사유닛에 이격되기 위한 제2 이격부를 포함하는 잼 제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부재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보스는 상기 제1 이격부에 위치되는 잼 제거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부재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보스는 상기 제2 이격부에 위치되는 잼 제거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부재 또는 상기 제2 도어부재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보스는 상기 접촉부에 위치되는 잼 제거장치.
  12. 가시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유닛이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현상유닛을 탑재하며, 상기 장치 본체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
    상기 현상유닛에 의해 형성된 가시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유닛; 및
    제 1 항 또는 제6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잼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장치 본체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 도어부재와, 현상유닛을 탑재한 트레이의 인출입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와, 상기 제1 가이드를 전사유닛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와,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재의 개폐 동작시 상기 제1 가이드가 상기 제2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현상유닛을 상기 전사유닛에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도어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를 연결하며 길이방향으로 인장/수축이 가능한 탄성체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링크유닛을 구비한 잼 제거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어부재를 개방하여, 상기 제2 가이드를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가이드에 의해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전사유닛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현상유닛을 상기 전사유닛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부재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2 링크유닛은 인장 또는 수축되는 잼 제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부재를 개방하여, 상기 제2 가이드를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가이드에 의해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전사유닛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와, 상기 현상유닛을 상기 전사유닛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도어부재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1 링크유닛은 인장 또는 수축되는 잼 제거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부재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를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잼 제거방법.
KR1020120144674A 2012-12-12 2012-12-12 잼 제거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잼 제거방법 KR101968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674A KR101968538B1 (ko) 2012-12-12 2012-12-12 잼 제거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잼 제거방법
EP13178426.6A EP2743780B1 (en) 2012-12-12 2013-07-29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device for removing jam, and method of removing jam
US13/953,154 US9152123B2 (en) 2012-12-12 2013-07-29 Device for removing jam,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removing jam
CN201310598093.8A CN103869656A (zh) 2012-12-12 2013-11-22 卡纸移除装置、成像设备及卡纸移除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674A KR101968538B1 (ko) 2012-12-12 2012-12-12 잼 제거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잼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297A KR20140076297A (ko) 2014-06-20
KR101968538B1 true KR101968538B1 (ko) 2019-04-12

Family

ID=48875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674A KR101968538B1 (ko) 2012-12-12 2012-12-12 잼 제거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잼 제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52123B2 (ko)
EP (1) EP2743780B1 (ko)
KR (1) KR101968538B1 (ko)
CN (1) CN1038696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3116B2 (ja) * 2015-08-03 2019-06-19 シャープ株式会社 扉解除装置及びシート搬送装置
US10241465B2 (en) * 2016-09-26 2019-03-26 Fuji Xerox Co., Lt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8009A1 (en) 2001-01-23 2002-07-25 Koichi Nakamura Image forming device
JP2007033638A (ja) 2005-07-25 2007-02-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0244018A (ja) * 2009-03-19 2010-10-28 Canon Inc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3551A (ja) * 2004-06-16 2006-01-05 Funai Electric Co Ltd レーザプリンタ装置
KR100611990B1 (ko) * 2004-09-06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JP4134984B2 (ja) * 2004-12-27 2008-08-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65534B2 (ja) * 2004-12-27 2009-05-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486907B2 (en) * 2006-01-11 2009-02-03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tray for carrying a process cartridge
JP4241819B2 (ja) * 2006-01-11 2009-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09133B2 (ja) * 2006-01-11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004833B2 (ja) * 2007-05-23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59295B1 (ja) * 2008-09-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62207B2 (ja) 2008-09-29 2010-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87188B2 (ja) 2008-09-30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78891B1 (ja) 2010-07-05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8009A1 (en) 2001-01-23 2002-07-25 Koichi Nakamura Image forming device
JP2007033638A (ja) 2005-07-25 2007-02-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0244018A (ja) * 2009-03-19 2010-10-28 Canon Inc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110293324A1 (en) 2009-03-19 2011-12-01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43780B1 (en) 2019-01-23
EP2743780A2 (en) 2014-06-18
US20140161488A1 (en) 2014-06-12
US9152123B2 (en) 2015-10-06
KR20140076297A (ko) 2014-06-20
CN103869656A (zh) 2014-06-18
EP2743780A3 (en) 201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7868B2 (en) Image-form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and removed therefrom
KR101926717B1 (ko) 화상형성장치, 이를 이용한 전원 전달방법 및 현상유닛 장착방법
US777856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 for detachable unit
JP6041534B2 (ja) 画像形成装置
US87746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45939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0580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289749B2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5585321B2 (ja) 画像形成装置
US941760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346145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639162B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968538B1 (ko) 잼 제거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잼 제거방법
JP6210693B2 (ja) 画像形成装置
US7653326B2 (en) Image formation device with belt mounted pivoting cover
US791240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US2014015396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jam using the same
US109488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00297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