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65671B1 -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671B1
KR101965671B1 KR1020180134988A KR20180134988A KR101965671B1 KR 101965671 B1 KR101965671 B1 KR 101965671B1 KR 1020180134988 A KR1020180134988 A KR 1020180134988A KR 20180134988 A KR20180134988 A KR 20180134988A KR 101965671 B1 KR101965671 B1 KR 101965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rning device
magnet
gas
expansion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경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이보경
이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경, 이상욱 filed Critical 이보경
Priority to KR1020180134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671B1/ko
Priority to US16/518,841 priority patent/US11285870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the vehicle body, e.g. with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60Q7/005Devices without lam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hydraulic transmission; using pneuma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4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with indicator element moving about a pivot, e.g. hinged flap or rotating v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행중인 차량이 사고나 고장이 발생하여 정차한 경우, 사용자가 경고장치인 팽창튜브(30)를 팽창하여 후방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가 본체(10)에 구성된 가스주입기(19)의 손잡이(23)를 당기면 가스용기(20)에 저장된 압축가스가 팽창튜브(30)로 순식간에 주입되고, 주입된 압축가스에 의해 팽창된 경고장치가 기립(起立)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방 운전자가 경고장치를 인식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EXPANSION TYPE CAUTION DIVICE}
본 발명은 운행중인 차량이 사고나 고장이 발생하여 정차한 경우, 사용자가 경고장치인 팽창튜브(30)를 팽창하여 후방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가 본체(10)에 구성된 가스주입기(19)의 손잡이(23)를 당기면 가스용기(20)에 저장된 압축가스가 팽창튜브(30)로 순식간에 주입되고, 주입된 압축가스에 의해 팽창된 경고장치가 기립(起立)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방 운전자가 경고장치를 인식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차량은 도로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교통수단인바, 관리소홀이나 외부요인에 의해 고장이나 사고로 도로에 정차한 경우, 뒤따라오는 후방의 운전자가 전방에 정차되어 있는 차량을 발견하지 못하면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막대한 인명과 재산의 손해가 발행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운행이 불가능한 경우, 후방의 차량 운전자에게 전방의 위험을 알리는 도로용 경고장치로 반사판이 부착된 삼각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고장치 관련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197154호(자동차용 경고삼각대) 등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197154호를 비롯한 종래의 삼각대 형태의 경고장치는 차량 트렁크에 수납하고 운행하다가 차량 운행중 고장이나 사고로 인하여 운행할 수 없을 경우, 삼각대 형태의 경고장치를 이용하여 후방 운전자에게 전방의 상황을 경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우선, 삼각대는 높이와 폭이 각각 40cm 정도로서, 후방 운전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쉽게 발견할 수 있는 크기가 아니기 때문에, 사고방지를 위한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자가 있고, 부피가 커서 트렁크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으며, 부피가 줄어든 접이식 삼각대도 있으나, 비 접이식 삼각대에 비해 부피가 작을 뿐 트렁크 공간을 상당 부분 차지한다.
또한, 삼각대의 재질은 모두 플라스틱 사출물로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트렁크에 보관하더라도 운행 중에 트렁크에 실린 다른 화물과 부딪혀서 파손되는 경우가 많아서 필요시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조립식 삼각대는 조립을 하여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압축가스가 팽창튜브(30)로 주입되도록 구성된 팽창식 경고장치에 있어서,
본체(10)는 상측수납부(12)와 하측수납부(13)가 형성되도록 격판(14)이 형성되고, 격판(14)의 중앙에는 통기관(15)이 구성되며,
상측수납부(12)에는 수축상태의 팽창튜브(30)가 구성되고,
하측수납부(13)에는 가스주입기(19)의 주입구(21)가 통기관(15)의 측면에 관통되어 가스용기(20)에 저장된 압축가스가 통기관(15)을 통해 팽창튜브(30)로 주입되도록 구성되며,
통기관(15)의 하단에는 통기관(15)을 개폐하는 마개(17)가 구성되어,
필요시 가스용기(20)의 압축가스가 가스주입기(19) 및 통기관(15)을 통해 팽창튜브(30)로 순식간에 주입되어 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와,
본체(10)의 하단 테두리에는 회동발(25)이 회동되어 하측수납부(13)로 수납될 수 있도록 회동발삽입홈(27)과 발축(26)이 형성되고, 회동발(25)은 발축(26)을 축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회동발(25)을 본체(10)의 외측으로 펼쳐져 본체(10)의 직립을 지지하거나, 회동발(25)을 회동발삽입홈(27)에 수납하여 본체(10)의 부피를 축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와,
회동발(25)의 하면에 자석(28)이 구성되어, 자석(28)의 자력으로 본체(10)가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이다.
본 발명은 부피가 작고, 보관이 용이하며, 고장이나 사고 발생으로 차량을 운행할 수 없어 도로에 정차할 경우, 본 발명을 간단하게 작동하여 사용하면, 후방 운전자가 경고를 인지하여 대응할 수 있으므로, 전방에 정차중인 차량과의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체에서 뚜껑이 열린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팽창튜브가 팽창되어 본체에 기립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팽창튜브가 수축되어 본체에 수납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동발에 구성된 자석에 의해 차량에 부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회동받침대가 구성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회동받침대가 회동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원리를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외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원통형의 본체(10) 상부에는 뚜껑(11)이 구성되고, 본체(10)의 상측수납부(12)에는 수축된 팽창튜브(30)가 수납되며, 본체(10) 하단의 테두리에는 회동발삽입홈(27)에 회동발(25)이 수납되어 구성되고, 손잡이삽입홈(24)에 손잡이(23)가 끼워져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도 2 및 도 3을 예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본체(10) 내부 공간에는 수평의 격판(14)이 형성되어 상측수납부(12)와 하측수납부(13)로 나누어 형성되고, 격판(14)의 중앙에는 압축가스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통기관(15)이 구성된다.
통기관(15)의 하단에는 마개(17)가 구성되어, 통기관(15)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고, 통기관(15)의 상단에는 팽창튜브(30) 내로 관통된 고정링(16)이 구성되어, 고정링(16)의 하면과 격판(14)의 상면 사이에 팽창튜브(30)가 끼워져 팽창튜브(30)를 고정하고 기밀(氣密)이 유지되도록 한다.
팽창튜브(30) 내에는 팽창된 팽창튜브(30)가 발광되어 야간에도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팽창튜브(30)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LED와 같은 조명장치(33)가 구성된다.
본체(10)의 하측수납부(13)에는 팽창튜브(30)로 압축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다수의 가스주입기(19)가 구성된다.
가스주입기(19)는 압축가스가 저장된 가스용기(20)와, 압축가스의 분출을 위하여 방아쇠 역할을 하는 견인줄(22)과, 견인줄(22)을 손쉽게 당기기 위한 손잡이(23) 및 압축가스가 분출되는 주입구(21)가 구성된 것으로서, 가스주입기(19)의 주입구(21)가 통기관(15)과 연결되어, 견인줄(22)이 당겨지면 가스용기(20)에 저장된 압축가스가 주입구(21)와 통기관(15)을 통해 팽창튜브(30)로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4개의 가스주입기(19)가 구성되어 4회까지 반복사용 할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가스주입기(19)의 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팽창튜브(30)는 수축시 부피가 작고 팽창시 부피가 크게 늘어나는 플라스틱 재질로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팽창튜브(30)의 표면에 형광 및 반사재가 도포되거나 부착된다.
본체(10) 하단의 테두리에는 손잡이(23)가 끼워져 고정되는 손잡이삽입홈(24)과, 회동발(25)이 하측수납부(13)로 수납되도록 형성된 회동발삽입홈(27)이 형성된다.
손잡이삽입홈(24)은 가스주입기(19)의 수만큼 형성되는 것으로, 손잡이삽입홈(24)에 손잡이(23)가 끼워져 고정되나, 손잡이(23)를 하측으로 당기면 손잡이(23)는 손잡이삽입홈(24)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견인줄(22)을 당겨서, 가스용기(20)에 저장된 압축가스가 팽창튜브(30)로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회동발삽입홈(27)에는 발축(26)이 형성되어, 회동발삽입홈(27)에 수납된 회동발(25)이 발축(26)을 축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회동발(25)이 회동되어 본체(10)의 외측으로 펼쳐지면 본체(10)의 직립을 지지하게 되고, 회동발(25)이 회동되어 회동발삽입홈(27)에 수납되면 부피가 축소되어 본체(10)의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사용 예를 도 4 내지 도 6을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운행중인 차량이 고장이나 사고 발생으로 운행할 수 없어 도로에 정차할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본체(10)에 부착된 뚜껑(11)을 열어 팽창튜브(30)를 노출시킨 뒤, 손잡이(23)를 당기면 손잡이(23)는 손잡이삽입홈(24)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견인줄(22)을 당겨서 가스용기(20)에 저장된 압축가스가 주입구(21)와 통기관(15)을 통해 팽창튜브(30)로 순식간에 주입되어 팽창튜브(30)를 압축가스로 채운다.
압축가스가 채워진 팽창튜브(30)는 도 5에서와 같이 부피가 커짐과 동시에 기립하게 되는데, 팽창튜브(30)는 종래의 삼각대에 비해 부피가 훨씬 크고, 표면에는 형광 및 반사재가 도포되거나 부착되어 있으므로, 팽창된 팽창튜브(30)를 인식한 후방 운전자는 전방의 위험 상황을 쉽게 인지하게 된다.
본체(10)의 하면에 구성된 회동발(25)은 필요에 따라 외부로 펼쳐서 팽창튜브(30)가 기립된 본체(10)의 직립을 지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사용을 마치면, 도 6에서와 같이 통기관(15)에 구성된 마개(17)를 열고 팽창튜브(30)를 수축시키는데, 이때, 팽창튜브(30)에 채워진 압축가스는 통기관(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팽창튜브(30)를 손쉽게 수축하여 상측수납부(12)로 수납할 수 있다.
팽창튜브(30)가 상측수납부(12)로 수납되면 뚜껑(11)으로 본체(10)를 닫고, 통기관(15)이 폐쇄되도록 마개(17)를 닫아 보관할 수 있으며, 본체(10)에 사용되지 않은 가스주입기(19)의 수만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회동발(25) 하면에 자석(28)이 구성된 것이다.
회동발(25)에 자석(28)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 발생시 팽창튜브(30)를 팽창시키고, 회동발(25)을 펼친 뒤, 자석(28)의 자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외부에 간단히 부착하면, 높은 위치에 경고장치가 세워지기 때문에 후방 운전자가 지면에 세워진 경고장치보다 더 쉽게 인지하여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8은 본체(10)의 지름과 같은 지름으로 형성된 링 형태의 회동받침대(31)를 본체(10)의 하단에 구성하고, 본체(10)와 회동받침대(31)를 경첩(32)으로 연결하여 회동받침대(31)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구성한 뒤, 본체(10)의 하단에 구성된 회동발삽입홈(27)과 자석(28)이 구성된 회동발(25)을 회동받침대(31)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의 발명은 도 9에서와 같이 회동받침대(31)를 하측으로 90도 회동한 뒤 회동발(25)을 펼치고, 팽창튜브(30)를 팽창시킨 후,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가 발생한 지점의 후방 30m 정도에 위치한 도로표지판 또는 가드레일과 같은 철제 구조물에 회동발(25)에 구성된 자석(28)의 자력을 이용하여 본체(10)를 부착하면 후방의 운전자가 팽창튜브(30)를 쉽게 보고 전방상황을 더 빨리 인지하여 대응할 할 수 있으므로, 사고발생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게 된다.
10 : 본체
11 : 뚜껑
12 : 상측수납부
13 : 하측수납부
14 : 격판
15 : 통기관
16 : 고정링
17 : 마개
19 : 가스주입기
20 : 가스용기
21 : 주입구
22 : 견인줄
23 : 손잡이
24 : 손잡이삽입홈
25 : 회동발
26 : 발축
27 : 회동발삽입홈
28 : 자석
30 : 팽창튜브
31 : 회동받침대
32 : 경첩
33: 조명장치

Claims (3)

  1. 본체(10)에 형성된 격판(14) 상측의 상측수납부(12)에는 팽창튜브(30)가 구성되고, 하측의 하측수납부(13)에는 가스주입기(19)의 가스용기(20)에 저장된 압축가스가 주입구(21)와 통기관(15)을 통해 팽창튜브(30)로 주입되도록 구성되며, 통기관(15)의 하단에는 마개(17)가 구성되고, 본체(10)의 하단 테두리에는 발축(26)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발(25)이 하측수납부(13)의 회동발삽입홈(27)에 수납되도록 구성되며, 회동발(25)의 하면에는 자석(28)이 구성된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에 있어서,
    본체(10)의 지름과 같은 지름의 링 형태의 회동받침대(31)를 본체(10)의 하단에 구성하고, 본체(10)와 회동받침대(31)가 경첩(32)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회동발삽입홈(27)과 자석(28)이 부착된 회동발(25)이 회동받침대(31)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구성하여,
    회동받침대(31)를 하측으로 90도 회동한뒤 회동발(25)을 펼치면 자석(28)의 자력에 의해 도로표지판이나 가드레일과 같은 철제 구조물에 본체(10)가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134988A 2018-11-06 2018-11-06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 Active KR101965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988A KR101965671B1 (ko) 2018-11-06 2018-11-06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
US16/518,841 US11285870B2 (en) 2018-11-06 2019-07-22 Expansion type cau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988A KR101965671B1 (ko) 2018-11-06 2018-11-06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671B1 true KR101965671B1 (ko) 2019-04-04

Family

ID=6610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988A Active KR101965671B1 (ko) 2018-11-06 2018-11-06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85870B2 (ko)
KR (1) KR1019656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560B1 (ko) * 2019-08-28 2019-11-08 조준상 차량용 충격 팽창 안전 표지 장치
KR102541761B1 (ko) 2022-12-21 2023-06-13 김창수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731B1 (ko) * 2010-08-30 2011-01-10 김석훈 교통안전 표시구
KR20150116145A (ko) * 2014-04-07 2015-10-15 이서영 차량용 안전 삼각대장치
KR101813209B1 (ko) * 2016-10-31 2017-12-29 박재정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2955A (en) * 1976-09-08 1977-10-11 Nathan Haushalter Emergency balloon device
US20060169194A1 (en) * 2005-01-28 2006-08-03 Joaquin Zumaquero Jimenez Warning device for vehicles involved in an accident and improvements introduced in the device for warning of broken-down vehic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731B1 (ko) * 2010-08-30 2011-01-10 김석훈 교통안전 표시구
KR20150116145A (ko) * 2014-04-07 2015-10-15 이서영 차량용 안전 삼각대장치
KR101813209B1 (ko) * 2016-10-31 2017-12-29 박재정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560B1 (ko) * 2019-08-28 2019-11-08 조준상 차량용 충격 팽창 안전 표지 장치
KR102541761B1 (ko) 2022-12-21 2023-06-13 김창수 교체 가능한 co2 주입기가 결합된 사고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85870B2 (en) 2022-03-29
US20200139886A1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6702A (en) Road buoy
KR101965671B1 (ko) 도로용 팽창식 경고장치
NZ567236A (en) Apparatus, for sealing inflatable objects such as tyres, with standing ring for using container in inverted orientation
KR101595113B1 (ko) 공기조형물을 이용한 작동형 안전유도로봇
KR101977906B1 (ko) 휴대형 비상표시장치
JP2003064626A (ja) エアバック式警戒表示器材
KR102042560B1 (ko) 차량용 충격 팽창 안전 표지 장치
KR102036629B1 (ko) 캐리어형 비상표시장치
KR101832990B1 (ko) 차량용 삼각대 및 이를 이용한 신호봉
KR101776677B1 (ko) 차량용 비상신호 장치
CN207347954U (zh) 一种多功能伸缩预警路障
KR101565333B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장치
KR101813209B1 (ko)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KR102003464B1 (ko) 차량용 교통사고 알림장치
KR200205938Y1 (ko) 차량용 안전표지판
KR102407324B1 (ko) 투척식 비상 표지장치
GB2100322A (en) Temporary road marker posts or the like
CN201801822U (zh) 一种便携式警示路锥
KR20190051616A (ko) 오뚝이형 비상표시장치
KR200349943Y1 (ko) 오뚜기 안전표시구
JP3583322B2 (ja) 車両用緊急表示標識装置
KR20090004291U (ko) 풍선안전삼각대
JP3085139U (ja) エアバック式警戒表示器材
KR101623157B1 (ko) 휴대용 비상표지판
JP3131184U (ja) ビニール製膨張式停止表示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