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623B1 - 스틱형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틱형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0623B1 KR101930623B1 KR1020170027653A KR20170027653A KR101930623B1 KR 101930623 B1 KR101930623 B1 KR 101930623B1 KR 1020170027653 A KR1020170027653 A KR 1020170027653A KR 20170027653 A KR20170027653 A KR 20170027653A KR 101930623 B1 KR101930623 B1 KR 1019306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ckaging body
- rows
- wrapping paper
- notch
- perfora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스틱형 포장지는 다층필름지를 관 형상으로 양단을 맞대어 접합되어 접합깃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되는 포장몸체, 상기 포장몸체의 외주면에 복수의 열로 형성되는 절취안내선, 상기 포장몸체의 종방향의 양단부가 접합되어 밀봉되는 밀봉부 및 상기 포장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밀봉부 사이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포장몸체의 절취를 유도하는 노치를 포함한다. 스틱형 포장지에 복수의 절취안내선을 형성하여, 적은 힘으로도 개봉이 용이하며, 바리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절취안내선을 형성하여, 개봉이 용이하고, 절취 시, 포장지가 일정하게 개봉되어 개봉과정에서 포장된 대상품이 외부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틱형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노치와 복수의 열로 형성되는 절취안내선을 구비하는 스틱형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틱형 포장지는 주로 1회의 사용량의 커피믹스, 과립형태의 약 등의 분말 또는 시럽형태의 약, 건강보조제 등의 액상의 대상품을 포장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스틱형 포장지는 대상품을 가늘고 긴 봉상으로 소분하여 충전하여 포장하는 손바닥에 얹을 정도의 크기의 필로우 타입(Pillow type) 포장지이다.
스틱형 포장지는 대부분 일단을 횡방향 절취를 하여 대상품을 개봉한다. 스틱형 포장지는 횡방향 절취가 가능하도록 노치가 일단에 형성되어 절취되는 스틱형 포장지와 횡방향으로 절취안내선이 구비되는 스틱형 포장지가 개발되고 있다.
노치가 형성되는 스틱형 포장지의 경우 횡방향으로 개봉시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융착면에 걸려 절취가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절취안내선이 구비되는 스틱형 포장지의 경우, 횡방향으로 개봉시에 절취홈에 여분의 수지가 필름상태로 붙어있는 바리(Burr) 현상이 발생하여 절취가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노치와 절취안내선을 함께 형성하는 스틱형 포장지의 경우에도 노치와 절취안내선이 동일선상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바리현상이 해결되지 않아 절취의 어려움이 있었다.
스틱형 포장지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상기의 문제점이 더 발생한다.
따라서, 여성, 노인, 아이 환자 등의 노약자가 스틱형 포장지를 개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바리현상이 발생한 스틱형 포장지를 강제로 절취하는 경우 찢김이 일정하지 않아 포장된 대상품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틱형 포장지에 복수의 절취안내선을 형성하여, 적은 힘으로도 개봉이 용이한 스틱형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바리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절취안내선을 형성하여, 개봉이 용이한 스틱형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절취 시, 포장지가 일정하게 개봉되어 개봉과정에서 포장된 대상품이 외부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틱형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포장지에 대해 설명한다.
스틱형 포장지는 다층필름지를 관 형상으로 양단을 맞대어 접합되어 접합깃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되는 포장몸체, 상기 포장몸체의 외주면에 복수의 열로 형성되는 절취안내선, 상기 포장몸체의 종방향의 양단부가 접합되어 밀봉되는 밀봉부 및 상기 포장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밀봉부 사이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포장몸체의 절취를 유도하는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절취안내선은 복수의 타공홈이 상기 포장몸체의 횡방향으로 연속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절취안내선은 상기 타공홈이 인접한 열에 형성되는 상기 타공홈과 번갈아 형성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타공홈은 길이가 0.2mm 내지 0.7mm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절취안내선은 전체 폭이 0.5 내지 2mm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밀봉부는 상기 노치를 경계로 상기 포장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1손잡이부 및 상기 노치를 경계로 수용공간 측에 형성되는 제 2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밀봉부는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일단의 밀봉부의 사이의 중앙부에 소정간격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층필름지는70㎛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포장지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스틱형 포장지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열로 형성되는 절취안내선이 구비된 다층필름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층필름지를 소정크기로 분단하여 관형상으로 양단을 맞대어 포장몸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장몸체의 양단부를 소정간격 접합하여 밀봉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장몸체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밀봉부를 분단하여,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층필름지를 형성하는 단계는 표면층에 제품의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 표면층에 복수의 열의 타공블레이드가 각각의 열이 지그재그로 형성된 타공부재로 복수열의 절취안내선을 형성하는 단계, 표면층에 제 1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기재층과 1차 합지하는 단계 및 기재층에 제 2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내부층과 2차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절취안내선은 복수의 타공홈이 상기 포장몸체의 횡방향으로 연속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절취안내선은 상기 타공홈이 인접한 열에 형성되는 상기 타공홈과 번갈아 형성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틱형 포장지에 복수의 절취안내선을 형성하여, 적은 힘으로도 개봉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바리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절취안내선을 형성하여, 개봉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절취 시, 포장지가 일정하게 개봉되어 개봉과정에서 포장된 대상품이 외부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포장지의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다층필름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포장지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포장지의 개봉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포장지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다층필름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포장지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포장지의 개봉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포장지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포장지의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틱형 포장지(10)는 포장몸체(100), 절취안내선(200), 밀봉부(300, 400) 및 노치(500)를 포함한다.
포장몸체(100)는 다층필름지(120)를 관형상으로 양단을 맞대어 접합되어 접합깃(110)을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접합깃(110)은 다층필름지(120)의 양단이 상호간에 접착되어 밀폐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접합깃(110)은 다층필름지(120)의 두께의 두 배를 가질 수 있다.
종래의 스틱형 포장지에 노치가 형성되어 절취되는 구조의 경우, 접합깃이 접합되어 융착면을 형성하여 절취가 중단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포장지(10)는 접합깃(110)에도 복수의 열로 형성되는 절취안내선(200)이 형성되어 개봉이 용이할 수 있다.
수용공간(S)에는 1회의 사용량의 커피믹스, 과립형태의 약 등의 분말 또는 시럽형태의 약, 건강보조제 등의 액상의 대상품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다층필름지(120)는 수지를 겹겹히 적층하여 다층을 형성하는 필름지로 압출 라미네트, 건식 라미네트, 무용제 라미네트, 고온 라미네트, 공압출 성형법 등으로 형성된다. 다층필름지(120)는 PE(Polyethylen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DPE(Low-density polyethylene) PE/LLDPE, PE/LDPE, NYLON(나일론), OPP(oriented polypropylene) 및 알루미늄 등의 각각의 재질로 형성된 필름이 각각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다층필름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포장지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2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다층필름지(120)는 표면층(121), 제 1접착층(122), 기재층(123), 제 2접착층(124), 내부층(125)이 순차적으로 상호 적층된 다층구조를 가진다.
표면층(121)은 포장몸체(100)의 외부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포장몸체(100)에 의해 포장되어 보관되는 대상품의 정보가 인쇄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PET 재질의 표면층(121)에 대상품의 정보가 그라이아 방법으로 인쇄될 수 있다. 인쇄의 방법으로 그라비아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다양한 크기와 선명한 이미지의 포장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층(121)에는 절취안내선(200)이 형성된다.
절취안내선(200)은 복수의 타공홈(210)이 소정간격으로 일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복수의 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절취안내선(200)은 복수의 열 전체 폭이 0.5mm 내지 2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3열의 절취안내선(2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취안내선(200)의 복수의 열의 폭이 0.5mm 미만의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타공홈(210)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운반 등의 개봉을 원치 않는 경우에 스틱형 포장지(10)의 개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절취안내선(200)의 복수의 열의 폭이 2mm를 초과하는 경우, 절취안내선(200)의 열의 간격이 멀리 떨어져 바리(Burr)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절취안내선(200)의 복수의 열 전체 폭은 0.5mm 내지 2mm로 형성된다. 또한, 절취안내선(200)의 복수의 열 전체의 폭은 1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취안내선(200)의 타공홈(210)은 인접한 열에 형성되는 타공홈(210)과 번갈아 형성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타공홈(210)은 물리적으로 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공홈(210)은 타공블레이드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타공부재(미도시)로 표면층을 압착하여 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리적으로 타공되는 타공홈(210)은 레이저로 타공되는 타공홈(210)에 비해 수지가 용융될 염려가 없어 바리현상 방지에 효과적일 수 있다.
타공홈(210)의 길이가 0.2mm 미만인 경우 타공홈(210)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바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0.7mm 초과하는 경우, 타공홈(210)이 크게 형성되어 대상품의 주입, 스틱형 포장지의 운반과정에서 타공홈(210)이 개봉되어 대상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타공홈(210)의 길이는 0.2mm 내지 0.7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공홈(210)의 형상은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되는 표면층(121)에 기재층(123)이 제 1접착층(122)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접착된다. 예를 들어, 표면층(121)에 알루미늄 재질의 기재층(123)이 PE(Polyethylene) 재질의 제 1접착층(122)을 사이에 두고 압출되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기재층(123)에 제 2접착층(124)을 사이에 두고 내부층(125)이 적층되어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층(123)에 PE 재질 또는 접착제 성분을 가지는 제 2접착층(124)을 사이에 두고 LDPE 재질의 내부층(125)이 압출되거나 건식 적층되어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층필름지(120)는 4층 이상의 층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다층필름지(120)의 두께가 70㎛ 내지 500㎛일 수 있다.
기존의 스틱형 포장지의 다층필름지의 두께는 40㎛ 내지 50㎛두께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존의 스틱형 포장지의 경우에 일렬의 절취안내선에 바리현상이 종종 나타나 절취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포장지(10)는 다층필름지(120)는 70㎛ 이상의 두께로 더 두꺼움에도 복수의 열의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타공홈(210)을 구비하는 절취안내선(200)을 절취하여 절취가 용이할 수 있다.
절취안내선(200)은 포장몸체(100)의 외주면에 복수의 열로 형성된다. 절취안내선(200)은 포장몸체(100)의 종방향의 일단에서 소정간격을 형성하고 포장몸체(1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절취안내선(200)은 포장몸체(100)를 횡방향으로 절취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밀봉부(300, 400)는 포장몸체(100)의 종방향의 양단부가 접합되어 밀봉된다. 밀봉부(300, 400)는 포장몸체(100)의 종방향의 일단에 소정간격을 접합하여 제 1밀봉부(300)를 형성하고, 타단에 소정간격을 접합하여 제 2밀봉부(400)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 1밀봉부(300)는 수용공간이 제 1밀봉부(300) 사이의 중앙부에 "凸"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공간으로 소정간격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제 1밀봉부(300)는 노치(500)를 경계로 일단부 측에 형성되는 제 1손잡이부(310) 및 노치(500)를 경계로 수용공간 측에 형성되는 제 2손잡이부(320)를 형성할 수 있다.
노치(500)는 포장몸체(10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 1밀봉부(300) 사이에 형성되어 포장몸체(100)의 절취를 유도한다. 즉, 노치(500)는 제 1손잡이부(310) 및 제 2손잡이부(320) 사이에 형성된다. 노치(500)는 제 1밀봉부(300)의 횡방향 양측에 ">"자 및 "<"자 형상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분단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노치(500)와 절취안내선(200)은 소정간격 확장된 수용공간(S)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치(500)에 의한 개봉 중 포장몸체(100)의 파손으로 인한 대상품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노치(500)가 포장몸체(100)의 일단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절취안내선(200)의 중앙의 열이 노치와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절취안내선(200)이 구비된 다층필름지가 관형상으로 양단을 맞대어 형성되기 때문에 절취안내선(200)이 노치의 위치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포장지의 개봉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절취안내선이 정상적으로 형성된 스틱형 포장지의 개봉모습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4의 (b)는 절취안내선이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스틱형 포장지의 개봉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의 (c)는 절취안내선이 하부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스틱형 포장지의 개봉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스틱형 포장지(10)는 제 1손잡이부(310)와 제 2손잡이부(320)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노치(500)를 통해 개봉을 유도할 수 있다. 스틱형 포장지(10)는 노치(500)로 인해 개봉이 시작되며, 절취안내선(200)을 따라 절취된다. 중앙의 열에 위치한 타공홈(210)의 일부에 바리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인접한 열에 위치한 절취안내선(200)을 따라 절취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개봉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포장몸체(100) 형성 중, 절취안내선(200)이 노치(500)와 공차가 발생하여, 절취안내선(200)은 포장몸체(100)의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봉시 스틱형 포장지(10)는 노치(500)로 인해 개봉이 시작되며, 노치(500)로 개봉이 되지 않는 경우, 노치(500)와 인접한 3열의 절취안내선(200)을 이용하여 개봉할 수 있다. 노치(500)와 절취안내선(200)이 인접하게 형성되는 경우 노치(500)에서 개봉이 시작되어, 절취안내선(200)을 따라 스틱형 포장지(10)가 개봉될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도 절취가 용이할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포장몸체(100)의 형성 중, 절취안내선(200)이 노치와 공차가 발생하여, 포장몸체(100)의 하부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역시, 노치(500)로 인해 개봉이 시작되며, 바리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3열의 절취안내선(200)을 따라 개봉이 용이할 수 있다.
기존의 1열의 절취안내선(200)이 형성되는 경우 노치(500)로 절단 중 바리현상이 발생되면 1열의 절취안내선(200)으로 절취하게 되는데, 타공홈(210)에도 바리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개봉이 되지 않거나, 개봉이 되더라도 스틱형 포장지(10)를 훼손하며 개봉되어 내부에 수용된 대상품이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지만, 3열의 절취안내선(200)이 형성되는 경우 타공홈(210)에 바리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인접한 열의 타공홈(210)으로 개봉될 수 있어, 바리현상의 발생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절취안내선(200)을 벗어나 스틱형 포장지(10)가 개봉되는 경우의 발생이 현저히 들기 때문에 절취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스틱형 포장지(10)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틱형 포장지(10)의 제조방법은 다층필름지를 형성하는 단계(S10), 포장몸체를 형성하는 단계(S20), 밀봉부를 형성하는 단계(S30),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층필름지를 형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열로 형성되는 절취안내선(200)이 구비하는 다층필름지(120)를 형성한다. 이러한, 다층필름지를 형성하는 단계(S10)는 표면층에 인쇄하는 단계(S11), 절취안내선을 형성하는 단계(S12), 기재층과 1차 합지하는 단계(S13), 내부층과 2차 합지하는 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층에 인쇄하는 단계는 PET 재질의 수지로 형성되는 표면층(121)에 대상품의 정보를 인쇄한다. 표면층(121)에 인쇄되는 대상품의 정보는 그라비아 방법으로 인쇄하여 다양한 크기와 선명한 이미지를 인쇄한다.(S11)
절취안내선을 형성하는 단계는 표면층(121)에 타공블레이드의 각각의 열이 지그재그로 형성된 타공부재로 복수열의 절취안내선(200)을 형성한다.
대상품의 정보가 인쇄된 표면층(121)에 복수의 열의 타공블레이드가 각각의 열이 지그재그로 형성된 타공부재를 압착하여 복수열의 절취안내선(200)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타공부재는 3열로 형성되며 각각의 열에 위치한 타공블레이드가 지그재그의 형태로 형성된다. 타공블레이드는 절취안내선의 각각의 열에 타공홈(210)이 일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되도록 타공한다. 각각의 타공홈(210)은 타공길이가 0.2mm 내지 0.7mm로 형성된다. 타공부재의 폭은 0.5mm 내지 2mm로 형성되어 절취안내선(200)의 복수의 열 전체의 폭을 0.5mm 내지 2mm로 형성한다. 타공홈은 인접한 열의 타공홈과 번갈아 형성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타공블레이드가 지그재그형태로 배치되어 물리적으로 타공홈(210)을 형성하기 때문에 바리현상의 발생이 최소화 될 수 있다. (S12)
1차 합지하는 단계는, 표면층(121)에 제 1접착층(122)을 사이에 두고 기재층(123)과 1차 합지한다. 예를 들어, 표면층(121)에 알루미늄 재질의 기재층(123)이 PE(Polyethylene) 재질의 제 1접착층(122)을 사이에 두고 압출하여 1차 합지할 수 있다.(S13)
2차 합지하는 단계는, 기재층(123)에 제 2접착층(124)을 사이에 두고 내부층(125)이 적층되어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층(123)에 PE 재질 또는 접착제 성분을 가지는 제 2접착층(124)을 사이에 두고 LDPE 재질의 내부층(125)이 압출되거나 건식 적층되어 접착될 수 있다. 다층필름지(120)의 형성에 있어서 압출방법으로 적층되는 경우, 적층 후, 곧바로 다층필름지(120)의 분단이 가능할 수 있으며, 건식 적층되어 접착되는 경우, 숙성과정을 거쳐 분단이 가능할 수 있다.(S14)
이러한 과정으로 형성되는 다층필름지는 4층 이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두께가 70㎛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S10)
포장몸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다층필름지(120)를 분단하여 관형상으로 양단을 맞대어 포장몸체(100)를 형성한다. 먼저, 다층으로 적층된 다층필름지(120)를 포장몸체(100)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상으로 분단할 수 있다. 표면층(121)에 형성되는 절취안내선(200)은 다층필름지(120)의 일측테두리에 근접하여 소정간격을 형성하도록 분단한다. 분단된 다층필름지(120)를 절취안내선(200)이 횡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관형상으로 양단을 맞대어 접합하여 접합깃(110)을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공간(S)을 형성한다.(S20)
밀봉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포장몸체(100)의 양단부를 소정간격 접합하여 밀봉부(300, 400)를 형성한다. 포장몸체(100)의 일단을 소정간격 접합하여 밀봉부(300, 400)는 포장몸체(100)의 종방향의 양단부가 접합되어 밀봉된다. 밀봉부(300, 400)는 포장몸체(100)의 종방향의 일단에 제 1밀봉부(300)를 형성하고, 타단에 제 2밀봉부(400)를 형성한다. 여기서, 수용공간(S)이 제 1밀봉부의 사이의 중앙부에 "凸"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공간으로 소정간격 확장되어 형성되도록 제 1밀봉부(300)를 형성한다.(S30)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포장몸체(100)의 일단에 형성된 밀봉부(300, 400)를 분단하여 노치(500)를 형성한다. 즉, 제 1밀봉부(300)는 포장몸체(100)의 종방향 사이에 횡방향 양측으로 ">"자 및 "<"자 형상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분단되어 노치(500)를 형성한다. 노치(500)를 포장몸체(1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1손잡이부(310) 및 노치(500)를 경계로 수용공간(S) 측에 형성되는 제 2손잡이부(320)를 형성하여 스틱형 포장지(10)를 제조한다. 여기서, 노치(500) 및 절취안내선(200)은 "凸" 자 형상의 단면으로 수용공간(S)이 소정간격 확장된 부분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4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틱형 포장지에 복수의 절취안내선을 형성하여, 적은 힘으로도 개봉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바리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절취안내선을 형성하여, 개봉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절취 시, 포장지가 일정하게 개봉되어 개봉과정에서 포장된 대상품이 외부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스틱형 포장지 S : 수용공간
100 : 포장몸체 110 : 다층필름지
111 : 표면층 112 : 제 1접착층
113 : 기재층 114 : 제 2접착층
115 : 내부층 200 : 절취안내선
210 : 타공홈 300 : 제1밀봉부
400 : 제2밀봉부 500 : 노치
100 : 포장몸체 110 : 다층필름지
111 : 표면층 112 : 제 1접착층
113 : 기재층 114 : 제 2접착층
115 : 내부층 200 : 절취안내선
210 : 타공홈 300 : 제1밀봉부
400 : 제2밀봉부 500 : 노치
Claims (12)
- 표면층, 제1접착층, 기재층, 제2접착층 및 내부층을 포함하는 다층필름지를 관 형상으로 양단을 맞대어 접합되어 접합깃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포장몸체;
상기 포장몸체의 종방향의 양단부가 접합되어 밀봉되되, 상기 수용공간이 종방향 일단의 밀봉부의 중앙부에 소정간격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밀봉부;
상기 종방향 일단의 밀봉부에 확장된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형성되고, 상기 표면층에 복수의 타공홈이 포장몸체의 횡방향으로 적어도 3열 이상의 열로 형성되는 절취안내선; 및
상기 포장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밀봉부 사이의 테두리에 형성되되, 상기 절취안내선의 적어도 3열 이상의 열 중 내측에 위치한 임의의 하나의 열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포장몸체의 절취를 유도하는 노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절취안내선은,
임의의 일 열에 형성된 타공홈이 인접한 타 열에 형성된 타공홈과 번갈아 형성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스틱형 포장지.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홈은,
길이가 0.2mm 내지 0.7mm로 형성되는 스틱형 포장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안내선은,
전체 폭이 0.5 내지 2mm로 형성되는 스틱형 포장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노치를 경계로 상기 포장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1손잡이부; 및
상기 노치를 경계로 수용공간 측에 형성되는 제 2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스틱형 포장지.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필름지는,
70㎛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지는 스틱형 포장지. - 적어도 3열 이상의 열로 형성되는 절취안내선이 구비된 다층필름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층필름지를 소정크기로 분단하여 관형상으로 횡방향 양단을 맞대어 포장몸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장몸체의 종방향 양단을 소정간격 접합하되, 종방향 일단은 수용공간이 소정간격 확장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절취안내선이 확장된 수용공간을 가로지르도록 밀봉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취안내선의 적어도 3열 이상의 열 중 내측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열과 연결되도록, 상기 포장몸체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밀봉부를 분단하여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층필름지를 형성하는 단계는,
표면층에 제품의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
각각의 열이 지그재그로 형성된 적어도 3열 이상의 타공블레이드가 구비된 타공부재로 표면층에 타공홈을 형성하여 상기 포장몸체의 횡방향으로 적어도 3열 이상의 절취안내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취안내선이 형성된 표면층에 제 1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기재층과 1차 합지하는 단계; 및
기재층에 제 2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내부층과 2차 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틱형 포장지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7653A KR101930623B1 (ko) | 2017-03-03 | 2017-03-03 | 스틱형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7653A KR101930623B1 (ko) | 2017-03-03 | 2017-03-03 | 스틱형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0996A KR20180100996A (ko) | 2018-09-12 |
KR101930623B1 true KR101930623B1 (ko) | 2018-12-18 |
Family
ID=6359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7653A KR101930623B1 (ko) | 2017-03-03 | 2017-03-03 | 스틱형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062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5463B1 (ko) * | 2021-04-08 | 2022-06-10 | 정연섭 | 이지필이 가능한 케이싱용 필름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1331Y1 (ko) | 2018-10-18 | 2020-03-20 | 김영룡 | 포장지의 개봉 구조 |
KR102114725B1 (ko) | 2019-02-11 | 2020-06-05 | 이흥수 | 다중 시트를 구비하는 연결형 포켓 시스템 |
KR102130935B1 (ko) | 2020-02-06 | 2020-07-09 | 주식회사 엠앤티 | 자동화 공정의 정렬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4248A (ja) * | 2000-02-10 | 2001-10-23 | Dainippon Printing Co Ltd | 易開封性包装袋 |
KR100871590B1 (ko) * | 2008-05-30 | 2008-12-02 | 주식회사 동서 | 절취선을 가지는 포장재 |
-
2017
- 2017-03-03 KR KR1020170027653A patent/KR1019306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4248A (ja) * | 2000-02-10 | 2001-10-23 | Dainippon Printing Co Ltd | 易開封性包装袋 |
KR100871590B1 (ko) * | 2008-05-30 | 2008-12-02 | 주식회사 동서 | 절취선을 가지는 포장재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5463B1 (ko) * | 2021-04-08 | 2022-06-10 | 정연섭 | 이지필이 가능한 케이싱용 필름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0996A (ko) | 2018-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0623B1 (ko) | 스틱형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97428B1 (ko) | 적층 필름 및 포장 용기 | |
CN102686492B (zh) | 柔性泡罩包装、可食产品泡罩包装组件及其形成方法 | |
KR20120137483A (ko) | 웨트 티슈 포장체 및 그 제조 방법 | |
JPWO2017047573A1 (ja) | 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袋体、袋体の製造方法、および、袋体の製造装置 | |
JP5764280B2 (ja) | ピロー包装袋 | |
US11787153B2 (en) | Thermally laminated tab liner | |
US20170233157A1 (en) | Film packaging and method of using same | |
JP7129033B2 (ja) | 袋 | |
CN112384368A (zh) | 包装材料以及提供包装材料的方法 | |
JP4770496B2 (ja) | 蒸気抜き機能を有する包装袋 | |
JP2005154006A (ja) | 多層紙袋 | |
JP2015217970A (ja) | 包装体 | |
KR200489112Y1 (ko) | 진공 포장용 필름, 상기 필름으로 된 식품포장용기 및 상기 용기 내에 포장된 식품 | |
JP7565221B2 (ja) | 包装袋及び包装材 | |
JP6886633B2 (ja) | 袋体及び包装体 | |
JP7559462B2 (ja) | パウチ | |
JP4993082B2 (ja) | 易開封性包装袋 | |
JP6357867B2 (ja) | 包装体 | |
JP3918507B2 (ja) | 中身の取り出し易い包装袋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 |
KR200406725Y1 (ko) | 음료용 포장용기 | |
JP5051784B2 (ja) | 重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4315055A (ja) | 易開封性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18047921A (ja) | ガゼット袋 | |
JP6627378B2 (ja) | 包装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