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39177B1 -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 Google Patents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177B1
KR101939177B1 KR1020170086431A KR20170086431A KR101939177B1 KR 101939177 B1 KR101939177 B1 KR 101939177B1 KR 1020170086431 A KR1020170086431 A KR 1020170086431A KR 20170086431 A KR20170086431 A KR 20170086431A KR 101939177 B1 KR101939177 B1 KR 101939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hook body
housing
case base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소대
Original Assignee
강소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소대 filed Critical 강소대
Priority to KR1020170086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177B1/ko
Priority to PCT/KR2018/007680 priority patent/WO2019009656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05B57/143Vertical axis typ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18Shuttles ; Shuttle holders; Shuttle dri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훅몸체와 결합되는 동력전달돌기를 구비한 종래의 동력전달회전부를 배제시킨 상태에서, 회전자를 훅몸체에 고정적으로 외접시키고, 고정자를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내접시켜 재봉틀이나 자수기의 본체에 장착된 하우징에 훅몸체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회전자가 N극성의 자석과 S극성의 자석을 갖게 하고, 상기 고정자가 전류공급회로부에 접속되어 전류의 인입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N극성과 S극성을 띠게 하는 복수개의 전자석을 갖게 하는 회전북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stitch typic rotation shuttle provided within motor}
본 발명은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자를 회전북통의 하우징에 결합시키고, 회전자를 회전북통의 훅몸체에 외접시켜서 고정자에 전류를 인가하여 훅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스티치용 회전북통에 관한 것이다.
스티치용 회전북통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 출원되어 특허등록된 등록특허 제10-165760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회전북통은, 히치 스티치를 위한 장치이다.
상기 개시된 회전북통은, 재봉기 및 자수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체인 하우징, 왕복 이송되는 바늘의 이동경로에 수직인 회전축선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게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상태에서 동력전달회전부의 테두리 일부에 형성된 동력전달돌기에 외주면 일부가 접촉하여 회전하게 되는 훅몸체, 상기 훅몸체에 삽입하되 상기 훅몸체와 함께 회전되지 못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보빈케이스베이스,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보빈실이 권회되는 보빈, 상기 훅몸체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주면에 고정되는 훅몸체이탈방지링 및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가 훅몸체의 타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링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훅몸체는 훅부을 구비하며, 상기 훅부는 상기 동력전달회전부 쪽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바늘에 인접되게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보빈실 보다도 먼저, 상기 훅부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바늘실의 루프를 관통하면서 포착하여, 상기 바늘실의 루프의 공급측 줄부분이 상기 보빈실 주위를 돌고 그리고 상기 바늘실 루프의 스티치측 줄부분이 상기 훅부의 경사면을 타고 동력전달회전부에 인접한 보빈케이스베이스의 일측면으로 인도되어서 바늘실 루프가 보빈케이스베이스에 대하여 줄넘기를 하게 상기 훅몸체는 형상화되어, 기존 록 스티치에 비해 박음질 인장강도가 강하고 주름이 적으며 오리털 파카 등 내장된 소재가 바늘구멍을 통해 내장된 소재가 잘 빠지지 않게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바늘실이나 보빈실 중 어느 하나가 끊어지거나 상기 바늘실을 긴장상태로 당기게 되면 상기 히치 스티치가 풀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회전북통은 동력전달회전부가 바늘과 실채기를 왕복 운동시키는 모터의 출력축에 베벨기어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개재하여 치합되어 구동되기 때문에 기어들 간의 맞물림 소음이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은 동력절단회전부가 훅몸체에 일체로 결합되어 훅몸체를 구동시키는 록 스티치용 회전북통도 마찮가지다.
또한, 상기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은, 하우징에 내장된 훅몸체의 외주면 일부가 동력전달돌기와 접촉되어 회전하게 되는 데, 상기 바늘실의 루프가 줄넘기 운동하여 이 접촉된 부위를 빠져나갈 때, 저항을 받아 바늘질 품질이 일정하지 않게 되거나 단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잔사량 검출 기능을 구비한 회전북통이 미국등록특허공보 제535372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회전북통은 재봉틀의 프레임에 내장된 구동축에 일단이 커플링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훅몸체, 상기 훅몸체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훅몸체에 삽입된 보빈케이스베이스 및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보빈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보빈의 양 플랜지들 중 구동축에 등을 진 하나의 플랜지에는 영구자석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의 양 측면들 중 상기 구동축과 마주하는 하나의 측면이 상기 보빈을 삽입하여 내장시키기 위해 개구되고, 다른 하나의 측면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 내의 정중앙에서 보빈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지지축을 지지하기 위해 막혀있다.
또한, 상기 개시된 회전북통은 상기 영구자석이 부착된 상기 보빈의 하나의 플랜지에 마주하게 배치된 자기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기검출센서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개시된 회전북통에서는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의 상기 다른 하나의 측면의 부위 중 상기 자기검출센서와 마주하게 되는 부위에 작은 관통구멍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개시된 회전북통에서는 스티칭에 의해 보빈에서 풀리는 보빈실에 의해 보빈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영구자석에서 발생한 자기가 상기 보빈베이스케이스의 상기 다른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마주하게 될 때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방사되어서 상기 자기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기검출센서에 의해 보빈의 회전수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보빈케이스베이스에 장착되었을 때 보빈에 보빈실이 감김 수를 알게 되면, 스티칭시에 상기 보빈의 회전수에 따른 보빈실의 잔사량을 수치해석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회전북통에서는 훅몸체가 구동축의 선단에 의해 일단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훅몸체가 회전할 시에 떨림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자기검출센서가 재봉틀이나 자수기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자기검출센서가 검출하여야 시기에 상기 자기검출센서가 상기 관통구멍과 마주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보빈이 일 회전되어도 상기 자기검출센서가 그 일 회전을 검출하지 못하여 결국 보빈의 회전수에 따른 보빈실의 잔사량에 신뢰성이 없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개시된 회전북통에서는 보빈케이스베이스를 훅몸체에 착탈하는 측에 인접하여 상기 자기검출센서가 배치되어 있어서, 보빈케이스베이스를 훅몸체에 착탈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기검출센서를 보빈케이스베이스로부터 멀리 위치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위치이동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자기검출센서를 구동축 측에 배치하고 영구자석을 구동축에 마주하는 보빈의 플랜지 측에 부착시키는 것이 고려되지만, 구동축과 마주하는 훅몸체 일측 전면이 상기 구동축에 커플링 되어 있어서, 상기 자기검출센서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없고, 더욱이 상기 자기검출센서의 전기적인 신호를 재봉기나 자수기의 본체에 마련된 수신부에 송신하여야 하지만 상기 자기검출센서는 회전체이고 상기 수신부는 고정체이어서, 이들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카본 브러시가 요구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주기적으로 카본 브러시를 새것으로 교체하여만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이러한 고려가 적용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자기검출센서와 보빈 사이에는 보빈이 보빈케이스베이스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빈캡이 보빈을 감싸아 보빈케이스베이스에 장착되게 되는 데, 상기 자기검출센서와 마주하게 되는 보빈캡의 면에는 보빈케이스베이스를 보빈캡에 장착하기 위한 수단과 보빈캡을 파지하기 위한 수단들이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자기검출센서와 마주하게 되는 보빈캡의 면의 두께가 커서, 보빈의 플랜지에 장착된 영구자석과 상기 자기검출센서 간의 거리를 좁히는 데 한계가 존재하여 거리에 반비례하는 자기력이 약화되어 상기 자기검출센서가 상기 영구자석에서 보내는 자기력을 제대로 검출하지 못하여 보빈의 회전수가 파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훅몸체와 결합되는 동력전달돌기를 구비한 종래의 동력전달회전부를 배제시킨 상태에서, 회전자를 훅몸체에 고정적으로 외접시키고, 고정자를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내접시켜 재봉틀이나 자수기의 본체에 장착된 하우징에 훅몸체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회전자가 N극성의 자석과 S극성의 자석을 갖게 하고, 상기 고정자가 전류공급회로부에 접속되어 전류의 인입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N극성과 S극성을 띠게 하는 복수개의 전자석을 갖게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빈캡과 등을 진 보빈의 플랜지에 보빈캡과 등을 진 방향으로 노출된 영구자석을 장착하고, 보빈캡과 등을 진 보빈의 플랜지와 마주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의 면에 상기 영구자석와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을 형성시키고, 하우징의 고정된 브래킷에 상기 영구자석과 마주하여 자기검출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훅몸체가 바늘과 실채기를 왕복 운동시키는 모터에 구동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별도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훅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었던 종래에 소음을 유발하는 베벨기어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이 배제될 수 있어서, 종래보다 현저하게 소음을 줄일 수 있고, 훅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종래의 동력전달돌기가 배제될 수 있어서, 상기 바늘실의 루프가 줄넘기 운동을 할 때 부하를 받지 않아, 바늘질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단사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훅몸체가 하우징에만 의해 양단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훅몸체가 회전할 시에 떨림이 발생하지 않아, 하우징에 고정된 자기검출센서로 하여금, 보빈에 장착된 영구자석의 자력을 정확하게 검출하게 하여, 보빈의 회전수에 따른 보빈실의 잔사량을 신뢰성 있게 얻을 수 있고, 더욱이 영구자석을 보빈캡에 등을 진 보빈의 플랜지 면에 장착하고서, 보빈 캡이 보빈케이스베이스에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 쪽에 자기검출센서를 배치시켜서, 영구자석에 인접하게 하우징에 장착시킬 수 있어서, 보빈을 보빈케이스베이스에 착탈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종래보다 자기검출센서를 영구자석에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서, 종래에 필요할 수 있는 카본 브러시가 배제된 상태에서, 거리에 반비례하는 자기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자기검출센서가 상기 영구자석에서 보내는 자기력을 제대로 검출하게 하여 보빈의 회전수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북통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및
도 3은 도 2의 회전북통에 보빈실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이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되는 회전북통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172457호의 수직회전북통,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063712호의 수평회전북통, 및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071934호의 지그재그 재봉용 수직회전북통에 적용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수직회전북통에 대해서만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훅몸체의 회전중심선 방향에서 우측을 일측으로 좌측을 타측으로 언급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실시예의 회전북통이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북통(100)은, 종래와 같이, 재봉기나 자수기의 도시되지 않은 본체에 고정되고, 일측과 타측의 내주면에 대경부(11)와 소경부(12)가 형성되어 이들 사이에 턱(13)이 형성된 하우징(10); 둘레방향 일측으로 뻗어서 외주면 일부에 훅부(21)가 마련되고, 상기 훅부(21)와 마주하는 외주면 일부에 절결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경부(12) 보다 큰 외경을 갖고서 상기 하우징(10)의 대경부(11)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된 링형상의 훅몸체(20);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게 상기 하우징(10)의 타측 내에 삽입되어 상기 훅몸체(20)가 회전가능하게 상기 훅몸체(20)에 내접되어 장착된 보빈케이스베이스(30);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30)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서 장전되는 보빈(40);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30)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회전하게 상기 하우징(10)의 소경부(12) 내에 삽입되어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훅몸체(20)에 고정되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30)가 상기 훅몸체(20)에서 타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편(50); 및 상기 훅몸체(20)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대경부(11)에 내접되어 암나사와 수나사와 같은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는 훅몸체이탈방지링(6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회전북통(100)은 종래와 달리, 모터수단(20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모터수단(200)은, 상기 절결부(22)를 사이에 두고 상기 훅몸체(20)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회전자로서의 N극 자석(210)과 S극 자석(211); 상기 N극 자석(210)과 S극 자석(211)을 에워싸서 예를 들면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훅몸체(20)에 고정되어 상기 N극 자석(210)과 S극 자석(211)을 훅몸체(20)에 고정시키는 기브(gib) 형상의 덮개편(220); 및 상기 훅몸체이탈방지링(60)에 착탈가능하게 내접 고정된 링형상의 고정자(2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자(23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자(23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전자석(23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231)은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磁氣化)되고, 전류를 끊으면 자기화되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자석을 의미하며, 전류의 흐름방향에 따라 N극성와 S극성을 선택적으로 갖게 되는 자석이다.
따라서, 복수개의 전자석(231) 중 N극 자석(210)에 마주하게 될 때 복수개의 전자석들이 N극성을 갖게 하고, 복수개의 전자석(231) 중 S극 자석(211)에 마주하게 될 대 복수개의 전자석들이 S극성을 갖게 하여 척력이나 인력에 의해 상기 N극 자석(210)과 S극 자석(211)이 회전자로서 상기 훅몸체(20)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231)은 재봉기나 자수기의 본체나 상기 하우징(10)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전기회로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자(230)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코일보빈(2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코일보빈(232)에는 상기 전기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시되지 않은 복수개의 코일이 감기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코일을 안정적으로 그리고 가지런히 배선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코일이 관통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구멍(241)이 형성된 토큰형상의 브래킷(240)이 상기 고정자(230)의 일측에 내접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북통(100)은 보빈(40)에 감겨진 보빈실의 잔사량을 검출하기 위한 보빈실잔사량검출수단(30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보빈실잔사량검출수단(300)은, 상기 브래킷(240)에 타측방향으로 노출되게 장착된 자기검출센서(310), 및 상기 보빈(40)의 양 플랜지들중 일측에 위치된 플랜지(41)의 일측 방향으로 면한 면의 일부분에 일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장착된 영구자석(3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자기검출센서(310)와 상기 영구자석(320)은 보빈(40)의 회전축선에서 동일한 반경에 상기 브래킷(240)과 상기 플랜지(41)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일측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30)의 면에는 상기 영구자석(320)의 자력이 상기 자기검출센서(310)에 미치는 것에 최소한으로 방해를 주지 않도록 반경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절결부(31, 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북통(100)은 전기회로부의 제어하에서 고정자인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231)이 선택적으로 N극성과 S극성을 갖게 하여 척력이나 인력에 의해 상기 N극 자석(210)과 S극 자석(211)을 밀어내거나 당기어 회전자로서 작용하게 하여 상기 N극 자석(210)과 S극 자석(211)을 착하고 있는 훅몸체(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자체적으로 모터의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북통(100)은 자기검출센서(310)가 일측에 배치되어, 타측에 배치된 보빈(40)에 장착된 영구자석(320)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검출하여 도시되지 않은 중앙처리장치에 그 검출을 보내어 중앙처리장치로 하여금 검출 정보를 받을 때마다 보빈(40)의 일회전으로 판단하고, 이를 정보를 적산하게 되면 보빈(40)에 감겨진 보빈실의 잔사량을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된 회전북통(100)에 의하면, 훅몸체(20)가 바늘과 실채기를 왕복 운동시키는 모터에 구동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회전북통 내에 마련된 별도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지 때문에, 훅몸체(2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었던 종래에 소음을 유발하는 베벨기어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이 배제될 수 있어서, 종래보다 현저하게 소음을 줄일 수 있고, 훅몸체(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종래의 동력전달돌기가 배제될 수 있어서, 상기 바늘실의 루프가 줄넘기 운동을 할 때 부하를 받지 않아, 바늘질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단사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된 회전북통(100)에 의하면, 상기 훅몸체(20)가 하우징(10)에만 의해 양단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훅몸체(20)가 회전할 시에 떨림이 발생하지 않아, 하우징(10)에 고정된 자기검출센서(310)로 하여금, 보빈(40)에 장착된 영구자석(320)의 자력을 정확하게 검출하게 하여, 보빈(40)의 회전수에 따른 보빈실의 잔사량을 신뢰성 있게 얻을 수 있고, 더욱이 영구자석(320)을 일측 방향으로 면한 보빈(40)의 플랜지(41) 면에 장착하고서, 하우징(10)의 일측에 자기검출센서를 배치시켜서, 영구자석(320)에 인접하게 하우징(10)에 장착시킬 수 있어서, 보빈(40)을 보빈케이스베이스(30)에 착탈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종래보다 자기검출센서(310)를 영구자석(320)에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서, 종래에 필요할 수 있는 카본 브러시가 배제된 상태에서, 거리에 반비례하는 자기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자기검출센서(310)가 상기 영구자석(320)에서 보내는 자기력을 제대로 검출하게 하여 보빈(40)의 회전수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북통(100)의 브래킷(240)에 복수개의 관통구멍(241)이 형성되고 자기검출센서(310)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시에 보빈(40)에 감겨진 보빈실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241)이 형성된 상기 브래킷(240)에 착탈가능하게 내접된 제2브래킷(410)을 마련하고, 상기 제2브래킷(41)에 타측방향으로 노출되게 장착된 자기검출센서(310)를 마련하고, 상기 보빈(40)의 양 플랜지들중 일측에 위치된 플랜지(41)의 일측 방향으로 면한 면의 일부분에 일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장착된 영구자석(320)을 마련하고, 상기 영구자석(320)이 장착된 보빈(40)의 플랜지(41)의 부위 중 상기 역구자석(320)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 상기 플랜지(41)의 부위에 상기 플랜지(41)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N극성 또는 S극성의 단극자석(401)을 일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장착하여 마련하고, 상기 플랜지(41)와 마주하는 상기 제2브래킷(410)의 면의 부위 중 상기 자기걸출센서(310)가 위치된 것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 부위에 상기 제2브래킷(410)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의 전자석(420)을 상기 복수개의 단극자석(401)과 마주하게 마련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단극자석(401)이 N극성이면,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420)은 S극성 또는 N극성을 갖도록 전기회로부의 제어에 의해 설정되게 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단극자석(401)이 S극성이면, 상기 복수개의 전자석(420)은 N극성 또는 S극성을 갖도록 전기회로부의 제어에 의해 설정되면서 자기력도 조절되게 되어 있어서, 자기의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보빈(40)이 보빈케이스베이스(30)에서 회전하는 부하를 조절하여 재봉시에 보빈(40)에서 해권되는 보빈실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10; 하우징, 20; 훅몸체, 30; 보빈케이스베이스, 40; 보빈, 50;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편, 60; 훅몸체이탈방지링, 200; 모터수단, 300; 보빈실잔사량검출수단

Claims (7)

  1. 재봉기나 자수기의 본체에 고정된 하우징(10);
    둘레방향 일측으로 뻗어서 외주면 일부에 훅부(21)가 마련되고, 상기 훅부(21)와 마주하는 외주면 일부에 절결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된 링형상의 훅몸체(20);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게 상기 하우징(10)의 타측 내에 삽입되어 상기 훅몸체(20)가 회전가능하게 상기 훅몸체(20)에 내접되어 장착된 보빈케이스베이스(30);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30)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서 장전되는 보빈(40);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30)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된 상태에서 상기 훅몸체(20)에 고정되어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30)가 상기 하우징(10)에서 타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빈케이스베이스이탈방지편(50); 및
    상기 훅몸체(20)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대경부(11)에 내접되어 착탈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는 훅몸체이탈방지링(60)을 포함하고 있는 회전북통으로서,
    상기 절결부(22)를 사이에 두고 상기 훅몸체(20)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회전자로서의 N극 자석(210)과 S극 자석(211); 및
    상기 훅몸체이탈방지링(60) 또는 상기 하우징(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링형상의 고정자(230)를 구비한 모터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23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전자석(231)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극 자석(210)과 S극 자석(211)을 에워싸서 상기 훅몸체(20)에 고정되어 상기 N극 자석(210)과 S극 자석(211)을 훅몸체(20)에 고정시키는 덮개편(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230)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코일보빈(2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코일보빈(232)에는 전기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개의 코일이 감기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코일을 안정적으로 그리고 가지런히 배선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코일이 관통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구멍(241)이 형성된 토큰형상의 브래킷(240)이 상기 고정자(230)에 내접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4. 제 3항에 있어서,
    보빈(40)에 감겨진 보빈실의 잔사량을 검출하기 위한 보빈실잔사량검출수단(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빈실잔사량검출수단(300)은,
    상기 브래킷(240)에 타측방향으로 노출되게 장착된 자기검출센서(310), 및 상기 보빈(40)의 양 플랜지들중 일측에 위치된 플랜지(41)의 일측 방향으로 면한 면의 일부분에 일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장착된 영구자석(320)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검출센서(310)와 상기 영구자석(320)은 보빈(40)의 회전축선에서 동일한 반경에 상기 브래킷(240)과 상기 플랜지(41)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6. 제 5항에 있어서,
    일측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상기 보빈케이스베이스(30)의 면에는 상기 영구자석(320)의 자력이 상기 자기검출센서(310)에 미치는 것에 최소한으로 방해를 주지 않도록 절결부(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7. 제 3항에 있어서,
    보빈(40)에 감겨진 보빈실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보빈실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빈실장력조절수단은,
    타측방향으로 면한 상기 브래킷(240)의 면에 상기 브래킷(240)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장착된 복수개의 전자석(420), 및 상기 보빈(40)의 양 플랜지들중 일측에 위치된 플랜지(41)의 일측 방향으로 면한 면에 상기 플랜지(41)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일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장착된 복수개의 단극자석(401)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20170086431A 2017-07-07 2017-07-07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1939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431A KR101939177B1 (ko) 2017-07-07 2017-07-07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PCT/KR2018/007680 WO2019009656A2 (ko) 2017-07-07 2018-07-06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431A KR101939177B1 (ko) 2017-07-07 2017-07-07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177B1 true KR101939177B1 (ko) 2019-01-16

Family

ID=6495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431A KR101939177B1 (ko) 2017-07-07 2017-07-07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9177B1 (ko)
WO (1) WO201900965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2108B (zh) * 2021-09-13 2022-06-14 绍兴雷亮纺织有限公司 绣花机用梭芯与梭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4554A1 (de) * 1999-12-18 2001-06-21 Frankl & Kirchner Gmbh & Co. Kg Fabrik Für Elektromotoren U. Elektrische Apparate Antrieb für eine nähmaschine, insbesondere eine industrienähmaschine
KR101657607B1 (ko) * 2015-12-04 2016-09-19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2673A1 (de) * 1990-08-07 1992-02-20 Dürkopp Adler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überwachen des greiferfaden-vorrats einer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DE102004015718B3 (de) * 2004-03-29 2005-05-25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WO2010147023A1 (ja) * 2009-06-16 2010-12-23 エヌエスディ株式会社 ミシンの下糸張力制御装置及びミシ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4554A1 (de) * 1999-12-18 2001-06-21 Frankl & Kirchner Gmbh & Co. Kg Fabrik Für Elektromotoren U. Elektrische Apparate Antrieb für eine nähmaschine, insbesondere eine industrienähmaschine
KR101657607B1 (ko) * 2015-12-04 2016-09-19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9656A2 (ko) 2019-01-10
WO2019009656A3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2505B1 (en) Yarn traverse apparatus
JP5406294B2 (ja) ミシンの下糸張力制御装置及びミシン
JP4831416B2 (ja) 電磁クラッチ装置
KR101939177B1 (ko) 모터를 내장한 스티치용 회전북통
JPH11107129A (ja) 織機用直接電磁駆動式回転耳組装置
JPH11117147A (ja) 織機用直接電磁駆動式回転耳組装置
US8174162B2 (en) Motor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JP5997174B2 (ja) 織機用ウェフトフィーダー
JP2001500200A (ja) ポットスピニング装置
US7083134B2 (en) Yarn feeding device
EP1580870A2 (en) BLDC motor
JPH09327585A (ja) ミシンの糸切れ検出装置
EP1158086B1 (de)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einem Antriebsmotor in Form eines Direktantriebs
JP5147518B2 (ja) 下糸張力制御装置
US6546966B2 (en) Apparatus for making available a leno thread for a weaving machine
KR100257778B1 (ko) 브러시리스 모터
JPH09111556A (ja) 紡機における糸切れセンサの取付構造及び糸切れセンサ
SU120315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коплени нити при ее подаче к текстильной машине
CN216274716U (zh) 断线检测装置和刺绣机
JP2019506540A (ja) 特に織機用の織耳を形成するための電動デバイス、及びそのようなデバイスを備える発射織機
RU2007149260A (ru) Устройство определения углового положения барабана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JP3113638B2 (ja) 巻線装置
SU1381209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коплени нити при ее подаче к текстильной машине
JP2000270537A (ja) 回転検出器を内蔵したヒステリシスブレーキ
KR20010010864A (ko) 비엘디시 모터의 회전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