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345B1 -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 - Google Patents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5345B1 KR101935345B1 KR1020180104030A KR20180104030A KR101935345B1 KR 101935345 B1 KR101935345 B1 KR 101935345B1 KR 1020180104030 A KR1020180104030 A KR 1020180104030A KR 20180104030 A KR20180104030 A KR 20180104030A KR 101935345 B1 KR101935345 B1 KR 1019353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ulating member
- stopper
- fire
- transmission line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33 buria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G01R31/025—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09—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using acoustic measur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지지대(10)와, 절연기구(20)와, 접속기구(30)와, 고정기구(40)와, 누전감지센서(50)와, 송신기(60)와, 경고음발생장치(70)와, 초음파센서(80)와, 화재감지센서고정대(100)와, 화재감지센서(110)와, 분사기고정대(120)와, 소화분말분사기(130)와, 송풍장치(140) 및, 제어유닛(90)을 갖추고서, 평상시에 지중송전선 연결부분에서 누전이 발생할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리고, 누전이 발생한 지점으로 사람이 접근할 경우 접근하는 사람을 향해 경고음성을 방출하며, 일정 기준 이하의 진동에서는 안정적으로 전력을 연결하고 일정 기준 이상의 진동에서는 전력을 차단하고, 화재 발생 시 화재진압을 신속하게 하면서 안전지대를 확보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지중송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로 송전된다.
이중 지중을 통한 지중송전선로 시공방법은 직접 매설식과, 관로를 만든 후 관로에 지중송전케이블을 수용하는 관로식, 지하에 전력구를 파고 전력구에 지중송전케이블을 포설하는 전력구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 중 전력구식은 지중송전 구간이 길면 중간에서 별도의 연결기구를 통해 지중송전선을 연결한다.
종래에는, 지중송전선이 연결된 부분에서 평상시 누전이 발생할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없고, 누전된 지점으로 사람이 접근할 시 이에 대해 신속하게 경고할 수 없어, 지중송전선 연결부분에서 누전이 발생할 경우 매우 위험했다.
또한, 종래에는 지진에 의해 지면이 흔들릴 시, 전력구 내의 지중송전선 간의 연결이 쉽게 단선되어 전력의 안정적 공급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강도가 큰 지진이 발생할 시, 지중송전선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것이, 누전 발생에 대비해, 오히려 안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기준 이하의 진동에서는 안정적으로 전력을 연결하고, 일정 기준 이상의 진동에서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발명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에는 화재가 발생할 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없어, 전력구 내에 대형화재가 발생하기 쉬웠고, 화재가 발생할 시 전력구 내의 연기가 급속히 확산되어 안전지대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에 지중송전선 연결부분에서 누전이 발생할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리고, 누전이 발생한 지점으로 사람이 접근할 경우 접근하는 사람을 향해 경고음성을 방출하며, 일정 기준 이하의 진동에서는 안정적으로 전력을 연결하고 일정 기준 이상의 진동에서는 전력을 차단하고, 화재 발생 시 화재진압을 신속하게 하면서 안전지대 확보를 할 수 있는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구(T)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대(10)와:
제1절연부재(21)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21a)과, 제1절연부재(21)의 우측에 구비되어 좌측이 상기 수용공간(21a)의 우측과 연통되며 지중송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21b)과, 우측이 상기 수용공간(21a)의 좌측과 연통되고 좌방으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며 좌측이 개구된 걸림공간(21c)과, 제1절연부재(21)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측이 상기 수용공간(21a)의 하측과 연통되는 걸림체삽입홀(21d) 및, 상측이 상기 걸림체삽입홀(21d)의 하측과 연통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걸림체삽입홀(21d)보다 큰 개구홀(21e)을 구비한 제1절연부재(21)와; 제2절연부재(22)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22a)과, 제2절연부재(22)의 좌측에 구비되어 우측이 상기 수용공간(22a)의 좌측과 연통되며 지중송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22b)과, 좌측이 상기 수용공간(22a)의 우측과 연통되고 우방으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며 우측이 개구되어 제1절연부재(21)의 걸림공간(21c)의 좌측과 연통되는 걸림공간(22c)과, 제2절연부재(22)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측이 상기 수용공간(22a)의 하측과 연통되는 걸림체삽입홀(22d) 및, 상측이 상기 걸림체삽입홀(22d)의 하측과 연통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걸림체삽입홀(22d)보다 큰 개구홀(22e)을 구비하여, 제1절연부재(2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절연부재(22)를 갖추고서, 지지대(10)에 설치되는 절연기구(20)와:
제1절연부재(21)의 걸림공간(21c)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외면이 제1절연부재(21)의 걸림공간(21c)을 이루는 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제1절연부재(21)의 걸림공간(21c)에 배치되는 걸림부(31a)와, 상기 걸림부(31a)의 우측에 구비되고 외면이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을 이루는 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에 배치되는 이음부(31b) 및, 걸림턱(31c1)이 형성되도록 폭이 상기 이음부(31b)보다 크고 상기 이음부(31b)의 우측에 구비되어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에 배치되는 지중송전선연결부(31c)를 갖추고서,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 및 걸림공간(21c)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제1접속부재(31)와; 제2절연부재(22)의 걸림공간(22c)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외면이 제2절연부재(22)의 걸림공간(22c)을 이루는 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제2절연부재(22)의 걸림공간(22c)에 배치되며 제1접속부재(31)의 걸림부(31a)와 접촉하는 걸림부(32a)와, 상기 걸림부(32a)의 좌측에 구비되고 외면이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을 이루는 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에 배치되는 이음부(32b) 및, 걸림턱(32c1)이 형성되도록 폭이 상기 이음부(32b)보다 크고 상기 이음부(32b)의 좌측에 구비되어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에 배치되는 지중송전선연결부(32c)를 갖추고서,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 및 걸림공간(22c)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제2접속부재(32)와;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에 설치되어 제1접속부재(31)를 좌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33) 및;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에 설치되어 제2접속부재(32)를 우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34)으로 구성된 접속기구(30)와:
마개(41a)의 중심부에 상하로 개구된 삽입홀(41a1)이 형성되고 제1절연부재(21)의 개구홀(21e)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마개(41a)와, 제1절연부재(21)의 걸림체삽입홀(21d)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접속부재(31)의 지중송전선연결부(31c)의 하측과 맞닿는 걸림부(41b1), 상기 걸림부(41b1)의 하측에 구비되며 제1절연부재(21)의 개구홀(21e)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마개(41a)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이동부(41b2), 상기 마개(41a)의 삽입홀(41a1)과 상하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걸림부(41b1) 및 이동부(41b2)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나사홀(41b3)을 구비한 걸림체(41b)와, 상기 마개(41a)에 안착되게 배치되되 상기 마개(41a)와 상기 걸림체(41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체(41b)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41c)과, 상측이 상기 걸림체(41b)의 나사홀(41b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하측이 상기 스프링(41c) 내부 및 상기 마개(41a)의 삽입홀(41a1)을 통과하여 상기 마개(41a)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바(41d) 및, 상기 볼트바(41d)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상기 마개(41a)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표식판(41e)을 갖춘 절연재질의 제1고정부재(41)와; 마개(42a)의 중심부에 상하로 개구된 삽입홀(42a1)이 형성되고 제2절연부재(22)의 개구홀(22e)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마개(42a)와, 제2절연부재(22)의 걸림체삽입홀(22d)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접속부재(32)의 지중송전선연결부(32c)의 하측과 맞닿는 걸림부(42b1), 상기 걸림부(42b1)의 하측에 구비되며 제2절연부재(22)의 개구홀(22e)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마개(42a)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이동부(42b2), 상기 마개(42a)의 삽입홀(42a1)과 상하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걸림부(42b1) 및 이동부(42b2)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나사홀(42b3)을 구비한 걸림체(42b)와, 상기 마개(42a)에 안착되게 배치되되 상기 마개(42a)와 상기 걸림체(42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체(42b)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42c)과, 상측이 상기 걸림체(42b)의 나사홀(42b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하측이 상기 스프링(42c) 내부 및 상기 마개(42a)의 삽입홀(42a1)을 통과하여 상기 마개(42a)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바(42d) 및, 상기 볼트바(42d)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상기 마개(42a)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표식판(42e)을 갖춘 절연재질의 제2고정부재(42)로 구성된 고정기구(40)와:
절연기구(20)의 표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누전감지센서(50)와:
지지대(10)에 설치되어, 누전감지센서(5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누전알림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60)와:
지지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스피커회전모터(71)와; 스피커회전모터(71)에 설치되어 스피커회전모터(71)에 의해 회전하고,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72)를 갖춘 경고음발생장치(70)와:
제1,2절연부재(21,22)에 각각 설치되어, 제1,2절연부재(21,22)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80)와: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기(101)를 갖추고서, 절연기구(20)의 상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절연기구(20)로부터 노출된 지중송전선(L)의 상방에 위치하게 구비되는 화재감지센서고정대(100)와:
화재감지센서고정대(100)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110)와:
제1,2절연부재(21,22)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분사기고정대(120)와:
분사기고정대(120)에 설치되는 소화분말분사기(130)와:
지지대(10)에 설치되는 팬방향전환모터(141)와; 팬방향전환모터(141)에 설치되어 팬방향전환모터(141)에 의해 방향전환하고, 바람을 송풍하는 팬(142)를 갖춘 송풍장치(140)와:
지지대(10)에 설치되어, 누전감지센서(50), 송신기(60), 스피커회전모터(71), 스피커(72), 초음파센서(80), 화재감지센서(110), 소화분말분사기(130), 팬방향전환모터(141) 및 팬(142)를 작동제어하며, 누전감지센서(5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초음파센서(80)로부터 물체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스피커회전모터(71)를 구동하여 스피커(72)가 상기 초음파센서(80)를 향하도록 제어하면서 스피커(72)를 구동하는 한편,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화재감지센서(110) 방향에 위치한 소화분말분사기(130)를 구동하고, 팬(142)이 상기 화재감지센서(50)를 향하도록 제어하면서 팬(142)를 구동하는 제어유닛(9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절연기구(20)에 누전이 발생할 시 이를 신속하게 외부에 알려 누전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기구(20)의 누전발생지점으로 접근하는 사람을 감지하여 상기 누전발생지점으로 접근하는 사람을 향해 직접적으로 누전 경고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무의식적으로 누전발생지점으로 접근하는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누전 경고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송전선(L)을 따라 절연기구(20) 방향으로 화염이 진행할 시, 화염이 진행하는 지중송전선(L)을 향해 소화분말을 분사하여, 화재 진압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진행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바람을 불어, 연기가 화재 미발생 지역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안전지대를 확보하여, 연기에 의한 질식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한 지진이 발생할 경우에는 제1,2접속부재(31,32)의 접속을 유지하고, 강한 지진이 발생할 경우에는 제1,2접속부재(31,32)의 접속을 차단하여, 지진의 강도에 따라 적절하게 송전 및 단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고정부재(41,42)의 표식판(41e,42e)의 위치 변화를 통해 제1,2고정부재(41,42)의 스프링(41c,42c)의 탄성력 문제 발생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탄성력 문제 발생을 확인하면 제1,2고정부재(41,42)의 마개(41a,42a)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제1,2고정부재(41,42)의 스프링(41c,42c)의 탄성력을 임시 보완한 후, 문제가 있는 제1,2고정부재(41,42)의 스프링(41c,42c)를 새로운 스프링(41c,42c)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2고정부재(41,42)의 문제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고정부재(41,42)에 문제가 발생하여, 제1,2고정부재(41,42)의 걸림체(41b,42b)가 효과적으로 제1,2접속부재(31,32)의 이동을 제한하지 못할 상황이 발생할 경우, 제1,2고정부재(41,42)의 볼트바(41d,42d)의 이동을 통해 제1,2접속부재(31,3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단전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고정부재(41,42)의 노후화를 확인하기 위해 제1,2절연부재(21,22)로부터 제1,2고정부재(41,42)를 분리할 시, 제1,2고정부재(41,42)의 스프링(41c,42c)의 탄성력에 의해 제1,2고정부재(41,42)의 마개(41a,42a)가 튀어 관리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2고정부재(41,42)의 볼트바(41d,42d) 및 제1,2고정부재(41,42)의 표식판(41e,42e)를 통해 제1,2고정부재(41,42)의 마개(41a,42a)가 관리자를 향해 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관리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X-X'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경고음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기 구성도이고,
도 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X-X'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경고음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기 구성도이고,
도 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X-X'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경고음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기 구성도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는 지지대(10)와, 절연기구(20)와, 접속기구(30)와, 고정기구(40)와, 누전감지센서(50)와, 송신기(60)와, 경고음발생장치(70)와, 초음파센서(80)와, 화재감지센서고정대(100)와, 화재감지센서(110)와, 분사기고정대(120)와, 소화분말분사기(130)와, 송풍장치(140) 및, 제어유닛(9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0)는 전력구(T) 내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10)는 전력구(T)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바(11)와, 지지바(11)의 상측에 설치되는 'U'자 형상의 받침대(12)를 갖춘다.
상기 절연기구(20)는 제1절연부재(21)와, 제2절연부재(22)를 갖추고서, 지지대(1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절연기구(20)는 지지대(10)의 받침대(12)에 안착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절연기구(20)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절연부재(21)는 수용공간(21a)과, 인입홀(21b)과, 걸림공간(21c)과, 걸림체삽입홀(21d) 및, 개구홀(21e)를 갖춘다.
상기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은 제1절연부재(21)의 내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공간(21a)은 육면체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절연부재(21)의 인입홀(21b)은 제1절연부재(21)의 우측에 구비되어, 좌측이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의 우측과 연통되며, 지중송전선(L)이 인입된다.
상기 제1절연부재(21)의 걸림공간(21c)은, 우측이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의 좌측과 연통되고, 좌방으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며, 좌측이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공간(21c)은 좌방으로 갈 수록 상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절연부재(21)의 걸림체삽입홀(21d)은 제1절연부재(21)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측이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의 하측과 연통된다.
상기 제1절연부재(21)의 개구홀(21e)은, 상측이 제1절연부재(21)의 걸림체삽입홀(21d)의 하측과 연통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걸림체삽입홀(21d)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절연부재(22)는 수용공간(22a)과, 인입홀(22b)과, 걸림공간(22c)과, 걸림체삽입홀(22d) 및, 개구홀(22e)를 갖추고서, 제1절연부재(2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은 제2절연부재(22)의 내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공간(22a)은 육면체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인입홀(22b)은, 제2절연부재(22)의 좌측에 구비되어 우측이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의 좌측과 연통되며, 지중송전선(L)이 인입된다.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걸림공간(22c)은, 좌측이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의 우측과 연통되고, 우방으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며, 우측이 개구되어 제1절연부재(21)의 걸림공간(21c)의 좌측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공간(22c)은 우방으로 갈 수록 상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걸림체삽입홀(22d)은 제2절연부재(22)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측이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의 하측과 연통된다.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개구홀(22e)은, 상측이 제2절연부재(22)의 걸림체삽입홀(22d)의 하측과 연통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걸림체삽입홀(22d)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접속기구(30)는 제1접속부재(31)와, 제2접속부재(32)와, 제1스프링(33) 및, 제2스프링(34)를 갖춘다.
상기 제1접속부재(31)는 걸림부(31a)와, 이음부(31b) 및, 지중송전선연결부(31c)를 갖추고서,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 및 걸림공간(21c)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접속부재(31)는 도전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접속부재(31)의 걸림부(31a)는, 제1절연부재(21)의 걸림공간(21c)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외면이 제1절연부재(21)의 걸림공간(21c)을 이루는 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제1절연부재(21)의 걸림공간(21c)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31a)는 좌방으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접속부재(31)의 이음부(31b)는, 제1접속부재(31)의 걸림부(31a)의 우측에 구비되고, 외면이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을 이루는 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에 배치된다.
상기 제1접속부재(31)의 지중송전선연결부(31c)는, 걸림턱(31c1)이 형성되도록 폭이 제1접속부재(31)의 이음부(31b)보다 크고, 상기 이음부(31b)의 우측에 구비되어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중송전선연결부(31c)의 우측에 지중송전선(L)이 연결된다.
상기 제2접속부재(32)는 걸림부(32a)와, 이음부(32b) 및, 지중송전선연결부(32c)를 갖추고서,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 및 걸림공간(22c)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접속부재(32)는 도전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접속부재(32)의 걸림부(32a)는, 제2절연부재(22)의 걸림공간(22c)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외면이 제2절연부재(22)의 걸림공간(22c)을 이루는 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제2절연부재(22)의 걸림공간(22c)에 배치되며, 제1접속부재(31)의 걸림부(31a)와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접속부재(31)의 걸림부(31a)와 제2접속부재(32)의 걸림부(32a)는, 요철 형상을 이루어 서로 맞물리게 접촉한다.
상기 제2접속부재(32)의 이음부(32b)는 제2접속부재(32)의 걸림부(32a)의 좌측에 구비되고, 외면이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을 이루는 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에 배치된다.
상기 제2접속부재(32)의 지중송전선연결부(32c)는, 걸림턱(32c1)이 형성되도록 폭이 제2접속부재(32)의 이음부(32b)보다 크고, 상기 이음부(32b)의 좌측에 구비되어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중송전선연결부(32c)의 좌측에 지중송전선(L)이 연결된다.
상기 제1스프링(33)은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에 설치되어, 제1접속부재(31)를 좌방으로 탄발지지한다.
상기 제2스프링(34)은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에 설치되어, 제2접속부재(32)를 우방으로 탄발지지한다.
상기 고정기구(40)는 절연재질의 제1고정부재(41)와, 절연재질의 제2고정부재(42)를 갖춘다.
상기 제1고정부재(41)는 마개(41a)와, 걸림체(41b)와, 스프링(41c)과, 볼트바(41d) 및 표식판(41e)를 갖춘다.
상기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는 마개(41a)의 중심부에 상하로 개구된 삽입홀(41a1)이 형성되고, 제1절연부재(21)의 개구홀(21e)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41)의 걸림체(41b)는 제1절연부재(21)의 걸림체삽입홀(21d)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접속부재(31)의 지중송전선연결부(31c)의 하측과 맞닿는 걸림부(41b1)와, 상기 걸림부(41b1)의 하측에 구비되며 제1절연부재(21)의 개구홀(21e)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이동부(41b2) 및,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의 삽입홀(41a1)과 상하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걸림부(41b1) 및 이동부(41b2)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나사홀(41b3)을 갖춘다.
상기 제1고정부재(41)의 스프링(41c)은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에 안착되게 배치되되,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와 제1고정부재(41)의 걸림체(41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체(41b)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41)의 볼트바(41d)는, 상측이 제1고정부재(41)의 걸림체(41b)의 나사홀(41b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하측이 제1고정부재(41)의 스프링(41c) 내부 및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의 삽입홀(41a1)을 통과하여,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의 외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41)의 표식판(41e)은 제1고정부재(41)의 볼트바(41d)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42)는 마개(42a)와, 걸림체(42b)와, 스프링(42c)과, 볼트바(42d) 및 표식판(42e)를 갖춘다.
상기 제2고정부재(42)의 마개(42a)는 마개(42a)의 중심부에 상하로 개구된 삽입홀(42a1)이 형성되고, 제2절연부재(22)의 개구홀(22e)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42)의 걸림체(42b)는 제2절연부재(22)의 걸림체삽입홀(22d)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접속부재(32)의 지중송전선연결부(32c)의 하측과 맞닿는 걸림부(42b1)와, 상기 걸림부(42b1)의 하측에 구비되며 제2절연부재(22)의 개구홀(22e)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제2고정부재(42)의 마개(42a)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이동부(42b2) 및, 제2고정부재(42)의 마개(42a)의 삽입홀(42a1)과 상하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걸림부(42b1) 및 이동부(42b2)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나사홀(42b3)을 갖춘다.
상기 제2고정부재(42)의 스프링(42c)은 제2고정부재(42)의 마개(42a)에 안착되게 배치되되, 제2고정부재(42)의 마개(42a)와 제2고정부재(42)의 걸림체(42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체(42b)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한다.
상기 제2고정부재(42)의 볼트바(42d)는, 상측이 제2고정부재(42)의 걸림체(42b)의 나사홀(42b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하측이 제2고정부재(42)의 스프링(42c) 내부 및 제2고정부재(42)의 마개(42a)의 삽입홀(42a1)을 통과하여, 제2고정부재(42)의 마개(42a)의 외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42)의 표식판(42e)은 제2고정부재(42)의 볼트바(42d)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제2고정부재(42)의 마개(42a)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누전감지센서(50)는 다수 개가 절연기구(20)의 표면에 설치되어, 절연기구(20)의 누전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누전감지센서(50)는 절연기구(20)의 제1,2절연부재(21,22)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송신기(60)는 지지대(10)에 설치되어, 누전감지센서(5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누전알림신호를 송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기(60)는 지지대(10)의 받침대(12)에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기(60)와 통신하는 중계기(미도시)를 구비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상으로 누전알림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고음발생장치(70)는 지지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스피커회전모터(71)와, 스피커회전모터(71)에 설치되어 스피커회전모터(71)에 의해 회전하고,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7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스피커회전모터(71)는 지지대(10)의 받침대(12)에 설치된다.
상기 초음파센서(80)는 제1,2절연부재(21,22)에 각각 설치되어, 제1,2절연부재(21,22)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센서(80)는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물체를 감지하지만,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센서가 적용가능하다.
상기 화재감지센서고정대(100)는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기(101)를 갖추고서, 절연기구(20)의 상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절연기구(20)로부터 노출된 지중송전선(L)의 상방에 위치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화재감지센서고정대(100)는 제1절연부재(21)의 우측 상측, 제2절연부재(22)의 좌측 상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110)는 화재감지센서고정대(100)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재감지센서(110)는 열 감지, 연기 감지 등을 통해 화재를 감지하는 다양한 화지감지센서가 적용 가능하다.
상기 분사기고정대(120)는 제1,2절연부재(21,22)의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기고정대(120)는 제1절연부재(21)의 우측 하측, 제2절연부재(22)의 좌측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소화분말분사기(130)는 분사기고정대(12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소화분말분사기(130)는 제어유닛(90)에 의해 제어되는 자동밸브(미도시)를 구비하여, 소화분말분사기(130)에 압축저장된 소화분말을 분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소화분말분사기(130)는 일반적으로 소화기에 사용되는 소화분말이 저장된다.
상기 송풍장치(140)는 지지대(10)에 설치되는 팬방향전환모터(141)와, 팬방향전환모터(141)에 설치되어 팬방향전환모터(141)에 의해 방향전환하고, 바람을 송풍하는 팬(14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팬방향모터(141)는 지지대(10)의 받침대(12)에 설치되어, 팬(142)을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송풍장치(140)는 받침대(12)에 설치되지만, 절연기구(20)의 상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유닛(90)은 지지대(10)에 설치되어, 누전감지센서(50), 송신기(60), 스피커회전모터(71), 스피커(72), 초음파센서(80), 화재감지센서(110), 소화분말분사기(130), 팬방향전환모터(141) 및 팬(142)를 작동제어하며, 누전감지센서(5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초음파센서(80)로부터 물체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스피커회전모터(71)를 구동하여 스피커(72)가 상기 초음파센서(80)를 향하도록 제어하면서 스피커(72)를 구동하는 한편,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화재감지센서(110) 방향에 위치한 소화분말분사기(130)를 구동하고, 팬(142)이 상기 화재감지센서(50)를 향하도록 제어하면서 팬(142)를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90)은 지지대(10)의 받침대(12)에 설치된다.
도 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절연기구(20)에 크랙 등이 생겨 누전이 발생하면, 누전감지센서(50)가 이를 감지한다. 이때 제어유닛(9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60)를 매개로 누전감지신호를 관리센터로 송출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센서(80)를 구동한다.
이때, 관리인이 누전에 대한 점검을 위해 전력구 내로 진입하거나, 누전을 모르고 전력구 내로 작업자가 진입할 경우, 초음파센서(80)에 의해 감지가 이루어지면, 제어유닛(90)은 초음파센서(80)로부터 물체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어유닛(9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회전모터(71)를 구동하여 스피커(72)가 물체감지신호를 수신한 초음파센서(80)를 향하도록 제어하면서 스피커(72)를 구동한다.
그러면, 절연기구(20)의 누전 발생 지점으로 접근하던 사람이 스피커(72)로부터의 경고 음성에 의해 보다 경각심을 갖는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는 지중송전선(L) 간을 연결하여, 송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제1,2접속부재(31,32)의 제1,2걸림부(31a,32a)는 제1,2스프링(33,34)의 탄발력에 의해 서로 맞닿아 안정적인 송전이 이루어진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지중송전선(L)이 설치된 상태에서, 약한 지진에 의해 본 발명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 및 지중송전선(L)에 횡력이 전달될 시, 지지대(10)가 좌우로 흔들리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접속부재(31,32)도 함께 흔들린다. 이때 제1,2접속부재(31,32)는 제1,2스프링(33,34)에 의해 완충되면서 접속을 유지하여 송전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약한 지진의 경우 상기와 같이 제1,2접속부재(31,32)를 완충하면서 접속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한 지진이 발생할 경우 혹시 모를 안전사고(예를 들어 누전 발생)에 대비해 물리적으로 단전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한 지진이 발생하여, 제1,2접속부재(31,32)가 일정 기준이상 이동할 경우, 제1,2접속부재(31,32)의 접속을 끊을 수 있다.
여기서, 제1,2접속부재(31)의 접속 차단은 제1절연부재(21), 제1접속부재(31), 제1고정부재(41)을 대상으로 설명하고, 이외에 하기에서 본 발명의 작용 설명 또한 제1절연부재(21), 제1접속부재(31), 제1고정부재(41)을 대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접속부재(31,32)가 일정 기준 이상 우방으로 이동하면, 제2접속부재(32)의 걸림부(32a)가 제2절연부재(22)의 걸림공간(22c)을 이루는 면에 걸린다.
이때, 제1접속부재(31)는, 우방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속부재(32)와의 접속이 끊어지고, 제1접속부재(31)의 걸림턱(31c1)이 제1고정부재(41)의 걸림부(41b1)에 걸린다. 그러면 제1,2접속부재(31,32)가 서로 이격되어 단전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기구(40)는 장기간 설치로 인해, 제1고정부재(41)의 스프링(41c)의 탄성력이 약해져, 제1고정부재(41)의 걸림체(41b)의 위치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41)의 걸림체(41b)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걸림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작업자가 본 발명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를 점검할 시, 제1고정부재(41)의 표식판(41e)과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 간의 거리 변화(도 10의 a ---> b)를 확인하거나, 제1고정부재(41)의 볼트바(41d)를 잡아당겨(도 10의 화살표 참조) 탄성력을 확인함으로써, 제1고정부재(41)의 걸림체(41b)의 위치 변화를 점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고정부재(41)의 볼트바(41d)를 잡아 당길 시 제1고정부재(41)의 표식판(41e)은 손잡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점검을 할 시, 작업자는 제1고정부재(41)의 스프링(41c)의 탄성력 변화가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제1고정부재(41)의 걸림체(41b)가 제1접속부재(31)의 지중송전선연결부(31c)에 맞닿게 한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를 더욱 상방으로 이동시켜 제1고정부재(41)의 스프링(41c)이 압축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임시로 제1고정부재(41)의 스프링(41c)의 압축시켜, 갑자기 발생할 수 있는 지진에 대비해 임시 조치를 취한 후, 다수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의 점검이 끝나면, 상기 제1고정부재(41)를 교체한다.
한편, 강한 지진이 발생하여 제1고정부재(41)가 작동할 시, 정상적이라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41)가 작동해야 하지만, 제1고정부재(41)의 문제로 인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41)의 걸림부(41b1)가 제1접속부재(31)의 걸림턱(31c1)으로 충분히 돌출되지 않으면, 단전이 필요한 상황에서 제1,2접속부재(31,32)가 접속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강한 지진이 발생한 후 다수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를 점검할 시, 육안 또는 별도의 측정기로 제1고정부재(41)의 표식판(41e)과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의 이격 거리를 확인하여, 제1고정부재(41)의 표식판(41e)과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의 이격 거리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 보다 크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41)의 볼트바(41d)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관리자가 다수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를 점검하는 도중에 제1고정부재(41)의 걸림체(41b)에 따른 걸림력 약화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속부재(31)가 좌방으로 이동할 시, 제1고정부재(41)의 볼트바(41d)가 제1접속부재(31)의 이동을 제한하여, 관리자가 다수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 점검을 완료하고 보수 작업을 끝낼 때까지 제1,2접속부재(31,32)의 접속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41)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1고정부재(41)의 노후화 정도를 점검하기 위하여, 제1고정부재(41)를 제1절연부재(21)로부터 분리하여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때, 관리자는 제1고정부재(41)의 표식판(41e)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를 회전시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1고정부재(41)의 스프링(41c)은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가 회전하더라도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를 따라 회전하지 않는다.
이때,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를 제1절연부재(21)로부터 급하게 분리하면, 제1고정부재(41)의 스프링(41c)의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제1고정부재(41)의 마개(41a)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튈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고정부재(41)의 표식판(41e)이 제1고정부재(41a)의 마개(41a)의 이탈을 막아, 제1고정부재(41)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1절연부재(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전력구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송전선(L)을 따라 화염이 진행하면, 화재감지센서(110)가 화재를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유닛(90)은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한 화재감지센서(110) 방향에 위치한 소화분말분사기(130)를 구동하여,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분말기(130)에서 소화분말이 분사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유닛(90)은 소화분말분사기(130)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분사된 소화분말은 상방으로 분사되면서 화염에 덮힌 지중송전선(L)을 진화한다. 여기서 분사된 소화분말은 화재감지센서고정대(100)의 돌기(101)에 부딪히면서 하방으로 비산낙하하여 지중송전선(L)의 화염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압한다.
또한, 제어유닛(90)은 소화분말분사기(130)를 구동하는 동시에 팬방향전환모트(141)를 구동하여 팬(142)이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향하도록 한 후,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142)를 구동하여, 연기가 화재진행 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절연기구(20)에 누전이 발생할 시 이를 신속하게 외부에 알려 누전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기구(20)의 누전발생지점으로 접근하는 사람을 감지하여 상기 누전발생지점으로 접근하는 사람을 향해 직접적으로 누전 경고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무의식적으로 누전발생지점으로 접근하는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누전 경고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송전선(L)을 따라 절연기구(20) 방향으로 화염이 진행할 시, 화염이 진행하는 지중송전선(L)을 향해 소화분말을 분사하여, 화재 진압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진행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바람을 불어, 연기가 화재 미발생 지역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안전지대를 확보하여, 연기에 의한 질식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한 지진이 발생할 경우에는 제1,2접속부재(31,32)의 접속을 유지하고, 강한 지진이 발생할 경우에는 제1,2접속부재(31,32)의 접속을 차단하여, 지진의 강도에 따라 적절하게 송전 및 단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고정부재(41,42)의 표식판(41e,42e)의 위치 변화를 통해 제1,2고정부재(41,42)의 스프링(41c,42c)의 탄성력 문제 발생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탄성력 문제 발생을 확인하면 제1,2고정부재(41,42)의 마개(41a,42a)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제1,2고정부재(41,42)의 스프링(41c,42c)의 탄성력을 임시 보완한 후, 문제가 있는 제1,2고정부재(41,42)의 스프링(41c,42c)를 새로운 스프링(41c,42c)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2고정부재(41,42)의 문제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고정부재(41,42)에 문제가 발생하여, 제1,2고정부재(41,42)의 걸림체(41b,42b)가 효과적으로 제1,2접속부재(31,32)의 이동을 제한하지 못할 상황이 발생할 경우, 제1,2고정부재(41,42)의 볼트바(41d,42d)의 이동을 통해 제1,2접속부재(31,3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단전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고정부재(41,42)의 노후화를 확인하기 위해 제1,2절연부재(21,22)로부터 제1,2고정부재(41,42)를 분리할 시, 제1,2고정부재(41,42)의 스프링(41c,42c)의 탄성력에 의해 제1,2고정부재(41,42)의 마개(41a,42a)가 튀어 관리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2고정부재(41,42)의 볼트바(41d,42d) 및 제1,2고정부재(41,42)의 표식판(41e,42e)를 통해 제1,2고정부재(41,42)의 마개(41a,42a)가 관리자를 향해 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관리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화재진압 기능을 갖추고서 지중송전선을 연결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명칭을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로 정의한다.
10; 지지대 20; 절연기구
21,22; 제1,2절연부재 30; 커넥터
31,32; 제1,2접속부재 33,34; 제1,2스프링
40; 고정기구 41,42; 제1,2고정부재
50; 누전감지센서 60; 송신기
70; 경고음발생장치 80; 초음파센서
90; 제어유닛 100; 화재감지센서고정대
110; 화재감지센서 120; 분사기고정대
130; 소화분말분사기 140; 송풍장치
21,22; 제1,2절연부재 30; 커넥터
31,32; 제1,2접속부재 33,34; 제1,2스프링
40; 고정기구 41,42; 제1,2고정부재
50; 누전감지센서 60; 송신기
70; 경고음발생장치 80; 초음파센서
90; 제어유닛 100; 화재감지센서고정대
110; 화재감지센서 120; 분사기고정대
130; 소화분말분사기 140; 송풍장치
Claims (1)
- 전력구(T)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대(10)와:
제1절연부재(21)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21a)과, 제1절연부재(21)의 우측에 구비되어 좌측이 상기 수용공간(21a)의 우측과 연통되며 지중송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21b)과, 우측이 상기 수용공간(21a)의 좌측과 연통되고 좌방으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며 좌측이 개구된 걸림공간(21c)과, 제1절연부재(21)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측이 상기 수용공간(21a)의 하측과 연통되는 걸림체삽입홀(21d) 및, 상측이 상기 걸림체삽입홀(21d)의 하측과 연통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걸림체삽입홀(21d)보다 큰 개구홀(21e)을 구비한 제1절연부재(21)와; 제2절연부재(22)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22a)과, 제2절연부재(22)의 좌측에 구비되어 우측이 상기 수용공간(22a)의 좌측과 연통되며 지중송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22b)과, 좌측이 상기 수용공간(22a)의 우측과 연통되고 우방으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며 우측이 개구되어 제1절연부재(21)의 걸림공간(21c)의 좌측과 연통되는 걸림공간(22c)과, 제2절연부재(22)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측이 상기 수용공간(22a)의 하측과 연통되는 걸림체삽입홀(22d) 및, 상측이 상기 걸림체삽입홀(22d)의 하측과 연통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걸림체삽입홀(22d)보다 큰 개구홀(22e)을 구비하여, 제1절연부재(2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절연부재(22)를 갖추고서, 지지대(10)에 설치되는 절연기구(20)와:
제1절연부재(21)의 걸림공간(21c)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외면이 제1절연부재(21)의 걸림공간(21c)을 이루는 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제1절연부재(21)의 걸림공간(21c)에 배치되는 걸림부(31a)와, 상기 걸림부(31a)의 우측에 구비되고 외면이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을 이루는 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에 배치되는 이음부(31b) 및, 걸림턱(31c1)이 형성되도록 폭이 상기 이음부(31b)보다 크고 상기 이음부(31b)의 우측에 구비되어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에 배치되는 지중송전선연결부(31c)를 갖추고서,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 및 걸림공간(21c)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제1접속부재(31)와; 제2절연부재(22)의 걸림공간(22c)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외면이 제2절연부재(22)의 걸림공간(22c)을 이루는 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제2절연부재(22)의 걸림공간(22c)에 배치되며 제1접속부재(31)의 걸림부(31a)와 접촉하는 걸림부(32a)와, 상기 걸림부(32a)의 좌측에 구비되고 외면이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을 이루는 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에 배치되는 이음부(32b) 및, 걸림턱(32c1)이 형성되도록 폭이 상기 이음부(32b)보다 크고 상기 이음부(32b)의 좌측에 구비되어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에 배치되는 지중송전선연결부(32c)를 갖추고서,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 및 걸림공간(22c)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제2접속부재(32)와; 제1절연부재(21)의 수용공간(21a)에 설치되어 제1접속부재(31)를 좌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33) 및; 제2절연부재(22)의 수용공간(22a)에 설치되어 제2접속부재(32)를 우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34)으로 구성된 접속기구(30)와:
마개(41a)의 중심부에 상하로 개구된 삽입홀(41a1)이 형성되고 제1절연부재(21)의 개구홀(21e)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마개(41a)와, 제1절연부재(21)의 걸림체삽입홀(21d)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접속부재(31)의 지중송전선연결부(31c)의 하측과 맞닿는 걸림부(41b1), 상기 걸림부(41b1)의 하측에 구비되며 제1절연부재(21)의 개구홀(21e)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마개(41a)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이동부(41b2), 상기 마개(41a)의 삽입홀(41a1)과 상하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걸림부(41b1) 및 이동부(41b2)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나사홀(41b3)을 구비한 걸림체(41b)와, 상기 마개(41a)에 안착되게 배치되되 상기 마개(41a)와 상기 걸림체(41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체(41b)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41c)과, 상측이 상기 걸림체(41b)의 나사홀(41b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하측이 상기 스프링(41c) 내부 및 상기 마개(41a)의 삽입홀(41a1)을 통과하여 상기 마개(41a)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바(41d) 및, 상기 볼트바(41d)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상기 마개(41a)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표식판(41e)을 갖춘 절연재질의 제1고정부재(41)와; 마개(42a)의 중심부에 상하로 개구된 삽입홀(42a1)이 형성되고 제2절연부재(22)의 개구홀(22e)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마개(42a)와, 제2절연부재(22)의 걸림체삽입홀(22d)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접속부재(32)의 지중송전선연결부(32c)의 하측과 맞닿는 걸림부(42b1), 상기 걸림부(42b1)의 하측에 구비되며 제2절연부재(22)의 개구홀(22e)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마개(42a)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이동부(42b2), 상기 마개(42a)의 삽입홀(42a1)과 상하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걸림부(42b1) 및 이동부(42b2)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나사홀(42b3)을 구비한 걸림체(42b)와, 상기 마개(42a)에 안착되게 배치되되 상기 마개(42a)와 상기 걸림체(42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체(42b)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42c)과, 상측이 상기 걸림체(42b)의 나사홀(42b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하측이 상기 스프링(42c) 내부 및 상기 마개(42a)의 삽입홀(42a1)을 통과하여 상기 마개(42a)의 외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바(42d) 및, 상기 볼트바(42d)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고 상기 마개(42a)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표식판(42e)을 갖춘 절연재질의 제2고정부재(42)로 구성된 고정기구(40)와:
절연기구(20)의 표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누전감지센서(50)와:
지지대(10)에 설치되어, 누전감지센서(5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누전알림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60)와:
지지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스피커회전모터(71)와; 스피커회전모터(71)에 설치되어 스피커회전모터(71)에 의해 회전하고,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72)를 갖춘 경고음발생장치(70)와:
제1,2절연부재(21,22)에 각각 설치되어, 제1,2절연부재(21,22)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80)와: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기(101)를 갖추고서, 절연기구(20)의 상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절연기구(20)로부터 노출된 지중송전선(L)의 상방에 위치하게 구비되는 화재감지센서고정대(100)와:
화재감지센서고정대(100)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110)와:
제1,2절연부재(21,22)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분사기고정대(120)와:
분사기고정대(120)에 설치되는 소화분말분사기(130)와:
지지대(10)에 설치되는 팬방향전환모터(141)와; 팬방향전환모터(141)에 설치되어 팬방향전환모터(141)에 의해 방향전환하고, 바람을 송풍하는 팬(142)를 갖춘 송풍장치(140)와:
지지대(10)에 설치되어, 누전감지센서(50), 송신기(60), 스피커회전모터(71), 스피커(72), 초음파센서(80), 화재감지센서(110), 소화분말분사기(130), 팬방향전환모터(141) 및 팬(142)를 작동제어하며, 누전감지센서(5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초음파센서(80)로부터 물체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스피커회전모터(71)를 구동하여 스피커(72)가 상기 초음파센서(80)를 향하도록 제어하면서 스피커(72)를 구동하는 한편,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화재감지센서(110) 방향에 위치한 소화분말분사기(130)를 구동하고, 팬(142)이 상기 화재감지센서(50)를 향하도록 제어하면서 팬(142)를 구동하는 제어유닛(9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4030A KR101935345B1 (ko) | 2018-08-31 | 2018-08-31 |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4030A KR101935345B1 (ko) | 2018-08-31 | 2018-08-31 |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5345B1 true KR101935345B1 (ko) | 2019-01-04 |
Family
ID=6501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4030A KR101935345B1 (ko) | 2018-08-31 | 2018-08-31 |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5345B1 (ko)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3998B1 (ko) | 2019-06-12 | 2019-09-23 | 주식회사 현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선로의 화재 방지 장치 |
KR102030043B1 (ko) * | 2019-05-10 | 2019-10-08 | 주식회사 송하기술감리 | 가공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안전성 향상 고정기구 |
KR102045850B1 (ko) * | 2019-05-03 | 2019-11-18 | 주식회사 송하기술감리 | 신속한 화재 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
KR102045759B1 (ko) * | 2019-07-26 | 2019-11-18 | 남숙희 |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
KR102045747B1 (ko) * | 2019-05-15 | 2019-11-18 | 김경현 | 가공배전을 위한 스페이서 기구 |
KR102047358B1 (ko) * | 2019-07-01 | 2019-11-21 | 주식회사 부창전기 |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커넥터 |
CN110772735A (zh) * | 2019-11-12 | 2020-02-11 | 徐州如轩电气配件有限公司 | 一种应用于路边高处的电气设备灭火装置 |
KR102177555B1 (ko) * | 2020-06-18 | 2020-11-12 | 윤은수 | 지중송전라인 분기가 용이한 안전성 향상 연결 커넥터 |
CN113241718A (zh) * | 2021-05-28 | 2021-08-10 | 长园电力技术有限公司 | 一种电缆中间接头 |
KR102413563B1 (ko) * | 2021-10-07 | 2022-06-28 | (주)삼보기술단 | 유해 동물로부터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설치장치 |
KR102420314B1 (ko) * | 2021-10-06 | 2022-07-15 | (주)가온감리단 | 화재진압 기능을 갖춘 기능성 향상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
KR102421188B1 (ko) * | 2021-10-15 | 2022-07-15 | (주)하영 | 감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용 전선 트레이 |
KR102421191B1 (ko) * | 2021-10-20 | 2022-07-15 | (주)하영 | 전선 충돌방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 서포팅기구 |
KR102421229B1 (ko) * | 2021-10-18 | 2022-07-15 | (주)하영 | 감전사고 방지용 공동주택의 배전선 행거기구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6185B1 (ko) | 2011-12-16 | 2012-04-12 |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
KR101145351B1 (ko) | 2012-02-06 | 2012-05-15 | 태형전기(주) |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
KR101331179B1 (ko) | 2013-08-22 | 2013-11-20 | (주)에스케이이에스그룹 | 배전용 지중전선의 안정적인 접속을 위한 고정브래킷 |
KR101482238B1 (ko) | 2014-10-17 | 2015-01-15 | 금오테크(주) |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 |
KR101656787B1 (ko) | 2016-03-14 | 2016-09-12 | 이경연 |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
KR101797547B1 (ko) | 2017-05-23 | 2017-11-16 | (주)다은감리단 |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
-
2018
- 2018-08-31 KR KR1020180104030A patent/KR1019353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6185B1 (ko) | 2011-12-16 | 2012-04-12 |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
KR101145351B1 (ko) | 2012-02-06 | 2012-05-15 | 태형전기(주) |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
KR101331179B1 (ko) | 2013-08-22 | 2013-11-20 | (주)에스케이이에스그룹 | 배전용 지중전선의 안정적인 접속을 위한 고정브래킷 |
KR101482238B1 (ko) | 2014-10-17 | 2015-01-15 | 금오테크(주) |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 |
KR101656787B1 (ko) | 2016-03-14 | 2016-09-12 | 이경연 |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
KR101797547B1 (ko) | 2017-05-23 | 2017-11-16 | (주)다은감리단 |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5850B1 (ko) * | 2019-05-03 | 2019-11-18 | 주식회사 송하기술감리 | 신속한 화재 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
KR102030043B1 (ko) * | 2019-05-10 | 2019-10-08 | 주식회사 송하기술감리 | 가공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안전성 향상 고정기구 |
KR102045747B1 (ko) * | 2019-05-15 | 2019-11-18 | 김경현 | 가공배전을 위한 스페이서 기구 |
KR102023998B1 (ko) | 2019-06-12 | 2019-09-23 | 주식회사 현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선로의 화재 방지 장치 |
KR102047358B1 (ko) * | 2019-07-01 | 2019-11-21 | 주식회사 부창전기 |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커넥터 |
KR102045759B1 (ko) * | 2019-07-26 | 2019-11-18 | 남숙희 |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
CN110772735A (zh) * | 2019-11-12 | 2020-02-11 | 徐州如轩电气配件有限公司 | 一种应用于路边高处的电气设备灭火装置 |
KR102177555B1 (ko) * | 2020-06-18 | 2020-11-12 | 윤은수 | 지중송전라인 분기가 용이한 안전성 향상 연결 커넥터 |
CN113241718A (zh) * | 2021-05-28 | 2021-08-10 | 长园电力技术有限公司 | 一种电缆中间接头 |
KR102420314B1 (ko) * | 2021-10-06 | 2022-07-15 | (주)가온감리단 | 화재진압 기능을 갖춘 기능성 향상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
KR102413563B1 (ko) * | 2021-10-07 | 2022-06-28 | (주)삼보기술단 | 유해 동물로부터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설치장치 |
KR102421188B1 (ko) * | 2021-10-15 | 2022-07-15 | (주)하영 | 감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용 전선 트레이 |
KR102421229B1 (ko) * | 2021-10-18 | 2022-07-15 | (주)하영 | 감전사고 방지용 공동주택의 배전선 행거기구 |
KR102421191B1 (ko) * | 2021-10-20 | 2022-07-15 | (주)하영 | 전선 충돌방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 서포팅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5345B1 (ko) |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연결 커넥터 | |
KR101924585B1 (ko) |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송전 연결기구 | |
KR101064867B1 (ko) | 안전관리 및 인공지능형 음성경보장치와 2차원 온도센싱 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및 mcc,분전반 | |
KR100917420B1 (ko) |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 | |
KR101841727B1 (ko) | 소방중계기방송장치 선로의 단락검사에 따른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 |
KR101280292B1 (ko) | 수변전설비의 멀티센서를 이용한 이상감지장치 | |
KR101891273B1 (ko) |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 |
KR102382151B1 (ko) | 배전반 이상 모니터링 장치 | |
KR101932188B1 (ko) | 지중배전선 지지 트레이기구 | |
KR101264344B1 (ko) | 배전반 내부 이상상태 감시용 디지털 컨트롤 시스템 | |
CN105160794A (zh) | 低压配电柜火灾报警防护装置及温度检测方法 | |
FI3885007T3 (fi) | Palonhavaitsemis- ja palontorjuntalaite sähkölaitteistoja varten | |
KR101902151B1 (ko) |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연결용 접속장치 | |
KR20180075208A (ko) | 지진차단기와 소화기가 구비된 분전반 | |
CN114566878B (zh) | 一种智能化油田用消防电气控制设备的控制方法 | |
KR102318861B1 (ko) | 이상감지가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 |
KR101448277B1 (ko) |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장치 | |
KR101277282B1 (ko) |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 |
US9526929B2 (en) | Fire protection device of an electric installation starter-controller device | |
KR102318859B1 (ko) | 점검작업이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안전 연결용 접속장치 | |
KR101493721B1 (ko) | 활선 경보 장치를 구비한 cos 조작봉 | |
KR101915148B1 (ko) | 개선된 기능을 갖는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 |
KR101706708B1 (ko) | 지진 감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 |
CN110011267A (zh) | 一种低压电气线路故障电弧监测装置 | |
KR101779710B1 (ko) | 아크 보호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