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35130B1 -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 Google Patents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130B1
KR101935130B1 KR1020170011246A KR20170011246A KR101935130B1 KR 101935130 B1 KR101935130 B1 KR 101935130B1 KR 1020170011246 A KR1020170011246 A KR 1020170011246A KR 20170011246 A KR20170011246 A KR 20170011246A KR 101935130 B1 KR101935130 B1 KR 101935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adhesive
protective film
heat resistanc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047A (ko
Inventor
서형
김영택
이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Priority to KR1020170011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1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7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대상체를 보호하는 외면을 구성하고, PMP(Polymethylpentene, 4-Methylpentene-1-based olefin copolymer) 재질의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 표면층이 일면에 배치되는 지지층 및 지지층의 타면에 배치되어 대상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소정압력으로 부착되는 자기점착층을 포함하고, 160℃내지 180℃의 고온의 환경에서도 용융되지 않는다.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별도의 점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자기점착방법으로 부착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고, 내열성이 개선되어 전이 및 잔사를 방지하며, 박리성이 양호하며 내열경시 변화가 적다.

Description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SELF-ADHANSIVE PROTECTION FILM WITH HIGH HEAT RESISTANCE}
본 발명은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재료 등의 대상체에 부착되어 대상체의 외면을 보호하는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의 공정, 운송 및 장기보관 시, 모래, 금속가루, 산성비, 가스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변색 및 광택변화 같은 문제들이 발생된다. 특히, 디스플레이 제품의 경우, 제품을 생산, 포장할 때부터 최종 소비자에게 공급할 때까지 흠결 없는 깨끗한 화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공정에서 청정도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전자제품의 표면의 청정도 및 동작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호필름이 사용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보호필름으로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기재층으로 사용하고 점착 및 이형층을 코팅하는 보호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호필름은 투명도는 우수하지만, 피쉬아이가 많이 발생하며 박리성이 떨어진다.
또한, 제품의 공정, 운송 및 장기보관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코팅된 점착층 및 이형층이 피착재에 전이되거나 잔사가 남는 문제들이 발생한다. 특히, 고온의 공정을 필요로 하는 전자제품의 재료의 경우 전이나 잔사가 더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보호필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 기술의 문제를 별도의 점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자기점착방법으로 부착하는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내열성이 개선되어 전이 및 잔사를 방지하는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박리성이 양호하며, 내열경시 변화가 적은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에 대해 설명한다.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대상체를 보호하는 외면을 구성하고, PMP(Polymethylpentene, 4-Methylpenten-1-based polyolefin) 재질의 수지를 포함는 표면층, 상기 표면층이 일면에 배치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소정압력으로 부착되는 자기점착층을 포함하고, 160℃내지 180℃의 고온의 환경에서도 용융되지 않을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표면층은, 용융점이 220℃ 내지 240℃인 고내열성을 가질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지지층은, 기능성 첨가제가 첨가되는 PP(Polypropylene)계열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수지의 결정화를 촉진시켜 규칙적인 결정구조를 형성시키는 무기계 강성핵제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자기점착층은, POE(Polyolefin elastomer)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자기점착층은, 결정화를 촉진시켜 규칙적인 결정구조를 형성시키는 무기계 강성핵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자기점착층은, 결정립의 크기가 나노 단위의 결정립 크기를 가지는 고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자기점착층은, 용융점이 160℃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점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자기점착방법으로 부착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내열성이 개선되어 전이 및 잔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리성이 양호하며 내열경시 변화가 적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부착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은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내열 테스트 결과의 모습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점착력 내열 경시변화의 모습이다.
도 5는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DSC 분석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10)은 표면층(11), 지지층(12) 및 자기점착층(13)으로 구성되는 다층 구조로 형성된다.
표면층(11)은 대상체를 보호하는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10)의 외면을 구성한다. 표면층(11)은 PMP(4-Methylpenten-1-based polyolefin)기반의 기능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형성되는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층은 TPX(Polymethylpentene)일 수 있다. 이러한, 표면층(11)은 TPX재질의 수지가 제한된 분자 유동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용융점이 220℃ 내지 240℃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TPX재질의 수지는 열변형 온도가 매우 높고, 표면장력이 낮아 우수한 박리성을 가질 수 있다.
종래의 보호필름의 표면층(11)은 일반적으로 PP(Polypropylene) 재질의 수지로 구성되어 용융점이 160℃인데 반해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10)의 표면층(11)은 TPX재질의 수지로 구성되어, 용융점이 60℃가 높아 내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표면층(11)은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어도 수축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면층(11)은 TPX재질의 수지가 표면장력이 24mN/m로 매우 작고, 올레핀 수지와 비 양립성(Non-compatibility)을 갖기 때문에 이형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표면층(11)은 TPX수지의 분자의 부피밀도가 830kg/㎥으로 매우 적은 부피밀도를 가지기 때문에 이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표면층(11)의 TPX재질의 수지는 추종성을 가지고 있어 복잡한 패턴면에도 잘 맞으며, 비실리콘 원료에서 만들어 지기 때문에 실리콘 부착에 따른 오염도 없다.
지지층(12)은 기능성 첨가제가 첨가되는 PP(Polypropylene) 계열의 수지를 포함하고 표면층의 일면에 배치된다. 지지층은 PP(Polypropylene)계열의 수지 중에 Homo-PP(Homo Polypropylene)재질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지지층(12)은Homo-PP재질의 수지로 형성되는 필름으로, 표면층(11)의 일면에 배치된다. 지지층(12)의 Homo-PP수지는 프로필렌만의 단일결합으로 이루어진 고분자로서 입체규칙성이 좋아 높은 결정화도를 가지며 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지지층(12)은 PP계열의 수지에 충격특성 및 강성을 개선하기 위해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지지층(12)에 첨가되는 기능성 첨가제는 무기계 강성핵제이다.
무기계 강성핵제는 AI-PTBBA, 솔비톨(Sorbitol)계 유도체, PTBPNa, 탈크(Talc) 등일 수 있다. 무기계 강성핵제는 수지의 결정화를 촉진시켜 규칙적인 결정구조를 형성하여 지지층(12)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자기점착층(13)은 지지층의 타면에 배치되어 대상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소정압력으로 부착된다. 자기점착층(13)은 POE(polyolefin elastomer)계열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점착층(13)은 PP(Polypropylene)계열의 수지에 TPO(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E(Thermo plastic elastomer), TPV(Thermo Plastic Vulcanizate)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자기점착층(13)은 Homo-PP 수지에 TPO(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를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PO는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OE(polyolefin elastomer) 및 POP(Polyolefin Plastomer) 등의 올레핀계 수지와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 등의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들을 가교시킨 엘라스토머이다.
TPO재질의 수지는 비중이 0.88 내지 0.9이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에 가장 작은 비중을 가진다. TPO재질의 수지는 내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장기적으로 사용할 경우에 잘 견디며, 내약품성이 뛰어나 산, 알칼리, 알코올, 아세톤, 식물유 등에 내성이 있다. 또한, TPO재질의 수지는 가격이 저렴하고 비중이 낮기 때문에 용적당 사용량이 적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TPO재질의 수지는 점착성 수지로 형성되어 대상체에 압력으로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자기점착층(13)은 무기계 강성핵체를 첨가하여 강성 및 내열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자기점착층은 결정립의 크기가 나노 단위의 결정립 크기를 가진다. 특히, 자기점착층에 사용하는 POE재질의 수지의 경우 연화점이 60℃ 내지 80℃이기 때문에, 고내열에 적합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 자기점착층은 결정화를 규칙적인 결정구조를 형성시켜 POE를 사용하여도 용융점을 160℃로 개선할 수 있다.
자기점착층(13)의 연화점은 120℃ 내지 140℃이며, 용융점은 160℃이상 이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10)의 자기점착층(13)은 기존의 LDPE (low-density polyethylene) 수지에 POE(polyolefin elastomer C2)재질의 수지를 적층한 자기점착층의 연화점이 60℃ 내지 80℃이고, 용융점이 100℃ 인데 반해, 연화점이 60℃가 높고 용융점이 60℃이상 높아 내열성이 개선된다.
이러한, 다층 구조를 가지는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10)은, 내열성이 개선되어 160℃ 내지 180℃의 고온의 환경에서도 용융되진 않는 내열성을 가진다. 또한,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10)은 종래의 보호필름에 반해 내열 경시변화가 적다. 그리고,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10)은 피쉬아이가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부착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10)은 자기점착층(13)이 점착제나 열을 사용하지 않고 단시간에 약간의 압력으로 점착하는 자기점착(Pressure sensitive adhansive, PSA)타입의 필름이다. 따라서,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10)은 전자 제품의 재료 등인 대상체(G)에 열이나 솔벤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한 압력만으로 점착이 가능할 수 있다.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10)은 50㎛ 내지 7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10)은 기존의 점착제를 사용하는 필름과 비교하여 동일한 정도 또는 우수한 점착력을 나타낸다. 또한,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10)은 고온의 환경에도 점착성 얼룩 및 전이, 전사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10)은 대상체(G)의 공정중에 발생하는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대상체(G)을 보호할 수 있으며, 대상체(G)의 공정 및 유통과정중에 발생하는 온도에 의한 자기점착층의 내열경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존의 자기점착 보호필름과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을 내열성을 비교하여 설명하겠다.
비교예 : 기존의 자기점착 보호필름
표면층 및 지지층으로 PP수지를 사용하여 표면층에 지지층을 적층하고 지지층에 자기점착층으로 LDPE 수지에 POE수지를 적층하여 70㎛의 두께를 가지는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
표면층으로 TPO수지를 사용하고, 지지층으로 PP수지에 무기계 강성핵체를 첨가하여 사용하며, 자기점착층으로 PP수지에 TPO수지를 점착면으로 적층하고 무기계 강성핵체를 첨가하여, 각각의 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각각 50㎛ 및 70㎛의 두께를 가지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시험예1 : 자기점착 보호필름 의 내열성 평가
비교예와 실시예의 자기점착 보호필름을 유리에 부착하여 오븐에서 160℃로 30분간 가열하고 180℃로 10분간 더 가열하여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내열성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숙련된 작업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하였다.
도3은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내열 테스트 결과의 모습며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점착력 내열 경시변화의 모습이다.
도 3의 (a)는 비교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실험결과 모습이다.
도3 (a)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고온에서 필름표면에 얼룩 무늬가 발생하였으며, 점착수지의 활성화된 저분자 부분이 유리(Glass)에 전이되어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점착수지의 일부가 녹아 잔사가 발생하였으며, 끝부분이 일부 녹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의 (b)는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실험결과 모습이며, 도4의 (a)는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이 내열테스트 후 유리에 점착되어 있는 모습이며, 도 4의 (b)는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이 유리에서 박리되는 모습이다.
도 3의 (b), 도4의 (a) 및 도4의 (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고온에서 필름표면의 무늬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점착수지가 피착제로 전이되어 나타나지 않았으며, 박리 시, 점착수지의 잔사 및 눌러붙음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PMP수지를 표면층으로 형성하여 필름이 수축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내열성이 개선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하에서는 기존의 자기점착 보호필름과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을 점착력 내열 경시변화를 비교하여 설명하겠다.
시험예2 :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점착력 내열 경시변화 평가
비교예와 실시예의 자기점착 보호필름을 유리에 부착하여 오븐에서 160℃로 30분간 가열하여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고온신뢰성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유리 도광판의 온도가 45℃인 상태에서 자기점착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방치 후에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고온신뢰성 점착력 및 상온에서의 점착력을 평가하여 내열 경시변화를 평가하였다.
구분 비교예 실시예
두께(㎛) 70 50 70
상온 점착력(gf/mm) 1.3 1.8 1.6
고온 신뢰성 점착력(gf/mm)
(160℃, 30분)
171.8 109.0 84.2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비교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에 비해 상온 점착력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점착력이 우수함을 보여준다. 또한, 비교예에 의한 자기점착 보호필름이 고온의 환경에서 고온신뢰성 점착력이 약132배 증가하였고, 실시예에 따른 50㎛ 두께의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약61배의 고온신뢰성 점착력 증가를 보였고, 70㎛ 두께의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약53배의 고온신뢰성 점착력 증가를 보였다.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고온에 의한 점착력의 증가가 비교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에 비해 낮게 나타어 내열 경시변화가 낮은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내열성이 높고 고온에 대한 내열경시 변화가 낮아, 점착층이 피착제로 전이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없고 잔사 등의 발생이 적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존의 자기점착 보호필름과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을 시차주사열계량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에 의한 열분석을 비교하여 설명하겠다.
시험예3 :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열분석
비교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과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열류량 변화를 측정하는 시차주사열계량법에 의한 열분석을 하였다.
도 5는 비교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과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DSC 분석 그래프이다.
도 5의 (a)는 비교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DSC 분석 그래프이며, 도 5의 (b)는 실시예에 따른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DSC 분석 그래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용융점이 112℃, 125℃ 및 154℃로 나타났다. 이는, 비교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점착층의 용융점이 112℃ 및 125℃인것으로 확인되며, LDPE 재질의 용융점이 112℃ 이고 점착부인 POE재질이 125℃인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표면층 및 지지층을 구성하는 PP재질의 수지의 용융점이 154℃인 것을 확인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용융점이 162℃ 및 227℃로 나타났다. 이는, 점착층 및 지지층의 용융점이 162℃이며 표면층의 용융점이 227℃인 것으로 확인된다.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최소온도 용융점이 50℃ 높은 것으로 확인되며, 최대온도 용융점이73℃가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은 종래의 자기점착 보호필름에 비해 내열성이 개선된다.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 의 지지층 및 점착층은 비교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의 표면층과 같은 재질을 사용함에도 8℃의 내열성 개선이 확인된 것으로 보아, 실시예에 따른 자기점착 보호필름 의 지지층 및 점착층에 무기계 강성핵제를 첨가하여 PP 재질의 수지가 규칙적인 결정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내열성이 개선되었다고 판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점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자기점착방법으로 부착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내열성이 개선되어 전이 및 잔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리성이 양호하며 내열경시 변화가 적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11 : 표면층
12 : 지지층
13 : 자기점착층
G : 대상체

Claims (8)

  1. 대상체를 보호하는 외면을 구성하고, PMP(Polymethylpentene, 4-Methylpenten-1-based polyolefi) 재질의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층;
    상기 표면층이 일면에 배치되고, 수지의 결정화를 촉진시켜 규칙적인 결정구조를 형성시키는 무기계 강성핵제가 첨가된 Homo-PP(Homo-Polypropylene) 수지를 포함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소정압력으로 부착되고, Homo-PP및 TPO(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무기계 강성핵제가 첨가되고, 결정립의 크기가 나노 단위의 결정립 크기를 가지는 자기점착층;
    을 포함하고,
    160℃ 내지 180℃의 고온의 환경에서도 용융되지 않아 상기 고온의 환경에서 상기 대상체에 상기 자기점착층의 전이, 잔사 또는 눌러붙는 현상을 방지하는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 점착 보호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용융점이 220℃ 내지 240℃인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11246A 2017-01-24 2017-01-24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KR101935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46A KR101935130B1 (ko) 2017-01-24 2017-01-24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46A KR101935130B1 (ko) 2017-01-24 2017-01-24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047A KR20180087047A (ko) 2018-08-01
KR101935130B1 true KR101935130B1 (ko) 2019-01-03

Family

ID=6322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246A KR101935130B1 (ko) 2017-01-24 2017-01-24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7486B (zh) * 2020-11-16 2024-02-20 象山激智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高温保护膜及其制备方法
CN114672262B (zh) * 2022-03-17 2024-04-19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耐热自粘保护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1183A (ja) * 2008-07-30 2010-02-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エネルギー線硬化型チップ保護用フィルム
KR101553815B1 (ko) * 2014-12-31 2015-09-18 주식회사 유상 자기 점착성 보호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1183A (ja) * 2008-07-30 2010-02-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エネルギー線硬化型チップ保護用フィルム
KR101553815B1 (ko) * 2014-12-31 2015-09-18 주식회사 유상 자기 점착성 보호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047A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7722B2 (en) Dielectric-heating bonding film and joining method using dielectric-heating bonding film
KR102172867B1 (ko) 공정용 이형 필름, 그 용도 및 이를 이용한 수지 밀봉 반도체의 제조 방법
TW201520286A (zh) 接著性組成物及使用其之熱融接性複合構件
TW201321456A (zh) 黏著性樹脂組成物及易剝離性薄膜
KR101935130B1 (ko) 고내열성을 갖는 자기점착 보호필름
JP5611501B2 (ja) 自己粘着性積層体
TWI541129B (zh) Surface protection film
TW201900806A (zh) 電池用積層體
JP6215466B2 (ja) ダイシングシート用基材フィルムおよびダイシングシート
CN112236469A (zh) 切割膜基材用树脂组合物、切割膜基材及切割膜
KR101269196B1 (ko) 성능이 개선된 자기점착성 보호필름 및 이를 부착한 물품
KR20120065377A (ko) 표면 보호 필름
JP5504837B2 (ja) ホットメルト型粘着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5465810B2 (ja) 感圧型粘着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表面保護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および物品の表面を保護するために使用する方法
JP2007238882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6198948B2 (ja) ダイシングシート用基材フィルムおよびダイシングシート
TWI503335B (zh) Surface protection film
JP2017132851A (ja) 接着剤、フィルム及び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製容器用蓋材
JP5937910B2 (ja) 粘着シート基材用樹脂フィルム及び粘着シート
JP6281191B2 (ja) 半導体製造工程用粘着テープ基材用樹脂フィルム
JP2017066305A (ja) シーラント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積層体
JP4702788B2 (ja)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516936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4074600A (ja) 離型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61535B1 (ko)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