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203B1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7203B1 KR101917203B1 KR1020160101603A KR20160101603A KR101917203B1 KR 101917203 B1 KR101917203 B1 KR 101917203B1 KR 1020160101603 A KR1020160101603 A KR 1020160101603A KR 20160101603 A KR20160101603 A KR 20160101603A KR 101917203 B1 KR101917203 B1 KR 1019172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ester resin
- trunk
- melting point
- fiber
- resin fiber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3856 thermofo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4810 2-methyl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2])C([H])([H])[*:1] 0.000 claims description 2
- QYKIQEUNHZKYBP-UHFFFAOYSA-N Vinyl ether Chemical group C=COC=C QYKIQEUNHZKYB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0816 eth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1])C([H])([H])[*:2]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MTHSVFCYNBDYFN-UHFFFAOYSA-N d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 MTHSVFCYNBDY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3
- QQVIHTHCMHWDBS-UHFFFAOYSA-N iso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O)=O)=C1 QQVIHTHCMHWDB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0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9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9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KKEYFWRCBNTPAC-UHFFFAOYSA-N Tere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1 KKEYFWRCBNTPA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150000001923 cyc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QWGRWMMWNDWRQN-UHFFFAOYSA-N 2-methylpropane-1,3-diol Chemical compound OCC(C)CO QWGRWMMWNDWR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AJHYPAQCYNPIV-UHFFFAOYSA-N but-3-ene-1,3-diol Chemical compound OCCC(O)=C XAJHYPAQCYNPI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86 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643 polycondensation polyme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QPFMBZIOSGYJDE-UHFFFAOYSA-N 1,1,2,2-tetrachloro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C(Cl)Cl QPFMBZIOSGYJD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FBQJSOFQDEBGM-UHFFFAOYSA-N Pentane Chemical compound CCCCC OFBQJSOFQDEB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SZXQTJUDPRGNJN-UHFFFAOYSA-N di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COCCCO SZXQTJUDPRGN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CYIDZMCFTVVTJO-UHFFFAOYSA-N pyromelli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O)=O)=C(C(O)=O)C=C1C(O)=O CYIDZMCFTVVT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09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ZVAJINKPMORJF-UHFFFAOYSA-N Acetaminophen Chemical compound CC(=O)NC1=CC=C(O)C=C1 RZVAJINKPMOR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04 Blow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FOBLEOULBTSOW-UHFFFAOYSA-N Mal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O OFOBLEOULBTS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09 chemical reaction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09 di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8 functional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8 hyd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570 meth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1])[*:2]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5 polymerization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5 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297 pyr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0 sol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KKEYFWRCBNTPAC-UHFFFAOYSA-L terephthalate(2-) Chemical group [O-]C(=O)C1=CC=C(C([O-])=O)C=C1 KKEYFWRCBNTPAC-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WROMPOXWARCANT-UHFFFAOYSA-N tfa trifluoro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F)(F)F.OC(=O)C(F)(F)F WROMPOXWARCAN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64—Polyes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2—Weather resist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을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도, 내구성 등의 물성 저하 없이도 우수한 가공성을 구현하고,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트렁크 내장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분야에서는 자동차의 연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무게를 경감시키는데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중에 자동차를 구성하는 내장재 중 트렁크는 차량 뒤쪽에 있거나 가끔 앞쪽에 있기도 하는 밀폐공간으로, 화물을 담아 수송하도록 고안되었으며, 화물의 안전한 수송 및 자동차 연비의 절감을 위해 트렁크의 내구성 향상 및 경량화를 위한 다양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장재 중 트렁크모듈의 부품으로서 사용되는 소재로서 우드스탁(woodstock)을 사용하고 있는데, 기존의 우드스탁재질의 제품은 나무칩등을 압축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워, 자동차의 경량화라는 기술적 해결 과제에도 부합하지 않고, 목질의 특성상 강성이 낮으며, 내열온도도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트렁크 내장재로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와 수지 가 합지된 보드 형태의 자재는 강성이 높고, 내열성이 우수하나, 중량이 많이 나가서 자동차 전체의 무게를 증가시켜, 이 또한 자동차의 경량화라는 기술적 해결 과제에도 부합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자동차 연비를 향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부직포와 수지가 다른 물질로 사용되어 자동차 내장재로 성형을 한 후 남는 스크랩을 처리할 때 폐기함에 있어 비용이 발생되고, 나아가 환경 오염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향상되고, 중량은 절감시켜 차량의 경량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동일 소재를 사용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성이 우수하고 가격 경쟁력이 뛰어난 친환경 트렁크 내장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융점이 180℃ 내지 250℃이거나 또는 연화점이 100℃ 내지 150℃인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및 융점이 250℃ 보다 높은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가 혼합된 섬유층을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재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트렁크 내장재는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한다.
[일반식 1]
(W2 - W1)/W1 x 100 ≤ 8 (%)
상기 일반식 2 및 3에서,
W1은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를 KS M ISO 11507에 따른 조건 하에서 자외선에 노출시키기 전의 굴곡강도를 의미하고,
W2는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를 KS M ISO 11507에 따른 조건 하에서 자외선에 노출시키고 30일 경과 후의 굴곡강도를 의미하며,
상기 굴곡강도는, ASTM D 790 에 의거하여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 시편의 지지 간격(Span)을 100 mm 로 고정하고 5 mm/min 속도로 굴곡 하중을 가하는 동안 초기 시편에 대하여 10 % 변형될 때 측정된 강도(N/cm2)이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융점이 180℃ 내지 250℃이거나 또는 연화점이 100℃ 내지 150℃인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및 융점이 255℃ 이상인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가 혼합된 섬유층을 80 내지 200℃ 온도 범위에서 열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트렁크 내장재는,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한다.
[일반식 1]
(W2 - W1)/W1 x 100 ≤ 8 (%)
상기 일반식 2 및 3에서,
W1은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를 KS M ISO 11507에 따른 조건 하에서 자외선에 노출시키기 전의 굴곡강도를 의미하고,
W2는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를 KS M ISO 11507에 따른 조건 하에서 자외선에 노출시키고 30일 경과 후의 굴곡강도를 의미하며,
상기 굴곡강도는, ASTM D 790 에 의거하여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 시편의 지지 간격(Span)을 100 mm 로 고정하고 5 mm/min 속도로 굴곡 하중을 가하는 동안 초기 시편에 대하여 10 % 변형될 때 측정된 강도(N/cm2)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강도, 내구성 등의 물성 저하 없이도 우수한 가공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중량부"란, 각 성분간의 중량 비율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몰부"이란, 각 성분간의 몰(mol) 분율을 의미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융점"이란, 고상의 수지가 액상으로 녹기 시작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중합체"란, 단량체 또는 중합 가능한 반응성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수행하여 얻어지는 올리고머(oligomer) 및/또는 고분자(polymer)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을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재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는,
융점이 180℃ 내지 250℃이거나 또는 연화점이 100℃ 내지 150℃인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및 융점이 250℃ 보다 높은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가 혼합된 섬유층을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재를 제공한다.
상기 섬유층에서,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는 융점이 180℃ 내지 250℃이거나 또는 연화점이 100℃ 내지 15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된 섬유이다. 상대적인 의미에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라고도 칭한다. 또한,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는 융점이 250℃ 보다 높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이며, 상대적인 의미에서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라고도 칭한다.
상기 섬유층은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와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가 혼합된 형태이다.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의 혼합 비율은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혼합 비율은 1:9 내지 7:3, 혹은 1:9 내지 5:5의 범위일 수 있다. 저융점과 고융점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섬유간의 접합성을 높이고 동시에 강도 보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저융점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의 함량은, 고융점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의 함량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낮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융점이 250℃ 보다 높으며, 구체적으로는 251 내지 26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예를 들어, 주식회사 휴비스사의 제품(상품명 SD, Semi-dull chip)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섬유층의 형상, 두께 및 적층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상기 섬유층은, 섬유층을 형성하는 섬유 상호 간에 부분 융착된 형태이다. 섬유 상호 간에 부분 융착된 형태는, 열성형을 통해 섬유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섬유 상호 간에 부분 융착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층은,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제조된 저온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므로 저온 성형을 통해 섬유 상호 간에 부분 융착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섬유층은 기능성 첨가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층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이하, 또는 2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유리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내열성 향상이 가능하다. 그러나, 가공과정에서 유리 섬유가 탈리될 수 있고, 이는 작업 환경을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는 실질적으로 유리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난연제, 증점제, 무기필러 등이 소량 첨가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트렁크 내장재는,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한다.
[일반식 1]
(W2 - W1)/W1 x 100 ≤ 8 (%)
상기 일반식 2 및 3에서,
W1은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를 KS M ISO 11507에 따른 조건 하에서 자외선에 노출시키기 전의 굴곡강도를 의미하고,
W2는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를 KS M ISO 11507에 따른 조건 하에서 자외선에 노출시키고 30일 경과 후의 굴곡강도를 의미하며,
상기 굴곡강도는, ASTM D 790 에 의거하여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 시편의 지지 간격(Span)을 100 mm 로 고정하고 5 mm/min 속도로 굴곡 하중을 가하는 동안 초기 시편에 대하여 10 % 변형될 때 측정된 강도(N/cm2)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반식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의 굴곡강도 변화율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이는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전인 초기 굴곡강도(W1) 및 30일 동안 외부에 노출한 후의 굴곡강도인 후기 굴곡강도(W2)를 측정하였을 때의 굴곡강도 변화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의 상기 일반식 1로 나타내는 굴곡강도 변화율은 8 % 이하, 0.01 내지 7.5 %, 0.1 내지 6 %, 0.4 내지 5 % 혹은 0.5 내지 2 %일 수 있다. 굴곡강도 변화율이 상기 범위일 경우,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가 장시간 외부에 노출되어도,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트렁크 내장재는,
KS F 2805 에 따라 측정한 흡음률은 0.4 NRC 이상, 및/또는
KS F 2080에 따라 측정한 투과손실 값이 10 dB 이상인 조건을 만족한다.
예를 들어, 상기 흡음률은 0.4 내지 1 NRC 또는 0.4 내지 0.6 NRC 범위일 수 있고, 상기 차음률은 10 내지 30 dB 또는 15 내지 25 dB 범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는 흡음과 차음을 우수한 수준으로 동시에 구현 가능하여, 차량 내 및 외부에서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음 및/또는 흡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는 우수한 인장강도 및/또는 낮은 연소성을 구현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인장강도는 ASTM D 638를 기준으로 10 내지 150 MPa이며, 예를 들어, 10 내지 130 MPa, 30 내지 100 MPa 또는 40 내지 100 MPa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인장강도를 만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는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연성은 KS M ISO 9772를 기준으로 8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는 난연 내지 불연 특성을 짐으로써, 이후 화재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는 우수한 내구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렁크 내장재는, 90±1℃ 온도 조건에서 24 시간 방치하는 단계; 및 50±1℃ 온도 조건 및 90% 상대습도 조건에서 24 시간 방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혹 조건을 거친 후, 하기 일반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2]
|V1-V0| / V0 x 100 ≤ 5%
상기 일반식 2에서,
V0은 가혹 조건 노출 전 트렁크 내장재의 체적(mm3)이고,
V1은 가혹 조건 노출 후 트렁크 내장재의 체적(mm3)이다.
구체적으로, 제조된 트렁크 내장재 샘플을 가혹 조건을 거치기 전 후의 치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이는, 트렁크 내장재를 차량에 적용한 후의 장기적인 치수 변화율과 대응하는 측정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체적은, 트렁크 내장재의 길이, 너비 및 두께 각각의 길이를 곱하여 계산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1의 치수 변화율은 0.01 내지 5%, 0.01 내지 3% 또는 0.01 내지 1%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수학식 1의 값을 만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는 온도 변화가 심한 환경에서 장기간 사용에도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학식 1이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트렁크 내장재에 박리, 부품, 처짐, 변색 내지 변형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층을 형성하는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는,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나타내는 반복단위를 포함하고, 융점이 180℃ 내지 250℃이거나 또는 연화점이 100℃ 내지 15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된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m 및 n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함유된 반복단위의 몰 분율을 나타내고,
m+n=1을 기준으로 n은 0.05 내지 0.5이다.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화학식 1 및 2로 나타내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반복단위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의 반복단위를 나타내고, 화학식 2로 나타내는 반복단위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인열 특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반복단위는 테레프탈레이트에 결합된 프로필렌 사슬에 메틸기(-CH3)를 측쇄로 포함하여 중합된 수지의 주쇄가 회전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주쇄의 자유도 증가 및 수지의 결정성 저하를 유도하여 융점(Tm)을 낮출 수 있다. 이는 종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점(Tm)을 낮추기 위하여 비대칭 방향족 고리를 함유하는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에스테르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반복단위와 함께 수지의 융점(Tm)을 저하시키는 화학식 2의 반복단위를 주요 반복단위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전체 수지의 몰 분율을 1로 하였을 경우, 화학식 1 및 2로 나타내는 반복단위를 0.5 내지 1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0.55 내지 1; 0.6 내지 1; 0.7 내지 1; 0.8 내지 1; 0.5 내지 0.9; 0.5 내지 0.85; 0.5 내지 0.7; 또는 0.6 내지 0.95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포함된 화학식 2로 나타내는 반복단위의 양은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총 분율이 1인 경우(m+n=1), 0.05 내지 0.5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0.05 내지 0.4, 0.1 내지 0.4, 0.15 내지 0.35; 또는 0.2 내지 0.3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융점(Tm)은 180℃ 내지 250℃이거나, 융점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융점(Tm)은 180℃ 내지 250℃; 185℃ 내지 245℃; 190℃ 내지 240℃; 180℃ 내지 200℃; 200℃ 내지 230℃ 또는 195℃ 내지 230℃이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연화점은 100℃ 내지 150℃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00℃ 내지 130℃, 118℃ 내지 128℃; 120℃ 내지 125℃; 121℃ 내지 124℃; 124℃ 내지 128℃ 또는 119℃ 내지 126℃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50℃ 이상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50℃ 내지 80℃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61℃ 내지 69℃, 60℃ 내지 65℃, 63℃ 내지 67℃, 61℃ 내지 63℃, 63℃ 내지 65℃, 65℃ 내지 67℃ 또는 62℃ 내지 67℃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융점 수지는 0.5 ㎗/g 내지 0.75 ㎗/g의 고유점도(I.V)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유점도(I.V)는 0.6 ㎗/g 내지 0.65 ㎗/g; 0.65 ㎗/g 내지 0.70 ㎗/g; 0.64 ㎗/g 내지 0.69 ㎗/g; 0.65 ㎗/g 내지 0.68 ㎗/g; 0.67 ㎗/g 내지 0.75 ㎗/g; 0.69 ㎗/g 내지 0.72 ㎗/g; 0.7 ㎗/g 내지 0.75 ㎗/g; 또는 0.63 ㎗/g 내지 0.67 ㎗/g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화학식 2로 나타내는 반복단위를 포함하여 융점(Tm), 연화점, 및 유리전이온도(Tg)를 상기 범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로 물성이 조절된 수지는 우수한 접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화학식 1 및 2로 나타내는 반복단위와 함께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는 반복단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2-메틸프로필렌기, 에틸렌기 또는 옥시디에틸렌기이고,
r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함유된 반복단위의 몰 분율로서, 0.3 이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0.25 이하, 0.2 이하, 0.15 이하 또는 0.1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내에 포함된 화학식 3으로 나타내는 반복단위를 상기 분율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점(Tm)을 보다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합 시 발생되는 분산물, 예컨대 중합도 2 내지 3의 고리형 화합물의 함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중합도 2 내지 3의 고리형 화합물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여 전체 수지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전체 수지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하, 0.4 중량% 이하, 0.3 중량% 이하, 또는 0.2 중량% 이하로 포함하거나, 상기 고리형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이형단면 중공섬유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가 모두 이형단면 중공섬유일 수 있으나, 이형단면 중공섬유가 부분적으로 혼합된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는 이형단면 중공섬유이다. 이 경우, 전체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의 20 내지 85%(v/v)가 이형단면 중공섬유일 수 있다. 상기 이형단면 중공섬유는,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중공부, 형태유지부 및 부피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피제어부는 섬유 중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된 형태의 말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형단면 중공섬유의 단면 구조를 중공부, 형태유지부 및 부피제어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상기 이형단면 중공섬유의 단면 구조는, 내부에 섬유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홀을 형성하는 중공부가 존재하며, 상기 중공부를 감싸는 형태유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형태유지부는 단면을 기준으로, 중공부의 반대측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이러한 요철 중에서 돌출된 부분을 부피제어부라고 지칭한다. 이형단면 중공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섬유에 의해 형성된 망상 구조를 포함하고, 이러한 망상구조는 소리를 흡수함으로써, 흡음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2-메틸-1,3-프로판디올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은 프탈산(phth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l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PG),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DPG) 등의 디올 화합물을 중합한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2-메틸-1,3-프로판디올을 혼합한 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에 따라 혼합물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진행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PET oligomer)에 2-메틸-1,3-프로판디올을 혼합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 촉매를 첨가한 후 250±10℃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은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100 몰부에 대하여 5 몰부 내지 50 몰부로 혼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100 몰부에 대하여 5 몰부 내지 40 몰부; 10 몰부 내지 30 몰부; 20 몰부 내지 40 몰부; 25 몰부 내지 50 몰부; 또는 30 몰부 내지 50 몰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융점 수지 제조용 첨가제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첨가제의 낮은 함량으로 인해 수지의 융점이 충분히 낮아지지 않거나 과량의 첨가제로 인해 수지의 결정성이 저감되는 임계점을 초과하여 결정성이 다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수행되는 상기 혼합물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2-메틸-1,3-프로판디올과 함께 이소프탈산(IPA) 및 디에틸렌글리콜(DEG)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2-메틸-1,3-프로판디올 및 디에틸렌글리콜(DEG)을 포함하거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2-메틸-1,3-프로판디올, 디에틸렌글리콜(DEG) 및 이소프탈산(IP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소프탈산(IPA)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100 몰부에 대하여 30 몰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100 몰부에 대하여 25 몰부 이하, 20 몰부 이하, 15 몰부 이하 또는 10 몰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소프탈산(IPA)의 함량은 0.1 몰부 이상 또는 1 몰부 이상이거나, 혹은 이소프탈산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IPA)를 0.5 내지 0.001 몰부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디에틸렌글리콜(DEG)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100 몰부에 대하여 1 내지 20 몰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100 몰부에 대하여 5 몰부 내지 15 몰부, 10 몰부 내지 15 몰부, 15 몰부 내지 20 몰부, 12 몰부 내지 18 몰부, 13 몰부 내지 17 몰부, 또는 14 몰부 내지 16 몰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소프탈산(IPA)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내에 중합도 2 내지 3의 고리형 화합물의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디에틸렌글리콜(DEG)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수지의 융점(Tm)을 최적화하면서 현저히 유리전이온도(Tg)의 감소를 억제하여 방사 시 발생되는 경시변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는, 수지 발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 발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앞서 설명한 섬유층이 합지된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렁크 내장재는, 폴리에스테스 수지 발포층;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의 양면에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은 발포보드 혹은 발포시트의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렁크 내장재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시트의 양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이 적층된 구조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는, ASTM D 790에 의거하여 시편의 지지 간격(Span)을 100 mm 로 고정하고 5 mm/min 속도로 굴곡 하중을 가할 때 측정된 굴곡탄성률(Flexural modulus)이 400 내지 30,000 MPa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는, 우수한 굴곡탄성을 제공함으로써, 트렁크 내장재로 적용시 처짐 현상을 방지하고,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발포 시트이고, 섬유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일 수 있다. 적층체를 구성하는 여러 성분들 혹은 모든 성분들을 PET 계열의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층간 접합성을 높이고, 환경적인 측면에서 수지의 재생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트렁크 내장재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평균 500 내지 1100 g/m2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렁크 내장재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550 내지 1000 g/m2, 600 내지 1000 1100 g/m2 또는 800 내지 900 1100 g/m2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단위면적당 질량을 만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가 경량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는 자동차 내부의 부품 또는 인테리어에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렁크 내장재는 플로어 언더커버 또는 카매트로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를 자동차의 플로어 언더커버로 사용할 경우, 엔진, 트랜스미션 또는 쿨링팬 등의 저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엔진 및 트랜스미션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트렁크 내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트렁크 내장재의 제조방법은, 융점이 180℃ 내지 250℃이거나 또는 연화점이 100℃ 내지 15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및 융점이 255℃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층을 80 내지 200℃ 온도 범위에서 열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트렁크 내장재는, KS F 2805 에 따라 측정한 흡음률은 0.4 NRC 이상, 및/또는 KS F 2080에 따라 측정한 투과손실 값이 10 dB 이상인 물성(차음성)을 만족한다. 흡음률과 차음성에 대한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는,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나타내는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m 및 n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함유된 반복단위의 몰 분율을 나타내고,
m+n=1을 기준으로 n은 0.05 내지 0.5이다.
상기 열성형하는 단계는,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부분적으로 용융되는 범위에서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열성형하는 단계는 100 내지 150℃ 온도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성형하는 단계에서는 대기압 보다 높은 압력이 가해진다.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한 상태에서 원하는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가해지는 압력의 범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5 내지 10 기압, 2 내지 5 기압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열성형하는 단계 이후에,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을 순차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을 도입함으로써, 차음성 및 강도 보완이 가능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는 보드 형태 혹은 시트 형태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열성형하는 단계 이전에,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을 순차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열성형하는 단계에서,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에 열성형을 가하여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게 된다.
본원에서는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를 개시한다. 만약,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이 외층에 노출되는 구조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나, 이 경우에는 흡음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은 앞서 설명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에 대응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과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은, 모두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내지 25: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의 제조
에스테르 반응조에 산성분인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및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알코올 성분인 2-메틸-1,3-프로판다이올(MPD),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및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을 하기 표 1에 나타난 몰 함량 비율로 혼합하고, 통상의 에스테르화 반응 촉매를 투입 후 250±5℃에서 에스테르 반응을 수행하였다. 에스테르화 반응률이 약 96%에 도달하면 에스테르화 반응을 종료하고, 축중합 반응 촉매를 첨가하고 반응조 내 최종 온도 및 진공 압력이 각각 280±5℃ 및 0.1mmHg가 되도록 축중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수지의 점도를 교반기 토크미터로 환산한 후 목적하는 점도에 이르면 축중합을 종료하며 이런 방식으로 수지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감압을 서서히 깨고 가압을 가하여 반응기 외부로 토출하고 냉각하여 Pellet 형태로 절단하여 수지 물성을 측정하였고, 얻어진 수지를 시스-코어(Sheath-Core) 형태로 복합방사 하여 시스(Sheath) 부분에 상기 제조된 수지를 흘려보내고, 코어(Core) 부분에 통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흘려보내어 저융점 수지 섬유인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를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별로 첨가되는 성분들의 함량을 아래 표 1과 같이 달리하였다.
제조예 No | 산성분(몰%) | 디올성분(몰%) | |||
IPA | TPA | MPD | DEG | EG | |
1 | 0 | 100 | 40 | 0 | 60 |
2 | 15 | 85 | 30 | 0 | 70 |
4 | 5 | 95 | 30 | 0 | 70 |
5 | 0 | 100 | 30 | 0 | 70 |
6 | 0 | 100 | 30 | 15 | 55 |
7 | 0 | 100 | 25 | 15 | 60 |
8 | 10 | 90 | 20 | 0 | 80 |
9 | 10 | 90 | 20 | 10 | 70 |
10 | 10 | 90 | 20 | 15 | 65 |
11 | 0 | 100 | 20 | 0 | 80 |
12 | 0 | 100 | 20 | 20 | 60 |
13 | 0 | 100 | 15 | 25 | 60 |
14 | 20 | 80 | 10 | 15 | 75 |
15 | 0 | 100 | 10 | 0 | 90 |
16 | 40 | 60 | 0 | 0 | 100 |
17 | 35 | 65 | 0 | 10 | 90 |
18 | 30 | 70 | 0 | 0 | 100 |
19 | 30 | 70 | 0 | 15 | 85 |
20 | 20 | 80 | 0 | 0 | 100 |
21 | 20 | 80 | 0 | 15 | 85 |
22 | 20 | 80 | 0 | 20 | 80 |
23 | 15 | 85 | 0 | 25 | 75 |
24 | 10 | 90 | 0 | 0 | 100 |
25 | 0 | 100 | 0 | 30 | 70 |
실험예 1.
제조예 1 내지 25에서 제조된 시료에 대해서, 아래 각 항목별로 물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1) 고리형 화합물의 함량 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각각 10mg 취하고 직경이 5mm, 길이가 20cm 되는 파이렉스 튜브안에 약 5cm 높이가 되도록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trifluoro acetic acid, TFA) 용매에 용해시켜서 주입한다. 핵자기 공명 분광기(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Bruker)를 이용하여 1H-NMR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로부터 저융점 수지 내에 잔류하는 중합도 2 내지 3인 고리형 화합물의 함량을 도출하였다.
(2) 연화온도, 융점(Tm) 및 유리전이온도(Tg) 측정
시차 주사 열량계(Perkin Elmer, DSC-7)를 이용하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점(Tm) 및 유리전이온도(Tg)를 측정하였으며, 융점(Tm) 측정 시 열 흡수 피크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 동적기계 분석기(DMA-7, Perkin Elmer)를 이용하여 TMA 모드에서 연화 거동을 측정하였다.
(3) 고유점도(I.V) 및 용융점도 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페놀 및 테트라클로로에탄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각각 0.5 중량%의 농도로 용해시킨 후 우베로드 점도계를 이용하여 35℃에서 고유점도(I.V)를 측정하였다. 또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용융점도를 측정하였다.
제조예 No. | 고리화합물 [wt%] |
연화온도 [℃] |
Tm [℃] |
Tg [℃] |
IV (dl/g) |
용융점도 (Poise) |
1 | 0 | 120 | - | 70.4 | 0.581 | 913.0 |
2 | 0.25 | 110 | - | 68.0 | 0.581 | 853.0 |
4 | 0 | - | 178 | 68.0 | 0.580 | 847.0 |
5 | 0 | - | 196.3 | 72.1 | 0.582 | 851.0 |
6 | 0 | 118 | - | 60.8 | 0.580 | 864.0 |
7 | 0 | 121 | 63.5 | 0.582 | 847.0 | |
8 | 0.2 | - | 181 | 70.0 | 0.582 | 811.0 |
9 | 0.19 | 120 | - | 62.0 | 0.579 | 815.0 |
10 | 0.17 | 115 | - | 60.7 | 0.582 | 831.0 |
11 | 0 | - | 210.5 | 74.6 | 0.583 | 818.0 |
12 | 0 | 129 | - | 61.4 | 0.581 | 811.0 |
13 | 0 | - | 176 | 55.7 | 0.581 | 781.0 |
14 | 0.36 | 125 | - | 60.5 | 0.579 | 754.0 |
15 | 0 | - | 235.3 | 76.5 | 0.581 | 736.0 |
16 | 0.86 | 128 | - | 70.1 | 0.580 | 673.0 |
17 | 0.73 | 108 | - | 67.1 | 0.581 | 654.0 |
18 | 0.73 | - | 195.2 | 71.0 | 0.582 | 687.0 |
19 | 0.53 | 112 | - | 61.0 | 0.579 | 659.0 |
20 | 0.41 | - | 208.6 | 71.6 | 0.580 | 677.0 |
21 | 0.39 | - | 178 | 63.0 | 0.581 | 697.0 |
22 | 0.32 | 119 | - | 63.0 | 0.582 | 643.0 |
23 | 0.27 | 125 | - | 60.0 | 0.581 | 657.0 |
24 | 0.25 | - | 232.5 | 74.2 | 0.583 | 687.0 |
25 | 0 | - | 199.7 | 57.7 | 0.581 | 690.0 |
위 표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를 형성하는 섬유층의 수지는, 고리화합물의 함량이 1 wt% 이하, 구체적으로는 0 내지 0.86 wt% 범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는 융점이 180℃ 내지 250℃이거나 또는 연화점이 100℃ 내지 150℃ 범위인 것을 알 수 있다. 고유점도(I.V)는 0.5 ㎗/g 내지 0.75 ㎗/g에 해당하고, 구체적으로는 0.55 ㎗/g 내지 0.6 ㎗/g 범위이다. 또한, 유리전이온도는 50℃ 내지 80℃, 구체적으로는 57 내지 77℃ 범위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25: 섬유층의 제조
제조예 1 내지 25에서 제조된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를 융점이 255℃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와 혼합하고, 130℃ 온도에서 프레스를 가하면서 열성형을 수행하여 섬유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는, 주식회사 휴비스사의 제품(상품명 SD, Semi-dull chip)을 입수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를 제조하였다.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및 제 2 섬유의 혼합비율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기 표 3과 같다.
실시예 No. |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함량 |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함량 |
1~5 | 3.5 | 6.5 |
6~10 | 4 | 6 |
11~15 | 5 | 5 |
16~20 | 6 | 4 |
21~25 | 7 | 3 |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5의 시료에 대해서, KS M ISO 11507에 따른 조건 하에서 자외선에 노출시키기 전의 굴곡강도(W1)를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해당 시료들을 동일한 조건에서 자외선에 노출하고 30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굴곡강도(W2)를 측정하였다.
굴곡강도는 ASTM D 790 에 의거하여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 시편의 지지 간격(Span)을 100 mm 로 고정하고 5 mm/min 속도로 굴곡 하중을 가하는 동안 초기 시편에 대하여 10 % 변형될 때 측정된 수치(N/cm2)이다.
측정된 굴곡강도의 변화율을 산출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No. | 굴곡강도(MPa) 변화율(%) |
실시예 1 | 1.2 |
실시예 2 | 1.3 |
실시예 3 | 1.5 |
실시예 4 | 1.1 |
실시예 5 | 1.3 |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는 자외선 노출 환경에서 굴곡강도의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섬유층 시료에 대해서, 평량, 굴곡탄성률(stiffness) 및 굴곡강도를 측정하였다.
굴곡탄성률 및 굴곡강도 측정은, ASTM D 790에 의거하여 시편의 지지 간격(Span)을 100 mm 로 고정하고 5 mm/min 속도로 굴곡 하중을 가할 때의 값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구분 | 실시예 1 |
평량(g/m2) | 980 |
굴곡탄성률(MPa) | 450 |
굴곡강도(MPa) | 12 |
위 표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25의 시료에 대해서, 평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는 평량이 1,000 g/m2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25의 시료에 대해서, 굴곡탄성률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의 경우와 대비해서 ±10% 범위 내에 속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치수 변화율 평가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른 시료에 대하여, 치수 변화율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된 차량용 내장재 각각에 대하여, 90±1℃ 온도 조건에서 24 시간 방치하는 단계; 및 50±1℃ 온도 조건 및 90% 상대습도 조건에서 24 시간 방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혹 조건을 거친 후,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치수 변화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V1-V0| / V0 x 100
상기 수학식 1에서,
V0은 가혹 조건 노출 전 차량용 내장재의 체적(mm3)이고,
V1은 가혹 조건 노출 후 차량용 내장재의 체적(mm3)이다.
실시예 No. | 치수 변화율 (%) |
실시예 11 | 0.5 |
실시예 12 | 0.3 |
실시예 13 | 0.2 |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의 경우, 0.5% 이하의 낮은 치수 변화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의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흡음 및 차음 성능 측정
실시예 16 내지 18에 따른 시료에 대해서, 흡음률 및 차음률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하기 기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1) 흡음률 측정
KS F 2805 잔향실법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0~10,000 Hz 의 흡읍률을 측정하고, NRC(noise reduction coefficient) 값을 산출하였다. NRC는 250, 500, 1,000 및 2,000 Hz에서의 흡음률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2) 차음률 측정
KS F 2080에 의거한 Apamat 측정장비를 활용하여 주파수 1 내지 8,000 Hz의 투과손실 값을 구했다. 그리고 비교를 위해, 8,000 Hz의 투과손실 값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No. | 흡음률(NRC) | 차음률(dB) |
실시예 16 | 0.4 | 11 |
실시예 17 | 0.4 | 14 |
실시예 18 | 0.4 | 18 |
표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섬유층은 흡음률과 차음률 모두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인장강도 및 연소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25에 따른 시료에 대해서, 인장강도 및 연소성을 평가하였다. 인장강도는 ASTM D 638를 기준으로 평가하였고, 연소성은 KS M ISO 9772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실시예 1 내지 25의 시료들은 70 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고, 연소성은 70 이하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6 내지 28
실시예 6 내지 8에 따른 섬유층을 PET 수지 발포시트의 양면에 합지하였다. 구체적으로 PET 수지 발포시트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제조하였다.
먼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100 중량부를 130 ℃에서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고, 제 1 압출기에 상기 수분이 제거된 PET 수지와 상기 수분이 제거된 PET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리드 1중량부, 탈크 1중량부 및 Irganox (IRG 1010) 0.1 중량부를 혼합하고, 280℃로 가열하여 수지 용융물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제1 압출기에 발포제로서 탄산가스와 펜탄을 5:5 비율로 혼합하여, PET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투입하고 압출발포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의 밀도는 약 300 kg/m3, 두께는 약 2 mm, 평량은 약 600 g/m2 였다.
이때, 제조된 적층체의 총 두께는 8 mm로 제작하였으며, 단위면적당 질량을 하기 표 8과 같이 조절하였다.
실시예 No. | 단위 면적당 질량 (g/m2) |
실시예 26 | 1500 |
실시예 27 | 1700 |
실시예 28 | 2000 |
표 8을 참조하면, 단위 면적당 질량이 1500 내지 2000 g/m2 범위인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4)
- 융점이 180℃ 내지 250℃이거나 또는 연화점이 100℃ 내지 150℃인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및 융점이 250℃ 보다 높은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가 혼합된 섬유층을 포함하며,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고,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의 혼합 비율은 3.5:6.5 내지 7:3 중량비 범위이고,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를 형성하는 수지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및 화학식 3으로 나타내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재:
[일반식 1]
(W2 - W1)/W1 x 100 ≤ 8 (%)
상기 일반식 1에서,
W1은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를 KS M ISO 11507에 따른 조건 하에서 자외선에 노출시키기 전의 굴곡강도를 의미하고,
W2는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를 KS M ISO 11507에 따른 조건 하에서 자외선에 노출시키고 30일 경과 후의 굴곡강도를 의미하며,
상기 굴곡강도는, ASTM D 790 에 의거하여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 시편의 지지 간격(Span)을 100 mm 로 고정하고 5 mm/min 속도로 굴곡 하중을 가하는 동안 초기 시편에 대하여 10 % 변형될 때 측정된 강도(N/cm2)이고,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m 및 n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함유된 반복단위의 몰 분율을 나타내고,
m+n=1을 기준으로 n은 0.05 내지 0.5이고,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2-메틸프로필렌기, 에틸렌기 또는 옥시디에틸렌기이고,
r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함유된 반복단위의 몰 분율로서, 0.3 이하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섬유층을 형성하는 섬유 상호 간에 부분 융착된 형태인 트렁크 내장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는 이형단면 중공섬유이고,
상기 이형단면 중공섬유는,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중공부, 형태유지부 및 부피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피제어부는 섬유 중심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으며, 돌출된 형태의 말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트렁크 내장재.
- 제 1 항에 있어서,
KS F 2805 에 따라 측정한 흡음률은 0.4 NRC 이상이고,
KS F 2080에 따라 측정한 투과손실 값이 10 dB 이상인 트렁크 내장재.
- 제 1 항에 있어서,
인장강도가 ASTM D 638를 기준으로 10 내지 150 MPa이며,
연소성이 KS M ISO 9772를 기준으로 80 이하인 트렁크 내장재.
- 제 1 항에 있어서,
90±1℃ 온도 조건에서 24 시간 방치하는 단계; 및 50±1℃ 온도 조건 및 90% 상대습도 조건에서 24 시간 방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혹 조건을 거친 후, 하기 일반식 2를 만족하는 트렁크 내장재:
[일반식 2]
|V1-V0| / V0 x 100 ≤ 5%
상기 일반식 2에서,
V0은 가혹 조건 노출 전 트렁크 내장재의 체적(mm3)이고,
V1은 가혹 조건 노출 후 트렁크 내장재의 체적(mm3)이다.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내장재는,
폴리에스테스 수지 발포층;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의 양면에 형성된 상기 섬유층을 포함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내장재.
- 제 1 항에 있어서,
트렁크 내장재는 트렁크룸 파티션 패널, 트렁크룸 좌우 트림 패널, 트렁크룸 커버링 패널 및 트렁크룸 도어 패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재.
- 융점이 180℃ 내지 250℃이거나 또는 연화점이 100℃ 내지 150℃인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및 융점이 255℃ 이상인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가 혼합된 섬유층을 80 내지 200℃ 온도 범위에서 열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는 제1항에 따른 트렁크 내장재의 제조방법:
[일반식 1]
(W2 - W1)/W1 x 100 ≤ 8 (%)
상기 일반식 1에서,
W1은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를 KS M ISO 11507에 따른 조건 하에서 자외선에 노출시키기 전의 굴곡강도를 의미하고,
W2는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를 KS M ISO 11507에 따른 조건 하에서 자외선에 노출시키고 30일 경과 후의 굴곡강도를 의미하며,
상기 굴곡강도는, ASTM D 790 에 의거하여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 시편의 지지 간격(Span)을 100 mm 로 고정하고 5 mm/min 속도로 굴곡 하중을 가하는 동안 초기 시편에 대하여 10 % 변형될 때 측정된 강도(N/cm2)이다.
- 삭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성형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제1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층을 순차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재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1603A KR101917203B1 (ko) | 2016-08-10 | 2016-08-10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1603A KR101917203B1 (ko) | 2016-08-10 | 2016-08-10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7573A KR20180017573A (ko) | 2018-02-21 |
KR101917203B1 true KR101917203B1 (ko) | 2018-11-09 |
Family
ID=6152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1603A KR101917203B1 (ko) | 2016-08-10 | 2016-08-10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720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5968B1 (ko) * | 2018-12-12 | 2020-11-09 | 주식회사 휴비스 | 저융점 수지를 포함하는 발포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체 |
KR102681591B1 (ko) * | 2021-11-30 | 2024-07-05 | 원풍물산주식회사 | 다층 적층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01436A (ja) * | 1999-06-23 | 2001-01-09 | Japan Vilene Co Ltd | 自動車内装材用基材及び自動車内装材 |
-
2016
- 2016-08-10 KR KR1020160101603A patent/KR101917203B1/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01436A (ja) * | 1999-06-23 | 2001-01-09 | Japan Vilene Co Ltd | 自動車内装材用基材及び自動車内装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7573A (ko) | 2018-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1006B1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US11192342B2 (en) |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automobile comprising polyester resin foam layer and fiber layer | |
KR101870884B1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패키지 트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90061561A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 |
MX2007013944A (es) | Compuestos para moldeo en lamina clase a, de baja densidad a partir de resinas termoendurecibles de isoftalato-maleato. | |
KR101917203B1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트렁크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144064B1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 |
KR20190087715A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144066B1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 |
KR101948860B1 (ko) | 폴리에스테르 발포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자동차용 천정재 | |
KR101870885B1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32690B1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엔진룸 커버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88816B1 (ko) | 폴리에스테르 복합 시트 | |
KR101889324B1 (ko) |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패널 | |
KR102167669B1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난연성 자동차용 내장재 | |
KR102180539B1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난연성 자동차용 내장재 | |
KR20170067936A (ko) | 내구성이 우수한 차량용 내외장재 | |
KR102564979B1 (ko) |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 |
KR102479935B1 (ko) | 신규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 |
CN117757232A (zh) | 一种聚酯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KR20190093907A (ko) | 내후성이 우수하고 경량화된 자동차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Z031 |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 ||
Z072 |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 ||
Z131 |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