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85094B1 - Formation methods of Functional forest - Google Patents

Formation methods of Functional fo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094B1
KR101885094B1 KR1020170118548A KR20170118548A KR101885094B1 KR 101885094 B1 KR101885094 B1 KR 101885094B1 KR 1020170118548 A KR1020170118548 A KR 1020170118548A KR 20170118548 A KR20170118548 A KR 20170118548A KR 101885094 B1 KR101885094 B1 KR 101885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st
species
functional
tree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5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영진
김경훈
박종철
용 김
Original Assignee
일송지오텍(주)
주식회사 일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송지오텍(주), 주식회사 일림 filed Critical 일송지오텍(주)
Priority to KR102017011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0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0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mplementing a functional forest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function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or to implement eco-friendly functions. On-site investigation and restoration models are set up to realize the forest having various functions, and damaged lands are restored to a simple ecological forest by optimizing correcting and restoring methods accordingly. Further, the forest can be implemented as a functional forest having a function of coping with climate change, preventing air pollution, preventing forest disaster, or having a function of eco-friendly health promotion forest.

Description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Formation methods of Functional forest}Formation methods of functional forests with various functions

본 발명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거나 친환경적인 기능을 구현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숲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mplementing functional forests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function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or to implement eco-friendly functions.

숲은 생물이 존재하는 기반으로 수원함양, 재해방지 등의 다양한 환경보전기능을 갖고 있으며, 동식물 등을 적극 보전하여 지구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생물다양성 보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Forests have a variety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functions, such as rehabilitation of water sources and prevention of disasters, based on the existence of living creatures. They also contribute to "biodiversity conservation" that is being carried out at the district level by actively preserving plants and animals.

일반적으로 산림생태계는 인간의 인위적인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의 자연스러운 식생천이가 이뤄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최근에 관리가 되지 않는 숲 또는 산림의 경우 가시박 등의 외래식물들에 의한 편향적인 식생천이로 주변 산림생태계가 파괴되고 있으며, 인위적인 개발 및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에 의해 발생된 훼손산림지에 대한 단순 식재위주의 복원으로 주변 산림 생태계가 교란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general, it is highly desirable that forest ecosystems are natural vegetation transitions in the absence of human intervention. However, in the case of forests or forests that have not been recently managed, the biotic vegetation transgression by foreign plants such as prickly pests has destroyed the surrounding forest ecosystem, and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such as artificial development and landslides The restoration of the simple plantation is disturbing the surrounding forest ecosystem.

또한 최근 국민의 소득 수준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삶의 질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림에 대한 관심 또한 증대되고 있다. 이에 산림청은 산림을 단순 목재생산을 위한 목적에서 벗어나 숲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숲을 조성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In addition, as the income level of the people continues to increase, the public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is heightened and interest in forests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the Korean Forest Service is carrying out various researches to create forests that can realize the various functions of forests by shifting the forests from the purpose of simple wood production.

따라서 관리되지 않는 숲에 대해 특정 기능이 있는 숲을 조성하거나, 산림 내부의 훼손된 지역에 대한 복원은 기존의 숲의 생태계에 교란을 가져오지 않으면서 그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적극적인 식생관리 및 조성이 요구되었다.Therefore, forests with specific functions for unmanaged forests or restoration of damaged areas inside the forests need to be actively managed and promoted in order to activate their functions without disturbing existing forest ecosystems. .

기존의 숲의 조성과 복원에 관련되어 있는 기술들은 숲의 훼손 형태를 복원할 수 있는 일반적인 형태의 복원에 맞추어져 왔다. 최근 오염문제와 기후변화 등의 다양한 환경적인 이슈는 새로운 기능을 가지는 생태숲 구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현재까지 숲의 조성과 복원의 공법은 단순히 훼손된 숲에 기존 수목과 유사한 식물종을 파악하고, 이를 식재하는 경우 활착과 생육을 향상하는데 맞추어져 있어, 이러한 새로운 환경이슈에 부응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Techniques related to the composition and restoration of existing forests have been adapted to the general form of restoration that can restore the form of damage to the forest. Recently,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pollution problem and climate change are increasing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ecological forests with new functions. However, until now, the method of forest restoration and restoration has merely identified plant species similar to existing trees in the damaged forest, When planted, it is adapted to improve the growth and growth, and there is a limit to responding to such a new environmental issue.

등록특허 제10-0805188호Patent No. 10-080518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숲을 구현하기 위한 현장조사 및 복원모델을 설정하고, 이에 맞는 수종과 복원방법을 최적화하여 단순한 생태숲으로 훼손지를 복원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기후변화, 대기오염방지, 산림재해방지나 친환경적인 건강증진숲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t up a field survey and restoration model for realizing functional forests implement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o restoring damaged areas to forests, it also provides technologies that can be implemented as functional forests that function as climate change, prevention of air pollution, forest disaster prevention, or environmentally friendly health promotion forest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대해, 설정 목표 기능숲의 모델을 설정하는 복원목표 설정단계; 상기 설정된 복원목표로 설정된 상기 대상지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복원목표의 적합성을 검정하는 적합성검증단계; 적합성 검증 후 기능숲 모델을 결정하고 복원재료를 선정하는 복원재료 선정단계; 및 상기 대상지에 대해 기 설정된 복원 목표에 따른 기능숲 모델을 시공하는 시공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storation goal setting step of setting a model of a setting target functional forest with respect to a functional forest construction site; A suitability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suitability of a restoration target through on-site investigation of the target site set as the set restoration target; A restoration material selection step of determining the functional forest model after the suitability verification and selecting the restoration material; And a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a functional forest mode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restoration target for the target si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숲을 구현하기 위한 현장조사 및 복원모델을 설정하고, 이에 맞는 수정과 복원방법을 최적화하여 단순한 생태숲으로 훼손지를 복원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기후변화, 대기오염방지, 산림재해방지나 친환경적인 건강증진숲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etting up a field survey and restoration model for implementing functional forests implementing various functions, and optimizing the correction and restoration methods, restoration of a damaged forest with a simple ecological forest is further achieved, It can be implemented as a functional forest with the function of forest change, prevention of air pollution, prevention of forest disaster, and environment-friendly health promotion forest.

특히, 복원모델을 선정하여 기능숲을 구현하는 경우, 훼손된 지역을 구비하는 훼손 숲이나 기존에 존재하는 숲의 기능을 갱신하여 다양한 기능을 하는 복원숲으로 변경하거나 기존의 숲의 수목을 선택적으로 간벌 후 기능성 수목으로 대체하는 작업을 통해, 복원 목표가 되는 대상지역의 특성에 가장 잘 부합하는 기능숲을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when a functional forest is implemented by selecting a restoration model,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function of a defective forest having a damaged area or existing forests to a restoration forest having various functions, or alternatively, By replacing them with post-functional trees, it is possible to economically realize functional forests that bes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rea to be resto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의 시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를 게시한 것이다.
도 3은 대상지의 현황조사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유기블럭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유기블럭의 적용예시도를 설명한 것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having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process of FIG.
Fig. 3 shows an example of the status survey of the target site.
4 to 6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constru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rganic block.
FIGS. 8 and 9 illustrate application examples of the organic block of FIG. 7. FI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시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를 게시한 것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It is published.

도시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대해, 설정 목표 기능숲의 모델을 설정하는 복원목표 설정단계와, 상기 설정된 복원목표로 설정된 상기 대상지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복원목표의 적합성을 검정하는 적합성검증단계, 적합성 검증 후 기능숲 모델을 결정하고 복원재료 및 시공방법을 선정하는 복원재료 및 시공방법 선정단계 및 상기 대상지에 대해 기 설정된 복원 목표에 따른 기능숲 모델을 시공하는 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toration target setting step of setting a model of a setting target functional forest with respect to a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target site, and a restoration target setting step of performing a field investigation on the target site set as the set restoration target A conformity verification step to check the suitability of the restoration objective, a functional forest model after the conformity verification, a selection step of restoration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selecting restoration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and a functional forest model according to predetermined restoration goals And a construction step for constructing the building.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지는 훼손지나 기능숲을 구현하고자 하는 대상지(이하, '기능숲 조성 대상지'라 한다.)를 복원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대한 사전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복원목표(특정 기능에 부합하는 기능숲을 구현)를 설정하고 이에 적합성을 검증 후, 복원하는 공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기능숲의 복원공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순차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gis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store the target si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unction forest site') which is intended to implement the degradation or functional fores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fficient function forest restoration method which can set a goal (implementing functional forests conforming to specific functions) and to implement a method of restoring and verifying conformity thereto. Hereinafter,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1. 복원목표 설정단계1. Restore Goal Setting Steps

기능숲의 조성은 훼손지를 복원하여 숲의 기능을 부여하고 새로운 숲을 구현하는 것과, 기존의 숲의 기능성을 활용하거나 기존 수목을 간벌하고 기능성 수종으로 변경하여 새로운 기능성 숲으로 구현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Functional forests can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restores damaged areas to provide forest functions and implement new forests, or utilize the functionality of existing forests or reduce existing trees to functional trees and implement them as new functional forests. .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숲을 어떠한 기능성을 가지는 구조로 구현할 것인가(이하, '복원목표'라 한다.)를 확정하기 위해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대한 사전조사를 수행하게 된다. 이는, 숲에 훼손지가 발생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훼손지의 발생현장에 훼손의 유형이나 훼손시기 등에 대한 사전조사를 통해 훼손의 유형(점적훼손, 면적훼손, 선적훼손 등)을 파악하고, 생태자연도나 비오톱맵(Biotop map)을 통해 정책적 대상등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s performed on a functional forest site to determine whether the functional forest is to be constructed with a functional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storation target').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when a damaged area occurs in the forest, a type of damage (such as spot damage, area damage, shipment damage, etc.) ) And make it possible to grasp policy object ratings through ecological natural maps or biotop maps.

대상지의 현황조사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점적훼손지의 경우, 주변 지역 1곳의 식생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며, 면적훼손지는 훼손지 주변의 4개소 이상의 식생을 조사하며, 선적훼손지의 경우, 선적으로 훼손된 장소 주변의 2곳 이상의 식생을 조사하여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in the case of the spot-damaged area, the vegetation of the surrounding area is surveyed, and the area damaged is examined at four or more vegetation around the defective area. In the case of the defective area , And two or more vegetation around the damaged area by shipment.

이러한 사전조사를 통해 기능숲 조성 대상지를 어떠한 기능숲으로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복원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Through these preliminary surveys, we will set up restoration targets for what functional forests to implement as functional forests.

본 발명의 복원목표는, 크게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후변화대응숲, 대기오염저감숲, 산림재해예방숲, 다양성증진숲을 포함한다. 물론, 이러한 복원목표의 대분류는 환경변화나 목표에 따른 기능성이 달라지게 되는 경우 추가될 수 있다.The restoration targets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 climate change response forests, air pollution abatement forests, forest disaster prevention forests, and diversity promotion forests as shown in Table 1 below. Of course, such a restoration target may be added to a major change in functionality depending on environmental changes or goals.

이러한 대분류로 구분되는 복원목표에는 더욱 세분화된 복원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테면, 표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능숲에 대한 사전조사결과 복원목표로 설정되는 숲의 경우, 다양한 기준으로 구현될 수 있다.Restoration targets classified into these major categories can be further refined. 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1, in the case of a forest set as a restoration target as a result of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a functional forest,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riteria.

{표 1_복원목표의 설정기준}{Table 1: Restoration goal setting criteria}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1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1

이를테면, 상기 기후변화대응숲은, 탄소축적기능을 기준으로 분류된 수종의 해당 대상지 점유율이 전체 수종의 수종밀도에 대하여 30% 이상일 경우 구현하는 경우에는 탄소저감숲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며, 지역을 구분하여 남부지방은 표2와 같이 온량지수를 기준으로 90이상 110이하의 범위에 나타나는 전체 수종의 수종 밀도에 대하여, 교목종 2종 이상이 30% 이상일 경우, 중부지방은 온량지수 70이상 90 이하의 범위에 나타나는 전체 수종의 수종밀도에 대하여, 교목종 2종 이상이 30%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대상지를 기후변화충격완화숲으로 조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남부지방은 호남권과 경남권을, 중부지방은 충청권과 경기, 강원권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forest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can provide a carbon-abatement forest when the share of the target species classified by the carbon accumulation function is 30% or more of the total species species density, As shown in Table 2, in the southern region, when the species density of all the species in the range of 90 to 110 on the basis of the gentility index is more than 30% for two species of tree species, Of the total tree species in the range of more than 30 species of tree species can be created as forests to mitigate climate change impac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outhern region defines Honam region and Kyungnam region, and the central region includes Chungcheong region, Gyeonggi Province, and Kangwon region.

{표 2_기후변화충격완화숲 설정기준의 대표수종}{Table 2: Representative Species of Forest Setting Criteria for Mitigating Climate Change Impact}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2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2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대기오염저감숲은,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를 점유하는 수종의 2종 이상이 전체 수종의 밀도의 20% 이상을 점유하는 경우 대기오염방지숲으로 조성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를 점유하는 수종의 2종 이상이 전체 수종의 밀도의 20% 이상을 점유하는 경우 미세먼지저감숲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air pollution abatement fo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into an air pollution prevention forest when two or more kinds of species occupying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target occupy 20% or more of the density of the total species, When two or more kinds of species occupying the forestation site occupy more than 20% of the density of the whole species, it can be implemented as a fine dust reduction forest.

아울러, 상기 산림재해예방숲은,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가 계곡부에 위치하며, 해당 대상지에 자생하는 식생의 1종 이상이 전체 수종의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고, 다층구조를 이루는 경우 구현할 수 있는 수원함양숲이나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 인근에서 자생하는 수종이 1종 이상이 띠형태를 이루며 생육하는 경우 구현할 수 있는 산지재해방지숲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forest disaster prevention forest can be implemented in the case where the above-mentioned functional forest area is located in the valley part, one or more of the vegetation native to the corresponding area occupies more than 50% And a wilderness prevention forest which can be realized when at least one species that grows in the vicinity of the functional forest promotion site grows in a strip shape.

상기 다양성증진숲은,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의 주변 숲의 식생이 다층구조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생물다양성증진숲이나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의 주변 숲이 식생이 경관수종들로 전체 밀도의 30%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구현할 수 있는 경관다양성증진숲 및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의 토양의 석회함유율이 단위면적을 기준으로 10~50%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적용하는 석회광산복구숲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diversity-promoting forest may be a biodiversity-enhancing forest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vegetation of the surrounding forest of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has a multi-layer structure, or a surrounding forest of the functional forest- Of the lime mining recovery forest which can be implemented when the lime content of the forest is greater than 30%, and the lime content of the soil of the functional forest is smaller than 10 ~ 50% And can be implemented with a configuration including at least any one or more of them.

상술한 본 발명에서의 복원목표의 설정기준에 따른 세부 목표 숲의 구성은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하나의 기능을 하는 구조로 설정하거나, 상술한 기능숲의 세부 모델 중 둘 이상의 기능숲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detailed target forest according to the setting reference of the restoration target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to a structure that functions as a function on the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target site or to be implemented as two or more functional forests among the detailed models of the functional forest described above It can also be set.

또한 사전 조사없이 발주처로부터 목표를 부여받아 기능숲을 구현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functional forests by granting targets from the client without prior investigation.

2. 적합성 검증 단계2. Compliance verification step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숲의 경우, 사전조사를 통한 복원모델을 설정한 후, 현장조사를 통해 이에 대한 적합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functional fo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able to set the restoration model through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then to conduct the field investigation to verify the fitness of the functional forest.

이러한 현장조사는 대상지에 대한 지형분석이나 경사분석, 현존 식생의 분석이 이루어지며, 대상지가 넓은 경우에는 권역을 설정(지리적 위치, 고도별 지형별 구분)하고, 생태자연도 및 녹지자연도를 권역별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인근 도심지와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도심과의 거리와 영향성을 파악하고, 주요 생태축에 대한 정보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case of a large area, it is necessary to set up a region (geographical location, classification by terrain according to altitude), and to make ecological naturalness and greenery naturalness map So that it can be analyzed separately. Furthermore, considering the relation with the nearby urban area, it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distance and influence from the city center and to consider the information about the major ecological axis.

즉,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대한 주변 식생(목본 및 초본 주구성종 및 보조구성종)을 파악하고, 유기물함량 및 토질을 파악하여 토양환경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며, 대상지에 대한 토양의 경사도를 파악하여 기 설정한 복원목표의 타당성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 경우, 최초 사전조사 후 설정한 복원목표의 설정에 부적합하는 경우에는 복원목표(기능숲의 종류)를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적합한 경우에는 이후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도입수종이나 종자, 식생기반재 등의 구비항목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2,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urrounding vegetation (woody herbaceous herbaceous plant species and auxiliary constituent species) for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obtain information on the soil environment by grasping the organic matter content and soil quality, And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storation target. Of course, in this case, the restoration target (kind of the functional forest) can be reset if it is not suitable for the setting of the restoration target set after the initial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if necessary, the specific introduction species or seed, vegetation And the like.

{표 3_복원목표별 수종의 도입 가능 분류}{Table 3: Possible classification of species by restoration target}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3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3

표 3에 제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능숲의 세부 복원목표에 대해 적용가능한 수종을 살펴보면, 상기 탄소저감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가시나무류, 느티나무, 상수리나무, 녹나무, 후박나무, 광나무, 능소화, 꽃치자나무, 철쭉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포함되는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As for the speci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detailed restoration target of functional fo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able 3,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carbon-abatting forest are as follows: Persimmon tree, Zelkova tree, , Mica, lacquering, flower gardenia, azalea, and the like.

나아가, 상기 기후변화충격완화숲에서 남부권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갈참나무, 까마귀쪽나무, 나도밤나무, 당단풍나무, 동백나무, 때죽나무, 사시나무, 산뽕나무, 상수리나무, 예덕나무, 육박나무, 조록나무,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참식나무, 황칠나무, 후박나무, 털고로쇠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포함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중부권은 갈참나무, 거제수나무, 구상나무, 동백나무, 물오리나무, 물푸레나무, 부게꽃나무, 사실나무, 산뽕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털고광나무, 까치박달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포함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southern part of the forest in the climate change shock mitigation forest are the oak tree, the crow tree, the nado tree, the papaya tree, the camellia tree, the stamina tree, the aspen tree, the mountain mulberry tree, the oak tree, It can be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imber, timber oak, timber camellia, oak wood, oak wood, oak wood, and hair oak wood. In the central area, the oak wood, oak wood, It can be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wood, ash tree, bugae flower, true tree, mountain mulberry, oak, pine, oak, camellias, shrubs, and magpie.

또한, 상기 대기오염방지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자작나무, 단풍나무, 소나무, 피나무, 곰솔, 가중나무, 참나무류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포함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air pollution prevention forest include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birch, maple, pine, pine, pine, weed, and oak.

나아가, 본 발명에서의 상기 미세먼지저감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쥐똥나무, 산사나무, 개암나무, 피나무, 오리나무, 갈매나무, 딱총나무, 참나무류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포함되는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Further, the species which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ne dust-reducing fo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pellets, hornblende, hazelnut, bark, oak, oak, .

아울러, 상기 수원함양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자작나무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포함되며, 추가적으로 신갈나무, 소나무 등을 포함한 구성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산지재해방지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굴참나무, 동백나무, 두릅나무, 아왜나무, 은행나무, 참죽나무, 황벽나무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상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forests of the source forest include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ak, oak, and birch.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structure including a quince tree and a pine tree. Can be introduced in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yster oak, camellia oak, Araliaceae, Aspergillus, Ginkgo, oak, and acacia.

또한, 상기 생물다양성증진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피나무, 철쭉, 오리나무, 산사나무, 신나무, 병꽃나무, 팥배나무, 생강나무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포함되는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경관다양성증진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자작나무, 거재수, 매화나무, 단풍나무, 벚나무, 진달래, 철쭉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상이 포함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biodiversity promotion forest ar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ak, oak, oak, oak, bole, azalea, hawthorn, And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forest for promoting the diversity of the landscape include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birch, alfalfa, plum tree, maple, cherry tree, azalea and azalea. .

또한, 본 발명에서의 주요 생태축의 훼손 및 단절을 야기하는 석회광산 등의 개발로 발생하는 훼손대상지의 복원에 사용되는 토양의 경우, 상기 석회광산복구숲을 구현함에 있어,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서 발생하는 석분, 우드칩, 황토, 표토를 포함하는 토양재를 식생기반재로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토양자원을 현장에서 조달할 수 있도록 하여 복원공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게 된다.Also, in the case of the soil used for restoration of the destruction site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the lime mine which causes the destruction and breakage of the major ecological axi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alization of the lime mine recovery forest, Soil material including stone, wood chips, loess, and topsoil may be utilized as a vegetation-based material. This maximizes the efficiency of restoration work by allowing existing soil resources to be procured on site.

3. 복원재료 및 시공방법 선정단계3. Selection of restoration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에서는, 복원 목표에 대한 적합성 검증이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후 복원재료를 선정하고 복원방법을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judged that the suitability verification for the restoration target is appropriate, the restoration material can be selected later and the restoration method can be specifically set.

특히, 이러한 복원재료 및 시공방법 선정단계는, 상기 적합성 검증단계에서 적합으로 판정된 복원목표에 대하여,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도입할 수종을 선택하고, 수종별 적용방법을 선택하는 복원목표시기결정단계와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토양환경에 따른 식생기반재를 설정하는 식생기반재 선택단계, 시공장비의 투입가능 여부에 따라 식생기반재 포설타입 또는 유기블럭 투입 타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시공타입 선택단계,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의 경사지 환경에 따라 식생보조재를 설정하는 식생보조재 선택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Particularly, in the step of selecting a restoration material and a construction method, a restoration target determined to be suitable in the conformity verification step is selected as a species to be introduced to the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target site, Selecting a vegetation-based re-selection step for setting the vegetation-based material according to the soil environment at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setting the at least one of the vegetation-based re-installation type or the organic block- And a vegetation supplementary material selecting step of setting a vegetation supplementary material according to an inclined environment of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이는,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부합하는 현장조사결과를 토대로 인공토양이나 식생기반재, 보조재, 묘목과 종자, 포트의 활용방식, 도입수종의 결정이 최종적으로 결정되게 된다.This will ultimately determine the determination of artificial soil, vegetation-based material, supplementary material, seedling and seeds, port utilization method, and introduced species based on field survey results that match the functional forest site.

(1) 복원 목표시기 결정단계(1) Restoration Target Timing Determination Step

특히, 복원목표의 경우, 기능숲의 복원의 완료 시기를 장기, 중기, 단기로 설정하여 이에 따라 도입수종의 선별이 이루어지며, 종자의 결정도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restoration target, the completion period of the restoration of the functional forest is set to a long term, a medium term, and a short term, and thereby the introduced species are sorted and the seed crystals can be changed.

{표 4: 복원재료 중 식물적용의 선정 방법}{Table 4: Selection method of plant application among restoration materials}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4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4

즉, 표 4에 제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원완료 시기를 장기, 중기, 단기로 구분하여 예상 소요시기를 중심으로 수종을 구분하여 식재할 있도록 복원 수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Table 4, the restoration completion time can be divided into long term, middle term, and short term, so that the restoration species can be selected so that the species can be divided and planted based on the expected time.

본 실시예에서는 수종을 생육 시기별로 제1수종과 제2수종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수종은 3년생이상, 제2수종은 1~2년생의 식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pecies is classified into a first species and a second species by the growing season, and the first species can utilize the vegetation of three years or more, and the second species can utilize the vegetation of the first or second year.

제1수종이나 제2수종에 사용되는 묘목은, 파종묘, 이식묘, 거치묘, 포트묘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종묘는 종자파종 양성 후 1년생 묘목으로 정의하며, 이식묘는 파종묘를 이식한 묘목을, 거치묘는 파종묘를 이식하지 않고 그대로 기른 묘목, 포트묘는 포트에 기른 묘목으로 정의한다. Seedlings used for the first species or the second species may include cormorants, graves, graves and pot graves. In this case, the seedling is defined as a one-year-old seedlings after seeding, and the grafted seedlings are defined as seedlings transplanted with the seedlings. .

제1수종과 제2수종의 이용 비율을 다르게 설정하며, 제1수종 내에서도 교목과 관목의 비율을 설정하여 총 대상지에 들어갈 제1수종과 제2수종의 년생과 비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종자의 경우에도 장기, 중기, 단기에 따른 배합비율과 양을 설정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위 표 4에서의 제1수종, 제2수종 적용량은 10m×10m 면적을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며, 종자는 1m×1m의 면적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The use ratio of the first species and the second species is set differently, and the ratio of the tree species and the shrub species is set in the first species, so that the annual and annual ratios of the first species and the second species to be included in the total site can be set. Furthermore, in the case of seeds,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blending ratio and amount according to the long-term, medium-term, and short-term. In Table 4, the first species and the second species were set based on an area of 10 m × 10 m, and the seeds were set to an area standard of 1 m × 1 m.

즉, 상기 복원목표시기 결정단계는, 복원목표의 달성시기를 장기, 중기, 단기의 3단계로 구분한다.That is, the restoration target timing determining step divides the time for achieving the restoration target into three stages, that is, long term, middle term, and short term.

장기의 경우,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도입할 제1수종과 제2수종의 조성비율을 2:8의 비율로 설정하고, 중기의 경우,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도입할 제1수종과 제2수종의 조성비율을 4:6의 비율로 설정하며, 단기의 경우,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도입할 제1수종과 제2수종의 조성비율을 6:4의 비율로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본 발명의 경우, 제1수종과 제2수종의 조성비율은 수종의 수량으로 한정한다.).The composition ratio of the first species to the second species to be introduced into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is set to a ratio of 2: 8 in the case of a long term, and the first species and the second species to be introduced into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target site, The composition ratio of species is set at a ratio of 4: 6, and in the case of a short term,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first species and the second species to be introduced to the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target site is set to a ratio of 6: 4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ratio between the first species and the second species is limited to the number of species).

이는, 표 4에서와 같이, 복원목표의 달성 시기를 10년 이상 소요되는 장기로 잡는 경우, 제1수종과 제2수종의 비율을 2:8 또는 20%와 80%로 잡아 설정할 수 있다. 제1수종은 3년생 이상의 교목과 관목을 동일한 비율로 4본을 도입 하고, 제2수종은 교목과 관목을 8본씩하여 16본을 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종자의 경우, 교목과 관목의 종자 비율을 3:7의 비율로 약 3g을 투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본 발명에서의 종자 비율은 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정한다.)This is because, as shown in Table 4, when the time for achieving the restoration goal is taken as long as 10 years or more, the ratio between the first species and the second species can be set to 2: 8 or 20% and 80%. For the first species, four trees are introduced at the same rate for tree species and shrubs over three years, and for the second species, 16 trees can be introduced by eight trees for shrubs and shrubs. In the case of seeds,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the seeds and shrubs in a ratio of 3: 7 in a ratio of 3: 7 (seed rati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weight of the seeds).

또한, 복원목표의 달성시기를 4년에서 10년 정도로 잡는 경우에는 좀 더 성장한 제1수종의 비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제1수종과 제2수종의 비율을 4:6 또는 40%와 60%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제1수종의 비율도 교목과 관목의 비율을 3:5의 비율로 구성하여, 교목 4~5본, 관목 7~8본과 같이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수종의 경우, 교목과 관목의 비율을 1:2로 구성하여 교목 6본, 관목 12본과 같이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제1수종과 제2수종의 비율은 수종의 수량으로 한정한다.In addition, if the time to achieve the restoration goal is set to 4 to 10 years, the proportion of the first growing species will be increased, and the ratio of the first species to the second species will be 4: 6 or 40% and 60 %, And the ratio of the first species to the ratio of the tree to the shrub is set to 3: 5, so that the tree can be structured as 4 ~ 5 trees and 7 ~ 8 trees. In the case of the second species, the ratio of the tree to the shrub is 1: 2 so that it can be composed of 6 trees and 12 shrubs. In this case, the ratio of the first species to the second species is limited to the number of species.

복원목표의 달성시기를 1~3년의 단기로 잡는 경우에는, 복원구현을 위한 숲의 완성이 더욱 빠르게 구현되어야 하는바, 보다 성장한 제1수종의 비율을 높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묘?과 제2수종의 비율을 6:4 또는 60%와 40%의 비율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부합하게 제1수종 자체의 비율도 교목과 관목의 비율에서 관목의 비율이 높도록 하여 2:4 정도(20%:40%)로 구성하고, 제2수종 자체에서도 교목과 관목의 비율이 1:3의 비율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제1수종과 제2수종의 비율은 수종의 수량으로 한정한다.In the case of short-term completion of the restoration target, the completion of the forest for restoration implementation should be implemented more rapidly, so that the proportion of the first growing species can be increased. And the ratio of the second species to the ratio of 6: 4 or 60% and 40%. In accordance therewith, the ratio of the first species itself is 2: 4 (20%: 40%), and in the second species itself, the ratio of arborea to shrub is 1: 3. In this case, the ratio of the first species to the second species is limited to the number of species.

장기와 중기 단기의 복원시기에 따라 종자의 포함 정도는 3:2:1의 비율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장기가 소요되는 경우가 종자의 성장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바, 그 중량을 더 높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종자의 비율의 경우 중량으로 한정한다.According to the restoration period of the organ and medium-term, seeds can be contained at a ratio of 3: 2: 1, and when the organ is required, the seeds can be sufficiently grown, To be able to catch. The percentage of seeds is limited to weight.

(2) 식생기반재 재료의 선택단계(2) Selection step of vegetation-based materials

표 5는 현장조사를 통해 확보한 토양기반환경에 따른 식생기반재의 재료를 설정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표 5에 제시된 유기블럭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현되어 종자와 유기물을 혼합한 혼합토양재로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투척이나 매립형태로 적용될 수 있게 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Table 5 illustrates the setting of the vegetation-based material according to the soil-based environment obtained through site surveys. The organic block shown in Table 5 is a plate-shaped mixed soil material mixed with seeds and organic materials, and means a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functional forests in the form of thrown or buried.

{표 5_토심 및 유기물함량 기준에 따른 식생기반재 재료의 구성}{Table 5_ Composition of vegetation-based materials according to soil and organic content standards}

Figure 112018060388480-pat00005
(위 표 5의 유기물 함량 %는, 대상지의 채취 토양의 전체 부피 내에 포함되는 유기물이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을 의미한다.)
Figure 112018060388480-pat00005
(The organic matter content in Table 5 above means the ratio of the volume of the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total volume of the soil collected on the site.)

즉, 식생기반재 재료의 선택단계는,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토심 및 유기물 함량에 따라 A, B, C 타입 구조로 구분하되, 위 표 5에 기재된 것과 같이, 상기 유기물의 함량의 경우, 채취한 토심의 토양의 부피를 기준으로 해당 채취 토양 내에 포함되는 유기물의 부피가 차지하는 비율을 기준으로 채취한 토양의 전체 부피를 기준으로 유기물의 포함 부피가 5% 이상의 경우에는 A 타입, 유기물의 포함 부피가 3~5%인 경우 B 타입, 유기물의 포함 부피가 3% 이하인 경우 C 타입으로 구분 한다. 토심이 60cm 이상인 A 타입에서의 식생기반재는, 표토:황토:우드?:피트모스:비료의 비율이 10:30:40:5:5의 비율로 구현하며, 토심이 10~60cm인 B 타입의 식생기반재는, 표토:황토:우드?:피트모스:비료의 비율이 15:25:40:5:10의 비율로 구현하며, 토심이 10cm 이하인 C 타입의 식생기반재는, 표토:황토:우드?:피트모스:비료의 비율이 10:30:40:10:10의 비율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생기반재의 혼합비율은 전체 식생기반재의 부피를 기준으로하여 각 재료의 부피비율로 한정한다.That is, the selection step of the vegetation-based material is classified into the A, B and C type structures according to the soil depth and the organic matter content in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In the case of the organic matter content, Based on the volume of the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extracted soil based on the volume of the soil of one soil, based on the total volume of the soil collected, Is classified as type B when the content is 3 to 5%, and type C when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is not more than 3%. The vegetation based material in A type with soil depth of 60 cm or more is B type vegetation with 10 to 60 cm of soil depth and 10 to 30: 40 to 5: 5 ratio of topsoil: loess: wood?: Peat moss: fertilizer The C type vegetation based material, which is based on the topsoil: loess: wood: peat moss: fertilizer ratio of 15: 25: 40: 5: 10 and the depth of the soil is 10 cm or less, topsoil: loess: wood?: Peat moss : The ratio of fertilizer should be 10: 30: 40: 10: 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ing ratio of the vegetation-based material is limited to the volume ratio of each material based on the volume of the entire vegetation-based material.

즉, 토심이 60cm 이상이며, 유기물 함량이 5% 이상의 경우에는 토양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A)되며, 토심이 10cm 이하이며 유기물 함량이 3% 이하에서는 복원을 위한 토양상태가 현저하게 불량한 것으로 판단(C)할 수 있다.That is, the soil condition is judged to be good (A) when the soil depth is 60 cm or more and the organic matter content is 5% or more, and when the soil depth is 10 cm or less and the organic matter content is less than 3% (C) can be done.

따라서, A, B 타입의 경우, 식생기반재를 포설하거나 유기블럭을 투척 또는 매립하는 구조로 대상지에 구현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시공을 할 수 있으나, C 타입의 경우에는 토양이 너무 빈약하여 생육이 어려우며, 시공비용이 과다하게 투입되는 상황이 초래되는바, 별도로 식생기반재 외에 추가적인 기반층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case of Type A and Type B, it is possible to construct using vegetation-based material, or throwing or embedding organic blocks into a target site. However, in case of Type C, the soil is too weak, And a construction cost is excessively charged. It is preferable to additionally include an additional base layer in addition to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이에, C타입의 토양에서는, 식생기반재나 유기블럭이 배치되는 하부에, 기반층을 더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기반층은, 석력(15~20):황토(15~20):마사토(55~65):미사(15)의 배합비율로 혼합될 수 있도록 하여, 생육 기반으로서의 토양구조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반층의 배합비율의 경우에도, 전체 기반층의 부피를 기준으로 혼합되는 구성 재료의 부피비율로 한정한다.Thus, in the C type soil,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lement a base layer on the lower part where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and the organic block are disposed. This base layer is composed of the grains (15-20): loess (15-20): Masato To 65% by weight) and the silicate (15% by weight), so that the soil structure as a growth base can be improved. The mixing ratio of the base layer is also limited to the volume ratio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to be mixed on the basis of the volume of the entire base layer.

위 표 5에서의 유기블럭은 1m2당 9개(10cm×10cm) 적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유기블럭의 경우, 후술하는 도 4 이하에서 구조 및 적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organic block in Table 5 was set based on application of 9 (10 cm × 10 cm) per 1 m 2 . In the case of the organic block, the structure and applic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식생기반재 적용방법 및 식생보조재 선택단계(3) Method of reapplication based on vegetation and step of selecting vegetable auxiliary material

이상의 식생기반재의 적용방법은 식생기반재를 포설하기 위한 장비가 진입이 가능한 경우에는 식생기반재를 포설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나, 산간오지나 수목이 밀집한 계곡지대, 숲에 도로가 없는 경우 등 장비 진입이 어려운 곳에서는 식생 유기블럭을 투척하는 방식으로 식생기반재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적용방법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장비 진입이 가능해도 안정적인 생육을 위해 본 발명의 유기블럭을 병행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The method of applying the vegetation-based ash can be selected by installing the vegetation-based material when the equipment for planting the vegetation-based material can be entered. However, when the equipment enters the equipments such as the mountainous region or the valley region where the trees are concentrated, In this difficult place, the application method that allows the vegetation-based material to be constructed by throwing the vegetation organic block is selected. Of course, the organic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parallel for stable growth even if equipment is allowed to enter.

식생기반재 적용방법의 선택단계는, 장비 투입여부에 따라 식생기반재를 포설하거나 유기블럭을 배치하도록 선택하며, 상술한 표 5에서 언급한 토양의 상태에 따라 A 타입의 경우, 식생기반재의 포설은 1~3cm, 유기블럭 배치시에는 유기블럭의 두께를 2cm, B 타입의 경우, 식생기반재의 포설은 5~7cm, 유기블럭 배치시에는 유기블럭의 두께를 4cm, C 타입의 경우, 식생기반재의 포설은 10cm, 유기블럭 배치시에는 유기블럭의 두께를 6cm로 구현할 수 있다.In the selection step of the vegetation-based reapplication method, the vegetation-based material is installed or the organic block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equipment input. In case of the type A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oil mentioned in the above-mentioned Table 5,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block is 2 cm in the case of the organic block arrangement,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block in the case of the B type is 5 to 7 cm in the case of the B type,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block is 4 cm in the case of the organic block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installation of ashes by 10cm and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block by 6cm when the organic block is arranged.

또한, 아래의 표 6에서와 같이,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대해 투입되는 생육보조재를 선택하되, 경사도가 0~3도의 평지에서는, 네트 또는 멀칭재를 적용하며, 경사도가 4~14도 미만의 완경사지에서는 멀칭재, 네트, 보습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며, 경사도가 15도 이상의 급경사지에서는 네트 및 보습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Also, as shown in Table 6 below, select the growth auxiliary material to be fed into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and apply a net or mulching material at a level of 0 to 3 degrees in inclination, At least one of mulching material, net, and moisturizing material is selectively applied in the paper, and net and moisturizing material can be applied in a steep slope having an inclination of 15 degrees or more.

아울러, 경사지에 따라 멀칭재와 네트, 보습재의 시공재료를 이용하여 급경사지에서는 식생유기블럭을 매립형으로 구현하고, 네트와 보습재를 적극 도입하는 방식으로, 완경사지에서는 멀칭재와 네트, 보습재를 도입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며, 평지에서는 멀칭재를 적극적용하고, 네트 및 보습재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getation organic block is embodied in the steep slope using the construction material of mulching material, net, and moisturiz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slope, and the net and the moisturizing material are actively introduced. In the mucilage ground, mulching material, net, In the case of flat land, mulching material is applied positively and net and moisturizing material can be selectively applied.

즉, 시공단계에서 유기블럭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종자 및 식생기반재, 생육보조재를 블럭형태의 유기블럭으로 구현한 구조물을,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경사도에 따라 배치하되, 상기 평지 또는 상기 완경사지에서는 토양표면에 상기 유기블럭을 배치하는 구조로 구현하며, 상기 급경사지 및 완경사지에서는 토양에 매립구조로 상기 유기블럭을 배치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applying the organic block in the construction step,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ed, vegetation-based material and growth auxiliary material are embodied as block-shaped organic blocks is disposed on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slop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organic block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oil in the mild slope and the organic block in the slope and the slope in a buried structure in the soil.

{표 6_복원대상지 경사도에 따른 생육보조재 사용여부}{Table 6_ Whether to use growth auxiliary materials according to the slopes of restoration sites}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6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6

생육보조재의 경우, 멀칭재는 임목파쇄칩(3~10cm 규격의 생칩), 네트는 코이어네트, 보습재는 보습재시트(SUPER ABSORBENT POLYMER가 시트내부에 들어있는 제품)를 적용할 수 있다.For growth auxiliary materials, mulching material can be applied to chips (3 ~ 10cm size green chip), net for coir nets, and moisturizing material for moisturizing material (SUPER ABSORBENT POLYMER).

4. 시공단계4. Construction phase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조성되는 기능숲 내부의 복원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업 예시도이다.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restoration method in a functional forest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위 생육보조재를 선택한 이후, 시공이 이루어지는 단계서는, 상술한 상기 평지에서는, 하면에 보습재가 형성된 유기블럭을 배치하고, 그 상부에 네트 또는 멀칭재를 배치하여 고정하며, 상기 완경사지에서는, 하면에 보습재가 형성된 유기블럭을 배치하고, 그 상부에 네트나 멀칭재를 배치한 후, 임목파쇄칩을 도포하여 고정하며, 상기 급경사지에서는, 하면에 보습재가 형성된 유기블럭을 토양 내부에 매립형으로 배치하고, 그 상부에 네트나 멀칭재를 배치한 후, 임목파쇄칩을 도포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을 구현할 수 있다.That is, after the stomach growth supplement is selected, an organic block on which a moisturizing material is formed is plac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surface, and a net or a mulching material is placed thereon to fix the stomach, A net or a mulching material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rganic block, and a chip breaking chip is applied and fixed. In the steep sloping paper, an organic block having a moisturizing material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buried in the soil A net or a mulching material is placed on the net, and then a chip breaking chip is applied and fixed.

구체적으로는, 도 4는 경사도가 4~14도 이하의 완경사지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대상지 표면(10)에 보습재(20)가 형성되는 유기블럭(100)을 안착시키고, 그 상부에 네트(30)를 포설하고, 네트(30)에 생육보조재로 임목파쇄칩을 도포한 것을 예시한다. 또한, 대상지 일부 요소에 네트 고정핀(50)을 적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FIG. 4 shows a process of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 gentle slope having a slope of 4 to 14 degrees or less. The organic block 100 on which the moisturizing material 20 is formed is placed on the surface 10 , A net 30 is laid on the net 30 and a broken chip is applied on the net 30 as a growth supporting material. In addition, a net fixing pin 50 may be applied to some elements of the object to be fixed.

도 5는 기능숲 조성 대상지의 표면(10)의 경사도가 평지에 가까운 구조 0~3도의 경사를 가지는 경우, 유기블럭(100)을 대상지 표면(10)에 안착(표면배치형)하고, 유기블럭의 하부면, 즉 대상지 표면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보습재를 도포한다.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organic block 100 is placed on the target surface 10 (surface disposition type) when the inclination of the surface 10 of the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target has an inclination of 0 to 3 degrees, A moisturizing material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that is,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bject.

이 경우, 임목파쇄칩은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멀칭재로써 네트만을 이용하여 유기블럭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ip breaking chip may not be used, and a method of fixing the organic block using only the net by using the mulching material may be implemented.

도 6은 경사도가 15도 이상의 급경사지에 복원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식생 유기블럭을 배치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대상지의 경우, 경사가 매우 심하여 유기블럭(100)이 경사에 의해 하부로 흘러 내리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토양내부에 유기블럭을 매립하는 구조(매립포설형)로 배치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대상지 표면(10)에 유기블럭(100)을 매립형으로 배치하고, 유기블럭(100)의 하부면에 보습재(20)를 도포 형성한다. 이후, 네트를 그 상부에 배치하고, 임목파쇄칩(40)을 네트 상에 도포하며, 이후 네트 고정핀으로 고정하게 된다.Fig. 6 shows a structure for arranging the vegetation organic block for realizing the restoration target on the steep slope having an inclination of 15 degrees or m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lope of the organic block 100 is lowered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slope, the slope of the slope can be realized by embedding an organic block in the soil (buried installation type) . That is, the organic block 100 is disposed on the target surface 10 in a buried form, and the moisturizing material 20 is co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rganic block 100. Thereafter, the net is disposed thereon, the chip breaking chips 40 are applied to the net, and then the net is fixed with the net fixing pin.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유기 블럭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상의 블럭구조물로 구현할 수 있다.The organic block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plate-like block structure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유기블럭은 황토:(분변토+임목파쇄칩+제지슬러지)의 혼합비율이 1:1의 부피비로 구현되는 혼합토양과, 상기 혼합토양 1L 당 CMC(Carboxymethyl Cellulose) 또는 비닐-아크릴 계 고분자 수지를 20ml~50ml의 범위로 혼합되는 접착재료, 그리고 목본 또는 초본종자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 판상의 블럭형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rganic block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xed soil in which a mixture ratio of loess: (a mixture of fecal soil + crushed chips of wood chips + paper sludge) is 1: 1, and a mixture of CMC (carboxymethyl cellulose) -Block type structure composed of an adhesive material mixed with an acrylic polymer resin in a range of 20 ml to 50 ml, and a mixture of woody or herbaceous seeds.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블럭(100)은 제1면(G1) 및 상기 제1면(G1)에 대향하는 제2면(G2)을 구비하며, 상기 제1면(G1)의 최상층면과 상기 제2면의 최하층면의 두께(T)가 2cm~6cm인 판상의 몸체(110)를 구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유기블럭의 두께는 표 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적요되는 토양의 토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토심이 60cm 이상인 경우, 유기블럭의 두께는 2cm, 포설시 조성두께는 1~3cm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토심이 10~60cm 에서는 유기블럭의 두께는 4cm, 토심이 10cm 이하에서는 6cm로 구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rganic block 100 has a first surface G1 and a second surface G2 facing the first surface G1, and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G1 and the second surface G2, And a plate-like body 110 having a thickness T of 2 cm to 6 cm on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surface can be obtained. Further,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block may vary depending on the soil depth of the soil, as described in Table 4. When the soil depth is 60 cm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block may be 2 cm, .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block is 4cm for 10cm ~ 60cm and 6cm for 10cm or less.

유기블럭의 판상의 몸체(110)는, 주재료인 황토를 포함하는 혼합토양과, 부재료은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접착재료, 목본 또는 초본종자의 혼합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블럭은 몸체 내부에 식생 회복을 위한 종자를 함유한 재료를 그대로 압축 성형하고, 건조하여 훼손된 복원 대상지에 투척하는 것 만으로, 자연 강우에 의해 쉽게 블럭이 부서지며 부식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의 종자가 이를 자양분으로 하여 발아 및 생육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블럭은 기계적인 시공이 어려운 장소, 즉 기계장비를 이용하여 식생을 취부하는 공사가 어려운 지역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부식을 통해 자체 생육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식생 블럭구조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블럭은 부식이 용이하면서도 종자의 발아력을 높일 수 있는 유기물 성분을 포함하면서도, 투척을 통해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이후 자연 강우에 의해 쉽게 깨짐이 구현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plate-shaped body 110 of the organic block may be embodied as a mixed soil comprising loess, which is the main material, and a mixture of adhesive material, woody or herbal seeds, the material of which includes cellulose. That is, in the organic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compressing and molding the seed-containing material for regeneration of vegetation into the inside of the body and throwing it on the damaged restoration subject, the block easily breaks due to natural rainfall So that the seeds can be germinated and grown therein. Therefore, the organic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place where mechanical construction is difficult, that is, in a construction difficult to install vegetation using mechanical equipment, and a structure capable of self-growth through corrosion The branch is characterized by the vegetation block structure. Therefore, the organic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be installed through throwing, while containing organic matter components that can easily increase corrosion resistance and increase germination of the seed, and can be easily broken by natural rainfall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be implemented with a structure having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블럭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깨짐이 용이한 판상의 구조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일반적으로 목본, 초본 종자의 발아는 지표면의 1cm~3cm 내에 존재하는 것이 가장 발아율이 좋으며, 그 이상의 깊이에 묻힌 종자는 발아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블럭은 깨짐이 용이한 판상의 구조를 구비하면서도 그 두께는 2~6cm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1cm~3cm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블럭은 도 1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원대상지에 투척이나 설치 등으로 배치되는 경우, 자연 강우를 일정 량으로 일정한 기간동안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강우 수용홈패턴(110~118)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organic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late-like structure that is easy to break as shown in FIG. Furthermore, in general, germination of woody or herbaceous seeds is within 1 cm to 3 cm of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the germination rate is the best. Therefore, the organic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ate-like structure that is easy to break, and its thickness can be adjusted within a range of 2 to 6 cm, and can be realized as 1 cm to 3 cm. 1 (a), when the organic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restoration site by throwing or installing, the organic block may include rainfall that can accommodate natural rainfall for a predetermined perio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groove patterns 110 to 118 are provided.

상기 강우 수용홈패턴(110, 112, 114, 116)은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 상에, 상기 몸체의 깊이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구조물이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강우 수용홈패턴은 상기 몸체를 관통하지 않는 홈구조로 구현되도록 하여, 몸체 내부에 물이 일정기간 고여 있도록 하여, 본 식생블럭이 용이하게 깨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깨짐과 부식의 용이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블럭은 도 1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의 중심점(P)를 기준으로 하여, 다수의 강우 수용홈패턴이 상기 중심점(P)의 방향(X1,X3-->X2)으로 진행될 수록 더 깊은 홈을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의 판상의 몸체의 표면에 강우로 인한 수분이 고이게 되는 경우, 중심부로 물이 집중되어 고이도록 하여, 중심부에서 쉽게 파손이 일어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구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서 깨짐과 부식의 용이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블럭은 도 7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의 중심점(P)를 기준으로 다수의 강우 수용홈패턴(122~128)이 방사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강우 수용홈패턴이 말단(Y1)에서 중심부(P)로 갈 수록 깊은 깊이로 구현될 수 있도록 홈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상술한 것과 같이, 판상의 몸체의 표면에 강우로 인한 수분이 고이게 되는 경우, 중심부로 물이 집중되어 고이도록 하여, 중심부에서 쉽게 파손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The rainfall receiving groove patterns 110, 112, 114, and 116 may include at least one structure having a depth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body on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rainfall-receiving groove pattern is realized as a groove structure which does not penetrate the body, so that water is accumulated in the body for a predetermined period so that the present vegetation block can be easily broken. Particularly, in order to maximize easiness of cracking and corrosion, the organic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ainfall receiving groove patterns are formed on the basis of the center point P of the body, as shown in FIG. 1 (a) It can be realized to have a deeper groove in the direction (X1, X3 - > X2) of the center point P. This is to realize the advantage that water can be concentrated at the central part and become easily broken at the central part when the water due to the rainfall becomes high on the surface of the plate-like body of the present embodiment. 7 (b), the organic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infall accommodating units (not shown) on the basis of the center point P of the body, The groove patterns 122 to 128 can be formed in a radial structure. In this structure, the structure of the groove can be realized so that the depth of the rainfall receiving groove pattern can be deepened as the distance from the end Y1 to the center P is increased.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due to the rainfall becomes high on the surface of the plate-like body, the water is concentrated to the central portion and becomes high, so that breakage can easily occur at the center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에서는, 도 7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강우 수용홈패턴(135)를 일정한 체적을 가지는 넓은 홈구조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판상의 몸체(130)의 중심부(P) 방향으로 갈 수록 그 깊이가 깊에 구현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이 역시 빗물을 쉽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일정 기간 고여 있을 확률과 더불어 파손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강우 수용홈 패턴은 제1면이나 제2면 양쪽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이 시공의 편의성 면에서는 매우 유용하다. 즉, 시공을 투척 작업으로 구현하는 경우, 어느 쪽에나 강우 수용홈패턴이 구현되는바, 별도의 작업으로 뒤집는 작업을 다시 확인할 필요가 없이 투척 작업으로 시공이 종료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C, the rainfall-receiving groove pattern 135 may be realized as a wide groove structure having a constant volume. Of course, in this case as well, the structure can be realized such that the depth of the central portion P of the plate-shaped body 130 increases. This also allows rainwater to be easily accommodated, and it is intend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breakage along with the probability of being accumul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rainfall-receiving groove pattern can be formed on both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which is very useful in terms of convenience in construction. That is, when the construction is implemented as a throwing operation, the rainfall acceptance groove pattern is implemented on either side, and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by the throwing operation without having to check the reversing operation again as a separate opera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기능숲 조성 대상지(A)에 대하여 현장조사를 통해 훼손지의 특성을 파악하고, 여기에 표목과 제2수종, 상술한 유기블럭을 적용하여 복원하는 예상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fective site through the site survey of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storing it by applying the heading, the second species, and the above-mentioned organic block .

유기블럭(100)은 내부에 종자를 함유하는 구조물로 교목과 관목, 아교목이 배치되는 구성의 사이 사이의 대상지 표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The organic block 100 is a structure containing seeds therein, and it can be disposed on a target surface between a structure in which a tree, a shrub, and a glue are arranged.

도 9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기존의 숲을 기능성 숲으로 변경하여 상술한 기후변화충격완화숲으로 구현하는 모델링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9 shows an example of modeling of an existing forest as a functional forest by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climate change impact mitigation forest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a) 기본의 상수리 나무 군락으로 조성되었던 숲을 기능숲 조성 대상지로 설정하는 경우, 사전조사를 통해 현재 대상지의 하부 식생이 빈약한 상태를 파악하고, 불량목이 경합하고, 편향천이가 되는 구조를 파악하며, 일부 개소에 점적 훼손이 발생한 상황으로 파악을 하였다.Referring to FIG. 9, when (a) a forest formed from a basic oak tree community is set as a functional forest site,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s performed to grasp the low vegetation of the present site, The structure of the deflection transition was identified,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point was damaged at some points.

(b) 이후, 해당 대상지의 경우, 난대성 수종인 상수리 나무 군락이 전체 수종의 33.5%로 파악되었으며, 동시에 도시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환경 완충력을 가지는 숲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복원목표를 기후변화 충격완화숲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맞는 식생으로 간벌 및 수종 개선을 통해 기능별 수종으로, 후박나무와 동백나무, 참식나무를 도입하여 식재하였으며, 식재 시공의 경우,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따라 식생의 생육을 증진하기 위한 공법이 적용되었다.(b), 33.5% of the total species were identified as the omnivorous species of oaks, and the need for forests with environmental buffers was raised as part of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It is set up to create a shock-mitigating forest. In the case of planting, the method for improving the growth of veget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applied. In the case of planting, Respectively.

(c) 이후, 기능숲 조성 대상지의 경우, 다층 혼합림으로 발전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기능성 숲으로 모델링되었다.After (c), the functional forest area was modeled as a multi-layered mixed forest developed as a functional forest capable of buffering the impact on climate chang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복원목표로서 기능성 숲의 조성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도입 가능 식물군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introducible pla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composition of the functional forest as restoration targets explain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1) 기후변화대응숲(1) Forest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본 발명의 복원목표로서 기후변화대응숲의 하나로 탄소저감숲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탄소 축적기능이 뛰어난 수종이 30% 이상인 경우, 도입되는 수종을 추가하여 이를 구현할 수 있다.As a restoration targe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arbon-abatement forest as one of the forest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This can be achieved by adding species to be introduced when the species having excellent carbon accumulation function is over 30% at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탄소저감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가시나무류, 느티나무, 상수리나무, 녹나무, 후박나무, 광나무, 능소화, 꽃치자나무, 철쭉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carbon abatement forests may include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anthopanax, zelkova, oak, camphor, gambia, jade, jade, flower gardenia and azalea.

나아가, 기후변화대응숲의 하나로 기후변화충격완화 숲의 경우, 지역을 구분하여 남부지방은 표2와 같이 온량지수를 기준으로 90이상 110미만의 범위에 나타나는 교목종 2종 이상이 30% 이상일경우, 중부지방은 온량지수 70이상 90미만의 범위에 나타나는 교목종 2종이상이 30% 이상일 경우에는 목표로 설정가능하다. In addition, as one of the forest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in the case of mitigating climate change impact forests, the southern region is more than 30% of 2 species of tree species appearing in the range of 90 to less than 110 on the basis of the GW index as shown in Table 2 , Central region can be set as a target when more than two species of tree species appearing in the range of 70 to 90 are above 30%.

이 경우 남부지역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갈참나무, 까마귀쪽나무, 나도밤나무, 당단풍나무, 동백나무, 때죽나무, 사시나무, 산뽕나무, 상수리나무, 예덕나무, 육박나무, 조록나무,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참식나무, 황칠나무, 후박나무, 털고로쇠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포함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중부지역은 갈참나무, 거제수나무, 구상나무, 동백나무, 물오리나무, 물푸레나무, 부게꽃나무, 사실나무, 산뽕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털고광나무, 까치박달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 the southern region are the oak tree, the crow tree, the chestnut tree, the dwarf tree, the camellia tree, the stamina tree, the mountain tree, the mountain mulberry tree, the oak tree, And can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mellia, camphor tree, charcoal tree, Huangchu tree, gum tree, and fur noodle. In the central region,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bamboo flower, true tree, mountain mulberry, oak, pine, oak, camellia, shavings, and magpie.

이 이외에도 두 지역에서 동시에 서식할 수 있는 가래나무, 가중나무, 감탕나무, 감태나무, 개벚나무, 개서어나무, 고로쇠나무, 고욤나무, 곰의말채나무, 굴참나무, 굴피나무, 귀룽나무, 노각나무, 느릅나무, 느티나무, 다릅나무, 당느릅나무, 대팻집나무, 두릅나무, 떡갈나무, 떡신갈나무, 말채나무, 물박달나무, 박달나무, 버드나무, 비목나무, 비자나무, 뽕잎피나무, 사람주나무, 사스레나무, 산벚나무, 생달나무, 서어나무, 소나무, 소사나무, 소태나무, 시무나무, 신갈나무, 오리나무, 음나무, 이나무, 자귀나무, 자작나무, 찰피나무, 참느릅나무, 천선과나무, 층층나무, 팥배나무, 팽나무, 폭나무, 푼지나무, 피나무, 함다리나무, 헛개나무, 곰솔, 산수유, 쇠물푸레, 호랑버들들도 적용가능하다. In addition to this, there are two kinds of trees that can be planted simultaneously in the two areas: spruce trees, weighted trees, spruce trees, spruce trees, dog cherry trees, dogwood trees, Tree, mulberry tree, mulberry tree, mulberry tree, mulberry tree, mulberry tree, mulberry tree, mulberry tree, mulberry tree, mulberry tree, mulberry tree The main tree, the urea tree, the mountain cherry tree, the hibiscus tree, the pine tree, the pine tree, the sosa tree, the pine tree, the mushroom tree, the minke tree, the mushroom tree, It is also applicable to trees, dogwood trees, Sorbus trees, caterpillars, width trees, fuzzy trees, bark trees, bamboo trees, hornbeam trees, pine trees, corn oil,

(2) 대기오염저감숲(2) Air Pollution Mitigation Forest

본 발명에서 상기 대기오염저감숲은, 기능숲 조성 대상지를 점유하는 수종의 2종 이상이 전체 수종의 밀도의 20% 이상을 점유하는 경우 구현하는 대기오염방지숲 및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를 점유하는 수종의 2종 이상이 전체 수종의 밀도의 20% 이상을 점유하는 경우 구현할 수 있는 미세먼지저감숲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들을 대상지에 단일 또는 복수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air pollution abatement fores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kinds of species occupying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target occupy 20% or more of the density of the total species, It can be implemented as a fine dust reduction forest which can be realized when two or more kinds of species occupy more than 20% of the density of the whole species,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m as a single or plural species in a target site.

대기오염방지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자작나무, 단풍나무, 소나무, 피나무, 곰솔, 가중나무, 참나무류가 있으며, 미세먼지저감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쥐똥나무, 산사나무, 개암나무, 피나무, 오리나무, 갈매나무, 딱총나무, 참나무류가 적용될 수 있다.Preventing Air Pollution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forests are birch, maple, pine, pine, ginseng, weighted trees, and oak trees.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ne dust reduction forest are pellets, , An alder tree, a spruce tree, an elder tree, and an oak tree.

{표 7_수종별 SO2 흡수량}{Table 7_ SO 2 absorption by species}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7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7

{표 8_수종별 O3 흡수량}{Table 8_ can type O 3 absorption}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8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8

{표 9_수종별 NO2흡수량}{Table 9_ Absorption amount of NO 2 by species}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9
Figure 112017089891513-pat00009

이상의 표 7, 표 8, 표 9에 제시된 수종은 모두 본 발명의 대기오염저감숲에 적용될 수 있다.All species listed in Table 7, Table 8, and Table 9 above can be applied to the air pollution abatement fo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대기오염저감숲의 세부 기능으로 미세먼지 저감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ne dust reduction forest by the detailed function of the air pollution abatement fo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표 10-수종 식재 유형별 대기오염물질 흡수능력비교}{Table 10 - Comparison of absorbing capacity of air pollutants by type of planting species}

Figure 112017089891513-pat00010
Figure 112017089891513-pat00010

수종별로 오염물질 저감 효과가 차이가 있으며, 활엽수림은 침엽수림에 비해 약 3배 정도 높은 흡수량을 갖는다. The effect of pollutant abatement is different for each species, and the deciduous forest has about three times higher absorption than the coniferous forest.

도시는 자동차 등에서 방출된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 등의 오염물질이 도시 외곽지역에 비하여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나무는 잎사귀를 통해서 공기를 흡수하는 과정에서 대기중의 오염물질을 흡착하게 되는데, 이것이 오염된 도시를 깨끗하게 만들어주는 기능이다. 또한 지나치게 많아진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는 지구를 온실과 같은 상태로 만들게 되어 대기온도가 높아지는 이상기후 현상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 또한 수목의 흡수 과정에서 상당부분 흡수됨에 따라 지구온난화 방지에 큰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산림에서 탄소가스 제거와 산소 공급, 녹지의 광합성 작용으로 대기중의 탄산가스와 뿌리에서 흡수되는 수분이 체내의 화학적 반응으로 유기물을 합성 고정시키고 동시에 산소를 대기 중에 방출하여 대기정화능력을 갖게 된다. 대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는 지표면으로 떨어지거나 비가 내려 씻겨나갈 때까지 나뭇잎, 줄기, 가지에 흡착되어 주변의 공기를 정화시킨다. In cities, pollutants such as sulfur oxides and nitrogen oxides released from automobiles are very serious compared to the outskirts of cities. In the process of absorbing air through the leaves, the tree adsorbs pollutants in the air, which is a function of cleansing the polluted city. In addition, excessively abundant atmospheric carbon dioxide causes the earth to become the same as the greenhouse, causing an abnormal climate phenomenon where the atmospheric temperature rises. This is also absorbed in the process of absorption of the tree, thus playing a major role in preventing global warming. Carbon dioxide removal from the forest, oxygen supply, and the photosynthetic action of the greenery, carbon dioxide gas in the atmosphere and water absorbed from the roots chemically react with the organism to synthesize and fix the organic matter and simultaneously release oxygen to the atmosphere. Dust that floats in the air is adsorbed on leaves, stems and branches until it falls to the surface or is washed down to purify the surrounding air.

숲속의 먼지 농도와 타 지역의 먼지 농도를 비교해 볼 때 공장지대의 먼지농도는 숲에 비해 250~1,000배, 대도시의 먼지농도는 50~200배에 달한다. 대도시에서도 도심 한복판과 도시의 외곽지대와의 먼지 농도에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식물 집단의 구조에 따라 분진 흡착 효과도 차이가 나는데, 숲, 관목지대, 잔디밭, 농경지의 순으로 분진흡착 효과가 크다. 각 수종별 분진 흡착 효과를 정도에 딸 구분하면 아래 표와 같이 쥐똥나무류, 산사나무, 개암나무류 등은 분진 흡착 능력이 높고, 참나무류, 너도밤나무는 중간, 벚나무류, 아까지나무는 낮으며, 양버들과 사시나무는 매우 낮다. Comparing dust concentrations in forests and dust concentrations in other areas, dust concentrations in the factory area are 250 to 1,000 times higher than forests, and dust concentrations in large cities are 50 to 200 times higher. In large citie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ust concentration between the center of the city and the outskirts of the cit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plant group, the effect of adsorption of dust is also different. Forests, shrubs, lawns, and farmland have the greatest effect of dust adsorption. As shown in the table below,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dust by each species is classified as follows. As shown in the table below, pellets, hawthorn trees, hazelnut trees and the like have high adsorption ability of dust, and oak, beech trees are medium, , And the willow and aspen trees are very low.

{표 11_수종별 분진흡착능력}{Table 11_ Adsorption capacity of dust by species}

Figure 112017089891513-pat00011
Figure 112017089891513-pat00011

이상의 본 발명의 미세먼지저감숲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분진흡착능력이 높은 수종과 중간수종을 다층구조로 조성하여 숲 환경변화에 대한 급격한 충격을 완화하여 대기오염을 저감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fine dust-reducing fo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able to form a multi-layered structure of water species and intermediate species having high dust adsorption ability so as to mitigate air pollution by alleviating a sudden impact on forest environment change Do.

(3) 산림재해 예방숲(3) Forests to prevent forest disasters

본 발명에서는, 산림재해예방숲을 복원목표로 하는 경우, 기능숲 조성 대상지가 계곡부에 위치하며, 해당 대상지에 자생하는 식생의 1종 이상이 전체 수종의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고, 다층구조를 이루는 경우 구현할 수 있는 수원함양숲이나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 인근의 예시수종이 1종 이상이 띠형태를 이루며 생육하는 경우 구현할 수 있는 산지재해방지숲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storation forests for forest disaster prevention are aimed at, the functional forest area is located in the valley part, and at least one of the native vegetation occupies more than 50% of the total species, , It can be implemented as a forest preventing disaster prevention which can be realized when at least one species of the example species of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target area grows in the form of a band.

수원함양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자작나무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포함되도록 하거나, 산지재해방지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굴참나무, 동백나무, 두릅나무, 아왜나무, 은행나무, 참죽나무, 황벽나무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상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Suwon forest include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oak, oak, and birch, or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forests for prevention of mountain disaster are oak, camellia, aralia, , Ginkgo biloba, japanese tree, and bamboo tree can be included.

(4) 생물다양성 증진 숲(4) forests promoting biodiversity

본 발명에서는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한 다양성 증진숲을 복원목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성증진숲은,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의 주변 숲의 식생이 다층구조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생물다양성증진숲이나,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의 주변 숲이 식생이 경관수종들로 전체 밀도의 30%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구현할 수 있는 경관다양성증진숲 및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의 토양의 석회함유율이 단위면적을 기준으로 50%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적용하는 석회광산복구숲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diversity-promoting forests for promoting biodiversity can be set as restoration targets. In this case, the diversity-promoting forest is a biodiversity-enhancing forest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vegetation of the surrounding forest of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has a multi-layer structure, or the surrounding forest of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is a vegetation- Which is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of lime in the soil of the forest and the soil of the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is 50% or more based on the unit area, which can be implemented when the plant is composed of 30% or more of the total density, .

생물다양성증진숲의 경우,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서는 산림의 구조적 다양성을 유지하여야 한다.Promoting biodiversity In forests, structural diversity of forests should be maintained to promote biodiversity.

일반적인 도시 내 산림의 경우 인근에 주택가 또는 농경지가 위치한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산림 관리를 위하여 임분 스케일에서 중요 서식지의 보호를 위해 주민의 이용 구역을 일부 제한하는 등 이용지역 구분을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다층구조 형성을 위하여 교목뿐만 아니라 관목 및 아교목의 식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In general, in urban forests, residential areas or farmland are often located nearby. In order to protect such important habitats on the scale of the forest, it is necessary to divide the use area of the residents, For the formation of multi-layered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lanting of shrubs and shrubs as well as trees.

생물다양성증진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피나무, 철쭉, 오리나무, 산사나무, 신나무, 병꽃나무, 팥배나무, 생강나무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Promoting biodiversity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forest are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ak, oak, oak, oak, bole, azalea, hawthorn, jasmine, sphinx, .

경관다양성증진숲 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자작나무, 거재수, 매화나무, 단풍나무, 벚나무, 진달래, 철쭉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상이 포함될수 있다.Promoting Landscape Diversity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forests may include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birch, maple, plum tree, maple, cherry tree, azalea and azalea.

나아가, 석회광산복구숲은,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서 발생하는 석분, 우드칩, 황토, 표토를 포함하는 토양재를 식생기반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 복원을 위한 도입수종으로 측백나무림, 소나무림, 신갈나무림, 왕느릅나무림, 굴참나무림,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의 수종을 적용할 수 있다.Further, the limestone mine recovery forest can utilize the soil material including the limestone, wood chips, loess, and topsoil generated from the above-mentioned functional forests as a vegetation-based material. This species can be applied as a species for restoration, such as pine trees, pine trees, pine trees, mung bean, mung bean, oyster mung bean, oak oak, and mongolian tre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110, 120, 130: 판상형 몸체
112, 114, 116, 118: 강우 수용홈패턴
122, 124, 126, 128: 강우 수용홈패턴
P: 판상형 몸체 중심부
G1:제1면
G2: 제2면
110, 120, 130: a plate-like body
112, 114, 116, 118: Rainfall receiving groove pattern
122, 124, 126, 128: Rainfall receiving groove pattern
P: Plate-shaped body center
G1: First side
G2: Second side

Claims (26)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대해, 설정 목표 기능숲의 모델을 설정하는 복원목표 설정단계; 상기 설정된 복원목표로 설정된 상기 대상지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복원목표의 적합성을 검정하는 적합성검증단계; 적합성 검증 후 기능숲 모델을 결정하고 복원재료를 선정하는 복원재료 및 시공방법 선정단계; 및 상기 대상지에 대해 기 설정된 복원 목표에 따른 기능숲 모델을 시공하는 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 목표 설정단계는, 상기 복원목표를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를 기후변화대응숲, 대기오염저감숲, 산림재해예방숲, 다양성증진숲을 포함하는 주요 목표숲 대분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설정하고,
상기 적합성 검증단계는,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의 주변식생, 토양환경 및 경사도를 포함하는 수종 및 지형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의 사전조사를 통해 설정된 복원목표의 적부를 검증하는 단계이며,
상기 복원재료 및 시공방법 선정단계는,
상기 적합성 검증단계에서 적합으로 판정된 복원목표에 대하여,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도입할 수종을 선택하고, 수종별 적용방법을 선택하는 복원목표 시기결정단계;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토양환경에 따른 식생기반재를 설정하는 식생기반재 재료의 선택단계; 시공장비의 투입가능 여부에 따라 식생기반재 포설타입 또는 유기블럭 투입 타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식생기반재 적용방법 선택단계;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의 경사지 환경에 따라 식생보조재를 설정하는 식생보조재 선택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목표시기 결정단계는, 복원목표의 달성시기를 장기, 중기, 단기의 3단계로 구분하고, 제1수종과 제2수종의 조성비율은 투입되는 수종의 수량을 기준으로 한 비율로 설정하되, 장기의 경우,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도입할 제1수종과 제2수종의 조성비율을 2:8의 비율로 설정하고, 중기의 경우,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도입할 제1수종과 제2수종의 조성비율을 4:6의 비율로 설정하며, 단기의 경우,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도입할 제1수종과 제2수종의 조성비율을 6:4의 비율로 설정하고,
상기 식생기반재 재료의 선택단계는, 식생기반재 재료의 혼합비율을 전체 식생기반재의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각 재료의 부피비율로 한정하되,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토심 및 유기물 함량에 따라 A, B, C 타입 구조로 구분하되, 상기 유기물의 함량의 경우, 채취한 토심의 토양의 부피를 기준으로 해당 채취 토양 내에 포함되는 유기물의 부피가 차지하는 비율을 기준으로 채취한 토양의 전체 부피를 기준으로 유기물의 포함 부피가 5% 이상의 경우에는 A 타입, 유기물의 포함 부피가 3~5%인 경우 B 타입, 유기물의 포함 부피가 3% 이하인 경우 C 타입으로 구분하며, 토심이 60cm 이상인 A 타입에서의 식생기반재는, 표토:황토:우드?:피트모스:비료의 비율이 10:30:40:5:5의 비율로 구현하며, 토심이 10~60cm인 B 타입의 식생기반재는, 표토:황토:우드?:피트모스:비료의 비율이 15:25:40:5:10의 비율로 구현하며, 토심이 10cm 이하인 C 타입의 식생기반재는, 표토:황토:우드?:피트모스:비료의 비율이 10:30:40:10:10의 비율로 구현하고,
상기 식생기반재 적용방법 선택단계는, 장비 투입여부에 따라 식생기반재를 포설하거나 유기블럭을 배치하도록 선택하며, A 타입의 경우, 식생기반재의 포설은 1~3cm, 유기블럭 배치시에는 유기블럭의 두께를 2cm, B 타입의 경우, 식생기반재의 포설은 5~7cm, 유기블럭 배치시에는 유기블럭의 두께를 4cm, C 타입의 경우, 식생기반재의 포설은 10cm, 유기블럭 배치시에는 유기블럭의 두께를 6cm,로 구성하도록 하는,
상기 식생보조재 선택단계는,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대해 투입되는 생육보조재를 선택하되,
경사도가 0~3도의 평지에서는, 멀칭재를 필수적으로 적용하거나, 또는 멀칭재를 적용하고 네트 및 보습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며, 경사도가 4~14도 미만의 완경사지에서는 멀칭재, 네트, 보습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며, 경사도가 15도 이상의 급경사지에서는 네트 및 보습재를 적용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A restoration goal setting step of setting a model of the set target function forest for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target site; A suitability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suitability of a restoration target through on-site investigation of the target site set as the set restoration target; Selecting the restoration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to determine the functional forest model after the suitability verification and selecting the restoration material; And a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a functional forest mode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restoration target for the target site,
The restoration target setting step includes setting the restoration target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major target forest major classes including the climate change response forest, the air pollution reduction forest, the forest disaster prevention forest, and the diversity promotion forest ,
The conformity verification step is a step of identifying the species and the top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the surrounding vegetation, the soil environment, and the slope of the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target area and verifying the suitability of the restoration target set through the preliminary examination of the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target area ,
The restoration material and method selection step may include:
A restoration target time determining step of selecting a species to be introduced to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target site and selecting a water species application method for the restoration target determined to be suitable in the conformity verification step; Selecting a vegetation-based material for setting the vegetation-based material according to the soil environment at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Selecting a vegetation-based reapplication method for setting at least one of a vegetation-based re-installation type or an organic block input type depending on whether the construction equipment can be input; And a vegetation supplementary material selection step of setting a vegetation supplementary material in accordance with an inclined environment of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The restoration target timing determination step may be configured to classify the achievement timing of the restoration target into three stages of long term, middle term, and short term, and the composition ratios of the first species and the second species are set as a ratio based on the quantity of input species ,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first species to the second species to be introduced into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target site is set to a ratio of 2: 8 in the case of the long term, and the first species species to be introduced into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target site The composition ratio of two species is set to a ratio of 4: 6, and in the case of a short term, a composition ratio of the first species to the second species to be introduced into the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target is set to a ratio of 6: 4,
The selection of the vegetation-based material is performed by limiting the mixing ratio of the vegetation-based material to the volume ratio of each material based on the volume of the entire vegetation-based material, B, and C type structures. In the case of the organic matter content, based on the volume of the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collected soil based on the volume of the soil of the collected soil, based on the total volume of the collected soil Type A is classified as Type A when the containing volume of the organic substance is 5% or more, Type B when the containing volume of the organic substance is 3 to 5%, and C type when the containing volume of the organic substance is less than 3% The vegetation-based material of B type, which is implemented with a ratio of 10: 30: 40: 5: 5, and the soil depth is 10 to 60 cm, is topsoil: loess: wood ?: Peat moss: fertilizer C type vegetation based material with a ratio of 15: 25: 40: 5: 10 and a soil depth of 10 cm or less is 10: 30: 40: 10: 10 in the ratio of the topsoil: loess: wood?: Peat moss: fertilizer , And < RTI ID =
In the step of selecting the vegetation-based reapplication method, the vegetation-based material is installed or the organic block is disposed according to whether the equipment is input. In case of the A type, the vegetation-based material is installed at 1 to 3 cm,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block is 4 cm for the organic block arrangement, the placement of the vegetation-based material is 10 cm for the type B, and the organic block for the organic block arrangement is 2 cm for the B type, 5 to 7 cm for the vegetation- The thickness of which is 6 cm,
The vegetation supplementary material selection step may include selecting a growth supplement to be input to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target site,
At least one of the net and the moisturizing material is selectively applied by applying a mulching material or applying a mulching material at a level of 0 to 3 degrees in inclination. In the case of a mulching material having an inclination of less than 4 to 14 degrees, , Net, and moisturizing material, and applying a net and a moisturizing material to the steep slope having an inclination of 15 degrees or more,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원목표시기 결정단계는,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도입할 종자의 경우 교목과 관목의 투입 비율을 3:7로 설정하고,
장기: 중기: 단기에 투입되는 종자의 중량비율이 3 : 2 : 1로 구현되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이 경우, 종자의 중량비율은 투입되는 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비율로 정의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storation target timing determination step may include:
In the case of the seed to be introduced into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the input ratio of the tree and the shrub is set to 3: 7,
Long-term: medium-term: a weight ratio of seeds to be fed in the short-term is 3: 2: 1,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In this case, the weight ratio of seed is defined as the ratio based on the weight of the seed to be f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타입의 경우,
식생기반재 포설 또는 유기블럭의 배치 하부에, 기반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기반층은, 석력(15~20):황토(15~20):마사토(55~65):미사(15)의 배합비율로 혼합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이 경우, 기반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배합비율은 전체 기반층의 부피를 기준으로 구성 재료의 부피의 비율로 정의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ase of the C type,
Further comprising a base layer underneath the arrangement of the vegetation-based redistribution or organic block,
Wherein the base layer is a mixture of gypsum (15-20): loess (15-20): masato (55-65): silicate (15)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In this case, the mixing ratio of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base layer is defined as the ratio of the volume of the constituent material based on the volume of the entire base lay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공단계에서 유기블럭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종자 및 식생기반재, 생육보조재를 블럭형태의 유기블럭으로 구현한 구조물을,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 경사도에 따라 배치하되,
상기 평지 또는 상기 완경사지에서는 토양표면에 상기 유기블럭을 배치하는 구조로 구현하며,
상기 급경사지에서는 토양에 매립구조로 상기 유기블럭을 배치하는 구조로 구현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organic block is applied in the construction step,
Seed, vegetation-based material, and growth auxiliary material in a block-shaped organic block,
Wherein the functional forest is disposed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inclination,
And the organic block is disposed on the soil surface in the flat or the mild slope paper,
And the organic block is disposed in a soil-buried structure in the steep sloped ground,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기블럭은,
황토:(분변토+임목파쇄칩+제지슬러지)의 혼합비율이 1:1의 부피비로 구현되는 혼합토양과,
상기 혼합토양 1L 당 CMC(Carboxymethyl Cellulose) 또는 비닐-아크릴 계 고분자 수지를 20ml~50ml의 범위로 혼합되는 접착재료;
목본 또는 초본종자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판상의 블럭형 구조물인,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rganic block comprises:
Mixed soil in which the mixing ratio of loess: (fugitive soil + chip breaking chips + paper sludge) is realized at a volume ratio of 1: 1,
An adhesive material mixed with CMC (Carboxymethyl Cellulose) or a vinyl-acrylic polymer resin in an amount of 20 ml to 50 ml per liter of the mixed soil;
Which is composed of a mixture of woody or herbaceous seeds,
The plate-like block-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시공단계는,
상기 평지에서는, 하면에 보습재가 형성된 유기블럭을 배치하고, 그 상부에 네트 또는 멀칭재를 배치하여 고정하며,
상기 완경사지에서는, 하면에 보습재가 형성된 유기블럭을 배치하고, 그 상부에 네트나 멀칭재를 배치한 후, 임목파쇄칩을 도포하여 고정하며,
상기 급경사지에서는, 하면에 보습재가 형성된 유기블럭을 토양 내부에 매립형으로 배치하고, 그 상부에 네트나 멀칭재를 배치한 후, 임목파쇄칩을 도포하여 고정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construction step,
In the flat surface, an organic block having a moisturizing material formed thereon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and a net or a mulching material is disposed and fixed on the organic block.
In the above-mentioned gentle slope paper, an organic block having a moisturizing material formed thereon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net or a mulching material is placed on the organic block,
In the steep slope, an organic block having a moisturizing material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is disposed in a buried form in the soil, a net or a mulching material is disposed on the soil,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기후변화대응숲은,
탄소축적기능을 기준으로 분류된 수종의 해당 대상지 점유율이 전체 수종의 수종밀도에 대하여 30% 이상일 경우 구현하는 탄소저감숲; 및
지역을 구분하여 남부지방은 온량지수를 기준으로 90이상 110이하의 범위에 나타나는 전체 수종의 수종 밀도에 대하여 교목종 2종 이상이 30% 이상일 경우, 중부지방은 온량지수 70이상 90이하의 범위에 나타나는 전체 수종의 수종 밀도에 대하여 교목종 2종이상이 30% 이상일 경우 구현하는 기후변화충격완화숲;
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above-mentioned climate change-
Carbon abatement forests implemented when the share of the corresponding species of species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carbon accumulation function is 30% or more of the total species species density; And
In the southern region, the southern region has more than 30 species of tree species with more than 30 species of tree species in the range of 90 to less than 110 species. Climate change impact mitigation forest implemented when more than two species of tree species are more than 30% of tree species density of whole species appearing;
/ RTI >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탄소저감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가시나무류, 느티나무, 상수리나무, 녹나무, 후박나무, 광나무, 능소화, 꽃치자나무, 철쭉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포함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carbon-
Which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piny myrtle, zelkova, oak, camphor, gambia,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기후변화충격완화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상기 남부지방에는, 갈참나무, 까마귀쪽나무, 나도밤나무, 당단풍나무, 동백나무, 때죽나무, 사시나무, 산뽕나무, 상수리나무, 예덕나무, 육박나무, 조록나무,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참식나무, 황칠나무, 후박나무, 털고로쇠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포함되며,
상기 중부지방은 갈참나무, 거제수나무, 구상나무, 동백나무, 물오리나무, 물푸레나무, 부게꽃나무, 사실나무, 산뽕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털고광나무, 까치박달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포함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climate change impact mitigation forest include,
In the above southern region, there are many kinds of trees such as oak, oak, pine tree, camellia, camellia, quercus, mountain mulberry, oak, oak tree,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ood, wood, wood,
The above-mentioned central region is divided into three parts: oak oak, oak tree, conifer tree, camellia tree, ash tree, ash tree, bugae flower tree, true tree, mountain mulberry tree, oak tree, pine tree oak tree, Wherein at least one selected is included,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대기오염저감숲은,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를 점유하는 수종의 2종 이상이 전체 수종의 밀도의 20% 이상을 점유하는 경우 구현하는 대기오염방지숲; 및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를 점유하는 수종의 2종 이상이 전체 수종의 밀도의 20% 이상을 점유하는 경우 구현할 수 있는 미세먼지저감숲;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air pollution abatement forest,
An air pollution prevention forest implemented when two or more kinds of species occupying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target occupy 20% or more of the density of all species; And
A fine dust reduction forest which can be implemented when two or more kinds of species occupying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target occupy 20% or more of the density of all species;
≪ / RTI >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대기오염방지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자작나무, 단풍나무, 소나무, 피나무, 곰솔, 가중나무, 참나무류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포함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above-
And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rch, maple, pine, pine, pine, weed,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저감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쥐똥나무, 산사나무, 개암나무, 피나무, 오리나무, 갈매나무, 딱총나무, 참나무류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포함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ne dust-
Which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ine tree, a hawthorn tree, a hazel tree, a pine tree, a duck tree, a pine tree, a pine tree,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산림재해예방숲은,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가 계곡부에 위치하며, 해당 대상지에 자생하는 식생의 1종 이상이 전체 수종의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고, 다층구조를 이루는 경우 구현할 수 있는 수원함양숲;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 인근에서 자생하는 자생 수종의 1종 이상이 띠형태를 이루며 생육하는 경우 구현할 수 있는 산지재해방지숲;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above forest preventing forest,
The forests where the functional forests are located in the valleys and at least one of the native vegetation occupies more than 50% of the total species and can be construct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A forest preventing disaster prevention forest which can be realized when at least one kind of native species native to the functional forests is formed in a band shape;
And at least one of < RTI ID = 0.0 >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수원함양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자작나무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주요수종으로 포함되며, 보조수종으로 신갈나무, 소나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을 더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As a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forest of the source forest,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ak, oak, and birch is included as a main species, and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pecies of Quercus mongolica and Pine as an assistant species.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청구항 20에 있어서,
산지재해방지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굴참나무, 동백나무, 두릅나무, 아왜나무, 은행나무, 참죽나무, 황벽나무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상이 포함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mountainous disaster prevention forest,
Which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ak, oak, camellia, aralia, oak, ginkgo, oak,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다양성증진숲은,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의 주변 숲의 식생이 다층구조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생물다양성증진숲;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의 주변 숲이 식생이 경관수종들로 전체 밀도의 30%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구현할 수 있는 경관다양성증진숲; 및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의 토양의 석회함유율이 단위면적을 기준으로 10~50%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적용하는 석회광산복구숲;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iversity-
A biodiversity promotion forest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vegetation of the surrounding forest of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has a multi-layer structure;
Forests promoting forest diversity that can be implemented when the surrounding forests of the functional forests are composed of more than 30% of the total density of the vegetation as the landscape species; And
A limestone mine recovery forest applied to a case where the lime content of the soil in the functional forest formation site is 10 to 50% or more based on a unit area;
And at least one of < RTI ID = 0.0 >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생물다양성증진숲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피나무, 철쭉, 오리나무, 산사나무, 신나무, 병꽃나무, 팥배나무, 생강나무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상이 포함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biodiversity-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ak, oak, oak, oak, bark, azalea, oak, hornblende,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경관다양성증진숲 에 도입가능한 수종은,
자작나무, 거재수, 매화나무, 단풍나무, 벚나무, 진달래, 철쭉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상이 포함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species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above-mentioned scenic diversity-
Which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rch, alder tree, plum tree, maple, cherry tree, azalea,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석회광산복구숲은,
상기 기능숲 조성 대상지에서 발생하는 석분, 우드칩, 황토, 표토를 포함하는 토양재를 식생기반재로 활용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숲 조성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limestone mine recovery fore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functional forest using a soil material including a stone material, a wood chip, a loess soil,
Functional forest composition method with various functions.
KR1020170118548A 2017-09-15 2017-09-15 Formation methods of Functional forest KR101885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548A KR101885094B1 (en) 2017-09-15 2017-09-15 Formation methods of Functional fo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548A KR101885094B1 (en) 2017-09-15 2017-09-15 Formation methods of Functional fore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094B1 true KR101885094B1 (en) 2018-09-10

Family

ID=6359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548A KR101885094B1 (en) 2017-09-15 2017-09-15 Formation methods of Functional fo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094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462B1 (en) * 2020-02-28 2021-01-20 주식회사 일림 Revegetation method usinf eco-friendly reinforcing material
KR102214617B1 (en) * 2020-04-24 2021-02-15 (주)케이에스에코텍 Forest forming method for multipurpose prevent fine dust
KR102238283B1 (en) * 2020-08-04 2021-05-12 주식회사 일림 Vegetation Mat and Ecological Restoration using the same
KR20210084184A (en) * 2019-12-26 2021-07-07 한국국토정보공사 Planting location analysis device and method
KR102352273B1 (en) * 2021-03-19 2022-01-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lanting module for Performance Enhancement of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Amoun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220085661A (en) * 2020-12-15 2022-06-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Reveget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lidar data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CN115589921A (en) * 2022-10-18 2023-01-13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Cn) Transformation method for quickly improving quality and increasing efficiency of low-quality and low-efficiency secondary forest
KR102602652B1 (en) * 2023-07-25 2023-11-14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Multi-layer Planting Models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for biodiversity in city
KR102602653B1 (en) * 2023-07-25 2023-11-14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Multi-layer Planting Models for improving absorption of carbon gas
CN118333239A (en) * 2024-06-12 2024-07-12 江西省林业科学院 Region feature-based healthy forest region cultivation optimiz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188B1 (en) 2007-09-27 2008-02-21 화이젠 주식회사 Eco forest formation methods
KR20150097247A (en) * 2014-02-18 2015-08-26 김병구 Vegitation Mat for Preventing Overgrowth with Weed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717576B1 (en) * 2016-03-18 2017-03-17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Forest restoration net-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188B1 (en) 2007-09-27 2008-02-21 화이젠 주식회사 Eco forest formation methods
KR20150097247A (en) * 2014-02-18 2015-08-26 김병구 Vegitation Mat for Preventing Overgrowth with Weed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717576B1 (en) * 2016-03-18 2017-03-17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Forest restoration net-structur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흥락 외 5명. 식물사회학적 이론에 의한 생태모델숲 조성기법. 기초연구 2007-0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년 12월, pp. 1~53* *
최완용.간행물.국립산림과학원.2008년12월발행.연구보고 08-16.P.54 *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184A (en) * 2019-12-26 2021-07-07 한국국토정보공사 Planting location analysis device and method
KR102368261B1 (en) * 2019-12-26 2022-03-04 한국국토정보공사 Planting location analysis device and method
KR102205462B1 (en) * 2020-02-28 2021-01-20 주식회사 일림 Revegetation method usinf eco-friendly reinforcing material
KR102214617B1 (en) * 2020-04-24 2021-02-15 (주)케이에스에코텍 Forest forming method for multipurpose prevent fine dust
KR102238283B1 (en) * 2020-08-04 2021-05-12 주식회사 일림 Vegetation Mat and Ecological Restoration using the same
KR20220085661A (en) * 2020-12-15 2022-06-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Reveget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lidar data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102453056B1 (en) * 2020-12-15 2022-10-1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Reveget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lidar data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102352273B1 (en) * 2021-03-19 2022-01-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lanting module for Performance Enhancement of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Amoun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N115589921A (en) * 2022-10-18 2023-01-13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Cn) Transformation method for quickly improving quality and increasing efficiency of low-quality and low-efficiency secondary forest
KR102602652B1 (en) * 2023-07-25 2023-11-14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Multi-layer Planting Models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for biodiversity in city
KR102602653B1 (en) * 2023-07-25 2023-11-14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Multi-layer Planting Models for improving absorption of carbon gas
CN118333239A (en) * 2024-06-12 2024-07-12 江西省林业科学院 Region feature-based healthy forest region cultivation optimiz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094B1 (en) Formation methods of Functional forest
Ratcliffe Post‐medieval and recent changes in British vegetation: the culmination of human influence
Nadkarni et al. Potential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canopy communities in a tropical cloud forest: an experimental approach
Talebi et al. Forests of Iran
Nektarios et al. Green roof substrate type and depth affect the growth of the native species Dianthus fruticosus under reduced irrigation regimens
Choung et al. Forest responses to the large-scale east coast fires in Korea
Chytrý Current vegetation of the Czech Republic
Atalay et al. Ecological attributes and distribution of Anatolian black pine [Pinus nigra Arnold. subsp. pallasiana Lamb. Holmboe] in Turkey
CN109287182A (en) A method of for Copper Mine Abandoned Place revegetation
Leuschner et al. Beech and mixed beech forests
Tassoula et al. Growth of the native xerophyte Convolvulus cneorum L. on an extensive Mediterranean green roof under different substrate types and irrigation regimens
Voigtländer et al. The present knowledge of the Symphyla and Pauropoda (Myriapoda) in Germany–An annotated checklist
Peinado et al. The Iberian ranges and highlands
Hunolt et al. Comparison of native woody species for use as live stakes in streambank stabilization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OCAKVERDİ et al. The plant sociology and ecology of the upper Göksu catchment area (Hadim-Konya) and environs
Martin et al. Rehabilitation ecology by revegetation. Approach and results from two Mediterranean countries.
Öner et al. The comparisons between root collar diameter and height growth of black pine (Pinus nigra Arnold.) and Scots pine (Pinus sylvestris L.) seedlings in Bolu Forest Nursery
Razjigaeva et al. Environmental Changes and Human Impacts on Landscapes near Medieval Steklyanukha-2 Fortress in Russia from Early Iron Age to Modern Times
Shaiban Using nurse species as a potential nature-based solution for restoring herbaceous plant communities and soils in abandoned quarries in Lebanon: results from ex-situ mesocosm experiments
Singh et al. Forest resource, economy, and environment
Williamson et al. Restoring habitats of high conservation value after quarrying
MWIKAMBA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 of Rehabilitated and Natural Forest Sites of Bamburi Cement Limited, Mombasa County, Kenya
Wullschleger et al. Enhancing soil carbon sequestration on phosphate mine lands in Florida by planting short-rotation bioenergy crops
Luna-Ramos et al. Opportunistic vegetation in quarry soil restoration from semiarid South East Spain: pines and spontaneous species.
Łukaszkiewicz et al. Silesia Park in Chorzów/Poland–the successful re-naturalization of industrial landscape after 60-ye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