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784B1 - 기어 유닛 - Google Patents
기어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1784B1 KR101871784B1 KR1020177025662A KR20177025662A KR101871784B1 KR 101871784 B1 KR101871784 B1 KR 101871784B1 KR 1020177025662 A KR1020177025662 A KR 1020177025662A KR 20177025662 A KR20177025662 A KR 20177025662A KR 101871784 B1 KR101871784 B1 KR 1018717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member
- rotational force
- axis
- main body
- cartrid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커플링 부재가 경사(틸팅) 중심으로 되는 구(球)를 갖고, 회전력 피전달 부재가 구보다 직경이 작은 개구부를 갖고, 개구부의 내연이 구에 접촉함으로써, 회전력 피전달 부재로부터 커플링 부재가 탈락하는 것을 규제하는 구성에서는, 개구부의 내연은 커플링 부재의 경사(틸팅) 가능량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었다. 커플링 부재(86)에 형성한 관통 구멍인 구멍(86b)에, 축부인 핀(88)을 삽입한 상태에서, 핀(88)의 양단을 회전력 피전달 부재인 구동측 플랜지(87)로 지지하였다. 이와 같이, 커플링 부재(86)와 구동측 플랜지(87)와 핀(88)을 연결하고, 경사(틸팅) 가능량을 제한하지 않고, 핀(88)이 구멍(86b)의 내측에 접촉함으로써, 커플링 부재(86)가 구동측 플랜지(87)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카트리지, 감광체 드럼용 구동 전달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카트리지란, 전자 사진 감광체나 프로세스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갖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것을 가리킨다.
카트리지의 대표예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들 수 있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란,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과, 이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에 작용하는 현상 장치 등의 프로세스 수단을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하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식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LED 프린터, 레이저 빔 프린터 등), 팩시밀리 장치 및 워드프로세서 등이 포함된다.
종래,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등의 회전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한 본체측 걸림결합부를, 상기 장치 본체의 본체 커버의 개폐 동작에 의해, 그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상기 장치 본체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소정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설치한 커플링 부재를, 상기 본체측 걸림결합부에 걸림결합시키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회전력 전달 수단으로서의 커플링 방식에 있어서는,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유닛에 설치한 커플링 부재를,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유닛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치 본체에의 착탈 동작에 수반하여, 커플링 부재의 걸림결합 동작과 이탈 동작을 가능하게 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특허번호 제4498407호 공보).
상기 특허번호 제4498407호 공보의 도 103에 기재된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커플링 부재는 틸팅 중심으로 되는 구(球)를 갖고, 플랜지는 상기 구보다 직경이 작은 개구부를 갖고 있다. 이 개구부의 내연이 상기 구에 접촉함으로써, 플랜지로부터 커플링 부재가 탈락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개구부의 내연은, 커플링 부재의 틸팅 가능량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본체측 걸림결합부를 그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장치 본체에 대하여,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등의 회전체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소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분리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플랜지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연에서 커플링 부재의 경사(틸팅) 가능량을 제한하지 않고, 커플링 부재의 탈락을 규제할 수 있는 구동 전달 구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구동 전달 구성을 채용한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에 따른 발명은,
회전 가능한 본체측 걸림결합부를 갖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며, 상기 본체측 걸림결합부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소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분리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ⅰ) 현상제를 담지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체와,
(ⅱ) 그 내측에 수납부를 갖고, 상기 회전체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이 전달되는 회전 가능한 회전력 피전달 부재와,
(ⅲ) 회전 가능한 커플링 부재로서, (ⅲ-ⅰ) 상기 본체측 걸림결합부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받는 회전력 수용부를 갖는 자유 단부와, (ⅲ-ⅱ)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소정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력 수용부가 상기 본체측 걸림결합부로부터 이탈하기 위해 상기 커플링 부재의 회전축선이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수납부에 적어도 그 일부가 수납되도록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에 결합된 결합부와, (ⅲ-ⅲ)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커플링 부재와,
(ⅳ)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받아서 상기 커플링 부재가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커플링 부재의 상기 틸팅을 허용하도록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고 있으며, 그 양단이 각각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에 지지되는 베어링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측 걸림결합부를 그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회전체의 회전축선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소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분리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내측에 설치된 수납부의 내연에서 커플링 부재의 경사(틸팅) 가능량을 제한하지 않고, 커플링 부재의 탈락을 규제할 수 있는 구동 전달 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구동 전달 장치를 채용한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재가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이 회전할 때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경사(틸팅)진 모습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재가 경사(틸팅)지는 동작을 수반하면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모습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유닛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유닛을 클리닝 유닛에 내장하는 모습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측 플랜지 유닛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수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재가 핀의 축선 주위로 경사(틸팅)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재가 핀의 축선과 직교하는 축 주위로 경사(틸팅)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및 규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조립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상태에 있어서의 커플링 부재(486)의 틸팅 동작의 규제 방법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부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유닛을 클리닝 유닛에 내장하는 모습의 설명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수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부 일부 확대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부 일부 확대도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위치 결정 설명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위치 결정 설명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위치 결정 설명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부 일부 확대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부 일부 확대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부 일부 확대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부 일부 확대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8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부 일부 확대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8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8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재가 경사(틸팅)지는 동작을 수반하면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모습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유닛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유닛을 클리닝 유닛에 내장하는 모습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측 플랜지 유닛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수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재가 핀의 축선 주위로 경사(틸팅)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재가 핀의 축선과 직교하는 축 주위로 경사(틸팅)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및 규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조립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상태에 있어서의 커플링 부재(486)의 틸팅 동작의 규제 방법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부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유닛을 클리닝 유닛에 내장하는 모습의 설명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수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부 일부 확대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부 일부 확대도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위치 결정 설명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위치 결정 설명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위치 결정 설명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부 일부 확대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부 일부 확대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부 일부 확대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부 일부 확대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8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동부 일부 확대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8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8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에의 카트리지 장착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서, 레이저 빔 프린터를 예로 들고, 카트리지로서, 레이저 빔 프린터에 이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이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이며,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의 회전축선과 평행하면서,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길이 방향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이 회전력을 받는 측을 구동측(도 4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86)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비구동측으로 한다.
또한, 설명문 중의 부호는, 도면을 참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성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구성과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설명
도 2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 A(이하, '장치 본체 A'라 기재함)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이하, '카트리지 B'라 기재함)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카트리지 B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장치 본체 A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카트리지 B를 제외한 부분이다.
도 2를 이용하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카트리지 B를 장치 본체 A에 착탈 가능하게 한 전자 사진 기술을 이용한 레이저 빔 프린터이다.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장착되었을 때, 노광 장치(3: 레이저 스캐너 유닛)의 하측에 카트리지 B가 배치된다.
또한, 카트리지 B의 하측에 화상 형성 대상으로 되는 기록 매체(이하, '시트재 P'라 기재함)를 수용한 시트 트레이(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 A에는, 시트재 P의 반송 방향 D를 따라, 픽업 롤러(5a), 급송 롤러 쌍(5b), 반송 롤러 쌍(5c), 전사 가이드(6), 전사 롤러(7), 반송 가이드(8), 정착 장치(9), 배출 롤러 쌍(10), 배출 트레이(11) 등이 순차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정착 장치(9)는, 가열 롤러(9a) 및 가압 롤러(9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 도 3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개략을 설명한다.
프린트 스타트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체인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62)(이하, '드럼(62)'이라 기재함)은 화살표 R 방향으로 소정의 주변 속도(프로세스 스피드)를 갖고 회전 구동된다.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대전 롤러(66)는, 드럼(62)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드럼(62)의 외주면을 똑같이 균일하게 대전한다.
노광 장치(3)는, 화상 정보에 따른 레이저광 L을 출력한다. 그 레이저광 L은 카트리지 B의 상면의 노광창부(74)를 통과하고, 드럼(62)의 외주면을 주사 노광한다.
이에 의해, 드럼(62)의 외주면에는 화상 정보에 대응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장치로서의 현상 유닛(20)에 있어서, 토너실(29) 내의 현상제(이하, '토너 T'라 칭함)는, 반송 부재(43)의 회전에 의해 교반, 반송되고, 토너 공급실(28)로 송출된다.
토너 T는, 마그네트 롤러(34: 고정 자석)의 자력에 의해, 현상 롤러(32)의 표면에 담지된다.
토너 T는, 현상 블레이드(42)에 의해, 마찰 대전되면서 현상 롤러(32) 주면의 층 두께가 규제된다.
그 토너 T는, 정전 잠상을 따라 드럼(62)으로 전이되고, 토너상으로서 가시상화된다. 즉, 드럼은 토너(토너상)를 담지하여 회전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광 L의 출력 타이밍과 맞춰서, 픽업 롤러(5a), 급송 롤러 쌍(5b), 반송 롤러 쌍(5c)에 의해, 장치 본체 A의 하부에 수납된 시트재 P가 시트 트레이(4)로부터 급송된다.
그리고, 그 시트재 P가 전사 가이드(6)를 경유하여, 드럼(62)과 전사 롤러(7) 사이의 전사 위치로 공급된다. 이 전사 위치에 있어서, 토너상은 드럼(62)으로부터 시트재 P로 순차 전사되어 간다.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재 P는, 드럼(62)으로부터 분리되어 반송 가이드(8)를 따라 정착 장치(9)로 반송된다. 그리고 시트재 P는, 정착 장치(9)를 구성하는 가열 롤러(9a)와 가압 롤러(9b)의 닙부를 통과한다.
이 닙부에서 가압·가열 정착 처리가 행해지고 토너상은 시트재 P에 정착된다. 토너상의 정착 처리를 받은 시트재 P는, 배출 롤러 쌍(10)까지 반송되고, 배출 트레이(11)로 배출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 후의 드럼(62)은 클리닝 블레이드(77)에 의해 외주면 위의 잔류 토너가 제거되고, 재차,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사용된다. 드럼(62)으로부터 제거된 토너는 클리닝 유닛(60)의 폐 토너실(71b)에 저장된다.
상기에 있어서, 대전 롤러(66), 현상 롤러(32), 클리닝 블레이드(77)가 드럼(62)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이다.
(2) 카트리지 B의 구성의 설명
다음으로 카트리지 B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도 3,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카트리지 B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카트리지 B는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을 합체하여 구성된다.
*클리닝 유닛(60)은, 클리닝 프레임체(71), 드럼(62), 대전 롤러(66) 및 클리닝 블레이드(77)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드럼(62)의 구동 측단부에는 커플링 부재(8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드럼(62)은 드럼축선으로서의 회전축선 L1(이하 '축선 L1'이라 기재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커플링 부재(86)는, 커플링 축선으로서의 회전축선 L2(이하 '축선 L2'라 기재함)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커플링 부재(86)는 드럼(62)에 대하여 경사(틸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축선 L2가 축선 L1에 대하여 경사 가능하다(상세는 후술함).
한편, 현상 유닛(20)은, 토너 수납 용기(21), 덮개(22), 현상 용기(23), 제1 사이드 부재(26L), 제2 사이드 부재(26R), 현상 블레이드(42), 현상 롤러(32), 마그네트 롤러(34), 반송 부재(43), 토너 T, 가압 부재(46) 등을 포함한다.
이들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을, 결합 부재(75)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카트리지 B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현상 유닛(20)의 길이 방향(현상 롤러(32)의 축선 방향) 양단의 현상 용기(23)에 형성한 아암부(23aL, 23aR)의 선단에, 현상 롤러(32)와 평행한 회동 구멍(23bL, 23bR)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리닝 프레임체(71)의 길이 양단부의 각각에는, 결합 부재(75)를 끼워 넣기 위한 끼움 구멍(7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부(23aL, 23aR)를 클리닝 프레임체(71)의 소정의 위치에 맞춰서, 결합 부재(75)를 회동 구멍(23bL, 23bR)과 끼움 구멍(71a)에 삽입함으로써,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이 결합 부재(75)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아암부(23aL, 23aR)의 근원에 부착된 가압 부재(46)가 클리닝 프레임체(71)에 닿고, 결합 부재(75)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현상 유닛(20)을 클리닝 유닛(60)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32)는 드럼(62)의 방향으로 확실하게 밀어 붙여진다.
그리고, 현상 롤러(32)의 양단부에 부착된 링 형상의 간격 유지 부재(도시생략)에 의해, 현상 롤러(32)는 드럼(62)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위치한다.
(3) 카트리지 B의 착탈의 설명
다음으로, 장치 본체 A에 대한 카트리지 B의 착탈에 대하여, 도 5,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장치 본체 A에 카트리지 B를 착탈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커플링 부재(86)가 경사(틸팅)진 동작을 수반하면서, 장치 본체 A에 카트리지 B를 착탈하는 모습의 설명도이다.
장치 본체 A에는 개폐 도어(13)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5는, 이 개폐 도어(13)가 개방된 상태이다. 장치 본체 A의 내부에는, 본체측 커플링 부재로서의 본체측 걸림결합부(14), 가이드 레일(12), 슬라이더(15)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12)은 카트리지 B를 장치 본체 A 내로 안내하는 본체측 가이드 부재이다.
또한, 본체측 걸림결합부(14)는 회전력 부여부(14b)(도 6 참조)를 갖는다. 본체측 걸림결합부(14)는, 커플링(86)과 걸림결합하여 커플링(86)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또한, 본체측 걸림결합부(14)는, 회전 가능하게 장치 본체 A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체측 걸림결합부(14)는, 그 회전축선 방향이나, 그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장치 본체 A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장치 본체 A의 구성을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5)는, 경사면(15a), 정점(15b), 경사면(15c)을 갖고, 스프링으로서의 가압 부재(16)에 의해, X1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도 6을 이용하여, 커플링 부재(86)가 경사(틸팅)진 동작을 수반하면서, 장치 본체 A에 카트리지 B가 착탈되는 모습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장치 본체 A에 카트리지 B를 X2 방향으로 삽입한다(여기서, X2 방향이란, 본체측 걸림결합부(14)의 회전축선 L3과 대략 직교하는 소정 방향임). 그렇게 하면, 도 6의 (a1)(b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와 경사면(15a)의 접촉에 의해, 슬라이더(15)가 X5 방향으로 후퇴된다.
이때, 커플링 부재(86)는, 자유 단부(86a)가 베어링 부재(76) 및 슬라이더(15)에 접촉함으로써, 그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카트리지 B를 X2 방향으로 삽입하면, 도 6의 (a2)(b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가 정점(15b)을 통과하고, 경사면(15c)에 접촉한다.
그렇게 하면 도 6의 (a3)(b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5)가 X1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커플링 부재(86)가 베어링 부재(76)의 가이드부(76b)를 따라 X2 방향 하류측으로 경사(틸팅)진다.
또한 카트리지 B를 X2 방향으로 삽입하면, 도 6의 (a4)(b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가 본체측 걸림결합부(14)에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위치가 규제되고, 커플링 부재(86)의 경사(틸팅)량이 서서히 작아진다.
장착 완료 위치까지 카트리지 B를 삽입하면, 도 6의 (a5)(b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62)의 축선 L1, 커플링 부재(86)의 축선 L2, 본체측 걸림결합부(14)의 축선은 실질적으로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커플링 부재(86)와 본체측 걸림결합부(14)가 결합함으로써, 회전력을 전달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장치 본체 A로부터 카트리지 B를 분리할 때는, 장착 동작과 마찬가지로 커플링 부재(86)가 축선 L1에 대하여 경사(틸팅)짐으로써, 본체측 걸림결합부(14)로부터 이탈한다. 즉, 카트리지 B가, X2 방향과는 반대 방향(여기서, X2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란, 본체측 걸림결합부(14)의 회전축선 L3과 대략 직교하는 소정 방향임)으로 이동함으로써, 커플링 부재(86)가 본체측 걸림결합부(14)로부터 이탈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15)는 카트리지 B가 장착 완료 위치에 있을 때, 커플링 부재(86)에 대하여 간극이 비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15)의 접촉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회전 부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 B가 X2 방향 또는 X2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장착 완료 위치의 근방만이어도 되고, 그 이외의 장소에서는, 카트리지 B가 어떤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된다. 즉, 커플링 부재(86)가 걸림결합 또는 이탈하는 시점에 있어서, 본체측 걸림결합부(14)의 회전축선 L3과 대략 직교하는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면 된다.
(4) 커플링 부재(86)의 설명
커플링 부재(86)에 대하여,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는 커플링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7의 (b)는 도 7의 (a)의 S1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의 (c)는 도 7의 (a)의 S2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의 (d)는, 도 7의 (a)의 S1 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커플링 부재를 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는 주로 3개의 부분을 갖는다.
제1 부분은, 본체측 걸림결합부(14)와 걸림결합하여, 이 본체측 걸림결합부(14)로부터 회전력을 받기 위한 자유 단부(86a)이다.
제2 부분은, 실질적으로 구형상인 결합부(86c)이다. 이 결합부(86c)는 회전력 피전달 부재인 구동측 플랜지(87)로 결합(연결)된다.
제3 부분은, 자유 단부(86a)와 결합부(86c)를 연결하는 이음부(86g)이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 단부(86a)는, 커플링 부재(86)의 회전축선 L2에 대하여 넓어진 개구부(86m)를 갖는다. 여기서, 자유 단부(86a)의 최대 회전 반경은, 이음부(86g)의 최대 회전 반경보다도 크다.
개구부(86m)는, 커플링 부재(86)가 장치 본체 A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측 걸림결합부(14) 측을 향해 넓어진 확대 개방부(확대부)로서의 원추 형상의 수용면(86f)을 갖는다. 수용면(86f)은 오목부(86z)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오목부(86z)는 축선 L2 방향에 있어서, 드럼(62)이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에 개구부(86m: 개구)를 갖는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 단부(86a)의 선단측으로서, 축선 L2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위에는, 복수개의 돌기(86d1 내지 86d4)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86d1 내지 86d4)의 각각의 사이에는, 대기부(86k1 내지 86k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커플링 부재(86)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복수개의 돌기(86d1 내지 86d4)보다도 내측에 오목부(86z)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커플링 부재(86)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복수개의 돌기(86d1 내지 86d4)보다도 내측에 오목부(86z)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돌기(86d1 내지 86d4)의 간격(대기부(86k1 내지 86k4))은, 이 간격 내에 회전력 부여부(14b)가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력 부여부(14b)의 외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커플링 부재(86)에 본체측 걸림결합부(14)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을 때에는, 대기부(86k1 내지 86k4)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 부여부(14b)가 위치한다. 또한, 도 7의 (a)에 있어서, 돌기(86d1 내지 86d4)의 X3 방향 하류측에는, 커플링 부재(86)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회전력 수용부(86e1 내지 86e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커플링 부재(86)와 본체측 걸림결합부(14)가 걸림결합하고, 본체측 걸림결합부(14)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회전력 부여부(14b)가 회전력 수용부(86e1/86e3)의 쌍, 혹은 회전력 수용부(86e2/86e4)의 쌍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본체측 걸림결합부(14)로부터 커플링 부재(86)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또한, 커플링 부재(86)에 전달되는 회전 토크를 가능한 한 안정시키기 위해서, 회전력 수용부(86e1 내지 86e4)는 축선 L2 위에 중심을 갖는 동일 원주 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회전력 전달 반경이 일정해져서, 커플링 부재(86)로 전달되는 회전 토크가 안정된다.
또한 회전력을 받은 커플링 부재(86)의 위치를 가능한 한 안정시키기 위해서, 회전력 수용부(86e1과 86e3, 및 86e2와 86e4)를 180°대향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기(86d1 내지 86d4)의 설치 개수는 본 실시예에서는 4개로 하였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력 부여부(14b)가 대기부(86k1 내지 86k4)에 인입할 수 있으면,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는, 돌기(86d)가 2개인 경우도, 6개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회전력 수용부(86e1 내지 86e4)는, 구동축 수용면(86f)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회전력 수용부(86e1 내지 86e4)는, 축선 L2 방향에 있어서, 구동축 수용면(86f)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개소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회전력 수용부(86e1 내지 86e4)는, 이음부(86g)의 최대 회전 반경보다도 축선 L2로부터 먼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86c)는 실질적으로 축선 L2 위에 중심을 갖는 구형상이다. 결합부(86c)의 최대 회전 반경은, 이음부(86g)의 최대 회전 반경보다도 크다.
결합부(86c)에는 축선 L2의 직교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 구멍인 구멍부(86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멍부(86b)는, 축선 L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핀(88)이, 이 구멍부(86b)를 관통하고 있다. 이 구멍부(86b)와 핀(88)의 여유는, 커플링 부재(86)의 틸팅을 허용할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 구멍부(86b)의 단면적은, 결합부(86c)의 중심 근방(축선 L2의 근방)에서 최소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합부(86c)의 회전 중심(축선 L2)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확대(확대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커플링 부재(86)는, 구동측 플랜지(87)에 대하여, 어느 쪽의 방향으로도 경사(틸팅, 선회) 가능하다. 그리고, 구멍부(86b)의 내측(내벽)에는 커플링 부재(86)의 회전 방향과 교차한 회전력 전달부(86b1)와 탈락 규제부인 제1 탈락 규제부(86p1), 제2 탈락 규제부(86p2), 제3 탈락 규제부(86p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탈락 규제부(86p1), 제3 탈락 규제부(86p3)는, 구멍부(86b)의 회전 중심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또한, 제1 탈락 규제부(86p1: 축선 L2의 근방 부분)는, 축선 L2와 축선 L1이 일치한 상태에 있어서, 핀(88)과 접촉함으로써, 커플링 부재의 탈락을 규제한다. 그리고, 제2 탈락 규제부(86p2)는, 제1 탈락 규제부(86p1)로부터 결합부(86c)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대략 평면이다. 여기서, 주로 제1 탈락 규제부(86p1)가 핀(88)에 접촉함으로써, 커플링 부재(86)의 탈락이 방지된다. 그러나, 커플링 부재(86)가 경사(틸팅)졌을 때에는, 제2 탈락 규제부(86p2)나 제3 탈락 규제부(86p3)도 핀(88)에 접촉함으로써 탈락을 규제한다. 또한, 제2 탈락 규제부(86p2)나 제3 탈락 규제부(86p3)의 개소가 핀(88)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제1 탈락 규제부(86p1)만으로 커플링 부재(86)의 탈락을 규제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부(86g)는, 자유 단부(86a)와 결합부(86c)를 연결하는 원통 형상으로서, 실질적으로 축선 L2를 따른 원주 형상(또는 원통 형상)의 베어링이다.
또한, 회전 부하에 의한 커플링 부재(86)의 비틀림을 억제하고, 회전 전달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음부(86g)를 보다 짧고, 보다 굵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커플링 부재(86)의 재질은, 폴리아세탈, 폴리카르보네이트, PPS 등의 수지이다. 단, 커플링 부재(86)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부하 토크에 따라 상기 수지 중에 유리 섬유, 카본 섬유 등을 배합하여도 된다. 상기 재료를 배합한 경우에는, 커플링 부재(86)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중에, 금속을 인서트하여 강성을 더 높여도 되고, 커플링 부재(86) 전체를 금속 등으로 제작하여도 된다.
또한, 자유 단부(86a), 결합부(86c), 및 이음부(86g)는,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혹은, 각각 별개로 형성된 것이 일체로 결합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을 수지로 일체 성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제조의 용이성, 부품으로서의 정밀도의 향상을 실현하고 있다.
(5)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유닛 U1의 구성의 설명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유닛 U1(이하, '드럼 유닛 U1'이라 기재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드럼 유닛 U1의 구성의 설명도이며, 도 8의 (a)는 구동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의 (b)는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의 (c)는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드럼 유닛 U1을 클리닝 유닛(60)에 내장시키는 모습의 설명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유닛 U1은, 드럼(62),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 및 비구동측 플랜지(64), 접지판(65)으로 구성되어 있다.
드럼(62)은, 표면에 감광층을 피복한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의 부재이다. 또한, 드럼(62)은, 내부가 중공이어도, 혹은, 내부가 중실이어도 무방하다.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는, 드럼(62)의 구동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는, 회전력 피전달 부재인 구동측 플랜지(87)의 피고정부(87b)가 드럼(62)의 단부의 개구부(62a1)에 감합되고, 접착이나 코오킹 등으로 드럼(62)에 고정된다. 그리고, 구동측 플랜지(87)가 회전하면, 드럼(62)이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구동측 플랜지(87)의 플랜지 축선으로서의 회전축선은, 드럼(62)의 축선 L1이 실질적으로 동축(동일 직선상)이 되도록, 구동측 플랜지(87)는 드럼(62)에 고정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축(동일 직선상)」이란, 완전히 일치한 동축(동일 직선상)인 경우 외에, 부품 치수의 변동 등에 의해 동축(동일 직선상)으로부터 다소 어긋나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마찬가지로, 비구동측 플랜지(64)는 드럼(62)과 실질적으로 동축상이며, 드럼(62)의 비구동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비구동측 플랜지(64)는 수지제이며,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62) 단부의 개구부(62a2)에, 접착이나 코오킹 등으로 드럼(62)에 고정된다. 또한, 비구동측 플랜지(64)에는, 드럼(62)을 접지하기 위해서, 도전성(주로 금속)의 접지판(65)이 배치되어 있다. 접지판(65)은, 드럼(62)의 내주면에 접하고, 장치 본체 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유닛 U1은 클리닝 유닛(60)에 지지된다.
드럼 유닛 U1의 구동측에 있어서, 구동측 플랜지(87)의 피지지부(87d)는 지지 부재로서의 베어링 부재(76)의 지지부(76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 부재(76)는, 비스(90)에 의해 클리닝 프레임체(71)에 고정된다. 한편, 드럼 유닛 U1의 비구동측에 있어서, 비구동측 플랜지(64)의 베어링부(64a)(도 8의 (b) 참조)가 드럼축(7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드럼축(78)은 클리닝 프레임체(71)의 비구동측에 설치된 지지부(71b)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클리닝 프레임체(71)에 베어링 부재(76)를 비스(90)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접착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이나, 용융한 수지에 의해 접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클리닝 프레임체(71)와 베어링 부재(76)를 일체화하여도 된다. 이 경우, 일부품 삭감할 수 있다.
(6)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의 설명
도 10, 도 11을 이용하여,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를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10의 (a)는 구동측에서 본 도면, 도 10의 (b)는 비구동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의 구성의 설명도이며, 도 11의 (a)는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의 사시도, 도 11의 (b)는 도 11의 (a)의 S2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11의 (c)는 도 11의 (a)의 S3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는, 커플링 부재(86), 핀(88), 구동측 플랜지(87), 규제 부재(89)를 갖는다. 여기서, 커플링 부재(86)는 본체측 걸림결합부(14)와 걸림결합하여 회전력을 받는다. 그리고, 핀(88)은, 실질적으로 원주 형상(또는 원통 형상)의 축부로서, 축선 L1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핀(88)은, 커플링 부재(86)로부터 회전력을 받고, 그 회전력을 구동측 플랜지(87)로 전달한다. 또한 구동측 플랜지(87)는, 핀(88)으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그 회전력을 드럼(62)에 전달한다. 규제 부재(89)는, 구동측 플랜지(87)로부터 핀(88)이 탈락하지 않도록 규제한다.
도 10을 이용하여 각 구성 부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플링 부재(8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유 단부(86a), 결합부(86c)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86c)에는, 관통 구멍으로서의 구멍부(8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부(86b)(의 내측(내벽))에, 회전력을 핀(88)으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86b1)와, 커플링 부재(86)가 구동측 플랜지(87)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핀(88)과 접촉하는 제1 탈락 규제부(86p1)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측 플랜지(87)는, 피고정부(87b), 수납부(87i), 기어부(87c: 헬리컬 기어, 또는, 스퍼 기어), 피지지부(87d)를 갖는다. 여기서, 피고정부(87b)는, 드럼(62)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또한, 수납부(87i)는, 구동측 플랜지(87)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수납부(87i)는, 그 내부에 커플링 부재(87)의 결합부(86c)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핀(88)이 수납부(87i)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어부(87c)는, 현상 롤러(3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분이다. 또한, 피지지부(87d)는, 베어링 부재(76)의 지지부(76a)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이들은, 드럼(62)의 회전축선 L1과 동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측 플랜지(87)는, 그 회전축선 L1을 따라 보았을 때, 각각 축선 L1 주위로 약 180°위상의 어긋남, 축선 L1의 방향으로 관통한 한 쌍의 구멍부(87e)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한 쌍의 구멍부(87e)는, 축선 L1을 사이에 두고 축선 L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측 플랜지(87)는, 축선 L1을 따라 수납부(87i) 측에서 보았을 때, 구멍부(87e)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으며, 축선 L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누락 방지부(87f)를 갖는다. 또한, 구동측 플랜지(87)는, 축선 L1을 따라 수납부(87i) 측에서 보았을 때 누락 방지부(87f)의 배후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핀(88)으로부터 회전력을 받는 한 쌍의 회전력 피전달부(87g)를 갖는다.
또한, 구동측 플랜지(87)에는, 커플링 부재(86)가 비구동측(드럼(62)의 길이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길이 규제부(87h)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측 플랜지(87)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 수지제이며, 그 재질은, 폴리아세탈,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이다. 단, 드럼(62)을 회전하기 위한 부하 토크에 따라, 구동측 플랜지(87)를 금속제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측 플랜지(87)는, 현상 롤러(3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부(87c)를 갖는다. 그러나, 현상 롤러(32)의 회전은, 특히 구동측 플랜지(87)를 통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에는, 기어부(87c)는 없앨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구동측 플랜지(87)에 기어부(87c)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기어부(87c)를 구동측 플랜지(87)와 일체 성형할 수 있다.
규제 부재(89)는, 원반 형상인 기초부(89a), 기초부(89a)로부터 축선 L1과 대략 평행하게 돌출하고, 기초부의 축선 주위로 약 180°위상이 어긋난 한 쌍의 돌출부(89b)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규제 부재(89)(한 쌍의 돌출부(89b))는 축선 L1을 따라 피구동측으로부터 구동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측 플랜지에 삽입된다.
또한 각 돌출부(89b)는, 각각, 길이 규제부(89b1), 회전 규제부(89b2)를 갖는다.
도 11을 이용하여 각 구성 부품의 지지 방법과 연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핀(88)은, 누락 방지부(87f)와 길이 규제부(89b1)에 의해 드럼(62)의 길이 방향(축선 L1)의 위치가, 회전력 피전달부(87g)와 회전 규제부(89b2)에 의해 드럼(62)의 회전 방향 위치가 규제된다. 이에 의해, 핀(88)이 구동측 플랜지(87)와 규제 부재(89)에 의해 지지(유지)된다. 다시 말하면, 핀(88)의 양단의 각각은, 돌출부(89b)의 선단과 누락 방지부(87f)와 회전력 피전달부(87g)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한 커플링 부재(86)는, 결합부(86c)가 수납부(87i)에 접촉함으로써 구동측 플랜지(87)의 축선 L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결합부(86c)가 길이 규제부(87h)에 접촉함으로써 구동측으로부터 비구동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제1 탈락 규제부(86p1)와 핀(88)이 접촉함으로써, 커플링 부재(86)의 비구동측으로부터 구동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86)는 구동측 플랜지(87)와 핀(88)에 연결된다.
도 12를 이용하여 구동측 플랜지 유닛 U2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88)을 커플링 부재(86)의 관통 구멍인 구멍부(86b)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88)의 양단을 구동측 플랜지(87)의 한 쌍의 구멍부(87e)에 (축선 L1을 따라) 삽입한다.
그 후,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와 핀(88)을 구동측 플랜지(87)의 축선 L1 주위(X4 방향)로 회전함으로써, 핀(88)의 양단을 한 쌍의 누락 방지부(87f)의 배후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구멍부(87e)에 규제 부재(89)의 한 쌍 돌출부(89b)를 삽입하고, 이 상태 그대로, 규제 부재(89)를 구동측 플랜지(87)에 용착이나 접착에 의해 고정한다.
(7) 커플링 부재(86)의 경사(틸팅) 동작의 설명
도 1을 이용하여, 커플링 부재(86)의 경사(틸팅)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커플링 부재(86)(축선 L2를 포함함) 축선 L1에 대하여 경사(틸팅)진 모습의 설명도이다. 도 1의 (a1)(a2)는, 커플링 부재(86)가 경사(틸팅)진 상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B의 사시도, 도 1의 (b1)은 도 1의 (a1)의 S4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1의 (b2)는 도 1의 (a2)의 S5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이용하여, 커플링 부재(86)가 결합부(86c)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경사(틸팅)진 모습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1)(b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는 축선 L1에 대하여, 결합부(86c)의 구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핀(88)의 축선 주위로, 자유 단부(86a)와 베어링 부재(76)의 회전 규제부(76c)가 접촉할 때까지 경사 가능(틸팅 가능)하다.
또한, 도 1의 (a2)(b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는 축선 L1에 대하여 결합부(86c)의 구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핀(88)의 축선과 직교하는 축 주위로, 자유 단부(86a)와 베어링 부재(76)의 회전 규제부(76c)가 접촉할 때까지 경사(틸팅) 가능하다.
또한, 핀(88)의 축선 주위의 경사(틸팅)와 핀(88)의 축선과 직교하는 축 주위의 경사(틸팅)를 합성함으로써, 전술에서 설명한 경사(틸팅)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도 커플링 부재(86)는 경사(틸팅) 가능하다.
이와 같이, 커플링 부재(86)는, 축선 L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전체 방향에 걸쳐 경사(틸팅) 가능하다. 즉, 커플링 부재(86)는, 축선 L1에 대하여 어떤 방향으로도 경사(틸팅) 가능하다. 나아가, 커플링 부재(86)는 축선 L1에 대하여 어떤 방향으로도 요동 가능하다. 나아가, 커플링 부재(86)는, 축선 L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전체 방향에 걸쳐 선회 가능하다. 여기서, 커플링 부재(86)의 선회란, 경사(틸팅)진 축선 L2가 축선 L1 주위로 회전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3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치수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3의 (a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 단부(86a)의 직경을 φZ1, 결합부(86c)의 구경을 φZ2, 이음부(86g)의 직경을 φZ3이라 한다.
또한, 본체측 걸림결합부(14) 선단의 구형상의 직경을 φZ4, 회전력 부여부(14b)의 길이를 Z5라 한다.
도 13의 (a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88)의 직경을 φZ6으로 한다.
도 13의 (b1)(b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의, 핀(88)의 축선 주위의 경사(틸팅) 가능량을 θ1, 핀(88)의 축선과 직교하는 축 주위의 경사(틸팅) 가능량을 θ2로 한다.
이때, 예를 들어 φZ1=φ17.4㎜, φZ2=φ15㎜, φZ3=φ10㎜, φZ4=φ10.35㎜, Z5=14.1㎜, φZ6=φ3㎜, θ1=θ2=36.8°로 하였다.
상기 치수에 의해, 커플링 부재(86)는 본체측 걸림결합부(14)에 걸림결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커플링 부재(86)는 본체측 걸림결합부(14)로부터 이탈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치수는 일례로서, 그 밖의 치수에서도 마찬가지의 동작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상기 치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 및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핀(88)을, 누락 방지부(87f)와 길이 규제부(89b1)에 의해 길이 방향의 위치를, 회전력 피전달부(87g)와 회전 규제부(89b2)(도 10 참조)에 의해 회전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고, 구동측 플랜지(87)와 규제 부재(89)로 지지하였다.
또한, 결합부(86c)와 수납부(87i)의 접촉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구동측 플랜지(87)의 축선과 수직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였다. 그리고, 결합부(86c)와 길이 규제부(87h)의 접촉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구동측으로부터 비구동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였다. 또한, 제1 탈락 규제부(86p1)와 핀(88)의 접촉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비구동측으로부터 구동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였다.
이와 같이 커플링 부재(86)를 구동측 플랜지(87)와 핀(88)에 연결하였다.
이에 의해, 회전력 피전달 부재(86)에 설치한 개구부의 내연에서 커플링 부재(86)의 경사(틸팅) 가능량을 제한하지 않고, 커플링 부재(86)가 구동측 플랜지(87)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경사(틸팅)진 상태의 커플링 부재(86)의 이음부(86g)에 대하여 구동측 플랜지(87)의 형상을 놓칠 수 있다. 따라 종래 구성보다 커플링(86)의 경사(틸팅) 가능량을 크게 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커플링 부재(86)의 경사(틸팅) 가능량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음부(86g)의 축선 L2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비틀림이 억제되어, 회전 전달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커플링 부재(86)의 경사(틸팅) 가능량을 크게 하는 대신에, 그 스페이스분만큼 이음부(86g)를 굵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커플링 부재(86)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비틀림이 억제되어, 회전 전달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기능,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그들만으로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히 다시 기재하지 않는 한은, 재질, 형상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부재(86)를, 구동측 플랜지(287)와 핀(88)에 연결하는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 부재(89)를 이용하지 않고, 구동측 플랜지(287)만으로 핀(88)을 지지하는 점이 상이하다.
도 14를 이용하여, 구동측 플랜지(287)가 핀(88)을 지지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a)는, 구동측 플랜지(287)에 커플링(86)과 핀(88)을 조립하기 전의 사시도이다.
도 14의 (b)는, 조립 후의 구동측 플랜지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14의 (c)는 도 14의 (b)의 S6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14의 (d)는 도 14의 (b)의 S7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플랜지(287)에는 그 회전축선 주위로 약 180°위상이 어긋난 한 쌍의 오목부(287k)가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한 쌍의 오목부(287k)는 축선 L1을 사이에 두고 수납부(287i) 측으로부터 드럼(62) 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핀(88)을 커플링 부재(86)의 구멍부(86b)에 통과시킨 상태에서, 핀(88)의 양단을 오목부(287k)에 삽입하고, 오목부(287k)의 입구에 열 코오킹이나 수지의 주입 등에 의해, 누락 방지부(287m)를 형성한다(도 14의 (b)).
이에 의해, 도 14의 (b)(c)(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88)은, 오목부(287k)와 누락 방지부(287m)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고, 구동측 플랜지(287)로 지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 부재(89)를 이용하지 않고, 구동측 플랜지(287)만으로 핀(88)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의해,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비용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히 다시 기재하지 않는 한은, 재질, 형상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가, 드럼(62)의 회전축선 L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전체 방향에 걸쳐 경사(틸팅) 가능한 점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부재의 형상과, 커플링 부재의 결합부의 구 중심이 드럼(62)의 회전축선 L1 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부의 최대 외경부가, 구동측 플랜지의 수납부(87i)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점이,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5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커플링 부재(386)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a)는 커플링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5의 (b)는 도 15의 (a)의 S8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플링 부재(386)는, 제1 탈락 규제부(386p1), 제2 탈락 규제부(386p2)를 전술한 실시예보다도 자유 단부(386a)로부터 먼 위치에 설치하였다.
또한,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탈락 규제부(386p3)를 대략 평면으로 하고, 전술한 실시예보다도 결합부(386c)의 중심으로부터 먼 위치에 설치하였다.
다음으로 도 16, 도 17을 이용하여, 커플링 부재(386)가 축선 L1 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부(386c)의 최대 외경부가 수납부(87i)로부터 돌출(이탈)하면서, 커플링 부재(386)가 축선 L1에 대하여 경사(틸팅)진 모습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커플링 부재(386)가 축선 L1에 대하여, 핀(88)의 축선 주위로 경사(틸팅)진 상태의 도면이며, 도 17은, 핀(88)의 축선과 직교하는 축 주위로 경사(틸팅)진 상태의 도면이다.
우선 도 16을 이용하여, 커플링 부재(386)가 축선 L1에 대하여, 핀(88)의 축선 주위로 경사(틸팅)진 모습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15)에 가압되면, 커플링 부재(386)는, 핀(88)의 축선 주위로, 자유 단부(386a)와 베어링 부재(76)의 회전 규제부(76c)가 접촉할 때까지 경사(틸팅)진다.
이때, 결합부(386c)의 최대 외경부는 수납부(87i)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커플링 부재(386)는, 결합부(386c)와 수납부(87i)의 접촉에 의해, 축선 L1 직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플링 부재(386)의 형상에서는, 커플링 부재(386)의 제3 탈락 규제부(386p3)와 핀(88)의 사이에 간극이 빈다.
다음으로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386)는, 제3 탈락 규제부(386p3)가 핀(88)에 접촉할 때까지, 축선 L1 방향(X5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하면, 자유 단부(386a)와 베어링 부재(76)의 회전 규제부(76c)의 사이에 간극이 빈다.
그리고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386)는 핀(88)의 축선 주위로, 자유 단부(386a)와 베어링 부재(76)의 회전 규제부(76c)가 접촉할 때까지 더 경사(틸팅)진다.
또한, X5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결합부(386c)의 구 중심의 위치가 구동측 플랜지(87)의 수납부(87i)의 단부보다도 구동측이 된다. 즉, 결합부(386c)의 최대 외경부가 수납부(87i)의 외측으로 돌출된다(이격된다).
그렇게 하면 결합부(386c)와 수납부(87i)의 간극(여유)이 커진다.
그리고, 도 1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386)는 결합부(386c)가 수납부(87i)에 접촉할 때까지, X6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하면 재차, 자유 단부(386a)와 베어링 부재(76)의 회전 규제부(76c)의 사이에 간극이 빈다. 이에 의해 도 16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386)는 축선 L1에 대하여 핀(88)의 축선 주위로, 자유 단부(386a)와 베어링 부재(76)의 회전 규제부(76c)가 접촉할 때까지 더 경사(틸팅)진다.
다음으로 도 17을 이용하여, 커플링 부재(386)가 축선 L1에 대하여, 핀(88)의 축선과 직교하는 축 주위로 경사(틸팅)진 모습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15)에 가압되면, 커플링 부재(386)는 핀(88)의 축선과 직교하는 축 주위로, 자유 단부(386a)와 베어링 부재(76)의 회전 규제부(76c)가 접촉할 때까지 경사(틸팅)진다.
이때, 결합부(386c)의 최대 외경부는 수납부(87i)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커플링 부재(386)는 결합부(386c)와 수납부(87i)의 접촉에 의해, 축선 L1 직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플링 부재(386)의 형상에서는, 커플링 부재(386)의 제1 탈락 규제부(386p1)와 핀(88)의 사이에 간극이 빈다.
다음으로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386)는 제1 규제부(386p1)가 핀(88)에 접촉할 때까지, 축선 L1 방향(X7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하면, 자유 단부(386a)와 베어링 부재(76)의 회전 규제부(76c)의 사이에 간극이 빈다.
그리고 도 1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386)는 축선 L1에 대하여 핀(88)의 축선과 직교하는 축 주위로, 자유 단부(386a)와 베어링 부재(76)의 회전 규제부(76c)가 접촉할 때까지 더 경사(틸팅)진다.
또한 도 16의 X5 방향의 이동과 마찬가지로, 이 X7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결합부(386c)의 구 중심의 위치가 구동측 플랜지(87)의 수납부(87i)의 단부보다도 구동측이 된다. 즉, 결합부(386c)의 최대 외경부가 수납부(87i)의 외측으로 돌출된다(이격된다).
그렇게 하면, 결합부(386c)와 수납부(87i)의 간극(여유)이 커진다(도 16의 (c)와 마찬가지. 도 17에서는 핀(88)의 배면으로 되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함).
그리고, 도 1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386)는 결합부(386c)가 수납부(87i)에 접촉할 때까지, X8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하면 재차, 자유 단부(386a)와 베어링 부재(76)의 회전 규제부(76c)의 사이에 간극이 빈다.
이에 의해 도 17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386)는 축선 L1에 대하여, 핀(88)의 축선과 직교하는 축 주위로, 자유 단부(386a)와 베어링 부재(76)의 회전 규제부(76c)가 접촉할 때까지 더 경사(틸팅)진다.
요약하면, 축선 L1의 방향으로 커플링 부재(386)가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결합부(386c)의 적어도 일부가, 여유(넉넉함)를 갖고서 수납부(87i)에 수납되어 있으면 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보다 커플링 부재(386)의 경사(틸팅) 가능량을 크게 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가 더 향상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보다 커플링 부재(386)의 경사(틸팅) 가능량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음부(386g)의 축선 L32 방향의 길이를 더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386)의 강성이 더 높아지기 때문에, 비틀림이 더 억제되어, 회전 전달 정밀도가 더 향상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보다 커플링 부재(386)의 경사(틸팅) 가능량을 크게 하는 대신에, 그 스페이스분만큼 이음부(386g)를 더 굵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커플링 부재(386)의 강성이 더 높아지기 때문에, 비틀림이 더 억제되어, 회전 전달 정밀도가 더 향상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히 다시 기재하지 않는 한은, 재질, 형상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가, 드럼(62)의 회전축선 L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전체 방향에 걸쳐 경사(틸팅) 가능한 점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부재와 구동측 플랜지와 규제 부재의 형상이,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8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커플링 부재(486)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의 (a)는 커플링 부재(486)의 사시도이며, 도 18의 (b)는 도 18의 (a)의 S9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18의 (c)는 도 18의 (a)의 S10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플링 부재(486)는, 축선 L42 방향으로 회전력 수용부(486e1 내지 486e4) 측으로부터 관통 구멍으로서의 구멍부(486b)까지 관통한 그 밖의 관통 구멍(제1 구멍부)인 구멍부(486i)를 갖는다.
또한 커플링 부재(486)는, 구멍부(486i)의 내부에 축선 L4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신한 리브인 리브(486n)를 갖는다.
또한 커플링 부재(486)는, 축선 L42 방향의 회전력 수용부(486e1 내지 486e4)와 반대측의 단부에, 대략 구형상의 결합부(486c)의 그 밖의 부분보다도 오목한 부분인 피틸팅 규제부(486r)를 갖는다.
이 피틸팅 규제부(486r)는 평면부이다.
다음으로 도 19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구동측 플랜지(487)와 규제 부재(489)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의 (a)(b)는 구동측 플랜지(487)와 규제 부재(489)의 사시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플랜지(487)는 그 축선 방향을 따라, 수납부(487i)와는 반대측으로 관통한 플랜지 관통 구멍(제2 구멍부)인 구멍부(487p)를 갖는다. 또한, 규제 부재(489)는, 그 축선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부(489c)를 갖는다.
도 20을 이용하여 구동측 플랜지 유닛 U42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의 (a) 내지 (c)는 구동측 플랜지 유닛 U42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이다.
우선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486)를 제1 조립 지그(91)에 대한 위상 맞춤을 위해 축선 L42 주위로 회전하면서, 커플링 부재(486)의 구멍부(486i)를 제1 조립 지그(91)에 삽입한다. 그러자, 제1 조립 지그(91)의 위상 규제부(91a)와 리브(486n)가 걸림결합하고, 제1 조립 지그(91)에 대한 커플링 부재(486)의 위상을 규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88)을 커플링 부재(486)의 구멍부(486b)에 통과시킨다(축부 삽입 공정). 그리고, 커플링 부재(486)의 제1 탈락 규제부(486p1)와 제1 조립 지그(91)의 유지부(91b)의 사이에서 끼워 넣어 핀(88)을 유지한다(축부 지지 공정).
그 후, 도 2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커플링 부재(486)의 단부와 핀(88)을 함께, 구동측 플랜지(487)의 수납부에 삽입한다. 이때, 핀(88)의 양단을 구동측 플랜지(487)의 한 쌍의 구멍부(487e)에 삽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도 20의 (b)에 도시한 핀(88)을 커플링 부재(486)의 구멍부(486b)에 통과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486)의 위상이 결정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핀(88)을 구멍부(486b)에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0의 (c)에 도시한 핀(88)을 커플링 부재(486)와 함께 유지한 상태에서, 핀(88)의 양단을 구동측 플랜지(487)의 한 쌍의 구멍부(487e)에 삽입하는 공정(커플링 부재 삽입 공정)에 있어서, 핀(88)이 제1 탈락 규제부(486p1)와 유지부(91b)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로 인해, 핀(88)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로부터 구동측 플랜지 유닛 U42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도 21을 이용하여 구동측 플랜지 유닛 U42 상태에 있어서의 커플링 부재(486)의 틸팅 동작의 규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의 (a)는 구동측 플랜지 유닛 U42의 단면도이며, 도 21의 (b)(c)는 구동측 플랜지 유닛 U42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구동측 플랜지 유닛 U42 상태에 있어서, 제2 조립 지그(92)를 구멍부(487p)에 삽입하고, 평면 형상인 가압부(92a)를 피틸팅 규제부(486r)에 가압하면, 커플링 부재(486)의 축선 L42와 구동측 플랜지(487)의 축선이 일치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커플링 부재(486)의 틸팅 동작을 규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측 플랜지 유닛 U42는, 반송 시에 커플링 부재(486)의 경사(틸팅)에 의한 자세 변화에 의해, 커플링 부재(486)가 조립 장치와 간섭하여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보다 구동측 플랜지 유닛 U42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피틸팅 규제부(486r)와 가압부(92a)의 형상은,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피틸팅 규제부(486r)가 오목한 원추면이며, 가압부(92a)가 원추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피틸팅 규제부(486r)와 가압부(92a)의 형상은, 도 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피틸팅 규제부(486r)가 원추면이며, 가압부(92a)가 오목한 원추면이어도 된다.
즉 피틸팅 규제부(486r)는, 대략 구형상인 결합부(486c)의 다른 부분보다 오목해 있으며, 제2 조립 지그(92)에 가압됨으로써, 커플링 부재(486)의 틸팅 동작을 규제할 수 있는 형상이면, 자유롭게 선택하여도 된다.
(실시예 5)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4에 있어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치 본체에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고정된 상측 가이드와, 장치 본체에 설치된 가동식의 하측 가이드에 의해, 커플링 부재를 사이에 끼움으로써, 커플링 부재를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 경사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1의 도 80에 기재된 종래의 구성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착탈 시의 카트리지의 자세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고정된 상측 가이드의 위치가 움직이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의 경사 방향에 다소의 어긋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로 인해, 착탈 시에 카트리지의 자세가 기울어도, 커플링 부재와 본체측 걸림결합부를 걸림결합 가능하도록, 구성 부품의 치수 정밀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었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은 구성을 더 발전시키는 것이며, 장치 본체에 설치된 본체측 걸림결합부에 대하여,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에 설치한 커플링 부재를 경사시켜서, 커플링 부재와 본체측 걸림결합부의 걸림결합을 행하는 장치 본체에 있어서, 보다 안정된 커플링 부재와 본체측 걸림결합부의 걸림결합이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는,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ⅰ) 회전 가능한 본체측 걸림결합부를 갖는 장치 본체와,
(ⅱ) 상기 본체측 걸림결합부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소정 방향을 따라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ⅱ-ⅰ) 회전 가능한 회전체와, (ⅱ-ⅱ)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상기 본체측 걸림결합부로부터 받기 위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틸팅 가능한 커플링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와,
(ⅲ)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과정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커플링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 틸팅시키기 위해, 적어도 한쪽이 가동 상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된 제1 및 제2 가이드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장치 본체에 설치된 본체측 걸림결합부에 대하여,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에 설치한 커플링 부재를 경사시켜서, 커플링 부재와 본체측 걸림결합부의 걸림결합과 이탈을 행하는 장치 본체에 있어서, 보다 안정된 커플링 부재와 본체측 걸림결합부의 걸림결합이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설명을 행한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B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드럼 유닛 U1을 클리닝 유닛(60)에 내장하는 모습의 설명도이다.
도 25는, 커플링 부재(86)가 축선 L1에 대하여 경사(틸팅)진 모습의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부재(76)의 형상 일부가 실시예 1과 상이하다. 즉, 실시예 1과 같이 가이드부(76b)를 설치하지 않고, 커플링 부재(86)가 상방으로 자유롭게 선회(틸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이외의 부분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베어링 부재(76)에는, 드럼 유닛 U1과 동축에 원통부(76d)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장치 본체 A에 대한 카트리지 B의 착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장치 본체 A에 카트리지 B를 착탈하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 A에는 개폐 도어(13)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개폐 도어(13)를 열면, 구동측에, 본체측 걸림결합부(14), 제1 가이드 레일(12a), 제2 가이드 레일(12b), 제1 가이드(고정 가이드)로서의 하측 가이드(300a), 제2 가이드(가동 가이드)로서의 상측 가이드(310) 등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가이드 레일(12a)과 제2 가이드 레일(12b)은 카트리지 B를 장치 본체 A 내에 안내하는 것이다. 특히, 제1 가이드 레일(12a)은,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에 대하여 장착 또는 분리될 때의 커플링 부재(86)의 이동 경로를 구성한다.
또한, 본체측 걸림결합부(14)는, 회전력 부여부(14b)(도 22 참조)를 갖고, 커플링 부재(86)와 걸림결합하여 커플링 부재(86)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또한, 본체측 걸림결합부(14)는, 회전 가능하게 장치 본체 A에 지지되고, 그 회전축선 방향이나,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장치 본체 A에 지지되어 있다.
장치 본체 A의 개폐 도어(13)를 개방한 후, 카트리지 B를 도면 중 화살표 X1 방향에 장착한다.
도 22, 및 도 27 내지 도 29를 이용하여, 장치 본체 A의 카트리지 구동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장치 본체 A의 구동부의 사시도, 도 27은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28은 구동부의 일부 확대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한 S6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카트리지 구동부는, 본체측 걸림결합부(14), 측판(350), 홀더(300), 구동 기어(35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측 걸림결합부(14)의 구동축(14a)는 구동 기어(355)에 대하여 도시를 생략한 수단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구동 기어(355)가 회전하면, 본체측 걸림결합부(14)도 회전한다. 또한, 구동축(14a)는 그 양단부를 홀더(300)의 베어링부(300d)와, 베어링(35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7,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352)는 제2 측판(351)에 부착되고, 그 회전축에는 피니언 기어(353)가 설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53)는 구동 기어(355)에 맞물려 있다. 그로 인해, 모터(352)가 회전하면, 구동 기어(355)가 회전하고, 본체측 걸림결합부(14)도 회전한다.
제2 측판(351)과 홀더(300)는 각각 측판(35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22,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320)는 카트리지 가이드부(320f)와, 커플링 가이드부(320g)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가이드 레일(12a) 및 제2 가이드 레일(12b)을 구성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320)도 측판(350)에 고정되어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300)에는, 제1 가이드(고정 가이드)로서의 하측 가이드(300a), 회동축(300b), 스토퍼(300c)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축(300b)에는, 제2 가이드(가동 가이드)로서의 상측 가이드(31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가압 부재(탄성 부재)로서의 가압 스프링(315)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 N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도 27 참조). 이때, 상측 가이드(310)는 스토퍼(300c)에 접촉하고 있으며, 도면 중 화살표 N 방향의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이때의 상측 가이드(310)의 위치를 작용 위치라 칭한다. 또한, 하측 가이드(300a)는, 상측 가이드(310)를 향해 돌출된 볼록부를 갖는다.
도 30 내지 도 32를 이용하여, 카트리지 B의 장치 본체 A에의 장착 및 위치 결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 30 및 도 31에서는 위치 결정에 필요한 부품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커플링 부재(86)가 경사(틸팅)진 동작을 수반하면서,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장착되는 모습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0 내지 도 32는 장치 본체 A의 외측에서 본 도면이며,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장착되는 모습을 순서대로 나타내고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320)에는, 인입 스프링(356)이 설치되어 있다. 인입 스프링(356)은 가이드 부재(320)의 회동축(320c)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스토퍼(320d, 320e)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인입 스프링(356)의 작용부(356a)는 도면 중 화살표 J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B를 장치 본체 A에 장착할 때에는, 제1 가이드 레일(12a)에 카트리지 B의 원통부(76d)(도 24도 참조)를 제2 가이드 레일(12b)에 카트리지 B의 회전 멈춤 보스(71c)를 따르게 하도록 삽입한다(도 24도 참조). 이때, 카트리지 B의 원통부(76d)가 가이드 부재(320)의 카트리지 가이드부(320f)에 접촉하도록, 커플링(86)은 커플링 가이드 부재(320g)에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카트리지 B를 도면 중 화살표 X2 방향으로 삽입해 가면,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B의 원통부(76d)와, 인입 스프링(356)의 작용부(356a)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작용부(356a)는 도면 중 화살표 H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그 후, 카트리지 B는 소정의 위치(장착 완료 위치)에 장착된다(도 32 참조). 이때, 카트리지 B의 원통부(76d)가 가이드 부재(320)의 위치 결정부(320a)에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카트리지 B의 회전 멈춤 보스(71c)가 가이드 부재(320)의 위치 결정면(320b)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장치 본체 A에 대하여 카트리지 B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때, 인입 스프링(356)의 작용부(356a)는, 카트리지 B의 원통부(76d)를 도면 중 화살표 G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며, 카트리지 B의 원통부(76d)와 가이드 부재(320)의 위치 결정부(320a)의 접촉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B는 장치 본체 A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가 결정된다.
도 33 내지 도 40을 이용하여, 커플링 부재(86)가 경사(틸팅)진 동작을 수반하면서,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장착되는 모습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커플링 부재(86)가 경사(틸팅)지는 데 필요한 부품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 33 내지 도 40은,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장착되는 모습을 순서대로 나타내고 있다. 도 33 내지 도 40의 (b)는 장착 모습을 장치 본체 A의 외측(측면)에서 본 개략도, 도 33 내지 도 40의 (a)는 도 33의 (b)에 도시한 화살표 M 방향을 따라 본 개략도이다. 또한,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일부 부품을 생략하였다.
도 33은 카트리지 B를 장치 본체 A에 장착하기 시작한 상태이다. 이때, 커플링 부재(86)는 중력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이때의 상측 가이드(310)는 적어도 그 일부가, 커플링 부재(86)의 이동 경로에 진입한 상태(작용 위치)에 있다.
도 34는 그 후의 상태이며, 카트리지 B를 도면 중 화살표 X2 방향으로 삽입하면,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와 홀더(300)의 하측 가이드(300a)의 제1 가이드부(300a1)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86)가 장착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경사(틸팅)져 있다.
도 35는 그 후의 상태이며, 또한 카트리지 B를 X2 방향으로 삽입하면,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가 하측 가이드(300a)의 제2 가이드부(300a2)와 접촉하고, 커플링 부재(86)는 도면 중 화살표 X3 방향으로 경사(틸팅)진다. 즉, 커플링 부재(86)는, 상측 가이드(310) 쪽(상방)으로 경사(틸팅)진다.
이때, 커플링 부재(86)는 선회 운동을 하고 있으며, 도 35의 (a)와 같이 상방에서 보면, 축선 L2가 축선 L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틸팅하고 있다.
즉, 도 34로부터 도 35의 상태로 이행할 때, 커플링 부재(86)는, X3 방향의 경사(틸팅) 동작과 함께 X2 방향 하류측으로의 경사(틸팅) 동작도 행한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86)가 그 밖의 부재와의 마찰 등에 의해 장착 방향 상류측(X2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틸팅)져 있는 경우(도 34)라도, 하측 가이드(300a)의 제2 가이드부(300a2)와의 접촉에 의해, 축선 L2가 축선 L1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X2 방향 하류측으로 틸팅된다. 즉, 상방에서 보았을 때, 제2 가이드부(300a2)와의 접촉에 의해 축선 L1에 대한 축선 L2의 경사량이 적어지도록 커플링 부재(86)가 이동한다.
도 36은, 또한 카트리지 B를 X2 방향으로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가 상측 가이드(310)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접촉에 의해 상측 가이드(310)는, 스프링의 도면 중 화살표 N 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면 중 화살표 Q 방향으로 회동해 간다. 그 결과, 상측 가이드(310)가, 커플링 부재(86)의 이동 경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퇴 위치를 취한다.
도 37은, 또한 카트리지 B를 X2 방향으로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는 하측 가이드(300a)의 제3 가이드부(300a3)와, 상측 가이드(310)의 작용면(310a)의 사이에 끼워진다. 이때, 자유 단부(86a)에는, 상측 가이드(310)의 작용면(310a)으로부터 가압력 F1이 작용한다. 이때, 가압력 F1 중 제3 가이드부(300a3)와 평행 방향의 성분은, 분력 F12이다. 이 분력 F12에 의해, 커플링 부재(86)는 장착 방향(X2 방향) 하류측으로 완전히 경사(틸팅)지고, 도 38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다시 말하면, 상측 가이드(310)가, 가압 스프링(315)의 탄성력에 의해 후퇴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커플링 부재(86)를 장착 방향(X2 방향) 하류측으로 경사(틸팅)시킨다.
도 39는, 또한 카트리지 B를 X2 방향으로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커플링 부재(86)의 개구부(86m)가 본체측 걸림결합부(14)에 덮이려 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40은, 또한 카트리지 B를 삽입하여, 카트리지 B가 장착 완료 위치까지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드럼(62)의 축선 L1, 커플링 부재(86)의 축선 L2, 본체측 걸림결합부(14)의 축선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와 같이, 커플링 부재(86)와 본체측 걸림결합부(14)가 결합함으로써, 회전력을 전달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부재(86)를 장착 방향(X2 방향) 하류측으로 경사(틸팅)시킬 때, 장치 본체 A에 설치한 하측 가이드(300a)와 장치 본체 A에 설치한 상측 가이드(310)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에 힘을 작용시키고 있다.
그로 인해, 카트리지 B가 가이드 레일의 안에서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드럼(62)의 회전축선 L1 주위로 회전하여도, 커플링 부재(86)는 장치 본체 A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다. 다시 말하면, 장착 과정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B의 자세에 관계없이, 커플링 부재(86)가 장치 본체 A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커플링 부재(86)와 본체측 걸림결합부(14)가 안정된 걸림결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B의 장착 도중에 하측 가이드(300a)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를 상측(X3 방향)으로 틸팅시킴과 함께, X2 방향 하류측으로도 틸팅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커플링 부재(86)의 축선 L2를 드럼(62)의 축선 L1에 접근하도록 틸팅시키고 있기 때문에, 커플링 부재(86)의, 상측 가이드(310)로부터의 가압력 F1에 의한 X2 방향 하류측으로의 틸팅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즉, 가동 부재인 상측 가이드(310)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설계의 자유도가 올라감과 함께, 부품을 소형화하여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장치 본체 A로부터 카트리지 B를 분리할 때에는, 장착 동작과 반대로 커플링 부재(86)가 축선 L1에 대하여 경사(틸팅)짐으로써, 본체측 걸림결합부(14)로부터 이탈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 가이드(310)는 카트리지 B가 장착 완료 위치에 있을 때, 커플링 부재(86)에 대하여 간극이 비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측 가이드(310)와의 접촉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회전 부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기능,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그들만으로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장치 본체에는,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의 커플링 부재 및 회전력 피전달 부재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6)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5와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히 다시 기재하지 않는 한은, 재질, 형상 등은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이다. 그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1에서 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41은 구동부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커플링 부재(86)를 경사(틸팅)시키는 장치 본체 A의 구성이 상이하다.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340)에는, 제1 가이드(고정 가이드)로서의 상측 가이드(340a), 회동축(340b), 스토퍼(340c)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축(340b)에는, 제2 가이드(가동 가이드)로서의 하측 가이드(36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가압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 K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때, 하측 가이드(360)는 스토퍼(340c)에 접촉하고 있으며, 도면 중 화살표 K 방향의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또한, 상측 가이드(340a)는, 하측 가이드(360) 쪽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갖는다.
도 42 내지 도 48을 이용하여, 커플링 부재(86)가 틸팅하는 동작을 수반하면서,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장착되는 모습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2 내지 도 48은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장착되는 모습을 순서대로 나타내고 있다. 도 42 내지 도 48의 (b)는 장착 모습을 장치 본체 A의 외측(측면)으로부터 본 개략도, 도 42 내지 도 48의 (a)는 도 42의 (b)에 도시한 화살표 M 방향을 따라 본 개략도이다. 또한,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일부 부품을 생략하였다.
도 42는 카트리지 B를 장치 본체 A에 장착하기 시작한 상태이다. 이때, 커플링 부재(86)는,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이때의 하측 가이드(360)는, 그 일부가, 커플링 부재(86)의 이동 경로에 진입한 상태(작용 위치)이다.
도 43은 그 후의 상태이며, 카트리지 B를 도면 중 화살표 X2 방향으로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가, 홀더(340)의 상측 가이드(340a)의 제1 가이드부(340a1)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86)가 장착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경사(틸팅)진다.
도 44는 그 후의 상태이며, 또한 카트리지 B를 X2 방향으로 삽입하면,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가 상측 가이드(340a)의 제2 가이드부(340a2)와 접촉하고, 커플링 부재(86)는 도면 중 화살표 X4 방향으로 경사(틸팅)진다. 즉, 커플링 부재(86)는, 하측 가이드(360) 쪽(하방)으로 경사(틸팅)진다.
이때, 커플링 부재(86)는 선회 운동을 하고 있으며, 도 44의 (a)와 같이 상방에서 보면, 축선 L2가 축선 L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틸팅하고 있다.
즉, 도 43으로부터 도 44의 상태로 이행할 때, 커플링 부재(86)는, X4 방향의 경사(틸팅) 동작과 함께, X2 방향 하류측에의 경사(틸팅) 동작도 행한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86)가, 그 밖의 부재와의 마찰 등에 의해 장착 방향 상류측(X2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틸팅)지고 있던 경우이더라도, 상측 가이드(340a)의 제2 가이드부(340a2)와의 접촉에 의해, 축선 L2가 축선 L1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X2 방향 하류측으로 경사(틸팅)시킬 수 있다. 즉, 상방에서 보았을 때, 제2 가이드부(340a2)와의 접촉에 의해 축선 L1에 대한 축선 L2의 경사량이 적어지도록 커플링 부재(86)가 이동한다.
도 45는, 카트리지 B를 X2 방향으로 더욱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는 상측 가이드(340a)의 제3 가이드부(340a3)와, 하측 가이드(360)의 작용면(360a)의 사이에 끼워진다. 이때, 자유 단부(86a)에는, 하측 가이드(360)의 작용면(360a)으로부터 가압력 F2가 작용한다. 이때, 가압력 F2 중 제3 가이드부(340a3)와 평행 방향의 성분이, 분력 F22이다. 이 분력 F22에 의해, 커플링 부재(86)는 장착 방향(X2 방향) 하류측으로 완전히 경사(틸팅)지고, 도 46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다시 말하면, 하측 가이드(360)가 탄성력에 의해 후퇴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커플링 부재(86)를 장착 방향(X2 방향) 하류측으로 경사(틸팅)시킨다.
도 47은, 카트리지 B를 X2 방향으로 더욱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커플링 부재(86)의 개구부(86m)가 본체측 걸림결합부(14)에 덮이려 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48은, 또한 카트리지 B를 삽입하여, 카트리지 B가 장착 완료 위치까지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드럼(62)의 축선 L1, 커플링 부재(86)의 축선 L2, 본체측 걸림결합부(14)의 축선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와 같이, 커플링 부재(86)와 본체측 걸림결합부(14)가 결합함으로써, 회전력을 전달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커플링 부재(86)를 장착 방향(X2 방향) 하류측으로 경사(틸팅)시킬 때, 장치 본체 A에 설치한 상측 가이드(340a)와 장치 본체 A에 설치한 하측 가이드(360)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에 힘을 작용시키고 있다.
그로 인해, 카트리지 B가 가이드 레일의 안에서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드럼(62)의 회전축선 L1 주위로 회전하여도, 커플링 부재(86)는 장치 본체 A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다. 다시 말하면, 장착 과정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B의 자세에 관계없이, 커플링 부재(86)가 장치 본체 A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커플링 부재(86)와 본체측 걸림결합부(14)가 안정된 걸림결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B의 장착 도중에서의 상측 가이드(340a)와의 접촉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가 하측(X4 방향)으로 경사(틸팅)짐과 함께 X2 방향 하류측으로 경사(틸팅)진다.
이와 같이, 미리 축선 L2가 축선 L1과 일치하도록 커플링 부재가 X2 방향 하류측으로 경사(틸팅)져 있다. 그로 인해, 커플링 부재(86)의, 하측 가이드(360)로부터의 가압력 F2에 의한 X2 방향 하류측으로의 경사(틸팅)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즉, 가동 부재인 하측 가이드(360)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설계의 자유도가 올라감과 함께, 부품을 소형화하여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장치 본체 A로부터 카트리지 B를 분리할 때에는, 장착 동작과 반대로 커플링 부재(86)가 축선 L1에 대하여 경사(틸팅)짐으로써, 본체측 걸림결합부(14)로부터 이탈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가이드(360)는 카트리지 B가 장착 완료 위치에 있을 때, 커플링 부재(86)에 대하여 간극이 비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측 가이드(360)와의 접촉에 의해 커플링 부재(86)의 회전 부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기능,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그들만으로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장치 본체에는,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의 커플링 부재 및 회전력 피전달 부재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7)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5와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히 다시 기재하지 않는 한은, 재질, 형상 등은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이다. 그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 5에 대하여, 장치 본체 A의 커플링 부재(86)를 경사(틸팅)시키는 구성이 상이하다.
도 49의 (a)는 구동부의 사시도, 도 49의 (b)는 도 49의 (a)의 S7 평면에서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9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가동 가이드)로서의 상측 가이드(310)에, 장치 본체 A의 내측(도면 중 화살표 X5 방향)을 향함에 따라 하측 가이드(300a)로부터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면(310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가 하측 가이드(300a)와, 상측 가이드(310)의 사이에 끼워지고, 드럼(62)의 축선 L1로부터 장착 방향 하류측(X2 방향)으로 경사(틸팅)졌을 때(도 51 참조)로부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0의 (a)는 카트리지 B의 장착 모습을 장치 본체 A의 외측에서 본 개략도, 도 50의 (b)는 도 50의 (a)의 S8 평면에서 절단한 개략 단면도, 도 51은 도 50의 (a)의 화살표 M 방향을 따라 본 개략도이다. 또한,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일부 부품을 생략하였다.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는 하측 가이드(300a)의 제3 가이드부(300a3)와, 상측 가이드(310)의 경사면(310b)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접촉하고 있다.
이때, 도 5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 단부(86a)에는, 상측 가이드(310)의 경사면(310b)으로부터, 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가압력 F1이 작용한다. 또한 도면에는, 이 가압력 F1을, 본체 내측 방향(X5 방향)의 분력 F13과, 그에 직행하는 방향의 분력 F14로 분해한 각각의 분력을 나타내고 있다.
도 50의 (a)에, 자유 단부(86a)에 작용하는 분력 F14 중 제3 가이드부(300a3)와 평행한 방향의 분력 F15를 나타낸다.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 단부(86a)에는 분력 F15와 분력 F13의 합력 F3이 작용하고, 이 합력 F3이 커플링 부재(86)를 장착 방향(X2 방향) 하류측으로 경사(틸팅)시킨다.
커플링 부재(86)를 경사(틸팅)시키는 경우, 자유 단부(86a)에 작용하는 힘이, 커플링 부재(86)의 축선 L2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때가, 커플링 부재(86)를 회전 중심(도 11 참조) 주위로 경사(틸팅)시키는 모멘트가 커져서, 양호하게 경사(틸팅)시킬 수 있다.
도 5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력 F13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의 합력(도 37, 도 38의 F12)과 비교하여, 합력 F3은, 커플링 부재(86)의 축선 L2에 대하여 보다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 커플링 부재(86)에는, 회전 중심 주위로 경사(틸팅)시키는 모멘트가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 방향(X2 방향) 하류측으로 경사(틸팅) 가능하다.
또한 카트리지 B를 X2 방향으로 삽입하면, 커플링 부재(86)와 본체측 걸림결합부(14)가 걸림결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구성에 의하면 커플링 부재(86)와 본체측 걸림결합부(14)가 보다 안정적으로 걸림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가이드(300a)의 제3 가이드부(300a3)에 장치 본체 A 내측(도면 중 화살표 X5 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측 가이드(310)로부터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면(300e)을 설치하여도 된다.
도 52의 (a)는 구동부의 사시도, 도 52의 (b)는 도 52의 (a)의 S9 평면에서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가 하측 가이드(300a)와, 상측 가이드(310)의 사이에 끼워지고, 드럼(62)의 축선 L1보다 장착 방향 하류측(X2 방향)으로 경사(틸팅)졌을 때(도 54 참조)로부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3의 (a)는 장착 모습을 장치 본체 A 외측에서 본 개략도, 도 53의 (b)는 도 53의 (a)의 S10 평면에서 절단한 개략 단면도, 도 54는 도 53의 (a)의 화살표 M 방향을 따라 본 개략도이다. 또한,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일부 부품을 생략하고 있다.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는 하측 가이드(300a)의 제3 가이드부(300a3)의 경사면(300e)과, 상측 가이드(310)의 작용면(310a)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도 5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 단부(86a)에는, 상측 가이드(310)의 작용면(310a)으로부터 가압력 F1이 작용한다. 도면에, 이 가압력 F1 중 제3 가이드부(300a3)와 평행 방향의 성분은, 분력 F12이다. 또한, 이 가압력 F1 중 제3 가이드부(300a3)와 수직 방향의 성분은, 분력 F16이다.
도 5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가이드(300a)의 경사면(300e)으로부터는, 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힘 F6이 작용한다. 도면에, 이 힘 F6을, 본체 내측 방향의 분력 F62와 그에 직행하는 방향의 분력 F61로 분해하여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F61은 F16에 대한 반력이다.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 단부(86a)에는 분력 F12와 분력 F62의 합력 F4가 작용하고, 이 합력 F4는 커플링 부재(86)를 장착 방향(X2 방향) 하류측으로 경사(틸팅)시킨다.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력 F62가 작용하지 않는 경우(도 37, 도 38의 F12)와 비교하여, 합력 F4는, 커플링 부재(86)의 축선 L2에 대하여 보다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 커플링 부재(86)에는, 회전 중심 주위로 경사(틸팅)시키는 모멘트가 크게 작용한다. 그로 인해,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 방향(X2 방향) 하류측으로 커플링 부재(86)가 경사(틸팅) 가능하다.
또한 카트리지 B를 X2 방향으로 삽입하면, 커플링 부재(86)와 본체측 걸림결합부(14)가 걸림결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구성에 의하면 커플링 부재(86)와 본체측 걸림결합부(14)의 보다 안정된 걸림결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310b), 경사면(300e)의 양쪽을 설치하여도 된다.
도 55의 (a)는 구동부의 사시도, 도 55의 (b)는 도 55의 (a)의 S11 평면에서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 구성에서는, 이미 설명한, 경사면(310b)으로부터의 분력 F13과 경사면(300e)으로부터의 F62가 동시에 작용하고, 커플링 부재(86)는 안정적으로 장착 방향(X2 방향) 하류측으로 경사(틸팅) 가능하다. 그로 인해, 커플링 부재(86)와 본체측 걸림결합부(14)의 안정된 걸림결합을 실현할 수 있다.
작용하는 힘의 상세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기능,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그들만으로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장치 본체에도,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의 커플링 부재 및 회전력 피전달 부재에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8)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히 다시 기재하지 않는 한은, 재질, 형상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 7에 대하여 경사면의 구성이 상이하다.
도 56의 (a)는 구동부의 사시도, 도 56의 (b)는 도 56의 (a)의 S12 평면에서 절단한 개략 단면도, 도 56의 (c)는 도 56의 (a)의 S13 평면에서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6의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6의 (b)의 경사면(310c)의 경사 각도 θ1과, 도 56의 (c)의 경사면(310c)의 경사 각도 θ2에 대하여, θ1<θ2로 되어 있다.
즉, 상측 가이드(310)의 경사면(310c)은,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 장치 본체 A의 내측(X5 방향)을 향해 넓어지는 경사 각도가 커지고 있다.
도 57은,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가 하측 가이드(300a)와 상측 가이드(310)에 끼워지고, 드럼(62)의 축선 L1로부터 장착 방향 하류측(X2 방향)으로 경사(틸팅)졌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8은 또한 카트리지 B를 장치 본체 하류측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도 57,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B가 장착 방향 하류측에 장착됨에 따라, 커플링(86)은 X2측으로 경사(틸팅)져 간다.
마찬가지로, 카트리지 B가 장착 방향 하류측에 장착됨에 따라, 커플링 부재(86)의 자유 단부(86a)에 작용하는, 장치 본체 내측(X5 방향) 방향의 분력 F13이 커져 간다.
즉, 이 구성에서는 카트리지 B가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 장착되어 가고, 커플링(86)이 X2측으로 경사(틸팅)져 감에 따라, 장치 본체 A의 내측 방향의 분력 F13도 커져 간다.
도 57에, 이 시점에서의, 커플링(86)의 X2측으로의 경사(틸팅)량에 있어서의, 자유 단부(86a)에 작용하는 분력 F13과 분력 F15의 합력 F5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 B를 장착 방향 하류측에 장착한 상태의 도 58에서는, 도 57과 비교하여 커플링(86)의 X2측의 경사(틸팅)량이 커진다. 또한, 장치 본체 내측 바향의 분력 F13도 도 57과 비교하여 커진다. 이때의, 분력 F13과 분력 F15의 합력 F5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86)를 경사(틸팅)시키는 경우, 자유 단부(86a)에 작용하는 힘이, 커플링 부재(86)의 축선 L2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때가, 경사(틸팅)시키는 모멘트가 커지게 되어, 양호하게 경사(틸팅)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도 57,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86)의 X2측의 경사(틸팅)량의 변화에 따라, 합력 F5가 커플링 부재(86)의 축선 L2에 대하여 보다 직교에 가까운 방향으로 변화하여 작용하고 있다.
즉, 카트리지 B의 장착에 따라 변화해 가는 커플링(86)의 경사(틸팅)량에 맞추고, 나아가 경사(틸팅)시키는 데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합력 F5를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커플링(86)을 X2측으로 경사(틸팅)시킬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B를 X2 방향으로 삽입하면, 커플링 부재(86)와 본체측 걸림결합부(14)가 걸림결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구성에 의하면 커플링 부재(86)와 본체측 걸림결합부(14)의 보다 안정된 걸림결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기능,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그들만으로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장치 본체에도,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의 커플링 부재 및 회전력 피전달 부재에도 적용 가능하다.
(기타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적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프로세스 수단을 구비하지 않는 드럼 유닛에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을 구비하지 않는 현상 카트리지에 있어서, 본체측 걸림결합부로부터 (토너를 담지하여 회전하기 위한) 현상 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이어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커플링 부재(86)는, 감광 드럼 대신에 회전체로서의 현상 롤러(32)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력 피전달 부재로서의 구동측 플랜지(87, 287)는, 회전체인 드럼(62)의 길이 단부에 고정되어 있었지만, 고정되지 않고 독립된 부재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어 부재로서, 기어 결합을 통하여, 드럼(62)이나 현상 롤러(3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의 카트리지 B는, 단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현상 수단을 복수 설치하고, 복수 색의 화상(예를 들어 2색 화상, 3색 화상 또는 풀 컬러 등)을 형성하는 카트리지에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 A에 대한 카트리지 B의 착탈 경로는, 일직선이어도, 착탈 경로가 직선의 조합이어도, 혹은 곡선 경로가 있어도, 본 발명은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카트리지 및 이들에 이용되는 구동 전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측 걸림결합부를 그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회전체의 회전축선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소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분리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내측에 설치된 수납부의 내연에서 커플링 부재의 경사(틸팅) 가능량을 제한하지 않고, 커플링 부재의 탈락을 규제할 수 있는 구동 전달 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구동 전달 장치를 채용한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었다.
3: 노광 장치(레이저 스캐너 유닛)
4: 시트 트레이
5a: 픽업 롤러
5b: 급송 롤러 쌍
5c: 반송 롤러 쌍
6: 전사 가이드
7: 전사 롤러
8: 반송 가이드
9: 정착 장치
9a: 가열 롤러
9b: 가압 롤러
10: 배출 롤러
11: 배출 트레이
12: 가이드 레일
12a: 제1 가이드 레일
12b: 제2 가이드 레일
13: 개폐 도어
14: 본체측 걸림결합부
14a: 구동축
14b: 회전력 부여부
15: 슬라이더
15a: 경사면
15b: 정점
16: 가압 부재
20: 현상 유닛
21: 토너 수납 용기
22: 덮개
23: 현상 용기
23aL: 아암부
23aR: 아암부
23bL: 회동 구멍
23bR: 회동 구멍
26: 사이드 부재
26L: 제1 사이드 부재
26R: 제2 사이드 부재
28: 토너 공급실
29: 토너실
32: 현상 롤러
34: 마그네트 롤러
38: 간격 유지 부재
42: 현상 블레이드
43: 반송 부재
60: 클리닝 유닛
62: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드럼)
64: 비구동측 플랜지
64a: 구멍
66: 대전 롤러
71: 클리닝 프레임체
71a: 끼움 구멍
71b: 폐 토너실
71c: 회전 멈춤 보스
74: 노광창부
75: 결합 부재
76: 베어링 부재
76b: 가이드부
76d: 원통부
77: 클리닝 블레이드
78: 드럼축
86, 386, 486: 커플링 부재
86a: 자유 단부
86b: 관통 구멍(구멍부)
86b1: 회전력 전달부
86p1: 제1 탈락 규제부
86c: 결합부
86d1 내지 86d4: 돌기
86e1 내지 86e4: 회전력 수용부
86f: 수용면
86g: 이음부
86h: 길이 규제부
86k1 내지 86k4: 대기부
86m: 개구부
86z: 오목부
87, 287, 487: 회전력 피전달 부재(구동측 플랜지)
87b: 피고정부
87d: 피지지부
87e: 구멍부
87f: 누락 방지부
87g: 회전력 피전달부
87h: 길이 규제부
87i: 수납부
88: 축부(핀)
89, 489: 규제 부재
89a: 기초부
89b: 돌출부
89b1: 길이 규제부
89b2: 회전 규제부
90: 비스
287k: 오목부
287m: 누락 방지부
300a: 하측 가이드
300a1: 제1 가이드부
300a2: 제2 가이드부
300a3: 제3 가이드부
300b: 회동축
300c: 스토퍼
300d: 베어링부
300e: 경사면
310: 상측 가이드
310a: 작용면
310b: 경사면
310c: 경사면
315: 가압 스프링
320: 가이드 부재
320a: 위치 결정부
320b: 위치 결정면
320c: 회동축
320c: 스토퍼
320d: 스토퍼
320e: 스토퍼
320f: 카트리지 가이드부
320g: 커플링 가이드부
340: 홀더
340a: 상측 가이드
340a1: 제1 가이드부
340a2: 제2 가이드부
340a3: 제3 가이드부
340b: 회동축
340c: 스토퍼
350: 측판
351: 제2 측판
352: 모터
353: 피니언 기어
354: 베어링
355: 구동 기어
356: 인입 스프링
356a: 작용부
360: 하측 가이드
360a: 작용면
A: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장치 본체)
B: 프로세스 카트리지(카트리지)
D: 반송 방향
L: 레이저광
T: 토너(현상제)
P: 시트재(기록 매체)
R: 회전 방향
U1: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유닛(드럼 유닛)
U2, U42: 구동측 플랜지 유닛
L1: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의 회전축선
L2, L32, L42: 커플링 부재의 회전축선
θ1: 경사 각도
θ2: 경사 각도
4: 시트 트레이
5a: 픽업 롤러
5b: 급송 롤러 쌍
5c: 반송 롤러 쌍
6: 전사 가이드
7: 전사 롤러
8: 반송 가이드
9: 정착 장치
9a: 가열 롤러
9b: 가압 롤러
10: 배출 롤러
11: 배출 트레이
12: 가이드 레일
12a: 제1 가이드 레일
12b: 제2 가이드 레일
13: 개폐 도어
14: 본체측 걸림결합부
14a: 구동축
14b: 회전력 부여부
15: 슬라이더
15a: 경사면
15b: 정점
16: 가압 부재
20: 현상 유닛
21: 토너 수납 용기
22: 덮개
23: 현상 용기
23aL: 아암부
23aR: 아암부
23bL: 회동 구멍
23bR: 회동 구멍
26: 사이드 부재
26L: 제1 사이드 부재
26R: 제2 사이드 부재
28: 토너 공급실
29: 토너실
32: 현상 롤러
34: 마그네트 롤러
38: 간격 유지 부재
42: 현상 블레이드
43: 반송 부재
60: 클리닝 유닛
62: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드럼)
64: 비구동측 플랜지
64a: 구멍
66: 대전 롤러
71: 클리닝 프레임체
71a: 끼움 구멍
71b: 폐 토너실
71c: 회전 멈춤 보스
74: 노광창부
75: 결합 부재
76: 베어링 부재
76b: 가이드부
76d: 원통부
77: 클리닝 블레이드
78: 드럼축
86, 386, 486: 커플링 부재
86a: 자유 단부
86b: 관통 구멍(구멍부)
86b1: 회전력 전달부
86p1: 제1 탈락 규제부
86c: 결합부
86d1 내지 86d4: 돌기
86e1 내지 86e4: 회전력 수용부
86f: 수용면
86g: 이음부
86h: 길이 규제부
86k1 내지 86k4: 대기부
86m: 개구부
86z: 오목부
87, 287, 487: 회전력 피전달 부재(구동측 플랜지)
87b: 피고정부
87d: 피지지부
87e: 구멍부
87f: 누락 방지부
87g: 회전력 피전달부
87h: 길이 규제부
87i: 수납부
88: 축부(핀)
89, 489: 규제 부재
89a: 기초부
89b: 돌출부
89b1: 길이 규제부
89b2: 회전 규제부
90: 비스
287k: 오목부
287m: 누락 방지부
300a: 하측 가이드
300a1: 제1 가이드부
300a2: 제2 가이드부
300a3: 제3 가이드부
300b: 회동축
300c: 스토퍼
300d: 베어링부
300e: 경사면
310: 상측 가이드
310a: 작용면
310b: 경사면
310c: 경사면
315: 가압 스프링
320: 가이드 부재
320a: 위치 결정부
320b: 위치 결정면
320c: 회동축
320c: 스토퍼
320d: 스토퍼
320e: 스토퍼
320f: 카트리지 가이드부
320g: 커플링 가이드부
340: 홀더
340a: 상측 가이드
340a1: 제1 가이드부
340a2: 제2 가이드부
340a3: 제3 가이드부
340b: 회동축
340c: 스토퍼
350: 측판
351: 제2 측판
352: 모터
353: 피니언 기어
354: 베어링
355: 구동 기어
356: 인입 스프링
356a: 작용부
360: 하측 가이드
360a: 작용면
A: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장치 본체)
B: 프로세스 카트리지(카트리지)
D: 반송 방향
L: 레이저광
T: 토너(현상제)
P: 시트재(기록 매체)
R: 회전 방향
U1: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 유닛(드럼 유닛)
U2, U42: 구동측 플랜지 유닛
L1: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의 회전축선
L2, L32, L42: 커플링 부재의 회전축선
θ1: 경사 각도
θ2: 경사 각도
Claims (28)
- 회전 가능한 본체측 걸림결합부를 갖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며, 상기 본체측 걸림결합부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장치의 본체의 외측으로 분리 가능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ⅰ) 현상제를 담지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체와,
(ⅱ) 그 내측에 수납부를 갖고, 상기 회전체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이 전달되는 회전 가능한 회전력 피전달 부재와,
(ⅲ) 회전 가능한 커플링 부재로서, (ⅲ-ⅰ) 상기 본체측 걸림결합부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받는 회전력 수용부를 갖는 자유 단부와, (ⅲ-ⅱ)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력 수용부가 상기 본체측 걸림결합부로부터 이탈하기 위해 상기 커플링 부재의 회전축선이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경사가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수납부에 적어도 그 일부가 수납되도록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에 결합된 결합부와, (ⅲ-ⅲ)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상기 커플링 부재와,
(ⅳ) 축부로서,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받을 수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며, 상기 축부에 대한 상기 커플링 부재의 상기 경사를 허용하면서 그 양단이 각각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기 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가 상기 관통 구멍의 내측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 상기 축부에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커플링 부재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단면적은, 상기 커플링 부재의 회전축선의 근방에 있어서 최소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단면적은, 상기 커플링 부재의 회전축선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의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관통 구멍이, 상기 축부에 대하여 여유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최대 외경부가, 상기 수납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최대 외경부가 상기 수납부의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부재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최대 외경부가 상기 수납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부재가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는,
ⅰ)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의 방향과 평행하게 관통한 한 쌍의 구멍과,
ⅱ)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납부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한 쌍의 구멍의 각각의 일부를 덮고 있으며,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누락 방지부와,
ⅲ)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납부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누락 방지부의 배후에 위치하고, 상기 축부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받는 한 쌍의 회전력 피전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2항에 있어서,
한 쌍의 돌출부를 갖는 규제 부재를 갖고,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을 따라 상기 수납부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구멍에 상기 한 쌍의 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규제 부재와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양단의 각각은, 상기 돌출부의 선단과 상기 누락 방지부와 상기 회전력 피전달부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구멍에 삽입된 후에 상기 축부가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의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축부의 양단의 각각을 상기 한 쌍의 누락 방지부의 각각의 배후로 이동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구멍에 상기 한 쌍의 돌출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축부가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양단이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납부에 삽입된 후에, 상기 축부가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의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는,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의 회전축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납부측으로부터 상기 회전체측으로 오목한 한 쌍의 오목부를 갖고,
상기 축부의 양단을 상기 한 쌍의 오목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코오킹 또는 수지의 주입에 의해 상기 오목부의 입구를 막음으로써, 상기 축부가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대략 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의 다른 부분보다 오목한 경사 규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규제부는 평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규제부는 오목한 원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규제부는 원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그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상기 자유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까지 관통한 제1 구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제1 구멍부의 내부에 상기 커플링 부재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는, 그 회전축선을 따라 관통한 제2 구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피전달 부재는, 상기 회전체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감광체 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현상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266989 | 2011-12-06 | ||
JPJP-P-2011-266989 | 2011-12-06 | ||
JPJP-P-2012-228108 | 2012-10-15 | ||
JP2012228108 | 2012-10-15 | ||
JP2012242778 | 2012-11-02 | ||
JPJP-P-2012-242778 | 2012-11-02 | ||
PCT/JP2012/082271 WO2013085073A1 (ja) | 2011-12-06 | 2012-12-06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本体に着脱可能なカートリッジ、感光体ドラム用駆動伝達装置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15343A Division KR101779754B1 (ko) | 2011-12-06 | 2012-12-06 | 기어 유닛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17639A Division KR101935304B1 (ko) | 2011-12-06 | 2012-12-06 | 감광체 드럼 유닛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7099A KR20170107099A (ko) | 2017-09-22 |
KR101871784B1 true KR101871784B1 (ko) | 2018-06-28 |
Family
ID=48574419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35854A KR102118940B1 (ko) | 2011-12-06 | 2012-12-06 | 기어 유닛 |
KR1020177004597A KR101746368B1 (ko) | 2011-12-06 | 2012-12-06 | 감광체 드럼용 구동 전달 장치의 조립 방법 |
KR1020187017639A KR101935304B1 (ko) | 2011-12-06 | 2012-12-06 | 감광체 드럼 유닛 |
KR1020177025662A KR101871784B1 (ko) | 2011-12-06 | 2012-12-06 | 기어 유닛 |
KR1020147017797A KR101653333B1 (ko) | 2011-12-06 | 2012-12-06 |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감광체 드럼용 구동 전달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KR1020197022314A KR102054637B1 (ko) | 2011-12-06 | 2012-12-06 | 카트리지 |
KR1020187038007A KR102007136B1 (ko) | 2011-12-06 | 2012-12-06 | 감광체 드럼 유닛 |
KR1020177015343A KR101779754B1 (ko) | 2011-12-06 | 2012-12-06 | 기어 유닛 |
KR1020207015485A KR102277151B1 (ko) | 2011-12-06 | 2012-12-06 | 감광체 드럼 유닛 |
KR1020167023505A KR101709998B1 (ko) | 2011-12-06 | 2012-12-06 | 감광체 드럼 유닛 |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35854A KR102118940B1 (ko) | 2011-12-06 | 2012-12-06 | 기어 유닛 |
KR1020177004597A KR101746368B1 (ko) | 2011-12-06 | 2012-12-06 | 감광체 드럼용 구동 전달 장치의 조립 방법 |
KR1020187017639A KR101935304B1 (ko) | 2011-12-06 | 2012-12-06 | 감광체 드럼 유닛 |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17797A KR101653333B1 (ko) | 2011-12-06 | 2012-12-06 |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감광체 드럼용 구동 전달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KR1020197022314A KR102054637B1 (ko) | 2011-12-06 | 2012-12-06 | 카트리지 |
KR1020187038007A KR102007136B1 (ko) | 2011-12-06 | 2012-12-06 | 감광체 드럼 유닛 |
KR1020177015343A KR101779754B1 (ko) | 2011-12-06 | 2012-12-06 | 기어 유닛 |
KR1020207015485A KR102277151B1 (ko) | 2011-12-06 | 2012-12-06 | 감광체 드럼 유닛 |
KR1020167023505A KR101709998B1 (ko) | 2011-12-06 | 2012-12-06 | 감광체 드럼 유닛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5) | US9395679B2 (ko) |
EP (2) | EP2790065B1 (ko) |
JP (4) | JP6021620B2 (ko) |
KR (10) | KR102118940B1 (ko) |
CN (3) | CN109116707B (ko) |
BR (2) | BR112014013431B1 (ko) |
HK (1) | HK1201338A1 (ko) |
IN (1) | IN2014CN04840A (ko) |
PH (1) | PH12014501470A1 (ko) |
RU (6) | RU2637370C2 (ko) |
TW (6) | TWI489226B (ko) |
WO (1) | WO201308507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98407B2 (ja) * | 2006-12-22 | 2010-07-0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
AU2016238959B2 (en) * | 2006-12-22 | 2017-07-13 | Canon Kabushiki Kaisha |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
KR102118940B1 (ko) | 2011-12-06 | 2020-06-04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기어 유닛 |
JP6112783B2 (ja) | 2012-06-08 | 2017-04-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梱包体 |
JP6066841B2 (ja) | 2012-09-10 | 2017-01-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JP6100110B2 (ja) | 2013-07-03 | 2017-03-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装置本体、及びカートリッジ装着システム |
JP6415198B2 (ja) | 2013-09-12 | 2018-10-3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 |
JP6728292B2 (ja) * | 2013-09-12 | 2020-07-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に用いられるカートリッジ、ドラムユニット |
CN106200297B (zh) * | 2013-09-29 | 2018-11-20 | 纳思达股份有限公司 | 旋转力驱动组件及处理盒 |
JP6233586B2 (ja) * | 2014-02-25 | 2017-11-22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CN105093889A (zh) * | 2014-04-16 | 2015-11-25 | 珠海艾派克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处理盒 |
JP6373065B2 (ja) | 2014-05-29 | 2018-08-1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GB2586416B (en) * | 2014-11-28 | 2021-05-12 | Canon Kk | Cartridge, member constitut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KR102144815B1 (ko) * | 2014-11-28 | 2020-08-14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카트리지,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 |
JP6643052B2 (ja) | 2014-11-28 | 2020-02-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671997B2 (ja) | 2015-02-05 | 2020-03-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感光体ユニット、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6562655B2 (ja) * | 2015-02-27 | 2019-08-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CN113296378B (zh) | 2015-02-27 | 2024-07-26 | 佳能株式会社 | 鼓单元、盒和联接件 |
JP6771899B2 (ja) | 2015-03-10 | 2020-10-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及び駆動伝達ユニットの組み立て方法 |
MY193258A (en) | 2015-03-10 | 2022-09-28 | Canon Kk | Drum cylinder unit, method for attaching coupling member, and drum unit |
JP6794117B2 (ja) | 2015-03-10 | 2020-12-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ドラムシリンダユニット、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ドラムユニット |
WO2016143912A1 (en) | 2015-03-10 | 2016-09-15 | Canon Kabushiki Kaisha |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of drive transmission unit |
JP6723694B2 (ja) | 2015-07-01 | 2020-07-1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
EP3358419B1 (en) * | 2015-09-30 | 2021-11-10 | Canon Kabushiki Kaisha | Drum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device |
JP6833402B2 (ja) * | 2015-10-14 | 2021-02-24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US9952555B2 (en) * | 2015-10-14 | 2018-04-24 | Canon Kabushiki Kaisha | Cartridge configured to be removably attachable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
US9939778B2 (en) * | 2015-10-14 | 2018-04-10 | Canon Kabushiki Kaisha | Cartridge and cover member |
JP6922188B2 (ja) * | 2015-11-12 | 2021-08-18 |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 端部部材、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US9964919B2 (en) * | 2015-12-18 | 2018-05-08 |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 Shipping cap for drum assembly |
PL3929664T3 (pl) | 2016-06-14 | 2023-11-27 | Canon Kabushiki Kaisha | Wkład procesowy oraz tworzący elektrofotograficzny obraz aparat |
TWI737126B (zh) * | 2016-08-26 | 2021-08-21 | 日商佳能股份有限公司 | 卡匣 |
SG11201901182YA (en) | 2016-08-26 | 2019-03-28 | Canon Kk | Drum unit,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
JP6918479B2 (ja) * | 2016-12-12 | 2021-08-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US10228631B2 (en) | 2016-12-15 | 2019-03-12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drum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JP6855284B2 (ja) | 2017-03-03 | 2021-04-0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TWM562227U (zh) * | 2018-03-13 | 2018-06-21 |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 碳粉匣的側蓋 |
US10338513B1 (en) * | 2018-04-18 | 2019-07-02 | Jiangxi Yibo E-Tech Co., Ltd. | Process cartridge |
US10416604B1 (en) * | 2018-04-18 | 2019-09-17 | Jiangxi Yibo E-Tech Co.Ltd. | Process cartridge |
TW202000483A (zh) * | 2018-06-21 | 2020-01-01 | 上福全球科技股份有限公司 | 滾筒單元 |
JP7262983B2 (ja) | 2018-11-30 | 2023-04-24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JP7187305B2 (ja) | 2018-12-28 | 2022-12-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
CN118689065A (zh) * | 2019-03-18 | 2024-09-24 | 佳能株式会社 | 电子照相图像形成装置和盒 |
MA56211A (fr) | 2019-06-12 | 2022-04-20 | Canon Kk | Cartouche, accessoire et kit de montage |
AU2020290276B2 (en) * | 2019-06-12 | 2023-11-30 | Canon Kabushiki Kaisha | Drum unit, drive transmission unit,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KR20200145094A (ko) * | 2019-06-20 | 2020-12-30 |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 커플러 홀더와 구동 커플러가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유니버설 커플러 |
JP6884826B2 (ja) * | 2019-07-23 | 2021-06-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US11886130B2 (en) | 2019-12-20 | 2024-01-30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Print agent applicator positioning devices |
EP4163729A4 (en) | 2020-06-08 | 2024-07-17 | Canon Kk |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ATION SYSTEM |
CA3191746A1 (en) | 2020-09-17 | 2022-03-24 | Canon Kabushiki Kaisha | Cartridge, drum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KR20220041478A (ko) | 2020-09-25 | 2022-04-01 |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 토너 카트리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구조 |
JP2023043462A (ja) | 2021-09-16 | 2023-03-29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保護組立体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3333B1 (ko) * | 2011-12-06 | 2016-09-01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감광체 드럼용 구동 전달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65941A (en) * | 1975-05-16 | 1978-01-03 | Koto Sangyo Kabushiki Kaisha | Universal joint |
JPH05297779A (ja) * | 1992-04-16 | 1993-11-12 | Fuji Xerox Co Ltd | 画像形成装置の感光体ドラム |
JP3157067B2 (ja) | 1993-06-30 | 2001-04-1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空燃比検出装置の異常診断装置 |
JP4046933B2 (ja) * | 2000-08-02 | 2008-02-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駆動伝達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
US7066447B2 (en) * | 2001-04-18 | 2006-06-27 |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 Sleeve valve with adjustable flow characteristics |
JP3969990B2 (ja) | 2001-10-10 | 2007-09-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4045603A (ja) * | 2002-07-10 | 2004-02-12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画像形成装置 |
JP3548564B2 (ja) | 2002-11-08 | 2004-07-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ローラー組立方法 |
JP3970161B2 (ja) | 2002-11-08 | 2007-09-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
JP4401713B2 (ja) | 2003-08-29 | 2010-01-20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3885062B2 (ja) | 2004-03-30 | 2007-02-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4630615B2 (ja) | 2004-03-30 | 2011-02-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 |
JP4101248B2 (ja) | 2004-04-16 | 2008-06-18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
US7158749B2 (en) | 2004-04-26 | 2007-01-02 | Canon Kabushiki Kaisha |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cleaning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JP4110128B2 (ja) | 2004-04-26 | 2008-07-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軸受部材 |
JP3840232B2 (ja) | 2004-05-06 | 2006-11-0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JP3885074B2 (ja) * | 2004-05-11 | 2007-02-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4395420B2 (ja) * | 2004-08-03 | 2010-01-06 | 古河スカイ株式会社 | 二酸化炭素冷媒用熱交換器の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しチューブ材 |
JP4431467B2 (ja) * | 2004-09-03 | 2010-03-17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JP4185927B2 (ja) | 2004-09-29 | 2008-11-26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JP4039415B2 (ja) * | 2004-09-30 | 2008-01-30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ドット配置決定方法及び装置、閾値マトリクスの作成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形成装置 |
CN1851282B (zh) * | 2005-04-21 | 2012-06-27 | Ntn株式会社 | 等速联轴器及图像形成装置 |
KR100710878B1 (ko) * | 2005-09-26 | 2007-04-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롤러장치 |
US8060003B2 (en) | 2006-10-20 | 2011-11-15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wherein a setting unit sets an interval of image formation according to a size of a recording medium |
JP4464435B2 (ja) | 2006-12-11 | 2010-05-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4948382B2 (ja) | 2006-12-22 | 2012-06-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
JP4498407B2 (ja) * | 2006-12-22 | 2010-07-0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
US7856192B2 (en) | 2006-12-28 | 2010-12-21 | Canon Kabushiki Kaisha |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JP4280772B2 (ja) | 2006-12-28 | 2009-06-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311854B2 (ja) * | 2007-03-23 | 2013-10-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
JP5094186B2 (ja) | 2007-04-10 | 2012-12-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021357B2 (ja) | 2007-04-16 | 2012-09-05 |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 薄型偏光板 |
JP5328230B2 (ja) | 2008-06-10 | 2013-10-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288900B2 (ja) * | 2008-06-20 | 2013-09-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127584B2 (ja) * | 2008-06-20 | 2013-01-23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ドラム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159507B2 (ja) | 2008-06-20 | 2013-03-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
US8403763B2 (en) * | 2008-07-03 | 2013-03-26 | Hou-Fei Hu | Universal joint |
US20100004064A1 (en) * | 2008-07-03 | 2010-01-07 | Hou-Fei Hu | Universal joint |
JP5371627B2 (ja) | 2008-08-27 | 2013-12-18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495671B2 (ja) | 2008-08-27 | 2014-05-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
TW201026975A (en) | 2009-01-06 | 2010-07-16 | Hou-Fei Hu | Universal joint |
US8312667B2 (en) * | 2009-01-14 | 2012-11-20 | Premier Reticles, Ltd | Lockable adjustment mechanism |
JP5344580B2 (ja) * | 2009-02-27 | 2013-11-2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506236B2 (ja) | 2009-04-30 | 2014-05-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2011095604A (ja) * | 2009-10-30 | 2011-05-12 | Canon Inc | 現像装置、回転力伝達部品、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704911B2 (ja) * | 2009-12-16 | 2015-04-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611102B2 (ja) | 2010-04-30 | 2014-10-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ドラム取り付け方法 |
US20130064659A1 (en) * | 2010-05-18 | 2013-03-14 | Jürgen Geisner | Centrifugal compressor |
US8909085B2 (en) | 2011-09-23 | 2014-12-09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Methods, printers, and control panels for printers |
JP6108728B2 (ja) | 2012-08-31 | 2017-04-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梱包材及びカートリッジ |
JP6100110B2 (ja) | 2013-07-03 | 2017-03-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装置本体、及びカートリッジ装着システム |
-
2012
- 2012-12-06 KR KR1020197035854A patent/KR10211894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06 TW TW101145980A patent/TWI489226B/zh active
- 2012-12-06 TW TW104110971A patent/TWI598709B/zh active
- 2012-12-06 BR BR112014013431-6A patent/BR112014013431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06 KR KR1020177004597A patent/KR10174636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06 CN CN201810957169.4A patent/CN109116707B/zh active Active
- 2012-12-06 WO PCT/JP2012/082271 patent/WO201308507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12-06 TW TW110141694A patent/TWI781819B/zh active
- 2012-12-06 KR KR1020187017639A patent/KR10193530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06 KR KR1020177025662A patent/KR10187178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06 TW TW106121120A patent/TWI640849B/zh active
- 2012-12-06 KR KR1020147017797A patent/KR10165333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06 KR KR1020197022314A patent/KR10205463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06 BR BR122015030276-5A patent/BR122015030276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06 KR KR1020187038007A patent/KR10200713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06 TW TW109122793A patent/TWI748546B/zh active
- 2012-12-06 JP JP2012267561A patent/JP6021620B2/ja active Active
- 2012-12-06 IN IN4840CHN2014 patent/IN2014CN04840A/en unknown
- 2012-12-06 CN CN202110039597.0A patent/CN112698561B/zh active Active
- 2012-12-06 KR KR1020177015343A patent/KR1017797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06 CN CN201280068776.6A patent/CN104081291B/zh active Active
- 2012-12-06 EP EP12854694.2A patent/EP2790065B1/en active Active
- 2012-12-06 RU RU2014127499A patent/RU2637370C2/ru active
- 2012-12-06 TW TW107129611A patent/TWI700563B/zh active
- 2012-12-06 KR KR1020207015485A patent/KR10227715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06 KR KR1020167023505A patent/KR10170999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06 EP EP20170030.9A patent/EP3722885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4
- 2014-05-30 US US14/291,918 patent/US9395679B2/en active Active
- 2014-06-25 PH PH12014501470A patent/PH12014501470A1/en unknown
-
2015
- 2015-02-17 HK HK15101759.2A patent/HK1201338A1/xx unknown
-
2016
- 2016-06-22 US US15/189,169 patent/US9823619B2/en active Active
- 2016-09-26 JP JP2016186960A patent/JP6246294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10-24 US US15/791,635 patent/US10635045B2/en active Active
- 2017-11-02 RU RU2017138243A patent/RU2671929C1/ru active
- 2017-11-10 JP JP2017217747A patent/JP6516815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10-24 RU RU2018137479A patent/RU2692404C1/ru active
-
2019
- 2019-04-16 JP JP2019078175A patent/JP6833893B2/ja active Active
- 2019-06-13 RU RU2019118292A patent/RU2713081C1/ru active
-
2020
- 2020-01-22 RU RU2020102447A patent/RU2728807C1/ru active
- 2020-01-27 US US16/773,318 patent/US11163259B2/en active Active
- 2020-07-16 RU RU2020123533A patent/RU2752744C1/ru active
-
2021
- 2021-08-31 US US17/462,146 patent/US1161990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3333B1 (ko) * | 2011-12-06 | 2016-09-01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감광체 드럼용 구동 전달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1784B1 (ko) | 기어 유닛 | |
AU2023201536A1 (en) | Cartridge and drum unit f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JP7497487B2 (ja) | 回転力伝達部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