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082B1 - 재긴장용 정착 장치 - Google Patents
재긴장용 정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2082B1 KR101852082B1 KR1020170145360A KR20170145360A KR101852082B1 KR 101852082 B1 KR101852082 B1 KR 101852082B1 KR 1020170145360 A KR1020170145360 A KR 1020170145360A KR 20170145360 A KR20170145360 A KR 20170145360A KR 101852082 B1 KR101852082 B1 KR 1018520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circumferential surface
- tension
- hole
- tensio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장력이 도입된 긴장재를 재긴장하기 위한 것으로 정착구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재긴장 작업이 단순하며, 장비의 구성이 단순해 경제적인 재긴장용 정착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재긴장용 정착 장치는 긴장재가 삽입 관통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공이 구비된 정착판; 상기 정착판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긴장재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일단에 형성된 웨지홀에 웨지가 수용되어 상기 긴장재의 일단이 상기 웨지에 의해 정착되며, 외주면에는 평탄면이 적어도 2 이상 형성되는 정착구; 및 상기 정착판과 정착구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긴장재가 관통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정착판의 고정공에 나사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외측단에 결합되어 본체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정착구의 일단이 수용되는 홈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이 다각형인 정착구 지지부로 구성되어, 회전에 의해 정착구를 정착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재긴장 어댑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긴장용 정착 장치는 긴장재가 삽입 관통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공이 구비된 정착판; 상기 정착판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긴장재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일단에 형성된 웨지홀에 웨지가 수용되어 상기 긴장재의 일단이 상기 웨지에 의해 정착되며, 외주면에는 평탄면이 적어도 2 이상 형성되는 정착구; 및 상기 정착판과 정착구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긴장재가 관통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정착판의 고정공에 나사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외측단에 결합되어 본체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정착구의 일단이 수용되는 홈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이 다각형인 정착구 지지부로 구성되어, 회전에 의해 정착구를 정착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재긴장 어댑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긴장력이 도입된 긴장재를 재긴장하기 위한 것으로 정착구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재긴장 작업이 단순하며, 장비의 구성이 단순해 경제적인 재긴장용 정착 장치에 대한 것이다.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 구조물이나 지반 보강을 위한 앵커 등에는 긴장재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긴장재는 초기 긴장을 통해 긴장력을 도입한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긴장이완(relaxation)으로 인해 긴장력의 손실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긴장이완으로 긴장력이 손실되거나, 추가적인 긴장력이 필요한 경우 사용 중 긴장재를 재긴장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재긴장 작업은 통상 높이가 높은 고소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중량의 유압잭을 이용하여 작업할 경우 재긴장 작업이 어렵고, 작업자 안전에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통상 긴장재 초기 긴장 작업 완료 후에 정착구 외부로 돌출된 긴장재는 짧게 절단되므로 재긴장 시 긴장재를 유압잭에 물려 고정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유압잭의 부피가 커 정착구 후단에 유압잭 배치를 위해 상당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긴장재 및 정착구 배치에 제한이 있다. 구체적으로 H 형강 철골 기둥에 결합된 철골보에 긴장재를 설치한 경우 긴장재를 철골 기둥의 플랜지를 관통하여 정착하게 되는데, 유압잭의 크기가 플랜지 사이 간격보다 크기 때문에 긴장재를 플랜지 사이에서 정착하지 못하고, 양측 플랜지를 모두 관통하여 철골 기둥 반대측에서 긴장재를 정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긴장재 길이가 길어질 뿐 아니라 정착구가 철골 기둥 외부에 노출되어 마감 처리가 곤란하고, 철골 기둥 양측에 긴장재가 설치되는 경우 서로 간섭이 되어 좌우 대칭으로 배치하기가 어렵다.
이에 등록특허 10-862248호와 같이 쐐기형 정착부재가 정착되는 정착구인 보조몸체유닛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너트 형태의 메인몸체유닛 내부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보조몸체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긴장재를 긴장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보조몸체유닛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야 하고, 보조몸체유닛 상부에 회전조작부를 결합해야 하므로 가공이 어렵고, 보조몸체유닛 외부에 메인몸체유닛이 결합되므로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정착구인 보조몸체유닛을 회전시키면 이에 결합된 쐐기형 정착부재가 같이 회전되면서 텐던이 꼬여 텐던이 절단 또는 이완되는 등으로 안정성에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보조몸체유닛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메인몸체유닛도 변경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비경제적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별도의 긴장 장치 없이 재긴장 어댑터의 회전에 의해 긴장재를 재긴장할 수 있어, 재긴장 작업이 용이하고, 정착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하며 구성이 간단한 재긴장용 정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긴장재가 삽입 관통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공이 구비된 정착판; 상기 정착판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긴장재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일단에 형성된 웨지홀에 웨지가 수용되어 상기 긴장재의 일단이 상기 웨지에 의해 정착되며, 외주면에는 평탄면이 적어도 2 이상 형성되는 정착구; 및 상기 정착판과 정착구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긴장재가 관통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정착판의 고정공에 나사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외측단에 결합되어 본체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정착구의 일단이 수용되는 홈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이 다각형인 정착구 지지부로 구성되어, 회전에 의해 정착구를 정착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재긴장 어댑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용 정착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정착구 지지부의 홈부에 내주면은 정착구의 외주면과 대응되고, 외주면은 홈부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정착구의 일단이 내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용 정착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정착판과 정착구 지지부 사이의 본체부 외주면에 고정너트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용 정착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정착구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용 정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재긴장 어댑터가 구비되어 유압잭과 같은 별도의 긴장 장비 없이 재긴장이 가능하다.
둘째, 본 발명의 재긴장용 정착 장치는 장치의 크기가 작아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셋째, 정착구의 가공이 거의 필요 없고, 구성이 단순하며 강재량이 적어 경제적이다.
넷째, 재긴장 어댑터의 정착구 지지부가 정착판과 밀착되지 않으므로 마찰저항이 적어 재긴장 어댑터의 회전이 용이하다.
다섯째, 재긴장 어댑터가 정착판에 미리 나사결합되므로 재긴장용 긴장 장치의 설치가 용이하다.
여섯째, 가이드링이 구비될 경우 정착구 규격에 상관없이 동일한 규격의 재긴장 어댑터를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이 간단하고 경제적이다.
도 1은 종래 재긴장용 앵커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재긴장 어댑터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가이드링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가이드링이 결합된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고정너트가 결합된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재긴장용 정착 장치가 적용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정착구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재긴장 어댑터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가이드링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가이드링이 결합된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고정너트가 결합된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재긴장용 정착 장치가 적용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정착구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재긴장 어댑터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는 긴장재(1)가 삽입 관통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공(31)이 구비된 정착판(3); 상기 정착판(3)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긴장재(1)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41)이 중앙에 형성되고, 일단에 형성된 웨지홀(42)에 웨지(5)가 수용되어 상기 긴장재(1)의 일단이 상기 웨지(5)에 의해 정착되며, 외주면에는 평탄면(43)이 적어도 2 이상 형성되는 정착구(4); 및 상기 정착판(3)과 정착구(4)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긴장재(1)가 관통되도록 중앙에 관통공(61)이 형성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정착판(3)의 고정공(31)에 나사결합되는 본체부(62) 및 상기 본체부(62) 외측단에 결합되어 본체부(62)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정착구(4)의 일단이 수용되는 홈부(631)가 형성되며, 외주면이 다각형인 정착구 지지부(63)로 구성되어, 회전에 의해 정착구(4)를 정착판(3)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재긴장 어댑터(6);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착구(4)는 긴장재(1)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41)이 중앙에 형성되고, 일단에는 웨지(5)가 수용되는 웨지홀(42)이 형성되는 통상의 긴장재용 정착구(4)를 사용할 수 있다.
재긴장 어댑터(6)는 정착판(3)과 정착구(4) 사이에 구비되어 재긴장 어댑터(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재긴장 어댑터(6)가 정착판(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정착구(4)를 밀어내 정착판(3)과 이격시킴으로써 긴장재(1)가 재긴장된다.
도면부호 11은 긴장재(1)의 외부를 피복하는 피복재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착판(3)의 고정공(31)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재긴장 어댑터(6)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상기 정착판(3)의 고정공(31)에 나사결합되는 본체부(62) 및 상기 본체부(62) 외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정착구(4)를 지지하는 정착구 지지부(6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62)는 재긴장 어댑터(6)의 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정착판(3)의 고정공(31)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재긴장 어댑터(6) 회전 시 본체부(62)가 정착판(3)의 고정공(31)에서 전진 또는 후진되면서 재긴장 어댑터(6)가 이동하게 되고, 정착판(3)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재긴장 어댑터(6)가 정착구(4)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이에 정착된 긴장재(1)가 재긴장된다.
상기 정착구 지지부(63)는 재긴장 어댑터(6)의 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정착구(4)의 일단을 지지할 뿐 아니라 상기 정착구 지지부(63)의 외주면에는 재긴장 어댑터(6) 회전을 위한 공구가 결합된다.
상기 정착구 지지부(63)는 정착구(4)의 일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공구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정착구(4) 및 본체부(62)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착구 지지부(63)는 정착판(3)에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므로 회전 시 정착판(3)과의 마찰이 없어 회전이 용이하다.
상기 본체부(62)와 정착구 지지부(63)의 중앙에는 긴장재(1)가 삽입되는 관통공(61)이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긴장재(1)는 재긴장 어댑터(6)의 관통공(61)을 통해 재긴장 어댑터(6)를 관통하여 정착구(4)의 관통공(41)에 삽입되어 웨지(5)에 의해 정착된다.
물론 정착구가 고정단에 위치한 경우 정착구(4)는 어댑터 없이 정착판(3)에 바로 정착될 수도 있다.
정착구(4) 일단과 정착구 지지부(63)의 사이에는 접촉면의 압력을 분산하여 효과적으로 정착구(4)를 지지하기 위해 와셔(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긴장 어댑터(6)는 정착구(4) 및 긴장재(1) 설치 전에 미리 정착판(3)의 고정공(31)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재긴장 어댑터(6)의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정착구(4)가 재긴장 어댑터(6)의 정착구 지지부(63)에 단순 거치되므로, 재긴장 어댑터(6)의 간섭이 없어 정착구(4) 및 긴장재(1)의 설치 작업이 쉽다. 또한, 정착판(3)과의 나사결합만 해제하면 되므로 재긴장 어댑터(6)의 제거 및 교체가 용이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긴장 어댑터(6)의 정착구 지지부(63) 외측면에는 정착구(4)의 일단이 수용되는 홈부(6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631)는 정착구(4)의 단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정착구(4)의 삽입 또는 재긴장 어댑터(6)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정착구(4)보다 지름을 다소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부(631)에 정착구(4)의 일단이 수용되므로 정착구(4)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정착구(4)와 재긴장 어댑터(6)의 축선이 일치되어 편심 없이 재긴장 어댑터(6)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재긴장 어댑터(6)의 정착구 지지부(63)는 외주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동 토크렌치 등의 공구(미도시)로 정착구 지지부(63)를 파지하여 재긴장 어댑터(6)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재긴장 어댑터(6) 회전 시 이와 밀착된 정착구(4)가 밀착면에서의 마찰로 인해 재긴장 어댑터(6)와 같이 회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정착구(4)를 렌치 등의 다른 공구(미도시)로 파지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재긴장 어댑터(6)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정착구(4)의 외주면에 공구를 파지하기 위한 평탄면(43)이 적어도 2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착구(4)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므로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탄면(43)을 정착구(4) 양측에만 형성하여도 충분하다.
도 6은 가이드링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가이드링이 결합된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착구 지지부(63)의 홈부(631)에는 내주면은 정착구(4)의 외주면과 대응되고, 외주면은 홈부(631)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정착구(4)의 일단이 내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링(64)이 구비될 수 있다.
긴장재(1)의 단면적이나 도입되는 긴장력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지름의 정착구(4)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정착구(4)의 규격에 맞게 재긴장 어댑터(6)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정착구(4) 규격에 상관없이 동일한 재긴장 어댑터(6)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정착구 지지부(63)의 홈부(631) 지름을 정착구(4)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고, 홈부(631)와 정착구(4) 사이 간격에는 가이드링(64)을 끼움으로써 정착구(4)를 재긴장 어댑터(6)의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링(64)은 정착구(4) 규격에 따라 다양한 폭으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홈부(63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자성체로 구성하여 정착구 지지부(63)에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고정너트가 결합된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착판(3)과 정착구 지지부(63) 사이의 본체부(62) 외주면에는 고정너트(65)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긴장재(1)의 긴장력은 사용 중 정착구(4)와 재긴장 어댑터(6)에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긴장재(1)의 재긴장을 위해 상기 재긴장 어댑터(6)를 회전시키면 재긴장 어댑터(6)의 정착구 지지부(63)가 정착판(3)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긴장재(1)의 긴장력에 의해 재긴장 어댑터(6)가 역으로 회전하여 정착판(3) 측으로 돌아가 긴장력이 손실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착판(3)과 정착구 지지부(63) 사이에 고정너트(65)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재긴장 어댑터(6)를 회전시켜 긴장재(1)가 긴장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킨 후 고정너트(65)를 회전시켜 정착판(3) 측으로 이동시켜 정착판(3)과 밀착·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재긴장 어댑터(6)가 정착판(3) 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긴장재(1)의 긴장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재긴장용 정착 장치가 적용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재긴장용 정착 장치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2b) 보강을 위한 긴장재(1)를 H 형강인 기둥(2a)에 정착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유압잭과 같은 별도 긴장 장비 없이 긴장재(1)의 재긴장이 가능하므로 좁은 공간에 정착구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둥(2a)의 내측 플랜지를 정착판(3)으로 하여 긴장재(1)를 정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재(1)를 보(2b)의 측면에 정착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재긴장용 정착 장치의 부피가 작아 정착판(3)이 보(2b) 측면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긴장재(1)를 보(2b) 측면에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긴장재는 지중 앵커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정착판은 지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일 수 있다.
도 10은 정착구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 재긴장용 정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착구(4)의 외주면에는 나사산(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긴장재(1)의 정착 완료 후 정착구(4) 등을 보호하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착구(4) 외부에 보호캡(8)을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착구(4) 외주면에는 보호캡(8) 체결을 위한 나사산(44)을 형성하여, 보호캡(8)을 정착구(4) 외측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8)의 내주면에는 정착구(4)의 나사산(44)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보호캡(8)과 정착구(4)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보호캡(8)의 내부에는 정착구(4)의 부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그리스(9)를 충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호캡(8)은 재긴장 어댑터(6)의 정착구 지지부(63)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개방된 단부 측의 지름이 확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긴장재 11: 피복재
2a: 기둥 2b: 보
3: 정착판 31: 고정공
4: 정착구 41: 관통공
42: 웨지홀 43: 평탄면
44: 나사산 5: 웨지
6: 재긴장 어댑터 61: 관통공
62: 본체부 63: 정착구 지지부
64: 가이드링 65: 고정너트
7: 와셔 8: 보호캡
9: 그리스
2a: 기둥 2b: 보
3: 정착판 31: 고정공
4: 정착구 41: 관통공
42: 웨지홀 43: 평탄면
44: 나사산 5: 웨지
6: 재긴장 어댑터 61: 관통공
62: 본체부 63: 정착구 지지부
64: 가이드링 65: 고정너트
7: 와셔 8: 보호캡
9: 그리스
Claims (8)
- 긴장재(1)가 삽입 관통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공(31)이 구비된 정착판(3);
상기 정착판(3)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긴장재(1)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41)이 중앙에 형성되고, 일단에 형성된 웨지홀(42)에 웨지(5)가 수용되어 상기 긴장재(1)의 일단이 상기 웨지(5)에 의해 정착되며, 외주면에는 평탄면(43)이 적어도 2 이상 형성되는 정착구(4); 및
상기 정착판(3)과 정착구(4)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긴장재(1)가 관통되도록 중앙에 관통공(61)이 형성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정착판(3)의 고정공(31)에 나사결합되는 본체부(62) 및 상기 본체부(62) 외측단에 결합되어 본체부(62)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정착구(4)의 일단이 수용되는 홈부(631)가 형성되며, 외주면이 다각형인 정착구 지지부(63)로 구성되어, 회전에 의해 정착구(4)를 정착판(3)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재긴장 어댑터(6);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용 정착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정착구 지지부(63)의 홈부(631)에는 내주면은 정착구(4)의 외주면과 대응되고, 외주면은 홈부(631)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정착구(4)의 일단이 내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링(6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용 정착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정착판(3)과 정착구 지지부(63) 사이의 본체부(62) 외주면에는 고정너트(65)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용 정착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정착구(4)의 외주면에는 나사산(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용 정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5360A KR101852082B1 (ko) | 2017-11-02 | 2017-11-02 | 재긴장용 정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5360A KR101852082B1 (ko) | 2017-11-02 | 2017-11-02 | 재긴장용 정착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2082B1 true KR101852082B1 (ko) | 2018-04-27 |
Family
ID=6208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5360A KR101852082B1 (ko) | 2017-11-02 | 2017-11-02 | 재긴장용 정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2082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40840A (zh) * | 2018-12-13 | 2019-03-08 | 中国地质大学(武汉) | 一种适用于边坡模型试验的抗滑桩-锚索连接装置 |
CN109594721A (zh) * | 2018-12-04 | 2019-04-09 | 东南大学 | 一种预应力frp筋先张法张拉锚固设备 |
CN109972497A (zh) * | 2019-04-26 | 2019-07-05 | 中交第一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 斜拉索与桥塔锚固构造 |
KR102013736B1 (ko) * | 2018-12-17 | 2019-08-23 | 박무수 | 볼조인트 카르단을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스트랜드 교체방법 |
KR102118120B1 (ko) * | 2019-07-11 | 2020-06-02 | (주)피에스제이에스 | 재긴장이 가능한 정착장치 및 정착방법 |
KR102394128B1 (ko) * | 2021-06-30 | 2022-05-03 | 조남철 | 설하중에 강한 케이블 보강형 막구조물 |
KR102427958B1 (ko) * | 2021-06-30 | 2022-08-01 | 조남철 | 풍하중에 강한 케이블 보강형 막구조물 |
-
2017
- 2017-11-02 KR KR1020170145360A patent/KR10185208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594721A (zh) * | 2018-12-04 | 2019-04-09 | 东南大学 | 一种预应力frp筋先张法张拉锚固设备 |
CN109440840A (zh) * | 2018-12-13 | 2019-03-08 | 中国地质大学(武汉) | 一种适用于边坡模型试验的抗滑桩-锚索连接装置 |
KR102013736B1 (ko) * | 2018-12-17 | 2019-08-23 | 박무수 | 볼조인트 카르단을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스트랜드 교체방법 |
CN109972497A (zh) * | 2019-04-26 | 2019-07-05 | 中交第一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 斜拉索与桥塔锚固构造 |
KR102118120B1 (ko) * | 2019-07-11 | 2020-06-02 | (주)피에스제이에스 | 재긴장이 가능한 정착장치 및 정착방법 |
KR102394128B1 (ko) * | 2021-06-30 | 2022-05-03 | 조남철 | 설하중에 강한 케이블 보강형 막구조물 |
KR102427958B1 (ko) * | 2021-06-30 | 2022-08-01 | 조남철 | 풍하중에 강한 케이블 보강형 막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2082B1 (ko) | 재긴장용 정착 장치 | |
US5556233A (en) | Rock anchor assembly | |
US8033760B2 (en) | Tension assembly | |
CA2975746C (en) | Tensionable cable anchor assembly and a tensioning device for tensioning same | |
EP3305986B1 (en) | Barrier cable coupler | |
KR101232642B1 (ko) | 지중 앙카용 피씨 강연선을 재인장 조정하기 위한 재인장 정착구 | |
KR100994237B1 (ko) | 제거식 그라운드앵커의 강연선 홀딩장치 | |
KR20130092356A (ko) | 앵커 재긴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280602B1 (ko) | 타격을 통해 재장착이 가능한 일자형 제거식 앵커헤드 | |
KR20130028489A (ko) | 인장력 조절 브라켓 | |
EP3396069B1 (en) | Anchoring head for an anchoring rod | |
JP2006219912A (ja) | Pc鋼より線とソケットとの固着構造及びpc鋼より線とウエッジとのソケットへの圧入固着装置 | |
WO2012146053A1 (zh) | 连续管导入装置 | |
AU2018319717B2 (en) | Rock bolt with meshing adapter | |
KR20020075125A (ko) |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 |
KR100586078B1 (ko) |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 |
JP3657567B2 (ja) | アンカーの補修用治具及びアンカーの補修方法 | |
KR102118120B1 (ko) | 재긴장이 가능한 정착장치 및 정착방법 | |
JPH0959976A (ja) | アンカー頭部の定着構造 | |
JPH0726388B2 (ja) | アースアンカー及びその定着方法 | |
KR20110114927A (ko) | 인장재 제거식 정착유닛 | |
ZA200902680B (en) | Tension assembly | |
KR102400763B1 (ko) | 케이블용 정착장치 | |
KR200386826Y1 (ko) |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 |
KR19980028139A (ko) | 어스앵커 및 그 장착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