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642B1 - 지중 앙카용 피씨 강연선을 재인장 조정하기 위한 재인장 정착구 - Google Patents
지중 앙카용 피씨 강연선을 재인장 조정하기 위한 재인장 정착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2642B1 KR101232642B1 KR1020120102607A KR20120102607A KR101232642B1 KR 101232642 B1 KR101232642 B1 KR 101232642B1 KR 1020120102607 A KR1020120102607 A KR 1020120102607A KR 20120102607 A KR20120102607 A KR 20120102607A KR 101232642 B1 KR101232642 B1 KR 1012326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chorage
- tension
- screw portion
- tensioning
- anch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스 앙카 혹은 락 앙카를 포함하는 지중 앙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 앙카에 적용되는 재인장 정착구에 대한 구조를 개선하되, 상기 재인장 정착구의 하부에 별도의 승강조절구를 나사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승강조절구는 지중 앙카의 초기 설치 상태에서는 베어링 플레이트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재인장 조정시의 인장기 지그와 간섭되지 않도록 함에 구성함에 따라,
기 설치된 상태의 지중 앙카에 대한 PC 강연선의 재인장 조정 작업이 필요한 경우 지중 앙카의 재인장 정착구를 인장기의 지그에 물린 상태에서 인장기의 작동을 통해 재인장 정착구를 잡아당겨 PC 강연선에 대한 인장력이 부여되게 한 후, 기존의 끼움구를 사용하지 않고 재인장 정착구 자체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조절구를 회전시켜 베어링 플레이트와 밀착되도록 함에 따라, PC 강연선에 부여되는 인장력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간격을 갖는 재인장 정착구와 베어링 플레이트의 사이 간격을 상기 승강조절구가 정확하게 일치하여 보상하므로 인장기에서 적용된 PC 강연선의 인장력에 대한 손실 없이 정밀한 조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별도의 끼움구를 다수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편리성은 물론 작업 효율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며, 작업 안전도도 매우 우수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기 설치된 상태의 지중 앙카에 대한 PC 강연선의 재인장 조정 작업이 필요한 경우 지중 앙카의 재인장 정착구를 인장기의 지그에 물린 상태에서 인장기의 작동을 통해 재인장 정착구를 잡아당겨 PC 강연선에 대한 인장력이 부여되게 한 후, 기존의 끼움구를 사용하지 않고 재인장 정착구 자체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조절구를 회전시켜 베어링 플레이트와 밀착되도록 함에 따라, PC 강연선에 부여되는 인장력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간격을 갖는 재인장 정착구와 베어링 플레이트의 사이 간격을 상기 승강조절구가 정확하게 일치하여 보상하므로 인장기에서 적용된 PC 강연선의 인장력에 대한 손실 없이 정밀한 조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별도의 끼움구를 다수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편리성은 물론 작업 효율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며, 작업 안전도도 매우 우수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스 앙카 혹은 락 앙카를 포함하는 지중 앙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설 흙막이 벽체 혹은 절취 사면이나 성토 사면에 시공되는 지중 앙카에 있어 압축 응력을 가하는 피씨 강연선(Prestressed concrete strand)에 대하여 재인장 조정을 하기 위한 재인장 정착구의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강연선에 대한 재인장 조정 작업이 매우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재인장 정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앙카라 함은 어스 앙카(Earth anchor)와 락 앙카(Rock anchor)로 크게 분류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어스 앙카의 경우 지하 구조물의 건설 현장에서 흙막이 벽체에 대한 압축 응력(Prestress)의 목적을 갖고 가설 형태로 주로 시공되는 것이고, 상기의 락 앙카는 절취 사면이나 성토 사면과 같은 도로변의 경사지에서 영구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어스 앙카와 락 앙카는 보편적으로 도 1의 도시와 같이 지중 천공 작업을 수행한 상태에서 상기의 천공부에 대하여 PC 강연선(101;필요에 따라서 PC 강선)을 내부로 삽입하여 이를 천공부의 말단에 고정시키고, 시멘트 그라우트를 고결시켜 PC 강연선(101)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 외부로 노출되는 PC 강연선에는 베어링 플레이트(Bearing Plate;102)와 재인장 정착구(Anchor head;103)를 결합한 후, 상기의 PC 강연선(101)을 인장기에 의해 소정의 압축 응력이 작용하도록 인장한 상태에서 PC 강연선(101)을 감싸는 웨지(Wedge;104))를 상기 재인장 정착구(103)에 형성된 쐐기공으로 삽입시킴에 따라 지중 앙카의 고정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은 재인장 정착구(103)의 외측으로는 별도의 보호 캡(Protection cap;105))을 결합하여 재인장 정착구(103) 및 PC 강연선(101)의 말단부를 보호하는 것은 물론 보호 캡(105)에 형성된 니플(Nipple)을 통해 보호 캡의 내부로 그리스(Greese)를 주입함에 따라 재인장 정착구(103) 및 PC 강연선(101)과 웨지(104)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보호 캡(105)은 가설 흙막이 벽체보다는 장기간 영구 설치가 목적인 락 앙카에 주로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의 락 앙카는 도로변의 절취 사면이나 성토 사면 등에 설치됨에 따라 PC 강연선에 대한 인장력이 약화되는 경우 재인장 조정을 통해 적합한 압축 응력이 작용하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절취 사면이나 성토 사면의 경우 지중 앙카를 통해 지속적이고 영구적인 압축 응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인데, 응축 응력을 제공하는 지중 앙카에 대한 PC 강연선의 이완으로 인해 압축 응력이 약화되는 경우에는 상기의 PC 강연선에 대한 재인장을 통해 설계된 압축 응력을 부여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PC 강연선의 재인장 조정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보호 캡을 분리 및 제거한 후 상기의 재인장 정착구에 인장기를 결합하여 인장기를 통해 PC 강연선에 대한 인장력 부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도 2의 도시와 같이 보호 캡(105)을 분리 및 제거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재인장 정착구(103)에 인장기(110)의 지그를 결합하게 된다. 이어, 인장기(110)를 작동시켜 재인장 정착구(103)를 잡아당기면 도 3의 도시와 같이 재인장 정착구(103)의 웨지(104)는 PC 강연선(101)을 강력하게 물고 있는 상태에서 재인장 정착구(103)와 함께 유동하므로 상기의 PC 강연선(101)에는 인장기(110)의 작동량과 비례하는 크기의 인장력이 부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PC 강연선(101)에 대하여 목적하는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상기의 재인장 정착구(103)는 베어링 플레이트(102)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갖게 될 것이므로 상기의 재인장 정착구(103)와 베어링 플레이트(102)의 사이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틈새 메움을 위한 철판 등의 끼움구(120)를 삽입하는 것이고, 상기의 끼움구(120)를 삽입한 상태에서 인장기(110)의 작동을 멈추고 재인장 정착구(103)로부터 인장기(110)의 지그를 제거한 후 다시 보호 캡(105)을 고정 설치하면 PC 강연선에 대한 재인장 조정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 지중 앙카의 재인장 정착구를 이용하여 PC 강연선에 대한 재인장 조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구비된 끼움구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면서도 위험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PC 강연선에 대한 재인장 조정 작업은 인장기의 지그에 PC 강연선이 물린 상태의 재인장 정착구를 나사 결합한 후 인장기의 작동을 통해 재인장 정착구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베어링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별도의 끼움구를 삽입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것으로, PC 강연선에 대한 이완 상태에 따라 적용되는 인장력의 차이를 갖게 될 것이므로 상기의 재인장 정착구와 베어링 플레이트의 사이 간격은 늘 일정하지 못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재인장 정착구와 베어링 플레이트의 틈새가 일정하지 못하므로 이들 사이에 삽입되는 끼움구의 두께 역시 달라져야 하는 것으로 작업자는 각기 다른 두께를 갖는 끼움구를 다수 구비하여야 하거나 얇은 끼움구를 적층하여 다수 삽입하는 방법을 통해 상기의 틈새에 대하여 끼움구를 삽입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끼움구는 통상적으로 금속판재를 잘라 만들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형태의 끼움구를 재인장 정착구와 베어링 플레이트의 사이 틈새에 다수 개소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절취 사면이나 성토 사면의 경사각으로 인해 이들 끼움구가 안착되지 못하고 흘러내리거나 유동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어 부득이 이들을 임시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추가로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끼움구를 재인장 정착구와 베어링 플레이트의 사이에 집어넣고 인장기를 재인장 정착구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인장기의 분리로 인해 PC 강연선에 순간적으로 강력한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재인장 정착구가 베어링 플레이트를 향하여 강력한 힘을 갖고 밀착되는데 상기의 끼움구가 정확히 계지되어 있지 못하거나 외측으로 벗어난 상태에서 삽입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강력한 밀착력으로 인해 상기의 끼움구가 빠져버리거나 작업자를 향하여 튀어 버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끼움구에 의한 틈새 보완 방법은 끼움구가 재인장 정착구와 베어링 플레이트의 틈새에 긴밀하게 삽입되지 못하여 인장기를 해체하는 경우 재인장 정착구가 베어링 플레이트를 향하여 이동되므로 설정된 인장력보다 적은 인장력이 PC 강연선에 적용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지중 앙카의 PC 강연선에 대한 재인장 조정 작업시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정확한 인장력의 부여 방법이 절실한 것이고, 이와 더불어 작업 편리성 및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 및 지중 앙카의 구조에 대한 개선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지중 앙카에 적용되는 재인장 정착구에 대한 구조를 개선하되, 상기 재인장 정착구의 하부에 별도의 승강조절구를 나사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승강조절구는 지중 앙카의 초기 설치 상태에서는 베어링 플레이트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재인장 조정시의 인장기 지그와 간섭되지 않도록 함에 구성함에 따라,
지중 앙카의 PC 강연선에 대한 재인장 조정 작업시 인장기의 지구에 재인장 정착구를 장착하여 잡아당긴 상태에서 재인장 정착구와 베어링 플레이트의 사이에 해당하는 틈새만큼 승강조절구를 하강시켜 베어링 플레이트에 밀착되도록 하여 별도의 끼움구에 대한 번거로운 삽입과정이 없고 PC 강연선에 대한 인장력이 상실되지 아니하며 작업자의 안전에 위해를 가하지 않는 특징을 갖는 지중 앙카용 피씨 강연선을 재인장 조정하기 위한 재인장 정착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PC 강연선이 웨지에 의해 결합되게 한 쐐기공이 형성된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에 있어서, 상기 재인장 정착구의 외면에는 조절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나사부에는 재인장 정착구의 두께보다 적은 두께를 갖는 별도의 승강조절구를 나사 결합 형성하되,
상기 재인장 정착구는 외면에 상기 조절나사부 보다 확장 외경의 체결나사부를 형성하여 조절나사부와 체결나사부의 사이에 경계턱이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조절나사부에 결합되는 승강조절구의 상승 회전시 승강조절구의 선단이 상기의 경계턱과 간섭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 설치된 상태의 지중 앙카에 대한 PC 강연선의 재인장 조정 작업이 필요한 경우 지중 앙카의 재인장 정착구를 인장기의 지그에 물린 상태에서 인장기의 작동을 통해 재인장 정착구를 잡아당겨 PC 강연선에 대한 인장력이 부여되게 한 후, 기존의 끼움구를 사용하지 않고 재인장 정착구 자체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조절구를 회전시켜 베어링 플레이트와 밀착되도록 함에 따라, PC 강연선에 부여되는 인장력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간격을 갖는 재인장 정착구와 베어링 플레이트의 사이 간격을 상기 승강조절구가 정확하게 일치하여 보상하므로 인장기에서 적용된 PC 강연선의 인장력에 대한 손실 없이 정밀한 조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별도의 끼움구를 다수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편리성은 물론 작업 효율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며, 작업 안전도도 매우 우수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기존 지중 앙카의 시공 상태를 보인 전체도
도 2는 기존 지중 앙카에 대한 재인장 조정 작업시의 인장기 결합 확대도
도 3은 기존 지중 앙카에 대한 재인장 조정 작업시의 인장기 작동 상태도
도 4는 기존 지중 앙카에 대한 재인장 조정 작업시의 끼움구 삽입 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전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단면 전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가 적용된 지중 앙카의 전체 시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를 이용한 인장기 결합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를 이용한 재인장 조정 과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다른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4는 도 13에 의한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단면 상태도
도 2는 기존 지중 앙카에 대한 재인장 조정 작업시의 인장기 결합 확대도
도 3은 기존 지중 앙카에 대한 재인장 조정 작업시의 인장기 작동 상태도
도 4는 기존 지중 앙카에 대한 재인장 조정 작업시의 끼움구 삽입 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전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단면 전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가 적용된 지중 앙카의 전체 시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를 이용한 인장기 결합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를 이용한 재인장 조정 과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다른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4는 도 13에 의한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단면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 이해를 돕기 위한 기존 지중 앙카의 필요 구성요소는 본 발명에서의 재인장 정착구를 제외하고 배경기술에서의 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앙카용 재인장 정착구의 단면 전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인장 정착구는 평면상 원형으로 된 금속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재인장 정착구(10)의 내측으로는 수직의 쐐기공(11)(11')이 반복하여 천공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쐐기공(11)(11')은 PC 강연선(101)을 고정하기 위한 웨지(104)가 삽입되는 곳으로, 필요에 따라서 혹은 지중 앙카의 시공 장소에 대한 지질이나 현장 특성에 따라 단일 혹은 다수의 쐐기공(11)(11')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재인장 정착구(10)의 외면에는 조절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의 조절나사부(12)에는 별도의 승강조절구(20)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조절나사부(12)를 이용하여 인장기(110)의 지그가 직접 나사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조절나사부(12)의 상측에 보다 큰 외경으로 된 체결나사부(13)를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즉, 상기와 같은 재인장 정착구(10)의 외면에는 상측이 체결나사부(13)가 형성되고 체결나사부(13)의 하측으로는 체결나사부(13)의 외경보다는 작은 외경의 조절나사부(1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의 체결나사부(13)에 전기한 승강조절구(20)가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절나사부(12)와 체결나사부(13)의 외경 차에 따라 조절나사부(12)와 체결나사부(13)의 사이에는 경계턱(14)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의 경계턱(14)은 조절나사부(12)에 삽입된 승강조절구(20)가 불필요하게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승강조절구(20)의 외경으로 인해 재인장 정착구(10)의 전체 외경이 지나치게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조절나사부(12)에 삽입된 승강조절구(20)는 승강조절구(20)의 선단이 경계턱(14)과 맞닿은 상태에서 승강조절구(20)의 하단이 재인장 정착구(1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를 갖고 있어야 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의 재인장 정착구(10) 자체의 두께를 이용하여 지중 앙카의 초기 설치 상태에서의 인장력 부여를 수행한 상태에서 추가로 PC 강연선(101)에 대한 재인장 조정시 상기의 승강조절구(20)를 이용하기 위함이다.
즉, 지중 앙카의 초기 시공시 재인장 정착구(10)의 하단이 베어링 플레이트(102)에 밀착되게 한 상태에서 인장기(110)를 이용하여 PC 강연선(101)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여한 후, PC 강연선(101)의 이완으로 인해 인장력이 약화되는 경우 인장기(110)를 통해 재인장 정착구(10)를 잡아당긴 후 상기의 승강조절구(20)를 풀어 이격된 재인장 정착구(10)와 베어링 플레이트(102)의 사이 공간을 상기 승강조절구(20)가 보상하는 형태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조절나사부(12)는 체결나사부(13)의 외경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갖고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은 조절나사부(12)에 상기의 승강조절구(20)가 체결됨에 따라 승강조절구(20)를 포함한 재인장 정착구(10)의 전체 외경은 기존 재인장 정착구(10)의 외경에 비해 크게 확장되지 않는 것이다.
즉, 배경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의 재인장 정착구(10)는 보호 캡(105)의 내측에 수용되는 구성요소이므로 승강 조절구(20)의 결합으로 인해 기존이 재인장 정착구의 외경보다 과도하게 외경이 확장되는 경우에는 보호 캡(105)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므로 상기의 조절나사부(12)를 체결나사부(13)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승강조절구(20)가 갖는 두께의 일부분이 이들 조절나사부(12)와 체결나사부(13)의 외경 단차 내로 삽입되는 특징을 연출하게 되므로 결국 기존 재인장 정착구와 비교하여 소정의 크기(보호 캡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만 외경이 확장되는 형태를 갖게 되어 기존의 보호 캡(105)을 그대로 사용하는데에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따라 도 8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인장 정착구(10)를 이용하여 PC 강연선(101)을 고정한 상태에서 재인장 정착구(10)가 베어링 플레이트(102)에 밀착되도록 PC 강연선(101)에 장력을 부여하면 지중 앙카에 대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재인장 정착구(10)의 외측에 기존의 보호 캡(105)을 고정 설치함에 따라 재인장 정착구(10)는 물론 PC 강연선(101)의 끝단부와 웨지(104) 등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지중 앙카의 시공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C 강연선(101)의 이완으로 인해 인장력이 약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호 캡(105)을 분리 및 제거한 상태에서 노출 상태인 재인장 정착구(10)의 체결나사부(13)에 인장기(110)의 지그를 나사 결합한 후 상기의 인장기(110)를 작동시키면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재인장 정착구(10)는 승강조절구(20)와 함께 베어링 플레이트(102)로부터 이격되는 것이고, 상기의 PC 강연선(101)에는 설정된 혹은 설계된 크기의 인장력이 부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0의 도시와 같이 재인장 정착구(10)의 조절나사부(12)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조절구(20)를 회전시켜 베어링 플레이트(102)에 밀착되게 하면 이들 재인장 정착구(10)와 베어링 플레이트(102)의 사이에 별도의 쐐기 혹은 철판 등의 끼움구를 삽입하지 않더라도 상기의 재인장 정착구(10)는 베어링 플레이트(102)와의 이격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장기(110)를 이용하여 PC 강연선(101)에 대한 인장력 부여가 이루어진 후 상기의 승강조절구(20)를 회전시켜 베어링 플레이트(102)에 밀착되게 하면 상기의 인장기(110)를 제거하더라도 유동한 상태의 재인장 정착구(10)는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PC 강연선(101)에 대한 조정 인장력은 전혀 변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는 별도의 틈새 메움재 또는 철판 등을 휴대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편리성이 뛰어난 것이고, 설치 개소마다 각기 다른 지중 앙카의 재인장력 부여에 의한 재인장 정착구(10)와 베어링 플레이트(102)의 간격 차이는 상기 승강조절구(20)의 회전량에 따라 모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작업 효율성 향상은 물론 작업 시간이 현격히 단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재인장 정착구(10)의 승강조절구(20)는 외면에 횡방향으로 된 회전홈(21)을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회전홈(21)으로 기다란 막대 형태의 도구를 삽입하여 상기의 승강조절구(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도 11의 도시와 같이 승강조절구(20)의 외면에 수직으로 된 반복의 간섭홈(22)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승강조절구(20)를 손으로 직접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2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승강조절구(20)의 외측을 6각 혹은 8각의 다각면부(23)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를 직접 손으로 파지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도 있는 것은 물론 별도의 클램핑 장치 및 도구를 이용하여 이를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승강조절구(20)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 및 도 14의 도시와 같이 승강조절구(20)의 외측 하부에 별도의 확장조절구(30)를 나사 결합 형성함에 따라 재인장 정착구(10)가 과도하게 베어링 플레이트(102)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의 확장조절구(30)를 통해 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승강조절구(20)의 외면 하측에 승강조절구(20)의 외경보다 작은 확장나사부(24)를 형성함에 따라 확장나사부(24)의 선단에는 승강조절구(20)의 외경 차에 따른 걸림턱(25)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의 확장나사부(24)에 별도의 확장조절구(30)를 나사 체결함에 따라 확장조절구(30)의 선단이 걸림턱(25)에 맞닿도록 하면 확장조절구(30)의 하단은 승강조절구(20)의 하단과 동일하거나 짧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재인장 정착구(10)에 승강조절구(20)와 확장조절구(30)가 이중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지중 앙카에 대한 최초 인장 설치가 이루어진 후, PC 강연선(101)에 대한 이완으로 재인장 조정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우선 승강조절구(20)를 회전시켜 승강조절구(20) 만으로 재인장 정착구(10)와 베어링 플레이트(102) 사이의 틈새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와 같은 재인장 조정 작업을 거친 후 추가적으로 PC 강연선(101)에 대한 재인장 조정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재인장 정착구(10)와 베어링 플레이트(102)의 사이 간격이 승강조절구(20)의 하강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의 확장조절구(30)를 회전시켜 일르 보상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승강조절구(20) 만으로 충분한 간격 보상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지형이나 현장에서 매우 탁월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승강조절구(20)와 확장조절구(30)의 외면에는 전기한 바와 같은 회전홈(21) 또는 간섭홈(22)이나 다각면부(23)가 형성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재인장 정착구(10)는 지중 앙카의 PC 강연선(101)에 대한 재인장 조정 작업시 베어링 플레이트(102)로부터 이격된 재인장 정착구(10)에 의한 상호 간의 틈새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지지 및 보상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재인장 정착구(10) 자체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작업 편리성과 효율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특히, 인장기를 통해 재인장 정착구 (10)를 잡아당겨 PC 강연선(101)에 대한 인장력 부여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승강조절구(20)를 풀어 베어링 플레이트(102)와 밀착되게 하는 방식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인장기(110)를 제거하더라도 재인장 정착구(10)가 베어링 플레이트(102)를 향하여 유동하지 아니하므로 인장기를 이용한 인장력의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인장력에 대한 정확한 부여가 빠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재인장 정착구 11,11' : 쐐기공
12 : 조잘나사부 13 : 체결나사부
14 : 경계턱
20 : 승강조절구 21 : 회전홈
22 : 간섭홈 23 : 다각면부
24 : 확장나사부 25 : 걸림턱
30 : 확장조절구
12 : 조잘나사부 13 : 체결나사부
14 : 경계턱
20 : 승강조절구 21 : 회전홈
22 : 간섭홈 23 : 다각면부
24 : 확장나사부 25 : 걸림턱
30 : 확장조절구
Claims (7)
- PC 강연선(101)이 웨지(104)에 의해 결합되게 한 쐐기공(11)(11')이 형성되고 외면에 조절나사부(12)와 체결나사부(13)를 형성하되, 상기 조절나사부(12) 외경보다 체결나사부(13) 외경을 확장하여 경계턱(14)이 형성되어진 재인장 정착구(10)를 구비하고, 상기 재인장 정착구 외면의 조절나사부(12)에는 재인장 정착구의 두께보다 적은 두께를 갖는 별도의 승강조절구(20)를 나사 결합하여 형성하되, 상기 승강조절구(20)의 외면에는 확장나사부(24)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나사부(24)에는 별도의 확장조절구(30)를 나사 결합하여 구성한 지중 앙카용 피씨 강연선을 재인장 조정하기 위한 재인장 정착구(10)에 있어서,
상기 확장나사부(24)는 승강조절구(2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형성되게 하여 확장나사부(24)의 선단에 걸림턱(25)이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상승 회전되는 확장조절구(30)의 선단이 상기 걸림턱(25)과 간섭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앙카용 피씨 강연선을 재인장 조정하기 위한 재인장 정착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2607A KR101232642B1 (ko) | 2012-09-17 | 2012-09-17 | 지중 앙카용 피씨 강연선을 재인장 조정하기 위한 재인장 정착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2607A KR101232642B1 (ko) | 2012-09-17 | 2012-09-17 | 지중 앙카용 피씨 강연선을 재인장 조정하기 위한 재인장 정착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2642B1 true KR101232642B1 (ko) | 2013-02-13 |
Family
ID=4789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2607A KR101232642B1 (ko) | 2012-09-17 | 2012-09-17 | 지중 앙카용 피씨 강연선을 재인장 조정하기 위한 재인장 정착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2642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88380A (zh) * | 2013-08-06 | 2013-11-13 |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 一种成品钢绞线束用的记号板 |
KR101491412B1 (ko) | 2014-05-13 | 2015-02-06 |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 슬리브를 이용한 강선 정착구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
KR101835831B1 (ko) * | 2017-08-23 | 2018-04-20 | 주식회사그라운드이엔씨 | 긴장력 육안 확인이 가능한 앵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
KR102125243B1 (ko) * | 2019-08-19 | 2020-06-22 | 우리기술개발 주식회사 | 기시공된 앵커의 재인장 및 인장력 육안확인 장치 시공 방법 |
KR102187757B1 (ko) * | 2020-01-22 | 2020-12-07 | 장기영 | 철근콘크리트 파일 제거공법 및 장치 |
CN118358042A (zh) * | 2024-06-19 | 2024-07-19 |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 一种可自定位锚穴的锚穴穿束张拉系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4774B1 (ko) * | 2007-01-08 | 2007-04-09 | 박이근 | 사면보강공사용 소일네일앵커 |
KR100950265B1 (ko) * | 2009-04-24 | 2010-03-31 | 이인귀 | 하중 복원용 재인장 실린더 장치 |
-
2012
- 2012-09-17 KR KR1020120102607A patent/KR10123264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4774B1 (ko) * | 2007-01-08 | 2007-04-09 | 박이근 | 사면보강공사용 소일네일앵커 |
KR100950265B1 (ko) * | 2009-04-24 | 2010-03-31 | 이인귀 | 하중 복원용 재인장 실린더 장치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88380A (zh) * | 2013-08-06 | 2013-11-13 | 天津鑫坤泰预应力专业技术有限公司 | 一种成品钢绞线束用的记号板 |
KR101491412B1 (ko) | 2014-05-13 | 2015-02-06 |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 슬리브를 이용한 강선 정착구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
KR101835831B1 (ko) * | 2017-08-23 | 2018-04-20 | 주식회사그라운드이엔씨 | 긴장력 육안 확인이 가능한 앵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
WO2019039787A1 (ko) * | 2017-08-23 | 2019-02-28 |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긴장력 육안 확인이 가능한 앵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
KR102125243B1 (ko) * | 2019-08-19 | 2020-06-22 | 우리기술개발 주식회사 | 기시공된 앵커의 재인장 및 인장력 육안확인 장치 시공 방법 |
KR102187757B1 (ko) * | 2020-01-22 | 2020-12-07 | 장기영 | 철근콘크리트 파일 제거공법 및 장치 |
CN118358042A (zh) * | 2024-06-19 | 2024-07-19 |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 一种可自定位锚穴的锚穴穿束张拉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2642B1 (ko) | 지중 앙카용 피씨 강연선을 재인장 조정하기 위한 재인장 정착구 | |
KR101072527B1 (ko) | 강연선 지중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 |
KR100898907B1 (ko) | 어스 앵커용 정착구 | |
KR101852082B1 (ko) | 재긴장용 정착 장치 | |
KR100793743B1 (ko) | 영구앵커 조립체 고정공법 및 그 장치 | |
KR101453303B1 (ko) | 재인장용 정착구 | |
US9169635B2 (en) | Apparatus to tie forms to existing structures | |
US20210381188A1 (en) | Ground Anchor | |
KR20130120749A (ko) | 원터치식 재인장 정착구 | |
ES2234363A1 (es) | Medios y metodos de suspension de equipo. | |
KR100832101B1 (ko) |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받침 | |
KR20130092356A (ko) | 앵커 재긴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280602B1 (ko) | 타격을 통해 재장착이 가능한 일자형 제거식 앵커헤드 | |
KR102021602B1 (ko) |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 | |
KR101280601B1 (ko) | 재장착이 가능한 일자형 제거식 앵커헤드 | |
KR101352212B1 (ko) | 원터치식 재인장 정착구의 유압식 인장기 | |
KR101603507B1 (ko) | 중앙관이 구비된 압축형 앵커 | |
KR100734169B1 (ko) | 긴장력 조절이 가능한 유지관리용 정착구가 구비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0568041B1 (ko) | 영구앙카 | |
JP6541473B2 (ja) | 法枠移動防止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KR101018386B1 (ko) | 인장재의 제거가 용이한 정착구를 갖는 어스앵커구조체 | |
KR101474530B1 (ko) | 쐐기정착부 작용력에 의한 확장 지압형 앵커체 | |
KR101242745B1 (ko) | 개선된 구조를 갖는 지중 앙카용 보호 캡 | |
KR20150107261A (ko) |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 |
KR100527389B1 (ko) | 암석 붕괴 방지용 락 앵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