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59022B1 - 화상형성장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022B1
KR101859022B1 KR1020130005388A KR20130005388A KR101859022B1 KR 101859022 B1 KR101859022 B1 KR 101859022B1 KR 1020130005388 A KR1020130005388 A KR 1020130005388A KR 20130005388 A KR20130005388 A KR 20130005388A KR 101859022 B1 KR101859022 B1 KR 101859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external
storage unit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3061A (ko
Inventor
빈성욱
박호범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5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022B1/ko
Priority to US13/933,149 priority patent/US9547504B2/en
Priority to RU2015134359A priority patent/RU2015134359A/ru
Priority to CN201380070780.0A priority patent/CN104937533B/zh
Priority to AU2013374549A priority patent/AU2013374549B2/en
Priority to BR112015010260A priority patent/BR112015010260A2/pt
Priority to JP2015553640A priority patent/JP2016513301A/ja
Priority to PCT/KR2013/006423 priority patent/WO2014112699A1/en
Priority to TW102145997A priority patent/TWI613902B/zh
Priority to EP20140151120 priority patent/EP2757470A1/en
Publication of KR20140093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061A/ko
Priority to ZA2015/03897A priority patent/ZA201503897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8Suspend and resume; Hibernate and aw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ower Sour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인 경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이 적재되는 제1 저장부,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 제1 프로그램보다 크기가 작으며, 기정의된 외부 장치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프로그램이 적재되는 제2 저장부, 및,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제1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1 프로그램 또는 제2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 모드에 따라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데이터의 생성, 인쇄, 수신, 전송 등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서,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 구현한 복합기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 화상형성장치는 절전 모드 시에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절전 모드인 경우에 메인 메모리(통상적으로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에 공급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셀프 리플래쉬(self refresh) 상태로 전환하고, 별도의 메모리(통상적으로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동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기능 및 장치를 지원해야하는 USB 호스트는 지원하는 기능과 장치의 수가 많아 질수록 스택(USB 호스트 프로그램)이 차지하는 공간도 커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SRAM에 USB 호스트의 모든 기능을 구현하기에 무리가 있었다. 또한, 고가인 SRAM의 용량을 큰 것으로 이용하는 것은 비용면에서 비효율적이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달로 무선랜 모듈이 각종 장치에 적용되어 있으며, 다양한 호스트 장치와의 호환성을 고려해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무선랜 모듈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점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메인 메모리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메인 메모리에서 동작하던 USB 드라이버 역시 중단되므로, USB 무선랜 모듈과 같은 USB 디바이스 장치와 통신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무선 프린터와 같이 특정한 작업 명령을 무선으로 전달받아 동작하는 경우, 인쇄 제어 단말장치(예를 들어, PC, 노트북 등)에서 무선으로 문서를 출력하고자 데이터를 보내도 출력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 모드에 따라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그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인 경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이 적재되는 제1 저장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프로그램보다 크기가 작으며, 기정의된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프로그램이 적재되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1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이면, 상기 제1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이면,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으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가 상기 기정의된 외부 장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가 기정의된 외부 장치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상기 제2 저장부에서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가 기정의된 외부 장치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 및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인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이면, 상기 제1 저장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제1 저장부가 셀프 리플래쉬(self-refresh)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1 프로그램 및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의 제3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을 중지하고, 상기 제3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하고,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된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을 재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저장부 또는 상기 제2 저장부에 백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 제3 저장부에 백업된 장치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프로그램이 참조하는 외부 장치의 주소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새로운 외부 장치가 연결되거나 기연결된 외부 장치가 탈착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프로그램은 USB 호스트 드라이버이고, 상기 제2 프로그램은 상기 USB 호스트 드라이버에서 허브 클래스 드라이버(Hub Class Deiver), 매시 스토리지 드라이버(Mass Storage Class driver) 및 이뉴머레이션(enumeration)이 제거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정의된 외부 장치는 무선랜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저장부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고, 상기 제2 저장부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이 적재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인 경우에 동작하는 제1 저장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동작하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이 필요하면, 상기 외부 장치의 장치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1 프로그램보다 낮은 용량의 제2 프로그램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장치 제어 정보 및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을 제1 저장부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정의된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프로그램'을 제2 저장부에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1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이면, 상기 제1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이면,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으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상기 제2 저장부에서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가 상기 기정의된 외부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가 기정의된 외부 장치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은,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가 기정의된 외부 장치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시에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상기 제1 저장부 또는 제2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 및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인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이면, 상기 제1 저장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제1 저장부가 셀프 리플래쉬(self-refresh)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이 중지되고, 상기 제2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저장부에 적재되면,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된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을 재개할 수 있다.
한편, 본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제어 정보를 비휘발성인 제3 저장부에 백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3 저장부에 백업된 장치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의 목록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프로그램이 참조하는 외부 장치의 주소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본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새로운 외부 장치가 연결되거나 기연결된 외부 장치가 탈착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정의된 외부 장치는 무선랜 장치이고, 상기 제1 프로그램은, USB 호스트 드라이버이고, 상기 제2 프로그램은, 상기 USB 호스트 드라이버에서 허브 클래스 드라이버(Hub Class Deiver), 매시 스토리지 드라이버(Mass Storage Class driver) 및 이뉴머레이션(enumeration)이 제거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저장부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고, 상기 제2 저장부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한편, 본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이 필요하면,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절전 모드시에 동작하는 제2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시에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보다 낮은 용량의 제2 프로그램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된 제2 프로그램 및 상기 저장된 장치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을 제1 저장부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정의된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프로그램'을 제2 저장부에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1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간략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른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일반적인 USB 호스트 프로그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 프로그램 및 제2 프로그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정상 모드에서 절전모드로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간략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제1 저장부(120), 제2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 구현한 복합기 등일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는 정상 모드 및 절전 모드를 갖는다. 여기서 정상 모드는 인쇄 작업을 수행하거나 작업의 수행을 준비하는 동작 모드이다. 그리고 절전 모드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아무런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특정 구성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최소화하는 동작 모드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로 정상 모드 및 절전 모드만이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화상형성장치(100)는 상술한 정상 모드 및 절전 모드 이외의 동작 모드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저장부(120)는 휘발성 메모리로, 제1 프로그램이 적재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저장부(12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 모드인 경우에 제3 저장부(110)에 기저장된 제1 프로그램이 제1 저장부(120)에 적재된다. 여기서 제1 프로그램은 외부 장치(구체적으로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USB 호스트 드라이버이다.
이때, 외부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이고, 기정의된 외부 장치는 무선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USB 인터페이스는 제어부(140)에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할 통신 인터페이스부(15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USB 인터페이스(이하에서는 외부 인터페이스라고 칭한다)는 제어부(14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USB 인터페이스 이외의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유선 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5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외부 장치로 무선랜 장치만을 이용하는 예만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USB 허브 등 다른 통신 장치로 외부 장치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사에서는 하나의 외부 장치만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외부 장치는 복수개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저장부(120)에는 제1 프로그램 이외에 화상형성장치(100)의 정상 모드로 동작시에 필요한 프로그램도 적재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제1 저장부(120)는 셀프 리플래쉬 모드로 동작하거나, 제1 저장부(12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저장부(120)는 인쇄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20)는 후술할 통신 인터페이스부(150) 또는 제어부(140)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저장부(120)는 외부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제어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저장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복원되었을 때, 장치 열겨(enumeration) 과정 없이 현재 사용중인 장치 제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장치 제어 정보를 백업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 제어 정보는 호스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HCI, EHCI, OHCI 등) 규약에 정의된 Queue Head, Transfer Descriptor 등의 데이터 구조와 호스트 컨트롤러가 참조하는 장치 제어 정보의 주소(예를 들어, EHCI의 경우 Asynchronous List Address, Periodic List Address 레지스터의 값)이다. 일반적으로 제1 저장부(12)가 셀프 리플래쉬(self-refresh)되면 제1 저장부(120)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는 보존되므로, 구현시에 백업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장치 제어 정보 중 호스트 컨트롤러가 참조하는 장치 제어 정보의 주소만을 백업할 수도 있다.
제2 저장부(130)는 휘발성 메모리로, 제2 프로그램이 적재된다. 구체적으로, 제2 저장부(130)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제3 저장부(110)에 저장된 제2 프로그램이 적재된다. 여기서, 제2 프로그램은 기정의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상술한 USB 호스트 드라이버에서 허브 클래스 드라이버(Hub Class Deiver), 매시 스토리지 드라이버(Mass Storage Class driver) 및 이뉴머레이션(enumeration)이 제거된 프로그램이다. 구체적인 제1 프로그램의 구조 및 제2 프로그램의 구조는 도 6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무선랜 장치인 경우, 절전 모드시에도 연결된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 제2 저장부(130)는 제3 저장부(110)에 저장된 제2 프로그램이 적재된다. 그리고 제2 저장부(130)에는 제2 프로그램 이외에 화상형성장치(100)의 절전 모드로 동작시에 필요한 프로그램도 적재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인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이나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이나 외부 인터페이스에 무선랜 이외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이동식 저장매체)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저장부(130)에는 제2 프로그램이 적재되지 않거나, 적재되더라도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저장부(130)는 공유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 메모리 영역은 현재 연결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구체적으로, 장치 기능 범주인 클래스 종류와 Control, Bulk, Interrupt 등의 통신 방법의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이다.
제어부(140)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 모드이면 제1 저장부(120)에 적재되는 제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 모드이면 제2 저장부(130)에 적재되는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2와 관련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간략한 구성만을 설명하였으나,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제3 저장부(110), 제1 저장부(120), 제2 저장부(130), 제어부(140), 통신 인터페이스부(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 판단부(170), 화상형성부(18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의 동작은 도 1과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저장부(110)는 비휘발성 메모리(구체적으로, HDD나 플래쉬 메모리일 수 있다)로, 제1 프로그램 및 제2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여기서 제1 프로그램은 외부 장치(구체적으로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USB 호스트 드라이버이다. 그리고 제2 프로그램은 기정의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상술한 USB 호스트 드라이버에서 허브 클래스 드라이버(Hub Class Deiver), 매시 스토리지 드라이버(Mass Storage Class driver) 및 이뉴머레이션(enumeration)이 제거된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제3 저장부(110)는 제1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정상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제2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절전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정상 모드인 경우 제3 저장부(110)에 기저장된 제1 프로그램이 제1 저장부(120)에 적재되고, 절전 모드인 경우 제3 저장부(110)에 기저장된 제2 프로그램이 제2 저장부(130)에 적재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인쇄제어 단말장치(미도시)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GSM, UMTS, LTE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접속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40)가 외부 인터페이스(USB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USB 인터페이스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포트 등은 통신 인터페이스(15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은 통신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수행하고, 제어부(140)가 이를 제어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50)는 인쇄제어 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잡 데이터(예를 들어, 인쇄 데이터, 팩스 송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생성한 잡 데이터(예를 들어, 스캔 데이터, 팩스 수신 데이터)를 인쇄제어 단말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쇄 데이터는 PS(Postscript), PCL(Printer Control Language) 등과 같은 프린터 언어의 데이터일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하는 경우, PDF, XPS, BMP, JPG 등의 파일 자체일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버튼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판단부(170)는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70)는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연결된 외부 장치가 기정의된 외부 장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정의된 외부 장치는 무선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절전 모드시에 메모리 스틱 등과 같은 장치는 사용되지 않는 반면, 무선랜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에 제공하기 위한 주기적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바, 판단부(170)는 외부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무선랜과 같은 외부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부(170)의 판단 동작은 제1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판단부(170)의 판단 동작은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인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화상형성부(180)는 인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부(17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50) 또는 제어부(140)를 통해 수신된 인쇄 데이터 또는 제1 저장부(120)에 기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부(180)만이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화상형성장치(100)가 팩스 전송 및 팩스 수신 등의 팩스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팩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팩스 처리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가 스캔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스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캔 처리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50)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쇄 작업이 수신되면, 수신된 인쇄 작업에 대한 인쇄가 수행되도록 화상형성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인쇄 작업의 유무, 인쇄 작업 이후의 경과 시간 등을 판단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할 것인지, 정상 모드로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외부 인터페이스에 새로운 외부 장치가 연결되거나, 외부 장치가 탈착되거나,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40)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를 갖도록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제1 저장부(120)에 적재된 제1 프로그램을 이용한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을 중지하고(즉, 스케줄러의 작동을 중지하고 USB의 인터럽트를 끔), 외부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장치 제어 정보를 제1 저장부(120) 또는 제2 저장부(130)에 백업하고, 연결된 외부 장치(즉, 무선랜 장치)의 장치 정보(구체적으로, 장치 기능 범주인 클래스 종류와 Control, Bulk, Interrupt 등의 통신 방법의 정보)를 제2 저장부(130)의 기정의된 영역에 저장하고, 제3 저장부(110)에 기저장된 제2 프로그램을 제2 저장부(130)에 적재하고, 제2 저장부(130)에 적재된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재개하고, 제1 저장부(120)에 전원을 공급을 차단하거나 제1 저장부(120)가 셀프 리플래쉬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제2 저장부(130)에 적재된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한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을 중지하고, 제3 저장부(110)에 저장된 제1 프로그램을 제1 저장부(120)에 적재하고, 제1 저장부(120) 또는 제2 저장부(130)에 백업된 장치 제어 정보 및 제1 저장부(120)에 적재된 제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재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절전 모드시에 소용량의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전 모드시에 제1 저장부(DRAM)에서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어부(140)와 통신 인터페이스부(15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 제어부의 기능과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들어,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현시에 제어부의 기능과 제1 저장부의 기능은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어부(140)가 하나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제어부(140)는 복수의 구성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시에만 동작하는 보조 제어부가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른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인 경우의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의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인 경우에 제1 프로그램이 제1 저장부(120)에 적재되고, 제어부(140)는 제1 저장부(120)에 적재되는 제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USB 방식의 각종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제2 저장부(130)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제2 저장부(130)의 전원 공급은 차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 제2 프로그램이 제2 저장부(130)에 적재되고, 제어부(140)는 제2 저장부(130)에 적재되는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정의된 외부 장치(USB 방식의 무선랜)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제1 저장부(120)의 전원 공급은 차단되거나, 제1 저장부(120)는 셀프 리플래쉬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일반적인 USB 호스트 프로그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USB 호스트 프로그램(200)은 USB 클래스 드라이버(USB Class Driver)(210) 및 USB 드라이버(USB Driver)(220)를 포함한다.
USB 클래스 드라이버(210)는 USB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USB 클래스 드라이버(210)는 USB 장치 종류별로, 무선랜 클래스 드라이버(WLAN Class Driver)(211), 허브 클래스 드라이버(Hub Class Driver)(212), 매시 스토리지 저장 클래스 드라이버(Mass Storage Class Driver)(213)를 포함한다.
무선랜 클래스 드라이버(211)는 연결된 USB 장치가 무선랜 장치인 경우, 무선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허브 클래스 드라이버(212)는 연결된 USB 장치가 허브 장치인 경우, 허브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매시 스토리지 저장 클래스 드라이버(213)는 연결된 USB 장치가 저장 매체인 경우, 저장 매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USB 드라이버(220)는 연결된 USB 장치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USB 드라이버(220)는 이뉴머레이션(Enumeration)(221) 및 USB 호스트 컨트롤러 드라이버(USB Host Controller Driver)(222)를 포함한다.
이뉴머레이션(221)은 연결된 USB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프로토콜 영역이다.
USB 호스트 컨트롤러 드라이버(222)는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USB 호스트 프로그램(200)은 다양한 USB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SRAM(128KB)에 적재되기에 큰 용량을 갖는다.
그러나 화상형성장치의 절전 모드시에 메모리 스틱은 사용되지 않고, 무선랜 모듈만 사용되면 된다는 점에서, USB 클래스 드라이버(210)에서 허브 클래스 드라이버(212), 매시 스토리지 저장 클래스 드라이버(213)는 불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프로그램은 USB 클래스 드라이버(210)에서 무선랜 클래스 드라이버만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USB 클래스 드라이버(210)에서 허브 클래스 드라이버(212), 매시 스토리지 저장 클래스 드라이버(213)를 제거함으로써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USB 호스트 프로그램(200)에 비하여 그 크기를 60% 이상 줄일 수 있다.
또한, 절전 모드시에 USB 장치를 식별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즉, 정상 모드에서 식별된 정보를 이용하면 된다는 점에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프로그램은 정상 모드에서 식별된 정보를 가져다 쓰는 추가적인 모듈(431)을 부가함으로써, USB 드라이버(220)의 이뉴머레이션(221)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른, 본원의 제1 프로그램 및 제2 프로그램의 구조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 프로그램 및 제2 프로그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프로그램(300)은 디바이스 트리 분석기(323)가 USB 드라이버(320)에 추가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USB 호스트 프로그램과 동일하다.
제1 프로그램(300)은 USB 클래스 드라이버(USB Class Driver)(310) 및 USB 드라이버(USB Driver)(320)를 포함한다.
USB 클래스 드라이버(310)는 연결된 USB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USB 클래스 드라이버(310)는 연결된 USB 장치 종류별로, 무선랜 클래스 드라이버(WLAN Class Driver)(311), 허브 클래스 드라이버(Hub Class Driver)(312), 매시 스토리지 저장 클래스 드라이버(Mass Storage Class Driver)(313)를 포함한다.
무선랜 클래스 드라이버(311)는 연결된 USB 장치가 무선랜 장치인 경우, 무선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허브 클래스 드라이버(312)는 연결된 USB 장치가 허브 장치인 경우, 허브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매시 스토리지 저장 클래스 드라이버(313)는 연결된 USB 장치가 저장 매체인 경우, 저장 매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USB 드라이버(320)는 연결된 USB 장치와 인터페이싱을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USB 드라이버(320)는 이뉴머레이션(Enumeration)(321), USB 호스트 컨트롤러 드라이버(USB Host Controller Driver)(322) 및 디바이스 트리 분석기(323)를 포함한다.
이뉴머레이션(321)은 연결된 USB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프로토콜 영역이다.
USB 호스트 컨트롤러 드라이버(322)는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디바이스 트리 분석기(323)는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프로그램 영역이다. 디바이스 트리 분석기(323)의 구체적인 동작은 상술한 판단부(170)의 동작과 같은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프로그램(400)은 USB 클래스 드라이버(USB Class Driver)(410) 및 USB 드라이버(USB Driver)(420)를 포함한다.
USB 클래스 드라이버(410)는 연결된 USB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제2 프로그램(400)은 USB 클래스 드라이버(310)에 무선랜 클래스 드라이버(WLAN Class Driver)(411)만을 포함한다.
무선랜 클래스 드라이버(411)는 연결된 USB 장치가 무선랜 장치인 경우, 무선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USB 드라이버(420)는 연결된 USB 장치와 인터페이싱을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USB 드라이버(420)는 장치 구성부(421) 및 USB 호스트 컨트롤러 드라이버(USB Host Controller Driver)(422)를 포함한다.
장치 구성부(421)는 공유 메모리(135)에 저장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를 식별한다.
USB 호스트 컨트롤러 드라이버(422)는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프로그램(400)은 일반적인 USB 호스트 프로그램에서 허브 클래스 드라이버(212), 매시 스토리지 저장 클래스 드라이버(213) 및 이뉴머레이션(221)을 포함하지 않은바, 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또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S710). 구체적으로, 인쇄 작업의 유무, 인쇄 작업 이후의 경과 시간 등을 판단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할 것인지, 정상 모드로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3 저장부에 기저장된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을 제1 저장부에 적재한다(S720).
그리고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한다(S730).
한편,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3 저장부에 기저장된 기정의된 외부 장치와 외부 인터페이스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프로그램을 제2 저장부에 적재한다(S740). 한편, 구현시에는 제2 프로그램을 제2 저장부에 적재하기 전에 외부 장치가 외부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연결된 외부 장치가 기정의된 외부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동작이 선행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S760),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한다(S770).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상태의 전환 동작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반면에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인 경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별도의 동작 모드 변경 없이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한다(S780).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절전 모드시에 소용량의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전 모드시에 제1 저장부(DRAM)에서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7과 같은 통신 방법은 도 1 또는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블록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기록 가능한 코드로써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도 8은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에(S805), 제1 저장부(120)에 적재된 제1 프로그램을 이용한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을 중지한다(S810). 구체적으로, 스케줄러의 작동을 중지하고 USB의 인터럽트를 끌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연결되어 있는 경우 기정의된 외부 장치(즉, 무선랜 장치)인지를 판단하고, 연결된 장치가 기정의된 외부 장치인 경우, 연결된 외부 장치(즉, 무선랜 장치)의 장치 정보(구체적으로, 장치 기능 범주인 클래스 종류와 Control, Bulk, Interrupt 등의 통신 방법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815).
그리고 외부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장치 제어 정보를 제1 저장부(120) 또는 제2 저장부(130)에 백업하고, 연결된 외부 장치(즉, 무선랜 장치)의 장치 정보(구체적으로, 장치 기능 범주인 클래스 종류와 Control, Bulk, Interrupt 등의 통신 방법의 정보)를 제2 저장부(130)의 기정의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S820).
그리고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S825). 구체적으로, 제3 저장부(110)에 기저장된 제2 프로그램을 제2 저장부(130)에 적재하고, 제1 저장부(1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제1 저장부(120)가 셀프 리플래쉬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저장부(130)의 기정의된 영역에 저장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장치 제어 정보를 구성하고(S835), 제2 저장부(130)에 적재된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S840).
그리고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S845), 정상 모드 전환 조건이 충족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S850).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정상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S855).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9는 정상 모드에서 절전모드로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에(S910), 제2 저장부(130)에 적재된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한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을 중지할 수 있다(S920). 구체적으로, 스케줄러의 작동을 중지하고 USB의 인터럽트를 끌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S830).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저장부(120)의 전원이 차단되었던 경우, 제3 저장부(110)에 저장된 제1 프로그램을 제1 저장부(120)에 적재하거나, 제1 저장부(120)가 셀프 리플레쉬(self-refresh) 상태에 있었던 경우, 제1 저장부(120)의 제1 프로그램을 재구동하고, 제3 저장부(110)에 백업된 장치 제어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S940).
그리고 복원된 장치 제어 정보 및 제1 저장부(120)에 적재된 제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재개할 수 있다(S950).
그리고 제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S960), 절전 모드로의 전환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S970). 구체적으로, 인쇄 작업 등이 수행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S98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제3 저장부
120: 제1 저장부 130: 제2 저장부
140: 제어부 150: 통신 인터페이스부
1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70: 판단부
180: 화상형성부

Claims (41)

  1. 복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인 경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이 적재되는 제1 저장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프로그램보다 크기가 작으며, 기정의된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프로그램이 적재되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1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접속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의 기저장 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된 외부 장치가 새로운 외부 장치인지를 판단하고, 새로운 외부 장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접속된 외부 장치가 새로운 외부 장치가 아니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유지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이면, 상기 제1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이면,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으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가 상기 기정의된 외부 장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가 기정의된 외부 장치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상기 제2 저장부에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가 기정의된 외부 장치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 및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인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이면, 상기 제1 저장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제1 저장부가 셀프 리플래쉬(self-refresh)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그램 및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의 제3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을 중지하고, 상기 제3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하고,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된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저장부 또는 상기 제2 저장부에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 제3 저장부에 백업된 장치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의 목록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프로그램이 참조하는 외부 장치의 주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그램은 USB 호스트 드라이버이고,
    상기 제2 프로그램은 상기 USB 호스트 드라이버에서 허브 클래스 드라이버(Hub Class Deiver), 매시 스토리지 드라이버(Mass Storage Class driver) 및 이뉴머레이션(enumeration)이 제거된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정의된 외부 장치는 무선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고,
    상기 제2 저장부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인 것을 특징인 것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복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이 적재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인 경우에 동작하는 제1 저장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동작하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이 필요하면, 외부 장치의 장치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1 프로그램보다 낮은 용량의 제2 프로그램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장치 제어 정보 및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접속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와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장치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접속된 외부 장치가 새로운 외부 장치인지를 판단하고, 새로운 외부 장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접속된 외부 장치가 새로운 외부 장치가 아니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유지하는 화상형성장치.
  22. 복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을 제1 저장부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정의된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프로그램'을 제2 저장부에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1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접속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의 기저장 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된 외부 장치가 새로운 외부 장치인지를 판단하고, 새로운 외부 장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접속된 외부 장치가 새로운 외부 장치가 아니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이면, 상기 제1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이면,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으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상기 제2 저장부에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가 상기 기정의된 외부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가 기정의된 외부 장치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가 기정의된 외부 장치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시에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를 상기 제1 저장부 또는 제2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 및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인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이면, 상기 제1 저장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제1 저장부가 셀프 리플래쉬(self-refresh)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이 중지되고, 상기 제2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저장부에 적재되면,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된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제어 정보를 비휘발성인 제3 저장부에 백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정상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3 저장부에 백업된 장치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의 목록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프로그램이 참조하는 외부 장치의 주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3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새로운 외부 장치가 연결되거나 기연결된 외부 장치가 탈착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기정의된 외부 장치는 무선랜 장치이고,
    상기 제1 프로그램은, USB 호스트 드라이버이고,
    상기 제2 프로그램은, 상기 USB 호스트 드라이버에서 허브 클래스 드라이버(Hub Class Deiver), 매시 스토리지 드라이버(Mass Storage Class driver) 및 이뉴머레이션(enumeration)이 제거된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고,
    상기 제2 저장부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인 것을 특징인 것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3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39. 삭제
  40. 복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로 전환이 필요하면, 상기 연결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절전 모드시에 동작하는 제2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시에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보다 낮은 용량의 제2 프로그램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된 제2 프로그램 및 상기 저장된 장치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접속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와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장치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접속된 외부 장치가 새로운 외부 장치인지를 판단하고, 새로운 외부 장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접속된 외부 장치가 새로운 외부 장치가 아니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41. 복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을 제1 저장부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정의된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프로그램'을 제2 저장부에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1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2 저장부에 적재되는 제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접속된 외부 장치의 장치 정보의 기저장 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된 외부 장치가 새로운 외부 장치인지를 판단하고, 새로운 외부 장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접속된 외부 장치가 새로운 외부 장치가 아니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30005388A 2013-01-17 2013-01-17 화상형성장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859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388A KR101859022B1 (ko) 2013-01-17 2013-01-17 화상형성장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3/933,149 US9547504B2 (en) 2013-01-17 2013-07-02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necting with external device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201380070780.0A CN104937533B (zh) 2013-01-17 2013-07-18 成像装置、其连接外部设备的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AU2013374549A AU2013374549B2 (en) 2013-01-17 2013-07-18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necting with external device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U2015134359A RU2015134359A (ru) 2013-01-17 2013-07-18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его соединения с внешним устройством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записывающий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BR112015010260A BR112015010260A2 (pt) 2013-01-17 2013-07-18 aparelho formador de imagens, e método de conexão com um dispositivo externo, em um aparelho formador de imagens, que funciona numa pluralidade de modos de funcionamento
JP2015553640A JP2016513301A (ja) 2013-01-17 2013-07-18 画像形成装置及び外部装置との接続方法
PCT/KR2013/006423 WO2014112699A1 (en) 2013-01-17 2013-07-18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necting with external device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W102145997A TWI613902B (zh) 2013-01-17 2013-12-13 成像設備以及以外部裝置與其連接的方法
EP20140151120 EP2757470A1 (en) 2013-01-17 2014-01-14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necting with external device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ZA2015/03897A ZA201503897B (en) 2013-01-17 2015-05-29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necting with external device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388A KR101859022B1 (ko) 2013-01-17 2013-01-17 화상형성장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061A KR20140093061A (ko) 2014-07-25
KR101859022B1 true KR101859022B1 (ko) 2018-06-28

Family

ID=49989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388A KR101859022B1 (ko) 2013-01-17 2013-01-17 화상형성장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547504B2 (ko)
EP (1) EP2757470A1 (ko)
JP (1) JP2016513301A (ko)
KR (1) KR101859022B1 (ko)
CN (1) CN104937533B (ko)
AU (1) AU2013374549B2 (ko)
BR (1) BR112015010260A2 (ko)
RU (1) RU2015134359A (ko)
TW (1) TWI613902B (ko)
WO (1) WO2014112699A1 (ko)
ZA (1) ZA2015038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5028B2 (ja) 2013-07-12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67015B1 (ko) * 2014-01-21 2021-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769023B2 (ja) * 2015-01-14 2020-10-1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418006B2 (ja) * 2015-02-27 2018-11-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の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0665B2 (ja) 1999-03-12 2002-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省電力モードを有する電子印刷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3503605B2 (ja) * 2001-03-26 2004-03-08 ミノルタ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
JP2004122551A (ja) 2002-10-01 2004-04-2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7073013B2 (en) * 2003-07-03 2006-07-04 H-Systems Flash Disk Pioneers Ltd. Mass storage device with boot code
JP4040570B2 (ja) * 2003-11-14 2008-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データ受信処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
JP2006025212A (ja) * 2004-07-08 2006-01-26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及び省電力制御方法
JP2006259906A (ja) * 2005-03-15 2006-09-28 Ricoh Co Ltd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省電力制御方法、省電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361073B2 (ja) 2005-07-28 2009-11-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
KR101171185B1 (ko) * 2005-09-21 2012-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그 구동 장치 및 방법
JP2007296723A (ja) * 2006-04-28 2007-11-15 Ricoh Co Ltd 電力切換え機能を持つ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KR101363955B1 (ko) * 2006-08-02 201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전력 최소화를 위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JP4960899B2 (ja) * 2008-02-01 2012-06-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シリアルバス制御方法、シリアルバス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510577B2 (en) * 2008-07-28 2013-08-13 Microsoft Corporation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offloading applications
JP4702467B2 (ja) 2009-03-13 2011-06-1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操作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0277258A (ja) 2009-05-27 2010-12-09 Brother Ind Ltd 印刷装置を起動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CN102012736B (zh) * 2009-09-08 2015-06-17 三星电子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及其功率控制方法
US8339626B2 (en) 2009-09-08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L2302521T3 (pl) * 2009-09-09 2012-07-31 Hp Printing Korea Co Ltd Urządzenie tworzące obraz i sposób jego zasilania oszczędzający energię
US9141574B2 (en) 2009-09-09 2015-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low power driving method thereof
CN102033451A (zh) 2009-10-06 2011-04-27 株式会社东芝 图像形成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的控制的方法
US8493992B2 (en) * 2010-02-04 2013-07-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rrelated WiFi and USB protocols and other application framework processes, circuits and systems
KR101784322B1 (ko) 2010-11-25 2017-10-12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5766051B2 (ja) 2011-07-07 2015-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外部装置と通信可能な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57470A1 (en) 2014-07-23
WO2014112699A1 (en) 2014-07-24
ZA201503897B (en) 2016-04-28
US9547504B2 (en) 2017-01-17
BR112015010260A2 (pt) 2017-07-11
AU2013374549A1 (en) 2015-06-04
TWI613902B (zh) 2018-02-01
RU2015134359A (ru) 2017-02-22
JP2016513301A (ja) 2016-05-12
TW201431347A (zh) 2014-08-01
CN104937533A (zh) 2015-09-23
KR20140093061A (ko) 2014-07-25
AU2013374549B2 (en) 2019-11-21
US20140198331A1 (en) 2014-07-17
CN104937533B (zh)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96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storation order of images that reduces the waiting time when restoration from a hibernation state
US951932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US995892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2009032312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513853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2011009933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2299681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59022B1 (ko) 화상형성장치, 외부 장치와 연결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15017302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96529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nabling high-speed start-up,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US106425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controls shifting between power states in accordance with remaining storage capac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02637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812605A (zh)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
JP201405713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27337B2 (ja) 情報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807848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起動方法
US2013019162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CN111541825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JP653224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6438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erforming network communication
JP7379020B2 (ja) 情報処理装置
JP7387281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201921304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