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988B1 - 파일럿식 압력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파일럿식 압력 레귤레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6988B1 KR101836988B1 KR1020137024388A KR20137024388A KR101836988B1 KR 101836988 B1 KR101836988 B1 KR 101836988B1 KR 1020137024388 A KR1020137024388 A KR 1020137024388A KR 20137024388 A KR20137024388 A KR 20137024388A KR 101836988 B1 KR101836988 B1 KR 1018369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
- main valve
- pressure
- pilot
- secondary s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05D16/0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1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 G05D16/1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derived from the controlled fluid
- G05D16/1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derived from the controlled fluid using membranes within the main valv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496—Self-proportioning or correlating systems
- Y10T137/2559—Self-controlled branched flow systems
- Y10T137/2574—Bypass or relief controlled by main line fluid condition
- Y10T137/2605—Pressure responsive
- Y10T137/2607—With pressure reducing inlet valv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58—Pilot or servo controlled
- Y10T137/7762—Fluid pressure typ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58—Pilot or servo controlled
- Y10T137/7762—Fluid pressure type
- Y10T137/7764—Choked or throttled pressure type
- Y10T137/7768—Pilot controls supply to pressure chamb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58—Pilot or servo controlled
- Y10T137/7762—Fluid pressure type
- Y10T137/7769—Single acting fluid servo
- Y10T137/777—Spring bias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93—With opening bias [e.g., pressure regulator]
- Y10T137/7794—With relief valv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93—With opening bias [e.g., pressure regulator]
- Y10T137/7809—Reactor surface separated by apertured partition
- Y10T137/782—Reactor surface is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파일럿식 감압 밸브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일차측 포트(11)와, 주밸브축(15)에 설치된 주밸브체(16)에 의해 조압된 공기가 유출하는 이차측 포트(12)를 갖고 있다. 주밸브축(15)의 접촉 단면(20)에 접촉하는 주밸브 다이어프램(31)에 의해 이차측 포트(12)에 연통하는 이차측 압력실(32)과 파일럿압이 공급되는 파일럿압실(33)로 분리되어 있다. 이차측 포트(12)의 압력이 설정값보다 높아질 때에, 이차측 압력실(32) 내의 공기를 외부에 배기하기 위해 배기 기구(36)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 기구(36)에서 밀봉재(75)를 가이드공(18) 내에 유지하기 위한 고정구(77)는 주밸브공(14)측, 즉 내측 단부로부터 삽입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차측 포트에 공급된 공기를 파일럿압에 따라 이차측 포트에 압력 조절하여 토출하는 파일럿식 감압 밸브에 관한 것이다.
공기압원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조압하여 공기압 실린더 등의 공기압 기기에 공급하기 때문에 레귤레이터라고 불리는 감압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압 밸브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비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 일차측 포트와 공기압 기기가 접속되는 이차측 포트를 연통하는 주밸브공이 형성된 포트 블록을 갖고 있다. 포트 블록에는 주밸브공을 개폐하는 주밸브체가 장착되고, 주밸브체에는 주밸브공을 닫는 방향의 스프링력이 주밸브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해지고 있다. 이 유형의 감압 밸브는 이차측 포트의 압력이 공급되는 이차측 압력실을 구획하는 다이어프램을 가지고 있다. 주밸브체가 설치된 주밸브축이 다이어프램에 접촉하고 있다.
압축 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조압함과 동시에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 부착된 감압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이 유형의 감압 밸브는 필터 레귤레이터로 불리고 있으며, 감압 밸브의 부분의 기구는 레귤레이터와 마찬가지로 다이어프램을 가지고 있다.
다이어프램을, 조압 스프링 부재에 의해 주밸브체의 축방향으로 직접 구동하도록 한 타입의 감압 밸브는, 직동식 감압 밸브로 불리고 있다. 직동식 감압 밸브에서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이차측 압력실과 대기압실을 구획하고, 다이어프램에는 릴리프공이 형성되어 있다. 다이어프램에는 주밸브축의 선단이 접촉하여 릴리프공을 닫도록 되어 있고, 다이어프램에는 조압 스프링 부재에 의해 주밸브축을 통해 주밸브체를 여는 방향의 스프링력이 가해지고 있다. 이차측 포트의 압력이 설정값보다 낮아지면, 다이어프램은 조압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에 의해 변위한다. 이 다이어프램의 변위에 의해 주밸브축이 변위하고, 주밸브체는 주밸브공을 개방한다. 그리고 이차측 포트에 일차측 포트의 압축 공기가 토출한다. 이차측 포트의 압력이 설정 압력으로 되면, 다이어프램에 가해지는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해 주밸브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다이어프램은 변위한다. 주밸브체가 주밸브공을 닫게 된다.
상술한 직동식 감압 밸브에서는 다이어프램에 가해지는 이차측 압력과 주밸브체에 가해지는 일차측 압력과 주밸브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의 합계의 추력이 주밸브체를 닫는 방향으로 가해진다. 한편, 조압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과 밸브체에 가해지는 이차측 포트의 압력의 합계의 추력이 주밸브체를 여는 방향으로 가해지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 10-268943호 공보
비특허문헌
비특허문헌 1: 사단법인 일본 유공압 학회 편집 "신판 유공압 편람" 제461면 ~ 제465면, 주식회사 옴사(ohmsha), 1989년 2월 25일 발행
감압 밸브에는 상술한 직동식 이외에, 파일럿압에 따라 이차측 포트의 토출 압력을 조정하는 파일럿식 감압 밸브가 있다. 파일럿식 감압 밸브는 이차측 압력실 및 파일럿압실을 갖고 있다. 이차측 압력실과 파일럿압실은 다이어프램에 의해 칸막이된다. 이차측 압력실은 이차측 포트에 연통되어 있다. 파일럿압실에 일차측 압력을 공급하도록 한 타입의 감압 밸브는 내부 파일럿식이라고 하고, 조압된 공기를 외부로부터 파일럿압실에 공급하도록 한 타입의 감압 밸브는 외부 파일럿식이라고 한다.
어느 타입에서도 이차측 포트의 토출 압력이 설정값보다 낮아지면, 파일럿 압에 의해 주밸브체가 열리며, 이차측 포트의 토출 압력은 설정값까지 증가된다. 한편, 이차측 포트의 압력이 설정값보다 높아지면 배기 기구에 의해 이차측 포트를 외부로 연통시켜 이차측 포트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차측 포트에 접속된 공기압 기기의 작동 상황의 변동에 의해 이차측 포트의 압력이 설정값보다 높아지면, 배기 동작에 의해 이차측 포트에 접속된 배관 내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파일럿식 감압 밸브에서는 종래 설정 압력보다 높아진 이차측 포트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주밸브축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배기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주밸브축에 배기 유로를 관통 형성하여 형성하고, 포트 블록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배기 유로를 외부로 연통시키도록 하면, 주밸브축의 단부(端部)측과 포트 블록에 의해 발란스실을 형성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술한 필터 부착의 감압 밸브에서는 주밸브축의 연장상에 필터가 배치되므로,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기 유로를 주밸브축에 관통시켜 설치할 수 없다.
그래서 주밸브축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축방향 배기공에 연통하도록, 주밸브축에 직경 방향으로 직경 방향 배기공을 관통시켜 형성하고, 직경 방향 배기공을 통해 포트 블록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한다. 그러면 주밸브축의 단면(端面)부와 포트 블록에 의해 발란스실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포트 블록에 필터 용기를 설치하도록 하여 필터 부착된 파일럿식 감압 밸브로 할 수 있게 된다.
주밸브축에 직경 방향으로 직경 방향 배기공을 형성하고, 포트 블록에 형성된 배기 통로로부터 이차측 압력실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것은, 주밸브축을 안내하는 가이드공에 밀봉재와 밀봉재를 고정하는 환상의 고정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 설치 작업성을 고려하여 포트 블록의 단면측으로부터 밀봉재와 고정구를 장착하는 것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포트 블록의 단면측, 즉 외측으로부터 밀봉재와 고정구를 장착하도록 한 구조에서는 고정구를 강고하게 설치하려면 고정구를 가이드공에 강한 힘으로 압입하거나, 고정구 핀 등에 의해 고정해야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일럿식 감압 밸브에 있어서 배기 기구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일럿식 감압 밸브에 필터 용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 기구를 구성하는 환상의 고정구를 강고하게 고정하지 않고 고정구가 가이드공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파일럿식 감압 밸브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파일럿압에 따라 조정하는 파일럿식 감압 밸브이며,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 일차측 포트와, 상기 일차측 포트에 주밸브공을 통해 연통하고 조압된 압축 공기를 유출하는 이차측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주밸브공을 개폐하는 주밸브체를 구비한 주밸브축이 상기 주밸브공에 축방향으로 이동 자재로 장착된 포트 블록과,
상기 포트 블록의 부착 단면(端面)과 상기 부착 단면에 설치되는 조압 어댑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차측 포트에 연통하는 이차측 압력실과 상기 이차측 압력실의 반대측의 파일럿압실로 칸막이함과 동시에 상기 주밸브축의 접촉 단면이 접촉하는 주밸브 다이어프램을 가지며,
설정값보다 상기 이차측 포트의 압력이 높아지게 될 때 상기 이차측 포트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 유로가 상기 포트 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 유로의 개구부가 상기 포트 블록의 외면에 개구되어 설치되고, 상기 접촉 단면에 개구되어 형성된 축방향 배기공과, 상기 배기 유로와 상기 축방향 배기공을 연통시키는 직경 방향 배기공이 상기 주밸브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트 블록의 부착 단면(端面)과 상기 부착 단면에 설치되는 조압 어댑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차측 포트에 연통하는 이차측 압력실과 상기 이차측 압력실의 반대측의 파일럿압실로 칸막이함과 동시에 상기 주밸브축의 접촉 단면이 접촉하는 주밸브 다이어프램을 가지며,
설정값보다 상기 이차측 포트의 압력이 높아지게 될 때 상기 이차측 포트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 유로가 상기 포트 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 유로의 개구부가 상기 포트 블록의 외면에 개구되어 설치되고, 상기 접촉 단면에 개구되어 형성된 축방향 배기공과, 상기 배기 유로와 상기 축방향 배기공을 연통시키는 직경 방향 배기공이 상기 주밸브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일럿식 감압 밸브에서는 일차측 포트와 이차측 포트가 포트 블록의 외면에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차측 압력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유로가 포트 블록의 외면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기 유로는 조압 어댑터 측이나 포트 블록의 단면에 개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포트 블록에 발란스압실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포트 블록에 필터를 장착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파일럿식 감압밸브의 정면도이다.
[도 2]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 도 1의 3-3 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도 3의 4-4 선 단면도이다.
[도 5] (A)는 이차측 포트가 닫힌 상태하에서 주밸브체가 주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졌을 때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이 경우의 주밸브공 내의 주유로부의 압력과 이차측 압력실 내의 압력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 특성 선도이다.
[도 6] (A)는, 주밸브체가 주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져 이차측 포트에 공기가 유입할 때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이 경우 공기의 유량에 따른 주밸브공 내의 주유로부의 압력과 이차측 압력실 내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 특성 선도이다.
[도 7] (A)는, 주밸브체가 주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져 이차측 포트에 공기가 유입할 때의 배기 기구에 가해지는 축방향 추력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공기의 유량에 따른 배기 기구에 가해지는 압입 방향 추력과 분리 방향 추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추력 특성 선도이다.
[도 8] (A)는 이차측 포트의 압력이 설정값보다 높게 되어 이차측 압력실이 배기 기구를 통해 외부로 연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이 경우의 이차측 포트의 압력과 이차측 압력실의 압력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 특성 선도이다.
[도 9]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파일럿식 감압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도 9에 나타낸 고정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파일럿식 감압 밸브의 포트 블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파일럿식 감압 밸브의 포트 블록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 도 1의 3-3 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도 3의 4-4 선 단면도이다.
[도 5] (A)는 이차측 포트가 닫힌 상태하에서 주밸브체가 주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졌을 때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이 경우의 주밸브공 내의 주유로부의 압력과 이차측 압력실 내의 압력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 특성 선도이다.
[도 6] (A)는, 주밸브체가 주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져 이차측 포트에 공기가 유입할 때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이 경우 공기의 유량에 따른 주밸브공 내의 주유로부의 압력과 이차측 압력실 내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 특성 선도이다.
[도 7] (A)는, 주밸브체가 주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져 이차측 포트에 공기가 유입할 때의 배기 기구에 가해지는 축방향 추력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공기의 유량에 따른 배기 기구에 가해지는 압입 방향 추력과 분리 방향 추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추력 특성 선도이다.
[도 8] (A)는 이차측 포트의 압력이 설정값보다 높게 되어 이차측 압력실이 배기 기구를 통해 외부로 연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이 경우의 이차측 포트의 압력과 이차측 압력실의 압력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 특성 선도이다.
[도 9]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파일럿식 감압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도 9에 나타낸 고정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파일럿식 감압 밸브의 포트 블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파일럿식 감압 밸브의 포트 블록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파일럿식 감압 밸브(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차측 포트(11)와 이차측 포트(12)가 형성된 블록 본체(13a)를 가지고 있다. 일차측 포트(11)는 압축 공기가 도시하지 않은 공기압원으로부터 일차측 배관을 통해 공급된다. 이차측 포트(12)에는 공기압 기기가 이차측 배관을 통해 접속된다. 일차측 포트(11)에는 일차측의 배관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11a)이 형성되고, 이차측 포트(12)에는 이차측의 배관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나사공(11a, 12a)은 중심축이 일치한 상태가 되어 블록 본체(13a)에 형성되고, 블록 본체(13a)의 상호에 반대측의 외면에 개구되어 있다. 이에 의해, 두 개의 나사공(11a, 12a)은 포트 블록 본체(13a)의 다른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블록 본체(13a)의 중심부에는 각각의 나사공(11a, 12a)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되어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주밸브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주밸브공(14)을 통해 일차측 포트(11)는 이차측 포트(12)에 연통되어 있다. 일차측 포트(11)로부터 주밸브공(14)을 통해 이차측 포트(12)에 이르는 공기 유통부가 감압 밸브의 주유로부로 되어 있다.
주밸브공(14) 내에는 주밸브축(15)이 축방향으로 이동 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이 주밸브축(15)의 일단부측에는 주밸브공(14)의 내경보다 큰 직경의 플랜지부(16a)가 설치되고, 주밸브공(14)의 연통측 개구부에 형성된 주밸브 시트(17)에 접촉하는 고무제의 주밸브체(16)가 플랜지부(16a)에 설치되어 있다. 주밸브축(15)의 타단부는 블록 본체(13a)에 형성된 가이드공(18) 내에 접동 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공(18)는 주밸브공(14)보다 소경으로 되어 있고, 주밸브축(15)은 가이드공(18)에 안내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블록 본체(13a)의 바깥쪽 단부에는 암나사(19a)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19a)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19b)를 갖는 커버(13b)가 블록 본체(13a)에 설치되어 있다. 커버(13b)와 블록 본체(13a)에 의해 포트 블록(13)이 구성된다. 이 포트 블록(13) 내에는 일차측 포트(11)에 연통하는 일차측실(21)이 형성되고, 일차측실(21)을 통해 주밸브공(14)은 일차측 포트(11)에 연통한다. 커버(13b)에는 가이드 통체(22)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통체(22)에는 주밸브축(15)의 일단부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접동부(15a)가 접동 자재로 감합되어 있다. 주밸브축(15) 내에는 연통 유로(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 유로(23)는 주밸브축(15)의 일단면에 개구되어 이차측 포트(12)에 연통하고 있다. 가이드 통체(22)와 주밸브축(15)의 일단면에 의해 가이드 통체(22) 내에 구획되는 발란스실(24)에는 연통 유로(23)를 통해 이차측 포트(12)의 압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발란스실(24)은 접동부(15a)의 환상홈에 장착된 밀봉재(25)에 의해 일차측 포트(11)에 대하여 밀봉되어 있다.
발란스실(24) 내의 접동부(15a)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된 주밸브 스프링 부재(26)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주밸브 스프링 부재(26)의 일단부는 커버(13b)에 접촉하고, 타단부는 주밸브축(15)에 접촉하고 있다. 이 주밸브 스프링 부재(26)에의해 주밸브축(15)에는 스프링력이 가해지고 있다. 그 스프링력은 주밸브체(16)를 주밸브 시트(17)로 향하여 가압하여 주밸브공(14)를 닫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일차측실(21)의 일차측 압력에 의해 주밸브축(15)의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으로는, 플랜지부(16a)의 도면에서 하방으로 향하는 힘, 즉 일차측 수압부(27a)에 걸리는 추력과 플랜지부(16a)의 도면 중 상방으로 향하는 힘, 즉 일차측 수압부(27a)의 반대측이어서 주밸브체(16)가 설치되어 있는 반대측 수압부(27b)에 걸리는 추력이다. 이 2개의 추력은 수압 면적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거의 상쇄된다. 발란스실(24)의 내경은 주밸브공(14)의 내경과 거의 동일, 즉 수압 면적은 거의 동일하므로, 발란스실(24)의 이차측압에 의해 주밸브체(16)를 닫는 방향으로 주밸브축(15)에 가해지는 추력과, 이차측 포트(12)의 이차측압에 의해 주밸브체(16)를 여는 방향에 주밸브축(15)에 가해지는 추력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상쇄되고 있다. 이에 의해 일차측 압력과 이차측 압력에 의한 주밸브축(15)의 축방향 추력은 거의 상쇄되기 때문에, 주밸브축(15)의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주밸브 스프링 부재(26)의 스프링력과 같다.
블록 본체(13a)에는 플랜지부(28a)와 원통형 장착부(28b)을 갖는 조압 어댑터(28)가 장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조압 어댑터(28)는 4개의 나사 부재(29)에 의해 플랜지부(28a)의 부분에서 포트 블록(13)의 블록 본체(13a)에 체결되어 있고, 착탈 자재, 즉 분리 자재로 되어 있다. 블록 본체(13a)와 조압 어댑터(28) 사이에는 주밸브 다이어프램(31)이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주밸브 다이어프램(31)은 고무제의 탄성 변형부(31a)와 이에 고정된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보강 디스크(31b)를 갖고 있다.
파일럿식 감압 밸브(10)를 도시하지 않은 부재에 설치하기 위해서 조압 어댑터(28)의 원통형 장착부(28b)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에는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너트(30)가 나사 결합된다.
블록 본체(13a)와 조압 어댑터(28)의 부착 단면에는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블록 본체(13a)와 조압 어댑터(28) 사이에 배치되는 주밸브 다이어프램(31)에 의해, 블록 본체(13a)의 오목부에 형성되는 이차측 압력실(32)과, 조압 어댑터(28)의 오목부에 형성되는 파일럿압실(33)로 구획되어 있다. 이차측 압력실(32)은 블록 본체(13a)에 형성된 연통공(34)을 통해 이차측 포트(12)에 연통하고 있으며, 이차측 압력실(32)은 이차측 포트(12)와 동일한 이차측 압력으로 된다. 주밸브 다이어프램(31)에는 주밸브축(15)의 접촉 단면(20)이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이 접촉 단면(20)의 부분은 밀봉 구조로 되어 있다. 이차측 압력실(32)의 압력이 파일럿압실(33)의 압력보다 낮아지면, 주밸브 다이어프램(31)은 도면 중 상방으로 탄성 변성되고, 주밸브축(15)의 접촉 단면(20)은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주밸브축(15)은 축방향 상방으로 변위한다. 반대로, 이차측 압력실(32)의 압력이 파일럿압실(33)의 압력보다 높아지면, 주밸브 다이어프램(31)은 도면 중 하방으로 탄성 변형한다. 주밸브 다이어프램(31)이 더욱 도면 중 하방으로 탄성 변형하면 주밸브체(16)가 주밸브 시트(17)에 접촉하므로, 주밸브축(15)은 그 이상 하방으로 변위하지 않기 때문에, 주밸브축(15)의 접촉 단면(20)은 주밸브 다이어프램(31)으로부터 떨어져 접촉 단면(20)의 밀봉은 해제된다. 파일럿압실(33)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차측 포트(11)의 압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이 파일럿식 감압 밸브는 내부 파일럿 형태로 되어 있다.
이차측 포트(12)에 접속된 이차측 배관에 의해 공기압 기기에 대하여 압축 공기가 공급되면, 이차측 압력실(32)의 압력이 저하된다. 그러면 주밸브 다이어프램(31)은 파일럿압실(33) 내의 파일럿압, 즉 일차측 압력에 의해 주밸브축(15)을 향해 변위하고, 주밸브체(16)는 주밸브 시트(17)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그것에 의해, 일차측 포트(11)로부터 이차측 포트(12)에 일차측 압력의 압축 공기가 공급되어 이차측 포트(12)의 압력이 높아진다. 이차측 압력실의 이차측압이 높아지면 파일럿압에 맞서 주밸브 다이어프램(31)은 도면 중 하방으로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주밸브축(15)은 도면 중 하방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밸브체(16)가 주밸브 시트(17)에 접촉 밀봉하여, 이차측 포트(12)로의 압축 공기의 공급이 정지한다. 이렇게 하여 이차측 포트(12)의 압력은 설정값으로 되돌려진다.
주밸브축(15)의 단부 내에는 주밸브 다이어프램(31)에 부딪치게 되는 접촉 단면(20)에 개구되어, 저부 부착의 축방향 배기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방향 배기공(35)은 배기 기구(36)에 의해 외부에 연통하고 있고, 축방향 배기공(35) 내에 유입된 공기는 배기 기구(36)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차측 압력실(32)의 압력이 파일럿압실(33)의 압력보다 높아져서, 주밸브 다이어프램(31)이 주밸브축(15)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면, 이차측 압력실(32) 내의 공기는 배기 기구(3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예를 들어, 공기압 기구를 갖는 전자 부품의 조립 라인에서 감압 밸브의 이차측에 설치된 구동 기기가 작동(work)을 눌렀을 때, 일시적으로 이차측 포트 내의 압력이 파일럿압실의 압력보다 높아지면, 이차측 배관 내의 압축 공기는 배기 기구(36)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이차측 포트(12)의 압력은 설정값으로 되돌려진다.
조압 어댑터(28)에 형성된 수용공(37)에는 밸브 홀더(38)가 조합되어 있다. 이 밸브 홀더(38)는 수용공(37)에 감합하는 대경통체(38a)와 이것과의 사이에 틈새를 갖는 소경통체(38b)를 갖고 있다. 대경통체(38a)와 소경통체(38b)를 각각의 기단부에서 연결하는 단벽부(39)는 조압 어댑터(28)의 저면에 대향하여 있고, 소경통체(38b)의 선단부에는 밸브 시트부(41)가 조압 어댑터(28)의 저면에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파일럿 유로(43)는 포트 블록(13)과 조압 어댑터(28)와 주밸브 다이어프램(31)의 외주 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파일럿 유로(43)는 소경통체(38b) 내에 설치된 밸브실(42)과 일차측 포트(11)에 연통하고 있다. 대경통체(38a)와 소경통체(38b) 사이에는 연통실(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실(44)은 후술하는 파일럿 밸브체(55)가 밸브 시트부(41)의 밸브 시트를 시트하지 않는 경우, 밸브 시트부에 형성된 연통공(45)과 후술하는 시스템(51)의 틈새를 통해 밸브실(42)과 연통한다. 또한 연통실(44)은 단벽부(39)에 형성된 연통공(46)과 조압 어댑터(28)에 형성된 연통공(46a)를 통해 파일럿압실(33)에 항상 연통되어 있다.
조압 어댑터(28)에는 보닛(47)이 착탈 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이 보닛(47)은 조압 어댑터(28)의 원통형 장착부(28b)에 감합하는 원통부(47a)와, 원통부(47a)의 단부에 설치된 단벽부(47b)를 갖고 있으며, 원통부(47a)는 밸브 홀더(38)의 외측에 감합되어 있다. 보닛(47)의 내주면에는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48)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돌기부(48)는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보닛(47) 내에는 파일럿 다이어프램(49)이 배치되어 있고, 이 파일럿 다이어프램(49)에 의해 보닛(47) 내에는 스프링실(50)과 밸브 홀더(38) 내의 연통실(44)로 구획되어 있다.
파일럿 다이어프램(49)의 외주부의 상면은 밸브 홀더(38)의 대경통체(38a)의 환상 단면에 접촉한다. 파일럿 다이어프램(49)의 외주부의 하면은 복수의 돌기부(48)에 의해 하면측으로부터 도면 중 상방에 향하여 압압되는 슬립 워셔(48a)에 접촉한다. 슬립 워셔(48a)는 환상의 수지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파일럿 다이어프램(49)의 외주부는 대경통체(38a)와 슬립 워셔(48a)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다. 파일럿 다이어프램(49)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는 스템(5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템(51)에는 밸브실(42)과 스프링실(50)을 연통시키는 관통공(52)이 형성되어 있어, 스템(51)의 일단부는 연통공(45) 내에 들어가 있다. 스템(51)에는 파일럿 다이어프램(49)의 연통실(44)측의 중앙부를 덮는 디스크부(51a)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 디스크(53)가 너트(54)에 의해 스템(51)에 고정되어 있다. 그 보강 디스크(53)는 파일럿 다이어프램(49)를 사이에 두고 이 디스크부(51a)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밸브실(42) 내에는 강구로 이루어진 파일럿 밸브체(55)가 배치되어 있다. 이 파일럿 밸브체(55)에는 파일럿 스프링 부재(56)에 의해 연통공(45)과 스템(51)의 단부의 밸브 시트를 닫는 방향의 스프링력이 가해지고 있다. 파일럿 밸브체(55)가 밸브 시트부(41)에 접촉하면, 연통공(45)이 닫혀진다. 스템(51)의 밸브실(42)측의 단부는 파일럿 밸브체(55)가 접촉하는 밸브 시트로 되어 있고, 파일럿 밸브체(55)가 스템(51)의 밸브 시트에 접촉하면 관통공(52)이 닫혀진다. 한편, 도 3에는 연통공(45)과 관통공(52)의 양방이 닫혀진 상태로 되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파일럿 밸브체(55)와 소경통체(38b)의 내벽 사이에는 공기가 유통 가능한 틈새가 있다.
보닛(47)의 단벽부(47b)에는 조정 나사 부재(57)가 회전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 나사 부재(57)의 내방 단부에는 수나사(57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수나사(57a)에 나사 결합되는 스프링 수용부(58)와 강화 디스크(53)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조압 스프링 부재(59)가 장착되어 있다. 이 조압 스프링 부재(59)에 의해 파일럿 다이어프램(49)에는 도면 중 상방향의 추진력이 가해진다. 또한, 연통실(44)의 파일럿 압력과 밸브실(42)의 일차측 압력과 파일럿 스프링 부재(56)에 의해, 파일럿 다이어프램(49)에는 도면 중 하방향의 추력이 가해진다. 이러한 상방향 및 하방향의 추력의 발란스에서, 스템(51)의 축방향의 위치가 설정된다.
스템(51)이 파일럿 밸브체(55)를 밸브 시트부(4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도 3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면, 파일럿압실(33)은 연통실(44), 스템 상단 소경부의 외주와 연통공(45)의 틈새, 밸브실(42) 및 파일럿 유로(43)를 통해 일차측 포트(11)와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파일럿압실(33) 내의 파일럿압은 일차측 포트(11)의 압력에 근접한다. 또한, 스템(51) 단부의 밸브 시트는 파일럿 밸브체(55)에 접촉하므로, 관통공(52)은 폐쇄된다. 따라서, 밸브실(42)과 연통실(44)이 스프링실(50) 즉 대기에 개방되지 않는다. 반면, 시스템(51)이 파일럿 밸브체(55)로부터 떨어지면, 밸브 시트부(41)에 접촉하는 파일럿 밸브체(55)에 의해 밸브실(42)은 닫혀진다. 또한, 스템(51)의 단부의 밸브 시트와 파일럿 밸브체(55)는 떨어지므로, 스템(51)의 관통공(52)을 통해 연통실(44)이 스프링실(50)과 연통한다. 그것에 의해, 연통실(44) 및 관통공(52)을 통해 파일럿압실(33)은 스프링실(50)과 연통한다. 스프링실(50)은 보닛(47)에 형성된 숨구멍(60)에 의해 외부와 연통하고 있고, 관통공(52) 및 연통공(45)을 통해 파일럿압실(33)이 스프링실(50)에 연통하면, 파일럿압실(33) 내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파일럿압은 외부의 대기압에 근접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럿 다이어프램(49)에 걸리는 상향 및 하향 추력이 발란스를 이루면, 파일럿 밸브체(55)가 연통공(45)을 닫음과 동시에 스템(51)이 파일럿 밸브체(55)에 접촉하여 스템 상단의 밸브 시트를 닫힌 상태로 되고, 파일럿압은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스프링 수용부(58)와 파일럿 다이어프램(49) 사이의 조압 스프링 부재(59)의 압축 스트로크를 조정하여, 조압 스프링 부재(59)에 의해 파일럿 다이어프램(49)에 가해지는 스프링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파일럿압실(33) 내의 파일럿압이 조정된다. 파일럿압에 따라 이차측 포트(12)에 토출되는 압축 공기의 이차압이 설정된다.
조정 나사 부재 (57)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61)이 보닛(47)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핸들(61)은 보닛(47)의 외주를 덮는 원통부(61a)와, 그것과 일체로 된 단벽부(61b)를 갖고 있다. 핸들(61)의 단벽부(61b)에는 조정 나사 부재(57)의 외방 단부(57b)에 축방향으로 접동 자재로 감합하는 감합부(62)가 설치되어 있다. 외방 단부(57b)는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감합부(62)의 내주면은 외방 단부(57b)에 대응하여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61)을 회전시키면 조정 나사 부재(57)는 회전하게 된다.
보닛(47)의 단벽부(47b)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맞물림 홈(63)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고, 핸들(61)의 내주면에는 맞물림 홈(63)에 맞물리는 맞물림 돌기(64)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61)을 당기면 맞물림 돌기(64)와 맞물림 홈(63)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회전 위치로 된다. 이 회전 위치에서는 핸들(61)의 회전이 허용되고, 핸들(61)을 보닛(47)의 외측에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핸들(61)을 보닛(47)에 향하여 축방향으로 누르면, 맞물림 돌기(64)가 맞물림 홈(63)에 맞물려서 핸들(61)은 잠금 위치가 된다. 이 잠금 위치에서는 핸들(61)을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다.
작업자가 이차측 압력을 조절할 때에는 핸들(61)을 도 3에 표시한 회전 위치에 이동시켜서 핸들(61)을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수나사(57a)에 나사 결합하는 스프링 수용부(58)가 조정 나사 부재(57)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조압 스프링 부재(59)의 축방향의 길이가 변화하여 스프링력이 조정된다. 한편, 핸들(61)을 잠금 위치로 이동시켜 맞물림 돌기(64)를 맞물림 홈(63)에 맞물리면, 핸들(61)을 부주의하게 회전 조작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61)의 원통 부(61a)에는 그것에 슬릿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계합편(65)이 형성되어 있다. 계합편(65)의 선단부에는,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계합 돌기(66)가 형성되어 있다. 보닛(47)에는 스토퍼(67)가 형성되어 있고, 핸들(61)을 회전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 스토퍼(67)는 계합 돌기(66)에 계합되어 핸들(61)이 빗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4-4선 단면도이고, 도 4에는 상술한 배기 기구(36)가 표시되어 있다.
포트 블록(13)에는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공(18)과 포트 블록(13)의 외면을 연통시키는 배기 유로(7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기 유로(71)는 포트 블록(13a)의 외면에, 일차측 포트(11)와 이차측 포트(12)에 대하여 엇갈려서 개구되어 있다. 한편, 주밸브축(15)에는 직경 방향 배기공(72)이 형성되어 있다. 직경 방향 배기공(72)은 주밸브 다이어프램(31)과의 접촉면(20)에 개구시켜 형성된 축 방향 배기공(35)에 연통한다. 가이드공(18)에 있어서, 블록 본체(13a)의 부착 단면측은 소경공(18a)으로 되어 있고, 주밸브공(14) 측은 소경공(18a)보다도 내경이 큰 대경공(18b)으로 되어 있다. 대경공(18b)은 환상 스페이서(73)가 장착되는 수용공으로 되어 있고, 대경공(18b) 내에 장착되는 환상 스페이서(73)에는 직경 방향 배기공(72)과 배기유로(71)를 연통시키는 배기 연통공(7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축방향 배기공(35)과 배기 유로(71)는 직경 방향 배기공(72)과 배기 유로(71)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대경공(18b) 내에는 환상 스페이서(73)의 축방향 양단부측에 위치시켜 밀봉재(75)가 배치되어 있다. 밀봉재(75)에 의해 주밸브축(15)과 가이드공(18) 사이가 밀봉되고, 축방향 배기공(35) 내에 유입된 공기가 이차측 포트(12)로 유출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차측 압력실(32) 내의 공기가 직경 방향 배기공(72)과 배기 유로(71)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소경공(18a)은 포트 블록(13)에 소경으로 되어 형성된 스토퍼부(76)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대경공(18b)의 내측 단부에는 부착공(18c)이 형성되고, 이 부착공(18c) 내에는 환상의 고정구(77)가 삽입된다. 환상의 고정구(77)와 스토퍼부(76)와의 사이에서, 환상 스페이서(73)와 밀봉재(75)를 대경공(18b) 내에 유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주밸브축(15)의 축방향 배기공(35)은 직경 방향 배기공(72)을 통해 배기 유로(71)에 연통하고 있다. 배기 유로(71)는 일차측 포트(11)와 이차측 포트(12)를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따라서 대략 육면체인 포트 블록(13)의 일차측 포트(11)와 이차측 포트(12)가 설치된 서로 반대측의 2개의 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2개의 면(이웃면)에 배기 유로(71)는 개구한다. 즉, 배기 유로(71)는 조압 어댑터(28)측이나 커버(13b) 측의 면에는 개구하지 않고, 포트 블록(13)의 외면 중 일차측 포트(11)와 이차측 포트(12)로부터 벗어난 면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차측 포트(12)에 연통하는 이차압 공급 유로(81)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이차압 공급 유로(81)에는 압력계 등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이차압 공급 유로(81)를 폐쇄하기 위한 포트 플러그(82)가 포트 블록(13)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포트 플러그(82)에 의해 배기 유로(71)의 개구 단면은 덮이지만, 배기 유로(71)에 배출된 공기는 포트 플러그(82)와 포트 블록(13)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 기구(36)를 조립하는 것은 포트 블록(13)의 블록 본체(13a)의 도 3 및 도 4에서 상방으로부터, 대경공(18b) 내에 밀봉재(75)와 환상 스페이서(73)를 삽입하고, 고정구(77)를 가이드공(18)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부착공(18c)에 상방으로부터 압입하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밀봉재(75)와 환상 스페이서(73)는 포트 블록(13)의 부착 단면측의 스토퍼부(76)와 이에 대향하는 고정구(77) 사이에 유지된다. 이에 의해, 스토퍼부(76) 보다 내측에 삽입되는 고정구(77)에 의해 밀봉재(75)와 환상 스페이서(73)를 유지하도록 하면, 다음과 같이 고정구(77)를 수지제 링으로서도 고정구(77)가 감압 밸브의 작동 중에 가이드공(18)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A)는 이차측 포트(12)가 폐쇄된 상태에서 주밸브체(16)가 주밸브 시트(17)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이 때에 주밸브공(14) 내의 주유로부의 압력 A와 이차측 압력실(32) 내의 압력 B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 특성 선도이다. 주밸브체(16)가 주밸브 시트(17)로부터 떨어진 당초는 주밸브공(14) 내의 주유로부의 압력 A가 먼저 높아진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연통공(34)을 통해 이차측 압력실(32)에 주유로부 내의 공기가 유입되어, 이차측 압력실의 압력 B가 점차 주유로부의 압력 A에 근접하도록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구(77)에는 이를 가이드공(18)으로부터 분리 방향에 공기압이 작용하지 않는다.
도 6(A)는 주밸브체(16)가 주밸브 시트(17)로부터 떨어져서, 이차측 포트(12)에 공기가 유출할 때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B)는 이 때에 공기의 유량에 따른 주밸브공(14) 내의 주유로부의 압력 C와 이차측 압력실(32) 내의 압력 D의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 특성 선도이다. 주밸브공(14)으로부터 이차측 포트(12)로 유출하는 공기의 유량이 적을 때에는 주유로의 압력 C와 이차측 압력실(32) 내의 압력 D는 거의 동일하게 변화한다. 반면, 유량이 증가하면 이차측 포트(12)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이차측 압력실(32) 내의 공기가 연통공(34)을 통해 흡입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주유로의 압력 C 보다도 이차측 압력실(32)의 압력 D는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구(77)에는 이를 가이드공(18)으로부터 분리 방향에 공기압이 작용하지 않는다.
도 7(A)는 주밸브체(16)가 주밸브 시트(17)로부터 떨어져서 이차측 포트(12)에 공기가 유출할 때에, 배기 기구(36)에 가해지는 축방향 추력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B)는 공기의 유량에 따른 배기 기구(36)에 가해지는 압입 방향 추력 E와, 분리 방향 추력 F의 관계를 나타내는 추력 특성 선도이다. 주밸브체(16)의 개도가 커져서 주밸브공(14) 내에 유입하는 공기 유량이 증가하면, 공기의 동압이 증가하여 고정구(77)에 가해지는 압입 방향 추력 E가 증가한다. 이에 대해 분리 방향 추력 F는 공기 유량이 증가하면 전술의 흡입에 의해 감소하게 된다. 게다가 분리 방향 추력 F는 압입 방향 추력 E보다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고정구(77)에 대하여, 이것을 가이드공(18)으로부터 분리 방향에는 공기압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다.
도 8(A)는 이차측 포트(12)의 압력이 설정값보다 높아져서, 이차측 압력실(32)이 배기 기구(36)를 통해 외부에 연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 (B)는 이 때의 이차측 포트(12)의 압력 G와 이차측 압력실(32)의 압력 H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 특성 선도이다. 주밸브 다이어프램(31)이 주밸브축(15)의 접촉 단면(20)으로부터 떨어져서, 이차측 포트(12) 내의 공기가 이차측 압력실(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때에는, 이차측 압력실(32)은 배기 유로(71)에 대하여 이차측 포트(12)보다도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차측 포트(12)보다도 빨리 압력이 저하되고, 이차측 압력실(32)의 압력 H는 이차측 포트(12)의 압력 G보다도 높게 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고정구(77)에 대해서는 이것을 가이드공(18)으로부터 분리 방향에는 공기압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다.
도 5 ~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럿식 감압 밸브(10)의 모든 동작에서 배기 기구(36)의 고정구(77)에 대하여 이것을 부착공(18c)으로부터 빼내는 방향의 추력 내지 압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고정구(77)를 부착공(18c)에 강하게 고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정구(77)를 수지제로서도 문제없고 밀봉재(75)와 환상 스페이서(73)를 가이드공(18) 내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파일럿식 감압 밸브(10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파일럿식 감압 밸브(10a)는 필터를 가지고 있으며, 통상 필터 레귤레이터라고 불리고 있다.
도 9에 있어서는, 도 3의 파일럿식 감압 밸브(10)와 달리 파일럿식 감압 밸브(10a)가 상하 반전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도 9에 있어서 포트 블록(13)의 상측에는 파일럿식 감압 밸브(10)와 동일한 구조의 조압 어댑터(28) 및 보닛(47) 등이 설치되어 있다. 포트 블록(13)에는 가이드 통체(22)가 설치된 홀더(8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홀더(83)는 주밸브축(15)의 접동부(15a)가 결합하는 가이드 통체(22)가 일체로 된 저벽부(83a)와, 이것과 일체로 된 원통부(83b)을 갖고, 원통부(83b)의 단부에 설치되는 감합부(83c)가 포트 블록(13)의 부착부(13c)에 감합되어 있다. 원통 부(83b)에는 홀더(83)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키기 위한 슬릿(83d)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포트 블록(13)에는 볼, 즉 필터 용기(84)가 착탈 자재로 장착된다. 필터 용기(84)는 저벽부(84a)와 이것과 일체로 된 원통부(84b)을 갖고, 원통부(84b)의 선단부가 포트 블록(13)에 장착된다. 필터 용기(84)의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필터 엘리먼트(85)가 배치되어 있으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 엘리먼트(85)의 하단부는 저벽부(84a)에 접촉하고, 상단부는 감합부(83c)의 외측의 부분에 접촉되어 있다. 필터 용기(84) 내는 필터 엘리먼트(85)에 의해 그 외측의 상류측실(86a)과 내측의 하류측실(86b)로 구획되어 있고, 일차측 포트(11)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필터 엘리먼트(85)를 투과할 때 고형 입자가 필터 엘리먼트(85)에 의해 제거된다. 이것에 의해 일차측 포트(11)에 공급된 공기는 여과되어 청정화되고, 주밸브체(16)가 열리면 청정화된 공기는 이차측 포트(12)에 공급된다.
배기 기구(36)의 구조는 도 3에 나타낸 파일럿식 감압 밸브(10)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포트 블록(13)의 도면 중 상측에 파일럿식 감압 밸브가 설치되고, 포트 블록(13)의 도면 중 하측에는 필터가 설치된다. 배기 기구(36)의 배기 유로의 개구부가 파일럿식 감압 밸브나 필터측이 아닌 일차측 포트(11)와 이차측 포트(12)가 설치된 면에 인접한 면에 개구하고 있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고정구(77)의 확대 단면도이다. 고정구(77)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77a)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77a)의 외경은 부착공(18c)의 내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수지제의 고정구(77)를 부착공(18c)에 삽입하면 돌기부(77a)가 탄성 변형하여 도 10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18c)에 밀착한다. 원주 방향의 돌기부(77a)의 상호 사이에는 틈새(88)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부착공(18c)에 고정구(77)를 삽입할 때의 조작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고정구(77)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3, 도 4에 나타낸 고정구(7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단, 외주면에 돌기부(77a)를 설치하지 않은 형태의 고정구(77)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정구(77)를 금속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과 도 12는 각각 파일럿식 감압 밸브의 포트 블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과 도 12에서는 상술한 포트 블록(13)에서 부재와 공통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가 기재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파일럿식 감압 밸브(10b)의 블록 본체(13a)에는 일차측 포트(11)의 나사공(11a)과 이차측 포트(12)의 나사공(12a)이 주밸브공(14)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차측 포트(11)과 이차측 포트(12)는 블록 본체(13a)의 상호에 직각으로 된 외면에 개구되어 있다. 일차측 포트(11)의 나사공(11a)과 거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배기 유로(71)가 블록 본체(13a)에 형성되어 있다. 배기 유로(71)는 일차측 포트(11)와 이차측 포트(12)에 대하여 다른 위치에서 블록 본체(13a)의 외면에 개구되어 있다.
도 12에 표시된 파일럿식 감압 밸브(10c)의 포트 블록(13)은, 블록 본체(13a)에 고정되는 커버(13b)에 일차측 포트(11)의 나사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3b)에는 밸브 가이드(91)가 고정되어 있다. 밸브 가이드(91)는 주밸브축(15)을 이동 자재로 지지하는 가이드 통체(22)와 이 가이드 통체(22) 보다도 큰 직경의 장착 통체(91a)가 단벽부(91b)에 의해 일체로 되어 있다. 장착 통체(91a)에는 블록본체(13a)에 형성된 암나사(19a)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19b)가 설치되어 있다. 단벽부(91b)에는 일차측 포트(11)와 일차측실(21)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공(92)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파일럿식 감압 밸브(10, 10a, 10b, 10c)는 모두 파일럿압실(33)에 일 차측 포트(11)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 내부 파일럿식이지만, 파일럿압실(33)에 외부로부터 조압된 파일럿압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면 외부 파일럿식 감압 밸브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파일럿식 감압 밸브(10, 10b, 10c)는 핸들(61)이 하측으로 된 상태로 나타나 있지만, 도 9에 나타낸 필터 부착의 파일럿식 감압 밸브(10a)와 동일하게 핸들(61)이 상측으로 되도록 한 상태로 사용하여도 좋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파일럿식 감압 밸브는 압축 공기를 공기압 기기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압 공급 시스템에 적용된다.
Claims (8)
- 압축 공기의 압력을 파일럿압에 따라 조정하는 파일럿식 감압 밸브이며,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 일차측 포트와, 상기 일차측 포트에 주밸브공을 통해 연통하고 조압된 압축 공기를 유출하는 이차측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주밸브공을 개폐하는 주밸브체를 구비한 주밸브축이 상기 주밸브공에 축방향으로 이동 자재로 장착된 포트 블록과,
상기 포트 블록의 부착 단면(端面)과 상기 부착 단면에 설치되는 조압 어댑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차측 포트에 연통하는 이차측 압력실과 상기 이차측 압력실의 반대측의 파일럿압실로 칸막이함과 동시에 상기 주밸브축의 접촉 단면이 접촉하는 주밸브 다이어프램을 가지며,
설정값보다 상기 이차측 포트의 압력이 높아지게 될 때 상기 이차측 포트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 유로가 상기 포트 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 유로의 개구부가 상기 포트 블록의 외면에 개구되어 설치되고,
상기 접촉 단면에 개구되어 형성된 축방향 배기공과, 상기 배기 유로와 상기 축방향 배기공을 연통시키는 직경 방향 배기공이 상기 주밸브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식 감압 밸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블록에 형성되며, 상기 포트 블록의 부착 단면측의 소경공과 상기 주밸브공측의 대경공을 구비하여 상기 주밸브축을 접동 자재로 안내하는 가이드공과,
상기 주밸브축의 상기 접촉 단면과 상기 배기 유로를 연통시키는 배기 연통공이 형성된 환상 스페이서를 상기 대경공 내에 장착하고, 상기 환상 스페이서의 축방향 양측에 밀봉재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식 감압 밸브.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공 내에 상기 주밸브공측으로부터 삽입되며, 상기 밀봉재를 상기 대경공 내에 유지하는 고정구를 갖고,
상기 고정구를 상기 가이드공의 내측 단면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식 감압 밸브.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식 감압 밸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압실에 상기 일차측 포트의 공기를 내부 파일럿압으로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식 감압 밸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압실에 외부 파일럿압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식 감압 밸브.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측 포트로부터 상기 이차측 포트로 향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엘리먼트가 조합되는 필터 용기를 상기 포트 블록에 착탈 자재로 장착하고, 상기 일차측 포트에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식 감압 밸브.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110210 | 2011-05-17 | ||
JPJP-P-2011-110210 | 2011-05-17 | ||
PCT/JP2012/060580 WO2012157398A1 (ja) | 2011-05-17 | 2012-04-19 | パイロット式減圧弁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7904A KR20140007904A (ko) | 2014-01-20 |
KR101836988B1 true KR101836988B1 (ko) | 2018-03-09 |
Family
ID=4717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4388A KR101836988B1 (ko) | 2011-05-17 | 2012-04-19 | 파일럿식 압력 레귤레이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967180B2 (ko) |
JP (1) | JP5740402B2 (ko) |
KR (1) | KR101836988B1 (ko) |
CN (1) | CN103430118B (ko) |
TW (1) | TWI545267B (ko) |
WO (1) | WO201215739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42957A2 (en) * | 2012-09-14 | 2014-03-20 | Kimray, Inc. | Pneumatic level switch |
CN103697207A (zh) * | 2013-12-27 | 2014-04-02 | 李潘宝 | 一种先导式调压阀 |
DE102014205041A1 (de) * | 2014-03-19 | 2015-09-24 | Robert Bosch Gmbh | Druckreduzierventil |
JP6226789B2 (ja) | 2014-03-20 | 2017-11-08 | 株式会社コガネイ | フィルタレギュレータ |
CN105065738B (zh) * | 2015-07-17 | 2017-08-04 | 永一阀门集团有限公司 | 带感应管的可调流量先导式安全阀 |
US10578186B2 (en) * | 2016-10-31 | 2020-03-03 | Emerson Process Management Regulator Technologies, Inc. | Spring seat vibration damper apparatus for use with pressure regulators |
US10409298B2 (en) * | 2017-04-27 | 2019-09-10 | Marotta Controls, Inc. | Electronically controlled regulator |
JP6904858B2 (ja) * | 2017-09-04 | 2021-07-21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減圧弁 |
WO2019144111A1 (en) * | 2018-01-22 | 2019-07-25 | Valco Companies, Inc. | Pressure regulator |
JP7009525B2 (ja) * | 2020-01-31 | 2022-01-25 | 株式会社日本ピスコ | 調圧弁 |
PL4286975T3 (pl) | 2022-06-01 | 2024-07-15 | Husqvarna Ab | Reduktor ciśnienia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08239A (ja) | 2000-01-21 | 2001-08-03 | Ckd Corp | 減圧弁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61464A (en) * | 1953-06-08 | 1956-09-04 | Norgren Co C A | Pilot controlled regulator |
US2963040A (en) * | 1957-09-20 | 1960-12-06 | Victor Equipment Co | Dome type regulating valve |
US2994334A (en) * | 1959-08-13 | 1961-08-01 | John H Loveless | Air servo valve |
US3072135A (en) * | 1961-03-10 | 1963-01-08 | Benbow Mfg Corp | Pressure regulator with positive shutoff and relief means |
US3221762A (en) * | 1962-05-14 | 1965-12-07 | Kieley And Mueller Inc | Regulating valve |
GB2168504B (en) * | 1984-12-14 | 1988-09-07 | Tlv Co Ltd | Pressure reducing valve |
JPH0620167Y2 (ja) * | 1988-06-10 | 1994-05-25 |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 減圧弁のリリーフ機構 |
JPH022717A (ja) | 1988-06-16 | 1990-01-08 | Fujitsu Ltd | デェジタルpll回路 |
JPH0247705A (ja) | 1988-08-09 | 1990-02-16 | Tlv Co Ltd | 減圧弁のリリーフ機構 |
JP2984075B2 (ja) | 1991-03-26 | 1999-11-29 | 株式会社コガネイ | 電空レギュレータ |
US5443083A (en) * | 1993-02-11 | 1995-08-22 | Itt Corporation | Pressure-reducing regulator for compressed natural gas |
TW298281U (en) * | 1993-10-01 | 1997-02-11 | Smc Kk | Reducing valve |
US5586569A (en) * | 1995-07-27 | 1996-12-24 | Parker-Hannifin Corporation | Pneumatic pressure regulator |
JP3704223B2 (ja) | 1997-03-26 | 2005-10-12 | Smc株式会社 | 減圧弁 |
JP3845179B2 (ja) * | 1997-07-18 | 2006-11-15 | Smc株式会社 | バルブガイド構造 |
DE10002752C1 (de) * | 2000-01-22 | 2001-06-21 | Festo Ag & Co | Druckregelventil mit Sekundärentlüftungsmaßnahmen |
JP3634733B2 (ja) * | 2000-09-22 | 2005-03-30 | Smc株式会社 | 流体圧力調整装置 |
JP5202117B2 (ja) * | 2008-06-10 | 2013-06-05 |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 減圧弁 |
JP4819967B2 (ja) * | 2008-09-25 | 2011-11-24 | 株式会社コガネイ | 減圧弁 |
US8485213B2 (en) * | 2008-12-17 | 2013-07-16 | Emerson Process Management Regulator Technologies, Inc. | Internal relief valve apparatus for use with loading regulators |
-
2012
- 2012-04-19 US US14/000,577 patent/US8967180B2/en active Active
- 2012-04-19 CN CN201280013312.5A patent/CN10343011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4-19 WO PCT/JP2012/060580 patent/WO201215739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4-19 KR KR1020137024388A patent/KR1018369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4-19 JP JP2012527546A patent/JP5740402B2/ja active Active
- 2012-05-17 TW TW101117552A patent/TWI545267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08239A (ja) | 2000-01-21 | 2001-08-03 | Ckd Corp | 減圧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430118B (zh) | 2016-01-13 |
CN103430118A (zh) | 2013-12-04 |
KR20140007904A (ko) | 2014-01-20 |
TWI545267B (zh) | 2016-08-11 |
JP5740402B2 (ja) | 2015-06-24 |
WO2012157398A1 (ja) | 2012-11-22 |
JPWO2012157398A1 (ja) | 2014-07-31 |
US20140150903A1 (en) | 2014-06-05 |
TW201303169A (zh) | 2013-01-16 |
US8967180B2 (en) | 2015-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6988B1 (ko) | 파일럿식 압력 레귤레이터 | |
US9092035B2 (en) | Internal pilot type pressure regulator | |
EP2741163B1 (en) | Pressure Reducing Valve | |
EP3015756B1 (en) | Throttle valve | |
US8550117B2 (en) | Seal assembly for a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 |
EP2492560B1 (en) | Two-piece trim for use with fluid regulators | |
KR102342755B1 (ko) | 밸브 장치 | |
US9097360B2 (en) | Pilot operated valve | |
EP2898386B1 (en) | Balanced regulator with inlet pressure sensing tube | |
JP2008309255A (ja) | 逃がし弁 | |
JP6174562B2 (ja) | 流体レギュレータに用いられるボンネット部材 | |
RU2322628C2 (ru) | Регулирующий клапан (варианты) | |
US9279508B1 (en) | Insert for a fluidic valve assembly | |
CN112930454A (zh) | 阀装置和气体供给系统 | |
US11976733B2 (en) | Poppet and seat cartridge valve subassembly | |
EP3680491A1 (en) | Control valve | |
CN112955685A (zh) | 阀装置和气体供给系统 | |
CN117780998A (zh) | 减压阀 | |
AU2011204925B2 (en) | Ventil | |
US20180306331A1 (en) | Regulator Seal Assembly | |
JP2021055783A (ja) | バルブ装置及び流体供給ユニット | |
JP2008276630A (ja) | 減圧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