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567B1 - 큰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큰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7567B1 KR101797567B1 KR1020170039741A KR20170039741A KR101797567B1 KR 101797567 B1 KR101797567 B1 KR 101797567B1 KR 1020170039741 A KR1020170039741 A KR 1020170039741A KR 20170039741 A KR20170039741 A KR 20170039741A KR 101797567 B1 KR101797567 B1 KR 1017975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fractions
- extracts
- present
- fra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애기땅빈대 추출물 및 분획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큰땅빈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큰땅빈대 추출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3b는 큰땅빈대 분획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애기땅빈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콜라게네이즈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애기땅빈대 추출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4b는 애기땅빈대 분획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큰땅빈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엘라스테이즈(elastase)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5a는 큰땅빈대 추출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5b는 큰땅빈대 분획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애기땅빈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엘라스테이즈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6a는 애기땅빈대 추출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6b는 애기땅빈대 분획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MTT 분석을 통한 큰땅빈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큰땅빈대 추출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7b는 큰땅빈대 분획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MTT 분석을 통한 애기땅빈대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애기땅빈대 추출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8b는 애기땅빈대 분획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ELISA를 통한 큰땅빈대 추출물 및 분획물의 MMP-1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큰땅빈대 추출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9b는 큰땅빈대 분획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ELISA를 통한 애기땅빈대 추출물 및 분획물의 MMP-1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a는 애기땅빈대 추출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10b는 애기땅빈대 분획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9)
- 큰땅빈대(Euphorbia maculata) 또는 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a)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큰땅빈대의 추출물은 꽃, 잎, 줄기, 뿌리 및 전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기땅빈대의 추출물은 꽃, 잎, 줄기, 뿌리 및 전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핵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가적으로 분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50 내지 100 ℃에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엘라스타아제, 콜라게네이즈 또는 MMP-1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큰땅빈대(Euphorbia maculata) 또는 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a)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9741A KR101797567B1 (ko) | 2017-03-29 | 2017-03-29 | 큰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9741A KR101797567B1 (ko) | 2017-03-29 | 2017-03-29 | 큰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7567B1 true KR101797567B1 (ko) | 2017-11-15 |
Family
ID=6038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9741A Active KR101797567B1 (ko) | 2017-03-29 | 2017-03-29 | 큰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756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8291B1 (ko) | 2018-10-05 | 2019-10-30 | 대한민국 | 애기땅빈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손상 개선 또는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
-
2017
- 2017-03-29 KR KR1020170039741A patent/KR101797567B1/ko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8291B1 (ko) | 2018-10-05 | 2019-10-30 | 대한민국 | 애기땅빈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손상 개선 또는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3193B1 (ko) |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 |
JP5577443B2 (ja) | バラ胎座組織培養物の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671852B1 (ko) | 큰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2326086B1 (ko) | 닥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 |
KR102137136B1 (ko) | 호박 가수분해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
KR101797567B1 (ko) | 큰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KR102077708B1 (ko) |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백복령 발효 추출물, 율무 발효 추출물 및 초석잠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 |
KR20200083293A (ko) | 엉겅퀴 및 모링가의 온천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821925B1 (ko) | 지실 및 육계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386120B1 (ko) |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
KR20190089748A (ko) |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2275552B1 (ko) |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 |
KR102154139B1 (ko) |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
KR102154140B1 (ko) | 튤립 잎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및 앵무새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
KR102139778B1 (ko) | 장미허브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미백,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 |
KR20230166330A (ko) |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조성물 | |
KR102212343B1 (ko) |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조성물 | |
KR102337346B1 (ko) |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 |
KR101617198B1 (ko) |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
KR102101448B1 (ko) |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 |
KR101738206B1 (ko) | 지실 및 육계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047461B1 (ko) |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 |
KR101971679B1 (ko) | 데스모디움 스컥스(Desmodium sequax Wall) 용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및 미백활성 | |
KR101964837B1 (ko) | 쇄양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 |
KR102534818B1 (ko) |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4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