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24181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181B1
KR101724181B1 KR1020140072014A KR20140072014A KR101724181B1 KR 101724181 B1 KR101724181 B1 KR 101724181B1 KR 1020140072014 A KR1020140072014 A KR 1020140072014A KR 20140072014 A KR20140072014 A KR 20140072014A KR 101724181 B1 KR101724181 B1 KR 101724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tub
agitator
water
time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8307A (ko
Inventor
히로아키 가와구치
고헤이 홋타
히로시 니시무라
고스케 다카하시
다카코 다자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30555A external-priority patent/JP61579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30556A external-priority patent/JP6157949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8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4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solely by water j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6Parti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세탁기는 내저부에 교반체를 설치한 종축형 세탁조와, 상기 교반체의 이면에 펌프 날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세탁조의 저부에 형성된 펌프실과, 상기 세탁조의 측벽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펌프실로부터의 세탁수를 양수하여 토출구로부터 상기 세탁조 내에 살수하는 통수로와, 상기 교반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외주부에 세탁수가 통과하는 통수구멍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탁조 내에 상기 교반체의 상방 및 상기 토출구의 하방에 위치하고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칸막이판을 구비하며, 상기 세탁조 내에 장착된 상기 칸막이판 위에 의류를 얹어 세탁을 실시하는 델리케이트 코스의 실행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델리케이트 코스에서 상기 교반체의 정회전, 역회전의 반복주기 내에서의 온 시간을, 상기 칸막이판을 이용하지 않는 표준코스보다 길게 한 제1 구동시한에서 상기 교반체를 구동시키는 델리케이트한 의류를 세탁하는 경우에,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세정 효과를 높인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겸 탈수조의 내저부에 교반체를 구비한 종축형 세탁기에서는 델리케이트한 의류를 세탁하기 위해 교반체의 상방에 세탁물 얹음용 네트를 수평으로 배치하고, 교반체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수류에 의해 네트 위의 의류를 세탁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의류를 교반체에 직접적으로 접촉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델리케이트한 의류를 손상시키지 않고 세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세탁물 얹음용 네트를 사용하여, 수류만에 의해 델리케이트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 운전의 방식에서는 의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지만, 세탁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았다.
본 실시형태는 델리케이트한 의류를 세탁하는 경우에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세정효과를 높일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는 내저부에 교반체를 설치한 종축형 세탁조와, 상기 교반체의 이면에 펌프 날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세탁조의 저부에 형성된 펌프실과, 상기 세탁조의 측벽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펌프실부터의 세탁수를 양수(揚水)하여 토출구로부터 상기 세탁조 내에 살수하는 통수로와, 상기 교반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외주부에 세탁수가 통과하는 통수구멍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탁조 내에 상기 교반체의 상방 및 상기 토출구의 하방에 위치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칸막이판을 구비하며, 상기 세탁조 내에 장착된 상기 칸막이판 위에 의류를 얹어 세탁을 실시하는 델리케이트 코스의 실행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델리케이트 코스에서 상기 교반체의 정회전, 역회전의 반복주기 내에서의 온 시간을, 상기 칸막이판을 이용하지 않는 표준코스보다 길게 한 제1 구동시한(period of time)으로 상기 교반체를 구동시키는 데에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기를 사용하여 델리케이트한 의류를 세탁하는 경우에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세정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세탁기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칸막이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세탁기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제1 구동시한에서의 모터로의 통전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구동시한에서의 모터로의 통전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샤워 수류의 토출의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측면도이다.
도 7은 세탁조 내의 수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측면도이다.
도 8은 칸막이판 상면부의 수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제어장치를 실행하는 세탁운전의 처리수순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9 상당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4 상당도이다.
도 12는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칸막이판의 개략적 평면도(도 12의 (a)) 및 주요부의 확대종단면도(도 12의 (b))이다.
도 13은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칸막이판의 통수구멍의 3종류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4는 제6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둘로 접은 세탁기용 칸막이체를 자립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세탁기용 칸막이체를 펼친 상태에서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세탁기용 칸막이체를 펼친 상태에서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세탁기용 칸막이체를 펼친 상태에서 이면측에서 본 이면도이다.
도 18은 둘로 접은 세탁기용 칸막이체의 사시도 1이다.
도 19는 둘로 접은 세탁기용 칸막이체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 중 X8-X8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은 둘로 접은 세탁기용 칸막이체의 사시도 2이다.
도 22는 제7 실시형태의 세탁기용 칸막이체에 의한 도 16 상당도이다
이하, 복수의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용 칸막이체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1) 제1 실시형태
이하,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종축형 세탁기(전자동세탁기)(1)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외부상자(2)의 내부에는 세탁수를 저류하는 수조(3)가 탄성 매달음 기구(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3)내에는 종축형 세탁조(5)가 설치되고, 그 세탁조(5)의 내저부에는 교반체(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세탁조(5) 및 교반체(6)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수조(3)의 저부 외면에는, 회전 구동원인 모터(7)가 상방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또한 모터(7)의 회전을 전달하여 상기 세탁조(5) 및 교반체(6)를 회전 구동하는 기구부(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교반체(6)는 모터(7)의 출력축(7a)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된다. 또한, 상기 기구부(8)에는 도시하지 않는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고, 세탁 및 받은물 헹굼시에는 모터(7)의 회전이 교반체(6)에만 전달되고, 탈수시에는 세탁조(5)와 교반체(6)에 전달된다. 이 경우, 세탁시에는 교반체(6)는 정역회전되고, 탈수시에는 세탁조(5) 및 교반체(6)가 일체적으로 고속 회전된다.
상기 수조(3)의 저부에는 배수구(9)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9)에, 배수밸브(10) 및 배수호스(1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9) 부분에는 에어트랩(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트랩(12)에 수위센서(13)(도 3에만 도시)가 연결되어 있다. 이것으로 수위센서(13)에 의해 세탁조(5) 내의 수위가 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외부상자(2)의 상부 부분에는 탑커버(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탑커버(14)의 거의 중앙부에는 의류 출입구(15)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의류 출입구(15)를 개폐하는 외부덮개(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3)의 상부에는 수조 커버(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 커버(17)에는, 상기 의류 출입구(15)의 하방에 위치하여 개구부(18)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개구부(18)를 개폐하는 내부덮개(1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탑커버(14)에는, 의류출입구(15)의 후방에 위치하고 급수제어수단으로서의 급수밸브(20) 및 세제투입부를 갖는 주수 케이스(21)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 밸브(20)에는 호스 접속구(2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호스 접속구(22)에, 도시하지 않은 수도(급수원)의 수도꼭지에 접속된 접속 호스가 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주수 케이스(21)의 출구에는 자바라 형상의 급수 호스(23)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급수 호스(23)의 하단부가, 세탁조(5)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수조 커버(17)에 형성된 급수구(25)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서, 급수밸브(20)가 개방되면 수돗물이 접속호스, 급수밸브(20), 주수 케이스(21) 및 급수호스(23)를 통하여 급수구(25)로부터 세탁조(5) 내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수돗물은 주수 케이스(21) 내에서 세제와 섞여 세탁수가 된다.
또한, 상기 탑커버(14)의 전면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조작 패널(26)이 설치되고, 또한 그 이면측에 위치하여 마이컴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장치(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패널(2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시 스위치나 코스 선택키를 포함하는 각종 스위치 입력부(28)나, 필요한 표시를 실시하는 표시부(29)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조작 패널(26)(스위치 입력부(28))의 조작에 의해, 세탁운전코스의 선택이나 운전 개시를 지시할 수 있다. 이 때, 상세하게는 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탁운전의 코스로서 표준적인 세탁운전을 실시하는 「표준코스」 이외에, 델리케이트한 의류(W)(도 8 참조)를 세탁하기 위한, 「델리케이트 코스」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세탁조(5) 부분에 대해서 상술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탁조(5)는 상하 양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이루는 예를 들어 SUS제 몸통부(30)와, 상기 몸통부(3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플라스틱제의 조 저부(31)와, 상기 몸통부(3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밸런스링(3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밸런스링(32)은 주지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중공 원고리 형상의 본체내에 염화 칼슘 또는 염화나트륨 등을 주성분으로 한 액체를 수납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 저부(31)는 원형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부가 상기 몸통부(30)의 하부에 코킹 및 나사 고정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조 저부(31)에는, 상부 가장자리부의 원주 방향의 복수부분(1부분만 도시)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칸막이판의 다리부를 얹기 위한 얹음부(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30)의 둘레벽부에는 다수개의 탈수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탈수구멍(34)은 세탁조(5)(몸통부(30))의 둘레벽부 중, 후술하는 통수로(37)를 제외한 부분이고 또한 상부에만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탁조(5)(조 저부(31))의 내저부에는 상기 교반체(6)가 배치되는 원형의 오목 형상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교반체(6)와의 사이에 펌프실(35)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교반체(6)는 표면(상면)에 회전 수류 생성용 볼록부(6a)를 갖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또한 그 판면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복수개의 통수구멍(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교반체(6)의 이면에는 복수매의 펌프 날개(36)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펌프 날개(36)는 중심부로부터 방사방향(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박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펌프실(35)의 외주부의 각도가 120도 간격 떨어진 세 부분에, 유출구(35a)(1개만 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탁조(5)의 측벽부에는, 각 유출구(35a)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세탁수를 상기 펌프실(35)로부터 양수하기 위한 3개(2개만 도시)의 통수로(3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통수로(37)는 세탁조(5) 내의 상부(밸런스링(32)보다 약간 하방)에 토출구(37a)를 갖고 있다. 이것에서, 펌프실(35)에서의 교반체(6)의 회전에 의해 세탁조(5) 내의 세탁수(물이나 세제가 녹은 물)이 펌프실(35)의 3개의 유출구(35a)로부터 외주 방향을 향하여 토출된다. 또한, 그 세탁수가 통수로(37) 내를 상승(양수)하고, 토출구(37a)로부터 세탁조(5) 내에 토출(살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37a)로부터 세탁조(5) 내에 토출(살수)되는 물의 흐름을, 이하 「샤워 수류」라고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세탁조(5) 내에는 델리케이트 코스의 세탁운전을 실행할 때 사용되는 칸막이판(38)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세팅)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2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판(38)은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전체로서 세탁조(5)의 내주면에 끼워 넣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판면에는 외주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여 세탁수가 통과하는 통수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칸막이판(38)의 내주부에도 통수구멍(39)이 형성되어 있지만, 칸막이판(38)의 판면을 내주부(중앙측)와 외주부의 2개로 나누면, 통수구멍(39)은 외주부쪽이 많이 형성되어 있는, 즉 통수구멍(39)이 형성되어 있는 밀도(단위면적당 개구면적)가 외주부쪽이 많아져 있다.
그리고, 도 1에도 일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판(38)의 외주부에는 복수개의 다리부(38a)가 일체로 설치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다리부(38a)가 상기 얹음부(33)에 얹힌다. 이에 의해, 칸막이판(38)은 상기 교반체(6)의 상방이고 또한 상기 토출구(37a)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세탁조(5) 내에 장착(세팅)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판(38)의 이면(하면)측 중앙부에는 추(40)가 설치되어 있어 장착된 칸막이판(38)이 부상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델리케이트 코스는 세탁조(5)내에 칸막이판(38)을 세팅하고, 상기 칸막이판(38) 위에 의류(W)를 얹은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세탁조(5) 내에 칸막이판(38)이 세팅된 상태에서는 칸막이판(38)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는 통수구멍(39)에 의해 세탁수의 왕래가 가능한 것은 물론, 세탁조(5)의 내주벽과 칸막이판(38)의 외주 가장자리부 사이의 간극이나, 칸막이판(38)의 둘로 접히는 분할선 부분에 형성되는 간극, 손가락 걸기용 구멍(38b) 등에 대해서도, 약간이기는 하지만 세탁수의 통과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때, 상기 세탁조(5)의 둘레벽부(몸통부(30))에는 다수개의 탈수구멍(34)이 형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판(38)의 장착 위치보다 하방에는 상기 탈수구멍(34)이 형성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세탁조(5)의 둘레벽부(몸통부(30)) 중 칸막이판(38)의 장착 위치의 바로 상부에는 상기 탈수구멍(34)을 형성하지 않는 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탈수구멍(34)은 칸막이판(38)의 상면으로부터 높이 치수(H)(예를 들어, 5㎝)의 범위에는 형성되지 않고, 그보다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판(38)은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힌지부(41)에 의해 둘로 접이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세탁조(5)로부터 취출하여 둘로 접어 치워둘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3은 상기 구성의 세탁기(1)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세탁기(1)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7)에는, 스위치 입력부(28), 수위 센서(13), 상기 모터(7)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7)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센서(42)로부터의 신호 등이 입력된다. 제어장치(27)는 이들 입력신호와, 미리 구비하는 제어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표시부(29), 부저(43)를 제어하고, 또한 구동회로(44)를 통하여 급수밸브(20), 배수밸브(10), 모터(7) 등을 제어하고 세탁, 헹굼, 탈수의 행정으로 이루어진 세탁 운전을 실행한다.
이 때, 이후의 작용 설명에서도 상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장치(27)는 사용자의 조작패널(26)의 조작에 의해, 델리케이트 코스가 선택 지시된 경우에는, 세탁조(5) 내에 장착된 칸막이판(38) 위에 의류(W)를 얹어 세탁을 실시하는 델리케이트 코스를 실행한다. 상기 델리케이트 코스는 세탁 행정과 헹굼행정을 포함하며, 탈수행정에 대해서는 필요하면 사용자가 매뉴얼 조작에 의해 실행한다.
상기 델리케이트 코스의 세탁행정에서는, 세탁조(5) 내의 설정수위가 상기 칸막이판(38)의 약간 상부라는 비교적 낮은 수위가 되고, 기본적으로는 모터(7) 더 나아가서는 교반체(6)의 정역 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실행된다. 이 때, 제어장치(27)는 교반체(6)를 구동하는 패턴(모터(7)로의 통전 패턴)으로서, 교반체(6)의 정회전 온, 오프, 역회전 온, 오프를 소정의 주기로 반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반체(6)의 정회전, 역회전의 반복주기 내에서의 온 시간을, 칸막이판(38)을 이용하지 않는 표준 코스보다 길게 한 제1 구동시한(도 4 참조)과, 교반체(6)의 정회전, 역회전의 반복주기 내에서의 온 시간을, 상기 제1 구동시한보다 짧게 한 제2 구동시한(도 5 참조)과의 쌍방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2 구동시한의 주기는 제1 구동시한의 주기보다 짧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주기의 제1 구동시한에서는 교반체(6)의, 10초간 정회전, 3초간 오프, 10초간 역회전, 3초간 오프를 반복하게 되어 있다. 또한, 최고 회전수(소정 회전수)는 예를 들어 145rpm이고, 이 때 오프 상태부터 소정 회전수까지의 가속에 4초간, 소정 회전수로부터 오프까지의 감속에 4초간 소요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교반체(6)의 소정 회전수까지의 가속 및 감속이 표준 코스에서의 교반체(6)의 가속 및 감속보다 완만해지도록 제어된다. 즉, 도시하지 않지만, 표준 코스의 통전 패턴에서는 교반체(6)의, 2초간 정회전, 1초간 오프, 2초간 역회전, 1초간 오프를 반복하게 되고, 또한 소정 회전수(예를 들어 145rpm)까지의 가속(및 감속)에 0.4초를 요하는 것이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주기의 제2 구동시한에서는 교반체(6)의, 1.6초간 정회전, 2.1초간 오프, 1.6초간 역회전, 2.1초간 오프를 반복하도록(간헐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최고(소정) 회전수는 예를 들어 165rpm이 되고, 상기 제1 구동시한의 소정 회전수(145rpm)보다 높아져 있다. 또한, 교반체(6)의 소정 회전수까지의 가속 및 감속이, 상기 제1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가속 및 감속보다도 급격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오프 상태로부터 소정 회전수까지의 가속을 0.3초간에서 실시하고, 소정 회전수로부터 오프까지의 감속을 0.3초간 실시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델리케이트 코스의 세탁 행정에서는 제어장치(27)는 세탁행정의 개시시의 급수에서, 설정수위보다 낮고 또한 상기 칸막이판보다 낮은 소정 수위에서 급수를 일단 정지하도록 급수 밸브(20)를 제어하고, 그 소정 수위까지 급수된 상태에서, 상기 교반체(6)를 일정 시간(예를 들어 수 십초 정도)만큼 제2 구동시한에서 구동시킨다. 그리고, 그 후, 상기 칸막이판보다 높은 설정수위까지 급수한 후, 교반체(6)의 제1 구동시한에서 구동하고, 세탁행정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세탁기(1)에서 델리케이트 코스를 실행하는 경우의 작용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9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울 스웨터나 실크 제품 등 델리케이트한 의류(W)를 세탁하고 싶은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조(5) 내에 칸막이판(38)을 장착(세팅)하고, 그 칸막이판(38) 위에 세탁하고 싶은 의류(W)를 얹는다. 그리고, 세제 투입부에 필요량의 세제를 투입하고 조작패널(26)(스위치 입력부(28))을 조작하여 델리케이트 코스를 선택하여 세탁운전을 개시한다. 도 9의 플로우차트는 델리케이트 코스에서 제어장치(27) 등이 실행하는 처리의 수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우선 세탁기(1)의 전원이 온되고(단계(S1)), 이어서 칸막이판(38)이 세팅되고(단계(S2)), 또한 그 칸막이판(38) 위에 의류(W)가 얹힌다(단계(S3)). 세탁기(1)의 전원 온은 칸막이판(38) 및 의류(W)의 세팅 후이어도 좋다. 그 후, 세제가 투입된(단계(S4)) 상태에서 개시 스위치가 온되면(단계(S5)), 세탁운전이 개시된다. 세탁운전이 개시되면 단계(S6)에서 우선 급수밸브(20)가 온되고, 세탁조(5)(수조(3))내에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수의 급수가 실시된다. 이 급수는 세탁조(5) 내의 수위가 칸막이판(38)보다 약간 낮은 소정 수위가 될 때까지 실행되고(단계(S7)), 소정 수위가 된 곳에서(단계(S7)에서 "예"), 급수밸브(20)가 일단 정지된다(단계(S8)).
다음의 단계(S9)에서는 교반체(6)가 고속이고 단주기의 제2 구동시한(도 5 참조)에서 간헐적으로 정역회전 구동된다. 이 때, 세탁조(5) 내의 수위는 비교적 낮아 칸막이판(38)까지 도달하지 않았지만, 교반체(6)의 고속, 단주기의 회전에 의해 물과 세제가 강하게 교반되어 세제가 잘 녹게 되고, 세제의 용해를 빠르게 하여, 빨리 거품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교반체(6)의 펌프 날개(36)의 작용에 의해, 세탁수가 통수로(37)를 상승(양수)되고, 토출구(37a)로부터 세탁조(5) 내에 샤워 수류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구동시한에서는 교반체(6)의 소정 회전수까지의 가속 및 감속이 비교적 급격해지도록 제어되므로, 적은 물로도 샤워 수류를 강하게 토출시킬 수 있어 의류(W)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샤워 수류를 뿌릴 수 있다.
이 때, 의류(W)가 울 소재 등, 발수성이 비교적 높은 것의 경우, 의류(W)가 칸막이판(38) 위에 부상하여 세탁수가 침투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생각되지만, 이 시점에서는 아직 세탁수가 칸막이판(38)까지 도달하지 않았으므로 칸막이판(38) 위에 정리하여 얹혀 있는 의류(W)가 부상하여 움직여 포개어지기 이전에, 칸막이판(38) 위의 의류(W)에 샤워 수류가 쏟아져 내리게 된다. 이에 의해, 본격적인 세탁이 시작되기 전에, 의류(W)에 세탁수를 침투시킬 수 있어 의류(W)의 부상에 의한 틀 무너짐이나 세탁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정역회전 구동은 온 시간이 짧고 또한 단주기로 실시되므로, 교반체(6)의 온 시간을 길게 하여 구동한 경우에 발생하는 교반체(6)의 회전구동(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외주측에서 솟아오르고, 중앙측의 수위가 너무 낮아져, 더 나가서는 에어 바이팅 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위 센서(13)에 의한 수위의 검지에서 물이 없다고 판단하는 것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정역회전 구동이 소정시간(예를 들어 수십초) 실행되면, 다음 단계(S10)에서 급수밸브(20)가 온되고 급수가 속행된다. 세탁조(5)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칸막이판(38)보다 높은 수위)가 된 곳에서(단계(S11)에서 "예"), 급수밸브(20)가 오프된다(단계(S12)). 그리고, 단계(S13)에서 교반체(6)가 이번에는 고속이고 또한 장주기의 제1 구동시한(도 4 참조)에서 정역회전 구동되고 세탁 운전이 실행된다. 이 세탁운전은 소정 시간 계속하여 실행된다(단계(S14)).
이 교반체(6)의 제1 구동시한에서의 구동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체(6)의 볼록부(6a)에 의해 생성되는 수류가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판(38)의 외주측의 통수구멍(39)을 통과하여 상승하고, 칸막이판(38)의 상면측의 외주부에 회전 수류를 생성시킨다. 이 때, 칸막이판(38)의 하방에서는 세탁조(5)에 탈수구멍(34)이 존재하지 않으므로(또는 적으므로), 교반체(6)의 상부(칸막이판(38)의 하부)의 세탁수를, 탈수구멍(34)을 통하여 세탁조(5)의 외주측으로 빠져나가게 하기 어려워, 충분한 세탁수를, 교반체(6)의 회전에 의해 통수구멍(39)을 통하여 칸막이판(38)의 상면측에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칸막이판(38)의 중앙부에서는 통수구멍(39)이 적고, 상승한 세탁수가 칸막이판(38)의 상면에 고이기 쉬우므로(하방으로 빠져나가기 어려우므로) 의류(W)가 칸막이판(38)상을 떠오른 상태가 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교반체(6)의 정회전시에 화살표 B방향(역회전시에는 그것과는 반대 방향)의 회전수류에 의해 의류(W)가 그 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세정된다. 이 경우에도 세탁조(5)의 둘레벽부 중 칸막이판(38)의 장착 위치 바로 상부의 영역에는 탈수구멍(34)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칸막이판(38) 위에 고인 세탁수가 탈수구멍(34)을 통하여 세탁조(5)의 외주측으로 빠져 나가기 어려워, 칸막이판(38) 위에 최대한 고이게 된다.
그리고, 이와 함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실(35)로부터 통수로(37)를 통하여 양수된 세탁수가 토출구(37a)로부터 의류(W)를 향하여 쏟아져 내리게 되어 누름세탁처럼 세정된다. 이 때, 제1 구동시한에서는 교반체(6)의 정회전, 역회전의 반복주기 내에서의 온 시간을 길게 구성했으므로, 세탁조(5) 내의 세탁수가 비교적 적은 경우에도 칸막이판(38)의 상부에 충분한 회전수류를 생성시킬 수 있고 또한 위로부터의 샤워수류를 충분히 가할 수 있다. 이것으로 절수효과를 얻으면서 충분한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시한에서는 교반체(6)의 소정 회전수까지의 가속, 감속이 완만해지도록 했으므로, 칸막이판(38) 위의 의류(W)에 골고루 샤워 수류를 닿게 할 수 있다. 즉, 펌프 날개(36)의 회전속도에 의해 샤워 수류의 비산 방식(강도 즉 비산거리)이 변화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속초기단계 예를 들어 100~120rpm일 때에는 샤워 수류는 도 6에서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산방식이 되고, 예를 들어 120~140rpm일 때에는 샤워 수류는 도 6에서 (2)에 도시한 비산방식이 되며, 145rpm일 때에는 샤워 수류는 도 6에서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산방식이 된다. 이것으로 세탁 불균일을 방지하여 의류(W)의 세정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델리케이트 코스의 세탁행정의 실행에 의해, 의류(W)가 교반체(6)에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는 것은 물론, 칸막이판(38)에 비벼지는 것을 억제하고 의류(W)를 회전수류에 의해 세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벼운 스웨터 등에서는 형태를 무너뜨리지 않고 회전시키면서 세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의류(W)의 손상을 억제하면서 부드럽게 세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수류와, 위로부터 쏟아져 내리는 세탁수(샤워 수류)에 의한 누름세탁효과에 의해 의류(W)전체로서 높은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외주부에 세탁수가 통과하는 통수구멍(39)을 갖고 세탁조(5) 내에 탈수 가능하게 장착되는 칸막이판(38)을 설치하며, 세탁조(5) 내에 장착된 칸막이판(38) 위에 의류(W)를 얹어 세탁을 실시하는 델리케이트 코스의 실행을 가능하게 구성했으므로, 델리케이트한 의류(W)를 세탁하는 경우에, 의류(W)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세탁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제2~제4 실시형태, 그 밖의 실시형태
다음에, 도 10~도 13을 참조하면서 제2~제4 실시형태, 그 밖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 서술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새로운 도시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델리케이트 코스의 세탁 행정에서 제어장치(27) 등이 실행하는 처리의 수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장치(27)는 델리케이트 코스에서 고속 장주기의 제1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구동과, 고속 단주기의 제2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구동을 번갈아 실행한다. 또한, 그 때 제1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계속구동시간(예를 들어 24초)보다 제2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계속구동시간(예를 들어 96초)쪽을 길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우선 세탁기(1)의 전원이 온되고(단계(S1)), 이어서 칸막이판(38)이 세팅되며(단계(S2)), 또한 그 칸막이판(38) 위에 의류(W)가 얹힌다(단계(S3)). 이 후, 세제가 투입된(단계(S4))상태에서 개시 스위치가 온되면(단계(S5)) 세탁운전이 개시된다.
세탁운전이 개시되면 단계(S21)에서 우선 급수밸브(20)가 온되고, 세탁조(5)(수조(3)) 내에 세제를 포함한 세탁수의 급수가 실시된다. 이 급수는 세탁조(5) 내의 수위가 칸막이판(38)보다 약간 높은 설정수위가 될 때까지 실행되고(단계(S22)), 설정수위까지의 급수가 완료되면(단계(S22)에서 "예"), 급수밸브(20)가 오프된다(단계(S23)).
그리고, 단계(S24)에서는 교반체(6)가 고속 단주기의 제2 구동시한(도 5 참조)에서 간헐적으로 정역회전 구동된다. 상기 제2 구동시한에서는 교반체(6)의 소정 회전수까지의 가속 및 감속이 비교적 급격해지도록 제어되므로, 샤워 수류를 강하게 토출시킬 수 있어, 토출구(37a)의 반대 측까지 광범위하게 샤워 수류를 뿌려, 의류(W)에 침투시키도록 하여 세탁할 수 있다. 이 제2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구동은 소정 시간(예를 들어 96초) 계속해서 실행된다(단계(S25)).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단계(S25)에서 "예"), 다음의 단계(S26)에서 세탁시간이 종료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세탁시간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단계(S26)에서 "아니오"), 단계(S27)에서 교반체(6)가 고속 장주기의 제1 구동시한(도 4 참조)에서 정역회전 구동된다. 이 제1 구동시한에서는 칸막이판(38) 위의 외주측에 발생하는 회전수류에 의한 의류(W)의 세정, 및 칸막이판(38) 위에 의류(W)가 부상한 상태에서의 샤워 수류에 의한 누름세탁효과에 의한 세정이 실시된다. 상기 제1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구동은 소정시간(예를 들어 24초) 계속하여 실행된다(단계(S28)).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단계(S28)에서 "예"), 다음의 단계(S29)에서 세탁시간이 종료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아직 세탁시간이 남아있는 경우에는(단계(S29)에서 "아니오"), 단계(S24)로 진행, 다시 교반체(6)의 제2 구동시한에서의 정역회전 구동이 실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구동과, 제1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구동이 번갈아 반복되는 것이다. 이 후, 세탁시간이 종료되면(단계(S26)에서 "예", 또는 단계(S29)에서 "예"), 세탁행정이 종료된다(단계(S30)).
이와 같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구동과, 제2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구동을 번갈아 실행하도록 했으므로, 제1 구동시한에서의 회전수류에 의한 세정 및 샤워 수류에 의한 누름세탁이라는 세정 효과와, 제2 구동시한에서의 샤워 수류를 강하게 쏟아내림에 의한 세정 효과와의 조합에 의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칸막이판(38) 위에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는 의류(W)를, 효과적으로 세탁할 수 있다.
또한 그 때, 제1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구동시간(24초)보다도, 제2 구동시한에서의 상기 교반체(6)의 구동시간(96초)쪽을 길게 했으므로, 제1 구동시한을 너무 길게 한 경우에 발생하는, 거품이 지나치게 생성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양쪽의 조합에 의한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제1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구동패턴(모터(7)의 통전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제1 구동시한(도 4)과는 다음의 점이 다르다. 즉, 상기 제3 실시형태의 제1 구동시한에서는 교반체(6)의, 10초간 정회전, 3초간 오프, 10초간 역회전, 3초간 오프를 반복하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최고 회전수(소정 회전수)는 예를 들어 165rpm으로 높아져 있고, 또한 오프 상태로부터 소정 회전수까지의 가속에 약 1초간, 소정 회전수부터 오프까지의 감속에 약 1초간 걸리게 되어 있다.
즉, 교반체(6)의 소정 회전수까지의 가속 및 감속이,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급격하게 실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구동시한에서 교반체(6)를 구동함으로써, 교반체(6)의 회전수가 단숨에 올라가므로(및 내려가므로), 강한 샤워 수류를 얻을 수 있다. 이 결과, 칸막이판(38) 위의 의류(W) 중, 샤워 수류가 가해지는 부분에서의 세정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2는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칸막이판(51)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칸막이판(38)과는 다음의 점이 다르다. 즉, 상기 칸막이판(51)은 전체로서 거의 원형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외주부에 위치하고, 비교적 큰 복수개의 원형의 통수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칸막이판(51)의 상면의 각 통수구멍(52) 부분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의 세탁수의 통과(화살표 C)는 허용하고,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의 세탁수의 통과를 규제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53)가 설치된다.
상기 역류방지밸브(53)는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통수구멍(52)의 상면을 막도록, 메시(54)를 배치하고 또한 그 메시(54)의 상면을 따르도록 박판 형상의 고무판(55)을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들 메시(54) 및 고무판(55)은 통수구멍(52)보다 직경이 큰 원판 형상을 이루고, 그 외주부가 통수구멍(52)의 상면 둘레 가장자리부에 고정(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의 (a)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판(55)에는 세탁수의 수압으로 상방으로 개방되는 절개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으로 교반체(6)의 구동에 의해 생성되는 수류가 칸막이판(51)의 하면측의 외주부에서 수압에 의해 역류방지밸브(53)를 개방시키면서 화살표 C방향으로 통수구멍(52)을 통과하고, 칸막이판(51)의 상면측으로 상승하여, 회전수류가 생성된다. 이 때, 칸막이판(51)의 상면측의 세탁수는 역류방지밸브(53)의 작용에 의해 하방으로 흐르기 어려워져, 장시간에 걸쳐 칸막이판(51) 위에 고이게 된다. 이와 같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의류(W)가 칸막이판(51) 위에서 세탁수에 접촉되고 있는 시간이 길어져, 세정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3은 제5 실시형태에 관한 3종류의 칸막이판을 도시한 것으로, 통수구멍의 형상 등이 다른 3종류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3의 (a)에 도시한 칸막이판(61)은 전체적으로 대략 원형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외주부에 위치하고 비교적 큰 복수개(12개)의 원형의 통구수멍(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의 (b)에 도시한 칸막이판(63)은 전체적으로 대략 원형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외주부에 위치하고 원주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도록 연장되는 복수개(6개)의 긴 구멍 형상의 통수구멍(6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의 (c)에 도시한 칸막이판(65)은 전체적으로 대략 원형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외주부에 위치하고 비교적 큰 복수개(12개)의 원형의 제1 통수구멍(62)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중앙부(내주부)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슬릿 형상의 제2 통수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의 칸막이판(61, 63, 65)에 의해서도 상면 외주측에서 회전수류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내주측에서 세탁수를 모아 둘 수 있어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다음과 같은 변형, 확장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칸막이판(38)의 하방의 소정 수위에서 일단 급수를 정지하고, 제2 구동시한에서의 교반체(6)의 구동을 실시하도록 했지만, 델리케이트 코스의 세탁운전의 개시시에, 세탁조(5) 내의 설정수위까지의 급수 도중에 제2 구동시한에서 교반체(6)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세제를 빠르게 녹일 수 있어, 빠르게 세탁수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에어 바이팅 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나, 수위 센서(13)에 의해 물이 없다고 판단되는 문제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세탁조(5)의 둘레벽부 중, 칸막이판(38)의 장착위치보다 하방, 및 칸막이판(38)의 장착위치의 바로 상부의 영역(높이(H)이하의 영역)에는 탈수구멍(34)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으로 했지만, 탈수구멍(34)을 다른 영역보다 적게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에 의해서도 칸막이판(38)의 하방의 세탁수가 탈수구멍(34)을 통하여 세탁조(5)의 외주측으로 빠져 나가기 어려워지고, 또한 칸막이판(38) 위에 고인 세탁수가 탈수구멍(34)을 통하여 세탁조(5)의 외주측으로 빠져나가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칸막이판의 형상이나 구조, 재질 등에 대해서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둘로 접는 방식이 아니고 1매의 원형의 판으로 구성해도 좋고, 추를 설치하는 대신 칸막이판을 세탁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제1 구동시한이나 제2 구동시한에서의, 통전패턴, 온·오프의 시간(주기)이나, 회전수, 가속, 감속의 정도 등에 대해서도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그 밖에, 세탁기의 구조에 대해서도 통수로를 2군데 또는 1군데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은 등,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중, "1"은 세탁기, "5"는 세탁조, "6"은 교반체, "7"은 모터, "13"은 수위 센서, "20"은 급수밸브(급수제어수단), "26"은 조작 패널, "27"은 제어장치(제어수단), "33"은 얹음부, "34"는 탈수구멍, "35"는 펌프실, "36"은 펌프 날개, "37"은 통수로, "38, 51, 61, 63, 65"는 칸막이판, "39, 52, 62, 64, 66"은 통수구멍, "53"은 역류방지밸브, "W"는 의류를 나타낸다.
(3) 칸막이체
제1~제3 실시형태에 사용한 칸막이판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용 칸막이체는, 내저부에 교반체가 설치된 세탁조의 내부에, 교반체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거의 수평 형상으로 배치된다. 세탁기용 칸막이체는 2개의 판 형상 부재를 연결부를 통하여 둘로 접이가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의 칸막이체 본체와, 상기 칸막이체 본체를 둘로 접은 상태에서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둘로 접은 상태의 상기 칸막이체 본체를 평탄면 위에 자립시키는 자립용 접지부를 구비한다.
이하, 복수의 실시형태에 의한 세탁기용 칸막이체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6 실시형태)
세탁기용 칸막이체(38)(도 2의 칸막이판(38))은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으로서는 거의 원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세탁기용 칸막이체(38)의 칸막이체 본체(칸막이판 본체)(31)는 도 14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판 형상 부재(72)를 연결부(73)를 통하여 둘로 접이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판 형상 부재(72)는 반원 형상의 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각각의 현(弦)에 상당하는 측의 부분이 연결부(7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 판 형상 부재(72)에서 현에 상당하는 측의 이면측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편(74)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각 연결편(74)의 기단부는 판 형상 부재(72)의 이면측에 설치된 리브(rib)(75)에 연결되어 있다. 각 리브(75)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연결편(74)은 2개의 판 형상 부재(72)에 있어서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결편(74)에는 현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축(76)이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연결축(76)에 의해 각 연결편(74), 더 나아가서는 2개의 판 형상 부재(72)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결축(76)은 금속제, 예를 들어 스텐레스제이다. 복수의 연결편(74)과 연결축(76)에 의해 2개의 판 형상 부재(72)를 둘로 접이가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73)를 구성하고 있다. 칸막이체 본체(71)를 이면측으로 둘로 접은 상태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연결편(74)의 한면에 자립용 접지부(74A)가 외측을 향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각 자립용 접지부(74A)는 거의 동일한 높이의 면이 되어 있다. 칸막이체 본체(71)는 하면측이 되는 이면측으로 둘로 접이가 가능하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판 형상 부재(72)의 현측의 끝부분에 계단부(72a)가 설치되고, 다른쪽 판 형상 부재(72)의 현측의 끝부분에는 접촉부(72b)가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체 본체(71)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한쪽의 판 형상 부재(72)의 계단부(段部)(72a)에, 다른 쪽 판 형상 부재(72)의 접촉부(72b)가 접촉됨으로써, 상면측으로는 접어 포개어지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1 참조). 칸막이체 본체(71)를 둘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자립용 접지부(74A)는 칸막이체 본체(71)의 외주부에 위치하고 있다(도 18 참조).
각 판 형상 부재(72)의 이면측에서 칸막이체 본체(71)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직사각형 용기 형상의 추 수용부(77)가 설치되어 있고, 이 추 수용부(77) 내에 추(78)(도 20 참조)가 수용되어 있다. 추 수용부(77)의 하면 개구부는 덮개(79)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덮개(79)는 나사(80)에 의해 나사 고정되어 있다. 추(78)는 이 경우, 복수 매의 금속판, 예를 들어 스텐레스 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편(74) 중, 추 수용부(77)의 근처의 연결편(74)은 기단부가 추 수용부(77)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각 판 형상 부재(72)의 이면측에서 추 수용부(77)의 주위에는 복수의 리브(81)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판 형상 부재(72)의 이면측에서 직경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반원 형상의 리브(82)가 설치되어 있다. 반원 형상의 리브(82)는 리브(81)의 선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반원 형상의 리브(82)의 둘레방향의 중간부에는 걸어맞춤조(83)가 2개씩 설치되어 있다. 리브(81)와 리브(82)의 높이는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각 걸어맞춤조(83)는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칸막이체 본체(71)를 이면측(하면측)에 둘로 접은 상태에서는 대응하는 리브(81)끼리, 및 리브(82)끼리 접촉되고 또한 대응하는 걸어맞춤조(83)끼리 걸어맞춤으로써 둘로 접은 상태가 유지된다(도 20 참조). 걸어맞춤조(83)는 칸막이체 본체(71)를 둘로 접은 상태로 유지하는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리브(81, 82)는 칸막이체 본체(71)를 둘로 접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접촉수단을 구성한다.
각 판 형상 부재(72)의 이면측에서 반원 형상의 리브(82)의 외측에도 상기 리브(82)보다 높이가 낮은 리브(84)가 방사상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각 판 형상 부재(72)의 이면측에서의 외주부에는 다리부(38a)가 복수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각 다리부(38a)는 이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체 본체(71)를 회전조(세탁조)(5) 내에 배치할 때, 그 다리부(38a)가 회전조(5) 내에 설치된 계단 형상의 받침부(86)에 수용되어 지지된다. 칸막이체 본체(71)를 이면측으로 둘로 접은 상태에서는 도 14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다리부(38a)끼리는 둘레방향으로 약간 어긋나 있다.
칸막이체 본체(71)에서의 외주부에는 위치 결정용 절개부(87, 8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87,88)는 통수로(37)에 대응하여 3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이 중 한군데의 절개부(88)는 2개의 판 형상 부재(72)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칸막이체 본체(71)를 이면측에 둘로 접은 상태에서 3개의 절개부(87, 88)는 칸막이체 본체(71)의 외주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중, 2개의 판 형상 부재(72)에 걸쳐 위치하는 절개부(88)는 후술한 바와 같이 자립용 접지부로서도 기능한다. 2개의 판 형상 부재(72)의 외주부 근처에는 각각 3개의 원형의 구멍으로 이루어진 파지부(38b)(도 2의 구멍(38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38b)의 구멍은 사람의 손가락이 들어가는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2개의 판 형상 부재(72)에는 통수용 구멍(39)(도 2의 통수구멍(39))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39)은 칸막이체 본체(71)의 거의 중앙부에는 적은 편이고, 직경 방향의 중간부부터 외주부에 걸쳐 점차 많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멍(39)의 개구 면적도, 칸막이체 본체(71)의 거의 중앙부에는 작은 편이고, 직경방향의 중간부부터 외주부에 걸쳐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판 형상 부재(72)의 표면에는, 칸막이체 본체(71)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이 면이 「표면측」인 것을 표시하는 표시부(92)가 문자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2개의 판 형상 부재(72)의 이면에서 상기 추 수용부(77)의 덮개(79)의 하면에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면이 「이면측」인 것을 표시하는 표시부(93)가 문자로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칸막이체 본체(71)를 구성하는 2매의 판 형상 부재(72)는 수지 중에서도 내열성이 높다고 되어 있는 재질, 예를 들어 탈크가 들어간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를 대신하여 유리 섬유가 들어간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해도 좋다.
한편, 세탁기용 칸막이체(38)를 사용하지 않고 이를 보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관하는 경우에는 칸막이체 본체(71)를, 이 이면측을 향하여 둘로 접는다(도 18 내지 도 21 참조). 이에 의해, 각 연결편(74)의 자립용 접지부(74A)가 외측을 향하여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대향하는 판 형상 부재(72)의 이면측의 리브(81)끼리, 및 리브(82)끼리 접촉되고 또한 추 수용부(77)의 덮개(79)끼리 접촉하며, 또한 대응하는 걸어맞춤조(83)끼리 걸어 맞추어지게 된다(도 20 참조). 이에 의해, 2매의 판 형상 부재(72)끼리 대향한 상태에서 둘로 접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2매의 판 형상 부재(72)간의 외주부에는 도 14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큰 간극(9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판 형상 부재(72)간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2매의 판 형상 부재(72)에서 대향하는 위치의 다리부(38a)(도 2의 다리부(38a))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어긋나 있으므로, 그 다리부(38a)간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둘로 접은 칸막이체 본체(71)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립용 접지부(74A)를 평탄면(99) 위에 둠으로써, 세로방향으로 안정된 상태로 자립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칸막이체 본체(71)의 중앙부에 추(78)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그 추(78)는 둘로 접은 칸막이체 본체(71)의 하부 중앙부에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추(78)를 포함한 칸막이체 본체(71)의 중심은 자립용 접지부(74A) 위에 작용하게 되어 칸막이체 본체(71)를 한층 안정된 상태에서 자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둘로 접은 칸막이체 본체(71)는 절개부(88)를 평탄면(99) 위에 두는 것이어도 세로방향으로 안정된 상태로 자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그 절개부(88)는 자립용 접지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경우에도 추(78)의 중심은 하방이 되는 절개부(88) 부분에 작용하게 되므로, 칸막이체 본체(71)를 한층 안정된 상태로 자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세탁기용 칸막이체(38)에서 칸막이체 본체(71)는 연결부(73)를 통하여 둘로 접이가 가능하고, 상기 칸막이체 본체(71)를 둘로 접은 상태에서의 외주부에, 둘로 접은 상태의 칸막이체 본체(71)를 평탄면(99) 위에 자립시키는 자립용 접지부(74A) 또는 절개부(88)를 설치한 구성으로 했다. 이에 의해, 둘로 접은 칸막이체 본체(71)를 안정된 상태로 자립시킬 수 있고, 비교적 작은 공간으로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칸막이체 본체(71)는 추(78)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칸막이체 본체(71)를 회전조(5) 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칸막이체 본체(71)가 부상하거나, 부주의로 움직이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회전조(5) 내에 안정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체 본체(71)와 회전조(5)의 사이에, 칸막이체 본체(71)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구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칸막이체 본체(71)는 회전조(5)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하면측에 둘로 접이가 가능하고 상면측으로는 둘로 접이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칸막이체 본체(71)를 회전조(5) 내로 설치한 상태에서, 칸막이체 본체(71)에 세탁물 등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하중을 받았다고 해도, 그 하중은 칸막이체 본체(71)를 접어 포개는 방향과는 역방향의 하중이므로, 칸막이체 본체(71)는 그 하중을 확실히 받아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칸막이체 본체(71)가 사용시에 상방을 향하여 접어 포개져 회전조(5) 내에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추(78)는 칸막이체 본체(71)의 거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칸막이체 본체(71)를 둘로 접은 상태에서 자립용 접지부(74A) 또는 절개부(88)에서 자립시킨 상태에서, 칸막이체 본체(71)의 중심이 그 자립용 접지부(74A) 또는 절개부(88)에 작용하게 되므로, 칸막이체 본체(71)를 한층 안정된 상태에서 자립시킬 수 있다. 또한, 추(78)를 칸막이체 본체(71)의 거의 중앙부에 배치함으로써 칸막이체 본체(71)에 형성하는 통수용 구멍(39)을, 중앙부에는 적고, 외주부에는 많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칸막이체 본체(71)는 회전조(5)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하면측으로 둘로 접이가 가능하고 2개의 판 형상 부재(72)의 하면에, 서로 걸어 맞추어 둘로 접은 상태를 유지하는 걸어맞춤조(83)를 설치했다. 이 구성에 의해 둘로 접은 칸막이체 본체(71)가 부주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운반성이나 보관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둘로 접이가 가능한 칸막이체 본체(71)는 2개의 판 형상 부재(72)의 이면(하면)으로 둘로 접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접촉 수단으로서 리브(81, 82)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리브(81, 82)는 판 형상 부재(72)의 외주부 이외, 본 실시형태에서는 칸막이체 본체(71)의 중앙부 근처에 존재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접어 포개어진 2개의 판 형상 부재(72)간에는 외주부측에 간극(98)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칸막이체 본체(71)의 운반시에, 칸막이체 본체(71)가 부주의로 접어 포개어진 경우에도 판 형상 부재(72)의 외주부에 손가락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판 형상 부재(72)의 이면의 외주부에 다리부(38a)를 설치하고 있지만, 2개의 판 형상 부재(72)를 접어 포개었을 때, 그 다리부(38a)가 둘레방향으로 어긋나도록 배치하고 있으므로, 칸막이체 본체(71)의 운반시에, 칸막이체 본체(71)가 부주의로 접어 포개어진 경우에도 그 다리부(38a)에 손가락 등이 끼이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칸막이체 본체(71)를 구성하는 2매의 판 형상 부재(72))는 수지 중에서도 내열성이 높다고 되어 있는 재질, 예를 들어 탈크가 들어간 폴리프로필렌, 또는 유리 섬유가 들어가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세탁기가 건조 기능을 구비한 구성의 것에서는 건조운전시에도 칸막이체 본체(71)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7 실시형태)
도 22는 제7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7 실시형태에서는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칸막이체 본체(71)를 구성하는 2매의 판 형상 부재(72)의 이면측에서 추 수용부(101)를, 연결부(73)의 근방에서, 또한 외주부 근처에도 설치하고, 상기 추 수용부(101)내에도 도시하지는 않지만 추를 설치하고 있다. 추 수용부(101)도 덮개(102)를 나사 고정하고 있다. 중앙부의 추 수용부(77)에는 추(78)를 설치해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서도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면 중, "38"은 세탁기용 칸막이체, "71"은 칸막이체 본체, "72"는 판 형상 부재, "73"은 연결부, "74"는 연결편, "74A"는 자립용 접지부, "76"은 연결축, "77"은 추 수용부, "78"은 추, "81, 82"는 리브(접촉수단), "83"은 걸어맞춤조(걸어맞춤수단), "38a"는 다리부, "87"은 절개부, "88"은 절개부(자립용 접지부), "38b"는 파지부, "39"는 구멍, "98"은 간극, "99"는 평탄면, "101"은 추 수용부를 나타낸다.
이상, 몇 가지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이 이루질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세탁기 5: 세탁조
6: 교반체 7: 모터
13: 수위 센서 20: 급수밸브(급수제어수단)
26: 조작 패널 27: 제어장치(제어수단)
33: 얹음부 34: 탈수구멍
35: 펌프실 36: 펌프 날개
37: 통수로 38, 51, 61, 63, 65: 칸막이판
38a: 다리부 38b: 파지부
39, 52, 62, 64, 66: 통수구멍 53: 역류방지밸브
W: 의류 71: 칸막이체 본체
72: 판 형상 부재 73: 연결부
74: 연결편 74A: 자립용 접지부
76: 연결축 77: 추 수용부
78: 추 81, 82: 리브(접촉수단)
83: 걸어맞춤조(걸어맞춤수단) 87: 절개부
88: 절개부(자립용 접지부) 98: 간극
99: 평탄면 101: 추 수용부

Claims (18)

  1. 내저부에 교반체를 설치한 종축형 세탁조,
    상기 교반체의 이면에 펌프 날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세탁조의 저부에 형성된 펌프실,
    상기 세탁조의 측벽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펌프실로부터의 세탁수를 양수하여 토출구로부터 상기 세탁조 내에 살수하는 통수로,
    상기 교반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외주부에 세탁수가 통과하는 통수구멍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탁조 내에 상기 교반체의 상방 및 상기 토출구의 하방에 위치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칸막이판을 구비하며,
    상기 세탁조 내에 장착된 상기 칸막이판 위에 의류를 얹어 세탁을 실시하는 델리케이트 코스의 실행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델리케이트 코스에서, 상기 칸막이판보다 높은 수위에서는 상기 교반체의 정회전, 역회전의 반복주기 내에서의 온 시간을 상기 칸막이판을 이용하지 않는 표준 코스보다 길게 한 제1 구동시한에서 상기 교반체를 구동시키고, 상기 칸막이판보다 낮은 수위에서는 상기 교반체의 정회전, 역회전의 반복주기 내에서의 온 시간을 상기 제1 구동시한보다 짧게 한 제 2 구동시한에서 상기 교반체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 구동시한 및 제 2 구동시한에서의 상기 교반체의 구동시에, 상기 펌프 날개에 의해 양수된 세탁수가 상기 토출구로부터 살수되는, 세탁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 내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델리케이트 코스에서 상기 급수제어수단은 설정수위보다 낮고 또한 상기 칸막이판보다 낮은 소정 수위에서 급수를 일단 정지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소정 수위까지 급수된 상태에서 상기 교반체를 일정 시간 구동시키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델리케이트 코스에서 상기 제1 구동시한에서의 상기 교반체의 구동과, 상기 교반체의 정회전, 역회전의 반복주기 내에서의 온 시간을 상기 제1 구동시한보다 짧게 한 제2 구동시한에서의 상기 교반체의 구동의 쌍방을 실행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델리케이트 코스에서 상기 제1 구동시한에서의 상기 교반체의 구동과, 상기 제2 구동시한에서의 상기 교반체의 구동을 번갈아 실행하는, 세탁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시한에서의 상기 교반체의 계속구동시간보다도, 상기 제2 구동시한에서의 상기 교반체의 계속구동시간을 길게 하는, 세탁기.
  7. 내저부에 교반체를 설치한 종축형 세탁조,
    상기 교반체의 이면에 펌프 날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세탁조의 저부에 형성된 펌프실,
    상기 세탁조의 측벽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펌프실로부터의 세탁수를 양수하여 토출구로부터 상기 세탁조 내에 살수하는 통수로,
    상기 교반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외주부에 세탁수가 통과하는 통수구멍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탁조 내에 상기 교반체의 상방 및 상기 토출구의 하방에 위치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칸막이판을 구비하며,
    상기 세탁조 내에 장착된 상기 칸막이판 위에 의류를 얹어 세탁을 실시하는 델리케이트 코스의 실행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델리케이트 코스에서 상기 교반체의 정회전, 역회전의 반복주기 내에서의 온 시간을, 상기 칸막이판을 이용하지 않는 표준 코스보다 길게 한 제1 구동시한에서 상기 교반체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 구동시한에서는 상기 교반체의 소정 회전수까지의 가속 및 감속이, 상기 칸막이판을 이용하지 않는 표준 코스에서의 상기 교반체의 가속 및 감속보다 완만해지도록 제어되는, 세탁기.
  8. 내저부에 교반체를 설치한 종축형 세탁조,
    상기 교반체의 이면에 펌프 날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세탁조의 저부에 형성된 펌프실,
    상기 세탁조의 측벽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펌프실로부터의 세탁수를 양수하여 토출구로부터 상기 세탁조 내에 살수하는 통수로,
    상기 교반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외주부에 세탁수가 통과하는 통수구멍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탁조 내에 상기 교반체의 상방 및 상기 토출구의 하방에 위치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칸막이판을 구비하며,
    상기 세탁조 내에 장착된 상기 칸막이판 위에 의류를 얹어 세탁을 실시하는 델리케이트 코스의 실행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델리케이트 코스에서 상기 교반체의 정회전, 역회전의 반복주기 내에서의 온 시간을, 상기 칸막이판을 이용하지 않는 표준 코스보다 길게 한 제1 구동시한에서 상기 교반체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델리케이트 코스의 세탁운전의 개시시에, 상기 세탁조 내의 설정수위까지의 급수 도중에 상기 교반체의 정회전, 역회전의 반복주기 내에서의 온 시간을, 상기 제1 구동시한보다 짧게 한 제2 구동시한에서 상기 교반체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2 구동시한에서는 상기 교반체의 소정 회전수까지의 가속 및 감속이, 상기 제1 구동시한에서의 상기 교반체의 가속 및 감속보다 급격해지도록 제어되는, 세탁기.
  9. 내저부에 교반체를 설치한 종축형 세탁조,
    상기 교반체의 이면에 펌프 날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세탁조의 저부에 형성된 펌프실,
    상기 세탁조의 측벽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펌프실로부터의 세탁수를 양수하여 토출구로부터 상기 세탁조 내에 살수하는 통수로,
    상기 교반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외주부에 세탁수가 통과하는 통수구멍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탁조 내에 상기 교반체의 상방 및 상기 토출구의 하방에 위치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칸막이판을 구비하며,
    상기 세탁조 내에 장착된 상기 칸막이판 위에 의류를 얹어 세탁을 실시하는 델리케이트 코스의 실행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델리케이트 코스에서 상기 교반체의 정회전, 역회전의 반복주기 내에서의 온 시간을, 상기 칸막이판을 이용하지 않는 표준 코스보다 길게 한 제1 구동시한에서 상기 교반체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델리케이트 코스의 세탁운전의 개시시에, 상기 세탁조 내의 설정수위까지의 급수 도중에 상기 교반체의 정회전, 역회전의 반복주기 내에서의 온 시간을, 상기 제1 구동시한보다 짧게 한 제2 구동시한에서 상기 교반체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2 구동시한에서는 상기 교반체의 소정 회전수가 상기 제1 구동시한에서의 회전수보다 높게 설정되는, 세탁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시한의 주기는 상기 제1 구동시한의 주기보다 짧게 설정되는 세탁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둘레벽부에 다수의 탈수구멍을 갖고,
    상기 세탁조의 둘레벽부 중, 상기 칸막이판의 장착위치보다 하방에는 상기 탈수구멍을 형성하지 않거나 다른 영역보다 적게 형성되어 있는, 세탁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둘레벽부에, 다수개의 탈수구멍을 갖고,
    상기 세탁조의 둘레벽부 중, 상기 칸막이판의 장착 위치의 바로 상부에는 상기 탈수구멍을 형성하지 않은 영역, 또는 다른 영역보다 적게 형성된 영역이 설치되어 있는, 세탁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은,
    2개의 판 형상 부재를 연결부를 통하여 둘로 접이가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의 칸막이체 본체와,
    상기 칸막이체 본체를 둘로 접은 상태에서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둘로 접은 상태의 상기 칸막이체 본체를 평탄면 위에 자립시키는 자립용 접지부를 구비한,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칸막이판에 추를 구비한, 세탁기.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체 본체는 상기 세탁조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하면측으로 둘로 접이가 가능하고, 상면측으로는 둘로 접이가 불가능한, 세탁기.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추는 상기 칸막이체 본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세탁기.
  17.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체 본체는 상기 세탁조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하면측으로 둘로 접이가 가능하고, 상기 2개의 판 형상 부재의 하면에, 서로 걸어 맞추어 둘로 접은 상태를 유지하는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세탁기.
  18.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체 본체는 상기 세탁조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하면측으로 둘로 접이가 가능하고, 상기 2개의 판 형상 부재의 하면에, 둘로 접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접촉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접촉수단은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외주부 이외에 존재하고 있는, 세탁기.
KR1020140072014A 2013-06-21 2014-06-13 세탁기 KR101724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0555A JP6157948B2 (ja) 2013-06-21 2013-06-21 洗濯機
JPJP-P-2013-130556 2013-06-21
JP2013130556A JP6157949B2 (ja) 2013-06-21 2013-06-21 洗濯機用仕切体および洗濯機
JPJP-P-2013-130555 2013-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307A KR20140148307A (ko) 2014-12-31
KR101724181B1 true KR101724181B1 (ko) 2017-04-18

Family

ID=5222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014A KR101724181B1 (ko) 2013-06-21 2014-06-13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24181B1 (ko)
CN (1) CN104233692B (ko)
TW (1) TWI5487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7694A (ja) * 2014-09-30 2016-05-09 アクア株式会社 洗濯機
JP6522385B2 (ja) * 2015-03-25 2019-05-29 アクア株式会社 洗濯機
CN106436195B (zh) * 2016-10-31 2018-12-2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CN109996915B (zh) * 2017-02-24 2022-04-1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洗衣机及其控制装置
CN111910386A (zh) * 2019-05-08 2020-11-10 松下家电(中国)有限公司 带压洗功能的洗衣机
JP7394281B2 (ja) * 2019-07-10 2023-1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器具、及びそれを備えた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4887A (ja) * 1994-09-19 1996-04-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H08103593A (ja) * 1994-10-06 1996-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KR100192413B1 (ko) * 1996-03-07 1999-06-15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의 분리 세탁장치
KR100192253B1 (ko) * 1996-05-28 1999-06-15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의 분리 세탁장치
CN1916265A (zh) * 2006-08-30 2007-02-21 石宝华 多用途洗衣机
JP5495202B2 (ja) * 2009-05-26 2014-05-21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EP2663682B1 (en) * 2011-01-14 2022-03-02 LG Electronics Inc. Operating method for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48793B (zh) 2016-09-11
CN104233692B (zh) 2017-04-12
CN104233692A (zh) 2014-12-24
KR20140148307A (ko) 2014-12-31
TW201522741A (zh) 201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181B1 (ko) 세탁기
JP5142838B2 (ja) 洗濯機
KR100841833B1 (ko) 드럼식 세탁기와 그것을 이용한 세탁 방법
BR102017006196A2 (pt) Conjunto de agitador com escova de esfregar para um aparelho de tratamento de tecidos
KR101597527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JP5608603B2 (ja) 洗濯機
JP2010046125A (ja) 洗濯機
EP3663456B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spray arm assembly
JP5719955B2 (ja) 洗濯機
JP6388371B2 (ja) 洗濯機及び仕切板
KR102141562B1 (ko) 스팀생성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JP6437740B2 (ja) 洗濯機
JP2018157958A (ja) 洗濯機
JP6831717B2 (ja) 洗濯機
KR102533498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5555616B2 (ja) 洗濯機
JP2017018467A (ja) 洗濯機
JP6157948B2 (ja) 洗濯機
JP6072506B2 (ja) 洗濯機
JP2009273764A (ja) 洗濯機
JP5802822B2 (ja) 洗濯機
CN110050094A (zh) 洗衣机的控制方法
RU2458193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JP5982596B2 (ja) 洗濯機
JP6082647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