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13157B1 - 횡단보도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157B1
KR101713157B1 KR1020150114243A KR20150114243A KR101713157B1 KR 101713157 B1 KR101713157 B1 KR 101713157B1 KR 1020150114243 A KR1020150114243 A KR 1020150114243A KR 20150114243 A KR20150114243 A KR 20150114243A KR 101713157 B1 KR101713157 B1 KR 101713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walk
display device
pedestrian
groove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841A (ko
Inventor
유덕기
Original Assignee
유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덕기 filed Critical 유덕기
Priority to KR102015011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1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1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37/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횡단보도의 영역 도로경계석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표시장치; 신호등에 연결되어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시 상기 표시장치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신호등과 연계되며 도로경계석에 설치되는 표시장치를 통해 보행자 신호시 횡단보도 상에 조명이 비춰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교통안전을 위한 주의, 시각적인 효과 및 경각심을 극대화시켜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횡단보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횡단보도 표시장치{MARKING APPARATUS FOR THE CROSSROAD LINE}
본 발명은 횡단보도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등과 연계되어 보행자 신호시, 횡단보도 영역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주행중인 운전자에게 보행신호 및 보행자의 횡단 여부를 인식시켜 줌으로써 교통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구성되는 횡단보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행도로 상에 보행자가 도로를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도록 횡단보도가 설치되어 있고, 야간에는 횡단보도가 있음을 알리기 위하여 주의 신호등을 켜거나, 횡단보도를 조명하여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가 있음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 중에는 횡단보도를 통과 중인 보행자가 없으면,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정지신호를 무시하고 횡단보도를 주행하는 사람이 존재하며, 이러한 운전자는 특히 이른 새벽이나 늦은 밤과 같이 인적이 드문 시간에 더욱 늘어나게 된다. 그런데 횡단보도 중에는 주변에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어두운 곳이 있으며, 이런 곳에서는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통과 중인 보행자를 쉽게 파악하기 힘들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정지신호를 무시하고 횡단보도를 주행하게 되면,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될 위험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횡단보도 주변에는 적절한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통과중인 보행자가 운전자에게 쉽게 인식되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가로등과 같은 별도의 조명장치를 신호등 주위마다 설치하는 것은 경제적인 부담이 크므로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차량용 신호등의 등주의 상단에 도로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신호등 설치대에 횡단보도를 조명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신호등 설치대에 조명장치를 설치할 경우, 조명장치에서 발생되는 빛으로 인해 신호등의 빛이 희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신호등 설치대에 조명장치를 부가하여 설치할 경우, 조명장치의 자체 하중에 의해 이를 지지하는 가로대 및 지주가 꺽이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신호등은 통상적으로 안전선(또는 정지선) 부근에 설치되기 때문에, 횡단보도에 인접하게 설치된 안전선에 정차한 차량의 운전자 경우, 차량용 신호등에 설치된 신호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도로 양쪽의 보도에 설치되는 횡단보호용 신호등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도로의 폭이 넓고 자신의 차량에 이웃하는 차량이 횡단보도용 신호등까지 가릴 경우, 운전자는 자신이 직접 보행자 신호에서 차량 신호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주위의 차량의 움직임 여부를 주시해야 함으로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595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신호등과 연계되어 보행자 신호시 횡단보도 상에 조명을 비춤으로써 운전자에게 보행자 신호를 인식시켜주고 또한 보행자의 횡단 여부를 알려줌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하도록 구성되는 횡단보도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표시장치는 횡단보도의 영역 도로경계석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표시장치; 신호등에 연결되어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시 상기 표시장치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표시장치는 도로경계석에 결합되는 프레임부; 구비되는 LED램프가 횡단보도를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구성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제 1영역 및 제 2영역으로 구분되는 프레임몸체; 상기 제 1영역에 형성되어 도로경계석과 끼움 구조로 결합되는 제 1홈부; 상기 제 2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LED부가 안치되며 상단부 양측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제 2홈부; 상기 제 2홈부의 일측에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 1표시창; 상기 제 2홈부를 마감하는 것으로 상기 끼움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조명부는 복수의 LED유닛이 상호 힌지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의 제 1표시창이 형성된 면에 경사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경사부재는 그 상부면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횡단보도를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본체; 상기 제 1표시창을 통해 조사되는 빛이 상기 본체를 통과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본체의 경사진 상부면에 상기 관통공을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 2표시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표시장치는 신호등과 연계되며 도로경계석에 설치되는 표시장치를 통해 보행자 신호시 횡단보도 영역에 조명이 비춰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교통안전을 위한 주의, 시각적인 효과 및 경각심을 극대화시켜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표시장치가 횡단보도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
도 3은 도 2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조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표시장치에 경사부재가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표시장치에 태양열집열판이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표시장치가 횡단보도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조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표시장치에 경사부재가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표시장치에 태양열집열판이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등과 연계되어 특히 야간에 보행자 신호시, 횡단보도 영역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주행중인 운전자에게 보행신호 및 보행자의 보행 여부를 인식시켜 줌으로써 교통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구성되는 횡단보도 표시장치(10)에 관한 것으로, 표시장치(10) 및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장치(10)는 횡단보도 영역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2)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행자 신호시, 횡단보도를 향해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표시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 및 조명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부(100)는 도로경계석(2)에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조명부(110)는 상기 프레임에 구성되되, 구비되는 LED램프(112)의 조사각이 횡단보도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는 보행자 신호등(1)에 연결되는 것으로 보행자 신호의 점등시(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시) 상기 표시장치(10)의 조명부(110)를 점등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0)는 도시된 바는 없으나 조도센서(미도시) 또는 타이머(미도시) 중 하나 이상과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조도센서의 센싱을 통해 또는 타이머의 설정시간에 따른 야간에 상기 조명가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LED의 빛의 색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바, 일례로 보행자 신호의 점등시 횡단보도에 녹색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운전자에게 보행자의 횡단 여부를 확실히 인식시키기 위해 밝은 백색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보행자 신호등(1)의 적색등 점등시 표시장치(10)의 조명부(110)를 소등하여 횡단보도 상에 조명이 비춰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또는 적색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운전자에게 보행자 신호가 적색등임을 인지하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조명부(110)의 LED램프(112)는 점등 및 점멸이 구현 가능토록 구성하여, 일례로 보행자 신호등(1)의 녹색 신호시, 지속적으로 점등되다가 일정시간이 지나 적색 신호가 임박할 때 점멸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뒤늦게 횡단하는 보행자가 신속하게 횡단보도를 벗어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조명부(110)가 도로경계석(2)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진입하여 횡단할 경우 조사되는 빛은 이동중인 보행자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산란하게 되고 또한 보행자에 의해 생성된 그림자가 큰 무브먼트 형태로 표현되므로 운전자에게 교통안전을 위한 주의, 시각적인 효과 및 경각심을 극대화시켜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교통신호만을 제공하는 것보다 더 교통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멸의 일 구성인 프레임부(100)와 조명부(1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0)는 프레임몸체(101), 제 1홈(102)부, 제 2홈(103)부, 제 1표시창(104) 및 마감부재(10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몸체(101)는 단면이 'ㄹ'자의 대칭 형상이 반 시계 방향으로 90°회전된 구조로 일측의 홈구조와 타측의 홈구조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일측의 홈구조가 포함되는 영역을 제 1영역(i)이라 정의하고 이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타측의 홈구조가 포함되는 영역을 제 2영역(ii)이라 정의한다.
상기 제 1홈(102)부는 상기 제 1영역(i)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1홈(102)부의 폭은 도로경계석(2)의 폭과 대응되도록 하여 제 1홈(102)부가 도로경계석(2)에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제 1홈(102)부와 도로경계석(2)은 볼트, 너트 등 종래의 다양한 결합수단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홈(103)부는 상기 제 2영역(ii)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2홈(103)부에는 상기 조명부(110)가 안치되도록 구성되며, 그 상단부 양측에는 끼움홈(105)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하의 마감부재(106)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표시창(104)은 상기 제 2홈(103)부의 일측에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보행자 신호시, 이와 연계된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조명부(110)가 점등하게 되고 이는 제 1표시창(104)을 통해 도로, 즉 횡단보도에 조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마감부재(10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상기 끼움홈(105)과 대응구조인 끼움돌기(107)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05)에 슬라딩 방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마감부재(106)는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로 길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도로경계석(2)에 프레임부(100)가 각각 결합될 때, 도로경계석(2)의 상부면에 기울기가 형성되거나 단차가 있을 경우 복수의 프레임부(100)에 원활하게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 2홈(103)부 내에는 수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조명부(110)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조명부(110)는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LED유닛이 상호 힌지(113)구조로 결합되는 것으로 일 LED유닛의 일단과 타 LED유닛의 타단이 상호 힌지(113)결합되어 상호 꺽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일반적인 도로경계석(2-1)이 횡단보도 영역에 설치된 경우 자전거, 오토바이 및 유모차 등이 도로경계석(2-1)과 도로 간 높이 차에 의해 횡단보도의 횡단시 그 유동이 원활치 아니한바, 도 5에서와 같이 일부구간의 도로경계석(2-2)의 높이를 낮게 시공하여 도로경계석(2-2)의 높이가 도로면과 비슷하게 시공되게 되며, 이때, 일반적인 도로경계석(2-1)보다 높이가 낮게 시공된 도로경계석(2-2) 간 단차를 줄여주기 위하여 그 사이에 배치되는 도로경계석(2-3)의 경우 그 상면을 경사면으로 시공함으로써 시각적 측면이나 안정성 측면에서 완성도를 높이게 되므로, 일반적인 도로경계석(2-1)과 높이가 낮은 도로경계석(2-2) 및 상면을 경사면으로 시공하는 도로경계석(2-3)에 각각 설치된 프레임부(100)의 제 2홈(103)부 상에 상기 조명부(110)가 자유롭게 굴곡되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경사부재(130)가 더 구성되는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경사부재(13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제 1표시창(104)이 형성된 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프레임부(100)와 경사부재(130)간 결합수단으로는 종래의 다양한 결합수단이 적용가능 한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상기 경사부재(130)는 본체(131), 관통공(132) 및 제 2표시창(13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31)는 그 상부면이 상기 프레임부(100)로부터 횡단보도를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되는 바, 이렇게 구성되는 본체(131)에 의해 도로경계석(2)과 도로의 단차가 제거되어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유모차, 자전거 및 오토바이 등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통공(132)은 상기 제 1표시창(104)을 통해 조사되는 빛이 상기 본체(131)를 통과하도록 상기 본체(131)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표시창(133)은 상기 본체(131)의 경사진 상부면에 상기 관통공(132)을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때 제 2표시창(133)은 투명한 재질을 적용하여 제 1표시창(104)을 통해 조사되는 빛이 횡단보도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하, 도 7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표시장치)에 태양열집열판(140)이 적용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태양열집열판(140)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부면에 구성되도록 하여 주간에 에너지를 수집하여 배터리(미도시)에 저장하였다가 야간에 조명부(110)에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체적인 전력수급이 가능하여 에너지 면에서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보행자 신호등 2 : 도로경계석
10 : 표시장치 20 : 제어부
100 : 프레임부 101 : 프레임몸체
102 : 제 1홈 103 : 제 2홈
104 : 제 1표시창 105 : 끼움홈
106 : 마감부재 107 : 끼움돌기
110 : 조명부 111 : LED유닛
112 : LED램프 113 : 힌지
130 : 경사부재

Claims (5)

  1. 횡단보도의 영역에 포함되는 도로경계석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표시장치; 및 신호등에 연결되어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시 상기 표시장치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횡단보도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도로경계석에 결합되는 프레임부; 및 구비되는 LED램프가 횡단보도를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구성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제 1영역 및 제 2영역으로 구분되는 프레임몸체; 상기 제 1영역에 형성되어 도로경계석과 끼움 구조로 결합되는 제 1홈부; 상기 제 2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LED램프가 안치되며 상단부 양측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제 2홈부; 상기 제 2홈부의 일측에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 1표시창; 및 상기 제 2홈부를 마감하는 것으로 상기 끼움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의 제 1표시창이 형성된 면에 경사부재가 결합되어 도로측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경사부재는 그 상부면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도로를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본체; 상기 제 1표시창을 통해 조사되는 빛이 상기 본체를 통과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본체의 경사진 상부면에 상기 관통공을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 2표시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복수의 LED유닛이 상호 힌지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표시장치.






  5. 삭제
KR1020150114243A 2015-08-13 2015-08-13 횡단보도 표시장치 Active KR101713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243A KR101713157B1 (ko) 2015-08-13 2015-08-13 횡단보도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243A KR101713157B1 (ko) 2015-08-13 2015-08-13 횡단보도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841A KR20170019841A (ko) 2017-02-22
KR101713157B1 true KR101713157B1 (ko) 2017-03-07

Family

ID=5831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243A Active KR101713157B1 (ko) 2015-08-13 2015-08-13 횡단보도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032B1 (ko) * 2019-02-01 2019-04-22 주식회사 삼주이앤텍 도로표지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165B1 (ko) 2023-03-09 2024-02-19 주식회사 다옴건설산업 횡단보도용 신호 표시장치
KR102603015B1 (ko) 2023-07-25 2023-11-16 주식회사 호운 전자잉크를 이용한 횡단보도표시장치
KR102707309B1 (ko) 2024-02-05 2024-09-19 주식회사 호운 면발광 도로 표식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8426A (ja) * 2000-10-30 2002-05-14 Kictec Inc 縁石ブロック発光装置
KR200416774Y1 (ko) * 2006-02-22 2006-05-22 최동선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동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경계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439A (ko) * 2007-06-28 2009-01-07 최성규 회전형 엘이디 모듈 스트링
KR101145955B1 (ko) 2011-06-16 2012-05-15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횡단보도 교통 평온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7379A (ko) * 2011-10-06 2013-04-16 박기홍 산책로 경계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8426A (ja) * 2000-10-30 2002-05-14 Kictec Inc 縁石ブロック発光装置
KR200416774Y1 (ko) * 2006-02-22 2006-05-22 최동선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동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경계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032B1 (ko) * 2019-02-01 2019-04-22 주식회사 삼주이앤텍 도로표지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841A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200431068Y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 통행차단용 안전장치
KR20130041430A (ko) Led 조명부를 갖는 횡단보도용 신호등 장치 및 그의 횡단보도 조명 방법
KR101054541B1 (ko) 횡단보도의 신호 조명 컨트롤 장치
KR101713157B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KR102231298B1 (ko) 스마트 횡단보도 등기구
KR101590420B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150051644A (ko) 엘이디 발광 횡단보도
KR102331250B1 (ko) Led 및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교차로 교통안전 경고 시스템
KR101234779B1 (ko)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신호등 구조
KR101140531B1 (ko)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
KR100962309B1 (ko) 횡단보도용 신호등 어셈블리
KR101250868B1 (ko) 횡단보도 조명용 볼라드
KR20100071465A (ko) 지능형 도로 경계석 및 상기 지능형 도로 경계석을 이용한 횡단보도 표시 방법
KR101747127B1 (ko) 가상 보행자 영상이 제공되는 횡단보도의 보행 안전장치
KR101919981B1 (ko) 주간 식별이 용이한 면발광 횡단보도
KR101661964B1 (ko) 차량 신호전용 경보 점멸등을 활용한 횡단보도 신호등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KR101201879B1 (ko)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
KR20190110760A (ko)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101412035B1 (ko) 조명 장치
KR20160089916A (ko) 보행자 경계지시등용 조명기구
KR102089431B1 (ko) 안전 유도장치
KR20170132919A (ko) 횡단 보도의 라인 표시 장치
JP2006265989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