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14901B1 -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901B1
KR101714901B1 KR1020150138308A KR20150138308A KR101714901B1 KR 101714901 B1 KR101714901 B1 KR 101714901B1 KR 1020150138308 A KR1020150138308 A KR 1020150138308A KR 20150138308 A KR20150138308 A KR 20150138308A KR 101714901 B1 KR101714901 B1 KR 10171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film
asphalt
release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하이텍
박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하이텍, 박은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50138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9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시트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HDPE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고무 5~10 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수지 5~10 중량부, 카본블랙 2~8중량부, 아미노실란 2~15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Release film for asphalt sheet and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외부 환경 및 온도에 민감한 아스팔트를 주원료로 하는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학 안정성이 우수하고 인열이 향상되어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며 무기산성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고 용매 저항성이 향상되어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산화 방지와 외부환경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 대한 이형력이 우수한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형필름은 기재 필름상에 실리콘 이형제나 불소 이형제를 얇게 코팅하여 경화시킨 제조물로 디스플레이용 이나 접착 테이프 용으로 많이 사용되어 지는데 피착면에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접착 물질을 접착시키는 필름을 지칭한다.
일반적인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필름의 표면에 대전방지제를 도포하고 대전방지 처리를 한 후 실리콘 이형제나 불소 이형제를 도포하여 열풍 건조나 반응건조 공정을 거쳐 제조되어 진다.
PET 이형필름의 경우는 이형력이나 열변형 등에 대한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신장율, 내한성 및 아스팔트 방수시트와의 상용성이 약하며 내오존성 및 내자외선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가 비중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현재 일부 개선 대책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 용도의 특성에 맞는 이형성능 및 상용성에 대한 대책으로서는 한계가 있고, 개량아스팔트의 특성에 적합한 이형필름 대한 대책으로서는 미흡하여 이에 대한 이형필름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HDPE 이형필름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용이나 접착테이프 용도의 이형필름을 적용하여 생산하고 있으나 아스팔트의 특징인 감온성을 감안하고 내후성 및 이형성능이 우수한 개량아스팔트용 이형필름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49359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3175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이형필름의 단점인 개량아스팔트의 감온성을 고려한 이형성능을 개선하고 신장률이 우수하고 내한성이 향상되어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에 적합한 HDPE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장률 및 인열성능을 향상시킨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과제는 필름의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크릴계열 고무인 아크릴 고무를 첨가하여 가공성능, 내충격성,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키며 내구성을 향상시킨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용 HDPE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스팔트 시트용 이형필름에 있어서, HDPE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고무 10~25 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수지 10~25 중량부, 카본블랙 2~8중량부, 아미노실란 2~15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형필름은 아스팔트 시트 접촉면에 로진산나트륨으로 코팅하여 열풍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형필름은 아스팔트 시트 접촉면의 반대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열풍건조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팔트 시트용 이형필름 제조에 있어서, HDPE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고무 10~25 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수지 10~25 중량부, 카본블랙 2~8중량부, 아미노실란 2~15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혼합물을 170~210℃의 온도로 가열 후 압출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필름형성단계; 상기 필름에서 아스팔트 방수시트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양이온 로진산 나트륨을 코팅하여 열풍 건조하는 대전방지처리단계; 및 아스팔트 방수시트와 접촉되는 반대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80~100℃로 열풍 건조하는 실리콘도포단계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형성단계에서 필름의 두께가 2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형필름은 HDPE 수지를 활용하여 첨가제를 투입 개량아스팔트 감온성을 최소화시켜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변형 및 지속적인 이형성능을 유지시켜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의 물성변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형필름은 HDPE 수지에 POE 수지 등을 첨가함으로 인해, 개량아스팔트 시트와의 상용성이 떨어져 인열성능이 취약한 HDPE 필름과의 상용성을 강화하기 위해 HDPE 수지를 재합성하여 기존의 HDPE 필름에서 부여할 수 없었거나 다소 미흡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인체에 무해하고, 또한 기온에 상관없이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아스팔트 시트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HDPE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고무 5~10 중량부, POE 수지 5~10 중량부, 카본블랙 2~8중량부, 아미노실란 2~15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혼합물을 170~210℃의 온도로 가열하여 압출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필름형성단계; 상기 필름에서 아스팔트 시트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양이온 로진산 나트륨을 코팅하여 열풍 건조하는 대전방지처리단계; 및 아스팔트 시트와 접촉되는 반대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80~100℃로 열풍 건조하는 실리콘도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의 제조공정은 혼합단계, 필름형성단계, 대전방지처리단계 및 실리콘 도포단계로 이루어져 이형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물은 HDPE 수지, 아크릴 고무,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수지, 카본블랙, 아미노실란이 혼합될 수 있으며, 혼합되는 양은 HDPE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고무 10~25 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수지 10~25 중량부, 카본블랙 2~8중량부, 아미노실란 2~15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필름에 상기 HDPE 수지는 파손에 강하여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높은 인열강도를 갖고 있어 외부의 높은 온도로 인해 늘어나거나 하는 성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HDPE 수지의 용융지수는 5~7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블로잉 압출 성형시 용융지수가 5미만으로 낮으면 일정한 두께 성형이 어려우며 용융지수가 7을 초과하면 필름 형성시 성형이 어렵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 고무가 포함되는 데, HDPE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고무 10~2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크릴계열 고무인 아크릴 고무를 첨가함으로써 가공성능, 내충격성,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키며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수지가 포함되는 데, HDPE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수지 10~2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를 첨가함으로써 개량아스팔트 시트와의 상용성이 떨어져 인열성능이 취약한 HDPE 필름과의 상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본블랙이 포함되는 데, HDPE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2~8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본블랙은 충진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형필름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미노실란이 포함되는 데, HDPE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미노실란 2~15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실란은 각 혼합되는 각 수지간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용화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의 제조공정은 혼합단계 이후에 필름형성단계로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형성단계에서는 혼합물을 170~210℃의 온도로 가열 후 압출하여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2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아스팔트 방수시트에 접착시 접착 유지 및 이형필름을 이탈시 잘 이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형성단계 이후에 대전방지처리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필름의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접촉면에 로진산 나트륨으로 코팅처리한 후 열풍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로진산 나트륨을 코팅하는 이유는 정전기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로진산 나트륨을 코팅처리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율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전방지처리단계 이후에 실리콘도포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도포단계는 아스팔트 방수시트와 접촉되는 반대면에 실리콘을 도포할 수 있는 데, 도포한 후에 80~100℃로 열풍 건조할 수 있다. 아스팔트 방수시트와 접촉되는 반대면의 이형필름에 실리콘을 도포하는 이유는 표면장력을 최소화하여 필름이 외력 또는 외부와 접촉함에 따라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용융지수가 5인 HDPE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고무 10 중량부, POE 수지 10 중량부, 카본블랙 2중량부, 아미노실란 2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된 수지를 190℃로 가열된 블로잉으로 가열 성형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필름형성단계, 상기 제조된 필름에 로진산 나트륨을 도포하여 대전방지 처리하는 대전방지처리단계, 및 대전방지 처리된 필름에 부가형 이형실리콘 처리하되, 아스팔트 접촉면의 반대면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에 100℃로 열풍건조함으로써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HDPE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고무 15 중량부, POE 수지 15 중량부, 카본블랙 5중량부, 아미노실란 5중량부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3
HDPE 수지의 용융지수를 7로 하였으며, HDPE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고무 25 중량부, POE 수지 25 중량부, 카본블랙 8중량부, 아미노실란 15중량부로 혼합하였다.
비교예 1
LDPE 수지를 100질량%로 하여 필름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혼합단계에서 아크릴 고무 및 POE 수지는 혼합하지 않고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필름에 대하여 각 시험항목별로 시험한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시험방법
인장강도(kg/㎠) 240 245 250 190 210 ASTM D 882
연신율(%) 580 595 585 420 450 ASTM D 882
인열성능(kg/cm) 180 190 185 95 100 ASTM D 1004
시험항목별로 시험한 결과, 인장강도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인장강도가 240kg/㎠ 이상으로 비교예들보다 높았고, 연신율도 우수하였다. 특히 인열성능 면에서는 비교예 1보다는 약 2배 차이가 나는 성능을 보여 본 발명의 필름은 기존의 이형필름에 비해 인장강도, 연신율, 인열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1. 아스팔트 시트용 이형필름에 있어서,
    HDPE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고무 10~25 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수지 10~25 중량부, 카본블랙 2~8중량부, 아미노실란 2~15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은 아스팔트 시트 접촉면에 로진산나트륨으로 코팅하여 열풍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은 아스팔트 시트 접촉면의 반대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열풍건조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4. 아스팔트 시트용 이형필름 제조에 있어서,
    HDPE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고무 10~25 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수지 10~25 중량부, 카본블랙 2~8중량부, 아미노실란 2~15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혼합물을 170~210℃의 온도로 가열 후 압출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필름형성단계;
    상기 필름에서 아스팔트 방수시트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양이온 로진산 나트륨을 코팅하여 열풍 건조하는 대전방지처리단계; 및
    아스팔트 방수시트와 접촉되는 반대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80~100℃로 열풍 건조하는 실리콘도포단계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성단계에서 필름의 두께는 2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제조방법.
KR1020150138308A 2015-10-01 2015-10-01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1714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308A KR101714901B1 (ko) 2015-10-01 2015-10-01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308A KR101714901B1 (ko) 2015-10-01 2015-10-01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901B1 true KR101714901B1 (ko) 2017-03-09

Family

ID=5840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308A Active KR101714901B1 (ko) 2015-10-01 2015-10-01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431B1 (ko) 2021-09-09 2022-03-28 주식회사 대산하이텍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0408B1 (ko) 2021-09-09 2022-05-23 주식회사 건행 방수시트용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539B1 (ko) * 1998-12-24 2002-11-18 네오건설 주식회사 다층복합형방수시공방법
KR20050049359A (ko) 2003-11-21 2005-05-25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이형필름용 수지조성물 및 이형필름
KR100831759B1 (ko) 2007-10-20 2008-05-23 주식회사 네고팩 Pcb제작용 이형필름 제작방법 및 pcb제작용 이형필름
JP2009243247A (ja) * 2008-04-01 2009-10-22 Ube Ind Ltd 防水シート材
KR20100066008A (ko) * 2008-12-09 2010-06-17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실리콘계 고무 또는 부타다이엔계 고무를 첨가한 방수재 조성물
KR101153559B1 (ko) * 2011-12-14 2012-06-11 선구산업(주) 보호재 일체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폐기처분되는 이형필름을 보호재 일체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배면에 부착ㆍ재활용한 복합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539B1 (ko) * 1998-12-24 2002-11-18 네오건설 주식회사 다층복합형방수시공방법
KR20050049359A (ko) 2003-11-21 2005-05-25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이형필름용 수지조성물 및 이형필름
KR100831759B1 (ko) 2007-10-20 2008-05-23 주식회사 네고팩 Pcb제작용 이형필름 제작방법 및 pcb제작용 이형필름
JP2009243247A (ja) * 2008-04-01 2009-10-22 Ube Ind Ltd 防水シート材
KR20100066008A (ko) * 2008-12-09 2010-06-17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실리콘계 고무 또는 부타다이엔계 고무를 첨가한 방수재 조성물
KR101153559B1 (ko) * 2011-12-14 2012-06-11 선구산업(주) 보호재 일체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폐기처분되는 이형필름을 보호재 일체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배면에 부착ㆍ재활용한 복합방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431B1 (ko) 2021-09-09 2022-03-28 주식회사 대산하이텍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0408B1 (ko) 2021-09-09 2022-05-23 주식회사 건행 방수시트용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117B1 (ko) 습식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폼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되는 폼테이프
CN104145298B (zh) 金属化膜、压敏标签结构及制备它们的方法
JP2016068362A (ja) 転写シート
KR101714901B1 (ko) 아스팔트 방수시트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632667A (zh) Pe抗静电自粘保护膜
JP2020193256A (ja) 硬化性樹脂組成物、樹脂硬化物、積層フィルム、転写フィルム及び積層体
KR20210037872A (ko) 투명성, 난연성, 열적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난연 시트 제조 방법
JP7047299B2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部材
JP2004025802A (ja) 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シート
JP2016068007A (ja) 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
KR10098990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EP2345699A1 (en) Silicone elastomer compounds and siloxane containing elastomer blends
KR101953872B1 (ko) 생분해성 카드 조성물 및 어닐링 기술을 활용한 고기능성 카드 제조방법
JP5089050B2 (ja) 離型フィルム
KR101382784B1 (ko)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184481B1 (ko) 장식 시트
CN108395647A (zh) 一种高阻燃pvc板
TW201922869A (zh) 單層薄膜及使用其之耐熱黏著帶
TWI669331B (zh) 模外轉印用聚烯烴膜及其製造方法、模外轉印用複合結構
JP7519820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粘着フィルム、化粧フィルム、化粧用粘着フィルム
CN110126406B (zh) 一种防刮花耐高温吸塑胶片及其制备方法
JP6705235B2 (ja) 樹脂組成物、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発泡壁紙の製造方法
US11179918B2 (en) Exterior building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04855B1 (ko) Abs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abs 시트
KR101648052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