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82283B1 - 현상제 수납 용기, 현상제 수납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수납 용기, 현상제 수납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283B1
KR101682283B1 KR1020147003141A KR20147003141A KR101682283B1 KR 101682283 B1 KR101682283 B1 KR 101682283B1 KR 1020147003141 A KR1020147003141 A KR 1020147003141A KR 20147003141 A KR20147003141 A KR 20147003141A KR 101682283 B1 KR101682283 B1 KR 10168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opening
openings
sealing membe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3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3229A (ko
Inventor
히로오미 마츠자키
마사아키 마츠시타
다츠오 후지사키
마사키 후루타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3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4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non-rigid containers, e.g. foldable cartridges, ba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2Bag-type non-rigid contai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제 주머니(16)에, 개봉 방향 E의 수직 방향 F에 어긋나게 복수의 개구부(35a)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개봉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현상제 수납 용기, 현상제 수납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DEVELOPER ACCOMMODATING CONTAINER, DEVELOPER ACCOMMODAT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현상제 수납 용기, 현상제 수납 유닛, 현상 장치,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란, 예를 들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예를 들어, LED 프린터, 레이저 빔 프린터 등), 전자 사진 팩시밀리 장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카트리지란, 적어도 현상 수단과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 장치를 일체적으로 구성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이나, 현상 장치와 적어도 감광체를 갖는 감광체 유닛을 일체적으로 구성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을 말한다.
또한 현상제 수납 용기 및 현상제 수납 유닛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또는 상기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것이다. 현상제 수납 용기 및 현상제 수납 유닛은, 적어도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가요성 용기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전자 사진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는, 전자 사진 감광체 및 그것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을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하고, 이 카트리지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는, 도 5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토너, 캐리어 등)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 프레임체(31)에 설치한 개구부를 밀봉 부재로 밀봉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 시에 밀봉 부재인 토너 시일(32)의 접합부(33)를 뗌으로써 개구부가 개봉되어 현상제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방식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4-66980).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제조 시에 현상제의 충전 공정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기내에 현상제가 비산하는 문제에 대하여 변형 가능한 내부 용기를 사용한 것이 고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4-66980).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평4-66980과 같이, 내부 용기의 내측에 탄성 부재를 설치하는 것은 제조상 곤란하며, 또한 비용이 들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는 다른 구성에 있어서, 가요성 용기를 사용한 현상제 수납 유닛이며, 개봉성이 우수한 현상제 수납 유닛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출원에 관한 발명의 구성의 하나는 이하와 같은 것이다.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이며,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상기 현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 가요성 용기와,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용기에 설치되며,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노출하는 것이 가능한 밀봉 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노출이 진행되는 개봉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가요성 용기를 사용한 수납 용기, 현상제 수납 용기 또는 현상제 수납 유닛에 있어서, 가요성 용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의 개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주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주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봉 부재를 가진 현상제 수납 용기의 단면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개봉 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개봉 직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개봉 도중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배출부의 개봉 과정의 설명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배출부의 개봉 과정의 설명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개봉 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용기의 개봉 전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용기의 개봉 도중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배출부의 설명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아닌 개봉 곤란한 현상제 수납 용기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아닌 개봉 곤란한 현상제 수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아닌 개봉 곤란한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용기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용기의 설명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용기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아닌 현상제 수납 용기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용기의 설명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용기의 고정부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용기의 개구부의 설명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용기의 설명도이다.
도 31은 개봉 부재를 가진 현상제 수납 용기의 설명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봉 부재에의 구동 전달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수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2는 종래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현상제 수납 용기는, 적어도, 가요성 용기와 가요성 용기에 설치된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가리킨다.
현상제를 수납하기 전의 현상제 수납 용기를,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37)라고 한다. 현상제를 수납하고, 밀봉 부재를 개봉하기 위한 개봉 부재를 구비한 현상제 수납 용기를, 개봉 부재를 가진 현상제 수납 용기(30)라고 한다. 현상제를 수납하고, 밀봉 부재를 개봉하기 위한 개봉 부재를 구비하지 않은 현상제 수납 용기를,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 용기(26)라고 한다.
또한, 간략화를 위해, 현상제 수납 용기(37), 현상제 수납 용기(30), 현상제 수납 용기(26)라고 부호를 나누어서 설명을 한다.
현상제 수납 유닛은, 적어도 현상제 수납 용기와 현상제 수납 용기를 수납하는 프레임체를 구비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현상제 수납 유닛을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주단면도, 도 2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단면도를 도시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성 개요>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 담지체와, 상 담지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프로세스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 담지체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 상 담지체에 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 상 담지체 표면에 잔류한 현상제(토너, 캐리어 등을 포함함)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수단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담지체인 감광체 드럼(11)의 주위에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12), 그리고 클리닝 수단으로서 탄성을 갖는 클리닝 블레이드(14)를 갖는 클리너 유닛(2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A)는, 제1 프레임체(17)와, 제2 프레임체(18)를 갖는 현상 장치(38)를 구비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A)는, 클리너 유닛(24)과 현상 장치(38)를 일체로 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B)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현상 장치(38)는 현상 수단인 현상 롤러(13)와 현상 블레이드(15), 현상제 공급 롤러(23),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 용기(26)를 구비한다. 현상 롤러(13)와, 현상 블레이드(15)는 제1 프레임체(17)에 지지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개요>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B)에 장착되어서 화상 형성에 사용된다. 화상 형성은 장치 하부에 장착된 시트 카세트(6)로부터 반송 롤러(7)에 의해 시트(S)를 반송하고, 이 시트 반송과 동기하여, 감광체 드럼(11)에 노광 장치(8)로부터 선택적인 노광을 하여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제는, 스펀지 형상의 현상제 공급 롤러(23)에 의해 현상 롤러(13)(현상제 담지체)에 공급되고, 현상 블레이드(15)에 의해 현상 롤러(13) 표면에 박층 담지된다. 현상 롤러(13)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함으로써, 잠상에 따라서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제 상에 현상한다. 이 상을 전사 롤러(9)에의 바이어스 전압 인가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S)에 전사한다. 시트(S)는 정착 장치(10)에 반송되어 화상 정착하고, 배지 롤러(1)에 의해 장치 상부의 배지부(3)에 배출된다.
<현상제 수납 유닛의 구성 개요>
다음으로 현상제 수납 유닛(25)의 구성에 대하여 도 3, 도 4, 도 7의 (a), 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현상제 수납 용기(30)의 단면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4는 현상 장치(38)의 단면도, 도 7은 가요성 용기인 현상제 주머니(16)의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부(35) 근방의 상세 단면도, 도 20은 현상제 수납 용기(26)의 단면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또한, 단면도는, 개봉 부재(20)와, 개구부(35a)와, 고정부(16d, 16e)를 통하는 평면이다. 또한, 단면도는, 개봉 부재(20)의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이다.
(현상제 수납 유닛)
현상제 수납 유닛(25)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수납 용기(30), 현상 롤러(13), 현상 블레이드(15)와, 이들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체(17)와 제2 프레임체(18)로 구성된다. 제1 프레임체와 제2 프레임체를 합친 것이 현상제 수납 용기(30)를 수납하는 프레임체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수납 유닛(25)은 현상 장치(38)와 같다. 이것은 현상제 수납 유닛(25)이 현상 롤러(13), 현상 블레이드(15)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상제 수납 유닛(25)과 별도의 프레임체로 현상 롤러(13)와 현상 블레이드(15)를 지지하여, 현상제 수납 유닛(25)과 분리해도 된다. 이 경우 현상 장치(38)는 현상제 수납 유닛(25)과 현상 롤러(13), 현상 블레이드(15)로 구성된 것이 된다(도시하지 않음).
(개봉 부재를 가진 현상제 수납 용기)
개봉 부재를 가진 현상제 수납 용기(30)는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봉 부재(20)와 현상제 수납 용기(26)로 구성된다.
개봉 부재(20)는 밀봉 부재(19)와 걸어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20b)를 갖고 있으며, 현상제 수납 용기(26)의 피걸림 결합부(19b)와 걸림 결합부(20b)를 결합함으로써 개봉 부재를 가진 현상제 수납 용기(30)가 된다.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 용기)
도 3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수납 용기(26)는 현상제와, 현상제 주머니(16)와, 밀봉 부재(19)로 구성된다. 여기서 현상제는 분체이다.
현상제 수납 용기(26)의 현상제 주머니(16)는 현상제를 배출하는 복수의 개구부(35a)를 밀봉 부재(19)로 밀봉하고, 현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39)를 밀봉한 접합부(39a)를 갖고 있다. 이렇게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 용기(26) 각각의 개구부(35a), 주입구(39)는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한 현상제를 밖으로 누설하지 않고 하나의 유닛으로서 다루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밀봉 부재(19)에는 개봉 부재(20)에 걸어 결합하는 피걸림 결합부(19b)인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개봉 부재(20)에 걸어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
도 3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37)는 현상제 주머니(16)와,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35a)를 밀봉함과 함께 이동됨으로써 개구부(35a)를 노출시키는 밀봉 부재(19)로 구성된다. 여기서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37)의 현상제 주머니(16)는 현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39)와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35a)를 갖고 있다.
여기서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37)는 아직 현상제가 충전되어 있지 않아, 현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39)가 개구된 상태이다.
(충전과 현상제 수납 용기)
여기서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37)와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 용기(26)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37)에는 현상제가 충전되어 있지 않고 현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39)가 있다.
다음으로 도 3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37)의 현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39)로부터 현상제를 충전한다. 또한 현상제 주머니(16)의 가요성에 의해 주입을 위한 주입구(39)는 충전 장치에 맞춰 변형가능하여 현상제의 비산 없이 충전이 용이해진다. 충전 시에는, 공지의 오거식 충전 장치를 사용하여 행하는데,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도 3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39)를 접합하여 밀봉한다. 현상제를 주입하기 위한 개구부의 접합부(39a)의 접합은,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로 접합하고 있지만 이외에 열이나 레이저 등으로 접합해도 된다.
그리고 충전하기 위한 개구부의 접합부(39a)의 접합이 완료되면 현상제는 봉입되어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 용기(26)가 되는 것이다.
또한 충전하기 위한 주입구(39)의 위치나 크기는 현상제의 충전 장치나 프로세스 카트리지(A)의 형상 등에 맞춰서 적절히 배치하면 된다.
(현상 장치 내에 현상제 주머니를 갖는 효과)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 용기(26)가 주머니 형태를 취함으로써 현상제를 유닛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현상제 충전 공정을 프로세스 카트리지(A)의 메인 조립 공정(제조 라인)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A)의 메인의 조립 공정(제조 라인)에 현상제가 비산하는 일이 없어져 제조 라인의 청소 등의 유지 보수를 삭감할 수 있다. 조립 공정 시에 현상제의 비산이 없어지는 것에 의해 현상제를 충전한 후의 프로세스 카트리지(A)의 청소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주머니(16)의 충전 공정에 있어서도 현상제 주머니(16)는 가요성을 갖고 있어 충전을 위한 주입구(39)도 유연하기 때문에 비산이 적고 용이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 용기(26)는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체의 형상에 따르게 하여 세팅할 수 있다.
또한 충전 공정에 있어서 현상제 수납 용기(37)는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단면을 변형시켜 용적을 증가시켜서 충전할 수 있으므로 충전 시에는 충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충전 전의 현상제 수납 용기(37)는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작게(얇게) 할 수 있고, 수지의 구조체인 프레임체에 비해 충전 전의 보관 시의 보관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현상제 주머니의 구성>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주머니(16)는 내부에 현상제를 수납하고 있는 형상이 변형 가능한 주머니 형상의 것이고, 수납한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부(35)에 복수의 개구부(35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현상제 주머니(16)는 제1 프레임체(17), 제2 프레임체(18)의 프레임체에 고정되어 있는 현상제 주머니 고정부(피고정부)(16d, 16e)를 갖고 있다.
(현상제 주머니의 소재, 통기성)
도 29는 현상제 수납 용기(26)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2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주머니(16)는 배출부(35)를 갖고 통기성을 갖지 않은 시트(16u)와, 통기부가 되는 통기성을 갖는 시트(16s)를 접합하여 현상제 주머니(16)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통기부(16s)의 통기도는 수납하는 현상제의 크기(분체의 입경)와의 균형으로 현상제가 현상제 주머니(16)의 밖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적절히 선정하면 된다.
통기부(16s)의 소재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으로, 두께는 0.03 내지 0.15mm의 부직포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기부(16s)의 소재가 부직포가 아니어도 현상제 주머니(16)에 수납되는 현상제 등의 분체보다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통기부(16s)의 배치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체(18) 측에 현상제 주머니(16)의 길이 방향 전역에 걸쳐 통기부(16s)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 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부(16s)는 현상제 주머니(16) 전체를 16s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통기부(16s) 이외의 현상제 주머니(16)의 소재로서는 후술하는 현상제배출 시의 효율을 좋게 하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기부(16s)의 소재에 가요성을 가지게 해도 된다.
(현상제 주머니가 통기성을 갖는 효과)
이렇게 현상제 주머니(16)에 통기성을 가지게 하는 이유로서는, 제조 시, 사용자가 카트리지(A)를 사용할 때까지의 물류 시, 및 보관 시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우선 제조 시의 이유로서는, 현상제 주머니(16)를 프레임체(17, 18)에 내장하기 쉽도록 현상제 주머니(16)를 변형, 축소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현상제 주머니(16)에 통기부(16s)가 없는 경우에는 현상제 주머니(16)에 현상제를 충전한 상태(주머니를 폐쇄한 상태)의 크기로부터 바뀌지 않고, 그 때문에 변형도 시키기 어렵다. 그 때문에 조립에 시간을 필요로 하거나, 공정이 복잡화된다. 그래서 현상제 주머니(16)의 적어도 일부에 통기성을 갖게 하면 현상제 주머니(16)에 현상제를 충전하여 주머니를 폐쇄한 상태의 크기로부터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립하기 쉬워진다.
다음으로 물류 시 및 보관 시의 이유로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A)의 수송 시 및 보관 시에 다른 기압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물류 등에서 제조 시보다 낮은 기압 환경 하가 될 경우나, 제조 시보다 높은 온도가 되는 보관의 경우 등에 의해 현상제 주머니(16) 내외의 기압차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현상제 주머니(16)가 팽창함으로써 현상제 주머니(16)와 접하는 각 부품이 변형이나 파손의 우려가 있다. 그를 위한 물류 시나 보관 시에 기압이나 온도의 관리가 필요해져 설비, 비용이 든다. 그러나 일부에 통기성을 갖게 함으로써 기압에 의한 현상제 주머니(16) 내외의 기압차에 의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통기성을 갖는 부직포에 배출부(35), 배출부(35) 주위의 접합부(22)를 설치한 경우에는, 개봉 시에도 밀봉 부재(19)의 박리에 수반하여 부직포의 섬유가 떨어져서 현상제 중에 들어가 화상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통기성을 갖는 시트(16s)와는 다른 시트(16u)에 배출부(35)를 설치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부직포의 섬유가 누락되는 것이 없어진다.
또한 통기부(16s)로부터 탈기하면서 현상제를 충전함으로써 충전 밀도를 올릴 수 있다.
(현상제 주머니의 배출부 구성)
도 3,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주머니(16)는 내부의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35a), 및 복수의 개구부(35a)를 정의하는 연결부(35b) 를 포함하는 현상제 배출부(35)를 갖고 있다. 그리고 밀봉 부재(19)에 의해, 배출부(35)의 주위를 접합부(22)로 연속하여 둘러싸서 개봉 가능하게 접합하여 현상제 주머니(16)에 수납되는 현상제를 밀봉하고 있다.
(현상제 주머니의 접합부 구성)
접합부(22)는 긴 방향(방향 F)에 2개, 짧은 방향(방향 E)에 2개로 둘러싼 「ㅁ 자」 형상으로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부(35)의 밀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에서 긴 방향(방향 F)에 용착된 2개의 접합부 중 먼저 개봉되는 것을 제1 접합부(22a), 후에 개봉되는 것을 제2 접합부(22b)라고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밀봉 부재(19)의 표면을 따라 보았을 경우에, 후술하는 반환부(19d)(또는 피걸림 결합부(19b))에 가까운 측의 접합부가 제1 접합부(22a)이다. 또한, 개구부를 끼워서 제1 접합부(22a)에 대향하는 접합부가 제2 접합부(22b)이다. 또한 짧은 방향의 접합부를 짧은쪽 접합부(22c)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개봉 방향은 방향 E이다. 개봉 방향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밀봉 부재(19)를 이동시켜서 개봉을 행하는 경우에, 개구부(35a)를 끼운 제1 접합부(22a)와 제2 접합부(22b)에서는, 제1 접합부(22a)가 먼저 개봉(박리)된다. 이와 같이, 먼저 개봉되는 제1 접합부(22a)로부터 제2 접합부(22b)를 향하는 방향을 개봉 방향 E라고 한다.
또한 현상제 주머니(16)로부터 밀봉 부재(19)를 E 방향으로 개봉할 때(박리할 때)에, 미시적으로 보면 제1 접합부(22a)나 제2 접합부(22b) 중에서도 개봉력에 의한 현상제 주머니(16)의 변형에 의해 화살표 F 방향으로도 박리가 진행할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봉 방향은, 이러한 미시적인 개봉의 방향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현상제 주머니의 개구부의 배치)
다음으로 도 10, 도 11, 도 30을 사용하여 개구부(35a)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구부(35a)를 밀봉함과 함께 이동됨으로써 개구부(35a)를 노출하는 밀봉 부재(19)의 이동 방향(개봉 부재(20)에 당겨지는 방향)은 D이다. 밀봉 부재(19)의 이동에 의해 개구부(35a)는 개봉 방향 E의 방향으로 노출이 진행된다. 이하 밀봉 부재(19)의 이동 방향을 D라 한다. 개봉 방향 E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F에 어긋나게 복수의 개구부(35a) 및 연결부(35b)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밀봉 부재(19)는 개봉 부재(20)를 회전시켜서 권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상기한 방향 F는 개봉 부재(20)의 회전축의 축선과 동일한 방향이다.
여기서 현상 롤러(13)의 회전축 방향과 복수의 개구부(35a)가 배열하는 방향 F를 정렬시키는 것은, 현상제를 배출 시에 현상 롤러(13)의 길이 방향 전체에 현상제가 치우치는 일 없이 공급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복수의 개구부(35a)는 F의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부(35)는 방향 F로 길고, 방향 E로 짧은 것이 된다. 즉 방향 F에 있어서의 복수의 개구부(35a)의 끝에서 끝까지의 거리는, 방향 E에 있어서의 개구부(35a)의 끝에서 끝까지의 길이보다 길다.
이렇게 개봉 방향 E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F에 어긋나게 복수의 개구부(35a)를 배치하고 있는 배출부(35)는 방향 F로 길고 방향 E로 짧은 것이 되기 때문에 개봉에 필요로 하는 거리가, 긴 방향 F로 개봉하는 것 보다 짧기 때문에 개봉에 필요한 시간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출부(35)를 덮는 밀봉 부재(19)를 개봉 부재(20)로 권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개봉 부재(20)의 회전축 방향과 개봉 방향 E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 F는 동일한 방향으로 함으로써, 밀봉 부재(19)의 권취 거리,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현상제 주머니의 개구부의 형상, 방향)
실시예 1의 복수의 개구부(35a)는 각각 원 형상이다. 배출성을 고려하면 개구부(35a)의 면적은 큰 편이 좋다. 또한 개구부를 정의하는 연결부(35b)는 현상제 주머니(16)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큰(굵은) 편이 좋다. 따라서 개구부(35a)의 면적과 연결부(35b)의 면적은, 배출부(35)의 재질, 두께, 또한 후술하는 개봉 시의 필링 강도와의 힘의 관계 등에 의해 균형을 잡을 필요가 있어 적절히 선정하면 된다. 또한 개구부(35a)의 형상도 원 이외에 사각 등의 다각형이나 후술하는 제2 실시예의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타원 등이어도 된다.
또한 개구부(35a)의 배치는 개봉 방향 E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F에 대하여 어긋나 있으면 되고, 도 2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35a)가 개봉 방향 E에 수직인 방향 F에 겹쳐 있어도, 도 2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겹쳐 있지 않아도 후술하는 연결부(35b)의 효과가 있다.
또한 개구부(35a)의 방향은 화상 형성 시의 자세로 수납하는 현상제를 배출하기 쉽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화상 형성 시의 자세에 있어서, 개구부(35a)는 중력 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개방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개구부(35a)가 중력 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개방한다는 것은, 개구부(35a)의 개구의 방향이 중력 방향 하측 방향의 성분을 갖는 것을 가리킨다.
(현상제 주머니와 프레임체의 고정)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주머니(16)는 두 개의 고정부(16d, 16e)에 의해 제1 프레임체(17), 제2 프레임체(18)의 내부에 고정된다.
(제1 고정부)
우선 첫번째의 고정부로서, 후술하는 밀봉 부재(19)를 현상제 주머니(16)로부터 개봉할 때에 힘을 받는 현상제 주머니(16)의 제1 고정부(16d)를 설치하고 있다. 복수의 개구부(35a)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 F와 평행하게, 고정부(16d)는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16d)는 이렇게 복수개 설치되는 이외에 방향 F와 평행하게 긴 하나의 것이어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제1 고정부(16d)의 위치는 현상제 주머니(16)의 개구부(35a)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주머니의 제1 고정부(16d)는 프레임체의 제1 고정부(18a)에 고정되어 있다.
제1 고정부(16d)는 현상제 주머니(16)의 개봉 시를 위해 필요한 고정부이며, 그 작용이나 배치에 대해서는 개봉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제2 고정부)
또한 두번째의 고정부로서, 현상제 주머니(16)가 하방, 또는 현상 롤러(13), 현상제 공급 롤러(23)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고정부(16e)를 설치하고 있다.
제2 고정부(16e)를 설치하고 있는 것은, 두 가지의 이유가 있다. 제1 이유로서는 현상제 주머니의 제2 고정부(16e)가 현상제 주머니(16)를 화상 형성 시의 자세로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 때문에 제2 고정부(16e)는 화상 형성 시의 자세로 상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이유로서는, 현상제 주머니(16)가 화상 형성 시에 현상 롤러(13)나 현상제 공급 롤러(23)에 접촉하여 화상을 어지럽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 때문에 현상 롤러(13)나 현상제 공급 롤러(23)로부터 이격된 곳에 현상제 주머니(16)의 제2 고정부(16e)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주머니의 제2 고정부(16e)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13)로부터 이격된 상방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현상제 주머니의 제2 고정부(16e)는 프레임체의 제2 고정부(18b)에 고정된다.
(현상제 주머니와 프레임체의 고정 방법)
(제1 고정부의 고정 방법)
현상제 주머니의 제1 고정부(16d)의 고정 방법으로서, 현상제 주머니(16)의 구멍에, 제2 프레임체(18)의 보스를 통과시켜, 보스를 으깨는 초음파 코오킹에 의한 고정을 이용하고 있다. 도 2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전에는 제2 프레임체(18)의 제1 고정부(18a)는 원기둥의 보스 형상을 하고 있고, 현상제 주머니(16)의 제1 고정부(16d)는 구멍이 뚫려 있다. 그리고 조립 공정을 다음에 나타낸다.
우선 제2 프레임체(18)의 제1 고정부(18a)의 볼록 형상부에, 현상제 주머니(16)의 제1 고정부(16d)의 구멍을 통과시킨다(도 27의 (b)).
그리고 제2 프레임체(18)의 제1 고정부(18a)의 선단을 초음파 코오킹의 공구(34)로 녹인다((도 27의 (c)).
그리고 현상제 주머니(16)의 제1 고정부(16d)의 구멍보다 커지도록, 제2 프레임체(18)의 제1 고정부(18a)의 선단을 변형시킴으로써 현상제 주머니(16)를 제2 프레임체(18)에 고정하고 있다(도 27의 (d)).
(제2 고정부의 고정 방법)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주머니의 제2 고정부(16e)의 고정 방법은 2개의 프레임체(17, 18)에 의한 끼워넣기를 사용하고 있다. 현상제 주머니(16)에 구멍을 뚫어 현상제 주머니의 제2 고정부(16e)로 하고, 제2 프레임체(18)에 볼록부를 설치하여 프레임체의 제2 고정부(18b)로 한다.
그리고 조립 공정을 다음에 나타낸다. 현상제 주머니(16)의 제1 고정부(16d)에 제2 프레임체(18)의 고정부(18b)의 볼록부를 통과시키고, 제1 프레임체(17)로 볼록부로부터 현상제 주머니의 제2 고정부(16e)(구멍)가 탈락하지 않도록 끼워넣기에 의한 고정을 하고 있다.
(그 밖의 고정 수단)
고정의 수단으로서는 전술한 초음파 코오킹 이외에 초음파 이외의 것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열을 사용한 열 코오킹이나, 현상제 주머니와 제1 프레임체(17)나 제2 프레임체(18)에 직접 용착하는 열 용착이나 초음파 용착, 또한 용제나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 프레임체간에의 끼워 넣기, 열 코오킹, 초음파 코오킹, 나사, 구멍과 볼록부(보스 등)에 의한 걸림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제2 프레임체(17, 18)와 현상제 주머니(16)의 스페이스나 배치 등의 관계로부터 적절히 설계에 따라서 제1, 제2 프레임체(17, 18)와 현상제 주머니의 사이에 별도의 부재를 개재하여 고정해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밀봉 부재의 구성>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19)는 프로세스 카트리지(A)의 사용 전에 현상제 주머니(16)의 배출부(35)를 덮고 현상제 주머니(16) 내의 현상제를 밀봉하고 있다. 밀봉 부재(19)는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부(35a)를 노출시킨다. 밀봉 부재(19)의 구성은, 현상제 주머니(16)의 배출부(35)를 덮는 밀봉부(19a)와, 후술하는 개봉 부재(20)와 고정되는 피걸림 결합부(19b)와, 밀봉부(19a)와 피걸림 결합부(19b)를 연결하고 있는 밀봉 부재 연결부(19c)를 갖고 있는 시트 형상의 것이다. 당해 시트는 후술하는 역개봉성을 발휘하는 실란트층을 갖는 라미네이트 재로,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이고, 두께는 0.03 내지 0.15mm의 것을 적절히 선정하면 된다.
(밀봉 부재의 밀봉부)
밀봉부(19a)는 밀봉 부재(19)가 현상제 주머니(16)의 복수의 개구부(35a)와, 연결부(35b)를 밀봉하는 영역을 가리키고 있다. 밀봉부(19a)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A)의 사용시 전까지는 현상제가 현상제 주머니(16) 내부로부터 누설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밀봉 부재의 걸림 결합부)
밀봉 부재(19)는 개봉 방향 E의 일단부 측에 자유 단부를 갖고 있으며, 당해 자유 단부에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봉 부재에 걸리는 피걸림 결합부(19b)가 설치된다. 피걸림 결합부(19b)에는, 밀봉 부재를 이동시켜서 개구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봉 부재가 걸린다. 개봉 부재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B)로부터의 구동을 받아서 개봉을 자동으로 행하도록 된 것이어도 된다. 또는, 사용자가 개봉 부재를 파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개봉을 행하도록 된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봉 부재(20)는 프레임체에 설치된 회전축이며, 개봉 부재(20)에 걸린 밀봉 부재(19)가 당겨짐으로써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 용기(26)는 개봉된다.
(밀봉 부재의 밀봉 부재 연결부)
접합부(22)와 밀봉 부재 걸림 결합부(19b)와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부분이 밀봉 부재 연결부(19c)이다. 밀봉 부재 연결부(19c)는 개봉 부재(20)로부터의 힘을 받아서 접합부(22)를 떼도록 힘을 전달하는 부분이다.
(밀봉 부재 연결부의 반환)
여기서 도 12를 사용하여 개봉되는 순간에 있어서 제1 접합부(22a)와 제2 접합부(22b)로 형성된 면 N1으로 한다. 그리고 면 N1에 대하여 수직하고 또한 제1 접합부(22a)를 통과하는 면 N2로 한다. 여기서 개봉 부재(20)는 제1 접합부(22a)를 통과하는 면 N2보다 제2 접합부(22b) 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밀봉 부재(19)는 시트 형상인 밀봉 부재(19)의 표면을 따라 보았을 때에, 접합부(22)와 개봉 부재(20)의 피걸림 결합부(19b)와의 사이의 부분(연결부(19c))에서 접혀 있는 반환부(19d)를 갖고 있는 것이다. 반환부(19d)는 접음선이 있어도, 접음선이 없어도 된다. 여기서 밀봉 부재(19)의 접힘 각도(Q)는 90도 이하가 바람직하다. 접힘 각도(Q)는, 현상제 주머니(16)의 접합부(22)의 면과 밀봉 부재(19)의 당겨지는 방향 D에 따른 면의 협각 Q이다.
(밀봉 부재의 고정)
또한 밀봉 부재(19)와 개봉 부재(20)의 고정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고정부(16d)와 마찬가지의 초음파 코오킹으로 고정하고 있다. 초음파 코오킹 이외에 제1 고정부(16d) 및 제2 고정부(16e)의 고정 수단과 마찬가지로 열 용착, 초음파 용착, 접착, 프레임체간에의 끼워 넣기, 구멍과 볼록에 의한 걸림 등이어도 된다.
(밀봉 부재의 역개봉성을 갖는 부분)
이어서, 접합부(22)의 박리력을 원하는 값으로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박리력을 원하는 값(여기서는, 토너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될수 있는한 작은 힘)으로 하기 위해서, 주로 2개의 방법을 취하고 있다.
첫번째는, 밀봉 부재(19)에 역개봉을 가능하게 하는 실란트층을 갖는 라미네이트재를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현상제 주머니(16)의 소재에는 상기 실란트층과 용착 가능하고 가요성이 있는 시트 재질(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접합부에 있어서 역개봉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실란트층의 처방 및 접합하는 재질의 조합을 바꿈으로써 박리력을 원하는 조건에 맞춰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JIS-Z0238의 밀봉 연질 포장 주머니의 시험에 있어서 박리 강도가 3N/15mm 정도인 것을 사용하고 있다.
두번째는, 도 4,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주머니(16)의 배출부(35)를 개봉이 진행하는 방향(도면 중 화살표 E)에 대하여 접힌 상태로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상태에서 개봉 부재(20)를 회전(도면 중 화살표 C)시켜 밀봉 부재(19)를 개봉 부재(20)로 당겨지는 방향(도면 중 화살표 D)으로 당긴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상제 주머니(16)와 밀봉 부재(19)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현상제 주머니(16)의 접합부(22)의 면과 밀봉 부재(19)의 당겨지는 방향 D에 따른 면의 협각(Q)이 90도 이하인 경사 박리 위치 관계가 된다. 종래 경사 박리로 함으로써 양자의 박리에 필요한 박리력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19)를 개봉이 진행하는 방향(도면 중 화살표 E)에 대하여 접힌 상태로 함으로써 접합부(22) 부분의 밀봉 부재(19)와 현상제 주머니(16)가 경사 박리의 위치 관계가 되어 상기 박리력을 저감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개봉 부재의 구성>
개봉 부재(20)는 밀봉 부재(19)에 힘을 부여하여 밀봉 부재(19)를 이동시켜 현상제 주머니(16)로부터 떼내는 목적의 것이다. 개봉 부재(20)는 축 형상으로 양단이 제2 프레임체(1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지지부(도시하지 않음)와, 밀봉 부재(19)의 피걸림 결합부(19b)를 고정하는 걸림 결합부(20b)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봉 부재(20)는 네모난 축 형상으로, 그 네모난 축의 한 면에 밀봉 부재(19)의 피걸림 결합부(19b)를 걸림 결합부(20b)로 걸어 결합하고 있다.
(개봉 부재, 가압 부재, 교반 부재의 겸용)
또한 현상제 주머니(16)의 외부로부터 작용하여 현상제 주머니(16) 내부의 현상제를 배출시키는 가압 부재(21)와, 개봉 부재(20)는 각각 별도의 부재로 행해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개봉 부재(20)와 가압 부재(21)를 동일한 부품으로 기능시키고 있다.
또한 현상제 주머니(16)로부터 배출된 현상제를 교반하는 기능과, 개봉 부재(20)의 기능을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행해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개봉 부재(20)에 교반의 기능을 동일한 부품으로 기능시키고 있다.
(개봉 부재, 가압 부재, 교반 부재 겸용의 효과)
이렇게 개봉 부재(20), 가압 부재(21), 교반 부재를 겸용함으로써 부품 개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 공간 절약화가 가능하게 된다.
<현상제 수납 주머니의 개봉 개요>
다음으로 현상제 수납 주머니(16)의 개봉에 대하여 도 7,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개봉을 위해 개봉 부재(20)가 밀봉 부재(19)를 당기는 힘을 부여하는 역점부(20a)와, 당겨지는 현상제 주머니(16)를 고정하는 프레임체의 고정부(18a)를 현상 장치(38)는 갖고 있다.
역점부(20a)란 개봉의 순간에 밀봉 부재(19)와 개봉 부재(20)가 접하고 있는 부분의 접합부(22)에 가장 가까운 부분이다. 도 7의 (b)에서는 개봉 부재(20)의 코너부(20c)가 역점부(20a)이다. 또한 제2 프레임체(18)의 고정부(18a)는 개봉 시의 힘에 의한 현상제 주머니(16)의 이동을 억제하는 고정부(18c)를 갖고 있다. 또한 접합부(22)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체의 제1 고정부(18a)와 현상제 주머니의 제1 고정부(16d)는 초음파 코오킹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도 7의 (b), 도 7의 (c), 도 8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8a)의 초음파 코오킹 부분 중 접합부(22)에 가까운 부분이 고정부(18c)가 된다.
다음으로 도 50을 사용하여 개봉 부재(20)의 구동 전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0은 개봉 부재(20)에의 구동 전달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또한 도 50에서는 밀봉 부재(19)나 현상제 주머니(16) 등은 생략하고 있다. 우선 개봉 부재(20)는 양단이 제1 프레임체(1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개봉 부재(20)의 편측 단부에는 기어(54)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A)에는 기어(52, 53)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52)는 화상 형성 장치(B)로부터 구동을 받는 커플링부(52a)를 갖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B)에는 구동 수단(51)이 설치되어 있고, 구동 수단(51)의 선단에 카트리지(A)에 구동을 전달하는 커플링(51a)을 갖고 있다.
도 50의 (a)에서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카트리지(A)가 화상 형성 장치(B) 본체 내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도 50의 (b)에서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 수단(51)이 이동하고, 구동 수단(51)의 커플링부(51a)와 기어(52)의 커플링(52a)이 걸어 결합한다. 그리고 도 50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B)의 구동 수단(51)으로부터 카트리지(A)의 기어(52), 기어(53), 기어(54)와 구동이 전해져 개봉 부재(20)가 회전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B)로부터 카트리지(A)에의 구동 전달은 요철에 의한 커플링에 한하지 않고 기어에 의한 걸림 결합 등, 구동 전달을 할 수 있는 수단을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봉 부재(20)는 구동력이 전달되어 화살표 C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개봉 부재(20)의 회전이 진행함으로써 밀봉 부재(19)가 당겨져 제1 접합부(22a)의 개봉이 시작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 5, 도 7의 (b)에 도시한다. 회전에 수반하여 개봉 부재(20)에 피걸림 결합부(19b)에 의해 고정된 밀봉 부재(19)는 네모난 개봉 부재(20)의 코너부(20c)(역점부(20a))에 의해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당겨진다.
밀봉 부재(19)가 당겨지면 접합부(22)를 개재하여 현상제 주머니(16)가 당겨진다. 그러면 현상제 주머니(16)는 제1 고정부(16d)에 힘이 가해져 고정부(18c)에 의해 고정부(18c)로부터 역점부(20a)를 향하여 현상제 주머니(16)가 당겨진다. 그러면 개봉 부재(20)의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제1 접합부(22a)는 힘부(20a)와 고정부(18c)를 연결한 선 위에 접근하도록 움직인다. 이때, 화살표 D의 방향에 있어서, 개봉 부재(20)의 회전축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개구부(35a), 제1 접합부(22a), 반환부(19d), 고정부(18c)의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도 7의 (b)). 그리고 밀봉 부재(19)가 제1 접합부(22a)와 피걸림 결합부(19b)의 사이에서 접혀 있기 때문에 제1 접합부(22a)의 부분에 화살표 D의 방향으로 경사 박리되도록 힘이 가해진다. 그리고 제1 접합부(22a)의 박리가 행해져서 배출부(35)의 개봉이 시작된다.
또한 코너부(20c)와 함께 역점부(20a)도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코너부(20d)와 밀봉 부재(19)가 접하면 코너부(20c)로부터 코너부(20d)로 역점부가 이동한다. 여기서 도 7의 (b)가 역점부(20a)가 코너부(c)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7의 (c)가 또한 개봉 부재(20)의 회전이 진행각부(20d)로 역점부가 옮겨간 상태를 도시한다.
도 6,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봉 부재(20)의 회전이 진행하는 것에 수반하여 개봉이 진행함과 동시에 반환부(19d)도 화살표 E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또한 개봉이 진행하여 개구부(35a)가 노출된다. 개구부(35a)가 노출된 후에 제2 접합부(22b)의 박리에 들어가는 상태를 도 8의 (a)에 도시하였다. 이때도 제1 접합부(22a)의 박리와 마찬가지로 밀봉 부재(19)는 역점부(20a) 쪽으로 당겨지고, 현상제 주머니(16)는 고정부(18c)의 방향(화살표 H)으로 버티려고 한다. 그러면 개봉 부재(20)의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제2 접합부(22b)는 힘부(20a)와 고정부(18c)를 연결한 선 위에 접근하도록 움직인다. 그리고 제2 접합부(22b)의 부분에 화살표 D의 방향의 힘이 걸려 제2 접합부가 박리된다. 그리고 제2 접합부(22b)가 박리되어 개봉이 완료된다(도 8의 (b), 도 9). 그리고 현상제 주머니(16) 내부의 현상제가 배출부(35)의 개구부(35a)를 통해 화살표 I의 방향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개봉 부재(20)의 회전에 의해 밀봉 부재(19)가 개봉 부재(20)에 권취되어 접합부(22)를 개봉하는 것이다. 밀봉 부재(19)는 회전에 의해 권취되기 때문에 개봉 부재(20)의 이동에 필요한 스페이스는 개봉 부재(20)의 회전 스페이스가 있으면 되고, 회전 이외의 이동에 의해 밀봉 부재(19)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해 공간 절약화할 수 있다.
또한 개봉 부재(20)를 사용자가 회전시켜서 밀봉 부재(19)를 권취하여 개구부(35a)를 노출시켜도 된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B)로부터의 구동에 의해 개봉 부재(20)를 회전시켜서 밀봉 부재(19)를 권취하는 쪽이 사용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지 않아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 부재(19)가 반환부(19d)를 설치하고 있음으로써 접합부(22)를 전단 박리하지 않고 경사 박리로 할 수 있어서 확실하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구부(35a)가 나열해 있는 방향 F와 대략 수직 방향의 밀봉 부재(19)의 일단부 측에 밀봉 부재(19)를 개봉하기 위한 개봉 부재(20)에 걸리는 피걸림 결합부(19b)가 설치됨으로써 확실하게 밀봉 부재(19)를 걸어 결합하여 개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체에 고정부(18c)를 설치하고, 현상제 주머니(16)를 개봉 시에 지지함으로써 유연하게 변형 가능한 현상 주머니(16)이어도 확실하게 개봉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봉 시의 현상제의 배출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개봉 시에 역점부(20a)와 고정부(18c)로 연결한 선 위로 접합부(22)가 이동한다(도 7의 (a)→도 7의 (b)→도 7의 (c)→도 8의 (a)). 이 이동에 의해 개구부(35a) 주변의 현상제가 이동하게 되어 현상제의 응집을 흩뜨릴 수 있다.
또한 도 3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봉 부재(20)의 회전 방향은 화살표 C2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개봉 가능하다. 이렇게 개봉 부재(20)의 회전 방향은 도 4 내지 9에서 도시하는 C의 방향에서도 도 34의 C2의 방향에서도 선택 가능하고, 설계에 따라서 적절히 회전 방향을 선택하면 된다.
(개봉에 관계하는 고정부의 배치 관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22b)를 확실하게 박리하기 위해서는 제1 접합부(22b)와 고정부(18c)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배치의 관계가 요구된다. 개봉 시에는 고정부(18c)에 대하여 밀봉 부재(19)를 화살표 D의 방향으로 개봉 부재(20)가 당겨진다. 이때, 개봉 부재(20)에 의한 밀봉 부재(19)의 이동 방향 D에 있어서, 고정부(18c)는 개구부(35a)의 상류 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화살표 H의 방향으로 고정부(18c)의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개봉의 힘을 가할 때에 고정부(18c)와 개봉 부재(20)의 사이에서 화살표 H와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당겨져 제1 접합부(22a)에 힘을 가해 화살표 E의 방향으로 개봉이 진행한다. 이렇게 밀봉 부재(19)의 이동 방향 D에 있어서 상류에 고정부(18c)를 설치하고 있지 않으면 개봉 부재(20)가 당겨진 방향으로 현상제 주머니(16) 전체가 당겨져버려 제1 접합부(22a)에 힘을 가할 수 없어 개봉할 수 없다.
이렇게 밀봉 부재(19)의 이동 방향 D에 있어서 상류에 고정부(18c)를 설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확실한 개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개봉에 관계하는 고정부의 거리 관계)
도 22,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22b)를 확실하게 박리하기 위해서는 제1 접합부(22b)와 고정부(18c)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길이의 관계가 요구된다. 우선 개봉 부재(20)와, 개구부(35a)와, 고정부(18c)를 통해, 개봉 부재(20)의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을 볼 때, 제1 접합부(22a) 중에서 마지막으로 벗겨지는 점을 제1 점(22d)이라 한다. 제1 점(22d)은 제1 접합부(22a) 중에서 개구부에 가까운 쪽의 단부의 점이다. 그리고 고정부(18c)로부터 현상제 주머니(16)를 따라 제1 점(22d)과의 거리를 M1이라 한다. 그리고 개구부(35a)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고정부(18d)로부터 제1 점(22d)까지 현상제 수납 주머니(16)를 따라서 측정한 거리를 M2라 한다. 또한 개구부(35a)는 현상제 주머니(16)의 소재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인데, 이 개구부(16)의 폭도 거리에 포함한다.
이때 M1<M2를 만족하도록 하여 제1 접합부를 벗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M1<M2의 관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M1<M2의 경우)
우선 M1<M2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22a)에 개봉 부재(20)의 밀봉 부재(19)를 당기는 힘(화살표 D)과 고정부(18c)가 견디는 힘(화살표 H)이 제1 접합부(22a)에 걸려 제1 접합부(22a)에 대하여 경사 박리할 수 있다. 경사 박리로 함으로써 박리력을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2의 (a)는 개봉 전, 도 22의 (b)는 제1 접합부(22a)가 개봉하기 직전이다.
(M1>M2의 경우)
한편 M1>M2의 경우에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22a)에 개봉 부재(20)를 당기는 힘이 걸리지 않고 제2 접합부(22b)에 힘이 걸린다. 이 경우 제1 접합부(22a)에는 힘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박리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제2 접합부(22b)에 개봉 부재(20)로부터의 힘(화살표 D)과 고정부(18c)의 버티는 힘(화살표 H)이 걸린다. 이 상태에서는 제2 접합부(22b)에는 개봉 부재(20)의 밀봉 부재(19)를 당기는 힘(화살표 D)과 고정부(18c)의 버티는 힘(화살표 H)이 걸려 제2 접합부(22b)의 부분에는 박리 관계가 전단 박리의 관계가 되기 때문에 제2 접합부(22b)를 개봉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것은 전단 박리가 경사 박리에 비해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 23의 (a)는 개봉 전, 도 23의 (b)는 개봉 부재(20)가 회전하여 접합부(이 경우에는 제2 접합부)에 개봉 부재(20)에 의해 밀봉 부재(19)가 당겨지는 힘(화살표 D) 등이 걸릴 때의 도면이다. 또한 제2 접합부(22b)에는 힘이 가해지지만 전단 박리의 관계에서 힘이 들기 때문에 경사 박리의 경우에 비하여 매우 큰 힘이 필요해져서 박리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주름이 있을 경우의 거리)
또한 여기에서 전술한 M1, M2의 거리의 측정하는 방법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M1, M2의 거리는 개봉 시에 당겼을 때의 거리가 중요한 것이어서 M1, M2 경로의 도중에 주름(16t)이 없는 경우에는 도 22, 도 23과 같이 전개한 거리를 측정하면 된다. 또한 도 2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M1, M2의 경로의 도중에 제조상 접합에서 생기는 주름(16t)이 있는 경우에는, 개봉 시에 당긴 경우에도 주름(16t)은 펴지지 않기(박리되지 않기) 때문에 주름(16t)의 부분은 M1, M2의 거리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즉 주름(16t)과 같이 힘의 전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분은 M1이나 M2 거리에 포함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M1<M2의 관계로서 제1 접합부(22a)가 제2 접합부(22b)보다 먼저 개봉된다. 제1 접합부(22a)가 제2 접합부(22b)보다 먼저 개봉되면 제1 접합부(22a)가 밀봉 부재(19)의 반환부(19d)가 될 수 있다. 이 반환부(19d)에 의해 전단 박리가 안되고 경사 박리가 된다. 이것에 의해 확실하게 현상제 주머니(16)로부터 밀봉 부재(19)를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어서 개봉 가능한 현상 장치(38)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부가 복수인 경우)
여기서 복수의 고정부와 개봉의 관계에 대하여 도 3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1의 (a)의 상태로부터 개봉 부재(20)가 회전하여 제1 접합부(22a)가 개봉하기 직전이 도 31의 (b)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부(18a)와 제2 고정부(18b)을 갖고 있다. 여기서 개구부(35a)를 끼워서 최초에 개봉되는 제1 접합부(22a)에 가까운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고정부(18a) 쪽에 개봉 시의 힘이 가해진다. 그로 인해 전술한 M1, M2의 거리의 측정하는 방법에 제2 고정부(18b)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복수의 고정부가 있을 경우에는 개봉 시의 힘이 가해지는 개구부(35a)를 끼워서 최초에 개봉되는 제1 접합부(22a)에 가까운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부를 기준으로 하면 된다.
(제2 접합부의 위치 관계)
다음으로 제1 접합부(22a)의 개봉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12)을 사용하여 제2 접합부(22b)가 개봉 부재(20)에 말려들지 않고 보다 양호하게 개봉할 수 있는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 접합부(22a)의 개구부(35a)로부터 먼 측의 단부를 제2 점(22e)이라 한다. 제2 접합부(22b)의 개구부(35a)로부터 먼 측의 단부를 제3 점(22f)이라 한다. 여기서 제2 점(22e)으로부터 제3 점(22f)의 거리를 L1이라 한다. 또한 제2 점(22e)으로부터 역점부(20a)의 거리를 L2라 한다. 이때에 상기 거리 L1과 상기 거리 L2의 관계는 L1<L2의 관계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L1이 L2보다 큰 경우에는 제2 접합부(22b)의 박리가 끝나기 전에 제2 접합부(22b)가 역점부(20a)에 도달해버려, 제2 접합부(22b)가 개봉 부재(20)에 권취해버린다. 제2 접합부(22b)에 대하여 박리하도록 힘을 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현상제 주머니(16)로부터 밀봉 부재(19)를 개봉하기 곤란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거리 L1과 상기 거리 L2의 관계는 L1<L2로 함으로써 밀봉 부재(19)가 개봉 부재(20)에 말려들지 않고 양호하게 개봉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개구부를 정의하는 연결부의 역할)
여기서 현상제 주머니(16)의 개봉 동작에 있어서,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개구부를 정의하는 연결부(35b)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11은, 최초에 개봉하는 제1 접합부(22a) 부분의 박리를 종료하고, 개구부(35a)가 노출되었을 때의 도면이며, 제2 접합부(22b)의 박리를 끝내지 않은 상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부(35)는 개구부(35a)의 노출이 진행되는 개봉 방향 E에 대하여 수직 방향 F에 어긋나게 복수의 개구부(35a)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개구부를 정의하는 연결부(35b)도 F의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연결부(35b)는 배출부(35)의 개봉이 진행하는 방향 E의 방향에 있어서, 제1 접합부(22a)와 제2 접합부(22b)를 걸치는 역할을 하고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제1 접합부(22a)의 개봉을 종료한 도 8의 상태에서, 제2 접합부(22a)가 개봉할 때의 힘은 상기 연결부(35b)를 개재하여 제1 고정부(16d)로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밀봉 부재(19)를 현상제 주머니(16)로부터 벗기는 힘을 전할 수 있다. 즉 제2 접합부(22b)에 화살표 D와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힘이 걸려 제2 접합부(22b)도 박리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도 28의 (b)와 같이 개봉 방향 E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F에 개구부가 배열했을 경우 이외에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8의 (c)와 같이 개봉 방향 E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완전히 나열해 있지 않아도 연결부(35b)는 밀봉 부재(19)를 현상제 주머니(16)로부터 벗기는 힘을 제2 접합부(22b)에 화살표 P와 같이 전할 수 있다. 또한 도 28의 (d)와 같이 개봉 방향 E에 대하여 개구부(35a)가 겹치고 있어도 연결부(35b)는 비스듬히 밀봉 부재(19)를 현상제 주머니(16)로부터 벗기는 힘을 제2 접합부(22b)에 화살표 P와 같이 전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개구부(35a)가 개봉 방향 E에 수직인 방향 F에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도 28의 (b)와 같이 연결부(35b)를 포함하는 개구부(35a)의 주위의 부분을 접합부(22)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연결부(35b)가 있음으로써 접합부(22)가 벗겨지는 마지막까지 힘을 전할 수 있으므로 개봉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개봉 부재(20)의 회전축과 개구부(35a)와의 관계에서 말하면, 개구부(35a)는 개봉 부재(20)의 회전축의 방향 R에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봉 부재(20)의 회전축과 수직 방향(화살표 E)으로 걸치는 역할을 하는 연결부(35b)를 갖는다. 개구부(35a)의 배치는, 개봉 부재의 회전축 방향 R에 어긋나 있으면 된다. 도 2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35a)가 회전축 방향 R에 겹치고 있어도, 도 2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 방향 R에 완전히 겹치지 않아도 화살표 P와 같이 힘을 전달할 수 있어서 연결부(35b)의 효과가 있다.
이렇게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 용기(26)와 개봉 부재를 가진 현상제 수납 용기(30)는 배출부(35)에 걸치는 역할을 하는 연결부(35b)가 있음으로써 개봉 부재(20)의 개봉력을 제2 접합부(22b)를 개봉할 때까지 전할 수 있어서 확실하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5a)와, 밀봉 부재의 피걸림 결합부(19b)와의 관계를 설명한다(도 3). 피걸림 결합부(19b)는 복수의 개구부(35a)가 나열해 있는 방향과 대략 수직 방향의 밀봉 부재(19)의 일단부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35a)와, 개봉 부재(20)와의 관계를 설명한다(도 3). 개봉 부재(20)는 복수의 개구부(35a)가 나열해 있는 방향과 대략 수직 방향의 밀봉 부재(19)의 일단부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연결부(35b)에 의해 개봉 부재(20)의 개봉력을 제2 접합부(22b)를 개봉할 때까지 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결부가 별도의 부재인 예)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부(35) 개구부(35a)를 정의하는 연결부(35b)를 다른 부재(연결 부재(16f))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개봉 방향 E에 수직인 방향 F에 긴 하나의 개구부(16a)를 설치하여 상기 긴 하나의 개구부(16a)에 개봉 방향 E에 따라 걸치는 역할을 하는 별도의 부재인 연결 부재(16f)를 설치하는 구성이다. 이 때 긴 하나의 개구부(16a)가 제1 접합부(22a) 측과 제2 접합부(22b) 측에 각각 연결 부재(16f)가 접착, 용착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주머니(16)에 연결 부재(16f)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도 밀봉 부재(1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합부(22)와 피걸림 결합부(19b)의 사이에서 접혀 있음으로써 개봉 부재(20)에 밀봉 부재(19)를 권취하는 것에 의해 개봉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복수의 개구부(35a)를 설치한 경우의 개구부를 정의하는 연결부(35b)와 연결 부재(16f)는 같은 역할을 한다. 즉 긴 하나의 개구부(16a)는 연결 부재(16f)에 의해 복수의 개구부(35a)가 있을 경우와 같은 것이다.
따라서 제1 접합부(22a)의 개봉을 종료하여 제2 접합부(22b)를 박리할 때에, 개봉 부재(20)의 제2 접합부(22a)가 개봉할 때의 힘(화살표 D)은 상기 연결 부재(16f)를 개재하여 제1 고정부(16d)에서 화살표 H로 받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밀봉 부재(19)를 현상제 주머니(16)로부터 벗기는 힘을 전할 수 있다. 즉 제2 접합부(22b)에 화살표 D와 화살표 H의 방향에 힘이 걸려 제2 접합부(22b)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긴 하나의 개구부(16a)는 연결 부재(16f)에 의해 복수의 개구부(35a)를 만듦으로써 연결 부재(16f)만을 강하게 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연결부가 없을 경우의 개봉성의 과제)
여기서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아 현상제 주머니(16)가 개봉 곤란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도 13 및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35b)가 존재하지 않아 개봉이 곤란해지는 경우이다. 도 13은 연결부(35b)가 존재하지 않고 개구부(16a)가 하나인 예이며, 도 13의 (a)는 제2 접합부(22b)의 박리 전의 상태에서, 도 13의 (b)와 도 15는 제2 접합부를 박리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접합부(22a)를 박리하는 상태의 개구부(35a) 주변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14는 연결부(35b)가 존재하지 않고 개봉이 곤란해지는 경우의 개구부(35a) 주위의 단면도이다.
이 경우 제2 접합부(22b)까지 개봉이 진행한 상태가 도 14의 (a)이며, 이 상태로부터 더 나아가 개봉 부재(20)의 회전에 의해 밀봉 부재(19)가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당겨져 이동한다. 그러면 연결부(35b)를 갖지 않기 때문에, 제1 고정부(16d)로부터의 힘을, 개구부(16a)의 중앙의 제2 접합부(22b) 측에 전달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도 14의 (b), 도 13의 (b)와 같이 제2 접합부(22b)는 프레임체의 고정부(18a)로부터의 구속력이 없어져 개구부(16a)가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크게 개방하게 된다. 또한 제2 접합부(22b)가 밀봉 부재(19)에 당겨져서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6a)가 변형된다. 이 경우 제2 접합부(22b)에 작용하는 힘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사 박리의 위치 관계가 안되고,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35a)가 변형됨으로써 전단 박리(대략 0° 박리)가 되기 때문에 박리하기 위하여 큰 힘이 필요해진다. 게다가 제1 고정부(16d)가 지지하는 힘을 제2 접합부(22b)에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제2 접합부(22b)는 박리할 수 없는 상태로 개봉 부재(20)에 당겨지게 된다. 그 때문에 제2 접합부(22b)의 길이 중앙 부근의 개구부(16a)가 더 크게 개방해버려, 개봉 부재(20)에 권취해버린다.
또한 현상제를 수납하는 것이 구조체와 같이 단단한 것이면 이러한 변형은 없이 종래예와 같이 개봉 가능하다. 그러나, 현상제를 변형 가능한 유연한 주머니 형상의 것에 수납하고, 개구부가 개봉 시 변형되는 것을 개봉의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35b)가 없으면 개봉이 어려워진다.
이상 설명한 것 같이 화상 형성 장치(B)의 개봉 부재(20)에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밀봉 부재(19)(=토너 시일)를 개봉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가 토너 시일을 인취할 필요가 없어지고, 보다 간편하게 현상 장치(38), 프로세스 카트리지(A)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개봉 후의 밀봉 부재(19)가 개봉 부재(20)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A)로부터 폐재를 내보내는 일 없이 개봉을 할 수 있다.
<가압 부재와 현상제 배출 개요에 대해서>
(가압 부재)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21)는 축부(21a)와, 축부(21a)에 고정된 가압 시트(21b)를 구비하고 있고, 제1 프레임체(17)와 제2 프레임체(18)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우선 축부(21a)는 개봉 부재(20)와 동일 부품으로 기능시키고 있다(21a=20).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화상 형성 장치(B) 본체로부터의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어 화살표 C의 방향으로 가압 부재(21)(=20)가 회전한다.
다음으로 가압 시트(21b)는 단면이 네모난 축부(21a)의 한 면에 고정되어, 축 부재(21a)와 함께 회전한다. 또한 상기 가압 시트(21b)의 재질로서는 PET, PPS(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가요성 시트로, 두께는 0.05 내지 0.1mm 정도를 사용하고, 그 선단은 축부(21a)의 외접원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축부(21a)의 다른 면에 밀봉 부재(19)와 가압 시트(21b)를 고정하고 있지만, 축부(21a)가 같은 면에 밀봉 부재(19)와 가압 시트(21b)를 고정해도 된다.
또한 도 16,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시트(21b)는 현상제를 교반하고, 현상 롤러(13)나 현상제 공급(23) 쪽으로 반송하는 기능도 겸하고 있다.
<현상제 수납 주머니로부터의 현상제 배출 개요>
(개봉 전부터 개봉 시의 배출 개요)
우선 개봉 전부터 개봉 개시 시의 현상제의 배출에 대하여 전술한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19)는 역점부(20a) 쪽으로 당기고(화살표 D), 현상제 주머니(16)는 프레임체의 고정부(18c)에 의해 지지된다. 그로 인해, 개봉 시는 역점부(20a)와, 프레임체의 고정부(18c)와, 접합부(22)의 박리하는 장소 3군데는, 개봉 부재(20)의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직선 형상으로 배열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개봉 부재(20)가 밀봉 부재(19)에 힘을 부여해 개봉 동작을 행하기 전과, 개봉 동작을 개시해 상기 제1 접합부(22a)에서의 접합이 개봉될 때에, 개구부(35a)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개구부(35a) 근방의 현상제 체류를 방지할 수 있어서 배출성이 좋다.
(개봉 후의 배출 개요 가압 시)
또한 개봉 후는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현상제 주머니(16)로부터 밀봉 부재(19)를 개봉하면, 우선 개구부(35a)는 현상제 주머니(16)의 하방으로 개방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력의 작용과 개봉 시의 현상제 주머니(16)의 진동 등에 의해 개구부(35a) 부근의 현상제가 배출된다.
개봉 후 다시 개봉 부재(20)의 회전이 진행하면, 개봉 부재(20)에 고정된 현상제 주머니(16)를 누르는 가압 시트(21b)도 회전하고,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주머니(16)에 의해 개봉 부재(20)에 권취된다. 여기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시트(21b)는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하려고 하기 때문에 현상제 주머니(16)를 화살표 J 방향으로 누른다. 이때 현상제 주머니(16)는 가압 시트(21b)에 의해 눌려 수납하는 토너를 개재하여 제2 프레임체(18)에 꽉 눌려져서 현상제 주머니(16) 전체가 변형된다. 또한 현상제 주머니(16)는 가압 시트(21b)에 의해 눌려 내용적이 적어진다. 이렇게 현상제 주머니(16)의 용적 감소와 전체 형상의 변화에 따라, 현상제 주머니(16) 내부의 현상제는 교반되고, 그것에 의해 개구부(35a)로부터 현상제가 배출되기 쉬워진다. 또한 이때 현상제 주머니(16)는 개구부(35a) 이외는 폐쇄되어 있어 개구부(35a) 이외에 현상제의 퇴피로가 없기 때문에 개구부(35a)로부터의 배출성이 높다. 이상과 같은 배출 작용에 의해 화살표 I의 방향으로 현상제를 배출하기 쉽다.
또한 이때 현상제 주머니(16)는 적어도 일부가 제2 프레임체(18)에 접촉하여 꽉 눌러질 수 있으면 현상제 주머니(16)는 변형할 수 있다.
또한 현상 롤러(13)의 회전축 방향과 복수의 개구부(35a)가 배열하는 방향 F를 정렬시킴으로써, 현상제 배출 시에 현상 롤러(13)의 길이 방향 전체에 현상제가 치우치는 일 없이 공급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현상 장치(38)가 화상 형성 장치(B)에 장착되었을 때에, 개구부(35a)가 중력 방향으로 개방하게 설치됨으로써 현상제의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체(17, 18) 내부에 설치되어 가압 부재(21)가 현상제 주머니(16)를 제2 프레임체(18)에 압박하도록 가압함으로써 현상제의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19)도, 기재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두께 0.03 내지 0.15mm의 가요성 시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압 시트(21b)와 마찬가지의 메커니즘에 의해 배출 작용에 관계되고 있다.
(배출 개요 현상제 주머니 형상 회복)
그리고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개봉 부재(20)의 회전이 진행하여 가압 시트(21b)가 현상제 주머니(16)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현상제 주머니(16)는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납하는 현상제의 무게에 의해 가압되기 전의 상태로 회복하려고 한다(화살표 K). 그리고 또한 가압 시트(21b)도 회전하고,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주머니(16)를 제2 프레임체(18)에 밀려 현상제 주머니(16)가 변형됨으로써 개구부(35a) 부근 이외의 현상제도 움직이게 되어 개구부(35a)로부터 배출된다.
(배출 개요 가압/회복의 반복)
개봉 직후의 현상제가 현상제 주머니(16) 내부에 많이 있는 경우에는 가압 시트(21b) 및 개봉 부재(20)의 현상제 주머니(16)에의 침입량이 반복해서 변화하고, 제2 프레임체(18)에 가압하도록 현상제 주머니(16)를 변형시킨다. 이 가압 부재(21)의 가압에 의한 현상제 주머니(16)의 수축과, 현상제 주머니(16) 내부의 현상제의 무게와 현상제 주머니(16)의 가요성에 의한 회복을 반복한다. 또한 상기 작용에 의해 현상제 주머니(16) 자체가 움직이기 때문에 현상제 주머니(16)가 진동하고, 이 진동에 의해서도 현상제 주머니(16) 내부의 현상제가 개구부(35a)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가압 부재(21)는 회전하기 때문에 반복 현상제 주머니(16)를 가압시킬 수 있다.
(현상제 주머니를 프레임체에 부착한 예)
또한 현상제 주머니(16)가 제2 프레임체(18)에 가압되는 부분(27)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 양면 테이프 등의 접합부(28)를 설치하여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도 가압 시트(21b)가 현상제 주머니(16)를 가압해 현상제를 배출할 수 있다.
(현상제가 적어졌을 경우)
화상 형성을 행하여 현상제 주머니(16) 내의 현상제가 적어졌을 경우에 대하여 도 3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간략화를 위해 가압 부재(21)를 중심으로 설명하는데, 밀봉 부재(19)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인 현상이 된다. 개봉 직후는 도 3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하는 현상제의 가중치(중량)에 의해 현상제 주머니(16)는 가압 부재(21)에 항상 접촉하도록 형상이 추종하여 크기(내용적)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킨다. 그러나 수납하는 현상제가 적어지면 도 3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의 무게가 가벼워져 가압 부재(21)에 추종하지 않게 되어 주기적으로 분리 접촉을 반복하게 된다. 현상제 주머니(16)와 가압 부재(21)가 주기적으로 접촉하므로, 현상제 주머니(16)가 진동하는 것에 의한 현상제의 배출이 가능하다.
현상제 주머니(16)와 가압 부재(21)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현상제가 적어진 시점에서, 현상제 주머니(16)와 가압 부재(21)가 항상 접촉하지 않게 되어버릴 경우가 있다. 즉, 주기적인 접촉에 의한 현상제의 배출도 행해지지 않게 되어버리기 때문에, 현상제 주머니(16) 내에 배출되지 않는 현상제가 남아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때, 도 3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21)에 가압 시트(21b)가 고정되어, 가압 시트(21b)가 항상 현상제 주머니(16)에 접촉하는 데도 충분한 길이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상제 주머니(16)에 대하여 가압 시트(21b)가 휜 상태에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현상제가 적어져 현상제 주머니(16)가 변형된 경우에도, 현상제 주머니(16)와 가압 부재(21)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되지 않아, 배출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가압 부재(21)에 가요성 시트를 사용하면, 현상제 주머니의 상태에 따라, 가압 부재의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현상제 주머니(16)를 가압하는 작용점까지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현상제 주머니(16)에 토너가 충분히 들어 있을 때는 가압 시트(21b)가 휜 상태에서 현상제 주머니(16)를 가압하고 있지만, 현상제 주머니(16)의 토너가 적어짐에 따라서, 가압 시트(21b)의 휨이 보다 해소된 상태에서 현상제 주머니(16)와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압 부재(21)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현상제 주머니(16) 내의 현상제에 치우침이 발생하여, 현상제 주머니(16)와 가압 부재(21)의 접촉 불균일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가압 부재(21)에 가압 시트(21b)가 고정된 구성이면,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배출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압 시트와 밀봉 부재의 겸용)
또한 가압 시트(21)와 밀봉 부재(19)를 겸용시켜서 1부품으로 양쪽의 기능을 가지게 해도 된다. 이것은 개봉 후에 접합부(22)가 현상제 주머니(16)와 이격되기 때문에, 밀봉 부재(19)의 접합부(22) 측의 단부는 자유단부가 된다. 이것 때문에 밀봉 부재(19)는 가압 시트(21b)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가압 부재(21)의 축부(21a)의 기능을 개봉 부재(20)가 갖고, 가압 시트(21b)의 기능을 밀봉 부재(19)가 갖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어서 비용 절감이 도모된다.
이상과 같이 현상제 배출구인 개구부(35a)에 현상제 배출 롤러 등의 다른 배출 부품을 형성하지 않고 현상제 주머니(16) 내부의 현상제를 양호하게 배출 가능하게 하고, 개구부(35a) 부근의 현상제의 응집, 브리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물류, 보관 시 등에 현상제 주머니(16) 내의 현상제가 탭핑에 의해 뭉쳤을 경우에도 이러한 현상제 주머니(16) 전체나 개구부(35a) 주위의 이동에 의해 현상제의 덩어리를 붕해함으로써 현상제의 배출이 곤란해지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가압 부재가 일부품인 예)
또한 가압 부재(21)가 축부(21a)와 가압 시트(21b)의 별도 부품이 아니고, 도 26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부품으로 가압 시트(21b)의 작용을 하는 볼록부(21c)를 가압 부재(21)에 설치해도 마찬가지로 현상제의 배출을 행할 수 있다. 가압 부재(21)의 축부(21a)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회전 중심으로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축부(21a)의 단면이 다각형(도 26의 (b))의 형상이나 캠 형상(도 26의 (c))을 갖는 경우에도 현상제 주머니(16)를 프레임체(29)에 가압하여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가압 부재(21)를 적어도 현상제 주머니(16)에 접하도록 배치하면, 가압 부재(2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외형에의 거리가 변화하기 때문에 가압 부재(21)의 현상제 주머니(16)에의 침입량도 변화하기 때문이다. 즉 중심에 회전축을 가지는 원형의 단면의 축에서 아닌 한, 가압 부재(21)의 회전에 의해 현상제 주머니(16)를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2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21)의 중심으로부터 먼 외형까지의 거리(21c)와 외형까지 가까운 거리(21d)가 상이하기 때문에 가압 부재(21)의 현상제 주머니(16)에의 침입량도 변화한다. 또한 도 33의 (b)는 단면이 십자형인 가압 부재(21)의 단면도, 도 33의 (a)는 십자형의 가압 부재(21)를 갖는 현상제 수납 유닛(25)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외형까지의 거리가 동등한 4개의 볼록부(21e)를 갖는 경우, 4개의 볼록부(21e)의 외형(21c)은 모두 동등하다. 그러나, 볼록부(21e) 이외에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외형의 부분(거리(21d))을 갖기 때문에 현상제 주머니(16)에의 침입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가압 부재(21)는 가압 부재(21)의 회전 중심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가압 부재(2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가압 부재의 외형까지의 거리가 상이한 부분을 갖는 회전 부재로 할 수 있다.
이렇게 가압 부재(21)에 의해 현상제 주머니(16)가 눌리는 것(화살표 J)에 의해 프레임체(29)에 가압되어 변형되어서 내용적이 감소하여 내부의 현상제가 압출되어 개구부(35a)로부터 배출된다(화살표 I).
또한 화상 형성 시의 자세에 있어서 가압 부재(21)의 축부(21a)(=20)는 현상제 주머니(16)의 중력 방향 하방에 있고 현상제 주머니(16)와 접하고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21)의 축부(21a)(=20)는 단면 형상이 사각이고, 단면 형상이 원이 아니기 때문에 축부(21a)(=20)의 회전에 의해 현상제 주머니(16)에의 축부(21a)(=20)의 침입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상기 현상제 주머니(16)에의 축부(21a)(=20)의 침입량이 변화하는 것에 의해서도 현상제 주머니(16)의 용적을 변화시키고, 또한 진동시킬 수 있어서 배출성을 향상할 수 있다.
나아가, 가압 부재(21)에 가압 시트(21b)가 고정된 구성이면, 현상제 주머니(16)에 대하여 가압 시트(21b)가 휜 상태에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현상제 주머니(16)가 변형된 경우에도, 현상제 주머니(16)와 가압 부재(21)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배출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요성을 갖는 가압 시트(21b)를 갖는 구성이 아니어도, 볼록부(21c)를 가요성을 갖도록 얇은 시트 형상으로 하고, 현상제 주머니(16)에 접촉하는 데도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해도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배출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압 부재와 현상제 주머니 내의 현상제 순환 개요>
이상, 상기 가압 부재(21)의 작용 효과로서, 토너 배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음으로 상기 가압 부재(21)가 다른 작용 효과인 현상제 주머니 내의 현상제 순환 작용에 대하여 도 1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봉 부재(20)의 회전이 진행하여 가압 시트(21b)가 현상제 주머니(16)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현상제 주머니(16)는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납하는 현상제의 무게로 가압되기 전의 상태로 회복하려고 한다(화살표 K). 그리고 또한 가압 시트(21b)도 회전하여,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주머니(16)를 제2 프레임체(18)에 밀려 현상제 주머니(16)가 변형됨으로써 개구부(35a) 부근 이외의 현상제도 움직이게 되고, 이 현상제의 움직임에 의해 현상제 주머니(16) 내에서의 현상제의 순환 작용이 일어나는 것이다. 즉, 현상제 주머니(16)의 변형 작용이, 현상제 주머니(16) 내의 현상제를 움직임으로써, 현상제 주머니(16) 내의 현상제 순환 작용을 일으키는 것이다. 또한, 현상제 주머니의 변형 진폭과 현상제 순환 작용은 비례 관계에 있다.
<실시예 2>
(진공 성형)
실시예 2로서, 실시예 1의 현상제 주머니(16) 대신 현상제 수납 부재(34)를 사용한 것이다. 현상제 수납 부재(34)는 시트 형상의 소재를 진공 성형, 압공 성형,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태를 만든 것을 사용한 것이다. 개봉 부재를 가진 현상제 수납 용기(3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현상제 수납 부재(34)와, 밀봉 부재(19)와, 개봉 부재(20)와, 제1 프레임체(17), 제2 프레임체(18)를 갖고 있다. 또한 개봉 부재(2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압 부재(21)의 기능과 현상제의 교반 기능을 겸비한 부재로 되어 있다.
(현상제 주머니의 구성)
도 18, 도 29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수납 부재(34)의 구성은 진공 성형, 압공 성형,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태가 만들어진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용기인 성형부(34a)와, 시트 형상의 통기부(34b)로 구성된다. 여기서 성형부(34a)와 통기부(34b)의 접합은 열 용착, 레이저 용착, 접착제, 접착 테이프 등이 있다. 현상제 수납 부재(34)에 통기성을 가지게 하는 이유로서는 실시예 1과 같아서 제조시, 물류 시 및 보관 시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성형부(34a)의 소재로서 ABS·PMMA·PC·PP·PE·HIPS·PET·PVC 등이나, 이들의 복합 다층 재료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형부(34a)의 두께는 성형 전의 시트 형상의 두께로 0.1 내지 1mm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부(34a)의 재료나 두께는 비용이나 제품 사양, 제조 조건 등에 의해 적절히 선정하면 된다.
성형부(34a)는 성형부(34a)의 외주(34c)에서 통기부(34b)와 접합되어 있다. 현상제 수납 부재(34)는 내부에 현상제를 수납하고 있다. 또한 외주부(34c)의 일부에 현상제 수납 부재(34)의 고정부(16d)(피고정부)가 설치되어 있다. 성형부(34a)의 형상은 프레임체(17, 18)의 내측을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19).
그리고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 용기(26)는 현상제 수납 부재(34)와, 현상제 수납 부재(34)의 배출부(35)를 개봉 가능하게 덮고 현상제 수납 부재(34) 내부에 토너를 밀봉하고 있는 밀봉 부재(19)로 구성된다.
개봉 부재를 가진 현상제 수납 용기(30)는 상기 밀봉 부재(19)를 현상제 수납 부재(34)로부터 개봉하는 개봉 부재(20)와 상기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 용기(26)로 구성된다.
현상 장치(38)는 개봉 부재를 가진 현상제 수납 용기(30)와, 현상 수단인 현상 롤러(13), 현상 블레이드(15)와 이들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체(17)와 제2 프레임체(18)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출부(35)는 성형부(34a)에 설치되어 있고, 배출부의 구성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어서 현상제 수납 부재(34)의 개봉이 진행하는 개봉 방향 E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 F에 복수의 개구부(35a) 및 복수의 개구부(35a)를 정의하는 연결부(35b)를 갖고 있다. 즉, 복수의 개구부(35a)는 개봉 방향 E에 수직인 방향 F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개구부(35a)는 개봉 부재(20)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피걸림 결합부(19b)는 복수의 개구부(35a)가 나열해 있는 방향과 대략 수직 방향의 밀봉 부재(19)의 일단부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봉 부재(20)는 복수의 개구부(35a)가 나열해 있는 방향과 대략 수직 방향의 밀봉 부재(19)의 일단부 측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는 실시예 1이 제1 고정부(16d)에 상당하는 개봉에 필요한 고정부(16d)를 갖고 있다. 성형부(34a)에 의해 현상제 수납 부재(34) 자체가 형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것과, 현상제 수납 부재(34)가 프레임체에 따른 형상이기 때문에 프레임체에 전체적을 유지할 수 있어 현상제 수납 부재(34)가 현상제 공급 롤러(23)나 현상 롤러(13) 쪽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다음으로 고정부의 고정의 수단으로서는 열 용착, 초음파 용착, 접착, 프레임체간에의 끼워 넣기, 열 코오킹, 초음파 코오킹, 구멍과 볼록에 의한 걸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19), 개봉 부재(20)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다.
<현상제 수납 주머니의 개봉 개요>
다음으로 현상제 수납 주머니(16)의 개봉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실시예 1과 고정부, 고정부의 위치는 거의 동일하고 힘의 관계도 동일하다. 따라서 개봉 공정도 동일하다(도 7, 도 8).
실시예 2에서 개구부(35a)는 성형부(34a)에 배치되어 있지만, 성형부(34a)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요성이며, 개봉 시의 힘의 관계는 실시예 1과 같다. 따라서 실시예 2에 있어서도 개봉이 진행하는 방향 E의 방향에서, 제1 접합부(22a)와 제2 접합부(22b)를 복수의 연결부(35b)가 걸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로 인해 제1 접합부(22a)의 개봉을 종료하여 제2 접합부(22a)가 개봉할 때에 밀봉 부재(19)를 현상제 수납 부재(34)로부터 박리하는 힘을 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2 접합부(22b)도 개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개봉 후의 현상제 배출 구성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현상제 수납 부재(34)로부터 밀봉 부재(19)를 개봉하면, 우선 개구부(35a)는 현상제 수납 부재(34)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개봉 시의 개구부(35a)의 위치가 움직임으로써, 현상제가 배출된다. 또한, 현상제 수납 부재(34)의 진동 등에 의해 개구부(35a) 부근의 현상제가 배출된다. 여기서 개봉 부재(20)는 가압 부재(21)를 겸하고 있다. 또한 가압 부재(21)의 회전축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가압 부재(21)의 단면은 사각형을 하고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21)의 회전에 의해 현상제의 배출이 촉진된다(도 19).
여기서 현상제 수납 부재(34)의 개구부(35a)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 같은 면을 가압 부재(21)가 접하고 있다. 또한 현상제 수납 부재(34)는 개구부(35a)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 다른 면은 굴곡부(34d)를 끼워서 복수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실시예 1의 효과 외에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진공 성형의 효과)
현상제 수납 부재(34)의 일부를 진공 성형에 의해 형태가 만들어져 있는 것에 의해 이하의 효과가 있다.
제1 효과로서 현상제 수납 부재(34)를 프레임체의 내측을 따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실시예 1에 나타내는 것 같은 주머니 형태로는 프레임체의 코너부에까지 주머니를 넣는 것은 어렵고, 현상제 수납 부재(34)와 제1 프레임체(17)에 간극이 생겨 그 스페이스가 유효한 현상제 수납 스페이스가 되지 않는다.
제2 효과로서 현상제 수납 부재(34)가 프레임체에 따른 형상으로 되므로 프레임체에의 내장이 용이하게 된다. 이것은 내장 시에 프레임체에 압입하여 형상을 맞추는 것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제3 효과로서 현상제 수납 부재(34)가 현상제 공급 롤러(23)나 현상 롤러(13) 쪽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은, 진공 성형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수납 부재(34) 자체가 형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것과, 현상제 수납 부재(34)가 프레임체에 따른 형상이기 때문에, 현상제 수납 부재(34)가 프레임체에 전체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실시예 1에서 나타내는 것 같은 현상제 공급 롤러(23)나 현상 롤러(13) 쪽으로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제2 고정부를 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35a)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 같은 면(34f)을 누르는 효과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현상제 수납 부재(34)는 진공 성형에 의해 복수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면과 면과의 사이에 굴곡부(34d)가 존재하고 있다. 현상제 수납 부재(34)의 면은 굴곡부로 둘러싸인 부분으로서 정의한다. 여기서 개구부(35a)를 포함하는 면(34f)을 가압했을 경우와 개구부(35a)를 포함하지 않는 면(34e)을 가압했을 경우의 효과의 차를 설명한다. 면(34e)은 개구부(35a)를 포함하는 면(34f)에 대하여 굴곡부(34d)를 끼운 면이다. 가압 부재(21)에 의해 가압된 면(34e)이 받는 힘은 굴곡부(34d)를 경유한다. 개구부(35a)를 포함하는 면에 오기 전에 굴곡부(34d)에서 크게 감쇠해 버린다. 그로 인해 직접 개구부(35a)를 갖는 면(34f)을 가압했을 경우에 비해 개구부(35a)를 움직이게 하는 힘도 작아진다. 그 때문에 개구부(35a)를 움직이게 하여 현상제를 배출하는 작용이 작아진다. 따라서 가압 부재(21)는 개구부(35a)를 포함하는 면(34f)을 가압한 쪽이 효율적으로 내부의 현상제의 배출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현상제의 체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개봉 부재(20)가 겸하고 있는 가압 부재(21)의 회전에 의해 현상제 수납 부재(34)를 제2 프레임체(18)에 가압하도록 가압함으로써 현상제 수납 부재(34)를 변형시켜서 개구부(35a)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내부의 현상제를 배출한다. 또한 개구부(35a)도 복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개구부보다 배출하기 쉽다. 또한 개구부(35a)는 화상 형성 시의 자세로 중력 방향으로 하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현상제를 배출하기 쉽다.
<실시예 3>
(개봉 부재, 가압 부재, 교반 부재가 각각 별도인 예)
도 35, 도 36을 사용하여 가압 부재(21)와 개봉 부재(20), 교반 부재(41)가 각각 별도의 부재일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35는 개봉 전, 도 36은 개봉 후의 개략 단면도이다. 여기서 가압 부재(21)와 개봉 부재(20), 교반 부재(41)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제1 프레임체(17)에 지지되어 있고, 화상 형성 장치(B) 본체로부터의 구동을 받아서 회전한다. 개봉 공정은 개봉 부재(20)가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밀봉 부재(19)가 권취되어 개구부(35a)가 노출된다. 또한 가압 부재(21)의 회전에 수반하여 현상제 수납 부재(34)를 가압함으로써 현상제 수납 부재(34)를 변형시켜 현상제 수납 부재(34) 내부로부터의 토너의 배출을 촉진한다. 또한 교반 부재(41)가 회전함으로써 현상제 수납 부재(34)로부터 배출된 토너를 교반할 수 있다. 이렇게 가압 부재(21)와 개봉 부재(20), 교반 부재(41)가 각각 별도의 부재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회전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4>
(개봉 동작이 회전 이외인 예)
도 37, 도 38을 사용하여 개봉 부재(20)가 회전이 아니고, 고정부(18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35a)를 노출할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개봉 부재(20)의 양단부는 제1 프레임체(1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개봉 부재(20)는 화상 형성 장치(B) 본체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움직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개봉 부재(20)가 화살표 C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개봉 부재(20)의 이동에 수반하여 밀봉 부재(19)가 화살표 D 방향으로 당겨져 용착부(22a, 22b)를 박리하여 개구부(35a)를 노출시킨다. 또한 슬라이드 방향 C2는 직선에 한하지 않고 원호 형상 등이어도, 개봉 부재(20)가 고정부(19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 된다.
또한 개봉 부재(20)는 개봉 후에도 반복하여 왕복 운동을 행함으로써 배출 시의 가압 부재(21)로서 겸용하는 것이나, 배출 후의 토너의 교반 부재로서 겸용해도 된다(도 39).
이렇게 개봉 부재(20)의 동작을 회전 이외에도 밀봉 부재(19)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적절히 개봉 부재(20)의 동작하는 구성을 선택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5>
(사용자에 의한 개봉 동작,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개봉 동작의 예)
개봉 부재(20)를 사용하지 않고 밀봉 부재(19)의 일부, 또는 밀봉 부재(19)에 연결한 부재를 사용자가 당김으로써 개구부(35a)를 노출시켜도 된다. 도 45,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19)가 제1 프레임체의 개구부(17a)를 통해 프로세스 카트리지(A)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하 밀봉 부재 파지부(19e)라고 함)을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17a)에는 토너가 외부에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시일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밀봉 부재 작용부(19e)를 사용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A)의 사용 전에 화살표 C3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개구부(35a)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 파지부(19e)에 파지하기 쉽도록 별도의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사용자의 손을 괴롭히지 않도록 밀봉 부재 파지부(19e)를 화상 형성 장치(B) 본체에 구동 수단을 설치하여 당겨 개구부(35a)를 노출시켜도 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A)를 화상 형성 장치(B)에 장착할 때의 장착 동작으로 밀봉 부재 파지부(19e)를 이동시켜 개구부(35a)를 노출시켜도 된다. 그리고 개구부(35a)를 노출시킨 후에는 가압 부재(21)를 회전시켜서 가압 시트(21b)로 현상제 수납 부재(34)를 가압하여 내포한 현상제를 배출시킨다(도 40).
<실시예 6>
(보급계 구성에 사용한 예)
현상제 주머니(16)와 현상제 주머니(16)를 덮는 보급 프레임체(42)를 일체적으로 보급 유닛(43)으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A2)에 제거 가능하게 구성한 예를 설명한다. 도 47, 도 4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 유닛(43)은 보급 프레임체(42)와 개봉 부재(20)와 밀봉 부재(19)를 가진 현상제 주머니(16)로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A2)는, 감광체 드럼(11)의 주위에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12), 그리고 클리닝 수단으로서 탄성을 갖는 클리닝 블레이드(14)를 갖는 클리너 유닛(24), 현상 장치(38)를 구비하고 있다. 현상 장치(38)는 현상 수단인 현상 롤러(13)와 현상 블레이드(15), 현상제 공급 롤러(23), 그리고 보급 유닛(43)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보급 유닛(43)을 프로세스 카트리지(A2)에 장착하고, 일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B)의 본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A2)를 화상 형성 장치(B) 본체 내에 장착한 채로 보급 유닛(43)을 교환 가능하게 해도 된다.
여기서 개봉 부재(20)가 화살표 C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밀봉 부재(19)는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35a)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밀봉 부재(19)를 현상제 주머니(16)로부터 박리 후는 개봉 부재(20)와 겸용하고 있는 가압 부재(21)로 현상제 주머니(16)를 가압해 토너를 배출한다(도 49).
이렇게 현상제 주머니(16)를 내포한 보급 유닛(43)을 교환함으로써 토너를 보급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A2)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7>
(현상제 주머니(16) 내의 현상제 순환 작용 활성화)
이어서, 도 19, 도 41, 도 42, 도 43, 도 44를 사용하여 현상제 주머니(16) 내의 현상제 순환 작용을 활성화시키는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1은, 현상 장치(38)의 가압 부재(21)의 회전 중심축에 수직한 단면도이다.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상제 주머니(16) 내의 현상제 순환은, 현상제 주머니(16)가 변형함으로써 일어나는 것은 먼저 설명하였다. 여기서, 실시예 2에서 설명한 성형품(34)을 사용한 경우, 현상제 주머니(16)의 형상이, 프레임체(17)와 같은 형상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에 의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주머니(16)와 프레임체(17)가 밀착하는 영역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가압 부재(21)에 의한 현상제 주머니(16)의 변형 가능 영역이 제한되고, 그 결과 현상제 주머니(16)의 현상제 순환도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현상제 주머니(16) 내의 현상제 순환 작용이 보다 필요한 경우에는,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주머니(16)의 개구를 갖는 면(34f)과 굴곡부(34d)를 끼워서 연속한 면(34e)과, 프레임체(17)의 사이에 간극(α)을 설치한다. 이 간극(α)은 현상제 주머니(16)를 진폭시키는 양에 따라서 설정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간극(α)을 가압 부재(21)에 의한 현상제 주머니(16)의 진폭 이상의 값으로 설정했을 때는, 전술한 현상제의 순환 작용은, 현상제 주머니(16)의 진폭에 비례하므로 현상제의 순환 작용은 최대한 발휘된다. 그러나, 이 경우 간극(α)에 의해 발생한 용적만큼, 현상제의 수용량이 제한된다. 이어서, 상기 간극(α)을 현상제 주머니(16)의 진폭 미만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현상제의 순환 작용은 제한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현상제 주머니(16)의 진폭 이상의 간극(α)을 둔 경우에 비하여, 간극(α)이 감소한 만큼 현상제의 수납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간극(α)의 값은, 구하는 현상제 주머니(16) 내의 현상제 순환 작용과, 수납하고자 하는 현상제의 양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또한,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를 갖는 면(34f)과 상기 개구를 갖는 면과 상관한 면(34h)의 사이를 향해서, 상기 간극(α)을 작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간극(α)은, 개구부를 형성하는 면(34f)에 접근할수록,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 쪽이, 개구를 갖는 면(34f)과 굴곡부(34d)를 끼워서 연속한 면(34e) 전역에 간극(α)을 설치하는 구성보다, 현상제 주머니(16) 내의 현상제 순환과 현상제의 수납량의 밸런스를 보다 쉽게 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굴곡부(34d)는 면으로 구성된 것(도 51의 (b)), 복수의 면으로 구성된 것(도 51의 (d)), 또한 곡률이 0에 가까운 작은 것(도 51의 (a))으로부터 곡률이 큰 것(도 51의 (c))까지 적절히 선정해도 된다.
이상, 가압 부재(21)의 회전 중심축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의 간극(α)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음으로 도 42, 도 43, 도 44를 사용하여, 가압 부재(21)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의 간극(β)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2는, 현상제 수납 용기(30)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도 41에 나타내는 V-V선 단면이다. 도 44는, 도 41에 나타내는 프레임체(17)만을 V-V선에서 커트한 사시도이다.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를 갖는 면(34f)과 굴곡부(34d)를 끼워서 연속한 면(34e 및 34g)은 가압 부재(21) 회전 중심축 방향의 양측과 통기부(34b)와 대향하는 면 3면이 있다.
여기서,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21)의 회전 중심축의 길이 방향의 면(34g)과 프레임체(17)의 사이에 각각 간극을 설치하고 있다. 간극의 설정의 방법은 전술한 가압 부재의 회전축 중심축과 수직한 단면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현상제 순환 작용에 대해서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작용과 마찬가지이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현상제 주머니(16) 내의 현상제의 순환을 보다 활성화할 수 있는 현상제 수납 용기, 현상제 수납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48)

  1.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이며,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상기 현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 가요성 용기와,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용기에 설치되며, 개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밀봉 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개봉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용기는, 상기 밀봉 부재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의 형상을 변화시키면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끝에서 끝까지의 길이는, 상기 개봉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끝에서 끝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개봉 방향의 일단부 측에 자유 단부를 갖고, 상기 자유 단부에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봉 부재에 걸어 결합되는 피걸림 결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4. 화상 형성에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 용기이며,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수납된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가요성 용기와,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용기에 설치되며, 개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밀봉 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개봉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용기는, 상기 밀봉 부재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의 형상을 변화시키면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끝에서 끝까지의 길이는, 상기 개봉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끝에서 끝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개봉 방향의 일단부 측에 자유 단부를 갖고, 상기 자유 단부에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봉 부재에 걸어 결합되는 피걸림 결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봉 부재는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피걸림 결합부와 걸어 결합하고 있는 걸림 결합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8.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이며,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상기 현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 가요성 용기와,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용기에 설치되며,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밀봉 부재와,
    상기 복수의 개구부가 나열해 있는 방향과 수직 방향의 상기 밀봉 부재의 일단부 측에 설치된 피걸림 결합부를 갖고,
    상기 가요성 용기는, 상기 밀봉 부재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의 형상을 변화시키면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주머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두께는 0.03㎜ 내지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통기성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14. 현상제 수납 유닛이며,
    수납한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가요성 용기와,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용기에 설치되며, 개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밀봉 부재를 갖는 현상제 수납 용기와,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봉 부재와,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와 상기 개봉 부재를 수납하는 프레임체를 갖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개봉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용기는, 상기 밀봉 부재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체에 대해 상기 개구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끝에서 끝까지의 길이는, 상기 개봉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끝에서 끝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부재는, 상기 프레임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부재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밀봉 부재를 둘러 감아,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가요성 용기로부터 박리하여 상기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
  18. 화상 형성에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 유닛이며,
    상기 현상제 수납 유닛은,
    수납한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가요성 용기와,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용기에 설치되며, 개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밀봉 부재를 갖는 현상제 수납 용기와,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봉 부재와,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와 상기 개봉 부재를 수납하는 프레임체를 갖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노출이 진행되는 상기 개봉 부재의 회전축을 따라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용기는, 상기 밀봉 부재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체에 대해 상기 개구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끝에서 끝까지의 길이는, 상기 회전축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끝에서 끝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
  20. 현상제 수납 유닛이며,
    화상 형성에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납한 현상제 수납 용기로서, 수납한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가요성 용기와,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용기에 설치되며, 개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밀봉 부재를 갖는, 현상제 수납 용기와,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봉 부재와,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와 상기 개봉 부재를 수납하는 프레임체를 갖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가 나열해 있는 방향과 수직 방향의 상기 밀봉 부재의 일단부 측에,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개봉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용기는, 상기 밀봉 부재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체에 대해 상기 개구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부재는, 상기 프레임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부재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밀봉 부재를 둘러 감아,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가요성 용기로부터 박리하여 상기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
  23. 제14항에 있어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상기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주머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두께는 0.03㎜ 내지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
  2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통기성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
  2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
  29.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이며,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상기 현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 가요성 용기와,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용기에 설치되며,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밀봉 부재를 갖고,
    상기 가요성 용기는, 상기 밀봉 부재를 제거하여 상기 개구부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노출이 행해지는 경우,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30.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이며,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상기 현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가요성 용기와,
    상기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용기에 설치되며, 개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밀봉 부재와,
    상기 밀봉 부재의 개봉 방향을 따라서 상기 개구부의 상류 측의 단과 하류 측의 단을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를 갖고,
    상기 가요성 용기는, 상기 밀봉 부재를 제거하여 상기 개구부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개구부의 노출이 행해지는 경우,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31. 제29항에 있어서,
    개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제1 거리는 상기 개봉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제2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접합하는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 중 하나는 상이한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는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 중 하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35.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수납한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가요성 용기와,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용기에 설치되며, 개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밀봉 부재를 갖는 현상제 수납 용기와,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봉 부재와,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와 상기 개봉 부재를 수납하는 프레임체를 갖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개봉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용기는, 상기 밀봉 부재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6. 화상 형성 장치이며,
    수납한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가요성 용기와,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용기에 설치되며, 개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밀봉 부재를 갖는 현상제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과,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봉 부재와,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와 상기 개봉 부재를 수납하는 프레임체와,
    화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상제 수납 유닛으로부터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 유닛을 갖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개봉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용기는, 상기 밀봉 부재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체에 대해 상기 개구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7. 현상 장치이며,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 가요성 용기와, 복수의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용기에 설치되며, 개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밀봉 부재를 갖는 현상제 수납 용기와,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봉 부재와,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와 상기 개봉 부재를 수납하는 프레임체를 갖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개봉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용기는, 상기 밀봉 부재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체에 대해 상기 개구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8.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현상제 수납 용기이며,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 가요성 용기와,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용기에 설치되며,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밀봉 부재를 갖고,
    상기 가요성 용기는, 상기 밀봉 부재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의 형상을 변화시키면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39. 제38항에 있어서,
    개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제1 거리는 상기 개봉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제2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개봉 방향의 일단부 측에 자유 단부를 갖고,
    상기 자유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피걸림 결합부를 구비한 개봉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주머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두께는 0.03㎜ 내지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4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통기성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45.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납 용기.
  46. 현상 장치이며,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제38항에 따른 현상제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47.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현상제 상(developer image)을 담지하기 위한 상 담지체와, 제38항에 따른 현상제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8. 화상 형성 장치이며,
    제38항에 따른 현상제 수납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47003141A 2011-07-14 2012-07-13 현상제 수납 용기, 현상제 수납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1682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55832 2011-07-14
JP2011155832 2011-07-14
JP2012142181A JP5420024B2 (ja) 2011-07-14 2012-06-25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JP-P-2012-142181 2012-06-25
PCT/JP2012/068530 WO2013008954A1 (ja) 2011-07-14 2012-07-13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229A KR20140033229A (ko) 2014-03-17
KR101682283B1 true KR101682283B1 (ko) 2016-12-05

Family

ID=4750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141A KR101682283B1 (ko) 2011-07-14 2012-07-13 현상제 수납 용기, 현상제 수납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213263B2 (ko)
EP (1) EP2733544B1 (ko)
JP (1) JP5420024B2 (ko)
KR (1) KR101682283B1 (ko)
CN (2) CN107179662B (ko)
BR (1) BR112013030629A2 (ko)
IN (1) IN2014CN01074A (ko)
MY (1) MY173756A (ko)
RU (1) RU2582479C2 (ko)
TW (1) TWI488013B (ko)
WO (1) WO20130089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6162B2 (ja) * 2012-09-10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289172B2 (ja) * 2013-05-23 2018-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028594A (ja) * 2013-06-24 2015-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584062B2 (ja) 2014-10-27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再生産方法
JP6604757B2 (ja) 2015-06-30 2019-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ル部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747011B2 (ja) 2016-03-31 2020-08-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6665635B2 (ja) 2016-03-31 2020-03-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753112B2 (ja) 2016-03-31 2020-09-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剤収容ユニット
US20170285522A1 (en) * 2016-04-04 2017-10-05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Shipping Toner Bags
US10162288B2 (en) 2016-09-23 2018-12-25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System and method of remanufacturing a toner container
US9946199B1 (en) 2016-09-23 2018-04-17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System and method of filling a toner container
JP2019074616A (ja) 2017-10-16 2019-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部材、現像剤収容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179070A (ja) 2018-03-30 2019-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9179072A (ja) * 2018-03-30 2019-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7302239B2 (ja) * 2019-04-01 2023-07-0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4407380A2 (en) * 2019-09-17 2024-07-31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image form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4000A (en) * 1957-05-15 1959-09-15 Century Geophysical Corp Magnetic-brush developer
US4615608A (en) * 1983-10-31 1986-10-0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JPS62118247U (ko) * 1986-01-20 1987-07-27
US5030998A (en) * 1989-05-31 1991-07-09 Mita Industrial Co., Ltd. Toner cartridge having easily removable toner supply opening seal member
JPH0466980A (ja) 1990-07-04 1992-03-03 Canon Inc 現像剤供給装置
JPH0469980A (ja) 1990-07-11 1992-03-05 Hitachi Ltd 半導体装置
US5142335A (en) * 1990-11-26 1992-08-25 Mita Industrial Co., Ltd. Electrostatic latent image-developing device and toner cartridge used therefor
JPH05142940A (ja) * 1991-11-18 1993-06-11 Ricoh Co Ltd 現像剤補給装置
KR0127279B1 (ko) * 1992-07-24 1997-12-29 사또 후미오 전자사진장치용 용기 및 현상장치
JPH0744004A (ja) * 1993-07-31 1995-02-14 Kao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744006A (ja) * 1993-07-31 1995-02-14 Kao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387596B2 (ja) * 1993-12-28 2003-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受け入れ装置
EP0736818A1 (en) 1995-04-03 1996-10-09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method, toner accommodation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314247A (ja) * 1995-05-16 1996-11-29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737675A (en) * 1995-07-31 1998-04-07 Mita Industrial Co. Ltd. Toner supply device including toner cartridge and guide
JPH09106156A (ja) * 1995-10-09 1997-04-22 Canon Inc 現像剤容器、袋状シート及び現像剤充填装置
JP3172070B2 (ja) 1995-11-29 2001-06-0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658081B2 (ja) * 1996-03-27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H09269640A (ja) * 1996-03-29 1997-10-14 Mita Ind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CN1163425A (zh) * 1996-03-29 1997-10-29 三田工业株式会社 上色剂盒
US6208817B1 (en) 1998-10-26 2001-03-2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3967078B2 (ja) * 2000-02-29 2007-08-29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および該容器の組み立て方法
JP2002006602A (ja) * 2000-06-26 2002-01-11 Canon Inc トナーシールの再取り付け方法
US6922540B2 (en) * 2001-10-03 2005-07-26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kit
JP2003241494A (ja) * 2002-02-15 2003-08-27 Ricoh Co Ltd 収容部材、現像剤収容器、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ユニット
JP2003263014A (ja) * 2002-03-07 2003-09-19 Sharp Corp トナー補給容器
TW588808U (en) * 2002-05-02 2004-05-21 Gen Plastic Ind Co Ltd Fixing mechanism of auxiliary apparatus for opening sealing of image display cartridge
JP2004191851A (ja) * 2002-12-13 2004-07-08 Ricoh Co Ltd トナー攪拌装置、トナー搬送装置、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JP2006178187A (ja) * 2004-12-22 2006-07-06 Ricoh Co Ltd トナー収容体、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98147B2 (ja) * 2005-06-01 201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JP2007293000A (ja) * 2006-04-25 2007-11-08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コンテナ
WO2007136132A1 (ja) * 2006-05-23 2007-11-29 Canon Kabushiki Kaisha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5554963B2 (ja) * 2009-10-30 2014-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8954A1 (ja) 2013-01-17
CN103649845A (zh) 2014-03-19
EP2733544A1 (en) 2014-05-21
JP2013037345A (ja) 2013-02-21
EP2733544B1 (en) 2021-09-08
RU2582479C2 (ru) 2016-04-27
JP5420024B2 (ja) 2014-02-19
TW201303529A (zh) 2013-01-16
BR112013030629A2 (pt) 2016-12-13
US20130308979A1 (en) 2013-11-21
US9213263B2 (en) 2015-12-15
KR20140033229A (ko) 2014-03-17
CN107179662A (zh) 2017-09-19
CN103649845B (zh) 2017-08-08
EP2733544A4 (en) 2015-07-29
TWI488013B (zh) 2015-06-11
IN2014CN01074A (ko) 2015-04-10
RU2014105465A (ru) 2015-08-20
CN107179662B (zh) 2020-12-01
MY173756A (en)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283B1 (ko) 현상제 수납 용기, 현상제 수납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1659253B1 (ko) 현상제 수납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1672604B1 (ko) 현상제 수납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장치
JP5808233B2 (ja)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771797B2 (ja) 現像装置、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WO2013008953A1 (ja)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752861B2 (ja)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045477B2 (ja)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921167B2 (ja)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4032425A (ja)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5108683A (ja) 容器、現像剤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