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196B1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2196B1 KR101672196B1 KR1020150080542A KR20150080542A KR101672196B1 KR 101672196 B1 KR101672196 B1 KR 101672196B1 KR 1020150080542 A KR1020150080542 A KR 1020150080542A KR 20150080542 A KR20150080542 A KR 20150080542A KR 101672196 B1 KR101672196 B1 KR 1016721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line
- calorific value
- fuel gas
- gas f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15—Mixtures of gaseous fuels; Natural gas; Biogas; Mine gas; Landfill ga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9—Layout of the fuel vapour instal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1—Purifying the fluid
- F17C2265/015—Purifying the fluid by separ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6—Fluid distribution for feeding engines for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은 액화가스 및 증발가스를 수용하는 저장탱크, 저장탱크의 증발가스를 가압하는 압축부를 구비하는 증발가스 공급라인, 압축부를 통과하여 가압된 증발가스를 제1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1가스흐름과 제2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2가스흐름으로 분리하는 질소분리기, 제1가스흐름을 제1엔진으로 공급하는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 및 제2가스흐름을 공급받아 재액화시키는 재액화라인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가스의 효율적인 이용 및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선박용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실가스 및 각종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에 대한 국제해사기구(IMO)의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조선 및 해운업계에서는 기존 연료인 중유, 디젤유의 이용을 대신하여, 청정 에너지원인 천연가스를 선박의 연료가스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천연가스(Natural Gas)는 통상적으로 저장 및 수송의 용이성을 위해, 천연가스를 약 섭씨 -162도로 냉각해 그 부피를 1/600로 줄인 무색 투명한 초저온 액체인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로 상 변화하여 관리 및 운용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액화천연가스는 선체에 단열 처리되어 설치되는 저장탱크에 수용되어 저장 및 수송된다. 그러나 액화천연가스를 완전히 단열시켜 수용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외부의 열이 저장탱크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전달되어 액화천연가스가 자연적으로 기화하여 발생되는 증발가스가 저장탱크의 내부에 축적되게 된다. 증발가스는 저장탱크의 내부압력을 상승시켜 저장탱크의 변형 및 훼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증발가스를 처리 및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저장탱크의 상측에 마련되는 벤트마스트(Vent mast)로 증발가스를 흘려 보내거나, GCU(Gas Combustion Unit)을 이용하여 증발가스를 태워버리는 방안 등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는 에너지 효율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증발가스를 액화천연가스와 함께 또는 각각 선박의 엔진에 연료가스로 공급하거나, 냉동 사이클 등으로 이루어지는 재액화장치를 이용해 증발가스를 재액화시켜 활용하는 방안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천연가스는 메탄(Methane) 외에도 에탄(Ethane), 프로판(Propane), 부탄(Butane), 질소(Nitrogen) 등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이 중에서 질소의 끓는 점은 섭씨 약 -195.8도로서, 그 외의 성분인 메탄(끓는 점 섭씨 -161.5도), 에탄(끓는 점 섭씨 -89도) 등에 비해 매우 낮다.
이에 따라 저장탱크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기화하여 발생하는 증발가스는 상대적으로 끓는 점이 낮은 질소성분을 많이 함유하게 되고, 이는 증발가스의 재액화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어 증발가스의 활용 및 처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증발가스를 선박의 엔진 등에 연료가스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증발가스의 질소성분이 연료가스의 발열량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바, 증발가스의 재액화 효율 및 연료가스 발열량을 향상시키되, 연료가스의 효율적인 인용 및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증발가스의 재액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연료가스를 효율적으로 이용 및 관리할 수 있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효과적으로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단순한 구조로서 효율적인 설비 운용을 도모할 수 있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 및 증발가스를 수용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증발가스를 가압하는 압축부를 구비하는 증발가스 공급라인, 상기 압축부를 통과하여 가압된 증발가스를 제1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1가스흐름과 제2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2가스흐름으로 분리하는 질소분리기, 상기 제1가스흐름을 제1엔진으로 공급하는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 및 상기 제2가스흐름을 공급받아 재액화시키는 재액화라인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질소분리기는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액화라인은 상기 제2가스흐름을 상기 압축부 전단의 증발가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하여 열교환된 상기 제2가스흐름을 감압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여 감압된 상기 제2가스흐름을 기체 성분과 액체 성분으로 분리하는 기액분리기와,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제2가스흐름의 액체 성분을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액화가스 회수라인 및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제2가스흐름의 기체 성분을 상기 저장탱크 또는 상기 증발가스 공급라인 상의 상기 압축부 전단으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회수라인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의 중단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압축부에 의해 가압된 증발가스를 제2엔진 또는 GCU(Gas Combustion Unit)로 공급하는 제2연료가스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은 증발가스의 재액화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은 연료가스를 효율적으로 이용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은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효과적으로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은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은 단순한 구조로서 효율적인 설비 운용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100)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100)은 저장탱크(110), 저장탱크(110)의 증발가스를 가압하는 압축부(121)를 구비하는 증발가스 공급라인(120), 압축부(121)에 의해 가압된 증발가스에 함유된 질소성분을 분리하는 질소분리기(130), 질소분리기(130)에 의해 분리된 제1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1가스흐름을 제1엔진으로 공급하는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 질소분리기(130)에 의해 분리된 제2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2가스흐름을 재액화시키는 재액화라인(140), 압축부(121) 중단으로부터 분기되어 압축부(121)에 의해 일부 가압된 증발가스를 제2엔진 또는 GCU(Gas Combustion Unit)로 공급하는 제2연료가스 공급라인(170), 제1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측정 및 조절하는 발열량 조절부(160)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로서, 액화천연가스 및 이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화에탄가스, 액화탄화수소가스 등 다양한 액화가스 및 이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기술적 사상으로 동일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저장탱크(110)는 액화천연가스 및 이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수용 또는 저장하도록 마련된다. 저장탱크(110)는 외부의 열 침입에 의한 액화천연가스의 기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단열 처리된 멤브레인 타입의 화물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탱크(110)는 천연가스의 생산지 등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수용 또는 저장하여 목적지에 이르러 하역하기까지 액화천연가스 및 증발가스를 안정적으로 보관하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박의 추진용 엔진 또는 선박의 발전용 엔진 등의 연료가스로 이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장탱크(110)는 일반적으로 단열 처리되어 설치되나, 외부의 열 침입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우므로, 저장탱크(110) 내부에는 액화천연가스가 자연적으로 기화하여 발생하는 증발가스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증발가스는 저장탱크(110)의 내부압력을 상승시켜 저장탱크(110)의 변형 및 폭발 등의 위험을 잠재하고 있으므로 증발가스를 저장탱크(110)로부터 제거 또는 처리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저장탱크(110) 내부에 발생된 증발가스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 또는 제2연료가스 공급라인(170)에 의해 엔진의 연료가스로 이용되거나 재액화라인(140)에 의해 재액화되어 저장탱크(110)로 재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저장탱크(110)의 상부에 마련되는 벤트 마스트(미도시)로 공급하여 증발가스를 처리 또는 소모시킬 수도 있다.
엔진은 저장탱크(110)에 수용된 액화천연가스 및 증발가스 등의 연료가스를 공급받아 선박의 추진력을 발생시키거나 선박의 내부 설비 등의 발전용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엔진은 상대적으로 고압의 연료가스를 공급받아 출력을 발생시키는 제1엔진과, 상대적으로 저압의 연료가스를 공급받아 출력을 발생시키는 제2엔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엔진은 상대적으로 고압의 연료가스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ME-GI 엔진 또는 X-DF 엔진으로 이루어지고, 제2엔진은 상대적으로 저압의 연료가스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DFDE 엔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수의 엔진 및 다양한 종류의 엔진이 이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증발가스 공급라인(120)은 저장탱크(110)에 존재하는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제2엔진에 연료가스로서 공급하거나, 질소분리기(130)를 거쳐 제1엔진 및 재액화라인(140)에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증발가스 공급라인(120)은 입구 측 단부가 저장탱크(110)의 내부에 연결되어 마련되고, 출구 측 단부는 후술하는 질소분리기(130)를 거쳐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 및 재액화라인(140)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증발가스 공급라인(120)에는 증발가스를 엔진이 요구하는 조건에 맞추어 처리할 수 있도록 복수단의 컴프레서(121a)를 구비하는 압축부(121)가 마련된다.
압축부(121)는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121a)와 압축되면서 가열된 증발가스를 냉각시키는 쿨러(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엔진이 서로 다른 압력조건을 갖는 복수개의 엔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압축부(121)의 중단부로부터 후술하는 제2연료가스 공급라인(170)이 분기되어 제2엔진 또는 GCU로 일부 가압된 증발가스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압축부(1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축부(121)에 의해 가압된 증발가스가 질소분리기(130)를 통과하면서 그 압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제1엔진이 요구하는 연료가스 압력조건보다 소정의 크기 더 높은 압력으로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압축부(121)가 5단의 컴프레서(121a) 및 쿨러(121b)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로서 엔진의 요구 압력조건 및 온도에 따라 압축부(121)는 다양한 수의 컴프레서(121a) 및 쿨러(12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증발가스 공급라인(120) 상의 압축부(121) 전단에는 후술하는 재액화라인(140)의 열교환부(14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질소분리기(130)는 압축부(121)를 통과하여 가압된 증발가스에 함유된 질소성분을 분리하도록 증발가스 공급라인(120)의 출구 측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질소분리기(130)는 가압된 증발가스를 제1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1가스흐름 및 상대적으로 제2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2가스흐름으로 분류하여, 제1가스흐름을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으로 공급하여 제1엔진에 연료가스로 이용되도록 하고, 제2가스흐름은 후술하는 재액화라인(140)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제1농도의 질소성분 및 제2농도의 질소성분은 각각 고농도의 질소성분 및 저농도의 질소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1농도의 질소성분은 제2농도의 질소성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농도의 질소성분을 가지며, 제2농도의 질소성분은 제1농도의 질소성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저농도의 질소성분을 갖는다. 제1농도 및 제2농도는 특정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농도와 제2농도 간의 농도 차이에 따른 상대적인 의미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천연가스는 주성분인 메탄(Methane) 외에도 에탄(Ethane), 프로판(Propane), 부탄(Butane), 질소(Nitrogen) 등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이 중 질소의 끓는 점은 섭씨 약 -195.8도로서, 그 외의 성분인 메탄(끓는 점 섭씨 -161.5도), 에탄(끓는 점 섭씨 -89도) 등에 비해 매우 낮다. 이에 따라 저장탱크(110)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기화하여 발생하는 자연증발가스는 끓는 점이 낮은 질소성분이 많이 기화되어 질소성분을 많이 함유하게 된다. 이러한 증발가스를 재액화하고자 하는 경우 질소성분은 끓는 점이 낮아 재액화가 매우 어려우므로, 증발가스의 질소성분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재액화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질소분리기(130)가 증발가스 공급라인(120)을 통과하여 가압된 증발가스에 함유된 질소성분을 분리하여, 제1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1가스흐름은 제1엔진의 연료가스로 공급하되, 제2농도의 질소성분을 재액화라인(140)으로 공급함으로써, 재액화라인(140)의 증발가스 재액화 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질소분리기(130)는 멤브레인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는 질소성분과의 친화도가 높은 물질을 구비하고, 가압된 증발가스가 그 압력에 의해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질소성분은 멤브레인 필터에 의해 걸러져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으로 공급되고, 메탄 등 질소 외의 성분은 그대로 통과하여 재액화라인(14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은 질소분리기(130)에 의해 분리된 제1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1가스흐름을 제1엔진에 연료가스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된 증발가스는 질소분리기(130)를 거치면서 상대적으로 고농도인 제1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1가스흐름 및 상대적으로 저농도인 제2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2가스흐름으로 분리되는 바,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은 이 중 재액화 효율이 떨어지는 제1가스흐름을 공급받아 제1엔진에 연료가스로서 공급 및 이용함으로써, 연료가스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함과 동시에 제2가스흐름의 재액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재액화라인(140)은 질소분리기(130)에 의해 분리되어 제2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2가스흐름을 공급받아 재액화시키도록 마련된다. 재액화하고자 하는 증발가스에 질소 함량이 많을수록 질소성분의 낮은 끓는 점으로 인해 증발가스의 재액화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바, 재액화라인(140)은 질소분리기(130)에 의해 분리된 저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2가스흐름을 공급받아 재액화시키도록 마련되어, 증발가스의 재액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재액화라인(140)은 질소분리기(130)에 의해 분리된 제2가스흐름을 열교환 및 냉각시키는 열교환부(141), 열교환부(141)를 통과한 제2가스흐름을 감압시키는 팽창밸브(142), 팽창밸브(142)를 통과하여 감압된 제2가스흐름을 수용하는 기액분리기(143), 기액분리기(143)에서 분리된 액체 성분을 저장탱크(110)로 재공급하는 액화가스 회수라인(144) 및 기액분리기(143)에서 분리된 기체 성분을 저장탱크(110) 또는 증발가스 공급라인(120) 측으로 재공급하는 증발가스 회수라인(145)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부(141)는 재액화라인(140)으로 공급되는 제2가스흐름과 증발가스 공급라인(120)을 따라 이송되는 압축부(121) 전단의 증발가스가 서로 열교환하도록 마련된다. 제2가스흐름은 압축부(121)에 의해 가압되어 온도 및 압력이 상승한 상태이므로, 증발가스 공급라인(120)의 압축부(121)를 통과하기 전의 저온의 증발가스와 서로 열교환함으로써, 재액화라인(140)을 따라 흐르는 가압된 제2가스흐름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냉각장치 없이도 압축부(121) 및 질소분리기(130)를 통과하여 가압된 제2가스흐름을 증발가스 공급라인(120)을 통과하는 저온의 증발가스와 열교환하여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설비가 단순화되어, 설비 운용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팽창밸브(142)는 열교환부(141)의 후단에 마련될 수 있다. 팽창밸브(142)는 압축부(121), 질소분리기(130) 및 열교환부(14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가압 및 냉각된 제2가스흐름을 감압하여 추가적으로 냉각 및 팽창시켜 제2가스흐름을 재액화시킬 수 있다. 팽창밸브(142)는 일 예로 줄-톰슨 밸브(Joule-Thomson Valve)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액분리기(143)는 팽창밸브(142)를 통과하면서 냉각 및 감압되어 재액화된 제2가스흐름을 수용하여 재액화된 제2가스흐름의 액체 성분 및 기체 성분을 분리하도록 마련된다. 제2가스흐름은 팽창밸브(142)를 통과 시 대부분 재액화가 이루어지기는 하나, 감압하는 과정에서 플래쉬 가스(Flash Gas)가 발생함으로써 기체 성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부(141) 및 팽창밸브(142)를 통과하여 기액분리기(143)로 공급된 제2가스흐름 중 분리된 액체 성분은 후술하는 액화가스 회수라인(144)을 통해 저장탱크(110)로 재공급하고, 분리된 기체 성분은 후술하는 증발가스 회수라인(145)에 의해 저장탱크(110) 또는 증발가스 공급라인(120)으로 재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액화가스 회수라인(144)은 기액분리기(143)에 의해 분리된 증발가스의 액체 성분을 저장탱크(110)로 재공급하도록 기액분리기(143)와 저장탱크(1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액화가스 회수라인(144)은 그 입구 측 단부가 기액분리기(143)의 하측에 연통되어 마련되고, 출구 측 단부가 저장탱크(110)의 내부에 연통되어 마련될 수 있다. 액화가스 회수라인(144)에는 저장탱크(110)로 회수되는 재액화된 제2가스흐름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개폐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증발가스 회수라인(145)은 기액분리기(143)에 의해 분리된 증발가스의 기체 성분을 저장탱크(110) 또는 증발가스 공급라인(120)으로 재공급하도록 기액분리기(143)와 저장탱크(110) 또는 기액분리기(143)와 증발가스 공급라인(1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증발가스 회수라인(145)이 기액분리기(143) 내부의 기체 성분이 증발가스 공급라인(120) 상의 압축부(121) 전단으로 재공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외에도 기액분리기(143)로부터 저장탱크(110)로 재공급하거나, 증발가스 공급라인(120) 및 저장탱크(110)로 함께 재공급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제2연료가스 공급라인(170)은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의 압축부(121)의 중단부로부터 분기되어 마련되어 일부 가압된 증발가스를 제2엔진 또는 GCU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제2연료가스 공급라인(170)은 입구 측 단부가 압축부(121)의 중단부에 연결되어 마련되고, 출구 측 단부는 분기되어 일측은 제2엔진, 타측은 GCU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엔진은 상대적으로 저압의 연료가스를 공급받아 출력을 발생시키므로,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압축부(121)의 중단부로부터 분기되어 마련됨으로써, 일부 가압된 증발가스를 연료가스로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GCU는 제2엔진이 요구하는 연료가스의 공급량보다 제2연료가스 공급라인(170)을 통해 공급되는 일부 가압된 증발가스의 공급량이 더 많은 경우, 잉여의 일부 가압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소모시키도록 마련된다.
발열량 조절부(160)는 제1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측정 및 조절하도록 마련된다.
발열량(Heating Value)이란 단위질량의 연료가스가 완전 연소 했을 때 방출하는 열량을 의미한다. 천연가스는 중의 메탄, 부탄 및 프로판은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높아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상승시키는 성분(메탄의 발열량: 약 12,000kcal/kg, 부탄의 발열량: 약 11,863 kcal/kg, 프로판의 발열량: 약 2,000kcal/kg)인 반면, 질소의 발열량은 매우 낮아(질소의 발열량: 약 60kcal/kg), 질소성분의 절대적인 함량 또는 농도가 높을수록 연료가스의 총 발열량은 낮아지게 된다. 이 때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총 발열량이 과도하게 낮아 엔진이 요구하는 최소 조건 발열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엔진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고, 엔진에 불필요한 부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재액화라인(140)의 재액화 효율 상승을 위해 질소분리기(130)가 가압된 증발가스 중 저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2가스흐름은 재액화라인(140)으로 공급하고, 제1가스흐름은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으로 공급하는 바, 제1가스흐름에 포함되는 고농도의 질소성분에 의해 제1가스흐름의 발열량이 제1엔진이 요구하는 조건 발열량보다 낮아질 우려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100)의 발열량 조절부(160)는 제1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측정 또는 산출하는 발열량 측정기(161) 및 압축부(121)에 의해 가압된 증발가스를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으로 공급하는 발열량 상승라인(162)을 포함할 수 있다.
발열량 측정기(161)는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에 제1엔진으로 공급되는 제1가스흐름을 포함한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발열량 측정기(161)는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미도시)로 측정된 연료가스의 발열량 정보를 전송하여 선박의 탑승자에게 이를 알리거나, 측정된 연료가스의 발열량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기 입력된 제1엔진의 조건 발열량과 발열량 측정기(161)로부터 전송된 연료가스의 발열량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후술하는 발열량 상승라인(162)에 마련되는 유량조절밸브(163)의 개폐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발열량 측정기(161)가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 상에 마련되어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측정할 수 있다면 그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발열량 상승라인(162)은 입구 측 단부가 증발가스 공급라인(120) 상의 압축부(121) 후단에 연결되고, 출구 측 단부가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발열량 상승라인(162)은 압축부(121)를 통과하여 가압된 증발가스를 질소분리기(130)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을 흐르는 제1가스흐름으로 합류하도록 한다. 이로써 제1엔진으로 공급되는 제1가스흐름 및 가압된 증발가스로 이루어지는 연료가스의 질소성분의 농도는 낮추고, 메탄 및 부탄 등 고 발열량을 갖는 성분의 농도는 상승시켜 연료가스의 총 발열량을 상승시킬 수 있다.
발열량 상승라인(162)에는 발열량 상승라인(162)을 따라 흐르는 가압된 증발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163)가 마련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163)는 발열량 측정기(161)에 의해 측정된 연료가스의 발열량 정보 및 제1엔진의 조건 발열량 정보에 근거하여 작업자에 의한 수동 또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그 개폐정도가 조절되어 발열량 상승라인(162)을 따라 흐르는 가압된 증발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100)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100)의 발열량 조절부(160)는 제1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측정 또는 산출하는 발열량 측정기(161), 압축부(121)에 의해 가압된 증발가스를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으로 공급하는 발열량 상승라인(162) 및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을 따라 공급되는 제1가스흐름을 재액화라인(140)으로 순환시키는 발열량 조절라인(1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100)에 대한 설명 중 별도의 도면부호를 들어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구성 외에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것으로 내용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발열량 측정기(161)는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에 제1엔진으로 공급되는 제1가스흐름의 일부를 포함한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발열량 측정기(161)는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미도시)로 측정된 연료가스의 발열량 정보를 전송하여 선박의 탑승자에게 이를 알리거나, 측정된 연료가스의 발열량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기 입력된 제1엔진의 조건 발열량과 발열량 측정기(161)로부터 전송된 연료가스의 발열량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후술하는 발열량 상승라인(162) 또는 또는 발열량 조절라인(164)에 마련되는 각 유량조절밸브(163, 165)의 개폐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발열량 측정기(161)가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 상에 마련되어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측정할 수 있다면 그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발열량 상승라인(162)은 입구 측 단부가 증발가스 공급라인(120) 상의 압축부(121) 후단에 연결되고, 출구 측 단부가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발열량 상승라인(162)은 압축부(121)를 통과하여 가압된 증발가스를 질소분리기(130)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을 흐르는 제1가스흐름으로 합류하도록 한다. 이로써 제1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질소성분의 농도는 낮추고, 메탄 및 부탄 등 고 발열량을 갖는 성분의 농도는 상승시켜 연료가스의 총 발열량을 상승시킬 수 있다.
발열량 상승라인(162)에는 발열량 상승라인(162)을 따라 흐르는 가압된 증발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163)가 마련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163)는 발열량 측정기(161)에 의해 측정된 연료가스의 발열량 정보 및 제1엔진의 조건 발열량 정보에 근거하여 작업자에 의한 수동 또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그 개폐정도가 조절되어 발열량 상승라인(162)을 따라 흐르는 가압된 증발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발열량 조절라인(164)은 입구 측 단부가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 상에 연결되되 발열량 상승라인(162)이 합류하는 지점 전단에 연결되어 마련되고, 출구 측 단부가 재액화라인(140) 상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가스흐름은 고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바, 가압된 증발가스에 비해 발열량이 낮다. 따라서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을 따라 흐르는 제1가스흐름의 일부를 재액화라인(140) 측으로 순환시켜 제1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총 발열량을 상승 및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발열량 조절라인(164)이 제1가스흐름의 일부를 재액화라인(140)으로 회수함으로써, 제1엔진의 연료가스의 요구 공급량에 대응하여 발열량 상승라인(162)를 통한 가압된 증발가스의 합류에 의한 연료가스의 총 공급량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하고,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발열량 조절라인(164)에는 발열량 조절라인(164)을 따라 흐르는 일부의 제1가스흐름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165)가 마련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165)는 발열량 측정기(161)에 의해 측정된 연료가스의 발열량 정보 및 제1엔진의 조건 발열량 정보에 근거하여 작업자에 의한 수동 또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그 개폐정도가 조절되어 발열량 조절라인(164)을 따라 흐르는 일부의 제1가스흐름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150) 또는 제1엔진에 설치되는 유량감지부(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연료가스 공급량 정보에 근거하여 발열량 조절라인(164)에 마련되는 유량조절밸브(165)의 개폐정도가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연료가스 공급시스템(100)은 질소분리기(130)에 의해 가압된 증발가스를 제1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1가스흐름과 제2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2가스흐름으로 분류하고, 제2가스흐름을 재액화라인(140)으로 공급하여 재액화 시킴으로써, 증발가스의 재액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발열량 조절부(160)에 의해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측정 및 조절함으로써 엔진이 요구하는 조건 발열량에 대응하여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제어함으로써 연료가스의 효율적인 이용 및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110: 저장탱크
120: 증발가스 공급라인 121: 압축부
130: 질소분리기 140: 재액화라인
141: 열교환부 142: 팽창밸브
143: 기액분리기 144: 액화가스 회수라인
145: 증발가스 회수라인 150: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
160: 발열량 조절부 161: 발열량 측정기
162: 발열량 상승라인 164: 발열량 조절라인
170: 제2연료가스 공급라인
120: 증발가스 공급라인 121: 압축부
130: 질소분리기 140: 재액화라인
141: 열교환부 142: 팽창밸브
143: 기액분리기 144: 액화가스 회수라인
145: 증발가스 회수라인 150: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
160: 발열량 조절부 161: 발열량 측정기
162: 발열량 상승라인 164: 발열량 조절라인
170: 제2연료가스 공급라인
Claims (6)
- 액화가스 및 증발가스를 수용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증발가스를 가압하는 압축부를 구비하는 증발가스 공급라인;
상기 압축부를 통과하여 가압된 증발가스를 제1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1가스흐름과 제2농도의 질소성분을 함유하는 제2가스흐름으로 분리하는 질소분리기;
상기 제1가스흐름을 제1엔진으로 공급하는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
상기 제2가스흐름을 공급받아 재액화시키는 재액화라인; 및
상기 제1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측정 및 조절하는 발열량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량 조절부는
상기 제1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발열량을 측정하는 발열량 측정기 및
상기 압축부를 통과하여 가압된 증발가스의 일부를 상기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으로 직접 공급하는 발열량 상승라인을 포함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량 조절부는
상기 제1연료가스 공급라인을 따라 흐르는 상기 제1가스흐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재액화라인으로 순환시키는 발열량 조절라인을 더 포함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량 상승라인 및 상기 발열량 조절라인에는
상기 발열량 상승라인 및 상기 발열량 조절라인을 각각 따라 흐르는 상기 가압된 증발가스 및 상기 제1가스흐름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가 각각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발열량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연료가스의 발열량 정보에 따라 제어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분리기는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액화라인은
상기 제2가스흐름을 상기 압축부 전단의 증발가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하여 열교환된 상기 제2가스흐름을 감압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여 감압된 상기 제2가스흐름을 기체 성분과 액체 성분으로 분리하는 기액분리기와,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제2가스흐름의 액체 성분을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액화가스 회수라인 및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제2가스흐름의 기체 성분을 상기 저장탱크 또는 상기 증발가스 공급라인 상의 상기 압축부 전단으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회수라인을 포함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의 중단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압축부에 의해 가압된 증발가스를 제2엔진 또는 GCU(Gas Combustion Unit)로 공급하는 제2연료가스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0542A KR101672196B1 (ko) | 2015-06-08 | 2015-06-08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PCT/KR2016/000818 WO2016126037A1 (ko) | 2015-02-04 | 2016-01-26 |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CN201680008507.9A CN107848605B (zh) | 2015-02-04 | 2016-01-26 | 船舶的蒸发气体处理装置和处理方法 |
JP2017557258A JP6498785B2 (ja) | 2015-02-04 | 2016-01-26 | 船舶の蒸発ガス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
JP2018169653A JP6843099B2 (ja) | 2015-02-04 | 2018-09-11 | 船舶の蒸発ガス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0542A KR101672196B1 (ko) | 2015-06-08 | 2015-06-08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2196B1 true KR101672196B1 (ko) | 2016-11-03 |
Family
ID=5757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0542A KR101672196B1 (ko) | 2015-02-04 | 2015-06-08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219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511349A (ja) * | 2017-03-24 | 2020-04-16 | デウ シップビルディング アンド マリン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船舶用の蒸発ガス再液化システム及び船舶用の蒸発ガス再液化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38093A (ja) * | 1999-05-25 | 2000-12-08 | Osaka Gas Co Ltd | メタンガス中の窒素ガス含有率測定方法および装置 |
KR20080057461A (ko) * | 2006-12-20 | 2008-06-25 | 신영중공업주식회사 | Lng bog 재액화 장치 및 방법 |
KR20100035223A (ko) | 2008-09-26 | 2010-04-05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이종연료 디젤엔진 추진기관을 사용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을 위한 연료공급시스템 |
KR20100100669A (ko) * | 2009-03-04 | 2010-09-15 | 루머스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 등압 개방 냉각 천연 가스액 회수 및 질소 제거 방법 |
KR20140052896A (ko) * | 2012-10-24 | 2014-05-07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의 액화가스 처리 방법 |
-
2015
- 2015-06-08 KR KR1020150080542A patent/KR101672196B1/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38093A (ja) * | 1999-05-25 | 2000-12-08 | Osaka Gas Co Ltd | メタンガス中の窒素ガス含有率測定方法および装置 |
KR20080057461A (ko) * | 2006-12-20 | 2008-06-25 | 신영중공업주식회사 | Lng bog 재액화 장치 및 방법 |
KR20100035223A (ko) | 2008-09-26 | 2010-04-05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이종연료 디젤엔진 추진기관을 사용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을 위한 연료공급시스템 |
KR20100100669A (ko) * | 2009-03-04 | 2010-09-15 | 루머스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 등압 개방 냉각 천연 가스액 회수 및 질소 제거 방법 |
KR20140052896A (ko) * | 2012-10-24 | 2014-05-07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의 액화가스 처리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511349A (ja) * | 2017-03-24 | 2020-04-16 | デウ シップビルディング アンド マリン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船舶用の蒸発ガス再液化システム及び船舶用の蒸発ガス再液化方法 |
JP7128197B2 (ja) | 2017-03-24 | 2022-08-30 | デウ シップビルディング アンド マリン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船舶用の蒸発ガス再液化システム及び船舶用の蒸発ガス再液化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4386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751340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784842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711955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751331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JP6498785B2 (ja) | 船舶の蒸発ガス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 |
KR101661929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732554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722369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661938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672196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732551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751339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644389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824427B1 (ko) |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711966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20160074170A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751332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2142114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2596632B1 (ko) | 선박의 연료가스 관리시스템 | |
KR20160145325A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711954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20160137895A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20160145321A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644384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