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264B1 -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셀 - Google Patents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4264B1 KR101674264B1 KR1020140164680A KR20140164680A KR101674264B1 KR 101674264 B1 KR101674264 B1 KR 101674264B1 KR 1020140164680 A KR1020140164680 A KR 1020140164680A KR 20140164680 A KR20140164680 A KR 20140164680A KR 101674264 B1 KR101674264 B1 KR 1016742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tabs
- drawn out
- electrode assembly
- electrode tab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3—Cells or batteries with horizontal or inclined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0)(120)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130)이 상호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는 단위셀(A), 또는 상기 단위 셀(A)이 분리막(130)을 개재한 상태로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전극(110)에는 제1 전극탭(111)이 인출되고, 상기 제2 전극(120)에는 제2 전극탭(121)이 인출되며, 상기 전극탭(111)(121)은 상기 전극(110)(120)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될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극으로부터 전극탭을 인출할 때 코너부분이 형성되지 않게 개선한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는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얻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화학적인 전지는 1차전지와 이차전지로 나누어진다. 즉, 망간전지, 알칼리전지 및 수은전지 등과 같이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전지를 1차 전지라 하고, 충전지나 납축전지처럼 전기를 다 쓰고 난 뒤 다시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를 이차전지라 한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일례로 이차전지는 스택형 구조, 권취형(젤리롤형) 구조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분류될 수 있다. 스택형 구조의 경우 양극, 분리막, 음극을 소정 크기로 절단한 다음에 이들을 차례로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한다. 이때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사이마다 배치된다. 권취형 구조의 경우 양극, 분리막, 음극, 분리막을 시트 형상으로 형성한 다음에 이들을 차례로 적층하고 권취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한다. 스택/폴딩형 구조의 경우 우선 풀셀 또는 바이셀을 형성한 다음에 이들을 분리막 시트를 통해 권취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한다. 양극, 분리막, 음극을 소정 크기로 절단한 다음에 이들을 차례로 적층하면, 풀셀 또는 바이셀을 형성할 수 있다. (풀셀 또는 바이셀은 각각 1개 이상의 양극, 분리막, 음극을 포함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전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0), 제2 전극(20)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10)(20)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30)이 상호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는 단위셀(A), 또는 상기 단위 셀(A)이 분리막(30)을 개재한 상태로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10)에는 제1 전극탭(11)이 인출되고, 제2 전극(20)에는 제2 전극탭(21)이 인출된다. 그리고 제1 전극탭(11)에는 제2 전극리드가 용접되고, 제2 전극탭(21)에는 제2 전극리드가 용접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전지는 외부 충격시 전극탭(11)(21)과 전극(10)(20)이 연결되는 코너부분(1a)(2a)에 응력이 집중되면서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으로부터 전극탭을 인출할 때 코너부분이 형성되지 않게 개선한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0)(120)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130)이 상호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는 단위셀(A), 또는 상기 단위 셀(A)이 분리막(130)을 개재한 상태로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전극(110)에는 제1 전극탭(111)이 인출되고, 상기 제2 전극(120)에는 제2 전극탭(121)이 인출되며, 상기 전극탭(111)(121)은 상기 전극(110)(120)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될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은 전극조립체의 양측방향에 각각 인출되고, 상기 전극(110)(120)의 양쪽 꼭짓점(1b)(2b)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은 직선부(111a)(121a)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은 측면을 끝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함몰되는 곡선부(111b)(121b)로 형성하거나 또는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융기된 융기부(111c)(121c)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전극리드(140)(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에 각각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리드(140)(150)의 결합부(141)(151)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호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과 상기 결합부(141)(151)는 직선부 측면을 가지거나,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함몰되는 곡선부 측면을 가지거나,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융기된 융기부 측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사다리꼴 형태의 전극탭을 가지는 전극조립체(100); 및 상기 전극조립체(100)를 수용하는 파우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극탭을 전극의 양쪽 꼭짓점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될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하며, 이에 내구성이 취약한 코너부분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전극탭의 측면을 직선부, 곡선부 및 융기부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며, 이에 전극탭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전극탭에 부착되는 전극리드의 결합부를 전극탭과 대응되게 형성하며, 이에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일체성과 결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리드가 구비된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전극리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리드가 구비된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전극리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0)(120)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130)이 상호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는 단위셀(A), 또는 상기 단위 셀(A)이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100)는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전극(110), 분리막(130) 및 제2 전극(120)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은 서로 반대되는 전극이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10)이 양극이면 제2 전극(120)은 음극이다. 물론 이의 반대일 수도 있다.
한편, 전극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먼저 탭이 인출된 집전호일이 준비되고, 이 준비된 집전호일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활물질이 도포되면서 전극이 제조된다. 이때 집전호일에 제1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면 제1 전극탭(111)이 인출된 제1 전극(110)이 제조되고, 집전호일에 제2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면 제2 전극탭(121)이 인출된 제2 전극(120)이 제조된다.
여기서 전극(110)(120)으로부터 인출된 전극탭(111)(121)은 얇은 집전호일로부터 연장되어 인출되기에 내구성이 취약하며, 특히 전극탭(111)(121)과 전극(110)(120)이 연결되는 코너부분은 외부 충격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경우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100)는 상기 전극(110)(120)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는 전극탭(111)(121)이 구비되고, 전극탭(111)(121)은 전극(110)(120)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될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한다. 즉, 전극탭(111)(121)은 사다리꼴 형태를 가진다. 이에 사다리꼴 형태의 전극탭(111)(121)은 전극(110)(120)과 연결되는 코너부분을 제거할 수 있고, 내구성 향상 및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전극탭(111)(121)은 도 2 및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100)에서 양측 방향으로 인출되게 형성된다. 특히 전극탭(111)(121)은 전극(110)(120)의 양쪽 꼭짓점(1b)(2b)으로부터 외측으로 대칭되게 인출된다.
즉, 제1 전극탭(111)은 제1 전극(110) 일측의 양쪽 꼭짓점(1b)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고, 제2 전극탭(121)은 제2 전극(110) 타측의 양쪽 꼭짓점(2b)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극탭(111)(121)은 전극조립체(100)에서 전극의 양쪽 꼭짓점으로부터 인출되게 형성함에 따라 전극탭(111)(121)의 면적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전극탭(111)(121)은 사다리꼴 형태를 가짐에 따라 전극탭(111)(121)과 전극(110)(120)이 연결되는 코너부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탭(111)(121)의 측면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시예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은 직선부(111a)(121a) 측면을 가진다. 즉,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 직선인 직선부(111a)(121a)로 형성하며, 이는 직선부(111a)(121a)에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됨에 따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제2 실시예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는 측면을 곡선부(111b)(121b)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의 측면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함몰되는 곡선부(111b)(121b)로 형성하며, 이는 곡선부(111b)(121b)을 따라 응력이 가이드되면서 분산되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의 측면 전체를 곡선화함에 따라 내구성이 취약한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은 측면을 중앙이 볼록한 융기부(111c)(121c)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의 측면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의 측면은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융기된 융기부(111c)(121c)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융기된 융기부(111c)(121c)에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되는 한편, 전극탭의 면적 증대로 인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100)는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을 양방향으로 인출되게 형성하고, 특히,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을 전극(110)(120)의 양쪽 꼭짓점(1b)(2b)으로부터 외측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인출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10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전극리드(140)(15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전극리드(140)(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141)(151)를 형성하며, 결합부(141)(151)는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과 대응되게 사다리꼴 형태를 가진다. 이에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결합력 및 내구성을 함께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전극리드(140)(150)의 결합부(141)(151) 측면은 전극탭의 측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시예로, 상호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과 결합부(141)(151)는 직선부 측면을 가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며, 이는 직선부에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됨에 따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도 7 참조).
제2 실시예로, 상호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과 결합부(141)(151)는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함몰되는 곡선부 측면을 가지며, 이는 곡선부를 통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예로, 상호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과 상기 결합부(141)(151)는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융기된 융기부 측면을 가지며, 이는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면적 증대로 인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100) 및 전극조립체(100)를 수용하는 파우치(200)가 포함될 수 있다.
전극조립체(100)는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0)(120)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130)이 상호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는 단위셀(A), 또는 상기 단위 셀(A)이 분리막(130)을 개재한 상태로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110)에는 제1 전극탭(111)이 인출되고, 제2 전극(120)에는 제2 전극탭(121)이 인출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은 전극조립체(100)에서 양측 방향으로 인출되게 형성되며, 특히 전극(110)(120)의 양쪽 꼭짓점으로부터 외측으로 대칭되게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전극조립체(1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하였기에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파우치(200)는 제1 및 제2 전극리드(140)(150)가 양측으로 인출된 상태로 전극조립체(100)가 내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사다리꼴 형태의 전극탭을 가지는 전극조립체(100)을 포함함으로써 파우치(200)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이 파손되거나 또는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내구성이 우수한 전지셀을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극조립체
110: 제1 전극
111: 제1 전극탭
120: 제2 전극
121: 제2 전극탭
130: 분리막
140: 제1 전극리드
150: 제2 전극리드
110: 제1 전극
111: 제1 전극탭
120: 제2 전극
121: 제2 전극탭
130: 분리막
140: 제1 전극리드
150: 제2 전극리드
Claims (12)
-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0)(120)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130)이 상호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는 단위셀(A), 또는 상기 단위 셀(A)이 분리막(130)을 개재한 상태로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110)에는 제1 전극탭(111)이 인출되고, 상기 제2 전극(120)에는 제2 전극탭(121)이 인출되며,
상기 전극탭(111)(121)은 상기 전극(110)(120)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될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전극리드(140)(1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에 각각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리드(140)(150)의 결합부(141)(151)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과 대응되게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은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함몰되는 곡선부(111b)(121b) 측면을 가지거나 또는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융기된 융기부(111c)(121c) 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은 전극조립체의 양측방향에 각각 인출되고, 상기 전극(110)(120)의 양쪽 꼭짓점(1b)(2b)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호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과 상기 결합부(141)(151)는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함몰되는 곡선부 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호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111)(121)과 상기 결합부(141)(151)는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융기된 융기부 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10 및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의해 제조되는 전극조립체(100); 및
상기 전극조립체(100)를 수용하는 파우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758,725 US9825324B2 (en) | 2014-01-28 | 2014-12-15 |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
EP14875887.3A EP2942832B1 (en) | 2014-01-28 | 2014-12-15 |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comprising same |
PCT/KR2014/012341 WO2015115731A1 (ko) | 2014-01-28 | 2014-12-15 |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0119 | 2014-01-28 | ||
KR20140010119 | 2014-01-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9915A KR20150089915A (ko) | 2015-08-05 |
KR101674264B1 true KR101674264B1 (ko) | 2016-11-08 |
Family
ID=5388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4680A KR101674264B1 (ko) | 2014-01-28 | 2014-11-24 |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셀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825324B2 (ko) |
EP (1) | EP2942832B1 (ko) |
KR (1) | KR101674264B1 (ko) |
WO (1) | WO201511573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75990A1 (ko) * | 2018-10-12 | 2020-04-16 | 삼성에스디아이(주) | 이차전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01164A1 (zh) | 2016-06-27 | 2018-01-04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电芯以及使用此电芯的电池 |
KR102291131B1 (ko) * | 2017-03-20 | 2021-08-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의 전극 탭 구조 |
KR102096997B1 (ko) * | 2017-10-23 | 2020-04-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 |
JP7102912B2 (ja) * | 2018-04-27 | 2022-07-20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蓄電モジュール |
CN209087968U (zh) | 2018-08-02 | 2019-07-09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电极构件、电极组件及二次电池 |
FR3106939B1 (fr) * | 2020-01-31 | 2022-01-14 | Accumulateurs Fixes | Element electrochimique de type pochette de format semi-circulaire |
KR20230138833A (ko) * | 2022-03-24 | 2023-10-05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전극판, 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
DE102022112790A1 (de) | 2022-05-20 | 2023-11-23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Elektrodenfolie für eine elektrochemische Batteriezelle und elektrochemische Batteriezel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23583A (ja) * | 2007-11-16 | 2009-06-04 | Nec Tokin Corp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 |
US20130266845A1 (en) * | 2012-04-04 | 2013-10-10 |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 Battery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55219B2 (ja) * | 1997-01-27 | 2001-04-09 | 三桜工業株式会社 | 電池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
JP4289738B2 (ja) | 1998-10-30 | 2009-07-01 | 三洋電機株式会社 | 封口電池 |
JP2006196428A (ja) * | 2004-05-31 | 2006-07-27 | Nissan Motor Co Ltd |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3111280U (ja) | 2005-04-12 | 2005-07-14 | 古河電池株式会社 | アルカリ蓄電池用極板 |
US8334071B2 (en) * | 2008-09-29 | 2012-12-18 | Kabushiki Kaisha Toshiba |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used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
KR101108118B1 (ko) * | 2008-11-27 | 2012-01-31 | 주식회사 엠플러스 |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
JP2011086505A (ja) * | 2009-10-15 | 2011-04-28 | Komatsu Ntc Ltd | 積層型電池用電極材および積層型電池 |
EP2538467B1 (en) * | 2010-02-17 | 2017-11-15 | Kabushiki Kaisha Toshiba |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KR101199215B1 (ko) * | 2010-09-09 | 2012-11-0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
JP5527176B2 (ja) * | 2010-11-25 | 2014-06-18 | ソニー株式会社 | 非水電解質電池 |
KR101245283B1 (ko) | 2010-12-03 | 2013-03-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수의 출력 특성을 가진 전기 화학 소자 |
KR101219248B1 (ko) * | 2011-01-12 | 2013-01-0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JP5354042B2 (ja) * | 2012-02-27 | 2013-11-27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蓄電装置、車両 |
EP2802027B1 (en) * | 2012-04-16 | 2018-05-30 | Lg Chem, Ltd. |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differently shaped positive electrode and negativ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
-
2014
- 2014-11-24 KR KR1020140164680A patent/KR10167426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2-15 WO PCT/KR2014/012341 patent/WO201511573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2-15 US US14/758,725 patent/US9825324B2/en active Active
- 2014-12-15 EP EP14875887.3A patent/EP294283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23583A (ja) * | 2007-11-16 | 2009-06-04 | Nec Tokin Corp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 |
US20130266845A1 (en) * | 2012-04-04 | 2013-10-10 |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 Battery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75990A1 (ko) * | 2018-10-12 | 2020-04-16 | 삼성에스디아이(주) | 이차전지 |
US12074270B2 (en) | 2018-10-12 | 2024-08-27 | Samsung Sdi Co., Ltd. | Secondary batte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942832B1 (en) | 2018-05-16 |
US20150372335A1 (en) | 2015-12-24 |
KR20150089915A (ko) | 2015-08-05 |
US9825324B2 (en) | 2017-11-21 |
EP2942832A1 (en) | 2015-11-11 |
WO2015115731A1 (ko) | 2015-08-06 |
EP2942832A4 (en) | 2016-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4264B1 (ko) |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셀 | |
CN110462881B (zh) | 具有强化接头接合结构和电极引线弯曲结构的柔性电池 | |
US11276905B2 (en) | Battery cell having dual welding structures | |
US9172109B2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JP5846932B2 (ja) | 結合部で電極タブの大きさが同一の電極組立体を有する電気化学セルの製造方法 | |
JP5657884B2 (ja) | 改善された安全性を有する二次電池 | |
JP5214692B2 (ja) | 電池 | |
US10811665B2 (en) | Electrode assembly having indented portion formed on electrode plat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 |
KR20180023634A (ko) | 이차전지의 전극탭 용접 방법 및 그에 따른 전극탭 용접 구조 | |
KR102361705B1 (ko) | 커버를 갖는 이차 전지 | |
KR20160092748A (ko) | 이차 전지 | |
KR20130119700A (ko) |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결합 방법과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 |
KR20220016554A (ko) | 단선 방지층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EP3067978B1 (en) | Flexible battery cell | |
KR20240023075A (ko) | 음극판, 이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53320B1 (ko) | 낮은 저항의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JP6364757B2 (ja) | 蓄電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2058719B1 (ko) | 상호 결합된 추가 탭들이 형성되어 있는 극판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조립체 | |
KR102125059B1 (ko) | 상호 결합된 극판 연장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극판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조립체 | |
JP2020057587A (ja) | 電極体、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 |
KR102239364B1 (ko) | 원통형 젤리롤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630997B1 (ko) | 이차전지 | |
KR102079233B1 (ko) | 전극 조립체 | |
KR102238177B1 (ko) | 전지셀 및 전극 리드 제조방법 | |
KR102278448B1 (ko)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