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61473B1 -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473B1
KR101661473B1 KR1020140156098A KR20140156098A KR101661473B1 KR 101661473 B1 KR101661473 B1 KR 101661473B1 KR 1020140156098 A KR1020140156098 A KR 1020140156098A KR 20140156098 A KR20140156098 A KR 20140156098A KR 101661473 B1 KR101661473 B1 KR 10166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sensing
dr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117A (ko
Inventor
연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앤에스
Priority to KR102014015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47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써,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도록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본체부; 상기 제2도어에 설치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일부분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를 폐쇄시키거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는 잠금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거나 제거되도록 상기 잠금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1도어의 일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1도어의 타면을 투과하여 상기 제1도어의 일면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감지부와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제1도어와 제2도어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잠금부를 제1도어의 타면을 투과하여 제1도어의 일면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이용해 이동시킴으로써 제1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부가 필요없는 디지털 도어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도어의 타면을 투과하여 제1도어의 일면으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서 이동하는 잠금부를 이용하여, 제1도어의 외측에 부가적인 장치(외측부)의 설치 없이,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키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도어락이란, 사용자가 비밀번호, 지문 등을 입력함에 따라 도어(Door)를 폐쇄하거나 도어를 개방하도록 도어에 설치되는 장치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아파트, 사무실, 연구실, 공장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의 비밀번호, 지문 등을 입력하도록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부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측부에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모터를 동작시켜 도어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내측부로 구성되며, 외측부와 내측부는 도어에 형성된 구멍에 인입되는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한다.
한편, 강화유리 재질로 구비되는 도어에 디지털 도어락을 장착하는 경우, 강화유리에 상술한 통신 케이블이 인입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강화유리 재질의 도어에 디지털 도어락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통신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한편, 상술한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도어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바, 도어 외에 창문, 환풍구 등으로 도어 내측으로 침입하는 침입자를 감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어와 도어 사이 공간에 노출되는 잠금부를 절단하여 도어를 개방하거나, 도어와 도어 사이 공간으로 철사 등의 기구를 삽입하여 내측부의 수동버튼 (수동부)등을 누름으로써 도어를 개방하여 도어 내부로 침입하는 침입자를 막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도어의 타면을 투과하여 제1도어의 일면으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서 이동하는 잠금부를 이용하여, 제1도어의 외측에 부가적인 장치(외측부)의 설치 없이,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키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제1도어 및 제2도어의 내측 공간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경보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제1도어 및 제2도어의 내측 공간으로의 침입을 감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잠금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부와 잠금부에서 발생하는전기를 감지하는 전기감지부를 이용하여 경보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잠금부를 절단하여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무단으로 개방시키려는 행위를 방지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있다.
또한, 설정부에 퇴실상태를 설정한 이후, 수동부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경보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제1도어 및 제2도어의 외부에서 수동부를 눌러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무단으로 개방시키려는 행위를 방지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도록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본체부; 상기 제2도어에 설치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일부분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를 폐쇄시키거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는 잠금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거나 제거되도록 상기 잠금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1도어의 일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1도어의 타면을 투과하여 상기 제1도어의 일면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감지부와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제1도어의 타면에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정전기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도어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정전기 신호의 수신 감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제1도어의 타면에 카드를 접촉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카드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는 시간과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는 횟수에 대한 정보인 구동정보를 생성하며, 단말기에서 상기 제1도어의 개폐에 대해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포함하며,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가 근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구동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NFC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의 일면측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감지센서에서 열을 감지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잠금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감지하는 전기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감지부에서 전기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잠금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감지부에서 열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방전되는 경우, 상기 제1도어의 타면측에서 상기 배터리부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일단부는 상기 배터리부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돌출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도어의 일면측에서 상기 잠금부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는 수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퇴실상태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동부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퇴실상태가 설정된 후, 상기 수동부감지센서에서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퇴실상태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동부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퇴실상태가 설정된 후, 상기 수동부감지센서에서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잠금부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화유리 재질의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부가적인 장치(외측부)가 필요 없게 되어, 도어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통신연결용 브라켓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강화유리 재질의 도어에 디지털 도어락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외에, 창문, 환풍구 등으로 도어의 내부로 침입하는 행위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잠금부를 절단하거나, 도어의 외부에서 수동부를 누름으로써, 도어를 무단으로 개방시키려는 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에 내장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도어의 외측에서 디지털 도어락으로 용이하게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도어의 내측(A)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을 도어의 외측(B)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수동부 움직임에 따른 침입방지 과정의 신호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도어의 내측(A)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을 도어의 외측(B)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은 제1본체부(10)와 제2본체부(20)와 잠금부(30)와 구동부(40)와 감지부(50)와 제어부(60)와 NFC 모듈(70)과 열감지센서(80)와 전기감지부(90)과 열감지부(100)과 배터리부(110)와 돌출단자(120)와 수동부(130)와 설정부(140)와 수동부감지센서(150)를 포함한다.
제1본체부(10)는 잠금부(30), 구동부(40), 감지부(50), 제어부(60) 등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제1도어(d1)의 일면, 즉, 제1도어(d1)의 내측면(A)에 설치된다.
제2본체부(20)는 내부에 잠금부(30)의 일부가 수용될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제2도어(d2)의 일면, 즉, 제2도어(d2)의 내측면(A)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는 강화유리재질로 구비되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하여 외측에서 내측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수준의 투명재질로 구비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잠금부(30)는 구동부(40)의 동력에 의해 수용공간(s)에 일부분이 수용됨으로써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를 폐쇄시키거나, 구동부(40)의 동력에 의해 일부분이 수용공간(s)으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는 것으로써 제1본체부(10)에 설치되며, 구동부(40)와 연결된다.
이러한 잠금부(30)는 제1도어(d1)에 설치되는 제1본체부(10)에 고정되며 제2본체부(20)는 제2도어(d2)에 설치되어 있는바, 잠금부(30)의 직선운동의 결과, 잠금부(30)의 일부분이 제2본체부(20) 내부의 수용공간(s)에 수용되면, 제1도어(d1)와 제2도어(d2)가 잠금부(30)에 의해 물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도어(d1)와 제2도어(d2)가 폐쇄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직선운동을 하여 잠금부(30)가 제2본체부(20) 내부의 수용공간(s)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제1도어(d1)와 제2도어(d2)의 물리적 연결이 해제되므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된다.
구동부(40)는 잠금부(30)의 일부분이 수용공간(s)에 수용되거나 제거되도록 잠금부(3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써, 제1본체부(10)에 설치되며, 잠금부(30)와 연결된다.
또한, 구동부(40)는 후술하는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동부(130)에 의해 작동되도록 수동부(130)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동부(40)는 캠(Cam) 타입 또는 볼스크류(Ball Screw) 타입으로 구비되어 잠금부(30)를 구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잠금부(30)를 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감지부(50)는 제1도어(d1)의 타면, 즉, 제1도어(d1)의 외측면(B)을 투과하여 제1도어(d1)의 일면, 즉, 제1도어(d1)의 내측면(A)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제1도어(d1)의 일면에 접촉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신호란, 제1도어(d1)의 외측면(B)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정전기 신호일 수 있고, 이때, 감지부(50)는 상술한 정전기 신호를 감지하는 정전기 검출 센서로 구비된다.
감지부(50)가 정전기 검출 센서로 구비되는 경우,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개방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도어(d1)의 외측면(B)을 터치하는 경우, 감지부(50)가 제1도어(d1)의 외측면(B)을 투과하여 제1도어(d1)의 내측면(A)으로 전달되는 정전기 신호를 감지한다. 이후, 감지부(50)가 제어부(60)로 정전기 신호를 감지하였음을 전달하면, 제어부(60)에서 상술한 구동부(40)를 동작시킴으로써, 잠금부(30)를 이동시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킨다.
한편, 제1도어(d1)의 내측면(A)과 접촉하는 감지부(50)의 단면에는 키 패드(Key Pad) 무늬가 인쇄될 수 있다. 제1도어(d1)는 강화유리 재질로 구비되어 시각적으로 투명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1도어(d1)의 외측면(B)에서 상술한 키 패드(Key Pad) 무늬를 보고 비밀번호에 해당되는 위치를 터치할 수 있다. 비밀번호에 해당되는 위치는 제어부(60)에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비밀번호에 해당되는 위치를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60)에서 구동부(40)를 동작시킴으로써,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50)는 제1도어(d1)의 두께를 인지(또는 감지부(50)에 설정)하여 자동으로 켈리브레이션(Calibration)하는 알고리즘을 내부에 탑제한다.
제1도어(d1)는 경우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두께는 감지부(50)의 신호 감지에 영향을 미치는 바, 제1도어(d1)의 두께에 따라서 감지부(50)의 감도가 조절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감지부(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도어(d1)의 두께를 인지(또는 감지부(50)에 설정)하여 자동으로 켈리브레이션(Calibration)하는 알고리즘을 내부의 프로세서(또는 제어장치)에 탑제함으로써, 제1도어(d1)의 두께에 따라 감지부(50)의 감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제1도어(d1)를 투과하여 전달되는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신호란, 제1도어(d1)의 외측면(B)에 카드가 접촉됨으로써 발생되는 주파수 신호일 수 있고, 이때, 감지부(50)는 상술한 주파수 신호를 감지하는 주파수 검출 센서로 구비된다.
감지부(50)가 주파수 검출 센서로 구비되는 경우,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개방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도어(d1)의 외측면(B)에 카드를 접촉시키는 경우, 감지부(50)가 제1도어(d1)의 외측면(B)을 투과하여 제1도어(d1)의 내측면(A)으로 전달되는 주파수 신호를 감지한다. 이후, 감지부(50)가 제어부(60)로 주파수 신호를 확인하였음을 전달하면, 제어부(60)에서 상술한 구동부(40)를 동작시킴으로써, 잠금부(30)를 이동시켜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상술함 감지부(50)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제1도어(d1)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부가 필요 없게 되어, 강화유리 재질의 도어에 디지털 도어락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외측부가 필요 없어 지기 때문에 디지털 도어락의 전체적인 제조 단가가 절감된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 후, 제1도어(d1)의 외측면(A)에서 보았을 때, 미적으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60)는 감지부(50)가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구동부(40)를 제어하는 것으로써, 감지부(50) 및 구동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어부(60)는 구동정보를 생성하여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구동정보란 구동부(40)가 구동되는 시간과 구동부(40)가 구동되는 횟수에 대한 정보이며, 제어부(60)는 이러한 구동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단말기에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폐상황에 대해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어부(60)는 NFC 모듈(70), 열감지센서(80), 전기감지부(90), 설정부(140), 수동부감지센서(150)와 각각 전기적을 연결되며, 각 구성요소와의 신호전달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NFC 모듈(70)은 제어부(60)로부터 상술한 구동정보를 전달받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으로써,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단말기는 NFC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테블릿 등의 모바일 단말기로 구비되며, 구동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내부 저장소에 내장된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자가 NFC 모듈(70)에 근접시키면, NFC 모듈(70)이 구동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에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폐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열감지센서(80)는 제1도어(d1)의 내면측(A)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것으로써, 제1도어(d1)의 내측면(A)을 향하도록 제1본체부(10)에 설치되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열감지센서(80)에서 열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60)에서는 경보신호를 발생시켜 자체적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경보신호를 외부의 단말기 또는 경비업체 등에 전달한다.
따라서, 이러한 열감지센서(80) 및 제어부(60)에 의해서,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내측공간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여 경보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 외에 창문, 환풍구 등을 통하여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내측공간으로 침입하는 침입자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다.
전기감지부(90)은 잠금부(30)에서 발생하는 전기, 즉,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잠금부(30)에 설치되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잠금부(30)에 일정한 전류를 통전시킨 상태에서, 침입자가 톱 등을 이용하여 잠금부(30)를 절단하면 잠금부(30)에서 전류의 변화가 발생한다. 이때, 전기감지부(90)은 이러한 전류의 변화, 즉, 전기적 신호를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60)에서 전기감지부(90)가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였음을 확인하면,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자체적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생성된 경보신호를 외부의 단말기 또는 경비업체 등에 전달한다.
따라서, 이러한 전기감지부(90)와 제어부(60)에 의해, 잠금부(30)를 절단하여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무단으로 개방시키려는 행위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열감지부(100)은 잠금부(30)에서 발생하는 열, 즉, 열에너지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잠금부(30)에 설치되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침입자가 톱 등을 이용하여 잠금부(30)를 절단하는 경우, 잠금부(30)에서 온도가 상승(열에너지 신호가 발생)한다. 이때, 열감지부(100)은 이러한 열에너지 신호를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60)에서 열감지부(100)가 열에너지 신호를 감지하였음을 확인하면,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자체적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생성된 경보신호를 외부의 단말기 또는 경비업체 등에 전달한다.
따라서, 이러한 열감지부(100)과 제어부(60)에 의해, 침입자가 잠금부(30)를 절단하여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무단으로 개방시키려는 행위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부(110)는 구동부(40)와 제어부(6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써, 제1본체부(10)에 설치되며, 구동부(40) 및 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돌출단자(120)는 상술한 배터리부(110)가 방전되는 경우, 제1도어(d1)의 타면(B)측에서 배터리부(110)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써, 일단부가 배터리부(110)와 연결되며, 타단부가 제1도어(d1)와 제2도어(d2)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다.
또한, 돌출단자(120)는 브라킷(Bracket)으로 구비되어 제1본체부(10)와 제1도어(d1)의 일측면(A)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1본체부(10)가 제1도어(d1)의 일측면(A)에 고정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돌출단자(120)에 의하면, 제1본체부(10)가 제1도어(d1)의 일측면(A)에 용이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배터리부(110)가 방전되는 경우, 타단부에 외부 전원을 접촉시킴으로써, 방전된 배터리를 용이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
수동부(130)는 제1도어(d1)의 일측면(A)에서 잠금부(30)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것으로써, 구동부(40)와 기어 결합되도록 제1본체부(10)에 설치된다. 이러한 수동부(130)는 사용자가 손으로 버튼을 눌러 잠금부(30)를 동작시키도록 외면에 버튼이 형성되거나, 사용자가 손으로 돌려 잠금부(30)를 동작시키도록 외면에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동부(130)에 의해서, 제1도어(d1)의 일측면(A)에서 사용자가 잠금부(30)를 동작시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설정부(140)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으로써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내측공간에서 모든 사람이 퇴실하였음을 설정하는 것으로써, 제1본체부(10)에 설치되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동부감지센서(150)는 상술한 수동부(130)의 물리적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써, 수동부(130)에 설치되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가 상술한 설정부(140)를 조작하여 퇴실상태를 설정하고 퇴실한 이후, 침입자가 제1도어(d1)와 제2도어(d2) 사이의 공간에 철사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동부(130)를 동작시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려고 하는 경우, 수동부감지센서(150)는 수동부(130)의 물리적 동작을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60)에서 수동부감지센서(150)가 물리적 동작을 감지하였음을 확인하면,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수동부(130)에 전달함으로써, 수동부(130)가 동작 되지 않도록 하거나, 생성된 경보신호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생성된 경보신호를 외부의 단말기 또는 경비업체 등에 전달한다.
또한, 상술한 설정부(140)를 조작하여 퇴실상태를 설정하고 퇴실한 이후, 침입자가 제1도어(d1)와 제2도어(d2) 사이의 공간에 철사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동부(130)를 동작시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려고 하는 경우, 수동부감지센서(150)는 수동부(130)의 물리적 동작을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60)에서 수동부감지센서(150)가 물리적 동작을 감지하였음을 확인하면, 제어부(60)는 잠금부(30)의 일부분이 제2본체부(20)의 수용공간(s)으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구동부(40)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상술한 설정부(140)와 수동부감지센서(150)와 제어부(60)에 의해서, 침입자가 외부에서 수동부(130)를 누름으로써,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무단으로 개방시키려는 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에 의하면, 외측부가 필요 없게 되어, 강화유리 재질의 도어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며,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제1도어(d1)의 외면측에서 배터리를 용이하게 충전시킬 수 있고,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 외에, 창문, 환풍구 등으로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내부공간으로 침입하는 행위를 감시할 수 있고, 잠금부(30)를 절단하거나,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사이 공간을 이용하여 수동부(130)를 누름으로써,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무단으로 개방시키려는 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제1도어(d1)의 외면(A)을 터치하거나 제1도어(d1)의 외면(A)에 카드를 접촉시킨다. 이후, 터치에 의한 정전기 신호 및 카드 접촉에 의한 주파수 신호가 기 설정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구동부(40)를 동작시킨다.
이때,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0)는 캠(Cam) 타입으로 잠금부(30)와 연결되어 있는바, 상술한 구동부(40)의 동작에 의해 잠금부(30)의 일부가 제2본체부(2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s)에서 제거된다.
이에 의해서,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물리적 연결이 잠금부(30)에 의해서 해제되어,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된다.
한편, 구동부(40)가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면, 제1본체부(10)에 수용되어 있던 잠금부(30)가 이동하여 제1본체부(10)의 수용공간(s)으로 수용됨으로써,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서,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가 폐쇄된다.
또한, 사용자가 수동부(130)를 누르는 경우에도 상술한 과정으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의 수동부(130)의 움직임에 따른 침입방지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수동부 움직임에 따른 침입방지 과정의 신호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퇴실하면서 설정부(140)를 조작하여 퇴실상태를 설정하며, 설정부(140)는 퇴실상태가 설정되었음을 제어부(60)에 전달한다. 이후, 침입자가 제1도어(d1)와 제2도어(d2) 사이의 공간에 철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수동부(130)를 누르려고 하는 경우, 수동부감지센서(150)에서 수동부(130)의 물리적 움직임을 감지하여, 수동부(130)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제어부(60)로 전달한다.
이후, 제어부(60)는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수동부(130)로 전달함으로써, 수동부(130)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거나, 생성된 경보신호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스피커 등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생성된 경보신호를 외부 단말기 또는 경비업체 등으로 전달한다.
또한, 이때, 제어부(60)는 잠금부(30)가 수용공간(s)으로 수용되는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동부(40)를 강제적으로 작동시킨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의 수동부(130)의 움직임에 따른 침입방지 과정에 의하면, 침입자가 수동부(130)를 눌러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려는 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10 : 제1본체부 20 : 제2본체부
30 : 잠금부 40 : 구동부
50 : 감지부 60 : 제어부
70 : NFC 모듈 80 : 열감지센서
90 : 전기감지부 100 : 열감지부
110 : 배터리부 120 : 돌출단자
130 : 수동부 140 : 설정부
150 : 수동부감지센서
d1 : 제1도어 d2 : 제2도어
s : 수용공간

Claims (13)

  1.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도록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본체부;
    상기 제2도어에 설치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일부분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를 폐쇄시키거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는 잠금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거나 제거되도록 상기 잠금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1도어의 일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1도어의 타면을 투과하여 상기 제1도어의 일면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감지부와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의 일면측에서 상기 잠금부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는 수동부;를 더 포함하며,
    퇴실상태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동부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퇴실상태가 설정된 후, 상기 수동부감지센서에서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잠금부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1도어의 타면에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정전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도어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정전기 신호의 수신 감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1도어의 타면에 카드를 접촉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카드 주파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는 시간과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는 횟수에 대한 정보인 구동정보를 생성하며, 단말기에서 상기 제1도어의 개폐에 대해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가 근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구동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NFC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의 일면측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감지센서에서 열을 감지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감지하는 전기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감지부에서 전기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감지부에서 열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방전되는 경우, 상기 제1도어의 타면측에서 상기 배터리부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일단부는 상기 배터리부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돌출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퇴실상태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동부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퇴실상태가 설정된 후, 상기 수동부감지센서에서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13. 삭제
KR1020140156098A 2014-11-11 2014-11-11 디지털 도어락 KR101661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98A KR101661473B1 (ko) 2014-11-11 2014-11-11 디지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98A KR101661473B1 (ko) 2014-11-11 2014-11-11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17A KR20160056117A (ko) 2016-05-19
KR101661473B1 true KR101661473B1 (ko) 2016-10-10

Family

ID=5610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098A KR101661473B1 (ko) 2014-11-11 2014-11-11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706B1 (ko) * 2017-08-16 2019-04-19 김남일 샷시용 도어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116A (ko) * 2007-05-04 2008-11-07 경천문 유리 도어용 비접촉식 전자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17A (ko)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1064B2 (en) Electronic lock system having proximity mobile device
US11898371B2 (en) Tamper alarm for electronic lock
US9761074B2 (en)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with audio and RF communication
KR101103466B1 (ko) 차량의 도어 및/또는 리드의 전기식 또는 기계식 잠금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US20090256677A1 (en) Passive entry system and method
KR101089854B1 (ko) 차체 또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전자식 또는 전자기계식접근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
US20150248799A1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smart key including the same
KR20110061750A (ko) 도어 개폐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도어 개폐 송신장치
US11158145B2 (en) Garage door opener with touch sensor authentication
CN105545091A (zh) 一种手机远程可视智能门锁控制系统
KR101661473B1 (ko) 디지털 도어락
KR101638860B1 (ko) 휴대용 운전자 인식장치와 연동하는 터치방식 차량용 윈도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TWI532017B (zh) 無線遙控方法、無線子機以及開關控制裝置
US20230212883A1 (en) Lockset with door open and close sensing
WO2022150704A1 (en) Electronic door system
US20240046725A1 (en) Manual electronic deadbolt
EP3041017B1 (en) Adjustable door sensor
KR20110050260A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서의 도어 오픈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953538B1 (ko) 스마트 도어록 및 그 제어방법
JP4222809B2 (ja) 非開閉体側通信装置
KR20140118363A (ko) 외부 강제해정이 방지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 열림버튼
KR101793592B1 (ko) 방범용 창문 센서 및 방범용 창문 센서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KR20200017128A (ko) 무선통신으로 열리는 도아 개폐장치
KR101970706B1 (ko) 샷시용 도어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9036894A1 (zh) 触控电子门锁和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