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64925B1 - 첨가제를 투입한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첨가제를 투입한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925B1
KR101664925B1 KR1020140161989A KR20140161989A KR101664925B1 KR 101664925 B1 KR101664925 B1 KR 101664925B1 KR 1020140161989 A KR1020140161989 A KR 1020140161989A KR 20140161989 A KR20140161989 A KR 20140161989A KR 101664925 B1 KR101664925 B1 KR 101664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ketone
group
methanol
bis
addit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9888A (ko
Inventor
최지환
심재윤
송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40161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925B1/ko
Priority to PCT/KR2015/010952 priority patent/WO2016080656A1/ko
Publication of KR20160059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9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2/00 - C08G65/00
    • C08G67/02Copolymers of carbon monoxide and aliphatic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2/00 - C08G65/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59/00 - C08L71/00;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분한 산화방지, 내열안정 또는 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는 폴리케톤 제조하기 위하여, 제9족, 제10족 또는 제11족 전이금속화학물, 제15족의 원소를 가지는 리간드 및 pKa가 4이하인 산의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유기금속 착체 촉매 존재 하에서 메탄올과 물로 이루어진 혼합용매에 첨가하는 단계; 상기 촉매를 포함하는 혼합용매에 일산화탄소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혼합기체를 첨가하여 메탄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탄올 슬러리에서 폴리케톤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케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탄올 슬러리에 첨가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첨가제를 투입한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Method of polyketone with additive}
본 발명은 폴리케톤의 제조 시 적은 양의 첨가제로 충분한 내열성, 산화방지성 및 자외선 차단성을 가지는 폴리케톤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산화탄소 유래의 반복 단위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유래의 반복 단위가 실질적으로 교대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폴리케톤은 기계적 성질 및 열적 성질이 우수하고, 내마모성, 내약품성, 가스 배리어성도 높고, 여러 가지 분야로의 전개가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폴리케톤은 고강도, 고내열성의 수지나 섬유, 필름으로서 유용한 재료이다. 특히, 고유점도가 2.5dl/g 이상인 고분자량의 폴리케톤을 원료로서 사용하면 매우 높은 강도, 탄성률을 갖는 섬유나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섬유나 필름은 벨트, 호스나 타이어 코드 등의 고무 보강재나, 콘크리트 보강재 등 건축 재료나 산업 자재 용도로의 광범위한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폴리케톤은 또한, 상기에서 언급된 폴리케톤 고유의 기계적 및 화학적 물성 이외에 첨가제를 첨가하여 다양한 산업분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기존의 폴리케톤 제조방법은 폴리케톤의 중합 후 용매 슬러리 상태를 거쳐 중합이 완료되면 파우더 형태의 첨가제를 3 내지 4종을 혼합하여 물리적 혼합을 동반한 펠렛타이징(pelletizing)을 거쳐 펠렛(pellet) 형태로 제조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으로 제조 시 충분한 산화방지 효과, 내열안정효과 또는 자외선 차단효과를 위해 많은 양의 첨가제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 이외에 물리적 혼합의 불량으로 인해 폴리케톤 펠렛을 산업용품으로 성형 시 첨가제의 뭉침으로 인해 외관상 불량인 제품의 발생빈도가 높았으며, 충분한 산화방지, 내열안정 또는 자외선 차단효과를 보이기 힘들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공정을 개선함으로써 상기에서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산화방지, 내열안정 또는 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는 폴리케톤 제조 시 많은 양의 첨가제를 투입하는 문제점, 폴리케톤 산업용품 성형 시 불량 제품의 발생빈도가 높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충분한 산화방지, 내열안정 또는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폴리케톤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폴리케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9족, 제10족 또는 제11족 전이금속화학물, 제15족의 원소를 가지는 리간드 및 pKa가 4이하인 산의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유기금속 착체 촉매 존재 하에서 메탄올과 물로 이루어진 혼합용매에 첨가하는 단계; 상기 촉매를 포함하는 혼합용매에 일산화탄소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혼합기체를 첨가하여 메탄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탄올 슬러리에서 폴리케톤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케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탄올 슬러리에 첨가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제는 내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차단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첨가제는 파우더형태이고, 상기 내열안정제는 트리칼슘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을 제공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리오미터를 사용한 시간에 따른 Viscosity의 증가가 1500 Pa*s/10 mi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케톤 제조방법에 따르면, 폴리케톤 제조시 소량의 첨가제의 투입으로 충분 또는 우수한 산화방지, 내열안정 및 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는 폴리케톤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폴리케톤은 섬유, 자동차 엔진부품, 기어류, 훨커버 및 커넥터 등의 성형체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내열안정효과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Rheometer를 이용한 Viscosity의 증가치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9족, 제10족 또는 제11족 전이금속화학물, 제15족의 원소를 가지는 리간드 및 pKa가 4이하인 산의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유기금속 착체 촉매 존재 하에서 메탄올과 물로 이루어진 혼합용매에 첨가하는 단계; 상기 촉매를 포함하는 혼합용매에 일산화탄소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혼합기체를 첨가하여 메탄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탄올 슬러리에서 폴리케톤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케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탄올 슬러리에 첨가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제는 내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차단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첨가제는 파우더형태이고, 상기 내열안정제는 트리칼슘포스페이트(Tricalcium Phosphate, 이하 TCP)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윤활제등 다양한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중합 후 메탄올 슬러리 상태에서 투입하면 분산력이 좋아져서 기존방법인 건조 파우더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물리적 혼합방법 보다 첨가제 사용량을 1/10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특히, 열안정제로 사용되는 TCP는 중합용매인 메탄올에 용해되지 않으나 콜로이드 형태로 분산이 되며, 폴리케톤 파우더와 메탄올의 분리 작업 시 메탄올 층으로 거의 방출되지 않는, 곱게 분산되어 폴리케톤 파우더에 균일 분산되는 효과가 있었다.
기존방법과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TCP를 첨가한 경우, 리오미터(Rheometer)를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Viscosity 증가를 비교 시, 기존 상태의 5000ppm 수준대비 내열안정성을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는 500 ppm으로도 발현되는 효과를 보였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폴리케톤의 고유점도, 촉매활성, 리오미터를 이용한 Viscosity의 증가치 측정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1) 고유점도
고유 점도는 다음 수학식에 의하여 구하였다.
[수학식 1]
[η]= lim(T-t)/t·C (dl/g)
식 중, t 및 T는 각각 순도 98% 이상의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및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에 용해된 폴리케톤의 희석 용액이 25℃의 점도관을 통해 흘러내린 시간이고, C는 상기 용액 100ml 중 그램 단위의 용질 질량치이다.
(2) 촉매활성
중합된 수지의 중량/팔라듐의 중량·시간(g-폴리케톤/g-Pd·hr)으로 구한다.
(3) Rheometer를 이용한 Viscosity의 증가치 측정
진동성 전단 레올로지를 Anton Paar社의 MCR301 Model 레오미터(rhe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시편은 두께 30mil inch(0.762mm)의 원판 시편을 Compression Mouling으로 성형하였으며, 섭씨 275도에서 1rad/s의 속도로 25%의 Strain을 유지하며 점도의 증가를 10분간 측정하였다. 폴리케톤은 고열에서 Carbonyl기의 존재로 인해 Chain Breaking 및 Crosslinking이 발생하여 시간의 증가에 따른 점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따라서 첨가제의 폴리케톤에 대한 열 안정효과는 Rheometer 측정시 점도의 증가가 느릴수록 효과가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1)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 8.3037g을 5L 아세톤에 용해 후 초산팔라듐 2.8061g을 추가하여 용해하였다. 중합시작 시점에 트리플로로초산 14.252g을 첨가 교반하여 촉매용액을 제조하였다. 1m3 스테인레스 반응기에 메탄올 490L, 물 7.9L, 시드용 폴리케톤 파우더 8.5kg를 투입 후, 이 용액을 3.5bar 질소 퍼지를 3회 수행하여 공기를 제거하였다. 프로필렌을 40kg 반응기에 정량 충진 후 반응기의 온도를 섭씨 78도로 상승시켰다. 교반기를 교반하면서 일산화탄소:에틸렌=1:1 비율로 56bar 까지 충진하였다. 상기에 제조된 촉매용액을 고압 Pump로 투입하면서 중합을 개시하였으며, 78도에서 1시간20분, 84도에서 2시간 50분 동안 중합기의 압력을 일산화탄소:에틸렌=1:1 으로 보충하여 56bar를 유지 하였다. 이후 25분간 Monomer 공급이 없이 유지하여 중합을 완료하였다.
중합후 메탄올 슬러리 상에 생성된 중합물 대비 TCP 500ppm을 투입하여 3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여과하고, 메탄올로 수 회 세정 후, 117.5kg의 중합물을 수득하였다. (중합활성 19.047kg/g-Pd/hr)
13C-NMR 및 IR 결과로부터 이 중합체가 실질적으로 일산화탄소 유래의 반복단위와 에틸렌 유래의 반복단위 및 프로필렌 유래의 반복단위로 구성된 폴리케톤인 것을 확인하였다.
촉매활성은 19.05kg/g-Pd/hr에 상당하고, 고유점도는 1.4dl/g였다.
두께 30mil inch(0.762mm)의 원판 시편을 Compression Mouling으로 성형하였으며, 섭씨 275도에서 1rad/s의 속도로 25%의 Strain을 유지하며 점도의 증가를 10분간 측정하여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메탄올 슬러리에 TCP 500ppm을 투입하는 대신, 제조된 중합체에 TCP 250ppm을 투입하는 공정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13C-NMR 및 IR 결과로부터 이 중합체가 실질적으로 일산화탄소 유래의 반복단위와 에틸렌 유래의 반복단위 및 프로필렌 유래의 반복단위로 구성된 폴리케톤인 것을 확인하였다.
촉매활성은 19.21kg/g-Pd/hr에 상당하고, 고유점도는 1.4dl/g이었다.
두께 30mil inch (0.762mm)의 원판 시편을 Compression Mouling으로 성형하였으며, 섭씨 275도에서 1rad/s의 속도로 25%의 Strain을 유지하며 점도의 증가를 10분간 측정하여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폴리케톤의 중합과정은 실시예 1의 공정과 동일하며 TCP의 투입 없이 메탄올 세정, 여과, 감압건조의 과정을 거친 후 5000ppm의 TCP를 Drying상태에서 폴리케톤 중합물과 Tumbler를 사용하여 혼합, 압출하였다.
촉매활성은 19.11kg/g-Pd/hr에 상당하고, 고유점도는 1.4dl/g이었다.
두께 30mil inch (0.762mm)의 원판 시편을 Compression Mouling으로 성형하였으며, 섭씨 275도에서 1rad/s의 속도로 25%의 Strain을 유지하며 점도의 증가를 10분간 측정하여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상 매체 중에서 일산화탄소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을 공중합하여 폴리케톤을 제조할 때, 메탄올 슬러리 상태에 TCP를 투입한 실시예 1의 경우가 가장 우수한 내열안정성을 발현하였다(표 1 및 도 1 참조). 특히, 실시예 1의 폴리케톤은 리오미터를 사용한 10분간의 점도증가가 1,500Pa*s 이하를 나타내어 비교예보다 내열성이 우수하였다.
항목 TCP 함량 TCP 투입방법 Rheometer상 점도증가(10min)
실시예 500ppm MeOH Slurry에 투입 1,280
비교예1 250ppm MeOH Slurry에 투입 2,330
비교예2 5000ppm Dry powder와 혼합 4,030

Claims (5)

  1. 제9족, 제10족 또는 제11족 전이금속화학물, 제15족의 원소를 가지는 리간드 및 pKa가 4이하인 산의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유기금속 착체 촉매 존재 하에서 메탄올과 물로 이루어진 혼합용매에 첨가하는 단계;
    상기 촉매를 포함하는 혼합용매에 일산화탄소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혼합기체를 첨가하여 메탄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탄올 슬러리에서 폴리케톤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케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탄올 슬러리에 내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차단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고, 파우더형태인 첨가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내열안정제는 트리칼슘포스페이트이며,
    상기 폴리케톤은 리오미터를 사용한 10분간의 점도증가가 1,500Pa*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는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5. 삭제
KR1020140161989A 2014-11-19 2014-11-19 첨가제를 투입한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Active KR101664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989A KR101664925B1 (ko) 2014-11-19 2014-11-19 첨가제를 투입한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PCT/KR2015/010952 WO2016080656A1 (ko) 2014-11-19 2015-10-16 폴리케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989A KR101664925B1 (ko) 2014-11-19 2014-11-19 첨가제를 투입한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888A KR20160059888A (ko) 2016-05-27
KR101664925B1 true KR101664925B1 (ko) 2016-10-11

Family

ID=5610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989A Active KR101664925B1 (ko) 2014-11-19 2014-11-19 첨가제를 투입한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9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939B1 (ko) 2016-12-30 2018-06-15 주식회사 효성 내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KR101867937B1 (ko) 2016-12-30 2018-06-15 주식회사 효성 내수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폴리케톤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도용 볼 밸브
KR101867936B1 (ko) 2016-12-30 2018-07-17 주식회사 효성 치수안정성이 높은 폴리케톤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도 파이프 캡
KR20180085409A (ko) 2017-01-18 2018-07-27 주식회사 효성 Uv에 대한 색상 변화가 적은 폴리케톤 조성물
KR102278150B1 (ko) 2020-04-23 2021-07-19 효성화학 주식회사 저온충격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플렉시블 튜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431A (ja) 1999-06-07 2000-12-12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ケトン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55516A (ja) * 1999-08-17 2001-02-27 Polyplastics Co 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3505564A (ja) 1999-07-21 2003-02-12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オレフィン/一酸化炭素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422A (ko) * 2008-10-22 2010-04-30 주식회사 효성 촉매 전구체를 사용한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431A (ja) 1999-06-07 2000-12-12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ケトン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505564A (ja) 1999-07-21 2003-02-12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オレフィン/一酸化炭素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
JP2001055516A (ja) * 1999-08-17 2001-02-27 Polyplastics Co 難燃性樹脂組成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939B1 (ko) 2016-12-30 2018-06-15 주식회사 효성 내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KR101867937B1 (ko) 2016-12-30 2018-06-15 주식회사 효성 내수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폴리케톤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도용 볼 밸브
KR101867936B1 (ko) 2016-12-30 2018-07-17 주식회사 효성 치수안정성이 높은 폴리케톤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도 파이프 캡
KR20180085409A (ko) 2017-01-18 2018-07-27 주식회사 효성 Uv에 대한 색상 변화가 적은 폴리케톤 조성물
KR102278150B1 (ko) 2020-04-23 2021-07-19 효성화학 주식회사 저온충격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플렉시블 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888A (ko) 2016-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925B1 (ko) 첨가제를 투입한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KR101307935B1 (ko)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KR100721448B1 (ko)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KR20180055560A (ko)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705649B1 (ko) 폴리케톤 섬유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EP1942127B1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ketone
KR101664921B1 (ko) 저융점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KR100721450B1 (ko)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JPH04213324A (ja) 一酸化炭素と1種以上のオレフィン性不飽和化合物とのポリマーの連続的製造方法
KR101705620B1 (ko) 차량용 폴리케톤 연료 펌프
KR100816680B1 (ko)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KR101630679B1 (ko) 저융점 폴리케톤 중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저융점 폴리케톤
KR101647685B1 (ko) 폴리케톤 중합용 고체상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KR102228495B1 (ko) 내화학성이 향상된 폴리케톤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장갑 이송용 부품
KR101796979B1 (ko) 폴리케톤 펠렛 색 개선을 위한 중합 방법
KR101338132B1 (ko)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KR100652087B1 (ko)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KR101695729B1 (ko) 사무용 폴리케톤 파티션 프레임
KR101817975B1 (ko) 폴리케톤 화합물 제조 방법
KR100663260B1 (ko)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KR101828292B1 (ko) 폴리케톤 화합물 제조용 팔라듐 혼합 촉매 시스템, 이를 이용한 폴리케톤 화합물 제조 방법 및 폴리케톤 중합체
KR101857641B1 (ko) 중분자량 고분자량 폴리케톤 혼합물과 저함량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내열안정성이 개선된 조성물
KR100663252B1 (ko)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KR101705616B1 (ko) 폴리케톤 블렌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실린더 헤드 커버
KR101705647B1 (ko) 폴리케톤 섬유로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