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15107B1 - 탑승함 구조 - Google Patents

탑승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107B1
KR101615107B1 KR1020150144610A KR20150144610A KR101615107B1 KR 101615107 B1 KR101615107 B1 KR 101615107B1 KR 1020150144610 A KR1020150144610 A KR 1020150144610A KR 20150144610 A KR20150144610 A KR 20150144610A KR 101615107 B1 KR101615107 B1 KR 101615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b
upper portion
axially coupl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하
인인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명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명특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명특장
Priority to KR1020150144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일측프레임, 타측프레임 및 후측프레임이 각각 회전이동하여 납작하게 접혀질 수 있어 탑승함의 부피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운반 및 협소한 장소로의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고, 나아가, 바닥프레임의 면적을 넓힐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탑승함 구조{Do aboard structure}
본 발명은 바닥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일측프레임, 타측프레임 및 후측프레임이 각각 회전이동하여 납작하게 접혀질 수 있어 탑승함의 부피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운반 및 협소한 장소로의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고, 나아가, 바닥프레임의 면적을 넓힐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탑승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장치는 고가도로의 수리작업이나 도장작업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고층구조물에서의 시설보수작업이나 화물의 승하강작업 등과 같이 일반적인 사다리높이의 한계를 벗어난 높이에서의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매우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고소작업장치는 붐(Boom)방식, 시저어스(Scissors)방식, X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붐방식의 고소작업장치에서는 다단(多段)으로 끼워져 결합된 각각의 붐이 유압제어에 따라 작동되는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인출되거나 수납되면서 그 높이와 굴절각이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최종 붐의 선단부에는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또는 화물이 탑재되는 탑승함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최종 붐의 선단에 설치되는 탑승함은 통상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플레이트형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용접되는 후면판과, 상기 바닥판과 후면판의 좌우 양측면에 용접고정되는 좌측판 및 우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선단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소정 높이의 전면판으로 이루어지며 최근에는 탑승함의 내부공간의 크기를 작업높이 또는 화물의 부피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장치의 탑승함 구조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5891호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5891호(고소작업장치의 탑승함 구조)의 경우 탑승함을 납작하게 접을 수는 없어 상기 탑승함의 부피를 더욱 최소화하기가 어려움은 물론 이로 인해 운반 및 협소한 장소로의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589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바닥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일측프레임, 타측프레임 및 후측프레임이 각각 회전이동하여 납작하게 접혀질 수 있어 탑승함의 부피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운반 및 협소한 장소로의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고, 나아가, 바닥프레임의 면적을 넓힐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탑승함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일측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제 1일측프레임과, 상기 제 1일측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제 2일측프레임과, 상기 제 2일측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제 3일측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혀지는 일측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타측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제 1타측프레임과, 상기 제 1타측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제 2타측프레임과, 상기 제 2타측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제 3타측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혀지는 타측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형성되는 제 1후측프레임과, 상기 제 1후측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제 2후측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혀지는 후측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함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프레임, 상기 타측프레임 및 상기 후측프레임에 각각 보조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제 3일측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상하회전이동하는 제 1보조프레임과; 상기 제 3타측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상하회전이동하는 제 2보조프레임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의 일측에 타측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을 기준으로 일측이 좌우회전이동하는 제 3보조프레임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의 타측에 일측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좌우회전이동하는 제 4보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측에 전측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측프레임은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측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상하회전이동하는 제 1전측프레임과; 상기 제 1전측프레임의 일측에 타측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을 기준으로 일측이 좌우회전이동하는 제 2전측프레임과; 상기 제 1전측프레임의 타측에 일측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좌우회전이동하는 제 3전측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 3일측프레임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의 일측을 연결고정 및 상기 제 3타측프레임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의 타측을 연결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3일측프레임의 후측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하고, 상기 제 3타측프레임의 후측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 1일측프레임과 상기 제 2일측프레임 및 상기 제 1타측프레임과 상기 제 2타측프레임이 각각 상기 바닥프레임의 일측방향 및 상기 바닥프레임의 타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수평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 1보조프레임의 상부 및 상기 제 2보조프레임의 상부가 각각 상기 제 3일측프레임의 상부방향 및 제 3타측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수직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 3보조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제 4보조프레임의 타측이 각각 상기 제 3일측프레임과 상기 제 3타측프레임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 1보조프레임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상기 제 3보조프레임의 일측을 연결고정 및 상기 제 2보조프레임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상기 제 4보조프레임의 타측을 연결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보조프레임의 후측과 상기 제 3보조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하고, 상기 제 2보조프레임의 후측과 상기 제 4보조프레임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 2일측프레임의 전측 및 상기 제 2타측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제 2전측프레임과 상기 제 3전측프레임을 안착지지하는 안착프레임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바닥프레임의 일측과 타측 및 후측에 각각 구비된 일측프레임, 타측프레임 및 후측프레임이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납작하게 접혀질 수 있어 탑승함의 부피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운반 및 협소한 장소로의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바닥프레임의 면적을 넓힐 수 있어 많은 양의 화물을 상기 바닥프레임에 적재 및 상기 바닥프레임에 올라선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넓어질 수 있어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탑승함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고정프레임에서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바닥프레임의 전체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일측프레임, 타측프레임, 후측프레임 및 전측프레임이 바닥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하여 접혀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펼침방지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크레인본체에 연결되는 연장대에 탑승함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탑승함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크레인, 고소작업차, 특장차 등의 차량에 설치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탑승함 구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바닥프레임(10), 일측프레임(20), 타측프레임(30) 및 후측프레임(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일측, 타측, 후측에 각각 상기 일측프레임(20), 상기 타측프레임(30) 및 후측프레임(4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딛고 올라설수 있는 발판(9)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프레임(20)은 제 1, 2, 3일측프레임(210, 220, 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일측프레임(210)의 하부는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일측에 축결합된다.
상기 제 2일측프레임(220)의 하부는 상기 제 1일측프레임(210)의 상부에 축결합된다.
상기 제 3일측프레임(230)의 하부는 상기 제 2일측프레임(220)의 상부에 축결합된다.
상기 제 1, 2일측프레임(210, 22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및 상기 제 3일측프레임(230)의 하부 일측의 반대측인 하부 타측에도 각각 상기 발판(9)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타측프레임(30)은 제 1, 2, 3타측프레임(310, 320, 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타측프레임(310)의 하부는 상기 바닥프레임(10)의 타측에 축결합된다.
상기 제 2타측프레임(320)의 하부는 상기 제 1타측프레임(310)의 상부에 축결합된다.
상기 제 3타측프레임(330)의 하부는 상기 제 2타측프레임(320)의 상부에 축결합된다.
상기 제 1, 2타측프레임(310, 320)의 일측 및 상기 제 3타측프레임(330)의 하부 일측에도 각각 상기 발판(9)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후측프레임(40)은 제 1, 2후측프레임(410, 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후측프레임(410)은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수직형성된다.
상기 제 1후측프레임(410)의 전측에도 상기 발판(9)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후측프레임(420)의 하부는 상기 제 1후측프레임(410)의 상부에 축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프레임(20), 상기 타측프레임(30) 및 상기 후측프레임(40)에 각각 보조프레임(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50)은 제 1, 2, 3, 4보조프레임(510, 520, 530, 5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보조프레임(510)의 하부는 상기 제 3일측프레임(230)의 상부에 축결합된다.
상기 제 2보조프레임(520)의 하부는 상기 제 3타측프레임(330)의 상부에 축결합된다.
상기 제 3보조프레임(530)의 타측은 상기 제 2후측프레임(420)의 일측에 축결합된다.
상기 제 4보조프레임(540)의 일측은 상기 제 2후측프레임(420)의 타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전측에 전측프레임(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프레임(60)은 제 1, 2, 3전측프레임(610, 620, 6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프레임(610)의 하부는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프레임(620)의 타측은 상기 제 1전측프레임(610)의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3전측프레임(630)의 일측은 상기 제 1전측프레임(610)의 타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3전측프레임(610, 620, 63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도 상기 발판(9)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고정프레임에서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일측프레임(23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420)의 일측을 연결고정 및 상기 제 3타측프레임(33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420)의 타측을 연결고정하는 고정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프레임(710)과 고정부재(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710)은 사각관 등의 관형태 또는 판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710)은 상기 제 3일측프레임(230)의 후측 상부와 상기 제 2후측프레임(420)의 일측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면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710)은 상기 제 3타측프레임(330)의 후측 상부와 상기 제 2후측프레임(420)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면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20)는 상기 고정프레임(710)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710)에 삽입고정되는 고정축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고정프레임(710)의 중심부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바닥프레임의 전체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일측프레임(210)과 상기 제 2일측프레임(220) 및 상기 제 1타측프레임(310)과 상기 제 2타측프레임(320)은 작업자에 의해 각각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일측방향 및 상기 바닥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수평으로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보조프레임(510)의 상부 및 상기 제 2보조프레임(520)의 상부가 작업자에 의해 각각 상기 제 3일측프레임(230)의 상부방향 및 상기 제 3타측프레임(33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 1, 2보조프레임(510, 520)이 수직으로 펼져질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보조프레임(530)의 일측과 상기 제 4보조프레임(540)의 타측이 작업자에 의해 각각 상기 제 3일측프레임(230)의 후측과 상기 제 3타측프레임(330)의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 3, 4보조프레임(530, 540)이 수직으로 펼쳐질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보조프레임(5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와 상기 제 3보조프레임(530)의 일측 상부를 연결고정 및 상기 제 2보조프레임(5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와 상기 제 4보조프레임(540)의 타측 상부를 연결고정하는 상기 고정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0)의 고정프레임(710)은 상기 제 1보조프레임(530)의 후측 상부와 상기 제 3보조프레임(530)의 일측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면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70)의 고정프레임(710)은 상기 제 2보조프레임(520)의 후측 상부와 상기 제 4보조프레임(540)의 타측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면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0)의 고정부재(720)는 상기 고정프레임(710)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7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프레임(60)의 제 2전측프레임(620)의 일측과 상기 제 3전측프레임(630)의 타측이 각각 상기 제 1전측프레임(610)의 일측 방향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 2, 3전측프레임(620, 630)이 각각 수직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이상태에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전측프레임(60)의 상부가 상기 전측프레임(60)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전측프레임(60)이 수평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인 상기 제 2전측프레임(620)의 일측 및 상기 제 3전측프레임(630)의 타측이 각각 상기 제 2, 3전측프레임(620, 630)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일측프레임(220)의 전측 및 상기 제 2타측프레임(320)의 전측에는 상기 제 2전측프레임(620)과 상기 제 3전측프레임(630)을 안착지지하는 안착프레임(8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프레임(80)은 상기 제 2일측프레임(220)의 전측 외부방향 및 상기 제 2타측프레임(320)의 전측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접혀진 상태인 상기 전측프레임(60)의 상부가 상기 전측프레임(60)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프레임(80)의 전측은 상기 전측프레임(60)의 일측방향 및 상기 전측프레임(60)의 타측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전측프레임(60)의 일측 및 상기 전측프레임(60)의 타측과 접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전체면적이 넓어질 수 있게 되어 많은 양의 화물을 상기 바닥프레임(10)에 적재 및 상기 바닥프레임(10)에 올라선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넓어질 수 있어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2는 일측프레임, 타측프레임, 후측프레임 및 전측프레임이 바닥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하여 접혀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전측프레임(620)의 일측과 상기 제 3전측프레임(630)의 타측이 각각 상기 제 1전측프레임(610) 방향으로 작업자에 의해 회전이동하여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전측프레임(60)의 상부는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고, 이로서,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부에 상기 전측프레임(60)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프레임(30)의 제 2, 3타측프레임(320, 330)과 상기 보조프레임(50)의 제 2보조프레임(520)이 각각 작업자에 의해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부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인 상기 전측프레임(60)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프레임(20)의 제 2, 3일측프레임(220, 230)과 상기 보조프레임(50)의 제 1보조프레임(510)이 각각 작업자에 의해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수평으로 접혀진 상기 타측프레임(30)의 제 2, 3타측프레임(320, 330)과 상기 보조프레임(50)의 제 2보조프레임(520)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접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프레임(50)의 제 3보조프레임(530)의 일측과 상기 제 4보조프레임(540)의 타측이 각각 상기 후측프레임(40)의 제 2후측프레임(420) 방향으로 작업자에 의해 회전이동하여 접혀진 상태에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프레임(40)의 제 2후측프레임(420)의 상부가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부방향으로 작업자에 의해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 2후측프레임(420)이 상기 일측프레임(20)의 제 2, 3일측프레임(220, 230)과 상기 보조프레임(50)의 제 1보조프레임(510)에 눕혀진 상태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후측프레임(40)의 제 2후측프레임(420)이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부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 2후측프레임(420)이 상기 일측프레임(20)의 제 2, 3일측프레임(220, 230)과 상기 보조프레임(50)의 제 1보조프레임(510)에 보다 용이하게 눕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일측프레임(210)의 상하길이와 상기 제 1타측프레임(310)의 상하길이는 상기 제 1후측프레임(410)의 상하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 및 후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일측프레임(20), 상기 타측프레임(30) 및 상기 후측프레임(40)이 상기 바닥프레임(1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납작하게 접혀질 수 있어 탑승함의 부피를 보다 더욱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운반 및 협소한 장소로의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도 13은 펼침방지프레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2후측프레임(420)방향으로 작업자에 의해 회전이동하여 접혀진 상태인 상기 제 3, 4보조프레임(530, 540)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후측프레임(420)의 상부 일측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420)의 상부 타측에 각각 펼침방지프레임(9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펼침방지프레임(90)의 후측은 각각 상기 제 2후측프레임(420)의 전면 상부 일측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420)의 전면 상부 타측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펼침방지프레임(90)의 전측은 상기 펼침방지프레임(9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펼침방지프레임(90)의 후측을 기준으로 상기 펼침방지프레임(90)의 전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제 2후측프레임(4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고, 이때, 상기 펼침방지프레임(90)의 내측에 상기 제 3, 4보조프레임(530, 540)의 상부가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크레인본체에 연결되는 연장대에 탑승함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탑승함(1)의 바닥프레임(10)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고소작업자용 크레인본체 등의 신축되는 끝부분에 전측이 연결되는 연장대(100)의 후측 상부에 고정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10; 바닥프레임, 20; 일측프레임,
30; 타측프레임, 40; 후측프레임.

Claims (8)

  1.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일측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제 1일측프레임과, 상기 제 1일측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제 2일측프레임과, 상기 제 2일측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제 3일측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혀지는 일측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타측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제 1타측프레임과, 상기 제 1타측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제 2타측프레임과, 상기 제 2타측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제 3타측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혀지는 타측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형성되는 제 1후측프레임과, 상기 제 1후측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는 제 2후측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혀지는 후측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함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프레임, 상기 타측프레임 및 상기 후측프레임에 각각 보조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제 3일측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상하회전이동하는 제 1보조프레임과;
    상기 제 3타측프레임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상하회전이동하는 제 2보조프레임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의 일측에 타측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을 기준으로 일측이 좌우회전이동하는 제 3보조프레임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의 타측에 일측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좌우회전이동하는 제 4보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함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측에 전측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측프레임은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측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상하회전이동하는 제 1전측프레임과;
    상기 제 1전측프레임의 일측에 타측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을 기준으로 일측이 좌우회전이동하는 제 2전측프레임과;
    상기 제 2전측프레임의 타측에 일측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좌우회전이동하는 제 3전측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함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일측프레임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의 일측을 연결고정 및 상기 제 3타측프레임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의 타측을 연결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함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3일측프레임의 후측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하고, 상기 제 3타측프레임의 후측과 상기 제 2후측프레임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함 구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일측프레임과 상기 제 2일측프레임 및 상기 제 1타측프레임과 상기 제 2타측프레임이 각각 상기 바닥프레임의 일측방향 및 상기 바닥프레임의 타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수평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 1보조프레임의 상부 및 상기 제 2보조프레임의 상부가 각각 상기 제 3일측프레임의 상부방향 및 제 3타측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수직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 3보조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제 4보조프레임의 타측이 각각 상기 제 3일측프레임과 상기 제 3타측프레임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 1보조프레임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상기 제 3보조프레임의 일측을 연결고정 및 상기 제 2보조프레임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상기 제 4보조프레임의 타측을 연결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함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보조프레임의 후측과 상기 제 3보조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하고, 상기 제 2보조프레임의 후측과 상기 제 4보조프레임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함 구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일측프레임의 전측 및 상기 제 2타측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제 2전측프레임과 상기 제 3전측프레임을 안착지지하는 안착프레임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함 구조.
KR1020150144610A 2015-10-16 2015-10-16 탑승함 구조 KR101615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610A KR101615107B1 (ko) 2015-10-16 2015-10-16 탑승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610A KR101615107B1 (ko) 2015-10-16 2015-10-16 탑승함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107B1 true KR101615107B1 (ko) 2016-04-25

Family

ID=5591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610A KR101615107B1 (ko) 2015-10-16 2015-10-16 탑승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10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529A (ko) * 2017-03-10 2018-09-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 작업 장치
KR102089649B1 (ko) * 2019-10-24 2020-03-16 유봉상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
KR102230963B1 (ko) 2019-09-25 2021-03-23 주식회사 호룡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KR102321937B1 (ko) 2021-04-30 2021-11-04 김동열 고소 작업차량의 실린더로드 휨 방지장치
KR102422434B1 (ko) 2021-04-08 2022-07-19 김동열 고소 작업차량의 실린더 및 실린더 코팅 방법
KR102652228B1 (ko) 2023-04-12 2024-03-29 김상인 고소 작업용 탑승함의 완충장치
KR102684563B1 (ko) 2024-04-04 2024-07-15 김상인 고소 작업용 탑승함의 완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327B1 (ko) 2012-07-11 2013-08-02 박환성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327B1 (ko) 2012-07-11 2013-08-02 박환성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529A (ko) * 2017-03-10 2018-09-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 작업 장치
KR101954940B1 (ko) * 2017-03-10 2019-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 작업 장치
KR102230963B1 (ko) 2019-09-25 2021-03-23 주식회사 호룡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KR102089649B1 (ko) * 2019-10-24 2020-03-16 유봉상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
KR102422434B1 (ko) 2021-04-08 2022-07-19 김동열 고소 작업차량의 실린더 및 실린더 코팅 방법
KR102321937B1 (ko) 2021-04-30 2021-11-04 김동열 고소 작업차량의 실린더로드 휨 방지장치
KR102652228B1 (ko) 2023-04-12 2024-03-29 김상인 고소 작업용 탑승함의 완충장치
KR102684563B1 (ko) 2024-04-04 2024-07-15 김상인 고소 작업용 탑승함의 완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107B1 (ko) 탑승함 구조
CN104528609B (zh) 一种桥式作业平台
CN203065116U (zh) 一种高空作业车
CN109899095B (zh) 一种多平台架拱车
CN204488618U (zh) 旅游车厢
US20220176883A1 (en) Vehicle Cargo Rack System with Powered Lift
CN103097192A (zh) 与载重车辆的至少一个承载平面相毗邻的可折叠的侧面扩展件
KR101854093B1 (ko) 다목적 피트잭.
KR101011981B1 (ko) 고상에 보관된 광물 시료박스 조사용 탑승형 테이블 리프트
EP3165402B1 (en) Foldable superstructure for vehicles
JP3193459U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JP6368299B2 (ja) 昇降台装置
JP6976825B2 (ja) 高所作業車
CN204383612U (zh) 厢式车折叠式扩展装置
KR101302226B1 (ko) 다용도 살수차
JP3213460U (ja) 作業台
CN105584405A (zh) 一种牵引随车起重运输车
JP3968362B2 (ja) トンネル補修作業車
CN110078000A (zh) 便携式提升作业一体升降机
US200601825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moving load
JP5856251B2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JP3214624U (ja) 車載式の道路点検作業機
KR20100006639A (ko) 짐 운반용 사다리차
KR101650889B1 (ko)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RU187109U1 (ru) Мобильное средство обеспе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