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620B1 - Ioniz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Ioniz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9620B1 KR101609620B1 KR1020140051758A KR20140051758A KR101609620B1 KR 101609620 B1 KR101609620 B1 KR 101609620B1 KR 1020140051758 A KR1020140051758 A KR 1020140051758A KR 20140051758 A KR20140051758 A KR 20140051758A KR 101609620 B1 KR101609620 B1 KR 1016096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y tube
- voltage
- coupled
- ray
- tub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026—Means for avoiding or neutralising unwanted electrical charges on tube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온화 장치는 연 엑스선을 발생하는 연 엑스선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압을 발생하여 연 엑스선관에 전달하는 전압발생부, 연 엑스선관에 연결된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를 포함하여 전압발생부에서 발생한 전압을 전달받는 전압 전달 모듈, 그리고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에 연결되고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구조를 가지며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로부터 전압을 전달받아 연 엑스선관으로 전달하는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를 포함하는 광 이오나이저, 그리고 한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두 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내삽하여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구비하는 이온화 장치에서 어느 하나의 연 엑스선관에서 이상이 발생하거나 해당 연 엑스선관의 수명이 마모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이온화 장치를 새 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교체가 필요한 해당 연 엑스선관 모듈만을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하여 이온화 장치의 유지 보수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nization apparatus. Such an ionization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burn-out tube for generating a burn-in line, a voltag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voltage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voltage to be delivered to the burn-out tube, a burn-out tube supporting lid connected to the burn- A voltage transmitting module including an electrode portion and receiving a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ing portion, a voltage transmitting module connected to the X-ray tube supporting lid and having a detachable structure to be fastened or separated to the X-ray tube connecting second electrode portion, And a body having a length formed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two optical ionizers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body includes a first electrode unit including a first X-ray tube-coupled first electrode unit for receiving a voltage from the X-ray tube unit and transmitting the voltage to the X- . Therefor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one of the plurality of irradiation x-ray tubes in the ioniz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optical ionizers, or when the life of the corresponding irradiation tube is worn out and needs to be replaced, the ionization apparatus is not replaced with a new one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ionization apparatus.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 엑스선관을 모듈로서 분리 가능한 바(bar) 형태의 이온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nization device in the form of a bar separable as a module.
이온화 장치는 연 엑스선(soft X-ray)을 대전체를 향해 방사하는 연 엑스선관을 포함하여 대전체 주변의 기체분자를 이온화(ionization)하여 대전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정전기를 중화하는 장치이다.The ionization device is a device for neutralizing the static electricity on the surface of the whole body by ionizing gas molecules around the whole body including a soft X-ray tube for radiating a soft X-ray toward the whole body.
이온화 장치는 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막대(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포함하며, 광 이오나이저는 하나의 연 엑스선관을 갖는다. The ionization device is formed in a bar shape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includes at least two light ionizers, and the light ionizer has one pivot tube.
이때, 연 엑스선관은 음극과 양극을 각각 구비하며, 두 전극은 서로 절연되어 지지된다.At this time, the X-ray tube has a cathode and an anode respectively, and the two electrodes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supported.
종래의 연 엑스선관은 절연체로 된 용기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고 진공의 용기 내부에 양극과 음극을 각각 대향하여 구비하며, 양극과 음극의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엑스선이 용이하게 방사될 수 있도록 엑스선창을 구비한다.Conventional exhaust ducts are provided with an insulator made of a vacuum i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 anode and a cathode opposite to each other in a vacuum container, and an X-ray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anode and the cathode can be easily radiated An X-ray can be installed.
이때,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위차를 관전압이라 하는데, 관전압이 높을수록 물질에 대한 투과력이 강하고 파장이 짧은 엑스선인 경 엑스선(Hard X-ray)이 발생하고, 관전압이 낮을수록 물질에 대한 투과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파장이 긴 엑스선인 연 엑스선(Soft X-ray)이 발생한다. At this time, the potential difference appli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is referred to as a tube voltage. The higher the tube voltage, the stronger the X-ray (Hard X-ray) The soft X-ray, which is a relatively weak and long wavelength X-ray, occurs.
공기를 이온화하기 위해서는 투과력이 약한 연 엑스선을 사용하는데, 연 엑스선을 발생하는 종래의 이온화 장치는 연 엑스선을 발생하는 연 엑스선관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이는, 전구의 수명이 닳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연 엑스선관도 시간이 지나면 필라멘트가 마모되어 수명을 다하기 때문이다.In order to ionize the air, a weak X-ray is used. In the conventional ionization apparatus generating the X-ray, the X-ray tube for generating the X-ray must be periodically replaced. This is because, in the same context as the life of the bulb is worn out, the tube of the X-ray tube also wears over time to reach its end of life.
그러나, 종래의 이온화 장치의 경우, 연 엑스선관에서 사용되는 고전압의 절연을 위해 몰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연 엑스선관이 이온화 장치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 엑스관의 교체를 위해 이온화 장치 자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야 하며, 이로 인해, 이온화 장치의 교체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더 사용할 수 있는 부품을 함께 폐기해 버림으로, 이의 경제적 손실과 더불어 산업 폐기물이 양산된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ionization apparatus has a structure that is molded for high-voltage insulation used in a soft X-ray tube, so that the soft X-ray tube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ionization apparatus. Therefore, in order to replace the open tube,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ionizer itself with a new one, which results in a large replacement cost of the ionizer and disposal of more usable part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waste is mass-produc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 형태의 이온화 장치에서 연 엑스선관을 광 이오나이저로부터 분리하여, 연 엑스선관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연 엑스선관 부분만을 쉽게 분리 및 교체함으로써 이온화 장치의 교체 비용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bar-shaped ionization device that separates an open x-ray tube from a light ionizer and separates and replaces only the open x-ray tube por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open x-ray tube,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온화 장치의 동작상태를 출력하고, 인터로크 발생시 광 이오나이저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바 형태의 이온화 장치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이온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r ionization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n operation state of an ioniza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driving of a light ionizer to stop when an interlock occurs, To provide an ionization device.
그리고, 통신 및 전원을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부를 통해, 둘 이상의 연속하여 위치하는 바 형태의 이온화 장치를 연결되어 형성되는 구조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continuously positioned bar-shaped ionization devices are connected and connected through a control unit having a function of connecting communication and power.
본 발명의 한 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는 연 엑스선을 발생하는 연 엑스선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연 엑스선관에 전달하는 전압발생부, 상기 연 엑스선관에 연결된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압발생부에서 발생한 전압을 전달받는 전압 전달 모듈, 그리고 상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에 연결되고 상기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구조를 가지며 상기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로부터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연 엑스선관으로 전달하는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를 포함하는 광 이오나이저, 그리고 한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광 이오나이저를 내삽하여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한다.An ion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rn-out x-ray tube for generating a burn x-ray; a voltage generating unit for receiving a power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voltage and delivering the generated voltage to the burn-out x-ray tube; A voltage transmitting module including a cover, a second electrode unit coupled to the X-ray tube, and receiving a voltage generated in the voltage generating unit; and a voltage transmitting module connected to the X-ray tube supporting lid and fastened to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X- A light ionizer having a detachable structure and receiving a voltage from the second X-ray tube-coupled second electrode unit and transferring the voltage to the X-ray tube; and a light ionizer having a length in one direction, And a body provided with the optical ionizer by interpolation.
한 예에서, 상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에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힘에 의해 풀리거나 조이는 판넬 훼스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넬 훼스너가 풀리는 경우 상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가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판넬 훼스너가 조여지는 경우 상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가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위치하는 것이 좋다.In one example,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anel fastener formed on the open x-ray tube supporting lid and loosened or tightened by an externally applied force, wherein when the panel facer is loosened, the open x-ray tube supporting lid is separated from the body, When the panel fasteners are tight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x-ray tube supporting lid is coupled with the body.
한 예에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통신케이블 삽입을 위한 복수개의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중 한 포트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나머지 다른 한 포트는 인가받은 전원을 인접하는 다른 이온화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인 것이 좋다.In one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ort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for inserting a communication cable,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ports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It is better to have a power connection for transfer to another ionizer.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구비하는 이온화 장치는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에 판넬 훼스너(panel fastener)를 형성하여, 연 엑스선관을 이온화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an ionization apparatus formed in a bar shap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tical ionizers can be provided with a panel fastener on the x-ray tube supporting lid so that the x-ray tub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ionization apparatus have.
이로 인해, 연 엑스선관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replacement of the X-ray tube.
그리고, 제어부는 발광부를 점등하여 연 엑스선관의 동작, 정지, 교체시기, 수명, 상태 이상 및 전원 정상 공급 여부를 나타내어, 이온화 장치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 unit lights up the light emitting unit to indicate the operation, stop, replacement timing, life span, abnormal state, and normal supply of power to the x-ray tube, thereby efficiently grasping the state of the ionization apparatus.
또한, 제어부에 구비된 두 쌍의 전원공급 연결포트와 통신포트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이온화 장치 사이에 전원을 연결하거나 통신을 연결하여 다수의 이온화 장치에 연결되는 배선 소요량을 최소화하고 배선을 간결하게 설계할 수 있다.Also, by using two pairs of power supply connection ports and a communication port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power supply or communication between adjacent ionisers to minimize the amount of wiring required to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onisers,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에에 따른 이온화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 중 제1 잭 결합부 및 제2 잭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on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n ion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on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n ion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n ion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n ion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jack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jack coupling portion of the ioniz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ion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First, an ion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이온화 장치는 막대, 즉 바(bar) 형상을 갖는 몸체(10), 몸체(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커버(20), 몸체(10)와 상부 커버(20)의 측면에 연결되는 측부 커버(30), 몸체(10)에 적어도 연결되어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광 이오나이저, 이온화 장치의 상태 또는 가동시간을 나타내는 표시창(12),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연결부(11a, 11b), 이온화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부(13), 광 이오나이저를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14), 외부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연결부(11c, 11d), 그리고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입출력연결부(11e)를 구비한다.1, the ion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온화 장치는 복수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나, 도면에서는 하나의 광 이오나이저를 도시하여 설명을 기재했으며, 도면으로 인해 발명이 오해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nization apparatus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optical ionizers, but one optical ionizer is shown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the invention should not be misunderstood by the drawings.
몸체(10)는 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입면체 구조를 갖고, 인접하는 두 면이 서로 수직하여 연결된 면을 구비한다. 이때, 몸체(10)는 세 면을 구비하여 ‘ㄷ’ 형상의 단면을 갖고, 이로 인해 몸체(1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The
바람직한 한 예에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10) 내부의 공간에 광 이오나이저의 구성요소들과 전압발생부(40)가 위치한다.In one preferred example, the components of the light ionizer and the
그리고, 도 3 및 도 4b를 참고로 하면, 몸체(10)를 형성하는 세 면 중 한 면, 바람직하게는 가운데 면은 뚫린 부분(10a)을 포함하여 형성된다.3 and 4B, one of the three surfaces forming the
상부 커버(20)는 몸체(10)의 한 측면으로 연결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연속하는 세 면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형성됨으로 인해 면을 형성하고 있지 않는 몸체(10)의 개구된 한 부분에 연결되어 위치하며, 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The
이때, 몸체(10)와 상부 커버(20)의 대응되는 구조는 결합구조(이른 바, 파티션을 연결하는 ‘쫄대’ 같은 형상)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corresponding structures of the
상부 커버(20)는 몸체(10)의 개구된 부분의 면을 제외하고 상부 커버(20)의 한 단부에서 다른 한 단부까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부 커버(20)가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상부 커버(20)와 고정부(5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The
이때, 고정부(50)에 전압 전달 모듈(60) 및 전압 발생부(40)가 고정되어 연결되고, 고정부(50)는 상부 커버(20)와 몸체(10) 사이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전압 전달 모듈(60) 및 전압 발생부(40)가 몸체(10)에 고정되어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voltage transmitting
한 예에서, 전압 전달 모듈(60)은 전압 전달 모듈 결합 나사(51a, 51b)를 통해 고정부(50)에 결합되고, 전압 발생부(40)는 전압 발생부 결합 나사(53a, 53b)를 통해 고정부(50)에 결합된다.In one example, the
그리고, 측부 커버(30)는 이온화 장치를 외부 구조물에 부착하기 위한 측부 브라켓 연결부(31)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The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몸체(10)의 한 측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몸체(10)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광 이오나이저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광 이오나이저는 연 엑스선관(120)와 연결된 플랜지부(112),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 연 엑스선관 몰드(130), 연 엑스선관 커버(140), 연 엑스선관 결합 개방홈(170), 전압 전달 모듈(60), 전압 전달부(41), 그리고 전압발생부(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1 to 5, a light ionizer,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는 몸체(10)의 측면을 덮는 구조, 즉 몸체(10)의 구조처럼 인접하는 두 면이 수직으로 연결된 연속적인 세 면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The X-ray
이러한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는 몸체(10)의 크기와 대응되어 형성되므로 몸체(10)의 측면을 도면과 같이 감싸며 위치한다.Since the open
이때,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는 연 엑스선관(120)을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부인 연 엑스선관 관통부(101)를 구비하고 있고, 플랜지부(112)를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 제2 결합 관통공(112a, 112b)을 구비하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를 몸체(10)에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구조인 판넬 훼스너(121a, 121b)를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x-ray
연 엑스선관 관통부(101)는 연 엑스선관(120)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구멍으로서, 연 엑스선관(120)은 연 엑스선관 관통부(101)를 관통하여 위치함으로써 연 엑스선관(120)과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가 결합된다.The X-ray
그리고 이때, 각각의 플랜지 제2 결합 관통공(112a, 112b)에는 플랜지 결합 나사(111a, 111b)가 각각 관통하여 위치한다.At this time,
연 엑스선관(120)은 플랜지부(112)의 한 단부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의 연 엑스선관 관통부(101) 및 연엑스선관 결합부(150)를 관통하여 위치하며, 연 엑스선관 몰드(130)에 감싸진다.The
연 엑스선관(120)는 인가받은 전압을 이용하여 내부에서 전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를 전위차에 의해 끌어당긴다. 이때, 끌어당겨진 전자들이 애노드(anode)의 양극물질에 충돌하여 연 엑스선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연 엑스선관(120)은 전자를 이용하여 연 엑스선(Soft X-ray)을 생성하여 외부로 방출한다.The
이때, 연 엑스선관(120)에서 생성되어 방출된 연 엑스선은 플랜지부(112)에 형성된 엑스선 출력창(110)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At this time, the soft X-rays generated and emitted from the
그리고 이때, 연 엑스선관(120)은 전압발생부(40)로부터 전압을 전달받아 연 엑스선을 생성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연 엑스선관 몰드(130)는 연 엑스선관(120) 외부를 일부 감싸도록 위치함으로써, 전압발생부(40)로부터 연 엑스선관(120)에 인가되는 고압 절연파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인 사고를 예방한다. The
예로써, 연 엑스선관 몰드(130)는 연 엑스선관(120)를 실리콘 튜브로 씌운 후 실리콘으로 몰딩(moulding)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연 엑스선관 몰드(130)는 연 엑스선관(120)과 제1 전선(152a) 및 제2 전선(152b)의 납땜 연결 시 노출되는 비절연 부분(bare wire)을 전기적으로 절연을 확보하여 연 엑스선관(120)의 안정된 동작을 만들어준다.For example, the open
플랜지부(112)는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한 단부에 연 엑스선관(120)와 연결되어 있고, 연 엑스선관(120)에서 출력된 엑스선을 출력하기 위한 엑스선 출력창(110)을 구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플랜지부(112)와 연 엑스선관(120)는 부착되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플랜지부(112)는 플랜지 결합 나사(111a, 111b)가 관통하는 관통공인 플랜지 제1 결합 관통공(113a, 113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로 인해, 플랜지 결합 나사(111a, 111b)가 플랜지부(112)의 플랜지 제1 결합 관통공(113a, 113b) 및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의 플랜지 제2 결합 관통공(112a, 112b)를 각각 관통하여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플랜지부(112)와 연 엑스선관(120)의 일체형 구조가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를 통해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에 결합되게 된다.The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는 연 엑스선관(120)이 관통할 만한 크기의 개구부와,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를 포함한다.The X-ray
이러한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는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의 한 단면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에 형성된 개구부가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에 형성된 연 엑스선관 관통부(101)에 대응되도록 연결된다.The openings of the openings of the openings of the openings of the openings of the openings of the openings of the openings of the openings of the openings of the openings of the openings of the openings And is connected to correspond to the opened x-ray
이때,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와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가 연결되는 접합부에 형성된 홈에 고무 재질의 오링(o-ring)(151)을 삽입하여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171)에서 고압방전현상에 의해 발생된 이온화 기체로 인해 외부 금속과의 고압 절연파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한다.At this time, an o-
그리고,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의 연 엑스선관 관통부(101)를 관통하여 위치하는 연 엑스선관(120)은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위치하고, 플랜지 제1 결합 관통공(113a, 113b) 및 플랜지 제2 결합 관통공(112a, 112b)를 각각 관통한 플랜지부 결합 나사(111a, 111b)가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에 고정된다. The piercing
따라서, 플랜지부(112) 및 연 엑스선관(120)의 일체형 구조는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 및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와 결합된다.Therefore, the integral structure of the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는 내부가 텅 빈 원통 형상으로서,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는 원통 형상의 내부에 탭 연결부(162)를 구비하여 탭 연결부(162)에 연결된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를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로부터 연장하여 구비한다.The X-ray
연 엑스선관 커버(140)는 연 엑스선관 몰드(130)를 감싸도록 위치하여 연 엑스선관(12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절연한다.The
그리고, 연 엑스선관 커버(140)의 외부 형상은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 및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연 엑스선관 커버(140) 내부에 위치하는 연 엑스선관(120)와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를 분리한다.The outer shape of the annular
이러한 구조로 인해, 플랜지부(112)와 연 엑스선관(120) 일체형 구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 연 엑스선관 몰드(130), 연 엑스선관 커버(140),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 그리고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가 각각 연결되어 결합되며,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모듈 형상을 갖게 된다.With this structure, the
그리고, 전압발생부(4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고, 공급 받은 전원을 연 엑스선관(120)을 동작시키기에 적합한 고전압으로 승압한다. The
이때, 전압발생부(40)는 연 엑스선관(120) 구동전압을 발생하여 연 엑스선관(120)로 전달한다. 한 예에서, 전압발생부(40)는 적어도 두 개의 전선(전압 전달부(41))를 구비하고, 전압 전달부(41)를 통해 전압발생부(40)에서 발생된 고전압을 연 엑스선관(120)으로 전달한다.At this time, the
더욱 상세하게는, 전압발생부(40)에서 발생된 고전압은 전압 전달부(41)로 전달되고, 전압 전달부(41)는 전압 전달 모듈(60)로 연결되어 연 엑스선관 결합 개방홈(170) 내부에 위치하는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171)을 통해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로 전달된다.More specifically, the high voltage generated in the
본 발명의 한 예에서,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탭 연결부(162)에 연결되어 있고,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는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171)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X-ray tube-coupled
이때,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와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 (171)는 동축 케이블의 연결처럼 잭 연결 방식으로 체결된다.At this time, the first X-ray tube-coupled
그리고 이때, 탭 연결부(162)가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 내부에 삽입되어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는 연 엑스선관(120)를 포함하는 연 엑스선관 모듈에 고정 결합되고,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 및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는 연 엑스선관 결합 개방홈(170) 내부로 삽입되며,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가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171)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와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171)의 체결 구조로 인해, 전압발생부(40)에서 발생한 전압이 연 엑스선관(120)로 전달되게 된다.The voltage generated in the
도 4c를 참고로 하여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전압 발생부(40)에서 발생한 전압은 전압 전달부(41)를 통해 전압 전달 모듈(60)로 전달되고, 전압 전달 모듈(60)에 전달된 전압은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171) 및 연 엑스선 결합 제1 전극부(161)를 통해 연 엑스선관 튜브 결합부(150)에 위치하는 제1 전선(152a) 및 제2 전선(152b)로 전달된다.4C, the voltage generated in the
그리고, 제1 전선(152a) 및 제2 전선(152b)는 연 엑스선관 커버(140)에 볼록하게 형성된 부분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전선(152a) 및 제2 전선(152b)의 단부는 연 엑스선관 몰드(130)를 통과하여 연 엑스선관(120)에 연결된다.The
이로 인해, 전압 발생부(40)에서 발생한 고전압이 연 엑스선관(120)으로 전달되게 된다.Therefore, the high voltage generated in the
그리고 이때, 연 엑스선관 결합 개방홈(170)을 구비하는 전압 전달 모듈(60)은, 전압 전달 모듈 결합 나사(51a, 51b)가 전압 전달 모듈(60)에 형성된 전압 전달 모듈 결합 관통공(52a, 52b)을 관통하여 위치하여 고정부(50)에 고정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고정부(50)은 몸체(10)와 상부 커버(20)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이므로, 고정부(50)에 연결된 전압 전달 모듈(60)이 구비하는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171)에 연 엑스선관 모듈에 형성된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가 연결되면, 연 엑스선관(120)를 포함하고 몸체(10)의 뚫린 부분(10a)을 통해 몸체(10) 내부에 위치하는 연 엑스선관 모듈이 이온화 장치 내부에 고정 결합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xing
그리고 이때,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는 몸체(10)의 측면에 나란히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X-ray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복수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구비하는 이온화 장치에서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에 결합된 판넬 훼스너(121a, 121b)를 조절하여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를 몸체(10)의 뚫린 부분(10a)을 통해 몸체(10)로부터 분리시키면,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와 결합된 연 엑스선관 모듈이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에 결합된 채로 몸체(1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in an ioniz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optical ionizers,
이때, 판넬 훼스너(121a, 121b)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고 외부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인가된 힘에 의해 풀리거나 조이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예로써, 판넬 훼스너(121a, 121b)가 풀리도록 위치하는 경우, 연 엑스선관(120)을 포함하는 연 엑스선관 모듈이 이온화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 다른 한 예에서, 판넬 훼스너(121a, 121b)가 조이도록 위치하는 경우, 연 엑스선관(120)을 포함하는 연 엑스선관 모듈은 이온화 장치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복수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구비하는 이온화 장치에서 어느 하나의 연 엑스선관(120)에서 이상이 발생하거나 연 엑스선관(120)의 수명이 마모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이온화 장치를 새 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교체가 필요한 해당 연 엑스선관 모듈만을 분리하여 새로운 연 엑스선관 모듈로 교체하여 이온화 장치의 유지 보수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an ioniz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optical ionizers,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ny one
도 1을 참고로 하여, 이온화 장치의 몸체(10)에 형성된 표시창(12), 발광부(13), 스위치(14) 및 전원 통신 연결부(11)의 구조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표시창(12)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된 디스플레이로서 이온화 장치의 동작 상태를 숫자, 문자 등으로 출력하는 표시장치이다.The structure of the
그리고, 발광부(13)는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되는 LED(liquid emitting diode)로서, 이온화 장치의 전압 정상 인가 여부, 광 이오나이저의 엑스선 정상 출력 여부, 또는 연 엑스선관(120)의 교체 시기와 같은 이온화 장치의 상태에 따라 점등되거나 소등되며, 이로 인해, 발광부(13)의 점등으로부터 이온화 장치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13 is an LED (light emitting diode) that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LED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voltage of the ionizer is normal, whether the light ionizer is normally outputting the X- It is possible to easily monitor the ionization device from the lighting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13 by turning on or off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ionization apparatus such as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선택 스위치(14)는 푸시(push) 스위치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발생한 푸시 동작에 따라 이온화 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순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표시창(12)에 해당 광 이오나이저의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The
본 발명의 한 예에서, 이온화 장치의 몸체(10) 한 측면에 구비되는 전원 통신 연결부(11)는 랜 케이블을 삽입하는 포트 구조로 형성되고, 다섯 개의 전원 통신 연결부(11)는 각각 전원 연결부(11a, 11b), 통신연결부(11c, 11d), 그리고 입출력연결부(11e)이다.The power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이때, 전원 연결부(11a, 11b)는 전원 공급을 위한 포트로서, 한 전원 연결부(11a)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포트이고, 다른 한 전원연결부(11b)는 한 전원연결부(11a)를 통해 인가받은 전원을 인접하는 다른 이온화 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포트이다.In this case, the
예로써, 연속하는 두 개의 이온화 장치가 있고 한 이온화 장치는 외부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한 이온화 장치는 한 전원연결부(11a)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다른 한 전원연결부(11b)를 통해 이온화 장치의 전원을 다른 한 이온화 장치로 공급한다. 따라서, 다른 한 이온화 장치의 한 전원연결부(11a)는 전원을 공급한 한 이온화 장치의 다른 한 전원연결부(11b)와 연결되어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re are two continuous ionization devices and one is powered directly from the outside, one ionization device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via one
그리고, 두 개의 통신연결부(11c, 11d)는 이온화 장치를 직렬로 연결할 때 사용되는 포트로서, RS485 통신을 통해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포트이다.The two
한 예에서, 이온화 장치가 통신연결부(11c, 11d)를 통해 RS485을 수행할 때, 이온화 장치에 각각의 ID가 부여될 수 있고, 중앙제어부(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연결될 수 있다.In one example, when the ionization device performs RS485 through the
그리고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입출력연결부(11e)는 알람이나 상태 제어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거나, 이온화 장치에서 발생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An input /
한 예에서, 입출력연결부(11e)는 중앙제어부(PLC) 또는 다른 제어부와 1:1로 연결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input /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온화 장치는 몸체(10) 내부에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복수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제어한다. 예로써, 제어부는 통신연결부(11c, 11d) 및 입출력연결부(11e)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엑스선을 발생하도록 제어하거나 발생 중인 연 엑스선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광 이오나이저로 전달할 수 있다.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nization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inside the
한 예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인터로크(interlock) 신호에 따라 광 이오나이저가 연 엑스선 발생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In one example,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optical ionizer to stop the generation of the x-ray radi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terlock signal.
예를 들어, 이온화 장치가 위치하는 장소가 개방되는 순간 제어부(미도시)는 광 이오나이저의 연 엑스선 발생을 중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For example, an instantaneous control unit (not shown), which opens a location where the ionizer is located,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stop generating the x-rays of the optical ionizer.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는 이온화 장치의 몸체(10) 내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이온화 장치의 외부에 위치하며 통신연결부(11)의 어느 한 포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formed insid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온화 장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외부의 신호에 따라 이온화 장치를 제어하기도 하고, 이온화 장치의 상태를 표시창(12) 또는 발광부(13)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이온화 장치의 모니터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on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to control the ion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ternal signal, and outputs the state of the ionization apparatus through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 : 몸체 20 : 상부 커버
30 : 측부 커버 100 :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
110 : 엑스선 출력창 112 : 플랜지부
121a, 121b : 판넬 훼스너 120 : 연 엑스선관10: body 20: upper cover
30: side cover 100: open x-ray tube supporting cover
110: X-ray output window 112:
121a, 121b: panel facer 120:
Claims (3)
외부로부터 전압을 전달받아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발생부, 상기 전압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전압을 전달받는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를 구비하는 전압전달모듈, 상기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와 연결되는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 상기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가 결합된 연 엑스선관 결합돌출부를 구비하는 연 엑스선관 결합부, 상기 연 엑스선관 결합부를 결합하는 연 엑스선관 지지덮개, 그리고 상기 연 엑스선관 지지덮개에 상기 연 엑스선관 결합부의 개구부를 통해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전압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전압을 이용하여 연 엑스선을 발생하는 연 엑스선관을 포함하는 광 이오나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연 엑스선관 지지덮개가 몸체의 뚫린 부분에 대응하도록 결합되면 상기 연 엑스선 지지덮개에 결합된 상기 연 엑스선관과 상기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가 몸체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가 상기 몸체 내부의 상기 전압전달모듈에 구비된 상기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을 상기 연 엑스선관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광 이오나이저는 상기 바 형상의 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 장치.A bar shaped body; And
A voltage generating module for receiving a voltage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voltage, and a voltage transmitting module including a second X-ray tube-coupled electrode for receiving the voltage generated in the voltage generating part, And a second electrode uni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unit, wherein the first electrode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a light irradiator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soft X-ray tube supporting lid through an opening of the soft X-ray tube joining portion and generates a soft X-ray using the voltage generated in the voltage generating portion, ,
When the open x-ray tube supporting lid is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opened part of the body, the open x-ray tube coupled to the open x-ray support lid and the first electrode unit coupled with the open x-ray tube are positioned inside the body, One electrod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X-ray tube-coupled second electrode portion provided in the voltage transfer module inside the body so that the voltage can be transferred to the X-ray tube,
Wherein the optical ionizer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bar-shaped bodi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연 엑스선관은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에 결합되고,
상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는 판넬 훼스너를 통해 상기 몸체에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pivot tube is coupled to the flange and is coupled to the pivot tube,
And wherein the x-ray tube support lid engages and disengages with the body through a panel fastener.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통신케이블 삽입을 위한 복수개의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중 한 포트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나머지 다른 한 포트는 인가받은 전원을 인접하는 다른 이온화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 장치.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ort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for insertion of a communication cable,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ports is a power connection unit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the other port being a power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upplied power to another adjacent ionization apparatu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1758A KR101609620B1 (en) | 2014-04-29 | 2014-04-29 | Ioniza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1758A KR101609620B1 (en) | 2014-04-29 | 2014-04-29 | Ionization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4773A KR20150124773A (en) | 2015-11-06 |
KR101609620B1 true KR101609620B1 (en) | 2016-04-06 |
Family
ID=5460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1758A Active KR101609620B1 (en) | 2014-04-29 | 2014-04-29 | Ioniza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9620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3424B1 (en) | 2019-04-17 | 2019-11-11 | (주)하이브리드앰디 | Electric flux type ionizer usable in vacuum and air |
KR20200046850A (en) * | 2018-10-26 | 2020-05-07 | (주)선재하이테크 | X-ray ionizer having easy detachable X-ray tube and having a minimum creeping distance to prevent creeping discharge |
WO2021034085A1 (en) * | 2019-08-19 | 2021-02-25 | (주)선재하이테크 | Ionizer comprising easily detachable waterproof module |
KR20210106640A (en) | 2020-02-21 | 2021-08-31 | 주식회사엑스엘 | The generating system of soft X-ray to install multi X-ray generation part for removing static electricit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6781B1 (en) * | 2016-02-05 | 2016-09-12 | (주)선재하이테크 | X-ray Ioniz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1795B1 (en) * | 2012-11-09 | 2014-02-14 | (주) 브이에스아이 | Optical ionizer |
-
2014
- 2014-04-29 KR KR1020140051758A patent/KR10160962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1795B1 (en) * | 2012-11-09 | 2014-02-14 | (주) 브이에스아이 | Optical ionizer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6850A (en) * | 2018-10-26 | 2020-05-07 | (주)선재하이테크 | X-ray ionizer having easy detachable X-ray tube and having a minimum creeping distance to prevent creeping discharge |
KR102138092B1 (en) * | 2018-10-26 | 2020-08-13 | (주)선재하이테크 | X-ray ionizer having easy detachable X-ray tube and having a minimum creeping distance to prevent creeping discharge |
KR102043424B1 (en) | 2019-04-17 | 2019-11-11 | (주)하이브리드앰디 | Electric flux type ionizer usable in vacuum and air |
WO2021034085A1 (en) * | 2019-08-19 | 2021-02-25 | (주)선재하이테크 | Ionizer comprising easily detachable waterproof module |
CN112703646A (en) * | 2019-08-19 | 2021-04-23 | 禅才高科技股份有限公司 | Ionizer including waterproof module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
CN112703646B (en) * | 2019-08-19 | 2022-10-21 | 禅才高科技股份有限公司 | Ionizer including waterproof module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
KR20210106640A (en) | 2020-02-21 | 2021-08-31 | 주식회사엑스엘 | The generating system of soft X-ray to install multi X-ray generation part for removing static electrici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4773A (en) | 2015-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9620B1 (en) | Ionization apparatus | |
KR101656781B1 (en) | X-ray Ionizer | |
US6838057B2 (en) | Power disruption apparatus for a radiation lamp | |
WO2020129650A1 (en) |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 |
KR102138092B1 (en) | X-ray ionizer having easy detachable X-ray tube and having a minimum creeping distance to prevent creeping discharge | |
KR20090019631A (en) | Fluorescent Lamp Device | |
KR101400078B1 (en) | X X-ray generating device | |
CA2625396C (en) | Inline quick disconnect system with strain relief | |
TWI589190B (en) | X-ray ionizer | |
KR101030695B1 (en) | Anion LED Fluorescent Tube | |
US11335549B2 (en) | Excimer lamp | |
KR100990881B1 (en) | Illumination device of xenon lamp | |
CN102483223A (en) | Light Source And Lighting Fixture | |
JP4829535B2 (en) | X-ray generator and irradiation unit | |
KR101361795B1 (en) | Optical ionizer | |
KR20200036325A (en) | Ionization apparatus | |
KR101882230B1 (en) | Static electricity removing device provided with dual X-ray tub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859065B1 (en) | Lighting device | |
KR20210106640A (en) | The generating system of soft X-ray to install multi X-ray generation part for removing static electricity | |
KR101748394B1 (en) | Ionizer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KR101746751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electron ray generator | |
CN119340178B (en) | Cathode assembly for X-ray tube and X-ray tube | |
KR20140101265A (en) | Illumination device and assembly therewith | |
KR101175987B1 (en) | Electron beam generation module | |
US20130106314A1 (en) | Xenon lamp illumination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1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3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1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4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6033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60429 Decision date: 20160822 Appeal identifier: 2016100001121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112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429 Effective date: 20160822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6082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60429 Decision date: 20160822 Appeal identifier: 2016100001121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6982; INVALIDATION |
|
PJ2001 | Appeal |
Patent event date: 2016082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5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71130 Appeal identifier: 2016200006982 Request date: 20160919 |
|
J202 |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 ||
PJ0202 | Trial for correc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160921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31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161208 Request date: 20160921 Appeal identifier: 2016105000104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5000104;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60921 Effective date: 20161208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3D Patent event date: 2016120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160921 Decision date: 20161208 Appeal identifier: 2016105000104 |
|
J203 | Request for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invalidation of limitat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4087;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
|
PJ0203 |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
Appeal identifier: 2016100004089 Request date: 20161220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of correction Decision date: 20170713 Patent event date: 2016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31R01D Appeal identifier: 2016100004087 Request date: 20161220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of correction Decision date: 20170216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ublication date: 20161227 |
|
PJ0801 | Rejection of trial |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tent event code: PJ08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Request for Trial (Dismissal of Decision) Decision date: 20170216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of correction Appeal identifier: 2016100004087 Request date: 20161220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408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61220 Effective date: 20170713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4D Patent event date: 2017071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of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 date: 20161220 Decision date: 20170713 Appeal identifier: 2016100004089 |
|
PJ2002 |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of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170713 Patent event code: PJ20021S04I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Request for Trial (Dismissal of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tent event code: PJ20021S11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161208 Patent event code: PJ20021S03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date: 20160822 Patent event code: PJ20021S05I Request date: 20180102 Appeal identifier: 2018300010015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80329 |
|
PJ1302 | Judgment (patent court) |
Patent event date: 20180228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60919 Decision date: 20171130 Appeal identifier: 2016200006982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PJ0206 |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1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16033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Decision date: 20181114 Request date: 20180316 Appeal identifier: 2018100000780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
|
J303 |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300010015;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102 Effective date: 20180329 |
|
PJ1303 | Judgment (supreme court) |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Supreme Court) Patent event date: 20180404 Patent event code: PJ13031S01D Decision date: 2018032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80102 Appeal identifier: 2018300010015 |
|
PJ2201 |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
Request date: 20180404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18130000047 Decision date: 20180607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3000004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404 Effective date: 20180607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9D Patent event date: 2018060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Final Judgment on Revocatio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80404 Decision date: 20180607 Appeal identifier: 2018130000047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078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80316 Effective date: 20181114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2D Patent event date: 2018111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 date: 20180316 Decision date: 20181114 Appeal identifier: 2018100000780 |
|
PJ2001 | Appeal |
Patent event date: 2018111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2I Patent event date: 2018060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Final Judgment on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PJ20011S09I Patent event date: 2017071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of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PJ20011S04I Patent event date: 20170216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Request for Trial (Dismissal of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20011S11I Patent event date: 2016120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PJ20011S03I Patent event date: 2016082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5I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Decision date: 20190823 Appeal identifier: 2019200001124 Request date: 2019010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1124;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90103 Effective date: 20190823 |
|
PJ1302 | Judgment (patent court) |
Patent event date: 20190920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90103 Decision date: 20190823 Appeal identifier: 2019200001124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
|
PJ2002 |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date: 20181114 Patent event code: PJ20021S02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Final Judgment on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8 Patent event code: PJ20021S09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of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170713 Patent event code: PJ20021S04I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Request for Trial (Dismissal of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tent event code: PJ20021S11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161208 Patent event code: PJ20021S03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date: 20160822 Patent event code: PJ20021S05I Request date: 20190920 Appeal identifier: 2019300011459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Decision date: 202001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J2202 | Remand (patent court) |
Appeal identifier: 2020240001298 Decision date: 20200529 Request date: 20200107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
|
PJ2002 |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date: 20181114 Patent event code: PJ20021S02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Final Judgment on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8 Patent event code: PJ20021S09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of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170713 Patent event code: PJ20021S04I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Request for Trial (Dismissal of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tent event code: PJ20021S11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161208 Patent event code: PJ20021S03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date: 20160822 Patent event code: PJ20021S05I Request date: 20200623 Appeal identifier: 2020300010841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Decision date: 20201015 |
|
J303 |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300011459;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90920 Effective date: 20200116 |
|
PJ1303 | Judgment (supreme court) |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Supreme Court) Patent event date: 20200805 Patent event code: PJ13031S01D Decision date: 20200116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 date: 20190920 Appeal identifier: 2019300011459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91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6033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00910 Decision date: 20210812 Appeal identifier: 2020100002784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40001298;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0107 Effective date: 20200529 |
|
PJ1302 | Judgment (patent court) |
Patent event date: 20201201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200107 Decision date: 20200529 Appeal identifier: 2020240001298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
|
PJ1303 | Judgment (supreme court) |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Supreme Court) Patent event date: 20201201 Patent event code: PJ13031S01D Decision date: 20201015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 date: 20200623 Appeal identifier: 202030001084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78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910 Effective date: 20210812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21081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00910 Decision date: 20210812 Appeal identifier: 2020100002784 |
|
PJ2001 | Appeal |
Patent event date: 2021081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5I Patent event date: 2018111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2I Patent event date: 2018060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Final Judgment on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PJ20011S09I Patent event date: 2017071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of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PJ20011S04I Patent event date: 20170216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Request for Trial (Dismissal of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20011S11I Patent event date: 2016120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PJ20011S03I Patent event date: 2016082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5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21200005549 Request date: 2021093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5549;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930 Effective date: 20220923 |
|
PJ1302 | Judgment (patent court) |
Patent event date: 20230330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210930 Decision date: 20220923 Appeal identifier: 202120000554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
|
PJ1303 | Judgment (supreme court) |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Supreme Court) Patent event date: 20230330 Patent event code: PJ13031S01D Decision date: 20230223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21104 Appeal identifier: 20223000109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