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86167B1 -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및 그 구조체 - Google Patents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및 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167B1
KR101586167B1 KR1020150035681A KR20150035681A KR101586167B1 KR 101586167 B1 KR101586167 B1 KR 101586167B1 KR 1020150035681 A KR1020150035681 A KR 1020150035681A KR 20150035681 A KR20150035681 A KR 20150035681A KR 101586167 B1 KR101586167 B1 KR 101586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cardboard
stapler
semi
box
she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삼
Original Assignee
김동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삼 filed Critical 김동삼
Priority to KR1020150035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167B1/ko
Priority to PCT/KR2016/002523 priority patent/WO2016148465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31B1/68
    • B31B2201/6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8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stitching, stapling or riveting

Landscapes

  • Carton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판지 포장박스의 스템플러 접합부에 내재되어 있는 결함요인들에 대하여 아주 저렴하고 신속·간단하게 처리가 가능한 스템플러 결속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스템플러를 결속하기 위해 서로 겹쳐지는, 골판지 포장상자(100 일측의 끝단부에 형성된 접합용 날개(110)와 그 반대편에 구비하는 접합 대응부(120) 중, 상기 접합용 날개부(110)의 각 포인트 지점(후속의 스템플러 결속공정에서 스템플러가 결속되는 곳)에, 해당 골판지 내부의 골심지(12)가 압착이되면서 상부 판지(13)와 함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 만큼 오목하게 함몰된 스템플러 엄폐부(200)가 형성되도록 하는 압착공정을 실시한 다음, 그 스템플러 엄폐부(200)에 실질적인 스템플러 결속공정이 후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및 그 구조체{stapler binding method and the structure of corrugated packaging boxes seutempeulreo junction}
본 발명은 골판지 포장박스의 스템플러 접합부에 내재되어 있는 결함요인들에 대하여 아주 저렴하고 신속·간단하게 처리가 가능한 스템플러 결속방법 및 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골판지 포장박스는 폐지를 재활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지구환경보존은 물론 같은 크기의 나무상자에 비하여 1/10 이하의 목재 사용량만 필요로 하므로 자원의 이용 합리화에도 크게 유익할 뿐만 아니라 회수율이 좋고 다시 재생 활용성까지 겸비하고 있고, 무엇보다 완충성이 뛰어나면서도 가격이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분야를 막론하고 널리 이용되는 품목이다.
그리고 포장박스의 재료인 골판지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 모양으로 골을 만든 골심지의 양면에 반듯하고 빳빳한 판지가 접착제로 붙어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두께에 비해 매우 가변고 내충격성(높은 완충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상자를 이루는데 필요한 유효한 골격은 물론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그 활용성이 매우 높다.
한편, 골판지 포장상자를 만드는 과정은, 슬로터에서 전개도(展開圖)대로 재단하고 꺾어져야하는 각 부위에는 굽힘라인을 넣는(형성) 절단 및 포밍작업이 실시되고,
특히 절단 및 포밍작업이 완료되면, 전개상의 포장박스 일측끝의 변으로 부터 좀더 돌출되어 있는 접합용 날개부(현장에서는 "미미"라고도 함)를,
반대측 끝의 변접합부에 맞대어 겹쳐지게 한 다음 서로 떨어지지 않게 견고히 부착시킨다.
이때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풀이나 핫멜트 접착제 등을 이용하는 접착제 부착방법 또는 점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전자기기 등과 같이 비교적 무거운 제품을 포장하는 경우에는 휠씬 접합력이 크게 요구되므로, "∩"와 같은 형상의 철심인 스템플러(stapler)를 스템플러기로 펀칭하여 결속시키는 스템플러 결속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스템플러 펀칭작업으로 접합 또는 결속하면, 도 2와 같이 골판지를 통과한 스템플러의 뒷부분이 구부러지면서 골판지를 강하게 클램핑하게 되는데,
이때 뒷쪽에 구부러진 꺽임부(날카로운 금속부분)는 양쪽으로 구분되어 있고, 포장상자의 내벽면으로 부터 일정한 높이로 돌출 및 노출된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상자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그 부위에 작업자의 손이 스치면서 닿거나 접촉되면,
크고 작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상자를 취급하는 작업자 또는 수요자 특히 어린 아이들의 손에 상처를 유발할 수 있음)이 상당할 뿐 아니라,
얇은 제품의 겉포장지 또는 민감한 제품의 표면에도 스크래치, 긁힘 등과 같은 결함을 유발할 수 있고,
때로는 포장지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이 그 부위의 금속부분(구부러진 스템플러 뒤쪽의 꺽임부)과 장시간 동안 접촉이된 상태로 방치되면 변색 또는 부식의 우려성까지 야기할 수 있는 등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한 안전처리방법으로 종래에는 상자의 조립이 완성된 이후 구부러진 스템플러 뒤쪽의 꺽임부가 노출되어 있는 상자 내면에 추가적인 테이핑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고, 날카로운 정도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망치 등으로 두드리기도 하는 데, 이는 별도의 원가 및 공정이 요구되고 불편할 뿐 아니라 제조단가를 높이게 되는 등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최근에는 스템플러의 일부노출로 인한 문제점을 원칙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그 안전처리법으로, 스템플러 결속작업 자체가 필요없는 완전 조립식 또는 맞물림 결합식으로 포장상자를 제작하기도 하는데,
이렇게 스템플러 작업 자체가 필요없는 완전 조립식 또는 맞물림 결합식으로 포장상자를 제작하면, 결합력이 지극히 약해지거나 또는 많은 구성부재를 만들어서 맞물림 시킬 경우에는 그 만큼 골판지의 사용량이 높아질 뿐 아니라 맞대어 결속하거나 조립하는 과정에서 많은 공정들이 필요하고, 체적이나 구조들 또한 불필요하게 커지게됨으로, 이 또한 저원가이면서 튼튼한 포장상자의 최적 생산법이라 하기 어렵다.
이러한 제반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현재의 대부분 업체에서는 상당한 위험 및 결함요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그 상태(스템플러의 뒤쪽 구부러진 꺽임부가 상자 내면으로 도출된 상태) 그대로 사용하고, 이것이 당연한 현실로 받아들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포장상자 중 서로 겹쳐진 부위에 튼튼한 포장상자의 제작에 있어서 그 핵심인 스템플러에 의한 접합 및 결속이 가능하면서도, 기존과 달리 스템플러의 구부러진 뒤쪽 꺽임부가 상자의 내면으로부터 완벽하게 비돌출된 안전한 음폐상태로의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로(스템플러의 구부러진 뒤쪽 꺽임부가 도출된 상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기존의 모든 위험 및 결함요인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고, 더군다나 특별한 공정이나 비용의 앙등요소가 없는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달성이 가능함으로, 더욱 안전하면서도 견고하고 저렴한 포장상자의 생산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및 그 구조체를 제공함에 주암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템플러를 결속하기 위해 서로 겹쳐지는, 골판지 포장상자(100 일측의 끝단부에 형성된 접합용 날개(110)와 그 반대편에 구비하는 접합 대응부(120) 중, 상기 접합용 날개부(110)의 각 포인트 지점(후속의 스템플러 결속공정에서 스템플러가 결속되는 곳)에, 해당 골판지 내부의 골심지(12)가 압착이되면서 상부 판지(13)와 함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 만큼 오목하게 함몰된 스템플러 엄폐부(200)가 형성되도록 하는 압착공정을 실시한 다음, 그 스템플러 엄폐부(200)에 실질적인 스템플러 결속공정이 후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특징적 요지로 하였다.
본 발명의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및 그 구조체는 전술된 바와 같이, 골판지 포장상자의 제조과정 중 서럽 맞대어 겹치게한 후 스템플러를 결속작업을 실시할 때, 스템플러(50)의 구부러진 뒤쪽 꺽임부(51)가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접합용 날개부(110) 내측면의 각 포인트 지점에 인위적인 압착작업을 실시하여 골판지 자체 두께의 상당부분이 아래로 함몰(내부 골심지가 압착됨)된 스템플러 엄폐부(200)가 형성되도록 한 다음에 실질적인 스템플러 결속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여기에 결속되는 스템플러(50)의 구부러진 뒤쪽 꺽임부(51)가 기존과 달리 표면으로부터 안전하게 비돌출된 상태(표면보다 아래쪽에 감춰진 상태)로 엄폐가 가능하다. 이렇게되면 포장상자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 또는 수요자의 손에 상처를 유발하지도 않고, 포장된 제품에 이로 인한 다양한 결함요인(긁힘, 찢어짐 등)도 자연히 해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안전하고 우수한 고품질의 포장상자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등 그 기대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4은 통상의 골판지 포장상자의 제작 및 스템플러 결속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스템플러 엄폐부의 다양한 모양을 예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스템플러 엄폐부의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및 그 구조체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본 발명은 스템플러(50)를 결속하기 위해 서로 겹쳐지는, 골판지 포장상자(100 일측의 끝단부에 형성된 접합용 날개(110)와 그 반대편에 구비하는 접합 대응부(120) 중, 상기 접합용 날개부(110)의 각 포인트 지점(후속의 스템플러 결속공정에서 스템플러가 결속되는 곳)에,
해당 골판지 내부의 골심지(12)가 압착이되면서 상부 판지(13)와 함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 만큼 오목하게 함몰된 스템플러 엄폐부(200)가 형성되도록 하는 압착공정을 실시한 다음,
그 스템플러 엄폐부(200)에 실질적인 스템플러 결속공정이 후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특징적 요지로 하였다.
이때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는. 프레스 등의 인위적인 압착공정을 통하여 스템플러(50)의 구부러진 뒤쪽 꺽임부(51)가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접합용 날개부(110) 내측면의 각 포인트 지점을 압착하면,
그 부위에 해당되는 골판지의 겉면의 빳빳한 상부 판지(13)와 함께 그 안쪽의 골심지(12, 물결 모양으로 골을 만든 완충재)가 납작하게 찌그러지면서 오목한 형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스템플러(50)가 결속되면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에 위치하게 되는 스템플러(50)의 구부러진 뒤쪽 꺽임부(51)가 접합용 날개부(110)의 다른 표면 보다 낮은 위치에서 결속 및 유지가 되고, 결과적으로 비돌출된 음폐상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는 스템플러 결속공정 이전에 형성시켜 두는 것이 위와 같이 가장 유효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스템플러기를 이용한 스템플러 결속공정시 이와 동시에 형성시키는 방법도 존재할 수 있다. 즉, 스템플러기의 하부(스템플러가 토출되는 부위)에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와 같은 형상을 마련하는 동시에, 스템플러기의 펀칭시 그 가압력을 골판지의 골심지가 국부적으로 납작하게 압착이 가능할 정도로 높이면, 어느정도 가능할 수 있음으로 청구범위에는 기재되지 않지만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다만, 이는 위와 같은 조건을 맞추는데 상당히 번거롤 수 있다)
이렇게 비돌출된 상태가 이루어지면, 포장상자의 내벽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접합용 날개부(110)에 스템플러(50)에 의해 결속이 이루어지더라도 그 부위에 상자의 취급하는 과정에 손이나 제품의 표면에 밀착되면서 지나가더라도 스템플러(50)의 구부러진 뒤쪽 꺽임부(51)이 돌출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상처 또는 손상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사용성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위와 같이 프레스 압착공정으로 실시하면,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가 평평하고 두꺼운 그 주위의 골판지들과 달리 납작하게 압착되어 움푹들어간 것을 제외하고는 전체가 그대로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음으로 스템플러(50)의 결속력이 기존과 같이 최대로 확보될 수 있음으로 가장 이상적일 수 있다.
이때 설령, 압착공정에 의해 움푹들어간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가 상부 판지(13)와 골심지(12)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부분 위로 더시 부풀어 오른다고 하더라도 이미 압착에 의해 그 골격이 무너진 이상, 그 자리에 스템플러 결속작업에 의해 스템플러(50)가 결속되면 그 스템플러 자체의 결속력에 의해 스템플러(50)의 구부러진 뒤쪽 꺽임부(51)가 비돌출상태가 되는 것에는 변함이 없음으로 지장이 없다.

하지만 상기 압착공정만으로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를 형성시키면, 움푹들어간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의 면적이 불필요하게 넓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템플러 엄폐부(200)와 그렇지 않는 주위의 다른 평평한 면과의 구분이 뚜렸하지 않을 수 있음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압착공정을 실시하기 이전에,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가 만들어질 자리의 외곽 중 일측의 연결부(201)을 제외한 나머지 외곽에 반칼집(210)을 형성시키는 반칼집 절단공정을 실시한 다음 그 이후에 위와 같은 압착공정을 후속으로 실시하면, 그 스템플러 엄폐부(200)의 형성이 보다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음으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칼집(210)을 형성시키는 반칼집 절단공정은 하부 판지(11), 골심지(12), 상부 판지(13)의 순으로 겹쳐진 골판지 전체가 일괄로 절단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부위의 골판지의 하부 판지(11), 골심지(12), 상부 판지(13) 중, 맨밑의 하부 판지(11)를 제외하고, 상부 판지(13)만 절단되도록 하거나, 또는 그 아래의 골심지(12)까지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아울러, 스템플러 엄폐부(200)의 외곽에 상기한 반칼집(210)을 형성시키기 위한 반칼집 절단공정을 실시할 때, 그 일측의 연결부(201)를 제외하고 절단하는 것은, 다른 부위에는 반칼집(210)에 의하여 절개가 이루어지더라도 굽힘라인을 경계로 접합용 날개부(110)와 인접된 포장상자의 다른 부재들과 어느정도로 연결되어 있는 부위가 존재하여야만, 스템플러(50)의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음으로 이 또한 주요한 요소 중 하나일 수 있다.
또, 상기 반칼집(210)을 형성시키기 위한 반칼집 절단공정은, 위와 같이 압착공정 이전에 개별로 실시하여도 되지만, 압착공정과 동시에 진행하면 시간 및 공정을 좀 더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데, 압착공정에서 쓰일 수 있는 가압용 펀치 프레스의 외곽 둘레 중 해당되는 부위에 적당한 높이로 돌출된 반칼집 절개용 칼날을 일체로 형성시킨 후, 이 공구를 이용하여 프레스 압착 작업을 실시하면 아주 간단하게 실현될 수 있다.(미도시)
나아가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의 모양은 정사각형, 반원형, 직사각형, 장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최소의 면적 단위에서 스템플러 엄폐부(200)를 형성시키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감안하면, 도면과 같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직사각 또는 장원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그리고, 앞에서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실시되는 압착공정과 반칼집을 형성시키기 위한 반칼집 절단공정은, 골판지 포장상자 자체의 제조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실시되는 포장박스 외곽형상 제단(절단) 작업시에 적용하면,
포장상자 외곽형상의 제단공정에서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 가공이 함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 추가적인 공정도 불필요할 뿐 아니라 이에 따른 비용과 시간의 낭비도 최소화할 수 있음으로 아주 편리하다.
한편, 상과 같은 방법으로 스템플러(50)를 결속하였을 때, 나타나는 스템플러 결속구조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면,

먼저, 스템플러를 결속하기 위해 서로 겹쳐지는, 골판지 포장상자(100 일측의 끝단부에 형성된 접합용 날개(110)와 그 반대편에 구비하는 접합 대응부(120) 중, 상기 접합용 날개부(110)의 각 포인트 지점 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각 포인트 지점에,
해당 골판지 내부의 골심지(12)가 압착이되면서 상부 판지(13)와 함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 만큼 오목하게 함몰된 스템플러 엄폐부(200)가 형성되게 되고,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에 결속된 스템플러(50)의 구부러진 뒤쪽 꺽임부(51)는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 외의 평평한 다른 부위의 표면으로 부터 비돌출(위험성 최소화 )된 낮은 위치에서 결속이 되는 구조적인 특징이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의 외곽 중 일측의 연결부(201)을 제외한 나머지 외곽에는
해당 부위의 골판지의 하부 판지(11), 골심지(12), 상부 판지(13) 중, 맨밑의 하부 판지(11)를 제외하고, 상부 판지(13)만 절단되거나, 또는 그 아래의 골심지(12)까지 절단되는 반칼집(210)이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의 모양은 정사각형, 반원형, 직사각형, 장원형 등으로 아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최소의 면적 단위에서 스템플러 엄폐부(200)를 형성시키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감안하면, 도면과 같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직사각 또는 장원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점 또한 잘 알 수 있고,
더군다나,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를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게 형성시킬 때도 그 경사각을 위에서 아래로 향하도록 형성시키면, 그 부위로 스쳐지나가게 되는 손이나 물품이 대부분 위에서 아래로 이동되는 점을 감안하면 그 홈에 의한 걸림성까지 최소화할 수 있음으로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합용 날개(110)에 형성되는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는 상기 접합용 날개(110)의 접힘라인과 상관없는 위치에서 형성시켜도 무방하지만, 만약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의 일측부분이 상기 접합용 날개(110)의 접힘라인에 이르는 위치까지 닿는 지점에 까지 형성시키면, 향후 그 접합라인에서 골판지가 90도로 접힐 때 좀 더 용이하게 접할 수 있음으로 접합라인의 접힘기능에도 어느정도 도움이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아주 단순 하지만 기존 문제점의 해결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발상으로 누구나 쉽게 착안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즉, 물결 모양의 골로 만들어진 골판지 내의 골심지가 포장상자에 필요한 주요한 기능인 완충 역할을 수행 하지만, 그 구조상 허공들이 많아서 어느정도의 힘으로 압착하면(가압하여 누르면), 일정한 높이 만큼 움푹하게 함몰될 수 있고, 이를 활용하면 템플러 결속시의 문제점을 획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새로운 착안점에서 출발된 것으로 상당한 기술적 사상이 아닐 수 없다.
11:하부 판지 12:골심지
13:상부 판지 100:골판지 포장상자
110:접합용 날개 120:접합 대응부
200:스템플러 엄폐 201:부연결부
210:반칼집

Claims (9)

  1. 스템플러를 결속하기 위해 서로 겹쳐지는, 골판지 포장상자(100 일측의 끝단부에 형성된 접합용 날개(110)와 그 반대편에 구비하는 접합 대응부(120) 중, 상기 접합용 날개부(110)의 각 포인트 지점(후속의 스템플러 결속공정에서 스템플러가 결속되는 곳)에,
    해당 골판지 내부의 골심지(12)가 압착이되면서 상부 판지(13)와 함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 만큼 오목하게 함몰된 스템플러 엄폐부(200)가 형성되도록 하는 압착공정을 실시한 다음, 상기 그 스템플러 엄폐부(200)에 스템플러 결속공정이 후속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압착공정을 실시하기 이전에,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가 만들어질 자리의 외곽 중 일측의 연결부(201)을 제외한 나머지 외곽에 반칼집(210)을 형성시키는 반칼집 절단공정을 실시하는 것; 을 포함하는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칼집(210)을 형성시키는 반칼집 절단공정은,
    해당 부위의 골판지의 하부 판지(11), 골심지(12), 상부 판지(13) 중 맨밑의 하부 판지(11)를 제외하고,
    상부 판지(13)만 절단되도록 하거나, 또는 그 아래의 골심지(12)까지 절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칼집(210)을 형성시키기 위한 반칼집 절단공정은,
    상기 압착공정 이전에 개별로 실시하거나,
    또는 압착공정과 함께 동시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실시되는 압착공정과, 그 이전 공정인 반칼집을 형성시키기 위한 반칼집 절단공정은,
    골판지 포장상자(100) 자체의 제조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외곽형상 제단시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5. 스템플러를 결속하기 위해 서로 겹쳐지는, 골판지 포장상자(100 일측의 끝단부에 형성된 접합용 날개(110)와 그 반대편에 구비하는 접합 대응부(120) 중, 상기 접합용 날개부(110)의 각 포인트 지점(후속의 스템플러 결속공정에서 스템플러가 결속되는 곳)에,
    해당 골판지 내부의 골심지(12)가 압착이되면서 상부 판지(13)와 함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 만큼 오목하게 함몰된 스템플러 엄폐부(200)을 형성시켜,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에 결속된 스템플러(50)의 구부러진 뒤쪽 꺽임부(51)가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 외의 평평한 다른 부위의 표면으로 부터 비돌출된 낮은 위치에서 결속되는 것과;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의 외곽 중 일측의 연결부(201)을 제외한 나머지 외곽에는, 해당 부위의 골판지의 하부 판지(11), 골심지(12), 상부 판지(13) 중, 맨밑의 하부 판지(11)를 제외하고 상부 판지(13)만 절단되거나 또는 그 아래의 골심지(12)까지 절단되는 반칼집(210)이 추가로 더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하는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구조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의 모양은,
    정사각형, 반원형, 직사각형, 장원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구조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플러 엄폐부(200)의 모양은,
    비스듬한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경사형 직사각 또는 경사형 장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구조체.
  8. 삭제
  9. 삭제
KR1020150035681A 2015-03-16 2015-03-16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및 그 구조체 Active KR101586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681A KR101586167B1 (ko) 2015-03-16 2015-03-16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및 그 구조체
PCT/KR2016/002523 WO2016148465A1 (ko) 2015-03-16 2016-03-14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및 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681A KR101586167B1 (ko) 2015-03-16 2015-03-16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및 그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167B1 true KR101586167B1 (ko) 2016-01-19

Family

ID=5530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681A Active KR101586167B1 (ko) 2015-03-16 2015-03-16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및 그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6167B1 (ko)
WO (1) WO201614846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737B1 (ko) 2019-02-21 2019-10-18 신풍기계 주식회사 스테치와 풀접착시 폭 조정이 가능한 체인식 박스제작 기계장치
CN113998259A (zh) * 2020-05-27 2022-02-01 深圳市望盛科技有限公司 一种特种盒身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2063A (ja) * 2005-06-13 2007-02-01 Techno Seiki:Kk プラスチック製ダンボールの溶着装置及びプラスチック製ダンボール製品の製造方法
JP2011025969A (ja) * 2009-07-27 2011-02-10 E-Metal Kk 箱物の接合部を固定する製造方法
KR20120127110A (ko)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KR20130004390A (ko) * 2004-09-27 2013-01-09 스마트 카트론, 인크. 내용물 유지 웨브가 부착된 컨테이너 블랭크 및 컨테이너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컨테이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138A (ja) * 2001-03-21 2002-10-03 Hitachimori Shigyo Kk 包装用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390A (ko) * 2004-09-27 2013-01-09 스마트 카트론, 인크. 내용물 유지 웨브가 부착된 컨테이너 블랭크 및 컨테이너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컨테이너
JP2007022063A (ja) * 2005-06-13 2007-02-01 Techno Seiki:Kk プラスチック製ダンボールの溶着装置及びプラスチック製ダンボール製品の製造方法
JP2011025969A (ja) * 2009-07-27 2011-02-10 E-Metal Kk 箱物の接合部を固定する製造方法
KR20120127110A (ko)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737B1 (ko) 2019-02-21 2019-10-18 신풍기계 주식회사 스테치와 풀접착시 폭 조정이 가능한 체인식 박스제작 기계장치
CN113998259A (zh) * 2020-05-27 2022-02-01 深圳市望盛科技有限公司 一种特种盒身结构
CN113998259B (zh) * 2020-05-27 2024-02-06 深圳市望盛科技有限公司 一种特种盒身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8465A1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3113110A (ru) Многократно запечатываемая упаков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586167B1 (ko) 골판지 포장박스 스템플러 접합부의 스템플러 결속방법 및 그 구조체
JP6217223B2 (ja) 包装用箱の製造方法
TWI271363B (en) Carton structure with seal-assistant ears
KR100795847B1 (ko) 투명 수지와 종이마개의 결합체 및 이의 접착 방법
BG60641B1 (bg) Метод за изработване на кутии с подсилени ъгли
TW201637948A (zh) 一體成型淋膜餐盒之結構及其製法
JP6885744B2 (ja) 包装箱
KR102194629B1 (ko) 우유팩 결속구
JP3182472U (ja) 厚紙製包装箱
JP6821891B2 (ja) 開封補助片を備えた箱
JP5573927B2 (ja) 梱包装置
JP2022023397A (ja) 包装箱
TWM552009U (zh) 便於包裝與拆開之紙箱結構
JP3231038U (ja) 梱包具、ブランクおよび運送用箱
JP6594425B2 (ja) 包装用箱体
CN211002308U (zh) 一种六边形盒子
RU62898U1 (ru) Коробка картонная круглая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2626628B1 (ko) 박스 바닥부 일측에 내지가 부착된 포장박스
JP3235381U (ja) 箱用シート
JP5333052B2 (ja) ワンタッチ開閉容器
JP3222681U (ja) 手穴付き包装材
JP2004042969A (ja) 包装用箱
JP3926009B2 (ja) 段ボール箱
JP3212111U (ja) 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