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71091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091B1
KR101571091B1 KR1020080083394A KR20080083394A KR101571091B1 KR 101571091 B1 KR101571091 B1 KR 101571091B1 KR 1020080083394 A KR1020080083394 A KR 1020080083394A KR 20080083394 A KR20080083394 A KR 20080083394A KR 101571091 B1 KR101571091 B1 KR 101571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liquid crystal
crystal polymer
polymer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709A (ko
Inventor
박순룡
정희성
정우석
전희철
김은아
곽노민
정철우
이주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091B1/ko
Priority to US12/461,701 priority patent/US8684780B2/en
Publication of KR20100024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0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carbon based polymeric organic or inorganic material, e.g. polyimides, poly cyclobutene or PVC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4Treatments to modify a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roperty, e.g. polarisation characteristics, vibration characteristics or mode tuning
    • H10N30/045Treatments to modify a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roperty, e.g. polarisation characteristics, vibration characteristics or mode tuning by polar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부재; 상기 기판 부재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그리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형성되어 통과하는 빛의 위상을 지연하는 액정 폴리머층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83394
액정 폴리머층, 위상 지연, 편광판,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는 정공 주입 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전자 주입 전극을 갖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들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층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생성된 여기자(exciton)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지며, 이를 이용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갖는 정공 주입 전극 및 전자 주입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전극과 그 밖에 여러 금속 배선들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반사 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밝은 곳에서 사용하게 되면, 외광 반사로 인해 검은색의 표현 및 콘트라스트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편광판 및 위상 지연판을 밀봉 부재 상에 부착하여 외부의 빛이 반사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편광판 및 위상 지연판의 두께로 인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편광판 및 위상 지연판을 밀봉 부재 상에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불량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부재; 상기 기판 부재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그리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형성되어 통과하는 빛의 위상을 지연하는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s, LCP)층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 폴리머층은 통과하는 빛을 1/4 파장만큼 위상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 기판 부재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커버하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정 폴리머층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밀봉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정 폴리머층과 상기 밀봉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빛을 선편광시키는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 부재 상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빛을 선편광시키는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 부재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커버하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액정 폴리머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정 폴리머층 상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빛을 선편광시키는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상기 액정 폴리머층은 4㎛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체적인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향상된 표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향상된 시인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는, 하나의 화소에 두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하나의 축전 소자(capacitor)를 구비하는 2Tr-1Cap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하나의 화소에 셋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축전 소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이 더 형성되어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하나의 화소에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 축전 소자(80), 그리고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151)과, 게이트 라인(151)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151),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70)는 화소 전극(710)과, 화소 전극(71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720)과, 유기 발광층(720) 상에 형성된 공통 전극(730)(도 2에 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화소 전극(710)은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이며, 공통 전극(730)은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구동 방법에 따라 화소 전극(710)이 음극이 되고, 공통 전극(730)이 양극이 될 수도 있다. 화소 전극(710) 및 공통 전극(730)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720) 내부로 주입된다.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한 엑시톤(ex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스위칭 반도체층(131), 스위칭 게이트 전 극(152), 스위칭 소스 전극(173)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을 포함하고,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구동 반도체층(132), 구동 게이트 전극(155),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포함한다.
축전 소자(80)는 게이트 절연막(140)(도 2에 도시)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유지 전극(158)과 제2 유지 전극(178)을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로 사용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은 게이트 라인(151)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스 전극(173)은 데이터 라인(171)에 연결된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은 스위칭 소스 전극(173)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제1 유지 전극(158)과 연결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선택된 화소 내의 유기 발광 소자(70)의 유기 발광층(720)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화소 전극(710)에 인가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제1 유지 전극(158)과 연결된다. 구동 소스 전극(176) 및 제2 유지 전극(178)은 각각 공통 전원 라인(172)과 연결된다. 구동 드레인 전극(177)은 접촉 구멍(182)을 통해 유기 발광 소자(70)의 화소 전극(71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게이트 라인(15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작동하여 데이터 라인(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공통 전원 라인(172)으로부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전압의 차에 해당하는 전압이 축전 소자(80)에 저장되고, 축전 소자(80)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70)로 흘러 유기 발광 소자(70)가 발광하게 된다.
또한, 도 2에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액정 폴리머층(liquid crystal polymers, LCP)(31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밀봉 부재(210), 편광판(320), 및 화소 정의막(190)을 더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액정 폴리머층(310)을 과장하여 도시하였다. 실제로 액정 폴리머층(310)은 밀봉 부재(21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며, 편광판(320)보다도 더 얇은 두께를 갖는다.
액정 폴리머층(310)은 유기 발광 소자(70) 상에 형성된다. 액정 폴리머층(310)은 통과하는 빛의 위상을 지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에에서, 액정 폴리머층(310)은 통과하는 빛을 1/4 파장만큼 위상 지연시킨다. 또한, 액정 폴리머층(310)은 4㎛ 보다 작은 두께(t)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액정 폴리머층(310)은 4㎛ 미만의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t)를 가지고 통과하는 빛의 위상 지연시킬 수 있다.
액정 폴리머는 고분자물질이지만 액정과 비슷하게 용융 상태에서도 결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성형되는 플라스틱이다. 액정 폴리머는 주원료로 P-히드록신 안식향산, 각종 디올, 방향족디칼본산 등이 사용되지만 대부분은 방향족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액정 폴리머는 플라스틱과 같은 성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폴리머가 막대형태이기 때문에 용융상태에서 고도의 배향성을 갖는다.
밀봉 부재(210)는 기판 부재(110) 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10, 20) 및 유기 발광 소자(70) 등을 외부로부터 밀봉되도록 커버하여 보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210)는 액정 폴리머층(310)을 함께 커버한다. 즉, 액정 폴리머층(310)은 밀봉 부재(210)와 유기 발광 소자(70) 사이에 배치된다. 도 2에서 액정 폴리머층(310)은 상대적으로 밀봉 부재(210)에 인접하게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액정 폴리머층(310)은 상대적으로 유기 발광 소자(70)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편광판(320)은 통과하는 빛을 선편광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편광판(320)은 액정 폴리머층(310)과 밀봉 부재(210) 사이에 배치된다. 즉, 밀봉 부재(210)는 편광판(320)도 함께 커버한다. 편광판(320)은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즈(tri acetate cellulose, TAC)를 포함한 소재로 만들어진다. 이에, 편광판(320)을 통과한 선편광은 액정 폴리머층(310)을 통과하면서 원편광으로 바뀌게 된다.
화소 정의막(190)은 화소 전극(710)을 드러내는 개구부를 가지며, 유기 발광층(720)은 실질적으로 화소 정의막(190)의 개구부 내에 배치된다. 즉, 하나의 화소에서 화소 정의막(190)이 형성된 부분은 유기 발광층(720)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전체적인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향상된 표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판(320)과 액정 폴리머층(310)을 함께 사용하여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은 흡수하고, 유기 발광 소자(70)에서 발생한 빛은 외부로 통과시켜 결국 외광에 의한 반사를 막아 시인성을 높인다. 즉,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향상된 시인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액정 폴리머층(310)이 4㎛ 미만의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t)를 가지므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전체적인 두께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액정 폴리머층(310)과 편광판(320)을 유기 발광 소자(70) 및 밀봉 부재(21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전체적인 두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 유기 발광 소자(70) 및 축전 소자(80)를 중심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를 가지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의 차이점만 간략하게 설명한다.
기판 부재(110)는 유리, 석영, 세라믹,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기판 부재(110)가 스테인리스 강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판 부재(110) 위에 버퍼층(120)이 형성된다. 버퍼층(120)은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버퍼층(120)은 질화 규소(SiNx)막, 산화 규소(SiO2)막, 산질화 규소(SiOxNy)막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버퍼층(120)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기판 부재(110)의 종류 및 공정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버퍼층(120) 위에는 구동 반도체층(132)이 형성된다. 구동 반도체층(132)은 다결정 규소막으로 형성된다. 또한, 구동 반도체층(132)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135)과, 채널 영역(135)의 양 옆으로 p+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136) 및 드레인 영역(137)을 포함한다. 이 때, 도핑되는 이온 물질은 붕소(B)와 같은 P형 불순물이며, 주로 B2H6이 사용된다. 여기서, 이러한 불순물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로 P형 불순물을 사용한 PMOS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사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로 NMOS 구조 또는 CMOS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도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다결정 규소막을 포함한 다결정 박막 트랜지스터인지만,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다결정 박막 트랜지스터일수도 있고 비정질 규소막을 포함한 비정질 박막 트랜지스터일수도 있다.
구동 반도체층(132) 위에는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따위로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 구동 게이트 전 극(155)을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이 형성된다. 게이트 배선은 게이트 라인(151)(도 1에 도시), 제1 유지 전극(158) 및 그 밖에 배선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구동 반도체층(132)의 적어도 일부, 특히 채널 영역(135)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40) 상에는 구동 게이트 전극(155)을 덮는 층간 절연막(160)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40)과 층간 절연막(160)은 구동 반도체층(132)의 소스 영역(136) 및 드레인 영역(137)을 드러내는 관통공들을 함께 갖는다. 층간 절연막(160)은, 게이트 절연막(140)과 마찬가지로,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등으로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160) 위에는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이 형성된다. 데이터 배선은 데이터 라인(171)(도 1에 도시), 공통 전원 라인(172), 제2 유지 전극(178) 및 그 밖에 배선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은 각각 관통공들을 통해 구동 반도체층(132)의 소스 영역(136) 및 드레인 영역(137)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동 반도체층(132), 구동 게이트 전극(155),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포함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가 형성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의 구성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된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 다.
층간 절연막(160) 상에는 데이터 배선(172, 176, 177, 178)을 덮는 평탄화막(180)이 형성된다. 평탄화막(180)은 그 위에 형성될 유기 발광 소자(70)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단차를 없애고 평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평탄화막(180)은 드레인 전극(177)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접촉 구멍(182)을 갖는다.
평탄화막(180)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평탄화막(180) 위에는 유기 발광 소자(70)의 화소 전극(710)이 형성된다. 화소 전극(710)은 평탄화막(180)의 접촉 구멍(182)을 통해 드레인 전극(177)과 연결된다.
또한, 평탄화막(180) 위에는 화소 전극(710)을 드러내는 개구부를 갖는 화소 정의막(190)이 형성된다. 즉, 화소 전극(710)은 화소 정의막(190)의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화소 정의막(190)은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및 폴리이미드계(polyimides) 등의 수지 또는 실리카 계열의 무기물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190)의 개구부 내에서 화소 전극(710) 위에는 유기 발광층(720) 이 형성되고, 화소 정의막(190) 및 유기 발광층(720) 상에는 공통 전극(7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화소 전극(710), 유기 발광층(720), 및 공통 전극(730)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70)가 형성된다.
화소 전극(710)과 공통 전극(730) 중 어느 하나는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반투과형 또는 반사형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전극(710) 및 공통 전극(730)을 형성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전면 발광형, 배면 발광형 또는 양면 발광형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전면 발광형으로 형성된다.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산화 아연) 또는 In2O3(Indium Oxide) 등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반사형 물질로는 리튬(Li), 칼슘(Ca), 플루오르화리튬/칼슘(LiF/Ca), 플루오르화리튬/알루미늄(LiF/Al), 알루미뮴(Al), 은(Ag), 마그네슘(Mg), 또는 금(Au) 등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720)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기 발광층(720)은 정공 주입층(hole-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transporting layer, HTL), 발광층, 전자 수송층(electron-transportiong layer, ETL), 그리고 전자 주입층(electron-injection layer, EIL)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된다. 즉, 정공 주입층은 양극인 화소 전극(710) 상에 배치되고, 그 위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된다.
유기 발광 소자(70) 상에 액정 폴리머층(310) 및 편광판(320)이 차례로 배치되고, 밀봉 부재(210)가 기판 부재(110)에 대향 배치되어 박막 트랜지스터(20), 유기 발광 소자(70), 액정 폴리머층(310), 및 편광판(320)을 커버한다.
이하, 액정 폴리머층(310)을 유기 발광 소자(70) 상에 형성하는 과정을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기 발광 소자(70)와 대향하는 밀봉 부재(210)의 일면에 편광판(320)을 부착하고, 편광판(320) 위에 용융 상태의 액정 폴리머를 도포한다. 그리고 전계를 가하여 액정 폴리머를 배향시킨다. 이때, 액정 폴리머는 통과하는 빛을 1/4 파장만큼 위상 지연시킬 수 있도록 배향된다. 배향된 액정 폴리머를 고화시켜 액정 폴리머층(310)을 형성한다. 다음, 액정 폴리머층(310)이 유기 발광 소자(70)와 대향하도록 밀봉 부재(210)를 기판 부재(110) 상에 대향 배치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4㎛ 미만의 두께(t)를 액정 폴리머층(310)이 유기 발광 소자(70) 상에 형성되고, 밀봉 부재(210)가 기판 부재(110) 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20), 유기 발광 소자(70), 및 액정 폴리머층(310)을 외부로부터 밀봉되도록 커버하여 보호한다. 그리고 편광판(320)은 밀봉 부재(210) 상에 배치된다. 즉, 편광판(320)은 액정 폴리머층(310)과 대향하는 밀봉 부재(21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210)의 일면에는 액 정 폴리머층(310)이 배치되고, 밀봉 부재(210)의 타면에는 편광판(320)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액정 폴리머층(310)과 편광판(320)을 밀봉 부재(210)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함으로써, 액정 폴리머층(310) 및 편광판(320)을 더욱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액정 폴리머층(310) 및 편광판(320)을 밀봉 부재(210)에 형성 또는 부착하는 과정에서 불량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폴리머층(310)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드시 밀봉 부재(2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액정 폴리머층(310)은 유기 발광 소자(7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는 전체적인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향상된 시인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액정 폴리머층(310) 및 편광판(320)을 형성 또는 부착하는 과정에서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액정 폴리머층(310)을 유기 발광 소자(70) 상에 형성하는 과정을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기 발광 소자(70)와 대향하는 밀봉 부재(210)의 일면에 용융 상태의 액정 폴리머를 도포한다. 그리고 전계를 가하여 액정 폴리머를 배향시킨다. 이때, 액정 폴리머는 통과하는 빛을 1/4 파장만큼 위상 지연시킬 수 있도록 배향된다. 배향된 액정 폴리머를 고화시켜 액정 폴리머층(310)을 형성한다. 다음, 액정 폴리머층(310)이 형성된 일면에 반대되는 밀봉 부재(210)의 타면에 편광판(320)을 부착한다. 그리고 액정 폴리머층(310)이 유기 발광 소자(70)와 대향하도록 밀봉 부재(210)를 기판 부재(110) 상에 대향 배치한 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는 밀봉 부재(210)가 유기 발광 소자(70)를 외부로부터 밀봉되로록 커머하여 보호하고, 밀봉 부재(210) 상에 4㎛ 미만의 두께(t)를 액정 폴리머층(310) 및 편광판(320)이 차례로 배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 액정 폴리머층(310) 및 편광판(320)은 밀봉 부재(21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300)는 전체적인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향상된 시인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액정 폴리머층(310) 및 편광판(320)을 형성 또는 밀봉 부재(210) 상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했을 때 용이하게 수선 또는 교체할 수 있다.
이하, 액정 폴리머층(310)을 유기 발광 소자(70) 상에 형성하는 과정을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기 발광 소자(70)와 대향하는 일면에 반대되는 밀봉 부재(210)의 타면에 용융 상태의 액정 폴리머를 도포한다. 그리고 전계를 가하여 액정 폴리머를 배향시킨다. 이때, 액정 폴리머는 통과하는 빛을 1/4 파장만큼 위상 지연시킬 수 있도록 배향된다. 배향된 액정 폴리머를 고화시켜 액정 폴리머층(310)을 형성한다. 다음, 액정 폴리머층(310)이 상에 편광판(320)을 부착한다. 그리고 밀봉 부재(210)를 기판 부재(110) 상에 대향 배치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 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기판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 부재 상에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면 상에 통과하는 빛의 위상을 지연하는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s, LCP)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폴리머층은 4㎛ 보다 작은 두께를 갖고,
    상기 액정 폴리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액정 폴리머를 도포하는 단계;
    전계를 가하여 상기 액정 폴리머를 배향시키는 단계; 및
    배향된 상기 액정 폴리머를 고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기판 부재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커버하는 밀봉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정 폴리머층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밀봉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액정 폴리머층과 상기 밀봉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빛을 선편광시키는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서,
    상기 밀봉 부재 상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빛을 선편광시키는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9항에서,
    상기 기판 부재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커버하는 밀봉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액정 폴리머층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액정 폴리머층 상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빛을 선편광시키는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80083394A 2008-08-26 2008-08-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ctive KR101571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394A KR101571091B1 (ko) 2008-08-26 2008-08-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2/461,701 US8684780B2 (en) 2008-08-26 2009-08-21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ssociated meth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394A KR101571091B1 (ko) 2008-08-26 2008-08-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709A KR20100024709A (ko) 2010-03-08
KR101571091B1 true KR101571091B1 (ko) 2015-11-24

Family

ID=41724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394A Active KR101571091B1 (ko) 2008-08-26 2008-08-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84780B2 (ko)
KR (1) KR1015710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1193B2 (en) * 2009-08-31 2013-05-28 Motorola Solutions, Inc. Overlayed display
KR101280795B1 (ko) * 2010-08-13 2013-07-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39076A (ko) 2011-06-16 2012-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325318B2 (ja) * 2014-04-08 2018-05-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4319282B (zh) * 2014-09-23 2018-02-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显示面板
CN105575993B (zh) * 2014-10-15 2018-07-24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KR102472607B1 (ko) * 2016-02-03 2022-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603135B (zh) * 2016-10-13 2017-10-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三維顯示模組
CN109119456B (zh) * 2018-10-23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686761B (zh) * 2018-12-14 2020-10-0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
CN111081747A (zh) * 2019-12-25 2020-04-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1965893A (zh) * 2020-08-07 2020-11-2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KR102706131B1 (ko) * 2020-12-31 2024-09-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8838084B (zh) * 2024-07-02 2025-07-04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5499A1 (en) * 2003-01-10 2004-07-15 Eastman Kodak Company Oled displays having improved contrast
JP2005148473A (ja) * 2003-11-17 2005-06-09 Nitto Denko Corp 垂直配向膜、液晶配向膜及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並びに画像表示装置
US20060255706A1 (en) * 2001-02-20 2006-11-1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5496B2 (en) * 2001-01-17 2004-11-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JP4027164B2 (ja) * 2002-06-21 2007-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US7030555B2 (en) * 2003-04-04 2006-04-18 Nitto Denko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planar light sour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060091418A1 (en) * 2004-11-04 2006-05-04 Chew Tong F Side emitting LED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5706A1 (en) * 2001-02-20 2006-11-1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US20040135499A1 (en) * 2003-01-10 2004-07-15 Eastman Kodak Company Oled displays having improved contrast
JP2005148473A (ja) * 2003-11-17 2005-06-09 Nitto Denko Corp 垂直配向膜、液晶配向膜及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並びに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52528A1 (en) 2010-03-04
KR20100024709A (ko) 2010-03-08
US8684780B2 (en) 201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09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14742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8913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0717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49302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36302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8913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37843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912437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093298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5910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0008177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42785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51388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0008888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223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60218157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095910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6525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8913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6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81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8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8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5101005186

Request date: 20150902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509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503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511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06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