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665B1 - Baby carriage - Google Patents
Baby carri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9665B1 KR101559665B1 KR1020140052037A KR20140052037A KR101559665B1 KR 101559665 B1 KR101559665 B1 KR 101559665B1 KR 1020140052037 A KR1020140052037 A KR 1020140052037A KR 20140052037 A KR20140052037 A KR 20140052037A KR 101559665 B1 KR101559665 B1 KR 1015596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unit
- baby carriage
- road surface
- stroller
- inclin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행로의 경사에 따라 유모차의 운행 자세를 제어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oller for controlling a driving posture of a stroller according to a slope of a driving path.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탑승시켜 이동시키기 위한 수레로서, 그 후방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보호자가 후방에서 손잡이를 잡고 전방에 탑승시킨 유아를 보면서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기본 기능을 갖추고 있다.Generally, a stroller is a wagon for carrying an infant and has a basic function of guiding the infant to move while watching a infant who is holding a knob at the rear and a child on the front.
유모차에 탑승하는 유아는 아직 신체적으로 불완전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유모차는 기본 기능 외에도 유아를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설계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예를 들어, 유모차는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안정성, 노면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안락감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보호자가 유모차 운행 시 편리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갖추어야 한다.Since the infant on the stroller is still physically incomplete, the stroller must have various design conditions to protect the infant as well as basic functions. For example, the stroller should have the stability to protect the infant, and the comfort that minimizes the shaking caused by the road surface. In addition, the caregiver should have the convenience to be convenient for the operation of the stroller.
특히, 유모차가 사용되는 노면은 부드럽지 못하고 오르막/내리막 등의 경사가 발생하는 환경이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유아의 안락감과 안정성을 보장하고 보호자의 편의성을 갖추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Particularly, the road surface on which the stroller is used is not smooth and is inclined uphill / downhill. Even in such an environment, research is needed to ensure the comfort and safety of the infant and to provide comfort for the caregiv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시트부의 각도를 제어하여 노면의 경사에 따른 시트부의 기울임을 보상 제어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oller that controls the inclination of a seat portion according to an inclination of a road surface by controlling an angle of a seat por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노면 경사의 종류에 따라서, 최적화된 제어를 수행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oller that performs optimized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road surface inclin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거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listed proble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피보호자가 탑승하는 시트부 및 노면의 경사에 따라 상기 시트부를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노면의 경사에 의한 상기 시트부의 기울임을 보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a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 seat portion on which the protected person is seated, and a seat portion rotat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 tilt of the road surface, And a control unit for compensating for the inclination of the seat portion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seat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제어부는 상기 노면의 경사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 운동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of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rotational motion when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road surfa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제어부는, 상기 노면의 경사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으로 일정 거리 이상 지속된 경우, 상기 회전 운동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rotational movement when the angle of the inclination of the road surface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제어부는, 상기 피보호자 탑승 여부에 따라, 상기 회전 운동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rotational movement according to whether the protected person is present or n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운행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면의 경사가 오르막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유모차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운행모터를 구동시킨다.The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raveling motor, and the controller drives the traveling motor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troll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lope of the road surface is u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제어부는, 상기 노면의 경사가 내리막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유모차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킨다.The control unit of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celerates the moving speed of the baby carri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clination of the road surface is a downward mov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운행모터 및 보호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면의 경사가 오르막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보호자의 접촉을 감지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유모차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운행모터를 구동시킨다.The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ouch input unit for sensing contact between the driving motor and the protector, and the controller may detect contact of the protector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when the inclination of the road surface is ascending The driving motor is driven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troll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보호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면의 경사가 내리막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보호자의 접촉을 감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유모차의 운행을 정지시킨다.The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ouch input unit for sensing a contact of a guardian.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inclination of the road surface is a downward slope and does not detect contact of a guardian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 The driving of the stroller is stopp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노면의 경사에 대응하여 시트의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노면의 각도에 상관없는 착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seat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road surfa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eated state regardless of the angle of the road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노면 경사가 오르막인 경우, 유모차의 운행을 가속시켜주고 노면 경사가 내리막인 경우, 유모차의 운행을 감속시켜주므로 보호자의 편의와 유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ad surface inclination is uphill, the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is accelerated, and when the road surface inclination is downhill, the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is decelerated,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오르막 운행 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내리막 운행 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제어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shows a schematic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block diagram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when the baby carriage is moving uph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when the baby carriage is operated in a downward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control conditions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or" having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hould not be understood to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connection " is used to include both indirectly connecting and 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개략도를 도시한다.1 shows a schematic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유모차(100)는 유모차의 골격을 제공하는 지지부재(110),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부(120), 및 노면과 접촉하는 바퀴(130, 1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모차(100)는 노면의 경사를 감지하는 경사센서(232) 및 상기 지지부재(110)에 대하여 상기 시트부(120)를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부(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모차(100)는 노면의 경사에 대응하여 시트부의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모차(100)는, 상기 유모차(100)가 오르막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시트부(120)의 전단이 아래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유모차(100)가 내리막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시트부(120)의 전단이 위로 회전할 수 있다. The
다시 말해, 상기 유모차(100)는 상기 경사센서(232)를 통하여 노면의 경사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부(242)를 통하여 상기 시트부(120)를 회전시킴(도 1, 화살표 참조)으로써, 상기 노면 경사에 의해 발생하는 시트부의 기울임을 보상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모차(100)에 탑승 중인 유아는 노면의 경사에 무관하게 편안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지지부재(110)는 상기 유모차(100)의 외형을 제공하는 골격부로서, 상기 지지부재(110)는 상기 시트부(120)와 결합한다. 이 때, 상기 지지부재(110)는 상기 시트부(120)가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시트부(120)와 결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110)는 상기 시트부(120)가 상기 지지부재(110)에 대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부(120)와 결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시트부(120)는 상기 지지부재(110)와 축 결합을 하고, 상기 시트부(120)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재(110)에 대하여 회전운동 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지지부재(110)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단부에 노면과 접촉하는 바퀴(130, 132)와 결합된다.The
상기 지지부재(110)는 핸들부(112), 상단지지부(114), 하단전방지지부(116), 하단후방지지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핸들부(112)는 보호자가 상기 유모차(100)를 운전하기 위한 핸들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써, 보호자가 상기 핸들부(112)를 손으로 잡고 상기 유모차(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핸들부(112)는 상기 유모차(100) 조작을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핸들부(112)에는 입력부(210), 출력부(22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핸들부(112)에 마련된 입력부(210) 및 출력부(220)를 통하여 유모차(10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입력부(210) 및 출력부(220)의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상단지지부(114)는, 상기 핸들부(112)에 연장하여 위치함으로써, 상기 핸들부(112)를 지지하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상단지지부(114)는 유모차(100)의 시트부(120) 상단의 외형을 형성하는 골격을 제공하고, 상기 상단지지부(114)의 단부에 핸들부(112)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핸들부(112)를 유모차(10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하단전방지지부(116)는 상기 유모차(10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모차(100)의 하단 외형 중 전방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단전방지지부(116)의 일단은 상기 상단지지부(114)와 연결되고, 상기 하단전방지지부(116)의 타단은 전륜바퀴(130)와 결합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하단전방지지부(116)는 상기 상단지지부(1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end
상기 하단후방지지부(118)는 상기 유모차(10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모차(100)의 하단 외형 중 후방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단후방지지부(118)의 일단은 상단지지부(114) 및 상기 하단전방지지부(116)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하단후방지지부(118)의 타단은 후륜바퀴(132)와 결합한다.The lower
이하, 상기 시트부(12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시트부(120)는 유아가 탑승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Hereinafter, the
상기 시트부(120)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일 측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트부(120)는 상기 상단지지부(114)의 일 측과 결합할 수 있다.The
상기 시트부(120)는 상기 지지부재(110)에 대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부(120)는 노면의 경사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지지부재(110)에 대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하여, 상기 시트부(120)는 상기 지지부재(110)와 회전부(242)를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회전부(242)는 사기 시트부(120)와 상기 지지부재(110)를 이어주는 힌지 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전륜바퀴(130)는 상기 하단전방지지부(116)와 결합되고 후륜바퀴(130)는 상기 하단후방지지부(118)와 결합한다. 또한, 전륜바퀴(130) 및 후륜바퀴(13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유모차(100)의 진행을 가속시키는 운행부(244, 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운행부(24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전륜바퀴(130) 및 후륜바퀴(13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유모차(100)의 진행을 감속시키는 브레이크가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경사센서(232)는 상기 유모차(100)가 주행하는 노면의 경사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경사센서(232)는 후술할 제어부(200)로 노면의 경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회전부(24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120)를 상기 지지부재(110)에 대하여 회전운동 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회전부(242)는 회전을 시킬 수 있는 모터, 예를 들어, 서보모터 일 수 있다.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2 shows a block diagram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유모차(100)는 제어부(200)를 중심으로 입력부(210), 출력부(220), 센싱부(230), 구동부(24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2, the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유모차(100)의 각 구성 전반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0)는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입력부(210)를 통하여 사용자에 해당하는 보호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고, 센싱부(230)를 통하여 상기 유모차(100)의 제어를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부(220)를 통하여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고, 구동부(240)를 통하여 상기 유모차(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유모차(10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핸들부(112)에 위치할 수 있다.The
상기 입력부(210)는 사용자에 해당하는 보호자로부터 명령을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210)는 터치입력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부(21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핸들부(112)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상기 터치입력부(212)를 통하여 간이하게 상기 유모차(100)에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부(212)는 획득한 명령을 상기 제어부(20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어부(200)는 보호자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터치입력부(212)는 보호자가 유모차와 접촉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보호자가 유모차와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는 어떤 제어동작을 수행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출력부(220)는 보호자에게 상기 유모차(100)의 상태 등을 알리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220)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하여 상황에 적절한 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출력부(22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22) 및 음향부(22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22)는 보호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으로서, 예를 들어, 핸들부(112)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22)는 상기 유모차(100)가 경사로에 진입하였는지, 경사가 각도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음향부(224)는 보호자에게 음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음향부(224)는 상기 디스플레이(222)의 표시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상기 센싱부(230)는 상기 유모차(100)의 제어를 위하여 필요한 상황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230)는 획득한 상황 정보를 상기 제어부(20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어부(200)가 필요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상기 센싱부(230)는 예를 들어, 경사센서(232), 무게센서(234) 및 속도센서(23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경사센서(232)는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유모차(100)의 운행 노면의 경사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상기 경사센서(232)는 도 1을 참조한 실시예에서 상기 시트부(120)의 전방 하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경사센서(232)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무게센서(234)는 상기 시트부(120)에 유아가 탑승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게센서(234)는 상기 시트부(120)의 하측에 위치하여 유아의 탑승 여부에 따라 상응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속도센서(236)는 상기 유모차(100)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속도센서(236)는 상기 유모차(100)의 이동 속도 관련 정보를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유모차(100)의 이동 속도를 고려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The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유모차(100)를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동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제어부(200)로부터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유모차(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The driving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240)는 회전부(242) 및 운행부(24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상기 회전부(242)는 도 1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120)가 상기 지지부재(11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242)는 상기 시트부(120)를 상기 지지부재(110)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유모차(100)를 접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운행부(244)는 상기 유모차(100)의 운행을 가속 또는 감속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운행부(244)는 예를 들어, 전륜바퀴(130) 및 후륜바퀴(132) 중 적어도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The driving
상기 운행부(244)는 상기 유모차(100)가 오르막을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보호자의 운행을 돕기 위하여 상기 유모차(100)의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riving
상기 운행부(244)는 모터, 예를 들어, DC 모터일 수 있다. 이하 운행부(244)는 운행모터(244)로 호칭될 수 있다.The
이상, 상기 유모차(100)의 블록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The block structure of the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유모차(10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오르막 주행 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when the baby carriage is moving uph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유모차(100)가 평지에서 이동 중인 상태를 도시한다. 이 때, 시트부(120)는 기준선(h)에 대하여 각도가 0도인 상태를 상정하기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시트부(120)의 초기 각도는 0도인 것이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경사센서(232)를 통하여, 상기 시트부(120)의 초기 각도가 0도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the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유모차(100)가 오르막을 이동 중인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유모차(100)가 평지에서 오르막으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경사센서(232)를 통하여 상기 유모차(100)가 이동 중인 노면의 경사가 오르막임을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20)는 노면의 경사가 a1 만큼 오르막임을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b), the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회전부(242)를 제어하여 상기 시트부(120) 전방을 아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시트부(120)를 얼마나 아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시트부(120)의 초기각도인 0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시트부(120)를 상기 지지부재(110)에 대하여 회전(r1)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상기 오르막 경사(a1)에 의해 발생하는 시트부(120)의 기울임각도(a2)를 보상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이로써, 상기 시트부(120)는 오르막 경사로에 진입한 경우에도, 오르막 경사로에 진입하지 않은 때와 같은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르막 경사에 의한 영향을 최소함으로써, 유아는 안락감을 유지할 수 있다.Thus, even when the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유모차(100)가 오르막 경사를 이동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유모차(100)의 진행방향(d1)으로 상기 운행모터(244)를 구동시킴으로써, 오르막 경사에 의하여 감소되는 속도를 보상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운행모터(244)를 상기 유모차(100)의 진행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유모차(100)가 오르막에 진입하기 이전 속도인 V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오르막 경사로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오르막 진입 이전의 속도를 속도센서(236)을 통하여 알 수 있다. For example, the
따라서, 오르막 경사로 진입에 따른 유모차(100)의 운행 상태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유아의 안락감이 향상되고, 오르막 경사에 의한 속도 감소를 보상하게 되므로 보호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Therefore, by minimizing the change in the driving state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내리막 운행 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when the baby carriage is operated in a downward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유모차(100)가 평지에서 이동 중인 상태를 도시한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한 환경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 (a), the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유모차(100)가 내리막을 이동 중인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유모차(100)가 평지에서 내리막으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경사센서(232)를 통하여 상기 유모차(100)가 이동 중인 노면의 경사가 내리막임을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20)는 노면의 경사가 b1 만큼 내리막임을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b), the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회전부(242)를 제어하여 상기 시트부(120) 전방을 상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시트부(120)를 얼마나 상향으로 회동시킬 수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시트부(120)의 초기각도인 0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시트부(120)를 상기 지지부재(110)에 대하여 회전(r2)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상기 내리막 경사(b1)에 의해 발생하는 시트부(120)의 기울임각도(b2)를 보상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이로써, 상기 시트부(120)는 내리막 경사로에 진입한 경우에도, 내리막 경사로에 진입하지 않은 때와 같은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리막 경사에 의한 영향을 최소함으로써, 유아는 안락감을 유지할 수 있다.Thus, even when the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유모차(100)가 내리막 경사를 이동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유모차(100)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0)는 내리막 경사에서의 속도가 내리막 경사 진입 전 속도인 V0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오르막 진입 이전의 속도를 속도센서(236)을 통하여 알 수 있다.E.g. The
따라서, 내리막 경사로 진입에 따른 유모차(100)의 운행 상태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유아의 안락감을 향상되고 내리막 경사에 의한 가속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 방지에 도움을 준다.Therefore, by minimizing the change of the driving state of the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트부(120)의 초기 각도가 0도 임을 상정하였으나, 보호자가 원하는 초기 각도를 설정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보호자가 시트부(120)의 초기 각도를 5도로 설정한 경우, 경사로에 진입하더라도 초기 각도인 5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200)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it is assumed that the initial angle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제어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control conditions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노면은 대게 울통불통 하므로, 상기 제어부(200)는 일시적인 노면의 변화인지 아니면 경사로에 진입한 것인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경사센서(232)를 통한 경사각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상기 유모차(100)가 이동하여야 경사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ince the road surface is generally unstable, the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좌측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경사각이 c1인 상태로 m1의 거리를 상기 유모차(100)가 이동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m1이 미리 정해진 거리보다 짧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시트부(120)를 회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의 우측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경사각이 c1인 상태로 m2의 거리를 상기 유모차(100)가 이동한 경우, m2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이라면, 상기 회전부(242)를 제어하여 상기 시트부(120)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5, when the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노면의 일시적인 변화와 경사를 구분함으로써,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상기 시트부(200)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경사로의 경사각이 일정 각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시트부(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0)는 노면의 경사가 5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회전부(242)를 통하여 상기 시트부(120)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유모차(100)의 시트부(120)에 유아의 탑승여부에 따라 노면 경사에 대응하여 시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시트부(120)의 하측에 위치한 무게센서(234)로부터 유아의 탑승이 감지된 경우에, 노면 경사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242)를 통하여 상기 시트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보호자가 상기 유모차(100)를 잡고 있는지에 따라서, 상이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유모차(100)가 오르막 경사로에 진입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유모차(100)를 보호자가 잡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운행모터(244)를 통하여 상기 유모차(100)를 전진시킬 수 있다. 이는, 보호자의 편의를 위함이다.In addition, the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유모차(100)가 내리막 경사로에 진입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유모차(100)를 보호자가 잡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유모차(1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는 유아의 안전을 위함이다.Alternatively, the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터치입력부(212)를 통하여 보호자가 상기 유모차(100)를 잡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The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100)는 유모차(100)가 경사로에 진입한 경우에도, 노면의 경사각과 반대 방향으로 시트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유아의 안락감을 최대화한다. 또한, 유모차(100)가 오르막에 진입한 경우에는 보호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유모차(100)가 내리막에 진입한 경우에는 유아의 안전을 도모한다.The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유아가 탑승하는 유모차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노인 및 장애인 용 캐리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아, 노인 및 장애인을 포함하여 피보호자로 호칭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baby carriage on which the infant is boarded has been described.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arriers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Including children, elderly people,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유모차 110: 지지부재
120: 시트부 130, 132: 바퀴
200: 제어부 210: 입력부
220: 출력부 230: 센싱부
240: 구동부100: stroller 110: support member
120:
200: control unit 210: input unit
220: output unit 230: sensing unit
240:
Claims (8)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피보호자가 탑승하는 시트부;
노면의 경사에 따라 상기 시트부를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노면의 경사에 의한 상기 시트부의 기울임을 보상하는 제어부;
운행모터; 및
보호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노면의 경사가 오르막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보호자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운행모터를 진행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유모차.
A support member;
A seat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the seat portion being supported by the person to be protected;
A control unit for compensating for tilting of the seat portion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road surface by rotating the sea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 tilt of the road surface;
Running motor; And
And a touch input unit for sensing contact of the protector,
Wherei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traveling motor in the traveling direction even when the contact of the guard is not detect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when the slope of the road surface is ascending.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면의 경사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rotational motion when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road surfa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stroll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면의 경사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으로 일정 거리 이상 지속된 경우, 상기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rotational motion when the angle of the inclination of the road surface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by a predetermined reference or more
stroll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보호자 탑승 여부에 따라, 상기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rotational mo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occupant is boarded
stroller.
운행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면의 경사가 오르막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유모차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운행모터를 구동시키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raveling mot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motor 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baby carri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clination of the road surface is an uphill
stroll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면의 경사가 내리막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유모차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celerate the moving speed of the baby carriage when the inclination of the road surface is determined to be a downward movement,
stroller.
상기 노면의 경사가 내리막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보호자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운행모터의 운행을 정지시키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inclination of the road surface is a downward movement,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traveling motor when the contact of the protector is not detect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2037A KR101559665B1 (en) | 2014-04-30 | 2014-04-30 | Baby carri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2037A KR101559665B1 (en) | 2014-04-30 | 2014-04-30 | Baby carri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9665B1 true KR101559665B1 (en) | 2015-10-13 |
Family
ID=5434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2037A KR101559665B1 (en) | 2014-04-30 | 2014-04-30 | Baby carri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9665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7214B1 (en) * | 2015-10-07 | 2016-11-17 | (주)동인기연 | Baby carriage |
KR101838157B1 (en) * | 2017-01-20 | 2018-03-13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Baby carriage |
CN109109956A (en) * | 2018-10-24 | 2019-01-01 | 嘉兴东晗智能设备有限公司 | Perambulator |
WO2019027161A1 (en) * | 2017-08-01 | 2019-02-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roller having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KR102024129B1 (en) * | 2018-09-28 | 2019-09-23 | 유근민 | Electromotive baby carriage |
KR102095465B1 (en) | 2019-01-22 | 2020-03-31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Gyroscope baby carriage |
KR102477203B1 (en) * | 2022-09-08 | 2022-12-13 | 주식회사 벤하우스 | Stroller for pets with reduced impact |
TWI836588B (en) * | 2021-09-02 | 2024-03-21 | 瑞士商明門瑞士股份有限公司 | Movable carrier and method for adjusting tilt angle of seat of movable carrier |
US12024072B2 (en) | 2021-10-19 | 2024-07-02 | Wonderland Switzerland Ag | Control circuit, child safety seat, and seat adjustment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45932A (en) | 2010-05-25 | 2011-12-08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Stroller |
-
2014
- 2014-04-30 KR KR1020140052037A patent/KR10155966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45932A (en) | 2010-05-25 | 2011-12-08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Stroller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7214B1 (en) * | 2015-10-07 | 2016-11-17 | (주)동인기연 | Baby carriage |
KR101838157B1 (en) * | 2017-01-20 | 2018-03-13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Baby carriage |
WO2019027161A1 (en) * | 2017-08-01 | 2019-02-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roller having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KR20190013368A (en) * | 2017-08-01 | 2019-02-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aby carriage having driving auxiliary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 same |
KR102433062B1 (en) * | 2017-08-01 | 2022-08-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aby carriage having driving auxiliary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 same |
KR102024129B1 (en) * | 2018-09-28 | 2019-09-23 | 유근민 | Electromotive baby carriage |
CN109109956A (en) * | 2018-10-24 | 2019-01-01 | 嘉兴东晗智能设备有限公司 | Perambulator |
CN109109956B (en) * | 2018-10-24 | 2024-04-30 | 嘉兴东晗智能设备有限公司 | Baby carriage |
KR102095465B1 (en) | 2019-01-22 | 2020-03-31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Gyroscope baby carriage |
TWI836588B (en) * | 2021-09-02 | 2024-03-21 | 瑞士商明門瑞士股份有限公司 | Movable carrier and method for adjusting tilt angle of seat of movable carrier |
US12024072B2 (en) | 2021-10-19 | 2024-07-02 | Wonderland Switzerland Ag | Control circuit, child safety seat, and seat adjustment method |
KR102477203B1 (en) * | 2022-09-08 | 2022-12-13 | 주식회사 벤하우스 | Stroller for pets with reduced impac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9665B1 (en) | Baby carriage | |
JP6220069B2 (en) | Traveling device | |
JP4867823B2 (en) | Inverted wheel type moving bod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4924350B2 (en) | Steering device, riding-type moving body equipped with steering device, and moving body steering method | |
JP6901276B2 (en) | Electric vehicle | |
WO2014188726A1 (en) | Electric walking assistance device, program for controlling electric walking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 walking assistance device | |
JP6687234B2 (en) | Mobile device | |
US11198592B2 (en) | Stairlift | |
JP2010125969A (en) | Movable body | |
JP2010167808A (en) | Moving body | |
JP2009286323A (en) | Inverted pendulum type movable body and educational teaching materials | |
KR101841879B1 (en) | Smart stroller | |
US8949010B2 (en) |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 |
KR102354897B1 (en) | Smart stroller base on IOT | |
JP4825414B2 (en) | Escalator cart and escalator | |
JP2011162161A (en) | Moving bod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 |
WO2016199311A1 (en) | Mobile chassis | |
JP2009040379A (en) | Vehicle | |
JP6245244B2 (en) | Pedestrian driv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lker drive device | |
JP2018015195A (en) | Electric Wheelchair | |
JP2011105051A (en) | Mobile body | |
JP6233266B2 (en) | Balance training machine | |
KR20160138803A (en) | Electric stroller with braking system controlled by boarding detection | |
JP2013208245A (en) | Wheelchair | |
KR101272604B1 (en) | Riding robot and opera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