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32300B1 -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300B1
KR101532300B1 KR1020147017263A KR20147017263A KR101532300B1 KR 101532300 B1 KR101532300 B1 KR 101532300B1 KR 1020147017263 A KR1020147017263 A KR 1020147017263A KR 20147017263 A KR20147017263 A KR 20147017263A KR 101532300 B1 KR101532300 B1 KR 101532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locking
fitting
metal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9288A (ko
Inventor
토시후미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01R13/4226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comprising two or more integral flexible retaining fingers acting on a singl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2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with molding of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대형화나 제조 코스트 증대를 초래하는 것 없이 다종다양한 제품에 대해서도 단자(端子) 금구(金具)의 계지력(係止力)을 높여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단자 금구(3)와, 당해 단자 금구(3)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실(42)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4)을 구비하고, 커넥터 하우징(4)은, 단자 수용실(42) 중 하나의 내면을 구성하는 벽부(44B)와, 단자 금구(3)를 계지하는 계지부(45)를 구비하고, 당해 계지부(45)는, 벽부(44B)의 내면에 설치되는 기단부(基端部)로부터 단자 금구(3)의 삽입 방향(X)의 가장 안쪽을 향하여 선단부(先端部)가 연장되는 계지 암(arm)부(45A)와, 당해 계지 암부(45A)로부터 삽입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Y)으로 돌출하는 계지 돌부(突部)(45B)를 가지고, 벽부(44B)에는, 계지 돌부(45B)를 외부를 향하게 하는 관통 구멍(47)이 형성되고, 단자 금구(3)를 계지 암부(45A)의 선단부(45C)와 계지 돌부(45B)로 계지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배색(配索)되는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를 구성하는 커넥터, 및 당해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체로서의 자동차에는, 다종다양한 전자 기기가 탑재되고, 전자 기기에 전력이나 제어 신호 등을 전하기 위하여, 와이어 하니스가 배색되어 있다. 와이어 하니스는, 복수의 전선과, 커넥터를 구비하고, 이 커넥터를 전자 기기의 커넥터나 다른 와이어 하니스의 커넥터에 감합(嵌合)시키는 것으로, 전자 기기나 다른 와이어 하니스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와이어 하니스에 이용되는 커넥터로서는, 통상(筒狀)의 커넥터 하우징과, 당해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되는 것과 함께 전선의 단말에 취부(取付)되는 단자(端子) 금구(金具)를 구비한 것이 일반적이고, 사용 환경이나 사용 목적에 따른 각종 형태의 커넥터가 이용되고 있다.
통상(通常), 커넥터의 단자 금구는, 도전성(導電性)의 판금을 꺾어 구부리는 등을 하여 형성되고, 단자 금구는, 와이어 하니스의 전선과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와, 상대방의 커넥터의 단자 금구와 접속되는 전기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은, 단자 금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직선 구멍상(狀)의 단자 수용실과, 단자 수용실 내로 돌출하고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단자 금구를 단자 수용실 내에 계지(係止)하는 계지 랜스(lance)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 있어서, 계지 랜스에 의하여 단자 금구를 계지하는 것만으로는 계지력이 부족하여, 와이어 하니스의 제조 공정 등에 있어서 둘러쳤을 때에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단자 금구가 빠져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것으로부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단자 금구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지 랜스의 이동을 규제하여 단자 금구의 계지가 빠지지 않도록 정규 계지하는 것으로서, 스페이서(spacer)를 구비한 커넥터(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나, 프런트 홀더(front holder)를 구비한 커넥터(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등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1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01)과, 스페이서(102)와, 전선이 접속된 암형의 단자 금구(이하, 암단자라고 기재한다)(103)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101)은, 절연성의 합성수지 등으로부터 전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암단자(103)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실(터미널 수용실)(104)과, 스페이서(102)를 수용하는 스페이서 수용실(관통 구멍)(105)을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커넥터도 대략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특허문헌 1의 커넥터(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자 수용실(104)은, 복수 설치되어 서로 병설(竝設)되는 것과 함께, 각각 직선상(直線狀)으로 연장되어 있고, 긴쪽 방향의 양단(兩端)이 커넥터 하우징(101)의 단면(端面)에 개구(開口)하고 있다. 단자 수용실(104)에는, 그 긴쪽 방향을 따라 암단자(103)가 삽입되고, 그 삽입 방향 가장 안쪽의 단자 수용실(104) 내부를 향하여 계지 랜스(106)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 수용실(105)은, 커넥터 하우징(101)의 복수의 외면(外面) 중 단자 수용실(104)의 긴쪽 방향과 직교하는 하나의 외면으로부터 파여 형성되고, 각각의 단자 수용실(104)의 긴쪽 방향 대략 중앙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스페이서(102)는, 절연성의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고, 스페이서 수용실(105)에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 핀(107)과, 각 삽입 핀(107)에 설치된 계지 돌기(108)를 구비하고 있다. 계지 돌기(108)는, 각 삽입 핀(107)의 측면에 있어서 상하 2단으로 설치되고, 이들 2단의 계지 돌기(108) 사이에 암단자(103)가 삽통(揷通) 가능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102)는, 스페이서 수용실(105)에 삽입되면, 삽입 핀(107)의 선단(先端)이 커넥터 하우징(101)에 계지되어, 임시 계지 위치에 위치 부여된다.
스페이서(102)가 임시 계지 위치에 위치 부여된 상태에 있어서, 스페이서(102)의 삽입 핀(107) 및 계지 돌기(108) 사이의 간격 부분과, 단자 수용실(104)이 서로 연통하여, 단자 수용실(104)에 암단자(103)가 삽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암단자(103)를 단자 수용실(104)에 삽입하면, 계지 랜스(106)가 탄성 변형하여 암단자(103)의 선단부의 오목부를 계지한다. 이 암단자(103)의 임시 계지 위치에 있어서, 계지 랜스(106)에 의한 계지력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부터, 큰 힘으로 당겨진 경우에는 암단자(103)가 커넥터 하우징(101)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이 있다.
그래서 임시 계지 위치에 위치 부여된 스페이서(102)를 한층 더 스페이서 수용실(105)에 삽입하여 가면,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102)의 본체부가 커넥터 하우징(101)에 계지되어, 정규 계지 위치에 위치 부여된다. 스페이서(102)가 정규 계지 위치에 위치 부여되면, 계지 돌기(108)가 단자 수용실(104) 내로 돌출하여 암단자(103)의 중간부의 돌기(103A)를 계지한다. 이와 같이, 정규 계지 위치에 위치 부여된 스페이서(102)는, 암단자(103)가 커넥터 하우징(101)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커넥터(11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11)과, 프런트 홀더(112)와, 암형 단자 금구(이하, 암단자라고 기재한다)(113)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111)은, 암단자(113)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실(114)을 구비하고, 이 단자 수용실(114) 내부를 향하여 계지 랜스(115)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랜스(115)는, 단자 수용실(114)의 벽부(116)로부터 암단자(113)의 삽입 방향 가장 안쪽을 향하여 경사하여 형성되고, 계지 랜스(115)와 벽부(116)의 사이에 간극(間隙)(117)이 형성되어 있다.
프런트 홀더(112)는, 커넥터 하우징(111)의 전방(前方) 측으로부터 장착되는 것이고, 다른 커넥터의 수형 단자 금구를 삽통시키는 삽통 구멍을 가진 전면부(前面部)(118)와, 이 전면부(118)로부터 돌출하여 커넥터 하우징(111)의 단자 수용실(114)에 삽입되는 규제 돌기(119)를 구비하고 있다. 규제 돌기(119)는, 커넥터 하우징(111)에 프런트 홀더(112)를 장착하였을 때에, 계지 랜스(115)와 벽부(116)의 간극(117)에 비집고 들어가고, 이것에 의하여 계지 랜스(115)의 변형을 규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110)에서는, 커넥터 하우징(111)의 단자 수용실(114)에 암단자(113)를 삽입하면, 계지 랜스(115)가 탄성 변형하여 암단자(113)의 오목부(113A)를 계지한다. 이 암단자(113)의 임시 계지 상태에 있어서, 프런트 홀더(112)를 커넥터 하우징(111)의 전방 측으로부터 장착하고, 규제 돌기(119)를 간극(117)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하여, 계지 랜스(115)의 탄성 변형이 규제되고, 암단자(113)의 오목부(113A)의 계지가 빠지지 않는 정규 계지 상태로 되는 것으로부터, 커넥터 하우징(101)으로부터의 암단자(103)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64-54678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15614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108576호
그렇지만 전술한 특허문헌 1 내지 3에 나타내진 바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커넥터 하우징에 스페이서나 프런트 홀더를 삽입하여 정규 계지 상태로 하지 않으면, 단자 금구의 계지력을 높일 수 없고, 임시 계지 상태에 있어서의 단자 금구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즉, 커넥터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스페이서(102)를 구비하는 것이나 프런트 홀더(112)를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을 구비하지 않는 커넥터, 형태나 사이즈가 다른 커넥터 등도 다종 존재한다. 즉, 각종의 커넥터에 대하여 한결같이 스페이서나 프런트 홀더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고, 또한 한편, 단자 금구의 계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스페이서나 프런트 홀더를 설치하여 버리면, 커넥터가 대형화하거나, 구조가 복잡화하여 성형을 위한 고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되거나, 부품 점수(點數)가 증가하여 제조 및 관리 코스트가 증대하거나, 등의 여러가지의 문제를 초래하게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대형화나 제조 코스트 증대를 초래하는 것 없이 다종다양한 제품에 대해서도 단자 금구의 계지력을 높여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제1 피계지부(被係止部)와 제2 피계지부를 포함하는 단자(端子) 금구(金具)와, 당해 단자 금구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실과, 외부로부터 상기 단자 수용실을 칸막이하고, 당해 단자 수용실의 하나의 내면을 구성하고,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것과 함께 설치되는 벽부와, 상기 단자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단자 금구를 계지(係止)하여 당해 단자 금구가 빠져나오는 것을 규제하는 계지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계지부는 상기 벽부의 내면에 설치되는 기단부(基端部)로부터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의 가장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1 피계지부로 계지되도록 구성되는 선단부(先端部)를 가지는 계지 암(arm)부와, 당해 계지 암부로부터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관통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하고, 제2 피계지부로 계지되도록 구성되는 계지 돌부(突部)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계지부가 계지 암부와 계지 돌부를 포함하고, 계지 암부의 선단부로 단자 금구의 제1 피계지부를 계지하는 것과 함께, 계지 돌부로 단자 금구의 제2 피계지부를 계지하는, 즉, 적어도 2개소에서 단자 금구를 계지하는 것으로 계지력을 높일 수 있고, 단자 금구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계지 돌부를 외부를 향하게 하는 관통 구멍이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계지 돌부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즉, 커넥터 하우징은, 절연성의 합성수지를 사출(射出)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이후, 제1 방향이라고 기재하는 것이 있다)을 따라 단자 수용실이 형성되는 것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형 열기 가능한 성형형(成形型)이 이용된다. 이 때문에, 제1 방향과 교차하여 계지 돌부가 돌출하고 있으면, 계지 돌부의 성형이 곤란하게 되지만,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외부를 향하도록 계지 돌부가 위치하고 있으면, 관통 구멍 부분에 삽통시킨 슬라이드 금형을 이용하여 계지 돌부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의 입구 측으로부터 가장 안쪽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금구에는, 상기 안내 홈에 삽입되어 당해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을 따라 안내되는 돌편(突片)이 형성되고, 당해 돌편의 일부에 의하여 상기 제2 피계지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커넥터 하우징의 안내 홈을 따라 안내되는 돌편을 단자 금구가 구비하는 것으로,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할 때에 있어서의 단자 금구의 회전이나 경사를 방지할 수 있어, 부정한 상태로 삽입되는 것에 의한 커넥터 하우징이나 단자 금구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삽입 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자 금구를 안내하기 위한 돌편(스태빌라이저(stabilizer) 등으로 불린다)으로 제2 피계지부를 구성하고, 이 돌편의 일부를 계지 돌부로 계지하는 것으로, 별도의 제2 피계지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단자 금구의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스태빌라이저 등의 돌편은,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와 같이 돌출한 부분이 계지 돌부로 계지되는 것으로, 계지 암부의 선단부에 의하여 제1 피계지부를 계지하는 제1 계지 위치와, 계지 돌부에 의하여 돌편을 계지하는 제2 계지 위치와의 거리를 이격(離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멀어진 2개소에서 단자 금구가 계지되는 것으로부터, 계지 위치의 어느 일방(一方)에 외력이 작용하여 계지가 빠지는 경우여도, 타방의 계지를 유지시킬 수 있어, 단자 금구의 계지 상태를 유지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 수용실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의 가장 안쪽에는, 수용한 상기 단자 금구의 선단부에 당접(當接)하여 지지하는 당접부가 형성되고, 당해 당접부와 상기 계지 돌부가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 겹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단자 수용실의 가장 안쪽에 당접부를 형성하고, 수용한 단자 금구의 선단부에 당접부를 당접시켜 지지하는 것으로, 단자 금구를 커넥터 하우징 내부의 소정 위치 또한 소정 자세로 양호하게 보지(保持)할 수 있다. 또한, 당접부와 계지 돌부가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 겹쳐 설치되어 있으면,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단자 금구의 폭 치수를 확대시키는 것 없이, 단자 금구의 선단부에 당접부를 당접시키고, 또한, 단자 금구의 제2 피계지부를 계지 돌부에 계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당접부가 단자 수용실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계지 돌부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단자 수용실의 가장 안쪽(커넥터 하우징의 전방 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 수용실의 가장 안쪽이 아닌 커넥터 하우징의 관통 구멍을 통하여 슬라이드 금형을 삽통시키는 것으로, 당접부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계지 돌부를 성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성형 시에 있어서,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금형을 제공하고,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금형을 삽입하고, 당해 슬라이드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계지 돌부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전술한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제1 방향과 교차하여 계지 돌부가 돌출하고 있어도,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의 부분을 통하여 슬라이드 금형을 삽입하고, 이 슬라이드 금형에 의하여 계지 돌부를 성형하는 것으로, 계지 돌부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나 장치의 복잡화를 회피할 수 있어, 제조 코스트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2개소에서 단자 수용실을 계지하는 것으로 계지력을 높여 단자 금구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커넥터와 같은 스페이서나 프런트 홀더를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해지는 것으로부터, 다종다양한 커넥터에 대응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커넥터의 대형화나 구조의 복잡화를 회피하여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의 벽부에 설치한 관통 구멍을 이용하고, 슬라이드 금형을 이용하여 계지 돌부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의 제조 코스트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 금구에 설치한 스태빌라이저 등의 돌편을 계지 돌부로 계지하는 것으로, 단자 금구의 계지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지고, 단자 금구가 빠져나오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래 스태빌라이저를 구비한 단자 금구의 경우이면, 별도의 제2 피계지부를 형성하는 설계 변경의 필요가 없고, 단자 금구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를 한층 더 억제하면서 계지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당접부와 간섭하지 않고 계지 돌부가 성형될 수 있기 때문에, 단자 금구가 빠져나오는 것 방지와 소정 위치에서의 양호한 보지가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 하우징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나 장치의 복잡화를 회피하여, 스페이서나 프런트 홀더의 유무에 관계없이 다종다양한 제품에 대응하여 단자 금구의 계지력을 높인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A-A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단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단자 금구의 계지 수순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a는 상기 커넥터의 조립 수순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b는 상기 커넥터의 조립 수순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c는 상기 커넥터의 조립 수순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상기 커넥터의 조립 수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상기 커넥터의 조립 수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는 상기 종래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B는 상기 종래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다른 종래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커넥터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1)는, 자동차 등에 배색되는 와이어 하니스를 구성하는 것이고,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다종다양한 전자 기기나 다른 와이어 하니스에 설치된 상대방의 커넥터에 감합하여 접속되는 것이다. 와이어 하니스는, 복수의 전선(2)과, 커넥터(1)를 구비하고 있다. 전선(2)은, 도전성의 심선(芯線)과 이 심선을 피복하는 절연성의 피복부를 구비하고, 그 단부(端部)가 커넥터(1)의 단자 금구(3)에 압착(壓着)되어 있다.
커넥터(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위 암형 단자 금구인 단자 금구(3)와, 단자 금구(3)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4)과, 커넥터 하우징(4)에 삽입되는 스페이서(5)를 구비하고 있다. 즉, 커넥터(1)는, 암형 단자 금구인 단자 금구(3)를 구비한 암형 커넥터이고, 상대방의 수형 커넥터와 감합하여 접속되는 것이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암형 커넥터인 커넥터(1)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커넥터는, 수형 커넥터여도 무방하다.
단자 금구(3)는, 도전성의 판금을 펀칭(punching)하고 벤딩(bending)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고, 전선 접속부(31)와 전기 접촉부(32)를 일체(一體)로 구비하고 있다. 전선 접속부(31)는, 대상(帶狀)의 저판부(底板部)와, 저판부의 폭 방향 양단에 연결되는 스웨이징 피스(swaging piece)를 구비하고, 저판부 상(上)에 심선이 노출된 전선(2)의 단부가 재치(載置)되고, 스웨이징 피스가 이 전선(2)의 단부를 스웨이징하는 것에 의하여, 전선(2)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전기 접촉부(32)는, 사각 통상(筒狀)으로 형성되고, 전선 접속부(31)의 저판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기 접촉부(32) 내에는, 도시하지 않는 상대방의 커넥터의 수형 단자 금구가 삽입되고, 이 수형 단자 금구를 전기 접촉부(32)의 내면과의 사이에 협지(挾持)하는 탄성편(33)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접촉부(32)의 내면과 탄성편(33)의 사이에 수형 단자 금구를 협지하는 것으로, 단자 금구(3)와 수형 단자 금구가 전기적으로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전기 접촉부(32)에는, 그 사각 통상(筒狀)의 일변(一邊)(또는 2변)으로부터 돌출한 돌편으로서의 스태빌라이저(34)가 형성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34)는, 후술하는 커넥터 하우징(4) 내부의 안내 홈(46)에 삽통되고, 이 안내 홈(46)을 따라 안내된다. 이와 같이 스태빌라이저(34)가 안내 홈(46)에 삽통되는 것으로, 단자 금구(3)를 소정의 방향으로 커넥터 하우징(4)에 삽입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삽입 시에 스태빌라이저(34)가 안내 홈(46)으로 안내되는 것으로, 단자 금구(3)의 넘어짐이나 삽입 방향(도 1 등에 화살표(X)로 도시하는 방향)에 대한 경사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4)은, 절연성의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지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자 형상의 하우징 본체(40)와, 상대방의 커넥터를 로크(lock)하기 위한 로크 암(41)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본체(40)는, 단자 금구(3)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실(42)과, 스페이서(5)를 수용하는 스페이서 수용실(4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40)는, 상대 측 커넥터에 대향하는 전면(前面)(40A)과, 전면(40A)의 반대 측에서 단자 금구(3)가 삽입되는 측의 배면(背面)(40B)과, 스페이서(5)가 삽입되는 측의 상면(上面)(40C)과, 상면(40C)의 반대 측의 저면(底面)(40D)과, 로크 암(41)이 설치되는 측의 제1 측면(40E)과, 제1 측면(40E)의 반대 측의 제2 측면(40F)을 가지고 있다. 덧붙여, 여기에서, 상면(40C)이나 저면(40D) 등은, 어디까지나 설명을 간명(簡明)하게 하기 위한 편의적인 호칭에 지나지 않고, 커넥터(1)의 이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하 좌우의 방향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단자 수용실(42)은,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 설치되고, 서로 평행으로 병설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 수용실(42)은, 커넥터 하우징(4)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직선 통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긴쪽 방향의 양단이 하우징 본체(40)의 전면(40A) 및 배면(40B)에 개구하고 있다. 2개의 단자 수용실(42) 중, 도 1 중 우측 또한 도 2 중 상측(上側)의 단자 수용실(42)은, 하우징 본체(40)의 상면(40C)을 구성하는 상벽부(上壁部)(44A)와, 저면(40D)을 구성하는 저벽부(44B)와, 제1 측면(40E)을 구성하는 제1 측벽부(44C)와, 상벽부(44A)와 저벽부(44B)에 걸쳐 설치되는 중간 벽부(44D)로 둘러싸여 있다. 한편, 도 1 중 좌측 또한 도 2 중 하측(下側)의 단자 수용실(42)은, 상벽부(44A)와, 저벽부(44B)와, 제2 측면(40F)을 구성하는 제2 측벽부(44E)와, 중간 벽부(44D)로 둘러싸여 있다.
이와 같은 단자 수용실(42)의 내부에는, 하우징 본체(40)의 배면(40B) 측으로부터 단자 수용실(42)의 긴쪽 방향을 따라 단자 금구(3)가 삽입되고, 이 단자 금구(3)가 삽입되는 방향을 도 1 등에 있어서 화살표 X로 도시하고, 이 방향을 단자 금구(3)의 삽입 방향(X)이라고 부른다. 또한, 단자 금구(3)의 삽입 방향(X)과 교차하고 제1 측벽부(44C)와 제2 측벽부(44E)가 대향하는 방향을 화살표 Y로 도시하고, 이 방향을 제1 교차 방향(Y)이라고 부르고, 삽입 방향(X)과 교차하고 상벽부(44A)와 저벽부(44B)가 대향하는 방향을 화살표 Z로 도시하고, 이 방향을 제2 교차 방향(Z)이라고 부른다. 덧붙여, 단자 수용실(42)의 내부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40)의 배면(40B) 측을 삽입 방향(X)의 입구 측, 전면(40A) 측을 삽입 방향(X)의 가장 안쪽이라고 부르는 것이 있다.
각 단자 수용실(42)의 내부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부로서의 계지 랜스(4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지 랜스(45)는, 단자 금구(3)를 계지하는 것에 의하여 단자 수용실(42)로부터의 단자 금구(3)가 빠져나오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계지 랜스(45)는, 저벽부(44B)로부터 삽입 방향(X)의 가장 안쪽을 향하여 캔틸레버(cantilever) 형상으로 연장되는 계지 암부(45A)와, 이 계지 암부(45A)의 기단부로부터 돌출하는 계지 돌부(45B)를 가져 형성되어 있다. 계지 암부(45A)는, 그 기단부가 저벽부(44B)의 내면에 연속하고, 삽입 방향(X)의 가장 안쪽 또한 제2 교차 방향(Z)의 상벽부(44A) 측으로 경사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계지 암부(45A)는, 자유단인 선단부 측이 저벽부(44B)를 향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저벽부(44B)를 변형시키면서 넘는 단자 금구(3)가 계지 암부(45A)의 선단부(45C)에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단자 금구(3)에는, 전기 접촉부(32)의 스태빌라이저(34)보다도 전방 측에서 외면으로부터 오목하게 설치된 제1 피계지부로서의 단부(段部)(35)가 형성되고, 이 단부(35)를 계지 암부(45A)의 선단부(45C)가 계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계지 암부(45A)의 선단부에는, 계지 해제 돌기(45D)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 해제 돌기(45D)에 단자 빼기용의 지그(jig)를 걸어, 계지 암부(45A)를 변형시키는 것으로, 계지 암부(45A)와 단부(35)의 계지를 뺄 수 있다.
계지 돌부(45B)는, 계지 암부(45A)의 기단부로부터 제1 교차 방향(Y)의 제2 측벽부(44E) 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과 함께, 삽입 방향(X)의 가장 안쪽을 향하여 제2 측벽부(44E)에 가까워지는 경사를 가져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 돌부(45B)는, 계지 암부(45A)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여 저벽부(44B)를 향하여 변형 가능하게, 또한, 제2 측벽부(44E)로부터 멀어지는 방향(계지 암부(45A)에 몰입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계지 돌부(45B)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넘은 단자 금구(3)의 스태빌라이저(34)가 계지 돌부(45B)에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40)의 저벽부(44B)와 제2 측벽부(44E)와의 교차부에는, 삽입 방향(X)을 따라 연장되고, 스태빌라이저(34)를 안내하는 안내 홈(46)이 형성되어 있다. 즉, 계지 돌부(45B)는, 안내 홈(46)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40)의 저벽부(44B)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단자 수용실(42)에 대응한 위치의 당해 저벽부(44B)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으로서의 슬릿(4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47)은, 안내 홈(46)을 따르는 것과 함께, 계지 암부(45A)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당해 슬릿(47)을 통하여 계지 돌부(45B)를 외부를 향하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하우징 본체(40)를 저벽부(44B) 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계지 돌부(45B)의 저면 대략 전체가 슬릿(47)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계지 돌부(45B)에 의한 스태빌라이저(34)의 계지는, 슬릿(47)으로부터 삽입한 지그에 의하여 계지 돌부(45B)를 탄성 변형시키는 것으로 뺄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계지 암부(45A)와 단부(35)의 계지를 빼는 것과 함께, 계지 돌부(45B)와 스태빌라이저(34)의 계지를 빼고 나서, 전선(2)을 당겨 단자 금구(3)를 삽입 방향(X)의 입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단자 수용실(42)로부터 단자 금구(3)를 뽑아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단자 수용실(42)의 내부에 있어서의 삽입 방향(X)의 가장 안쪽에는, 삽입된 단자 금구(3)의 전기 접촉부(32)에 당접하여 지지하는 당접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당접부(48)는, 상벽부(44A)와의 사이에 전기 접촉부(32)를 협지하는 것으로, 단자 금구(3)를 위치 결정하면서 보지하는 것으로, 제1 교차 방향(Y)으로 나란히 놓아져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당접부(48)는, 계지 돌부(45B)에 대하여 단자 금구(3)의 삽입 방향(X)과 겹쳐 설치되어 있다. 즉, 당접부(48)와 계지 돌부(45B)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교차 방향(Z)의 대략 동일 위치에 설치되고,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교차 방향(Y)을 따라 서로 역방향(逆方向)으로부터 서로의 선단보다도 길게 돌출하여 설치되고, 삽입 방향(X)를 따라 서로의 적어도 일부를 대향시켜 설치되어 있다.
스페이서(5)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0)의 상벽부(44A)와 평행한 스페이서 본체부(51)와, 이 스페이서 본체부(51)로부터 연장되어 스페이서 수용실(43)에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편부(52)를 구비한다. 스페이서 본체부(51)에는, 스페이서(5) 전체가 스페이서 수용실(43)에 수용된 정규 계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 수용실(42)의 내부에 위치하여 단자 금구(3)에 당접 가능한 규제편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 수용실(43)에는, 정규 계지 위치에서 스페이서 본체부(51)를 계지하는 계지편(43A)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복수의 삽입편부(52) 중, 양 단부 측의 2개의 삽입편부(52)에는, 스페이서(5)의 일부가 스페이서 수용실(43)에 수용된 임시 계지 위치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40)의 제1 및 제2 측벽부(44C, 44E) 내면에 계지되는 돌기(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의 삽입편부(52)는, 스페이서(5)가 스페이서 수용실(43)에 수용된 상태로, 중간 벽부(44D)와 연속하여 각 단자 수용실(42) 사이의 칸막이 벽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5)는, 돌기(54)가 하우징 본체(40)의 제1 및 제2 측벽부(44C, 44E) 내면에 계지된 임시 계지 위치에 있어서, 단자 금구(3)가 단자 수용실(42)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하고, 스페이서 본체부(51)가 계지편(43A)에 계지된 정규 계지 위치에 있어서, 단자 금구(3)가 단자 수용실(42)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규제한다. 이와 같은 임시 계지 위치와 정규 계지 위치에 걸쳐 이동 가능하게 스페이서(5)는 커넥터 하우징(4)에 취부된다. 또한, 스페이서(5)는, 정규 계지 위치에 있어서, 단자 수용실(42)의 내부에 위치하는 규제편부(53)가, 전기 접촉부(32)의 후단(後端) 가장자리(36)(도 5 및 도 7 참조)에 당접하는 것으로, 단자 금구(3)가 빠져나오는 것을 규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의 커넥터(1)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도 6 내지 도 8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자 금구(3)가 판금의 펀칭 및 벤딩에 의하여 만들어지고, 압착 장치를 이용하여 전선(2)을 전선 접속부(31)에 압착하여 둔다. 한편, 커넥터 하우징(4) 및 스페이서(5)가 합성수지로부터 사출 성형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커넥터 하우징(4)의 사출 성형에 즈음해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0)의 저벽부(44B)로부터 슬릿(47)으로 되는 부분을 통하여 하우징 본체(4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한 슬라이드 금형(M)을 이용한다. 이 슬라이드 금형(M)은, 제2 교차 방향(Z)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과 함께, 계지 돌부(45B)의 저벽을 성형하는 제1 성형면(M1)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슬라이드 금형(M)은, 계지 돌부(45B)와 당접부(48)의 사이에 삽입되고, 이들의 측면을 성형하는 제2 성형면(M2) 및 제3 성형면(M3)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는 주금형(主金型)은, 삽입 방향(X)으로 형 열기 가능한 암수 적어도 한 쌍으로 구성되고, 수형 및 암형 중 어느 일방에 슬라이드 금형(M)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 수용실(43) 등도 적의(適宜)한 슬라이드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된다. 이상의 주금형에 슬라이드 금형(M)을 삽입한 상태로 금형 내에 용융(溶融) 수지를 충전하고, 슬라이드 금형(M)에 의하여 계지 돌부(45B)를 성형하고 나서, 슬라이드 금형(M)을 주금형으로부터 뽑고, 그 후, 주금형을 여는 것으로 커넥터 하우징(4)이 제조된다.
다음으로, 커넥터(1)의 조립 수순으로서는, 도 7a 및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스페이서 수용실(4)에 스페이서(5)를 임시 계지 위치까지 삽입하여 둔다. 이 임시 계지 위치에서 전선(2) 붙이의 단자 금구(3)를 커넥터 하우징(4)의 배면(40B) 측으로부터 단자 수용실(42)에 삽입한다. 이때, 단자 금구(3)의 스태빌라이저(34)를 안내 홈(46)에 삽통시키는 것으로, 단자 금구(3)의 전도(轉倒)나 경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단자 금구(3)를 삽입 방향(X)의 가장 안쪽을 향하여 삽입하면, 전기 접촉부(32)의 전방 측 저면부가 계지 랜스(45)에 당접하여 계지 암부(45A)의 상면에 접접(摺接)하고, 이 계지 암부(45A)를 저벽부(44B)를 향하여 압압(押壓)하여 탄성 변형시킨다. 이것과 함께, 스태빌라이저(34)가 계지 돌부(45B)에 접접하면서, 이 계지 돌부(45B)를 탄성 변형시킨다.
나아가, 단자 금구(3)를 단자 수용실(42)의 안쪽까지 삽입하면,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금구(3)의 단부(35)가 계지 암부(45A)를 넘고, 이 계지 암부(45A)의 선단부(45C)가 스태빌라이저(34)를 계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단자 금구(3)는, 단부(35)와 스태빌라이저(34)의 2개소가 커넥터 하우징(4)의 계지 랜스(45)에 계지된 임시 계지 상태로 된다. 또한, 단자 금구(3)의 전기 접촉부(32)의 전방단(前方端)은, 단자 수용실(42) 가장 안쪽의 상벽부(44A) 내면과 당접부(48)와의 사이에 협지되어, 제1 및 제2 교차 방향(Y, Z)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보지된다.
덧붙여, 임시 계지 상태를 해제하고 단자 금구(3)를 단자 수용실(42)로부터 뽑아내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 빼기용의 지그를 계지 해제 돌기(45D)에 걸어 계지 암부(45A)를 저벽부(44B)를 향하여 탄성 변형시키고, 계지 암부(45A)와 단부(35)의 계지를 빼는 것과 함께, 계지 돌부(45B)와 스태빌라이저(34)의 계지를 빼고 나서, 전선(2)을 당겨 단자 금구(3)를 삽입 방향(X)의 입구 측으로 뽑아낸다.
다음으로, 임시 계지 위치에서 스페이서(5)를 커넥터 하우징(4)으로 밀어 넣고, 스페이서 본체부(51)를 계지편(43A)에 계지시키는 것으로, 도 7c 및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 수용실(43)에 스페이서(5) 전체가 수용되는 정규 계지 위치에서 스페이서(5)를 이동시킨다. 이 정규 계지 위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부(35)와 스태빌라이저(34)의 2개소가 계지 랜스(45)에 계지되는 것과 함께, 전기 접촉부(32)의 후단 가장자리(36)가 스페이서(5)의 규제편부(53)에 계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단자 금구(3)가 3개소에서 계지되고, 그 빠져 나오는 것이 강고하게 규제된 정규 계지 위치로 된다. 이상의 수순에 의하여, 커넥터(1)가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임시 계지 위치에 있어서, 단자 금구(3)는, 단부(35)와 스태빌라이저(34)의 2개소가 커넥터 하우징(4)의 계지 랜스(45)에 계지되기 때문에, 계지력을 높일 수 있고, 단자 금구(3)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자 금구(3)가 단자 수용실(42) 가장 안쪽의 상벽부(44A) 내면과 당접부(48)의 사이에 보지되고, 단자 수용실(42)의 내부에 있어서의 단자 금구(3)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계지 랜스(45)에 의한 계지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단자 금구(3)가 빠져나오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스페이서(5)를 정규 계지 위치에서 이동시켜 규제편부(53)를 당접시키는 것으로, 단자 금구(3)가 3개소에서 계지되게 되어, 정규 계지 위치에 있어서의 계지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40)의 저벽부(44B)에 슬릿(47)이 형성되고, 이 슬릿(47)을 통하여 계지 돌부(45B)를 하우징 본체(40)의 외부를 향하게 하도록 한 것으로, 슬릿(47)이 형성되는 부분에 삽입한 슬라이드 금형(M)을 이용하여, 계지 돌부(45B)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즉, 하우징 본체(40)의 전방 측에 종래와 같은 프런트 홀더가 설치되지 않고, 전방 측으로부터 형(型) 빼기할 수 없는 본 실시예의 커넥터 하우징(4)이어도, 단자 금구(3)의 삽입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교차 방향(Z)(혹은 제1 교차 방향(Y))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슬라이드 금형(M)을 이용하는 것으로, 계지 돌부(45B)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금형(M)을 이용하여 계지 돌부(45B)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출 성형 장치의 금형 구조의 복잡화나 성형 공정의 번잡화를 초래하는 것 없이, 커넥터 하우징(4)의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넥터(1)는 암형 단자 금구인 단자 금구(3)를 구비한 암형 커넥터이지만, 본 발명의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에 한정되지 않고, 수형 단자 금구를 구비한 수형 커넥터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5)를 구비한 커넥터(1)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커넥터는, 스페이서나 프런트 홀더 등을 이용하여 정규 계지 위치로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계지부(계지 랜스(45)) 단체(單體)로 단자 금구를 계지하는 구조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계지부 단체로 단자 금구를 계지하는 구조여도, 전술한 바와 같이, 계지부의 계지 암부(45A)의 선단부(45C)와 계지부의 계지 돌부(45B)와의 2개소에서 단자 금구를 계지하는 것으로, 높은 계지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하우징(4)에는 2개소의 단자 수용실(42)이 형성되고, 2개의 단자 금구(3)가 수용되는 커넥터(1)를 예시하였지만, 단자 수용실의 수나 배열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커넥터 하우징(4)에서는, 대향 벽부인 상벽부(44A)에 스페이서 수용실(43)이 개구하여 설치되고, 벽부인 저벽부(44B)에 관통 구멍인 슬릿(47)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들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페이서 수용실(43)과 슬릿(47)이, 커넥터 하우징(4)의 동일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서로 교차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계지 암부(45A)의 선단부(45C)가 단자 금구(3)의 단부(35)를 계지하고, 계지 돌부(45B)가 단자 금구(3)의 스태빌라이저(34)를 계지하는 구조였지만, 단자 금구에 있어서의 제1 피계지부나 제2 피계지부의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단자 금구의 적의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자동차 등에 배색되는 와이어 하니스를 구성하는 커넥터나, 전자 기기 측에 설치된 와이어 하니스 등이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커넥터
3: 단자 금구
4: 커넥터 하우징
5: 스페이서
34: 스태빌라이저(제2 피계지부, 돌편)
35: 단부(제1 피계지부)
42: 단자 수용실
43: 스페이서 수용실
44A: 상벽부(대향 벽부)
44B: 저벽부(벽부)
45: 계지 랜스(계지부)
45A: 계지 암부
45B: 계지 돌부
45C: 선단부
46: 안내 홈
47: 슬릿(관통 구멍)
48: 당접부
M: 슬라이드 금형

Claims (5)

  1. 제1 피계지부(被係止部)와 제2 피계지부를 포함하는 단자(端子) 금구(金具)와,
    상기 단자 금구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실과, 외부로부터 상기 단자 수용실을 칸막이하고, 당해 단자 수용실의 하나의 내면을 구성하고,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것과 함께 설치되는 벽부와,
    상기 단자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단자 금구를 계지(係止)하여 당해 단자 금구가 빠져나오는 것을 규제하는 계지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계지부는 상기 벽부의 내면에 설치되는 기단부(基端部)로부터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의 가장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1 피계지부로 계지되도록 구성되는 선단부(先端部)를 가지는 계지 암(arm)부와,
    당해 계지 암부로부터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관통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하고, 제2 피계지부로 계지되도록 구성되는 계지 돌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의 입구 측으로부터 가장 안쪽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금구에는, 상기 안내 홈에 삽입되어 당해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을 따라 안내되는 돌편(突片)이 형성되고, 당해 돌편의 일부에 의하여 상기 제2 피계지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수용실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의 가장 안쪽에는, 수용한 상기 단자 금구의 선단부에 당접(當接)하여 지지하는 당접부가 형성되고, 당해 당접부와 상기 계지 돌부가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 겹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수용실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의 가장 안쪽에는, 수용한 상기 단자 금구의 선단부에 당접(當接)하여 지지하는 당접부가 형성되고, 당해 당접부와 상기 계지 돌부가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 겹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이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성형 시에 있어서,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금형을 제공하고,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금형을 삽입하고, 당해 슬라이드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계지 돌부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0147017263A 2011-11-24 2012-11-20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1532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56098 2011-11-24
JP2011256098A JP5789494B2 (ja) 2011-11-24 2011-11-24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PCT/JP2012/007428 WO2013076961A1 (en) 2011-11-24 2012-11-20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288A KR20140099288A (ko) 2014-08-11
KR101532300B1 true KR101532300B1 (ko) 2015-06-29

Family

ID=4732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263A KR101532300B1 (ko) 2011-11-24 2012-11-20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24018B2 (ko)
JP (1) JP5789494B2 (ko)
KR (1) KR101532300B1 (ko)
CN (1) CN104067455B (ko)
GB (1) GB2510538B (ko)
IN (1) IN2014CN04630A (ko)
WO (1) WO2013076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9494B2 (ja) * 2011-11-24 2015-10-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105263B2 (ja) * 2012-11-29 2017-03-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5200722A1 (de) * 2015-01-19 2016-07-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verbindereinsatz und Steckverbinder für die Datenübertragung in Automobilen
JP5907300B1 (ja) * 2015-04-30 2016-04-26 第一精工株式会社 導電端子
EP3447860B1 (en) * 2016-04-19 2022-01-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ne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DE102016215123A1 (de) * 2016-08-12 2018-02-15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verbindungssystem
US20180058887A1 (en) * 2016-08-26 2018-03-01 Rosemount Inc. Tool-less replaceable gas sensor module
JP2018049682A (ja) * 2016-09-20 2018-03-29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及びコネクタ
JP6760147B2 (ja) * 2017-03-10 2020-09-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KR102250820B1 (ko) * 2017-08-18 2021-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 컴프레서용 터미널장치
US11251560B2 (en) * 2019-03-11 2022-02-15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with multiple latches
US11725966B2 (en) 2020-09-18 2023-08-15 Rosemount Inc. Multi-stage irreversible sensor coupl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678A (ja) * 1996-08-12 1998-02-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貯槽の製造方法及び貯槽
JP2000353563A (ja) * 1999-06-11 2000-12-19 Yazaki Corp 端子不完全挿入検知構造
JP2004039498A (ja) * 2002-07-04 2004-02-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EP1641083A2 (en) * 2004-09-28 2006-03-2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4678A (en) * 1987-08-26 1989-03-02 Yazaki Corp Connector
JPH02165580A (ja) * 1988-12-19 1990-06-26 Yazaki Corp 電気コネクタ
JP2519179Y2 (ja) 1989-03-29 1996-12-0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における端子金具の二重係止構造
JP3074433B2 (ja) * 1994-03-17 2000-08-07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確認可能なコネクタ
JP2923519B2 (ja) * 1994-05-30 1999-07-26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
JP3120725B2 (ja) * 1996-03-13 2000-12-25 住友電装株式会社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3225863B2 (ja) * 1996-12-03 2001-11-05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H10223301A (ja) * 1997-02-07 1998-08-21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水コネクタハウジング成形用金型
JP3700823B2 (ja) * 1999-06-21 2005-09-28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及びそのスペーサ検知方法
JP4013412B2 (ja) * 1999-07-28 2007-11-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4055513A (ja) * 2003-02-03 2004-02-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483529B2 (ja) * 2004-09-28 2010-06-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616150B2 (ja) 2005-10-24 2011-01-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602006004152D1 (de) * 2005-12-20 2009-01-22 Sumitomo Wiring Systems Verbinder und Verbinderanordnung
JP5276938B2 (ja) * 2008-09-16 2013-08-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1108576A (ja) 2009-11-20 2011-06-02 Yazaki Corp ホルダ付コネクタ
GB2486258B (en) * 2010-12-10 2015-02-25 Paul Foung Connector locking device
JP5789494B2 (ja) * 2011-11-24 2015-10-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678A (ja) * 1996-08-12 1998-02-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貯槽の製造方法及び貯槽
JP2000353563A (ja) * 1999-06-11 2000-12-19 Yazaki Corp 端子不完全挿入検知構造
JP2004039498A (ja) * 2002-07-04 2004-02-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EP1641083A2 (en) * 2004-09-28 2006-03-2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409183D0 (en) 2014-07-09
US20140256196A1 (en) 2014-09-11
GB2510538A (en) 2014-08-06
GB2510538B (en) 2017-07-12
JP5789494B2 (ja) 2015-10-07
WO2013076961A1 (en) 2013-05-30
CN104067455A (zh) 2014-09-24
JP2013110067A (ja) 2013-06-06
KR20140099288A (ko) 2014-08-11
IN2014CN04630A (ko) 2015-09-18
CN104067455B (zh) 2016-06-08
US9124018B2 (en) 201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300B1 (ko)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JP5876510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US7980880B2 (en) Connector
US8876543B2 (en) Connector
JP5682997B2 (ja) 電気コネクタ
CN109616829B (zh) 连接器
US9859645B2 (en) Connector including a terminal retainer
WO2018008384A1 (ja) 端子モジュール、およびコネクタ
US9997873B2 (en) Connector
JP2010040366A (ja) コネクタ
JP2019067744A (ja) コネクタ
JP2005203307A (ja) コネクタ
US20230119493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CN108140980B (zh) 连接器嵌合构件及连接器嵌合构造
US9196993B2 (en) Connector unit
JP5107004B2 (ja) 合体コネクタ
KR20090105058A (ko) 차폐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차폐용 커넥터 세트
JP2010118150A (ja) コネクタ
US6939170B2 (en) Connector
CN108140978B (zh) 用于插接连接的壳体
KR100778905B1 (ko) 조인트 박스
WO2020246428A1 (ja) 電気コネクタ及び該電気コネクタ内の接続端子の係止方法
JP2023093920A (ja) コネクタ
CN117321860A (zh) 连接器
EP1569305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