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37955B1 - Evaluation method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olumetric strain curve for granite - Google Patents

Evaluation method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olumetric strain curve for grani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955B1
KR101537955B1 KR1020140193611A KR20140193611A KR101537955B1 KR 101537955 B1 KR101537955 B1 KR 101537955B1 KR 1020140193611 A KR1020140193611 A KR 1020140193611A KR 20140193611 A KR20140193611 A KR 20140193611A KR 101537955 B1 KR101537955 B1 KR 101537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
stress
granite
strain curve
volume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6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덕원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93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9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9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valuating a texture using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 volumetric strain curve of granite comprising: a rock block collecting step to collect a square rock block from granite; a rock block surface cutting step to cut a surface of the rock block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ree texture surfaces; a rock block dividing step to divide the rock block into a plurality of square rock samples; a core specimen manufacturing step to manufacture each core specim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ree texture surfaces in the rock sample; a stress applying step to apply stress with respect to the core specimens; and a texture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to obtain a stress-volumetric strain curve by calculating volumetric strain (ε_v) for each texture by measuring dynamic response according to the stress applied to the core specimens, to divide a rock fracturing step through the stress-volumetric strain curve into four steps of strength sections (I, II, III, and IV), to divide a linear section having a form of a straight line into IV-2 section in the stress-volumetric strain curve of IV step among four steps of strength sections, to analyz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tress -volumetric strain curve in the corresponding IV-2 section, and to evaluate relative strength with respect to three texture surfaces.

Description

화강암의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결의 평가 방법{EVALUATION METHOD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OLUMETRIC STRAIN CURVE FOR GRANIT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valuating a texture of a granite,

본 발명은 화강암의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결의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olution evaluation method us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lume strain curve of granite.

국내의 화강암 석산(granite quarry)에서는 암체 내부에 잠재하는 할석(rock splitting)이 용이한 소위결(rock cleavage)을 이용하여 정방형의 암괴를 채석하고 있다. 결의 발달은 국내외의 모든 화강암체에서 공통적인 현상이며, 특히 화강암의 생성시기 그리고 화강암 내부의 미세균열의 생성시기와 관련되어 수직 결의 방향성은 지역적으로 상이하다.In Korea, granite quarry is quarried by using rock cleavage, which is easy to rock splitting inside the rocks. The development of resolution is a common phenomenon in all granitic rocks in Korea and abroad. Especially, the orientation direction of vertical grains is different locally in relation to the generation time of granite and the generation time of microcracks inside granite.

화강암체의 상대적인 할석의 용이도는 일반적으로 1번 결(rift) > 2번 결(grain) > 3번 결(hardway)의 순으로 되며, 3 종류의 채석면은 일반적으로 상호 수직관계를 형성한다. 영어권의 석산에서도 상기한 1번, 2번 및 3번에 해당되는 면 구조의 용어로 리프트 면(rift plane), 그레인 면(grain plane) 및 하드웨이 면(hardway plane)으로 호칭되며, 이들 3개의 면은 상호 직교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The relative ease of the granite is generally in the order of rift> 2 grain> 3 hardway, and the three types of quarries generally form a mutual vertical relationship . In terms of stone structure in English, the term surface structure corresponding to 1, 2 and 3 is referred to as a rift plane, a grain plane and a hardway plane, Are mutually orthogonal.

이들 채석면의 방향성은 단위 석산내에서 채석방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며 또한 규격석을 위한 화약 발파 시 채석 실수율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러한 수직의 결을 식별하는 능력은 화강암류 석산에서는 특히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석산별로 수평 및 수직상 미세균열(결)의 밀도 차이는 암체의 할석작업 시 상대적인 분리성을 의미한다.The directionality of these quarry facies plays a major role in determining the quarry direction in the unit quarry and also has a great effect on the quarrying error rate in the case of explosive blasting for standard quarries. Therefore, the ability to discern these vertical grains is particularly recognized in granite rocks. The difference in the dens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microcracks (striae) in each stalagmite indicates the relative separability of stalactites in the rocks.

채석 현장에서는 실제 석산별로 암석의 채석면이 달리 형성되기 때문에 1번 결의 방향을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없으며, 1번 결의 방향을 대부분의 채석장에서 경험적으로 찾고 있기 때문에 실제 채석 실수율이 저하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quarrying area, since the quarry surface of the rock is formed differently by the actual quarry, the direction of the first quarry can not be commonly applied, and since the direction of the first quarry is empirically found in most quarries, ha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암석의 초(sec) 단위의 강도, 변형율의 시험 및 계측을 통하여 도출한 공시체별 체적 변형율 곡선에서 다양한 분포 특성의 차이점을 도출, 3개 채석면의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derive the difference of variou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volume strain curve for each specimen derived through the test and measurement of the strength and strain rate in sec , And a method of evaluating three quarried surfaces.

한편 암석 시료 내부에서 분포하는 미세균열의 분포상황은 모호하며 육안으로 확인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동일한 응력조건 하에서의 결에 대한 체적 변형율 곡선의 특성은 암석 시료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균열의 대표적인 분포특성을 잘 대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의 박편사진을 통한 미세균열의 평가 결과와 병행, 체적 변형율 곡선의 특성과 대비하였다. 화강암 석산에서 3개 채석면의 분리성은 1번 면(rift plane) > 2번 면(grain plane) > 3번 면(hardway plane)의 순이다. 즉 화강암 석산의 개발 초기단계에서 채석면의 방향성 설정, 나아가 3개 면의 평행한 방향으로 발파 시 화약량의 조절 등의 참고자료에 기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stribution of microcracks distributed in the rock samples is ambiguous and is often difficult to be visually confirmed.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volume strain curve for the texture under the same stress condition is well representative of the typic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micro crack present in the rock sample. It is compared with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micro crack through the conventional flake photograph, and is in contrast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volume strain curve. The separation of the three quarry facies from the granite rocks is in the order of rift plane> grain plane> 3 (hardway plane). In other words, it can contribute to the reference data such as direction setting of the quarry surface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of granite rocks, and further control of the amount of explosive powder in the parallel direction of three sides.

본 발명에 따르면, 화강암으로부터 정방형 암석블록을 채취하는 암석블록 채취 단계; 상기 암석블록을 3개 결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표면을 절단하는 암석블록 표면 절단 단계; 상기 암석블록을 다수의 정방형 암석시료로 분할하는 암석블록 분할 단계; 상기 암석시료에서 3개 결의 면과 수직방향으로 각각의 코어 공시체를 제작하는 코어 공시체 제작 단계; 상기 코어 공시체들에 대하여 응력을 인가하는 응력 인가 단계; 및 상기 코어 공시체들에 가해진 응력에 따른 역학적 반응을 측정하고 결별로 체적변형율(εv)을 산출해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을 구하며,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을 통해 암석 파괴 과정을 4 단계의 강도 구간(Ⅰ, Ⅱ, Ⅲ 및 Ⅳ)으로 구분하고, 4 단계의 강도 구간 중 Ⅳ 단계의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직선의 형태를 갖는 선형 구간을 Ⅳ-2 구간으로 구분하여 해당 Ⅳ-2 구간에서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3개 결의 면에 대한 상대적인 강도를 평가하는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암의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결의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covering granite from a granite; A rock block surface cutting step for cutting the surface of the rock block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ree pitting surfaces; A rock block dividing step of dividing the rock block into a plurality of square rock samples; A core specimen manufacturing step of fabricating respective core specime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ee crystal faces of the rock specimen; A stress applying step of applying stress to the core specimens; And a mechanical stress response to the core specimens is measured and a volume strain rate (ε v ) is calculated to determine a stress-volume strain curve. The rock fracture process is divided into four steps The linear section with the shape of a straight line in the stress-volumetric strain curve of step IV is divided into sections Ⅳ-2 of the strength sections of the four steps, and the section Ⅳ-2 section is divided into sections Ⅰ, Ⅱ, Ⅲ and Ⅳ. A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three texture surfaces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tress-volume strain curv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evaluating a resolution using a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a volume strain curve of a granite.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직선의 형태를 갖는 선형 구간인 Ⅳ-2 구간이 배열되는 위치가 우측에 위치할수록 해당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of the texture,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texture is evaluated to be lower as the position where the section of the line IV-2, which is a linear section in the shape of a straight line in the stress-strain curve,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do.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구간 Ⅳ-2의 초기점(C)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한 세로 선 그리고 Ⅰ 단계의 끝 지점인 σ1 c에 해당되는 가로 선과의 교점(A')의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교점(A')의 Ⅱ 구간의 초기점(A)를 기준으로 초기점(A)의 좌측에 위치하는 결에 대하여 해당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above-resolution quantitative assessment phase, the stress-vertical one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int (C) line in the interval Ⅳ-2 in volume strain curve and corresponding to the end points of σ 1 c of Ⅰ step The moving path of the intersection A 'between the intersection A' with the horizontal line is analyzed and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intersection A 'is determine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element located to the left of the initial point A on the basis of the initial point A of the intersection A' .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구간 Ⅳ-2의 초기점(C) 그리고 Ⅱ 단계의 끝 지점(B)를 연장하여 X축과 만나는 점(G)을 연결한 직선(C-B-G)의 θ 각을 분석하여, θ 각이 작을수록 해당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of the texture, the initial point (C) of the section IV-2 and the end point (B) of the step II are extended from the stress-strain curve to connect the point (G) The angle? Of one line (CBG) is analyzed and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curve is evaluated to be lower as the angle? Is small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구간 Ⅳ-2의 초기점(C)를 연장하여 X축과 만나는 점(C')을 연결하는 직선(C-C')을 구하고, 구간 Ⅳ-2의 초기점(C)과 Ⅱ 단계의 끝 지점(B)를 연장하여 X축과 만나는 점(G)을 연결한 직선(C-B-G)을 구하며, 상기 두 직선(C-C', C-B-G)에 의하여 분할되는 X축의 C' 및 G를 연결한 직선(C'-G)을 구한 후, 상기 3개 직선(C-C', C-B-G, C'-G)으로 포획된 직각 삼각형(ΔCC'G)의 면적비를 분석하여, 면적비가 클수록 해당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of the texture, a straight line (C-C ') extending the initial point (C) of the section IV-2 in the stress-strain curve and connecting a point (C' (CBG) connecting the initial point C of the section IV-2 and the end point B of the stage II to connect the point G that meets the X axis is obtained, and the straight line CB CBG, C'-G) obtained after the straight line C'-G connecting the C 'and G of the X-axis divided by the three straight lines C-C', CBG and C'- (? CC'G) is analyzed, and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grains is evaluated to be lower as the area ratio is larg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구간 Ⅳ-2의 초기점(C)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체적 변형율 곡선과 만나는 점(F)을 연결한 직선(C-F)을 구하고, 구간 Ⅳ-2의 초기점(C)과 Ⅲ 단계와 Ⅳ 단계의 변곡점(E)을 연결한 직선(C-E)을 구하며, 점(E) 그리고 구간 Ⅳ-2의 초기점(C)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체적 변형율 곡선과 만나는 점(F)을 상호 연결한 직선(E-F)을 구한 후, 상기 3개 직선(C-F, C-E, E-F)으로 포획된 삼각형(ΔCEF)의 면적을 분석하여, 면적이 넓을수록 해당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of the texture, a straight line CF connecting the point F, which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initial point C of the section IV-2 in the section of the stress-volume strain curve and meets the volume strain curve, (E) and the initial point (C) of the section IV-2 are obtained by obtaining a straight line CE connecting the initial point C of the section IV-2 and the inflection point E of the stage III and IV, The area EF of the triangle CAF captured by the three straight lines CF, CE and EF is analyzed after the straight line EF connecting the points F intersecting with the volume strain curve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texture is evaluated to be lower as the area becomes wider.

바람직하게는, 상기 3개 직선(C-F, C-E, E-F)으로 포획된 삼각형(ΔCEF)의 면적비를 분석하여, 면적비가 클수록 해당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area ratio of the triangle (? CEF) captured by the three straight lines (C-F, C-E, and E-F) is analyzed and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triangle is evaluated to be lower as the area ratio is larg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X축과 Y축의 교점(O)에서 체적변형율 곡선상의 각 단계별(Ⅰ, Ⅱ, Ⅲ, Ⅳ-1, Ⅳ-2) 지점을 연결한 5개의 직선 OA, 0B, 0E, 0C, 0D의 길이(L1, L2, L3, L4, L5)를 측정해 분석하여, 5개 직선의 길이가 길수록 해당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of the texture, points (I, II, III, IV-1, and IV-2) on the volume strain curve on the stress-volume strain curve at the intersection (0) (L 1 , L 2 , L 3 , L 4 and L 5 ) of five straight lines OA, 0B, 0E, 0C and 0D connected to each other were measured and analyzed. As the length of five straight lines was longer, Is evaluated as low.

한 석산에서 채석되는 화강암에 대하여 동일한 응력조건 하에서의 결에 대한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은 암석 시료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균열의 대표적인 분포특성을 잘 대변한다. 기존의 박편사진을 통한 미세균열의 평가 결과와 병행, 도출된 분포 특성과 상호 대비하였다. 이러한 대비를 통하여 3개 면 사이의 차이점을 잘 대변하는 체적 변형율 곡선의 대표적인 분포 특성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는 미세균열의 평가 작업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체적 변형율 곡선을 통하여 도출한 특성을 이용하여 3개 면을 사전에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volume strain curves for grains under the same stress conditions for the granites that are quarried in one rocky mountain are well representative of the typic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crocracks present in the rock sample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micro cracks through the conventional flake photograph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result of the analysis. From these contrasts, the typic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lume strain curves represen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surfaces are derived.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ree surfaces in advance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volume strain curves without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evaluation of micro cracks, which requires much time and effort.

화강암 석산의 개발 초기단계에서 암석시료에 대한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도출, 3개 면에서 상호 직교하는 여섯 방향의 결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인식에 기여할 수 있다.In the early stage of the development of the granite rocks,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lume strain curves for the rock samples are derived and can contribute to a more accurate recognition of the mutually orthogonal six directions of grain in three aspects.

즉 화강암 채석장에서 상호 수직을 형성하는 3개 채석면과 관련하여 기존에 규명된 미세균열의 분포성 그리고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상호 대비, 3개 채석면을 형성하는 결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보다 명확한 평가를 기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cro crack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volume strain curves, which have been previously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three quarries forming th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the granite quarry, A clear evaluation can be made.

박편을 사용하는 미세균열의 분석작업 이전에 국제 규격의 공시체에 대한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도출, 3개 채석면 사이의 구분을 사전에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ior to the analysis of fine cracks using the flakes,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lume strain curves for the specimens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are derived,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hree quarried surfaces can be recogniz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강암의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결의 평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실내 역학시험을 위한 현장의 암석시료 채취 및 공시체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의 (a)와 (b)는 1번 면, 2번 면 및 3번 면에 평행하게 제작된 박편의 확대사진 및 미세균열에 대한 스케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6개 방향별 미세균열(결)의 각종 물리량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일축압축하에서 구한 축응력-체적변형율 곡선(G-1 공시체)에서 선형 구간인 Ⅳ-2의 영역 획득을 통한 구간 Ⅳ-2의 차응력 및 차변형율 그리고 θ 각, 삼각형 CC'G 및 CEF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일축압축하에서 구한 축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선형 구간인 Ⅳ-2의 차응력 및 차변형율 그리고 θ 각, 삼각형 CC'G 및 CEF의 변화를 공시체별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각 면에 대한 공시체별 체적 변형율 곡선에서 구한 θ 각, 삼각형 CC'G 및 CEF, 차변형율 및 차응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일축압축하에서 축응력-체적변형율 곡선(G-1 공시체)에서 원점과 체적변형율 곡선상의 각 지점 사이의 길이(L1~L5) 및 각도(α15)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각 면에 대한 공시체별 체적 변형율 곡선(도 6)에서 구한 길이(L1~L5) 및 길이의 이방성 계수, 각도(α15) 및 각도의 이방성 계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evaluating a settlement us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 volume strain curve of gran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sampling a rock sample and preparing a specimen for an indoor mechanics test; FIG.
3 (a) and 3 (b) are enlarged photographs of thin flakes fabricated in parallel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rfaces, respectively, and the sketch results of microcracks.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various physical quantities of microcracks (texture) in six directions. Fig.
Figure 5 shows the differential and differential strain of section IV-2 through the acquisition of the linear section IV-2 in the axial stress-volume strain curve (G-1 specimen) Fig.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differential stress and differential strain of the linear section IV-2 in the axial stress-volume strain curve obtained under uniaxial compression, and the changes of the angle, the triangle CC'G, and the CEF.
FIG. 7 is a diagram showing changes in the angle, the triangle CC'G, and the CEF, the differential strain and the differential stress, which are obtained from the volume strain curves of the respective specimens for the respective surfaces.
8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lengths (L 1 to L 5 ) and angles (α 1 to α 5 ) between the origin and the point on the volume strain curve in the axial stress-volume strain curve (G-1 specimen) under uniaxial compression; .
9 is a graph showing the anisotropy coefficient, the angles (alpha 1 to alpha 5 ), and the anisotropy coefficient changes of the length (L 1 to L 5 ) and the length obtained from the volume strain curves (Fig. 6)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강암의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결의 평가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evaluating a texture us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lume strain curve of the gran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암석 특히 화강암에서 발달하는 결의 정량적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차적으로 박편의 확대사진을 통한 결(미세균열)의 미세특성을 정량화하였다. 이차적으로 체적변형율(εv) 곡선 상에서 4 단계(Ⅰ~Ⅳ)의 파괴과정을 도출하였다. 즉 응력 증가에 따른 4 단계별 강도(σ1 c, σ1 i, σ1 ii 및 σ1 f)를 시험 및 계측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of the texture developed in rocks, especially granites, and quantitatively characterizes the microstructures of microstructures (microcracks) primarily through enlarged photographs of the flakes. Secondly, the fracture process of the 4th step (Ⅰ ~ Ⅳ) is derived on the volume strain rate (ε v ) curve. In other words, the strength in four steps (σ 1 c , σ 1 i , σ 1 ii And? 1 f ) were tested and measured.

즉 화강암 채석장에서 상호 수직을 형성하는 3개 채석면과 관련된 미세균열의 분포성 그리고 결의 공극률(부피)을 지시하는 체적변형율을 상호 대비, 이들 3개 채석면을 형성하는 수평 및 수직 결에 대한 부피 개념의 정량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In other words, the distribution of microcracks associated with the three quarries forming mutual verticals in the granite quarry and the volume deformation rates indicating the porosity (volume) of the crystal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 volume concept for horizontal and vertical grains forming these three quarries Of the total.

한편 국제 표준규격의 공시체(NX size)를 사용하여 수평, 수직 결에 대한 3차원적인 부피 개념(공극률)의 체적변형율을 도출, 박편의 확대사진에서 도출한 2차원적인 미세균열의 분포성과 대비하였다. 이러한 종합적인 대비를 통하여 3개 채석면 그리고 모식도에서 제시한 6개 방향의 결(도 3과 도 4 참조)에 대한 보다 명확한 평가를 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olumetric strain rate of the three dimensional volume concept (porosity)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grains was derived us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specification (NX size), and the distribution of the two - dimensional microcracks derived from the enlarged photograph of the flakes was compared. This comprehensive contrast gives a clearer assessment of the three quarries and the results of the six directions presented in the diagram (see Figures 3 and 4).

기존에 규명된 미세균열의 분포성(도 3 및 도 4 참조)과 연계, 화강암 채석장에서 상호 수직을 형성하는 3개 채석면과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과 상호 대비하였다. 이러한 상호 대비를 통하여 3개 채석면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인식에 접근할 수 있다. 암석은 거창지역과 합천지역의 화강암을 대상으로 하였다. In connec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microcracks (see Figs. 3 and 4) which have been identified abov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quarries and the volume strain curves, which form mutual verticals in the granite quarry, are compared. This mutual contrast provides an approach to more accurate recogni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quarries. The rocks were granite in Geochang area and Hapcheon are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강암의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결의 평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evaluating a settlement us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a volume strain curve of gran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암석블록 채취 단계(1. Rock block extraction step ( S110S110 ))

경남 거창군 산포리(범일석산)의 쥬라기 화강암(이하 거창화강암, 공시체: G)에서 시료에 사용될 암석블록을 채취하였다. 거창화강암(Geochang granite)은 선캠브리아기의 반상변정편마암과 흑운모 호상편마암을 관입한 쥬라기 화강암이다. 이 암석은 회백색(greyish white)을 띠고, 등립상의 중립질암으로 석영 및 장석의 입도는 2~6 mm이다. 실험대상 암석시료 채취심도는 약 20m이다. 주구성광물의 모드 조성(vol. %)은 석영: 31.3 %, 사장석: 39.5 %, 정장석: 9.8 %, 미사장석: 9.6 %, 퍼다이트: 5.7 %, 흑운모: 2.9 %이며, 그외 백운모 등이 미량 확인된다. 이 암석은 분류상 흑운모 화강암에 속한다. 3개 결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에서 1번 면은 수평, 2번(동북동 방향) 및 3번 면은 수직을 형성한다(도 2의 a 참조). The rock blocks to be used for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Jurassic Granite (Gahang granite, G: G) of Sangpuri (Gyeongnam), Gyeongnam Province. Geochang granite is a Jurassic granite with inclusions of Precambrian semi-metamorphic gneiss and biotite gneiss. This rock is greyish white, is a neutral villa of isoplasma, and the size of quartz and feldspar is 2 ~ 6mm. The sampling depth of the rock samples is about 20m. The mode composition (vol.%) Of the main constituent minerals was 31.3% in quartz, 39.5% in plagiarism, 9.8% in quartzite, 9.6% in feldspar, 5.7% in puddite and 2.9% in biotite Is confirmed. This rock belongs to biotite granite in classification. In the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colors, the first surface forms a horizontal surface, the second surface forms a vertical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forms a vertical surface (see FIG. 2 (a)).

경남 합천군 우곡리(신화석상)의 쥬라기 화강암(이하 합천화강암, 공시체:H)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합천화강암(Hapcheon granite)은 선캠브리아기의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을 관입하며, 이들 암체를 백악기의 퇴적암류인 신동층군이 피복한다. 이 암석은 담회색(light grey)을 띠고, 등립상의 조립질암으로 석영 및 장석의 입도는 2~9mm이다. 연구대상 암석시료 채취심도는 약 17m이다. 주구성광물의 모드 조성(vol. %)은 석영: 30.5%, 사장석: 40.4%, 정장석: 8.4%, 미사장석: 12.1%, 퍼다이트: 5.2%, 흑운모: 2.6%이며, 그외 져어콘 및 인회석이 미량 확인된다. 이 암석은 분류상 흑운모 화강암에 속한다. Samples were collected from Jurassic granite (Hwacheon granite, specimen: H) of Ugokgori (Shinhwa statue), Hacchun County, Kyungnam Province. Hapcheon granite is intruded by Precambrian microgmatite gneiss, which is covered with sediments of Cretaceous sediments. These rocks are light gray and are composed of coarse granite rocks with a grain size of 2 to 9 mm. The sampling depth of the rock samples is about 17m. The mode composition (vol.%) Of the main constituent minerals was 30.5%, 40.4%, 14.4%, 8.4%, 12.1%, 5.2% and 2.6%, respectively, in the quartz, apatite and apatite This amount is confirmed. This rock belongs to biotite granite in classification.

상기한 2개의 석산에서 1번 면, 2번 면 및 3번 면에 각각 평행하게 약 1.2m 크기의 정방형의 암석 블록을 채취한다(도 2의 a 참조). 그리고 석산에서 1번 면, 2번 면 및 3번 면에 각각 평행하게 채석된 약 1.2m 크기의 정방형의 암석 블록에서 약 35cm 크기의 암석블록을 채취하였다(도 2의 b 참조). A square rock block of about 1.2 m in size is obtain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rfaces of the two stalagmites (see FIG. 2 (a)). A stone block of about 35 cm in size was obtained from a square block of about 1.2 m in size, which was parallel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sides of the rocks (see FIG. 2 b).

2. 암석블록 표면 절단 단계(2. Stone block surface cutting step ( S120S120 ))

샘플링된 암석블록에 대하여 대형 암석절단 톱을 이용하여 상기 3개 채석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암석 표면을 절단하여 평평하게 한다(도 2의 c 참조). For the sampled rock block, the rock surface is cut and flatte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ree quarry surfaces using a large rock cutting saw (see Fig. 2c).

3. 암석블록 분할 단계(3. Rock block partitioning step ( S130S130 ))

3개 채석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표면을 절단한 상기 암석블록을 다수의 정방형 암석시료로 분할하였다(도 2의 d 참조). 이 같이 분할된 암석시료는 실내의 공시체 및 박편 제작에 용이하다. The rock blocks whose surfaces were c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ree quarry surfaces we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quare rock samples (see Fig. 2d). The rock samples thus divided are easy to produce specimens and slabs in the room.

4. 4. 공시체Specification 제작 단계( Production stage ( S140S140 ))

분할된 암석시료에 대하여 1번 면, 2번 면, 3번 면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작업하여 NX 크기의 코어를 획득하였다. 실내 역학시험을 위한 NX 코아 공시체의 규격은 직경이 5.4cm, 길이 10.8cm이다. 4 단계별 강도, 변형율 및 소요시간의 측정을 위한 NX 크기의 공시체는 상기한 1번 면, 2번 면 및 3번 면에 각각 수직되게 제작하였으며, -1, -2 및 -3 공시체로 각각 명명하였다. NX - sized cores were obtained by work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ides of the divided rock samples, respectively. The dimensions of the NX core specimen for the room mechanics test are 5.4 cm in diameter and 10.8 cm in length. NX-sized specimens for measuring the strength, strain, and elapsed time in four steps were made perpendicular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faces, respectively, and named as -1, -2, and -3 specimens, respectively .

여기서 -1은 1번 면, -2는 2번 면 그리고 -3은 3번 면에 수직인 축을 각각 의미한다(도 2의 e 참조). Here, -1 means face 1, -2 means face 2, and -3 means face perpendicular to face 3 (see e in FIG. 2).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석시료 채취 단계에서 채취되는 정방형 암석시료는 상호 직교하는 리프트면, 그레인면 및 하드웨이면을 외면에 가지게 채취되며, 상기 공시체 제작 단계에서는 상기 리프트면, 그레인면 및 하드웨이면에 각각 직교하는 공시체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암석시료는 경남 거창군 산청리에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거창화강암, G)과 경남 합천군 우곡리에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합천화강암, H)의 시료이다.
Preferably, the square rock samples sampled in the sampling step of the rock sample are taken with their mutually orthogonal lift surfaces, grain surfaces and hardway surfaces on the outer surface, and on the lift surface, grain surfaces and hardway surfaces Thereby producing orthogonal specimens. The rock samples are Jurassic granite (Geochang granite, G) distributed in Sangcheong-ri, Gyeongnam Province and Jurassic granite (Hacchae granite, H) distributed in Ugok-ri, Gyeongnam.

5. 미세균열의 관찰5. Observation of microcracks

화강암에서는 세 방향의 채석면과 평행하게 제작된 박편 상에서 상호 직교하는 2조의 결(미세균열)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박편의 확대사진 및 미세균열에 대한 스케치 결과의 일부가 도 3의 (a)와 (b)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In granite, two mutually orthogonal structures (microcracks) can be measured on the flakes produced parallel to the three-way quarry. Some of the sketch results for micro-cracks and an enlarged picture of the lamellae of geochang and Hapcheon granite are shown in Figs. 3 (a) and 3 (b), respectively.

도 4에 도시된 채석면과 미세균열과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에서와 같이 1번 면에 평행하는 박편에서는 그레인 1(grain 1)과 하드웨이 2(hardway 2), 2번 면에 평행하는 박편에서는 리프트 1(rift 1)과 하드웨이 1(hardway 1) 그리고 3번 면에 평행하는 박편에서는 그레인 2(grain 2) 및 리프트 2(rift 2)의 미세균열을 각각 측정할 수가 있다. 결의 모식도에서 제시한 6 방향과 연계한 미세균열의 길이, 평균길이 및 밀도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rry surface and the microcracks shown in FIG. 4, the grain 1 and the hardway 2 in the flakes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hardway 2 in the flakes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Microcracks of grain 2 and rift 2 can be measured in rift 1, hardway 1 and lamella parallel to plane 3, respectively. The length, average length and density of the microcracks associated with the six directions presented in the resolution diagram are shown in FIG.

한편 조사선법에 의한 석영 및 장석 내부의 미세균열을 종합하여 빈도수, 평균길이 및 밀도를 측정하고, 미세균열(결)의 제 특성을 모식도에서 제시한 도 4의 6 방향의 미세균열과 연계하여 역학적 특성을 분석한다. 즉 다양한 정량적인 판별요소들 그리고 상기한 미세균열의 밀도 사이의 상관성을 검토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average length and density of the microcracks in the quartz and feldspar were calculated by the irradiation meth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crocracks were determined by mechanically connecting the microcracks in the six directions shown in FIG. Analyze the characteristics. T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ous quantitative discriminating factors and the density of the microcracks discussed above.

6개 방향별 미세균열의 각종 물리량을 종합해 보면 균열의 발생빈도(N), 총길이(Lt), 평균길이(Lm) 및 밀도(ρ)는 동일하게 리프트 > 그레인 > 하드웨이의 순을 보이고 있음이 주목된다. 미세균열의 각종 물리량에 대하여 각 면의 2 방향의 결에 대한 평균치를 산출한 결과, 거창화강암의 표 1과 합천화강암의 아래의 표 2에서와 같이 (리프트 1 + 리프트 2) > (그레인 1 + 그레인 2) > (하드웨이 1 + 하드웨이 2)의 순으로 되어 결의 강도에 따른 경향성이 뚜렷하다. 이러한 실내 분석 결과는 -1, -2, -3 공시체에 대한 객관적인 설정 기준이 된다.(N), total length (L t ), average length (L m ), and density (ρ) of cracks are the same as those of lifts>grain> hardwares .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s of the two directions of the respective surfaces of the fine cracks, the average values of the grains of the grains 1 + grain (grains 1 + 2) 2)> (hardway 1 + hardway 2) in order of severity.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an objective setting criterion for -1, -2, -3 specimens.

Direction of
rock cleavage
Direction of
rock cleavage
N
N
Lt
(mm)
L t
(mm)
Lm
(mm)
L m
(mm)
ρ
ρ
Rift 1 + Rift 2 / 2Rift 1 + Rift 2/2 3737 88.888.8 2.802.80 0.220.22 Grain 1 + Grain 2 / 2Grain 1 + Grain 2/2 2323 42.942.9 2.172.17 0.080.08 Hardway 1 + Hardway 2 / 2Hardway 1 + Hardway 2/2 99 16.416.4 1.961.96 0.020.02

위 표 1은 거창 화강암에 대한 N, Lt, Lm and ρ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다. Table 1 shows the average values of N, L t , L m and ρ for geochemical granite.

Direction of
rock cleavage
Direction of
rock cleavage
N
N
Lt
(mm)
L t
(mm)
Lm
(mm)
L m
(mm)
ρ
ρ
Rift 1 + Rift 2 / 2Rift 1 + Rift 2/2 40.540.5 91.491.4 2.342.34 0.170.17 Grain 1 + Grain 2 / 2Grain 1 + Grain 2/2 19.019.0 47.847.8 2.312.31 0.080.08 Hardway 1 + Hardway 2 / 2Hardway 1 + Hardway 2/2 7.57.5 14.314.3 2.022.02 0.030.03

위 표 2는 합천 화강암에 대한 N, Lt, Lm and ρ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다. Table 2 shows the average values of N, L t , L m and ρ for Hwacheon granite.

일축압축시험 시 하중과 평행하게 배열하는 2조의 수직 결의 밀도의 합(도 4)을 공시체별로 나타내면 표 3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즉 -1 < -2 < -3 공시체의 순으로 된다.The sum of the two vertical densities (FIG. 4)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oad during the uniaxial compression test can be summarized as shown in Table 3 for each specimen. That is, -1 <-2 <-3.

Rock nameRock name Sample No.Sample No. 수직배열하는 2조의 미세균열Two sets of micro-cracks arranged vertically 밀도(ρ)의 합Sum of density (rho) Geochang
granite
(G)
Geochang
granite
(G)
G-1G-1 Grain 2 + Hadway 1 Grain 2 + Hadway 1 0.080.08 0.660.66
G-2G-2 Rift 2 + Hadway 2 Rift 2 + Hadway 2 0.190.19 G-3G-3 Rift 1 + Grain 2Rift 1 + Grain 2 0.390.39 Hapcheon
granite
(H)
Hapcheon
granite
(H)
H-1H-1 Grain 2 + Hadway 1 Grain 2 + Hadway 1 0.070.07 0.540.54
H-2H-2 Rift 2 + Hadway 2 Rift 2 + Hadway 2 0.210.21 H-3H-3 Rift 1 + Grain 2Rift 1 + Grain 2 0.260.26

위 표 3은 일축압축 시 하중과 수평배열하는 2조의 미세균열을 나타내고 있다(도 4 참조). Table 3 shows two sets of microcracks arranged horizontally with load during uniaxial compression (see Fig. 4).

6. 응력 인가와 단계별 강도 및 6. Stress application, step strength and 변형율Strain rate 측정 단계( Measuring step ( S150S150 ))

공시체에 가해진 연속적인 응력(강도)에 따른 변형율, 소요시간(sec)의 측정에 사용된 압축강도기는 미국 MTS(Material Testing System)사의 압축력 160톤, 인장력 80톤의 용량을 갖고 있는 서보발브형 자동제어 시스템이다. 컴퓨터에 부착된 전기숫자 변환기(A/D Converter)에 의해 자동으로 측정치는 기록되며, 파괴시험에서는 스트로크를 제어해야 하는데 본 시험에서는 응력을 가하게 되는 스트로크의 상향 움직임의 속도는 0.1 mm/min으로 결정하였다. The compressive strength meter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strain rate and the required time (sec) according to the continuous stress (strength) applied to the specimen was a servo bulb type automatic capacity measuring device having a compression capacity of 160 tons of MTS (Material Testing System) Control system. The measured value is automatically recorded by the A / D converter attached to the computer. The stroke must be controlled in the destructive test. In this test, the speed of the upward stroke of the stress applied is determined to be 0.1 mm / min. Respectively.

일축압축강도 및 변형율의 측정에는 20mm용 Displacement transducer (KYOWA, DF20D), Extensometer (MTS, Model 1632.12c), Dynamic strain amplifier (KYOWA, DMP-G), X-Y1Y2 recorder (WATANABE, WX4302) 등이 사용되었다. 한편 시험장치에서는 초 단위로 가해진 응력, 축변형율(axial strain, εa), 횡변형율(lateral strain, εl) 및 초 단위의 소요시간이 동시에 자동 기록이 된다. 시험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실시되었다. 즉 NX 코아의 공시체로는 재하 축변형율(εa) 및 재하축과 직교방향의 횡변형율(εl)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체적변형율(volumetric strain, εv)은 다음 수학식 1을 통해 구할 수 있다.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strain rate were measured using a displacement transducer for 20 mm (KYOWA, DF20D), an extensometer (MTS, Model 1632.12c), a dynamic strain amplifier (KYOWA, DMP-G), XY 1 Y 2 recorder (WATANABE, WX4302)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tress, axial strain, ε a , lateral strain (εl), and elapsed time in seconds are automatically recorded in the test system. The test was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The volumetric strain (ε v ) was calculat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1), where ε a is the tensile strain of the NX core and ε l is the transverse strain of the NX core. have.

Figure 112014127921775-pat00001
Figure 112014127921775-pat00001

이렇게 구해진 연속적인 응력 단계별 축변형율, 횡변형율 및 체적변형율은 거창 화강암의 표 4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The axial strain, transverse strain, and volumetric strain rate of each continuous stress stage can be summarized as shown in Table 4 of Geochang granite.

Stress
(kg/cm2)
Stress
(kg / cm 2 )
G-1G-1 G-2G-2 G-3G-3
εa(-)ε a (-) εl(+)ε l (+) εv(-)ε v (-) εa(-)ε a (-) εl(+)ε l (+) εv(-)ε v (-) εa(-)ε a (-) εl(+)ε l (+) εv(-)ε v (-) 5050 33643364 7676 32093209 14831483 3737 14061406 375375 00 374374 100100 39873987 8787 38123812 18631863 5858 17461746 11791179 55 11681168 200200 46574657 114114 44284428 23112311 9595 21192119 17161716 2424 16661666 300300 51345134 153153 48274827 27772777 152152 24712471 22062206 6666 20722072 400400 55785578 209209 51595159 30503050 197197 26542654 25932593 112112 23682368 500500 59305930 267267 53945394 33433343 251251 28382838 29732973 168168 26362636 600600 61696169 309309 55485548 36393639 314314 30103010 33463346 230230 28852885 700700 64396439 373373 57455745 39593959 383383 31913191 36713671 292292 30863086 800800 68136813 446446 59235923 41984198 445445 33073307 39223922 351351 32193219 900900 70837083 524524 60336033 44984498 535535 34273427 41604160 414414 33313331 10001000 73357335 595595 61426142 47434743 616616 35093509 44744474 501501 34703470 11001100 75897589 683683 62216221 49944994 703703 35873587 47984798 608608 35813581 12001200 78317831 779779 62726272 52415241 800800 36423642 50605060 718718 36233623 13001300 80748074 885885 63016301 54935493 915915 36623662 53215321 865865 35903590 14001400 83008300 10091009 62796279 58015801 10771077 36463646 56635663 17771777 21092109 15001500 85288528 11571157 62136213 60426042 12381238 35653565 60046004 39643964 +1925+1925 15871587 61316131 63556355 +6579+6579 16001600 87638763 13441344 60736073 32843284 14601460 33623362 17001700 90069006 15951595 58155815 65316531 17891789 29512951 18001800 19411941 53805380 67956795 23382338 21172117 18871887 70127012 30953095 822822 19001900 26502650 42614261 20002000 98889888 40924092 17011701 20482048 1013210132 81188118 +6104+6104

표 4는 응력에 대한 거창 화강암(G)의 축, 횡 및 체적 변형율(x10-6)의 값을 나타낸다. Table 4 shows the values of axial, transverse and volume strain (x10 -6 ) of geomorphic granite (G) against stress.

7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S160)7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S160)

7-1 응력-7-1 Stress- 체적변형율Volume strain rate 곡선의 4 단계 구분 4 steps of curve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는 축변형율 및 횡변형율 곡선에 비하여 4 단계별 파괴진행 과정이 보다 명확하다.In the stress - volumetric strain curves, the progress of the fracture process in four stages is more clear than the axial strain and transverse strain curves.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상에서 암석 파괴 과정을 4 단계로 구분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거의 일정한 증가율을 보이는 선형 구간(Ⅱ 단계), 변곡점이 형성되어 곡선이 반전하여 급격한 체적팽창 현상이 일어나 파괴에 이르는 구간(Ⅳ 단계)을 경계로 하여 Ⅱ 단계 하부구간은 Ⅰ 단계, Ⅱ 단계와 Ⅳ 단계 사이는 Ⅲ 단계로 각각 구분된다. The criteria for the rock fracture process on the stress-volumetric strain curve are as follows. (Ⅱ), which is an almost constant rate of increase (Ⅱ), the inflection point is formed, and the curved line is inverted to cause rapid volumetric expansion. And step 3 is divided into step 3.

압축에 의해 수평 결이 밀폐되는 구간(Ⅰ 단계), 탄성적 성질을 갖는 구간(Ⅱ 단계) 및 하중증가에 따른 수직 결이 발생하여 개구되나 안정상태에 있는 구간(Ⅲ 단계), 더욱 증가된 하중에 의해 불안정한 균열이 전파되어 파괴될 때 까지의 구간(Ⅳ 단계)으로 구분이 된다.      (Ⅲ), which is opened due to vertical gravity due to load increase (Ⅲ), more increased load (Ⅲ) (Ⅳ) until the unstable crack is propagated and destroyed by the cracks.

즉 Ⅰ 단계(0≤σ≤1 c:이하 강도 Ⅰ)는 암석이 갖고 있는 수평 결(선재 간극)의 체적변형율(εv o)을 나타내는 구간, Ⅱ 단계(σ1 c≤σ≤σ1 i:이하 강도 Ⅱ)는 탄성적 성질의 구간, Ⅲ 단계(σ1 i≤σ≤σ1 ii:이하 강도 Ⅲ)는 수직 결이 개구되어지는 구간으로서 인장응력에 의한 파단이 일어나는 구간이 되고, Ⅳ 단계(σ1 ii≤σ≤σ1 f, σ1 f:이하 강도 Ⅳ(파괴강도))는 전단파괴가 일어나는 구간이라 할 수 있다. 각 단계별 강도는 σ1 c, σ1 i, σ1 ii 및 σ1 f로 각각 구분하였다(도 5 참조). 이렇게 구해진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은 도 6과 같다. That is Ⅰ step (0≤σ≤ 1 c: less strength Ⅰ) are sections showing a volumetric strain (ε v o)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wire gap) having a rock, Ⅱ step (σ 1 c 1 i ≤σ≤σ : less strength ⅱ) is a section, stage ⅲ of elastic properties (σ 1 i 1 ii ≤σ≤σ: less strength ⅲ) is the section is broken by the tensile stress taking place as the section being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is open, ⅳ step (σ 1 ii ≤σ≤σ 1 f, σ 1 f: less ⅳ strength (breaking strength)) may take place as a shear fracture interval. The intensity for each step is σ 1 c , σ 1 i , σ 1 ii And? 1 f , respectively (see FIG. 5). The stress-strain curves of Geochang and Hapcheon granite thus obtained are shown in Fig.

7-2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구간 Ⅳ-2의 설정7-2 Setting of the section IV-2 in the stress-volume strain curve

체적변형율 곡선의 Ⅳ 단계에서는 직선의 형태를 갖는 선형 구간(구간 Ⅳ-2)을 획득 후, 선형 변형선 cd를 구할 수 있다. 한편 구간 Ⅳ-2의 설정기준은 다음과 같다(도 5 참조).In step IV of the volume strain curves, the linear strain line cd can be obtained after obtaining a linear section having a straight line shape (section IV-2). The setting criterion of the section IV-2 is as follows (see FIG. 5).

축변형율, 횡변형율 곡선은 Ⅳ 단계에서 곡선 형태를 보여 선형 구간의 설정이 모호하다. 그러나 체적변형율 곡선에서는 객관적인 선형 구간 설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선형 구간은 6개 공시체에서 모두 공통적으로 존재하며, 구간 Ⅳ-2를 중심으로 하여 Ⅳ 단계를 3개 구간으로 세분화 할 수 있는 객관적 근거가 된다. 즉 구간 Ⅳ-2를 중심으로 우측 구간은 Ⅳ-1, 좌측 구간은 Ⅳ-3으로 구분할 수 있다. The axial strain and transverse strain curves show a curve shape in step IV, and the setting of the linear section is ambiguous. However, in the volume strain curve, it is possible to set an objective linear interval. These linear segments are common to all of the six specimens and serve as an objective basis for subdividing step IV into three segments, focusing on segment IV-2. That is, the right side section can be divided into Ⅳ-1 and the left side section can be divided into Ⅳ-3 with respect to section Ⅳ-2.

즉 체적변형율 곡선을 통하여 Ⅳ 단계의 암석 파괴 과정을 3 구간으로 세분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선형구간(구간 Ⅳ-2)을 경계로 하여 변곡점이 형성되어 급격한 곡선의 형태를 갖는 구간 Ⅳ-1, 즉 안정전파구간~선형구간의 초기점의 구간(구간 Ⅳ-1)보다 급격한 체적팽창 현상이 일어나 파괴에 이르는 구간 Ⅳ-3으로 각각 구분된다. In other words, through the volume strain curve, the criteria for subdividing the rock destruction process in step IV into three sections are as follows. (IV-1), which has an inflection point with the boundary of the linear section (section IV-2) as a boundary, has a sharp curve shape, that is, the volume expansion phenomenon And a section IV-3 leading to destruction.

또한 Ⅳ 단계에서 응력 증가에 따른 선형 구간 이전 단계인 구간 Ⅳ-1을 Ⅳ 단계의 전반부, 선형 구간의 이후 단계인 구간 Ⅳ-2 및 Ⅳ-3을 Ⅳ 단계의 후반부로 2 대분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section IV-1 before the linear section according to the stress increase in the step IV into the first half of the section IV, and the sections IV-2 and IV-3 after the linear section to the latter part of the step IV.

한편 구간 Ⅳ-2 부터는 응력과 평행 배열하는 미세균열(결)의 신규생성, 기존 미세균열의 성장 및 결합이 활발하다. ① 구간 Ⅳ-2를 중심으로 하여 공시체별 θ 각의 변화, 삼각형 CC'G 및 삼각형 CEF의 면적변화, 차변형율 및 차응력의 변화, 구간 Ⅳ-2의 배열성, 교점 A' 및 교점 G의 이동 경로(도 5), ② 원점과 체적변형율 곡선상의 각 지점 사이의 길이(L1~L5) 및 각도(α15) 변화의 규칙성(도 8)을 도출하여 3개 면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 즉 체적변형율 곡선에서 구간 Ⅳ-2의 획득을 통하여 3개 면을 인식(예측)할 수 있는 진보적인 판별 기준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On the other hand, from section IV-2, a new generation of fine cracks parallel to the stress and growth and bonding of existing micro cracks are active. (1) The change of θ angle, the area of triangle CC'G and triangle CEF, the variation of differential strain and differential stress, the arrangement of interval Ⅳ-2, the intersection point A 'and the intersection point G (Fig. 8) of the change in length (L 1 to L 5 ) and angles (α 1 to α 5 ) between the origin and the points on the volume strain curve are derived, Can be predicted. In other words, the progressive discrimination criterion for recognizing (predicting) 3 faces through the acquisition of section IV-2 on the volume strain curve is presented as follows.

7-3 구간 Ⅳ-2의 배열성7-3 Arrangement of section IV-2

구간 Ⅳ-2는 -1 → -2 → -3으로 갈수록 공통적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 배열한다. 표 3에서 제시한 3개 공시체 사이의 수직 결의 밀도 차에 따른 상대적인 체적 팽창의 증가를 의미한다. Section IV-2 moves from right to left in the order of -1 → -2 → -3. Table 3 shows the relative increase in volume expansion due to the vertical density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specimens.

3개 공시체 사이의 구간 Ⅳ-2에 대한 상호 중첩 정도를 보면, 거창화강암에 비하여 일축압축강도가 높고 미세균열의 밀도가 낮은 합천화강암의 중첩도가 높다(도 6). The degree of mutual overlap for the section IV-2 between the three specimens is higher than that of the geochemical granite (Fig. 6).

7-4 교점 A' 및 교점 G의 이동 경로7-4 Movement path of intersection A 'and intersection G

구간 Ⅳ-2의 초기점(C)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한 세로 선 그리고 Ⅰ단계의 끝 지점인 σ1 c에 해당되는 가로 선과의 교점(A')의 이동 경로를 도출하였다.(A ') between the vertical line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t the initial point (C) of the section IV-2 and the horizontal line corresponding to the end point of the I-step, σ 1 c .

거창화강암의 교점(A')의 이동 경로를 보면, 체적변형율 곡선 상에서 Ⅱ 구간의 초기점(A)을 기준하여 -1에서는 점 A의 좌측, -2, -3에서는 점 A의 우측에 위치한다. 합천화강암의 교점(A')의 이동 경로를 보면, -1, -2에서는 점 A의 좌측, -3에서는 점 A의 우측에 위치한다. 두 암석의 -3에서는 공통적으로 A의 우측에 위치한다(도 6). From the initial point (A) of the section II on the volume strain curve, it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point A in -1 and on the right side of point A in -2 and -3 on the curve of the intersection (A ') of Geochang granite . The movement path of the intersection (A ') of Hapcheon granite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point A in -1, -2 and on the right side of point A in -3. It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A in common in -3 of two rocks (Fig. 6).

X축의 체적 변형율 1000(εv, ×10-6)의 길이를 10mm(1cm)로 가정할 경우, A'-A의 길이(mm)는 다음과 같다. 거창화강암에서는 -1(2.55), -2(3.65), -3(7.88), 합천화강암에서는 -1(1.64), -2(1.29), -3(1.05)이다. 3개 공시체의 평균 길이는 거창화강암(4.66) > 합천화강암(1.32)의 순이다. 일축압축강도가 낮고 미세균열의 밀도가 높은 거창화강암의 평균 길이가 상대적으로 크다. 거창화강암의 경우, 교점 A'와 교점 A와의 길이에 해당되는 차변형율(εv, ×10-6)은 -1(255) < -2(365) < -3(788)의 순으로 전형적인 증가를 보인다.The length (mm) of A'-A is as follows, assuming that the volume strain of the X-axis 1000 (ε v , × 10 -6 ) is 10 mm (1 cm) It is -1 (2.55), -2 (3.65), -3 (7.88) for Geocang granite, -1 (1.64), -2 (1.29) and -3 (1.05) for Hwacheon granite. The average length of the three specimens is in the order of geochang granite (4.66)> Hwacheon granite (1.32). The average length of geochang granites with relatively low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high density of microcracks is relatively large. In the case of Geochang granite, the differential strain (ε v , × 10 -6 )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intersection A 'and the intersection A is -150 (255) <-2 (365) <-3 Respectively.

구간 Ⅳ-2의 초기점(C) 그리고 Ⅱ 단계의 끝 지점(B)를 연장하여 X축과 만나는 교점(G)의 이동 경로를 도출하였다. The initial point (C) of section IV-2 and the end point (B) of step II were extended to derive the movement path of the intersection (G) which meets the X axis.

거창화강암에서는 선 E-E'의 우측(-1) → 구간 Ⅳ-1의 내부(-2, -3)로 이동한다. 반면에 합천화강암에서는 선 E-E'의 우측(-1) → 선 E-E'에 보다 접근(-2, -3)하며, 구간 Ⅳ-1의 내부로 이동하지 않는다. 즉 구간 Ⅳ-1의 우측 경계선인 선 E-E'를 기준선으로 할 경우, 교점(G)는 -1 → -2 → -3 공시체로 갈수록 공통적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교점(G) 그리고 교점(A')의 이동경로는 상호 반대 방향임을 도출할 수 있다(도 6). In Geocang granite, it moves to the right (-1) of the line E-E '→ the interior (-2, -3) of the section IV-1. On the other hand, Hwacheon granite has more approach (-2, -3) to the right (-1) to the line E-E 'of the line E-E' and does not move to the inside of the section IV-1. That is, when the reference line is the line E-E ', which is the right boundary line of the section IV-1, the intersection point (G) moves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generally toward -1 → -2 → -3 specimen. Therefore, it can be deduced that the movement paths of the intersection G and the intersection A 'are opposite to each other (FIG. 6).

X축의 체적 변형율 1000(εv, ×10-6)의 길이를 10mm(1cm)로 가정할 경우, E'-G의 길이(mm)는 다음과 같다. 거창화강암에서는 -1(8.55), -2(2.08), -3(5.18)이다. 합천화강암에서는 -1(7.73), -2(2.76), -3(1.33)이다. 3개 공시체의 평균 길이는 거창화강암(5.27) > 합천화강암(3.94)의 순이다.The length (mm) of E'-G is as follows, assuming that the volume strain of the X-axis 1000 (ε v , × 10 -6 ) is 10 mm (1 cm). In Geochang granite, it is -1 (8.55), -2 (2.08) and -3 (5.18). In Hwacheon granite, it is -1 (7.73), -2 (2.76) and -3 (1.33). The average length of the three specimens is Geochang granite (5.27)> Hwacheon granite (3.94).

7-5 θ 각의 변화7-5 Changes in the angle of theta

구간 Ⅳ-2의 초기점(C) 그리고 Ⅱ 단계의 끝 지점(B)를 연장하여 X축과 만나는 점(G)을 연결한 직선(C-B-G)의 θ 각은 표 5와 같다. θ 각은 도 6의 도면을 프로그램 상에서 확대하여 측정하였다.Table 5 shows the angle θ of the straight line (C-B-G) connecting the initial point (C) of section IV-2 and the end point (B) The angle of theta was measured by magnifying the diagram of Fig. 6 on a program.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3개 공시체별 θ 각은 -1(75.7°, 77.3°) < -2(86.5°, 81.2°) < -3(88.4°, 84.6°)의 순으로 되며, 공통적으로 증가한다(도 7a). The θ angles of the three specimens of Geochang and Hapcheon granite are in the order of -1 (75.7 °, 77.3 °) <-2 (86.5 °, 81.2 °) <-3 (88.4 °, 84.6 °) (Fig. 7A).

3개 공시체의 θ 각의 평균각 및 이방성 계수(%)는 합천화강암(57.9, 9.0%) < 거창화강암(83.5, 15.2%)의 순이며, 일축압축강도가 낮고 미세균열의 밀도가 높은 거창화강암의 평균각 및 이방성 계수(%)가 모두 크다. The mean angles and anisotropy coefficients of the θ-angles of the three specimens were in order of Hwacheon granite (57.9, 9.0%) <Geochang granite (83.5, 15.2%), Geochang granite with low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high microcrack density And the anisotropy coefficient (%) are both large.

Rock
name
Rock
name
Sample
No.
Sample
No.
θ(°)θ (°)
Geochang
granite
(G)
Geochang
granite
(G)
G-1G-1 75.775.7
G-2G-2 86.586.5 G-3G-3 88.488.4 MeanMean 83.583.5 An(%)An (%) 15.215.2 Hapcheon
granite
(H)
Hapcheon
granite
(H)
H-1H-1 77.377.3
H-2H-2 81.281.2 H-3H-3 84.684.6 MeanMean 57.957.9 An(%)An (%) 9.09.0

여기에서 An은 이방성 계수(Anisotropy coefficient, %)이며, Max-Min/평균 으로 계산될 수 있다. Where An is the anisotropy coefficient (%) and can be calculated as Max-Min / average.

7-6 삼각형 CC'G의 면적변화7-6 Area Change of Triangle CC'G

① 구간 Ⅳ-2의 초기점(C)를 연장하여 X축과 만나는 점(C')를 연결하는 직선 C-C', ② 구간 Ⅳ-2의 초기점(C)과 Ⅱ 단계의 끝 지점(B)를 연장하여 X축과 만나는 점(G)을 연결한 직선(C-B-G), ③ 상기 두 직선에 의하여 분할되는 X축의 C' 및 G를 연결한 직선 C'-G를 얻게 된다. X축의 체적 변형율 1000(εv, ×10-6)의 길이를 1cm로 가정할 경우, 상기 3개 직선으로 포획된 직각 삼각형(ΔCC'G)의 면적(cm2) 및 면적비는 표 6과 같다. (C) extending the initial point (C) of the section IV-2 and connecting the point (C ') that meets the X axis, the initial point (C) of the section IV-2 and the end point B, a straight line CBG connecting points G to meet the X axis, and a straight line C'-G connecting C 'and G of the X axis divided by the two straight lines. (Cm 2 ) and area ratio of the right triangle (ΔCC'G) captured by the above three straight lines are as shown in Table 6, assuming that the length of 1000 (ε v , × 10 -6 ) .

Rock
name
Rock
name
Sample
No.
Sample
No.
ΔCC'GΔCC'G ΔCEFΔCEF
면적(cm2)Area (cm 2 ) 면적비Area ratio 면적(cm2)Area (cm 2 ) 면적비Area ratio Geochang
granite
(G)
Geochang
granite
(G)
G-1G-1 8.468.46 1One 5.415.41 1.001.00
G-2G-2 2.132.13 0.250.25 1.951.95 0.360.36 G-3G-3 0.490.49 0.060.06 1.281.28 0.240.24 MeanMean 3.693.69 2.882.88 An(%)An (%) 215.7215.7 143.2143.2 Hapcheon
granite
(H)
Hapcheon
granite
(H)
H-1H-1 9.289.28 1One 4.434.43 1.001.00
H-2H-2 5.965.96 0.640.64 3.573.57 0.810.81 H-3H-3 3.903.90 0.420.42 2.392.39 0.540.54 MeanMean 6.386.38 3.463.46 An(%)An (%) 84.384.3 59.059.0

여기에서 An은 이방성 계수(Anisotropy coefficient, %)이며, Max-Min/평균 으로 계산될 수 있다. Where An is the anisotropy coefficient (%) and can be calculated as Max-Min / average.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3개 공시체별 ΔCC'G의 면적을 보면, -1(8.46, 9.28) > -2(2.13, 5.96) > 3(0.49, 3.90)의 순이며, 공통적으로 음의 지수함수의 형태로 감소한다. 일축압축강도가 높고 미세균열의 밀도가 낮은 합천화강암의 지수함수의 기울기(λ=0.43)가 보다 낮다. -1 공시체를 기준한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3개 공시체별 ΔCC'G의 면적비를 보면, -1(1, 1) > -2(0.25, 0.64) > -3(0.06, 0.42)의 순이며, 공통적으로 감소한다(도 7b). The area of ΔCC'G of three specimens of geochemical and Hapcheon granite is -1 (8.46, 9.28)> -2 (2.13, 5.96)> 3 (0.49, 3.90) . The slope of the exponential function of Hapcheon granite (λ = 0.43), which has high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low microcrack density, is lower. -1 (1, 1)> -2 (0.25, 0.64)> -3 (0.06, 0.42) for the three specimens of the geochemical and Hapcheon granites based on the -1 specimen, (Fig. 7B).

3개 공시체의 평균면적은 거창화강암(3.69) < 합천화강암(6.38)의 순이며, 일축압축강도가 높고 미세균열의 밀도가 낮은 합천화강암의 평균면적이 크다. 반면에 3개 공시체별 이방성 계수(%)는 합천화강암(84.3%) < 거창화강암(215.7%)의 순이며, 일축압축강도가 낮고 미세균열의 밀도가 높은 거창화강암의 이방성 계수가 높다. The average area of the three specimens is Geochang granite (3.69) <Hwacheon granite (6.38) in order. The average area of Hwacheon granite with high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low microcrack density is large. On the other hand, the anisotropy coefficient (%) of the three specimens is in the order of Hwacheon granite (84.3%) <Geochang granite (215.7%) and Geochang granite with high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high microcrack density.

7-7 삼각형 CEF의 면적변화7-7 Area Change of Triangle CEF

또한 ① 구간 Ⅳ-2의 초기점(C)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체적 변형율 곡선과 만나는 점(F)을 연결한 직선(C-F), ② 구간 Ⅳ-2의 초기점(C)과 Ⅲ 단계와 Ⅳ 단계의 변곡점(E)을 연결한 직선(C-E), ③ 점(E) 그리고 구간 Ⅳ-2의 초기점(C)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체적 변형율 곡선과 만나는 점(F)을 상호 연결한 직선(E-F)를 얻게 된다. X축의 체적 변형율 1000(εv, ×10-6)의 길이를 1cm로 가정할 경우, 상기 3개 직선으로 포획된 삼각형(ΔCEF)의 면적(cm2) 및 면적비는 표 6과 같다. In addition, a straight line (CF) extending from the initial point (C) of the section IV-2 to the point of intersection with the volume strain curve (F), the initial point (C) of the section IV- (CE) connecting the inflection point (E) of step IV, point (E), and point (C) of section IV-2 that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eet the point of intersection with the volume strain curve A straight line EF is obtained. (Cm 2 ) and the area ratio of the triangle (DELTA CEF) captured by the three straight lines are as shown in Table 6, assuming that the length of 1000 (ε v , × 10 -6 )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3개 공시체별 ΔCEF의 면적을 보면, -1(5.41, 4.43) > -2(1.95, 3.57) > 3(1.28, 2.39)의 순이며, 공통적으로 음의 지수함수의 형태로 감소한다. 일축압축강도가 높고 미세균열의 밀도가 낮은 합천화강암의 지수함수의 기울기(λ=0.30)가 보다 낮다. ΔCC'G의 지수함수의 기울기(0.43~1.42)와 비교하면, ΔCEF의 지수함수의 기울기(0.30~0.72)가 낮은 관계로 3개 공시체 사이의 면적변화의 정도가 낮다(도 7c).The area of ΔCEF of three specimens of Geochang and Hapcheon granite is -1 (5.41, 4.43)> -2 (1.95, 3.57)> 3 (1.28, 2.39) . The slope of the exponential function of Hwacheon granite (λ = 0.30), which has high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low density of microcracks, is lower. Compared with the slope of the exponential function of ΔCC'G (0.43 to 1.42), the slope of the exponential function of ΔCEF (0.30 to 0.72) is low and the degree of area change between the three specimens is low (FIG.

-1 공시체를 기준한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3개 공시체별 ΔCEF의 면적비를 보면, 공통적으로 -1(1, 1) > -2(0.36, 0.81) > -3(0.24, 0.54)의 순으로 감소한다. (1, 1)> -2 (0.36, 0.81)> -3 (0.24, 0.54) for each of the three specimens of Geochang and Hapcheon granites based on the -1 specimen do.

3개 공시체의 평균면적은 거창화강암(2.88) < 합천화강암(3.46)의 순이며, 일축압축강도가 높고 미세균열의 밀도가 낮은 합천화강암의 평균면적이 크다. 반면에 3개 공시체별 이방성 계수(%)는 합천화강암(59.0%) < 거창화강암(143.2%)의 순이다. 이러한 특성은 삼각형 CC'G의 면적변화의 경우와 동일하다.The average area of the three specimens is Geochang granite (2.88) <Hwacheon granite (3.46) in order. The average area of Hacchae granite with high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low microcrack density is large. On the other hand, the anisotropy coefficient (%) of three specimens is Hapcheon granite (59.0%) and Geochang granite (143.2%). This characteristic is the same as the case of the area change of the triangle CC'G.

7-8 차변형율(구간 Ⅳ-2의 세로 폭)7-8th strain (longitudinal width of section IV-2)

구간 Ⅳ-2의 X축에 대응되는 차변형율(Δεv, εv 1v 2, ×10-6)을 검토하였다(표 7).The differential strain (Δε v, ε v 1v 2 , × 10 -6 ) corresponding to the X-axis of section IV-2 was examined (Table 7).

Rock
name
Rock
name
Sample
No.
Sample
No.
구간 Ⅳ-2            Section IV-2
εv 1 ε v 1 εv 2 ε v 2 Δεv
v 1v 2)
Δε v
v1 v 2)
Geochang
granite
(G)
Geochang
granite
(G)
G-1G-1 48924892 34583458 14341434
G-2G-2 28602860 20202020 840840 G-3G-3 28952895 -590-590 34853485 MeanMean 35493549 16291629 19191919 Hapcheon
granite
(H)
Hapcheon
granite
(H)
H-1H-1 34013401 23152315 10861086
H-2H-2 32433243 23212321 922922 H-3H-3 22582258 12821282 976976 MeanMean 29672967 19721972 994994

거창화강암의 차변형율은 -1(1434) → -2(840)(감소), -2(840) → -3(3485)(증가)한다. 합천화강암에서도 -1(1086) → -2(922)(감소), -2(922) → -3(976)(증가)한다. 두 암석의 공시체 사이의 공통적인 규칙성을 도출하였다. 거창화강암의 차변형율은 -3(3485)에서 가장 높은 전형적인 양상이다(도 7d). The strain rate of geochemical granite is -1 (1434) → -2 (840) (decrease), -2 (840) → -3 (3485) In Hapcheon granite, -1 (1086) -2 (922) (decrease), -2 (922) -3 (976) increase. A common regularity between the specimens of the two rocks was derived. The carapace strain of geochemical granite is the most typical pattern at -3 (3485) (Fig. 7d).

암석별 3개 공시체의 차변형율의 평균치는 합천화강암(994) < 거창화강암(1919)의 순이다. 합천화강암에 비하여 일축압축강도가 낮고 결의 밀도가 높은 거창화강암의 차변형율이 크다.The mean value of the strain rate of the three specimens of each rock is Hapcheon granite (994) and Geochang granite (1919). Geochang granite, which has lower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higher grain density than Hacchin granite, has a large strain rate.

7-9 차응력(구간 Ⅳ-2의 가로 폭)7-9th stress (width of section IV-2)

구간 Ⅳ-2의 Y축에 대응되는 차응력(Δσ, σ1 2 1 1, kg/cm2)과 파괴비(σ1 11 f, σ1 21 f)를 검토하였다. 구간 Ⅳ-2의 차응력, 파괴비의 값은 표 8과 같다.(Δσ, σ 1 21 1 , kg / cm 2 ) and fracture ratios (σ 1 1 / σ 1 f , σ 1 2 / σ 1 f ) corresponding to the Y axis of section IV-2 Respectively. Table 8 shows the values of the differential stress and fracture ratios of section IV-2.

Rock
name
Rock
name
Sample
No.
Sample
No.
구간 Ⅳ-2Section IV-2
σ1 σ 1 σ1 f σ 1 f σ1 11 f σ 1 1 / σ 1 f σ1 2 σ 1 2 σ1 21 f σ 1 2 / σ 1 f Δσ
1 2 1 1)
Δσ
(? 1 21 1 )
Geochang
granite (G)
Geochang
granite (G)
G-1G-1 18521852 20482048 0.900.90 19391939 0.940.94 8787
G-2G-2 17011701 18871887 0.900.90 18021802 0.950.95 101101 G-3G-3 13681368 15871587 0.860.86 14331433 0.900.90 4747 MeanMean 16401640 18401840 0.890.89 17241724 0.930.93 7878 Hapcheon
granite
(H)
Hapcheon
granite
(H)
H-1H-1 21262126 23402340 0.900.90 22302230 0.950.95 104104
H-2H-2 20682068 22112211 0.930.93 21842184 0.980.98 116116 H-3H-3 21242124 22302230 0.950.95 22192219 0.990.99 9595 MeanMean 21062106 22602260 0.930.93 22112211 0.970.97 105105

거창화강암의 차응력은 -1(87) → -2(101)(증가), -2(101) → -3(47)(감소)한다. 합천화강암에서도 -1(104) → -2(116)(증가), -2(116) → -3(95)(감소)한다. 두 암석의 공시체 사이의 공통적인 규칙성을 도출하였다. 응력의 방향과 수평 배열하는 수직 결의 밀도가 가장 높은 3 공시체에서 차응력이 공통적으로 가장 낮다(도 7e). The differential stress of geochemical granite is -1 (87) - 2 (101) (increase), -2 (101) - 3 (47) In Hapcheon granite, it decreases from -1 (104) to -2 (116) (increase), -2 (116) to -3 (95) A common regularity between the specimens of the two rocks was derived. The differential stresses are the lowest in the three specimens having the highest vertical grain density arrang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stress (Fig. 7E).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공시체별 차변형율 및 차응력의 관계를 보면, -1 → -2(감소 및 증가), -2 → -3(증가 및 감소)한다. 상호 반비례의 규칙성을 도출하였다. 즉 구간 Ⅳ-2의 세로 폭(차변형율)은 -2가 낮은 반면, 가로 폭(차응력)은 -2가 높은 공통성을 도출하였다(도 7d, e).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ial strain and the differential stress of the specimens of Geochang and Hapcheon granites is -1 → -2 (decrease and increase), -2 → -3 (increase and decrease). And inversely proportional regularities were derived. That is, the vertical width (differential strain) of the section IV-2 was low, while the common width with the width width (differential stress) of -2 was high (FIG. 7d, e).

차응력의 평균치를 보면, 거창화강암(78) < 합천화강암(105)의 순이며, 일축압축강도가 높고 미세균열의 밀도가 낮은 합천화강암의 차응력이 크다.The average value of the secondary stresses is in order of geochemical granite (78) <Hwacheon granite (105). The shear stress of Hapcheon granite with high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low microcrack density is large.

거창화강암의 파괴비는 -2(0.90~0.95) → -1(0.90~0.94) → -3(0.86~0.90)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합천화강암의 파괴비는 -3(0.95~0.99) → -2(0.93~0.98) → -1(0.90~0.95)로 갈수록 감소한다. 두 암석의 공시체 사이의 규칙성이 결여된다.The fracture ratio of Geochang granite decreases from -2 (0.90 ~ 0.95) → -1 (0.90 ~ 0.94) → -3 (0.86 ~ 0.90). The fracture ratio of Hwacheon granite decreases from -3 (0.95 ~ 0.99) → -2 (0.93 ~ 0.98) → -1 (0.90 ~ 0.95). It lacks regularity between the specimens of both rocks.

파괴비의 평균치를 보면, 거창화강암(0.89~0.93) < 합천화강암(0.93~0.97)의 순이며, 일축압축강도가 높고 미세균열의 밀도가 낮은 합천화강암의 차응력이 크다.The average values of fracture ratios are in the order of Geochang granite (0.89 ~ 0.93) <Hwacheon granite (0.93 ~ 0.97), and the shear stress of Hwacheon granite with high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nd low microcrack density is large.

7-10 원점과 체적변형율 곡선상의 각 지점 사이의 길이 변화7-10 Change in length between each point on the origin and volume strain curve

X축과 Y축의 교점(O)에서 체적변형율 곡선상의 각 단계별 지점을 연결한 5개의 직선 OA, 0B, 0E, 0C, 0D의 길이, 즉 L1, L2, L3, L4, L5를 측정하였다(도 8). X축의 체적 변형율 1000(εv, ×10-6)의 길이를 1cm로 가정할 경우, 상기 5 직선의 길이, 평균길이, 이방성계수(%)는 표 9와 같다. The lengths of five straight lines OA, 0B, 0E, 0C and 0D, namely L 1 , L 2 , L 3 , L 4 and L 5 , connecting the points of each step on the volume strain curve at the intersection (O) (Fig. 8). The length, average length and anisotropy coefficient (%) of the 5 straight lines are as shown in Table 9, assuming that the volume strain rate 1000 (ε v , × 10 -6 ) of the X axis is 1 cm.

Rock
name
Rock
name
Sample
No.
Sample
No.
L1 L 1 L2 L 2 L3 L 3 L4 L 4 L5 L 5
Geochang
granite
(G)
Geochang
granite
(G)
G-1G-1 7.27.2 10.010.0 11.911.9 13.613.6 13.413.4
G-2G-2 3.93.9 6.06.0 9.59.5 11.611.6 11.911.9 G-3G-3 3.33.3 5.75.7 8.88.8 9.49.4 9.39.3 MeanMean 4.804.80 7.237.23 10.0710.07 11.5311.53 11.5311.53 An(%)An (%) 81.2581.25 59.4559.45 30.7930.79 36.4236.42 35.5535.55 Hapcheon
granite
(H)
Hapcheon
granite
(H)
H-1H-1 5.65.6 9.99.9 13.113.1 14.614.6 14.714.7
H-2H-2 5.85.8 8.48.4 11.711.7 14.114.1 14.414.4 H-3H-3 4.54.5 7.47.4 10.610.6 13.913.9 14.114.1 MeanMean 5.305.30 8.578.57 11.8011.80 14.2014.20 14.4014.40 An(%)An (%) 20.7520.75 29.1829.18 21.1921.19 4.934.93 4.174.17

여기에서 단위는 cm 이고, An은 이방성 계수(Anisotropy coefficient, %)이며, Max-Min/평균 으로 계산될 수 있다. Here, the unit is cm, and An is the anisotropy coefficient (%), which can be calculated as Max-Min / average.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3개 공시체별 5개 직선의 길이의 영역을 보면, -3(하위영역) < -2(중위영역) < -1(상위영역)의 순으로 배열하는 공통적인 규칙성을 도출하였다(도 9a, b).Looking at the area of the length of five straight lines of three specimens of Geochang and Hapcheon granite, we derive a common regularity that is arranged in order of -3 (lower region) <-2 (middle region) <-1 (upper region) (Fig. 9A, b).

3개 공시체별 이방성 계수(%)는 합천화강암(하위영역) < 거창화강암(상위영역)의 순이며, 일축압축강도가 낮고 미세균열의 밀도가 높은 거창화강암의 이방성 계수가 높다(도 9c). The anisotropy coefficient (%) of the three specimens is in order of Hwacheon granite (lower area) <Geochang granite (upper area), and Geochang granite with high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high microcrack density has high anisotropy coefficient (Fig.

7-11 원점과 체적변형율 곡선상의 각 지점의 교차각 변화7-11 Change of intersection angle of each point on origin and volume strain curve

X축과 Y축의 교점(O)에서 체적변형율 곡선상의 각 단계별 지점을 연결한 5개의 직선 OA, 0B, 0E, 0C, 0D의 교차각의 변화 특성을 도출하였다. 0B, 0E, 0C, and 0D, connecting the points of each step on the volume strain curve at the intersection (O) of the X and Y axes.

직선 OA와 수평선이 이루는 교차각(α1), 직선 OB와 직선 OA의 교차각(α2), 직선 OE와 직선 OB의 교차각(α3), 직선 OC와 직선 OE의 교차각(α4), 직선 OD와 직선 OC의 교차각(α5) 그리고 교차각의 평균각 및 이방성계수(%)는 표 10과 같다. The intersection angle α 1 between the straight line OA and the horizontal line, the intersection angle α 2 between the straight line OB and the straight line OA, the intersection angle α 3 between the straight line OE and the straight line OB, the intersection angle α 4 between the straight line OC and the straight line OE ), The crossing angle (α 5 ) between the straight line OD and the line OC, and the average angle and anisotropy coefficient (%) of the crossing angle are shown in Table 10.

Rock
name
Rock
name
Sample
No.
Sample
No.
α1 α 1 α2 α 2 α3 α 3 α4 α 4 α5 α 5
Geochang
granite
(G)
Geochang
granite
(G)
G-1G-1 19.519.5 12.212.2 8.48.4 1111 6.56.5
G-2G-2 3131 12.212.2 17.317.3 10.310.3 6.36.3 G-3G-3 36.836.8 1010 1111 9.19.1 27.927.9 MeanMean 29.129.1 11.511.5 12.212.2 10.110.1 13.613.6 An(%)An (%) 59.559.5 19.219.2 72.872.8 18.818.8 159.2159.2 Hapcheon
granite
(H)
Hapcheon
granite
(H)
H-1H-1 34.834.8 15.115.1 8.48.4 11.611.6 7.17.1
H-2H-2 33.633.6 12.212.2 11.211.2 13.113.1 6.66.6 H-3H-3 44.744.7 12.212.2 8.48.4 1111 6.56.5 MeanMean 37.737.7 13.213.2 9.39.3 11.911.9 6.76.7 An(%)An (%) 29.429.4 22.022.0 30.030.0 17.617.6 8.98.9

여기에서 An은 이방성 계수(Anisotropy coefficient, %)이며, Max-Min/평균 으로 계산될 수 있다.Where An is the anisotropy coefficient (%) and can be calculated as Max-Min / average.

두 암석의 α 각은 -1에서 공통적으로 α1 → α2 → α3(감소), α3 α4(증가), α4 α5(감소)하는 규칙성을 도출하였다. 두 암석의 3개 공시체 중, -2, -3에서는 규칙성이 결여된다(도 9d).The α angle of the two rocks is commonly derived from α 1 → α 2 → α 3 (decrease), α 3 α 4 (increase) , and α 4 α 5 (decrease). Of the three specimens of the two rocks, -2 and -3 lack regularity (Fig. 9d).

5개 각에 대한 이방성 계수(%)는 합천화강암(하부영역) < 거창화강암(상부영역)의 순이다. 일축압축강도가 낮고 미세균열의 밀도가 높은 거창화강암의 이방성 계수가 높다. 두 암석의 이방성 계수(%)는 α1 → α2(감소), α2 → α3(증가), α3 α4(감소), α4 α5(증가)하는 공통적인 규칙성을 도출하였다(도 9e).The anisotropy coefficient (%) for the five angles is in the order of Hapcheon granite (lower area) and Geochang granite (upper area). The anisotropy coefficient of geochang granite with high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high microcrack density is high. The anisotropy coefficient (%) of two rocks has a common regularity of α 1 → α 2 (decrease), α 2 → α 3 (increase), α 3 α 4 (decrease) , and α 4 α 5 (Fig. 9E).

본 발명에서는 체적 변형율 곡선 상에서 획득한 구간 Ⅳ-2를 중심으로 하여 화강암의 3개 면에 대하여 사전에 3개 결, 3개 면을 예측할 수 진보적인 판별 기준을 도출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gressive discriminant criterion for predicting three or three sides of granite is derived based on the section IV-2 obtained on the volume strain curve.

1. 구간 Ⅳ-2의 배열성1. Arrangement of section IV-2

구간 Ⅳ-2는 -1 → -2 → -3으로 갈수록 공통적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 배열한다. 3개 공시체 사이의 수직 결의 밀도 차에 따른 상대적인 체적 팽창의 증가를 의미한다. Section IV-2 moves from right to left in the order of -1 → -2 → -3. Which means an increase in the relative volume expansion due to the density difference of the vertical grains between the three specimens.

3개 공시체 사이의 구간 Ⅳ-2에 대한 상호 중첩 정도를 보면, 일축압축강도가 높고 미세균열의 밀도가 낮은 합천화강암의 중첩도가 높다. The degree of mutual overlap for section IV-2 between the three specimens shows a high degree of superposition of Hacchae granite, which has high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low microcrack density.

2. 교점 A' 및 교점 G의 이동 경로2. Movement path of intersection A 'and intersection G

거창화강암의 교점(A')의 이동 경로를 보면, 체적변형율 곡선 상에서 Ⅱ 구간의 초기점(A)을 기준하여 -1에서는 점 A의 좌측, -2, -3은 점 A의 우측에 위치한다. 합천화강암의 교점(A')의 이동 경로를 보면, -1, -2에서는 점 A의 좌측, -3은 점 A의 우측에 위치한다. 두 암석의 -3에서는 공통적으로 A의 우측에 위치한다. From the initial point (A) of the section II on the volume strain curve, the left side of point A, -2 and -3 ar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point A . The movement path of the intersection (A ') of Hacchae granite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point A in -1 and -2 on the right side of point A. It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A in common with -3 of two rocks.

교점(G)의 이동 경로를 도출하였다. 구간 Ⅳ-1의 우측 경계선인 선 E-E'를 기준선으로 할 경우, 교점(G)는 -1 → -2 → -3 공시체로 갈수록 공통적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교점(G), 교점(A')의 이동경로는 상호 반대 방향이다. A'-A, E'-G의 평균 길이는 거창화강암 > 합천화강암의 순이다. And the movement route of the intersection (G) is derived. When the reference line is the line E-E ', which is the right boundary line of the section IV-1, the intersection point (G) moves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generally toward the -1 → -2 → -3 specimen. The movement paths of the intersection G and the intersection A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average length of A'-A, E'-G is in the order of geochang granite> Hwacheon granite.

3. θ 각의 변화: 3. Change in the angle of theta: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3개 공시체별 θ 각은 -1 < -2 < -3의 순으로 되며, 공통적으로 증가한다. θ 각의 평균각 및 이방성 계수(%)는 합천화강암 < 거창화강암의 순이며, 일축압축강도가 낮고 미세균열의 밀도가 높은 거창화강암의 평균각 및 이방성 계수(%)가 높다. The θ-angles of the three specimens of Geochang and Hapcheon granite are in the order of -1 <-2 <-3 and increase in common. The mean angle and anisotropy coefficient (%) of θ angle are in the order of Hwacheon granite <Geochang granite. The average angle and anisotropy coefficient (%) of geochang granite with low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high microcrack density are high.

4. 삼각형 CC'G의 면적변화 4. Change of area of triangle CC'G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3개 공시체별 ΔCC'G의 면적은 공통적으로 -1 > -2 > 3의 순이며, 음의 지수함수의 형태로 감소한다. 합천화강암의 지수함수의 기울기가 낮다.The area of ΔCC'G for each of the three specimens of Geochang and Hacchae granite is in the order of -1> -2> 3 and decreases in the form of negative exponential function. The slope of the exponential function of Hacchae granite is low.

3개 공시체의 평균면적은 거창화강암(3.69) < 합천화강암(6.38)의 순이며, 합천화강암의 평균면적이 크다. 반면에 3개 공시체별 이방성 계수(%)는 합천화강암(84.3%) < 거창화강암(215.7%)의 순이며, 거창화강암의 이방성 계수가 높다. The average area of the three specimens is Geochang granite (3.69) and Hapcheon granite (6.38), and the average area of Hapcheon granite is large. On the other hand, the anisotropy coefficient (%) of the three specimens is in the order of Hwacheon granite (84.3%) <Geochang granite (215.7%), and Geochang granite has high anisotropy coefficient.

5. 삼각형 CEF의 면적변화5. Area change of triangle CEF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3개 공시체별 ΔCEF의 면적은 -1 > -2 > 3의 순이며, 공통적으로 음의 지수함수의 형태로 감소한다. 합천화강암의 지수함수의 기울기가 낮다.The area of ΔCEF for three specimens of Geochang and Hapcheon granite is in the order of -1> -2> 3, and decreases in the form of negative exponential function. The slope of the exponential function of Hacchae granite is low.

3개 공시체의 평균면적은 거창화강암(2.88) < 합천화강암(3.46)의 순이며, 합천화강암의 평균면적이 크다. 반면에 3개 공시체별 이방성 계수(%)는 합천화강암(59.0%) < 거창화강암(143.2%)의 순이며, 거창화강암의 이방성 계수가 높다. 이러한 특성은 ΔCC'G의 면적변화의 경우와 동일하다.The average area of the three specimens is Geochang granite (2.88) and Hapcheon granite (3.46), and the average area of Hapcheon granite is large. On the other hand, the anisotropy coefficient (%) of three specimens is in order of Hwacheon granite (59.0%) and Geochang granite (143.2%), and Geochang granite has high anisotropy coefficient. This characteristic is the same as the case of the area change of? CC'G.

6. 차변형율(구간 Ⅳ-2의 세로 폭)6. Primary strain (longitudinal extent of section IV-2)

거창화강암의 차변형율은 -1(1434) → -2(840)(감소), -2(840) → -3(3485)(증가)한다. 합천화강암에서도 -1(1086) → -2(922)(감소), -2(922) → -3(976)(증가)한다. 두 암석의 공시체 사이의 공통적인 규칙성을 도출하였다. The strain rate of geochemical granite is -1 (1434) → -2 (840) (decrease), -2 (840) → -3 (3485) In Hapcheon granite, -1 (1086) -2 (922) (decrease), -2 (922) -3 (976) increase. A common regularity between the specimens of the two rocks was derived.

암석별 3개 공시체의 차변형율의 평균치는 합천화강암(994) < 거창화강암(1919)의 순이다. 거창화강암의 차변형율이 크다.The mean value of the strain rate of the three specimens of each rock is Hapcheon granite (994) and Geochang granite (1919). Geochang granite has large car strain rate.

7. 차응력(구간 Ⅳ-2의 가로 폭)7. Secondary stress (width of section IV-2)

거창화강암의 차응력은 -1(87) → -2(101)(증가), -2(101) → -3(47)(감소)한다. 합천화강암에서도 -1(104) → -2(116)(증가), -2(116) → -3(95)(감소)한다. 두 암석의 공시체 사이의 공통적인 규칙성을 도출하였다. 응력의 방향과 수평 배열하는 수직 결의 밀도가 가장 높은 3 공시체에서 차응력이 공통적으로 가장 낮다. The differential stress of geochemical granite is -1 (87) - 2 (101) (increase), -2 (101) - 3 (47) In Hapcheon granite, it decreases from -1 (104) to -2 (116) (increase), -2 (116) to -3 (95) A common regularity between the specimens of the two rocks was derived. In the three specimens having the highest density of vertical grains arranged horizontally and in the direction of stress, the differential stress is the lowest in common.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차변형율과 차응력의 관계를 보면, -1 → -2(감소 및 증가), -2 → -3(증가 및 감소)한다. 상호 반비례의 규칙성을 도출하였다. 즉 구간 Ⅳ-2의 세로 폭(차변형율)은 -2가 낮은 반면, 가로 폭(차응력)은 -2가 높은 공통성을 도출하였다.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l strain and differential stress of Geochang and Hapcheon granite is -1 → -2 (decrease and increase), -2 → -3 (increase and decrease). And inversely proportional regularities were derived. In other words, the vertical width (differential strain) of section IV-2 is low, while the horizontal width (differential stress) is high.

차응력의 평균치를 보면, 거창화강암(78) < 합천화강암(105)의 순이며, 합천화강암의 차응력이 보다 크다.The average value of the secondary stresses is in the order of Geocang granite (78) <Hwacheon granite (105), and the shear stress of Hacchae granite is larger.

8. 원점과 체적변형율 곡선상의 각 지점 사이의 길이 변화8. Change in the length between the origin and each point on the volume strain curve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3개 공시체별 5개 직선의 길이의 영역을 보면, -3(하위영역) < -2(중위영역) > 1(상위영역)의 순으로 배열하는 공통적인 규칙성을 도출하였다.When we look at the length of five straight lines of three specimens of Geochang and Hapcheon granite, we found a common regularity in order of -3 (subregion) <-2 (middle region)> 1 (upper region) .

3개 공시체별 이방성 계수(%)는 합천화강암(하위영역) < 거창화강암(상위영역)의 순이며, 거창화강암의 이방성 계수가 높다. The anisotropy coefficient (%) of three specimens is in order of Hwacheon granite (lower area) <Geochang granite (upper area), and Geochang granite has high anisotropy coefficient.

9. 원점과 체적변형율 곡선상의 각 지점의 각도 변화9. Angular variation of each point on the origin and volume strain curve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각도 변화를 보면, -1에서는 α1 → α2 → α3(감소), α3 → α4(증가), α4 →α5(감소)하는 공통적인 규칙성을 도출하였다. 두 암석의 3개 공시체 중, -2, -3에서는 규칙성이 결여된다.From the angular changes of Geochang and Hapcheon granites , we obtained a common regularity that α 1 → α 2 → α 3 (decrease), α 3 → α 4 (increase) , α 4 → α 5 (decrease) . Of the three specimens of the two rocks, -2 and -3 lack regularity.

5개 각에 대한 이방성 계수(%)는 합천화강암(하부영역) < 거창화강암(상부영역)의 순이다. 거창화강암의 이방성 계수가 높다.The anisotropy coefficient (%) for the five angles is in the order of Hapcheon granite (lower area) and Geochang granite (upper area). The anisotropy coefficient of geochang granite is high.

두 암석의 이방성 계수(%)는 α1 → α2(감소), α2 → α3(증가), α3 → α4(감소), α4 → α5(증가)하는 공통적인 규칙성을 도출하였다.The anisotropy coefficient (%) of two rocks has a common regularity of α 1 → α 2 (decrease), α 2 → α 3 (increase), α 3 → α 4 (decrease) , and α 4 → α 5 Respectively.

이상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박편사진을 통한 미세균열의 평가 결과와 병행, 체적 변형율 곡선 상에서 획득한 다양한 판별 요소와 상호 대비하였다. 이러한 대비를 통하여 거창 및 합천화강암의 3개 채석면을 공통적으로 대변하는 주요 판별요소를 도출하였다.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microcracks through the photographs of the geochang and Hacheon granite slabs were compared with the various discriminant factors obtained on the concurrent and volumetric strain curves. From these contrasts, we have derived major discriminant factors which commonly represent the three quarries of Geochang and Hapcheon granite.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삭제delete 화강암으로부터 정방형 암석블록을 채취하는 암석블록 채취 단계;
상기 암석블록을 3개 결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표면을 절단하는 암석블록 표면 절단 단계;
상기 암석블록을 다수의 정방형 암석시료로 분할하는 암석블록 분할 단계;
상기 암석시료에서 3개 결의 면과 수직방향으로 각각의 코어 공시체를 제작하는 코어 공시체 제작 단계;
상기 코어 공시체들에 대하여 응력을 인가하는 응력 인가 단계; 및
상기 코어 공시체들에 가해진 응력에 따른 역학적 반응을 측정하고 결별로 체적변형율(εv)을 산출해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을 구하며,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을 통해 암석 파괴 과정을 4 단계의 강도 구간(Ⅰ, Ⅱ, Ⅲ 및 Ⅳ)으로 구분하고, 4 단계의 강도 구간 중 Ⅳ 단계의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직선의 형태를 갖는 선형 구간을 Ⅳ-2 구간으로 구분하여 해당 Ⅳ-2 구간에서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3개 결의 면에 대한 상대적인 강도를 평가하는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직선의 형태를 갖는 선형 구간인 Ⅳ-2 구간이 배열되는 위치가 우측에 위치할수록 해당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암의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결의 평가 방법.
A rock block sampling step for obtaining a square block of rock from the granite;
A rock block surface cutting step for cutting the surface of the rock block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ree pitting surfaces;
A rock block dividing step of dividing the rock block into a plurality of square rock samples;
A core specimen manufacturing step of fabricating respective core specime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ee crystal faces of the rock specimen;
A stress applying step of applying stress to the core specimens; And
The stress-strain curves of the core specimens are measured, and the volume strain rate (ε v ) is calculated to determine a stress-volume strain curve. The rock fracture process is divided into four strength sections (Ⅰ, Ⅱ, Ⅲ and Ⅳ), and the linear section with the shape of a straight line is divided into Ⅳ-2 sections in the stress-volume strain curve of step Ⅳ among the strength sections of the 4th step, - a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three texture surfaces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lume strain curves; / RTI &gt;
In the texture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grains is evaluated to be lower as the position of the section of the line IV-2, which is a linear section having the shape of a straight line in the stress-strain curve,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Evaluation method of determination.
화강암으로부터 정방형 암석블록을 채취하는 암석블록 채취 단계;
상기 암석블록을 3개 결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표면을 절단하는 암석블록 표면 절단 단계;
상기 암석블록을 다수의 정방형 암석시료로 분할하는 암석블록 분할 단계;
상기 암석시료에서 3개 결의 면과 수직방향으로 각각의 코어 공시체를 제작하는 코어 공시체 제작 단계;
상기 코어 공시체들에 대하여 응력을 인가하는 응력 인가 단계; 및
상기 코어 공시체들에 가해진 응력에 따른 역학적 반응을 측정하고 결별로 체적변형율(εv)을 산출해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을 구하며,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을 통해 암석 파괴 과정을 4 단계의 강도 구간(Ⅰ, Ⅱ, Ⅲ 및 Ⅳ)으로 구분하고, 4 단계의 강도 구간 중 Ⅳ 단계의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직선의 형태를 갖는 선형 구간을 Ⅳ-2 구간으로 구분하여 해당 Ⅳ-2 구간에서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3개 결의 면에 대한 상대적인 강도를 평가하는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구간 Ⅳ-2의 초기점(C)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한 세로 선 그리고 Ⅰ 단계의 끝 지점인 σ1 c에 해당되는 가로 선과의 교점(A')의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교점(A')의 Ⅱ 구간의 초기점(A)를 기준으로 초기점(A)의 좌측에 위치하는 결에 대하여 해당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암의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결의 평가 방법.
A rock block sampling step for obtaining a square block of rock from the granite;
A rock block surface cutting step for cutting the surface of the rock block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ree pitting surfaces;
A rock block dividing step of dividing the rock block into a plurality of square rock samples;
A core specimen manufacturing step of fabricating respective core specime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ee crystal faces of the rock specimen;
A stress applying step of applying stress to the core specimens; And
The stress-strain curves of the core specimens are measured, and the volume strain rate (ε v ) is calculated to determine a stress-volume strain curve. The rock fracture process is divided into four strength sections (Ⅰ, Ⅱ, Ⅲ and Ⅳ), and the linear section with the shape of a straight line is divided into Ⅳ-2 sections in the stress-volume strain curve of step Ⅳ among the strength sections of the 4th step, - a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three texture surfaces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lume strain curves; / RTI &gt;
In the texture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The stress-movement of the intersection point (A ') of the vertical lines and horizontal lines corresponding to the end points of σ 1 c of Ⅰ step extending volume strain curve in the X-axis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int (C) of the section Ⅳ-2 path And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grains is evaluated to be low with respect to the grain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initial point (A) based on the initial point (A) of the section II of the intersection (A '). Method of evaluation of resolution using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화강암으로부터 정방형 암석블록을 채취하는 암석블록 채취 단계;
상기 암석블록을 3개 결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표면을 절단하는 암석블록 표면 절단 단계;
상기 암석블록을 다수의 정방형 암석시료로 분할하는 암석블록 분할 단계;
상기 암석시료에서 3개 결의 면과 수직방향으로 각각의 코어 공시체를 제작하는 코어 공시체 제작 단계;
상기 코어 공시체들에 대하여 응력을 인가하는 응력 인가 단계; 및
상기 코어 공시체들에 가해진 응력에 따른 역학적 반응을 측정하고 결별로 체적변형율(εv)을 산출해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을 구하며,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을 통해 암석 파괴 과정을 4 단계의 강도 구간(Ⅰ, Ⅱ, Ⅲ 및 Ⅳ)으로 구분하고, 4 단계의 강도 구간 중 Ⅳ 단계의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직선의 형태를 갖는 선형 구간을 Ⅳ-2 구간으로 구분하여 해당 Ⅳ-2 구간에서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3개 결의 면에 대한 상대적인 강도를 평가하는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구간 Ⅳ-2의 초기점(C) 그리고 Ⅱ 단계의 끝 지점(B)를 연장하여 X축과 만나는 점(G)을 연결한 직선(C-B-G)의 θ 각을 분석하여, θ 각이 작을수록 해당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암의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결의 평가 방법.
A rock block sampling step for obtaining a square block of rock from the granite;
A rock block surface cutting step for cutting the surface of the rock block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ree pitting surfaces;
A rock block dividing step of dividing the rock block into a plurality of square rock samples;
A core specimen manufacturing step of fabricating respective core specime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ee crystal faces of the rock specimen;
A stress applying step of applying stress to the core specimens; And
The stress-strain curves of the core specimens are measured, and the volume strain rate (ε v ) is calculated to determine a stress-volume strain curve. The rock fracture process is divided into four strength sections (Ⅰ, Ⅱ, Ⅲ and Ⅳ), and the linear section with the shape of a straight line is divided into Ⅳ-2 sections in the stress-volume strain curve of step Ⅳ among the strength sections of the 4th step, - a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three texture surfaces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lume strain curves; / RTI &gt;
In the texture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The initial angle (C) of the section IV-2 and the end point (B) of the section II were extended in the stress-volume strain curve to analyze the angle of the straight line CBG connecting the point G , and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texture is evaluated to be lower as the angle of theta is smaller.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texture us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volume strain curve of the granite.
화강암으로부터 정방형 암석블록을 채취하는 암석블록 채취 단계;
상기 암석블록을 3개 결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표면을 절단하는 암석블록 표면 절단 단계;
상기 암석블록을 다수의 정방형 암석시료로 분할하는 암석블록 분할 단계;
상기 암석시료에서 3개 결의 면과 수직방향으로 각각의 코어 공시체를 제작하는 코어 공시체 제작 단계;
상기 코어 공시체들에 대하여 응력을 인가하는 응력 인가 단계; 및
상기 코어 공시체들에 가해진 응력에 따른 역학적 반응을 측정하고 결별로 체적변형율(εv)을 산출해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을 구하며,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을 통해 암석 파괴 과정을 4 단계의 강도 구간(Ⅰ, Ⅱ, Ⅲ 및 Ⅳ)으로 구분하고, 4 단계의 강도 구간 중 Ⅳ 단계의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직선의 형태를 갖는 선형 구간을 Ⅳ-2 구간으로 구분하여 해당 Ⅳ-2 구간에서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3개 결의 면에 대한 상대적인 강도를 평가하는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구간 Ⅳ-2의 초기점(C)를 연장하여 X축과 만나는 점(C')을 연결하는 직선(C-C')을 구하고, 구간 Ⅳ-2의 초기점(C)과 Ⅱ 단계의 끝 지점(B)를 연장하여 X축과 만나는 점(G)을 연결한 직선(C-B-G)을 구하며, 상기 두 직선(C-C', C-B-G)에 의하여 분할되는 X축의 C' 및 G를 연결한 직선(C'-G)을 구한 후, 상기 3개 직선(C-C', C-B-G, C'-G)으로 포획된 직각 삼각형(ΔCC'G)의 면적비를 분석하여, 면적비가 클수록 해당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암의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결의 평가 방법.
A rock block sampling step for obtaining a square block of rock from the granite;
A rock block surface cutting step for cutting the surface of the rock block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ree pitting surfaces;
A rock block dividing step of dividing the rock block into a plurality of square rock samples;
A core specimen manufacturing step of fabricating respective core specime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ee crystal faces of the rock specimen;
A stress applying step of applying stress to the core specimens; And
The stress-strain curves of the core specimens are measured, and the volume strain rate (ε v ) is calculated to determine a stress-volume strain curve. The rock fracture process is divided into four strength sections (Ⅰ, Ⅱ, Ⅲ and Ⅳ), and the linear section with the shape of a straight line is divided into Ⅳ-2 sections in the stress-volume strain curve of step Ⅳ among the strength sections of the 4th step, - a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three texture surfaces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lume strain curves; / RTI &gt;
In the texture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A straight line C-C 'connecting the initial point C of the section IV-2 and connecting the point C' that meets the X axis is obtained from the stress-strain curve of the section IV-2, C) and an end point (B) of the step II to extend a straight line CBG connecting points G to meet with the X axis, (C'-G) obtained by connecting the three straight lines (C-C ', CBG and C'-G) are analyzed and the area ratio of the right triangle (? CC'G) captured by the three straight lines And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grains is evaluated to be lower as the area ratio is larger.
화강암으로부터 정방형 암석블록을 채취하는 암석블록 채취 단계;
상기 암석블록을 3개 결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표면을 절단하는 암석블록 표면 절단 단계;
상기 암석블록을 다수의 정방형 암석시료로 분할하는 암석블록 분할 단계;
상기 암석시료에서 3개 결의 면과 수직방향으로 각각의 코어 공시체를 제작하는 코어 공시체 제작 단계;
상기 코어 공시체들에 대하여 응력을 인가하는 응력 인가 단계; 및
상기 코어 공시체들에 가해진 응력에 따른 역학적 반응을 측정하고 결별로 체적변형율(εv)을 산출해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을 구하며,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을 통해 암석 파괴 과정을 4 단계의 강도 구간(Ⅰ, Ⅱ, Ⅲ 및 Ⅳ)으로 구분하고, 4 단계의 강도 구간 중 Ⅳ 단계의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직선의 형태를 갖는 선형 구간을 Ⅳ-2 구간으로 구분하여 해당 Ⅳ-2 구간에서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3개 결의 면에 대한 상대적인 강도를 평가하는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구간 Ⅳ-2의 초기점(C)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체적 변형율 곡선과 만나는 점(F)을 연결한 직선(C-F)을 구하고, 구간 Ⅳ-2의 초기점(C)과 Ⅲ 단계와 Ⅳ 단계의 변곡점(E)을 연결한 직선(C-E)을 구하며, 점(E) 그리고 구간 Ⅳ-2의 초기점(C)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체적 변형율 곡선과 만나는 점(F)을 상호 연결한 직선(E-F)을 구한 후, 상기 3개 직선(C-F, C-E, E-F)으로 포획된 삼각형(ΔCEF)의 면적을 분석하여, 면적이 넓을수록 해당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암의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결의 평가 방법.
A rock block sampling step for obtaining a square block of rock from the granite;
A rock block surface cutting step for cutting the surface of the rock block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ree pitting surfaces;
A rock block dividing step of dividing the rock block into a plurality of square rock samples;
A core specimen manufacturing step of fabricating respective core specime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ee crystal faces of the rock specimen;
A stress applying step of applying stress to the core specimens; And
The stress-strain curves of the core specimens are measured, and the volume strain rate (ε v ) is calculated to determine a stress-volume strain curve. The rock fracture process is divided into four strength sections (Ⅰ, Ⅱ, Ⅲ and Ⅳ), and the linear section with the shape of a straight line is divided into Ⅳ-2 sections in the stress-volume strain curve of step Ⅳ among the strength sections of the 4th step, - a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three texture surfaces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lume strain curves; / RTI &gt;
In the texture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CF) extending from the initial point (C) of the section IV-2 to the point of intersection of the volume strain curve and the point of intersection (F) at the initial point (C) of the section IV-2 in the stress- C) and the inflection point (E) of the stage III and IV are obtained. The point (E) and the point of intersection with the volume strain curv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initial point (C) And the area of the triangle (? CEF) captured by the three straight lines (CF, CE, EF) is analyzed after calculating a straight line EF interconnected with the reference line F. The wider the area, Wherein said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3개 직선(C-F, C-E, E-F)으로 포획된 삼각형(ΔCEF)의 면적비를 분석하여, 면적비가 클수록 해당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암의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결의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rea ratio of the triangle (? CEF) captured by the three straight lines (CF, CE, EF) is analyzed and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grains is evaluated as being lower as the area ratio is larger. Assessment Methods.
화강암으로부터 정방형 암석블록을 채취하는 암석블록 채취 단계;
상기 암석블록을 3개 결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표면을 절단하는 암석블록 표면 절단 단계;
상기 암석블록을 다수의 정방형 암석시료로 분할하는 암석블록 분할 단계;
상기 암석시료에서 3개 결의 면과 수직방향으로 각각의 코어 공시체를 제작하는 코어 공시체 제작 단계;
상기 코어 공시체들에 대하여 응력을 인가하는 응력 인가 단계; 및
상기 코어 공시체들에 가해진 응력에 따른 역학적 반응을 측정하고 결별로 체적변형율(εv)을 산출해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을 구하며,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을 통해 암석 파괴 과정을 4 단계의 강도 구간(Ⅰ, Ⅱ, Ⅲ 및 Ⅳ)으로 구분하고, 4 단계의 강도 구간 중 Ⅳ 단계의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직선의 형태를 갖는 선형 구간을 Ⅳ-2 구간으로 구분하여 해당 Ⅳ-2 구간에서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3개 결의 면에 대한 상대적인 강도를 평가하는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결의 정량적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X축과 Y축의 교점(O)에서 체적변형율 곡선상의 각 단계별(Ⅰ, Ⅱ, Ⅲ, Ⅳ-1, Ⅳ-2) 지점을 연결한 5개의 직선 OA, 0B, 0E, 0C, 0D의 길이(L1, L2, L3, L4, L5)를 측정해 분석하여, 5개 직선의 길이가 길수록 해당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암의 체적 변형율 곡선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결의 평가 방법.
A rock block sampling step for obtaining a square block of rock from the granite;
A rock block surface cutting step for cutting the surface of the rock block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ree pitting surfaces;
A rock block dividing step of dividing the rock block into a plurality of square rock samples;
A core specimen manufacturing step of fabricating respective core specime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ee crystal faces of the rock specimen;
A stress applying step of applying stress to the core specimens; And
The stress-strain curves of the core specimens are measured, and the volume strain rate (ε v ) is calculated to determine a stress-volume strain curve. The rock fracture process is divided into four strength sections (Ⅰ, Ⅱ, Ⅲ and Ⅳ), and the linear section with the shape of a straight line is divided into Ⅳ-2 sections in the stress-volume strain curve of step Ⅳ among the strength sections of the 4th step, - a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three texture surfaces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lume strain curves; / RTI &gt;
In the texture quantitative evaluation step,
In the stress-strain curve, five straight lines OA, 0B, and 0E connecting points (I, II, III, IV-1 and IV-2) on the volume strain curve at the intersection O between the X and Y axes (L 1 , L 2 , L 3 , L 4 , and L 5 ) of 0C and 0D are measured and analyzed to evaluate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grains to a lower value as the length of the five straight lines becomes longer Evaluation method of resolution using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train curves.
KR1020140193611A 2014-12-30 2014-12-30 Evaluation method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olumetric strain curve for granite KR1015379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611A KR101537955B1 (en) 2014-12-30 2014-12-30 Evaluation method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olumetric strain curve for gran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611A KR101537955B1 (en) 2014-12-30 2014-12-30 Evaluation method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olumetric strain curve for grani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955B1 true KR101537955B1 (en) 2015-07-20

Family

ID=5387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611A KR101537955B1 (en) 2014-12-30 2014-12-30 Evaluation method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olumetric strain curve for grani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95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788B1 (en) * 2016-12-16 2017-05-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Evaluation method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of brazilian tensile strengths
KR101847079B1 (en) 2017-01-04 2018-04-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ethod for estimating in-situ stress in rock mass using core damage
CN112213179A (en) * 2019-07-09 2021-01-12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rigidity of bedding surface of underground sha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968B1 (en) * 2012-12-11 2013-07-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Evaluation method for magnitude of rock cleavage using microcrack
KR101450504B1 (en) * 2014-04-25 2014-10-1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Evaluation method for three quarrying planes using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968B1 (en) * 2012-12-11 2013-07-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Evaluation method for magnitude of rock cleavage using microcrack
KR101450504B1 (en) * 2014-04-25 2014-10-1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Evaluation method for three quarrying planes using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005.09) *
논문(2005.09)*
논문(2010.02)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788B1 (en) * 2016-12-16 2017-05-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Evaluation method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of brazilian tensile strengths
KR101847079B1 (en) 2017-01-04 2018-04-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ethod for estimating in-situ stress in rock mass using core damage
CN112213179A (en) * 2019-07-09 2021-01-12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rigidity of bedding surface of underground shale
CN112213179B (en) * 2019-07-09 2024-03-26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surface rigidity of underground shale la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504B1 (en) Evaluation method for three quarrying planes using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
Haimson Micromechanisms of borehole instability leading to breakouts in rocks
Huang et al. Pore structure change and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deterioration of sandstone suffering freeze-thaw actions
Zhu et al. Mixed mode fracture parameters and fracture characteristics of diorite using cracked straight through Brazilian disc specimen
Barone et al. Microtextural and microstructural influence on the changes of physical and mechanical proprieties related to salts crystallization weathering in natural building stones. The example of Sabucina stone (Sicily)
KR101503219B1 (e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rock cleavage by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
Tian et al. Cracking behavior of three types granite with different grain size containing two non-coplanar fissures under uniaxial compression
KR101537955B1 (en) Evaluation method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olumetric strain curve for granite
CN111520135B (en) Shale self-supporting fracture initial flow conductivity prediction method
CN113935101B (en) Method for evaluating rock burst local damage inferiority based on nano indentation experiment
Zheng et al.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es on fracture toughness for bedded shale using the centrally cracked Brazilian disk method with acoustic emission monitoring
Xiu et al. Shear behavior and damage evolution of the interface between rough rock and cemented tailings backfill
Yin et al. Mechanical behavior and failure analysis of granite specimens containing two orthogonal fissures under uniaxial compression
Huang et al. Fracture behavior of cylindrical sandstone specimens with two pre-existing flaws: experimental investigation and PFC3D simulation
Zhao et al. A new discrete element model for rock-like materials
Su et al. Mechanical behavior and failure characteristics of double-layer composite rock-like specimens with two coplanar joints under uniaxial loading
Dong et al. Strain field evolution and crack coalescence mechanism of composite strength rock-like specimens with sawtooth interface
Alber et al. Investigation of a limestone pillar failure part 1: geology, laboratory testing and numerical modeling
Ozol —Shape, Surface Texture, Surface Area, and Coatings
Woo et al. Influence of weathering on shear strength of joints in a porphyritic granite rock mass in Jechon area, South Korea
Ferestade et al. Fracture toughness estimation of ballast stone used in Iranian railway
Sengun et al. Assessment of the physical and mechanical variations of some travertines depend on the bedding plane orientation under physical weathering conditions
Zengin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pore-fracture relationship on failure behaviour of porous rock materials
Nie et al. Determination of the Thickness and Fracture Toughness of Shale Interfacial Transition Zone Near Various Micromineral Aggregates Using Nano-Scratch Tests
Zhou et al. Progressive failure process of anisotropic rock: insight from full-field strain ev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