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35483B1 -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483B1
KR101535483B1 KR1020080034860A KR20080034860A KR101535483B1 KR 101535483 B1 KR101535483 B1 KR 101535483B1 KR 1020080034860 A KR1020080034860 A KR 1020080034860A KR 20080034860 A KR20080034860 A KR 20080034860A KR 101535483 B1 KR101535483 B1 KR 101535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er
making
full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9420A (ko
Inventor
이동훈
김용수
정경한
서광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48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4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4Rotating 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는 냉장고에 배치되어,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기에 있어서, 얼음 제조 유닛이 배치되는 제빙기 몸체; 상기 제빙기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기에서 이빙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 감지 센서; 및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상기 제빙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 유닛;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의하면, 회동 유닛에 의해 만빙 감지 센서가 제빙기 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정확한 감지를 위해 얼음 수용 용기와 내측에 배치되는 만빙 감지 센서가 얼음 수용 용기의 이동 시에 그러한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회동 유닛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얼음 수용 용기 내의 만빙 여부 및/또는 얼음의 양을 정확하게 감지하면서도, 얼음 수용 용기의 착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빙 감지, 회동 유닛, 가요성 부분

Description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Full ice detecting apparatus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 등을 냉장 또는 냉동시켜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에는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인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이 수용되는 아이스 뱅크가 설치될 수 있다.
최근에는 수요 증가에 따라 냉장고에 제빙기 및 아이스 뱅크가 설치되는 예가 많다. 이러한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이 아이스 뱅크로 낙하되어, 아이스 뱅크 내에 쌓이게 된다.
종래의 냉장고 제빙기에 있어서는, 제빙기의 제어부에 연결된 만빙 감지 레버를 이용하여, 아이스 뱅크 내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였다. 즉, 종래에는 기구적인 구조물에 의하여, 아이스 뱅크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였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는 그에 연결된 스프링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된 상태에 있고, 얼음이 아이스 뱅크 내에 차오르는 만큼 상승하는 구조였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가 얼음에 의해 소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만빙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만빙 감지 방식에 의하면, 만빙 감지 레버의 회동부가 얼어버리는 경우 등 만빙 감지 레버의 기구적인 동작이 수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만빙 감지 레버가 제대로 동작되지 아니하므로, 아이스 뱅크 내의 만빙 여부가 제대로 감지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아이스 뱅크 내가 만빙된 후에도 얼음이 계속 공급되어, 아이스 뱅크 외부로 얼음이 넘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빙기에서 이빙된 얼음의 만빙 여부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는 냉장고에 배치되어,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기에 있어서,
얼음 제조 유닛이 배치되는 제빙기 몸체; 상기 제빙기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기에서 이빙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 감지 센서; 및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상기 제빙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 유닛은 상기 제빙기 몸체와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 축과, 상기 회동 축이 삽입되는 축 삽입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동 유닛은 회동된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동 유닛은 상기 제빙기 몸체와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요성의(flexible)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의하면, 회동 유닛에 의해 만빙 감지 센서가 제빙기 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정확한 감지를 위해 얼음 수용 용기와 내측에 배치되는 만빙 감지 센서가 얼음 수용 용기의 이동 시에 그러한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회동 유닛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얼음 수용 용기 내의 만빙 여부 및/또는 얼음의 양을 정확하게 감지하면서도, 얼음 수용 용기의 착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의하면, 발신부가 가요성 부분에 의해 제빙기 몸체와 연결되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면 가요성 부분이 변형되면서 발신부가 회동될 수 있으므로, 회동 유닛의 구조가 간단해지면서도, 얼음 수용 용기의 착탈이 발신부에 의해 방해되지 아니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의하면, 만빙 감지 센서가 제빙기 몸체에 배치되어, 제빙기에서 이빙되어 얼음 수용 용기 내부에 쌓인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므로, 기구적인 만빙 감지 레버 등에 의해 만빙 여부를 감지할 때 그러한 만빙 감지 레버의 회동부가 얼어서 만빙 여부가 제대로 감지되지 아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얼음 수용 용기 내부의 만빙 여부가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의하면, 만빙 감지 센서의 감지 높이가 얼음 수용 용기의 상단과 소정의 높이차를 가지는 얼음 수용 용기의 만빙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만빙 감지 센서에 의해, 얼음 수용 용기 내의 만빙 여부가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면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냉장고(10)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기기로서, 영상의 온도에서 음식물이 차게 보관되는 냉장실(11)과, 영하의 온도에서 얼음 등과 같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냉동실(12)과, 상기 냉동실(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기(100)와, 상기 제빙기(100)에서 제조되는 얼음이 축적 보관되는 얼음 수용 용기(180)와,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에 보관되는 얼음이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적절히 공급되도록 하는 디스펜서(190)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냉장고(10)에는 냉동 사이클을 이루기 위한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 등의 부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11) 및 상기 냉동실(12)은 각각 냉장실 도어(13) 및 냉동실 도어(14)에 의해 외부에 대하여 개폐된다.
상기 제빙기(100)와 관련되는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제빙기(100)로 적절한 양의 물이 급수된 뒤에, 상기 제빙기(100)로 냉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된 냉기에 의해서 상기 제빙기(100)에서 얼음이 제조된 뒤에는, 상기 제빙기(100)의 자체적인 동작에 의해서 얼음이 분리되어 얼음 수 용 용기(180)로 낙하되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에 수용된 얼음이 사용자가 요구할 때마다, 원하는 양만큼 디스펜서(190)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 제빙기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 제빙기에 대한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얼음이 제조되는 물품으로서, 외부로부터 물이 급수되는 급수부(107)와, 얼음이 제빙되는 제빙실(104)과, 상기 제빙실(104)의 내부에서 제조된 얼음이 분리되는 이젝터(105)와, 상기 이젝터(105)가 회전되도록 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제빙기 몸체(101)가 포함된다.
상기 제빙실(104)의 후방에는 제빙기(100)가 냉장고의 내부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102)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도면번호 103은 상기 안착부(102)가 냉장고 내부에 안착되도록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홀이다.
상기 제빙기 몸체(101)의 외측으로는 회전운동되는 축이 연장된다. 상기 축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이젝터(105)가 연장되어, 상기 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이젝터(105)가 회전되면서, 얼음을 퍼 올린다.
상기 제빙실(104)의 상측에는 상기 이젝터(105)에 의해서 퍼 올려진 얼음이 얼음 수용 용기(180)로 안내되어 낙하되도록 하는 세퍼레이터(106)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부(107), 상기 제빙실(104), 상기 이젝터(105) 등은 상기 제빙기(100) 내에서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구성들로, 얼음 제조 유닛으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얼음 제조 유닛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구성에 다른 구성 요소가 더 부가될 수도 있고, 상기 구성 요소 중 일부가 삭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빙실(104)의 하측에는 얼음과 제빙실(104) 내부면의 계면이 상호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열이 인가되는 제빙 히터(140)가 설치된다. 상기 제빙 히터(140)는 상기 제빙기 몸체(11) 내에서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빙 히터(140)의 하측에는 히터 받침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히터 받침부(130)는 상기 제빙기 몸체(101)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터 받침부(130)는 상기 제빙기 몸체(101)와 함께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 유닛(200)을 통해 제빙기 몸체(101)에 발신부(121)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회동 유닛(200)에 대응되도록 상기 히터 받침부(130)의 연장된 부분에는 수신부(123)가 설치된다. 상기 발신부(121)와, 상기 수신부(123)에는 서로 대면되어, 신호를 수발신하는 발신기(122)와, 수신기(124)가 배치된다.
상기 발신부(121)와, 상기 수신부(123)는 서로 신호를 수발신하면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므로, 만빙 감지 센서(120)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만빙 감지 센서(120)로는 적외선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는 상기 제빙기 몸체(101)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 기(100)에서 이빙되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에 쌓인 얼음의 만빙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만빙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의 발신부(121)는 하방으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발신부(121)의 하부에 상기 발신기(122)가 설치된다. 상기 발신기(122)의 설치 높이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만빙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여기서는 상기 발신기(122)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수신부(123) 및 상기 수신기(124)의 높이도 상기 발신부(121) 및 상기 발신기(122)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의 감지 높이가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상단(181)과 소정의 높이차(h)를 가지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만빙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에 의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만빙 여부가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의 발신부(121) 및 수신부(123)는 상기 제빙기 몸체(101)에서 얼음이 이빙되는 통로인 이빙 출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그러면,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는 상기 이빙 출구를 가로질러 적외선을 수발신하면서,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의 발신부(121)를 상기 제빙기 몸체(10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의 수신부(123)에도 상기 회동 유닛(200)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동 유닛(200)은 상기 제빙기 몸체(101)와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의 발신부(121)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 축(210)과, 상기 회동 축(210)이 삽입되는 축 삽입 홀(211)을 포함한다. 상기 축 삽입 홀(211)은 상기 제빙기 몸체(10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빙기 몸체(101)의 하단에는 회동 유닛 설치 홀(218)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 유닛 설치 홀(218)에 상기 축 삽입 홀(21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축 삽입 홀(211)에 상기 발신부(121)를 관통한 상기 회동 축(210)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발신부(121)가 상기 제빙기 몸체(10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동 유닛(200)은 다수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 유닛(200)은 상기 회동 축(210)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그와 반대되는 역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회동 유닛(200)은 탄성 부재인 스프링(212, 2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동 유닛 설치 홀(218)에서 상기 회동 축(210)의 양 측에는 그와 소정 거리로 각각 이격된 위치에 스프링 지지 돌기(214, 217)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지지 돌기(214, 217)를 중심으로 상기 스프링(212, 215)의 일 단은 상기 회동 유닛 설치 홀(218)의 상단부에 맞닿아 지지되고, 그 타 단은 상기 발신부(121) 쪽으로 향한다.
상기 스프링(212, 215)은 회동된 상기 발신부(121)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링(212, 215)는 각 회동 방향으로 회동된 상기 발신부(121)에 각각 그 회동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회동 유닛(200)은 상기 발신부(121)가 원위치되면 상기 발신부(121)로의 탄성력 제공이 중지되도록, 상기 스프링(212, 215)를 제한하는 스토퍼(213, 216)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212, 215)의 작동에 대하여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는 그 내부에 상기 제빙기(100)로부터 이빙된 얼음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하부에는 이송부(150)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부(150)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에 수용된 얼음을 순차적으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에서 이송시키고, 요구되는 적절한 크기로 분쇄시킨다.
상세히, 상기 이송부(150)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에 고정되는 고정 블레이드(155)와, 상기 고정 블레이드(15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되는 회전 블레이드(151)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가 연결되는 회전축(153)과, 상기 회전축(153)과 연결되는 모터(154)와, 얼음을 이송시키는 이송 블레이드(15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53)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이송 블레이드(152)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축(15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 및 상기 이송 블레이드(152)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블레이드(152)로는 나선 형상의 오거(auger)가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도면번호 160은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에서 얼음이 취출되는 출구이고, 도면번호 170은 상기 출구(160)를 통해 취출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190)로 안내되는 안내로이다.
이하에서 상기 제빙기(100), 상기 이송부(150) 등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소정 형상의 급수관에 의해서 안내되어 물이 상기 급수부(107)로 공급된다. 급수된 물은 제빙실(104)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빙실(104)에 영하의 냉기가 공급되어 제빙실(104) 내부에 수용된 물이 얼려진다.
상기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제빙실(104) 내부의 물이 완전히 얼려진 뒤에는 제빙기 몸체(101) 내부에 놓이는 소정의 구동기구에 의해서 이젝터(105)가 동작된다. 그러면, 상기 제빙실(104)의 내부에 얼려진 얼음이 제빙실(104)의 내주면을 따라서 퍼 올려진다.
여기서, 상기 이젝터(105)가 동작되기 전에 제빙 히터(140)에 의해서 상기 제빙실(104) 쪽으로 열이 가하여져서 얼음과 제빙실(104)의 접면이 상호 박리되도록 한다.
상기 이젝터(105)에 의해서 얼음이 퍼 올려진 뒤에는, 얼음이 상기 세퍼레이 터(106)에 의해서 안내되어 얼음 수용 용기(180)의 내부로 낙하되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에 축적된다.
상기되는 동작은 계속해서 반복 수행되는데, 반복 수행되는 동작 중에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내부에 얼음이 만 수용된 뒤에는,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에 의해서 얼음이 만 수용된 것이 감지되어 제빙기(100)의 동작이 정지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190)를 통해 사용자에게 얼음 공급이 요구되면, 상기 모터(154)가 구동되면서, 상기 모터(154)에 연결된 상기 회전축(153)이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 및 상기 이송 블레이드(152)가 함께 회전된다.
상기 이송 블레이드(152)가 회전되면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하부의 얼음이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 쪽으로 이송된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 쪽으로 안내된 얼음이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와 고정 블레이드(155) 사이에 물리게 되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의 미는 동작에 의해서 얼음이 분쇄된다.
상기와 같이 분쇄된 얼음은 상기 고정 블레이드(155)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출구(160)를 통하여 취출된다. 취출된 얼음은 상기 안내로(170)를 통해 낙하된다. 낙하된 얼음은 상기 디스펜서(19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만빙 전 상태를 감지하는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만빙 상태를 감지하는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빙기(100)에서 제빙된 얼음은 이빙되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로 낙하된다. 낙하된 얼음은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에서 축적된다.
이러한 얼음 축적이 계속되는 과정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빙 전이므로, 상기 발신기(122)에서 발신된 적외선이 상기 수신기(124)로 도달되고,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가 만빙 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얼음 축적이 계속되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만빙 높이까지 얼음이 차 오르게 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신기(122)에서 발신된 적외선이 상기 얼음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수신기(124)로 도달되지 못하고, 제어부에서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가 만빙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가 상기 제빙기 몸체(101)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기(100)에서 이빙되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에 쌓인 얼음의 만빙을 감지한다.
상기와 같이 만빙 감지 센서(120)에 의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의 얼음의 만빙 여부가 감지되므로, 기구적인 만빙 감지 레버 등에 의해 만빙 여부를 감지할 때 그러한 만빙 감지 레버의 회동부가 얼어서 만빙 여부가 제대로 감지되지 아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의 만빙 여부가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서 회동 유닛이 일 방향으로 회동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동 유닛이 다른 방향으로 회동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얼음 수용 용기(180)가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발신부(121)가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와 간섭된다. 그러면, 상기 발신부(121)는 상기 회동 축(210)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는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발신부(121)가 회동되면, 그 회동 방향에 위치된 스프링(212, 215)이 압축된다. 도 7에 도시된 방향에서는 그 방향의 스프링(212)이 압축되고, 도 8에 도시된 방향에서는 그 방향의 스프링(215)이 압축된다.
그 후,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가 착탈 완료되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와 상기 발신부(121)가 더 이상 간섭되지 아니하면, 상기 스프링(212, 215) 중 압축된 것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발신부(121)가 원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발신부(121)가 원 상태로 복귀되면, 상기 스프링(212, 215)은 상기 스토퍼(213, 216)에 각각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발신부(121)로의 힘 전달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발신부(121)가 원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회동 유닛에 의해 만빙 감지 센서가 제빙기 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정확한 감지를 위해 얼음 수용 용기와 내측에 배치되는 만빙 감지 센서가 얼음 수용 용기의 이동 시에 그러한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회동 유닛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얼음 수용 용기 내의 만빙 여부 및/또는 얼음의 양을 정확하게 감지하면서도, 얼음 수용 용기의 착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회동 유닛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 유닛(300)이 제빙기 몸체(101)와 만빙 감지 센서의 발신부(321)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요성의(flexible) 부분(310)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 유닛(300)은 상기 만빙 감지 센서의 수신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발신부(321)는 상기 가요성 부분(310)에 의해 상기 제빙기 몸체(101)와 연결된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요성 부분(310)이 변형되면서 상기 발신부(321)가 회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동 유닛(300)의 구조가 간단해지면서도,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착탈이 상기 발신부(321)에 의해 방해되지 아니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회동된 상기 발신부(321)는 중력에 의해 원위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회동 유닛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 유닛(400)이 가요성 부분(410)과, 스프링(431, 434)과, 스토퍼(432, 435)를 포함한다.
상기 발신부(421)는 상기 가요성 부분(410)에 의해 제빙기 몸체(10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얼음 수용 용기(180)의 착탈 시에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와의 접촉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가요성 부분(410)이 변형되면, 상기 발신부(421)가 회동된다.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착탈이 완료되면, 상기 스프링(431, 43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발신부(421)가 원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스프링(431, 434)의 작동은 상기 스토퍼(432, 435)에 의해 제한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의하면, 제빙기에서 이빙된 얼음의 만빙 여부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면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 제빙기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 제빙기에 대한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만빙 전 상태를 감지하는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만빙 상태를 감지하는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서 회동 유닛이 일 방향으로 회동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동 유닛이 다른 방향으로 회동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회동 유닛을 보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회동 유닛을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장고 100 : 제빙기
101 : 제빙기 몸체 120 : 만빙 감지 센서
121 : 발신부 123 : 수신부
130 : 히터 받침부 140 : 제빙 히터
150 : 이송부 180 : 얼음 수용 용기
200, 300, 400 : 회동 유닛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냉장고에 배치되어,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기에 있어서,
    얼음 제조 유닛이 배치되는 제빙기 몸체;
    상기 제빙기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기에서 이빙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 감지 센서; 및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상기 제빙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 유닛은 회동된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 유닛은 다수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동 유닛에 의해 각 회동 방향으로 회동된 상기 만빙 감지 센서에 각각 그 회동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6. 냉장고에 배치되어,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기에 있어서,
    얼음 제조 유닛이 배치되는 제빙기 몸체;
    상기 제빙기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기에서 이빙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 감지 센서; 및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상기 제빙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 유닛은 회동된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 유닛은 상기 만빙 감지 센서가 원위치되면 상기 만빙 감지 센서로의 탄성력 제공이 중지되도록, 상기 탄성 부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7. 냉장고에 배치되어,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기에 있어서,
    얼음 제조 유닛이 배치되는 제빙기 몸체;
    상기 제빙기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기에서 이빙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 감지 센서; 및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상기 제빙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 유닛은 상기 제빙기 몸체와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요성의(flexible)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회동된 상기 만빙 감지 센서는 중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유닛은 회동된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유닛은 상기 만빙 감지 센서가 원위치되면 상기 만빙 감지 센서로의 탄성력 제공이 중지되도록, 상기 탄성 부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20080034860A 2008-04-15 2008-04-15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Active KR101535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860A KR101535483B1 (ko) 2008-04-15 2008-04-15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860A KR101535483B1 (ko) 2008-04-15 2008-04-15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420A KR20090109420A (ko) 2009-10-20
KR101535483B1 true KR101535483B1 (ko) 2015-07-09

Family

ID=4155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860A Active KR101535483B1 (ko) 2008-04-15 2008-04-15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1385B (zh) 2017-12-15 2019-06-2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节能控制方法、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529A (ko) * 2001-09-06 2003-03-1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제빙기의 만빙감지장치
KR20050032246A (ko) * 2003-10-01 200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710222B1 (ko) * 2005-04-11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529A (ko) * 2001-09-06 2003-03-1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제빙기의 만빙감지장치
KR20050032246A (ko) * 2003-10-01 200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710222B1 (ko) * 2005-04-11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420A (ko) 2009-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571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만빙 감지 방법
KR101535481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456572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KR101535482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474439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KR101535484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US9239181B2 (en) Refrigerator with ice maker in freezing compartment and transfer device to ice bank in refrigerating compartment
EP1772688B1 (en) Detector for determining a complete filling of ice-cubes
KR101451659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EP1798500B1 (en) Icema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570755B1 (en) Refrigerator
KR20130138918A (ko) 냉장고
KR20140003207A (ko) 냉장고
KR101451658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WO2006083048A1 (en) Refrigerator
KR101535483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635222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090030689A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
KR101483028B1 (ko) 냉장고 제빙기의 제어 방법
KR20050026635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050041753A (ko) 만빙 감지장치
KR100688163B1 (ko) 만빙 감지 장치
KR100600724B1 (ko) 만빙 감지장치 및 그 감지 방법
KR20100002901A (ko) 제빙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33729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4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