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23533B1 - 자동화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화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533B1
KR101523533B1 KR1020140086111A KR20140086111A KR101523533B1 KR 101523533 B1 KR101523533 B1 KR 101523533B1 KR 1020140086111 A KR1020140086111 A KR 1020140086111A KR 20140086111 A KR20140086111 A KR 20140086111A KR 101523533 B1 KR101523533 B1 KR 101523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central manage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전드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전드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전드힐스
Priority to KR102014008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533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물류 관리 방법은, 물품 분류 장치가 입고되는 물품에 부착된 정보 태그를 태깅하여, 해당 물품을 출고 대상, 입주사 전송 대상, 창고 적재 대상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중앙 관리 서버에 분류 결과를 전송하는 제1단계 - 상기 정보 태그는 입주사 식별정보 및 물품 식별정보를 포함함 -; 상기 중앙 관리 서버가 상기 분류 결과 창고 적재 대상인 물품에 대해, 상기 정보 태그에 포함된 입주사 식별정보 및 물품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을 적재할 상기 입주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재 공간 내의 어느 하나의 섹터를 결정하는 제2단계; 제1컨베이어 장치가 상기 창고 적재 대상인 물품을 상기 입주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재 공간으로 상기 물품을 이송한 후, 제2컨베이어 장치가 상기 이송된 물품을 상기 중앙 관리 서버에 의해 결정된 섹터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제3단계; 상기 중앙 관리 서버가 입주사 단말로부터 상기 물품 식별정보 및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요청을 수신하는 제4단계; 상기 중앙 관리 서버가 창고에 적재된 물품 중 상기 수신된 배송 요청에 대응하는 물품을 해당 수량만큼 요청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 장치 및 제2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상기 물품을 상기 물품 분류 장치로 이송하는 제5단계; 및 상기 물품 분류 장치가 상기 중앙 관리 서버의 명령에 따라, 이송된 물품을 입주사 또는 출고 집하소로 이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화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AUTOMATIC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자동화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건물 내에 입주하는 여러 입주사 들에게 공동의 물류 및 창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물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총 5단계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발송인이 수하물의 배송을 물류 회사 측으로 요청하면, 1차적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물류 회사의 1차 집하소에서 발송지로 방문하고, 2차적으로 수하물을 집하하여 해당 1차 집하소로 수하물을 운송한다. 3차적으로, 1차 집하소로 모여진 수하물들은 집하소에 비해 광역 단위로 이루어진 허브 터미널로 운송된다. 허브 터미널에서는 수신지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지 별로 수하물을 분류하고, 4차적으로 각 수신지의 2차 집하소로 수하물을 운송한다. 이 후, 2차 집하소에서 각 수신지로 수하물을 운송하게 되는 5차 과정이 수행된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구매 형태가 홈쇼핑, 온라인 쇼핑 등 실제 물품과는 원거리에서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소량 단위로 물류 서비스를 이용하는 수요자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의 물류 시스템은 수하물을 화물차량과 같은 육상 운송수단을 이용할 수 밖에 없으며, 상기와 같이 5단계의 이동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바, 연료 낭비 및 환경 오염 등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이와 같은 이동 과정을 감소 시키기 위해, 허브 터미널을 더욱 좁은 단위로 다수 설치하는 경우, 수하물을 소량 단위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물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온라인에서 물품을 파는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생산된 물품을 창고에 저장하기 위해 드는 비용 및 상기와 같이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 물류비 등 막대한 비용이 필요한 바, 창고 저장 비용 및 물류비의 감소는 기업 생산성 측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825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건물 내에 위치한 다수의 입주사에 대해 오피스 제공과, 물품 배송 및 창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물품 배송에 소요되는 단계를 최소화 하면서 물품 운송 및 창고 관리를 자동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화 물류 관리 방법에 있어서, 물품 분류 장치가 입고되는 물품에 부착된 정보 태그를 태깅하여, 해당 물품을 출고 대상, 입주사 전송 대상, 창고 적재 대상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중앙 관리 서버에 분류 결과를 전송하는 제1단계 - 상기 정보 태그는 입주사 식별정보 및 물품 식별정보를 포함함 -; 상기 중앙 관리 서버가 상기 분류 결과 창고 적재 대상인 물품에 대해, 상기 정보 태그에 포함된 입주사 식별정보 및 물품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을 적재할 상기 입주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재 공간 내의 어느 하나의 섹터를 결정하는 제2단계; 제1컨베이어 장치가 상기 창고 적재 대상인 물품을 상기 입주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재 공간으로 상기 물품을 이송한 후, 제2컨베이어 장치가 상기 이송된 물품을 상기 중앙 관리 서버에 의해 결정된 섹터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제3단계; 상기 중앙 관리 서버가 입주사 단말로부터 상기 물품 식별정보 및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요청을 수신하는 제4단계; 상기 중앙 관리 서버가 창고에 적재된 물품 중 상기 수신된 배송 요청에 대응하는 물품을 해당 수량만큼 요청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 장치 및 제2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상기 물품을 상기 물품 분류 장치로 이송하는 제5단계; 상기 물품 분류 장치가 상기 중앙 관리 서버의 명령에 따라, 이송된 물품을 입주사 또는 출고 집하소로 이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자동화 물류 관리 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창고는 상기 창고 내를 구획하여 각각의 입주사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각각의 분리된 적재 공간으로 마련되고, 상기 입주사 식별정보 별 적재 공간은 복수의 섹터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물품 분류 장치는 상기 물품의 크기를 인식하여 상기 중앙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수신된 물품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을 적재할 어느 하나의 섹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창고는 상기 입주사 식별정보 별 적재 공간 이외에 특수 물품 저장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물품 분류 장치는 상기 물품의 특수 보관 필요 여부를 인식하여 상기 중앙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물품이 상기 특수 보관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물품을 상기 특수 물품 저장 공간 중 어느 하나의 섹터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의 분류 결과, 상기 출고 대상으로 분류된 물품을 제3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로 이송하고, 상기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가 상기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상기 물품의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지 태그를 부착한 후 상기 출고 집하소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의 분류 결과, 상기 입주사 전송 대상으로 분류된 물품을 제4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수직 운송장치로 이송한 후, 상기 수직 운송장치가 해당 물품의 입주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건물 내의 층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배송 요청은 재포장이 필요한 물품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물품 분류 장치는 상기 배송 요청된 물품이 재포장이 필요한 물품의 경우 수직 운송장치를 통해 상기 입주사로 전송하고, 재포장이 필요하지 않은 물품의 경우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로 전송하여 배송지 태그를 부착한 후 상기 출고 집하소로 이송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건물 내에 위치한 다수의 입주사에 대해 오피스 제공과, 물품 배송 및 창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물품 배송에 소요되는 단계를 최소화 하면서 물품 운송 및 창고 관리를 자동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물류 절차 간소화를 위해 운송 차량이 물품을 운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통합 물류 센터 내에 마련된 창고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통합 물류 센터와 각 입주사를 포함하는 건물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에서 생산되어 입고된 물품을 분류 및 창고에 적재하기 위한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창고 내에 적재된 물품을 배송지로 전송하기 위한 일련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 관리 시스템은 물품의 생산 및 판매 등을 수행하는 다수의 입주사와 각 입주사에서 생산하여 운송된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창고 및 창고에 저장된 물품을 배송지 별로 분류하여 출고하기 위한 출고 집하소(300)를 모두 통합하여 하나의 건물 내에 위치 시키는 통합 물류 센터 내에서 구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시스템은 물품 분류 장치(110),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130), 수직 운송장치(120) 및 각 장치 사이에서 물품을 운반하는 각각의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며, 각 입주사에서 보유하는 입주사 단말(150)과 상기 각각의 장치에 대한 자동화 관리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중앙 관리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에서 생산되어 입고된 물품을 분류 및 창고에 적재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먼저 설명하기로 하며, 이 후 창고 내에 적재된 물품을 배송지로 전송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에서 통합 물류 센터로 입고된 물품은 정보 태그가 부착된 상태로 물품 분류 장치(110)에 제공된다. 물품 분류 장치(110)의 동작에 앞서, 각 입주사에서 생산한 물품을 통합 물류 센터로 운송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합 물류 센터의 건물에는 다수의 입주사가 위치해 있으며, 각 입주사는 외부의 공장에서 생산된 물품을 통합 물류 센터로 운반한 후 각각의 배송지로 배송할 수 있다.
통합 물류 센터는 각 입주사의 외부 공장으로부터 통합 물류 센터로 생산된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버스와 같은 형태로 일정 시간 간격(예를 들어, 일 2회)으로 운송 차량(400)이 각 외부 공장을 방문하여 생산된 물품을 수령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운송 차량(400)은 생산된 물품을 통합 물류 센터에 하차 시킨 후, 통합 물류 센터에서 배송지 정보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실어 일 단위로 정해진 시간에 허브 터미널로 전송한다.
이 때, 통함 물류 센터로 입고되는 물품은 각 물품이 개별로 포장되어 입고될 수도 있고, 다수의 물품이 하나로 포장된 채로 입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물품이라 함은 각각의 포장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통합 물류 센터에서 하차 시킨 각각의 물품은 정보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태그는 입주사 식별정보 및 물품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입주사 식별정보는 해당 물품을 생산 및 판매하며 통합 물류 센터 건물에 입주한 입주사의 고유 식별정보에 해당하며, 물품 식별정보는 해당 물품의 제품명 및 일련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태그는 해당 물품의 생산 시기, 특수 보관 필요 여부, 유통기한, 물품 포장의 크기, 고객 배송 시 재포장 필요 여부 등 추가로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태그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바코드(bar code) 등 광학적 판독기로 인식 가능한 태그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리더기에 격납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태그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현 예에 있어서는 한정이 없을 것이다.
한편, 정보 태그는 각 물품을 생산된 공장에서 부착되거나, 통합 물류 센터에서 하차시킨 후 입주사 단말(150)이 입력한 정보에 따라 정보 태그를 생성하여 물품의 포장 외형에 부착하는 정보 태그 부착 장치(미도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정보 태그가 부착된 물품은 물품 분류 장치(110)에 의해 분류 과정을 거친다. 물품 분류 장치(110)는 QR 코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광학적 판독기 및/또는 NFC,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를 포함하는 태깅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해당 물품의 정보 태그에 포함된 정보, 예컨대 입주사 식별정보 및 물품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인식된 정보는 중앙 관리 서버(140)로 전송되어, 중앙 관리 서버(14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품 분류 장치(11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관리 서버(1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물품 분류 장치(110)는 인식 결과에 따라, 해당 물품을 출고 대상, 입주사 전송 대상, 창고 적재 대상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한다. 여기서, 정보 태그 상에 상기 3가지 분류 기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태깅 수단에 의해 인식된 정보에 따라 각 물품을 분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입주사 단말(150)이 운송된 물품에 대해 배송지로 즉시 출고할 물품인지, 입주사로 운송 후 재포장 및 배송지 태그 부착 작업을 거친 후 출고할 물품인지, 통합 물류 센터의 창고에 일단 적재할 물품인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중앙 관리 서버(140)에서 해당 정보를 수신하고, 중앙 관리 서버(14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물품 분류 장치(110)가 각 분류에 해당하는 수량만큼 입고되는 물품을 분류할 수 있다.
물품 분류 장치(110)에는 컨베이어 벨트가 마련되어 물품이 컨베이어 벨트에 실린 채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고, 소정 위치에 상기 태깅 수단이 마련되어 이동 중인 물품의 정보 태그를 태깅할 수 있다. 또한, 태깅 수단에 인접한 곳에 컨베이어 벨트에 적재된 물품의 존재를 인식하는 센서(미도시)가 위치되고, 센서에 의해 물품이 감지되면 컨베이어 벨트를 잠시 정지한 후 태깅 수단에 의해 해당 물품에 부착된 정보 태그를 태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작업에 의한 이송 없이 정보 태그의 인식에 따라 각각의 경로로 해당 물품을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다.
물품 분류 장치(110)에서 분류를 거친 물품은 각각의 경로로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운송될 수 있다. 먼저, 출고 대상 물품은 즉시 배송지로 운송될 물품으로써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130)로 이동되고,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130)는 중앙 관리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배송지 정보에 따라 배송지 정보 태그를 부착한다. 배송지 태그가 부착된 물품은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출고 집하소(300)로 운송되며, 출고 집하소(300)에서 운송 차량(400)에 실려 허브 터미널로 운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입주사 전송 대상인 물품은 즉시 배송지로의 배송이 결정된 물품 중 재포장 등이 요구되어 통합 물류 센터 건물에 위치한 입주사로 보내어야 할 물품에 해당할 수 있다. 분류 결과 입주사 전송 대상인 물품은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수직 운송장치(120)로 이송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센터의 하나의 건물 내에 다수의 입주사의 사무실이 위치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각 층별로 각각의 물품을 생산하는 입주사가 위치하고, 건물 지하의 하나 또는 수개 층에 각 입주사에서 생산된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창고가 마련되고, 건물의 1층 내지 외부에 배송 예정된 물품을 각 배송지 별로 분류하여 출고하기 위한 출고 집하소(300)가 마련될 수 있다.
수직 운송장치(120)는 공지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마련되어, 각 물품을 해당 입주사가 위치한 층으로 이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물품 분류 장치(110)에 의해 창고 적재 대상으로 분류된 물품은 일반적으로, 현재 시점에 고객으로부터 주문 예약이 되어 있지 않아, 일단 창고 내에 적재되어야 할 물품에 해당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140)는 창고 적재 대상으로 분류된 물품에 대해, 정보 태그에 포함된 입주사 식별정보 및 물품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을 적재할 입주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재 공간 내의 어느 하나의 섹터를 결정한다.
도 3에는 통합 물류 센터 내에 마련된 창고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창고는 복수의 적재 공간(21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분된 복수의 적재 공간(210)은 입주사와의 계약에 따라 부여된 공간으로써, 중앙 관리 서버(140)는 각각의 적재 공간(210)을 입주사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통합 물류 센터는 입주사와의 계약 관계에 따라 입주사의 물품이 전용으로 보관되는 각각의 공간을 배정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적재 공간(210)은 하나의 물품을 저장할 수 있는 복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섹터는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의 바둑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섹터는 하나의 물품을 보관하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섹터는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상이한 크기의 공간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중앙 관리 서버(140)는 데이터베이스 상에 각 섹터에 저장된 물품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물품 분류 장치(110)에 의해 창고에 적재되어야 할 물품이 이송되면, 비어 있는 섹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물품이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중앙 관리 서버(140)는 동일한 물품을 인접한 섹터에 저장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물품 분류 장치(110)에 의해 창고 적재 대상으로 분류된 물품은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입주사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적재 공간(210)으로 이송된다. 이 후, 물품은 적재 공간(210) 내에 위치한 컨베이어 장치로 운반되고,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해당 섹터의 하단 측에 위치한 이후 리프트 장치에 의해 해당 섹터로 이동될 수 있다.
리프트 장치에는 물품 인식 센서가 부착되어 해당 섹터에 물품이 실제로 적재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140)는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비어 있는 섹터에 물품이 저장되도록 선택할 수 있으나, 수작업에 의한 적재 등으로 선택된 공간에 물품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물품 인식 센서의 센싱 결과 해당 섹터에 물품이 이미 적재되어 있는 경우, 중앙 관리 서버(140)에 이를 전송하며, 중앙 관리 서버(140)는 다른 섹터를 지정하여 해당 물품이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컨베이어 장치는 입주사 식별정보 별 복수의 적재 공간 주위를 회전하여 물품을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 장치(230A)와, 각 입주사 식별정보 별 적재 공간 내에서 해당 섹터의 방향으로 물품을 이송하는 각각의 제2컨베이어 장치(23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창고는 적어도 하나의 특수 물품 창고(220)를 포함할 수 있다. 특수 물품 창고(220)는 파손 우려가 큰 상품, 고가의 상품, 냉장 보관이 요구되는 상품 등을 각각 별도로 저장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140)는 물품 식별정보 별로 특수 보관 필요가 있는 물품을 지정할 수 있으며, 정보 태그의 태깅 결과 물품 식별정보가 특수 보관 필요가 있는 물품에 해당하는 경우, 입주사 식별코드에 따른 일반 물품 창고로 이송하지 않고, 미리 결정된 특수 물품 창고(220)로 이송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일반 물품 창고는 각 입주사 별로 독립된 공간으로 마련되나, 특수 물품 창고(220)는 여러 입주사 들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중앙 관리 서버(140)는 특수 보관 필요가 있는 물품에 대해 특수 물품 창고(220)의 복수의 섹터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여 해당 물품이 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일반 물품 창고는 각 입주사 별로 전용으로 마련되므로, 섹터의 수 등에 의거해 일괄적인 비용이 책정될 것이나, 특수 물품 창고(220)는 여러 입주사가 공용으로 사용하므로, 중앙 관리 서버(140)는 특수 물품 창고(220)에 저장되는 물품에 대해 저장 기간을 측정하여 해당 입주사에 청구할 별도의 비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외부에서 생산되어 입고된 물품을 분류 및 창고에 적재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에 대해 설명 하였으며, 이에 따라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물품의 분류, 이송 및 창고 적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창고 내에 적재된 물품을 배송지로 전송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입주사 단말(150)은 랩탑 PC(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 등으로 구현되며, 인터넷을 통해 구매자로부터 물품 구매를 신청 받을 수 있다. 또한, 중앙 관리 서버(140)와 연결되어 물품 관련 정보, 배송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창고 내 보관 물품 정보, 물품 출고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입주사 단말(150)은 구매자의 물품 구매 신청에 따라 물품의 배송을 위해 중앙 관리 서버(140)에 물품 식별정보 및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요청을 전송한다.
중앙 관리 서버(140)는 배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배송 요청에 대응하는 물품의 해당 수량을 창고에서 회수하기 위해, 해당 물품이 저장된 각 섹터를 지정하여 물품을 회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리프트 장치는 해당 섹터에 적재된 물품을 픽업하여 제2컨베이어 장치로 운반하고, 제2컨베이어 장치 및 제1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물품 분류 장치(110)로 물품이 이송된다.
창고에 저장된 물품은 각 물품이 개별로 포장되어 입고될 수도 있고, 다수의 물품이 하나로 포장된 채로 입고될 수도 있다. 즉, 물품을 구매자에게 배송 시에는 개별로 포장된 물품은 창고에서 직접 출고 집하소(300)로 이송하여 배송할 수 있으나, 다수의 물품이 하나로 포장된 경우 입주사에서 재포장을 거쳐 배송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입주사 단말(150)은 물품의 배송 요청을 중앙 관리 서버(140)에 전송 시 재포장이 필요한 물품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며, 해당 정보는 물품 분류 장치(110)로 전송될 수 있다.
물품 분류 장치(110)는 창고의 각 섹터에서 회수된 물품이 재포장이 필요한 물품인 경우,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수직 운송장치(120)로 물품을 이송하여 해당 입주사로 물품을 보낸다. 이 후, 입주사에서 물품을 개별 단위로 재포장하여 수직 운송장치(120)를 통해 내려 보내면, 다시 물품 분류 장치(110)로 전송되고, 물품 분류 장치(110)는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130)로 물품을 전송한다.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130)는 중앙 관리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배송지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지 태그를 물품에 부착한 후,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출고 집하소(300)로 이송한다.
이와 달리, 각 섹터에서 회수된 물품이 재포장이 필요하지 않은 물품의 경우, 물품 분류 장치(110)는 즉시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130)로 물품을 전송한다. 이 후, 배송지태그 부착 장치(130)는 중앙 관리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배송지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지 태그를 물품에 부착한 후,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출고 집하소(300)로 이송한다.
출고 집하소(300)로 이송된 각각의 물품은 배송지 정보 별로 분류되어 차량을 통해 배송지로 운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시스템 및 건물은 종래 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먼저, 종래의 총 5단계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물류 운송 과정을 획기적으로 감소 시킬 수 있다. 즉, 하나의 건물 내에 다수의 입주사 및 1차 집하소를 위치 시키는 결과, 물품의 최초 생산에서 1차 집하소까지 이동되는 거리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건물 내에 마련되는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을 즉시 저장함으로써, 입주사 입장에서는 입주사 내에 별도의 창고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며, 외부에 마련된 창고까지의 물품 이동 시간 및 창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중앙 관리 서버(140)에 의해 자동화 제어되므로, 물품 운송 및 포장 등에 있어 수작업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관리 서버(14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관리 서버(140)는 인터페이스부(141), 물품 정보 관리부(143), 장치 관리부(142), 데이터베이스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1)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입주사 단말(150), 물품 분류 장치(110)와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130), 수직 운송장치(120), 컨베이어 장치 등 통합 물류 센터 내의 각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물품 정보 관리부(143)는 통합 물류 센터 내에서 물품의 입고, 출고 및 창고 적재에 관련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주사 단말(15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통합 물류 센터에 입고되는 물품이 출고 대상, 입주사 전송 대상, 창고 적재 대상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되도록, 해당 정보를 물품 분류 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물품이 입고 후 물품 분류 장치(110)에 의해 출고 대상, 입주사 전송 대상, 창고 적재 대상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되면, 물품 식별정보와 분류 결과를 물품 분류 장치(110)로부터 수신한다. 물품 정보 관리부(143)는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해당 물품의 분류 결과에 따른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를 후술할 장치 관리부(142)로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부(144) 내에 마련된 입주사 DB(144A), 물품정보 DB(144B), 창고정보 DB(144C), 배송지 정보 DB(144D), 고객 DB(144E)에 해당 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물품 정보 관리부(143)는 물품이 창고 적재 대상인 경우, 물품을 적재할 상기 입주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재 공간 내의 어느 하나의 섹터를 결정할 수 있다. 물품이 입고 후 즉시 출고되거나, 입주사로 운송된 후 재포장 되어 출고되는 경우, 입주사 단말(150)로부터 수신한 배송지 정보에 따라 배송지 태그를 각 물품에 부착하도록 해당 정보를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정보 관리부(143)는 운송, 물품 관리 및 창고 적재 시에 따른 각 입주사에 청구할 비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창고 적재 시 일반 물품 창고의 경우 입주사 별로 전용 공간을 배정하여, 창고 사용 기간 및 사용 섹터의 수에 따라 비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특수 물품 창고(220)에 저장되는 물품에 대해 저장 기간을 측정하여 해당 입주사에 청구할 별도의 비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정보 관리부(143)는 각 입주사 단말(150)이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배송 요청을 수신하고, 하나의 고객이 여러 입주사의 물품을 동일한 배송지로 구매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포장 단위로 여러 입주사에서 생산한 물품을 배송할 수 있으므로, 입주사로부터 각각의 물품을 수신한 후 재포장 과정을 거쳐 출고 집하소(300)로 재포장된 물품을 이송할 수 있다.
장치 관리부(142)는 통합 물류 센터 내에 마련된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물품 정보 관리부(143)로부터 수신한 물품의 이동 경로에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 장치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는데, 물품이 창고 내에 특정 섹터에 저장하도록 하는 경우 제1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해당 입주사의 창고 구역으로 물품을 이동시킨 후 제2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정해진 섹터의 하단으로 물품이 이동되도록 하고, 리프트 장치에 의해 상단으로 이동하여 해당 섹터에 물품이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물품이 입주사로 운송되어야 하는 대상인 경우, 수직 운송장치(120)를 통해 통합 물류 센터에서 입주사가 위치하는 층으로 물품이 운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44)는 입주사 DB(144A), 물품정보 DB(144B), 창고정보 DB(144C), 배송지 정보 DB(144D), 고객 DB(144E)를 포함할 수 있다.
입주사 DB(144A)는 통합 물류 센터 내에 입주한 입주사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취급하는 물품의 식별정보, 해당 입주사의 창고 구역 정보, 창고 내에 입고된 물품의 수량, 배송 예정된 물품의 수량, 생산 공장 위치 및 운송 차량(400)의 방문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품정보 DB(144B)는 입고된 물품의 현재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물품의 현재 위치, 재포장 필요 여부, 물품 가격, 배송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창고정보 DB(144C)는 입주사 별 창고 및 특수 물품 창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입주사 별 창고 구역 정보, 창고 내 각 섹터의 크기 및 수용 가능한 물품에 관한 정보, 섹터 별로 저장되어 있는 물품의 식별정보, 특수 물품 창고에 저장된 물품의 식별정보, 창고 저장에 관련된 비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송지 정보 DB(144D)는 입주사 단말(150)로부터 입력된 각 물품의 배송지 정보를 저장한다.
고객 DB(144E)는 각 입주사의 물품을 구매한 고객의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고객의 구매 물품, 성별/연령 등 개인 정보, 물품 배송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140)는 각 입주사 단말(150)이 고객 DB(144E)에 접속하여 다른 입주사 단말(150)에 의해 입력된 고객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 DB(144E)에 저장된 고객 관련 정보를 각 입주사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중앙 관리 서버(140)는 물품의 입고부터 출고까지 필요한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 제어하며, 이에 따라 물품 운송 및 포장 등에 있어 수작업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에서 생산되어 입고된 물품을 분류 및 창고에 적재하기 위한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외부에서 통합 물류 센터로 물품이 입고되면(S11), 정보 태그가 부착된 상태로 물품 분류 장치에 제공되며, 물품 분류 장치는 해당 물품을 출고 대상, 입주사 전송 대상, 창고 대상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한다(S12).
출고 대상으로 분류된 물품은(S13), 즉시 배송지로 운송될 물품으로써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로 이동되고,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는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배송지 정보에 따라 배송지 정보 태그를 부착한다(S14). 배송지 태그가 부착된 물품은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출고 집하소로 운송되며(S15), 출고 집하소에서 운송 차량에 실려 각 배송지로 운송될 수 있다.
입주사 전송 대상인 물품은(S16), 즉시 배송지로의 배송이 결정된 물품 중 재포장 등이 요구되어 통합 물류 센터 건물에 위치한 입주사로 보내어야 할 물품에 해당할 수 있다. 분류 결과 입주사 전송 대상인 물품은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수직 운송장치로 이송되며(S17), 수직 운송장치를 통해 입주사의 사무실로 이송된다.
다음으로, 물품 분류 장치에 의해 창고 적재 대상으로 분류된 물품은(S19), 일반적으로, 현재 시점에 고객으로부터 주문 예약이 되어 있지 않아, 일단 창고 내에 적재되어야 할 물품에 해당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는 창고 적재 대상으로 분류된 물품에 대해, 정보 태그에 포함된 입주사 식별정보 및 물품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을 적재할 입주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재 공간 내의 어느 하나의 섹터를 결정한다(S20). 적재할 섹터가 결정되면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장치 및 리프트 장치를 통해 해당 섹터에 물품이 적재될 수 있다(S21).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창고 내에 적재된 물품을 배송지로 전송하기 위한 일련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입주사 단말이 인터넷을 통해 구매자로부터 물품 배송을 신청 받은 경우, 중앙 관리 서버는 해당 배송 요청을 입주사 단말로부터 수신한다(S31).
중앙 관리 서버는 배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배송 요청에 대응하는 물품의 해당 수량을 창고에서 회수하기 위해, 해당 물품이 저장된 각 섹터를 지정하여 물품을 회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리프트 장치는 해당 섹터에 적재된 물품을 픽업하여 제2컨베이어 장치로 운반하고, 제2컨베이어 장치 및 제1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물품 분류 장치로 물품이 이송된다(S32).
물품 분류 장치는 창고의 각 섹터에서 회수된 물품이 재포장이 필요한 물품인 경우,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수직 운송장치로 물품을 이송하여 해당 입주사로 물품을 보낸다(S33).
이 후, 입주사 측에서 물품을 재포장하게 되고(S34), 재포장 된 물품은 수직 운송장치, 컨베이어 장치 및 물품 분류 장치를 거쳐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로 전송된다.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는 물품 포장의 외면에 배송지 태그를 부착한 후(S35), 출고 집하소로 물품을 이송한다(S36).
한편, 각 섹터에서 회수된 물품이 재포장이 필요하지 않은 물품의 경우, 물품 분류 장치는 즉시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로 물품을 전송한다. 이 후,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는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배송지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지 태그를 물품에 부착한 후,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출고 집하소로 이송한다.
출고 집하소로 이송된 각각의 물품은 배송지 정보 별로 분류되어 차량을 통해 배송지로 운송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먼저, 종래의 총 5단계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물류 운송 과정을 획기적으로 감소 시킬 수 있다. 즉, 하나의 건물 내에 다수의 입주사 및 1차 집하소를 위치 시키는 결과, 물품의 최초 생산에서 1차 집하소까지 이동되는 거리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건물 내에 마련되는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을 즉시 저장함으로써, 입주사 입장에서는 입주사 내에 별도의 창고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며, 외부에 마련된 창고까지의 물품 이동 시간 및 창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중앙 관리 서버DP 의해 자동화 제어되므로, 물품 운송 및 포장 등에 있어 수작업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입주사 단말 및 중앙 관리 서버는 메모리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입주사 단말 및 중앙 관리 서버는 실행 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기능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통합 물류 센터
110: 물품 분류 장치
120: 수직 운송 장치
130: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
140: 중앙 관리 서버
141: 인터페이스부
142: 장치 관리부
143: 물품 정보 관리부
144: 데이터베이스부
150: 입주사 단말
200: 보관 창고
300: 출고 집하소
400: 운송 차량

Claims (7)

  1. 자동화 물류 관리 방법에 있어서,
    물품 분류 장치가 입고되는 물품에 부착된 정보 태그를 태깅하여, 해당 물품을 출고 대상, 입주사 전송 대상, 창고 적재 대상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중앙 관리 서버에 분류 결과를 전송하는 제1단계 - 상기 정보 태그는 입주사 식별정보 및 물품 식별정보를 포함함 -;
    상기 중앙 관리 서버가 상기 분류 결과 창고 적재 대상인 물품에 대해, 상기 정보 태그에 포함된 입주사 식별정보 및 물품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을 적재할 상기 입주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재 공간 내의 어느 하나의 섹터를 결정하는 제2단계;
    제1컨베이어 장치가 상기 창고 적재 대상인 물품을 상기 입주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재 공간으로 상기 물품을 이송한 후, 제2컨베이어 장치가 상기 이송된 물품을 상기 중앙 관리 서버에 의해 결정된 섹터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제3단계;
    상기 중앙 관리 서버가 입주사 단말로부터 상기 물품 식별정보 및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요청을 수신하는 제4단계;
    상기 중앙 관리 서버가 창고에 적재된 물품 중 상기 수신된 배송 요청에 대응하는 물품을 해당 수량만큼 요청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 장치 및 제2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상기 물품을 상기 물품 분류 장치로 이송하는 제5단계;
    상기 물품 분류 장치가 상기 중앙 관리 서버의 명령에 따라, 이송된 물품을 입주사 또는 출고 집하소로 이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계의 분류 결과, 상기 출고 대상으로 분류된 물품을 제3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로 이송하고, 상기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가 상기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상기 물품의 배송지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지 태그를 부착한 후 상기 출고 집하소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계의 분류 결과, 상기 입주사 전송 대상으로 분류된 물품을 제4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수직 운송장치로 이송한 후, 상기 수직 운송장치가 해당 물품의 입주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건물 내의 층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화 물류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는 상기 창고 내를 구획하여 각각의 입주사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각각의 분리된 적재 공간으로 마련되고, 상기 입주사 식별정보 별 적재 공간은 복수의 섹터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물류 관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물품 분류 장치는 상기 물품의 크기를 인식하여 상기 중앙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수신된 물품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을 적재할 어느 하나의 섹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물류 관리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는 상기 입주사 식별정보 별 적재 공간 이외에 특수 물품 저장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물품 분류 장치는 상기 물품의 특수 보관 필요 여부를 인식하여 상기 중앙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물품이 상기 특수 보관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물품을 상기 특수 물품 저장 공간 중 어느 하나의 섹터에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물류 관리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배송 요청은 재포장이 필요한 물품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물품 분류 장치는 상기 배송 요청된 물품이 재포장이 필요한 물품의 경우 수직 운송장치를 통해 상기 입주사로 전송하고, 재포장이 필요하지 않은 물품의 경우 배송지 태그 부착 장치로 전송하여 배송지 태그를 부착한 후 상기 출고 집하소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물류 관리 방법.
KR1020140086111A 2014-07-09 2014-07-09 자동화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23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111A KR101523533B1 (ko) 2014-07-09 2014-07-09 자동화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111A KR101523533B1 (ko) 2014-07-09 2014-07-09 자동화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533B1 true KR101523533B1 (ko) 2015-05-28

Family

ID=5339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111A KR101523533B1 (ko) 2014-07-09 2014-07-09 자동화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533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767A1 (en) * 2016-07-15 2018-01-18 Cj Korea Express Corportaion Unmanned delivery system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904782B1 (ko) * 2018-02-27 2018-12-05 원동석 자동으로 물류를 관리하는 방법
KR101953069B1 (ko) * 2018-08-31 2019-02-27 마영모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WO2019117703A1 (en) * 2017-12-15 2019-06-20 Ling Chong Lee Real-time shared model pricing of shipment booking management system web application with hs code and halal / non-halal as the main identifier for cargo loading and cargo segregation
KR102061755B1 (ko) * 2019-06-26 2020-01-02 신세계건설(주)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KR102187438B1 (ko) * 2019-10-28 2020-12-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 콜드체인 운영 시스템
KR102187446B1 (ko) * 2019-10-28 2020-12-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 차량 내 화물 적재 시스템
KR20210045385A (ko) * 2019-05-28 2021-04-26 주식회사 인스턴 자동 적재창고 연동 생산관리 시스템
KR102277320B1 (ko) * 2020-09-01 2021-07-15 쿠팡 주식회사 물류 관리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CN113191667A (zh) * 2021-05-18 2021-07-30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智慧物流系统
CN113706079A (zh) * 2021-08-23 2021-11-26 深圳市艾密特供应链管理有限公司 物流入库的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介质
KR102401668B1 (ko) * 2022-02-25 2022-05-26 인터랩스 주식회사 물류창고의 입고 및 출고 자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119035A1 (ko) * 2020-12-04 2022-06-09 쿠팡 주식회사 물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951A (ko) * 2007-06-26 2007-08-08 에이티 앤드 씨 캄파니 리미티드 상품 분류 시스템
KR20090081066A (ko) * 2008-01-23 2009-07-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쇼핑몰의 상품 배송시스템 및 배송방법
KR20140057958A (ko) * 2012-11-05 2014-05-1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유연 제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951A (ko) * 2007-06-26 2007-08-08 에이티 앤드 씨 캄파니 리미티드 상품 분류 시스템
KR20090081066A (ko) * 2008-01-23 2009-07-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쇼핑몰의 상품 배송시스템 및 배송방법
KR20140057958A (ko) * 2012-11-05 2014-05-1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유연 제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767A1 (en) * 2016-07-15 2018-01-18 Cj Korea Express Corportaion Unmanned delivery system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CN109478306A (zh) * 2016-07-15 2019-03-15 Cj大韩通运 使用无人驾驶飞行器的无人驾驶递送系统
WO2019117703A1 (en) * 2017-12-15 2019-06-20 Ling Chong Lee Real-time shared model pricing of shipment booking management system web application with hs code and halal / non-halal as the main identifier for cargo loading and cargo segregation
KR101904782B1 (ko) * 2018-02-27 2018-12-05 원동석 자동으로 물류를 관리하는 방법
KR101953069B1 (ko) * 2018-08-31 2019-02-27 마영모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KR20210045385A (ko) * 2019-05-28 2021-04-26 주식회사 인스턴 자동 적재창고 연동 생산관리 시스템
KR102425156B1 (ko) * 2019-05-28 2022-07-28 주식회사 인스턴 자동 적재창고 연동 생산관리 시스템
KR102061755B1 (ko) * 2019-06-26 2020-01-02 신세계건설(주) 물건 분류 및 보관 시스템
KR102187438B1 (ko) * 2019-10-28 2020-12-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 콜드체인 운영 시스템
KR102187446B1 (ko) * 2019-10-28 2020-12-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 차량 내 화물 적재 시스템
KR102384984B1 (ko) * 2020-09-01 2022-04-11 쿠팡 주식회사 물류 관리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KR20220029357A (ko) * 2020-09-01 2022-03-08 쿠팡 주식회사 물류 관리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WO2022050465A1 (ko) * 2020-09-01 2022-03-10 쿠팡 주식회사 물류 관리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JP2022042016A (ja) * 2020-09-01 2022-03-11 クーパン コーポレイション 物流管理方法およびその電子装置
KR102277320B1 (ko) * 2020-09-01 2021-07-15 쿠팡 주식회사 물류 관리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US11403582B2 (en) 2020-09-01 2022-08-02 Coupang Corp. Logistics manag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WO2022119035A1 (ko) * 2020-12-04 2022-06-09 쿠팡 주식회사 물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13191667A (zh) * 2021-05-18 2021-07-30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智慧物流系统
CN113191667B (zh) * 2021-05-18 2024-03-15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智慧物流系统
CN113706079A (zh) * 2021-08-23 2021-11-26 深圳市艾密特供应链管理有限公司 物流入库的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介质
KR102401668B1 (ko) * 2022-02-25 2022-05-26 인터랩스 주식회사 물류창고의 입고 및 출고 자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533B1 (ko) 자동화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88552A1 (en) Warehousing and order fulfillment systems and methods
Alyahya et al. Application and integration of an RFID-enabled warehousing management system–a feasibility study
JP6405007B2 (ja) マテリアルハンドリング施設におけるプロセス管理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7297913B2 (ja) 輸送可能且つ連続的に追跡可能な格納ビンを用いるマルチノーダルサプライチェーンシステム及びサプライチェーン実行方法
US8244603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stowing and picking in a materials handling facility
US20200005228A1 (en) Perpetual batch order fulfillment
CN108492475B (zh) 一种取货地点和相应的计算机可读介质
JP7370747B2 (ja) 持続的バッチ注文履行
JP6704030B2 (ja) 物流システム及び物流方法
US201801507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on or Delivery of Retail Products
KR20150089794A (ko) 창고관리시스템에서 피킹 로케이션의 보충 방법
KR20200106323A (ko) 피킹셀 통합 피킹 기능을 구비한 물류 관리 시스템
KR102579899B1 (ko) 대체 가능성 로직을 사용하는 인공 지능(ai)-기반 인바운드 계획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CN113578757A (zh) 分拣方法、电子设备和分拣系统
US2024019352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merging retail products between containers to optimize storing capacity of retail storage facilities
KR102298170B1 (ko) 사입대행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402118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space utilization of containers at retail storage facilities
US202302450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space utilization of containers at retail storage facilities
JP2016055964A (ja) 入出荷支援システム、自動倉庫及び入出荷支援方法
US202101336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nline product orders
KR20210116975A (ko) 물류, 유통 관리 전산화 시스템 생성 및 운영 방법
KR20220102749A (ko) 물품운송 및 창고관리 자동화 시스템
US11485578B2 (en) Utilization of multiple order sortation systems
KR20230139128A (ko) 주문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