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24914B1 - 광확산 소자, 및 이를 갖는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 - Google Patents

광확산 소자, 및 이를 갖는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914B1
KR101524914B1 KR1020130033374A KR20130033374A KR101524914B1 KR 101524914 B1 KR101524914 B1 KR 101524914B1 KR 1020130033374 A KR1020130033374 A KR 1020130033374A KR 20130033374 A KR20130033374 A KR 20130033374A KR 101524914 B1 KR101524914 B1 KR 101524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urface
light
refracted
emitted
le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8092A (ko
Inventor
이창혁
최현호
강이임
손창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914B1/ko
Priority to JP2014068551A priority patent/JP6286248B2/ja
Priority to EP14162193.8A priority patent/EP2784377B1/en
Priority to CN201410123967.9A priority patent/CN104075241B/zh
Priority to US14/228,502 priority patent/US9995461B2/en
Publication of KR20140118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91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0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 G02B19/0028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refractive and reflective surfaces, e.g. non-imaging catadioptric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61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5Optical field-shaping means, e.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 소자는 제 1 렌즈면; 상기 제 1 렌즈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렌즈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렌즈면; 상기 제 2 렌즈면과 연결되고, 중심이 상기 제 1 렌즈면을 향해 함몰되고, 상기 중심과 가장자리가 곡면으로 연결되며, 상기 중심과 상기 제 1 렌즈면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연장되는 직선인 광축 방향으로 상기 제 1 렌즈면과 이격 배치되는 제 3 렌즈면; 및 상기 광축과 중심 정렬되며, 상기 제 1 렌즈면으로부터 상기 제 3 렌즈면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광분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확산 소자, 및 이를 갖는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Light diffusion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array unit hav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광확산 소자, 및 이를 갖는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표시장치인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액정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및 표시 기판으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에서 고품질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냉음극선관 램프(CCFL)와 같은 선광원,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점광원, 면 형태로 균일한 광을 발생시키는 면광원이 사용된다.
종래 액정표시장치는 냉음극선관 램프를 주로 이용하였으나 최근 들어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광을 이용하는 액정표시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소비전력이 낮고 고휘도를 갖는 장점을 갖는 반면, 휘도 균일성이 매우 낮은 단점을 갖는다.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광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 상에는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 렌즈(light diffusion lens)가 배치된다.
종래 광 확산 렌즈는 광 확산 렌즈의 표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의 각도(θ1)가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어 광 확산 렌즈의 내부를 통과하는 광의 각도(θ2)보다 커야만 광 확산 렌즈로부터 출사된 광이 확산되어 휘도 균일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광 확산 렌즈로부터 출사된 광의 각도(θ1)가 광 확산 렌즈의 내부를 통과하는 광의 각도(θ2)보다 크게 하기 위해서는 광 확산 렌즈의 높이 및 부피가 증가되고 굴절을 이용하여 광을 확산시키는데에 한계가 있는 단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는 지향각 폭을 줄이게 되어 보다 넓은 조도면을 형성할 수 있고, 조도면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 소자는 제 1 렌즈면; 상기 제 1 렌즈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렌즈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렌즈면; 상기 제 2 렌즈면과 연결되고, 중심이 상기 제 1 렌즈면을 향해 함몰되고, 상기 중심과 가장자리가 곡면으로 연결되며, 상기 중심과 상기 제 1 렌즈면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연장되는 직선인 광축 방향으로 상기 제 1 렌즈면과 이격 배치되는 제 3 렌즈면; 및 상기 광축과 중심 정렬되며, 상기 제 1 렌즈면으로부터 상기 제 3 렌즈면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광분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면을 통해 입사되어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고, 상기 제 1 렌즈면을 통해 입사되어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며,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의 연장선과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이 이루는 각도(θ)는 20도 이내일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굴절되는 광과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굴절되는 광의 광량 비율은 4:1 ~ 1:4일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굴절되는 광과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굴절되는 광은 서로 반대 방향의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분포 제어부는 상기 제 1 렌즈면으로부터 광원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광분포 제어부는 상기 광축에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면은 직선일 수도 있고, 곡선일 수도 있다.
상기 제 1 렌즈면의 양 끝단에서 연결되는 상기 제 2 렌즈면의 간격은 상방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면과 제 2 렌즈면을 연결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에서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은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상의 복수 개의 발광소자; 및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광확산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광확산 소자는, 제 1 렌즈면과, 상기 제 1 렌즈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렌즈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렌즈면과, 상기 제 2 렌즈면과 연결되고 중심이 상기 제 1 렌즈면을 향해 함몰되고 상기 중심과 가장자리가 곡면으로 연결되며 상기 중심과 상기 제 1 렌즈면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연장되는 직선인 광축 방향으로 상기 제 1 렌즈면과 이격 배치되는 제 3 렌즈면과, 상기 광축과 중심 정렬되며, 상기 제 1 렌즈면으로부터 상기 제 3 렌즈면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광분포 제어부와, 상기 제 1 렌즈면과 제 2 렌즈면을 연결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서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렌즈면과 발광소자는 상기 레그에 의해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광확산 소자는 상기 제 1 렌즈면을 통해 입사되어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고, 상기 제 1 렌즈면을 통해 입사되어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며,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의 연장선과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이 이루는 각도(θ)는 20도 이내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각각에 대응되어 있는 광확산 소자 각각은 출사되는 휘도 및 출사되는 광 분포가 다를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반사되어 제 2 렌즈면에서 굴절되는 광과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굴절되는 광은 서로 반대 방향의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광확산 소자들 상부에 배치된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분포 제어부가 상기 발광소자와 이격될 수 있다.
제3 렌즈면에서 반사되어 제2 렌즈면에서 굴절되는 광의 경로와 제2 렌즈면에서 반사되어 제3 렌즈면에서 굴절되는 광의 경로를 반대로 하여 출사시킴으로써, 암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지향각 폭을 줄이게 되어 보다 넓은 조도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확산 소자의 하부면으로 입사된 광이 상면을 반사하여 측면에서 굴절하여 진행하는 경로와, 측면을 반사하여 상면에서 굴절하여 진행하는 경로를 갖으므로,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시 조도면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될 수 있다.
더불어, 광분포 제어부를 구비하여, 광확산 소자로 입사된 광의 분포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실시예의 광확산 소자의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광확산 소자에 광분포 제어부가 형성된 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실시예의 광분포 제어부가 형성된 광확산 소자에서 광분포가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광분포 제어부가 형성된 광확산 소자의 광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f는 본 실시예의 광확산 소자에 적용된 광분포 제어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의 발광 소자와 광확산 소자가 조립된 일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광확산 소자(100)는 제1 렌즈면(110), 제2 렌즈면(120) 및 제3 렌즈면(1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광확산 소자(100)는 광이 입사되는 제1 렌즈면(110); 상기 제1 렌즈면(110)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렌즈면(110)으로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제2 렌즈면(120); 및 상기 제2 렌즈면(120)에 연결되어 중앙부로 갈수록 좁고 함몰되며, 상기 제1 렌즈면(110)으로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제3 렌즈면(13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렌즈면(120)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3 렌즈면(130)에서 굴절되어 출사되고, 상기 제3 렌즈면(130)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2 렌즈면(120)에서 굴절되어 출사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면(110)으로는 발광소자(200)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된다. 그리고,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면(110)은 평면일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면(120)은 상기 제1 렌즈면(110)과 연결되며, 곡면 또는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렌즈면(120)은 상기 제1 렌즈면(110)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면(120)으로는 상기 제1 렌즈면(110)으로 입사된 광 중 대부분의 광이 출사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면(120)이 상기 제1 렌즈면(110)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은 상기 제1 렌즈면(110)을 통해 입사된 광의 일부를 상기 제2 렌즈면(120)으로부터 반사되도록 하여 광확산 소자(100)의 높이와 부피를 감소 및 광확산 소자(100)로부터 출사된 광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3 렌즈면(130)은 제2 렌즈면(12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렌즈면(110)과 마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면(130)은 중앙부로 갈수록 좁고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렌즈면(130)은 단면에서 보았을 때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렌즈면(130)은 도 1을 참조하면, 발광소자(200)의 광축(P)으로 갈수록 좁고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렌즈면(130)은 단면에서 보았을 때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 렌즈면(120)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3 렌즈면(130)에서 굴절되어 광확산 소자(100) 외부로 출사되어 'B' 경로로 진행하고, 상기 제3 렌즈면(130)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2 렌즈면(120)에서 굴절되어 광확산 소자(100) 외부로 출사되어 'A' 경로로 진행된다.
여기서, 'A' 경로로 진행하는 광과 'B' 경로로 진행하는 광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고, 광량 비율이 4:1 ~ 1:4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A' 경로로 진행하는 광의 연장선과 'B' 경로로 진행하는 광이 서로 20도 이내의 각(θ)을 가지는 것이 좋으며, 이는 광확산 소자의 하부에 반사면이 있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 구조에서, 반사면을 통하여 렌즈 상부로 광이 진행할 수 있어 암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지향각 폭을 줄이게 되어 보다 넓은 조도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A' 경로로 진행하는 광의 연장선과 'B' 경로로 진행하는 광이 서로 20도를 벗어나는 경우, 암부가 잔존할 수 있어 광학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확산 소자는 하부면(제1 렌즈면)으로 입사된 광이 상면(제3 렌즈면)에서 반사하여 측면(제2 렌즈면)에 굴절하여 진행하는 경로와, 측면에서 반사하여 상면에서 굴절하여 진행하는 경로를 갖으므로,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시 조도면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1의 '150'은 사출 및 조립을 위한 플랜지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실시예의 광확산 소자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광확산 소자에 광분포 제어부가 형성된 단면도이다.
광확산 소자의 측면인 제2 렌즈면(120)은 도 2a와 같이 오목한 곡면, 도 2c와 같이, 볼록한 곡면, 도 2b와 같이 평면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렌즈면(120)이 평면일 경우, 상기 제2 렌즈면(120)은 제1 렌즈면(110)에 대하여 소정 각도(θ')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광확산 소자는 제1 렌즈면(110)으로 입사되는 광이 광확산 소자로 분포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광분포 제어부(300)가 상기 제1 렌즈면(110)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광분포 제어부(300)는 상기 제1 렌즈면(110)에 형성되어, 광확산 소자의 제2 렌즈면(120)에서 반사된 광이 제3 렌즈면(130)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량과, 상기 제3 렌즈면(130)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제2 렌즈면(120)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광확산 소자로 입사된 광의 분포를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광확산 소자에서 광분포를 다양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광분포 제어부(300)의 형상은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분포 제어부(300)는 상기 제1 렌즈면(110)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본 실시예의 광분포 제어부(300)가 형성된 광확산 소자(100)에서 광분포가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광분포 제어부(300)가 형성된 광확산 소자(100)의 광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a 내지 도 6f는 본 실시예의 광확산 소자(100)에 적용된 광분포 제어부(300)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확산 소자(100)는 광분포 제어부(300)가 형성되어 있어, 광확산 소자(100) 내부에 적절한 광분포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광확산 소자(100)에서 출사되는 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4b는 제1 렌즈면(110)에 광분포 제어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도면으로, 발광소자(200)에서 출사된 광은 제1 렌즈면(110)을 통과하여 광확산 소자(100)에서, 광축(P)이 피크(Peak)인 가우시안(gaussian) 광분포를 보인다.
이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렌즈면(110)에 광분포 제어부(300)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발광소자(200)에서 출사된 광은 상기 광분포 제어부(300)에 의해, 상기 광확산 소자(100)에서 광축(P)이 오목한 형태의 광분포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광확산 소자(100)는 광분포 제어부(300)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입사된 광에 대하여 다양한 광분포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도 5와 같이, 제2 렌즈면(120)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제3 렌즈면(130)에서 굴절되어 출사되어, 광확산 소자(10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B'의 경로를 갖게 하고, 상기 제3 렌즈면(130)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제2 렌즈면(120)에서 굴절되어 광확산 소자(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사되는 'A' 경로로 갈 수 있도록, 제1 렌즈면(110)에 형성된 광분포 제어부(300)는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분포 제어부(300)는 'A' 경로로 진행하는 광과 'B' 경로로 진행하는 광의 광량 비율이 4:1 ~ 1:4일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광분포 제어부(300) 형상을 다르게 하면, 상기 광확산 소자 내부에서의 광분포가 다르게 됨으로, 4:1 ~ 1:4의 광량 비율의 범위를 상기 광분포 제어부(300)의 형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A' 경로로 진행하는 광과 'B' 경로로 진행하는 광의 광량 비율이 4:1인 경우의 광분포 제어부(300) 형상과 상기 광량 비율이 1:4인 광분포 제어부(300) 형상은 다른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광분포 제어부(300)를 통하여 입사된 광은, 상기 제3 렌즈면(130)에서 반사되어 제2 렌즈면(120)에서 굴절되는 광과 상기 제2 렌즈면(120)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3 렌즈면(130)에서 굴절되는 광의 광량 비율이 4:1 ~ 1:4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확산 소자(100)에 적용된 광분포 제어부(300)의 형상을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제1 렌즈면(110)으로부터 발광소자(200) 방향(광 입사되는 방향(E)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광분포 제어부 '310'(도 6a)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제1 렌즈면(110)으로부터 발광소자(200) 방향의 반대 방향(광 입사 방향(E))으로 돌출된 형상(즉, 상기 제1 렌즈면(110)에서 오목한 형상)을 갖는 광분포 제어부 '310'(도 6b)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a의 돌출된 형상의 광분포 제어부 '310'에서, 광 입사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고, 도 6c은 하나의 오목부(311a)가 형성된 광분포 제어부 '311'를 도시한 것이며, 이 하나의 오목부(311a)의 중심은 광축(P)과 일치할 수 있다.
또, 도 6d는 두개의 오목부(312a,312b)가 형성되어 있는 광분포 제어부 '312'을 나타내고, 이 두개의 오목부(312a,312b)는 광축(P)와 일치하지 않는다.
아울러, 전술된 도 6a 내지 도 6d의 광분포 제어부(310,311,312)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6e 및 도 6f는 제1 렌즈면(110)으로부터 단면이 삼각형인 돌출부로 광분포 제어부 '313'과 '315'를 형성한다.
즉, 도 6e는 제1 렌즈면(110)으로부터 단면이 삼각형인 돌출부가 하나이고, 단면상에서, 제 1 직선(313a)과 제 2 직선(313b)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 1 직선(313a)과 제 2 직선(313b)이 만나는 삼각형 꼭지점(313c)은 광축(P)와 일치한다.
그리고, 도 6f는 제1 렌즈면(110)으로부터 단면이 삼각형인 2개의 돌출부(315a,315b)로 광분포 제어부 '315'를 형성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광분포 제어부는 광축에 대칭된 형상일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의 발광 소자와 광확산 소자가 조립된 일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은 광확산 소자(100), 회로 기판(500) 및 발광소자(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은 회로 기판(500); 상기 회로 기판(500)에 실장된 복수개의 발광소자(200); 및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200) 각각에 대응되어 상기 회로 기판(500)에 조립되어 있는 광확산 소자(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500)은 단변보다 장변이 긴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로 기판(500)에는 회로 패턴(미도시)이 형성되고, 회로 패턴은 상기 발광소자(200)로 구동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200)는 상기 회로 기판(500)의 회로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로 패턴에 인가된 구동 신호에 의하여 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발광소자(200)로부터 발생된 광은 360도 방향으로 특정 지향각으로 퍼지는 광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발광소자(200)로부터 발생된 광은 고휘도 특성을 갖는 반면 휘도 균일성은 크게 떨어지는 광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와 같이 고휘도 특성을 갖는 반면 휘도 균일성이 크게 감소 되는 광 프로파일을 갖는 발광소자(200)의 휘도 균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 발광소자(200)에는 광확산 소자(100)가 배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광확산 소자(100)는 제1 렌즈면(110), 제2 렌즈면 및 제3 렌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확산 소자(100)는 상기 발광소자(200)로부터 발생 된 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서 상기 발광소자(200)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는 상기 제1 렌즈면(110)으로 입사되어 상기 제2 렌즈면에서 상기 제3 렌즈면으로 반사되고, 상기 제3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상기 광확산 소자(100) 외부로 출사되고, 상기 발광소자(200)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는 상기 제3 렌즈면에서 상기 제2 렌즈면으로 반사되고, 상기 제2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상기 광확산 소자(100)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확산 소자(100)를 이용하여 광의 휘도 균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다 적은 개수의 발광소자(200)를 이용하여 고휘도 및 높은 휘도 균일성을 갖는 광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확산 소자(100)가 상기 발광소자(200)로부터 소정 간격(d) 이격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은 회로 기판(500)에 복수개의 발광소자(200)가 배열되고, 복수개의 발광소자(200) 각각에 광확산 소자(100)가 조립되어 있다.
이때, 도 7과 같이, 복수개의 발광 소자 '201','202','203','204'가 상기 회로 기판(500)에 배열되어 있는데, 복수개의 발광 소자 '201','202','203','204' 각각은 발광 휘도 및 출사되는 광 분포가 동일할 수도 있지만,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의 적용되는 장치에서 발광 휘도 및 출사되는 광 분포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 '201','202','203','204 각각에 조립되어 있는 광확산 소자 '101','102','103','104'에서 출사되는 광의 휘도 및 출사되는 광 분포가 다르게 설계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 '201','202','203','204 각각에 대응된 상기 광확산 소자 '101','102','103','104'가 서로 다른 경로로 광을 출사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확산 소자 '101','102','103','104'에서 출사되는 휘도 및 출사되는 광 분포가 동일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광확산 소자 '101','102','103','104'는 광확산 소자의 제3 렌즈면(130)에서 반사되어 제2 렌즈면(120)에서 굴절되는 광과 상기 제2 렌즈면(120)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3 렌즈면(130)에서 굴절되는 광의 광량 비율은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이 광량 비율은 전술된 바와 같이, 4:1 ~ 1:4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광확산 소자 '101','102','103','104'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200) 각각에 대응되어 상기 회로 기판(500)에 조립되는데, 도 8과 같이, 상기 광확산 소자 '101','102','103','104'에 레그(leg)(111)를 형성하고, 상기 광확산 소자 '101','102','103','104'는 상기 레그(111)를 이용하여 상기 회로 기판(500)에 실장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 중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은 도 7에 도시된 발광 소자 어레이 유닛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은 발광 소자 어레이 유닛(250), 광학 시트(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시트(600)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예컨대 확산필름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광학 필름(610,620,6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 어레이 유닛(250) 상부에 상기 광학 시트(6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바텀 케이스(미도시) 및 반사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바텀 케이스는 바닥판에 반사판을 배치하고, 반사판은 발광 소자 어레이 유닛(250)의 광확산 소자(100)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22)

  1. 제 1 렌즈면;
    상기 제 1 렌즈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렌즈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렌즈면;
    상기 제 2 렌즈면과 연결되고, 중심이 상기 제 1 렌즈면을 향해 함몰되고, 상기 중심과 가장자리가 곡면으로 연결되며, 상기 중심과 상기 제 1 렌즈면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연장되는 직선인 광축 방향으로 상기 제 1 렌즈면과 이격 배치되는 제 3 렌즈면; 및
    상기 광축과 중심 정렬되며, 상기 제 1 렌즈면으로부터 상기 제 3 렌즈면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광분포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분포 제어부는 상기 제 3 렌즈면을 향해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상기 제 2 렌즈면을 향해 입사되도록 광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제 2 렌즈면을 향해 입사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키며,
    상기 제 1 렌즈면을 통해 입사되어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고,
    상기 제 1 렌즈면을 통해 입사되어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며,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의 연장선과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이 이루는 각도(θ)는 20도 이내인 광확산 소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굴절되는 광과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굴절되는 광의 광량 비율은 4:1 ~ 1:4인 광확산 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굴절되는 광과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굴절되는 광은 서로 반대 방향의 경로를 갖는 광확산 소자.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포 제어부는 상기 광축에 좌우 대칭인 광확산 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면은 직선인 광확산 소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면은 곡선인 광확산 소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면의 양 끝단에서 연결되는 상기 제 2 렌즈면의 간격은 상방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좁아지는 광확산 소자.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면과 제 2 렌즈면을 연결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광확산 소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서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를 더 포함하는 광확산 소자.
  15.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상의 복수 개의 발광소자; 및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광확산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광확산 소자는, 제 1 렌즈면과, 상기 제 1 렌즈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렌즈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렌즈면과, 상기 제 2 렌즈면과 연결되고 중심이 상기 제 1 렌즈면을 향해 함몰되고 상기 중심과 가장자리가 곡면으로 연결되며 상기 중심과 상기 제 1 렌즈면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연장되는 직선인 광축 방향으로 상기 제 1 렌즈면과 이격 배치되는 제 3 렌즈면과, 상기 광축과 중심 정렬되며, 상기 제 1 렌즈면으로부터 상기 제 3 렌즈면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광분포 제어부와, 상기 제 1 렌즈면과 제 2 렌즈면을 연결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서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렌즈면과 발광소자는 상기 레그에 의해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광분포 제어부는 상기 제 3 렌즈면을 향해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상기 제 2 렌즈면을 향해 입사되도록 광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제 2 렌즈면을 향해 입사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키며,
    상기 광확산 소자는,
    상기 제 1 렌즈면을 통해 입사되어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고,
    상기 제 1 렌즈면을 통해 입사되어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며,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의 연장선과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이 이루는 각도(θ)는 20도 이내인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
  16. 삭제
  17. 삭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각각에 대응되어 있는 광확산 소자 각각은 출사되는 휘도 및 출사되는 광 분포가 다른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각각에 대응되어 있는 광확산 소자 각각은 출사되는 휘도 및 출사되는 광 분포가 동일한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반사되어 제 2 렌즈면에서 굴절되는 광과 상기 제 2 렌즈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 3 렌즈면에서 굴절되는 광은 서로 반대 방향의 경로를 갖는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확산 소자들 상부에 배치된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하는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포 제어부가 상기 발광소자와 이격되는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

KR1020130033374A 2013-03-28 2013-03-28 광확산 소자, 및 이를 갖는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 Expired - Fee Related KR101524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374A KR101524914B1 (ko) 2013-03-28 2013-03-28 광확산 소자, 및 이를 갖는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
JP2014068551A JP6286248B2 (ja) 2013-03-28 2014-03-28 光学レンズ、光照射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照明装置
EP14162193.8A EP2784377B1 (en) 2013-03-28 2014-03-28 Optical lens,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CN201410123967.9A CN104075241B (zh) 2013-03-28 2014-03-28 光学透镜、发光装置及照明装置
US14/228,502 US9995461B2 (en) 2013-03-28 2014-03-28 Optical lens,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374A KR101524914B1 (ko) 2013-03-28 2013-03-28 광확산 소자, 및 이를 갖는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092A KR20140118092A (ko) 2014-10-08
KR101524914B1 true KR101524914B1 (ko) 2015-06-01

Family

ID=5077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37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4914B1 (ko) 2013-03-28 2013-03-28 광확산 소자, 및 이를 갖는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95461B2 (ko)
EP (1) EP2784377B1 (ko)
JP (1) JP6286248B2 (ko)
KR (1) KR101524914B1 (ko)
CN (1) CN1040752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3746S1 (en) * 2014-04-15 2016-04-1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ens
US10411173B2 (en) * 2015-03-31 2019-09-10 Nichia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module using the same
US10302278B2 (en) * 2015-04-09 2019-05-28 Cree, Inc. LED bulb with back-reflecting optic
CN108027110B (zh) * 2015-09-01 2020-07-10 Lg 伊诺特有限公司 照明装置
US10464472B2 (en) 2016-11-18 2019-11-05 Rebo Lighting & Electronics, Llc Illumination assembly for a vehicle
US10578278B2 (en) 2017-06-05 2020-03-03 Lumileds Holding B.V. Optical lens for extremely thin direct-lit backlight
US11242977B2 (en) 2017-07-26 2022-02-08 Lumileds Llc Illumination device with element having annular coating
KR102476140B1 (ko) * 2017-11-20 2022-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CN110111681A (zh) * 2019-04-08 2019-08-09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制备方法及系统
WO2025010387A1 (en) * 2023-07-05 2025-01-09 Designs For Vision, Inc. Multiple light source configu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113A (ko) * 2005-04-26 200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측면 발광용 렌즈 및 그를 이용한 발광 소자
JP2011044610A (ja) * 2009-08-21 2011-03-03 Stanley Electric Co Ltd Led照明装置
WO2012004975A1 (ja) * 2010-07-07 2012-0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配光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並びに配光制御装置の製造方法
JP2013012632A (ja) * 2011-06-30 2013-01-17 Enplas Corp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及び面光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7286B2 (en) * 2001-05-04 2003-08-19 Lumileds Lighting, U.S., Llc Lens and lens cap with sawtooth portion for light emitting diode
US6598998B2 (en) * 2001-05-04 2003-07-29 Lumileds Lighting, U.S., Llc Side emitting light emitting device
US6679621B2 (en) 2002-06-24 2004-01-20 Lumileds Lighting U.S., Llc Side emitting LED and lens
US6974229B2 (en) 2003-05-21 2005-12-13 Lumileds Lighting U.S., Llc Devices for creating brightness profiles
TWI249257B (en) 2004-09-24 2006-02-11 Epistar Corp Illumination apparatus
JP2006093470A (ja) 2004-09-24 2006-04-06 Toshiba Corp リードフレーム、発光装置、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101080355B1 (ko) 2004-10-18 201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와 그 렌즈
DE102005019832A1 (de) 2005-02-28 2006-09-14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KR100661719B1 (ko) * 2005-04-26 200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측면 발광용 렌즈 및 그를 이용한 발광 패키지
EP1717627A1 (en) * 2005-04-26 2006-11-02 LG Electronics, Inc. Optical lens,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ing the optical lens, and backlight unit
TWI260380B (en) * 2005-08-05 2006-08-21 Chi Lin Technology Co Ltd Lens for LED
JP5094951B2 (ja) 2005-11-11 2012-12-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JP4702539B2 (ja) 2005-11-16 2011-06-1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源装置
KR100713582B1 (ko) 2005-12-20 2007-05-02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키패드용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JPWO2008007492A1 (ja) * 2006-07-11 2009-12-10 株式会社光波 光源モジュール、面発光ユニット及び面発光装置
KR101221066B1 (ko) 2006-10-30 2013-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측면 방출 렌즈와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액정표시장치
TW200827617A (en) * 2006-12-20 2008-07-01 Ind Tech Res Inst Lens cap an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using the same
JP4799433B2 (ja) 2007-01-31 2011-10-2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7837349B2 (en) * 2007-06-15 2010-11-2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Near field lens
US7703950B2 (en) * 2007-11-21 2010-04-27 C-R Control Systems, Inc. Side-emitting lens for LED lamp
JP5427174B2 (ja) 2008-06-23 2014-0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光装置、面発光装置及び表示装置
JP5030938B2 (ja) 2008-12-26 2012-09-19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ンズ、光源装置および照明装置
TW201025661A (en) * 2008-12-26 2010-07-01 Univ Chung Yuan Christian Side view LED (light emitting diode) module
JP2011018863A (ja) 2009-07-10 2011-01-27 Sharp Corp 発光素子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バックライト装置
JPWO2011010535A1 (ja) * 2009-07-22 2012-12-27 帝人株式会社 Led照明具
JP5719104B2 (ja) 2009-08-24 2015-05-1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USD632834S1 (en) * 2009-10-30 2011-02-15 Teijin Limited Lens for a light emitting diode lamp
WO2011055467A1 (ja) * 2009-11-04 2011-05-12 ナルックス株式会社 照明装置
JP5493147B2 (ja) * 2010-04-07 2014-05-14 株式会社エンプラス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KR101047439B1 (ko) 2010-04-09 2011-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및 렌즈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
US9157602B2 (en) * 2010-05-10 2015-10-13 Cree, Inc. Optical element for a light source and lighting system using same
KR101668262B1 (ko) 2010-06-22 2016-10-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502022A (ja) * 2010-11-30 2014-01-2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発光ダイオードのための光再方向付け及び光散乱モジュール
FR2973476A1 (fr) * 2011-03-31 2012-10-05 Valeo Vision Systeme optique pour generer un faisceau lumineux composite de large ouverture angulaire
JP6025309B2 (ja) 2011-06-29 2016-11-16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30003853A (ko) 2011-07-01 2013-01-09 정대일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장치
TWI412706B (zh) 2011-07-27 2013-10-21 麗光科技股份有限公司 光源模組
KR101957184B1 (ko) * 2011-12-02 2019-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4040740B (zh) 2011-12-02 2018-04-13 首尔半导体株式会社 发光模块和透镜
US10047930B2 (en) * 2011-12-02 2018-08-14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module and lens
KR101287023B1 (ko) 2012-02-13 2013-07-17 (주)엔디에스 조명 및 백라이트용 확산렌즈
TW201408946A (zh) * 2012-08-21 2014-03-01 辰峯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
RU2015118595A (ru) * 2012-10-19 2016-12-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ного освещения, имеющее призматические элементы
US9134007B2 (en) * 2012-11-06 2015-09-15 Darwin Precisions Corporation Light source device
KR101299528B1 (ko) * 2012-12-18 2013-08-23 (주)애니캐스팅 측면 방출형 발광다이오드용 렌즈,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표시장치
CN103471009A (zh) * 2013-09-13 2013-12-25 东莞市欧科光电科技有限公司 新型led透镜和液晶显示背光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113A (ko) * 2005-04-26 200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측면 발광용 렌즈 및 그를 이용한 발광 소자
JP2011044610A (ja) * 2009-08-21 2011-03-03 Stanley Electric Co Ltd Led照明装置
WO2012004975A1 (ja) * 2010-07-07 2012-0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配光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並びに配光制御装置の製造方法
JP2013012632A (ja) * 2011-06-30 2013-01-17 Enplas Corp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及び面光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75241B (zh) 2020-10-02
JP2014194545A (ja) 2014-10-09
US20140293582A1 (en) 2014-10-02
EP2784377B1 (en) 2023-05-24
EP2784377A1 (en) 2014-10-01
US9995461B2 (en) 2018-06-12
JP6286248B2 (ja) 2018-02-28
CN104075241A (zh) 2014-10-01
KR20140118092A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914B1 (ko) 광확산 소자, 및 이를 갖는 발광소자 어레이 유닛
KR101664422B1 (ko) 평면 조명 장치
TWI466319B (zh)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ing device, and a display device
KR100700382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백라이트 모듈
JP5509154B2 (ja) 発光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090034608A (ko) 일체형 도광판과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장치
US20090021668A1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JP2007194214A (ja) 導光板及びそれを採用し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491207B1 (ko) 표시 장치 및 발광 장치
KR20160051292A (ko) 렌즈, 렌즈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백 라이트 유닛
JP2017187548A (ja) 表示装置
US9823507B2 (en) Display device
US20090147533A1 (en) Display Device
CN110632787A (zh) 面状照明装置
JP6853405B2 (ja) 面状照明装置
KR20140077292A (ko) 발광 확산 소자, 이를 갖는 엘이디 어레이 유닛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JP2012174599A (ja) 照明装置
JP6785397B2 (ja) 面状照明装置
US10514153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JP2001215338A (ja) 導光板、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KR101921180B1 (ko) 평면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77295A (ko) 확산 발광 소자, 이를 이용한 엘이디 어레이 바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JP2008084537A (ja) バックライトの反射シート
JP4671342B2 (ja) バックライト
CN103851415B (zh) 用于液晶显示装置的侧入光背光单元和液晶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8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3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6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8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2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01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1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8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2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