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331B1 - 건물의 마감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마감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2331B1 KR101492331B1 KR20130089838A KR20130089838A KR101492331B1 KR 101492331 B1 KR101492331 B1 KR 101492331B1 KR 20130089838 A KR20130089838 A KR 20130089838A KR 20130089838 A KR20130089838 A KR 20130089838A KR 101492331 B1 KR101492331 B1 KR 1014923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surface
- building
- finishing
- protruding portion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마감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마감블럭은, 건물의 벽면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벽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상기 벽면에 맞대이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벽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됨으로써 상기 설치부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며,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는 구획부재들; 상기 구획부재들 중 인접한 구획부재들 사이의 벽면에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구획부재의 돌출부에서 다른 하나의 돌출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벽면에서 외측으로 두께가 작아지게 형성되는 벽면마감층; 및 상기 각 구획부재의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채움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의 마감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비용으로 벽면을 스톤 질감을 갖도록 하여 건물의 가치를 높여 줄 수 있도록 구조 및 공정이 개시된 건물의 마감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은 외단열 시공의 경우 드라이비트 공법에 의해 마감이 이루어졌고, 내단열 시공의 경우 건물의 가치를 높여주기 위하여 스톤 재질의 스톤블럭을 외벽에 설치함으로써 마감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기 내단열 시공에 의한 건물 외벽 마감의 경우, 고가의 스톤블럭의 사용으로 시공비가 증대되고 상기 스톤블럭의 낙하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결국, 저비용으로 스톤 질감을 갖고 안전사고 발생을 초래하지 않는 건물 외벽을 마감할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비용으로 스톤 질감을 갖도록 시공이 가능한 건물의 마감블럭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사고를 초래하지 않는 건물의 마감블럭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마감블럭은, 건물의 벽면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벽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상기 벽면에 맞대이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벽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됨으로써 상기 설치부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며,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는 구획부재들; 상기 구획부재들 중 인접한 구획부재들 사이의 벽면에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구획부재의 돌출부에서 다른 하나의 돌출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벽면에서 외측으로 두께가 작아지게 형성되는 벽면마감층; 및 상기 각 구획부재의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채움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벽면 측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벽면마감층의 형성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면마감층은, 상기 어느 하나의 구획부재의 돌출부와 다른 하나의 구획부재의 돌출부의 중간에서 각 구획부재의 돌출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벽면에서 외측으로 향한 두께가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면마감층은, 시멘트 몰탈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건물의 벽면을 마감하기 위한 건물의 마감블럭 시공방법은, 수용공간을 가지는 복수의 구획부재들을, 상기 벽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길게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단계; 인접한 구획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구획부재의 돌출부에서 다른 하나의 돌출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벽면에서 외측으로 두께가 작아지도록, 벽면마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구획부재의 상기 수용공간에 채움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마감블럭은, 스톤 재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건물의 벽면을 스톤 질감을 갖도록 할 수 있어서, 저비용으로 건물의 이미지를 고급스럽게 하여 건물 가치를 높여 줄 수 있음은 물론, 스톤블럭의 사용으로 인한 스톤블럭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의 염려가 없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구획부재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구획부재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벽면마감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되는 구획부재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구획부재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벽면마감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되는 구획부재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마감블럭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구획부재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구획부재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벽면마감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마감블럭은, 건물의 벽면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 구획부재(1)들과 벽면마감층(2)과 채움재층(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구획부재(1)는, 상기 벽면의 폭방향(가로방향)과 높이방향(세로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구획부재(1)는, 상기 폭방향과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됨으로써 격자형의 공간을 형성시킨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이러한 격자형의 공간에 스톤 재질의 스톤블럭이 설치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벽면마감층(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톤블럭을 대신하게 된다.
상기 각 구획부재(1)는, 설치부(11)와 한 쌍의 돌출부(12)(12')들을 구비한다. 상기 설치부(11)는, 상기 벽면에 맞대이는 부분으로 피스 또는 나사 등에 의해 상기 벽면에 고정된다. 상기 각 돌출부(12)(12')는 상기 설치부(1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벽면 외측으로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설치부(11)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설치부(11)와 돌출부(12)(12')들은 'ㄷ'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벽면마감층(2)은, 상기 벽면의 상기 구획부재(1)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인접한 구획부재(1)들 중 어느 하나의 구획부재(1)의 돌출부(12)(12')에서 다른 하나의 돌출부(12)(12')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벽면에서의 두께가 작아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벽면마감층(2)은, 상기 구획부재(1)들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12)(12')에서 벽면의 일지점까지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구획부재(1)들에 의한 공간 구획을 명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구획된 공간에 적은 양의 마감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채움재층(3)은, 상기 구획부재(1)의 수용공간에 실리콘 등이 채워짐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획부재(1)와 함께 상기 벽면의 공간을 명확히 구획시켜 줌으로써, 상기 벽면마감층(2)에 의한 마감 이후 상기 벽면이 복수개의 스톤블럭으로 구획되는 것과 같은 질감을 갖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마감블럭은, 스톤 재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건물의 벽면을 스톤 질감을 갖도록 할 수 있어서, 저비용으로 건물의 이미지를 고급스럽게 하여 건물 가치를 높여 줄 수 있음은 물론, 스톤블럭의 사용으로 인한 스톤블럭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의 염려가 없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벽면마감층(2)은, 상기 어느 하나의 구획부재(1)의 돌출부(12)(12')재와 다른 하나의 구획부재(1)의 돌출부(12)(12')의 중간에서 각 구획부재(1)의 돌출부(12)(12') 측으로 갈수록 점점 벽면에서 외측으로 향한 두께가 커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중간 부위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인 마감 구조 형성에 의해 시각적인 미감을 좋게 하기는 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벽면마감층(2)은, 상기 돌출부(12)(12')에서 상기 구회된 공간의 일지점까지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하고, 나머지 공간은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벽면마감층(2)은 공지의 마감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시멘트몰탈과 같이 쉽게 구입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좋은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구획부재(1)와 벽면마감층(2)과 채움재층(3)을 이용하여 건물의 벽면을 마감하는 공정은, 먼저 수용공간을 가지는 복수의 구획부재(1)들을, 상기 벽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길게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인접한 구획부재(1)들 중 어느 하나의 구획부재(1)의 돌출부(12)(12')에서 다른 하나의 돌출부(12)(12')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벽면에서 외측으로 두께가 작아지도록, 벽면마감층(2)을 형성한 다음, 상기 각 구획부재(1)의 상기 수용공간에 채움재층(3)을 형성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마감공정은, 작업자에게 있어서 무거운 스톤블럭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게 됨에 따라 편리성을 높여 줄 수 있으며, 시공자에게 있어서 저비용으로 스톤질감을 갖도록 함은 물론 안전사고 발생을 초래하지 않게 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되는 구획부재(1)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구획부재(1)가, 돌출부(12)(12')에서 벽면 측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벽면마감층(2)의 형성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3)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마감두께가 다르게 되는 벽면마감층(2)의 마감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구획부재 11:설치부
12,12':돌출부 13:가이드부
2:벽면마감층 3:채움재층
A:수용공간
12,12':돌출부 13:가이드부
2:벽면마감층 3:채움재층
A:수용공간
Claims (5)
- 삭제
- 건물의 벽면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벽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상기 벽면에 맞대이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벽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됨으로써 상기 설치부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며,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는 구획부재들; 상기 구획부재들 중 인접한 구획부재들 사이의 벽면에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구획부재의 돌출부에서 다른 하나의 돌출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벽면에서 외측으로 두께가 작아지게 형성되는 벽면마감층; 및 상기 각 구획부재의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채움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벽면 측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벽면마감층의 형성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마감블럭.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마감층은, 상기 어느 하나의 구획부재의 돌출부와 다른 하나의 구획부재의 돌출부의 중간에서 각 구획부재의 돌출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벽면에서 외측으로 향한 두께가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마감블럭.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마감층은, 시멘트 몰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마감블럭.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89838A KR101492331B1 (ko) | 2013-07-29 | 2013-07-29 | 건물의 마감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89838A KR101492331B1 (ko) | 2013-07-29 | 2013-07-29 | 건물의 마감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4322A KR20150014322A (ko) | 2015-02-06 |
KR101492331B1 true KR101492331B1 (ko) | 2015-02-11 |
Family
ID=5257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89838A KR101492331B1 (ko) | 2013-07-29 | 2013-07-29 | 건물의 마감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233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3511B1 (ko) * | 2007-03-26 | 2008-01-14 | 이경옥 | 건축용 단열 복합패널 |
JP2009174168A (ja) | 2008-01-23 | 2009-08-06 | Sumitomo Forestry Co Ltd | 土間グリッド型枠および土間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 |
KR101216549B1 (ko) | 2010-08-03 | 2012-12-31 | 김기태 | 단열재와 섬유시트가 결합된 복합단열패널 및 그 복합단열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
-
2013
- 2013-07-29 KR KR20130089838A patent/KR1014923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3511B1 (ko) * | 2007-03-26 | 2008-01-14 | 이경옥 | 건축용 단열 복합패널 |
JP2009174168A (ja) | 2008-01-23 | 2009-08-06 | Sumitomo Forestry Co Ltd | 土間グリッド型枠および土間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 |
KR101216549B1 (ko) | 2010-08-03 | 2012-12-31 | 김기태 | 단열재와 섬유시트가 결합된 복합단열패널 및 그 복합단열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4322A (ko) | 2015-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933296C (en) | Precast modular concrete wall panel, system thereof,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KR101314066B1 (ko) | 케이블 트레이 일체형 슬래브 관통 슬리브 | |
KR101492331B1 (ko) | 건물의 마감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830354B1 (ko) |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 | |
KR101135970B1 (ko) |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 |
US1395176A (en) | Hollow tile | |
KR101532690B1 (ko) | 내진보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 |
KR101551873B1 (ko) | 공동주택용 단열 및 방음구조 | |
KR20160010102A (ko) | 건물의 벽면 마감블럭 구조체 | |
JP6401475B2 (ja) | 建物の耐震改修方法 | |
KR20210053741A (ko) | 설비배관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 |
KR101839681B1 (ko) |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 | |
KR20150059918A (ko) | 지중압입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통로 구조물 | |
KR101467535B1 (ko) | 층간 소음 방지 구조 | |
JP6459118B2 (ja) | 合成床版用リブ付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 | |
KR101271610B1 (ko) | 천장 마감재 | |
ITTO20080430A1 (it) | Metodo di costruzione modulare prefabbricato per la realizzazione di muri e contropareti, in particolare in conglomerato cementizio semplice o armato | |
KR20200004587A (ko) |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 |
KR101331449B1 (ko) | 기초공사용 프리캐스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기초시공 방법 | |
KR101131869B1 (ko) | 지수판 | |
KR200410092Y1 (ko) | 몰탈 사춤형 벽돌 | |
WO2007083216A1 (en) | Interlocking building block | |
KR101708791B1 (ko) | 층간소음 억제 유닛 | |
CN106245853A (zh) | 一种剪力墙钢筋预制砼撑棍 | |
KR20180061456A (ko) | 균열방지를 위한 응력분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