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73874B1 - 정착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정착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874B1
KR101473874B1 KR1020070051060A KR20070051060A KR101473874B1 KR 101473874 B1 KR101473874 B1 KR 101473874B1 KR 1020070051060 A KR1020070051060 A KR 1020070051060A KR 20070051060 A KR20070051060 A KR 20070051060A KR 101473874 B1 KR101473874 B1 KR 101473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gear
sensing
roll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3829A (ko
Inventor
강래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874B1/ko
Priority to US12/102,153 priority patent/US8224206B2/en
Priority to CN2008100953257A priority patent/CN101311846B/zh
Publication of KR20080103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32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 G03G15/2035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for maintenance purposes, e.g. for removing a jammed sh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Structural details or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sure elements and layer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03G2215/2025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rotating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Ink Jet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감광체에 빛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장치와, 감광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장치와,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을 포함하고, 정착유닛은 인쇄매체에 열을 가하는 히팅롤러와, 히팅롤러와 접하여 인쇄매체를 가압하는 가압롤러와,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중 어느 한 롤러를 나머지 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레버와, 가압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레버와, 조절레버가 가압레버를 움직이도록 조절레버를 작동시키는 압력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레버에 힌지 결합된 조절레버를 작동시킴으로써 작은 힘으로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의 정착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정착유닛, 가압롤러, 정착압력, 조절레버

Description

정착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Fus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착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가압력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압력조절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가압력조절장치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가압력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개폐커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화상형성장치 본체 11...픽업장치
12...감광체 13...노광장치
14...현상장치 15...전사장치
21...제어장치 22...개폐커버
23...스토퍼 25...가압력해제돌기
26...가압력복귀돌기 30...정착유닛
31...프레임 33...접촉부
34...히팅롤러 35...가압롤러
36...가압레버 37...제 1 힌지축
38...제 1 탄성부재 41...조절레버
42...힌지부 43,44...제 1,2 레버부
45...탄성지지부재 50...가압력조절장치
51...작동부재 52...작동기어
53...구동기어 54...구동원
55...웜 56...웜휠
57...연결축 58...제 2 탄성부재
60...위치감지센서 61...감지영역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신호에 따라 용지와 같은 인쇄매체 상에 흑백화상이나 컬러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로,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팩시밀리 등이 있다. 이러한 각종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 방식으로는 감광체에 빛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만들고 그 위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인쇄매체로 옮기는 전자사진방식과, 화상신호에 따라 인쇄매체 표면에 액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젯 방식이 대표적이다.
이 중에서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의 표면을 일정 전위로 대전시킨 후 그 위에 빛을 조사하여 전위차 발생에 따른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만든다. 그리고,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킨 후 이를 인쇄매체 표면에 정착시켜 인쇄를 완료한다.
현상제 분말로 이루어지는 가시화상을 인쇄매체 표면에 정착시키기 위해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가시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기 위한 정착유닛을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정착유닛은 고열을 발생하는 히팅롤러와, 히팅롤러와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한다. 히팅롤러는 고열을 발생하는 램프 또는 전열체 등의 열원과, 열원의 외부에 구비되는 알루미늄 파이프와, 알루미늄 파이프의 표면에 구비되는 이형층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압롤러는 그 외부 표면에 탄성층이 구비되고 히팅롤러에 밀착되되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에 끼이는 인쇄매체의 제거를 위해 히팅롤러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인쇄 진행시 가시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는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을 받고, 인쇄매체 표면의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융착된다.
정착유닛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인쇄매체(예컨대, A4 용지)의 두께에 적합한 가압력으로 히팅롤러와 가압롤러가 서로 밀착되도록 세팅된다. 따라서, 일반 인쇄매체보다 두꺼운 인쇄매체 예컨대, 봉투가 정착유닛을 통과할 때 정착압력이 과하여 봉투가 주름지거나 구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서 일반 인쇄매체 보다 두꺼운 인쇄매체 인쇄시에는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의 정착압력을 감소시켜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두꺼운 인쇄매체의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의 가압력을 저감시키고, 일반 인쇄매체를 사용할 때는 다시 수동으로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의 가압력을 증가시켜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2007-12191호(2007. 01. 25. 공개)에는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의 가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정착유닛은 가압롤러를 지지하는 가압레버가 압축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구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캠이 가압레버를 직접 가 압함으로써 가압롤러와 히팅롤러 사이의 가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된다.
그런데,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정착유닛은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의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압축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가압레버를 직접 가압해야 하기 때문에 가압레버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종래의 정착유닛은 가압롤러를 지지하는 가압레버가 자동으로 움직이게 되어 있어서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에 인쇄매체가 끼이는 경우, 인쇄매체를 제거하기 위해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를 수동으로 이격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인쇄매체의 잼 발생시 잼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되는 인쇄매체에 따라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의 정착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하고, 인쇄매체의 잼 제거가 용이한 정착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은 힘으로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의 정착압력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정착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빛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착유닛은 인쇄매체에 열을 가하는 히팅롤러, 상기 히팅롤러와 접하여 인쇄매체를 가압하는 가압롤러, 상기 히팅롤러와 상기 가압롤러 중 어느 한 롤러를 나머지 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레버, 상기 가압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레버, 상기 조절레버가 상기 가압레버를 움직이도록 상기 조절레버를 작동시키는 가압력조절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가압레버를 탄성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력조절장치는 상기 조절레버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가압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레버는 상기 가압레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레버부와, 상기 힌지부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레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레버는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제 1 레버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 2 레버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접한 상태로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압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작동부재와 결합되는 작동기어와,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작동기어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구동원과 상기 작동기어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의 각 기어이는 상기 각 기어의 외주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작동기어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구동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기어에는 일측으로 연장된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감지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작동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감지부가 상기 감지영역에 위치하면 감지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센서에는 상기 감지부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상기 감지영역이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작동기어는 상기 감지부의 위치에 따라 그 회전이 제어됨으로써, 상기 히팅롤러 및 상기 가압롤러 사이의 정착압력이 다단으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구동기어와 결합되는 웜휠과, 상기 웜휠에 기어 연결되도록 상기 구동원에 구비되는 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작동기어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작동기어의 기어이가 상기 구동기어의 기어이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작동기어를 복귀시키는 제 2 탄성부재와, 상기 제 2 탄성부재에 의해 복귀되는 작동기어를 초기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원, 상기 작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개폐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레버, 상기 조절레버 및 상기 작동부재는 한 쌍씩 상기 프레임의 양 측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작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는 한 쌍씩 상기 개폐커버의 양 측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구동기어는 연결축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구동기어는 상기 하나의 구동원으로 모두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기어는 상기 개폐커버가 열리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력조절장치는 인쇄동작을 제어하는 외부입력장치를 통한 인쇄매체 선택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정착유닛은 프레임과, 인쇄매체에 열을 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히팅롤러와, 상기 히팅롤러와 접하여 인쇄매체를 가압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압롤러와, 상기 히팅롤러와 상기 가압롤러 중 어느 한 롤러를 다른 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레버와, 상기 가압레버에 힌지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접하여 회전하는 조절레버와, 상기 조절레버가 상기 가압레버를 움직이도록 상기 조절레버를 작동시키는 가압력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와, 인쇄매체를 낱장으로 픽업하는 픽업장치(11)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12)와, 화상신호에 따라 감광체(12)에 빛을 조사 하는 노광장치(13)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12)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장치(14)와, 감광체(12)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장치(15)와,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30)을 포함한다.
이 이외에도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는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인쇄매체적재장치(16)와, 감광체(12)를 일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17)와,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저장통(18)과,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인쇄매체배출장치(19)와, 구동력을 발생하는 메인 구동원(미도시)과, 화상형성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21)와, 인쇄매체의 잼 제거를 위해 개폐되는 개폐커버(21)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가 시작되면, 픽업장치(11)가 작동하여 인쇄매체적재장치(16)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낱장으로 픽업하여 감광체(12)로 이송시킨다. 이때, 대전장치(17)에 의해 일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12)의 표면에는 화상신호에 따라 노광장치(13)에서 발생된 빛이 조사되어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정잠상 영역에 현상장치(14)에 의해 현상제가 부착되어 현상제 분말로 이루어지는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가시화상은 전사장치(15)에 의해 인쇄매체의 표면으로 전사된 후, 인쇄매체가 정착유닛(20)을 통과할 때 인쇄매체 표면에 정착된다. 그리고, 화상이 인쇄된 인쇄매체는 인쇄매체배출장치(19)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인쇄 동작은 통상적인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와 같은 것이며, 정착유닛(3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부품은 통상적인 화상형성장치와 같다. 따라 서,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정착유닛(3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부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정착유닛(30)은 화상형성장치 본체(10) 내부 일측에 결합되는 프레임(31)과, 프레임(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히팅롤러(34) 및 가압롤러(35)와, 히팅롤러(34) 및 가압롤러(35) 사이의 정착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압력조절장치(50)를 포함한다.
히팅롤러(34)는 가시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에 열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파이프(예컨대, 알루미늄)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통상의 것과 같이 열을 발생하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된다. 히팅롤러(34)는 프레임(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메인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가압롤러(35)는 히팅롤러(34)에 밀착되어 히팅롤러(34)와 가압롤러(35)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한다. 가압롤러(35)의 표면은 히팅롤러(34)에 밀착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탄성층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압롤러(35)는 프레임(31)에 힌지 결합되어 일정 각도 회전하는 가압레버(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압롤러(35)의 회전축(35a)은 가압레버(36)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압레버(36)는 제 1 힌지축(37)에 의해 프레임(31)의 측부에 힌지 결합된다. 가압레버(36)가 가압롤러(35)를 지지한 상태로 움직이면 가압롤러(35)가 히팅롤러(34)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으로써 히팅롤러(34)와 가압롤러(35) 사이의 정착압력이 가변될 수 있다.
즉, 가압레버(36)가 역방향(예컨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면 히팅롤러(34)와 가압롤러(35) 사이의 가압력은 증가되고, 가압레버(36)가 정방향(예컨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면 히팅롤러(34)와 가압롤러(35) 사이의 가압력은 감소된다. 가압레버(37)가 회전할 수 있도록 프레임(31)에는 개방부(32)가 구비되며, 가압레버(36)는 이 개방부(32)에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가압롤러(35)를 히팅롤러(34)에 밀착시키기 위해 프레임(31)에는 제 1 탄성부재(38)가 설치된다. 제 1 탄성부재(38)는 일단이 프레임(31)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압레버(36)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가압레버(36)를 탄성 지지한다. 제 1 탄성부재(38)로는 도시된 것과 같이, 인장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인장스프링 이외에 인장스프링에 상응하는 다른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 탄성부재(38)는 히팅롤러(34)와 가압롤러(35)가 일반 인쇄매체(예컨대, A4 용지)의 두께에 적합한 가압력으로 밀착되도록 세팅된다. 따라서, 가압레버(36)에 제 1 탄성부재(38)의 탄성력 이외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가압롤러(35)는 일반 인쇄매체의 두께에 적합한 가압력으로 히팅롤러(34)에 밀착된다.
인쇄매체의 잼 발생시, 또는 수리나 부품교체의 이유로 가압롤러(35)는 히팅롤러(34)로부터 이격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가압레버(36)에는 제 1 탄성부재(38)의 탄성력보다 큰 외력이 인가되어 가압레버(36)는 정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다. 이때, 가압롤러(35)는 히팅롤러(34)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압레버(36)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가압레버(36)를 회전시키기 위해 가압레버(36)의 상부 일측에는 조절레 버(41)가 힌지 결합된다. 조절레버(41)는 가압레버(36)를 작은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가압레버(36)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42)와, 힌지부(42)의 일측(예컨대,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레버부(43)와, 힌지부(42)의 타측(예컨대,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레버부(44)를 포함한다. 제 1 레버부(43)에 제 1 탄성부재(38)의 탄성력보다 큰 외력이 일측 방향(예컨대,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가해지면 제 2 레버부(44)가 프레임(31)의 일측에 접하면서 제 1 및 제 2 레버부(43)(44)가 힌지부(42)를 중심으로 정방향(예컨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조절레버(41)는 가압레버(36)를 당겨 가압레버(36)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가압레버(36)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롤러(35)가 히팅롤러(34)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면서 히팅롤러(34)와 가압롤러(35) 사이의 정착압력이 감소하다가 가압롤러(35)와 히팅롤러(34)는 상호 이격된다.
조절레버(41)에는 가압롤러(35)가 히팅롤러(34)에 밀착되는 정상상태에서 조절레버(41)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지지부재(45)가 결합된다. 탄성지지부재(45)는 조절레버(41)의 제 1 및 제 2 고정부(43a)(43b)에 결합되고 일부가 프레임(31)에 접하여 조절레버(41)를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조절레버(41)가 외력을 받아 역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할 경우, 탄성지지부재(45)가 탄성 변형되면서 조절레버(41)를 복귀시킨다. 탄성지지부재(45)로는 도시된 것과 같은 토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고, 토션 스프링 이외에 이에 상응하는 다른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31)에는 제 2 레버부(44)가 접하는 접촉 부(33)가 구비된다. 접촉부(33)는 일정 각도 기울어져서 제 2 레버부(44)가 접촉부(33)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 조절레버(41)의 힌지부(42)는 가압레버(36)의 제 1 힌지축(37)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조절레버(41)가 가압레버(36)를 당기게 된다. 가압레버(36)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가압롤러(35)가 히팅롤러(34)로부터 이격될 때 조절레버(41)는 회전을 멈추고 위치 고정된다. 이를 위해, 제 2 레버부(44)에는 고정돌기(44a)가 돌출 구비되고, 접촉부(33)의 상부에는 걸림돌기(33a)가 돌출 구비된다. 조절레버(41)가 회전하여 고정돌기(44a)가 접촉부(33)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다가 걸림돌기(33a) 위로 이동하면 고정돌기(44a)는 걸림돌기(33a)에 걸린다. 이렇게 고정돌기(44a)가 프레임(31)의 걸림돌기(33a)에 걸리면, 조절레버(41)의 정방향 회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가압레버(36)는 제 1 탄성부재(38)의 탄성력에 의해 당겨지더라도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가압롤러(35)는 히팅롤러(34)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 고정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압레버(36), 제 1 탄성부재(38), 조절레버(41) 및 접촉부(33)는 프레임(31)의 일측부 및 타측부 모두에 구비된다.
가압력조절장치(5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절레버(41)를 가압하여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부재(51) 및 작동기어(52)와, 작동기어(52)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53)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원(54)을 포함한다.
작동부재(51)는 작동기어(52)와 일체로 작동기어(52)의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고, 작동기어(52)는 개폐커버(22)의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기어(52)가 역방향(예컨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하면 작동부재(51)가 움직여 조절레버(41)를 가압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기어(52)는 개폐커버(22)의 지지홀(22a)에 결합되는 지지축(52b)에 결합됨과 동시에, 개폐커버(22)에 고정되는 제 2 탄성부재(58)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제 2 탄성부재(58)는 일단이 개폐커버(22)에 구비되는 제 1 고정홀(22b)에 삽입되고 타단이 작동기어(52)에 구비되는 제 2 고정홀(52c)에 삽입된다. 따라서, 작동기어(52)가 외력을 받아 회전하면 제 2 탄성부재(58)는 탄성 변형되고, 작동기어(52)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작동기어(52)는 제 2 탄성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기어(52)가 제 2 탄성부재(58)에 의해 복귀될 때 작동기어(52)를 초기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해 개폐커버(22)에는 스토퍼(23)가 설치된다. 스토퍼(23)는 개폐커버(22)의 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것으로 작동기어(52)가 제 2 탄성부재(58)에 의해 역회전할 때 작동부재(51)의 상부가 이 스토퍼(23)에 접함으로써 작동기어(52)가 정지된다. 또한, 작동기어(52)는 외주 일부분에만 기어이(52a)가 구비된다. 이러한 작동부재(51) 및 작동기어(52)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커버(22)의 타측부에도 구비된다. 이들 한 쌍의 작동부재(52)(52')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감지부(52d)가 돌출 구비된다. 감지부(52d)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커버(22)에 설치되는 위치감지센서(60) 쪽으로 돌출된다.
위치감지센서(60)는 작동기어(52)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위치감지센서(60)에는 작동기어(52)가 회전할 때 감지부(52d)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영역(61)이 구비된다. 위치감지센서(60)는 작동기어(52)가 회전하여 감지부(52d)가 감지영역(61)에 위치하면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이를 제어장치(21)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장치(21)는 구동원(54)을 제어하여 작동기어(52)를 정지시킨다. 작동기어(52)의 정지위치는 가압롤러(35)가 히팅롤러(34)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져 히팅롤러(34)와 가압롤러(35) 사이의 정착압력이 두꺼운 인쇄매체(예컨대, 봉투)에 적합하게 감소되는 위치로 정해진다. 그리고, 위치감지센서(60)의 감지영역(61)은 이에 맞게 세팅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치감지센서(60)의 감지영역(61a)(61b)(61c)이 작동부재(51)의 이동 경로 상에 복수로 구비되면 히팅롤러(34)와 가압롤러(35) 사이의 정착압력이 다단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인쇄매체의 두께에 따라 적합한 정착압력을 정하고, 복수의 감지영역(61a)(61b)(61c)을 각 정착압력에 대응하도록 세팅하면, 작동기어(52)의 회전 각도를 인쇄매체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매체 선택은 컴퓨터와 같은 외부입력장치(70)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제어장치(21)는 인쇄명령을 인가하는 외부입력장치(70)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외부입력장치(70)를 통해 인쇄매체를 선택하면 제어장치(21)가 구동원(54)을 작동시켜 선택된 인쇄매체에 적합하게 정착유닛(30)의 정착압력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작동기어(52)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6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동기어(52)의 회전 각도는 구동원(54)의 작동시간이나 회전수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구동기어(53)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커버(22)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기어(53)는 작동기어(52)와 같이 기어이(53a)가 외주 일부분에만 구비된다. 따라서, 작동기어(52)와 구동기어(53)가 항시 기어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기어(53)가 회전하여 구동기어(53)의 기어이(53a)가 작동기어(52)의 기어이(52a)와 연결될 때만 작동기어(52)가 회전한다. 구동기어(53)의 기어이(53a)와 작동기어(52)의 기어이(52a)가 기어 연결된 후 구동기어(53)가 더욱 회전하면 구동기어(53)의 기어이(53a)는 작동기어(52)의 기어이(52a)로부터 벗어난다. 이때, 작동기어(52)는 제 2 탄성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해 정회전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작동기어(52)와 구동기어(53)의 각 기어이(52a)(53a)가 일부분에만 구비되기 때문에, 구동원(54)이 오작동하여 구동기어(53)가 계속 회전하더라도 작동기어(52)는 일정 각도 회전 후 회전을 멈춘다. 따라서, 작동부재(51)의 이동 범위가 제한되어 사용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기어(53)는 연결축(57)을 통해 웜휠(56)과 결합된다. 웜휠(56)은 구동원(54)에 구비되는 웜(55)과 함께 웜기어를 구성한다. 따라서, 구동원(54)이 작동하면 웜(55) 및 웜휠(56)이 회전하면서 구동기어(53)가 웜휠(56)과 함께 회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원(54)과 구동기어(53) 사이의 동력연결구조는 웜기어 이외의 다른 기어연결, 또는 기어연결 이외의 다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기어(53)는 개폐커버(22)의 양 측부에 모두 설치되고, 구동원(54) 및 웜기어는 개폐커버(22)의 한쪽 측부에만 하나씩 설치된다. 한 쌍의 구동기어(53)(53')는 연결축(57)에 의해 결합되므로, 하나의 구동원(54) 및 웜기어를 통해 한 쌍의 구동기어(53)(53') 모두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연결축(57)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커버(22)에 구비되는 지지홀(22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개폐커버(2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힌지축(24)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잼 발생이나, 수리 또는 부품교체의 원인으로 정착유닛(30)을 노출시켜야 할 경우 개폐커버(22)는 제 2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커버(22)의 양 측부에는 가압해제돌기(25) 및 가압복귀돌기(26)가 돌출 구비된다. 가압해제돌기(25)는 개폐커버(22)가 열릴때 조절레버(41)를 밀어 가압롤러(35)를 히팅롤러(34)로부터 이격시킨다. 그리고, 가압복귀돌기(26)는 개폐커버(22)가 닫힐 때 정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 조절레버(4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압롤러(35)를 히팅롤러(34)에 밀착되는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 인쇄매체(예컨대, A4)가 인쇄될 때 가압롤러(35)는 제 1 탄성부재(38)에 의해 히팅롤러(34)에 밀착된다. 인쇄가 진행되면 히팅롤러(34) 및 가압롤러(35)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이들 사이를 통과하 는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한다.
만약, 일반 인쇄매체보다 두꺼운 인쇄매체(예컨대, 봉투)를 인쇄할 경우, 인쇄매체가 선택되면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원(54)이 작동하여 웜(55)이 회전하고, 웜(55)과 기어 연결된 웜휠(56) 및 웜휠(56)에 결합된 구동기어(53)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기어(53)가 회전하여 그 기어이(53a)가 작동기어(52)의 기어이(52a)에 기어 연결되면 작동기어(52)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작동기어(52)가 회전하여 그 감지부(52d;도 5참조)가 위치감지센서(60;도 5참조)의 해당 감지영역(61)에 위치하면 제어장치(21;도 1참조)가 구동원(54)을 정지시키고, 이에 의해 작동기어(52)는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후 정지된다.
그리고, 작동기어(5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작동부재(51)는 조절레버(41)의 제 1 레버부(43)를 가압하고, 조절레버(41)는 제 2 레버부(44)가 접촉부(33)에 접한 상태로 힌지부(42)를 중심으로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가압레버(36)가 조절레버(41)에 의해 당겨져 정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가압롤러(35)는 히팅롤러(34)의 중심으로부터 다소 멀어짐으로써 히팅롤러(34)와 가압롤러(35) 사이의 가압력이 두꺼운 인쇄매체에 적합한 정착압력으로 감소된다.
이러한 작동부재(51)에 의한 정착압력 조절은 작동기어(52)의 회전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인쇄매체의 두께에 따라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인쇄매체의 선택은 컴퓨터와 같은 외부입력장치(70)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인쇄명령시 인쇄매체를 선택하면 가압력조절장치(50)가 작동하여 선택된 인쇄매체에 적합하게 정착압력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쇄매 체의 선택은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는 조작버튼(미도시)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인쇄매체의 두께를 감지할 수 있는 인쇄매체감지수단(미도시)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히팅롤러(34)와 가압롤러(35) 사이의 정착압력이 감소된 상태에서 다시 일반 인쇄매체를 사용할 경우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장치(21)는 구동원(54)을 작동시켜 구동기어(53)를 정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킨다. 구동기어(53)가 회전하여 그 기어이(53a)가 작동기어(52)의 기어이(52a)로부터 벗어나면 작동기어(52)는 제 2 탄성부재(58;도 6참조)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구동원(54)은 일정 시간 또는 일정 회전수 작동 후 정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작동기어(52)의 복귀는 제 2 탄성부재(58)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고 구동원(54)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동원(54)은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이용되고, 구동원(54)이 회전 방향을 바꾸면 작동기어(52)가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커버(22)가 개방되는 경우, 가압해제돌기(25)가 조절레버(41)를 가압하여 조절레버(41)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가압레버(36)도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롤러(35)가 히팅롤러(34)로부터 벗어난다. 조절레버(41)가 계속 회전하여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레버부(44)의 고정돌기(44a)가 프레임(31)의 걸림돌기(33a) 위에 위치하면 고정돌기(44a)는 걸림돌기(33a)에 걸리고 조절레버(41)는 가압레버(36)를 당긴 상태로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가압롤러(35)는 히팅롤러(34)에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1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커버(22)가 다시 닫히면 개폐커버(22)의 가압복귀돌기(26)가 조절레버(41)의 제 1 레버부(43)를 가압하여 조절레버(41)의 고정돌기(44a)가 프레임(31)의 걸림돌기(33a)에서 벗어나고 가압레버(36) 및 가압롤러(35)는 제 1 탄성부재(38)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만약, 작동기어(52)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개폐커버(22)가 개폐된다면, 제어장치(21)는 구동원(54)을 작동시켜 작동기어(52) 및 작동부재(51)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개폐커버(22)가 개폐되면 히팅롤러(34)와 가압롤러(35) 사이의 가압력은 일반 인쇄매체(예컨대, A4용지)에 적합한 정착압력으로 초기화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히팅롤러(34)와 가압롤러(35) 사이의 정착압력은 인쇄매체의 두께 뿐만이 아니라, 인쇄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조절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21)는 인쇄매체의 두께 또는 종류에 따라 구동원(54)을 제어하여 정착압력을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작동부재(51), 작동기어(52) 및 구동기어(53)를 적절히 설계 변경하면 작동부재(51)에 의한 조절레버(41)의 최대 회전각도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부재(51)를 통해 히팅롤러(34) 및 가압롤러(35) 사이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팅롤러(34)와 가압롤러(35) 사이를 완전히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잼 발생시 개폐커버(22)를 조작하지 않고 작동부재(51)를 통해 히팅롤러(34) 및 가압롤러(35) 사이를 완전히 이격시키고 잼 제거를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로 레이저 프린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레이저 프린터 이외에 복사기, 복합기, 팩시밀리 등 정착유닛을 갖는 다른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롤러를 지지하는 가압레버에 힌지 결합된 조절레버를 가압함으로써 히팅롤러에 밀착되는 가압롤러를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작은 힘으로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레버에 힌지 결합된 조절레버를 조작하여 가압롤러를 히팅롤러로부터 완전히 이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쇄매체의 잼 제거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화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23)

  1.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빛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인쇄매체에 열을 가하는 히팅롤러, 상기 히팅롤러와 접하여 인쇄매체를 가압하는 가압롤러, 상기 히팅롤러와 상기 가압롤러 중 어느 한 롤러를 나머지 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레버, 상기 가압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레버, 상기 조절레버가 상기 가압레버를 움직이도록 상기 조절레버를 작동시키는 가압력조절장치를 갖는 정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력조절장치는 상기 조절레버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고 외주 일부분에만 기어이가 형성된 작동기어와,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작동기어에 전달하도록 상기 구동원과 상기 작동기어 사이에 구비되고 외주 일부분에만 기어이가 형성된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레버를 탄성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레버는 상기 가압레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레버부와, 상기 힌지부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레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레버는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제 1 레버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 2 레버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접한 상태로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압레버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구동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에는 일측으로 연장된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감지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작동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감지부가 상기 감지영역에 위치하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에는 상기 감지부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상기 감지영역이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작동기어는 상기 감지부의 위치에 따라 그 회전이 제어됨으로써, 상기 히팅롤러 및 상기 가압롤러 사이의 정착압력이 다단으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결합되는 웜휠과, 상기 웜휠에 기어 연결되도록 상기 구동원에 구비되는 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작동기어의 기어이가 상기 구동기어의 기어이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작동기어를 복귀시키는 제 2 탄성부재와, 상기 제 2 탄성부재에 의해 복귀되는 작동기어를 초기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원, 상기 작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개폐커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유닛은 상기 히팅롤러와 가압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레버, 상기 조절레버 및 상기 작동부재는 한 쌍씩 상기 프레임의 양 측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작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는 한 쌍씩 상기 개폐커버의 양 측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구동기어는 연결축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구동기어는 상기 하나의 구동원으로 모두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는 상기 개폐커버가 열리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조절장치는 인쇄동작을 제어하는 외부입력장치를 통한 인쇄매체 선택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프레임과,
    인쇄매체에 열을 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히팅롤러와,
    상기 히팅롤러와 접하여 인쇄매체를 가압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압롤러와,
    상기 히팅롤러와 상기 가압롤러 중 어느 한 롤러를 다른 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레버와,
    상기 가압레버에 힌지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접하여 회전하는 조절레버와,
    상기 조절레버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고 외주 일부분에만 기어이가 형성된 작동기어와,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작동기어에 전달하도록 상기 구동원과 상기 작동기어 사이에 구비되고, 외주 일부분에만 기어이가 형성된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유닛.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레버를 탄성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유닛.
  17. 삭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레버는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조절레버는 상기 가압레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레버부와, 상기 힌지부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레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레버는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제 1 레버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 2 레버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접한 상태로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압레버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유닛.
  19. 삭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유닛.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에는 일측으로 연장된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감지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작동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감지부가 상기 감지영역에 위치하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유닛.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에는 상기 감지부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상기 감지영역이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작동기어는 상기 감지부의 위치에 따라 그 회전이 제어됨으로써, 상기 히팅롤러 및 상기 가압롤러 사이의 정착압력이 다단으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유닛.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작동기어의 기어이가 상기 구동기어의 기어이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작동기어를 복귀시키는 제 2 탄성부재와, 상기 제 2 탄성부재에 의해 복귀되는 작동기어를 초기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유닛.
KR1020070051060A 2007-05-25 2007-05-25 정착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1473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060A KR101473874B1 (ko) 2007-05-25 2007-05-25 정착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12/102,153 US8224206B2 (en) 2007-05-25 2008-04-14 Fusing unit including roller adjustment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08100953257A CN101311846B (zh) 2007-05-25 2008-04-25 熔合单元和具有该熔合单元的成像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060A KR101473874B1 (ko) 2007-05-25 2007-05-25 정착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829A KR20080103829A (ko) 2008-11-28
KR101473874B1 true KR101473874B1 (ko) 2014-12-17

Family

ID=4007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060A KR101473874B1 (ko) 2007-05-25 2007-05-25 정착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24206B2 (ko)
KR (1) KR101473874B1 (ko)
CN (1) CN1013118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17256B (en) * 2006-07-10 2009-11-11 Teco Image Sys Co Ltd Support device
JP2008298989A (ja) * 2007-05-30 2008-12-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定着装置の制御方法
US20110200342A1 (en) * 2010-02-17 2011-08-18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5494002B2 (ja) * 2010-02-26 2014-05-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03447A (ja) * 2010-11-09 2012-05-31 Fuji Xerox Co Ltd 加熱加圧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821616B1 (ko) * 2011-11-10 2018-01-25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N103291734A (zh) * 2012-02-28 2013-09-1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转动机构及使用该转动机构的电子设备
JP6501484B2 (ja) * 2014-10-22 2019-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37666B2 (ja) * 2015-02-10 2017-11-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37012B2 (ja) * 2015-02-17 2019-07-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定着装置
JP6304138B2 (ja) * 2015-06-18 2018-04-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85718B2 (ja) * 2015-12-24 2020-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6387991B2 (ja) * 2016-03-16 2018-09-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726399B2 (ja) * 2016-05-30 2020-07-22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057888B2 (ja) * 2017-09-28 2022-04-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
JP6879151B2 (ja) * 2017-09-28 2021-06-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
JP6996197B2 (ja) * 2017-09-28 2022-0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
JP7086689B2 (ja) * 2018-04-16 202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CN111547561B (zh) * 2020-05-13 2021-12-31 临海市文正反光材料厂 一种反光带的制作方法
CN111508768B (zh) * 2020-05-16 2022-06-24 浙江逸辰电气有限公司 一种充气柜断路器的操作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0863A (ja) * 2000-07-28 2002-02-06 Kyocera Mita Corp 定着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20060239715A1 (en) * 2005-04-20 2006-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ers separat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70019979A1 (en) * 2005-07-21 2007-01-25 Makoto Fujii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4575A (en) * 1977-08-22 1979-05-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ot roll fuser roll closure apparatus
JPH05289564A (ja) * 1992-04-10 1993-11-05 Hitachi Ltd 定着装置
US6253046B1 (en) * 2000-04-19 2001-06-26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functional fuser backup roll release mechanism
CN100412721C (zh) * 2004-06-30 2008-08-20 株式会社理光 定影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4135105B2 (ja) * 2004-09-28 2008-08-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材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54809B2 (ja) * 2005-07-21 2011-03-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0863A (ja) * 2000-07-28 2002-02-06 Kyocera Mita Corp 定着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20060239715A1 (en) * 2005-04-20 2006-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ers separat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70019979A1 (en) * 2005-07-21 2007-01-25 Makoto Fujii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11846A (zh) 2008-11-26
CN101311846B (zh) 2012-05-16
US8224206B2 (en) 2012-07-17
KR20080103829A (ko) 2008-11-28
US20080292345A1 (en) 200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874B1 (ko) 정착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1342539B1 (ko) 정착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873786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095041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774893B1 (ko)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9046843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72543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7924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opening/closing member
US90838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5093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mountable on the same
JP2000181329A (ja) 画像形成装置
US20090190971A1 (en) Transfer bel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937774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959908B2 (ja) 画像形成装置
US84332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88314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448624B2 (en) Paper feed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3835319B (zh) 成像设备
JP5213540B2 (ja) 画像形成機器
JP2020086311A (ja) 画像形成装置
JP686607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ト搬送装置
US74608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562446B2 (ja) 画像形成装置
JP7536225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40140746A1 (en) Sheet conveyan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