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66906B1 - 무인반송대차 - Google Patents

무인반송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906B1
KR101466906B1 KR1020130055893A KR20130055893A KR101466906B1 KR 101466906 B1 KR101466906 B1 KR 101466906B1 KR 1020130055893 A KR1020130055893 A KR 1020130055893A KR 20130055893 A KR20130055893 A KR 20130055893A KR 101466906 B1 KR101466906 B1 KR 101466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lifting
plate
body fram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5891A (ko
Inventor
조규삼
신철호
이해섭
최영철
정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텍
Priority to KR1020130055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90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5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9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8Multilevel-deck construction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4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2Stationary loaders or unloaders, e.g. for s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인반송대차를 경로 이외의 필요한 곳으로 이동할 경우나 무인반송대차의 구동부에 대한 고장이나 각종 손상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무인반송대차를 수동으로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무인반송대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반송물의 적재 영역으로 제공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 중 적어도 세 곳 이상의 부위에 설치되면서 자유로운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함과 더불어 지면을 따라 구름 가능한 복수의 캐스터;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저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각 캐스터와 협력하여 본체프레임을 각종 반송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구동휠 및 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각 구동휠을 강제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가지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구동부를 승강시켜 상기 구동부의 각 구동휠이 지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리프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대차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인반송대차{automatic guided vehicles}
본 발명은 무인반송대차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결합부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사용자가 무인반송대차를 경로 이외의 필요한 곳으로 이동할 경우 혹은, 무인반송대차가 고장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승강 이동 가능한 구동부를 갖는 무인반송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송대차는 다양한 부품이나 제품 등을 이송할 때 사용되는 이송장치이다.
상기한 반송대차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정해진 궤도를 따라 이동대차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송되는 무인반송대차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인반송대차의 경우 지면을 따라 구비된 마그네틱가이드를 감지하여 상기 마그네틱가이드의 설치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원하는 목적지로 반송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관하여는 등록특허 제10-1163969호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상기한 무인반송대차는 사용자가 해당 무인반송대차를 경로 이외의 필요한 곳으로 이동할 경우나 상기 무인반송대차를 이루는 구동부의 구동모터에 대한 고장 혹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부위의 파손이 발생될 경우 구동휠의 조향이 이루어지지 않아 수리를 위한 이동이나 사용자가 경로 이외의 필요한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극히 어려울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 무인반송대차의 구동부에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될 경우 해당 무인반송대차 전체를 들고 이동시킬 수밖에 없었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무인반송대차의 구동부는 해당 무인반송대차의 이송 도중 지면으로부터 제공되는 충격이 상기 구동부를 통해 반송대차로 직접 전달됨에 따라 상기 무인반송대차에 적재되는 반송물로 충격이 전달될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상기 반송물에 대한 손상의 우려가 존재하였던 문제점 역시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무인반송대차를 경로 이외의 필요한 곳으로 이동할 경우나 무인반송대차의 구동부에 대한 고장이나 각종 손상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무인반송대차를 수동으로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무인반송대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인반송대차에 따르면 반송물의 적재 영역으로 제공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 중 적어도 세 곳 이상의 부위에 설치되면서 자유로운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함과 더불어 지면을 따라 구름 가능한 복수의 캐스터;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저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각 캐스터와 협력하여 본체프레임을 각종 반송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구동휠 및 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각 구동휠을 강제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구동부를 승강시켜 상기 구동부의 각 구동휠이 지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리프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에 결합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부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와는 복수의 연결축에 의해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위치되는 승강플레이트와, 하단은 상기 구동부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회동지지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지지축의 상단은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게 위치되면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부로 노출된 회동지지축의 상측 끝단에는 상기 회동지지축이 상기 승강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결합링이 결합되며, 상기 회동지지축의 둘레면에는 상기 결합부를 이루는 승강플레이트의 저면과 상기 구동부의 상면에 상단 및 하단이 각각 밀착되면서 상기 각 구동휠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상기 본체프레임으로 제공됨을 차단하도록 완충하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리프팅부는 상기 결합부를 이루는 각 플레이트를 수직하게 관통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스크류축과, 상기 각 스크류축이 일괄적으로 회전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부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각 부위 중 상기 각 스크류축이 관통되는 부위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축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축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연동부는 상기 각 스크류축의 상단 둘레면에 결합되는 보조 스프라켓과, 상기 각 스크류축의 보조 스프라켓을 일괄적으로 경유하도록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어느 한 부위에 연결되면서 상기 체인을 강제 이동시키는 메인 스프라켓과, 상기 메인 스프라켓을 강제 회전시키는 리프팅용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지지축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중앙을 수직하게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 스크류축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네 모서리 부위를 수직하게 관통하면서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상단 및 하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연결축 중 적어도 어느 한 연결축은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가 상기 어느 한 연결축의 지지를 받아 승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무인반송대차는 리프팅부의 구조에 의해 각 구동휠이 지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무인반송대차를 경로 이외의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 또는, 무인반송대차를 이루는 구동부의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수동 조작에 의한 해당 무인반송대차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반송대차는 그의 이동 도중 발생되는 충격이 회동지지축의 상하 유동 및 완충부재의 완충 작용에 의해 본체프레임으로 전달됨이 차단될 수 있게 되어 해당 무인반송대차에 적재된 반송물의 충격에 의한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반송대차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반송대차를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들을 분해한 상태를 측면에서 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반송대차의 리프팅부를 설명하기 위해 평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반송대차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반송대차의 회동지지축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일부 단면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반송대차의 리프팅부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반송대차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반송대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각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무인반송대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반송대차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무인반송대차는 크게 본체프레임(100)과 복수의 캐스터(110)와, 결합부(200)와, 구동부(300) 그리고, 리프팅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반송물의 적재 영역을 제공하는 대차 몸체를 이루는 부위이며, 상기 각 캐스터(11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이동 바퀴이다.
이때, 상기 각 캐스터(110)는 자유로운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함과 더불어 지면을 따라 구름 가능한 통상적인 구조의 캐스터(caster)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저면 중 적어도 세 곳 이상의 부위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부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200)가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210)와 하부플레이트(220)와 승강플레이트(230) 및 회동지지축(2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1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저면에 결합 고정되는 부위이고, 상기 하부플레이트(22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10)의 저부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10)와는 복수의 연결축(250)에 의해 결합되는 부위이며, 상기 승강플레이트(23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10)와 하부플레이트(220)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때, 상기 각 연결축(250) 중 적어도 어느 한 연결축은 상기 승강플레이트(23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230)가 해당 연결축의 지지를 받아 승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지지축(240)은 상기 하부플레이트(220)와 승강플레이트(230)의 중앙측 부위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단은 상기 승강플레이트(230)에 연결됨과 더불어 하단은 후술될 구동부(300)의 절곡프레임(31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동지지축(240)의 상단은 상기 승강플레이트(230)를 관통하여 상기 승강플레이트(230)의 상부로 노출되며, 이렇게 노출된 회동지지축(240)의 상측 끝단에는 상기 회동지지축(240)이 상기 승강플레이트(230)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결합링(241)이 결합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지지축(240)의 둘레면에 완충부재(24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242)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단은 상기 결합부(200)를 이루는 승강플레이트(230)의 저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하단은 상기 절곡프레임(31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회동지지축(240)의 상하 유동 가능한 구조 및 상기 완충부재(242)의 추가적인 제공을 통해 각 구동휠(34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되어 본체프레임(100)으로 전달됨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을 각종 반송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구동부(300)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프레임(310)과, 지지프레임(320)과, 구동모터(330)와, 감속기(340) 및 구동휠(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프레임(310)과 지지프레임(320)은 상기 구동부(300)의 외관을 이루는 부위로써, 상기 절곡프레임(310)은 전술된 설명에서와 같이 회동지지축(240)의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상기 절곡프레임(310)에 결합되면서 그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330) 및 감속기(340)가 장착되는 장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330) 및 감속기(340)의 장착 부위로 제공될 뿐만 아니라 해당 무인반송대차의 이동시 이동경로 상에 놓여진 각종 물건에 상기 구동모터(330) 및 감속기(340)가 부딪힘을 방지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330)는 상기 구동휠(340)의 구름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위이고, 상기 감속기(340)는 상기 구동모터(330)에 결합되면서 상기 구동모터(330)의 구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각 구동휠(350)로 전달하는 부위이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330)는 개별적인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두 개로 제공되며, 그 각각은 각 구동휠(350)을 각각 구동시키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각 구동휠(350)은 서로 다른 구동모터(3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느 한 구동휠(350)만의 구동 혹은, 두 구동휠(350)의 회전 속도를 서로 달리하는 제어 등을 통해 본체프레임(100)의 조향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각 구동모터(330)는 그의 회전 속도에 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BLDC 모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휠(350)은 상기 구동모터(330)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감속기(340)를 통해 전달받아 구름 회전되면서 본체프레임(100)을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구동휠(350)은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면서 제공되며, 그 각각은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 상태로 상기 감속기(340)와 축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휠(350)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지면을 따라 구름 이동시 발생되는 미세 진동과 소음을 충분히 감쇠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한 구동휠(350)은 본체프레임(100)의 길이나 크기에 따라 둘 이상의 복수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리프팅부(400)는 상기 결합부(200)로부터 상기 구동부(300)를 승강시켜 상기 구동부(300)의 각 구동휠(350)이 지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리프팅부(400)는 도 2 내지 도 4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크류축(410)과 승강너트(420) 및 연동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스크류축(410)은 상기 결합부(200)를 이루는 각 플레이트(210,220,230)를 수직하게 관통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축이고, 상기 승강너트(420)는 상기 스크류축(410)이 관통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내주면에 상기 스크류축(41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스크류축(4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축(410)을 따라 승강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각 승강너트(420)는 승강플레이트(230)의 각 부위 중 상기 각 스크류축(410)이 각각 관통되는 부위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각 스크류축(4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플레이트(230)가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각 스크류축(410)은 상기 승강플레이트(230)의 네 모서리 부위를 수직하게 관통하면서 상부플레이트(210) 및 하부플레이트(220)에 상단 및 하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동부(430)는 상기 각 스크류축(410)이 일괄적으로 회전되도록 연동시키는 부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동부(430)가 상기 각 스크류축(410)의 상단 둘레면에 결합되는 보조 스프라켓(431)과, 상기 각 스크류축(410)의 보조 스프라켓(431)을 일괄적으로 경유하도록 연결되는 체인(432)과, 상기 체인(432)의 어느 한 부위에 연결되면서 상기 체인(432)을 강제 이동시키는 메인 스프라켓(433)과, 상기 메인 스프라켓(433)을 강제 회전시키는 리프팅용 모터(43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반송대차의 작용을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일반적인 상황에서 무인반송대차는 구동부(300)를 이루는 각 구동모터(330)의 구동력에 의한 각 구동휠(350)의 구름 회전에 의해 전진이나 후진 혹은,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그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한 쌍의 구동모터(330)에 대한 선택적인 회전 속도의 증가 혹은, 감소에 따른 제어나 온/오프 제어를 통해 상기 각 구동휠(350)을 서로 동일하게 구르도록 하거나 혹은, 서로 달리 구르도록 함으로써 해당 본체프레임(100)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면서 무인반송대차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무인반송대차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도중 각 구동휠(350)이 충격을 제공받게 되면, 이렇게 제공받은 충격은 상기 각 구동휠(350)이 결합된 감속기(340)와 구동모터(330) 및 이들이 설치된 지지프레임(320)으로 순차 전달된다.
하지만, 상기 지지프레임(320)으로 전달된 충격은 회동지지축(240)으로 전달되는 도중 상기 회동지지축(240)의 상하 유동 및 이를 지지하는 완충부재(242)로 인해 완충됨에 따라 상기 충격이 결합부(200)로는 전달되지 않고, 이로써 상기 충격이 본체프레임(100)으로도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적재된 반송물은 상기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한편, 상기 무인반송대차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도중 구동모터(330)의 고장이나 감속기(340)의 고장 혹은, 상기 구동모터(330)와 연결된 부위의 파손이 발생될 경우 구동휠(350)의 구동이 멈추게 되며, 이때 구동휠(350)은 첨부된 도 1과 도 4 및 도 7과 같이 지면에 얹혀진 상태로 유지되면서 우레탄 바퀴와 지면에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어 그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의 경우, 작업자는 리프팅용 모터(434)를 구동시켜 체인(432)이 동작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리프팅용 모터(434)는 구동부(300)를 이루는 구동모터(330)와는 별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300)의 동작 불량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상기 리프팅용 모터(434)의 구동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체인(432)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체인(432)이 경유하는 각 보조 스프라켓(431)이 회전되면서 해당 보조 스프라켓(431)이 결합된 각 스크류축(41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각 스크류축(41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이 스크류축(410)에 나사 결합된 승강너트(420)의 상승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결합부(200)를 이루는 승강플레이트(230)를 상승 이동시키게 되며, 이러한 승강플레이트(230)의 상승 이동에 의해 회동지지축(240)이 상승 이동되면서 그의 하단에 결합된 구동부(300)를 상승이동시킴에 따라 각 구동휠(350)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각 구동휠(350)의 상승 이동에 따른 지면으로부터의 이격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본체프레임(100)의 저면에는 복수의 캐스터(110)가 구비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상기 각 캐스터(11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캐스터(110)는 동력 공급 없이 자유로운 회동이나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고려할 때 구동부(300)의 고장에도 불구하고 해당 본체프레임(100)은 상기 캐스터(1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무인반송대차를 경로 이외의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 또는, 무인반송대차가 고장 수리를 위한 장소로 원활히 이동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무인반송대차는 리프팅부(400)의 구조에 의해 각 구동휠(350)이 지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될 수 있기 때문에 구동부(300)의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수동 조작에 의한 해당 무인반송대차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반송대차는 그의 이동 도중 발생되는 충격이 회동지지축(240)의 상하 유동 및 완충부재(242)의 완충 작용에 의해 본체프레임(100)으로 제공됨이 차단되어 해당 무인반송대차에 적재된 반송물의 충격에 의한 손상됨은 방지될 수 있다.
100. 본체프레임 110. 캐스터
200. 결합부 210. 상부플레이트
220. 하부플레이트 230. 승강플레이트
240. 회동지지축 241. 결합링
242. 완충부재 250. 연결축
300. 구동부 310. 절곡프레임
320. 지지프레임 330. 구동모터
340. 감속기 350. 구동휠
400. 리프팅부 410. 스크류축
420. 승강너트 430. 연동부
431. 보조 스프라켓 432. 체인
433. 메인 스프라켓 434. 리프팅용 모터

Claims (7)

  1. 반송물의 적재 영역으로 제공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 중 적어도 세 곳 이상의 부위에 설치되면서 자유로운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함과 더불어 지면을 따라 구름 가능한 복수의 캐스터;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저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각 캐스터와 협력하여 본체프레임을 각종 반송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구동휠 및 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각 구동휠을 강제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가지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구동부를 승강시켜 상기 구동부의 각 구동휠이 지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리프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에 결합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부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와는 복수의 연결축에 의해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위치되는 승강플레이트와,
    하단은 상기 구동부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회동지지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연결축 중 적어도 어느 한 연결축은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가 상기 어느 한 연결축의 지지를 받아 승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대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축의 상단은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게 위치되면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부로 노출된 회동지지축의 상측 끝단에는 상기 회동지지축이 상기 승강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결합링이 결합되며,
    상기 회동지지축의 둘레면에는 상기 결합부를 이루는 승강플레이트의 저면과 상기 구동부의 상면에 상단 및 하단이 각각 밀착되면서 상기 각 구동휠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상기 본체프레임으로 제공됨을 차단하도록 완충하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대차.
  4. 제 1 항에 있어서,
    리프팅부는
    상기 결합부를 이루는 각 플레이트를 수직하게 관통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스크류축과,
    상기 각 스크류축이 일괄적으로 회전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부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각 부위 중 상기 각 스크류축이 관통되는 부위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축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축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대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각 스크류축의 상단 둘레면에 결합되는 보조 스프라켓과,
    상기 각 스크류축의 보조 스프라켓을 일괄적으로 경유하도록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어느 한 부위에 연결되면서 상기 체인을 강제 이동시키는 메인 스프라켓과,
    상기 메인 스프라켓을 강제 회전시키는 리프팅용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대차.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축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중앙을 수직하게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 스크류축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네 모서리 부위를 수직하게 관통하면서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상단 및 하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반송대차.
  7. 삭제
KR1020130055893A 2013-05-16 2013-05-16 무인반송대차 Active KR101466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893A KR101466906B1 (ko) 2013-05-16 2013-05-16 무인반송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893A KR101466906B1 (ko) 2013-05-16 2013-05-16 무인반송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891A KR20140135891A (ko) 2014-11-27
KR101466906B1 true KR101466906B1 (ko) 2014-12-04

Family

ID=5245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893A Active KR101466906B1 (ko) 2013-05-16 2013-05-16 무인반송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9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480B1 (ko) 2019-10-08 2020-08-03 주식회사 맥파이온 무인 운반차의 바퀴 주행장치
KR20220024395A (ko) * 2020-04-29 2022-03-03 주식회사 제타뱅크 대상 공간에서 주행하는 이동 로봇
KR102703352B1 (ko) 2024-04-08 2024-09-05 주식회사 에이아이로보틱스 보기 타입 서스펜션 장치를 구비하는 자율이동 로봇
KR102731107B1 (ko) 2024-04-08 2024-11-15 주식회사 에이아이로보틱스 수직 서스펜션 방식을 갖는 무인 운반차의 파워 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0730B (zh) * 2016-12-26 2018-11-09 芜湖哈特机器人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具有提升功能的agv驱动
CN109308071A (zh) * 2017-07-28 2019-02-05 上海倍獭工业机器人有限公司 一种带有升降旋转机构的搬运小车及其控制方法
CN107879042A (zh) * 2017-11-24 2018-04-06 鹤山市华美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转向的钢卷转运车
CN108791475B (zh) * 2018-06-06 2024-03-12 江苏驰众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舵轮及使用该舵轮的agv
CN111115491A (zh) * 2018-10-31 2020-05-08 锥能机器人(上海)有限公司 无人搬运车及举升机构
CN109625122B (zh) * 2019-01-18 2023-08-18 华晓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具有提升功能的agv驱动、以及agv小车
CN111169561A (zh) * 2020-02-13 2020-05-19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高稳定性的万象中转车
KR102210063B1 (ko) * 2020-06-24 2021-02-01 한성웰텍 (주) 실용적 리프팅시스템을 응용한 조립라인용 부품공급 무인운반차
KR102172226B1 (ko) * 2020-06-25 2020-10-30 화동하이테크 주식회사 무인 물류 이송장치
CN214492536U (zh) 2021-01-27 2021-10-26 杭州海康机器人技术有限公司 差速驱动装置以及自动引导运输车
CN113511037A (zh) * 2021-05-19 2021-10-19 广东嘉腾机器人自动化有限公司 一种agv对接系统
CN215556781U (zh) * 2021-09-07 2022-01-18 威海电美世光机电有限公司 轻量化升降单元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387A (ja) * 1994-03-24 1995-10-09 Nippondenso Co Ltd 台車の制御装置
JPH09169216A (ja) * 1995-12-20 1997-06-30 Nawa Denki:Kk 電動式搬送車用横移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387A (ja) * 1994-03-24 1995-10-09 Nippondenso Co Ltd 台車の制御装置
JPH09169216A (ja) * 1995-12-20 1997-06-30 Nawa Denki:Kk 電動式搬送車用横移動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480B1 (ko) 2019-10-08 2020-08-03 주식회사 맥파이온 무인 운반차의 바퀴 주행장치
KR20220024395A (ko) * 2020-04-29 2022-03-03 주식회사 제타뱅크 대상 공간에서 주행하는 이동 로봇
KR20220024396A (ko) * 2020-04-29 2022-03-03 주식회사 제타뱅크 완충장치가 구비된 이동 로봇
KR102419253B1 (ko) * 2020-04-29 2022-07-11 주식회사 제타뱅크 대상 공간에서 주행하는 이동 로봇
KR102419255B1 (ko) * 2020-04-29 2022-07-11 주식회사 제타뱅크 완충장치가 구비된 이동 로봇
KR102703352B1 (ko) 2024-04-08 2024-09-05 주식회사 에이아이로보틱스 보기 타입 서스펜션 장치를 구비하는 자율이동 로봇
KR102731107B1 (ko) 2024-04-08 2024-11-15 주식회사 에이아이로보틱스 수직 서스펜션 방식을 갖는 무인 운반차의 파워 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891A (ko) 2014-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906B1 (ko) 무인반송대차
KR102210063B1 (ko) 실용적 리프팅시스템을 응용한 조립라인용 부품공급 무인운반차
KR101221337B1 (ko)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
KR102184615B1 (ko) 반송 장치
JP5598721B2 (ja) 長尺物品用の搬送装置
WO2014038385A1 (ja) 昇降装置
KR101305737B1 (ko) 축류 송풍기의 가변익 축 분해 조립 장치
US20060102433A1 (en) Stacker crane
JP2007222392A (ja) 物品落下防止装置
US20060060106A1 (en) Stacker crane
JP4666221B2 (ja) 物品収納設備
KR20140000187U (ko) 무인 운반차
KR100710070B1 (ko) 평판디스플레이 제조라인의 카세트 이송장치
JP2008080139A (ja) 物品落下防止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物品棚
JP2900844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のケージ昇降装置
JP5908720B2 (ja) 駐車装置用リフト装置
US20060175850A1 (en) Lifting device
KR102748502B1 (ko) 전동운반카트
KR102703352B1 (ko) 보기 타입 서스펜션 장치를 구비하는 자율이동 로봇
KR102761035B1 (ko) 배출 소재 자동 적재장치
KR101320957B1 (ko) 주행방향이 직각으로 전환되는 수동대차
JP6385229B2 (ja) レール間隔調整装置
KR102731107B1 (ko) 수직 서스펜션 방식을 갖는 무인 운반차의 파워 휠 장치
JP2956329B2 (ja)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KR20200093173A (ko) 이동 리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