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976B1 - 다용도 접이식 카트 - Google Patents
다용도 접이식 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1976B1 KR101451976B1 KR1020140091789A KR20140091789A KR101451976B1 KR 101451976 B1 KR101451976 B1 KR 101451976B1 KR 1020140091789 A KR1020140091789 A KR 1020140091789A KR 20140091789 A KR20140091789 A KR 20140091789A KR 101451976 B1 KR101451976 B1 KR 1014519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plate
- support
- handle
- cart
- attach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12—Boxes, C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6—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카트는, 사각 프레임(110)(120)의 하부에 다수의 캐스터(112)(122)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한 이동부(100); 상기 사각 프레임(110)(120)의 상부에 연결되고 양 내측면에는 암경첩(212)이 부착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의 받침판(210)과, 이 받침판에 수납되어 바닥면과 일정 높이로서 이격되는 걸름망(220)을 포함하는 수납부(200); 측면판지지체(310)와, 측면판본체(322) 및 지지부재(324)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판지지체(310)의 일측에서 결합되는 제 1측면판조립체(320)와, 측면판본체(332) 및 지지부재(334)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판지지체(310)의 타측에서 결합되는 제 2측면판조립체(330)와, 양 끝단부가 상기 수직부재(312)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이 관통부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바(340)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품이 수납되는 함체부(300); 'ㄷ'자형 단면을 갖는 중공의 손잡이(410)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강도 보강용 연결바(412)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210)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용도 접이식 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재하는 물품의 형태에 따라 3가지 용도 즉 카트(cart), 대차, 달리(dolly)로 구조를 변경시키면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용도 접이식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카(hand car) 또는 운반기는 복수의 바퀴를 구비한 구조체를 사용자가 밀거나 끌고 다니면서 각종 물품을 운반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핸드카나 운반기의 경우 운반하는 물품에 따라 운반이 힘든 경우가 발생하며 일 예로, 도배용지와 같은 길다란 형태를 갖는 물품의 경우 핸드카로 운반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대형 할인마트에서 쇼핑한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카트(cart)의 경우 수납함은 상부가 개방되어 내공간을 형성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수납함에 물품을 적재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이 또한 길다란 형태의 물품을 적재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상기 카트의 경우 내공간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TV나 선풍기등과 같이 부피가 큰 물품을 수납함에 수납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물품을 넣거나 뺄 때 물품을 수납함의 상측으로 들어서 넣거나 빼야 하기 때문에 물품의 부피가 클 경우 그 출입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핸드카, 운반기, 카트에 적합한 것이 구분되어 있으나 물품의 형태에 따라 각 구조체를 모두 구비하고 사용하기에는 비용의 추가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길다란 형태나 부피가 큰 물품의 운반이나 이동이 용이한 다용도 접이식 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품을 함체부에 넣거나 뺄 때 함체부의 상측으로 들어서 넣거나 빼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다용도 접이식 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용의 추가적인 손실이 불필요한 다용도 접이식 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각 프레임(110)(120)의 하부에 다수의 캐스터(112)(122)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한 이동부(100); 상기 사각 프레임(110)(120)의 상부에 연결되고 양 내측면에는 암경첩(212)이 부착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의 받침판(210)과, 이 받침판에 수납되어 바닥면과 일정 높이로서 이격되는 걸름망(220)을 포함하는 수납부(200); 'ㄷ'자형 단면 형태로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수직부재(312)(314)의 밑면 좌우 양단에 암경첩(312a)(314a)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재(312)(314)의 일단부는 수평부재(316)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수평부재(316)의 일측면에는 손으로 잡고 파지하기 위한 'ㄷ'자형 단면의 파지부(316a)가 부착되는 한편 상기 수평부재(316)의 타측면에는 이격부재(316b)가 부착된 측면판지지체(310)와, 측면판본체(322) 및 지지부재(324)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판지지체(310)의 일측에서 결합되는 제 1측면판조립체(320)와, 측면판본체(332) 및 지지부재(334)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판지지체(310)의 타측에서 결합되는 제 2측면판조립체(330)와, 양 끝단부가 상기 수직부재(312)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이 관통부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바(340)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품이 수납되는 함체부(300); 'ㄷ'자형 단면을 갖는 중공의 손잡이(410)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강도 보강용 연결바(412)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210)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용도 접이식 카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면판본체(322)(332)는 사각틀 형태로서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강도 보강을 위한 연결바(322a)(332a)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고, 상면 좌우 양단에 상기 암경첩(312a)(314a)에 힌지연결되는 숫경첩(322b)(332b)이 각각 부착되며, 밑면 좌우 양단에 상기 지지부재(324)(334)가 힌지연결되는 암경첩(322c)(332c)이 각각 고정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410)는 상기 받침판(210)에 대해 수평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410)의 개방된 양단부를 통해 내부에 스프링 삽입공(422)이 형성된 회동부재(420)가 일정 깊이로서 압입되고, 상기 스프링 삽입공(422)에 코일스프링(424)이 수납되며, 상기 스프링 삽입공(422)에 핀부재(426)가 수납되어지되, 상기 핀부재(426)의 일단부는 상기 코일스프링(424)을 관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부재(420)에 핀부재(440)를 통해 결합되는 지지부재(4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430)에는 상기 핀부재(426)에 선택적으로 삽탈되기 위한 삽입홈(432)이 서로 90°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용도 접이식 카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필요에 따라 카트, 대차, 달리(dolly)로 구조를 변화시켜서 사용함에 따라 길다란 형태나 부피가 큰 물품의 운반이나 이동이 용이하다.
둘째, 전,후방이 개방된 함체부내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물품을 넣거나 뺄 때 물품을 함체부의 상측으로 들어서 넣거나 빼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셋째, 물품의 형태에 따라 카트, 대차, 달리(dolly)로 구조를 변경시키면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비용의 추가적인 손실이 불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트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에 있어서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 조립체가 부분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에 있어서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 조립체가 모두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에 있어서 손잡이부가 전방향으로 90°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2의 A 내지 E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에 있어서 절첩수단에 의해 손잡이부가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트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에 있어서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 조립체가 부분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에 있어서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 조립체가 모두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에 있어서 손잡이부가 전방향으로 90°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2의 A 내지 E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에 있어서 절첩수단에 의해 손잡이부가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카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트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에 있어서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 조립체가 부분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에 있어서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 조립체가 모두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에 있어서 손잡이부가 전방향으로 90°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A 내지 E의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에 있어서 절첩수단에 의해 손잡이부가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카트는 크게 이동부(100), 수납부(200), 함체부(300), 그리고 손잡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부(100)는 사각 프레임(110)(120)의 하부 좌우 양단에 다수의 캐스터(112)(122)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하며, 사각 프레임(110)(120)은 스틸, 알루미늄, 철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후술하는 받침판(210)의 밑면 좌우 양단에 볼트(미도시) 또는 용접등을 통해 고정 부착된다.
이때, 캐스터(112)(122)는 동일한 형태를 가진 것이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전방측 캐스터(122)가 전후 이동만 가능하고, 후방측 캐스터(112)가 360°회동 자재한 구조를 가지도록 할 경우, 함체부(300)에 각종 물품을 싣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물품의 무게에 의해 함체부(300) 앞부분이 좌우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각종 크기의 가구, 싱크대, TV, 냉장고, 도배용지. 박스등을 들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납부(200)는 받침판(210)과 걸름망(220)을 포함한다. 받침판(210)은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로서 그 재질로서는 스틸, 알루미늄, 철 또는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판(210)은 사각 프레임(110)(120)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품이 안착,지지되고, 받침판(210)의 양 내측면에는 끼움편(도 6의 334a)이 체결핀(도 6의 324b 참조)을 통해 힌지결합되는 암경첩(212)이 볼트(미도시) 또는 용접등을 통해 고정 부착되며, 도 2 중 미설명 부호 114,124는 밑면을 통해 캐스터(112)(122)가 부착되는 판부재이다.
걸름망(220)은 스틸, 알루미늄, 철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받침판(210)에 수납되어 사각 프레임(110)(120)상에 거치된 상태에서 바닥면과 일정 높이로서 이격되며, 물품이 받침판(210)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함체부(300)는 수납부(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품이 수납되는 것으로서, 측면판지지체(310), 제 1측면판조립체(320), 제 2측면판조립체(330), 그리고 지지바(3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 1측면판조립체(320), 제 2측면판조립체(330)의 구분은 편의상 사용자가 손잡이부(400)의 손잡이(410)를 잡고 선 상태에서 사용자의 왼편에 있는 것을 제 1측면판조립체(320), 사용자의 오른편에 있는 것을 제 2측면판조립체(330)로 칭한다.
측면판지지체(310)는 'ㄷ'자형 단면 형태로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수직부재(312)(314)의 밑면 좌우 양단에 후술하는 숫경첩(322b)(332b)이 체결핀(324b)을 통해 힌지연결되는 암경첩(312a)(314a)이 각각 고정 부착되고(도 6의 C참조), 양 수직부재(312)(314)의 일단부는 수평부재(316)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수평부재(316)의 일측면에는 손으로 잡고 파지하기 위한 'ㄷ'자형 단면의 파지부(316a)가 부착되고, 수평부재(316)의 타측면에는 이격부재(316b)가 수평부재(316)와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며, 이격부재(316b)와 수평부재(316) 사이 에 형성된 공간에 후술하는 손잡이(410)가 수용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제 1측면판조립체(320)는 측면판지지체(310)의 일측(왼편)에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면판본체(322)와 지지부재(324)를 포함한다.
측면판본체(322)는 사각틀 형태로서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강도 보강을 위한 연결바(322a)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고, 상면 좌우 양단에 상기 암경첩(312a)에 힌지연결되는 숫경첩(322b)이 각각 고정 부착되며(도 6의 A참조), 밑면 좌우 양단에 지지부재(324)가 힌지연결되는 암경첩(322c)이 각각 고정 부착된다(도 6의 B참조).
또한, 지지부재(324)는 일단부에서 링 형태로 말려진 끼움편(324a)이 암경첩(322c)에 체결핀(324b)을 통해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의 끼움편(미도시, 도 6의 334a 참조)이 받침판(210)의 암경첩(212)에 연결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제 2측면판조립체(330)는 측면판지지체(310)의 타측(오른편)에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면판본체(332)와 지지부재(334)를 포함한다.
측면판본체(332)는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바(332a)가 다수개 구비되고, 상면 좌우 양단에 암경첩(314a)에 힌지연결되는 숫경첩(332b)이 각각 부착되며, 밑면 좌우 양단에 지지부재(334)가 힌지연결되는 암경첩(332c)이 각각 고정 부착된다.
또한, 지지부재(334)는 일단부 끼움편(도 6의 334a)이 암경첩(332c)에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의 끼움편(334a)이 받침판(210)의 암경첩(212)에 연결된다.
지지바(340)는 함체부(300) 내부의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 끝단부가 수직부재(312)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이 관통부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측면판지지체(310), 제 1측면판조립체(320), 제 2측면판조립체(330), 지지바(3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틸, 알루미늄, 철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7을 참조하면 손잡이부(400)는 받침판(210)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서, 'ㄷ'자형 단면을 갖는 중공의 손잡이(410)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강도 보강용 연결바(412)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이러한 손잡이(410)는 필요에 따라 상기 받침판(210)에 대해 수평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내부에 스프링 삽입공(422)이 형성된 회동부재(420)가 손잡이(410)의 개방된 양단부를 통해 일정 깊이로서 압입,고정되고, 코일스프링(424)이 스프링 삽입공(422)에 수납되며, 이 스프링 삽입공에는 장공(422a)이 연통되어 있다.
또한, 핀부재(426)가 스프링 삽입공(422)에 수납되어지되, 핀부재(426)의 일단부는 코일스프링(424)을 관통하고, 핀부재(426)의 타단부는 후술하는 지지부재(430)의 삽입홈(432)에 선택적으로 삽탈(揷脫)된다.
또한, 핀부재(426)의 일측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바(428)의 양단부가 이 관통공을 통해 핀부재(426)와 연결된다.
한편, 지지부재(430)가 회동부재(420)에 핀부재(440)를 통해 결합되어지되, 지지부재(430)는 일단부에서 'ㄷ'자형 단면을 갖는 개구부(434)가 사각프레임(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미도시)가 개구부(434)와 사각프레임(110)을 관통하여 너트(미도시)연결되고, 지지부재(430)의 타단부에는 핀부재(426)에 선택적으로 삽탈되기 위한 삽입홈(432)이 서로 90°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410)의 회동 작동은 하기 작용 과정에서 상술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400) 역시 스틸, 알루미늄, 철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r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 1측면판조립체(320), 제 2측면판조립체(330)가 받침판(210)과 수직한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로서, 지지바(340)에 의해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조립체(320)(330)는 직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손잡이(410)는 받침판(210)과 수직한 방향으로 입설된 상태이다(도 7의 첫 번째 그림 참조).
이와 같은 카트 상태에서 함체부(300)내에 작은 박스나 도배용지등을 수납하고 캐스터(112)(122)를 통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1측면판조립체(320), 제 2측면판조립체(330), 그리고 지지바(340)가 받침판(210)과 나란한 상태로 접혀지고, 측면판지지체(310)는 받침판(210) 상면에 나란하게 놓여진 상태로서, 이와 같은 대차 상태에서 카트에 수납하기 곤란한 커다란 부피나 크기를 갖는 각종 박스등을 거치하고 캐스터(112)(122)를 통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1측면판조립체(320), 제 2측면판조립체(330), 그리고 지지바(340)가 받침판(210)과 나란한 상태로 접혀지고, 측면판지지체(310)는 받침판(210) 상면에 나란하게 놓여지며, 손잡이(410)는 받침판(210)과 나란하게 회동된 달리(dolly; 바퀴가 달린 짐수레) 상태이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연결바(428)를 잡고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핀부재(426)가 장공(422a) 내부에서 상승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424)이 압축되면서 핀부재(426)가 지지부재(430)의 일측 삽입홈(432)에서 이탈된다(도 7의 두 번째 그림 참조).
이와 같이 하여 회동부재(420) 및 손잡이(410)가 받침판(210)과 나란하게 회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잡고 있던 연결바(428)를 놓으면, 코일스프링(424)이 복원력에 의해 신장되면서 핀부재(426)가 장공(422a) 내부에서 하강하면서 핀부재(426)가 지지부재(430)의 타측 삽입홈(432)에 결합된다(도 7의 세 번째 그림 참조).
이와 같은 달리(dolly) 상태에서 싱크대나, 냉장고, 장롱과 같이 비교적 길이가 긴 물품을 거치하고 휠(124)(134)을 통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카트(cart), 대차, 달리(dolly)로 구조를 변화시켜서 사용함에 따라 달리(dolly)로 구조를 변화시켜서 사용함에 따라 길다란 형태나 부피가 큰 물품의 운반이나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적재하는 물품의 형태에 따라 대차, 달리(dolly), 카트로 구조를 변경시키면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비용의 추가적인 손실이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카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모두 접은 상태에서 비교적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므로 차량등에 적재하고 다니면서 캠핑장등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여러 산업분야에 다양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즉, 일반인은 물론, 택배기사, 도배, 타이루, 보일러, 싱크대, 전기업에 관련된 인테리어업자, 건설업자등이 차량등에 소지하고 다니면서 전술한 3가지 용도로 변경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접이식 카트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이동부 110,120 : 사각 프레임
112,122 : 캐스터 114,124 : 판부재
200 : 수납부 210 : 받침판
220 : 걸름망 300 : 함체부
310 : 측면판지지체 312,314 : 수직부재
316 : 수평부재 320 : 제 1측면판조립체
324,334 : 연결부재 330 : 제 2측면판조립체
340 : 지지바 400 : 손잡이부
410 : 손잡이 412,428 : 연결바
420 : 회동부재 424 : 코일스프링
426,440 : 핀부재 430 : 지지부재
432 : 삽입홈 434 : 개구부
112,122 : 캐스터 114,124 : 판부재
200 : 수납부 210 : 받침판
220 : 걸름망 300 : 함체부
310 : 측면판지지체 312,314 : 수직부재
316 : 수평부재 320 : 제 1측면판조립체
324,334 : 연결부재 330 : 제 2측면판조립체
340 : 지지바 400 : 손잡이부
410 : 손잡이 412,428 : 연결바
420 : 회동부재 424 : 코일스프링
426,440 : 핀부재 430 : 지지부재
432 : 삽입홈 434 : 개구부
Claims (5)
- 사각 프레임(110)(120)의 하부에 다수의 캐스터(112)(122)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한 이동부(100)와; 상기 사각 프레임(110)(120)의 상부에 연결되고 양 내측면에는 암경첩(212)이 부착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의 받침판(210)과, 이 받침판에 수납되어 바닥면과 일정 높이로서 이격되는 걸름망(220)을 포함하는 수납부(200)와; 'ㄷ'자형 단면 형태로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수직부재(312)(314)의 밑면 좌우 양단에 암경첩(312a)(314a)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재(312)(314)의 일단부는 수평부재(316)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수평부재(316)의 일측면에는 손으로 잡고 파지하기 위한 'ㄷ'자형 단면의 파지부(316a)가 부착되는 한편 상기 수평부재(316)의 타측면에는 이격부재(316b)가 부착된 측면판지지체(310)와, 측면판본체(322) 및 지지부재(324)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판지지체(310)의 일측에서 결합되는 제 1측면판조립체(320)와, 측면판본체(332) 및 지지부재(334)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판지지체(310)의 타측에서 결합되는 제 2측면판조립체(330)와, 양 끝단부가 상기 수직부재(312)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이 관통부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바(340)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품이 수납되는 함체부(300)와; 'ㄷ'자형 단면을 갖는 중공의 손잡이(410)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강도 보강용 연결바(412)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210)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용도 접이식 카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10)의 개방된 양단부를 통해 내부에 스프링 삽입공(422)이 형성된 회동부재(420)가 일정 깊이로서 압입되고, 상기 스프링 삽입공(422)에 코일스프링(424)이 수납되며, 상기 스프링 삽입공(422)에 핀부재(426)가 수납되어지되, 상기 핀부재(426)의 일단부는 상기 코일스프링(424)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접이식 카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420)에 핀부재(440)를 통해 결합되는 지지부재(4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430)에는 상기 핀부재(426)에 선택적으로 삽탈되기 위한 삽입홈(432)이 서로 90°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접이식 카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1789A KR101451976B1 (ko) | 2014-07-21 | 2014-07-21 | 다용도 접이식 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1789A KR101451976B1 (ko) | 2014-07-21 | 2014-07-21 | 다용도 접이식 카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1976B1 true KR101451976B1 (ko) | 2014-10-22 |
Family
ID=51998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1789A KR101451976B1 (ko) | 2014-07-21 | 2014-07-21 | 다용도 접이식 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197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667554A (zh) * | 2016-03-01 | 2016-06-15 | 陈焕祥 | 一种推拉式采矿车 |
KR20170002276U (ko) | 2015-12-17 | 2017-06-27 | 장성아 | 이동식 진열대 |
CN109625047A (zh) * | 2018-12-25 | 2019-04-16 | 亚杰科技(江苏)有限公司 | 一种多功能物流运输车 |
KR20230100917A (ko) | 2021-12-29 | 2023-07-06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동 접이식 트레이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67074A (ja) * | 1996-12-10 | 1998-06-23 | Nippon Light Metal Co Ltd | 折畳み可能な手押し車 |
KR200390242Y1 (ko) | 2005-03-10 | 2005-07-25 | 삼화플라스틱(주) | 접이식 수장함 |
JP2013530088A (ja) | 2010-07-02 | 2013-07-25 | ケイ ハートウォール オサケユキチュア アーベー | 台車及び当該台車用のフレームアセンブリ |
-
2014
- 2014-07-21 KR KR1020140091789A patent/KR10145197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67074A (ja) * | 1996-12-10 | 1998-06-23 | Nippon Light Metal Co Ltd | 折畳み可能な手押し車 |
KR200390242Y1 (ko) | 2005-03-10 | 2005-07-25 | 삼화플라스틱(주) | 접이식 수장함 |
JP2013530088A (ja) | 2010-07-02 | 2013-07-25 | ケイ ハートウォール オサケユキチュア アーベー | 台車及び当該台車用のフレームアセンブリ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2276U (ko) | 2015-12-17 | 2017-06-27 | 장성아 | 이동식 진열대 |
CN105667554A (zh) * | 2016-03-01 | 2016-06-15 | 陈焕祥 | 一种推拉式采矿车 |
CN109625047A (zh) * | 2018-12-25 | 2019-04-16 | 亚杰科技(江苏)有限公司 | 一种多功能物流运输车 |
KR20230100917A (ko) | 2021-12-29 | 2023-07-06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동 접이식 트레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81381B2 (en) | Shopping cart | |
US5503424A (en) | Collapsible utility cart apparatus | |
US8408581B1 (en) | Collapsible shopping cart device | |
US6641147B2 (en) | Modified shopping cart with large item carrier | |
KR101463589B1 (ko) | 차량용 접이식 쇼핑카트 | |
US20120274052A1 (en) | Foldable shopping cart | |
US20030038008A1 (en) | Cart-separable traveling bag | |
US20120145592A1 (en) | Case having a housing and a sliding tray | |
KR20120000001A (ko) | 휴대용 절첩식 카트 | |
JP2011506176A (ja) | 買った品物を店から車および車から家に運ぶためのショッピングカート | |
US6102433A (en) | Compact cart | |
US12017694B2 (en) | Personal shopping cart and method of use | |
KR101451976B1 (ko) | 다용도 접이식 카트 | |
US20030015851A1 (en) | Combination toolbox, workbench, dispensing crib and stool | |
GB2512089A (en) | A portable storage and activity device | |
US7252302B1 (en) | Cart assembly | |
KR101424583B1 (ko) | 접이식 다용도 카트 | |
US2562686A (en) | Retractable luggage carrier | |
KR101635930B1 (ko) | 복층 구조의 산업용 또는 가정용 핸드카트 | |
KR20210070550A (ko) | 확장형 파렛트 | |
KR102166097B1 (ko) | 바스켓이 분리 가능한 접이식 쇼핑카트 | |
KR20130061927A (ko) | 접이식 카트 | |
JP3213355U (ja) | 運搬用台車 | |
JP3044310U (ja) | ハンドカート | |
KR20190002369U (ko) | 접이식 다용도 카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