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133B1 - 복수개의 에러 엠프를 가지는 저 드롭아웃 전압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에러 엠프를 가지는 저 드롭아웃 전압 레귤레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9133B1 KR101449133B1 KR1020120114301A KR20120114301A KR101449133B1 KR 101449133 B1 KR101449133 B1 KR 101449133B1 KR 1020120114301 A KR1020120114301 A KR 1020120114301A KR 20120114301 A KR20120114301 A KR 20120114301A KR 101449133 B1 KR101449133 B1 KR 1014491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rror amplifier
- voltage
- output signal
- bias
- out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125000003345 AMP group Chemical group 0.000 title 1
- 229920006227 ethylene-grafted-maleic anhydride Polymers 0.000 title 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102100026038 Lens fiber membrane intrinsic 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1710115990 Lens fiber membrane intrinsic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7224 Noncompact myelin-associated 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710184695 Noncompact myelin-associated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 드롭아웃 전압 레귤레이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 2의 제1 에러 엠프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 2의 제2 에러 엠프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220 : 제2 에러 엠프 230 : 패스 소자
240 : 전압 분배부
Claims (5)
- 기준전압을 형성하기 위한 기준전압 발생기;
상기 기준전압을 음의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하고, 궤환전압을 양의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궤환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의 차이를 증폭하기 위한 제1 에러 엠프;
상기 제1 에러 엠프와 병렬적 구성을 가지며, 상기 기준전압을 음의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궤환전압을 양의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궤환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의 차이를 증폭하기 위한 제2 에러 엠프;
상기 제1 에러 엠프와 상기 제2 에러 엠프의 출력단들이 공통 결선되어 출력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1 에러 엠프와 상기 제2 에러 엠프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패스 소자; 및
상기 구동전류에 따른 출력신호를 형성하고, 저항연결을 통한 상기 궤환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전압 분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러 엠프는 상기 제2 에러 엠프보다 낮은 전압이득을 가지고, 상기 제2 에러 엠프보다 넓은 대역폭을 가지며, 상기 출력신호의 변동시 제1 에러 엠프와 제2 에러 엠프는 동시에 동작하되, 변동의 초기에 높은 주파수의 고조파 성분에 대해 제1 에러 엠프가 주도적인 증폭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출력신호의 낮은 주파수의 고조파 성분에 대해 제2 에러 엠프가 주도적인 증폭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드롭아웃 전압 레귤레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러 엠프는,
기준 바이어스 전류원에 의해 전류 미러링 동작을 수행하는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단자들의 전압을 결정하기 위한 제1 바이어스부;
상기 제1 바이어스부로부터 복사된 바이어스 전류에 따라, 바이어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바이어스부;
양의 입력신호 및 음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바이어스부로부터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받고, 공통 소스 증폭기 구성을 통해 상기 양의 입력신호 및 음의 입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입력 스테이지; 및
상기 제2 바이어스부에 셋팅된 전압에 의해 바이어싱되고, 상기 입력 스테이지에 연결되어, 공통 게이트 증폭기 구성을 통해 상기 입력 스테이지를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출력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드롭아웃 전압 레귤레이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스테이지는,
상기 양의 입력신호를 공통 게이트 증폭하는 입력 스테이지의 출력신호에 대해 공통 게이트 증폭 동작을 수행하여 제1 케스코드들 형성하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케스코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케스코드의 출력에 대해 공통 소스 증폭 및 공통 게이트 증폭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케스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드롭아웃 전압 레귤레이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스테이지는,
상기 음의 입력신호를 공통 게이트 증폭하는 입력 스테이지의 출력신호에 대해 공통 게이트 증폭 동작을 수행하여 제3 케스코드를 형성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드롭 아웃 전압 레귤레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러 엠프는,
기준 바이어스 전류원에 의해 전류 미러링 동작을 수행하는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단자들의 전압을 결정하기 위한 제1 바이어스부;
상기 제1 바이어스부로부터 복사된 바이어스 전류에 따라, 바이어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바이어스부;
양의 입력신호 및 음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바이어스부로부터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받고, 공통 소스 증폭기 구성을 통해 상기 양의 입력신호 및 음의 입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입력 스테이지;
상기 제2 바이어스부에 셋팅된 전압에 의해 바이어싱되고, 상기 입력 스테이지에 연결되어, 공통 게이트 증폭기 구성을 통해 상기 입력 스테이지를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출력 스테이지; 및
상기 제1 출력 스테이지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2단으로 직렬 연결된 공통 소스 증폭기 구성을 통해 증폭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출력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드롭아웃 전압 레귤레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4301A KR101449133B1 (ko) | 2012-10-15 | 2012-10-15 | 복수개의 에러 엠프를 가지는 저 드롭아웃 전압 레귤레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4301A KR101449133B1 (ko) | 2012-10-15 | 2012-10-15 | 복수개의 에러 엠프를 가지는 저 드롭아웃 전압 레귤레이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7930A KR20140047930A (ko) | 2014-04-23 |
KR101449133B1 true KR101449133B1 (ko) | 2014-10-13 |
Family
ID=5065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4301A Active KR101449133B1 (ko) | 2012-10-15 | 2012-10-15 | 복수개의 에러 엠프를 가지는 저 드롭아웃 전압 레귤레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913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54195B (zh) * | 2022-11-02 | 2024-03-01 | 安徽大学 | 一种低压差线性稳压器和电压电源管理芯片 |
CN117148911B (zh) * | 2023-11-01 | 2024-01-30 | 成都芯翼科技有限公司 | 一种低噪声ldo电路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17650A (ja) * | 1999-08-06 | 2001-04-27 | Ricoh Co Ltd | 定電圧電源 |
JP2001222331A (ja) * | 2000-02-08 | 2001-08-17 | Nec Saitama Ltd | 定電圧レギュレータの消費電流特性、リップルリジェクション特性切り替えシステム及び方法 |
JP2002312043A (ja) * | 2001-04-10 | 2002-10-25 | Ricoh Co Ltd |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
JP2007086980A (ja) * | 2005-09-21 | 2007-04-05 | Ricoh Co Ltd | トランジスタ駆動回路、トランジスタ駆動方法及び定電圧回路 |
-
2012
- 2012-10-15 KR KR1020120114301A patent/KR10144913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17650A (ja) * | 1999-08-06 | 2001-04-27 | Ricoh Co Ltd | 定電圧電源 |
JP2001222331A (ja) * | 2000-02-08 | 2001-08-17 | Nec Saitama Ltd | 定電圧レギュレータの消費電流特性、リップルリジェクション特性切り替えシステム及び方法 |
JP2002312043A (ja) * | 2001-04-10 | 2002-10-25 | Ricoh Co Ltd |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
JP2007086980A (ja) * | 2005-09-21 | 2007-04-05 | Ricoh Co Ltd | トランジスタ駆動回路、トランジスタ駆動方法及び定電圧回路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7930A (ko) | 2014-04-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53473B2 (en) | Two-stage low-dropout frequency-compensating linear power supply systems and methods | |
US9342085B2 (en) | Circuit for regulating startup and operation voltage of an electronic device | |
KR20070012187A (ko) | 전압 레귤레이터 | |
CN111290467B (zh) | 工艺补偿的增益提升电压调节器 | |
CN112346508B (zh) | 线性稳压器及电子设备 | |
JP2017506032A (ja) | バッファ回路および方法 | |
JP2008276566A (ja) | 定電圧電源回路 | |
JP2015118452A (ja) |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 |
TW201821925A (zh) | 穩壓器 | |
CN114356008A (zh) | 一种低压差线性稳压器 | |
JP6457887B2 (ja) |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 |
CN111522390B (zh) | 一种有效提高瞬态响应速度的方法 | |
KR101449133B1 (ko) | 복수개의 에러 엠프를 가지는 저 드롭아웃 전압 레귤레이터 | |
CN102221840B (zh) | 稳压电路与操作放大电路 | |
KR102031199B1 (ko) | 레일-투-레일 방식의 오차 증폭기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 |
CN115562423B (zh) | 一种具有快速瞬态响应的低压差线性稳压器 | |
KR101404917B1 (ko) | 복수개의 입력 스테이지들을 가지는 오티에이 회로 | |
CN111580593A (zh) | 具有限流电路的多级放大电路 | |
US9367073B2 (en) | Voltage regulator | |
US10969810B2 (en) | Voltage regulator with virtual zero quiescent current | |
JP2015204491A (ja) | 電圧電流変換回路および電源回路 | |
US20240126317A1 (en) | Low dropout regulator | |
CN114995564B (zh) | 启动电路、启动方法及电子设备 | |
Song et al. | A 127 nA quiescent current capacitorless NMOS LDO with fast-transient response | |
US20250190003A1 (en) | Linear voltage regul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5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6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0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