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36282B1 - 다층 섬유 구조물 - Google Patents

다층 섬유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282B1
KR101436282B1 KR1020140030100A KR20140030100A KR101436282B1 KR 101436282 B1 KR101436282 B1 KR 101436282B1 KR 1020140030100 A KR1020140030100 A KR 1020140030100A KR 20140030100 A KR20140030100 A KR 20140030100A KR 101436282 B1 KR101436282 B1 KR 101436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b
fiber structure
fibers
k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야 오노다
미치아키 와다
Original Assignee
니신보 텍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신보 텍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신보 텍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 섬유 함유 웹층을 포함하는 다층 섬유 구조물로서, 신장성이 뛰어나고, 또한, 층과 층이 적절히 일체화된 다층 섬유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은, 합성 섬유를 80질량%를 넘게 포함하고, 겉보기 밀도가 0.050~0.175g/cm3인 웹층과, 코스 밀도가 20~73/2.54cm이며, 웨일 밀도가 20~64/2.54cm이며, 단위면적당 질량이 10~120g/m2인 니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웹층과 상기 니트층이 수류교락 처리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으며, 폭방향의 신장도가, 85~700%이다.

Description

다층 섬유 구조물{MULTILAYER FIBER STRUCTURE}
본 발명은,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웹층과 니트층을 갖는, 신장성이 뛰어난 다층 섬유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촉감이 좋고, 통기성이나 보액성도 높기 때문에, 위생 물품의 표면재, 물티슈, 일회용 타입의 물수건, 마스크, 의료용 가운, 와이핑 클로스, 화장용 시트, 화장료를 함침한 미용용 페이스 마스크, 접착제 등의 다양한 제품에 이용되고 있다. 이들 제품에 있어서는, 사용감을 높이는 관점에서, 부직포가 적당한 신장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성을 갖는 부직포로는, 예를 들면, 소정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웹층과 폴리우레탄 섬유를 포함하는 보강재를 수류교락에 의해 일체화한 신축성 부직포(특허 문헌 1), 적어도 일방향으로 고신축성을 갖는 망형 구조물의 편면 혹은 양면에 부직섬유웹이 줄형상으로 존재하는 결합부에 의해서 일체화된 복합 탄성 시트(특허 문헌 2) 등의 다층 구조의 부직포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부직포에서는, 신장성이 불충분한 경우나, 층과 층의 일체화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4-149933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평 10-195746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 섬유 함유 웹층을 포함하는 다층 섬유 구조물이며, 신장성이 뛰어나고, 또한, 층과 층이 적절히 일체화된 다층 섬유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층 섬유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다층 섬유 구조물은, 합성 섬유를 80질량%를 넘게 포함하고, 겉보기 밀도가 0.050~0.175g/cm3인 웹층과, 코스 밀도가 20~73/2.54cm이며, 웨일 밀도가 20~64/2.54cm이며, 단위면적당 질량이 10~120g/m2인 니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웹층과 상기 니트층이 수류교락 처리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으며, 폭방향의 신장도가 85~700%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웹층과 상기 니트층의 층간 박리력이, 2.0~45.0N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합성 섬유가,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니트의 코스 방향의 신장도가, 120~700%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니트층이 열융착성 탄성섬유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다층 섬유 구조물은 2층 섬유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섬유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섬유 제품은, 상기 다층 섬유 구조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섬유 제품은, 상기 다층 섬유 구조물과 그 한쪽의 면측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접착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 합성 섬유 함유 웹층과 소정의 편밀도 및 단위면적당 질량을 갖는 니트층을 이용함으로써, 신장성이 뛰어나고, 또한, 층과 층이 적절히 일체화된 다층 섬유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층 섬유 구조물에 있어서는, 유연성, 보액성, 보형성 등의 웹의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다층 섬유 구조물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제의 개략 단면도이다.
A. 다층 섬유 구조물
A-1. 다층 섬유 구조물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다층 섬유 구조물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100)은, 합성 섬유를 80질량%를 넘게 포함하고, 겉보기 밀도가 O.050~0.175g/cm3인 웹층(10)과, 코스 밀도가 20~73/2.54cm이며, 웨일 밀도가 20~64/2.54cm이며, 단위면적당 질량이 10~120g/m2인 니트층(11)을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은, 니트층의 양면에 웹층이 배치된 3층 섬유 구조물, 웹층의 양면에 니트층이 배치된 3층 섬유 구조물 또는 웹층과 니트층이 번갈아 적층된 4층 이상의 다층 섬유 구조물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의 편밀도 및 단위면적당 질량을 갖는 니트층을 선택하고, 또한, 웹층의 겉보기 밀도를 소정의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웹층의 구성 섬유와 니트의 편성사의 교락이 적절하게 행해질 수 있다. 그 결과, 웹 유래의 특성(유연성, 보액성 등)과 니트 유래의 특성(신장성, 피트성 등)을 유지하면서, 웹층과 니트층이 적절한 결합력으로 일체화된 다층 섬유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의 폭방향(CD방향)의 신장도는, 85~700%이며, 바람직하게는 85~600%, 보다 바람직하게는 90~500%이다. 상기 신장도가 85% 미만이면, 신장이 부족하여 딱딱하게 느끼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신장도가 700%를 넘으면, 사용중에 층이 분리되는 경우 등이 있다. 예를 들면,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접착제의 지지체로서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을 사용하는 경우, 폭방향의 신장도가 85% 미만이면, 신장성이 저하되어 몸의 굴곡부로 적용했을 때에 피부의 신장에 추종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 폭방향의 신장도가 700%를 넘으면, 점착제층을 적층할 때에 다층 섬유 구조물(지지체)이 너무 신장되어 점착제가 다층 섬유 구조물의 외측으로까지 스며나와 접착제로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경우나, 투묘성(投錨性)이 저하되어 접착제를 사용중에 점착제층과 다층 섬유 구조물(지지체)이 박리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다층 섬유 구조물의 폭방향은, 다층 섬유 구조물을 생산할 때의 웹 및 니트의 기계 방향(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통상, 다층 섬유 구조물의 주면에 있어서 신장도가 가장 큰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은, 대표적으로는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웹과 니트에 노즐을 이용하여 수류교락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조되므로, 폭방향에서는 기계 방향(반송 방향)에 비해서 수류가 불연속적으로 되어, 섬유의 결합력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의 흐름 방향(MD방향)의 신장도는, 바람직하게는 10~16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16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150%이다. 상기 신장도가 10% 미만이면, 신장이 부족하여 딱딱하게 느끼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신장도가 160%를 넘으면, 사용중에 층이 분리되는 경우 등이 있다. 예를 들면, 니트층이 열융착성 탄성섬유(상세하게는 A-3항에서 후술함)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다층 섬유 구조물의 흐름 방향의 신장도는, 바람직하게는 10~6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40%이다. 또, 예를 들면, 니트층이 열융착성 탄성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의 다층 섬유 구조물의 흐름 방향의 신장도는, 바람직하게는 20~16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8~16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8~150%이다. 여기서, 다층 섬유 구조물의 흐름 방향이란, 다층 섬유 구조물을 생산할 때의 웹 및 니트의 기계 방향(반송 방향)과 평행인 방향을 의미하며, 통상, 다층 섬유 구조물의 주면에 있어서 신장도가 가장 작은 방향을 흐름 방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에 있어서의 웹층과 니트층의 층간 박리력은, 바람직하게는 2.0~45.ON, 보다 바람직하게는 2.5~40.ON, 더욱 바람직하게는 3.0~35.5N이다. 층간 박리력이 이러한 범위 내이면, 웹층과 니트층이 사용중에 용이하게 박리되지 않고, 또한, 웹의 특징인 유연성, 보형성, 투묘성 등과 니트의 특징인 신장성, 피트성 등을 양립할 수 있다. 한편, 층간 박리력이 2.ON 미만이면, 웹층과 니트층의 접합이 불충분하여, 사용중에 층이 분리되는 경우가 있다. 또, 층간 박리력이 45.ON보다 크면, 사용중의 층 분리의 가능성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지만, 웹층의 구성 섬유가 필요 이상으로 니트의 편성사에 교락하여 일체화되는 결과, 웹의 유연성이 없어져, 다층 섬유 구조물의 신장도가 불충분해져, 웹층의 구성 섬유 상호의 교락이 약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에 있어서는, 웹층과 니트층의 접합은, 바람직하게는 양 층의 접촉 표면에 있어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니트의 편성사의 니트 표면으로의 노출 부위에 웹층의 구성 섬유가 교락하여 접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니트의 공극 부분(편성사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 예를 들면 횡편에서는, 루프의 내부의 간극)에는, 웹층의 구성 섬유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공극 부분에 존재하는 상기 구성 섬유의 양(니트층 중으로의 웹층의 구성 섬유의 혼입률)은, 웹층의 구성 섬유 전체의 10질량%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웹층과 니트층이, 두 층의 접촉 표면에 있어서 접합함으로써, 적절한 결합력(층간 박리력)이 얻어져, 그 결과, 양 층이 사용중에 용이하게 박리되지 않고, 또한, 웹의 특징인 유연성, 보형성, 투묘성 등과 니트의 특징인 신장성, 피트성 등을 양립할 수 있다. 니트층 중으로의 웹층의 구성 섬유의 혼입률은, 니트층과 웹층을 박리해, 웹층의 당초의 단위면적당 질량과 박리 후의 단위면적당 질량의 차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의 폭방향의 신장 회복률은,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다. 상기 신장 회복률이 15% 미만이면, 예를 들면 접착제의 지지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피부로의 피트성이 불충분해져 박리될 우려가 있다. 바람직한 상한치는 사용 용도나 사용 부위에 따라서 다르지만, 예를 들면 가운, 자켓, 바지, 속옷 등의 의류 용도나 접착제, 생리 용품, 기저귀 등의 의료 위생재 용도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장 회복률의 상한은 1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의 흐름 방향의 초기 신장력(5% 하중)은, 바람직하게는 0.1~100N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80N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60N이다. 상기 초기 신장력이 0.1N 미만이면, 초기 신장은 좋으나, 신장중에 웹이 파단되거나 층이 분리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초기 신장력이 100N을 넘으면, 딱딱해서 신장되기 어려워, 사용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니트층이 열융착성 탄성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다층 섬유 구조물의 흐름 방향의 초기 신장력(5%하중)은, 바람직하게는 5~100N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80N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60N이다. 또, 예를 들면, 니트층이 열융착성 탄성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의 다층 섬유 구조물의 흐름 방향의 초기 신장력(5% 하중)은, 바람직하게는 0.1~20N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15N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8, 5N이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의 컬도는, 흐름 방향, 폭방향도, 바람직하게는 0~30%,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이다. 컬도가 30%를 넘으면, 재단부가 컬되어, 예를 들면 접착제의 지지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밀착성의 저하나 피부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컬이란, 다층 섬유 구조물의 단면이 말려 올라가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니트층의 편성사의 잔류 토크가 원인으로 생길 수 있다. 컬도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2.5cm×16cm의 시료를 폭 또는 흐름 방향이 장변이 되도록 각 1점 취하고, 그립 간격 3cm, 인장 속도 20cm/분으로 10% 신장시키고, 이것을 5회 반복 신축시킨다. 그 다음에, 신장 후의 시료 폭:X(cm)를 투영법으로 측정하고, 다음 식으로부터 산출한다.
컬도(%)=(2.5-X)/2.5×100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의 강연도(剛軟度)는, 흐름 방향에서는, 바람직하게는 10~20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0mm이며, 폭방향에서는, 바람직하게는 10~20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60mm이다. 강연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유연성을 얻을 수 있는 한편, 보풀이 일어나고, 웹의 탈락, 2층 섬유 구조물에 있어서는 두께 방향의 보형성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범위를 넘으면, 딱딱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예를 들면 접착제의 지지체로서 사용하면, 피부로부터 박리되기 쉽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강연도(유연함)는, JIS L 1912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용도, 유연성, 신장성, 보액성, 경량감 등의 관점으로부터, 2층 섬유 구조물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25~440g/m2, 보다 바람직하게는 30~340g/m2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2층 섬유 구조물을 접착제의 지지체로서 사용하는 경우, 단위면적당 질량이 25g/m2보다 적으면 점착제층에 대한 투묘성의 저하 및 점착제층이 스며나오는 문제나, 탄력이 없어지므로 점착제층면끼리에서 붙어 버려, 접착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 단위면적당 질량이 440g/m2보다 많으면 신장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이 니트층의 양면에 웹층이 배치된 3층 섬유 구조물인 경우, 그 단위면적당 질량은 바람직하게는 40~760g/m2, 보다 바람직하게는 50~640g/m2이며, 웹층의 양면에 니트층이 배치된 3층 섬유 구조물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35~560g/m2, 보다 바람직하게는 40~440g/m2이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의 총 두께는, 상기 단위면적당 질량과 마찬가지로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두께는, 예를 들면, 2층 섬유 구조물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0.10~4.9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4.00mm이며, 3층 섬유 구조물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0.15~7.8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6.10mm이다.
A-2. 웹층
웹층은, 합성 섬유를 80질량%를 넘게 포함하는 웹으로 구성된다. 상기 엡에 있어서의 합성 섬유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8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며, 100질량%이어도 된다. 합성 섬유 이외의 섬유(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량을 20질량% 이상으로 하면, 웹의 탈락이 두드러지거나, 흡수성이 너무 높은 경우가 있으며, 예를 들면, 접착제의 지지체로서 이용하면, 사용중에 수분을 많이 흡수하는 결과, 접착제가 벗겨지기 쉬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합성 섬유로는, 용도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합성 섬유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폴리락트산섬유 등의 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바람직하다. 이들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보풀이 일어나는 것을 적게 하고, 소프트감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더 예를 들면, 접착제의 지지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제에 함유되는 약물과의 상호작용이 적은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의 사용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합성 섬유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합성 섬유는, 잠재 권축(捲縮) 발현성의 섬유여도 된다. 잠재 권축 발현성이란, 예를 들면, 가열, 신장, 방축 등의 조작에 의해 권축성, 신축성, 벌크성 등이 발현하는 성질이다. 잠재 권축 발현성의 섬유로는, 예를 들면, 수축율이 상이한 2종류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편심 심초형 복합 섬유, 사이드·바이·사이드형의 복합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합성 섬유는, 원착 섬유여도 된다.
상기 웹에 있어서 합성 섬유와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는 다른 구성 섬유로는, 용도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섬유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면, 마, 대나무, 닥나무, 삼지닥나무, 바나나, 케이폭, 피낭류 등의 식물성 및 동물성의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섬유(예를 들면, 레이온, 큐프라, 폴리노직, 텐셀)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및, 아세테이트 섬유(예를 들면, 비스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면, 레이온, 큐프라, 폴리노직, 텐셀, 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웹층에 있어서는, 대표적으로는, 웹의 구성 섬유는 서로 교락한 상태로 존재한다.
상기 웹의 구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5~15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80mm이다. 평균 섬유 길이가 15mm 미만이면, 웹층 내의 섬유 상호의 뒤엉킴이 약해져, 웹층의 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경우나, 웹층과 니트층의 결합력, 즉, 층간 박리력이 높아져, 다층 섬유 구조물이 딱딱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평균 섬유 길이가 150mm를 넘으면, 충분한 강도의 웹층이 얻어지는 한편, 웹층과 니트층의 층간 박리력이 저하되어 다층 섬유 구조물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웹을 구성하는 합성 섬유의 평균 섬도는, 0.1~33데시텍스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섬도가 0.1 데시텍스 미만이면, 웹층 내의 섬유 상호의 뒤엉킴이 강해져, 웹이 딱딱해지는 경우나, 웹층과 니트층의 층간 박리력이 높아져, 다층 섬유 구조물이 딱딱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평균 섬도가 33데시텍스보다 커지면, 웹층 내의 섬유 상호의 뒤엉킴이 약해져, 웹층의 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경우나, 니트층과의 층간 박리력이 저하되어, 사용중에 파단 또는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복수의 구성 섬유를 포함하는 웹의 평균 섬도는, 각 구성 섬유의 평균 섬도와 웹중의 혼율(질량%)의 단순 평균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와 함께 웹을 구성할 수 있는 다른 구성 섬유의 평균 직경은, 10μm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10μm를 넘고 2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직경이 10μm 이하이면, 웹층 내의 섬유 상호의 뒤엉킴이 강해져, 웹이 딱딱해지는 경우나, 웹층과 니트층의 층간 박리력이 높아지고, 다층 섬유 구조물이 딱딱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평균 직경이 20μm보다 커지면, 웹층 내의 섬유 상호의 뒤엉킴이 약해져, 웹층의 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경우나, 니트층과의 층간 박리력이 저하되어, 사용중에 파단 또는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웹의 구성 섬유는, 표면으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류교락시의 섬유 상호의 뒤엉킴이 균일화되고, 또한, 효율적으로 교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웹층은, 필요에 따라서, 대전 방지제, 친수화제, 발수제, 유연제 등의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이 마이너스로 대전하는 점착제층의 지지체로서 사용되는 경우, 웹층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함으로써 다층 섬유 구조물의 대전이 억제되므로, 대전에 의한 투묘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를 제조할 때, 다층 섬유 구조물의 대전이 충분히 방지되므로, 주름이나 꼬임의 발생이 충분히 방지되기 때문에, 접착제의 제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대전 방지제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兩性)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적합하다. 상기 첨가제는 웹의 구성 섬유와는 따로 따로 첨가되어도 되고, 웹의 구성 섬유중에 내부 첨가된 상태여도 된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에 있어서의 웹층의 겉보기 밀도는, 0.050~0.175g/cm3이며, 바람직하게는 0.050~0.170g/cm3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0.160g/cm3이다. 겉보기 밀도가 이러한 범위 내이면, 다층 섬유 구조물의 신장성 및 웹층과 니트층의 층간 박리력을 원하는 범위로 조정할 수 있고, 또, 유연성, 투묘성, 쿠션성 등이 뛰어난 웹층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겉보기 밀도란, 웹층의 질량(단위면적당 질량)과 두께로부터 계산되는 값이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에 있어서의 웹층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바람직하게는 15~320g/m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60g/m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240g/m2이다. 단위면적당 질량이 15g/m2 미만이면, 웹층에 얇은 부분이 생겨, 웹이 일부 결락되어 핀홀이 생기고, 니트가 노출되는 등에 의해, 균일한 웹층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단위면적당 질량이 320g/m2를 넘으면, 다층 섬유 구조물이 무거워져, 예를 들면 접착제의 지지체로서 사용하면,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손상되어, 피부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에 있어서의 웹층의 두께는,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두께는, 예를 들면, 0.05~3.00mm이며, 바람직하게는 0.06~2.30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1.40mm일 수 있다.
A-3. 니트층
니트층을 구성하는 니트의 편조직으로는, 용도 등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편조직이 선택될 수 있다. 경편이어도 위편이어도 된다. 대표적으로는, 위편이 이용되며, 예를 들면, 평편(저지편, 플레인 니트, 싱글 저지), 고무편(리브편, 프레이즈편)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위편의 니트로는, 싱글 니트, 더블 니트여도 된다. 예를 들면, 다층 섬유 구조물의 컬을 억제하는 점에서는 더블 니트가 바람직하고, 두께를 경감하거나 제조 비용을 억제하는 점에서는 싱글 니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층 섬유 구조물이 뛰어난 유연성 및 신장성을 부여하고, 또, 적절한 층간의 결합력(층간 박리력)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소정의 편밀도를 갖는 니트가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위편에서의 편밀도는, 코스 밀도가 20~73/2.54cm이며, 웨일 밀도가 20~64/2.54cm이다. 편밀도가 상기 범위보다도 낮으면, 얻어지는 다층 섬유 구조물의 신장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수류교락시에 수류가 니트를 통과하기 쉬워져, 웹의 구성 섬유가 니트의 편성사의 주위에 모여 강하고 교락하는 한편, 니트 표면의 공극(루프의 간극) 상에 배치되는 웹의 양이 감소하는 점에서, 상기 개소에 있어서의 웹의 구성 섬유 상호의 교락이 약해져, 신장에 의해서 웹층이 파단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여기서, 수류교락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니트 표면의 공극 상에 배치되는 웹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웹층과 니트층의 결합력은 저하되므로, 제품으로서 사용중에 웹층과 니트층이 용이하게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류교락력을 높임으로써 웹층과 니트층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니트 표면의 공극 상에 배치되는 웹의 양이 점점 감소해, 제품으로 사용하기 전부터 웹층의 일부에 핀홀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 편밀도가 상기 범위보다도 높으면, 웹층의 두께가 고르지 못한 상태(두께 불균일)는 경감할 수 있지만, 다층 섬유 구조물의 신장성이나 웹층과 니트층의 결합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니트 자체의 신장성이 저하되고, 또, 수류교락시에 수류가 니트를 통과하기 어려워져, 웹의 구성 섬유와 니트의 편성사의 교락이 약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웹층측으로부터 니트층 측을 향해 수류를 분사하여 교락하는 경우, 니트층을 통과하지 않고 웹층으로 튀어돌아오는 수류에 의해 웹의 구성 섬유는 서로 강하게 교락하지만, 니트의 편성사와의 교락이 불충분해져, 제품으로서 사용중에 웹층과 니트층이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수류교락력을 높임으로써 웹층과 니트층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웹의 구성 섬유 상호의 교락도 보다 강해지므로, 신장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 웹층의 밀도가 높아지는 결과, 딱딱하게 느끼고, 보액성이나 투묘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코스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20~70/2.54cm이다. 또, 상기 웨일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20~60/2.54cm이다. 이러한 편밀도이면, 실용상 충분한 웹층의 내구성 및 층간의 결합력을 확보하면서, 유연성이나 신장성이 뛰어난 다층 섬유 구조물이 적절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니트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10~120g/m2이며, 바람직하게는 10~110g/m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g/m2이다. 단위면적당 질량이 10g/m2 미만이면, 파열강력이나 인열강력이 낮아져, 사용중에 니트층이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단위면적당 질량이 120g/m2를 넘으면, 니트가 딱딱해지고, 무거워지는 등의 영향 때문에, 다층 섬유 구조물을 몸에 피트되는 섬유제품에 이용하면, 몸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어렵고, 또, 중량감이나 무더운 느낌이 강해져,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상기 니트의 코스 방향의 신장도는, 바람직하게는 120~7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7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700%이다. 코스 방향의 신장도가 120% 미만이면 니트가 딱딱해지는 경우가 있고, 700%를 넘으면 스티치가 변형되어 보형성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니트의 웨일 방향의 신장도는, 예를 들면 10~600%, 바람직하게는 10~5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0%이다. 웨일 방향의 신장도가 10% 미만이면 니트가 딱딱해지는 경우가 있고, 600%를 넘으면 스티치가 변형되어 보형성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열융착성 탄성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니트의 웨일 방향의 신장도는, 예를 들면 10~200%, 바람직하게는 10~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이다. 또, 예를 들면, 열융착성 탄성섬유를 포함하는 니트의 웨일 방향의 신장도는, 예를 들면 10~600%, 바람직하게는 10~5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0%이다.
상기 니트의 편성사로는, 용도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섬유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웹층의 구성 섬유와 동일한 종류의 섬유, 열융착성 탄성섬유, 탄성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편성사(열융착성 탄성섬유 이외의 편성사)의 섬도는, 바람직하게는 11~311dtex이다. 섬도가 311dtex를 넘으면, 다층 섬유 구조물로서의 감촉이 딱딱해지는 경우나 두꺼워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11dtex 미만이면, 니트의 파열 강력 및 인열강력이 낮아지고,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다층 섬유 구조물의 보액성, 투묘성, 유연성, 신장성, 통기성, 니트의 강도, 두께, 및 무게 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한 섬도는, 11~156dtex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니트는, 상기 웹층의 구성 섬유와 동일한 합성 섬유를 80질량%를 넘게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 포함한다. 이러한 니트를, 합성 섬유를 소정량 이상 포함하는 웹층과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합성 섬유의 함유량을 최대화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보액성이나 촉감 등이 매우 뛰어난 다층 섬유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또, 웹층의 구성 섬유와 교락하기 쉬워지므로, 균일한 층간 박리력을 얻는 관점에서 유리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의 지지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제에 함유되는 약물과의 상호작용이 적은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의 사용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섬유를 웹층 및 니트층에 사용함으로써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니트는, 편성사로서, 상기 열융착성 탄성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열융착성 탄성섬유를 가열 처리 등으로 열융착시킨 니트를 이용함으로써, 치수 변화가 적고, 보형성이 뛰어난 다층 섬유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또, 다층 섬유 구조물을 재단한 채로 섬유 제품으로 해도, 니트의 재단면으로부터 실이 풀어지는 것이 적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은 섬유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열융착성 탄성섬유를 열융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다층 섬유 구조물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 열융착시킴으로써, 니트층과 웹의 층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다층 섬유 구조물에 있어서는, 수류교락을 강하게 하여 층간의 결합력을 높인 경우와 달리, 웹의 유연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열융착시키고 나서 다층 섬유 구조물을 형성한 경우와 동일하게, 보형성 및 재단면의 내구성이 뛰어난 다층 섬유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열융착이란, 열융착성 탄성섬유가 밖으로부터의 열 또는 열과 압력에 의해, 열융착성 탄성섬유 상호 및/또는 열융착성 탄성섬유와 다른 섬유가 융착되어, 밀착하고 있는 상태나, 섬유의 적어도 일부가 융착되어, 밀착하고 있는 상태, 혹은 융착까지 이르지 않아도 섬유끼리가 접착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 열융착성 탄성섬유로는, 열융착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가 바람직하다. 고무와 같이 유연하게 신축하고, 가열에 의해 상기 섬유끼리 또는 다른 섬유와의 접촉 개소에서 융착에 의한 변형을 일으키나, 융착에 의해 녹아나와 편성 개소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고 연속되어 있으며, 융착 후에도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융해시에 녹아 편성 개소로부터 빠져나와 다른 섬유에 침투해, 응고되는 타입의 열융착성 섬유는, 응고 개소가 딱딱해지고, 일부가 예각적으로 굳어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강해지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 열융착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를 포함하는 니트는, 코스 방향의 양단에 컬이 생기기 어렵고, 수류교락에 의한 치수 변화도 작기 때문에, 제조시의 공정 안정성의 향상, 다층 섬유 구조물의 균일성의 향상 및 컬 저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지편 등의 컬을 일으키기 쉬운 싱글 니트에 짜넣어 열융착시킴으로써, 뛰어난 컬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열융착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는, 임의의 적절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올과 과잉 몰량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고,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중간 중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중간 중합체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용이하게 반응할 수 있는 활성 수소를 갖는 저분자량 디아민이나 저분자량 디올을 불활성의 유기 용제중에서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용액(폴리머 용액)을 제조한 후, 용제를 제거하고 실 라인으로 성형하는 방법이나,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저분자량 디아민 또는 저분자량 디올을 반응시킨 폴리머를 고체화하고 용제에 용해시킨 후, 용제를 제거하고 실 라인으로 성형하는 방법, 상기 고체화한 폴리머를 용제에 용해시키지 않고 가열에 의해 실 라인으로 성형하는 방법,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저분자량 디올을 반응시켜 폴리머를 얻고, 이 폴리머를 고체화하지 않고 실 라인으로 성형하는 방법 또, 상기 각각의 방법에서 얻어진 폴리머 또는 폴리머 용액을 혼합한 후, 혼합 폴리머 용액으로부터 용제를 제거하고 실 라인으로 성형하는 방법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진 양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 프레폴리머와,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저분자량 디올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양 말단 수산기 프레폴리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머(방사용 폴리머)를 고체화 하지 않고 용융 방사하는 방법이다. 저온에서 융착되기 쉽고, 또한, 내열성을 갖는 열융착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열융착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 폴리올,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아민, 및 디올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2011-74516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열융착성 탄성섬유는, 그대로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합사의 형태로 사용해도 된다.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사(미가공사), 가연 가공사, 선염사, 원착사 등의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복합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융착성 탄성섬유를 심사로 하여, 주위를 비열융착성 섬유로 피복한 커버링사, 열융착성 탄성섬유와 비열융착성 섬유를 합연(合撚)한 합연사, 에어교락사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열융착성 탄성섬유의 피복률이 낮을수록 열융착 개소가 증가하므로, 열융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단독으로, 예를 들면 원사(미가공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니트의 강력을 높이는 것 등의 관점에서는, 복합사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사 중에서도, 복합사의 중심에 열융착성 탄성섬유를 배치할 수 있고, 또, 열융착성 탄성섬유의 피복률의 컨트롤이 용이하고, 균일하게 피복할 수 있으므로, 커버링사를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고, 싱글 커버링사(SCY)가 보다 적절하다. 웹층과의 교락성 향상, 접착제의 지지체로서 이용했을 때의 점착제층과의 투묘성 향상 등의 점에서도 커버링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열융착성 탄성섬유는, 공지의 방법으로 짜넣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평편 조직이나 고무편 조직의 구성사로서 짜넣거나, 변화 조직에서는, 플레이팅편(플레이팅)의 플레이팅사로서 짜넣거나, 탄성사 삽입편의 탄성사로서 짜넣어 사용할 수 있다.
열융착성 탄성섬유의 섬도로는, 용도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섬도로 설정된다. 열융착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인 경우에는, 대표적으로는 11~622dtex이다. 섬도가 커지면 니트가 고무와 같은 감촉에 가까워지는 점 등으로, 311dtex 이하가 바람직하고, 267dtex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섬도가 11dtex보다 작으면 섬유의 생산성이 저하되거나 열융착에 의해 실이 끊어지는 경우가 있다.
복합사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의 상기 비열융착성 섬유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면, 마, 양모, 견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큐프라, 폴리노직 등의 재생섬유, 아세테이트 등의 반재생섬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염화비닐염화비닐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장섬유에서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고, 단섬유에서는 면을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섬유가 바람직하다. 이들 섬유는, 복합사의 제조의 용이함, 촉감 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접착제의 지지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열융착성 탄성섬유로서, 열융착성 복합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열융착성 복합사의 원료로는, 임의의 적절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프트 세그먼트로서 분자량 300~5000의 폴리에테르계 글리콜, 폴리에스테르계 글리콜, 폴리카보네이트계 글리콜 등을 블록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니트중에 있어서의 열융착성 탄성섬유(예를 들면, 열융착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3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함유량의 상한은, 100질량% 일 수 있다. 함유량이 3질량% 미만이면, 복합사로서 이용한 경우에 열융착 효과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니트는, 편성사로서, 탄성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섬유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탄성섬유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탄성섬유란, 균일하게 분지를 가지면서 실질적으로 선형상인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내열성 등의 여러 물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가교 처리가 실시되고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균일하게 분지를 가지면서 실질적으로 선형상인 폴리올레핀으로는, 올레핀계 모노머를 중합시킨 중합물이며, 그 중합물의 분기 정도가 균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올레핀계 탄성섬유의 일례는, 가교되어 있으며 균일하게 분기 한 에틸렌폴리머이다. 이 재료는 미국 특허 제6,437,014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으며, 라스톨(lastol)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섬유는 다우케미컬(The Dow Chemical Company)에서 나오는 상품명 다우 XLA(Dow XLA) 섬유로서 입수 가능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탄성섬유의 형태로는, 장섬유여도 되고 단섬유여도 되지만, 강도의 면에서는 장섬유가 바람직하다. 또,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것이나 태세(太細)가 있는 섬유여도 된다. 단면 형상에 있어서도 환형, 삼각, L형, T형, Y형, W형, 8엽형, 편평, dog bone형 등의 다각형형, 다엽형, 중공형이나 부정형인 것이어도 되지만, 특히 환형이 바람직하다.
상기 니트는, 임의의 적절한 편기에 의해서 편성될 수 있다. 편기의 게이지(1인치 사이에 있는 편침의 개수)는, 목적으로 하는 니트의 단위면적당 질량, 편밀도, 편성사의 섬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편기의 게이지는, 바람직하게는 12~45/2.54c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5/2.54cm이다. 또, 편기의 가마의 사이즈는, 30~38인치가 바람직하다.
상기 니트는, 필요에 따라서, 대전 방지제, 친수화제, 발수제, 유연제 등의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이 마이너스로 대전되는 점착제층의 지지체로서 사용되는 경우, 니트층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함으로써 다층 섬유 구조물의 대전이 억제되므로, 대전에 의한 투묘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를 제조할 때, 다층 섬유 구조물의 대전이 충분히 방지됨으로써, 주름이나 꼬임의 발생이 충분히 방지되기 때문에, 접착제의 제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대전 방지제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가 적합하다. 상기 첨가제는, 미리 니트의 편성사에 내부 첨가 또는 외부 첨가되어도 되고, 니트에 부착 또는 고착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에 있어서의 니트층의 두께는,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의 지지체로서 사용하는 경우, 지지체와 점착제층의 투묘성이나 점착제층이 스며나오는 것에 대한 방지성의 관점으로부터, 상기 두께는, 예를 들면, 0.05~3.00mm, 바람직하게는 0.06~2.30mm일 수 있다.
B. 다층 섬유 구조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은, 예를 들면, 웹과 니트를 적층하는 것(적층 공정), 얻어진 적층물을 다공질 지지체 상에 배치하여 고압액류를 분사하는 것(수류교락 공정), 및, 상기 적층물을 건조시키는 것(건조 공정)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수류교락에 의해서 웹층과 니트층을 접합함으로써, 웹의 유연성, 보액성, 투묘성, 통기성 등과 니트의 신장성을 유지하면서, 적당한 층간 박리력을 갖는 다층 섬유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B-1. 적층 공정
적층 공정에 있어서는, 대표적으로는, 웹과 니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적층한다. 적층 순서는, 목적의 다층 섬유 구조물의 구조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웹으로는, A-2항에 기재된 구성 섬유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카드법이나 에어레이법, 바람직하게는 카드법에 의해 형성된 웹이 이용된다. 카드법에 의하면, 패럴렐 웹, 크로스레이드 웹, 및 패럴렐 크로스레이드 웹이라는 3가지 구성의 웹을 얻을 수 있다.
패럴렐 웹은, 카드기로부터 방출(紡出)된 채의 상태의 웹이다. 패럴렐 웹에 있어서는, 웹의 구성 섬유가 그 길이 방향이 대체로 흐름 방향(반송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흐름 방향의 인장강력이 강하고, 폭방향의 신장성이 높은 웹층을 얻을 수 있다. 패럴렐 웹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카드기로의 섬유의 이송량 등에 따라서 정해진다. 섬유의 이송량이 많으면 카드기의 해섬(解纖) 효과가 저하되므로, 넵(nep)이 많아져 심미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며, 섬유의 이송량이 적으면 웹에 구멍이 나는 경우가 있다.
크로스레이드 웹은, 크로스래퍼에 의해서, 패럴렐 웹을 흐름 방향(반송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접음으로써 얻어지는 웹이다. 크로스레이드 웹은, 흐름 방향과 폭방향의 인장강도비를 0.5~2.0으로 할 수 있으므로, 밸런스가 좋은 웹층을 얻을 수 있다. 또, 접는 웹의 장수를 변화시키거나, 패럴렐 웹의 단위면적당 질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저단위면적당 질량의 웹에서부터 고단위면적당 질량의 웹까지 방출할 수 있다.
크로스래퍼로 접혀진 직후의 크로스레이드 웹은, 90°보다도 작은 교차각으로 웹이 작게 접혀, 복수장 겹쳐진 상태일 수 있으나, 상기 크로스레이드 웹에 드래프트를 가함으로써, 교차각을 조정할 수 있다. 드래프트 후의 교차각은, 바람직하게는 8~16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10°이다. 상기 교차각이 8°미만이면, 웹층이 두꺼워져 다층 섬유 구조물이 딱딱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160°보다 커지면, 웹이 얇아져 다층 섬유 구조물 중의 웹층의 결락이나 교락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차각은, 폭방향과 웹의 겹침부분의 접힘 각도(웹의 구성 섬유의 배열 방향의 교차 각도)를 의미한다.
패럴렐 크로스 웹은, 패럴렐 웹과 크로스레이드 웹이 적층된 웹이다. 패럴렐 웹은 웹 양단의 단위면적당 질량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고, 크로스레이드 웹은 크로스래퍼의 특성상, 접은 웹 양단의 단위면적당 질량이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으나, 쌍방을 겹침으로써, 패럴렐 크로스 웹은, 폭방향의 단위면적당 질량 불균일이 적고, 심미성이 높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다층 섬유 구조물을 접착제의 지지체로서 이용하는 경우, 패럴렐 웹 또는 패럴렐 크로스 웹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패럴렐 웹 또는 패럴렐 웹을 20질량% 이상 포함하는 패럴렐 크로스 웹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웹이면, 다층 섬유 구조물의 두께와 신장도를 양립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피트성 및 외관이 우수한 접착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이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웹의 넵률은, 바람직하게는 10~3000개/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00개/g이다. 넵률이 3000개/g를 넘는 웹을 이용하면, 웹층과 니트층의 접합이 불균일해지고, 웹층 중의 넵수가 많아져 다층 섬유 구조물의 심미성이 저하되는 등의 경우가 있다. 넵률이 10개/g 미만인 웹을 이용하면, 이러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웹의 생산 비용이 상승하거나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넵률이 낮은 웹을 얻기 위해서는, 고정 플랫형의 카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트로는, 상기 A-3항에서 설명한 니트가 이용될 수 있다. 니트에는, 목적 등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염색 처리에 의해, 웹층과 니트층의 구별을 용이하게 또는 곤란하게 할 수 있고, 또, 다층 섬유 구조물을 이용한 제품의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대전 방지 처리에 의해, 다층 섬유 구조물을 접착제의 지지체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접착제의 점착제층이 대전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투묘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외의 처리로는, 모소, 정련, 표백, 실켓 가공, 액체 암모니아 가공, 알칼리 감량 가공, 섬유 가교제를 이용한 가교 처리, 촉감 조정을 위한 유연제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위편의 니트를 이용하는 경우, 코스 방향이 다층 섬유 구조물의 폭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신장성이 뛰어난 다층 섬유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평행이란, 0±20°를 포함하는 각도를 의미한다.
또, 저지편의 니트를 이용하는 경우, 니트의 표측에 웹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니트는 표측을 향해 컬되기 쉽기 때문에,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컬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웹층/니트층/웹층의 구성을 갖는 3층 섬유 구조물은, 패럴렐 웹층/니트층/크로스레이드 웹층 또는 크로스레이드 웹층/니트층/크로스레이드 웹층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컬을 저감할 수 있다. 컬을 저감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웹의 단위면적당 질량을 늘리는 것, 크로스레이드 웹을 사용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다층 섬유 구조물의 흐름 방향과 폭방향의 강력차를 저하시킴으로써 컬을 저감할 수 있다.
3층 섬유 구조물의 적층에 있어서는, 패럴렐 웹층/니트층/크로스레이드 웹층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패럴렐 크로스 웹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로, 폭방향의 단위면적당 질량 불균일이 적고, 심미성이 뛰어난 다층 섬유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적층 공정에 있어서는, 대표적으로는, 카드 웹과 니트를 적층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미리 카드 웹에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부직포로 하고, 이 부직포와 니트를 적층해도 된다.
B-2. 수류교락 공정
수류교락 공정에 있어서는, 적층 공정에서 얻어진 적층물을 다공질 지지체 상에 배치하고, 이에 고압액류를 분사한다. 대표적으로는,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적층물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노즐로부터 고압액류를 분사한다. 이에 의해, 웹 내의 섬유 상호 및 웹의 구성 섬유와 니트의 편성사가 교락하고, 웹층과 니트층이 일체화된다. 2층 섬유 구조물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니트가 지지체측이 되도록 적층물을 배치하고, 액류를 비교적 낮은 액압으로 웹층측으로부터 니트층측을 향해 분사해, 웹의 초기 비산을 방지한다. 고압액류는, 적층물의 상방향 및/또는 하방향으로부터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다공질 지지체로는, 표면이 평활한 지지체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평직 또는 능직의 쇠망을 들 수 있다. 공간목은, 바람직하게는 20~100메쉬, 보다 바람직하게는 50~90메쉬이다. 또, 경사 및 위사를 박아넣는 개수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20~110개/2.54cm이다. 공간목이 20메쉬보다도 크면 지지체의 공극률이 높아지므로, 웹의 구성 섬유가 지지체의 직조직에 들어가, 이에 의해, 지지체와 다층 섬유 구조물의 박리가 악화되어, 주름이 생기거나 보풀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한편, 공간목이 100메쉬보다 미세하면 충분한 교락을 얻지 못해, 다층 섬유 구조물의 강도 및 층간 박리력의 저하나 불균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고압액류의 최대액압은, 바람직하게는 5×105~180×105Pa,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5~150×105Pa이다. 액압이 5×105Pa 미만이면, 사용 에너지는 적어지나, 층간 박리력이 낮아지는 경우나, 웹층 표면에 보풀이 일어나는 것이 눈에 띄는 경우가 있다. 한편, 액압이 180×105Pa를 넘으면, 층간 박리력이나 웹층 내의 섬유 상호의 교락이 너무 높아져서 다층 섬유 구조물이 딱딱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분사하는 액체로는, 처리하는 섬유가 불용인 이상,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물 또는 온수가 이용된다.
고압액류가 분사되는 노즐의 구경은, 바람직하게는 80~2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50μm이다. 노즐의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0.5~2.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6~1.Omm이다.
노즐은, 적층물의 흐름 방향(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1열 또는 복수열로 배열한다. 노즐의 수나 수류교락의 횟수(액체의 분사 횟수)는, 웹과 니트의 적층물의 단위면적당 질량 및 종류, 가공 속도, 액압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수류교락 공정에 있어서는, 다층 섬유 구조물에 다양한 요철 구조 또는 입체 모양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적절한 개구 패턴을 갖는 지지체 상에 적층물을 배치하여 수류교락 처리를 행하는 것, 지지체 상에 적절한 입체형을 배치하고, 그 위에 적층물을 겹쳐 수류교락 처리를 행하는 것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적층 공정 및/또는 수류교락 공정은, 복수회 반복해서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웹과 니트를 적층하여 이 적층물에 수류교락 처리를 행하고, 그 다음에, 웹층 위에 웹을 더 적층하여 다시 수류교락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웹과 니트를 적층하여 이 적층물에 수류교락 처리를 행하고, 그 다음에, 상기 적층물을 뒤집어, 니트층 위에 웹을 적층하여 다시 수류교락 처리를 행해도 된다.
B-3. 건조 공정
건조 공정에 있어서는, 수류교락 공정에서 일체화된 적층물을 건조시킨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건조 수단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분의 액체를 흡인 또는 웨트 프레스 등의 방법으로 제거한 후, 에어 드라이어, 실린더 드라이어, 에어 스루 드라이어, 석션 드라이어 등을 사용함으로써, 건조를 행할 수 있다.
B-4. 그 외의 공정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의 제조 방법은, 필요에 따라서 다른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은, 대표적으로는 장척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것을 권취하는 공정 및 원하는 형상으로 재단하는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니트가 열융착성 탄성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적층 공정 전에 니트를 가열하는 것, 또는, 건조 공정 후에 다층 섬유 구조물을 가열하는 것 등에 의해, 열융착성 탄성섬유를 열융착시킬 수 있다. 가열 조건으로는, 사용하는 열융착성 탄성섬유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니들 펀치 등의 다른 교락 처리나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 열융착성 섬유 등을 이용한 접착 처리에 의해서 웹층과 니트층의 접합을 강화해도 된다.
또, 다층 섬유 구조물의 후 가공으로서, 얻어진 다층 섬유 구조물을 흐름 방향으로 신장시켜 웹층의 교락을 부분적으로 저감 또는 절단하거나 함으로써, 예를 들면, 열융착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를 포함하는 니트를 이용한 경우에, 흐름 방향의 신장성 및 신장 회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착색, 엠보싱 가공이나 물결형상 또는 주름형상의 요철을 부여하는 후 가공도 실시할 수 있다.
C. 섬유 제품
본 발명의 섬유 제품은, 상기 다층 섬유 구조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미용 용도의 섬유 제품으로서, 페이스 마스크, 퍼프, 메이크업 클렌징 시트 등;의류 용도의 섬유 제품으로서 바지, 자켓, 가운, 속옷, 어깨 퍼트, 심지, 쿠션재, 일회용 유니폼 등;위생재 용도의 섬유 제품으로서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품 등;의료용도의 섬유 제품으로서 일회용 가운, 붕대, 접착제, 습포 기포, 마스크, 가제 등;그 외의 용도의 섬유 제품으로서 에어 필터, 여과 시트, 슬러지 필터, 벽지, 내장재, 보온재, 곤포 자재, 합성 피혁의 기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은,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한쪽의 면측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접착제에 있어서, 뛰어난 신축성과 투묘성을 갖는 지지체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은, 웹층의 보액성 및 니트층의 고신장성에 의해서, 웹층의 저신장성 및 니트층의 점착제층이 쉽게 새어나오는 것을 충분히 보충할 수 있으므로, 접착제의 지지체에 요구되는 점착제층이 스며나오는 것에 대한 방지성, 높은 신장성 등의 특성을 충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200)는, 지지체(20)와 상기 지지체(20)의 한쪽의 면측에 설치된 점착제층(21)을 구비한다. 여기서, 지지체(20)는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이다. 점착제층은 다층 섬유 구조물의 웹층측에 설치되어도 되고, 니트층측에 설치되어도 된다(도시예에서는 웹층측).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에 있어서는 웹층과 니트층이 일체화되어 있으며, 어느 측에 점착제층을 설치해도, 접착제로서 사용중에 점착제층이 박리되지 않고 투묘성이 양호하다. 접착제의 신장성이나 피트성 등의 관점에서는, 다층 섬유 구조물의 웹층측에 점착제층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감이나 접착제의 색조의 균일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니트층측에 점착제층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트층측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점착제층(21)의 지지체(20)와는 반대측에는 박리 라이너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점착제층(21)을 구성하는 점착제로는, 포유동물(대표적으로는, 인간)의 피부면에 적용 가능한 한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약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두께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5~500μm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박리 라이너의 박리 처리면에 점착제층을 적층하고, 상기 점착제층 상에 지지체(다층 섬유 구조물)를 적층하여 접착제를 얻는 방법, 지지체의 한쪽의 면에 점착제층을 적층하고, 상기 점착제층 상에 박리 라이너를 적층하여 접착제를 얻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은, 예를 들면, 점착제, 약물, 유기용매 등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것을 박리 라이너 또는 지지체 상에 도포한 후, 유기용매를 건조, 제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얻어진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된다. 절단시에는, 다층 섬유 구조물의 흐름 방향과 접착제의 길이 방향이 임의의 적절한 각도를 이루도록 절취할 수 있으며, 상기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컬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층 섬유 구조물의 흐름 방향과 접착제의 길이 방향이, 직교 또는 평행이 되도록, 혹은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취함으로써, 절단 후의 접착제의 신장성, 컬도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섬유 제품은, 퍼프 또는 메이크업 클렌징 시트일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보습 성분, 클렌징 성분, 자외선 흡수 방지 성분, 땀 억제 성분, 향기 성분, 미백 성분, 혈행 촉진 성분 등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함침한 상태로 피부 등에 붙여져 사용된다. 화장료는 섬유 제품의 일부로서 미리 함침되어 있어도 되고, 사용 직전에 부여되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측정 방법 및 평가방법은 이하와 같다.
[신장도]
신장도는, JIS L 1096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상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다층 섬유 구조물의 신장도
5cm×20cm의 시료를 폭 또는 흐름 방향이 장변이 되도록 각 5점 취하고, 그립 간격 10cm, 인장 속도 20cm/분으로 신장하고, 웹층이 파단된 시점의 신장을 측정하고, 이하의 식으로 계산한다. 신장도는 각 측정치의 평균치로서 표시한다. 웹층이 파단된 시점은 육안으로 판정한다.
신장도(%)=[웹층이 파단된 시점의 파지 길이-초기의 파지 길이(cm)]/[초기의 파지 길이(cm)]×100
·니트의 신장도
5cm×20cm의 시료를 코스 방향 또는 웨일 방향이 장변이 되도록 각 5점 취하고, 그립 간격 10cm, 인장 속도 20cm/분으로 신장하고, 니트가 파단된 시점의 신장을 측정하고, 이하의 식으로 계산한다. 신장도는 각 측정치의 평균치로서 표시한다.
신장도(%)=[니트가 파단된 시점의 파지 길이-초기의 파지 길이(cm)]/[초기의 파지 길이(cm)]×100
[신장 회복률]
신장 회복률은, JIS L 1096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상세하게는, 5cm×30cm의 시료를 폭 또는 흐름 방향이 장변이 되도록 각 3점 취하고, 그립 간격 20cm, 인장 속도 20cm/분으로 30% 신장시킨 상태에서 30초간 파지시키고, 계속해서, 신장을 멈춘 상태에서 1시간 정치(靜置)시키고, 그 후에 시료의 길이를 측정하고, 신장 회복률을 산출했다.
[층간 박리력]
5cm×20cm의 시료를 폭 또는 흐름 방향이 장변이 되도록 각 2점 준비하고, 상기 시료의 길이 방향의 측단에서부터 측정하고자 하는 2층간을 손으로 중앙까지 박리시킨다. 다음에, 인장 시험기(오리엔테크사 제조, 기종명 텐시론 RTA-100, 하중 980N)의 파지부에 박리시킨 2층(예를 들면, 2층 섬유 구조물이면 웹층과 니트층, 니트층의 양면에 웹층이 배치된 3층 섬유 구조물인 경우에는, 편측의 웹층과 나머지 2층, 웹층의 양면에 니트층이 배치된 3층 섬유 구조물인 경우에는, 편측의 니트층과 나머지 2층)을 각각 파지하고, 그립 간격 10cm, 인장 속도 20cm/분으로 끌어당겼을 때의 최대 박리력을 계측하고, 2회의 평균치로서 폭, 흐름 방향의 박리력을 산출한다. 또한, 3층 섬유 구조물인 경우에는, 남은 2층의 박리력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층간 박리력은 폭, 흐름 방향의 박리력 중 높은 쪽의 값을 채용한다. 또, 3층 섬유 구조물인 경우에는, 최초에 박리력이 높은 쪽의 2층간의 층간 박리력을 측정하고, 그 다음에, 남은 2층간의 층간 박리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필요에 따라서 예비 측정을 행하고, 어느 쪽의 층간 박리력이 높은지를 미리 조사해 두어도 됨).
[두께]
·다층 섬유 구조물 및 니트(층)의 두께
두께 측정기(상품명 THICKNESS GAUGE 모델 CR-60A (주)타이에과학정기제작소 제조)를 이용해, 시료 1cm2당 4cN의 하중을 가한 상태로 측정했다. 또, 다층 섬유 구조물에 있어서의 니트층의 두께는, 사용한 니트를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여 얻어지는 두께로 했다.
·2층 섬유 구조물 및 웹층의 양면에 니트층이 배치된 3층 섬유 구조물에 있어서의 웹층의 두께
이들 웹층의 두께는, 다층 섬유 구조물의 두께로부터 사용한 니트의 두께를 빼고 구한다.
·니트층의 양면에 웹층이 배치된 3층 섬유 구조물에 있어서의 각 웹층의 두께
실체 현미경을 이용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1) 흐름 방향 및 폭방향과 45도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에서 상기 3층 섬유 구조물을 5mm 사방으로 컷(컷은 예리한 칼날, 예를 들면 상품명 「디스포메스 No11」((주) 아즈원 제조)을 사용)하여 시료로 한다. 시료는 5장 이상 준비한다.
(2) 컷한 시료의 단면(두께 방향)을 광학식 실체 현미경(상품명 「SZ61, OLYMPUS사 제조)을 이용하여 확대(예를 들면 50~200배)하여 촬영한다. 촬영에는 디지털카메라(상품명 「μ-mini DIGITAL」, OLYMPUS사 제조)를 이용하여, 배율 1.0배로 콜리메이트법으로 촬영한다.
(3) 마이크로 스케일(상품명 「Microscale Slide 177-401C」, (주)왓슨 제조)의 5mm/100스케일을 상기 광학식 실체 현미경을 이용하여 시료와 동일 배율로 확대하여 촬영한다. 촬영에는 디지털카메라(상품명 「μ-mini DIGITAL」, OLYMPUS사 제조)를 이용하여, 배율 1.0배로 콜리메이트법으로 촬영한다.
(4) 상기 (2)와 (3)의 촬영물을 인쇄하여, 웹층의 두께를 7개소에서 계측하고, 그 최대치, 최소치를 제외한 5개소의 값의 평균치를, 웹층의 두께로 한다.
(5) 5장 이상의 시료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하게 두께를 계측하고, 모든 평균치를 산출하여 상기 다층 섬유 구조물의 웹층의 두께로 한다.
[겉보기 밀도]
웹층의 겉보기 밀도는, 웹층의 단위면적당 질량과 두께로부터 산출한다.
[초기 신장력(5%하중)]
JIS L 1096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상세하게는, 5.0cm×20cm의 시료를 폭 또는 흐름 방향이 장변이 되도록 각 5점 취하고, 그립 간격 10cm, 인장 속도 20cm/분으로 측정한 값을 평균으로 나타낸다.
[단위면적당 질량]
JIS L 1096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상세하게는, 30cm×30cm의 시료를 5점 취하고, 각 시료를 직시 천칭으로 측정하고, 1m2당 중량으로 환산해, 그 평균치로 나타낸다.
[제조예 1-A]
34인치, 22게이지의 싱글 편기를 사용했다. 편성사로서, SCY(심사의 열융착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는, 닛신보 텍스타일(주) 제조의 열융착성 모비론사 RL타입(섬도 111dtex 4필라멘트, 신장 배율 2.3배, 갈색의 원착사, 갈색의 원착사는 실의 질량에 대해, 0.2%의 CROMOPHTAL Brown 5R(BASF 재팬 제조)를 혼련하여 얻음)이며, 초사(sheath yarn)는, 토오레(주) 제조의 울리 나일론(섬도 13dtex 7필라멘트, 꼬임 수 600T/m)이며, 열융착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혼율 78.8%, 피복률 5.97%)을 사용하여, 저지편의 니트를 얻었다. 그 다음에, 텐터기를 사용하여, 상기 니트를 코스 방향 및 웨일 방향으로 각각 1.6배 신장한 상태에서, 125℃, 1분, 열처리했다. 이에 의해, SCY중의 열융착성의 심사는 이들 교차부에 있어서 완전하게 열융착되고, 상기 교차부의 경계가 소실되는 정도로 융착되었다. SCY중의 심사와 초사의 교차부에서는 심사가 크게 변형되고, 초사는 심사에 매몰되듯이 편입되어 있었다. 얻어진 니트 A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40g/m2, 코스 밀도는 34/2.54cm, 웨일 밀도는 33/2.54cm였다. 또, 코스 방향의 신장도는 469%, 웨일 방향의 신장도는 262%, 두께는 0.31mm였다.
[제조예 1-B]
34인치, 22게이지의 싱글 편기를 사용했다. 편성사로서, SCY(심사의 열융착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는, 닛신보 텍스타일(주) 제조의 열융착성 모비론사 RL타입(섬도 111dtex 4필라멘트, 신장 배율 2.3배, 갈색의 원착사, 갈색의 원착사는 실의 질량에 대해, 0.2%의 CROMOPHTAL Brown 5R(BASF 재팬 제조)를 혼련하여 얻음)이며, 초사는, 토오레(주) 제조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섬도 83dtex 36필라멘트, 꼬임 수 300T/m)이며, 열융착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혼율 36.8%, 피복률 7.54%)를 사용하여, 저지편의 니트를 얻었다. 그 다음에, 텐터기를 사용하여, 상기 니트를 코스 방향으로 1.2배, 웨일 방향으로 1.5배 신장한 상태에서, 130℃, 1분, 열처리했다. 이에 의해, SCY중의 열융착성의 심사는 이들의 교차부에 있어서 완전하게 열융착되고, 상기 교차부의 경계가 소실되는 정도로 융착됐다. SCY중의 심사와 초사의 교차부에서는 심사가 크게 변형되고, 초사는 심사에 매몰되듯이 편입되어 있었다. 얻어진 니트 B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80g/m2 , 코스 밀도는 33/2.54cm, 웨일 밀도는 30/2.54cm였다. 또, 코스 방향의 신장도는 308%, 웨일 방향의 신장도는 200%, 두께는 0.68mm였다.
[제조예 1-C]
34인치, 22게이지의 싱글 편기를 사용했다. 편성사로서, SCY(심사의 열융착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는, 닛신보 텍스타일(주) 제조의 열융착성 모비론사 RL타입(섬도 111dtex 4필라멘트, 신장 배율 2.3배, 갈색의 원착사, 갈색의 원착사는 실의 질량에 대해, 0.2%의 CROMOPHTAL Brown 5R(BASF 재팬 제조)를 혼련하여 얻음)이며, 초사는, 토오레(주) 제조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섬도 33dtex 12필라멘트, 꼬임 수 300T/m)이며, 열융착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혼율 59.4%, 피복률 4.76%)를 사용하여, 저지편의 니트를 얻었다. 그 다음에, 텐터기를 사용하여, 상기 니트를 코스 방향으로 1.5배, 웨일 방향으로 1.6배 신장한 상태로, 130℃, 1분, 열처리했다. 이에 의해, SCY중의 열융착성의 심사는 이들의 교차부에 있어서 완전하게 열융착되고, 상기 교차부의 경계가 소실되는 정도로 융착되었다. SCY중의 심사와 초사의 교차부에서는 심사가 크게 변형되고, 초사는 심사에 매몰되듯이 편입되어 있었다. 얻어진 니트 C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60g/m2, 코스 밀도는 34/2.54cm, 웨일 밀도는 32/2.54cm였다. 또, 코스 방향의 신장도는 420%, 웨일 방향의 신장도는 240%, 두께는 0.38mm였다.
[제조예 1-D]
34인치, 20게이지의 싱글 편기를 사용했다. 편성사로서, SCY(심사의 열융착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는, 닛신보 텍스타일(주) 제조의 열융착성 모비론사 RL타입(섬도 111dtex 4필라멘트, 신장 배율 2.3배, 갈색의 원착사, 갈색의 원착사는 실의 질량에 대해, 0.2%의 CROMOPHTAL Brown 5R(BASF 재팬 제조)를 혼련하여 얻음)이며, 초사는, 토오레(주) 제조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섬도 33dtex 12필라멘트, 꼬임 수 300T/m)이며, 열융착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혼율 59.4%, 피복률 4.76%)를 사용하여, 저지편의 니트를 얻었다. 그 다음에, 텐터기를 사용하여, 상기 니트를 코스 방향으로 2.5배, 웨일 방향으로 2.6배 신장한 상태에서, 130℃, 1.5분, 열처리했다. 이에 의해, SCY중의 열융착성의 심사는 이러한 교차부에 있어서 완전하게 열융착되고, 상기 교차부의 경계가 소실되는 정도로 융착되었다. SCY중의 심사와 초사의 교차부에서는 심사가 크게 변형되고, 초사는 심사에 매몰되듯이 편입되어 있었다. 얻어진 니트 D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20g/m2, 코스 밀도는 19/2.54cm, 웨일 밀도는 18/2.54cm였다. 또, 코스 방향의 신장도는 186%, 웨일 방향의 신장도는 143%, 두께는 0.21mm였다.
[제조예 1-E]
38인치, 40게이지의 더블 편기를 사용했다. 편성사로서, 영국식 면번수 80번수의 100% 면사를 사용하고, 단위면적당 질량 120g/m2, 코스 밀도 75/2.54cm, 웨일 밀도 66/2.54cm의 프레이즈편의 니트 E를 얻었다. 니트 E의 코스 방향의 신장도는 115%, 웨일 방향의 신장도는 20%, 두께는 0.40mm였다.
또한, 상기 SCY중의 열융착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혼율은, 하기 (1)식으로 계산한 값이며, 상기 SCY의 피복률은 하기 (2)식으로 계산한 값이다.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혼율(%)=(PU/DR)/((PU/DR)+D)×100…(1)식
C=(0.012×-
Figure 112014024687501-pat00001
×T/(1000/DR))×100…(2)식
여기서, C는 피복률(%)을, PU는 열융착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섬도(데시텍스)를, D는 열융착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주위에 피복되는 비열융착성 섬유의 섬도(데시텍스)를, T는 연사(撚絲)시의 꼬임 수(T/m)를, DR은 커버링 또는 연사시의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신장 배율(배)을 나타낸다.
상기 니트 A~E의 개요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024687501-pat00002
[제조예 2]
웹의 구성 섬유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평균 섬유 길이 38mm, 평균 섬도 1.36dtex, 평균 직경 11μm, 토요보주식회사 제조, 제품명 70W)를 사용했다. 최초에 혼타면 공정에서 개면(開綿)하고, 카드 공정의 소면(梳綿)을 행함으로써, 넵률이 45개/g인 카드 웹을 얻었다.
[실시예 1~7, 비교예 1~4]
표 2 및 표 3에 나타낸 조건으로 니트와 웹을 적층하고, 수류교락 처리를 행했다. 수류교락 처리 후의 적층물을 탈수하고, 건조시킨 후, 권취 공정을 거쳐 다층 섬유 구조물을 얻었다. 얻어진 다층 섬유 구조물의 특성을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웹과 니트의 적층 방법 및 수류교락 방법은 이하와 같다.
[웹과 니트와의 적층 방법]
(패럴렐 크로스레이드 웹과 니트의 2층 섬유 구조물의 적층)
제조예 2의 카드 웹을 크로스래퍼에 통과시킨 크로스레이드 웹과 크로스래퍼를 통과시키지 않는 패럴렐 웹을 적층하면서 니트 위에 적층했다. 이 때, 니트의 코스 방향(니트의 위(緯)방향)이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했다. 상기 적층물을 지지체(공간목 90메쉬의 능직망) 상에 니트층이 지지체측이 되도록 배치하여 수류교락 처리에 제공했다.
(패럴렐 웹과 니트의 2층 섬유 구조물의 적층)
제조예 2의 카드 웹을 크로스래퍼에게 통과시키지 않고 패럴렐 웹으로서 니트 위에 적층했다. 이 때, 니트의 코스 방향이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했다. 상기 적층물을 지지체(공간목 90메쉬의 능직망) 상에 니트층이 지지체 측이 되도록 배치하여 수류교락 처리에 제공했다.
(크로스레이드 웹과 니트의 2층 섬유 구조물의 적층)
제조예 2의 카드 웹을 크로스래퍼에 통과시키면서 니트 위에 적층했다. 이 때, 니트의 코스 방향(니트의 위방향)이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했다. 상기 적층물을 지지체(공간목 90메쉬의 능직망) 상에 니트층이 지지체측이 되도록 배치하여 수류교락 처리에 제공했다.
또한, 표 중, 웹층중의 패럴렐 웹 비율은, 이하의 식으로 산출했다. 패럴렐 웹 비율이 100질량%인 경우, 웹층은 모두 패럴렐 웹으로 구성되고, 0질량%인 경우, 웹층은 모두 크로스 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이외의 경우, 웹층은 패럴렐 크로스 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패럴렐 웹 비율은 그 중의 패럴렐 웹의 비율을 나타낸다.
패럴렐 웹 비율(질량%)=패럴렐/{(패럴렐)+(크로스)}×100
[수류교락 방법]
(전부 처리)
상기 지지체 상의 적층물의 상방에, 고압수류 발사 장치(분사구의 구경은 100μm 또는 120μm, 분사구의 간격은 0.6mm로 했음)를 준비하고, 상기 적층물에 대해 표 2 및 3에 기재된 수압으로 수류를 분사했다.
(후부 처리)
상기 지지체 상의 적층물을 뒤집은 상태로, 다른 지지체(공간목 90메쉬의 능직망) 상에 배치했다. 그 다음에, 상기 적층물의 상방에, 고압수류 발사 장치(분사구의 구경은 100μm 또는 120μm, 분사구의 간격은 0.6mm로 했음)를 준비하고, 상기 적층물에 대해 표 2 및 3에 기재된 수압으로 수류를 분사했다.
여기서, 전부 처리에 이어서 후부 처리를 행하고, 적층물의 양면에 대해 1회씩 수류교락 처리를 행한 경우를 1사이클이라고 카운트하고, 이 1사이클을 2회 반복하는 경우에는 2사이클이라고 카운트한다. 또한, 전부 처리 또는 후부 처리 중 어느 한쪽만을 행한 경우에는 0.5사이클이라고 카운트한다.
[후 가공]
실시예 6에서 얻은 다층 섬유 구조물을 안료로 피부색으로 착색했다. 구체적으로는, 0.1질량%의 안료(상품명 「YELLOW RRT CONC」가 80%, 「GREY BT CONC」가 5%, 「BRI RED BBT CONC」가 15%, 모두 Helizarin사 제조)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에, 실시예 6의 다층 섬유 구조물을 침지하고, 맹글로 패드온율(다층 섬유 구조물에 포함되는 안료 분산액 중량/안료 분산액 부여 전의 다층 섬유 구조물의 중량×100) 80%로 하여 압착한 후, 넷 건조기를 이용하여, 115℃에서 1분 열처리했다.
Figure 112014024687501-pat00003
Figure 112014024687501-pat00004
표 2~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7의 다층 섬유 구조물은, 신장성이 뛰어나고, 적절한 층간 박리력으로 일체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4의 다층 섬유 구조물은 모두 폭방향의 신장도가 85% 미만이었다. 비교예 1에서는, 웹층의 겉보기 밀도가 0.050g/cm3보다도 낮기 때문에, 니트층과 웹층의 접합 및 웹층의 구성 섬유 상호의 교락이 약하다고 생각된다. 또, 비교예 2에서는, 웹층의 겉보기 밀도가 0.170g/cm3보다도 높기 때문에, 웹층의 구성 섬유 상호의 교락이 강해져, 신장도가 저하되었다고 생각된다. 편밀도가 낮은 니트를 이용한 비교예 3에서는, 웹층의 구성 섬유가 니트의 편성사의 주위에 많이 모여, 그 부분이 하얗게 보였다. 또, 감촉으로부터 상기 부분에서는 웹층의 구성 섬유와 니트의 편성사가 강하게 교락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니트의 루프의 간극 위에 배치된 웹은 적고, 이면측으로부터 비쳐 보이는 상태이며, 웹층은 불균일했다. 비교예 3의 다층 섬유 구조물을 폭방향으로 83% 신장한 단계에서, 상기 웹이 적은 개소에서 웹층이 파단되어 핀홀이 생겼다. 편밀도가 높은 니트를 이용한 비교예 4에서는, 신장도와 층간 박리력을 양립시킬 수 없었다.
[실시예 8]
일본국 특허 공개 WO2009/096315 공보의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 조성물의 용해물을 작성하고, 상기 용해물을 PET제의 박리 라이너에 도포 및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그 다음에, 점착제층 위에 실시예 1의 다층 섬유 구조물을 그 니트층측이 점착제층과 접하도록 적층하여, [박리 라이너/점착제층/다층 섬유 구조물(지지체)]의 구성을 갖는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종방향이 다층 섬유 구조물의 흐름 방향에 대해 0°의 각도를 이루도록 세로 7cm×가로 10cm인 치수로 절단하여 접착제(1)를 얻었다. 얻어진 접착제(1)를 5명의 시험자의 팔꿈치부에 부착하여 24시간 평가한 바, 팔꿈치의 굴신에 잘 추종하여, 피트감이 양호했다. 또, 벗겨지지 않고 접착성도 양호했다.
본 발명의 다층 섬유 구조물은, 접착제 등의 다양한 섬유 제품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웹층
11:니트층
20:지지체(다층 섬유 구조물)
21:점착제층
100:다층 섬유 구조물
200:접착제

Claims (8)

  1. 합성 섬유를 80질량%를 넘게 포함하고, 겉보기 밀도가 0.050~0.175g/cm3인 웹층과, 코스 밀도가 20~73/2.54cm이며, 웨일 밀도가 20~64/2.54cm이며, 단위면적당 질량이 10~120g/m2인 니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웹층과 상기 니트층이 수류교락 처리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으며,
    폭방향의 신장도가 85~700%인, 다층 섬유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층과 상기 니트층의 층간 박리력이, 2.0~45.ON인, 다층 섬유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가,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하는, 다층 섬유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니트의 코스 방향의 신장도가 120~700%인, 다층 섬유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니트층이 열융착성 탄성섬유를 포함하는, 다층 섬유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2층 섬유 구조물인, 다층 섬유 구조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 섬유 구조물을 포함하는, 섬유 제품.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 섬유 구조물과 그 한쪽의 면측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접착제인, 섬유 제품.
KR1020140030100A 2013-03-27 2014-03-14 다층 섬유 구조물 KR101436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65963 2013-03-27
JP2013065963A JP5309268B1 (ja) 2013-03-27 2013-03-27 多層繊維構造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282B1 true KR101436282B1 (ko) 2014-08-29

Family

ID=49529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100A KR101436282B1 (ko) 2013-03-27 2014-03-14 다층 섬유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309268B1 (ko)
KR (1) KR1014362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6000A1 (en) * 2020-08-25 2022-03-03 Almaxtex Tekstil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abric and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made from said fabric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4270B2 (ja) * 2014-08-26 2018-08-15 ユニチカ株式会社 印刷が施されてなる積層布帛
KR101753867B1 (ko) 2015-06-26 2017-07-04 (주) 미벨라 탄성 복합 부직포 및 그 제조장치
CN105803669B (zh) * 2016-05-18 2018-06-29 盐城市悦诚新材料股份有限公司 无纺布覆膜防护板的制备方法
JP2018021290A (ja) * 2016-07-25 2018-02-08 株式会社Itoi生活文化研究所 和紙糸を用いた生地、これを用いたシュー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レザーシューズ
CN106906570A (zh) * 2017-03-13 2017-06-30 浙江洁诺新材料有限公司 水刺无纺布及其制造方法
CN108340638A (zh) * 2018-03-28 2018-07-31 张家港市长力久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高拉伸安全汽车顶棚布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509A (ja) * 1994-07-25 1996-02-06 Daiwabo Co Ltd 面ファスナー雌材
JP2004091981A (ja) 2002-08-30 2004-03-25 Seiren Co Ltd 皮革様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09008A (ja) 2003-06-18 2005-01-13 Teijin Fibers Ltd 高級感のある複合繊維構造体
JP2005299001A (ja) 2004-04-09 2005-10-27 Toray Ind Inc 長繊維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1983A (en) * 1978-01-25 1979-08-10 Mitsubishi Rayon Co Production of sheet like article
JP2002193794A (ja) * 2000-12-27 2002-07-10 Lion Corp 貼付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509A (ja) * 1994-07-25 1996-02-06 Daiwabo Co Ltd 面ファスナー雌材
JP2004091981A (ja) 2002-08-30 2004-03-25 Seiren Co Ltd 皮革様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09008A (ja) 2003-06-18 2005-01-13 Teijin Fibers Ltd 高級感のある複合繊維構造体
JP2005299001A (ja) 2004-04-09 2005-10-27 Toray Ind Inc 長繊維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6000A1 (en) * 2020-08-25 2022-03-03 Almaxtex Tekstil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abric and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made from said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89917A (ja) 2014-10-06
JP5309268B1 (ja) 201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282B1 (ko) 다층 섬유 구조물
TWI271455B (en) Elastic composite fabric,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application
JP5309270B1 (ja) 多層繊維構造物
JP5201532B2 (ja) 伸縮性積層シート
KR102309350B1 (ko) 화장료 함침 피부 피복 시트용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JP5199953B2 (ja) 化粧料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JP4943436B2 (ja) 伸縮性不織布及びテープ類
KR101975079B1 (ko) 보액 시트 및 페이스 마스크
ES2528660T3 (es) Método para fabricar un no tejido particularmente suave y tridimensional y no tejido obtenido de esta manera
KR101976155B1 (ko) 마스크팩용 혼섬부직포
TW201731412A (zh) 平面扣具及纖維製品
JP2012012758A (ja) 高伸度伸縮性不織布
JP5884733B2 (ja) 積層不織布とその製品
CN105283160B (zh) 短裤型一次性尿布和短裤型一次性尿布的制造方法
JP2012076273A (ja) 積層生地、それを用いてなる医療用被服および医療用資材
JP5019265B2 (ja) 肌装着用シート
JP4419929B2 (ja) 皮革様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92377B2 (ja) 肌装着用シートおよびその装着方法
JP2020076195A (ja)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吸収性物品用シート
JP4893256B2 (ja) 流体交絡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流体交絡不織布からなる皮革様シートの製造方法
JPH08109564A (ja) 長繊維水流絡合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87678B1 (ko) 섬유 시트
JP2006207053A (ja) 三層構造織編物および繊維製品
JP2004149933A (ja) 伸縮性不織布
JP7064098B2 (ja)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吸収性物品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