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20394B1 - 전기적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적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394B1
KR101420394B1 KR1020130082073A KR20130082073A KR101420394B1 KR 101420394 B1 KR101420394 B1 KR 101420394B1 KR 1020130082073 A KR1020130082073 A KR 1020130082073A KR 20130082073 A KR20130082073 A KR 20130082073A KR 101420394 B1 KR101420394 B1 KR 10142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plate
lever
housing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이용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2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하고 그 내부에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삽입구(13)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13)를 통해서는 전선(26)이 관통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외면에는 홈부(14)가 형성되어 레버(16)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16)는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되고, 레버(16)의 자유단부(20)에는 구동돌기(22)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에는 터미널(30)이 설치되는데, 베이스부(32)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베이스부(32)에 일체로 제1핑거(36)와 제2핑거(46)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제1핑거(36)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레버(16)의 구동돌기(22)와 연동되는 연동판(44)이 있고, 상기 제1핑거(36)의 중간부분과 상기 제2핑거(46)의 선단 사이에 전선(26)의 심선(28)이 위치되어 압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버(16)의 동작방향과 상기 제1핑거(36)의 탄성변형방향이 동일하게 되어 제1핑거(36)의 동작이 보다 정확하게 일어나고 상기 연동판(44)이 심선(28)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도 하여 전선(26)이 터미널(30)에 정확하게 결합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적 연결장치{Electric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적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외부와의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 등과의 연결을 하는 전기적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어 외부와의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장치에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어 연결장치가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커넥터가 있다. 인쇄회로기판에 연결장치가 실장되는 경우에는 해당 터미널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실장된 상태에서 외부와의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외부와의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에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수개의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심선이 있는 평평하게 생긴 플렉시블 케이블이 있고, 하나의 심선을 인슐레이션이 감싸고 있는 전선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심선을 인슐레이션이 감싸고 있는 전선이 연결되는 전기적 연결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와 같은 전기적 연결장치에서는 전선이 연결장치의 터미널과 결합된 상태가 보다 견고하여야 한다. 외력이 전선에 작용하였을 때, 쉽게 전선이 연결장치에서 분리되면 곤란하다. 하지만,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에는 터미널에 연결된 전선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조작하여 전선이 터미널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레버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터미널에는 전선의 심선을 보다 확실하게 잡을 수 있도록 구조가 만들어진다. 하지만, 터미널이 전선의 심선을 잡는 것과 상기 레버가 상기 전선이 터미널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은 서로 상반된 입장에 있어 이 부분을 조화롭게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레버의 자연스러운 작동에 의해 터미널에 결합된 전선이 분리될 수 있으면서도 평상시에는 터미널에 전선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된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레버가 동작되어 터미널에 있는 한 쌍의 리딩경사면을 조작하여 터미널의 클램핑에지가 벌어지도록 하였다. 하지만, 레버가 한 쌍의 리딩경사면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레버의 동작행정이 상대적으로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의 자유단부의 동작방향과 상기 터미널의 클램핑에지가 이동하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어서 클램핑에지의 동작 특성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27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버의 자유단부의 동작방향과 터미널의 제1핑거의 동작방향이 동일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선의 심선을 터미널에 결합함에 있어서 터미널의 제1핑거의 중간부와 제2핑거의 선단 사이에 심선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게 삽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면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부에 위치되고 기저부가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된 레버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와 연동되는 연동판이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동작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동작되는 제1핑거와 상기 제1핑거와 협력하여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전선의 심선을 상기 제1핑거와의 사이에 고정하는 제2핑거를 가지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핑거와 제2핑거는 상기 터미널의 베이스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 상방에서 상기 제1핑거에 있는 탄성편의 선단과 상기 탄성편과 마주보게 상기 제2핑거에 있는 누름판의 선단 사이에 상기 심선이 위치되어 압착된다.
삭제
상기 제1핑거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결판과 상기 제1연결판의 선단에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선단에 상기 레버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연동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핑거의 제1연결판에는 탄성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관통부에 탄성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핑거를 향해 상기 제1연결판보다 큰 경사를 가지고 연장된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심선의 선단부가 안착되고 상기 연동판은 상기 지지판에서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자유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2핑거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된 제2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핑거의 제1연결판과 마주보는 누름판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 홈부 바닥의 관통부와 홈부 내에 위치된다.
상기 레버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핑거의 연동판과 연동되는 구동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의 내면에는 상기 레버에 형성된 안내채널에 위치되어 레버의 동작을 안내하고 터미널의 연동판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게 삽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홈부 내에 위치되고 기저부가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되어 자유단부가 유동되게 탄성변형이 되는 레버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일체이고 상기 레버와 연동되는 연동판이 자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동작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동작되는 제1핑거와 상기 제1핑거와 협력하여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전선의 심선을 상기 제1핑거와의 사이에 고정하며 상기 베이스부에 일체인 제2핑거를 가지는 터미널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핑거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결판과 상기 제1연결판의 선단에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선단에 상기 레버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연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핑거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된 제2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연결판과 마주보는 누름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판에는 탄성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관통부에 탄성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핑거를 향해 상기 제1연결판보다 큰 경사를 가지고 연장된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심선의 선단부가 안착되고 상기 연동판은 상기 지지판에서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자유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연동판의 탄성변형정도를 규제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는 상기 홈부 바닥의 관통부와 상기 홈부 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적 연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적 연결장치에서는 작업자가 레버를 눌러주면 전선의 심선을 고정하고 있던 제1핑거와 제2핑거중에서 제1핑거가 레버의 동작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레버에 의해 이동되므로 제1핑거의 동작이 보다 정확하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의 심선을 제1핑거와 제2핑거에 결합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핑거에 있는 연동판이 레버와 연동됨과 동시에 전선의 심선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전선의 심선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 상태로 터미널에 전선을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조립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의 연동판이 전선에 의해 과도하게 밀리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지지리브를 두었으므로, 전선의 심선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적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터미널의 제1 및 제2핑거에 전선의 심선이 끼여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레버가 눌러져 제1핑거가 탄성변형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적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례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외관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내부공간(12)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부가 개방되고 하우징(10)의 일측면으로 삽입구(13)가 형성되어 전선(26)이 통과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홈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14)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14)는 상기 하우징(10)의 폭방향 양측단까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14)의 바닥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5)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와 내부공간(12) 사이를 연통시킨다. 상기 관통공(15)의 일측 내면에는 상기 내부공간(12)으로 연장되어서 지지리브(1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15')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의 연동판(44)이 탄성변형되는 정도를 규제할 수 있도록 연동판(44)을 탄성변형시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공(15)내에는 레버(16)가 위치된다. 상기 관통공(15)은 상기 내부공간(12)과 외부를 연통시키기는 하지만 상기 레버(16)가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한다. 상기 레버(16)는 기저부(18)가 상기 하우징(10)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자유단부(20)는 상기 하우징(10)과 별개로 되어 있다. 상기 레버(16)는 대부분이 상기 홈부(14)와 관통공(15)내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표면이 상기 홈부(14)의 입구에 인접하여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16)가 상기 홈부(14)의 내부에 위치함에 의해 불의의 외력이 레버(16)에 작용하지 않게 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레버(16)가 대략 'ㄱ'자 형상이나 반드시 그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레버(16)는 일종의 외팔보 형상으로 되어 자유단부(20)가 탄성변형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면 된다.
상기 레버(16)의 자유단부(20)에는 구동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돌기(22)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의 연동판(44)과 연동되어 제1핑거(36)를 동작시킨다. 상기 구동돌기(22)는 레버(16)의 자유단부(20)중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구동돌기(22)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자유단부(20)가 레버(16)의 동작에 의해 연동판(44)을 구동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없어도 된다.
상기 레버(16)에는 상기 지지리브(15')와 대응되는 위치에 안내채널(16')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채널(16')은 상기 레버(16)가 탄성변형되어 동작될 때, 이동되는 궤적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안내채널(16')은 상기 지지리브(15')가 형성되어서 레버(16)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하우징(10)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개방된 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걸이홈(2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24)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홈(24)의 갯수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을 하우징(10)에 결합하기에 적절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 장치의 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26)의 구성은 도전성 재질의 심선(28)과 상기 심선(28)을 둘러싸는 인슐레이션(29)으로 구성된다. 물론 전선(26)의 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인슐레이션(29)없이 심선(28)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터미널(30)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 진다. 좋기로는 구리와 같은 금속재질로 터미널(30)이 만들어 진다. 상기 터미널(30)에는 베이스부(32)가 있다. 상기 베이스부(32)는 소정의 판 형상으로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베이스부(32)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이다.
상기 베이스부(32)의 폭방향 양단에는 상기 하우징(10)의 걸이홈(24)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편(33)이 있다. 상기 걸이편(33)은 상기 베이스부(32)의 상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33)의 선단 양측으로 돌출되어서는 걸이턱(3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4)은 상기 하우징(10)의 걸이홈(24) 내부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참고로 상기 걸이편(33)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터미널(30)을 하우징(10)에 일체로 인서트몰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부(32)에는 관통부(36')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36') 내에는 제1핑거(36)가 있다. 상기 제1핑거(36)는 상기 베이스부(32)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32)에 기저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32)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핑거(36)는 기저부에서 자유단부로 가면서 상기 베이스부(32)에서 점차 멀리 떨어지도록 상향 경사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제1핑거(36)는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1핑거(36)에는 상기 베이스부(32)와 연결된 제1연결판(38)이 있다. 상기 제1연결판(38)은 제1핑거(36)의 자유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가진다. 상기 제1연결판(38)의 선단에는 탄성관통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관통부(40') 내에 탄성편(40)이 있다. 상기 탄성편(40)은 자유단부가 상기 제1연결판(38)의 도면 상의 상면보다 돌출되게 제1연결판(38)보다 더 큰 상향경사를 가진다. 상기 탄성편(40)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핑거(46)와 협력하여 그 사이에 전선(26)의 심선(28)이 압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탄성편(40) 대신에 상기 제1연결판(38) 자체가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제1연결판(38)의 경사를 만들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탄성편(40)을 별도로 형성하여 탄성변형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판(38)의 선단에는 상기 베이스부(32)와 평행하게 지지판(42)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42)상에는 전선(26)의 심선(28)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42)에서 연장되어서는 연동판(44)이 있다. 상기 연동판(44)은 상기 레버(16)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연동판(44)은 상기 레버(16)의 자유단부(20)에 의해 눌러져서 제1핑거(36)가 탄성변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동판(44)은 또한 상기 전선(26)의 심선(28)을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이는 상기 연동판(44)이 상기 지지판(42)에 대해 직교하게 절곡되어 연장되어 있어 가능한 것으로, 내부공간(12)으로 삽입된 전선(26)의 심선(28) 선단을 스톱시켜 전선(26)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핑거(36)와 마주보게 상기 베이스부(32)의 반대쪽에는 제2핑거(46)가 있다. 상기 제2핑거(46)는 상기 베이스부(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연장되는 것으로, 일부가 상기 제1핑거(36)와 마주보게 된다. 즉, 상기 제2핑거(46)에서 상기 베이스부(32)에 일체로 된 부분이 제2연결판(48)이다. 상기 제2연결판(48)은 상기 베이스부(32)의 일측에 직교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판(48)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3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누름판(50)이 있다. 상기 누름판(50)은 상기 제1핑거(36)의 제1연결판(38)과 마주보면서 연장된다. 상기 누름판(50)은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핑거(36)의 제1연결판(38)선단 쪽에 가까워지게 경사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판(38)의 선단,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탄성편(40)의 선단과 상기 제2핑거(46)의 누름판(50)의 선단은 서로 마주보게 인접하여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적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장치의 터미널(30)은 상기 하우징(10)에 일체로 장착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다. 즉, 상기 터미널(30)의 베이스부(32)가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과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선(26)을 연결장치의 터미널(3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레버(16)를 조작하게 된다. 상기 레버(16)의 자유단부(20)를 눌러주면 레버(16)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관통부(15)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16)의 자유단부(20)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구동돌기(22)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터미널(30)의 제1핑거(36) 선단에 있는 연동판(44)을 눌러준다.
상기 연동판(44)이 눌러지면 상기 제1핑거(36)가 전체적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베이스부(32)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핑거(46)의 자유단부와 상기 제1핑거(36)의 탄성편(40) 사이의 거리가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핑거(36)의 탄성편(40)과 제2핑거(46)의 자유단부 사이의 거리가 벌어지면서 상기 전선(26)의 심선(28)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 레버(16)를 눌러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제1핑거(36)가 탄성변형되게 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삽입구(13)를 통해 전선(26)을 삽입하면 된다. 상기 전선(26)을 삽입하여 상기 제1핑거(36)와 제2핑거(46)의 사이를 통해 연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선(26)이 삽입되는 정도는 상기 연동편(44)에 심선(28)이 닿을 때까지로 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26)이 지나치게 삽입되어 심선(28)이 정확하게 제1핑거(36)와 제2핑거(46) 사이에 결합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없게 된다.
상기 전선(26)의 심선(28)이 상기 제1핑거(36)의 탄성편(40)과 상기 제2핑거(46)의 누름판(50)의 선단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16)에 가하던 힘을 제거한다. 상기 레버(16)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레버(16)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1핑거(36)의 연동판(44)을 눌러주던 힘이 제거되어 상기 제1핑거(36)도 역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핑거(36)의 탄성편(40)과 제2핑거(46)의 누름판(50)의 선단 사이에 상기 전선(26)의 심선(28)이 압착되어 상기 심선(28)과 터미널(3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핑거(36)의 탄성편(40) 선단과 제2핑거(46)의 누름판(50) 선단 사이에 심선(28)이 끼이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선(26)이 상기 터미널(30)에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전선(26)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가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26)에 연결된 쪽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쪽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40)과 누름판(50) 선단의 연장방향은 상기 전선(26)이 상기 하우징(10)에서 빠져나가는 방향과 반대방향이므로 상기 전선(26)에 하우징(10)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편(40)과 누름판(50)의 선단이 상기 심선(28)의 중심쪽으로 파고들어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전선(26)에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선(26)을 상기 터미널(30)에서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레버(16)의 자유단부(20)를 눌러준다. 상기 자유단부(20)가 눌러지면 상기 레버(16)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핑거(36)의 연동판(44)을 눌러 준다.
상기 연동판(44)이 눌러지면 상기 제1핑거(36)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핑거(36)와 제2핑거(46)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핑거(36)의 탄성편(40)과 상기 제2핑거(46)의 누름판(50) 사이가 벌어지게 되어 더 이상 전선(26)의 심선(28)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전선(26)을 당겨 상기 하우징(10)에서 빠져나가도록 하면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에서의 상기 레버(16)의 구성과 달리, 상기 레버(16)를 일직선으로 된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 상기 하우징(10) 상면에만 형성된 관통부(15) 내부에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형상도 도시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길쭉한 육면체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저면이 개방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 상기 터미널(30)이 상기 하우징(10)에 인서트몰딩에 의해 일체로 위치되고 인쇄회로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부분만이 외부로 노출되면 된다.
10: 하우징 12: 내부공간
13: 삽입구 14: 홈부
15: 관통부 15': 지지리브
16: 레버 16': 안내채널
18: 기저부 20: 자유단부
22: 구동돌기 24: 걸이홈
26: 전선 28: 심선
29: 인슐레이션 30: 터미널
32: 베이스부 33: 걸이편
34: 걸이턱 36': 관통부
36: 제1핑거 38: 제1연결판
40: 탄성편 40': 탄성관통부
42: 지지판 44: 연동판
46: 제2핑거 48: 제2연결판
50: 누름판.

Claims (15)

  1.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게 삽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면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부에 위치되고 기저부가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된 레버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와 연동되는 연동판이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동작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동작되는 제1핑거와 상기 제1핑거와 협력하여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전선의 심선을 상기 제1핑거와의 사이에 고정하는 제2핑거를 가지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핑거와 제2핑거는 상기 터미널의 베이스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 상방에서 상기 제1핑거에 있는 탄성편의 선단과 상기 탄성편과 마주보게 상기 제2핑거에 있는 누름판의 선단 사이에 상기 심선이 위치되어 압착되는 전기적 연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핑거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결판과 상기 제1연결판의 선단에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선단에 상기 레버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연동판을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핑거의 제1연결판에는 탄성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관통부에 탄성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핑거를 향해 상기 제1연결판보다 큰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는 전기적 연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심선의 선단부가 안착되고 상기 연동판은 상기 지지판에서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자유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전기적 연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핑거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된 제2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핑거의 제1연결판과 마주보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장치.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 홈부 바닥의 관통부와 홈부 내에 위치되는 전기적 연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핑거의 연동판과 연동되는 구동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전기적 연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내면에는 상기 레버에 형성된 안내채널에 위치되어 레버의 동작을 안내하고 터미널의 연동판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는 전기적 연결장치.
  10.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게 삽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홈부 내에 위치되고 기저부가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되어 자유단부가 유동되게 탄성변형이 되는 레버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일체이고 상기 레버와 연동되는 연동판이 자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동작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동작되는 제1핑거와 상기 제1핑거와 협력하여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전선의 심선을 상기 제1핑거와의 사이에 고정하며 상기 베이스부에 일체인 제2핑거를 가지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핑거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결판과 상기 제1연결판의 선단에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선단에 상기 레버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연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핑거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된 제2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연결판과 마주보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판에는 탄성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관통부에 탄성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핑거를 향해 상기 제1연결판보다 큰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는 전기적 연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심선의 선단부가 안착되고 상기 연동판은 상기 지지판에서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자유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전기적 연결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연동판의 탄성변형정도를 규제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는 전기적 연결장치.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홈부 바닥의 관통부와 상기 홈부 내에 위치되는 전기적 연결장치.
KR1020130082073A 2013-07-12 2013-07-12 전기적 연결장치 KR101420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073A KR101420394B1 (ko) 2013-07-12 2013-07-12 전기적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073A KR101420394B1 (ko) 2013-07-12 2013-07-12 전기적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394B1 true KR101420394B1 (ko) 2014-07-16

Family

ID=5174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073A KR101420394B1 (ko) 2013-07-12 2013-07-12 전기적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3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8760A1 (en) * 2014-11-06 2016-05-11 Switchlab Inc. Wire 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TWI843452B (zh) * 2023-02-23 2024-05-21 瀚荃股份有限公司 改良式夾線端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7558A (ja) * 2001-08-30 2003-03-14 Sato Parts Kk 端子台
JP2006120557A (ja) 2004-10-25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線接続装置
JP2007087621A (ja) 2005-09-20 2007-04-05 Smk Corp 電線接続用コネクタ
JP2011222509A (ja) * 2010-04-07 2011-11-04 Virgo Verwaltungs Gmbh 電気接続端子用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7558A (ja) * 2001-08-30 2003-03-14 Sato Parts Kk 端子台
JP2006120557A (ja) 2004-10-25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線接続装置
JP2007087621A (ja) 2005-09-20 2007-04-05 Smk Corp 電線接続用コネクタ
JP2011222509A (ja) * 2010-04-07 2011-11-04 Virgo Verwaltungs Gmbh 電気接続端子用操作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8760A1 (en) * 2014-11-06 2016-05-11 Switchlab Inc. Wire 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TWI843452B (zh) * 2023-02-23 2024-05-21 瀚荃股份有限公司 改良式夾線端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39455A1 (en) Push-type connector
US8298017B2 (en) Connector with a surface having power contacts with a same potential arranged adjacently thereon
US9466921B2 (en) Linear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US9922778B2 (en)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KR20110103901A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101566687B1 (ko) 전기 커넥터
US20090311907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0492778C (zh) 电连接器组件
US20080038957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KR930000792Y1 (ko) 코넥터 장치
KR101420394B1 (ko) 전기적 연결장치
US11594839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EP1113527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at cable
KR101500577B1 (ko)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KR101847537B1 (ko) 전선 커넥터
KR101420393B1 (ko) 전기적 연결장치
US7559792B2 (en) Connector with easily replacement of a slider
KR101116576B1 (ko) 플러그-인 커넥터용 접촉 장치
KR101617330B1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KR20160053370A (ko)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KR100677181B1 (ko) 플러그 커넥터
JP7068512B2 (ja) 直接差し込みコネクタ用の接点及び直接差し込みコネクタ
JP2012009261A (ja) 配線ダクト用プラグ
KR20070033594A (ko) 전기 커넥터
KR20180055474A (ko) 전기적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