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24381B1 -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 Google Patents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381B1
KR101424381B1 KR1020130003587A KR20130003587A KR101424381B1 KR 101424381 B1 KR101424381 B1 KR 101424381B1 KR 1020130003587 A KR1020130003587 A KR 1020130003587A KR 20130003587 A KR20130003587 A KR 20130003587A KR 101424381 B1 KR101424381 B1 KR 101424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ontainer
receptacle
seal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383A (ko
Inventor
최재구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최재구
김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구, 김준희 filed Critical 최재구
Priority to KR1020130003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38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나 주류등의 액체류, 술안주, 과자류, 아이스크림 등이 담겨진 용기와 뚜껑을 역으로 결합하여 컵이나 잔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는, 내용물이 담겨지며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상부캡과,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를 밀봉하는 실링재와,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가 상기 실링재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부를 커버하며, 받침부재를 내장하는 하부캡과,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와 끼워지거나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중심에 형성되고, 받침대로 활용되는 베이스를 갖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Container which is changed to cup(or glass) Type}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나 주류등의 액체류, 술안주, 과자류, 아이스크림 등이 담겨진 용기와 뚜껑을 역으로 결합하여 컵이나 잔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라 함은 마시기 위한 음료나 술 등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를 말한다.
용기는 그 내부에 담겨질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대부분의 용기는 음료나 술 등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 본체와 본체를 밀폐하는 뚜껑으로 구분된다.
본체의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을 전부 마시게 되면 용기를 버리게 되거나 재활용으로 활용되기 위해 폐기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실1994-9921호에는 재활용 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
실1994-9921호 개시된 재활용 용기는 뚜껑과 몸체 그리고 몸체를 지탱하기 위한 하부 커버로 구성된다.
또 몸체는 절단을 위한 홈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음용시에는 용기의 하측에 설치된 하부 커버를 분리한 후 몸체를 절단하고, 절단된 몸체의 상측 부분은 뚜껑을 밀폐된 상태 또는 몸체 자체로 막혀있는 상태에서 분리된 하부를 뒤집어 그 중앙부에 결합하여 컵(또는 잔)으로 대체 사용하는 것이다.
종래의 재활용 용기는 용기의 일측면에 절단라인을 형성해야 하고, 용기 바닥판을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여 실제 생활에 활용하기 어려우며, 또한 컵을 형성하기 위해 바닥판의 안쪽을 열을 가하여 녹여야 하는 등의 매우 불편한 문제들이 다수 존재하여 실용화에는 큰 어려움이 있다.
KR 20-9921 A 1994.05.21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마실 때 용기를 뒤집어서 뚜껑에 결합하여 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즉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는, 내용물이 담겨지며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를 밀봉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가 상기 실링재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부를 커버하며, 받침부재를 내장하는 하부캡과,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와 끼워지거나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중심에 형성되고, 받침대로 활용되는 베이스를 갖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캡의 일측에는 상기 받침부재의 고정돌기와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캡이 제거되고, 상기 받침부재가 상기 수용체의 상단부 주입구에 끼워지거나 체결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베이스를 받침대로 세워 컵의 형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는 초음파 접착에 의해 접착되는 실링재이거나, 나사탭을 형성하여 나사탭 결합 방식으로 형성하거나, 금속캔의 따개방식인 리프트 탭(Lift Tab)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용체의 단면은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하부캡의 단면 및 상기 받침부재의 베이스의 형상은 상기 수용체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는, 내용물이 담겨지며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상부캡과,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를 밀봉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가 상기 실링재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부를 커버하며, 받침부재를 내장하는 하부캡과,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와 끼워지거나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중심에 형성되고, 받침대로 활용되는 베이스를 갖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첫째, 용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마시기 전 용기를 뒤집어서 받침부재를 결합시켜 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에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컵받침대를 활용하여 언제 어디에서라도 용기를 컵(또는 잔)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외에서의 사용 편리성을 도모하고, 또한 여행 중에 차내 또는 기차내 등 차량 내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며 여행 장소 및 스포츠 경기장에서의 사용 및 휴대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뚜껑의 오픈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뚜껑 내의 받침을 받침대로 전환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실링재를 벗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를 적용한 맥주캔의 형상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는 음료나 술 등의 액체류를 담은 용기일 수 있고, 아이스크림이 담긴 용기일 수 있으며, 또한 안주류나 과자류 등의 고체가 담긴 용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용기는 음료나 술등의 액체류를 담은 용기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기타 다른 내용물인 경우도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뚜껑의 오픈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뚜껑 내의 받침을 받침대로 전환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밀폐부재를 벗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10)는 내용물인 음료나 술 등의 액체류가 담겨지는 수용체(11)와, 수용체(11)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상부캡(12)과, 수용체(11)의 하단을 밀봉하는 하부캡(13)과, 받침대 기능을 하는 받침부재(14)로 이루어진다.
수용체(11)는 주입구가 작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깔대기 형상을 가지며,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체(11)의 주입구와 하단부는 개구된 상태를 가지며, 주입구측에는 코르크 마개와 같은 상부캡(12)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밀봉되고, 하단부에는 밀폐부재(15)에 의해 실링된 상태에서 하부캡(13)이 체결되거나 끼워진다.
상부캡(12)은 수용체(11)의 주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캡(12)의 필요 용도는 음료나 주류 생산 공장에서 음료나 주류를 주입할 때 용기가 세워진 상태에서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이때 음료나 주류를 주입하기 위해 개봉시키고 음료나 주류가 주입이 완료되면 완전 밀폐를 위해 상부캡(12)이 필요하다.
상부캡(12)은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생산 공정상에서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부재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부캡(12)의 구성물을 없애고 수용체(11) 자체를 하단부만 개봉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하부캡(13)은 수용체(11)의 하단부를 밀봉하는 것으로서 나사탭의 방식이나, 돌기와 홈의 쌍 결합 방식을 채택할 수 있고, 또는 경사턱을 형성시켜 셀프 락킹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캡(13)의 내부에는 수용체(11)의 받침대로 사용되는 받침부재(14)가 내장되며, 수용체(1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에는 고정홈(13a)이 형성되고 고정홈(13a)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커버부재(13b)로 이루어진다.
받침부재(14)는 용기 형태에서 컵 형태로 전환되면서, 컵의 받침대 역할을 하며,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10)의 미개봉 상태에서 받침부재(14)는 하부캡(13)의 내부에 내장되어 고정된 상태에 놓인다.
이때 고정을 유지하기 위해 하부캡(13)의 중심부에는 고정홈(13a)이 형성되고, 받침부재(14)의 중심부에도 고정돌기(14a)가 형성된다.
받침부재(14)는 플라스틱재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돌기(14a)와 받침 역할을 하는 베이스(14b)를 포함한다.
고정홈(13a)과 고정돌기(14a)의 체결 방식은 일예이며, 다양한 형태 즉 끼움방식이나 나사탭 결합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밀폐부재(15)는 수용체(11)의 하단부에 실링 접착되어 내부의 음료나 주류가 새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밀폐부재(15)는 초음파 접착방식으로 밀폐되는 실링재일 수 있으며, 나사탭을 형성시켜 탭체결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금속캔(맥주캔이나 음료캔)에 적용되는 리프트 탭(Lift Tab)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음료나 주류 용기의 사용 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먼저, 음료나 주류가 담긴 용기(10)는 도 1과 같은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음료나 주류 용기(10)를 180도 뒤집은 상태에서 하부캡(13)을 연다. 하부캡(13)을 열면 하부캡(13)에 고정된 받침부재(14)가 빠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 후 받침부재(14)를 도 4와 같이 수용체(11)의 주입구측에 고정돌기(14a) 부분을 끼워 받침대로서 기능을 하도록 한다.
이제, 음용을 위해 밀폐부재(15)를 벗겨내면, 내부의 음료나 주류가 담긴 상태에서 음용할 수 있는 컵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렇게 하면, 용기 자체를 휴대하는 것만으로 그 자체가 컵으로서 활용될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야외나 차량 실내 어디서든 음용하기 편한 상태가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수용체의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하였지만, 삼각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를 적용한 맥주캔의 형상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를 이용한 맥주캔을 디자인한 예로서, (A)는 개봉전의 용기의 상태도이고, (B)는 개봉후의 용기의 상태도이다.
(A)와 같이 개봉전에는 용기의 형태로 세워진 상태로 놓여지고, 이를 뒤집어 하부캡(23)을 제거하고, 하부캡(23) 내부에 고정된 받침부재(24)를 수용체(11)의 상부 측에 끼워 놓으면 (B) 상태의 컵 형태가 된다.
음용을 위해서 밀폐부재(25)를 제거하고 음료나 주류를 음용하면 된다. 밀폐부재(25)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접착방식으로 실링시킬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캔 방식의 리프트 탭(Lift Tab) 방식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는 구조를 개선하여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마시기 전 용기를 뒤집어서 받침부재를 결합시켜 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에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고, 음료 용기를 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외에서의 사용 편리성을 도모하고, 또한 여행 중에 차내 또는 기차내 등 차량 내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며 여행 장소 및 스포츠 경기장에서의 사용 및 휴대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기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벗어날 수 없음이 명백하다.
10, 20 : 용기 11, 21 : 수용체
12, 12 : 상부캡 13, 23 : 하부캡
13a : 고정홈 13b : 커버부재
14, 24 : 받침부재 14a : 고정돌기
14b : 베이스 15, 25 : 밀폐부재

Claims (6)

  1. 내용물이 담겨지며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를 밀봉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가 상기 밀폐부재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부를 커버하며, 받침부재를 내장하는 하부캡과,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와 끼워지거나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중심에 형성되고, 받침대로 활용되는 베이스를 갖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의 일측에는 상기 받침부재의 고정돌기와 끼워지거나 체결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이 제거되고,
    상기 받침부재가 상기 수용체의 상단부 주입구에 끼워지거나 체결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베이스를 받침대로 하여 컵의 형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초음파 접착에 의해 접착되는 실링재이거나, 나사탭을 형성하여 나사탭 결합 방식으로 형성하거나, 금속캔의 따개방식인 리프트 탭(Lift Tab) 방식으로 형성되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단면은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하부캡의 단면 및 상기 받침부재의 베이스의 형상은 상기 수용체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6. 내용물이 담겨지며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상부캡과,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를 밀봉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가 실링재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부를 커버하며, 받침부재를 내장하는 하부캡과,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와 끼워지거나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중심에 형성되고, 받침대로 활용되는 베이스를 갖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KR1020130003587A 2013-01-11 2013-01-11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KR101424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587A KR101424381B1 (ko) 2013-01-11 2013-01-11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587A KR101424381B1 (ko) 2013-01-11 2013-01-11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383A KR20140091383A (ko) 2014-07-21
KR101424381B1 true KR101424381B1 (ko) 2014-07-31

Family

ID=5173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587A KR101424381B1 (ko) 2013-01-11 2013-01-11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003A (ko) * 2014-07-18 2016-01-27 최재구 컵 또는 글라스 형태로 전환되는 캔 타입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66Y1 (ko) * 2017-01-31 2018-02-21 강달웅 일회용 제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037Y1 (ko) * 1989-10-23 1992-02-10 제일제당 주식회사 받침을 겸한 컵 뚜껑
KR940024713U (ko) * 1993-04-22 1994-11-17 김병인 용도전용이 용이한 펫트(p·e·t)병
US20050092760A1 (en) 2002-11-08 2005-05-05 Westerhold John F. Beverage bottle convertible to stemmed drinking glass
US20120228166A1 (en) 2010-09-13 2012-09-13 Dirk Mitchell Single Serve Combination Wine Bottle and Wine Gla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037Y1 (ko) * 1989-10-23 1992-02-10 제일제당 주식회사 받침을 겸한 컵 뚜껑
KR940024713U (ko) * 1993-04-22 1994-11-17 김병인 용도전용이 용이한 펫트(p·e·t)병
US20050092760A1 (en) 2002-11-08 2005-05-05 Westerhold John F. Beverage bottle convertible to stemmed drinking glass
US20120228166A1 (en) 2010-09-13 2012-09-13 Dirk Mitchell Single Serve Combination Wine Bottle and Wine Glas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003A (ko) * 2014-07-18 2016-01-27 최재구 컵 또는 글라스 형태로 전환되는 캔 타입 용기
KR101592184B1 (ko) 2014-07-18 2016-02-18 최재구 컵 또는 글라스 형태로 전환되는 캔 타입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383A (ko) 201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153B2 (en) Disposable dual beverage holding receptacle
US20140332495A1 (en) Beverage or alcohol container
WO2008020301B1 (en) A drinking vessel
CA2624862A1 (en) Drinking container
KR101424096B1 (ko) 음료 및 주류 용기
CN104755386A (zh) 双液式饮料容器
US20110042374A1 (en) Drink cup
KR101424381B1 (ko)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US20150210465A1 (en) Method and Device to Seal, Insulate and Dispense from a Beverage Can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CN101405190B (zh) 饮料包装容器
CN108910229A (zh) 一种即冲式自助饮料
KR101643341B1 (ko) 누출방지용 중공부가 구비된 캡슐캡
KR101546530B1 (ko) 캡 용기
US20160015198A1 (en) Can type container changeable to type of cup or glass
KR101592184B1 (ko) 컵 또는 글라스 형태로 전환되는 캔 타입 용기
CN104909056A (zh) 一种可自动密封的吸管盖
US9944451B2 (en) Attachment for a bottle
CN204207491U (zh) 一种休闲食品吸管杯
CN209814707U (zh) 一种固液分离的饮料瓶
KR200475233Y1 (ko) 주류 용기
KR101175743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
JP2020045114A (ja) オーバーキャップおよび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CN211253618U (zh) 瓶盖结构
CN204750913U (zh) 多功能饮料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