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381B1 - Container which is changed to cup(or glass) Type - Google Patents
Container which is changed to cup(or glass)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4381B1 KR101424381B1 KR1020130003587A KR20130003587A KR101424381B1 KR 101424381 B1 KR101424381 B1 KR 101424381B1 KR 1020130003587 A KR1020130003587 A KR 1020130003587A KR 20130003587 A KR20130003587 A KR 20130003587A KR 101424381 B1 KR101424381 B1 KR 1014243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container
- receptacle
- sealing
- shap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9 co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나 주류등의 액체류, 술안주, 과자류, 아이스크림 등이 담겨진 용기와 뚜껑을 역으로 결합하여 컵이나 잔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는, 내용물이 담겨지며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상부캡과,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를 밀봉하는 실링재와,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가 상기 실링재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부를 커버하며, 받침부재를 내장하는 하부캡과,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와 끼워지거나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중심에 형성되고, 받침대로 활용되는 베이스를 갖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having a cup (or a cup) which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cup or a cup by reversely joining a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such as a drink or a liquor, To a container which is converted into a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which is converted into a cup (or cup) form, comprising: a receptacle having contents therein and having a funnel shape; an upper cap for sealing the inlet of the upper end of the receptacle; a sealing member sealing the lower end of the receptacle; A lower cap which covers the lower end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eceptor is sealed by the sealing material, a lower cap which houses the receiving member, and a fixing protrusion which is fitted or fastened to the inlet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And a receiving member having a receiving surf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나 주류등의 액체류, 술안주, 과자류, 아이스크림 등이 담겨진 용기와 뚜껑을 역으로 결합하여 컵이나 잔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having a cup (or a cup) which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cup or a cup by reversely joining a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such as a drink or a liquor, To a container which is converted into a form.
일반적으로 용기라 함은 마시기 위한 음료나 술 등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를 말한다.In general, the term "container" refers to a container containing contents such as beverages or drinks for drinking.
용기는 그 내부에 담겨질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Various types of containers have been proposed depending on the kind of contents to be contained therein.
대부분의 용기는 음료나 술 등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 본체와 본체를 밀폐하는 뚜껑으로 구분된다.Most containers are divided into a container body containing contents such as drinks or alcohol, and a lid sealing the body.
본체의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을 전부 마시게 되면 용기를 버리게 되거나 재활용으로 활용되기 위해 폐기된다.I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body are completely consumed, the container is discarded or discarded for recycling.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실1994-9921호에는 재활용 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A recycling container has been prop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Disclosure No. 1994-9921.
실1994-9921호 개시된 재활용 용기는 뚜껑과 몸체 그리고 몸체를 지탱하기 위한 하부 커버로 구성된다.The recycling containe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994-9921 comprises a lid and a body, and a lower cover for supporting the body.
또 몸체는 절단을 위한 홈을 형성하여 구성된다.The body is formed by forming a groove for cutting.
따라서,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음용시에는 용기의 하측에 설치된 하부 커버를 분리한 후 몸체를 절단하고, 절단된 몸체의 상측 부분은 뚜껑을 밀폐된 상태 또는 몸체 자체로 막혀있는 상태에서 분리된 하부를 뒤집어 그 중앙부에 결합하여 컵(또는 잔)으로 대체 사용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drink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e lower cover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is separated and then the body is cut. The upper part of the cut body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lid is closed or closed by the body itself It is turned over and joined to its center part to be replaced with cup (or cup).
종래의 재활용 용기는 용기의 일측면에 절단라인을 형성해야 하고, 용기 바닥판을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여 실제 생활에 활용하기 어려우며, 또한 컵을 형성하기 위해 바닥판의 안쪽을 열을 가하여 녹여야 하는 등의 매우 불편한 문제들이 다수 존재하여 실용화에는 큰 어려움이 있다.
Conventional recycling containers have to form cutting lines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and there is a need to separate the container bottom plate so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n real life and also the inside of the bottom plate is heated to form a cup There are many inconvenient problems such as the need to dissolve and there is a great difficulty in practical use.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마실 때 용기를 뒤집어서 뚜껑에 결합하여 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즉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or a cup) for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and allowing the container to be turned upside down when the contents are put in the container, ) ≪ / RTI >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는, 내용물이 담겨지며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를 밀봉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가 상기 실링재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부를 커버하며, 받침부재를 내장하는 하부캡과,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와 끼워지거나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중심에 형성되고, 받침대로 활용되는 베이스를 갖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which is converted into a cup (o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ptacle having a contents therein and having a funnel shape, a sealing member sealing the lower end of the receptacle, A lower cap which covers the lower end portion in a state sealed by the sealing member and has a lower cap which houses the receiving member and a fixing protrusion which is fitted or fastened to the inlet of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member is formed at the center, .
여기서, 상기 하부캡의 일측에는 상기 받침부재의 고정돌기와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Here, a fixing groove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cap to engage with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supporting member.
여기서, 상기 하부캡이 제거되고, 상기 받침부재가 상기 수용체의 상단부 주입구에 끼워지거나 체결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베이스를 받침대로 세워 컵의 형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lower cap may be removed, and the support member may be fitted or fastened to the upper-end injection port of the receiver so that the base of the support member is turned into a cup shape by a pedestal.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는 초음파 접착에 의해 접착되는 실링재이거나, 나사탭을 형성하여 나사탭 결합 방식으로 형성하거나, 금속캔의 따개방식인 리프트 탭(Lift Tab)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sealing member may be a seal member to be adhered by ultrasonic bonding, or may be formed in a screw tap connection manner by forming a screw tab or by a lift tab method which is an opening method of a metal can.
여기서, 상기 수용체의 단면은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하부캡의 단면 및 상기 받침부재의 베이스의 형상은 상기 수용체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receptacle is a polygonal shape, and the cross-section of the lower cap and the shape of the base of the receiving member ar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sectional shape of the recepta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는, 내용물이 담겨지며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상부캡과,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를 밀봉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가 상기 실링재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부를 커버하며, 받침부재를 내장하는 하부캡과,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와 끼워지거나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중심에 형성되고, 받침대로 활용되는 베이스를 갖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to be converted into the cup (or cup)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ptacle having contents therein and having a funnel shape, an upper cap for sealing the inlet of the upper end of the receptacle, A lower cap covering the lower en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receptacle is sealed by the sealing member and a fixing protrusion fitted or fastened to the injection port of the upper end of the receptacle is formed at the center, And a support member having a base to be utiliz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용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마시기 전 용기를 뒤집어서 받침부재를 결합시켜 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에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다.First,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the container can be turned upside down befor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are taken out,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used as a cup,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product can be expected.
둘째, 컵받침대를 활용하여 언제 어디에서라도 용기를 컵(또는 잔)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외에서의 사용 편리성을 도모하고, 또한 여행 중에 차내 또는 기차내 등 차량 내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며 여행 장소 및 스포츠 경기장에서의 사용 및 휴대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Second, by using the cup base, it is possible to use the container in the shape of cup (or cup) anytime and anywhere, thereby making it convenient to use outdoors and also being used in a vehicle So that it can be used in a travel place and a sports arena and can be carried convenient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뚜껑의 오픈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뚜껑 내의 받침을 받침대로 전환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실링재를 벗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를 적용한 맥주캔의 형상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a container which is converted into a cup (or cup)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which is converted into a cup (or cup)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n perspective view of a lid of a container which is converted into a cup (or cup)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se in a container lid converted into a cup (o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rted into a bas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ling material of a container converted into a cup (o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beer can with a container adapted to be converted into a cup (o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container for converting into a cup (o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는 음료나 술 등의 액체류를 담은 용기일 수 있고, 아이스크림이 담긴 용기일 수 있으며, 또한 안주류나 과자류 등의 고체가 담긴 용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용기는 음료나 술등의 액체류를 담은 용기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기타 다른 내용물인 경우도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갖는다.The container to be converted into the cup (or cup)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such as a drink or alcohol, a container containing ice cream, or a container containing a solid such as an alcoholic beverage or confectionery . The container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such as a drink or a drink, but other contents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뚜껑의 오픈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뚜껑 내의 받침을 받침대로 전환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밀폐부재를 벗긴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a container to be converted into a cup (o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converted into a cup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 of a container which is converted into a cup (o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 of a container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in which a sealing member is removed from a container which is converted into a cup (o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10)는 내용물인 음료나 술 등의 액체류가 담겨지는 수용체(11)와, 수용체(11)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상부캡(12)과, 수용체(11)의 하단을 밀봉하는 하부캡(13)과, 받침대 기능을 하는 받침부재(14)로 이루어진다.1 to 5, a
수용체(11)는 주입구가 작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깔대기 형상을 가지며,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수용체(11)의 주입구와 하단부는 개구된 상태를 가지며, 주입구측에는 코르크 마개와 같은 상부캡(12)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밀봉되고, 하단부에는 밀폐부재(15)에 의해 실링된 상태에서 하부캡(13)이 체결되거나 끼워진다.The
상부캡(12)은 수용체(11)의 주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캡(12)의 필요 용도는 음료나 주류 생산 공장에서 음료나 주류를 주입할 때 용기가 세워진 상태에서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이때 음료나 주류를 주입하기 위해 개봉시키고 음료나 주류가 주입이 완료되면 완전 밀폐를 위해 상부캡(12)이 필요하다.The
상부캡(12)은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생산 공정상에서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부재에 해당된다.The
따라서, 상부캡(12)의 구성물을 없애고 수용체(11) 자체를 하단부만 개봉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하부캡(13)은 수용체(11)의 하단부를 밀봉하는 것으로서 나사탭의 방식이나, 돌기와 홈의 쌍 결합 방식을 채택할 수 있고, 또는 경사턱을 형성시켜 셀프 락킹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하부캡(13)의 내부에는 수용체(11)의 받침대로 사용되는 받침부재(14)가 내장되며, 수용체(1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에는 고정홈(13a)이 형성되고 고정홈(13a)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커버부재(13b)로 이루어진다.A
받침부재(14)는 용기 형태에서 컵 형태로 전환되면서, 컵의 받침대 역할을 하며,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10)의 미개봉 상태에서 받침부재(14)는 하부캡(13)의 내부에 내장되어 고정된 상태에 놓인다.The
이때 고정을 유지하기 위해 하부캡(13)의 중심부에는 고정홈(13a)이 형성되고, 받침부재(14)의 중심부에도 고정돌기(14a)가 형성된다.At this time, a
받침부재(14)는 플라스틱재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돌기(14a)와 받침 역할을 하는 베이스(14b)를 포함한다.The
고정홈(13a)과 고정돌기(14a)의 체결 방식은 일예이며, 다양한 형태 즉 끼움방식이나 나사탭 결합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fixing method of the
밀폐부재(15)는 수용체(11)의 하단부에 실링 접착되어 내부의 음료나 주류가 새지 않도록 한다.The sealing
여기서, 밀폐부재(15)는 초음파 접착방식으로 밀폐되는 실링재일 수 있으며, 나사탭을 형성시켜 탭체결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금속캔(맥주캔이나 음료캔)에 적용되는 리프트 탭(Lift Tab)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sealing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음료나 주류 용기의 사용 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다.The process of using the beverage or the mai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먼저, 음료나 주류가 담긴 용기(10)는 도 1과 같은 상태에 있게 된다.First, the
이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음료나 주류 용기(10)를 180도 뒤집은 상태에서 하부캡(13)을 연다. 하부캡(13)을 열면 하부캡(13)에 고정된 받침부재(14)가 빠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the
그 후 받침부재(14)를 도 4와 같이 수용체(11)의 주입구측에 고정돌기(14a) 부분을 끼워 받침대로서 기능을 하도록 한다.Thereafter, the supporting
이제, 음용을 위해 밀폐부재(15)를 벗겨내면, 내부의 음료나 주류가 담긴 상태에서 음용할 수 있는 컵의 형태를 갖게 된다.Now, when the sealing
이렇게 하면, 용기 자체를 휴대하는 것만으로 그 자체가 컵으로서 활용될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야외나 차량 실내 어디서든 음용하기 편한 상태가 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container itself can be utilized as a cup just by carrying the container itself, it is easy to carry and is in a state where it is easy to drink in the outdoors or in the inside of the vehicle.
도시된 예에서는 수용체의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하였지만, 삼각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hape of the receptor is circular, but it can be a triangular, square, pentagonal or more polygonal shap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를 적용한 맥주캔의 형상도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beer can with a container adapted to be converted into a cup (or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를 이용한 맥주캔을 디자인한 예로서, (A)는 개봉전의 용기의 상태도이고, (B)는 개봉후의 용기의 상태도이다.Fig. 6 shows an example of designing a beer can using a container which is converted into a cup (or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state diagram of the container before opening. Fig. 6B is a state diagram of the container after opening.
(A)와 같이 개봉전에는 용기의 형태로 세워진 상태로 놓여지고, 이를 뒤집어 하부캡(23)을 제거하고, 하부캡(23) 내부에 고정된 받침부재(24)를 수용체(11)의 상부 측에 끼워 놓으면 (B) 상태의 컵 형태가 된다.The
음용을 위해서 밀폐부재(25)를 제거하고 음료나 주류를 음용하면 된다. 밀폐부재(25)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접착방식으로 실링시킬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캔 방식의 리프트 탭(Lift Tab) 방식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For the purpose of drinking, it is sufficient to remove the seal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는 구조를 개선하여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마시기 전 용기를 뒤집어서 받침부재를 결합시켜 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에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고, 음료 용기를 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외에서의 사용 편리성을 도모하고, 또한 여행 중에 차내 또는 기차내 등 차량 내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며 여행 장소 및 스포츠 경기장에서의 사용 및 휴대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which is converted into the cup (or cup)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and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to be converted into the cup (or cup) form so that the container is turned over before drink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y making it possible to use it as a cup, convenience of the product can be expected. By making the beverage container to be used as a cup, the convenience of use in the outdoors can be improved and the product can be used in a vehicle And make it possible to use in a travel place and a sports arena and to be portabl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기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벗어날 수 없음이 명백하다.
It is evident, however, that such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not to be regarded as a departur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20 : 용기 11, 21 : 수용체
12, 12 : 상부캡 13, 23 : 하부캡
13a : 고정홈 13b : 커버부재
14, 24 : 받침부재 14a : 고정돌기
14b : 베이스 15, 25 : 밀폐부재10, 20:
12, 12:
13a: Fixing
14, 24:
14b:
Claims (6)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를 밀봉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가 상기 밀폐부재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부를 커버하며, 받침부재를 내장하는 하부캡과,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와 끼워지거나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중심에 형성되고, 받침대로 활용되는 베이스를 갖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A receptacle having contents therein and having a funnel shape,
A sealing member sealing the lower end of the receptor,
A lower cap covering the lower end of the receptacle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receptacle is sealed by the sealing member,
And a support member having a base formed as a center and having a base used as a fixing protrusion to be fitted or fastened with an injection port of the upper end of the receiver.
상기 하부캡의 일측에는 상기 받침부재의 고정돌기와 끼워지거나 체결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cap has a fixing groove formed at one side thereof to be fitted into or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supporting member.
상기 하부캡이 제거되고,
상기 받침부재가 상기 수용체의 상단부 주입구에 끼워지거나 체결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베이스를 받침대로 하여 컵의 형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cap is removed,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fitted or fastened to the upper end injection port of the receiver so that the base of the support member is converted into a cup shape by the support.
상기 밀폐부재는 초음파 접착에 의해 접착되는 실링재이거나, 나사탭을 형성하여 나사탭 결합 방식으로 형성하거나, 금속캔의 따개방식인 리프트 탭(Lift Tab) 방식으로 형성되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member may be a sealing material to be adhered by ultrasonic bonding or may be formed in a cup (or cup) shape in which a screw tab is formed and formed in a screw tapping manner or a lift tab method in which a metal can is opened Conversion vessel.
상기 수용체의 단면은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하부캡의 단면 및 상기 받침부재의 베이스의 형상은 상기 수용체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ross section of the receptacle is a polygonal shap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lower cap and the shape of the base of the receiving member ar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sectional shape of the receptacle.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상부캡과,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를 밀봉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수용체의 하단부가 실링재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부를 커버하며, 받침부재를 내장하는 하부캡과,
상기 수용체 상단부의 주입구와 끼워지거나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중심에 형성되고, 받침대로 활용되는 베이스를 갖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A receptacle having contents therein and having a funnel shape,
An upper cap for sealing the inlet of the upper end of the receiver,
A sealing member sealing the lower end of the receptor,
A lower cap which covers the lower end of the receptacle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receptacle is sealed by the sealing material,
And a support member having a base formed as a center and having a base used as a fixing protrusion to be fitted or fastened with an injection port of the upper end of the receiv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3587A KR101424381B1 (en) | 2013-01-11 | 2013-01-11 | Container which is changed to cup(or glass)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3587A KR101424381B1 (en) | 2013-01-11 | 2013-01-11 | Container which is changed to cup(or glass) Ty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1383A KR20140091383A (en) | 2014-07-21 |
KR101424381B1 true KR101424381B1 (en) | 2014-07-31 |
Family
ID=5173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3587A KR101424381B1 (en) | 2013-01-11 | 2013-01-11 | Container which is changed to cup(or glass)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438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0003A (en) * | 2014-07-18 | 2016-01-27 | 최재구 | Can type container which is changed to cup or glass typ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5766Y1 (en) * | 2017-01-31 | 2018-02-21 | 강달웅 | Disposable vesse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1037Y1 (en) * | 1989-10-23 | 1992-02-10 | 제일제당 주식회사 | A cover combined cup support |
KR940024713U (en) * | 1993-04-22 | 1994-11-17 | 김병인 | PET (P, E, T) bottles that are easy to use |
US20050092760A1 (en) | 2002-11-08 | 2005-05-05 | Westerhold John F. | Beverage bottle convertible to stemmed drinking glass |
US20120228166A1 (en) | 2010-09-13 | 2012-09-13 | Dirk Mitchell | Single Serve Combination Wine Bottle and Wine Glass |
-
2013
- 2013-01-11 KR KR1020130003587A patent/KR10142438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1037Y1 (en) * | 1989-10-23 | 1992-02-10 | 제일제당 주식회사 | A cover combined cup support |
KR940024713U (en) * | 1993-04-22 | 1994-11-17 | 김병인 | PET (P, E, T) bottles that are easy to use |
US20050092760A1 (en) | 2002-11-08 | 2005-05-05 | Westerhold John F. | Beverage bottle convertible to stemmed drinking glass |
US20120228166A1 (en) | 2010-09-13 | 2012-09-13 | Dirk Mitchell | Single Serve Combination Wine Bottle and Wine Glas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0003A (en) * | 2014-07-18 | 2016-01-27 | 최재구 | Can type container which is changed to cup or glass type |
KR101592184B1 (en) | 2014-07-18 | 2016-02-18 | 최재구 | Can type container which is changed to cup or glass ty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1383A (en) | 2014-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77153B2 (en) | Disposable dual beverage holding receptacle | |
US20140332495A1 (en) | Beverage or alcohol container | |
WO2008020301B1 (en) | A drinking vessel | |
CA2624862A1 (en) | Drinking container | |
KR101424096B1 (en) | a container for drinking | |
CN104755386A (en) | Two-pack type beverage container | |
US20110042374A1 (en) | Drink cup | |
KR101424381B1 (en) | Container which is changed to cup(or glass) Type | |
US20150210465A1 (en) | Method and Device to Seal, Insulate and Dispense from a Beverage Can | |
KR101376289B1 (en) | Kit for making mixture berverage | |
CN101405190B (en) | Beverage packaging unit | |
CN108910229A (en) | One kind rushing the self-service beverage of formula | |
KR101643341B1 (en) | Capsule caps equipped with leak-proof hollow | |
KR101546530B1 (en) | Cap container | |
US20160015198A1 (en) | Can type container changeable to type of cup or glass | |
KR101592184B1 (en) | Can type container which is changed to cup or glass type | |
CN104909056A (en) | Sucker cap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sealed | |
US9944451B2 (en) | Attachment for a bottle | |
CN204207491U (en) | A kind of leisure food STRAW CUP | |
CN209814707U (en) | Solid-liquid separation beverage bottle | |
KR200475233Y1 (en) | Liquid receptacle | |
KR101175743B1 (en) | Container of beverage having dual structure | |
JP2020045114A (en) | Over-cap and container with over-cap | |
CN211253618U (en) | Bottle cap structure | |
CN204750913U (en) | Multifunction beverage bott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