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19672B1 - 다용도 의자 - Google Patents

다용도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672B1
KR101419672B1 KR1020140024892A KR20140024892A KR101419672B1 KR 101419672 B1 KR101419672 B1 KR 101419672B1 KR 1020140024892 A KR1020140024892 A KR 1020140024892A KR 20140024892 A KR20140024892 A KR 20140024892A KR 101419672 B1 KR101419672 B1 KR 101419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frame
link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환
Original Assignee
안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환 filed Critical 안기환
Priority to KR1020140024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62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adjustabl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4Tables, working plates or t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자신이 원하는 각도로 눕도록 하여 불편한 자세를 오래동안 유지하지 않도록 하며 편안한 자세로 세면 및 목욕을 시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몸을 고정시켜 환자의 몸이 상방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취식시에는 환자에게 식탁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링겔 거치대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는 다리거치부; 일단이 상기 다리거치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장부; 일단이 상기 안장부의 타단과 부근에 배치되는 등받이부; 일단이 상기 다리거치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 일단이 상기 제1링크부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 상기 제1링크부가 안착될 공간이 마련되는 프레임부; 및, 서로 간에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퀴부; 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안장부에서 뒤로 펼쳐지는 경우에 상기 제2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가 연결되는 지점을 밀어내면서 회동하여 상기 제1링크부가 상기 다리거치부를 전진시켜 밀어냄으로써, 상기 다리거치부가 상기 안장부에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의자{MULTIPLE PURPOSE CHAIR}
본 발명은 다용도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자신이 원하는 각도로 눕도록 하여 불편한 자세를 오래동안 유지하지 않도록 하며 편안한 자세로 세면 및 목욕을 시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몸을 고정시켜 환자의 몸이 상방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취식시에는 환자에게 식탁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링겔 거치대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휠체어와 같은 다용도 의자의 종래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2749호인 다기능 휠체어는 신체장애자나 환자 및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들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전후방향으로 주행레버를 반복적으로 작동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외부의 도움없이 자력으로 휠체어의 주행이 가능하고, 등받이 및 발판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며, 주행중 보조바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사용자에게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휠체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첫 번째로, 종래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눕고 싶을 때, 휠체어에서 침대까지 이동해야만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동반되지 않는 경우에 환자가 눕고 싶을 때에는 거동이 불편한 몸을 스스로 움직여 휠체어에서 침대까지 이동해야만 하는 불편함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두 번째로, 종래 휠체어는 링겔 거치대가 구비되어 있기는 하나, 이 경우, 종래 휠체어의 링겔 거치대는 휠체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써, 링겔액이 수용한 팩을 휠체어에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링겔액이 수용된 팩을 종종 떨어 뜨리는 상황을 발생시킴으로써, 환자의 피와 같은 체액이 링겔팩으로 역류하여 환자에게 위함한 상황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세 번째로, 종래 휠체어는 환자가 휠체어에 앉아 있다가 병원에서 환자에게 제공되는 식사가 나오는 경우에, 휠체어에는 식판을 거치할 거치부가 마련되지 않아 환자가 휠체어에서 침대로 다시 이동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네 번째로, 종래 휠체어는 환자 가운데 상체를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가 종래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경사진 경로를 내려가고자 할 때, 환자의 상체가 앞으로 쏠리는 상황이 발생되면, 종래 휠체어에는 환자의 상체를 고정시킬 수단이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가 휠체어에 이탈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다섯 번째로, 종래의 휠체어는 환자가 장시간 앉아 있으면 환자의 엉덩이에 압박감을 주어서 장시간 노인 환자가 앉아 있는데 상당한 불편을 호소하는 일이 잦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여섯 번째로, 종래의 휠체어는 환자가 바로 눕거나 모로 눕거나 엎어진 상태로 변환하여 목욕할 수 있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앉은 상태에서만 목욕을 하여 등 뒤부분이나 엉덩이 부분과 같은 부위는 목욕을 시행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472749호(2005. 02. 1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333767호(2002. 04. 10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앉고 싶은 경우에 환자가 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환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을 제공하며, 이동중 환자가 눕고자하는 경우에 자신이 원하는 자세의 각도의 누울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환자가 앉기를 원하여 침대에서 다용도 의자로 이동하는 경우에 링겔액이 수용된 링겔팩을 링겔거치대에서 직접 분리하지 않고 링겔거치대를 직접 이동시킨 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다용도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환자가 다용도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병원에서 제공되는 식사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공간이 마련되는 다용도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체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다용도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경사진 길목을 내려가는 경우에 환자의 상체가 다용도 의자의 상방으로 쏠려 환자가 이탈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다용도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용도 의자는 다리거치부; 일단이 상기 다리거치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장부; 일단이 상기 안장부의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등받이부; 일단이 상기 다리거치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 일단이 상기 제1링크부와 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와 핀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부과 핀결합된 지점과 상기 등받이부와 핀결합된 지점이 상기 등받이부에 밀착되는 제2링크부; 상기 제1링크부가 안착될 공간이 마련되는 프레임부; 및, 서로 간에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퀴부; 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안장부에서 뒤로 펼쳐지는 경우에 밀착된 상기 제2링크부를 전진시켜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2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가 연결되는 지점이 상기 제1링크부를 전진시켜 밀어내도록 하여 상기 제1링크부에 연결되는 다리거치부가 상기 안장부에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안장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하단에 상기 바퀴부가 결합되는 제1측면프레임; 상기 안장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하단에 상기 바퀴부가 결합되는 제2측면프레임;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측면프레임에 결합되는 전방연결프레임; 상기 등받이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측면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전방연결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방연결프레임; 일단이 상기 전방연결프레임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중앙프레임; 상기 전방연결프레임에 결합되는 롤러결합판; 및, 상기 롤러결합판에 핀결합되어, 상기 롤러결합판에서 회동하는 상방롤러부; 상기 롤러결합판에 핀결합되되, 상기 상방롤러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결합판에서 회동하는 하방롤러부; 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상방롤러부와 상기 하방롤러부 사이에는 상기 제1링크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상방롤러부와 상기 하방롤러부 사이에서 구속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용도 의자는 일단이 상기 후방연결프레임과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에 체결되는 결속부; 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결속부는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장부에서 펼쳐지는 경우에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장부에서 일정각도내에서만 회동되도록 상기 등받이부의 회전각도를 한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용도 의자는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단이 개구되고 하방이 밀폐된 봉형상의 거치부;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거치부의 중공부에는 링겔 거치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용도 의자는 상기 거치부에 삽입되는 삽입프레임; 및, 상기 삽입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삽입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안착판;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프레임은 'ㄱ'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ㄱ'형상의 상부가 상기 안착판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ㄱ'형상의 상부 단부가 상기 등받이부를 향하도록 상기 거치부에 삽입시에 상기 안착판이 환자의 상체 전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환자의 상체가 전면의 이동시에 상기 안착판에 의해 환자의 상체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환자고정용도로 이용되고, 상기 'ㄱ'형상의 상부 단부가 상기 등받이부의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거치부에 삽입시에 상기 안착판을 식탁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안착판은 원호형의 밀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ㄱ'형상의 상부 단부가 상기 등받이부를 향하도록 상기 거치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밀착홈이 환자의 상체 전면부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밀착홈에 상기 환자의 상체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다용도 의자는 상기 밀착홈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덧댐판; 및, 상기 덧댐판이 상기 밀착홈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안착판과 상기 덧댐판 사이에 결합되는 경첩;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덧댐판은 상기 안착판이 식판용도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경첩에서 회동하여 상기 밀착홈의 빈공간을 메우고, 상기 안착판이 환자용정용도로 이용되는 경우에 상기 밀착홈에서 회동하여 상기 밀착홈에 환자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앉고 싶은 경우에 환자가 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환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을 제공하며, 이동중에 환자가 눕고자하는 경우에 자신이 원하는 자세의 각도의 누울 수 있도록 하여 휴식 및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며, 요양원에서 치매환자를 목욕시킬 때 침대에서 바로 목욕탕으로 이동시켜 환자가 돌아 누울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환자의 가슴 앞 부분과, 몸의 옆 부분 및, 몸의 뒷 부분을 골고루 씻길 수 있을 효과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목욕 후에는 바퀴부를 이용하여 곧바로 침대까지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환자를 목욕시킬 때, 휠체어로 이동한 상태에서 목욕의자에 앉히는 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사고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고, 병원 응급실의 간이 환자침대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응급환자가 일반 의자에서 대기하는 것보다 편하게 응급처치와 링겔주사를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침대처럼 누운 상태로 환자를 안정시킨 가운데 치료가 시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앉기를 원하여 침대에서 다용도 의자로 이동하는 경우에 링겔액이 수용된 링겔팩을 링겔거치대에서 직접 분리하지 않고 링겔거치대를 거치부에 거치하여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링켈팩 자체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환자가 링켈팩을 놓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다용도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병원에서 제공되는 식사를 안착판에 거치한 상태로 식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환자가 식사를 하기 위하여 침대로 이동해야만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며, 안착판을 이용하여 다과등을 위한 쟁반등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안착판에 대야를 거치하여 환자의 세면, 양치, 머리 깎기 및, 머리 감기를 시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탁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상체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다용도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경사진 길목을 내려가는 경우에 안착판으로 환자의 상체를 고정함으로써 환자의 상체가 다용도 의자의 상방으로 쏠려 환자가 의자에서 이탈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며, 가정이나 요양원에서 치매환자가 침대나 의자에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고 손으로 기저귀속 자기 오물을 만지는 행위를 막아 줄 뿐만 아니라, 환자의 가족이나 간병인이 다른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의자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용도 의자의 등받이부와 다리거치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의자에 링겔 거치대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의자에 삽입프레임 및 안착판이 더 구성되어 식탁기능이 구현된 상태의 사시도.
도 6는 도 5에 도시된 다용도 의자에 삽입프레임 및 안착판이 다른 방향으로 결합되어 환자고정기능을 구현한 상태의 사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의자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용도 의자의 등받이부와 다리거치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먼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의자를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의자는 다리거치부(10), 안장부(20), 등받이부(30), 제1링크부(40), 제2링크부(50), 프레임부(60) 및, 바퀴부(70)를 포함한다.
상기 다리거치부(10)는 사각 금속프레임에 쿠션을 덧대고, 가죽과 같은 외피가 감싸여진 상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리거치부(10)는 환자의 후술하는 안장부(20)에 앉게 되는 경우에 다리부위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안장부(20)는 사각 금속프레임에 쿠션을 덧대고, 가죽과 같은 외피가 감싸여진 상태로 구성된다. 이 경우, 안장부(20)는 일단이 다리거치부(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안장부(20)와 다리거치부(10)의 연결은 핀결합 또는 끈결합과 같이 회동가능하되 안장부(20)와 다리거치부(1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모든 연결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장부(20)는 환자가 앉거나 누운 경우에 환자의 엉덩이와 허벅지 하부를 안착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등받이부(30)는 사각 금속프레임에 쿠션을 덧대고, 가죽과 같은 외피가 감싸여진 상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등받이부(30)는 일단이 안장부(20)의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안장부(20)의 타단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등받이부(30)와 안착부의 연결은 핀결합 또는 끈결합과 같이 회동가능하되 등받이부(30)와 안장부(2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모든 연결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등받이부(30)는 환자가 앉거나 누운 경우에 환자의 등부위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한편, 등받이부(30)의 상단부에는 환자의 머리를 받칠 수 있도록 하는 머리받이부(3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머리받이부(31)는 등받이부(30)와의 결합 길이가 조절 가능한 상태로 구성되어, 환자의 신장에 맞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40)는 몸체의 일부가 일정각도 절곡된 금속봉 형태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제1링크부(40)는 일단이 다리거치부(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제1링크부(40)와 다리거치부(10)의 회동가능한 연결은 다리거치부(10)의 내부 프레임(미도시)에 핀결합될 수 있는 조인트판(41)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조인트판과 제1링크부(40)의 일단을 핀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링크부(4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1링크부(40)는 서로 간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단들이 다리거치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링크부(40)는 후술하는 제2링크부(50)와 핀결합된 상태에서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는 경우에 링크구동을 하여 다리거치부(10)를 펼쳐지도록 하는 역할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제2링크부(50)는 판 형상의 금속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2링크부(50)는 일단이 제1링크부(40)의 타단과 핀결합되어 제1링크부(40)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2링크부(50)는 타단이 등받이부(30)와 핀결합되는데, 등받이부(30)에는 제2링크부(50)와 타단과 핀결합되기 위한 핀결합판이 돌출되어 구성된 상태에서 제2링크부(50)와 핀결합된다. 또한, 제2링크부(5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제1링크부(40)의 타단 양측부 각각에 핀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부(50)와 제1링크부(40)가 핀결합되는 위치가 등받이부(30)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제2링크부(50)와 등받이부(30)가 핀결합되는 위치도 등받이부(30)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데, 이 경우, 제2링크부(50)와 등받이부(30)가 핀결합되는 위치의 높이는 제2링크부(50)와 제1링크부(40)가 핀결합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60)는 제1링크부(40)가 안착될 영역을 마련함과 동시에, 환자의 손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영역을 제공하며, 나아가 후술하는 바퀴부(70)가 결합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프레임부(60)는 제1측면프레임(61), 제2측면프레임(62), 전방연결프레임(63), 후방연결프레임(64), 중앙프레임(65), 롤러결합판(66), 상방롤러부(67) 및, 하방롤러부(68)를 포함한다.
상기 제1측면프레임(61)은 'U'자 형상의 금속 프레임으로 구성되되, 구부러진 양 단부가 다용도 의자의 하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제1측면프레임(61)은 안장부(20)의 일측에 배치되며, 하단부 각각에 바퀴부(70)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1측면프레임(61)은 'U'자 형상의 양단부에 바퀴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굴곡된 부위의 일부에 팔거치대(61a)를 마련하여 환자의 손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측면프레임(62)은 'U'자 형상의 금속 프레임으로 구성되되, 구부러진 양 단부가 다용도 의자의 하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제2측면프레임(62)은 안장부(20)의 일측에 배치되되, 제1측면프레임(61)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하단부 각각에 바퀴부(70)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2측면프레임(62)은 'U'자 형상의 양단부에 바퀴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굴곡된 부위의 일부에 팔거치대(62a)를 마련하여 환자의 손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방연결프레임(63)은 막대형상의 금속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전방연결프레임(63)은 안장부(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제1측면프레임(61)과 결합되고 타단이 제2측면프레임(62)에 결합된다. 이러한 전방연결프레임(63)은 제1측면프레임(61)과 제2측면프레임(62)의 전방 부위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후방연결프레임(64)은 막대형상의 금속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후방연결프레임(64)은 등받이부(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제1측면프레임(61)과 결합되고 타단이 제2측면프레임(62)에 결합되되, 전방연결프레임(63)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전방연결프레임(63)은 제1측면프레임(61)과 제2측면프레임(62)의 후방 부위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중앙프레임(65)은 봉형상의 금속 프레임의 구성된다. 이 경우, 중앙프레임(65)은 일단이 전방연결프레임(63)과 결합되고, 타단이 후방연결프레임(64)과 연결된다. 이러한 중앙프레임(65)은 전방연결프레임(63)과 후방연결프레임(64)을 결합시켜 제1측면프레임(61)과 제2측면프레임(62)의 전방과 후방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롤러결합판(66)은 판형상의 금속체로 형성되며, 두 개의 판체가 서로 간에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로 구성된다. 이 경우, 롤러결합판(66)은 몸체의 일부가 전방연결프레임(63)에 결합되되, 몸체의 나머지 일부가 전방연결프레임(63)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롤러결합판(66)은 후술하는 상방롤러부(67)와 하방롤러부(68)가 핀결합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상방롤러부(67)는 외주연이 중앙부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방롤러부(67)는 롤러결합판(66)에 핀결합되어, 롤러결합판(66)에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하방롤러부(68)는 외주연이 중앙부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하방롤러부(68)는 롤러결합판(66)에 핀결합되되, 상방롤러부(67)와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롤러결합판(66)에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방롤러부(67)와 하방롤러부(68) 사이에는 제1링크부(40)가 배치되고, 이 경우, 제1링크부(40)는 후술하는 다용도 의자의 등받이가 펼쳐지는 구동을 하게 되는 경우에 상방롤러부(67)와 하방롤러부(68) 사이에서 구속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제1링크부(40)를 지지함과 제1링크부(40)가 일정 방향경로에서 이동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바퀴부(7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간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프레임부(6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바퀴부(70)는 환자가 본 실시예의 다용도 의자가 앉은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 경우, 바퀴부(70)는 바퀴의 측면에 바퀴의 움직임을 구속시킬 수 있는 정지수단이 마련되어 본 실시예의 다용도 의자의 이동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의자를 이용하여 환자가 눕고자 하는 경우에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는 구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다용도 의자를 이용하여 환자가 눕고자 하는 구동에 관한 설명에 앞서, 이해를 돕기위하여 다음과 같은 용어를 정의하기로 한다. 본 설명에서 '펼쳐지다'의 의미는 펼처지는 두 개의 구성이 회동지점을 기준으로 각도가 증가하는(각도가 벌어지는) 경우를 말하며, '접어지다'의 의미는 접어지는 두 개의 구성이 회동지점을 기준으로 각도가 감소하는(각도가 협소해지는) 경우를 의미한다.
최초, 환자는 다용도 의자의 안장부(20)에 앉은 상태에서 자신의 등을 등받이부(30)에 기대상태에서 몸을 누이게 되면, 등받이부(30)는 안장부(20)에서 뒤로 펼쳐지게 되고, 이 경우, 등받이부(30)는 제2링크부(50)를 밀어냄으로써 제2링크부(50)와 제1링크부(40)가 연결되는 지점을 다리거치부(10)가 위치한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1링크부(40)는 회동하되, 상방롤러부(67)와 하방롤러부(68) 사이를 통과하여 이동하게 되면, 다리거치부(10)를 전진시켜 밀어내게 되고, 이때, 다리거치부(10)는 안장부(20)에서 펼쳐지게 된다.
이 경우, 등받이부(30)는 환자가 원하는 각도로 정지된 상태로 이용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다용도 의자는 결속부(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속부(80)는 체인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결속부(80)는 일단이 후방연결프레임(64)과 체결되고, 타단이 등받이부(30)에 체결된다. 여기서, 결속부(80)와 후방연결프레임(64)과의 결합 및, 결속부(80)와 등받이부(30)의 결합은 나사, 볼트, 와셔, 조인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속부(80)는 체인 형상이외에 장력바와 같은 수단으로 대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부(80)는 등받이부(30)가 안장부(20)에서 펼쳐지는 경우에 등받이부(30)의 하단부가 다용도 의자의 전방으로 전진되기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등받이부(30)가 안장부(20)에서 일정각도로 회동되도록 등받이부(30)의 회전각도를 한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용도 의자는 평상시에는 앉기나 세면과 양치질 및 머리 깍기등의 의자기능을 수행하면서 환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을 제공하며, 이동중에 환자가 눕고자하는 경우에 자신이 원하는 자세의 각도의 누울 수 있도록 하여 휴식 및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용도 의자는 요양원에서 치매환자를 목욕시킬 때 침대에서 바로 목욕탕으로 이동 목욕이 가능하며, 환자가 돌아 누울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환자의 가슴 앞 부분과, 몸의 옆 부분 및, 몸의 뒷 부분을 골고루 씻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욕 후에는 바퀴부를 이용하여 곧바로 침대까지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환자를 목욕시킬 때, 휠체어로 이동한 상태에서 목욕의자에 앉히는 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사고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환자용은 의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가 누을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전신 목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나아가, 병원 응급실의 간이 환자침대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응급환자가 일반 의자에서 대기하는 것보다 편하게 응급처치와 링겔주사를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침대처럼 누운 상태로 환자를 안정시킨 가운데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의자에 링겔 거치대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를 더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다용도 의자는 링겔거치대(1)를 용이하게 거치하기 위하여 거치부(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9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제1측면프레임(61) 및 제2측면프레임(62) 각각에 결합되며, 상단이 개구되고 하방이 밀폐된 봉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거치부(90)의 중공부에는 링겔거치대(1)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다용도 의자는 환자가 앉기를 원하여 침대에서 다용도 의자로 이동하는 경우에 링겔액이 수용된 링겔팩을 링겔거치대(1)에서 직접 분리하지 않고 링겔거치대(1)를 거치부(90)에 거치하여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링켈팩 자체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환자가 링켈팩을 놓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의자에 삽입프레임(100) 및 안착판(110)이 더 구성되어 식탁기능이 구현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다용도 의자는 상기한 거치부(90)를 이용하여 식탁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다용도 의자는 삽입프레임(100) 및 안착판(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프레임(100)은 금속봉체가 'ㄱ '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구선된다. 또한, 삽입프레임(100)은 거치부(9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된다. 이러한 삽입프레임(100)은 일단이 거치부(90)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어 후술하는 안착판(1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안착판(110)은 판체형상으로 구성되고, 삽입프레임(100)과 결합되며, 삽입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안착판(110)과 삽입프레임(110)의 상부와의 결합은 나사, 볼트, 조인트, 덧댐부재와 같은 체결부재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판(110)은 판체형상으로 구성되어 환자의 식판을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다용도 의자는 환자가 다용도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병원에서 제공되는 식사를 안착판(110)에 거치한 상태로 식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환자가 식사를 하기 위하여 침대로 이동해야만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용도 의자는 안착판(110)을 이용하여 다과등을 위한 쟁반등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안착판(110)에 대야를 거치하여 환자의 세면, 양치, 머리 깎기 및, 머리 감기를 시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다용도 의자에 삽입프레임(100) 및 안착판(110)이 다른 방향으로 결합되어 환자고정기능을 구현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다용도 의자는 삽입프레임(100) 및 안착판(110)을 이용하여 식사를 할 수 있는 식탁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체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상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환자 고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삽입프레임(100)은 'ㄱ'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며, 'ㄱ'형상의 상부가 안착판(110)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ㄱ'형상의 상부 단부가 등받이부(30)를 향하도록 거치부(90)에 삽입시에 안착판(110)이 환자의 상체 전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환자의 상체가 전면의 이동시에 상기 안착판(110)에 의해 환자의 상체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환자고정용도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안착판(110)은 원호형의 밀착홈(111)이 더 형성되고, 삽입프레임(100)의'ㄱ'형상의 상부 단부가 등받이부(30)를 향하도록 거치부(90)에 삽입되는 경우, 밀착홈(111)이 환자의 상체 전면부를 향하도록 하여 밀착홈(111)에 환자의 상체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안착판(110)이 환자의 상체 굴곡에 맞도록 공간을 제공하여 환자의 상체가 보다 안정되기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프레임(100)의 'ㄱ'형상의 상부 단부가 등받이부(30)의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거치부(90)에 삽입시에 안착판(110)을 전술한 바와 같은 식탁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다용도 의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식탁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상체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다용도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경사진 길목을 내려가는 경우에 안착판(110)으로 환자의 상체를 고정함으로써 환자의 상체가 다용도 의자의 상방으로 쏠려 환자가 의자에서 이탈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다용도 의자는 환자의 상체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정이나 요양원에서 치매환자가 침대나 의자에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고 손으로 기저귀속 자기 오물을 만지는 행위를 막아 줄 뿐만 아니라, 환자의 가족이나 간병인이 다른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용도 의자는 안착판(110)이 환자고정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발생되는 밀착홈(111)이 안착판(110)의 식탁기능을 구현할 때 식탁의 공간이 협소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덧댐판(120) 및 경첩(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덧댐판(120)은 밀착홈(11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첩(130)은 덧댐판(120)이 밀착홈(111)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안착판(110)과 덧댐판(120) 사이에 결합된다.
이 경우, 덧댐판(120)은 안착판(110)이 식판용도로 이용되는 경우, 경첩(130)에서 회동하여 밀착홈(111)의 빈공간을 메워 환자에게 충분한 식탁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반대로, 안착판(110)이 환자용정용도로 이용되는 경우에 밀착홈(111)에서 회동하여 밀착홈(111)에 환자가 수용되도록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다리거치부 20 ; 안장부
30 ; 등받이부 40 ; 제1링크부
50 ; 제2링크부 60 ; 프레임부
70 ; 바퀴부 80 ; 결속부
90 ; 거치부 100 ; 삽입프레임
110 ; 안착판 120 ; 덧댐판
130 ; 경첩
61 ; 제1측면프레임 62 ; 제2측면프레임
63 ; 전방연결프레임 64 ; 후방연결프레임
65 ; 중앙프레임 66 ; 롤러결합판
67 ; 상방롤러부 68 ; 하방롤러부
111 ; 밀착홈

Claims (8)

  1. 다리거치부(10);
    일단이 상기 다리거치부(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장부(20);
    일단이 상기 안장부(20)의 타단과 부근에 배치되는 등받이부(30);
    일단이 상기 다리거치부(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40);
    일단이 상기 제1링크부(40)와 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30)와 핀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부(40)과 핀결합된 지점과 상기 등받이부(30)와 핀결합된 지점이 상기 등받이부(30)에 밀착되는 제2링크부(50);
    상기 제1링크부(40)가 안착될 공간이 마련되는 프레임부(60); 및,
    서로 간에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부(6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퀴부(70); 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30)는 상기 안장부(20)에서 뒤로 펼쳐지는 경우에 밀착된 상기 제2링크부(50)를 전진시켜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2링크부(50)와 상기 제1링크부(40)가 연결되는 지점이 상기 제1링크부(40)를 전진시켜 밀어내도록 하여 상기 제1링크부(40)에 연결되는 다리거치부(10)가 상기 안장부(20)에서 펼쳐지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부(60)에 결합되며, 상단이 개구되고 하방이 밀폐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중공부에 링겔 거치대가 삽입되는 거치부(90);
    상기 거치부(90)에 삽입되는 삽입프레임(100); 및,
    상기 삽입프레임(100)과 결합되며, 상기 삽입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안착판(11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프레임(100)은 'ㄱ'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ㄱ'형상의 상부가 상기 안착판(110)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ㄱ'형상의 상부 단부가 상기 등받이부(30)를 향하도록 상기 거치부(90)에 삽입시에 상기 안착판(110)이 환자의 상체 전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환자의 상체가 전면의 이동시에 상기 안착판(110)에 의해 환자의 상체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환자고정용도로 이용되고, 상기 'ㄱ'형상의 상부 단부가 상기 등받이부(30)의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거치부(90)에 삽입시에 상기 안착판(110)을 식탁용도로 이용되고,
    상기 안착판(110)은 원호형의 밀착홈(111)이 더 형성되고, 상기 'ㄱ'형상의 상부 단부가 상기 등받이부(30)를 향하도록 상기 거치부(9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밀착홈(111)이 환자의 상체 전면부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밀착홈(111)에 상기 환자의 상체가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밀착홈(11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덧댐판(120); 및,
    상기 덧댐판(120)이 상기 밀착홈(111)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안착판(110)과 상기 덧댐판(120) 사이에 결합되는 경첩(13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덧댐판(120)은 상기 안착판(110)이 식판용도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경첩(130)에서 회동하여 상기 밀착홈(111)의 빈공간을 메우고, 상기 안착판(110)이 환자용정용도로 이용되는 경우에 상기 밀착홈(111)에서 회동하여 상기 밀착홈(111)에 환자가 수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60)는
    상기 안장부(20)의 일측에 배치되며, 하단에 상기 바퀴부(70)가 결합되는 제1측면프레임(61);
    상기 안장부(20)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측면프레임(61)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하단에 상기 바퀴부(70)가 결합되는 제2측면프레임(62);
    상기 안장부(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측면프레임(61)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측면프레임(62)에 결합되는 전방연결프레임(63);
    상기 등받이부(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측면프레임(61)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측면프레임(62)에 결합되되, 상기 전방연결프레임(63)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방연결프레임(64);
    일단이 상기 전방연결프레임(63)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연결프레임(64)과 연결되는 중앙프레임(65);
    상기 전방연결프레임(63)에 결합되는 롤러결합판(66);
    상기 롤러결합판(66)에 핀결합되어, 상기 롤러결합판(66)에서 회동하는 상방롤러부(67); 및,
    상기 롤러결합판(66)에 핀결합되되, 상기 상방롤러부(67)와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결합판(66)에서 회동하는 하방롤러부(68); 를 포함하며,
    상기 상방롤러부(67)와 상기 하방롤러부(68) 사이에는 상기 제1링크부(40)가 배치되고,
    상기 제1링크부(40)는 상기 상방롤러부(67)와 상기 하방롤러부(68) 사이에서 구속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후방연결프레임(64)과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30)에 체결되는 결속부(8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80)는 상기 등받이부(30)가 상기 안장부(20)에서 펼쳐지는 경우에 상기 등받이부(30)가 상기 안장부(20)에서 일정각도내에서만 회동되도록 상기 등받이부(30)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의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24892A 2014-03-03 2014-03-03 다용도 의자 KR101419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92A KR101419672B1 (ko) 2014-03-03 2014-03-03 다용도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92A KR101419672B1 (ko) 2014-03-03 2014-03-03 다용도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672B1 true KR101419672B1 (ko) 2014-07-15

Family

ID=5174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892A KR101419672B1 (ko) 2014-03-03 2014-03-03 다용도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6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211A (ko) * 2017-11-21 2019-05-29 황학선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CN111529231A (zh) * 2020-05-06 2020-08-14 广东博方众济医疗科技有限公司 轮椅床
KR20210120691A (ko) *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리버텍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KR20210155151A (ko) 2020-06-15 2021-12-22 (주) 엠엘피 자세교정용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532A (ja) * 1991-09-04 1993-03-12 Brother Ind Ltd スイツチング素子の誤動作防止回路
JPH0739562A (ja) * 1993-08-02 1995-02-10 Arizono Seisakusho:Kk 介護用車椅子
JPH09294773A (ja) * 1996-05-02 1997-11-18 Narita Kogyo Kk 車椅子用テーブル板
JP2001017474A (ja) * 1999-07-09 2001-01-23 Nobuyoshi Shima 車椅子用のテーブル及びそれを備えた車椅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532A (ja) * 1991-09-04 1993-03-12 Brother Ind Ltd スイツチング素子の誤動作防止回路
JPH0739562A (ja) * 1993-08-02 1995-02-10 Arizono Seisakusho:Kk 介護用車椅子
JPH09294773A (ja) * 1996-05-02 1997-11-18 Narita Kogyo Kk 車椅子用テーブル板
JP2001017474A (ja) * 1999-07-09 2001-01-23 Nobuyoshi Shima 車椅子用のテーブル及びそれを備えた車椅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211A (ko) * 2017-11-21 2019-05-29 황학선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KR102024931B1 (ko) 2017-11-21 2019-09-24 황학선 환자 이송 및 휴식용 구조물로 변신가능한 가변형 구조체
KR20210120691A (ko) *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리버텍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KR102320543B1 (ko) * 2020-03-27 2021-11-02 주식회사 리버텍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CN111529231A (zh) * 2020-05-06 2020-08-14 广东博方众济医疗科技有限公司 轮椅床
KR20210155151A (ko) 2020-06-15 2021-12-22 (주) 엠엘피 자세교정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KR101419672B1 (ko) 다용도 의자
KR20160125037A (ko)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KR20170088245A (ko) 장애인 또는 노인용 목욕 의자
CA2828666A1 (en) Transport chair allowing transport of multiple passengers
KR200477365Y1 (ko) 의료용 휠체어
US20190328187A1 (en) Portable commode aid
KR102080545B1 (ko) 이동장치가 장착된 휠체어
US9775754B1 (en) Convertible wheelchair
JP2010005077A (ja) 補助手摺装置
KR101939344B1 (ko) 환자용 휠체어
JP2003052754A (ja) 車いすあるいは椅子のための身体起こし装置、及びこれを取付けまたは組み込んだ車いすあるいは椅子
JP2004113255A (ja) 椅子
US20210007925A1 (en) Exercising, mobility transporter apparatus and method
KR200480945Y1 (ko) 이동용 링거 걸이 스탠드
KR200180448Y1 (ko) 목욕용 보조의자
KR20170003243A (ko) 환자용 변기 조립체
JP3167780U (ja) シャワー椅子
KR101434715B1 (ko) 환자용 목욕 보조구
JP3200102U (ja) 自走用車いす
JP2005296363A (ja) 介護用シャワー椅子
JP5139553B2 (ja) 介護台車
CN211355127U (zh) 老年人护理沐浴装置
KR20150131687A (ko) 간병용 의자
KR20170050967A (ko)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