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360425B1 -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425B1
KR101360425B1 KR1020110120738A KR20110120738A KR101360425B1 KR 101360425 B1 KR101360425 B1 KR 101360425B1 KR 1020110120738 A KR1020110120738 A KR 1020110120738A KR 20110120738 A KR20110120738 A KR 20110120738A KR 101360425 B1 KR101360425 B1 KR 101360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valve
oil
oscillation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5148A (ko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42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5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4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6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 F16H61/065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using fluid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24Adapting to failures or work around with other constraints, e.g. circumvention by avoiding use of fail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유로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펌프와, 제1유로에서 분기되는 제2유로 상에 구비되어 윤활을 위한 오일을 분배하는 윤활밸브와, 제1유로에서 분기되는 제3유로 상에 구비되어 제3유로를 개폐하는 발진밸브와, 제2유로와 제3유로에 연결되고 제2유로와 제3유로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여 제4유로로 오일을 배출하는 림프홈밸브 및 제4유로에 연결되고 차량의 구동력을 인가하는 발진클러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는 차량 이상으로 림프홈모드가 되더라도 발진클러치에 오일이 공급되어 차량 주행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UTO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림프홈(limp home) 상태에서 차량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는 차량의 주행속도와 스로틀밸브의 개도율 및 제반 검출조건에 따라 변속제어장치가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여 유압을 제어함으로써, 목표 변속단의 변속기어가 동작되어 자동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운전자가 셀렉트 레버를 원하는 변속단으로 레인지 변환하면, 유압 제어 시스템에서 매뉴얼 밸브의 포트 변환이 이루어지면서 오일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복수의 솔레노이드밸브의 듀티 제어에 따라 변속기어 메커니즘의 여러 작동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변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13957호(2011.02.01 등록, 발명의 명칭: 무단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발진클러치가 적용된 자동변속기는 이상 작동 상태인 림프홈 모드에서 솔레노이드밸브 전원을 모두 차단시켜 변속기 내부 고장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림프홈 모드로 인해 발진클러치에 유압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발진클러치가 오픈(open)되어 최소한의 차량 구동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이 림프홈 모드가 될 때 발진클러치가 클로즈(close)되도록 유압을 제공하여 차량이 자체 구동되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유로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펌프; 상기 제1유로에서 분기되는 제2유로 상에 구비되어 윤활을 위한 오일을 분배하는 윤활밸브; 상기 제1유로에서 분기되는 제3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3유로를 개폐하는 발진밸브;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제3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제3유로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여 제4유로로 오일을 배출하는 림프홈밸브; 및 상기 제4유로에 연결되고, 차량의 구동력을 인가하는 발진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는 상기 발진밸브와 상기 림프홈밸브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제1유로에서 분기되는 제5유로를 통해 오일을 공급받고, 상기 발진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연결하는 제6유로를 통해 상기 발진밸브에 오일을 공급하여 상기 발진밸브를 제어하며,상기 림프홈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연결하는 제7유로를 통해 상기 림프홈밸브에 오일을 공급하여 상기 림프홈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림프홈밸브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구동 정지시 상기 제2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발진클러치에 오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는 림프홈 모드시 윤활밸브를 통해 발진클러치에 오일이 공급됨으로써, 차량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주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에서 정상 상태에서 발진클러치로 공급되는 유압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에서 림프홈 상태에서 발진클러치로 공급되는 유압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에서 정상 상태에서 발진클러치로 공급되는 유압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에서 림프홈 상태에서 발진클러치로 공급되는 유압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1)에는 오일펌프(10), 윤활밸브(20), 발진밸브(30), 림프홈밸브(40) 및 발진클러치(50)가 구비된다.
오일펌프(10)에는 제1유로(91)가 연결된다. 이러한 오일펌프(10)는 제어부의 제어로 구동되어 오일을 제1유로(91)로 배출한다.
제1유로(91)로 배출된 오일은 자동변속기의 각 부품들에 공급되어 기계적인 마모를 방지하도록 윤활기능을 하거나, 각종 밸브에 공급되어 유압을 제공한다.
윤활밸브(20)는 제1유로(91)에서 분기된 제2유로(92) 상에 구비된다. 이러한 윤활밸브(20)에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어 자동변속기의 각 부품들에 오일을 공급한다. 이러한 오일은 부품간의 마모 또는 가열을 방지한다.
한편, 제2유로(92)는 일단부가 제1유로(9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림프홈밸브(40)에 연결된다.
발진밸브(30)는 제1유로(91)에서 분기된 제3유로(93) 상에 구비된다. 이러한 발진밸브(30)는 제3유로(93)를 개폐한다. 이때, 제3유로(93)는 일단부가 제1유로(9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림프홈밸브(40)에 연결된다.
림프홈밸브(40)는 제2유로(92) 및 제3유로(93)와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림프홈밸브(40)는 제2유로(92)와 제3유로(93)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한다. 이때, 림프홈밸브(40)에는 오일이 배출되는 제4유로(94)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2유로(92)와 제3유로(93)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어 제4유로(94)로 이동된다.
발진클러치(50)는 제4유로(94)에 연결되어 오일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오일의 유압 여부에 따라 발진클러치(50)는 차량의 구동력을 인가한다.
예를 들어, 제4유로(94)를 통해 오일이 공급되면 발진클러치(50)가 클로즈(close)되어 엔진의 구동력이 바퀴로 전달됨으로써, 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1)에는 솔레노이드밸브(6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60)는 발진밸브(30)와 림프홈밸브(40)를 제어한다.
제1유로(91)에서 분기되는 제5유로(95)는 솔레노이드밸브(60)에 결합되어 솔레노이드밸브(60)에 오일을 공급한다.
솔레노이드밸브(60)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6유로(96)는 발진밸브(30)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또한, 솔레노이드밸브(60)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7유로(97)는 림프홈밸브(40)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5유로(95)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60)로 오일이 공급되고, 솔레노이드밸브(60)의 구동으로 발진밸브(30) 및 림프홈밸브(40)로 공급된 오일의 유압에 의해 발진밸브(30)와 림프홈밸브(40)가 각각 제어된다.
한편, 차량의 이상을 제어부가 감지하여 림프홈 모드가 실시되면, 솔레노이드밸브(60)의 구동이 정지되어, 발진밸브(30)는 제3유로(93)를 폐쇄하고, 림프홈밸브(40)는 제2유로(92)를 개방한다.
따라서, 윤활밸브(20)를 통과한 오일은 제4유로(94)를 통해 발진클러치(50)에 도달되어 차량의 주행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일펌프(10)에 제1유로(91)가 연결되고, 제1유로(91)에서 분기된 제2유로(92) 및 제3유로(93)는 림프홈밸브(40)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2유로(92)에는 윤활밸브(20)가 설치되고, 제3유로(93)에는 발진밸브(30)가 설치된다.
림프홈밸브(40)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4유로(94)는 발진클러치(50)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한편, 제1유로(91)에서 분기된 제5유로(95)는 솔레노이드밸브(60)에 연결되고, 제6유로(96)는 솔레노이드밸브(60)와 발진밸브(30)를 연결하며, 제7유로(97)는 솔레노이드밸브(60)와 림프홈밸브(40)를 연결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차량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오일펌프(10)를 통해 토출되는 오일 중 일부는 제2유로(92)를 통해 이동된 후 윤활밸브(20)의 분배로 각 부품에 공급되어 윤활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윤활밸브(20)를 통과한 오일 중 일부는 제2유로(92)의 타단부에 연결된 림프홈밸브(40)에 도달된다.
그리고, 오일펌프(10)를 통해 토출되는 오일 중 일부는 제3유로(93)를 통해 발진밸브(30)에 도달되고, 제5유로(95)를 통해 솔레노이드밸브(60)에 도달된다.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중이면, 솔레노이드밸브(60)가 구동되므로, 솔레노이드밸브(60)에서 배출된 오일은 제6유로(96) 및 제7유로(97)를 통해 발진밸브(30)와 림프홈밸브(40)에 각각 공급된다.
솔레노이드밸브(60)에서 토출되는 오일에 의한 유압으로 인해, 발진밸브(30)는 제3유로(93)를 개방하며, 림프홈밸브(40)는 제2유로(92)를 폐쇄하고 제3유로(93)를 개방한다.
따라서, 발진밸브(30)를 통과한 오일은 제4유로(94)를 통해 발진클러치(50)에 도달되어 차량의 주행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차량이 정상상태로 주행되어 제3유로(93)에 의해 이동된 오일이 발진클러치(50)로 공급되다가 차량의 이상이 발생되어 림프홈 모드로 변환되면, 솔레노이드밸브(60)에 대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솔레노이드밸브(60)의 구동이 정지된다.
솔레노이드밸브(60)의 구동이 정지되면, 제6유로(96) 및 제7유로(97)를 통한 오일의 공급이 제한되어 발진밸브(30)와 림프홈밸브(40)에 가해진 유압이 소멸한다.
이로 인해, 발진밸브(30)는 제3유로(93)를 폐쇄하고, 림프홈밸브(40)는 제2유로(92)를 개방한다.
제3유로(93)가 폐쇄되면, 제3유로(93)를 통해 이동되는 오일은 발진클러치(50)로 도달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제2유로(92)가 개방되면, 제2유로(92)를 통해 이동되는 오일은 발진클러치(50)에 도달됨으로써, 차량의 주행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오일펌프 20 : 윤활밸브
30 : 발진밸브 40 : 림프홈밸브
50 : 발진클러치 60 : 솔레노이드밸브
91 : 제1유로 92 : 제2유로
93 : 제3유로 94 : 제4유로
95 : 제5유로 96 : 제6유로
97 : 제7유로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제1유로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펌프;
    상기 제1유로에서 분기되는 제2유로 상에 구비되어 윤활을 위한 오일을 분배하는 윤활밸브;
    상기 제1유로에서 분기되는 제3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3유로를 개폐하는 발진밸브;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제3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제3유로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여 제4유로로 오일을 배출하는 림프홈밸브;
    상기 제4유로에 연결되고, 차량의 구동력을 인가하는 발진클러치; 및
    상기 발진밸브와 상기 림프홈밸브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제1유로에서 분기되는 제5유로를 통해 오일을 공급받고,
    상기 발진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연결하는 제6유로를 통해 상기 발진밸브에 오일을 공급하여 상기 발진밸브를 제어하며,
    상기 림프홈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연결하는 제7유로를 통해 상기 림프홈밸브에 오일을 공급하여 상기 림프홈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림프홈밸브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구동 정지시 상기 제2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발진클러치에 오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KR1020110120738A 2011-11-18 2011-11-18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Active KR101360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738A KR101360425B1 (ko) 2011-11-18 2011-11-18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738A KR101360425B1 (ko) 2011-11-18 2011-11-18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148A KR20130055148A (ko) 2013-05-28
KR101360425B1 true KR101360425B1 (ko) 2014-02-11

Family

ID=4866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738A Active KR101360425B1 (ko) 2011-11-18 2011-11-18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844B1 (ko) 2019-09-18 2020-12-0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752A (ko) * 1996-10-18 1998-07-15 박병재 차량용 자동변속기 유압 제어시스템의 파워 트레인 윤활유량 보상장치
KR20080016225A (ko) * 2006-08-18 2008-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20090020062A (ko) * 2007-08-22 2009-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단변속기 차량의 유압 제어 장치
JP2009133436A (ja) * 2007-11-30 2009-06-18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752A (ko) * 1996-10-18 1998-07-15 박병재 차량용 자동변속기 유압 제어시스템의 파워 트레인 윤활유량 보상장치
KR20080016225A (ko) * 2006-08-18 2008-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용 무단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20090020062A (ko) * 2007-08-22 2009-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단변속기 차량의 유압 제어 장치
JP2009133436A (ja) * 2007-11-30 2009-06-18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148A (ko) 201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7513B2 (ja) 機械式自動トランスミッション用の油圧式制御装置
KR101339230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CN102292575B (zh) 用于自动齿轮变速器的控制装置
JP5749402B2 (ja) 自動車のオートマティ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ための油圧制御装置
CN105793596B (zh) 用于双离合器的液压组件以及用于操控或者冷却所述双离合器的方法
US8857382B2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8943818B2 (en) Hydraulic device for stepless transmission
CN110167780A (zh) 具有按需离合器上油的液压离合器致动系统
WO2012132849A1 (ja) 油圧制御装置
KR101360425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KR102184844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JP6673483B2 (ja) 無段変速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91267B1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용 유압 제어 장치
KR102184843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20080044057A (ko) 통합형 스위칭 윤활방향 밸브
KR102199865B1 (ko) 아이에스지용 유압제어장치
JP2018146019A (ja) 油供給装置
KR101806095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JP2005282694A (ja) 無段変速機を備えた車両の制御装置
KR102621937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JP2015081611A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101305158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US11460106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O2013084346A1 (ja) 油圧制御装置
JP6131850B2 (ja) 油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