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224B1 -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8224B1 KR101358224B1 KR1020070060045A KR20070060045A KR101358224B1 KR 101358224 B1 KR101358224 B1 KR 101358224B1 KR 1020070060045 A KR1020070060045 A KR 1020070060045A KR 20070060045 A KR20070060045 A KR 20070060045A KR 101358224 B1 KR101358224 B1 KR 1013582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nguage
- list
- broadcast
- channel
- broadcas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4—Multi-language systems; Localisation; Internationalis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multilanguage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의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방송채널이 다중언어를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경우, 그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송출력 전이나 방송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언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방송언어 설정 및 변경이 용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개선하였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ESG
Description
도1은 디지털 멀디미디어 방송 채널의 스트림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언어 설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언어 설정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4는 휴대단말이 방송모드로 진입했을 때, 언어별로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5는 휴대단말이 방송모드로 진입했을 때, 동일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채널들을 탐색하고 서비스 가능한 언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언어 설정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송언어 설정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송언어 설정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방송언어 설정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단말기 110 : 제어부(혹은 프로세스 유닛)
115 : 디스플레이부 120 : RF모듈
130 : 스토리지 유닛
140 : 방송수신 모듈 145 : 스피커
150 : 마이크 160 : 키입력부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제공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서비스 중인 아날로그 방송은 원래 고정 수신용으로 개발되었으므로 수신자가 보행 중 또는 차량 운행 중인 경우, 수신 음질이 저하되고 높은 출력과 넓은 주파수 대역을 요구한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세계 각 지역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표준화 및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디지털 오디오 방송 표준으로 유레카-147(Eureka-147)을 채택한 유럽에서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미국에서는 DAR(Digital Audio Radio), 캐나다에서는 DRB (Digital Radio Broadcasting), 국제전기통신연합(ITU-R)에서는 DSR(Digital Sound Broadcasting) 라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Korea)에서는 정보통신부 주관으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라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표준화 및 상용화가 진행중인 디지털 오디오 방송은 차세대 방송용으로 개발되었으며, 도심지의 전파환경과 잡음에 강하여 소출력으로 전송하여도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에서 CD수준의 음질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듣는 방송"에서 "보고 듣는 방송"으로 라디오 방송의 개념을 확장시켰으며, 음악 방송 외에도 뉴스, 교통정보, 기상정보, 지리 위치 정보, 동영상 정보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문자와 그래픽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국내 정보통신에 의해 명명된 DMB,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음성방송이 디지털화가 됨에 따라 종전의 AM과 FM라디오 형태를 넘어 고품질 수준의 CD음질, 문자나 그래픽, 동화상까지 1.5Mbit/sec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 양방향성, 우수한 이동통신 신호품질 등을 제공하는 차세대 방송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은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과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으로 구성되며,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에는 여러 개의 오디오 스트림이 존재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양한 언어의 오디오 스트림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도1은 이 같은 디지털 멀디미디어 방송 채널의 스트림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한 채널의 다양한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정보는 ESG(Electronic Services Guide)의 서비스(Service->ServiceLanguage) 또는 컨텐츠(Content ->Language) 상세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종래기술의 경우, 휴대단말기는 메뉴에서 정한 기본설정 언어(default language)를 방송언어로서 설정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설정 언어(default language)가 프랑스어로 설정되어 있지만, 영어(English audio)만을 지원하는 이벤트(Event) 1, 2, 4, 5의 경 우 영어(English audio)로 재생된다.
그러나, 이벤트(Event) 3의 경우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이벤트로서, 영어(English audio)와 프랑스어(French audio)를 지원한다. 따라서, 이벤트(Event) 3은 기본설정 언어(default language)인 프랑스어(French audio)로 재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원하는 채널의 방송언어를 자유롭게 설정하고 변경하는 다중언어 지원방법 및 그에 따른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로서, 본 발명은 방송출력 전 방송 서비스 언어를 선택하고 설정하는 단말기를 구현한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방송 데이터의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각 방송채널의 다중언어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확인된 각 채널들의 다중언어 지원 여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언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다중언어 지원방법은
수신된 방송 데이터의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각 방송채널의 다중언어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채널의 언어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방송언어의 설정 및 변경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과제로서, 본 발명은 방송출력 중 방송 서비 스 언어를 선택하고 변경하는 단말기를 구현한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특정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와,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가 입력되면, 상기 채널의 지원가능 언어 리스트를 상기 출력부의 일측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채널의 방송언어를 변경한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다중언어 지원방법은
특정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가 입력되면, 상기 채널의 지원 가능 언어 리스트를 화면의 일측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채널의 방송언어를 변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언어리스트 디스플레이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방송 환경설정을 위한 소정 키가 입력되면, 해당 메뉴와 상기 지원가능 언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방송언어 설정을 위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과제로서,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 진입했을 때 안내 메시지 자동 출력하고 방송언어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말기를 구현한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단말이 특정 지역에 진입하면, 상기 방송 데이터의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지역에서 지원하는 언어를 언어 리스트에 추가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언어 추가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지원 언어를 선택하는 경우, 채널의 방송 언어를 상기 선택된 언어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다중언어 지원방법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단말이 특정 지역에 진입하면, 상기 방송 데이터의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지역에서 지원하는 언어를 언어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과, 상기 언어 추가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송 언어를 변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언어 리스트 추가 과정은
단말이 특정 지역에 진입하면, 상기 부가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업데이트된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지역에서 지원하는 별도의 언어가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지원되는 언어가 있으면, 해당 언어를 언어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언어 설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방송모드에 진입하면, 안테나를 통해 방송스트림이 수신되고, 수신된 방송스트림은 방송 수신모듈(140)을 거쳐 디코딩부 (미도시)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디코딩부를 거치면서, 상기 방송스트림의 오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은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로 복호되고, 복호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는 각각 스피커(145)와 디스플레이부(115)를 통해 하나의 완성된 방송 컨텐츠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본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특정 방송채널이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정보(ESG)를 참조한다. 상기 부가정보(ESG)를 참조하여 특정 방송채널(비디오 채널)에 다수의 언어채널 (오디오 채널)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방송채널이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지원 가능한 언어 리스트를 생성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 방송출력 전, 방송언어 설정 및 언어 리스트 표시
상기 방송모드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이 방송모드에 진입하게 되면(S10), CNN, BBC, mspn 등과 같은 방송채널들의 정보가 포함된 ESG TV 가이드(이하, 채널 리스트라 한다)가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S20)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언어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송출력 전에 방송언어를 표시하고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특정 방송채널이 다중언어(Multi Language) 를 지원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다중언어(Multi Language)를 의미하는 아이콘(Icon, ⓜ)을 해당 채널과 함께 표시한다. (S30) 그리고 사용자가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방송채널을 선택하면(S40),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송채널에서 지원 가능한 언어(들)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S50)
상기 지원 가능한 언어가 적어도 둘 이상이고 사용자가 그 중 하나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10)는 그 선택된 언어를 해당 채널의 방송 언어로서 설정한다. (S60)
본발명은 도3A에 도시된 것처럼, 휴대단말이 방송모드로 진입했을 때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언어별로 채널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동일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채널별로 언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4는 휴대단말이 방송모드로 진입했을 때, 언어별로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이 방송모드에 진입하게 되면, 지원 가능한 언어 리스트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는 상기 지원 가능한 언어들 중 하나(예: 프랑스어)를 선택한다. 그러면, 단말의 제어부(110)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랑스어를 지원하는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린다.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면, 선택된 채널의 방송을 프랑스어로 출력한다.
도5는 휴대단말이 방송모드로 진입했을 때, 동일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채널들을 탐색하고 서비스 가능한 언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 다.
휴대단말이 방송모드로 진입하면, 사용자는 먼저 시청하고자 하는 컨텐츠(혹은 프로그램)의 이름(예: 드라마 "LOST")을 입력하여, 상기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채널들을 검색한다. 그리고 해당 채널이 검색되면, 제어부(110)는 검색된 채널들을 도5B와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검색된 채널들 중 다중언어(Multi Language)를 지원하는 채널은 다중언어 아이콘(Icon, 'M')과 함께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다중언어 아이콘이 표시된 채널을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송채널에서 지원 가능한 언어(들)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지원 가능한 언어가 적어도 둘 이상이고 사용자가 그 중 하나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10)는 그 선택된 언어를 해당 채널의 방송 언어로서 설정한다.
본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만일 지원 가능한 언어가 하나일 경우 휴대단말은 상기 다중언어 아이콘(icon, 'M') 대신, 그 언어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는 ⓔ, 프랑스어는 ⓕ, 스페인어는 ⓢ, 중국어는 ⓒ, 한국어는 ⓚ 등의 아이콘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지원 가능한 언어가 음성이 아닌 자막(예: 영어 자막)일 경우에도, 본발명은 상기 언어리스트에 표시가능하며,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막(예: English -- cp))과 음성(예: English)을 구분하여 언어 리스트에 표시한다.
* 방송 중, 방송언어 설정 및 언어 리스트 표시
일단, 방송이 시작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은 방송출력 중에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 가능한 언어를 표시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언어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송 중에 방송언어의 설정을 전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사용자가 단말기 외부에 구비된 특정 기능키(예: 볼륨키)를 누르면, 설정 가능한 언어 리스트를 화면 일측에 표시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휴대단말에 구비된 볼륨키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볼륨키 입력을 감지한 제어부(110)는 볼륨 조절바(Volume Level Control bar)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 이때 사용자가 좌우 방향키를 조작하면 종래와 동일하게 사운드의 볼륨이 조절되지만, 상측이나 하측 방향키를 조작하면 지원 가능한 언어리스트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언어 리스트는 도6C에 도시된 것처럼 여러장의 카드를 겹쳐놓은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도5C에 도시된 것처럼 팝업창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언어리스트를 도6C의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의 상하 방향키 조작에 따라 상기 언어 리스트의 커서는 마치 카드를 넘기는 듯 상하로 스크롤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송언어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송 중에 방송언어의 설정을 전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별도의 방송환경 설정메뉴를 통해 방송 언어를 전환(혹은 설정)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언어를 전환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방송옵션 메뉴 실행을 위한 소프트 키를 입력하면, 이를 감지한 제어부(110)는 방송옵션 메뉴 팝업창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메뉴 팝업창의 다중언어(Multi Language)항목을 선택하면,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원 가능한 언어들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다시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 이후, 사용자가 특정 언어(예: 프랑스어)를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방송언어를 프랑스어로 변경한다.
상기 메뉴 팝업창은 소프트 키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지만, 단말기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기능키의 입력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송언어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송 중에 방송언어의 설정을 전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방송언어를 전환(혹은 설정)한다.
휴대단말이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특정지역(예: 국경지역, 외국어를 사용하는 지방 등)에 진입하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시스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의 위치정보가 변경되고, 이를 감지한 제어부(110)는 ESG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ESG업데이트는 정해진 시간간격으로 규칙적(주기적)으로 수행되지만, 휴대단말이 특정 지역으로 진입한 상황에서는 상기 제어부(110)의 명령에 따라 강제로 수행된다.
이후, 상기 ESG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업데이트된 ESP정보를 참조하여 제어부(110)는 상기 특정 지역에서 제공하는 방송언어를 단말의 지원 가능 언어 리스트에 추가하고, 이에 관한 안내 메시지를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존 방송언어를 유지하거나, 상기 특정지역에서 제공하는 언어로 전환한다. 만일, 사용자가 기존 방송언어를 특정지역에서 제공하는 언어로 전환을 시도했을 때 해당 지역의 언어가 단말에서 지원하지 않는 것이거나 해당 지역의 언어로 전환할 수 없는 경우 제어부(110)는 그 이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본 실시 예에서도,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중 사용자가 방송언어를 전환하고자 방송옵션 메뉴 실행을 위한 소프트 키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3실시예에 기재된 절차가 동일하게 수행된다.
도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방송언어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송 중에 방송언어의 설정을 전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로서, 방송언어 전환(혹은 설정)을 수행한다.
단말 외부에 구비된 특정 기능키(예: 볼륨키)를 누르거나 화면 터치 등에 의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서비스 가능한 언어리스트를 화면 일측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9b는 사용자가 볼륨키를 입력했을 때 볼륨조절 바(Volume Level Control bar)와 언어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휴대단말의 볼륨레벨과 방송언어는 사용자의 화면터치에 의해 선택(혹은 조절)되고, 제어부(110)는 이를 휴대단말기에 적용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스 유닛(110, 제어부), RF모듈(120), 방송 수신모듈(140), 디스플레이부(115), 키입력부(160, 예: 키패드), 스토리지 유닛(130), 스피커(145) 및 마이크(150)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은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스 유닛(110)은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하나의 완성된 방송 컨텐츠가 되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고, 완성된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동작에 이르기 까지 거의 대부분의 동작에 관여하고 제어한다. 본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유닛(110)의 자세한 동작 설명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RF모듈(120)은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단말기 또는 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은 음성, 화상 또는 데이터 통신 등이 될 수 있다. RF모듈(120)은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140)는 무선 신호들의 송수신을 용이하게 한다.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RF모듈(120)는 프로세스 유닛(110)의 처리를 위해,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들을 기저대역 주파수로 변환한다. 상기 무선신호들이 착신 호일 경우, 상기 변환된 신호들은 상기 스피커(145)를 통해 출력된 청취(audible) 및 독출 가능한(readable) 정보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모듈(140)은, 위성파나 지상파 중 적어도 어느 한 방송을 수신하여 마이크(150)나 디스플레이부(115)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방송 수신모듈(140)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상기 스토리지 유닛(13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모듈(140)이 수신할 수 있는 방송에는 라디오 방송, 티브이 방송, 인터넷 방송이 포함되며, 상기 방송의 부가정보 채널을 통해서 채널리스트, 타임테이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과 내용, 출연자 정보를 포함하는 ESG(Electron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5)는 프로세스 유닛(110)의 제어에 의해 단말기의 각종 상태정보 및 기능 수행 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방송 서비스가 제공하는 각종 방송 컨텐츠 영상은 물론, 채널 리스트, 지원 가능 언어 리스트 등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5)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상기 스토리지 유닛(130)은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각종 방송 컨텐츠, 채널 리스트, 지원 가능 언어 리스트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스토리지 유닛(130)은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을 포함한다.
상기 키 입력부(160)는 숫자키, 문자키, 방향키, 그리고 다수의 기능키들(선택 키, 소프트 키, 볼륨 키 등)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키패드 조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에 인가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송출력 전이나 방송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언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방송언어 설정 및 변경이 용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개선하였다.
또한, 단말이 국경지역이나 외국어를 사용하는 지방 등과 같은 특정 지역에 진입하면, 그에 따른 안내 메시지(지원 가능 언어 표시)가 자동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방송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단말이 위치한 지역에서 지원 가능한 언어 리스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상기 언어 리스트에 포함된 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언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언어를 지원하는 채널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들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의 방송을 상기 선택된 언어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상기 언어 리스트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채널의 방송언어를 설정 및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ESG(Electronic Services Gu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들을 출력함에 있어서, 다중 언어를 지원하는 채널과 그렇지 않은 채널이 구분되도록 상기 다중 언어를 지원하는 채널에 다중언어 아이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지원 가능한 언어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상기 언어 리스트에 포함된 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언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언어를 지원하는 채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상기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들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채널의 방송을 상기 선택된 언어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언어 리스트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다중언어 지원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는사용자로부터 방송 환경설정을 위한 소정 키가 입력되면, 해당 메뉴와 상기 언어 리스트를 출력하는 과정과;방송언어 설정을 위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다중언어 지원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단말이 특정 지역에 진입하면, 상기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서 지원하는 언어를 상기 언어 리스트에 추가하고, 언어 추가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이 특정 지역에 진입하면,상기 부가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업데이트된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서 지원하는 별도의 언어가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상기 지원되는 언어를 상기 언어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안내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지원 언어를 선택하는 경우, 채널의 방송 언어를 상기 선택된 언어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키가 입력되면,방송 환경설정을 위한 메뉴와 상기 언어리스트를 출력하는 과정과;사용자가 상기 리스트의 특정 언어를 선택하면, 채널의 방송언어를 상기 선택된 특정 언어로 변경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단말이 특정 지역에 진입하면, 상기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서 지원하는 언어를 상기 언어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과;상기 언어 추가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송 언어를 변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다중언어 지원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리스트 추가 과정은단말이 특정 지역에 진입하면, 상기 부가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업데이트된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지역에서 지원하는 별도의 언어가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지원되는 언어가 있으면, 해당 언어를 상기 언어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다중언어 지원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소정 키가 입력되면,방송 환경설정을 위한 메뉴와 상기 언어리스트를 출력하는 과정과;사용자가 상기 언어 리스트의 특정 언어를 선택하면, 채널의 방송언어를 상기 선택된 특정 언어로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다중언어 지원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ESG(Electronic Services Gu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다중언어 지원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0045A KR101358224B1 (ko) | 2007-06-19 | 2007-06-19 |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방법 |
US12/045,123 US8321212B2 (en) | 2007-06-19 | 2008-03-10 |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language |
DE102008018166A DE102008018166B4 (de) | 2007-06-19 | 2008-04-10 | Endgerät und Verfahren zum Unterstützen einer Mehrsprachigke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0045A KR101358224B1 (ko) | 2007-06-19 | 2007-06-19 |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1730A KR20080111730A (ko) | 2008-12-24 |
KR101358224B1 true KR101358224B1 (ko) | 2014-02-05 |
Family
ID=4013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0045A KR101358224B1 (ko) | 2007-06-19 | 2007-06-19 |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321212B2 (ko) |
KR (1) | KR101358224B1 (ko) |
DE (1) | DE102008018166B4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413233B1 (en) | 2007-11-26 | 2013-04-02 | Adobe Systems Incorporated | Authorizing local application activity using remotely defined security data |
US8281390B1 (en) | 2007-11-26 | 2012-10-02 | Adobe Systems Incorporated | Remotely defining security data for authorization of local application activity |
US8041372B1 (en) * | 2007-11-26 | 2011-10-18 | Adobe Systems Incorporated | Selecting data in a mobile information system |
US8214619B1 (en) | 2007-11-26 | 2012-07-03 | Adobe Systems Incorporated | Memory allocation in a mobile device |
US8677476B2 (en) | 2007-11-26 | 2014-03-18 | Adobe Systems Incorporated | Providing remotely defined security data to a local application extension |
JP4535180B2 (ja) * | 2008-08-26 | 2010-09-01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動作設定方法 |
KR20100062590A (ko) * | 2008-12-02 | 2010-06-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N101770793B (zh) * | 2008-12-31 | 2013-11-06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自动设定语言的方法 |
KR20120033389A (ko) * | 2010-09-30 | 2012-04-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US20120194742A1 (en) * | 2011-01-27 | 2012-08-02 | Sony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teractive information |
US9015032B2 (en) * | 2011-11-28 | 2015-04-2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ultilingual speech recognition and public announcement |
US9571870B1 (en) * | 2014-07-15 | 2017-02-14 | Netflix, Inc. | Automatic detection of preferences for subtitles and dubbing |
US10728599B2 (en) | 2014-12-12 | 2020-07-28 | Arris Enterprise, Llc | Gateway server conditioned media streaming |
US20170135853A1 (en) * | 2015-11-18 | 2017-05-18 | Welter's Co., Ltd. | Far Infrared Hot Air Type Therapeutic Apparatus with Multiple Functions |
CN106730376B (zh) * | 2015-11-23 | 2019-05-28 | 德晃有限公司 | 具多重功能性之远红外线热风式治疗装置 |
JP6970032B2 (ja) * | 2018-02-09 | 2021-11-24 | シャープ株式会社 | 言語設定装置、及び表示装置 |
JP7430166B2 (ja) * | 2021-11-02 | 2024-02-09 | 任天堂株式会社 |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71261A (ko) * | 1998-02-28 | 1999-09-15 | 윤종용 | 디지털 텔레비젼의 방송언어 변환방법 및 그 장치 |
KR20000050398A (ko) * | 1999-01-08 | 2000-08-05 | 구자홍 |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
KR20020029844A (ko) * | 2000-10-14 | 2002-04-20 | 구자홍 | 디지털 티브이의 출력언어 표시방법 |
KR20050119331A (ko) * | 2004-06-16 | 2005-12-21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언어 설정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87813B2 (ja) * | 1996-11-29 | 2005-08-24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表示方法又は情報表示装置 |
SE9604805L (sv) * | 1996-12-27 | 1998-06-28 | Ericsson Telefon Ab L M | En mobil kommunikationsenhet |
JPH11120185A (ja) * | 1997-10-09 | 1999-04-30 | Canon Inc |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
DE19754401A1 (de) | 1997-12-09 | 1999-06-10 | Bosch Gmbh Robert | Empfänger zum Empfang von DAB-Signalen |
DE19844809C1 (de) | 1998-09-30 | 2000-06-29 | Sennheiser Electronic | Verfahren zum Versorgen eines Gebietes mit Informationen sowie Informationssystem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US7051360B1 (en) * | 1998-11-30 | 2006-05-23 | United Video Properties, Inc. |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with selectable languages |
JP2003529845A (ja) * | 2000-03-31 | 2003-10-07 | アミカイ・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ネットワーク経由の多言語翻訳を提供する方法と装置 |
US20030108164A1 (en) * | 2001-02-08 | 2003-06-12 | Laurin Jeremy S. | Simultaneous, multiple digital presentation content block, channel independent presentation controller |
US20020123879A1 (en) * | 2001-03-01 | 2002-09-05 | Donald Spector | Translation system & method |
JP3506177B2 (ja) * | 2001-05-10 | 2004-03-15 | 船井電機株式会社 | 言語切換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デジタル放送受信機 |
US7023821B2 (en) * | 2002-04-12 | 2006-04-04 | Symnbol Technologies, Inc. | Voice over IP portable transreceiver |
US7359861B2 (en) * | 2002-04-24 | 2008-04-15 | Polyglot Systems, Inc. | Inter-language translation device |
WO2003096669A2 (en) * | 2002-05-10 | 2003-11-20 | Reisman Richard R |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multiple coordinated device |
JP4420647B2 (ja) * | 2003-04-15 | 2010-02-24 | シャープ株式会社 | 制御システム |
US20040250293A1 (en) * | 2003-06-09 | 2004-12-09 | Sony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lternate program services |
US7398215B2 (en) * | 2003-12-24 | 2008-07-08 | Inter-Tel, Inc. | Prompt language translation for a telecommunications system |
US7623490B2 (en) * | 2004-12-22 | 2009-11-24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s and methods that utilize a capacity-based signal-to-noise ratio to predict and improve mobile communication |
US8826093B2 (en) * | 2005-01-19 | 2014-09-02 | Qualcomm Incorporated | Power saving method for coded transmission |
US20060253874A1 (en) * | 2005-04-01 | 2006-11-09 | Vulcan Inc. | Mobile interface for manipulating multimedia content |
KR100713478B1 (ko) * | 2005-08-09 | 2007-04-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위치정보를 이용한 디지털방송 채널 검색 장치 및 방법 |
CN101238732B (zh) * | 2005-08-11 | 2012-11-21 | 三星电子株式会社 | 在广播系统中发送/接收广播服务的接入信息的方法和装置及其系统 |
KR100698115B1 (ko) | 2005-10-28 | 2007-03-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로밍 기능을 갖는 모바일 방송단말기 및 로밍 방법 |
KR101179887B1 (ko) * | 2006-02-09 | 2012-09-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설정 방법 및 그 장치 |
US20070239856A1 (en) * | 2006-03-24 | 2007-10-11 | Abadir Essam E | Capturing broadcast sources to create recordings and rich navigations on mobile media devices |
US20070240190A1 (en) * | 2006-04-07 | 2007-10-11 | Marc Arseneau |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the experience of a spectator attending a live sporting event |
US7860516B2 (en) * | 2006-12-05 | 2010-12-28 | Microsoft Corporation | Automatic localization of devices |
US7849481B2 (en) * | 2007-03-29 | 2010-12-07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Notification for interactive content |
-
2007
- 2007-06-19 KR KR1020070060045A patent/KR10135822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
- 2008-03-10 US US12/045,123 patent/US832121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4-10 DE DE102008018166A patent/DE102008018166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71261A (ko) * | 1998-02-28 | 1999-09-15 | 윤종용 | 디지털 텔레비젼의 방송언어 변환방법 및 그 장치 |
KR20000050398A (ko) * | 1999-01-08 | 2000-08-05 | 구자홍 |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
KR20020029844A (ko) * | 2000-10-14 | 2002-04-20 | 구자홍 | 디지털 티브이의 출력언어 표시방법 |
KR20050119331A (ko) * | 2004-06-16 | 2005-12-21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언어 설정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1730A (ko) | 2008-12-24 |
US20080319734A1 (en) | 2008-12-25 |
DE102008018166A1 (de) | 2009-02-19 |
DE102008018166B4 (de) | 2012-02-16 |
US8321212B2 (en) | 2012-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8224B1 (ko) |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방법 | |
KR100829113B1 (ko)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및 방법 | |
US8443397B2 (en) |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 |
JP5372342B2 (ja) |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 |
EP1868359A2 (en) | Wallpaper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channel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 |
EP1734750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 |
JP4845518B2 (ja) | 放送受信方法および装置 | |
KR101373336B1 (ko) |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 |
KR100735327B1 (ko) |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 |
JP2006081186A (ja) | 端末機の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チャンネル情報表示装置及び方法 | |
US20080134241A1 (en) |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enlarg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on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broadcast receiver | |
KR100846284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 정보 공유 방법 | |
KR100693653B1 (ko) | 지상파 dmb수신기에 채널 튜닝 시 서비스 맵 구현방법 | |
JP5340699B2 (ja) | 車載用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ータ放送表示方法 | |
KR101176501B1 (ko) |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방송관련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276833B1 (ko) |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 |
KR100810238B1 (ko) |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듀얼 튜너를 이용하여수신기능을 향상시키는 dmb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080058719A (ko) |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선호 방송 프로그램 알림 방법 | |
JP4284227B2 (ja) |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の選局方法 | |
KR100713448B1 (ko) |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출력 방법 | |
KR100737096B1 (ko) | Dmb 수신기에서 채널 탐색 방법 | |
JP2006013967A (ja) |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 |
KR101184477B1 (ko) | 프로그램 타입의 우선순위에 따른 채널 자동 전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 |
KR101285657B1 (ko) |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방송자막 제공 방법 | |
EP1835643A1 (en) | Method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first and second digital broadcast data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