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347B1 -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3347B1 KR101313347B1 KR1020137021756A KR20137021756A KR101313347B1 KR 101313347 B1 KR101313347 B1 KR 101313347B1 KR 1020137021756 A KR1020137021756 A KR 1020137021756A KR 20137021756 A KR20137021756 A KR 20137021756A KR 101313347 B1 KR101313347 B1 KR 1013133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
- flat
- heat exchanger
- heat transfer
- bulg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5000012773 waff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9 bra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28F1/128—Fins with openings, e.g. louvered f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attachable to the el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28F17/005—Means for draining condensates from heat exchangers, e.g. from evapo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1/02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with multiple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5/00—Fins
- F28F2215/12—Fins with U-shaped slots for laterally inserting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전열부(37)에는, 통풍로(38)측을 향해 팽출하며 또한, 공기의 통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팽출부(51, 52, 53)가, 공기의 통과 방향으로 배열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편평관(扁平管)과 핀(fin)을 구비하고, 편평관을 흐르는 유체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편평관과 핀을 구비한 열교환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열교환기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편평관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로 나열되고, 판형상의 핀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편평관의 신장(伸長)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와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열교환기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편평관이 서로 소정의간격을 두고 상하로 나열되고, 인접하는 편평관 사이에 코루게이트 핀(corrugate fin)이 1개씩 설치된다. 이들 열교환기에서는, 핀과 접촉하면서 흐르는 공기가, 편평관내를 흐르는 유체와 열교환한다.
통상, 이 종류의 열교환기 핀에는, 전열(傳熱)을 촉진하기 위한 루버(louver)가 형성된다. 이 루버는, 핀의 일부를 잘라 세움으로써 형성된다. 핀의 전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루버의 길이를 가능한 한 길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래서, 특허문헌 2의 도 2와 특허문헌 3의 도 4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열교환기 핀에서는, 거의 핀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된 루버가 공기의 통과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그런데,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에는, 냉매를 실외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공기 조화기의 난방운전 중에는,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실외 열교환기에서의 냉매의 증발온도가 0℃를 하회하면, 공기 중의 수분이 서리(즉, 얼음)가 되어 실외 열교환기에 부착된다. 그래서, 외기기온이 낮은 상태의 난방운전 중에는, 실외 열교환기에 부착된 서리를 녹이기 위한 서리 제거 동작이, 예를 들어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행해진다. 서리 제거 동작 중에는, 고온의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로 공급되어, 실외 열교환기에 부착된 서리가 냉매에 의해 데워져 융해(融解)한다. 그 결과, 실외 열교환기에 부착되어 있던 서리는, 융해되어 드레인 수가 되고 실외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편평관이 상하로 나열된 열교환기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 열교환기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열교환기에서는, 편평관의 평탄한 측면이 상향으로 되므로, 편평관 상에 드레인 수가 저류(貯留)되기 쉽다. 특히, 핀의 표면에 복수의 루버를 형성하면, 루버의 잘라 세움에 수반하여 형성되는 가늘고 긴 슬릿(slit) 사이에 드레인 수가 들어가 저류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핀 주변에 드레인 수가 체류(滯留)되면, 냉매로부터 서리로의 열 이동이 드레인 수에 의해 저해되고, 서리가 녹을 때까지 필요한 시간이 길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편평관이 상하로 나열된 열교환기에 있어서, 드레인 수의 배출을 촉진시켜 서리 제거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는 데 있다.
제 1 발명은, 평탄한 측면이 대향하도록 상하로 배열되어, 내부에 유체의 통로(34)가 형성되는 복수의 편평관(33)과, 인접하는 상기 편평관(33) 사이를 공기가 흐르는 복수의 통풍로(38)로 구획하는 복수의 핀(35, 36)을 구비하고, 이 복수의 핀(35, 36)은, 인접하는 상기 편평관(33)의 한쪽에서 다른 쪽에 걸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풍로(38)의 측벽(側壁)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열부(37)와, 이 전열부(37)의 풍하(風下)측 단부(端部)와 연결되어 배수 경로를 형성하는 풍하측 판부(板部)(42, 47)를 갖는 열교환기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이 열교환기는, 상기 복수의 전열부(37)에, 상기 통풍로(38)측을 향해 팽출(膨出)하고 또한, 공기의 통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팽출부(51, 52, 53)가, 이 공기의 통과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서는, 열교환기(30)에 편평관(33)과 핀(35, 36)이 복수개씩 설치된다. 상하로 배열된 편평관(33) 사이에는, 핀(35, 36)의 전열부(37)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편평관(33)의 사이에는 통풍로(38)가 구획된다. 열교환기(30)에서는, 통풍로(38)를 흐르는 공기와, 편평관(33) 내의 통로(34)를 흐르는 유체가 열교환한다.
본 발명의 전열부(37)에는, 통풍로(38)측을 향해 팽출하는 복수의 팽출부(51, 52, 53)가, 통풍로(38)의 통풍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들 복수의 팽출부(51, 52, 53)에 의해 전열부(37)의 전열성능이 증대한다.
그런데, 편평관(33) 내를 흐르는 유체의 온도가 0℃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공기 중의 수분이 서리가 되어 전열부(37)의 표면에 부착한다. 이 서리를 녹이는 서리 제거 중에는, 전열부(37) 표면에서 융해된 물(드레인 수)이 발생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열부(37)의 팽출부(51, 52, 53)는, 종래 예의 루버와 같이 전열부(37)를 잘라 세워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팽출부(51, 52, 53)에는, 드레인 수가 저류되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팽출부(51, 52, 53) 근방의 드레인 수는 빠르게 풍하측으로 흐른다. 이 드레인 수는, 풍하측 판부(42, 47)의 벽면을 따르도록 하여 하방으로 배출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팽출부(51, 52, 53)는, 상기 통풍로(38)의 풍상(風上)측에 형성되는 풍상측 팽출부(51)와, 상기 통풍로(38)의 풍하측에 형성되는 풍하(風下)측 팽출부(53)를 포함하고, 상기 전열부(37)에서는, 상기 풍상측 팽출부(51)와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부(51a)의 높이가, 상기 풍하측 팽출부(53)와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부(53a)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의 전열부(37)에는, 풍상측 쪽의 풍상측 팽출부(51)와, 풍하측 쪽의 풍하측 팽출부(53)가 형성된다. 편평관(33)을 흐르는 유체의 온도가 0℃를 하회하여, 전열부(37) 표면에 서리가 부착한 경우, 풍상측 팽출부(51)가 풍하측 팽출부(53)보다 착상량(着霜量, frost formation)이 많아진다. 따라서, 서리 제거 중에는, 풍상측 팽출부(51)에서 발생하는 드레인 수의 양이, 풍하측 팽출부(53)에서 발생하는 드레인 수의 양보다 많아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풍상측 팽출부(51)의 하측에 형성되는 평탄부(51a)의 높이를, 풍하측 팽출부(53)의 하측에 형성되는 평탄부(53a)보다 크게 한다. 때문에, 서리 제거 중에는, 풍상측 팽출부(51)의 근방에서 다량으로 생성된 드레인 수가, 그 하측의 평탄부(51a)를 따르도록 하방으로 빠르게 흘러 내린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팽출부(51, 52, 53)와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부(51a, 52a, 53a)의 높이는,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에서는, 복수의 팽출부(51, 52, 53)의 하측에 형성되는 평탄부(51a, 52a, 53a)의 높이가, 풍상에서 풍하를 향함에 따라 작아진다. 즉, 인접하는 전열부(37) 사이에서는, 평탄부(51a, 52a, 53a)를 따라 형성되는 틈새의 높이가, 풍하측에서 작게 되어 간다. 때문에, 서리 제거 중에 있어서, 풍상측의 팽출부(51) 근방에서 발생한 드레인 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전열부(37)의 풍하측으로 빨려 들어간다.
제 4 발명은,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51, 52, 53)는, 이 팽출부(51, 52, 53)의 하단이 이 팽출부(51, 52, 53)의 상단보다 풍하쪽에 위치하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에서는, 팽출부(51, 52, 53)가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며, 이 팽출부(51, 52, 53)의 하단이 그 상단보다 풍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서리 제거 중에 팽출부(51, 52, 53) 근방에서 발생한 드레인 수는, 팽출부(51, 52, 53)에 안내되도록 하여 풍하측을 향해 흘러 내려간다.
제 5 발명은,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팽출부(51, 52, 53) 중 적어도 하나의 팽출부(51, 52)와, 이 팽출부(51, 52)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부(51a, 52a)의 높이는,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에서는, 복수의 팽출부(51, 52, 53) 중 적어도 1개의 팽출부(51, 52)의 하측에 형성되는 평탄부(51a, 52a)의 높이가,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아진다. 즉, 인접하는 전열부(37) 사이에서는, 평탄부(51a, 52a, 53a)를 따라 형성되는 틈새의 높이가, 풍하측을 향해 서서히 작아져 간다. 때문에, 서리 제거 중에 있어서, 팽출부(51, 52) 근방에서 발생한 드레인 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전열부(37)의 풍하측으로 빨려 들어간다.
제 6 발명은,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핀(36)은, 상기 편평관(33)을 끼워 넣기 위한 복수의 노치(notch)부(45)가 풍상측에 배치된 판형상에 형성되고, 편평관(33)의 신장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노치부(45)의 주연(周緣)에 의해 상기 편평관(33)을 사이에 끼우고, 상기 핀(36)에서는, 상하로 인접하는 노치부(45) 사이의 부분이 상기 전열부(37)를 구성하고, 이 전열부(37)의 풍하측 단부와 연속하여 상하로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풍하측 판부(47)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에서는, 상하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열부(37)의 풍하측에, 이 복수의 전열부와 연속하도록 풍하측 판부(47)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일체적인 세로로 긴 핀(36)이 형성된다. 이들 핀(36)의 노치부(45) 주연에 의해 편평관(33)이 끼워짐으로써, 인접하는 편평관(33)과, 각 전열부(37) 사이에 복수의 통풍로(38)가 구획된다.
제 7 발명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풍하측 판부(47)에는, 상기 복수 전열부(37)의 풍하측 단부를 따르도록 연장되는 리브(5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에서는, 서리 제거 중에 각 전열부(37)에서 발생한 드레인 수가 풍하측 판부(47)로 흐르면, 이 드레인 수는 리브(57)에 안내되도록, 하방으로 흘러 내린다.
제 8 발명은, 제 6 또는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36)에는, 통풍로(38)측을 향해 잘라 세워지는 잘라 세움부(61, 62)가 형성되고, 이 잘라 세움부(61a, 62a)의 잘라 세운 면(61a, 62a)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에서는, 핀(36)에 잘라 세움부(61, 62)가 형성된다. 이 잘라 세움부(61, 62)의 선단(先端)을, 인접하는 핀(36)에 접촉시킴으로써, 인접하는 2개의 핀(36)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잘라 세움부(61, 62)를 형성하면, 서리 제거 중에 생성된 드레인 수가 잘라 세움부(61, 62) 상면(上面)에 유지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잘라 세움부(61, 62)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므로, 잘라 세움부(61, 62) 상면의 드레인 수는 빠르게 하방으로 흘러 내려간다.
제 9 발명은, 공기 조화기(10)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한 발명의 열교환기(30)가 설치된 냉매 회로(20)를 구비하고, 상기 냉매 회로(2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것이다.
제 9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한 발명의 열교환기(30)가 냉매 회로(20)에 접속된다. 열교환기(30)에서, 냉매 회로(20)를 순환하는 냉매는, 편평관(33)의 통로(34)를 흘러, 통풍로(39)를 흐르는 공기와 열교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핀(35, 36)에 있어서, 전열부(37)의 일부를 통풍로(38)측으로 팽출시켜 복수의 팽출부(51, 52, 53)를 형성한다. 때문에, 팽출부(51, 52, 53)에 의해 공기와 유체의 전열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팽출부(51, 52, 53)는, 종래 예의 루버와 같은, 전열부에 슬릿을 형성하여 잘라 세우는 형상으로 되어 있지 않는다. 이로써, 팽출부(51, 52, 53)에서는, 서리 제거 시에 서리가 융해하여 발생한 드레인 수가 저류되기 어려우므로, 이 드레인 수를 빠르게 풍하측으로 흘려 보낼 수 있다. 그 결과, 서리 제거 시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에서는, 풍상측 팽출부(51) 하측의 평탄부(51a) 높이를, 풍하측 팽출부(53) 하측의 평탄부(53a) 높이보다 크게 한다. 풍상측 팽출부(51) 표면에서는, 특히 착상량이 많아지고, 서리 제거 시에 발생하는 드레인 수도 많아진다. 그러나, 풍상측 팽출부(51) 하측에서는, 평탄부(51a)를 따라 형성되는 틈새가 충분히 확보되므로, 풍상측 팽출부(51)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드레인 수를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다.
제 3 발명에서는, 풍하측 평탄부(53a)의 높이를 작게 함으로써, 하측 편평관(33)의 상면에 저류된 드레인 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풍하측으로 빨려 들게 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서는, 팽출부(51, 52, 53)의 하단이 상단보다 풍하쪽에 위치하도록, 팽출부(51, 52, 53)를 경사시킨다. 때문에, 팽출부(51, 52, 53) 표면에서 융해된 물을 풍하측으로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다.
제 5 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팽출부(51, 52) 하측의 평탄부(51a, 52a)의 높이를,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작게 함으로써, 편평관(33)의 상면에 저류된 드레인 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풍하측으로 빨려 들게 할 수 있다.
제 7 발명에서는, 상하로 배열되는 전열부(37)의 풍하측 단부를 풍하측 판부(47)에 의해 연결하고, 이 풍하측 판부(47)에 리브(57)를 형성한다. 때문에, 전열부(37)에서 풍하측 판부(47)측으로 흐른 드레인 수를 리브(57) 표면에 포집(捕集)하여, 이 리브(57)를 따라 드레인 수를 하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 8 발명에서는, 핀(36)에 잘라 세움부(61, 62)를 형성함으로써, 이 잘라 세움부(61, 62)를 인접하는 핀(36) 사이의 스페이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잘라 세움부(61, 62)의 잘라 세운 면(61a, 62a)을 수평면에 대해 경사시킴으로써, 수평면 상측에 드레인 수가 저류되어 버리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냉매 회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정면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열교환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단면을 나타내는 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정면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열교환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 단면을 나타내는 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정면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열교환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단면을 나타내는 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정면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열교환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 단면을 나타내는 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는, 후술하는 공기 조화기(10)의 실외 열교환기(23)를 구성한다.
-공기 조화기-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10)에 대해,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의 구성>
공기 조화기(10)는, 실외유닛(11) 및 실내유닛(12)을 구비한다. 실외유닛(11)과 실내유닛(12)은, 액측 연결배관(13) 및 가스측 연결배관(14)을 통해 서로 접속된다. 공기 조화기(10)에서는, 실외유닛(11), 실내유닛(12), 액측 연결배관(13), 및 가스측 연결배관(14)에 의해, 냉매 회로(20)가 형성된다.
냉매 회로(20)에는, 압축기(21)와, 사방전환밸브(22)와, 실외 열교환기(23)와, 팽창밸브(24)와, 실내 열교환기(25)가 배치된다. 압축기(21), 사방전환밸브(22), 실외 열교환기(23), 및 팽창밸브(24)는, 실외유닛(11)에 수용된다. 실외유닛(11)에는, 실외 열교환기(23)로 실외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실외팬(15)이 설치된다. 한편, 실내 열교환기(25)는, 실내유닛(12)에 수용된다. 실내유닛(12)에는, 실내 열교환기(25)로 실내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실내팬(16)이 설치된다.
냉매 회로(20)는, 냉매가 충전(充塡)된 폐회로이다. 냉매 회로(20)에 있어서, 압축기(21)는, 그 토출측이 사방전환밸브(22)의 제 1 포트로, 그 흡입측이 사방전환밸브(22)의 제 2 포트로, 각각 접속된다. 또, 냉매 회로(20)에서는, 사방전환밸브(22)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실외 열교환기(23)와, 팽창밸브(24)와, 실내 열교환기(25)가 배치된다.
압축기(21)는, 스크롤형 또는 로터리형의 전(全)밀폐형 압축기(21)이다. 사방전환밸브(22)는, 제 1 포트가 제 3 포트와 연통하며 또한, 제 2 포트가 제 4 포트와 연통하는 제 1 상태(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제 1 포트가 제 4 포트와 연통하며 또한, 제 2 포트가 제 3 포트와 연통하는 제 2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한다. 팽창밸브(24)는, 이른바 전자 팽창밸브(24)이다.
실외 열교환기(23)는, 실외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킨다. 실외 열교환기(23)는,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실내 열교환기(25)는, 실내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킨다. 실내 열교환기(25)는, 원관(圓管)인 전열관(傳熱管)을 구비한 이른바, 크로스 핀형 핀앤튜브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된다.
<냉방운전>
공기 조화기(10)는, 냉방운전을 행한다. 냉방운전 중에는, 사방전환밸브(22)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또, 냉방운전 중에는, 실외팬(15) 및 실내팬(16)이 운전된다.
냉매 회로(20)에서는, 냉동 사이클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사방전환밸브(22)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23)로 유입하여, 실외공기로 방열하고 응축된다. 실외 열교환기(23)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팽창밸브(24)를 통과할 시에 팽창하고 나서 실내 열교환기(25)로 유입하여, 실내공기로부터 흡열하고 증발된다. 실내 열교환기(25)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사방전환밸브(22)를 통과 후에 압축기(21)로 흡입되고 압축된다. 실내유닛(12)은, 실내 열교환기(25)에서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공급한다.
<난방운전>
공기 조화기(10)는, 난방운전을 행한다. 난방운전 중에는, 사방전환밸브(22)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또, 난방운전 중에는, 실외팬(15) 및 실내팬(16)이 운전된다.
냉매 회로(20)에서는, 냉동 사이클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사방전환밸브(22)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25)로 유입하여, 실내공기로 방열하고 응축된다. 실내 열교환기(25)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팽창밸브(24)를 통과할 시에 팽창하고 나서 실외 열교환기(23)로 유입하여, 실외공기로부터 흡열하고 증발된다. 실외 열교환기(23)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사방전환밸브(22)를 통과 후에 압축기(21)로 흡입되고 압축된다. 실내유닛(12)은, 실내 열교환기(25)에서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서리 제거 동작>
상술한 바와 같이, 난방운전 중에는, 실외 열교환기(23)가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외기기온이 낮은 운전조건에서는, 실외 열교환기(23) 냉매의 증발온도가 0℃를 하회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실외공기 중의 수분이 서리가 되어 실외 열교환기(23)에 부착한다. 그래서, 공기 조화기(10)는, 예를 들어 난방운전의 지속시간이 소정값(예를 들어, 수십 분)에 도달할 때마다, 서리 제거 동작을 행한다.
서리 제거 동작을 개시할 시에는, 사방전환밸브(22)가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전환하고, 실외팬(15) 및 실내팬(16)이 정지한다. 서리 제거 동작 중의 냉매 회로(20)에서는,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 고온의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23)로 공급된다. 실외 열교환기(23)에서는, 그 표면에 부착된 서리가 냉매에 의해 데워져 융해된다. 실외 열교환기(23)에서 방열한 냉매는, 팽창밸브(24)와 실내 열교환기(25)를 차례로 통과하여, 그 후에 압축기(21)로 흡입되고 압축된다. 서리 제거 동작이 종료하면, 난방운전이 재개된다. 즉, 사방전환밸브(22)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전환하고, 실외팬(15) 및 실내팬(16)의 운전이 재개된다.
-제 1 실시형태의 열교환기-
공기 조화기(10)의 실외 열교환기(23)를 구성하는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에 대해, 도 2∼도 6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열교환기의 전체 구성>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는, 하나의 제 1 헤더(header) 집합관(31)과, 하나의 제 2 헤더 집합관(32)과, 다수의 편평관(33)과, 다수의 핀(35)을 구비한다. 제 1 헤더 집합관(31), 제 2 헤더 집합관(32), 편평관(33), 및 핀(35)은, 모두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고, 서로 납땜(brazing)에 의해 접합된다.
제 1 헤더 집합관(31)과 제 2 헤더 집합관(32)은, 모두 양단(兩端)이 폐색(閉塞)된 가늘고 긴 중공(中空)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열교환기(30)의 좌측단에는 제 1 헤더 집합관(31)이 세워 설치되고, 열교환기(30)의 우측단에는 제 2 헤더 집합관(32)이 세워 설치된다. 즉, 제 1 헤더 집합관(31)과 제 2 헤더 집합관(32)은, 각각의 축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되는 자세로 설치된다.
도 4에도 나타내듯이, 편평관(33)은, 그 단면(斷面)형상이 편평한 장원형(長圓形)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으로 된 전열관이다. 열교환기(30)에 있어서, 복수의 편평관(33)은, 그 신장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되고, 또한 각각의 평탄한 측면이 서로 마주 보는 자세로 배치된다. 또, 복수의 편평관(33)은, 서로 일정의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된다. 각 편평관(33)은, 그 일단(一端)부가 제 1 헤더 집합관(31)에 삽입되고, 그 타단(他端)부가 제 2 헤더 집합관(32)에 삽입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각 편평관(33)에는, 복수의 유체통로(34)가 형성된다. 각 유체통로(34)는, 편평관(33)의 신장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편평관(33)에서, 복수의 유체통로(34)는, 편평관(33)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에 일렬로 나열된다. 각 편평관(33)에 형성된 복수의 유체통로(34)는, 각각의 일단(一端)이 제 1 헤더 집합관(31)의 내부공간에 연통하고, 각각의 타단(他端)이 제 2 헤더 집합관(32)의 내부공간에 연통한다. 열교환기(30)로 공급된 냉매는, 편평관(33)의 유체통로(34)를 흐르는 동안에 공기와 열교환한다.
핀(35)은, 상하로 사행(蛇行)하는 코루게이트 핀이고, 상하로 인접하는 편평관(33) 사이에배치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나, 핀(35)에는, 전열부(37)와 중간 판부(41)가 복수개씩 형성된다. 각 핀(35)에서는, 그 중간 판부(41)가 납땜에 의해 편평관(33)에 접합된다.
<핀의 구성>
도 6에 나타내듯이, 핀(35)은, 일정 폭의 금속판을 절곡(折曲)함으로써 형성된 코루게이트 핀이고, 상하로 사행하는 물결판 모양으로 된다. 핀(35)에는, 편평관(33)의 신장방향을 따라, 전열부(37)와 중간 판부(41)가 교대로 형성된다. 즉, 핀(35)에는, 인접하는 편평관(33) 사이에 배치되어 편평관(33)의 신장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전열부(37)가 형성된다. 또, 핀(35)에는, 풍하측에 돌출 판부(42)가 형성된다.
전열부(37)는, 상하로 인접하는 편평관(33)의 한쪽에서부터 다른 쪽에 걸친 판형상 부분이다. 전열부(37)는, 인접하는 편평관(33) 사이에 각각 구획되는 통풍로(38)의 측벽(側壁)을 구성한다. 전열부(37)에서는, 풍상측의 단부가 전연(前緣)(39)이 된다. 중간 판부(板部)(41)는, 편평관(33)의 평탄한 측면을 따른 판형상의 부분이고, 좌우로 인접하는 전열부(37)의 상단끼리 또는 하단끼리가 연속된다. 전열부(37)와 중간 판부(41)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직각이 된다.
돌출 판부(42)는, 각 전열부(37)의 풍하측 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판형상의 부분이다. 돌출 판부(42)는, 상하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편평관(33)보다 풍하측으로 돌출된다. 또, 돌출 판부(42)는, 그 상단이 전열부(37)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그 하단이 전열부(37)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열교환기(30)에서는, 편평관(33)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인접하는 핀(35)의 돌출 판부(42)가, 서로 접촉한다. 돌출 판부(42)는, 상하로 이어짐으로써 드레인 수의 배수 경로를 형성하는 풍하측 판부를 구성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핀(35)의 전열부(37) 및 돌출 판부(42)에는, 복수의 와플(waffle)부(51, 52, 53)가 형성된다. 와플부(51, 52, 53)는, 상하로 세로로 길게 형성된 팽출부를 구성한다. 와플부(51, 52, 53)는, 통풍로(38)측을 향해 팽출(膨出)시킴으로써 능선(稜線)이 공기의 통풍방향과 교차되는 산형으로 형성된다. 와플부(51, 52, 53)는, 전열부(37)의 일부를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소성(塑性) 변형시킴으로써 성형된다. 각 와플부(51, 52, 53)는, 그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풍하쪽에 위치하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와플부(51, 52, 53)는, 상하로 세로로 긴 한 쌍의 사다리꼴형 면(54, 54)과, 상하로 편평한 한 쌍의 삼각면(55, 55)을 갖는다. 한 쌍의 사다리꼴형 면(54, 54)은, 이들 사이에 능선을 이루는 산접기(mountain fold)부(56)를 형성하도록 통풍방향에 인접한다. 한 쌍의 삼각면(55, 55)은, 산접기부(56)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형성된다.
전열부(37)에서는,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해 복수의 와플부(51, 52, 53)가 나열되어 형성된다. 이들 와플부(51, 52, 53)는, 전열부(37)의 풍상측에 형성되는 하나의 풍상측 와플부(51)와, 전열부(37)의 풍하측에 형성되는2개의 풍하측 와플부(53, 53)와, 풍상측 와플부(51)와 풍하측 와플부(53) 사이에 형성되는 1개의 중간 와플부(52)에 의해 구성된다. 풍상측 와플부(51)는, 복수의 와플부(51, 52, 53) 중 가장 풍상측에 형성되는 풍상측 팽출부를 구성한다. 풍하측 와플부(53, 53)은, 복수의 와플부(51, 52, 53) 중 가장 풍하측에 형성되는 풍하측 팽출부를 구성한다.
풍상측 와플부(51) 상단은, 풍하측 와플부(53)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또, 중간 와플부(52) 상단과 풍하측 와플부(53)의 상단은, 대략 동일 높이이다. 풍상측 와플부(51)의 상단, 중간 와플부(52)의 상단, 및 풍하측 와플부(53)의 상단은, 상측 편평관(33)의 평탄면과 거의 평행으로 된다.
풍상측 와플부(51) 하단은, 풍하측 와플부(53)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풍상측 와플부(51) 하단은, 풍상측보다 풍하측이 낮은 위치가 되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다. 중간 와플부(52)의 하단도, 풍상측보다 풍하측이 낮은 위치가 되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다. 풍하측 와플부(53)의 하단은, 편평관(33)의 평탄면과 거의 평행으로 된다.
핀(35)에는, 와플부(51, 52, 53)보다 하류측에 도수(導水)용 리브(57)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수용 리브(57)는, 각 돌출 판부(42)에 각각 1개씩 형성된다. 도수용 리브(57)는, 돌출 판부(42)의 풍하측 단부를 따라 상하로 연장된다. 도 5에 나타내듯이, 도수용 리브(57)는, 돌출 판부(42)의 한쪽 면에 볼록 돌기(57a)를 형성하고, 다른 쪽 면에 오목홈(57b)을 형성한다. 상하로 인접하는 각 돌출 판부(42), 및 편평관(33)의 신장방향에 인접하는 각 돌출 판부(42)에서는, 모두 동일 측의 측면에 각각 볼록 돌기(57a)가 형성된다. 또, 상하에 인접하는 도수용 리브(57)는, 수직방향에서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수용 리브(57) 상단이 돌출 판부(42)의 상단보다 약간 낮은 위치이고, 도수용 리브(57)의 하단은 돌출 판부(42)의 하단보다 약간 높은 위치이다. 그리고, 각 도수용 리브(57)를 돌출 판부(42)의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 형성하여도 된다.
전열부(37)의 측면 중 와플부(51, 52, 53)와 도수용 리브(57)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평탄한 면이 된다. 각 와플부(51, 52, 53)의 하단과, 이 와플부(51, 52, 53)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에는, 평탄부(51a, 52a, 53a)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열부(37)에서는, 풍상측 와플부(51) 하단과,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에 제 1 평탄부(51a)가 형성되고, 중간 와플부(52)의 하단과,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에 제 2 평탄부(52a)가 형성되며, 풍하측 와플부(53)의 하단과,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에 제 3 평탄부(53a)가 형성된다. 전열부(37)에서는, 제 1 평탄부(51a)의 높이가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아진다. 또, 전열부(37)에서는, 제 2 평탄부(52a)의 높이도,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아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팽출부(51, 52, 53, 53) 중 2개의 팽출부(51, 52) 하단과, 이들 팽출부(51, 52)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의 2개의 평탄부(51a, 52a) 높이가, 각각,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아진다. 또한, 전열부(37)에서는, 제 1 평탄부(51a)의 높이가 제 3 평탄부(53a)의 높이보다 크게 된다. 그리고, 4개의 팽출부(51, 52, 53, 53) 중 1개만 하측 평탄부의 높이를,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게 하여도 되고, 3개 이상의 평탄부 높이를, 각각,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게 하여도 된다.
-서리 제거 동작 중의 서리와 드레인 수의 상태-
상술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는, 공기 조화기(10)의 실외 열교환기(23)를 구성한다. 공기 조화기(10)는 난방운전을 행하나, 실외 열교환기(23) 냉매의 증발온도가 0℃를 하회하는 운전상태에서는, 실외 공기 중의 수분이 서리가 되어 실외 열교환기(23)에 부착한다. 때문에, 공기 조화기(10)는, 실외 열교환기(23)에 부착된 서리를 녹이기 위한 서리 제거 동작을 행한다. 서리 제거 동작 중에는, 서리가 융해(融解)함으로써 드레인 수가 생성된다.
서리 제거 동작의 개시 직전에는, 핀의 전열부(37)에 다량의 서리가 부착하여, 인접하는 전열부(37) 사이의 공간이 서리에 의해 거의 막힌 상태가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전열부(37)에서는, 특히 풍상측 쪽에 형성되는 풍상측 와플부(51) 표면의 착상량이 많아진다. 그러나, 풍상측와플부(51)의 하측에는, 제 1 평탄부(51a)를 따라 틈새가 형성되고, 이 틈새를 공기가 흐르기 쉽게 된다. 때문에, 전열부(37)에서는, 중간 와플부(52)의 하부와 풍하측 와플부(53) 하부에도 공기 중의 수분이 서리로서 부착되기 쉬워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에서는, 풍상측 와플부(51) 하측의 제 1 평탄부(51a)의 높이를 제 2 평탄부(52a)와 제 3 평탄부(53a)보다 크게 함으로써, 전열부(37)의 풍상측 영역에만 서리가 집중하여 부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난방 운전 중에, 서리의 국소적인 부착에 기인하여 열교환기(30)의 성능이 손상될 때까지의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난방운전이 개시되고 나서 서리 제거 동작이 개시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지므로, 난방운전의 지속시간도 길어진다.
서리 제거 동작이 개시되면, 열교환기(30)에 부착된 서리는, 냉매에 의해 데워져 점차 녹아간다. 상술과 같이, 전열부(37)에서는, 특히 풍상측 와플부(51) 표면의 착상량이 많아지므로, 이 영역에서 융해하는 물(드레인 수)의 양도 많아진다. 이에 대해, 풍상측 와플부(51)의 하측 제 1 평탄부(51a)는, 그 높이가, 다른 평탄부(52a, 53a)의 높이보다 크게 된다. 때문에, 풍상측 와플부(51)의 하측에는, 드레인 수를 배출하기 위한 틈새가 충분히 확보된다. 따라서, 풍상측 와플부(51)에 부착된 서리가 녹음으로써 생성된 드레인 수는, 제 1 평탄부(51a)를 따라 빠르게 하방으로 흘러 내려가고, 하측 편평관(33)의 상면에까지 도달한다.
이와 같이 하여 드레인 수를 빠르게 하방으로 배출하면, 전열부(37)의 열이 풍상측 와플부(51)의 표면에 잔존하는 서리로 이동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풍상측 와플부(51) 표면의 서리 융해에 필요한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서리 제거 동작의 지속시간도 짧아진다.
통상, 서리 제거 동작 종료 직후의 열교환기(30)에서, 서리는 잔존하지 않으나, 드레인 수는 존재하는 상태가 된다. 서리 제거 동작 중에 생성된 드레인 수는, 풍하측으로 흘러간다. 이 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탄부(51a, 52a, 53a)의 높이가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며, 특히 가장 풍하측인 제 3 평탄부(53a)의 높이가 작아진다. 때문에, 편평관(33)의 상면에 저류된 드레인 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풍하측으로 빨려 들어간다. 즉, 서리 제거 동작 중에는 실외팬(15)이 정지되고, 편평관(33)의 상면이 대략 수평면으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드레인 수가 풍하측으로 이동되어 간다.
또, 복수의 와플부(51)는, 각각의 하단이, 각각의 상단보다 풍하측에 위치하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때문에, 와플부(51)의 표면에서 융해한 드레인 수는, 각 와플부(51)의 경사방향을 따르도록 풍하측으로 이동되어 간다.
풍하측으로 이동한 드레인 수는, 돌출 판부(42)의 도수용 리브(57)에 도달한다. 이 드레인 수는, 도수용 리브(57)의 볼록 돌기(57a)의 표면, 또는 오목홈(57b)의 내부를 따라,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흘러 내려간다. 돌출 판부(42)를 흘러 내린 드레인 수는, 이 하측의 돌출 판부(42)의 도수용 리브(57)에 안내되어 더욱 하방으로 흘러 내려간다. 이에 따라, 드레인 수는,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핀(35)까지 흘러 내리고, 그 후에 드레인 팬 등의 배수 경로로 보내진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전열부(37)에 복수의 와플부(51, 52, 53)를 형성한다. 이 와플부(51, 52, 53)는, 전열부(37)의 일부를 통풍로(38)측을 향해 팽출시킨 형상으로, 예를 들어 종래 예의 루버와 같은, 전열부(37)에 슬릿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리가 융해되어 생성된 드레인 수가 전열부(37)의 슬릿에 저류되어 버리는 것 회피할 수 있어, 드레인 수를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다.
특히, 상술과 같이, 풍상측 와플부(51) 하측의 제 1 평탄부(51a) 높이를, 풍하측 와플부(53) 하측의 제 3 평탄부(53a)보다 높게 함으로써, 풍상측 와플부(51)에만 서리가 집중적으로 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난방운전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풍상측 와플부(51)의 표면에서 발생한 드레인 수를 제 1 평탄부(51a)를 따라 하방으로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 제 3 평탄부(53a)의 높이를 작게 함으로써, 편평관(33) 상측에 저류된 드레인 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빠르게 풍하측으로 보낼 수 있다. 또한, 각 와플부(51, 52, 53)를 도 4와 같이 경사시킴으로써, 각 와플부(51, 52, 53)의 표면에서 융해된 드레인 수를 풍하측으로 빠르게 안내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서리 제거 동작 시 드레인 수의 배출시간을 단축화하면, 서리의 융해에 필요한 시간도 단축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리 제거 동작의 실행 시간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이에 수반하여 난방운전의 실행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는, 제 1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와 마찬가지로, 공기 조화기(10)의 실외 열교환기(23)를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에 대해, 도 7∼도 10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열교환기의 전체구성>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는, 하나의 제 1 헤더 집합관(31)과, 하나의 제 2 헤더 집합관(32)과, 다수의 편평관(33)과, 다수의 핀(36)을 구비한다. 제 1 헤더 집합관(31), 제 2 헤더 집합관(32), 편평관(33), 및 핀(36)은, 모두 알루미늄 합금제 부재이고, 서로 납땜에 의해 접합된다.
제 1 헤더 집합관(31), 제 2 헤더 집합관(32), 및 편평관(33)의 구성과 배치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와 동일하다. 즉, 제 1 헤더 집합관(31) 및 제 2 헤더 집합관(32)은, 모두 세로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한쪽이 열교환기(30) 좌측단에, 다른 쪽이 열교환기(30)의 우측단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편평관(33)은, 편평한 단면형상의 전열관이며, 각각의 평탄한 측면이 마주 보는 자세로 상하로 나열 배치된다. 각 편평관(33)에는, 복수의 유체통로(34)가 형성된다. 상하로 나열된 각 편평관(33)은, 일단부가 제 1 헤더 집합관(31)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제 2 헤더 집합관(32)에 삽입된다.
핀(36)은, 판형상 핀이고, 편평관(33)의 신장방향에 서로 일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즉, 핀(36)은, 편평관(33)의 신장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핀의 구성>
도 9에 나타내듯이, 핀(36)은,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된 세로로 긴 판형상 핀이다. 핀(36)에는, 핀(36) 전연(39)으로부터 핀(36)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노치부(45)가, 다수 형성된다. 핀(36)에서는, 다수의 노치부(45)가, 핀(36)의 길이방향에 일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노치부(45)의 풍하쪽 부분은, 관삽입부(46)를 구성한다. 관삽입부(46)는, 상하방향의 폭이 편평관(33)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길이가 편평관(33)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편평관(33)은, 핀(36)의 관삽입부(46)에 삽입되고, 관삽입부(46)의 주연부(周緣部)와 납땜에 의해 접합된다.
핀(36)에서는, 인접하는 노치부(45) 사이의 부분이 전열부(37)를 구성하고, 관삽입부(46)의 풍하측 부분이 풍하측 판부(47)를 구성한다. 즉, 핀(36)에는, 편평관(33)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인접하는 복수의 전열부(37)와, 각 전열부(37)의 풍하측 단부에 연속하는 하나의 풍하측 판부(47)가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에서는, 핀(36)의 전열부(37)가 상하로 나열된 편평관(33) 사이에 배치되고, 풍하측 판부(47)가 편평관(33)보다 풍하측으로 돌출된다.
도 9에 나타내듯이, 핀(36)의 전열부(37) 및 풍하측 판부(47)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와플부(51, 52, 53)가 형성된다. 즉, 와플부(51, 52, 53)는, 통풍로(38)측을 향해 팽출되고 또한, 상하로 세로로 길게 형성된 팽출부를 구성한다. 와플부(51, 52, 53)는, 전열부(37)의 일부를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성형된다. 각 와플부(51, 52, 53)는, 그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풍하쪽에 위치하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와플부(51, 52, 53)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사다리꼴형 면(54, 54)과 한 쌍의 삼각면(55, 55)과, 산접기부(56)를 갖는다.
전열부(37)에는,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해, 하나의 풍상측 와플부(51)와, 하나의 중간 와플부(52)와, 2개의 풍하측 와플부(53, 53)가 형성된다. 2개의 풍하측 와플부(53, 53) 중 풍하쪽 와플부(53)는, 전열부(37)와 풍하측 판부(47)에 걸쳐 형성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도, 각 와플부(51, 52, 53)의 하단과, 이 와플부(51, 52, 53)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에 평탄부(51a, 52a, 53a)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전열부(37)에서는, 풍상측 와플부(51)의 하단과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에 제 1 평탄부(51a)가 형성되고, 중간 와플부(52)의 하단과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에 제 2 평탄부(52a)가 형성되며, 풍하측 와플부(53)의 하단과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에 제 3 평탄부(53a)가 형성된다. 전열부(37)에서는, 제 1 평탄부(51a)의 높이가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아진다. 또, 전열부(37)에서는, 제 2 평탄부(52a)의 높이도,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아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팽출부(51, 52, 53, 53) 중 2개의 팽출부(51, 52) 하단과, 이들 팽출부(51, 52)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의 2개의 평탄부(51a, 52a)의 높이가, 각각,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아진다. 또한, 전열부(37)에서는, 제 1 평탄부(51a)의 높이가 제 3 평탄부(53a)의 높이보다 크게 된다. 그리고, 4개의 팽출부(51, 52, 53, 53) 중 1개만 하측 평탄부의 높이를,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게 하여도 되고, 3개 이상의 평탄부 높이를, 각각,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게 하여도 된다.
핀(36)의 풍하측 판부(47)는, 드레인 수의 배수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풍하측 판부(47)에는, 1개의 도수용 리브(57)가 형성된다. 도수용 리브(57)는, 풍하측 판부(47)의 풍하측 단부를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오목홈이며, 풍하측 판부(47)의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 형성된다. 도수용 리브(57)는, 도 10에 나타내듯이, 풍하측 판부(47)의 한쪽 면에 볼록 돌기(57a)를 형성하고, 다른 쪽 면에 오목홈(57b)을 형성한다. 편평관(33)의 신장방향에 인접하는 각 풍하측 판부(47)에서는, 모두 동일 측 측면에 볼록 돌기(57a)가 형성된다.
핀(36)에는, 인접하는 핀(36)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태브(tab)(61, 62)가 형성된다. 각 태브(61, 62)는, 핀(36)의 일부를 잘라 세움으로써 구성되는 직사각형의 작은 편(片)이다.
도 9에 나타내듯이, 각 전열부(37)의 풍상측 단부(端部)에는, 풍상측 태브(61)가 각각 형성된다. 풍상측 태브(61)는, 전열부(37)의 일부를 비스듬한 상방으로 잘라 세움으로써 형성된다. 즉, 풍상측 태브(61)의 잘라 세운 면(61a)은, 수평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진다. 풍하측 판부(47)에는, 각 편평관(33)의 풍하쪽 부위에 풍하측 태브(62)가 각각 형성된다. 풍하측 태브(62)는, 풍하측 판부(47)의 일부를 풍상측으로 잘라 세움으로써 형성된다. 즉, 풍하측 태브(62)의 잘라 세운 면(62a)은, 수평면에 대해 직교한다.
각 태브(61, 62)의 잘라 세운 높이는, 인접하는 핀(36)과 접촉 가능한 높이로 설정된다. 즉, 각 태브(61, 62)는, 인접하는 핀(36) 사이에 소정의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스페이서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각 핀(36)을 편평관(33)과 납땜한 후에는, 각 태브(61, 62)를 핀(36)측으로 접어 원래 위치로 하여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제 2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열부(37)에 복수의 와플부(51, 52, 53)를 형성함으로써, 전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와플부(51, 52, 53)는, 종래 예의 루버와 같은 슬릿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와플부(51, 52, 53) 근방에 드레인 수가 저류되어 버리는 일도 없다. 더불어, 풍상측 와플부(51)의 하측에 제 1 평탄부(51a)를 형성함으로써, 풍상측 와플부(51)의 표면에서 발생된 드레인 수를 빠르게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편평관(33) 상측에 저류된 드레인 수를, 제 3 평탄부(53a)측 틈새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풍하측으로 빨아 들일 수 있다. 또한, 각 와플부(51, 52, 53) 표면에서 발생한 드레인 수를, 각 와플부(51, 52, 53)의 경사방향을 따르도록 풍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풍하측 판부(47)로 이동한 드레인 수는, 도수용 리브(57)의 볼록 돌기(57a)의 표면과 오목홈(57b) 내부에 포집되어, 도수용 리브(57)를 따라 하방으로 흘러 내려간다. 그 결과, 핀(36)의 풍하측에 저류된 드레인 수를 빠르게 드레인 팬 등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의 각 태브(61, 62)의 잘라 세운 면(61a, 62a)은, 각각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다. 때문에, 핀(36)의 표면에서 생성된 드레인 수가, 태브(61, 62)의 잘라 세운 면(61a, 62a) 상측에 저류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태브(61, 62) 표면의 드레인 수가 다시 동결되어 버림으로써, 통풍로(38)에서의 공기 흐름이 저해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편평관과 복수의 핀을 구비하고, 편평관을 흐르는 유체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대해 유용하다.
10 : 공기 조화기30 : 열교환기
33 : 편평관 34 : 유체통로(유체의 통로)
35 : 핀(코루게이트 핀) 36 : 핀
37 : 전열부 38 : 통풍로
42 : 돌출 판부(풍하측 판부) 45 : 노치부
47 : 풍하측 판부
51 : 풍상측 와플부(풍상측 팽출부, 팽출부)
51a : 제 1 평탄부(평탄부) 52 : 중간 와플부(팽출부)
52a : 제 2 평탄부(평탄부)
53 : 풍하측 와플부(풍상측 팽출부, 팽출부)
53a : 제 3 평탄부(평탄부) 57 : 도수용 리브(리브)
61 : 풍상측 태브(잘라 세움부) 61a, 62a: 잘라 세운 면
62 : 풍하측 태브(잘라 세움부)
33 : 편평관 34 : 유체통로(유체의 통로)
35 : 핀(코루게이트 핀) 36 : 핀
37 : 전열부 38 : 통풍로
42 : 돌출 판부(풍하측 판부) 45 : 노치부
47 : 풍하측 판부
51 : 풍상측 와플부(풍상측 팽출부, 팽출부)
51a : 제 1 평탄부(평탄부) 52 : 중간 와플부(팽출부)
52a : 제 2 평탄부(평탄부)
53 : 풍하측 와플부(풍상측 팽출부, 팽출부)
53a : 제 3 평탄부(평탄부) 57 : 도수용 리브(리브)
61 : 풍상측 태브(잘라 세움부) 61a, 62a: 잘라 세운 면
62 : 풍하측 태브(잘라 세움부)
Claims (10)
- 평탄한 측면이 대향하도록 상하로 배열되어, 내부에 유체의 통로(34)가 형성되는 복수의 편평관(扁平管)(33)과, 인접하는 상기 편평관(33) 사이를 공기가 흐르는 복수의 통풍로(38)로 구획하는 복수의 핀(35, 36)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핀(35, 36)은, 인접하는 상기 편평관(33)의 한쪽에서 다른 쪽에 걸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풍로(38)의 측벽(側壁)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열부(37)와, 이 전열부(37)의 풍하(風下)측 단부(端部)와 연결되어 배수경로를 형성하는 풍하측 판부(板部)(42, 47)를 갖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열부(37)에는, 상기 통풍로(38)측을 향해 팽출(膨出)하고 또한, 공기의 통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팽출부(51, 52, 53)가, 이 공기의 통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팽출부(51, 52, 53)는, 상기 통풍로(38)의 풍상(風上)측에 형성되는 풍상측 팽출부(51)와, 상기 통풍로(38)의 풍하측에 형성되는 풍하측 팽출부(53)를 포함하며,
상기 전열부(37)에서는, 상기 풍상측 팽출부(51)와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부(51a)의 높이가, 상기 풍하측 팽출부(53)와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부(53a)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 평탄한 측면이 대향하도록 상하로 배열되어, 내부에 유체의 통로(34)가 형성되는 복수의 편평관(33)과, 인접하는 상기 편평관(33) 사이를 공기가 흐르는 복수의 통풍로(38)로 구획하는 복수의 핀(35, 36)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핀(35, 36)은, 인접하는 상기 편평관(33)의 한쪽에서 다른 쪽에 걸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풍로(38)의 측벽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열부(37)와, 이 전열부(37)의 풍하측 단부와 연결되어 배수경로를 형성하는 풍하측 판부(42, 47)를 갖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열부(37)에는, 상기 통풍로(38)측을 향해 팽출하고 또한, 공기의 통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팽출부(51, 52, 53)가, 이 공기의 통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팽출부(51, 52, 53)와 하측의 편평관(33)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부(51a, 52a, 53a)의 높이는,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 평탄한 측면이 대향하도록 상하로 배열되어, 내부에 유체의 통로(34)가 형성되는 복수의 편평관(33)과, 인접하는 상기 편평관(33) 사이를 공기가 흐르는 복수의 통풍로(38)로 구획하는 복수의 핀(35, 36)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핀(35, 36)은, 인접하는 상기 편평관(33)의 한쪽에서 다른 쪽에 걸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풍로(38)의 측벽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열부(37)와, 이 전열부(37)의 풍하측 단부와 연결되어 배수경로를 형성하는 풍하측 판부 (42, 47)를 갖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열부(37)에는, 상기 통풍로(38)측을 향해 팽출하고 또한, 공기의 통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팽출부(51, 52, 53)가, 이 공기의 통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팽출부(51, 52, 53) 중 적어도 하나의 팽출부(51, 52) 하단과, 이 팽출부(51, 52, 53) 하단의 하측 편평관(33) 사이에 형성되는 평탄부(51a, 52a)의 높이는,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51, 52, 53)는, 이 팽출부(51, 52, 53) 하단이 이 팽출부(51, 52, 53)의 상단보다 풍하쪽에 위치하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핀(36)은, 상기 편평관(33)을 끼워 넣기 위한 복수의 노치(notch)부(45)가 풍상측에 배치된 판형상에 형성되고, 편평관(33)의 신장(伸長)방향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노치부(45)의 주연(周緣)에 의해 상기 편평관(33)을 사이에 끼우고,
상기 핀(36)에서는, 상하로 인접하는 노치부(45) 사이의 부분이 상기 전열부(37)를 구성하고, 이 전열부(37)의 풍하측 단부와 연속하여 상하로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풍하측 판부(47)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풍하측 판부(47)에는, 상기 복수 전열부(37)의 풍하측 단부를 따르도록 연장되는 리브(rib)(5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핀(36)에는, 통풍로(38)측을 향해 잘라 세워지는 잘라 세움부(61, 62)가 형성되고,
상기 잘라 세움부(61, 62)의 잘라 세운 면(61a, 62a)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열교환기(30)가 설치된 냉매회로(20)를 구비하고,
상기 냉매회로(2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핀(36)은, 상기 편평관(33)을 끼워 넣기 위한 복수의 노치(notch)부(45)가 풍상측에 배치된 판형상에 형성되고, 편평관(33)의 신장(伸長)방향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노치부(45)의 주연(周緣)에 의해 상기 편평관(33)을 사이에 끼우고,
상기 핀(36)에서는, 상하로 인접하는 노치부(45) 사이의 부분이 상기 전열부(37)를 구성하고, 이 전열부(37)의 풍하측 단부와 연속하여 상하로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풍하측 판부(47)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핀(36)에는, 통풍로(38)측을 향해 잘라 세워지는 잘라 세움부(61, 62)가 형성되고,
상기 잘라 세움부(61, 62)의 잘라 세운 면(61a, 62a)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011195 | 2011-01-21 | ||
JP2011011195 | 2011-01-21 | ||
PCT/JP2012/000370 WO2012098914A1 (ja) | 2011-01-21 | 2012-01-23 |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9254A KR20130099254A (ko) | 2013-09-05 |
KR101313347B1 true KR101313347B1 (ko) | 2013-10-01 |
Family
ID=4651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1756A KR101313347B1 (ko) | 2011-01-21 | 2012-01-23 |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299153A1 (ko) |
EP (1) | EP2667139A1 (ko) |
JP (1) | JP5177306B2 (ko) |
KR (1) | KR101313347B1 (ko) |
CN (1) | CN103314269B (ko) |
AU (1) | AU2012208120A1 (ko) |
BR (1) | BR112013018043A2 (ko) |
WO (1) | WO201209891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45667A1 (en) * | 2020-08-31 | 2022-03-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heat exchang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32111A (ja) * | 2010-08-02 | 2012-02-16 | Fuji Electric Co Ltd | 熱交換器 |
JP5445875B2 (ja) * | 2012-08-06 | 2014-03-19 | 日高精機株式会社 |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および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金型と金属帯状体の送り装置 |
KR102218301B1 (ko) * | 2013-07-30 | 2021-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열교환기 및 그 코르게이트 핀 |
EP2869015B1 (en) * | 2013-11-05 | 2017-09-20 | MAHLE International GmbH | Method of using asymmetric corrugated fins with louvers |
WO2015108289A1 (ko) * | 2014-01-15 | 2015-07-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열교환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
KR102227419B1 (ko) * | 2014-01-15 | 2021-03-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열교환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
KR102188114B1 (ko) * | 2014-01-28 | 2020-1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열교환기 |
CN103925742B (zh) * | 2014-04-18 | 2016-06-29 | 丹佛斯微通道换热器(嘉兴)有限公司 | 换热器及其制造方法、换热模块、换热装置和热源单元 |
US10393452B2 (en) | 2015-05-29 | 2019-08-27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Heat exchanger |
WO2016194088A1 (ja) * | 2015-05-29 | 2016-12-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
KR20170015146A (ko) * | 2015-07-31 | 2017-0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열교환기 |
US11041676B2 (en) * | 2015-07-31 | 2021-06-22 | Lg Electronics Inc. | Heat exchanger |
CN106705270B (zh) * | 2015-11-12 | 2020-07-17 |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 换热器 |
CN205352165U (zh) * | 2015-12-16 | 2016-06-29 | 杭州三花微通道换热器有限公司 | 换热器芯体和具有它的换热器 |
GB2565486B (en) * | 2016-07-01 | 2020-11-18 | Mitsubishi Electric Corp |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
CN106370045B (zh) * | 2016-08-30 | 2019-07-23 | 杭州三花微通道换热器有限公司 | 翅片和具有该翅片的换热器 |
JP6294537B1 (ja) * | 2017-01-20 | 2018-03-14 |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 ろう付け用混合組成物塗料 |
CN110603419A (zh) * | 2017-05-11 | 2019-12-20 | 三菱电机株式会社 | 热交换器及制冷循环装置 |
ES2885836T3 (es) * | 2017-06-22 | 2021-12-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Intercambiador de calor, dispositivo de ciclo de refrigeración y acondicionador de aire |
JP6631608B2 (ja) * | 2017-09-25 | 2020-01-1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JP6865353B2 (ja) * | 2018-01-09 | 2021-04-2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熱交換器 |
WO2019175973A1 (ja) * | 2018-03-13 | 2019-09-19 |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 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
JP7004814B2 (ja) * | 2018-06-13 | 2022-01-21 | 三菱電機株式会社 | 熱交換器、熱交換器ユニット、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
JP7272422B2 (ja) * | 2019-03-26 | 2023-05-12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を備える空気調和機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0482A (ja) * | 1991-08-29 | 1993-03-09 | Showa Alum Corp | 熱交換器の製造方法 |
JP2005201467A (ja) | 2004-01-13 | 2005-07-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熱交換器 |
JP2007017042A (ja) | 2005-07-06 | 2007-01-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熱交換器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27336A (en) * | 1945-04-25 | 1947-09-16 | Peerless Of America | Heat transfer unit |
US3437134A (en) * | 1965-10-24 | 1969-04-08 | Borg Warner | Heat exchanger |
US4328861A (en) * | 1979-06-21 | 1982-05-11 | Borg-Warner Corporation | Louvred fins for heat exchangers |
JPS61237995A (ja) * | 1985-04-12 | 1986-10-2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フイン付熱交換器 |
KR900006245B1 (ko) * | 1985-04-19 | 1990-08-27 |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 열교환기 |
US4709753A (en) * | 1986-09-08 | 1987-12-01 | Nordyne, Inc. | Uni-directional fin-and-tube heat exchanger |
JPH0590173U (ja) * | 1992-04-20 | 1993-12-07 |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 フィン・チューブ式熱交換器 |
KR100290761B1 (ko) * | 1995-01-23 | 2001-06-01 | 구자홍 | 핀 튜브형 열교환기 |
JPH09324995A (ja) * | 1996-06-05 | 1997-12-16 | Toshiba Corp | 熱交換器 |
KR100210072B1 (ko) * | 1996-07-09 | 1999-07-15 | 윤종용 |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
US5752567A (en) * | 1996-12-04 | 1998-05-19 |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 Heat exchanger fin structure |
US5975200A (en) * | 1997-04-23 | 1999-11-02 | Denso Corporation | Plate-fin type heat exchanger |
US5787972A (en) * | 1997-08-22 | 1998-08-04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Compression tolerant louvered heat exchanger fin |
JPH11294984A (ja) | 1998-04-09 | 1999-10-29 | Zexel:Kk | 並設一体型熱交換器 |
US6964296B2 (en) * | 2001-02-07 | 2005-11-15 |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 Heat exchanger |
JP4096226B2 (ja) | 2002-03-07 | 2008-06-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その製造方法及び冷凍空調装置 |
US7021370B2 (en) * | 2003-07-24 | 2006-04-04 | Delphi Technologies, Inc. | Fin-and-tube type heat exchanger |
KR100621525B1 (ko) * | 2005-06-09 | 2006-09-11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열교환기의 전열핀 |
US7540320B1 (en) * | 2006-02-10 | 2009-06-02 | Thomas Middleton Semmes | High efficiency conditioning air apparatus |
JP5320846B2 (ja) | 2008-06-20 | 2013-10-23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熱交換器 |
-
2012
- 2012-01-23 CN CN201280005238.2A patent/CN10331426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1-23 US US13/980,588 patent/US2013029915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1-23 AU AU2012208120A patent/AU201220812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1-23 WO PCT/JP2012/000370 patent/WO201209891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1-23 EP EP12736904.9A patent/EP2667139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2-01-23 BR BR112013018043A patent/BR112013018043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1-23 JP JP2012010570A patent/JP517730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1-23 KR KR1020137021756A patent/KR10131334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0482A (ja) * | 1991-08-29 | 1993-03-09 | Showa Alum Corp | 熱交換器の製造方法 |
JP2005201467A (ja) | 2004-01-13 | 2005-07-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熱交換器 |
JP2007017042A (ja) | 2005-07-06 | 2007-01-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熱交換器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45667A1 (en) * | 2020-08-31 | 2022-03-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heat exchanger |
US11988462B2 (en) | 2020-08-31 | 2024-05-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heat exchang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098914A1 (ja) | 2012-07-26 |
AU2012208120A1 (en) | 2013-08-01 |
EP2667139A1 (en) | 2013-11-27 |
BR112013018043A2 (pt) | 2019-09-24 |
JP5177306B2 (ja) | 2013-04-03 |
CN103314269A (zh) | 2013-09-18 |
CN103314269B (zh) | 2014-06-18 |
US20130299153A1 (en) | 2013-11-14 |
KR20130099254A (ko) | 2013-09-05 |
JP2012163317A (ja) | 2012-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3347B1 (ko) |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 | |
US9316446B2 (en) |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 |
KR101451056B1 (ko) |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 | |
JP5863956B2 (ja) | 熱交換器、熱交換器の製造方法、及び、空気調和機 | |
JP6165360B2 (ja) |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 |
CN103403487B (zh) | 热交换器及空调机 | |
KR20130110221A (ko) |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 | |
EP3091322B1 (en) | Fin and tube-type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provided therewith | |
JPWO2018003123A1 (ja) |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 |
JP6701371B2 (ja) |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 |
JP2015031490A (ja) |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 |
JP5736794B2 (ja) |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 |
JP6903237B2 (ja) | 熱交換器、熱交換器ユニット、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 |
JP5569409B2 (ja) |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 |
JP2012154492A (ja) |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 |
WO2012098913A1 (ja) |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 |
JP2015031491A (ja) |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 |
JP2012154500A (ja) |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 |
JP2005308252A (ja) | 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 |
JP2015031478A (ja) | 熱交換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